KR20230059696A -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 Google Patents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696A
KR20230059696A KR1020220043604A KR20220043604A KR20230059696A KR 20230059696 A KR20230059696 A KR 20230059696A KR 1020220043604 A KR1020220043604 A KR 1020220043604A KR 20220043604 A KR20220043604 A KR 20220043604A KR 20230059696 A KR20230059696 A KR 2023005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fastening part
bone
fastening
fr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국희
이진우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PCT/KR2022/0163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53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5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25Strips of substantially planar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oduced with shape and dimensions specific for an individual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에 삽입되어 분쇄 골절된 뼈를 정복시키는 정복 기구에 있어서, 신장 가능하며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는 시트 부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에 각각 마련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을 연결시키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뼈의 유합 효과를 높이며,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A REDUCTION INSTRUMENT USED TO REDUCE COMMINUTED FRACTURES}
본 발명은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정복하는데 사용되는 정복 기구에 관한 것이다.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골절될 수 있는데, 그중 분쇄(성) 골절은 뼈가 분쇄되어 조각난 골절로, 2개 이상의 골절선이 만나 골절편이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분쇄 골절은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단순 골절에 비해 복수의 뼈를 유합하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분쇄 골절은 복수 개로 뼈가 부러지면서 주변의 혈관 또는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멍과 부종을 동반한다. 부러진 뼈는 혈관을 상하게 하여 내출혈을 일으킬 수 있고, 주변 조직이 손상되면서 심하게 붓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손가락뼈가 분쇄 골절된 경우, 종래의 분쇄 골절 치료방법에 관한 사진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종래에는 골절된 복수 개의 뼈에 여러 개의 핀을 박아 뼈를 고정하였다. 도 1a는 환자의 손에 복수 개의 핀이 박힌 모습이며, 도 1b는 핀이 박힌 손의 x-ray 사진이다. 종래와 같이 복수 개의 핀을 박아 수술을 하는 경우, 핀이 박혀있는 동안은 환자가 해당 부위, 보다 상세하게 손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유발되며, 움직일 수가 없어 환자의 불편이 컸다. 또한, 분쇄 골절된 뼈에 핀을 여러 개 박아야 하는데, 골절된 뼈가 작고 많은 경우에는 핀을 여러 개 박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뼈 유합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핀이 박힌 부분의 외부 피부에서는 감염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골절된 뼈가 유합된 이후에는 핀을 제거하는 수술을 별도로 시행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한 복수 개의 핀을 골절된 뼈에 직접 박아 뼈가 유합되도록 하는 종래 치료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핀을 사용하지 않고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감싸서 유합시킬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6538호 일본공개특허 제2021-000454호
본 발명은 골절 정복 수술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중 하나로서, 뼈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핀을 사용하지 않고,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감싸서 뼈가 유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절 정복 수술 후, 삽입된 장치를 제거하는 별도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앞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아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내에 삽입되어 분쇄 골절된 뼈를 정복시키는 정복 기구에 있어서,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는 시트 부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에 각각 마련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을 연결시키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부재는, 형태가 상이한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망사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체결부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고리와 체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케이블 타이 밴드이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가 각각 마련된 양 단 사이의 거리가 골절된 뼈의 둘레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부재는, 골절된 뼈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마련된 양 단 사이의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부재는, 뼈의 굵기가 가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마련된 양 단의 사이의 거리가 일 측보다 타 측에서 좁게 테이퍼링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 골절된 뼈를 정복시키는 정복 기구에 있어서, 신장 가능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 상기 시트 부재의 일 단에 마련되며,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볼록 돌기가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시트 부재의 타 단에 마련되며, 상기 볼록 돌기와 끼움결합하는요홈이 상기 볼록 돌기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볼록 돌기와 상기 요홈이 결합되어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내 또는 체외에서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서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로 제조되어 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쇄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체내에서 한꺼번에 감싸서 뼈의 유합을 돕는다. 따라서, 종래 핀으로 고정하는 방법에 비해 환자의 통증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고, 골절된 부위를 제외한 신체는 움직일 수 있어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손가락뼈와 같이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골절된 뼈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유합되도록 하므로 뼈의 유합 효과도 종래보다 큰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3D 프린팅을 통해 골절 부위의 형태 또는 환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각각 개별적인 형태 또는 크기로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골절 부위의 유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복 기구는 체내에서 생분해되므로, 외부 피부로부 감염증이 발생한 위험이 낮고, 정복 수술 이후 정복 기구를 제거하는 별도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시간적·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도 1a 및 도 1b는 손가락뼈가 분쇄 골절된 경우, 복수 개의 핀을 이용하는 종래의 분쇄 골절 치료방법에 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복 기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트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분쇄 골절된 닭 뼈에 본 발명의 정복 기구를 적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복 기구 중 다른 체결 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본 발명의 도 5 실시예 형태의 정복 기구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손가락에 본 발명의 도 5 실시예 형태의 정복 기구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복 기구(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정복 기구(1)는 분쇄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서 고정시킴으로써 정복시킬 수 있다. 정복 기구(1)는 체내 또는 체외에서 골절 부위를 감쌀 수 있다. 특히 정복 기구(1)는 생분해성 재료로 구성되어 체내에서 분해되므로 체내에 삽입되어 골절된 뼈를 직접 감쌀 수 있다. 정복 기구(1)는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로 제작되어 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정복 기구(1)는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로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미생물 생산 고분자일 수 있으며, 체내 분해가능하다면 종류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복 기구(1)는 정복술 시술 시, 체내에 삽입된 후 뼈가 정복되면서 또는 정복된 후 생분해되므로, 정복 기구(1)를 제거하는 별도의 시술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정복 기구(1)는 골절된 뼈를 직접 감싸서 고정시키므로 체외에서 고정시키는 것보다 뼈 조각이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압시킬 수 있다. 정복 기구(1)에 포함되는 시트 부재(10), 제1 체결부(30) 및 제2 체결부(50)는 모두 생분해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정복 기구(1)는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3D 프린팅 기법을 통해 개별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형태 또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정복 기구(1)는 시트 부재(10), 제1 체결부(30) 및 제2 체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신장 가능하며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쌀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넓은 면적을 가진 시트 형태로 제작되어, 일정 길이를 가진 원기둥 형태의 뼈를 감쌀 수 있다. 시트 부재(10)의 양 단 간의 길이는 최소 뼈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사각형의 시트 형태일 수 있으나, 뼈를 감쌀 수 있다면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 부재(1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골절된 뼈를 감싸는 과정에서 약간 늘어났다가 제1 체결부(30)와 제2 체결부(50)가 결합될 때는 다시 수축되어 뼈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하나의 시트일 수 있으며, 또는 중앙부가 뚫린 다수의 셀(100)로 이루어져 망사 형태일 수 있다. 셀(100)은 시트 부재(10)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재료가 특정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거나 꼬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셀(100)은 중앙부가 관통된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으나, 그 형상 또는 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환자 개인 특성 또는 골절된 부의의 조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다수의 셀(100)이 형성하는 망사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시트 부재(10)의 양 단이 결합될 때 신장 또는 수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셀(100)은 단일 형태만으로 시트 부재(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형태가 결합하여 하나의 시트 부재(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b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시트 부재(10)는 양 단에 각각 제1 체결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양 단 간의 거리, 즉 제1 체결부(30) 사이의 거리는 골절된 뼈의 둘레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골절된 뼈의 종류, 사용자의 뼈의 굵기 또는 골절된 뼈의 형태에 따라 제1 체결부(30)가 마련된 시트 부재(10)의 양 단 사이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정복 기구(1)가 개별 상황에 맞도록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체결부(30)는 시트 부재(1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체결부(50)는 시트 부재(10)와는 분리될 수 있으며, 톱니(50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제1 체결부(30)의 고리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50)는 케이블 타이 밴드일 수 있다. 제1 체결부(30)의 고리는 제2 체결부(50)의 톱니(5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한 번 결합된 제1 체결부(30)는 제2 체결부(50)의 톱니(501)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체결부(30)는 시트 부재(10)가 골절된 뼈를 감싸면서 양 단의 제1 체결부(30)가 가까워진 후, 제1 체결부(30)의 고리에 제2 체결부(50)가 삽입됨으로써, 톱니(501)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트 부재(10)의 양 단에 마련된 두 개의 제1 체결부(30)와 제2 체결부(50)가 체결됨으로써 시트 부재(10)는 골절된 뼈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트 부재(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3a는 일 측과 타 측의 길이가 상이한 사각 형상의 시트 부재(10)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복 기구(1)는 3D 프린팅으로 제작될 수 있어, 초기 설계 시 골절된 뼈의 종류, 사용자의 뼈의 굵기 또는 골절된 뼈의 형태를 고려하여 이에 맞출 수 있다. 이에, 제1 체결부(30)가 마련된 시트 부재(10)의 양 단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상이할 수 있다.
그중, 도 3a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뼈의 굵기가 점점 가늘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손가락뼈에 적용되는 시트 부재(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을 참고하면, 시트 부재(10)의 우측 길이(B)보다 좌측 길이(A)가 짧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시트 부재(10)는 손가락뼈의 굵기가 가늘어짐에 따라 제1 체결부(30)가 마련된 양 단의 사이의 거리가 우측(B)보다 좌측(A)으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링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시트 부재(10)의 형태는 뼈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므로, 도 3a와 같이 일방향으로 테이퍼링되는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도 3b는 다양한 형태의 셀(100)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10) 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 3b를 참고하면, 시트 부재(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단의 셀a(100a)과 하단의 셀b(100b)의 형태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의 상단의 셀a(100a)는 다수의 직선이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면, 하단의 셀b(100b)는 다수의 직선이 서로 교차하여 마름모 형상을 생성하여 시트 부재(10)이 그물망 형태이다. 이렇듯, 하나의 시트 부재(10)는 형태가 상이한 복수의 셀(1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셀(100)은 3D 프린팅을 위한 설계 과정에서 그 형태 또는 크기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셀(100)은 각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신장되었을 때 가해지는 장력, 신축되는 정도, 복수 개의 뼈를 감싸는 면적이 상이하다. 따라서, 뼈의 종류 또는 골절 위치 등에 따라 적합한 셀(100)의 형태와 크기가 적용되어 유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경우 셀a(100a)는 셀b(100b)에 비해 더욱 촘촘하게 형성되어 신장력이 강한 반면, 신축성이 약할 수 있다. 셀a(100a)만으로 구성된 시트 부재(10)는 신축성이 약해 뼈에 대한 고정력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셀b(100b)만으로 구성된 시트 부재(10)는 신축성이 커서 뼈에 대한 고정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유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셀a(100a)와 셀b(100b)를 하나의 시트 부재(10)에 구성함으로써, 적절한 유합 효과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불편감을 낮출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분쇄 골절된 닭 뼈에 본 발명의 정복 기구(1)를 적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분쇄 골절된 닭 뼈의 사진으로, 분쇄 골절의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크고 작은 다양한 크기의 뼈 조각이 생성된다.
도 4b는 시트 부재(10)에 복수 개의 뼈 조각을 맞춘 후, 시트 부재(10)의 양 단에 마련된 제1 체결부(30)의 고리에 제2 체결부(50)를 삽입한 모습이다. 복수의 뼈를 유합시키기 위해, 뼈들은 시트 부재(10) 위에서 맞추어지며, 시트 부재(10)는 양 단을 구부러지면서 뼈를 감쌀 수 있다. 도 4b의 제1 체결부(30)는 고리형이며, 제2 체결부(50)는 복수의 톱니(501)가 형성된 케이블 타이 밴드 형태로서, 제1 체결부(30)의 고리가 제2 체결부(50)의 톱니(501)와 결합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제2 체결부(50)의 개수는 시트 부재(10)의 일 단에 마련된 제1 체결부(30)의 고리 개수에 대응된다. 도 4b에서도 재확인할 수 있듯이, 시트 부재(10)는 골절된 뼈의 둘레(굵기)와 골절 부위의 길이에 따라 가로·세로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c는 시트 부재(10) 양 단의 제1 체결부(30)가 서로 접하며 시트 부재(10)가 뼈 조각들을 완전히 감싼 모습이다. 도 4b에서는 양 단의 각 제1 체결부(30)가 하나의 제2 체결부(50)에서 걸린 위치가 상이하였으나, 도 4c에서는 시트 부재(10)가 뼈 조각들을 완전히 감싸면서, 제2 체결부(50)의 한 위치로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d는 뼈 조각들이 시트 부재(10)에 감싸진 것으로, 도 4c의 반대편모습이다. 시트 부재(10)를 통해 뼈가 360도에서 감싸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복 기구(3) 중 다른 체결 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의 정복 기구(3)는 전술한 도 2의 정복 기구(1)와 유사하게, 신장 가능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10), 제1 체결부(30), 제2 체결부(50)를 포함하며, 제1 체결부(30)와 제2 체결부(50)가 결합함으로써 시트 부재(10)가 복수의 뼈를 감싸며 체내에서 뼈를 유합시킬 수 있다.
제1 체결부(30)는 시트 부재(10)의 일 단에 마련되며,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볼록 돌기(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50)는 시트 부재(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시트 부재(10)의 타 단에 마련되며, 볼록 돌기(70)와 끼움결합하는 요홈(90)이 볼록 돌기(70)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부재(10)는 양 단에 각각 마련된 볼록 돌기(70)와 요홈(90)이 결합함으로써,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쌀 수 있다.
시트 부재(10)는 도 3a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의 뼈가 점차 가늘어지는 경우, 뼈의 굵기를 고려하여 시트 부재(10)의 일 측이 타 측보다 짧은 테이퍼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 시트 부재(10) 우측 길이(D)보다 좌측 길이(C)가 짧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복 기구(3)는 전체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로 제조되어 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본 발명의 도 5 실시예 형태의 정복 기구(3)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복 기구(3)는 3D 프린팅으로 제작되므로, 뼈의 둘레 또는 골절 부위 등에 따라 그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손가락에 본 발명의 도 5 실시예 형태의 정복 기구(3)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정복 기구(3)는 체내 또는 체외에서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3 : 정복 기구
10 : 시트 부재
100 : 셀
100a: 셀a
100b : 셀b
30: 제1 체결부
50: 제2 체결부
501 : 톱니
70: 볼록 돌기
90 : 요홈

Claims (9)

  1. 체내에 삽입되어 분쇄 골절된 뼈를 정복시키는 정복 기구에 있어서,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는 시트 부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에 각각 마련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을 연결시키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정복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형태가 상이한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망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고리와 체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케이블 타이 밴드이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의 양 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가 각각 마련된 양 단 사이의 거리가 골절된 뼈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골절된 뼈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마련된 양 단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뼈의 굵기가 가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가 마련된 양 단의 사이의 거리가 일 측보다 타 측에서 좁게 테이퍼링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7. 분쇄 골절된 뼈를 정복시키는 정복 기구에 있어서,
    신장 가능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
    상기 시트 부재의 일 단에 마련되며,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볼록 돌기가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시트 부재의 타 단에 마련되며, 상기 볼록 돌기와 끼움결합하는요홈이 상기 볼록 돌기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볼록 돌기와 상기 요홈이 결합되어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체내 또는 체외에서 골절된 복수 개의 뼈를 에워싸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로 제조되어 체내에서 분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복 기구.
KR1020220043604A 2021-10-26 2022-04-07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KR20230059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341 WO2023075358A1 (ko) 2021-10-26 2022-10-25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3888 2021-10-26
KR1020210143888 2021-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96A true KR20230059696A (ko) 2023-05-03

Family

ID=8638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04A KR20230059696A (ko) 2021-10-26 2022-04-07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6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38A (ko) 2017-12-22 2019-07-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을 위한 생체역학적 응력 적응형 하이브리드 구조체
JP2021000454A (ja) 2019-06-24 2021-01-07 ネクストレミティ ソル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extremity Solutions, Inc. 骨折部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38A (ko) 2017-12-22 2019-07-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을 위한 생체역학적 응력 적응형 하이브리드 구조체
JP2021000454A (ja) 2019-06-24 2021-01-07 ネクストレミティ ソル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extremity Solutions, Inc. 骨折部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714B1 (ko) 인접한 두 척추골의 운동을 억제하는 가시돌기간 장치 및그러한 장치를 위해 설계된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JP6747644B2 (ja) 尿道前立腺部のための切開用埋込具
LOTKE et al. Transverse fractures of the patella
US8469873B2 (en) Blood vessel wrap
US5713839A (en) Pre-operative nasal splint for endoscopic sinus surgery
JP5619875B2 (ja) 拡張型骨インプラント
WO2019175911A2 (en) Mesh or membrane covering based on biological or biosynthetic material for prosthesis, provided with fixing system for fixing to the same prosthesis,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210060664A (ko)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US7344511B2 (en) Adjus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US11324540B2 (en) Device for the cerclage of fractured bones and system for the cerclage of fractured bones comprising such device
Arain et al. Tissue expanders with a focus on extremity reconstruction
KR20210023330A (ko) 내향 발톱 교정 장치
CN110167471A (zh) 接骨板内部固定装置
KR20230059696A (ko)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KR101523606B1 (ko) 의료용 개창기구
WO2023075358A1 (ko) 분쇄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정복 기구
CN110025341A (zh) 具类网状支撑结构的一次性切口牵开器及其牵拉装置
CN213098543U (zh) 棘突间固定装置
TWI756794B (zh) 脊突間固定裝置
CN107411868A (zh) 一种新型甲沟炎矫正装置及矫正甲沟炎的方法
CN213430336U (zh) 一种用于防止血管蒂卡压的血管鞘管
CN106943210B (zh) 一种用于包裹长管状骨皮质骨内外层植骨的钛笼
CN206534701U (zh) 一种克氏针无菌橡胶保护套
KR101620792B1 (ko) 의료용 메쉬 어셈블리
CN103767770A (zh) 一次性包皮环切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