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27A -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27A
KR20230058827A KR1020210142506A KR20210142506A KR20230058827A KR 20230058827 A KR20230058827 A KR 20230058827A KR 1020210142506 A KR1020210142506 A KR 1020210142506A KR 20210142506 A KR20210142506 A KR 20210142506A KR 20230058827 A KR20230058827 A KR 2023005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ed
transfer
rail
seedlings
nurs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주)헬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퍼로보텍 filed Critical (주)헬퍼로보텍
Priority to KR102021014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827A/ko
Publication of KR2023005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 트레이를 집체화하여 육묘장 내부 이동 및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육묘의 생산성과 생산공정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묘 발육촉친을 위해 인위적으로 일장 및 온도조절 하는 야냉실(500)이 구비된 육묘장에 설치되는 공정 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파종된 트레이를 안착 적재시키는 무빙베드(20); 상기 육묘장(1000)의 내에 상기 육묘장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베드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100); 및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베드(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200);를 포함하는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The moving bed system for producing night temperature controlled fruit vegetable nursery at nursery plant}
본 발명은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 트레이를 집체화하여 육묘장 내부 이동 및 방향전환을 자동으로 함으로써 육묘의 생산성과 생산공정의 편의성 증대와 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육묘란 일정기간 동안 묘를 키우는 작업 일컫는 말이며, 육묘를 활용할 경우 품질이 우수한 우량묘만 골라 심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영농기간을 단축하여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육묘의 생력화, 효율화, 안정화를 목적으로 상토 제조 및 충전, 파종, 관수, 시비, 환경관리 등 제반 육묘작업을 체계화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규격화된 묘를 연중 계획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과채류(果菜類)라 함은 수박, 호박, 오이 등이 속하는 박과류와 토마토, 가지, 고추 등이 속하는 가지과류로 구분하는데, 이러한 과채류는 영농기간 단축과 개인보다 더 나은 품질의 우량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문 육묘장에서 육묘 된 것을 구입해서 옮겨심는 방식으로 영농을 한다.
여기서, 육묘를 생산하는 방법중 하나인 접목묘(接木苗, grafted nursery plant)는, 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뿌리쪽으로 하고, 열매가 좋은 품종을 줄기쪽으로 하여 접목한 것으로, 우수한 품질과 높은 생산성을 가짐으로써 종자를 발아하여 자란 실생묘(實生苗, seedling)와 대비하여 시중에서 3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다.
한편, 접목묘의 대목을 일정 시간 인위적으로 저온을 가하여 야냉(硬化) 처리할 경우, 보통의 가지보다 길고 연약하게 자라는 도장(徒長)이 방지되어 육묘의 줄기는 굵고 짧게되고 뿌리는 하향으로 발달되며, 접목과정 중 발생하는 육묘의 절단면이 넓어지도록 하여 접목 후 수관연결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활착되는 확률을 높이고, 화아분화(花芽分化) 촉진 및 왕성한 생육을 통해 열매 수확량이 증가하는 우수한 품질의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토마토 묘를 예로 들면, 종자를 심는 파종단계, 식물의 싹을 생장시키는 발아단계, 1차 생육단계, 두 가지 식물체를 유착시키는 접목단계, 접수(接穗, scion)와 대목(臺木, stock)이 붙는 활착단계, 2차 생육단계, 출하단계 등의 7단계 이상의 공정을 거치는데, 약 20일간 이루어지는 1차 생육기간 중, 마지막 5일간을 야냉 처리한다.
이러한 야냉묘를 생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996-0016546호는 육묘하우스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를 이용하여 육묘상자를 저온 육묘실로 이송시켜 냉방시킴으로써 분화를 촉진시키는 ‘저온육묘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육묘하우스 내에 저온 육묘실을 유치하고, 크기가 상이한 대차와, 각각의 대차에 고정되는 레일을 이용하여, 야간에는 각각의 대차를 포개는 방식으로 저온 육묘실에 수용하고, 주간에는 넓게 펼칠 수 있는 저온육묘장치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이러한 육묘의 이송과 배열 전환을 인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과도한 인력의 투입으로 인해 생산단가가 현저히 높아지므로, 실질적으로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육묘를 자동으로 이송시켜, 주간에는 수평으로 배열하여 상온에서 생육하고, 야간에는 야냉실로 이송시켜 자동으로 수직배열 적재시키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6-0016546호(1996.12.1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력에 의존하던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공정을 자동화 함으로써, 육묘의 웃자람을 방지하고, 접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뿌리 발달을 왕성하게 하여 화아분화(花芽分化) 촉진 및 왕성한 생육을 도모하여 야냉묘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품질개선으로 농업인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육묘 트레이를 집체화하여 자동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육묘장 내 재배환경(온, 습, 광, 풍, CO₂ 등) 환경값이 개별 육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유도하여, 생육환경 편차를 줄여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하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육묘가 자동으로 이송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기류(微細氣流)로 인하여 생장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우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무빙베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육묘장 일측에만 관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육묘장 내부에 잉여관수로 인해 발생되는 질퍽한 바닥 환경 조성을 방지하여 이끼 및 병충해 발생을 감소시키는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夜冷苗)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육묘 발육촉진을 위해 인위적으로 일장 및 온도조절 하는 야냉실(500)이 구비된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파종된 트레이를 안착 적재시키는 무빙베드(20); 상기 육묘장(1000)의 내에 상기 육묘장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베드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100); 및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베드(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200);를 포함하는 공정 설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레일부(100)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무빙베드 하측에 형성되되,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무빙베드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의 각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가압지지하는 이송롤러(130)와, 상기 이송롤러(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밀어주기 위해 상기 이송롤러(13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레일모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육묘장(100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가압지지하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는 제1롤러(213)가 구비된 제1전환레일(210)과, 상기 제1전환레일(2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환레일(21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1리프트(230)와, 상기 육묘장(10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 하면을 가압지지하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는 제2롤러(223)가 구비된 제2전환레일(220)과, 상기 제2전환레일(220)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전환레일(2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2리프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제1전환레일(21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 전환 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1리프트(230)가 하강하고 상기 제2리프트(240)가 상승하며 상기 제2전환레일(220)의 제2롤러(223)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전환레일(22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 전환 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2리프트(240)가 하강하고 상기 제1리프트(230)가 상승하며 상기 제1전환레일(210)의 제1롤러(213)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무빙베드(20)에 적재된 육묘에 물을 분사하는 관수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때,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관수장치(3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수장치(3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320)과, 상기 프레임(3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이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310)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배관과, 상기 지지대(31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무빙베드(20)에 분사시키되, 상기 관수장치(300)로 접근한 무빙베드(20)의 육묘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분사노즐(322)이 구비된 복수개의 분사호스(330)와, 상기 지지대(3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장치(340)와, 상기 분사호스(330)와 인접한 분사호스(3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20)에 적재된 육묘의 뿌리측까지 관수가 되도록, 상기 지지대(310)가 왕복 운동 시 외방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날개부재(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레일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무빙베드(20)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수용하되, 상기 무빙베드(20) 수용 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수용하는 스태커(Stacker)(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태커(400)는, 상기 스태커(400) 하부를 형성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4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는 포스트(4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42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적재된 무빙배드(20)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적재롤러(432)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430)와, 상기 적재부(430)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441)를 권취하여 상기 적재부(430)에 적재되는 상기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적재부(430)를 승하강시키는 윈치드럼(443)을 포함하여 상기 무빙베드가 상기 스태커(400)로 접근하면 상기 적재롤러(432)에 의해 유입되고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배치되면, 상기 윈치드럼(443)이 상기 적재부(430)를 승강시키되, 상기 적재부(43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재부(430)가 상승하여 상기 무빙베드(20)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이송레일부(100)에 대응하는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야냉실(5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야냉실(500)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야냉실(500) 상부로 분사하는 순환기(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순환기(520) 하부를 형성하며, 하측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야냉실(500)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원통형의 관상으로 형성된 흡입관(521)과, 일측은 상기 흡입관(521)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야냉실(5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게 굴절되며, 내부가 연통되는 원통형의 관상으로 형성된 토출관(522)과, 상기 토출관(522)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52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육묘트레이를 무빙베드에 탑재하여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이동 시 미세기류(微細氣流)를 형성하여 증산작용으로 생장촉진이 가능하도록 하며, 개별물류를 집체화하여 이송시킴으로 써, 육묘장 내 재배환경(온, 습, 광, 풍, CO₂, 등) 환경값이 개별 육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육환경 편차를 줄여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인력에 의존하던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공정을 자동화하여, 육묘의 웃자람을 방지하고, 접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뿌리 발달을 왕성하게하여 화아 분화 촉진 및 왕성한 생육을 도모하여 생산성 향상 및 품질개선으로 농업인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무빙베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육묘장 일측에만 관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육묘장 바닥에 잉여관수로 인해 발생되는 질퍽한 환경 조성을 방지하여 병충해의 온상인 이끼 발생을 억제시킴으로써, 육묘과정의 병충해 발생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이송레일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스태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관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야냉실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과채류(果菜類)라 함은 수박, 호박, 오이 등이 속하는 박과류와 토마토, 가지, 고추 등이 속하는 가지과류를 의미한다.
야냉묘란, 접목용 대목을 일정시간 인위적으로 저온 스트레스를 가하는 야냉(硬化) 처리할 경우, 보통의 줄기보다 길고 연약하게 자라는 도장(徒長)이 방지되어 육묘의 줄기는 굵고 짧게되고 뿌리는 하향으로 발달되며, 접목과정 중 발생하는 육묘의 절단면이 넓어지도록 하여 접목 후 수관연결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활착되는 확률을 높이고, 화아분화(花芽分化) 촉진 및 왕성한 생육을 통해 열매 수확량이 증가하는 우수한 품질의 접목묘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야냉 처리는 종자를 심는 파종단계, 식물의 싹을 생장시키는 발아단계, 1차 생육단계, 두 가지 식물체를 유착시키는 접목단계, 접수(*?*穗, scion)와 대목(臺木, stock)이 붙는 활착단계, 2차 생육단계, 출하단계 등의 7단계 이상의 공정을 거치는데, 약 20일간 이루어지는 1차 생육기간 중, 마지막 5일간을 야냉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이송레일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은 무빙베드(20), 이송레일부(100), 방향전환부(200), 스태커(400), 관수장치(300), 야냉실(500)을 포함한다.
먼저 무빙베드(20)는, 복수개의 육묘가 파종된 트레이(10)를 복수개 안착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면이 평탄한 직사각형의 통기성과 배수성이 양호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빙베드(20)은 하부에 격자무늬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통기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빙베드(2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트레이(10)를 18장 안착 적재시키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태나 상기 트레이(10)의 적재 수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빙베드(20)와 상기 트레이(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무빙베드(20)는 상면을 형성하는 평탄한 면에 복수개의 상기 트레이(10)가 안착되는데, 동일한 공정이 필요한 상기 트레이(10)들을 상기 무빙베드(20)에 적재시킴으로서 개별 육묘들이 집체화되어 공정처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육묘 생력화와 품질균일화를 제공한다.
육묘는 파종, 발아 생육, 접목, 활착, 냉기공급 등 출하까지 다양한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육묘에 필요한 공정에 상기 무빙베드(20)는 물류의 집체화를 통해 작업 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빙베드(20)는 상기 트레이(10)의 외곽에 대응하는 안착홈(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10)가 이송중에도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베드(20)는 상기 트레이(10)에 안착 적재된 육묘의 종류에 따라 품종, 파종일자, 발주자, 출하예정일, 관수량, 관수시기 등 고유정보를 가지는 태그가 부착설치되어 후술할 관수 및 야냉 공정에서 자동으로 육묘의 정보를 취득하여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레일부(100)은 상기 육묘장(1000)의 종방향, 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레일부(100)는 지지체(110), 이송레일(120), 이송롤러(130), 레일모터(1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송레일부(100)는 상기 육묘장(1000) 내부에 설치된 각 공정설비로 상기 무빙베드(20)를 자동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육묘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110)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112)가 구비되어, 상기 육묘장(1000)에 상기 이송레일부(100)를 설치할 경우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수평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110)에는 하부에 별도의 바퀴(112)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이동 및 시공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일(120)은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 적재 및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무빙베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120)은 상기 무빙베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 쌍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20)은 각각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직면(122)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이송레일(120)에서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상기 이송레일(120)의 수평면(12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상기 레일모터(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준다.
즉, 상기 이송롤러(130)는 상기 이송레일(120)에 안착된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이송롤러(13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무빙베드(20)를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30)는 상기 무빙베드(20)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주기 위해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한 돌(미도시) 또는 홈(미도시), 탄성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일모터(140)는 상기 이송롤러(13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레일모터(140)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모터(140)는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소음이 적으며 내구성이 높은 BLDC(Brushless DC electric motor)로 형성된다.
상기 무빙베드(20)은 상기 이송레일(120)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상기 무빙베드(20)에 탑재된 육묘가 미세기류(微細氣流)를 형성하여, 잎의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줄기쪽 물이 이동하여 빈공간을 채워주는 증산(蒸散)작용을 일으켜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육묘장(1000) 내부의 재배 환경(온, 습 광, 풍 CO₂등)은 위치별 편차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무빙베드(20)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무빙베드(20)에 균일한 환경값이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에 롤러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송레일부(100)에 이송롤러(130)를 형성되는 롤러리스(Roller-less)로 하여 후술할 스태커(400)에 수직배열 될 경우, 베드 하면에 형성된 롤러로 인해 발생하는 육묘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와,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인접 지점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20)를 횡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1전환레일(210), 제1리프트(230), 제2전환레일(220), 제2리프트(2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상에 이동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필요한 공정설비가 위치한 상기 육묘장(1000)의 구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육묘장(1000)의 공정을 자동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전환레일(210)은 상기 육묘장(100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가압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전환레일(210)은 제1수평면(211)과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면(212)이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무빙베드(20)가 제1전환레일(2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전환레일(210)은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고, 상기 제1수평면(211)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롤러(2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전환레일(210)은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에 배치되는 제1롤러(213)를 구비하여 상기 방향전환부(200)에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20)를 진행방향 또는 전환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롤러(213)는 상기 제1전환레일(210) 일측에 형성된 제1모터(21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모터(214)는 상기 제1롤러(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나 구동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터(214)는 BL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레일(220)은 상기 육묘장의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가압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2전환레일(220)은 제2수평면(221)과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면(222)이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무빙베드(20)가 제2전환레일(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2전환레일(220)은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고, 상기 제2수평면(221)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롤러(2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전환레일(220)은 상기 무빙베드(20) 배치되는 제2롤러(223)를 구비하여 상기 방향전환부(200)에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20)를 이송방향 또는 전환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2롤러(223)는 상기 제2전환레일(220) 일측에 형성된 제2모터(2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2모터(224)는 상기 제2롤러(223)에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나 구동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모터(224)는 BL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리프트(230) 및 제2리프트(240)는 상기 제1전환레일(210) 및 제2전환레일(2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환레일(210) 및 제2전환레일(220)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리프트(230) 및 제2리프트(240)는 각각 리프트하부(231, 241), 리프트상부(232, 242), 제1승강대(233, 243), 제2승강대(234, 244), 스크류바(235, 245), 스크류모터(236, 246)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하부(231, 241)는, 상기 제1 및 제2리프트(230, 24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향전환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하부(231, 241)는 하면에 별도의 바퀴(231a, 241a)가 부착되어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상부(232, 242)는 각각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직면(232a, 242a)이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2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방향전환부(200)에서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트상부(232,242)의 수평면(232b, 242b)에는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주기 위한 제1 및 제2롤러(232c, 242c)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롤러(232c, 242c)는 상기 리프트상부(232, 242)의 수평면(232b, 242b)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롤러(232c, 242c)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리프트모터(232d, 242d)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준다.
상기 리프트모터(232d, 242d)는 제1 및 제2롤러(232c, 242c)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모터(232d, 242d)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모터(232d, 242d)는 BLDC(Brushless DC electric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대(233, 243) 및 제2승강대(234, 244)는 일측이 상기 리프트상부(232, 242)에 각각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리프트하부(231, 241)에 결합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대(233, 243, 234, 244)는 각각 교차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승강대(233, 243, 234, 244)는 각각 교차되게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1승강대의 힌지결합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승강대홈(233h, 243h)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승강대(233, 243, 234, 244)의 힌지부분이 슬라이딩되며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프트상부(232, 242)에는 상기 제1승강대 및 제2승강대(233, 243, 234, 244)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홈(232h, 242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대 및 제2승강대(233, 243, 234, 244)는 상기 리프트홈(232h, 242h)에 결합되는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전환장치에 가해지는 상기 무빙베드(20)의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바(235, 245)는 원통형의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제1승강대(233, 243)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승강대(234, 244)의 상부에 나합된다.
상기 스크류바(235, 245)는 상기 스크류모터(236, 246)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함으로써 상기 제1승강대(233, 243)와 상기 제2승강대(234, 244)의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리프트홈(232h, 242h)을 따라 상기 제1승강대(233, 243) 및 제2승강대(234, 244)가 슬라이딩하며 상기 제1 및 제2리프트(230, 24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크류바(235, 245)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승강대(233, 243)와 제2승강대(234, 244)의 상부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전환레일(210, 220)가 승하강되며 상기 방향전환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제1전환레일(21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 전환 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1리프트(230)가 소정의 높이방향 만큼 하강하여 상기 무빙베드(20)의 이동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제2리프트(240)가 상기 제2전환레일(220)을 상기 이송레일(1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승시킨다. 이후, 상기 제2전환레일(220)의 제2롤러(242c)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전환레일(22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을 전환 시킬 경우,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2리프트(240)가 소정의 높이방향만큼 하강하고 상기 제1리프트(230)가 승강하여 상기 제1전환레일(210)의 높이가 상기 이송레일(120)의 높이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이후, 상기 제1전환레일(210)의 제1롤러(232c)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레일(210, 220)이 승하강되게 형성됨으로써, 종래 기술인 턴테이블 방향전환 방법과 비교하여 별도의 회전반경 없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무빙베드(20)에 부착설치된 태그 정보를 전송받아, 메인서버에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무빙베드에 적합한 공정이 진행되는 작업공간으로 이송방향을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육묘장(1000) 내에 형성되며, 무빙베드(20)가 지나가는 이송레일(12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수장치(300)로 이송되는 상기 무빙베드(20)에 관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310), 프레임(320), 배관(미도시), 분사호스(330), 왕복운동장치(34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관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관수장치(30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무빙베드(20)에 파종된 육묘에 대해 관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프레임(320)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가 이송되는 이송레일부(100)보다 높이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 상측으로 두상관수(頭上灌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관(미도시)은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관수장치(3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수장치(300)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관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상기 프레임(3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외면이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호스(330)는 상기 무빙베드(20)에 관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호스(330)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유동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상으로 형성되며,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332)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호스(330)는 상기 지지대(310)의 외주에 복수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섯 개의 분사호스(330-1, 330-2, 330-3, 330-4, 330-5)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호스(330)는 상기 지지대(310)의 반원형상의 외면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무빙베드(20)에 관수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332)은 상기 분사호스(330)의 내주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호스(330)의 내외부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33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사호스(330)에 유동되는 물이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332)은 개폐제어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320-1, 320-2, 320-3, 320-4, 320-5)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수장치(300)에 토출되는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베드(20)에 파종된 육묘의 크기를 대묘, 중묘, 소묘로 구분할 경우, 상기 분사호스(330-1, 330-2, 330-3, 330-4, 330-5)에 형성된 분사노즐(322-1, 322-2, 322-3, 322-4, 322-5)을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상기 육묘에 적합한 관수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빙베드(20)에 파종된 육묘가 대묘인 경우, 제1분사호스(330-1), 제2분사호스(330-2), 제3분사호스(330-3), 제4분사호스(330-4), 제5분사호스(330-5)에 형성된 상기 분사노즐(332-1, 332-2, 332-3, 332-4, 332-5)이 개방되고, 중묘의 경우 상기 제1분사호스(330-1), 상기 제3분사호스(330-3), 상기 제5분사호스(330-5)에 형성된 상기 분사노즐(332-1, 332-3, 332-5)이 개방되고, 소묘의 경우 상기 제2분사호스(330-2), 제4분사호스(330-4)에 형성된 상기 분사노즐(332-2, 332-4이 개방되어 육묘의 크기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분사호스(332)와 인접한 분사호스(332) 사이에 형성되는 판상의 날개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재(350)는 상기 분사부(330)의 왕복 운동 시 외방으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분사호스(330)의 길이방향에 대응한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10)가 상기 왕복운동장치(340)에 의해 왕복운동될 경우, 상기 날개부재(350)가 원심력에 의해 외방으로 기류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재(350)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상기 무빙베드(20)에 파종된 육묘의 무성한 잎이 우산역할을 하여 뿌리측에 충분한 관수되지 못하게 하는 우산효과를 해소시켜 줌으로써 육묘의 줄기가 굽어지게 하여 뿌리측까지 원활하게 관수 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다.
종래의 경우, 육묘의 잎, 줄기, 뿌리순으로 육묘의 상단에서 관수되는 방법인 두상관수방법으로 관수되게 되는데, 잎이 무성한 육묘의 경우 잎부분에서 물의 흘러내림을 방해하여 뿌리측까지 충분히 관수되지 않으며, 뿌리측 까지 충분히 관수되게 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물을 추가로 관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날개부재(350)로 인해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육묘의 잎측 및 줄기측이 굽어짐으로써, 기울어진 틈새로 관수되는 살수가 뿌리측으로 파고들어 관수사각지대(死角地帶)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장치(340)는 상기 지지대(3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사호스(330)에 형성된 상기 분사노즐(332)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외방으로 관수되도록 한다.
상기 왕복운동장치(34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10)와 결합되어 왕복운동 시키는 다양한 장치로 구비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정리하면, 종래에는 육묘장 내에 육묘트레이를 따라 관수장치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경우 육묘장 내부 바닥에 질퍽한 환경을 조성하여, 육묘 기간 내에 병충해 발생의 온상이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 일측에만 상기 관수장치(300)를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에 따라 관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육묘장(1000) 바닥에 흘러내린 잉여수로 인한 습한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끼를 감소시키고, 육묘의 병충해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날개부재(350)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상기 무빙베드(20)에 필요한 양만 관수할 수 있음으로써,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잉여수로 인한 이끼 발생 및 잉여수로 인한 질퍽한 바닥환경 조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스태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묘장(1000)에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레일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무빙베드(20)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수용하되, 상기 무빙베드(20)를 승하강 가능하게 적재하여 상기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스태커(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400)는 베이스프레임(410), 포스트(420), 적재부(430), 와이어(441), 결속와이어(442), 윈치드럼(443), 제1도르래(444), 제2도르래(445)로 형성된 구동부(440),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태커(400)는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수용하고, 상기 무빙베드(20)를 자동으로 반입 및 반출한다.
예컨데, 상기 무빙베드(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야냉공정 시 야냉공정을 위해 냉기가 공급되는 폐쇄 공간인 야냉실(50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야냉실(500)은 냉기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므로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태커(400)는 상기 무빙베드(20)를 복수개 수직배열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상기 야냉실(500)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야냉실(500)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은, 상기 스태커(4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태커(4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한 바퀴(4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태커(4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420)는 상기 적재부(430)를 지지 및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20)가 반입 및 반출되는 방향의 좌우로 짝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420)는 상기 적재부(430)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포스트가이드(421)를 구비하여, 상기 적재부(430)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포스트가이드(421)는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부(430) 외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포스트롤러(422)를 구비하여 상기 적재부(430)의 승하강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430)는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 적재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가이드(4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4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부(430)는 제1적재부(430-1), 제2적재부(430-2), 제3적재부(430-3), 제4적재부(430-4), 제5적재부(430-5)로 복수개 형성되어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부(430)는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적재부절곡부(431)를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20) 적재 시 무빙베드(20)의 반입 및 반출 방향을 가이드하고, 복수개의 적재부(430)를 구비할 경우 상기 적재부(430)에 인접한 적재부(43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430)는 상기 무빙베드(20)가 안착되는 안착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재롤러(432)가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스태커(400)에서 상기 무빙베드(20)를 반입 및 반출시킨다.
상기 적재롤러(432)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재모터(433)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적재모터(433)는 상기 적재롤러(43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모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음이 적으며 내구성이 높은 BLDC(Brushless DC electric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적재부(430)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441), 결속와이어(442), 윈치드럼(443), 제1도르래(444), 제2도르래(445)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441)는 상기 윈치드럼(443)과 상기 제1적재부(430-1)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윈치드럼(43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적재부(430-1)를 승하강 동작시킨다.
즉, 상기 윈치드럼(443)은 상기 와이어(441)를 권취하여 감거나 품으로써 상기 제1적재부(430-1)를 승하강 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도르래(444)는 상기 와이어(44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로서, 상기 포스트(42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도르래(445)는 상기 제1도르래(444)와 상기 윈치드럼(443) 사이에 형성되는 움직도르래로서, 상기 윈치드럼(443)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도르래(44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태커(400)에 적재된 상기 무빙베드(20)의 하중이 절반으로 줄어듦으로써 상기 윈치드럼(443)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여 상기 윈치드럼(433)을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 내지 제5적재부(430-2, 430-3, 430-4, 430-5)는 상기 포스트가이드(4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적재부(430-1)의 하단에 다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속와이어(442)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태커(400)는 상기 무빙베드(20)가 적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5적재부(430-1, 430-2, 430-3, 430-4, 430-5)는 하강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상기 제1적재부(430-1)의 높이는, 상기 이송레일(120)로부터 상기 무빙베드(20)가 이송되는 높이(H)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스태커(400) 내부로 반입되어 상기 제1적재부(430-1)에 배치되면, 상기 제1적재부(430-1)의 적재롤러(432)가 동작하여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무빙베드(20)를 순차적으로 적재시킨다.
상기 제1적재부(430-1)에 복수개의 상기 무빙베드(20)가 적재되면, 상기 제1적재부(430-1)는 상기 윈치드럼(44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441)에 의해 상기 결속와이어(442)의 길이만큼 상승하고, 상기 제2적재부(430-2)가 상기 이송레일(120)의 높이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2적재부(430-2)가 상술한 과정에 따라 적재되면 제3 내지 제5적재부(430-3, 430-4, 430-5)에 상기 무빙베드(20)가 다층으로 적재되어, 상기 제5적재부(430-5)가 상기 이송레일(120)의 높이(H)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스태커(400)는 복수개의 적재부(430)와 상기 와이어(441), 결속와이어(442), 윈치드럼(44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송레일부(100)로부터 상기 무빙베드(20)를 자동으로 공급 받아 다단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태커(400)에서 상기 무빙베드(20)를 반출할 경우, 상기 이송레일(120)에 대응하는 높이(H)에 형성된 상기 제5적재부(430-5)의 상기 적재롤러(432-5)가 상기 무빙베드(20)를 밀어줌으로써 반출되고, 상기 제5적재부(430-5)에 적재된 상기 무빙베드(20)가 반출되고 나면, 상기 윈치드럼(443)에 의해 상기 와이어(441)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5적재부(430-1, 430-2, 430-3, 430-4, 430-5)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4적재부(430-4)가 상기 이송레일(120)의 높이 방향에 대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적재부(430-1)에 적재된 상기 무빙베드(20)가 모두 반출되면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태커(400)는 상기 구동부(440)와 상기 적재부(430)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스태커(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태커(40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무빙베드(20)를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접근센서모듈(451), 적재센서모듈(452), 제어모듈(45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50)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스태커(400)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합 위치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접근센서모듈(451)는, 상기 스태커(400)로 반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접근을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작업대 또는 상기 레일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빙베드(20)가 이송되어 상기 스태커(400)로 접근하게되면 접근 유무를 파악한다.
상기 접근센서모듈(451)는, 비전센서, 접근센서 등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구비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근센서모듈(451)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어 방사된 적외선의 반사를 검출하여 의해 상기 무빙베드(20)의 접근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적재센서모듈(452)는, 상기 스태커(400)로 반입된 상기 무빙베드(20)의 적재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적재센서모듈(452)는, 상기 스태커(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력센서, 접촉센서, 로드셀 등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안착되는 지점에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안착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적재부(430)에 여섯 개의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 적재시킬경우, 각 상기 무빙베드(20)가 배치되는 각 지점에 상기 적재센서모듈(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453)은, 상기 접근센서모듈(451)와 적재센서모듈(452)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구동부(440)와 적재부(43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다.
상기 제어모듈(453)는 상기 접근센서모듈(451), 적재센서모듈(452)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무빙베드(20)의 접근여부와 적재여부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스태커(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모듈(453)은 상기 스태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스태커(400)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스태커(400)의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접근센서모듈(451)와 상기 적재센서모듈(452)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태커(10)의 상태를 판단한다.
예컨데,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적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무빙베드(20)를 적재 해야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53)은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적재된 경우, 상기 무빙베드(20)를 더 이상 적재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453)은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 적재 여부에 따라, 상기 적재부(430)를 승강 또는 하강해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모듈(453)은 판별된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440)와 적재부(43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적재센서모듈(452)로부터 상기 스태커(40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경우, 상기 무빙베드(20)가 접근하게 되면 상기 접근센서모듈(451)에서 상기 무빙베드(20)의 접근을 파악하고 상기 무빙베드(20)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적재부(430-1)의 상기 적재롤러(432)가 회전하여 상기 무빙베드(20)를 수용한다.
복수개의 상기 무빙베드(20)가 수용되면, 상기 적재센서모듈(452)에서 적재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1적재부(430-1)에 수용 가능한 상기 무빙베드(20)가 모두 안착되면 상기 적재센서모듈(452)에서 적재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모듈(453)에서 상기 제1적재부(450-1)에 적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윈치드럼(443)를 동작시켜 상기 제1적재부(430-1)를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송레일부(100)로부터 상기 무빙베드(20)가 이송되면, 상기 스태커(400)의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구동부(440)와 상기 적재부(43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태커(400)는 수평배열된 상기 무빙베드(20)를 자동으로 반입하여 수직배열로 다단 적재하였다가, 다시 수평배열로 전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사용하면서 상기 무빙베드(20)에 동일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태커(400)는 육묘에 냉기를 공급하는 야냉공정을 진행할 경우, 야간에는 수평배열 된 상기 무빙베드(20)를 공급받아 상기 야냉실(500) 내부에 수직배열 다단 적재시키며, 주간에는 상기 스태커(400)에 수직배열된 상기 무빙베드(20)를 상온의 생육환경으로 수평배열로 전환되게 반출한다.
즉, 상기 야냉실(500)은 냉기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므로 야냉실 면적을 최소화 해야하는데, 상기 스태커(400)를 통해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야냉실(500)에 수직배열로 자동으로 다단 수용 및 반출됨으로써, 상기 야냉실(50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 및 시공비용을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야냉실(500)은 상기 육묘장(10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태커(400)에 적재된 상기 무빙베드(20)에 냉기를 가한다.
상기 야냉실(500)은 외부로 누출되는 양이 최소화 되도록, 챔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태커를 수용하여 상기 스태커(400)에 적재된 상기 무빙베드(20)에 파종된 육묘에 냉기를 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육묘는 상기 야냉실(500)에서 일정시간 동안 냉기를 받음으로써 상기 육묘의 줄기가 웃자람이 없어지고 줄기의 길이가 짧아지고 굵어지며 뿌리측이 하향으로 발달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냉묘 생산을 위한 육묘장의 공정 설비 시스템의 야냉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야냉실은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기(510),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기(52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야냉실(500) 좌우측에 각각 쌍을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량 및 결합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방기(510)은 상기 야냉실(5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야냉실(500)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야냉실(500)의 냉기 순환을 위해 상기 야냉실(500) 하부의 냉기를 흡기하여 상기 야냉실(500) 상부로 배출한다.
즉, 상기 순환기(520)에서 흡기된 상기 야냉실(500) 하부의 냉기는 상기 야냉실(500)의 상부로 분사 대류현상에 의해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야냉실(500) 상하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야냉실(500)의 온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야냉실(500) 하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521),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관(522), 상기 토출관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흡입관(52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관(522)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5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흡입관(521)은 상기 순환기(520)의 하부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관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521)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관으로 형성되되, 단면이‘入’자로 형성되어 상기 야냉실(500) 하부에 보다 넓은 범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관(521)은 외면에 다수개의 타공된 흡입홀(524)을 더 포함하여 공기의 흡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관(522)은 상기 흡입관(521)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토출팬(523)으로 인해 상기 흡입관(52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연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관(522)은 일측은 상기 토출관(522)과 결합되고 타측은 개방되되,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가 상기 야냉실(500) 상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냉방기(510)에서 분사된 냉기는 상기 야냉실(500)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로 이동한 냉기는 상기 순환기(520)에 의해 다시 상기 야냉실(500)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야냉실(500)의 상하부의 냉기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야냉실(500)의 좌우측에 짝을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상기 야냉실(500)의 좌우측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육묘장
10: 트레이
20: 무빙베드
100: 이송레일부
110: 지지체
112: 바퀴
120: 이송레일
121: 수평면
122: 수직면
130: 이송롤러
140: 레일모터
200: 방향전환부
210: 제1전환레일
211: 제1수평면
212: 제1수직면
213: 제1롤러
214: 제1모터
220: 제2전환레일
221: 제2수평면
222: 제2수직면
223: 제2롤러
224: 제2모터
230: 제1리프트
231, 241: 리프트하부
232, 242: 리프트 상부
233, 242: 제1승강대
234, 244: 제2승바대
245, 245: 스크류바
236, 246: 스크류모터
240: 제2리프트
300: 관수장치
310: 지지대
320: 프레임
330: 분사호스
332: 분사노즐
340: 왕복운동장치
350: 날개부재
400: 스태커
410: 베이스프레임
420: 포스트
430: 적재부
441: 와이어
442: 결속와이어
443: 윈치드럼
444: 제1도르래
445: 제2도르래
450: 제어부
500: 야냉실
510: 냉방기
520: 순환기

Claims (10)

  1.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파종된 트레이를 안착 적재시키는 무빙베드(20);
    상기 육묘장(1000)의 내에 상기 육묘장(10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베드(20)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100); 및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송레일부(1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베드(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200);를 포함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부(100)는,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측에 형성되되,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의 각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의 하면을 가압지지하는 이송롤러(130)와,
    상기 이송롤러(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밀어주기 위해 상기 이송롤러(13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레일모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육묘장(100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가압지지하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는 제1롤러(213)가 구비된 제1전환레일(210)과,
    상기 제1전환레일(2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환레일(21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1리프트(230)와,
    상기 육묘장(10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안착시키되 상기 무빙베드(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무빙베드 하면을 가압지지하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20) 하면을 밀어주는 제2롤러(223)가 구비된 제2전환레일(220)과,
    상기 제2전환레일(220)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전환레일(2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2리프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장의 무빙베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200)는,
    상기 제1전환레일(21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 전환 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1리프트(230)가 하강하고 상기 제2리프트(240)가 상승하며 상기 제2전환레일(220)의 제2롤러(223)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전환레일(220)로 유입되는 상기 무빙베드(20)의 방향 전환 시 상기 무빙베드(20)가 상기 방향전환부(200)로 유입되면 상기 제2리프트(240)가 하강하고 상기 제1리프트(230)가 상승하며 상기 제1전환레일(210)의 제1롤러(213)가 구동되어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무빙베드(20)에 적재된 육묘에 물을 분사하는 관수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장치(300)는,
    상기 관수장치(3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수장치(3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320)과,
    상기 프레임(3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이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310)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배관과,
    상기 지지대(31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무빙베드(20)에 분사시키되, 상기 관수장치(300)로 접근한 무빙베드(20)의 육묘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분사노즐(322)이 구비된 복수개의 분사호스(330)와,
    상기 지지대(3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장치(340)와,
    상기 분사호스(330)와 인접한 분사호스(3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20)에 적재된 육묘의 뿌리측까지 관수가 되도록, 상기 지지대(310)가 왕복 운동 시 외방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날개부재(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레일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무빙베드(20)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수용하되, 상기 무빙베드(20) 수용 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수용하는 스태커(Stacker)(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400)는,
    상기 스태커(400) 하부를 형성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4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는 포스트(4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42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적재된 무빙배드(20)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적재롤러(432)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430)와,
    상기 적재부(430) 일측에 결합되는 와이어(441)를 권취하여 상기 적재부(430)에 적재되는 상기 무빙베드(20)를 다단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적재부(430)를 승하강시키는 윈치드럼(443)을 포함하여 상기 무빙베드가 상기 스태커(400)로 접근하면 상기 적재롤러(432)에 의해 유입되고 상기 적재부(430)에 상기 무빙베드(20)가 배치되면, 상기 윈치드럼(443)이 상기 적재부(430)를 승강시키되, 상기 적재부(43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재부(430)가 상승하여 상기 무빙베드(20)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이송레일부(100)에 대응하는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장(100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야냉실(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야냉실(500)은,
    상기 야냉실(5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야냉실(500)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야냉실(500) 상부로 분사하는 순환기(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520)는,
    상기 순환기(520) 하부를 형성하며, 하측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야냉실(500)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원통형의 관상으로 형성된 흡입관(521)과,
    상기 흡입관(521)의 외면에 내외부가 관통되게 타공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입홀(524)과,
    일측은 상기 흡입관(521)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야냉실(5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게 굴절되며, 내부가 연통되는 원통형의 관상으로 형성된 토출관(522)과,
    상기 토출관(522)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52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KR1020210142506A 2021-10-25 2021-10-25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KR20230058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06A KR20230058827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06A KR20230058827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27A true KR20230058827A (ko) 2023-05-03

Family

ID=8638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06A KR20230058827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88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546A (ko) 1994-10-28 1996-05-22 이헌조 엠피이지(mpeg) 영상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546A (ko) 1994-10-28 1996-05-22 이헌조 엠피이지(mpeg) 영상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7376B2 (ja) 完全自動多段苗育成システム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KR102642440B1 (ko) 수직 농장을 관리하기 위한 자동 모듈식 시스템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US10765074B2 (en) Cultivation system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JP2018527023A (ja) 高密度園芸栽培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2055868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US5943818A (en) System for propagation of plants
KR20170057685A (ko) 수경재배장치
JPH07111828A (ja) 植物の立体栽培装置
KR102283841B1 (ko) 식물 자동 재배시스템
JP2516523B2 (ja) 植物の育成方法と装置
KR20230058827A (ko) 과채류 육묘장에서 야냉묘 생산을 위한 무빙베드 시스템
KR101423992B1 (ko) 수경재배판 및 이를 적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JPH01235524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
CN111328698B (zh) 一种芽苗菜的工厂化生产方法
EP1448046A1 (en) Cultivation system for crops
KR20230034377A (ko) 장줄기 채소 식물의 재배용 장치, 관련 방법 및 용도
JPH01235525A (ja) 水耕栽培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使用する栽培ベッドおよび栽培ポット
KR101161159B1 (ko) 건물 농장 시스템
JP2021097641A (ja) 育苗機
KR20200022081A (ko)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KR20230058880A (ko)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KR20230068205A (ko) 야냉육묘장의 야냉실 내부에 설치되는 무빙베드 다단 적재 스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