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80A -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80A
KR20230058880A KR1020210142638A KR20210142638A KR20230058880A KR 20230058880 A KR20230058880 A KR 20230058880A KR 1020210142638 A KR1020210142638 A KR 1020210142638A KR 20210142638 A KR20210142638 A KR 20210142638A KR 20230058880 A KR20230058880 A KR 2023005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ed
rail
nursery
transver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주)헬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퍼로보텍 filed Critical (주)헬퍼로보텍
Priority to KR102021014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880A/ko
Publication of KR2023005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가 파종된 복수개의 묘판이 적재된 무빙베드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육묘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육묘장의 생산성 향상 및 생력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시스템 방향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횡 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파종된 복수개의 트레이(10)가 안착되도록 적재시키는 무빙베드(100); 상기 육묘장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제1레일부(200); 상기 육묘장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100)가 슬라이딩하는 제2레일부(300); 및 상기 제1레일부(200) 및 제2레일부(300)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200)와 제2레일부(3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레일(420)을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100)의 저면과 결합 또는 분리 되는 방향전환부(400)를 포함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횡 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The rail system for moving bed going length and width side of green house at fruit vegetable nursery plant}
본 발명은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가 파종된 복수개의 묘판이 적재된 무빙베드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육묘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육묘장의 생산성 향상 및 생력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시스템 방향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육묘란 일정기간 동안 길러 묘를 키우는 작업 일컫는 말이며, 육묘를 활용할 경우 품질이 우수한 우량묘만 골라 심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영농기간을 단축하여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육묘의 생력화, 효율화, 안정화를 목적으로 상토 제조 및 충전, 파종, 관수, 시비, 환경관리 등 제반 육묘작업을 체계화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규격화된 묘를 연중 계획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과채류(果菜類)라 함은 수박, 호박, 오이 등이 속하는 박과류와 토마토, 가지, 고추 등이 속하는 가지과류로 구분하는데, 이러한 과채류는 영농기간 단축과 개인보다 더 나은 품질의 우량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문 육묘장에서 육묘 된 것을 구입해서 옮겨심는 방식으로 영농을 한다.
토마토 묘를 예로 들면, 종자를 심는 파종단계, 식물의 싹을 틔우는 발아단계, 1차 생육단계, 두 가지 식물체를 유착시키는 접목단계, 접수(接穗, scion)와 대목(臺木, stock)이 붙는 활착단계, 2차 생육단계, 출하단계 등의 7단계 이상의 공정을 거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치는 육묘는, 육묘장 내에서 자연적 환경이 아닌 육묘장 내에서 설정된 온도, 습도, 광량, 통기, 관수량 즉, 인공적인 환경값에 기반하여 성장하므로 각각의 육묘에 균일한 환경값이 적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관리 인력이 묘판의 위치를 옮겨주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묘들에 대한 생육환경의 편차를 줄여 균일한 환경값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묘판을 낱장 단위로 취급해야 하다보니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되어 육묘의 생산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997-0009280호는 공정 육묘 공장내에서 육묘 베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이동라인과 이동에 필요한 장치를 포함하는 공정 육묘공장의 재배작물 이동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종래기술은 육묘장 내 공간적 제한으로 인한 묘판의 이송방향의 전환이 요구될 경우, 묘판의 선회를 위한 충분한 회전반경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7-0009280호(1996.01.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육묘 트레이를 무빙베드에 탑재하여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이동 시 미세기류(微細氣流)를 형성하여 생장을 촉진시킬수 있으며, 개별물류를 집체화하여 이송시킴으로 써, 육묘장 내 재배환경(온, 습, 광, 풍, CO₂ 등) 환경값이 개별 육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육환경 편차를 줄여 균일묘를 생산할 수 있고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회전반경 없이 무빙베드 이송과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육묘장 내의 작업인력을 최소화하여 육묘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하는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육묘가 파종된 복수개의 트레이(20)가 안착되도록 적재시키는 무빙베드(100);상기 육묘장(10)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제1레일부(200); 상기 육묘장(10)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100)가 슬라이딩하는 제2레일부(300); 및 상기 제1레일부(200) 및 제2레일부(300)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200)와 제2레일부(3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레일(420)을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100)의 저면과 결합 또는 분리 되는 방향전환부(400)를 포함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11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무빙베드(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판재(120)와, 상기 상부판재(120)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1레일(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외곽프레임(110)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하부지지대(13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를 슬라이딩 하는 무빙베드롤러(140)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무빙베드레일(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120)는 상기 상부판재(120)의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육묘장(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온설비 가동 시 상기 무빙베드(100) 하면으로 유입되는 온기의 유입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무빙베드(100)에 관수 시 잉여관수를 하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상기 하부지지대(130)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일(200)에 안착 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100) 이송 시 상기 무빙베드(100)의 궤도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롤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무빙베드(100)가 슬라이딩 되는 승하강레일(420)과, 상기 제2레일부(300)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횡방향롤러(432)가 구비된 횡방향레일(430)과,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440)를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승강 시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횡방향레일(430)에 결합시키고,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하강 시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횡방향레일(430)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방향전환부(40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을 검출하는 종방향센서(450)와, 상기 방향전환부(40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레일부(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을 검출하는 횡방향센서(460)와, 상기 종방향센서(45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 검출 시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하강시키고, 상기 횡방향센서(46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 진입 검출 시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상승시키는 제어부(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육묘트레이를 무빙베드에 탑재하여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이동 시 미세기류(微細氣流)를 형성하여 야냉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개별물류를 집체화하여 이송시킴으로 써, 육묘장 내 재배환경(온, 습, 광, 풍,CO₂, 등) 환경값이 개별 육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육환경 편차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빙베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인력에 의존하던 육묘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향상 및 품질개선으로 농업인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편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의 무빙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의 무빙베드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의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의 방향전환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 방향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편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 방향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의 무빙베드롤러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의 이탈방지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베드 레일 시스템은 육묘장에 설치되어 육묘가 파종된 육묘트레이(10)가 안착되도록 적층된 무빙베드(100)를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무빙베드(100), 제1레일부(200), 제2레일부(300), 방향전환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육묘장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육묘가 파종된 트레이(10)를 적재시키기 위해 형성되는데, 상기 트레이(10)를 상기 무빙베드(100)에 적재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10) 개별 물류들이 집체화되어 육묘공정처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베드(100)는, 외곽프레임(110), 상부판재(120), 하부지지대(130), 무빙베드롤러(140), 무빙베드레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상기 무빙베드(10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금속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재(12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내부에 대응하는 판상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곽프레이(110)에 안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판재(110)은 상기 무빙베드(100)의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재(11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상하면이 관통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육묘장 내의 가온설비 가동 시 상기 무빙베드 하면으로 유입되는 온기의 유입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무빙베드(100)에 적재된 육묘가 파종된 상기 트레이(10)에 관수처리 시 잉여관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구조를 보강하고,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외곽프레임(110)을 상기 제1레일부(200)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상기 상부판재(1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재(120)를 지지하여 상기 무빙베드(100)의 구조를 보강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하부는 상기 무빙베드롤러(14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무빙베드롤러(140)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내부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무빙베드롤러(140)가 상기 함입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을 슬라이딩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레일부(200)의 궤도를 회전가능하게 슬라이딩 하는 바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무빙베드(100)에 설치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에 의해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을 따라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상기 무빙베드레일(150) 보다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10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의 상면을 상기 무빙베드롤러(140)가 회전하며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은 상기 제1레일부(2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하부지지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된 이탈방지롤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롤러(142)는 한 쌍의 롤러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롤러(142)는 이격된 한 쌍의 롤러가 상기 제1레일부(200)에 안착되어 회전하되, 상기 제1레일부(2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가압하여 움켜쥐듯 구름동작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제1레일(200)을 이동할 때 궤도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은 상기 제2레일부(30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2레일부(300)의 폭방향 너비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은 후술할 종방향롤러(322)에 안착되어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무빙베드(100)가 이송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레일부(200)는 상기 육묘장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육묘장의 종방향으로 상기 무빙베드(100)를 가이드하며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1지지대(210), 제1레일(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210)는, 상기 제1레일부(200)의 하중 및 상기 제1레일부(200)에 안착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레일부(200)의 하부를 형성하어 상기 제1레일(220)을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압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210)은 하부에 높이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재(212)를 구비하여, 상기 제1레일부(200)의 수평도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1레일부(2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레일(220)은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된 레일으로써, 상기 무빙베드(100)가 이송되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궤도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220)은 상기 무빙베드롤러(140)가 설치된 폭방향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킨다.
즉,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제1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제1레일(220)의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레일부(300)는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크게 제2지지대(310), 제2레일(320), 종방향롤러(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대(310)는, 상기 제2레일부(3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레일부(300)의 하중 및 상기 제2레일부(300)에 안착되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2레일(320)을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가압지지한다.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된 레일으로써,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궤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이 안착되는 지점에 상기 횡방향롤러(3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횡방향롤러(322)는 상기 제2레일(320)의 일측에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롤러(322)에 안착된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을 슬라이딩시킨다.
즉,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무빙베드레일(150)과 상기 횡방향롤러(322)에 의해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무빙베드(100)은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상기 무빙베드(100)에 탑재된 육묘가 미세기류(微細氣流)를 형성하여, 잎의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줄기쪽 물이 이동하여 빈공간을 채워주는 증산(蒸散)작용을 일으켜 생력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육묘장 내부의 재배 환경(온, 습 광, 풍 CO₂등)은 위치별 편차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무빙베드(20)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무빙베드(20)에 균일한 환경값이 적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와 제2레일부(300)이 직교되게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와 제2레일부(300)가 연장되는 궤도를 형성되록하되, 상기 무빙베드(100)의 이송방향전환을 위해 구비된 것으로, 방향전환부지지대(410), 승하강레일(420), 횡방향레일(430), 승하강부(440), 종방향센서(450), 횡방향센서(460), 제어부(470)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전환부지지대(410)는,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향전환부(400) 및 상기 무빙베드(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기 승하강레일(420) 및 횡방향레일(430)을 가압지지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지지대(410)는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방향전환부높이조절부재(412)를 구비하여, 상기 방향전환부(400)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200, 300)의 수평도 및 높이조절, 시공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220)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되,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레일(420)은 상기 제1레일(220)과 연장되는 궤도를 형성하여 상기 방향전환부(400)로 상기 무빙베드(100)가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승하강부(440)에 의해 승하강 됨으로써, 상기 무빙베드와 결합 또는 분리한다.
상기 횡방향레일(430)은 상기 제2레일(320)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부(400)로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100)가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횡방향롤러(4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횡방향레일(430)은 상기 제2레일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400)로 유입된 상기 무빙베드(10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횡방향롤러(432)는 상기 횡방향레일(4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부(440)는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높이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승하강부지지대(441), 승하강부재(442), 고정장치(443), 승하강실린더(444)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부지지대(441)는 상기 승하강부재(442), 상기 승하강실린더(444)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승하강레일(42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방향전환부지지대(410)를 너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지지대(441)는 상기 방향전환부지지대(410)를 지지하여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구조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442)는 일측은 상기 승하강레일(4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하강실린더(444)에 결합된다.
상기 승하강부재(442)는 단부가 형성된 챔버 형상의 피스톤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상기 실린더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444)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차로 인해 승하강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나, 구동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하강 시키는 다양한 장치가 구비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승하강실린더(444)는 상기 승하강부재(442)는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하강 시키기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승하강부지지대(4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443)에 의해 고정된다.
정리하면, 상기 승하강부(440)는 상기 승하강부지지대(441)에 고정된 상기 승하강실린더(444)의 동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재(442)가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높이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방향센서(450)은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에서 이송되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이송유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방향센서(450)는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근접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슬라이딩하여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횡방향센서(460)은 상기 무빙베드(100)의 횡방향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횡방향센서(460)은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근접센서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베드(100)가 제2레일(320)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방향전환부로 진입되면,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 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종방향센서(450) 및 횡방향센서(460)은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촉센서,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일측에 형성된 압력센서, 위치센서 등 상기 무빙베드(100)와 상기 방향전환부(400)의 접근유무를 검출하는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70)은 상기 종방향센서(450) 및 상기 횡방향센서(460)으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하강부재(440)을 동작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재(440)을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높이방향으로 승하강 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종방향센서(450)에서 상기 제1레일(220)을 통해 진입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횡방향센서(460)에서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진입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강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베드(100)가 방향전환부(400)로 이송되면, 상기 무빙베드(100)에 설치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이 상기 승하강레일(42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된다.
이후,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방향전환부(400)로 완전히 이송되면 상기 종방향센서(45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470)에서 상기 승하강부재(44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하강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상기 승하강레일(420)과 이격되어 이탈되고,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이 상기 횡방향롤러(432)에 안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빙베드레일(150)이 횡방향롤러(432)에 안착되어 상기 무빙베드(10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돼서 이동되고,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방향전환부(400)로 진입하면 상기 횡방향센서(46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횡방향센서(46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접근여부가 검출되면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상승시시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이 상기 승하강레일(420)에 안착시켜 상기 제1레일(220)으로 이송되어 종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하강 시킴으로써 상기 무빙베드롤러(140)가 상기 승하강레일(42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제1레일부(200), 상기 제2레일(300), 상기 방향전환부(400)에 의해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어 육묘 이송을 원활하게하고, 별도의 회전반경없이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트레이
100: 무빙베드
110: 외곽프레임
120: 상부판재
130: 하부지지대
140: 무빙베드롤러
150:무빙베드레일
200: 제1레일부
300: 제2레일부
400: 방향전환부
420: 승하강레일
430: 횡방향레일
440: 승하강부재

Claims (6)

  1.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파종된 복수개의 트레이(10)가 안착되도록 적재시키는 무빙베드(100);
    상기 육묘장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빙베드(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제1레일부(200);
    상기 육묘장 내에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빙베드(100)가 슬라이딩하는 제2레일부(300);및
    상기 제1레일부(200) 및 제2레일부(300)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200)와 상기 제2레일부(300)가 직교되는 지점에 설치되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레일(420)을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100)의 저면과 결합 또는 분리 되는 방향전환부(400)를 포함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베드(100)는,
    상기 무빙베드(100)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11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무빙베드(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판재(120)와,
    상기 상부판재(120)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1레일(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외곽프레임(110)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하부지지대(13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를 슬라이딩 하는 무빙베드롤러(140)와,
    상기 제2레일부(30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무빙베드레일(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120)는,
    상기 상부판재(120)의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육묘장(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온설비 가동 시 상기 무빙베드(100) 하면으로 유입되는 온기의 유입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무빙베드(100)에 관수 시 잉여관수를 하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베드롤러(140)는,
    상기 하부지지대(130)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일(200)에 안착 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무빙베드(100) 이송 시 상기 무빙베드(100)의 궤도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롤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제1레일부(200)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무빙베드(100)가 슬라이딩 되는 승하강레일(420)과,
    상기 제2레일부(300)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무빙베드(100)가 상기 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횡방향롤러(432)가 구비된 횡방향레일(430)과,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440)를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승강 시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횡방향레일(430)에 결합시키고, 상기 승하강레일(420)이 하강 시 상기 무빙베드(100)를 상기 횡방향레일(430)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400)는,
    상기 방향전환부(40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을 검출하는 종방향센서(450)와,
    상기 방향전환부(40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레일부(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을 검출하는 횡방향센서(460)와,
    상기 종방향센서(45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의 진입 검출 시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하강시키고, 상기 횡방향센서(460)에서 상기 무빙베드(100) 진입 검출 시 상기 승하강부재(440)를 동작시켜 상기 승하강레일(420)을 상승시키는 제어부(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KR1020210142638A 2021-10-25 2021-10-25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KR20230058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38A KR20230058880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38A KR20230058880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80A true KR20230058880A (ko) 2023-05-03

Family

ID=8638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38A KR20230058880A (ko) 2021-10-25 2021-10-25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88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80A (ko) 1995-07-21 1997-02-24 이데이 노부유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80A (ko) 1995-07-21 1997-02-24 이데이 노부유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440B1 (ko) 수직 농장을 관리하기 위한 자동 모듈식 시스템
CN110139555B (zh) 用于在室内栽培植物的气候密封气候控制室
JP6617376B2 (ja) 完全自動多段苗育成システム
US2019013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ponic plant growth
JP2018527023A (ja) 高密度園芸栽培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170311560A1 (en) Hydroponic system
KR102049884B1 (ko)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운송 시스템을 갖추고 트레이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건물
CN105460626A (zh) 一种设施园艺花盆自动卸放装置和方法
US20200236865A1 (en) Structure for growing and moving agricultural products farms
KR102167684B1 (ko) 다단식 플로우팅 산소공급 식물공장 기계
KR20150015762A (ko) 승하강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CN103552820A (zh) 一种苗床穴盘育苗自动输送机器装置与方法
CN205567241U (zh) 一种可移动育苗床
KR20090088668A (ko) 트롤리컨베이어를 이용한 새싹재배장치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2001095404A (ja) 植物の自動化栽培方法及び自動化栽培装置
KR101029312B1 (ko) 분화재배 이동식 저면관수 베드장치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KR20230058880A (ko) 과채류 공정 육묘장에서 무빙베드의 이동을 위한 종방향 및 횡방향 전환 레일 시스템
CN111955238A (zh) 一种用于有机茶叶生产的设施农业设备与工艺
WO2007012313A1 (de) Anlage zum anbau von pflanzen
CN112911925A (zh) 用于浇灌植物的设备、系统和方法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KR20120131662A (ko) 다단식 이동 재배시스템용 반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