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747A -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747A
KR20230057747A KR1020210141892A KR20210141892A KR20230057747A KR 20230057747 A KR20230057747 A KR 20230057747A KR 1020210141892 A KR1020210141892 A KR 1020210141892A KR 20210141892 A KR20210141892 A KR 20210141892A KR 20230057747 A KR20230057747 A KR 2023005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aa
ischemic stroke
composition
fas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이민형
정성은
김민경
박성준
편선홍
이유종
김채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747A/ko
Priority to PCT/KR2022/016060 priority patent/WO2023068850A1/ko
Publication of KR2023005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존의 뇌졸중 치료제인 혈전 용해 약물과는 달리 실질적인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시킬 수 있는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인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전신성 투여 제형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stroke comprising Fas-blocking peptide}
본 발명은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주사 제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은 악성 종양, 심장 질환과 함께 인류 3대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특히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시대에 접어드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중요한 질환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뇌의 국소적인 부분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흔히 '중풍'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반신마비, 감각장애, 언어장애, 발음장애, 시력 및 시야장애, 복시, 두통, 어지럼증, 의식장애, 식물인간 상태 및 치매 등이 있다.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완전히 막히거나 심하게 좁아져 조직 내 혈류가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80~85%)과 출혈에 의해 뇌세포의 기능이 손상되는 증상인 출혈성 뇌졸중(15~20%)으로 나뉜다. 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률의 2위, 전 세계적 사망률의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뇌졸중에서 살아남은 환자도 약 50% 이상에서 여러 가지 장애가 남아 환자뿐 아니라 환자를 돌봐야 하는 사람들에게 사회적 부담을 주고 있다.
허혈성 뇌졸중이 출혈성 뇌졸중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으로 발병되며,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뇌혈관에 여러 가지 형태의 병리학적 이상이 발현하여 뇌의 일정한 부위에 뇌혈행장애를 일으켜 뇌기능이 떨어지거나 아니면 뇌가 궁극적으로 허혈성 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허혈(Ischemia)이란 신체기관, 조직 또는 부위로의 혈류 공급 감소 상태를 말하며, 궁극적으로 비가역적인 손상인 세포 및 조직의 괴사(necrosis)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뇌나 심장은 혈류 부족에 가장 민감한 신체 기관으로서, 예를 들어, 뇌졸중 또는 두부 손상 등으로 조직에 허혈이 발생하면 허혈폭포반응(ischemic cascade)이라고 불리는 과정들이 촉발되어 뇌 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다만, 그 주위 조직은 회복될 수 있는 반 음영 영역(Penumbra zone)이 있어서 이 부위가 의학적 치료의 대상이 된다.
전체 뇌졸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허혈성 뇌졸중은 급성기(7일 이내) 혹은 아급성기(4주 이내) 임상 경과에 따라 향후 환자의 예후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허혈성 뇌졸중에서 급성기 치료의 생리적 표적인 뇌-허혈반음영(ischemic penumbra)의 뇌조직이 다시 기능을 하도록 혈류를 재공급시키기 위해서 재개통치료가 수행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정맥제 투여방법으로는 증상발현 4.5시간 이내까지 또는 동맥 내 방법으로는 6시간 이내에 재개통이 되어야 환자의 예후를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도 뇌졸중 환자가 시간 내에 발견되어 적절한 응급실에서 재개통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은 극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급성기 환자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법은 너무도 절실하다.
미국특허 제2012-0245081호 (2012.09.27)
 Hasegawa et al, 2004. Fas-disabling small exocyclic peptide mimetics limit apoptosis by an unexpected mechanism. Proc Natl Acad Sci U.S.A 101:6599-6604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뇌 타겟팅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허혈성 뇌졸중에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정맥주사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1]
Lep-PEG-FBP
상기 식에서,
Lep은 렙틴 또는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33, 12-32, 15-32 또는 61-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이고,
PEG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FBP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전신성 투여 제형을 통해 부작용이 적고 간편성을 극대화시켜 다양한 뇌질환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뇌졸중 치료제인 혈전 용해 약물과는 달리 실질적인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시킬 수 있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뇌경색을 늦춰 생존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Leptin-PEG-FBP의 약물 합성 및 형광물질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유세포 분석을 통한 본 발명의 Leptin-PEG-FBP의 저산소 신경세포 모델에서의 세포사멸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RT-PCR을 통한 허혈성 뇌졸중 마우스 모델에서의 Fas 과발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광 혈전 유도 뇌졸중 모델링을 통한 장기 별 약물 전달 형광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leptin 수용체 결핍 마우스를 통한 약물 전달 형광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혈관내 중대뇌 동맥 폐쇄 모델링을 통한 장기 별 약물 전달 형광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형광 풀 스크리닝을 통한 약물 전달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물 약효 평가 실험 계획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를 이용한 뇌경색 부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Nissl 염색을 통한 신경조직 뇌 경색 크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H&E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변화 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TUNEL 염색을 통한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치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웨스턴 블랏을 통한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량 감소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Cleaved caspase-3 단백질 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허혈성 뇌졸중 발생시 세포는 산소의 결핍과 영양분의 공급 제한으로 세포 사멸의 신호를 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세포사멸 억제 기능을 가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 FBP)를 비강-뇌 전달을 통하여 허혈성 뇌졸중 치료가 가능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정맥주사로 FBP를 뇌에 전달하여 허혈성 뇌졸중을 치료하고자 뇌 시상에서 발현하는 Leptin 수용체에 결합 능력을 가진 leptin 펩타이드를 FBP-PEG에 결합시킨 후 정맥주사하고, 상기의 복합체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허혈이 발생한 부분에 전달되어 뇌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1]
Lep-PEG-FBP
상기 식에서,
Lep은 렙틴 또는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33, 12-32, 15-32 또는 61-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이고,
PEG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FBP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FBP(Fas Blocking Peptide)는 Fas와 이의 리간드인 FasL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펩타이드 시퀀스로서 알려져 왔다. Fas 및 이의 특이적 리간드인 FasL은 각각 TNF 수용체 및 TNF 리간드 수퍼패밀리(TNF lignad superfamily, TNFSF)에 속하는 단백질의 구성원이다. Fas와 FasL 간의 상호작용은 Fas-발현 타겟에서 세포 사멸을 초래하는 세포내 이벤트들의 캐스캐이드(cascade)를 촉발시킨다. Fas는 뇌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 세포에서 발현되는 막 단백질이고, FasL은 림프기관 및 면역-관련 조직들에서 주로 발현되는데, 허혈에 의한 뇌손상시 Fas의 발현이 증가함이 보고된 바 있다(Expression of Fas and Fas Ligand After Experimental Traumatic Brain Injury in the Rat, J Cereb Blood Flow Metab. Vol. 20, No. 4, 2000).
본 발명의 FBP는 Fas 펩타이드 모방체(mimetics)로서, Fas 활성, 특히 Fas-매개된 시그널링을 억제한다. 다만, FBP를 정맥 투여 또는 경구 투여 하는 경우, 유효물질이 BBB(Blood-Brain Barrier)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뇌로의 전달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뇌 시상에 과발현하는 Leptin 수용체에 결합하여 BBB를 통과하는 능력을 가진 Leptin 펩타이드를 이용하고, Leptin 펩타이드에 PEG를 이용하여 FBP를 결합시켜 정맥투여를 통해 뇌졸중 허혈 부위에 전달하고, Fas 세포사멸 경로를 차단하여 뇌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용어 "Lep" 또는 "Leptin"는 렙틴 또는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는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33, 12-32, 15-32 또는 61-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1-33 또는 61-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61-90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2)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또는 PEG)은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와의 접촉 및 신장 소실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PEG는 목적 단백질의 특정 부위 또는 다양한 부위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용해도를 높임으로써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별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a et al., J. Fermentation Bioengineering, 71: pp 137-139, 1991).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PEG의 평균 분자량은 500 Da 내지 2 kDa, 또는 1 kDa 내지 2 kDa이다. 바람직한 PEG의 분자량은 약 2 kDa이다. EG는 선형 및 분지형 중합체 둘 다를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PEG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PEG는 Lep, 링커 펩타이드 또는 FBP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 말단이 개질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말레이미드기, 아미드기 등으로 개질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Lep 과 PEG 사이는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링커 펩타이드로 연결 가능하며, Lep의 일 말단에 결합되어 표면이 개질된 PEG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링커 펩타이드 일예로 GGGC, RR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GGGC의 경우 시스테인의 -SH 기와 일 말단이 개질된 PEG의 모이어티와의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Fas"는 Fas, FasR(Fas receptor), APO-1 (apoptosis antigen 1), 또는 CD95(cluster of differentiation 95)로도 불리며, 세포사멸(apoptosis)을 조절하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tumor necrosis factor, TNF)의 일종이다. Fas가 리간드와 결합하게 되면 다중화(multimerization)를 통해 활성화되고, 그 결과로 여러 어댑터(adaptor) 단백질들이 Fas에 결합한다. 결합한 어댑터 단백질들은 다양한 세포사멸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시키며, 대표적인 신호전달 조절인자에는 카스파제, NF-κB, SAPK(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Bcl-2 패밀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 FBP)"는 상기에서 설명한 Fas에 결합하여 통상적인 Fas 리간드와 반대로 Fas의 하위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활성, 세포사멸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상기 FBP는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1에서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Gly, Ala, Ser, Thr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Xaa1 및 Xaa3는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서 Xaa2만 존재할 수 있고, 2) Xaa1 및 Xaa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존재하면서 Xaa2가 존재할 수 있으며, 3) Xaa1 내지 Xaa3 모두 존재하지 않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열된 서열일 수 있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5'-3')
3 CDEHF
4 YCDEHF
5 YCDEHFY
6 YCDEHFA
7 YCDEHFC
8 YCDEHFM
9 FCDEHFC
10 YCDEHFCY
11 YCDEHFMY
12 YCDEHFCF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는 펩타이드의 향상된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의 N- 및/또는 C-말단이 수식(modification)될 수 있다. 상기 수식은 상기 펩타이드의 N- 및/또는 C-말단에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아미드기, 포르밀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펩타이드의 개질, 특히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인 비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본 발명의 Lep-PEG-FBP 복합체는 복합체 형성을 위한 상호 결합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상호 결합부위는 단량체 간의 아미드 결합을 위한 일 말단 아미노산 그 자체일 수 있고, 이황화결합, 이민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위한 특정의 아미노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Leptin-GGGC 펩타이드(34mer)의 N'-말단을 차단시킨 후, Mal-PEG-NH2를 사용하여 상기 Leptin에 결합된 링커 펩타이드의 시스테인에 존재하는 티올기와 PEG의 앞단의 말레이미드 간의 반응을 통해 Lep-PEG 컨쥬게이트를 생성한 다음 PEG 말단의 아민기와 PBP의 N-말단의 아민기 간의 EDC/sulfo-NHS 아민 공유결합을 통해 Lep-PEG-PBP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허혈성 뇌졸중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에게 소정의 물질,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적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신성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투여, 또는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질병 증상의 정도,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적합한 1일 투여량은, 0.0001-100 mg/kg(체중)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상체는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생물, 예를 들면 소, 원숭이, 새, 고양이, 마우스, 랫트, 햄스터, 돼지, 개, 토끼, 양, 말 등의 비인간 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 투여 방식 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eptin-PEG-FBP의 제조
Leptin-PEG-FBP 복합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뇌 시상에 과발현하는 Leptin 수용체에 결합해 혈액-뇌 장벽을 통과시키는 능력이 있는 Leptin(61-90, 30mer, SEQ ID NO: 2) 펩타이드에 아미노산 GGGC 4개를 추가적으로 주문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LeptinGGGC(34mer) 펩타이드는 100 mg/mL의 농도로 DMSO에 녹인 후 PBS(pH7.4) 버퍼에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10 mg/mL 농도의 Leptin 펩타이드를 4℃에서 1시간동안 무수아세트산(Acetic anhydride)을 이용해 N-말단을 블록킹 시켰다. 이후 2kDa 크기의 Mal-PEG-NH2를 사용해 Leptin의 시스테인과 PEG의 Thiol-Maleimide 반응으로 일차적으로 1:1 몰비로 18시간 동안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PBS(pH7.4) 버퍼에서 2kDa MWCO 카세트를 이용해 결합하지 않은 PEG를 제거하였다. 정제 후 100 mg/mL DMSO에 녹인 후 MES(pH6.5) 버퍼에 10배 희석한 FBP 펩타이드와 Leptin-PEG를 1:1 몰비로 상온에서 3시간 EDC/sulfo-NHS 아민 공유결합을 시켰다. 반응 후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실험을 통한 약물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 입증 확인
Fas 결합 펩타이드에 Leptin을 PEG로 결합시킨 Leptin-PEG-FBP의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nnexin V(PE)로 염색 후 유세포 분석기로 형광 세기 관찰을 진행하였다. 저산소 신경세포 모델을 유도하기 위해 Neuro2a 세포를 무혈청-DMEM 배지에 분주하였다. 이후 4시간동안 FasL(0.1 nM)를 1% O2 조건의 저산소(Hypoxia) 인큐베이터에서 미리 처리한 후 300 μM 농도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12시간 후에 각 그룹의 세포를 Annexin V 형광염료로 염색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30% 가량 더 낮은 세포사멸 Annexin V 형광세기 관찰로 Leptin-PEG-FBP가 Fas에 결합하여 세포사멸 경로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서의 형광 펩타이드 정맥주사를 통한 장기 별 약물전달 차이 확인
감광성 염료 Rose bengal을 15 mg/mL로 멸균 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마우스 한 마리당 10mg/kg로 복강 주사를 한 뒤 5분 후 561 nm 초록 레이저 빛을 시상 봉합과 관상 봉합이 교차되는 지점 브레그마(bregma)로부터 2.5 mm 오른쪽 두개골에 약 10분간 조사하여 혈전을 형성해 허혈성 뇌졸중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허혈성 뇌졸중 유도 24시간 후에 뇌조직을 채취하였다. 조직 샘플의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Fas 프라이머로 RT-PCR를 시행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허혈성 조직에서 정상군 대비 2배 이상의 Fas 유전자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과 같이 Lep-PEG-FBP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형광물질을 결합한 합성 펩타이드가 실제 뇌경색 영역에 선택적으로 전달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감광성 염료 rose bengal을 15 mg/mL로 멸균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마우스 마리당 10 mg/kg로 복강 주사를 한 뒤 5분 후 561 nm 레이저 빛을 시상봉합과 관상봉합이 교차되는 지점 bregma로부터 2.5 mm 오른쪽 두개골에 약 10분간 조사한 결과 혈전을 형성해 허혈성 뇌졸중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모델링을 한 12시간 후 형광이 결합된 펩타이드를 2.5 mg/kg로 정맥주사 하였다. 각 그룹당 n수는 3으로 진행하였다. 약물을 주입한 16시간 후에 뇌, 폐, 간, 비장, 신장 각 장기를 형광 이미징 기기에 넣어 약물 전달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델링을 하지 않은 그룹은 대부분 신장에 걸러져 있고 leptin을 이용한 그룹은 모델링을 진행한 오른쪽 뇌경색 부위에 강한 형광 세기를 보였다. 이를 통해 leptin을 이용해 합성한 L-P-F 가 정확하게 뇌경색 부위에 남아 약물이 전달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Leptin 수용체 결핍 동물 모델(db/db)과 일반 동물모델에서의 형광 시료를 결합시킨 펩타이드 약물의 정맥주사를 통해 수용체 매개 혈관 뇌 장벽 투과 약물 전달을 확인하였다. 광혈전 유도 뇌졸중(Photothrombosis Stroke) 모델링으로부터 3시간 후에 alexa647 형광 시료를 결합시킨 각각의 펩타이드 약물을 정맥주사하였다. 정맥주사로부터 12시간 후 뇌, 폐, 간, 비장, 신장 각 장기 조직을 샘플링하여 형광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leptin 수용체가 결핍된 동물모델에서는 뇌 조직에 약물이 남아 있지 않고 대부분 신장을 통해 여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일반 동물 모델은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 의해 손상 입은 오른쪽 뇌 조직에 약물이 결합하여 남아 있었다.
형광물질을 경합한 펩타이드가 실제 뇌경색 영역에 선택적으로 전달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뇌졸중 쥐 모델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모델링 방법으로, 봉합용 모노필라멘트 실을 오른쪽 중대뇌동맥에 삽입하여 60분간 폐쇄함으로써 우측 중대뇌동맥으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고 60분 후 필라멘트를 제거해 재 관류시켰다. 허혈성 뇌졸중 유도 수술을 한 후 Fas 발현이 높다고 연구된 6시간 후에 형광이 결합된 펩타이드를 기준으로 2.5 mg/kg 정맥주사로 주입한 후 12시간 후에 장기를 적출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G-FBP에 비해 Leptin과 L-P-F 그룹은 가장 선명하게 오른쪽 뇌경색 부위에 약물이 전달된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 별 약물 전달을 형광 세기로 확인 한 후 실제 세포막에 발현하는 Fas에 FBP 펩타이드가 결합했는지 뇌조직을 OCT 컴파운드에 넣어 -80℃에 보관해 cryoblock을 만들어 섹션을 썰어 확인하였다. 5 mm 두께로 썰은 섹션에서 hoechest2000을 사용해 핵을 염색하였고 alexa647 형광물질을 결합시킨 펩타이드와 중첩해서 본 결과 핵 주변부에 붉은색 펩타이드 형광 세기가 강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험예 3> 허혈성 뇌졸중 모델링을 통한 약물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치료 효과 확인
허혈성 뇌졸중 모델링을 통한 약물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중대뇌동맥 폐쇄 모델링을 진행한 후 3시간, 6시간 후에 2번에 걸쳐 FBP를 5 mg/kg씩 정맥 주사하였다. 각 그룹당 n수는 5로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 동물은 MCAO를 실시한 후 48시간 후에 희생시켰으며 좌심실을 통하여 인산 염 완충 식염수를 관류시켜 혈관 내 혈액 성분을 제거한 후 뇌를 적출하였다. 뇌허혈 유도 모델에서 적출한 뇌 조직을 몰드(mold) 위에서 2 mm 간격으로 동일하게 섹션을 나눠준다. 그 후 멸균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2% TTC 용액에 15분간 37℃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에 4℃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염색이 되지 않은 하얀 뇌 경색 부위를 Image J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L-P-F그룹은 약 19% 정도 적은 뇌 경색을 보였다(도 9).
뇌조직 절편을 0.5% Nissl staining(cresyl violte)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풀 스크리닝(Full screening)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뇌경색 부위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뇌경색 크기 측정은 뇌경색을 유발한 부위의 반대쪽 뇌 면적에서 뇌경색을 유발한 쪽의 정상 면적을 빼서 측정하는 간접법을 사용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F 그룹이 타 그룹에 비해 17.2% 정도 적은 뇌 경색을 보였다.
Cryoblock으로 만들어 놓은 뇌조직을 절편으로 만들어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15분간 고정시킨 후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허혈성 음염(ischemic penumbra)를 동일하게 관찰한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F 약물 그룹에 비해 타 그룹에서 세포사멸에 의해 조직의 빈 공간이 많이 발견되었고 핵의 모양이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수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조직을 이용해 제작한 Cryoblock을 절편한 조직 샘플을 TUNEL 염색을 진행해 세포 사멸 정도를 형광으로 측정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F 약물 군에 비해 타 그룹에서 현저히 적은 핵 DAPI 형광 세기가 우선 측정되었고 붉은색의 세포사멸을 나타내는 TUNEL 세기가 강하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 결과 약 28% 정도의 세포사멸 감소를 보였다.
뇌조직의 오른쪽 경색(Infarct) 조직 만을 분리해 단백질을 추출해 12% gradient gel에 각 웰에 그룹당 30 ㎍의 단백질을 걸어 웨스턴 블롯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3에서와 같이, Fas와 Cleaved Caspase-3의 1차 항체를 사용해 확인한 결과 Fas는 약 2배, Cleaved Caspase-3는 0.5배 감소한 단백질 발현도를 확인하여 약물 처리한 그룹에서 Fas 세포사멸 경로 차단을 통해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절편한 뇌조직에서 세포사멸경로의 핵심적인 역할인 cleaved Caspase-3의 단백질 발현도를 관찰하였다.
도 14에서와 같이, 그 결과 L-P-F 약물 군에서 cleaved Caspase-3 형광이 약 13% 정도의 감소된 경향을 보여 FBP의 Fas 결합으로 세포사멸 억제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 치료 효과를 입증하였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stroke comprising Fas-blocking peptide <130> P21U10C0863 <160> 1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leptin <400> 1 Val Pro Ile Gln Lys Val Gln Asp Asp Thr Lys Thr Leu Ile Lys Thr 1 5 10 15 Ile Val Thr Arg Ile Asn Asp Ile Ser His Thr Gln Ser Val Ser Ala 20 25 30 Lys Gln Arg Val Thr Gly Leu Asp Phe Ile Pro Gly Leu His Pro Ile 35 40 45 Leu Ser Leu Ser Lys Met Asp Gln Thr Leu Ala Val Tyr Gln Gln Val 50 55 60 Leu Thr Ser Leu Pro Ser Gln Asn Val Leu Gln Ile Ala Asn Asp Leu 65 70 75 80 Glu Asn Leu Arg Asp Leu Leu His Leu Leu Ala Phe Ser Lys Ser Cys 85 90 95 Ser Leu Pro Gln Thr Ser Gly Leu Gln Lys Pro Glu Ser Leu Asp Gly 100 105 110 Val Leu Glu Ala Ser Leu Tyr Ser Thr Glu Val Val Ala Leu Ser Arg 115 120 125 Leu Gln Gly Ser Leu Gln Asp Ile Leu Gln Gln Leu Asp Val Ser Pro 130 135 140 Glu Cys 145 <210> 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leptin(61-90 aa) <400> 2 Tyr Gln Gln Val Leu Thr Ser Leu Pro Ser Gln Asn Val Leu Gln Ile 1 5 10 15 Ala Asn Asp Leu Glu Asn Leu Arg Asp Leu Leu His Leu Leu 20 25 30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3 Cys Asp Glu His Phe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4 Tyr Cys Asp Glu His Phe 1 5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5 Tyr Cys Asp Glu His Phe Tyr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6 Tyr Cys Asp Glu His Phe Ala 1 5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7 Tyr Cys Asp Glu His Phe Cys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8 Tyr Cys Asp Glu His Phe Met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9 Phe Cys Asp Glu His Phe Cys 1 5 <210> 1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10 Tyr Cys Asp Glu His Phe Cys Tyr 1 5 <210> 1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11 Tyr Cys Asp Glu His Phe Met Tyr 1 5 <210> 1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12 Tyr Cys Asp Glu His Phe Cys Phe 1 5

Claims (7)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일반식 1]
    Lep-PEG-FBP
    상기 식에서,
    Lep은 렙틴 또는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 중 1-33, 12-32, 15-32 또는 61-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이고,
    PEG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FBP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렙틴-유래 뇌 타겟팅 펩타이드는 SEQ ID N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3 내지 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신성 투여를 통해 전달되는,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신성 투여는 정맥 투여인,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41892A 2021-10-22 2021-10-22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7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92A KR20230057747A (ko) 2021-10-22 2021-10-22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2/016060 WO2023068850A1 (ko) 2021-10-22 2022-10-20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92A KR20230057747A (ko) 2021-10-22 2021-10-22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747A true KR20230057747A (ko) 2023-05-02

Family

ID=8605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892A KR20230057747A (ko) 2021-10-22 2021-10-22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7747A (ko)
WO (1) WO202306885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5081A1 (en) 2002-05-23 2012-09-27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as peptide mimetic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112B1 (ko) * 2014-06-27 2021-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뇌 특이적 핵산 전달
CN108472332B (zh) * 2015-11-13 2022-03-18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通过经鼻施用来治疗中风的组合物
CN113164549A (zh) * 2018-12-04 2021-07-23 斯格尼特生物技术有限公司 包含针对Fas信号传导的抑制肽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症、脂肪肝或脂肪性肝炎的药物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5081A1 (en) 2002-05-23 2012-09-27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as peptide mimetics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segawa et al, 2004. Fas-disabling small exocyclic peptide mimetics limit apoptosis by an unexpected mechanism. Proc Natl Acad Sci U.S.A 101:6599-66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850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9361B1 (en) Use of cell-permeable peptide inhibitors of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RU2266129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ое нарушение или нарушение миелинизации
ES2234015T3 (es) Gen relacionado con el aguti.
WO2001015717A1 (fr) Agents contenant du ginseng destines a proteger les cellules cerebrales ou les cellules nerveuses
US20050164948A1 (en) Methods of treatment with prosaposin-derived peptides
KR20010101218A (ko) 진세노사이드 Rb₁을 함유하는 뇌세포 또는 신경세포보호제
KR20070052237A (ko) 노고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도파민성 신경 퇴행을수반하는 상태의 치료법
JP7002788B2 (ja) ポリペプチド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およびその使用
CN110041408B (zh) 一种小分子多肽及其在制备防治帕金森综合症药物中的应用
KR20230057747A (ko) 세포사멸 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1998039357A1 (en) Method of alleviating neuropathic pain
CA2304956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diseases
US11229675B2 (en) Therapeutic peptides for excitatory neurotoxicity-related injuries
JP2020536065A (ja) 興奮性神経毒性に関連した損傷の治療用ペプチド組成物
JP2020518678A (ja) ギャップ結合細胞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モジュレータ及び糖尿病性眼疾患の治療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CN101820756A (zh) 保护免受细胞损伤和炎症且促进星形胶质细胞增殖的蛋白激酶C-δ抑制剂
JP2001139483A (ja) 薬用人蔘からなる脳細胞または神経細胞保護剤
CN114555630A (zh) 用于治疗脊髓损伤和/或髓鞘再生的肽的全身施用
US810600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diseases
US20050079151A1 (en) Therapeutic agents for apoptosis-related diseases
EP4365187A1 (en) Peptide having anticancer activity, and use thereof
AU761418B2 (en) Therapeutic agents for apoptosis-related diseases
KR20150122280A (ko) 세포투과성 nol3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뇌허혈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1524944A (ja) 神経障害性疼痛の緩和方法
US20190134150A1 (en) Therapeutic methods for excitatory neurotoxicity-related inju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