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657A -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657A
KR20230057657A KR1020210141659A KR20210141659A KR20230057657A KR 20230057657 A KR20230057657 A KR 20230057657A KR 1020210141659 A KR1020210141659 A KR 1020210141659A KR 20210141659 A KR20210141659 A KR 20210141659A KR 20230057657 A KR20230057657 A KR 2023005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
foreign matter
rolling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훈
노호섭
한상국
차동관
우관식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657A/ko
Publication of KR2023005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의 압연롤의 주변에는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석션부; 및 상기 압연롤 중 백업롤에 회전하는 브러쉬롤을 접촉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OF REMOVING FOREIGN MATERIAL }
본 발명은 압연품질을 향상시킨 압연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압연기를 스트립의 압연시의 윤활성능, 세척성능 및 냉각성능 등을 확보하기 위해 압연유(wet 유)를 분사하고 있다.
다만, 압연유를 사용시 압연유와 주변의 이물질이 혼합되어 압연기에 기름때등의 오염물질이 침적, 고착되면서 압연기의 설비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기름때 등이 오염물질이 스트립 등에 흡착될 경우, 스트립에 품질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가 압연기의 설비 내부로 진입하여 수작업 등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73257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스트립의 품질결함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저감시킨 압연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압연기의 압연롤의 주변에는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석션부; 및 상기 압연롤 중 백업롤에 회전하는 브러쉬롤을 접촉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석션부는, 적어도 상기 압연롤의 워크롤과 상기 압연롤의 백업롤이 마찰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석션부는, 상기 스트립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백업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 및 상기 브러쉬롤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롤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집진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연롤 중 워크롤에 휘발성액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멀티클리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클리너부는 상기 워크롤과 스트립의 경계부분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멀티클리너부는, 스트립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정면방향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하는 제1 클리너부; 및 상기 제1 클리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단부영역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정면방향에서 스트립의 폭방향 단부영역으로 경사지게 휘발성액체를 분사하는 제2 클리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롤을 상기 브러시롤의 축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오실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연롤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부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연기의 상부영역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상부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집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온도센서부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롤 및 상기 작업롤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화상감지부; 및 상기 화상감지부의 영상정보에서 화재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스트립의 품질결함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멀티클러너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오실레이션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의 성형방법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석션부(100) 및 브러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연기의 압연롤에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로 백업롤(R2)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워크롤(R1)이 배치되며, 워크롤(R1)의 사이로 스트립(S)이 통과하면서 압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연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압연유(Wet유)가 사용되지 않는 건식압연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압연유(Wet유) 미사용시, 스트립(S)과 워크롤(R1)간의 마찰 또는 백업롤(R2)과 워크롤(R1) 간의 마찰에 의해 Dull가루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여 스트립(S)의 표면에 덜마크(Dull Mark) 등의 오염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할 석션부(100), 멀티클리너부(300) 및 상부집진부(7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이러한 오염결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스트립(S)에 의해 백업롤(R2)에 폭 마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할 브러쉬부(2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스트립(S)에 의해 백업롤(R2)에 폭 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건식압연을 적용할 경우, 백업롤(R2)과 워크롤(R1)의 마찰에 의해 가루형태의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루형태의 이물질이 스트립(S)의 표면으로 낙하하면서 스크립의 표면에 오염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식압연을 적용할 경우, 백업롤(R2)에 줄무늬마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줄무늬마크로 인해 스트립(S) 등에 품질결함이 발생할 수 잇다.
석션부(100)는 압연기의 압연롤의 주변에는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선션부는 압연롤에는 Dull가루 등의 이물질이 직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해 안연롤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석션부(100)는, 적어도 압연롤의 워크롤(R1)과 압연롤의 백업롤(R2)이 마찰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석션부(100)는, 스트립(S)의 상측에 배치되는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고, 스트립(S)의 하측에 배치되는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립(S)의 상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은 스트립(S)으로 낙하하여 스트립(S)에 부착될 수 있다.
석션부(100)는 스트립(S)의 상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주변에 설치되고, 스트립(S)의 상측에 배치되는 위크롤과 백업롤(R2)이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이 스트립(S)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립(S)의 하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은 스트립(S)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스트립(S)에 부착되지 않는바, 석션부(100)는 스트립(S)의 하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주변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설비비용의 절감의 관점에서, 석션부(100)는 스트립(S)의 상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주변에만 설치되고, 스트립(S)의 하측에 배치되는 워크롤(R1)과 백업롤(R2)의 주변에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브러쉬부(200)는 압연롤 중 백업롤(R2)에 회전하는 브러쉬롤(210)을 접촉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부(200)는 브러쉬롤(210) 및 집진후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롤(210)은 회전하면서 백업롤(R2)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롤(210)은 백업롤(R2)과 회전 접촉되는 브러쉬모에 대전방지제가 코팅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전기저항을 작게 하여 정전기를 억제하는 코팅도료일 수 있다. 일례로, 브러쉬모에는 구리(Cu)가 대전방지제로 코팅될 수 있다.
브러쉬롤(210)은 제어부가 전류값을 제어하여 스트립(S)의 두께, 이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브러쉬롤(210)의 회전속도 및 압하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집진후드(230)는 브러쉬롤(2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브러쉬롤(210)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집진후드(230)에는 이송수단(250)이 연결되고, 이동수단(250)에 의해 브러쉬롤(210)과 집진후드(230)가 일체로 백업롤(R2)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250)에 의해 브러쉬롤(210)은 백업롤(R2)에 밀착될 수 있고, 이동수단(250)은 브러쉬롤(210)에 압하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멀티클러너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멀티크리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클리너부(300)는 압연롤 중 워크롤(R1)에 휘발성액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클리너부(300)에서 분사되는 휘발성액체는 휘발성은 있으나 인화성은 없는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멀티클리너부(300)에서 분사되는 휘발성액체는 에탄올대비 8 ~ 12배 정도의 휘발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멀티클리너부(300)에서 분사되는 휘발성액체는 에탄올대비 10배 정도의 휘발성을 가질 수 있다.
워크롤(R1)은 워크롤(R1)에 적용된 크롬코팅으로 경도가 높아 마모가 잘 발생하지 않고, 이물질이 적게 발생한다. 따라서, 멀티클러너부는 이물질이 적게 발생하는 워크롤(R1)에 희발성액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멀티클리너부(300)는 워크롤(R1)과 스트립(S)의 경계부분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멀티클리너부(300)는 제1 클리너부(310) 및 제2 클리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리너부(310)는 스트립(S)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정면방향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클리너부(330)는 제1 클리너부(310)를 사이에 두고 스트립(S)의 폭방향 단부영역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정면방향에서 스트립(S)의 폭방향 단부영역으로 경사지게 휘발성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클리너부(310)에서 스트립(S)의 중앙영역에서 전면방향으로 분사된 휘발성액체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은 스트립(S)의 폭방향 단부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클리너부(330)에서 분산된 휘발성액체에 의해 이물질은 스트립(S)의 폭방향 단부영역을 벗어난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제1 클리너부(310)와 한 쌍의 제2 클리너부(330)는 서로 연결되어 공급탱크(350)로부터 휘발성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급탱크(350)는 일측의 제2 클리너부(330)에 휘발성액체를 공급될 수 있다. 공급탱크(350)에서 공급된 휘발성액체는 스트립(S)의 폭방향 우측의 제2 클리너부(330), 스트립(S)의 폭방향 중앙영역의 제1 클리너부(310), 스트립(S)의 폭방향 좌측의 제2 클리너부(33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공급탱크(350)는 한 쌍의 제2 클리너부(330)에 각각 휘발성액에를 공급될 수 있다. 공급탱크(350)에서 스트립(S)의 폭방향 우측의 제2 클리너부(330) 및 공급탱크(350)에서 스트립(S)의 폭방향 우측의 제2 클리너부(330)를 통해 각각 공급된 휘발성액체는 스트립(S)의 폭방향 중앙영역의 제1 클리너부(31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멀티클리너부(300)의 구성요소가 채용된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오실레이션부(400)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오실레이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실레이션부(400)는 브러쉬롤(210)을 브러시롤의 축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오실레이션부(400)는 브러쉬롤(210)의 흔적이 백업롤(R2)에 남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백업롤(R2)에 브러쉬롤(210)의 흔적이 남는 경우, 백업롤(R2), 워크롤(R1), 스트립(S)순으로 흔적이 전달되면서 스트립(S)에 품질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실레이션부(400)는 오실레이션모터(410)가 브러쉬롤(210)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오실레이션모터(410)가 브러쉬롤(210)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면서 브러쉬롤(21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오실레이션부(400)의 구성요소가 채용된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제1 온도센서부(500) 및 살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부(500)는 압연롤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B)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살수부(600)는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1 온도센서부(500)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압연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부(500)는 워크롤(R1)의 베어링블럭(B) 및 백업롤(R2)의 베어링블럭(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온도센서부(500)는 워크롤(R1), 백업롤(R2) 등의 압연롤을 지지하는 베이링블록에 접촉되는 접촉식 온도계로 구성될 수 있고, 워크롤(R1) 또는 백업롤(R2)의 회전시 마찰에 따른 열을 감시할 수 있다.
살수부(600)는 베어링블럭(B)의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바, 베어링블럭(B)의 주변에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온도가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일 경우, 살수부(600)는 압연기의 상부에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온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온도가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미만의 경고온도, 위험온도 등으로 측정될 경우, 경광등 등이 작동하면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이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온도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온도가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미만의 경고온도, 위험온도 등으로 측정될 경우, 알람 등이 작동하면서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이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부집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집진부(700)는 압연기의 상부영역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부(200)가 작동시 발생하는 가루 등의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브러쉬부(200)의 집집진후드(230)와 함께 상부집진부(700)를 설치하여 압연기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제2 온도센서부(800) 및 살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부(800)는 상부집진부(7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살수부(600)는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 온도센서부(800)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압연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화상감지부(900) 및 살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감지부(900)는 워크롤(R1) 및 작업롤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화상감지부(900)는 CCTV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살수부(600)는 화상감지부(900)의 영상정보에서 화재가 감지시 압연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화상감지부(900)와 제1 온도센서부(500)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온도센서부(500)가 압연롤의 회전시 마찰에 따른 열을 감시하여 화재를 감시하고, 화상감지부(900)가 압연기의 영상정보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압연기의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화상감지부(900)와 제2 온도센서부(800)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온도센서부(800)가 압연기의 상부에서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시하고, 화상감지부(900)가 압연기의 영상정보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압연기의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화상감지부(900)와 제1 온도센서부(500), 제2 온도센서부(800) 및 화상감지부(900)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온도센서부(500)가 압연롤의 회전시 마찰에 따른 열을 감시하여 화재를 감시하고, 제2 온도센서부(800)가 압연기의 상부에서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시하며, 화상감지부(900)가 압연기의 영상정보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압연기의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제1 온도센서부(500), 제2 온도센서부(800), 살수부(600), 상부집진부(700) 등의 구성요소가 채용된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러쉬부(200), 멀티클리너부(300) 및 상부집진부(7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공정 및 조업별 가동조건을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압연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압연유(Wet유)가 사용되지 않는 건식압연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압연유(Wet유) 미사용시, 스트립(S)과 워크롤(R1)간의 마찰 또는 백업롤(R2)과 워크롤(R1) 간의 마찰에 의해 Dull가루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여 스트립(S)의 표면에 덜마크(Dull Mark)가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석션부(100), 멀티클리너부(300) 및 상부집진부(7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이러한 덜마크(Dull Mark)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스트립(S)에 의해 백업롤(R2)에 사이드마크(Side Mark)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러쉬부(200)를 통해 스트립(S)에 의해 백업롤(R2)에 사이드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양한 공정 및 조업별 가동조건에서 상부집진부(700)는 상시 가동할 수 있다.
압연기의 통상적인 사용조건에서 압연롤 중 워크롤(R1)을 1일에 2회 정도 교체할 수 있다.
워크롤(R1)의 교체 전에는 상부집진부(700)와 브러쉬부(200)는 가동하고, 멀티클리너부(300)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워크롤(R1)의 교체 후에는 상부집진부(700)는 가동하고, 브러쉬부(200)와 멀티클리너부(300)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덜마크(Dull Mark)가 발생될 경우, 상부집진부(700)와 멀티클러부는 가동하고, 브러쉬부(200)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사이드마크(Side Mark)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부집진부(700)와 브러쉬부(200)는 가동하고, 멀티클리너부(300)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립(S)의 폭이 커지면서 폭역전이 발생(스트립(S)의 폭이 1000mm -> 1100mm로 변경 등)하는 경우에는 상부집진부(700)와 브러쉬부(200)는 가동하고, 멀티클리너부(300)는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브러쉬부(200)가 폭역전으로 인한 백업롤(R2)의 마모도의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석션부 200: 브러쉬부
210: 브러쉬롤 230: 집진후드
250: 이동수단 300: 멀티클리너부
310: 제1 클리너부 330: 제2 클리너부
350: 공급탱크 400: 오실레이션부
410: 오실레이션모터 500: 제1 온도센서부
600: 살수부 700: 상부집진부
800: 제2 온도센서부 900: 화상감지부
B: 베어링블럭 R1: 워크롤
R2: 백업롤 S: 스트립

Claims (12)

  1. 압연기의 압연롤의 주변에는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석션부; 및
    상기 압연롤 중 백업롤에 회전하는 브러쉬롤을 접촉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적어도 상기 압연롤의 워크롤과 상기 압연롤의 백업롤이 마찰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스트립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압연롤의 주변에 설치되지 않는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백업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 및
    상기 브러쉬롤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롤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집진후드;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 중 워크롤에 휘발성액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멀티클리너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클리너부는 상기 워크롤과 스트립의 경계부분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클리너부는,
    스트립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정면방향으로 휘발성액체를 분사하는 제1 클리너부; 및
    상기 제1 클리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단부영역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정면방향에서 스트립의 폭방향 단부영역으로 경사지게 휘발성액체를 분사하는 제2 클리너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을 상기 브러시롤의 축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오실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부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상부영역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상부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온도센서부에서 화재로 인식되는 살수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 및 상기 작업롤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화상감지부; 및
    상기 화상감지부의 영상정보에서 화재가 감지시 상기 압연기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10141659A 2021-10-22 2021-10-22 이물질 제거장치 KR20230057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659A KR20230057657A (ko) 2021-10-22 2021-10-22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659A KR20230057657A (ko) 2021-10-22 2021-10-22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57A true KR20230057657A (ko) 2023-05-02

Family

ID=8638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659A KR20230057657A (ko) 2021-10-22 2021-10-22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6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257A (ko)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픽슨 압연 워크롤 냉각수 차단용 카트리지형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257A (ko)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픽슨 압연 워크롤 냉각수 차단용 카트리지형 와이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103C (fi) Anordning foer att rengoera en vals i kalander, glaettverk och dylika
EP2528848B1 (en) Clean conveyor sensing system
KR101302917B1 (ko) 스트립 캐스팅 머신의 회전 이동가능한 캐스팅 롤의 연속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
US56997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roller
US11931680B2 (en) Air filter device of industrial machine
WO1999025921A1 (en) Method for detecting contamination and/or damaging of a face that runs through a nip or nips in a calender for paper
KR20230057657A (ko) 이물질 제거장치
US202202740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il/emulsion mist pollution and fumes
KR101639251B1 (ko) 링거 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물질제거장치
CN214719375U (zh) 一种湿式平整机工作辊辊印缺陷在线清除装置
KR100997359B1 (ko) 금속 스트립의 형상 검출 롤의 사용 방법
JP4533237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形状検出ロールの使用方法
KR102039599B1 (ko) 집진 장치
JPH0371911A (ja) 圧延油ワイパー装置
JP2004230315A (ja) 光学窓ガラス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CN109358069B (zh) 工艺设备维护方法、系统及工艺设备维护控制装置
KR100989776B1 (ko) 압연 공정시 스프레이 노즐의 보호 장치
RU1760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пыленности воздуха пр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м контроле металлопродукции
KR20010064938A (ko) 소결기 대차의 씰바 복원장치
CN214691862U (zh) 一种除尘输送带可旋转清洁装置
Battrick To Contact or Not?
CN115685863A (zh) 油斑烟预警反馈方法、装置和系统
JP2015087052A (ja) ダクト監視システム、ダクト監視方法
KR100923471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부착 스와프 제거장치
KR20040012165A (ko) 압연롤 표면의 냉각수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