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572A -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 Google Patents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572A
KR20230057572A KR1020210141475A KR20210141475A KR20230057572A KR 20230057572 A KR20230057572 A KR 20230057572A KR 1020210141475 A KR1020210141475 A KR 1020210141475A KR 20210141475 A KR20210141475 A KR 20210141475A KR 20230057572 A KR20230057572 A KR 2023005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ial
wire
strap assembly
f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710B1 (ko
Inventor
차승화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21014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roller displaceable in wedge-shaped s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4Electronic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controlling the winding or unwinding process, e.g. with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마스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어셈블리는, 상기 안면 마스크에 마련되는 다수의 스트랩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안면 마스크의 밀착을 조절하는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STRAP ASSEMBLY AND FACE MASK WITH DIAL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이얼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면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락 장치가 마련된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공기 호흡기는 소방장비관리법에서 정하는 소방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장비중 하나이며,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에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공기 호흡기는 화재현장에서 인명구조를 수행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이나 일반인이 유독가스로부터 질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안면에 밀착시켜서 착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밴딩형 조임 밴드를 이용하여 면체를 결착하는 방식의 면체 스트랩을 이용하는 공기 호흡기는 사용자가 복수의 조임 밴드를 각각 당겨야 돼서 착용시간이 다소 소요되고, 맨손으로만 착용할 수 있어서 장갑을 착용 중에는 공기 호흡기를 착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호흡기는 착용시 스트랩 고정핀으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밴드와 같이 빨려들어가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뽑히는 문제와 장기간 사용시 고무 밴드가 늘어나서 교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화재 현장에서 공기호흡기 면체 착용시 최대한 단순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착용 가능한 면체 스트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이얼을 돌리는 단순한 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스크 면체를 착용할 수 있어서 화재 현장에서 활동 대원의 안전을 도모하고, 인명구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고무 밴드가 늘어나는 문제를 없애고, 복수의 와이어를 한번에 조일 수 있어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채로 면체 마스크를 완전히 착용할 수 있는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길이를 미리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 마다 각각 조여지는 길이가 달라서 사용자마다 다른 머리 크기와 형태 차이가 반영된 면체 마스크 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마스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어셈블리는, 상기 안면 마스크에 마련되는 다수의 스트랩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안면 마스크의 밀착을 조절하는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락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이 상기 보빈을 향해 눌러진 누름 상태 및 상기 다이얼이 상기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보빈은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다이얼과 결합되고, 상기 누름 상태 및 상기 당김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가 아닌 고정 상태에서, 상기 보빈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락 장치는: 상기 다이얼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과 함께 회전하는 다이얼 기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상태 및 상기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기어와 상기 고정 장치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보빈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다이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보빈에서 상기 와이어가 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에는 상기 보빈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일측의 스트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타측의 스트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제1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보빈과, 상기 제1 보빈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의 회전 작동시에 상기 제1 보빈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제2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제1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보빈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1 기어의 톱니 개수와 상기 제2 보빈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2 기어의 톱니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제1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기는 상기 제1 보빈의 외주연 직경은 상기 제2 와이어가 감기는 상기 제2 보빈의 외주연 직경과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면 마스크의 스트랩에 마련된 길이 조절용 클립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용 클립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자동 모드시에 상기 다이얼과 상기 보빈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고, 상기 와이어에 설정된 장력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면체 마스크는,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 및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이얼을 돌리는 단순한 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스크 면체를 착용할 수 있어서 화재 현장에서 활동 대원의 안전을 도모하고, 인명구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고무 밴드가 늘어나는 문제를 없애고, 복수의 와이어를 한번에 조일 수 있어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채로 면체 마스크를 완전히 착용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의 길이를 미리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 마다 각각 조여지는 길이가 달라서 사용자마다 다른 머리 크기와 형태 차이가 반영된 면체 마스크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면체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제거한 상태의 다이얼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용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면체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참조하면, 안면 마스크(3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안면 및 호흡기를 공기 중의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면 마스크(3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공기 호스나 튜브 등을 통해 산소 탱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안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안면 마스크(300)는 산소 탱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공기 호흡기일 수 있다. 하지만, 안면 마스크(300)가 반드시 공기 호흡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독면과 같이 사용자의 안면 및 호흡기를 공기 중의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면 어떠한 마스크도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마스크(3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마스크(300)는 화재현장에서 착용하기 위한 공기 호흡용 마스크, 화생방 상황에서 착용하기 위한 화생방 마스크,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마스크일 수 있다.
안면 마스크(300)에는 다수의 스트랩(310)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은 6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면 마스크(300)는 스트랩(310)이 4개 또는 5개인 형태일 수도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는 안면 마스크(3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쌀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랩 어셈블리(1)는 와이어(200) 및 다이얼락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00)는 안면 마스크(300)에 마련되는 다수의 스트랩(31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00)는 내열성, 내마모성 및 유연성이 있는 나일론, 강선 및 스테인레스 재질 중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면체 마스크는 복수개의 조임 밴드를 당겨서 조이는 방식을 통하여 안면 마스크(300)를 결착한다. 한편, 면체 마스크 착용 시 밴드를 당기는 방식의 스트랩 어셈블리는 맨손으로만 이용 가능하고 장갑 착용 중에는 스트랩을 당기기 어려워 면체 마스크의 장착이 불가능했다. 또한, 종래의 면체 마스크 착용 시 스트랩의 고정핀으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밴드와 같이 빨려들어가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뽑히는 문제가 발생했으며, 장시간 반복 사용하면 고무밴드가 늘어나서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식의 스트랩 어셈블리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200)에 연결되고, 와이어(200)를 감거나 풀어 안면 마스크(300)의 밀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이얼락 장치(100)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얼(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용자가 면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후두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120)은 하우징(110) 외부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면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후두부 측에 위치하여 안면 마스크(300)의 반대쪽 방향을 향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다이얼(12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면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이얼(120)이 보이지 않더라도 수월하게 다이얼(120)을 돌리거나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이얼(120)이 하우징(110)의 어떠한 위치에 마련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다이얼(12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외주연 직경이 30mm이상 40mm이하의 크기일 수 있으나 다이얼(120)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랩 어셈블리(1)는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는 보빈(bobbin)(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30)은 다이얼(120)과 연동하여 회전하여 와이어(20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트랩 어셈블리(1)는 다이얼(12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보빈(130)에 와이어(200)가 감기고, 다이얼(120)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보빈(130)에서 와이어(200)가 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빈(130)은 원통형의 형태로서 보빈(13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200)가 보빈(130)의 주연부를 따라 감길 수 있고, 와이어(200)가 감겨진 상태에서 보빈(13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200)가 풀릴 수 있다.
한편, 보빈(130)이 다이얼(12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은 다이얼(120)에 연결되어 다이얼(120)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이얼(12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빈(130)은 다이얼(120)에 대하여 직접 연결되어 동일한 축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기어(gear) 연결, 마찰차(friction wheel) 연결 등의 연결 방식을 통해 다이얼(120)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면체 마스크는 복수의 와이어(200)를 조였다 푸는 방식으로 안면 마스크(300)를 사용자에게 장착시키거나, 안면 마스크(300)의 장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 중 2개의 스트랩(310)이 한 쌍이 되어 하나의 와이어(2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트랩(310)에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200)가 다이얼(120)의 회전에 의하여 보빈(130)에 감기게 되면 해당 한 쌍의 스트랩(3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결국 면체 마스크의 크기가 조절되어 사용자는 안면 마스크(300)를 자신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이 4개 이상인 경우 안면 마스크(300)에 연결되는 와이어(200)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310)은 한 쌍의 제1 스트랩과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2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00)는 한 쌍의 제1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201)와, 한 쌍의 제2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트랩 쌍이 복수개면 제2 와이어(202)의 개수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보빈(130)은 제1 보빈(131) 및 제2 보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빈(131)은 다이얼(12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보빈(130)일 수 있다. 즉, 제1 보빈(131)은 다이얼(120)에 연결되어 다이얼(120)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이얼(120)과 함께 회전하는 보빈(130)일 수 있으나, 제1 보빈(131)이 다이얼(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보빈(132)은 제1 보빈(131)에 기어 결합되어 다이얼(120)의 회전 작동시에 제1 보빈(13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보빈(130)일 수 있다. 이때, 제2 스트랩 쌍이 복수개이고, 제2 와이어(202)의 개수도 복수개이면 제2 보빈(132)의 개수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보빈(131)은 제1 와이어(201)가 감기거나 풀리고, 제2 보빈(132)은 제2 와이어(202)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이 6개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보빈(131)에 하나의 제1 와이어(201)가 감기거나 풀리고, 두개의 제2 와이어(202)가 두개의 제2 보빈(132) 각각에 하나씩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단순히 다이얼(120)을 돌리기만 하면 제1 보빈(131)에 제1 와이어(201)가 감기고, 제2 보빈(132)에 제2 와이어(202)가 감기어서 복수개의 와이어(200)를 한 번에 조이고, 안면 마스크(30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빈(130)에는 보빈(130)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200)는 일측의 스트랩(310)으로부터 관통공(140)을 통과하여 타측의 스트랩(31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와이어(200)는 보빈(130)의 관통공(14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보빈(130)이 회전하면 보빈(130)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두상 형태나 두상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와이어(200)의 총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와이어(200)가 최대한 풀려 있는 길이를 사용자가 미리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와이어(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다이얼(120) 및 보빈(130)의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적어도 한번 이상 보빈(130)에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200)는 보빈(130)의 관통공(140)을 한번 통과한 상태에서 보빈(130)에 적어도 한번 이상 감기고 다시 보빈(130)의 관통공(140)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와이어(200)가 관통공(140)을 통과하고 다시 관통공(140)을 통과하기 전까지 보빈(130)에 감기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 가능한 와이어(200)의 총 길이를 미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어느 한 사용자가 면체 마스크의 와이어(200)를 조이는 상황에서, 안면 마스크(300)의 어떤 스트랩(310)에 연결된 와이어(200)인지에 따라 조여지는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상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와이어(200)와 두상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와이어(200)는 비록 하나의 다이얼(12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더라도 조여지는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비록 사용자가 하나의 다이얼(120)을 조절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해당 면체 마스크에 마련된 각각의 와이어(200)들에는 보빈(130)으로부터 서로 다른 힘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각각의 와이어(200)들이 보빈(130)에 감기는 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는 다이얼(120)의 회전시 제1 와이어(201)가 제1 보빈(131)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제2 와이어(202)가 제2 보빈(132)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제1 보빈(131)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1 기어(151)의 톱니 개수와 제2 보빈(132)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2 기어(152)의 톱니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다이얼(120)을 회전시키더라도 맞물린 기어의 회전비가 다르기 때문에 제1 보빈(131)과 제2 보빈(132)의 회전비도 다르고, 제1 와이어(201) 및 제2 와이어(202)는 서로 다른 길이만큼 감길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보빈(131) 및 제2 보빈(132)의 외주연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는 다이얼(120)의 회전시 제1 와이어(201)가 제1 보빈(131)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제2 와이어(202)가 제2 보빈(132)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제1 와이어(201)가 감기는 제1 보빈(131)의 외주연 직경은 제2 와이어(202)가 감기는 제2 보빈(132)의 외주연 직경과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다이얼(120)을 회전시키고, 각 보빈(130)의 회전비가 같더라도 각 보빈(130)의 외주연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제1 와이어(201) 및 제2 와이어(202)는 서로 다른 길이만큼 감길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51)의 톱니 개수 및 제2 기어(152)의 톱니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르더라도 무방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제거한 상태의 다이얼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와이어(200)는 하나의 보빈(130)에 형성된 관통공(140)을 통과하고, 와이어(200)의 양 끝단은 각각 하우징(110)에 마련된 별개의 홀을 관통하여 각각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된 와이어(200)의 양 끝단은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락 장치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다이얼(120)을 돌려서 면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라면, 와이어(200)가 감긴 보빈(130), 기어 등이 고정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면체 마스크를 이용하고 있는 급박한 상황에서는 아주 약간의 충격이나 힘이 다이얼(120)에 가해지더라도 조여진 와이어(200)가 풀리지 않아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이얼(120)은 보빈(130)을 향한 방향으로 눌러지거나, 보빈(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다이얼(120)이 보빈(130)을 향해 눌러진 누름 상태 및 다이얼(120)이 보빈(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보빈(130)은 다이얼(120)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다이얼(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 어셈블리(1)는 누름 상태 및 당김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가 아닌 고정 상태에서, 보빈(130)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어셈블리(1)의 보빈(130)이 회전 가능한 상태는 누름 상태 및 당김 상태 중 하나만 존재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스트랩 어셈블리(1)는 보빈(130)이 회전 가능한 누름 상태 및 보빈(130)이 고정된 고정 상태로서 두 개의 상태가 존재할 수 있고, 보빈(130)이 회전 가능한 당김 상태 및 보빈(130)이 고정된 고정 상태로서 두 개의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스트랩 어셈블리(1)는 보빈(130)이 회전 가능한 누름 상태와 당김 상태 및 보빈(130)이 고정된 고정 상태로서 3개의 상태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다이얼락 장치(100)는 다이얼 기어(121) 및 고정 장치(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기어(121)는 톱니가 마련되고, 다이얼(120)에 연결되어 다이얼(120)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일 수 있다.
고정 장치(111)는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고, 고정 상태에서, 다이얼 기어(121)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이얼락 장치(100)는 누름 상태 및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이얼 기어(121)와 고정 장치(111)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용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1)는 다이얼락 장치(100)의 내부적인 와이어 조절을 통해 미리 면체 마스크의 크기를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하우징(110)을 분해해야 가능한 크기 조절이라 보다 즉각적인 면체 마스크의 크기 조절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면 마스크(300)의 스트랩(310)에는 길이 조절용 클립(320)이 마련될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의 와이어(200)의 끝단은 안면 마스크(300)의 길이 조절용 클립(3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길이 조절용 클립(320)은 사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와이어(200)가 끼워지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10) 내부의 와이어(200)가 보빈(130)의 감긴 형태를 변경시키는 방법 또는 길이 조절용 클립(320)과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면체 마스크의 크기를 미리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트랩 어셈블리(1)는 스위치부(160), 구동부(170) 및 센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의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다이얼(120)을 돌려서 와이어(200)를 감고, 면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1)의 모드가 자동 모드이면, 사용자가 직접 다이어를 돌리지 않더라도 스트랩 어셈블리(1)는 자동으로 와이어(200)가 보빈(130)에 감겨서 사용자의 안면과 안면 마스크(30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구동부(170)는 자동 모드시에 다이얼(120)과 보빈(130)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모드에서 구동부(170)가 다이얼(120)과 보빈(130)을 회전 구동하여 안면 마스크(300)가 사용자의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면 더 이상 와이어(200)를 감지 않도록 보빈(130)의 회전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해야 한다.
센서부(180)는 와이어(200)의 장력을 측정하고, 와이어(200)에 설정된 장력이 감지되면 구동부(170)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스트랩 어셈블리
100: 다이얼락 장치
110: 하우징
111: 고정 장치
120: 다이얼
121: 다이얼 기어
130: 보빈
131: 제1 보빈
132: 제2 보빈
140: 관통공
151: 제1 기어
152: 제2 기어
160: 스위치부
170: 구동부
180: 센서부
200: 와이어
201: 제1 와이어
202: 제2 와이어
300: 안면 마스크
310: 스트랩
320: 길이 조절용 클립

Claims (13)

  1.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마스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마스크에 마련되는 다수의 스트랩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안면 마스크의 밀착을 조절하는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락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이 상기 보빈을 향해 눌러진 누름 상태 및 상기 다이얼이 상기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보빈은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다이얼과 결합되고,
    상기 누름 상태 및 상기 당김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가 아닌 고정 상태에서, 상기 보빈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락 장치는:
    상기 다이얼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과 함께 회전하는 다이얼 기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상태 및 상기 당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 기어와 상기 고정 장치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보빈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다이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보빈에서 상기 와이어가 풀리는 스트랩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상기 보빈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일측의 스트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타측의 스트랩으로 연결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제1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스트랩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다이얼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보빈과, 상기 제1 보빈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의 회전 작동시에 상기 제1 보빈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제2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트랩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제1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보빈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1 기어의 톱니 개수와 상기 제2 보빈의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제2 기어의 톱니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제1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기는 상기 제1 보빈의 외주연 직경은 상기 제2 와이어가 감기는 상기 제2 보빈의 외주연 직경과 상이하게 마련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면 마스크의 스트랩에 마련된 길이 조절용 클립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용 클립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트랩 어셈블리.
  11.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자동 모드시에 상기 다이얼과 상기 보빈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고, 상기 와이어에 설정된 장력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트랩 어셈블리; 및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 마스크를 포함하는 면체 마스크.
KR1020210141475A 2021-10-22 2021-10-22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KR10266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75A KR102663710B1 (ko) 2021-10-22 2021-10-22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75A KR102663710B1 (ko) 2021-10-22 2021-10-22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72A true KR20230057572A (ko) 2023-05-02
KR102663710B1 KR102663710B1 (ko) 2024-05-03

Family

ID=863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75A KR102663710B1 (ko) 2021-10-22 2021-10-22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7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53U (ja) * 1991-10-03 1993-04-20 興研株式会社 全面マスク用ネツトハーネス
US6418929B1 (en) * 2000-09-18 2002-07-16 Suzanne H. Norfleet Infant oxygen mask
US20060283461A1 (en) * 2004-12-24 2006-12-21 Resmed Limited Mask system
KR2016008219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특별시 다기능 안전면체
KR102075106B1 (ko) * 2019-01-28 2020-02-10 전라남도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KR102097425B1 (ko) * 2019-04-08 2020-04-06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20210088322A (ko)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착용이 용이한 공기호흡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53U (ja) * 1991-10-03 1993-04-20 興研株式会社 全面マスク用ネツトハーネス
US6418929B1 (en) * 2000-09-18 2002-07-16 Suzanne H. Norfleet Infant oxygen mask
US20060283461A1 (en) * 2004-12-24 2006-12-21 Resmed Limited Mask system
US20120145158A1 (en) * 2005-06-06 2012-06-14 Resmed Limited Mask system
KR2016008219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특별시 다기능 안전면체
KR102075106B1 (ko) * 2019-01-28 2020-02-10 전라남도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KR102097425B1 (ko) * 2019-04-08 2020-04-06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20210088322A (ko)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착용이 용이한 공기호흡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710B1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9081B1 (en) Adjustable mask
US6446936B1 (en) Safety apparatus for horizontal lifeline
AU2006236899B2 (en) Supplied air respirator that has an adjustable length hose
TW436304B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US9913999B2 (en) Retracting lifeline systems for use in tie-back anchoring
GB2478305A (en) Breathing mask tensioning mechanism
KR20180113443A (ko) 산소순환호흡장치
US6672428B2 (en) Personal descent apparatus
KR20230057572A (ko)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US8584672B2 (en) Protective hood
KR200425822Y1 (ko)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CN207237103U (zh) 一种防烟面具
KR102402100B1 (ko)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KR20210088322A (ko) 착용이 용이한 공기호흡 마스크
JP4580083B2 (ja) 呼吸器
CN208003282U (zh) 一种陶瓷纤维灭火毯
CN103458722A (zh) 用于自携式呼吸装置的改进的气缸夹具
KR102344377B1 (ko) 개인 비상용 산소호흡기
CN212141189U (zh) 一种头戴式呼吸设备
KR20220000712U (ko) 간편 조임 방식의 끈 조임부재를 이용한 공기호흡기 면체
AU2008203484A1 (en) Adjustable mask
GB2275613A (en) Breathing apparatus with quick-fire gas releasing device
KR102412019B1 (ko) 산소 호흡기용 산소 수납 주머니
AU2002319607A1 (en) Adjustable mask
RU2422173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