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25B1 -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 Google Patents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25B1
KR102097425B1 KR1020190040853A KR20190040853A KR102097425B1 KR 102097425 B1 KR102097425 B1 KR 102097425B1 KR 1020190040853 A KR1020190040853 A KR 1020190040853A KR 20190040853 A KR20190040853 A KR 20190040853A KR 102097425 B1 KR102097425 B1 KR 10209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module
infant
function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04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4Babies' 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춤의 단추와 결속하고 비콘모듈(112)과 GPS(113)를 구비한 하단케이스(110)와, 비상버튼(121)과 LED모듈(122)과 사운드모듈(123)이 형성된 상단케이스(120)와, 프리락(131)과 권취구(132)를 구비한 프리락 길이조절부(130)와, 허리춤의 절개홈에 삽입되는 고정부(140)와, 권취구(132)와 고정부(140)를 연결하는 스트링(150)과,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60)로 구성되어서, 프리락 길이조절부(130)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연동구성에 의해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Pant for Infan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Missing Child and Function of Regulating Length in Waist Circumference}
본 발명은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락 길이조절부에 의한 다이얼의 수동회전 또는 센서에 의한 스트링 장력 감지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과 사용자단말기 연동구성에 의해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여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IT기술과, 비콘 또는 GPS를 활용한 와이파이/블루투스 무선통신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서, 미아찾기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7687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영유아용 스마트 신발 및 관리방법은, 통신망과,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통합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유아가 착용하는 신발본체, 신발본체 일측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G센서, BLE IC, 안테나 및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에 G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유아의 걸음수 정보값과 사용자단말기와 신발본체간의 거리값을 전송하는 걸음감지부재를 포함하며, 무선통신모듈은 G센서를 통한 걸음수와 거리를 사용자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며, G센서에 의해 유아의 걸음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기와의 거리를 산출하여 유아의 신발 분실 유무와 신발 위치를 사용자단말기의 표시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한다.
하지만, 걸음걸이를 통해 대략적인 거리는 인식할 수 있으나, 이동방향을 정확히 식별할 수 없고 차량을 통한 이동 또는 유괴시에는 걸음걸이를 통해 미아상태를 식별할 수 없어서, 미아방지기술로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이에, 진보된 무선통신기술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하여, 항상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시 거부감이 없도록 하며, 이동거리에 따른 단계별로 경고정보를 제공하고, 미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7687호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영유아용 스마트 신발 및 관리방법, 2018.04.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01533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 2017.12.2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06715호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2018.10.10)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보된 무선통신기술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하여, 항상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시 거부감이 없도록 하며, 이동거리에 따른 단계별로 경고정보를 제공하고, 미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단추에 결속되는 결속홈이 저면에 형성되고, 근거리통신가능하고 주기적인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모듈과 GPS가 내측에 형성된 원형의 하단케이스; 상기 하단케이스와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면에 비상버튼과 LED모듈과 사운드모듈이 형성된 상단케이스; 상기 하단케이스와 상기 상단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단케이스 및 상기 상단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슬림방지요홈부가 배열된 다이얼형태의 프리락과, 상기 프리락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프리락 길이조절부;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를 고정하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상기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일측이 상기 권취구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연장하여 상기 고정부의 결합구를 감싸 돌아서 타측이 상기 하단케이스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삽입하여 상기 하단케이스에 고정되는 스트링; 및 미아방지관련 앱이 설치된 보호자의 사용자단말기와 페어링하여,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비콘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상기 미아방지관련 앱에 의해 단계별로 설정된 특정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비콘모듈의 위치를 지도정보상에 단계별로 맵핑하여 표시하고, 상기 비콘모듈로부터의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LED모듈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락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비콘모듈과 사용자단말기 연동구성에 의해 단계별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미아방지관련 앱은, 상기 비콘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거리 또는 상기 비콘모듈로부터의 상기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인접하여 동반하는 동반존과,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세이프존과, 육안으로 확인불가능하지만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상기 비콘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계존과,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상기 비콘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미싱존으로 설정되고, 상기 해당 존별로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GPS에 의한 상기 비콘모듈의 위치를 지도정보상에 맵핑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인식하는 상기 비콘모듈의 비콘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신호인식정보를 클라우드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웹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신호인식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락 길이조절부는 상기 프리락에 인가되는 상기 스트링의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프리락을 회전구동하는 소형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소형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영유아 바지의 착의시, 상기 모터구동버튼의 푸시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스트링의 특정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특정 장력까지 상기 스트링을 감아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유아 바지의 상기 단추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결속홈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호 착탈식으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홈으로의 상기 단추의 삽입시, 상기 프리락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속홈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단추의 저면을 커버하여, 상기 단추의 상기 결속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모듈은 사운드기반의 저주파비콘, LED비콘, 와이파이비콘 또는 블루투스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케이스의 저면에는 원형의 정보표시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보호자 연락처와 영유아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락 길이조절부에 의한 다이얼의 수동회전 또는 센서에 의한 스트링 장력 감지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과 사용자단말기 연동구성에 의해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여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단추와 하단케이스와의 결속 및 해제를 편리하게 하며, 필요시 단추와 하단케이스와의 결속을 고정시키고, 미아발생시, 클라우드웹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이동예측정보로 활용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호자 연락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주요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에 의한 미싱방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와 클라우드웹서버와의 연동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프리락길이조절부의 내부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주요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에 의한 미싱방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와 클라우드웹서버와의 연동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프리락길이조절부의 내부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는, 전체적으로, 허리춤의 단추와 결속하고 비콘모듈(112)과 GPS(113)를 구비한 하단케이스(110)와, 비상버튼(121)과 LED모듈(122)과 사운드모듈(123)이 형성된 상단케이스(120)와, 프리락(131)과 권취구(132)를 구비한 프리락 길이조절부(130)와, 허리춤의 절개홈에 삽입되는 고정부(140)와, 권취구(132)와 고정부(140)를 연결하는 스트링(150)과,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60)로 구성되어서, 프리락 길이조절부(130)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연동구성에 의해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하단케이스(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단추(미도시)가 삽입 결속되는 결속홈(111)이 저면에 형성되고, 근거리통신가능하고 주기적인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모듈(112)과 GPS(113)가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는 단추와 절개홈이 형성되고, 단추와 절개홈에 의해 착용시 상호 고정되어 허리띠의 역할을 대체한다.
또한, 비콘모듈(112)은 사운드기반의 저주파비콘, LED비콘, 와이파이비콘 또는 블루투스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단케이스(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케이스(110)와 대향하여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비상버튼(121)과 LED모듈(122)과 사운드모듈(123)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LED모듈(122)은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영유아 바지와의 이물감없이, 특정색상의 광을 조사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영유아에게 흥미를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프리락 길이조절부(130)는, 하단케이스(110)와 상단케이스(120)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스(110,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슬림방지요홈부(133)가 배열된 다이얼형태의 프리락(131)과, 프리락(13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권취구(132)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락(131)은 톱니형상의 회전구(131a)와, 회전구(131a)의 일측과 접촉하는 걸림구(131b)와, 걸림구(131b)의 회전축(131c)과, 버튼구(131d)와, 버튼구(131d)를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미도시)로 구성되어, 프리락본체의 회전에 의해 스트링(150)의 일측이 감기고 걸림구(131b)에 의해 회전구(131a)의 역회전이 제한되고, 버튼구(131d)의 푸시에 의해 회전구(131a)와 걸림구(131b)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링(150)이 풀리도록 하여서, 허리둘레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고정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구(141)와, 체결구(141)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구(141)를 고정하는 연결구(미도시)로 구성되고, 연결구가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음, 스트링(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권취구(132)에 고정되고, 하단케이스(110)의 일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연장하여 고정부(140)의 결합구를 감싸 돌아서, 타측이 하단케이스(110)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삽입하여 하단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다음, 제어모듈(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아방지관련 앱이 설치된 보호자의 사용자단말기(200)와 페어링하여, 비콘모듈(11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강도에 따라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미아방지관련 앱에 의해 단계별로 설정된 특정 거리를 초과하면, 비콘모듈(112)의 위치를 지도정보상에 단계별로 맵핑하여 표시하고, 비콘모듈(112)로부터의 비콘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LED모듈(122) 또는 사운드모듈(123)을 구동하여 경고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아방지관련 앱은,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의 거리 또는 비콘모듈(112)로부터의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보호자가 영유아를 인접하여 동반하는 동반존(company zone)(A)과, 떨어져 있어도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세이프존(safe zone)(B)과, 육안으로 확인불가능하지만 비콘모듈(112)로부터 비콘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계존(boundary zone)(C)과, 비콘모듈(112)로부터 비콘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미싱존(missing zone)(D)으로 설정되고, 해당 존별로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고, GPS(113)에 의한 비콘모듈(112)의 위치를 위치기반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를 활용하여 지도정보상에 맵핑하여 영유아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프리락 길이조절부(130)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112)과 사용자단말기(200) 연동구성에 의해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가 인식하는 비콘모듈(112)의 비콘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신호인식정보를 클라우드웹서버(300)로 전송하고, 클라우드웹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신호인식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여서, 각 비콘모듈별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추후 미아발생시 클라우드웹서버(30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락 길이조절부(130)는 프리락(131)에 인가되는 스트링(150)의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134)와, 프리락(131)을 회전구동하는 소형모터(135)를 구비하며, 상단케이스(120)의 상면에는 소형모터(135)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버튼(124)이 형성되고, 영유아 바지의 착의시, 모터구동버튼(124)의 푸시에 의해 센서(134)에 의해 스트링(150)의 특정 장력을 감지하여 특정 장력까지 스트링(150)을 감아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 바지의 단추는 네오디움의 자성체로 형성되고, 하단케이스(110)의 결속홈(1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인력에 의해 상호 착탈식으로 결속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홈(111)으로의 단추의 삽입시, 프리락(131)의 회전에 의해 결속홈(111)의 측면으로부터 결속구(114)가 내측으로 노출되어 단추의 저면을 커버하여, 단추의 결속홈(11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단케이스(110)의 저면에는 원형의 정보표시 디스플레이(115)가 형성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미아방지관련 앱에 의해 설정된 보호자 연락처와 영유아 정보를 제어모듈(16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115)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여서, 미아발생시, 디스플레이(115)에 표시된 보호자 연락처와 영유아 정보를 확인하여 보호자에게 연락하거나 인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5)가 하단케이스(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평상시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공개되지 않도록 하고, 미아발생시에만 하단케이스(110)의 저면의 디스플레이(115)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결속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영유아 바지 또는 치마에도 교체적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의 구성에 의해서, 프리락 길이조절부에 의한 다이얼의 수동회전 또는 센서에 의한 스트링 장력 감지에 의해,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비콘모듈과 사용자단말기 연동구성에 의해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여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단추와 하단케이스와의 결속 및 해제를 편리하게 하며, 필요시 단추와 하단케이스와의 결속을 고정시키고, 미아발생시, 클라우드웹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이동예측정보로 활용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호자 연락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하단케이스 111 : 결속홈
112 : 비콘모듈 113 :GPS
114 : 결속구 115 : 디스플레이
120 : 상단케이스 121 : 비상버튼
122 : LED모듈 123 : 사운드모듈
124 : 모터구동버튼 130 : 프리락 길이조절부
131 : 프리락 131a : 회전구
131b : 걸림구 131c : 회전축
131d : 버튼구 132 : 권취구
133 : 슬림방지요홈부 134 : 센서
135 : 소형모터
140 : 고정부 141 : 체결구
150 : 스트링 160 : 제어모듈
200 : 사용자단말기 300 : 클라우드웹서버

Claims (8)

  1.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단추에 결속되는 결속홈이 저면에 형성되고, 근거리통신가능하고 주기적인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모듈과 GPS가 내측에 형성된 원형의 하단케이스;
    상기 하단케이스와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면에 비상버튼과 LED모듈과 사운드모듈이 형성된 상단케이스;
    상기 하단케이스와 상기 상단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단케이스 및 상기 상단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슬림방지요홈부가 배열된 다이얼형태의 프리락과, 상기 프리락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프리락 길이조절부;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를 고정하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상기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일측이 상기 권취구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연장하여 상기 고정부의 결합구를 감싸 돌아서 타측이 상기 하단케이스의 타측으로 관통하여 삽입하여 상기 하단케이스에 고정되는 스트링; 및
    미아방지관련 앱이 설치된 보호자의 사용자단말기와 페어링하여,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비콘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상기 미아방지관련 앱에 의해 단계별로 설정된 특정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비콘모듈의 위치를 지도정보상에 단계별로 맵핑하여 표시하고, 상기 비콘모듈로부터의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LED모듈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락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영유아 바지의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조절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비콘모듈과 사용자단말기 연동구성에 의해 단계별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방지관련 앱은, 상기 비콘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거리 또는 상기 비콘모듈로부터의 상기 비콘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인접하여 동반하는 동반존과,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세이프존과, 육안으로 확인불가능하지만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상기 비콘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계존과, 상기 비콘모듈로부터 상기 비콘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미싱존으로 설정되고, 상기 해당 존별로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GPS에 의한 상기 비콘모듈의 위치를 지도정보상에 맵핑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인식하는 상기 비콘모듈의 비콘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신호인식정보를 클라우드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웹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신호인식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락 길이조절부는 상기 프리락에 인가되는 상기 스트링의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프리락을 회전구동하는 소형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소형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영유아 바지의 착의시, 상기 모터구동버튼의 푸시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스트링의 특정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특정 장력까지 상기 스트링을 감아 허리춤의 허리둘레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바지의 상기 단추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결속홈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호 착탈식으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으로의 상기 단추의 삽입시, 상기 프리락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속홈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단추의 저면을 커버하여, 상기 단추의 상기 결속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사운드기반의 저주파비콘, LED비콘, 와이파이비콘 또는 블루투스비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케이스의 저면에는 원형의 정보표시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보호자 연락처와 영유아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1020190040853A 2019-04-08 2019-04-08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10209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53A KR102097425B1 (ko) 2019-04-08 2019-04-08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53A KR102097425B1 (ko) 2019-04-08 2019-04-08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25B1 true KR102097425B1 (ko) 2020-04-06

Family

ID=7028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53A KR102097425B1 (ko) 2019-04-08 2019-04-08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KR20230057572A (ko) * 2021-10-22 2023-05-02 경상남도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105A (ko) * 2008-11-21 2012-03-21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196104B1 (ko) * 2012-01-30 2012-11-01 박태교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
KR101722233B1 (ko) * 2015-11-19 2017-04-12 주식회사 에스트론 벨트형 rfid 리더 및 이를 이용하는 분실 또는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70116455A (ko)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벨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801533B1 (ko) 2016-12-19 2017-12-28 전광식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
KR20180037687A (ko)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씨유엠앤비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영유아용 스마트 신발 및 관리방법
KR101906715B1 (ko) 2017-03-23 2018-10-10 전광식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KR101908640B1 (ko) * 2018-04-04 2018-10-1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글로벌 미아 방지 및 화상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류 및 장신구
KR20190035239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네오팝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105A (ko) * 2008-11-21 2012-03-21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196104B1 (ko) * 2012-01-30 2012-11-01 박태교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
KR101722233B1 (ko) * 2015-11-19 2017-04-12 주식회사 에스트론 벨트형 rfid 리더 및 이를 이용하는 분실 또는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70116455A (ko)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벨트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7687A (ko)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씨유엠앤비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영유아용 스마트 신발 및 관리방법
KR101801533B1 (ko) 2016-12-19 2017-12-28 전광식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
KR101906715B1 (ko) 2017-03-23 2018-10-10 전광식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KR20190035239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네오팝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KR101908640B1 (ko) * 2018-04-04 2018-10-1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글로벌 미아 방지 및 화상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류 및 장신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572A (ko) * 2021-10-22 2023-05-02 경상남도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KR102663710B1 (ko) * 2021-10-22 2024-05-03 경상남도 다이얼락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랩 어셈블리 및 면체 마스크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25B1 (ko)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US9654917B2 (en) Geolocation bracelet, system, and methods
US9269252B2 (en) Man down detector
US8937554B2 (en) Low power location-tracking device with combined short-range and wide-area wireless and location capabilities
US5557259A (en) Proximity alert and direction indicator
US6396403B1 (en) Child monitoring system
US10044847B2 (en)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US20050253727A1 (en) Child alert system
ES2959432T3 (es) Sistema de detección de seguridad de personal
WO2009105243A2 (en) Position monitoring system
US20160249815A1 (en) Safety system
CN111585866A (zh) 马拉松赛事计时及即时事故通知方法及其系统
US20180178757A1 (en)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78556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leepwalking
KR20150104666A (ko) 위치 확인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KR2019003523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KR20190035214A (ko) 스마트 밴드
EP4154801A1 (en) Sensor device
US20210330257A1 (en) Connected bracelet type device for individual monitoring and method for monitoring a user
KR20160001136A (ko) 위치 및 이동 방식을 추적할 수 있는 신발 및 이를 거치하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US9767694B1 (en) Intoxicate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EP2587331B1 (en) Method for direction change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KR102398480B1 (ko) 앱과 연동하는 신발
EP3907716A1 (en)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