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15B1 -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15B1
KR101906715B1 KR1020170037019A KR20170037019A KR101906715B1 KR 101906715 B1 KR101906715 B1 KR 101906715B1 KR 1020170037019 A KR1020170037019 A KR 1020170037019A KR 20170037019 A KR20170037019 A KR 20170037019A KR 101906715 B1 KR101906715 B1 KR 10190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arer
standing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986A (ko
Inventor
전광식
Original Assignee
전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식 filed Critical 전광식
Priority to KR102017003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7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6Advertising carried by a person, e.g. carried on the shou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2005/108Accessories
    • A45F2005/1093Labels, logos or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83Safety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대상자의 소지품이나 신체 등에 보호자와 와이어를 연결하지 않고도 자신이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특히 보호대상자가 착용한 후 보호대상자가 전후좌우로 기울이는 움직임에도 식별용 깃발대가 항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는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LOCATION CONFIRM APPARATUS FOR MISSING CHILD PREVENTION}
본 발명은 미아방지를 위해 보호대상자가 착용한 후 보호대상자가 전후좌우로 기울이는 움직임에도 식별용 깃발대가 항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보호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인파가 모이는 놀이공원이나 특히, 대형 마트 등지에서 잠깐의 방심한 사이에 같이 동행한 어린이와 뜻하지 않게 헤어지게 됨에 따라 미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아를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의 일환으로 팔찌나 목걸이 등에 어린이의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기재하는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어린이를 잃어버릴 경우 수동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또 다른 수단의 일환으로 발신기와 수신기를 이용하여 부모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면 경보가 울리게 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어린이를 잃어버릴 경우 경보만 울리 뿐 어린이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어린이를 찾기란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위치 추적기 등을 어린이에게 소지시켜 위치 추적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원이 꺼져 있을 경우 무용지물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동행하는 어린이가 부모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하는 수단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13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안전띠가 스프링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되풀이되며, 일단에는 어린이의 옷이나 손 등에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고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휴대 시 바지 고리나 가방 고리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9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가방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고 타단은 부모(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 마련되어 가방을 멘 어린이(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스트립을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미아방지를 위해 아이와 연결된 와이어(밴드포함) 등에 의해 많은 인파가 모여 있는 공공장소에서 사용 시, 다른 사람의 통행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그 와이어에 의해 2차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1346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908호
본 발명은 보호대상자의 소지품이나 신체 등에 보호자와 와이어를 연결하지 않고도 자신이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미안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호대상자가 착용한 후 보호대상자가 전후좌우로 기울이는 움직임에도 식별용 깃발대가 항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는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는,
소정높이를 갖되 상부에 표식수단이 구비된 위치확인부재와, 탈착 가능한 밴드부재에 의해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위치확인부재와 자유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재 내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재의 각도와 상관없이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항시 기립(起立)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하여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서도 상기 표식수단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두 분체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착용부재와 자유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내부에는 상기 무게추가 결합하는 기립체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는 상기 기립체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표식수단이 구비되는 깃발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부재는 일측이 상기 위치확인부재와 전후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체와, 상기 밴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착용자에게서 분리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착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가 상기 무게추에 의해 좌우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상기 착용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는,
보호대상자가 보호자와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이동하여도 깃발대에 구비된 표식수단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되, 그 식별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기립체 내부에 무게추를 삽입하고, 상기 기립체 상부는 회전축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깃발대가 항시 수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호대상자가 어떠한 자세로 기울이거나 엎드려 있어도 용이하게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보호대상자가 전후 뿐만 아니라 좌우로 기울이는 움직임에도 식별용 깃발대가 항시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기립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무게추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깃발대에 따른 제1실시예인 제1기둥체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깃발대에 따른 제2실시예인 제2기둥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착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대한 밴드부재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전후 회전 동작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설치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도면.
도 15는 도 13의 "B"에 대한 요부 확대 도면.
도 16은 도 13의 "B"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도면.
도 17은 커버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의 좌우 회전 동작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1)는,
크게 위치확인부재(100) 및 착용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위치확인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른(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유아(幼兒), 소아(小兒) 및 아동(兒童) 등의 보호대상자(착용자)를 사람들이 많은 공공장소 등에서 쉽게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립체(110) 및 깃발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립체(1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로 분리 형성되어 후술하는 깃발대(120)는 물론, 무게추(W)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립체(110)를 형성하는 제1 또는 제2몸체(111,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보호대상자나 보호자 등의 신원을 알 수 있게 식별정보(130)가 인쇄된 인쇄지나 수기(手記)작성이 가능한 백색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식별정보(130)는 전화번호, 성명(보호자/보호대상자), 주소, 비상연락망 등이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기립체(110)는 필요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제1 및 제2몸체(111,112)로 구성되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몸체(1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립체(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결합기둥(113), 제1끼움부(115) 및 제1회전공(11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기둥(113)은 제1몸체(111)의 내면에서 소정거리 이웃하게 한 쌍이 돌출 형성되되 무게추(W)에 천공 형성된 삽입공(W1)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삽입하여 상기 무게추(W)가 기립체(11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아울러 각각의 상기 결합기둥(1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몸체(112)의 구성인 끼움봉(114)이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부(115)는 제1몸체(111)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제1기둥(123) 또는 제2기둥(124) 하부가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끼움부(115) 하부에는 제1기둥(123) 또는 제2기둥(124)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28,129)과 끼움 결합하는 고정구(119)가 형성되어 깃발대(120)가 기립체(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아울러 상기 제1끼움부(115) 외면에는 기립체(110)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회전축(213)이 관통 삽입되어 기립체(11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반원형상의 제1관통공(115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공(115a)은 회전축(213)의 길이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며, 후술하는 제2관통공(116a)과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천공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공(117)은 상술한 제1관통공(115a)과 서로 마주보게 제1몸체(111)의 상부 양측에 반원형상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며, 회전축(213)이 관통 삽입되어 기립체(110)가 무게추(W)에 의해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회전공(117)의 지름은 회전축(21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무게추(W)의 중량에 의해 기립체(110)가 상기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하며, 제1회전공(117)은 후술하는 제2회전공(118)과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천공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몸체(1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체(1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술한 제1몸체(111)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기립체(110)가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봉(114), 제2끼움부(116) 및 제2회전공(11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끼움봉(114)은 결합기둥(113)과 대향되게 제2몸체(112)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기둥(113)에 형성된 홈과 끼움 결합하여 기립체(110)가 회전 시에 무게추(W)가 기립체(11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끼움부(116)는 상술한 제1끼움부(115)와 대향되게 제2몸체(112)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끼움부(115)와 함께 제1기둥(123) 또는 제2기둥(124) 하부가 형상맞춤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끼움부(116) 외면에는 기립체(110)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회전축(213)이 관통 삽입되어 기립체(11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술한 제1관통공(115a)과 서로 마주보게 반원형상의 제2관통공(116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공(116a)은 회전축(213)의 길이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상기 제2회전공(118)은 상술한 제1회전공(117)과 서로 마주보게 제2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반원형상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며, 회전축(213)이 관통 삽입되어 제1회전공(117)과 함께 기립체(110)가 무게추(W)에 의해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회전공(118)의 지름은 회전축(213)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무게추(W)의 중량에 의해 기립체(110)가 상기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깃발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식수단(F)을 통해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서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실시예인 제1기둥체(121) 또는 제2실시예인 제2기둥체(1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실시예는 제1기둥(123)의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인 것을 의미하며, 제2실시예는 제2기둥(124)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먼저 제1실시예인 제1기둥체(121)는 제1기둥(123)과 제1연장철선(12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기둥(123)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일체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는 상술한 제1 및 제2끼움부(115,116) 내부에 삽입되어 기립체(110) 외부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제1기둥(123) 상부에는 제1연장철선(125)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철선(125) 하부에는 홈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재질의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철선(125)은 소정길이를 갖되 외부충격에 의해 부러지지 않도록 탄력이 있는 금속 재질(철사 등)의 것이 사용되며, 외면에는 표식수단(F)이 구비되어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도 1 참조)
아울러 상기 표식수단(F)은 상술한 제1연장철선(125)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연장철선(126) 외면에도 구비되며, 상기 표식수단(F)은 단색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깃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연장철선(125) 상부에는 상기 제1연장철선(125)의 뾰족한 끝단에 의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안전커버(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전커버(127) 내부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 가능한 램프(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특히, 야간에 본원발명인 위치확인장치(1)를 착용하고 있는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보호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커버(127) 외면에는 링 형태의 고리(127a)가 형성되어 방울 등과 같은 음향 효과가 있는 물건을 사용함으로써,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자의 간격을 소리로 유추하여 미아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다.
이때, 안전커버(127)는 야간에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램프가 아닌, 상기 안전커버(127) 외면에 도포하는 방식의 형광물질을 통해 보호자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자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람수단(미도시)이 기립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미아방지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깃발대(120)의 제1실시예인 제1기둥체(121)는 기립체(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기둥(123) 상부에 표식수단(F)이 구비된 제1연장철선(125)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보호자는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인 제2기둥체(122)는 제2기둥(124) 및 제2연장철선(12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기둥(124)은 다수의 분체들이 흡사, 안테나와 같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서로 뽑거나 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기둥체(122)의 높이 즉,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분체로 이루어진 제2기둥(124)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분체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124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연장철선(126)이 상기 통공(124a)을 통해 제2기둥(124)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표식수단(F)에 의한 보호대상자의 위치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2연장철선(126)은 상술한 제1연장철선(125)과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평상 시(미사용 시)에는 제2기둥(124)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며, 사용 시(보호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둥(124) 외부로 수직으로 인출되어 외면에 구비된 표식수단(F)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연장철선(126) 하부에는 제2기둥(124)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시에 제2연장철선(126)이 상기 제2기둥(124)에서 분리되지 않게 인출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구(126a)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술한 안전커버(127)가 구비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인 제1기둥체(121)는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대신에 제1기둥(123)의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실내놀이터 등과 같은 외부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제2실기예인 제2기둥체(122)는 길이조절에 의해 표식수단(F)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야외 활동 시에 용이하게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재(2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위치확인부재(100)가 보호대상자에게서 이탈되지 않게 착용 가능하도록 하되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항시 수직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체(210) 및 착용체(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210)는 후술하는 착용체(220)와 기립체(1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기립체(110)가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결체(210)는 일측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로드(211) 사이에 기립체(1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한 쌍의 로드(211)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이어지게 구비되되 기립체(110) 상부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기립체(110)가 자유회전 할 수 있게 축 결합하는 회전축(213)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로드(211)에서 기립체(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13)은 필수적으로 기립체(110) 상부 즉, 상기 기립체(110) 양측에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회전공(117,118)을 통해 기립체(110)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기립체(110) 내부에 구비된 무게추(W)의 중량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신체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시 상술한 깃발대(120)가 수직으로 새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로드(211) 타측에는 후술하는 착용체(220)의 결합공(22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215)가 형성된다.
상기 착용체(22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에는 밴드부재(B)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밴드삽입공(2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밴드삽입공(223)은 다른 실시예로 판 형상의 착용체(220)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서로 이웃하게 더 천공 형성되어 밴드부재(B)에 의해 보호대상자가 어깨에 들쳐 매거나 허리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B)는 소정면적을 갖되 신축성이 있는 통상의 합성수지재로 짜여진 모직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호대상자가 착용 이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클(미도시) 등에 의해 보호대상자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보호자와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 위치하게 이동하여도 깃발대(120)에 구비된 표식수단(F)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되, 그 식별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기립체(110) 내부에 무게추(W)를 삽입하고, 상기 기립체(110) 상부는 회전축(213)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무게추(W)의 중량에 의해 깃발대(120)가 항시 수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호대상자가 어떠한 자세로 기울이거나 엎드려 있어도 용이하게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1)는 상기 연결체(210)가 상기 무게추(W)에 의해 좌우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상기 착용체(220)에 장착되도록 하는 설치수단(30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설치수단(3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210) 타측에 형성되는 샤프트(310)와,
상기 착용체(220) 일측에 전후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10)가 수용되는 설치공간부(320)와,
상기 설치공간부(320)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10)와 결합되는 베어링(330)과,
상기 샤프트(310)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340)과,
상기 착용체(220)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링(340)을 지지하게 되는 브래킷(350)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340)은 환형(環形)의 링 구조이고, 상기 샤프트(310) 단부 외주면을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상기 설치공간부(320)의 단턱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350)은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착용체(220)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링(340)을 지지하게 되며, 특히 상기 브래킷(350)에는 볼트의 헤드가 은닉되게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호대상자가 상기 착용체(220) 착용 시 보호대상자의 등 부위에 볼트의 헤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보호대상자가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를 매고 똑바로 서 있는 상태에서(도 18을 참조) 좌 또는 우로 신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착용체(220)는 보호대상자의 신체 이동 방향으로 함께 기울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샤프트(310)가 상기 베어링(330) 내에서 자유 회전함에 따라 아울러 상기 무게추(W)에 의해 상기 깃발대(120)가 항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도 19를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장치(1)는 커버부재(4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13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체(220) 일측에 좌우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100)의 기립체(110)와 상기 착용부재(200)의 연결체(210)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410)를 갖는 반구(半球)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상기 깃발대(120)가 통과되면서 전후로 절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20)와, 착용자 또는 보호자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식별정보(130)가 구비된다.
결국 상기 개구부(420)는 수직 형태로 절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별정보(130)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외표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기립체(110)에 구비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재(400) 하부가 투광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식별정보(130)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0)는 이의 타측에 단부가 확경된 원통 형상의 결합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착용체(2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대응결합부(220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400)와 상기 착용체(220) 간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400)의 자유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상기 커버부재(400)의 타측이 상기 연결체(21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체(210)와 함께 동작(좌우로 회전 운동)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깃발대(120)는
힌지축(110A)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 및 바텀 로드(110B, 110C)와,
상기 탑 및 바텀 로드(110B, 110C)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게 되는 홀딩부재(110D)
로 이루어진다.
이때에 도 15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바텀로드(110C) 보다 상기 탑로드(110B)의 직경이 작고,
도 15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110D)는 상기 탑로드(110B)에 슬라이딩 되게 끼워지고 내부에 상기 바텀로드(110C)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는, 즉 상기 탑 및 바텀 로드(110B, 110C)가 일차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110D)가 힌지축(110A)을 감싸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바텀로드(110C)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는 단턱부(110E)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텀로드(110C)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는 단턱부(110E)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110D)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나아가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탑로드(110B)가 분체힌지축(110F)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분체로드(110G)로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축(110A)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분체힌지축(110F)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체힌지축(110F)을 기준으로 2개의 분체로드(110G)중 상단의 분체로드(110G)를 한 번 더 폴딩시킴으로써, 상기 바텀로드(110C)와 함께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밴드삽입공(223)은 상기 착용체(220)의 좌우 상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재(B)는 2개의 밴드로 이루어져, 하나의 밴드가 좌측의 상하 밴드삽입공(223)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밴드가 우측의 상하 밴드삽입공(223)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됨으로써, 도 18에서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멜빵을 매듯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착용체(220)의 일면에 구비되어 GPS칩이 내장되는 수납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500)에는 GPS칩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1차 또는 2차 축전지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지도와 연동되는 어플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도록 하는 등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
100: 위치확인부재
110: 기립체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결합기둥 114: 끼움봉
115: 제1끼움부 116: 제2끼움부
117: 제1회전공 118: 제2회전공
119: 고정구
110A: 힌지축 110B: 탑로드
110C: 바텀로드 110D: 홀딩부재
110E: 단턱부 110F: 분체힌지축
110G: 분체로드
120: 깃발대
121: 제1기둥체 122: 제2기둥체
123: 제1기둥 124: 제2기둥
125: 제1연장철선 126: 제2연장철선
127: 안전커버 128,129: 고정홈
130: 식별정보
200: 착용부재
210: 연결체
211: 로드 213: 회전축
215: 결합구
220: 착용체
221: 결합공 223: 밴드삽입공
220A: 대응결합부
B: 밴드부재
F: 표식수단
W: 무게추
300: 설치수단
310: 샤프트
320: 설치공간부
330: 베어링
340: 고정링
350: 브래킷
400: 커버부재
410: 수용공간부
420: 개구부
430: 결합부
500 : GPS칩 수납부

Claims (4)

  1. 소정높이를 갖되 상부에 표식수단(F)이 구비된 위치확인부재(100)와, 탈착 가능한 밴드부재(B)에 의해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위치확인부재(100)와 자유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착용부재(200)를 포함하는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재(100) 내부에는 무게추(W)가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재(200)의 각도와 상관없이 상기 무게추(W)의 중량에 의해 항시 기립(起立)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하여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서도 상기 표식수단(F)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위치확인부재(100)는 두 분체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착용부재(200)와 자유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내부에는 상기 무게추(W)가 결합하는 기립체(110)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는 상기 기립체(110)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표식수단(F)이 구비되는 깃발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위치확인부재(100)와 전후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체(210)와, 상기 밴드부재(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위치확인부재(100)가 착용자에게서 분리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착용체(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210)가 상기 무게추(W)에 의해 좌우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상기 착용체(220)에 장착되도록 하는 설치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수단(300)은
    상기 연결체(210) 타측에 형성되는 샤프트(310)와,
    상기 착용체(220) 일측에 전후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10)가 수용되는 설치공간부(320)와,
    상기 설치공간부(320)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10)와 결합되는 베어링(330)과,
    상기 샤프트(310)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340)과,
    상기 착용체(220)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링(340)을 지지하게 되는 브래킷(35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체(220) 일측에 좌우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100)의 기립체(110)와 상기 착용부재(200)의 연결체(210)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410)를 갖는 반구(半球)형의 커버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상기 깃발대(120)가 통과되면서 전후로 절개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20)와, 착용자 또는 보호자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식별정보(1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대(120)는 힌지축(110A)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 및 바텀 로드(110B, 110C)와, 상기 탑 및 바텀 로드(110B, 110C)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게 되는 홀딩부재(110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KR1020170037019A 2017-03-23 2017-03-23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KR10190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19A KR101906715B1 (ko) 2017-03-23 2017-03-23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19A KR101906715B1 (ko) 2017-03-23 2017-03-23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86A KR20180107986A (ko) 2018-10-04
KR101906715B1 true KR101906715B1 (ko) 2018-10-10

Family

ID=6386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019A KR101906715B1 (ko) 2017-03-23 2017-03-23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7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25B1 (ko) 2019-04-08 2020-04-06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102639385B1 (ko) 2022-10-12 2024-02-21 김명진 Qr코드 타투 스티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36B1 (ko) 2018-09-10 2022-05-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Icb 조립체,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64Y1 (ko) * 2004-04-23 2004-07-31 전윤하 광고면을 갖는 자동차용 비회전 휠커버
KR200408935Y1 (ko) * 2005-11-11 2006-02-15 고경훈 구간 진동 광고판
KR100785734B1 (ko) * 2006-09-29 2007-12-18 레오스테크 주식회사 교통안전장치가 부착된 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64Y1 (ko) * 2004-04-23 2004-07-31 전윤하 광고면을 갖는 자동차용 비회전 휠커버
KR200408935Y1 (ko) * 2005-11-11 2006-02-15 고경훈 구간 진동 광고판
KR100785734B1 (ko) * 2006-09-29 2007-12-18 레오스테크 주식회사 교통안전장치가 부착된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25B1 (ko) 2019-04-08 2020-04-06 주식회사 상보아이엔티 미아방지기능과 허리둘레조절기능을 구비한 영유아 바지
KR102639385B1 (ko) 2022-10-12 2024-02-21 김명진 Qr코드 타투 스티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86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15B1 (ko) 미아방지용 자립형 위치확인장치
US20230333257A1 (en) Wireles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ong range radio frequency location tracking of objects
US202000202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tential drowning incident detection
US10098807B1 (en) Walking cane device
US20060062413A1 (en) Wired exercise garment and method
US20160098916A1 (en) Mobi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ES2841383T3 (es) Mejora de la seguridad en el ejercicio físico
US11443608B2 (en) Wearable devices
KR20170065589A (ko)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및 군중 제어 방법
CN107472483A (zh) 一种皮带式救生装置
CN106962994A (zh) 一种防跌倒护腰装置
CN109637078A (zh) 一种智能穿戴设备的异常监控方法
KR101801533B1 (ko) 미아방지용 위치확인장치
CN107801154A (zh) 移动装置提醒系统、管理系统以及对象管理方法
KR20180013353A (ko)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정보제공장치
CN107361418B (zh) 一种带定位功能的儿童衣服
GB0228309D0 (en) Baby alarm
CN109259354A (zh) 一种安全牢靠的老人防摔机构及其使用方法
US20160183603A1 (en) Child protection system and control functionality
CN109288162A (zh) 一种新型老人防摔机构及其使用方法
JP5281707B1 (ja) ステッキ
KR20180033484A (ko)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정보제공장치
CN107581756A (zh) 一种带有避障装置的书包
CN209220872U (zh) 一种盲人腰带
Kashyap et al. Review on child safety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