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00B1 -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 Google Patents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00B1
KR102402100B1 KR1020200033088A KR20200033088A KR102402100B1 KR 102402100 B1 KR102402100 B1 KR 102402100B1 KR 1020200033088 A KR1020200033088 A KR 1020200033088A KR 20200033088 A KR20200033088 A KR 20200033088A KR 102402100 B1 KR102402100 B1 KR 10240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sk
dial
control di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372A (ko
Inventor
남정수
신동범
김원호
우무홍
김민재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8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means for attaching respirators or breathing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모자 형상의 본체, 본체 또는 마스크에 구비되는 조절 다이얼, 와이어 및 마스크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와이어로 조절 다이얼과 마스크를 연결하거나, 본체와 조절 다이얼을 연결하고,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어 착용자의 얼굴형에 관계없이 손쉽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Mask Integrated Safety Helmet}
본 발명은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 형상의 본체, 본체 또는 마스크에 구비되는 조절 다이얼, 와이어 및 마스크를 포함하여, 와이어로 조절 다이얼과 마스크 또는 본체와 조절다이얼을 연결하되,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산업현장 또는 건축현장 등지에서 낙하물, 파편, 전기충격 또는 작업자의 추락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로서,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 착용끈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산업현장 또는 건축현장과 같이 분진이 많거나,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는 위험한 현장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는, 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안전모 외에도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경, 마스크, 방독면과 같은 기타 안전 장비들도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모와 기타 안전 장비들을 모두 착용하는 경우, 각각의 장비를 일일히 작업자에 맞게 조절하여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모두 장착하는 경우, 그 무게가 무거워지고, 부피가 커져 오히려 작업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모에 기타 안전 장비를 같이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는 안전모에 추가로 걸이구를 구비하거나, 밴드를 이용하여 외부에 장착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마스크 또는 보안경과 같은 간단한 장비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안전모를 벗는 과정에서 걸려있는 기타 안전 장비가 걸이구에서 떨어져 분실되거나, 파손의 위험이 있다.
종래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569호)은 오토바이 헬멧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를 부착구와 지지대를 이용하여 오토바이 헬멧에 부착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마스크의 위치 조절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거치대 “G 지지대의 구성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마스크의 위치 조절이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569호(2013.10.30.) 오토바이 헬멧용 마스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 형상의 본체, 본체 또는 마스크에 구비되는 조절 다이얼, 와이어 및 마스크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와이어로 조절 다이얼과 마스크를 연결하거나, 본체와 조절다이얼을 연결하고,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는, 모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다이얼과, 상기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 다이얼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과, 플랜지 보빈의 형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톱니와, 상기 권취톱니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부 중앙까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지나사 및 중앙에 상기 지지나사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나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톱니와 상기 고정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결합유닛과, 원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이얼손잡이 및 상기 다이얼손잡이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와 상기 권취톱니를 결합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조절 다이얼,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2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제2 조절 다이얼에 의하여 각각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한 개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마스크의 양 끝단과 상기 조절 다이얼을 연결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모자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 다이얼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과, 플랜지 보빈의 형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톱니와, 상기 권취톱니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부 중앙까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지나사 및 중앙에 상기 지지나사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나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톱니와 상기 고정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결합유닛과, 원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이얼손잡이 및 상기 다이얼손잡이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와 상기 권취톱니를 결합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 조절 다이얼, 상기 마스크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3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4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4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와이어 및 상기 제4 와이어는 상기 제3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제4 조절 다이얼에 의하여 각각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한 개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조절 다이얼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는 산업, 건설현장에서 필수적인 마스크의 착용이 빠르고 쉬우며, 와이어로 조절 다이얼과 마스크를 연결하여 마스크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는 조절 다이얼과 와이어가 여러개 구비되어 착용자의 얼굴형, 크기 등에 관계 없이 와이어를 조절하여 마스크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는 조절 다이얼이 본체 또는 마스크에 구비되어 착용자 혼자서 손 쉽게 조절 다이얼을 조절하여 마스크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체연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조절 다이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체연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 및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조절 다이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조절 다이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는 본체(100), 조절 다이얼(200), 와이어(300) 및 마스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400) 일체형 안전모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 또는 낙하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 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본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 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조절 다이얼(200)과 상기 마스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와 상기 본체(100)와의 거리를 조절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400)는 다각형의 부직포와 같은 필터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안면부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300)는 단부에 고리형태의 후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스크(400)는 마스크연결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연결부(410)는 상기 마스크(400)의 외부 일측에 돌출된 고리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연결되거나, 상기 와이어(300) 단부로 매듭을 형성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0)의 매듭을 제거하여 상기 마스크(4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제1 조절 다이얼(210) 및 제2 조절 다이얼(220)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300)는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조절 다이얼(21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절 다이얼(220)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310)의 일측은 상기 제1 조절 다이얼(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와이어(320)의 일측은 상기 제2 조절 다이얼(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조절 다이얼(210) 및 제2 조절 다이얼(220)의 각각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의 길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상기 제1 조절 다이얼(21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제2 조절 다이얼(22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조절 다이얼(2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31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 조절 다이얼(2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32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착용자(10)의 얼굴형에 관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본체(100)에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마스크(400)의 양 끝단과 상기 조절 다이얼(20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양 끝단 또는 상기 마스크(400)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이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마스크(40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된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본체연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연결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되는 고리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00) 단부의 매듭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본체(100)의 정면 또는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상기 조절 다이얼(2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은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400)연결부 및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 중앙에 연결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연결된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및 우측의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400) 일체형 안전모 착용자는 한 손만으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을 작동하여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의 (a)를 참조하여,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상기 조절 다이얼(2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은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후면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후면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본체연결부(110)에서 교차되어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 중앙에 연결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연결된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 및 좌측의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는 한 손만으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을 작동하여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상기 조절 다이얼(2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본체연결부(110)는 상기 본체(10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되어,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후면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후면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교차되어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 중앙에 연결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연결된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 및 좌측의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는 한 손만으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을 작동하여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연결부(110)는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좌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100) 우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 중앙에 연결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연결된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및 우측의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 착용자는 한 손만으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을 작동하여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이 한 개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의 일측은 한 개의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된 한 개의 상기 본체연결부(110)에서 교차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310)는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320)는 상기 마스크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마스크연결부(4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연결부(110)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310)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 좌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320)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 우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의(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는 상기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1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는 본체(100), 마스크(400), 조절 다이얼(200) 및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 또는 낙하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 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본체연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연결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되는 고리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00) 단부의 매듭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400)는 다각형의 부직포와 같은 필터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400) 일체형 안전모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안면부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마스크(4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400)의 외부에서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 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조절 다이얼(200)과 상기 마스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와 상기 본체(100)와의 거리를 조절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마스크(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 조절 다이얼(230), 상기 마스크(4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 조절 다이얼(2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330),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에 연결되는 제4 와이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은 상기 마스크(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3 와이어(330)의 일측은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에 연결되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은 상기 마스크(4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4 와이어(340)의 일측은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에 연결되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 및 제4 조절 다이얼(240)의 각각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3 와이어(330) 및 제4 와이어(340)의 길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의 얼굴형에 관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3 와이어(330)의 일측은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와이어(33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4 와이어(340)의 일측은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와이어(34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 와이어(33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4 와이어(34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의 얼굴형에 관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 및 제4 조절 다이얼(240)은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은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은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조절 다이얼(2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4 조절 다이얼(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마스크(400)의 우측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의 얼굴형에 관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상기 마스크(400)를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마스크(400)에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조절 다이얼(200)과 상기 본체(1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상기 마스크(400)의 외부 중앙에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은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의 길이가 조절 되어 상기 마스크(400)가 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20)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절 다이얼(200)이 상기 마스크(400)의 외부 중앙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본체연결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은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상기 와이어(300)의 일측 및 타측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절 다이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마스크(400)의 좌측 및 우측이 길이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400)가 밀착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다이얼(200)은 고정하우징(2100), 권취톱니(2200), 결합유닛(2300), 다이얼손잡이(2400), 고정나사(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2100)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기 본체(100) 또는 마스크(40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하우징(2100)의 상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고정톱니치형(2110)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2200) 및 상기 와이어(30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하우징(2100)은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결합유닛고정홀(2120)에 의해 상기 결합유닛(2300)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하우징(2100)의 측면에 상기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와이어홀(21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조절 다이얼(200)에서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권취톱니(2200)는 권취부(2230)의 양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 보빈의 형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2100)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상기 고정톱니치형(2110)에 치합되는 회전톱니치형(2210)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300)가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톱니(2200)는 상기 회전톱니치형(2210)이 구비되는 톱니부(2220)와, 상단에서 중앙까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며 직경이 좁아지되, 중앙에서 하단까지 다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며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톱니부(2220)의 중앙에 결합되는 권취부(2230)와, 상기 권취부(2230)를 지지하는 지지부(2240)와, 상기 톱니부(2220)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나사홀(2250) 및 상기 톱니부(2220) 중앙에서부터 상기 권취부(2230) 및 지지부(2240) 중앙까지 관통하는 결합유닛홀(2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2300)은 지지나사(2310) 및 지지샤프트(2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나사(2310)는 십자 스크류의 형상으로 상기 권취톱니(2200) 상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고정하우징(2100) 하부 중앙까지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지지샤프트(2320)는 육각볼트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지지나사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나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2200)의 상기 결합유닛홀(226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하우징(2100) 하부 중앙의 상기 결합유닛고정홀(2120)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톱니(2200)와 상기 고정하우징(2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얼손잡이(2400)는 원형의 판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2500)가 결합되는 결합홀(2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2500)는 상기 결합홀(2410)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2400)와 상기 권취톱니(2200)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톱니(2200)의 고정나사홀(2250)과 상기 다이얼손잡이(2400)의 결합홀(2410)은 서로 매칭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나사(2500)는 상기 결합홀(241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나사홀(2250)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2400)와 상기 권취톱니(220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2500)는 상기 권취톱니(2200)의 지지부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고정나사(2500)에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권취톱니(2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권취부(2230)에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나사(2500)가 상기 결합홀(241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나사홀(225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의 일측이 상기 고정나사(2500)에 매듭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권취톱니(2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는 상기 권취부(2230)에 권취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400)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이 상기 조절 와이어(3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정하우징(2100)은 제1 와이어홀(2131) 및 제2 와이어홀(2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나사(2500)는 제1 고정나사(2510) 및 제2 고정나사(2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2410)은 상기 제1 고정나사(2510)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2411) 및 상기 제2 고정나사(2520)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홀(24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나사홀(2250)은 상기 제1 결합홀(2411)과 매칭되어 상기 제1 고정나사(2510)가 고정되는 제1 고정나사홀(2251) 및 상기 제2 결합홀(2412)과 매칭되어 상기 제2 고정나사(2520)가 고정되는 제2 고정나사홀(22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10의 (c)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나사(2510)는 상기 제1 결합홀(24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나사홀(225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2520)는 상기 제2 결합홀(241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고정나사홀(225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은 상기 권취부(2230)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300)의 좌측은 상기 제1 고정나사(2510)에 매듭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우측은 상기 제2 고정나사(2520)에 매듭으로 연결되며, 상기 권취톱니(2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나사(2510) 및 제2 고정나사가(2520) 이동하게되고,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권취부(2230)에 권취될 수 있어 상기 마스크(400)가 밀착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100 : 본체
110 : 본체연결부
200 : 조절 다이얼
210 : 제1 조절 다이얼
220 : 제2 조절 다이얼
230 : 제3 조절 다이얼
240 : 제4 조절 다이얼
2100 : 고정하우징
2110 : 고정톱니치형
2120 : 결합유닛고정홀
2130 : 와이어홀
2131 : 제1 와이어홀
2132 : 제2 와이어홀
2200 : 권취톱니
2210 : 회전톱니치형
2220 : 톱니부
2230 : 권취부
2240 : 지지부
2250 : 고정나사홀
2251 : 제1 고정나사홀
2252 : 제2 고정나사홀
2260 : 결합유닛홀
2300 : 결합유닛
2310 : 지지나사
2320 : 지지샤프트
2400 : 다이얼손잡이
2410 : 결합홀
2411 : 제1 결합홀
2412 : 제2 결합홀
2500 : 고정나사
2510 : 제1 고정나사
2520 : 제2 고정나사
300 : 와이어
310 : 제1 와이어
320 : 제2 와이어
330 : 제3 와이어
340 : 제4 와이어
400 : 마스크
410 : 마스크연결부

Claims (7)

  1. 모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다이얼;
    상기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 다이얼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
    플랜지 보빈의 형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톱니;
    상기 권취톱니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부 중앙까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지나사 및 중앙에 상기 지지나사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나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톱니와 상기 고정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결합유닛;
    원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이얼손잡이; 및
    상기 다이얼손잡이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와 상기 권취톱니를 결합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조절 다이얼,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2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제2 조절 다이얼에 의하여 각각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한 개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마스크의 양 끝단과 상기 조절 다이얼을 연결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5. 마스크;
    상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모자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 다이얼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
    플랜지 보빈의 형상으로 상기 고정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톱니;
    상기 권취톱니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부 중앙까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지나사 및 중앙에 상기 지지나사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나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톱니와 상기 고정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결합유닛;
    원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이얼손잡이; 및
    상기 다이얼손잡이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손잡이와 상기 권취톱니를 결합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 조절 다이얼, 상기 마스크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3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4 조절 다이얼에 연결되는 제4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와이어 및 상기 제4 와이어는 상기 제3 조절 다이얼 및 상기 제4 조절 다이얼에 의하여 각각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한 개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조절 다이얼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되,
    상기 조절 다이얼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KR1020200033088A 2020-03-18 2020-03-18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KR10240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88A KR102402100B1 (ko) 2020-03-18 2020-03-18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88A KR102402100B1 (ko) 2020-03-18 2020-03-18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372A KR20210117372A (ko) 2021-09-29
KR102402100B1 true KR102402100B1 (ko) 2022-05-25

Family

ID=779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88A KR102402100B1 (ko) 2020-03-18 2020-03-18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27B1 (ko) 2022-11-25 2023-06-13 유준민 방독면이 구비된 접이식 안전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422A (ja) * 2004-12-17 2006-06-29 Kazuyoshi Ota ワンループ形状のゴムバンドを装着した防塵・防毒マスク
KR101962073B1 (ko) * 2018-08-24 2019-03-25 성락출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569A (ko) 2012-04-20 2013-10-30 강동연 오토바이 헬멧용 마스크
KR101921186B1 (ko) * 2016-04-27 2018-11-22 하민우 와이어 조임 유닛을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422A (ja) * 2004-12-17 2006-06-29 Kazuyoshi Ota ワンループ形状のゴムバンドを装着した防塵・防毒マスク
KR101962073B1 (ko) * 2018-08-24 2019-03-25 성락출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27B1 (ko) 2022-11-25 2023-06-13 유준민 방독면이 구비된 접이식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372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100B1 (ko) 마스크 일체형 안전모
US20170136268A1 (en)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US20070016997A1 (e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US20170255027A1 (en) Protection device
WO2018143058A1 (ja) 紐巻取装置を備えた物品
KR20180001281U (ko) 마스크
ITTO20130556A1 (it) Testa defogliatrice pneumatica.
KR101377744B1 (ko)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TW201630635A (zh) 具有耦接元件之防護頭盔
KR100834379B1 (ko) 안전모
KR100993836B1 (ko) 보호용 헬멧
KR101289968B1 (ko) 작업용 안전모
KR102303465B1 (ko) 안전 헬멧
KR102356116B1 (ko) 손목밴드형 공구 낙하방지장치
KR200373951Y1 (ko) 밴드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마스크
KR20110109156A (ko)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
KR102318601B1 (ko)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JP2009297819A (ja) 工具落下防止装置及びそのもつれ防止具
CN219182876U (zh) 一种新型旋钮可调节松紧的护手腕
CN219375169U (zh) 一种可拆卸镜片式冷焊机焊帽
KR20200042691A (ko) 보안경 장착형 안전모
CN210293190U (zh) 一种土地规划设计用面积测量仪
CN216019291U (zh) 一种安全防护面罩
KR200413633Y1 (ko) 안전모용 장착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