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969A -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969A
KR20230056969A KR1020210140845A KR20210140845A KR20230056969A KR 20230056969 A KR20230056969 A KR 20230056969A KR 1020210140845 A KR1020210140845 A KR 1020210140845A KR 20210140845 A KR20210140845 A KR 20210140845A KR 20230056969 A KR20230056969 A KR 2023005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er cover
packaging box
present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969A/ko
Publication of KR2023005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B65D5/722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having an alternating movement co-operating with incised or scored openings near the bottom-edges of the bodies of tubu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밀봉된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ⅰ)양측 면의 각각에 사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절취 선, 전면에 각각의 절취 선과 연결되게 형성된 띠 형상의 절취부,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제1 접힘 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아웃터 본체와 아웃터 커버를 포함하며, 아웃터 커버가 제1 접힘 선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과, ⅱ)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아웃터 본체의 상단 개구와 연결되는 상단 개구를 가지며 아웃터 본체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본체와, 제2 접힘 선을 통해 인너 본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아웃터 커버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인너 커버를 포함하는 인너 케이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UP AND DOWN PROTRUDING TYPE PACKAGING BOX}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종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상품들을 상자 오픈 시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고, 상자 클로즈 시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상품들은 공장 등에서 적절한 포장 수단으로 포장되어 출하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 가치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 상자로 포장되고 있다.
포장 상자는 포장되는 상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스틱 형태의 포장재에 액상 또는 분말의 내용물이 밀봉된 다수의 스틱형 상품들을 수납하는 포장 상자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포장 상자는 스틱형 상품들을 수납하는 상자 본체부와, 상자 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자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 본체부는 스틱형 상품들과 동일한 높이로서의 상단 개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자 커버부는 상자 본체부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스틱형 상품들의 상단을 오픈하거나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자 본체부와 상자 커버부는 전면과 양측 면에 형성된 절취선에 의하여 절취되는데, 후면에서의 접힘선을 통해 상자 커버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하여 상자 본체부에 수납된 스틱형 상품들의 상단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스틱형 상품들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에서는 상자 커버부의 오픈 시, 상자 커버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스틱형 상품들의 상단이 상자 본체부의 상단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스틱형 상품들의 상단을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상자 커버부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틱형 상품들을 상자 본체부로부터 파지하여 꺼내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자의 오픈 및 클로즈 시, 복수의 포장 상품들을 업 앤 다운 식으로 이동시키며, 복수의 포장 상품들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포장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밀봉된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ⅰ)양측 면의 각각에 사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절취 선, 전면에 상기 각각의 절취 선과 연결되게 형성된 띠 형상의 절취부,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제1 접힘 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아웃터 본체와 아웃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커버가 상기 제1 접힘 선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과, ⅱ)상기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상기 아웃터 본체의 상단 개구와 연결되는 상단 개구를 가지며 상기 아웃터 본체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본체와, 제2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인너 본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인너 커버를 포함하는 인너 케이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내측 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업 앤 다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는, 설정된 두께를 지니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 내측 및 상기 인너 커버의 후면 외측에 고정되는 레버 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은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 내측을 따라 상기 인너 커버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아웃터 본체의 전면 내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본체는 상기 절취 선의 각각에 의해 절취되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측면 상단과,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제1 전면 상단으로 이루어진 제1 상단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는 상기 제1 측면 상단에 대응되는 제2 측면 상단과, 상기 제1 전면 상단에 대응되는 제2 전면 상단으로 이루어진 제2 상단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 개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제1 상단 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 개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제1 상단 개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의 바닥 면은 상기 아웃터 커버의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바닥 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제2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인너 본체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커버부와, 제3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제1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에 대응되는 폭을 지니며 제4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제2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 내측에 고정되는 제3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레버 판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 내측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레버 판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접힘 선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3 커버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절취부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아웃터 커버의 오픈 시, 복수의 포장 상품들을 인너 본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웃터 커버와의 간섭없이 복수의 포장 상품들을 인너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과 인너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전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인너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전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100)는 소정의 포장 상품 예를 들면, 스틱형의 밀봉재(포장 용기)에 음료, 약품, 건강 식품 등과 같은 액상의 농축액 또는 엑기스, 고형물 또는 분말 등과 같은 내용물이 밀봉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이하 도 4 및 도 5 참조)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은 스틱형의 밀봉재에 액상의 내용물을 담은 스틱형 상품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우치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포장 상자(100)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포장 상자(100)의 기준 위치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발명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100)는 상자의 오픈 및 클로즈 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업 앤 다운 식으로 이동시키며,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과 인너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100)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케이스 유닛(10), 인너 케이스 유닛(50), 그리고 레버 판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은 포장 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재로서, 포장 상자(100)의 강성을 확보하고,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외측 상자로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은 설정된 두께를 지닌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 표면에는 각종 로고 등이 인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은 전면, 후면, 양 측면, 상면, 그리고 하면(이하에서는 바닥 면이라고 한다)에 의해 내측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함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은 서로 연결된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전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는 양측 면의 상부 각각에 사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절취 선(11)(이하, 도 1 참조), 전면에 각각의 절취 선(11)과 연결되게 형성된 띠 형상의 절취부(13)(이하 도 11 참조),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제1 접힘 선(15)(이하 도 8 참조)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절취 선(11) 및 절취부(13)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에서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의 양측 면과 전면 측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힘 선(15)은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의 후면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절취부(13)는 설정된 폭을 지닌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떨어져 나가며 아웃터 본체(21)의 전면 상단과 아웃터 커버(31)의 전면 하단 사이에 설정된 간격의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절취부(13)를 절취하게 되면, 아웃터 커버(31)는 절취 선(11)에 의해 아웃터 본체(21)의 양측 면 및 전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아웃터 본체(2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아웃터 본체(21)를 오픈 및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아웃터 본체(21)는 전면, 양측 면, 후면 및 바닥 면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아웃터 상자 본체로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본체(21)의 전면, 양측 면, 후면, 그리고 바닥 면은 서로 접혀지며 접착제로 접착되면서 내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터 본체(21)는 제1 상단 개구(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상단 개구(23)는 상기에서와 같은 절취 선(11)의 각각에 의해 절취되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측면 상단(25)과, 상기에서와 같은 절취부(13)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제1 전면 상단(2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를 개폐(오픈 및 클로즈)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제1 접힘 선(15)을 통하여 아웃터 본체(2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제1 측면 상단(25)에 대응되는 양측 면, 제1 전면 상단(27)에 대응되는 전면, 제1 접힘 선(15)를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후면, 그리고 양측 면, 전면 및 후면과 연결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아웃터 커버(31)의 양측 면, 전면, 후면, 그리고 상면은 서로 접혀지며 접착제로 접착되면서 내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아웃터 본체(21) 및 아웃터 커버(31)의 내측은 내측 공간에서의 내측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50)은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내장재로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실질적으로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50)은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강성을 확보하고,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2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내측 상자로 구비된다.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50)은 설정된 두께를 지닌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인너 케이스 유닛을 도시한 전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50)은 일체로 연결되는 인너 본체(51)와 인너 커버(6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너 본체(51)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아웃터 본체(21)의 내측 공간에서 그 아웃터 본체(21)의 내측 면에 각각 접촉(밀착)되게 배치되는 전면, 양측 면, 후면 및 바닥 면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인너 상자 본체로 구비된다.
상기 인너 본체(51)의 전면, 양측 면, 후면, 그리고 바닥 면은 서로 접혀지며 접착제로 접착되면서 내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본체(51)는 아웃터 본체(2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인너 본체(51)는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내측 공간에 수납하도록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와 연결되는 제2 상단 개구(5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상단 개구(53)는 제1 상단 개구(23)의 제1 측면 상단(25)에 대응되는 제2 측면 상단(55)과, 제1 상단 개구(23)의 제1 전면 상단(27)에 대응되는 제2 전면 상단(5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너 커버(61)는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를 개폐(오픈 및 클로즈)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너 커버(61)는 제2 접힘 선(63)을 통해 인너 본체(51)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아웃터 커버(31)의 내측 면에 고정된다.
상기 인너 커버(61)는 제2 접힘 선(63)을 통하여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인너 본체(5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인너 본체(51) 및 인너 커버(61)의 외측은 아웃터 본체(21) 및 아웃터 커버(31)의 내측 면에 대응되는 외측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너 본체(51)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및 클로즈 시, 인너 커버(61)를 통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 면에 밀착되면서 그 내측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업 앤 다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는 아웃터 커버(31)의 클로즈 시,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그 인너 본체(5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그 인너 본체(5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상단 개구(23)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인너 본체(51)의 바닥 면은 아웃터 커버(31)의 클로즈 시,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그 인너 본체(5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아웃터 본체(21)의 바닥 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본체(51)의 바닥 면은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그 인너 본체(5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아웃터 본체(21)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인너 커버(61)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인너 커버(61)는 제1 커버부(65), 제2 커버부(67), 제3 커버부(71), 그리고 스토퍼부(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커버부(65)는 제2 접힘 선(63)을 통해 인너 본체(51)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커버부(65)는 아웃터 커버(31)의 후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67)은 제3 접힘 선(75)을 통해 제1 커버부(65)와 일체로 연결되며, 아웃터 커버(31)의 상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67)는 접착제에 의하여 아웃터 커버(31)의 상면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커버부(71)는 아웃터 커버(31)의 전면에 대응되는 폭을 지니며, 제4 접힘 선(77)을 통해 제2 커버부(67)와 일체로 연결되고, 아웃터 커버(31)의 전면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3 커버부(71)는 접착제에 의하여 아웃터 커버(31)의 전면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73)는 인너 본체(51)에 대한 인너 커버(61)의 클로즈 시, 아웃터 본체(21)의 전면 내측(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부(73)는 인너 커버(61)의 클로즈 시, 그 인너 커버(61)가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오픈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부(73)는 대응하는 아웃터 커버(31)의 전면 내측을 따라 인너 커버(61)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 인너 커버(61)의 제3 커버부(71)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7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절취부(13)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아웃터 커버(31)가 제1 접힘 선(15)을 통해 후방 측으로 회전하고, 그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인너 커버(61)가 제2 접힘 선(63)을 통해 후방 측으로 회전할 때,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를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인너 본체(51)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의 클로즈 시, 아웃터 커버(31)가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전방 측으로 회전하고, 그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인너 커버(61)가 제2 접힘 선(63)을 통해 전방 측으로 회전할 때,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를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인너 본체(51)를 하측 방향으로 다운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버 판재(80)는 하나의 예에서, 아웃터 케이스 유닛(10) 및 인너 케이스 유닛(50)의 종이 두께보다 더 두꺼운 하드 보드지로 구비되며, 아웃터 커버(31)의 후면 내측 및 인너 커버(61)의 후면 외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의 후면 내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며,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의 외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의 후면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며, 제2 접힘 선(63)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 상자(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내부에 인너 케이스 유닛(50)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인너 케이스 유닛(50)에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1)이 포장된 포장 상자(100)를 제공한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에서, 절취 선(11) 및 절취부(13)는 아웃터 본체(21)와 아웃터 커버(31)의 양측 면과 전면 측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아웃터 본체(21)의 후면과 아웃터 커버(31)의 후면은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취부(13)를 절취한다. 그러면, 상기 아웃터 케이스 유닛(10)의 아웃터 본체(21)의 전면과 아웃터 커버(31)의 전면은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를 클로즈 한 상태에 있으며, 인너 케이스 유닛(50)의 인너 커버(61)는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를 클로즈 한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인너 본체(51)는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인너 커버(61) 및 레버 판재(80)에 의하여 그 내측 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는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인너 본체(51)의 바닥 면은 아웃터 본체(21)의 바닥 면과 서로 접촉된 상태에 있으며, 인너 커버(61)의 스토퍼부(73)는 아웃터 본체(21)의 전면 내측(내측 면)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취부(13)가 절취되면서 형성된 아웃터 본체(21)의 전면 상단과 아웃터 커버(31)의 전면 하단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웃터 커버(31)를 잡고, 후방 측으로 젖힌다.
그러면,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절취 선(11)에 의해 아웃터 본체(21)의 양측 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아웃터 본체(21)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를 오픈한다.
이에 상기 아웃터 커버(31)의 내측 면에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 제2 커버부(67), 그리고 제3 커버부(71)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 커버(61)는 제2 접힘 선(63)을 통해 인너 본체(51)에 대하여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를 오픈한다.
이러는 과정에, 상기 인너 커버(61)의 스토퍼부(73)는 인너 본체(21)의 내측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를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인너 본체(51)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레버 판재(80)를 통해 인너 본체(51)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그 인너 본체(51)는 인너 커버(61)를 통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 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슬립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는 제1 상단 개구(23)와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그 인너 본체(51)의 바닥 면은 아웃터 본체(21)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인너 본체(51)를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너 본체(51)에 수납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위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인너 본체(51)에 수납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위로 돌출됨에 따라,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인너 본체(51)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꺼낸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를 전방 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아웃터 커버(31)는 제1 접힘 선(15)을 통해 아웃터 본체(21)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를 클로즈 한다.
이에 상기 인너 커버(61)는 제2 접힘 선(63)을 통해 인너 본체(51)에 대하여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를 클로즈 한다.
이러는 과정에, 상기 인너 커버(61)의 스토퍼부(73)는 인너 본체(21)의 내측 면을 지지하면서 그 인너 커버(61)가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후방 측으로 오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레버 판재(80)는 아웃터 커버(31)와 함께 전방 측으로 회전되면서 인너 커버(61)의 제1 커버부(65)를 통해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인너 본체(51)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 낸다.
상기와 같이 레버 판재(80)를 통해 인너 본체(51)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 냄에 따라, 그 인너 본체(51)는 인너 커버(61)를 통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 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립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본체(51)의 제2 상단 개구(53)는 아웃터 본체(21)의 제1 상단 개구(23)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그 인너 본체(51)의 바닥 면은 아웃터 본체(21)의 바닥 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의 클로즈 시, 인너 본체(51)를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너 본체(51)에 수납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아래로 다운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100)에 의하면,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및 클로즈 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이 수납된 인너 본체(51)를 인너 커버(61)에 의하여 아웃터 본체(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업 앤 다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인너 본체(51)에 의하여 상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웃터 커버(31)와의 간섭없이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인너 본체(51)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아웃터 커버(31)의 오픈 및 클로즈 시, 인너 본체(51)에 수납된 복수의 포장 상품들(1)을 업 앤 다운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상자의 감성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포장 상품
10: 아웃터 케이스 유닛
11: 절취 선
13: 절취부
15: 제1 접힘 선
21: 아웃터 본체
23: 제1 상단 개구
25: 제1 측면 상단
27: 제1 전면 상단
31: 아웃터 커버
50: 인너 케이스 유닛
51: 인너 본체
53: 제2 상단 개구
55: 제2 측면 상단
57: 제2 전면 상단
61: 인너 커버
63: 제2 접힘 선
65: 제1 커버부
67: 제2 커버부
71: 제3 커버부
73: 스토퍼부
75: 제3 접힘 선
77: 제4 접힘 선
80: 레버 판재
100: 포장 상자

Claims (12)

  1.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밀봉된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포장 상자로서,
    양측 면의 각각에 사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절취 선, 전면에 상기 각각의 절취 선과 연결되게 형성된 띠 형상의 절취부,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제1 접힘 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아웃터 본체와 아웃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커버가 상기 제1 접힘 선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웃터 케이스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스틱형 포장 상품들을 수납하도록 상기 아웃터 본체의 상단 개구와 연결되는 상단 개구를 가지며 상기 아웃터 본체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본체와, 제2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인너 본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인너 커버를 포함하는 인너 케이스 유닛;
    을 포함하는 포장 상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및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내측 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업 앤 다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장 상자.
  3. 제1 항에 있어서,
    설정된 두께를 지니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 내측 및 상기 인너 커버의 후면 외측에 고정되는 레버 판재
    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 유닛은,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 내측을 따라 상기 인너 커버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아웃터 본체의 전면 내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부
    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본체는,
    상기 절취 선의 각각에 의해 절취되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측면 상단과,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제1 전면 상단으로 이루어진 제1 상단 개구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는,
    상기 제1 측면 상단에 대응되는 제2 측면 상단과, 상기 제1 전면 상단에 대응되는 제2 전면 상단으로 이루어진 제2 상단 개구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 개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제1 상단 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제1 상단 개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포장 상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본체의 바닥 면은,
    상기 아웃터 커버의 클로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바닥 면과 접촉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오픈 시, 상기 인너 커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본체의 바닥 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포장 상자.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제2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인너 본체의 후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커버부와,
    제3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제1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에 대응되는 폭을 지니며 제4 접힘 선을 통해 상기 제2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면 내측에 고정되는 제3 커버부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판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 내측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에 고정되는 포장 상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판재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후면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접힘 선을 지지하는 포장 상자.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3 커버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절취부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는 포장 상자.
KR1020210140845A 2021-10-21 2021-10-21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KR2023005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45A KR20230056969A (ko) 2021-10-21 2021-10-21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45A KR20230056969A (ko) 2021-10-21 2021-10-21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69A true KR20230056969A (ko) 2023-04-28

Family

ID=8614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845A KR20230056969A (ko) 2021-10-21 2021-10-21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9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8788A (en) Composite dispensing package
KR101045833B1 (ko) 음식물 보관용 팩 또는 이에 관한 개량
EP3339204A1 (en) Container with adhesive label
US4858414A (en) Packing case, particularly for sheet material
US8136662B2 (en) Hinge-lid container with additional spacer panel
CZ20033506A3 (cs) Krabice s víkem
CN107000886B (zh) 包装组件、坯件以及制造包装组件的方法
JP2015209230A (ja) 梱包箱
KR20180087242A (ko) 소비재용 팩
JP2002321728A (ja) 瓶用包装箱
KR20230056969A (ko)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JP6140515B2 (ja) 容器用包装箱
KR200491906Y1 (ko) 상자
EP3271267B1 (en) A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corresponding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a such package
JP2016003048A (ja) 包装用箱
US7331465B2 (en) Device with a hollow lid supporting contents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GB2425114A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mail
JP2019517402A (ja) 改善された閉鎖用手段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
JP3119149U (ja) 包装用箱
JP3218045U (ja) 収容物ホルダ付き包装箱
JP7206659B2 (ja) 複合容器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102306077B1 (ko)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GB2578126A (en)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