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380A -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380A
KR20230056380A KR1020210140359A KR20210140359A KR20230056380A KR 20230056380 A KR20230056380 A KR 20230056380A KR 1020210140359 A KR1020210140359 A KR 1020210140359A KR 20210140359 A KR20210140359 A KR 20210140359A KR 20230056380 A KR20230056380 A KR 2023005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oilet
air
detachable
deodoriz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300B1 (ko
Inventor
임도규
Original Assignee
신창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창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장치를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환풍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공기의 분사를 통한 악취의 배출과 변기 내의 청소 및 건조,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악취 발생 원인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A Detachable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장치를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환풍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공기의 분사를 통한 악취의 배출과 변기 내의 청소 및 건조,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악취 발생 원인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주택 등의 주거공간, 회사, 영업장 등이 위치하는 일반 건물, 공원, 역사 등의 공공시설물 등 인간이 모이고, 생활하는 모든 공간에는 인간의 기본적 대사를 위한 화장실이 설치된다.
그러나,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필연적으로 악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과거에는 인간의 주 생활공간, 업무공간과 격리되는 위치에 화장실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최근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문화가 일반화되고, 인구밀도도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화장실도 인간의 주 거주공간 내부에 위치할 수밖에 없게 되어있다.
이에 따라, 화장실에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환풍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나, 환풍시설의 설치만으로는 배설물 등에 의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장실에서 가장 많은 악취가 발생하는 변기에 대해 주기적인 청소를 실시하고 있으나, 대소변시마다 청소를 실시할 수는 없고, 항상 물이 존재하는 변기 환경에서 변기에 남아있는 배설물의 잔존물이 쉽게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함에 따라 화장실의 악취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변기에 별도의 악취 제거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설치가 번거롭고 변기 내부의 악취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251978호(2021. 05. 10. 등록)"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탈취장치를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환풍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환풍구를 통해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분사를 통해 악취를 변기의 토출구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또한 변기 내부의 오염물도 제거하도록 하여 공기의 흡입에 따른 악취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변기의 토출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시 공기에 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뿐만 아니라 향기의 발생도 가능하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오염물 제거를 위한 공기의 분사시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변기 내부의 수분도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곰팡이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 및 분사와 함께 빛의 조사를 통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해균 등의 제거를 통해 악취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변기를 통한 물내림을 감지하도록 하면서 물내림과 함께 변기의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1차적으로 악취가 물과 함께 변기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악취의 제거후 변기 내측 모서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잔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도록 하며, 그 후 남아있는 악취의 흡입과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변후 악취 발생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모두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악취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풍구에 대한 연결호스의 설치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모듈의 기능 저하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살균모듈의 교체 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펌프의 부하 변화를 감시하여 탈취장치의 막힘, 기능저하 등의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는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배출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화장실의 환풍구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면서 탈취된 공기를 환풍구로 배출시키는 연결부와;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변기의 내측 둘레를 따라 투입되며,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을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변기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흡입모듈 내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수단과, 흡입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변기 상단에 끼워지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과, 상기 절곡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변기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은 배설물이 배출되는 변기의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배출분사모듈과, 상기 배출분사모듈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변기의 내측 둘레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청소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분사모듈은 배출분사모듈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수단과, 분사되는 공기에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소재와,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분사모듈은 청소분사모듈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수단과, 분사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흡습소재와,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살균을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내림의 감지에 따라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변기의 물이 내려가는 정보를 수신하는 물내림수신모듈과, 물내림과 함께 상기 배출분사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사지시모듈과, 물내림이 종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수신모듈과, 물내림의 종료후 상기 청소분사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건조청소모듈과, 건조청소모듈에 의한 공기 분사후 상기 흡입모듈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개시되도록 하는 흡입지시모듈과, 공기의 흡입과 함께 살균모듈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살균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변기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물내림감지모듈은 상기 유동관의 일 지점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끝단에 변기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호스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출펌프와, 상기 연결호스의 일단을 상기 유동관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타단을 환풍구에 지지시키는 지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일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돌기의 둘레를 따라 체결·결합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연결호스의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 끝단에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환풍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서 수직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을 위한 빛을 출력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수단의 기능 저하에 따라 발광수단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발광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조절부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발광수단의 초기 조도를 저장하는 초기조도저장모듈과, 상기 발광수단의 작동시 측정되는 조도 정보를 저장하는 조도정보저장모듈과, 측정되는 조도의 초기조도에 대한 저하 비율을 산출하는 저하비율산출모듈과, 저하 비율에 따른 색상을 설정하는 색상설정모듈과, 설정된 색상에 따라 발광수단의 빛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색상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출펌프에 대한 부하에 따라 탈취장치의 작동 이상을 감지하는 작동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감시부는 배출펌프의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반복되는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감지부는 배출펌프의 초기 부하정보를 저장하는 초기부하저장모듈과, 배출펌프의 작동시 측정되는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부하정보수신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보를 산정하는 변화정도산정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빈도산정모듈과, 빈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발생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취장치를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환풍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환풍구를 통해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분사를 통해 악취를 변기의 토출구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또한 변기 내부의 오염물도 제거하도록 하여 공기의 흡입에 따른 악취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변기의 토출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시 공기에 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뿐만 아니라 향기의 발생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염물 제거를 위한 공기의 분사시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변기 내부의 수분도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곰팡이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 및 분사와 함께 빛의 조사를 통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해균 등의 제거를 통해 악취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변기를 통한 물내림을 감지하도록 하면서 물내림과 함께 변기의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1차적으로 악취가 물과 함께 변기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악취의 제거후 변기 내측 모서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잔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도록 하며, 그 후 남아있는 악취의 흡입과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변후 악취 발생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모두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악취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환풍구에 대한 연결호스의 설치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살균모듈의 기능 저하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살균모듈의 교체 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펌프의 부하 변화를 감시하여 탈취장치의 막힘, 기능저하 등의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3은 본체부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흡입모듈, 분사모듈 및 살균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흡입모듈, 분사모듈, 물내림감지모듈 각각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체부와 연결부의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연결부의 구성도
도 10은 연결호스가 환풍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1의 작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1의 발광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1의 작동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탈취장치는 변기(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변기(100)의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배출시키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와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화장실의 환풍구(20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를 통과한 탈취된 공기를 환풍구(200)로 배출시키는 연결부(2)와;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기존의 변기에 복잡한 설비를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장착하여 변기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풍구(200)와 연결시켜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취장치는 악취의 흡입과 함께 공기의 분사를 통해 변기 내의 악취를 변기(100)의 토출구(101)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변기 내측에도 공기를 분사하여 변기 내 잔존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곰팡이 등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변기 청소 없이 또는 변기 청소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는 변기(100)에 장착되어 변기(100) 내 악취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모서리를 따라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는 악취를 흡입함과 함께 공기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취의 흡입 전 변기 토출구(101)를 통한 악취의 배출과 함께 변기(100) 내측면의 잔존물, 악취물질의 제거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는 살균이 가능한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고, 변기(100)를 통해 물을 내리는 것을 감지하여 공기의 흡입 및 분사, 살균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는 공기의 흡입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흡입 및 분사, 살균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과적인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11), 고정수단(12), 흡입모듈(13), 분사모듈(14), 살균모듈(15), 물내림감지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관(11)은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변기(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유동관(11)은 고정수단(12)에 의해 변기(100) 모서리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유동관(11)을 따라서는 상기 흡입모듈(13), 분사모듈(14), 살균모듈(15)이 순차적으로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관(11)의 외측으로는 물내림감지모듈(16)이 돌출 형성되어 변기(100)를 통해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동관(11)은 상기 연결부(2)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모듈(13)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연결부(2)를 통해 환풍구(2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관(11)은 일 지점에 유동관(11)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돌기(11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돌기(111) 둘레를 따라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의 후술할 결합수단(23)과 체결·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2)은 본체부(1)를 변기(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유동관(11)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2)은 변기(100)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변기(100)의 둘레를 따라 모서리에 끼워져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12)은 걸림부재(121), 절곡단(122), 연장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121)는 변기(100) 모서리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모서리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121)는 하측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변기(1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변기(100) 모서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단(122)은 걸림부재(121)의 외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구성으로, 좁아지게 오므려지던 걸림부재(121)가 절곡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단(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할 수 있으며, 변기(10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단(123)은 걸림부재(121)의 내측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절곡단(122)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변기(10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장단(123)은 걸림부재(121)의 내측 끝단에서 변기(10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관(11)이 변기(100) 내측으로 일정 깊이 들어간 상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모듈(14)을 통한 공기 분사의 효과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사모듈(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기(100)의 토출구(101) 및 변기(100)의 내측면을 모서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는데, 유동관(11)이 변기(100) 내측으로 일정 깊이 수용되도록 하여 조금 더 토출구(101) 가까이에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변기(100) 내측면 모서리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잔존물 등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은 변기(100)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구성으로, 유동관(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은 유동관(11)으로부터 변기(100)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듈(13)은 변기(100)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모듈(13)은 송풍팬 등의 흡입수단(131)을 내부에 형성하여 변기(100) 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연결부(2)의 후술할 배출펌프(22)의 작동에 따라 환풍구(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은 변기(1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탈취소재(132)를 내부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흡입수단(131)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듈(13)은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악취가 다른 세대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모듈(14)은 변기(100) 내부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토출구(101) 및 변기(100) 내측면 양측으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모듈(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분사모듈(141) 및 청소분사모듈(142)을 한 쌍으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동관(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분사모듈(141)은 변기(100)의 토출구(10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물이 내려갈 때 함께 작동하여 물과 함께 변기(100) 내의 악취가 토출구(10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분사모듈(141)은 향기를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분사되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모듈(13)의 작동시, 더욱 정확하게는 배출펌프(22)의 작동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분사모듈(141)은 송풍수단(141a), 방향소재(141b), 체크밸브(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수단(141a)은 배출분사모듈(141) 내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송풍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소재(141b)는 향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배출분사모듈(141)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다양한 향기를 발생시키는 소재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41c)는 송풍수단(141a)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기의 흡입을 위한 배출펌프(22)의 작동시 배출분사모듈(14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송풍수단(141a)의 고장을 방지하고 방향소재(141b)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은 변기(100) 내 잔존물의 제거를 위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동관(11)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변기(100)의 내측면을 향해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은 상기 배출분사모듈(14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변기(100) 모서리 내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은 변기(100) 내측면의 잔존물, 악취유발물질 등을 제거하여 당장의 악취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도 막도록 할 수 있으며, 변기 청소의 수고를 덜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은 건조된 공기를 분사시켜 변기(100) 내측면의 수분도 함께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은 분사수단(142a), 흡습소재(142b), 체크밸브(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142a)은 청소분사모듈(142) 내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송풍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습소재(142b)는 습기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청소분사모듈(142)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청소분사모듈(14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습소재(142b)는 건조된 공기를 분사시켜 변기(100) 내측면에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곰팡이 등의 부패 등에 따른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42c)는 분사수단(142a)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기의 흡입을 위한 배출펌프(22)의 작동시 청소분사모듈(14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분사수단(142a)의 고장을 방지하고 흡습소재(142b)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42c)는 변기(100)를 통한 물내림시 청소분사모듈(142)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5)은 변기(100) 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유동관(11)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5)은 변기(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유해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빛의 조사를 통해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균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살균모듈(15)은 자외선 등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1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기(100) 내측을 향해 빛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끝단에는 발광수단(151)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152)가 형성되도록 하여 발광수단(151)의 기능 저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151)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기능 저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광수단(151)의 기능 저하를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빠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내림감지모듈(16)은 변기(100)를 통해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물과의 접촉에 따라 물리적으로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여 정확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물 내림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물내림감지모듈(1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161)와 감지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61)는 유동관(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6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돌출부재(161) 및 감지센서(162)의 손상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62)는 변기(100) 내측면에서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출부재(161)의 끝단에서 변기(100)와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62)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변기(100)를 통한 물내림시 물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탈취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는 본체부(1)를 환풍구(200)와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의 흡입모듈(1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환풍구(2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는 본체부(1)와 분리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유동관(11)과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보관 및 설치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환풍구(200)에도 간단한 작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는 연결호스(21), 배출펌프(22), 결합수단(23), 지지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21)는 본체부(1)와 환풍구(200)를 연결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호스(21)의 일단은 결합수단(23)에 의해 유동관(11)에 결합되며, 타단은 환풍구(200)에 삽입되어 흡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지모듈(24)에 의해 환풍구(200)에 장착된다.
상기 배출펌프(22)는 상기 연결호스(21) 상에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화장실 벽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펌프(22)는 상기 흡입모듈(13)의 작동시 함께 작동하여 변기(1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환풍구(2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펌프(22)는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펌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작동부하가 측정되어 배출펌프(22)의 작동이상, 탈취장치의 막힘 등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합수단(23)은 연결호스(21)를 본체부(1)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유동관(11)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수단(23)은 연결호스(21)의 끝단에 고정되는 체결너트(2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관(11)에 형성된 연결돌기(111)가 삽입되어 체결너트(231)와 체결·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모듈(24)은 상기 연결호스(21)를 환풍구(200)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간단한 작업을 통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모듈(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41), 회전지지부재(242), 걸림고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41)는 연결호스(2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재(242)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41)는 환풍구(200)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구(20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241)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0도와 90도 방향에서 각각 회전지지부재(242)에 고정되도록 돌기(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회전부재(24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고리(243)에 의해 환풍구(20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재(242)는 상기 회전부재(24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호스(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41)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회전부재(24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고리(243)는 상기 회전부재(241)의 끝단에 형성되어 환풍구(200)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부재(241) 양단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241)가 환풍구(200)를 통과한 상태에서 환풍구(200) 측으로 돌출되어 다시 환풍구(2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고리(243)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41)가 환풍구(200) 내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환풍구(200)를 통과하여 화장실 내측에서 환풍구(2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고리(243)는 회전부재(241) 끝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43a)과, 상기 돌출단(243a)의 끝단에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단(24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241)가 환풍구(2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단(243a)이 환풍구(200)를 통과하도록 하고, 절곡지지단(243b)이 환풍구(200) 내측에서 환풍구(200)에 지지되도록 하여 걸림고리(243)가 환풍구(2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는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작동조절부(31), 발광조절부(32), 작동감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절부(31)는 탈취장치의 일반적인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변기(100)의 물내림에 따라 일련의 탈취 작동이 개시되어 효과적인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용변시마다 이러한 작동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변기 청소에 대한 부담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절부(31)는 물내림수신모듈(311), 분사지시모듈(312), 종료수신모듈(313), 건조청소모듈(314), 흡입지시모듈(315), 살균작동모듈(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내림수신모듈(311)은 변기(100)의 물이 내려가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내림감지모듈(16)에 의해 물내림이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지시모듈(312)은 상기 배출분사모듈(141)의 작동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물내림이 감지됨과 함께 배출분사모듈(141)의 송풍수단(141a)을 작동시켜 변기의 토출구(101)를 향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지시모듈(312)은 변기의 토출구(101)를 통해 물과 함께 악취도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료수신모듈(313)은 물내림이 종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내림감지모듈(16)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물내림이 종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물내림감지모듈(16)은 물내림이 종료됨에 따라 물과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물내림의 종료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청소모듈(314)은 상기 청소분사모듈(142)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물내림의 종료와 함께 일정시간 동안 상기 분사수단(142a)을 작동시켜 건조된 상태의 공기가 변기(100)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청소모듈(314)은 변기(100) 내측면에 부착되는 용변의 잔여물, 악취유발물질, 수분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용변시마다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잔여물질 등의 부패에 의해 곰팡이,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지시모듈(315)은 상기 흡입모듈(13)의 작동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건조청소모듈(314)의 작동 종료 후 일정시간 동안 흡입수단(131) 및 배출펌프(2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지시모듈(315)은 각 흡입모듈(13)을 통해 변기(100) 내에 남아있는 악취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흡입되는 악취는 탈취소재(132)에 의해 탈취되어 환풍구(20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지시모듈(315)은 배출분사모듈(141) 및 청소분사모듈(142)에 의해 어느 정도의 악취 및 악취유발물질이 제거된 후 악취를 흡입하도록 하므로, 악취의 제거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환풍구(200)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유발물질의 양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작동모듈(316)은 살균모듈(15)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모듈(13)의 작동 종료후 발광수단(151)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살균작동모듈(316)은 변기(100) 내 악취 제거후 유해균까지 제거하도록 하여 부패 등의 발생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조절부(32)는 발광수단(15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광수단(151)에 의해 발생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조절부(32)는 상기 발광수단(151)의 조도에 따라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하도록 하고,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발광수단(151)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능 저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미리 발광수단(151)의 교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발광조절부(32)는 초기조도저장모듈(321), 조도정보저장모듈(322), 저하비율산출모듈(323), 색상설정모듈(324), 색상조절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조도저장모듈(321)은 발광수단(151)의 초기조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발광수단(151)의 초기 작동시 조도센서(152)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도정보저장모듈(322)은 발광수단(151)의 작동시마다 상기 조도센서(152)에 의해 측정되는 조도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발광수단(151)의 기능 저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하비율산출모듈(323)은 발광수단(151)의 기능 저하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초기조도에 대한 현재 조도의 비율에 따라 기능의 저하 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색상설정모듈(324)은 발광수단(151)의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색상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구간으로 설정하여 구간마다 상이한 색상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색상조절모듈(325)은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발광수단(151)의 색상을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색상설정모듈(324)에 의해 설정된 색상에 따라 저하비율에 따른 색상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작동감시부(33)는 상기 배출펌프(22)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배출펌프(22)에서의 부하에 따라 탈취장치의 막힘, 배출펌프(22)의 이상 등을 감시하도록 한다. 탈취장치의 본체부(1) 또는 연결부(2)에서 공기의 유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배출펌프(22)의 내부 구성에 문제가 발새하는 경우 배출펌프(22)에 주어지는 부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작동감시부(33)는 배출펌프(22)에 주어지는 부하에 관한 정보를 배출펌프(22)로부터 수신하여 이상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작동감시부(33)는 배출펌프(22)의 부하가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가 반복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는 탈취장치의 작동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하면서, 부하가 과도하게 상승하지는 않더라도 그 이하의 일정 범위에서 연속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감시부(33)는 이상이 발생하거나 경고신호가 출력되지 않더라도 부하의 급격한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탈취장치의 작동을 중단하고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급격한 이상에 대한 빠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감시부(33)는 이상감지부(331), 경고출력부(332), 긴급중단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부(331)는 배출펌프(22)의 작동 이상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의 부하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반복되는 경우 작동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상감지부(331)는 초기부하저장모듈(331a), 부하정보수신모듈(331b), 변화정도산정모듈(331c), 기준값비교모듈(331d), 빈도산정모듈(331e), 이상출력모듈(331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부하저장모듈(331a)은 배출펌프(22)의 초기 작동시의 부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의 작동개시시 배출펌프(22) 자체에서 측정되는 부하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부하정보수신모듈(331b)은 배출펌프(22)의 작동시마다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 자체에서 측정되는 부하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변화정도산정모듈(331c)은 부하의 변화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초기부하에 대한 현재 부하의 비율을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331d)은 산정된 부하의 변화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빈도산정모듈(331e)은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가 작동하는 일정횟수마다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산출하여 그 빈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이상출력모듈(331f)은 빈도산정모듈(331e)에 의해 산정되는 빈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탈취장치 자체에서 소리 또는 발광수단(151)의 점멸 등으로 이상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출력부(332)는 상기 이상감지부(331)에 이상으로 감지되지는 않았으나, 즉 기준값을 초과하는 부하의 변화정도가 일정빈도 이상 반복되지는 않았으나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 이하의 일정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고출력부(332)는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위험을 감지하여 선제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경고출력부(332)는 경고범위인지모듈(332a), 연속횟수산정모듈(332b), 설정값비교모듈(332c), 경고신호발생모듈(33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범위인지모듈(332a)은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부하의 변화정도를 인지하는 구성으로,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 이하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횟수산정모듈(332b)은 부하의 변화정도가 경고범위에 연속적으로 도달하는 횟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의 작동시마다 부하의 변화정도가 경고범위에 연속하여 도달하는 경우 그 연속횟수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값비교모듈(332c)은 산정된 연속횟수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연속횟수를 설정값으로 정하도록 한다.
상기 경고신호발생모듈(332d)은 연속횟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이상 위험에 대한 대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긴급중단부(333)는 탈취장치의 작동을 즉각 중단시키는 구성으로, 이상으로 감지되거나 경고신호가 출력되지 않더라도 부하의 변화정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작동을 중단시켜 사고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중단부(333)는 변화율산출모듈(333a), 임계값비교모듈(333b), 연속발생감지모듈(333c), 작동중단모듈(33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화율산출모듈(333a)은 부하의 변화정도가 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의 작동시마다 부하가 변하는 정도가 변화하는 비율, 기울기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임계값비교모듈(333b)은 부하 변화정도에 대한 변화율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급격한 상승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변화율에 대한 임계값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속발생감지모듈(333c)은 변화율이 임계값을 초과하여 연속발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급격한 상승이 2번 또는 3번 연속 발생되는 경우 즉각적인 작동의 중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중단모듈(333d)은 연속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탈취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성으로, 배출펌프(22)뿐만 아니라 흡입모듈(13), 분사모듈(14) 등 모든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중단모듈(333d)은 부하 변화정도의 급격한 상승이 이루어지는 경우 탈취장치의 전체 작동을 즉각적으로 중단시켜 사고 발생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부 11: 유동관 111: 연결돌기
12: 고정수단 121: 걸림부재 122: 절곡단
123: 연장단 13: 흡입모듈 131: 흡입수단
132: 탈취소재 14: 분사모듈 141: 배출분사모듈
141a: 송풍수단 141b: 발광소재 141c: 체크밸브
142: 청소분사모듈 142a: 분사수단 142b: 흡습소재
142c: 체크밸브 15: 살균모듈 151: 발광수단
152: 조도센서 16: 물내림감지모듈 161: 돌출부재
162: 감지센서 2: 연결부 21: 연결호스
22: 배출펌프 23: 결합수단 231: 체결너트
24: 지지모듈 241: 회전부재 242: 회전지지부재
243: 걸림고리 243a: 돌출단 243b: 절곡지지단
3: 제어부 31: 작동조절부 32: 발광조절부
33: 작동감시부 331: 이상감지부 332: 경고출력부
333: 긴급중단부

Claims (15)

  1.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변기의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배출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화장실의 환풍구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면서 탈취된 공기를 환풍구로 배출시키는 연결부와;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변기의 내측 둘레를 따라 투입되며,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을 변기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변기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흡입모듈 내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수단과, 흡입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변기 상단에 끼워지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과, 상기 절곡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변기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은,
    배설물이 배출되는 변기의 토출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배출분사모듈과, 상기 배출분사모듈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변기의 내측 둘레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청소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분사모듈은
    배출분사모듈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수단과, 분사되는 공기에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소재와,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분사모듈은
    청소분사모듈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수단과, 분사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흡습소재와,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동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살균을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내림의 감지에 따라 탈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변기의 물이 내려가는 정보를 수신하는 물내림수신모듈과, 물내림과 함께 상기 배출분사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사지시모듈과, 물내림이 종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수신모듈과, 물내림의 종료후 상기 청소분사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건조청소모듈과, 건조청소모듈에 의한 공기 분사후 상기 흡입모듈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개시되도록 하는 흡입지시모듈과, 공기의 흡입과 함께 살균모듈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살균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변기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물내림감지모듈은,
    상기 유동관의 일 지점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끝단에 변기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물이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호스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출펌프와, 상기 연결호스의 일단을 상기 유동관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타단을 환풍구에 지지시키는 지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일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돌기의 둘레를 따라 체결·결합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연결호스의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 끝단에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환풍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서 수직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을 위한 빛을 출력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수단의 기능 저하에 따라 발광수단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발광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조절부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발광수단의 초기 조도를 저장하는 초기조도저장모듈과, 상기 발광수단의 작동시 측정되는 조도 정보를 저장하는 조도정보저장모듈과, 측정되는 조도의 초기조도에 대한 저하 비율을 산출하는 저하비율산출모듈과, 저하 비율에 따른 색상을 설정하는 색상설정모듈과, 설정된 색상에 따라 발광수단의 빛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색상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출펌프에 대한 부하에 따라 탈취장치의 작동 이상을 감지하는 작동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감시부는 배출펌프의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반복되는 경우 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감지부는,
    배출펌프의 초기 부하정보를 저장하는 초기부하저장모듈과, 배출펌프의 작동시 측정되는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부하정보수신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보를 산정하는 변화정도산정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부하의 변화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빈도산정모듈과, 빈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발생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KR1020210140359A 2021-10-20 2021-10-20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KR10258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359A KR102582300B1 (ko) 2021-10-20 2021-10-20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359A KR102582300B1 (ko) 2021-10-20 2021-10-20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80A true KR20230056380A (ko) 2023-04-27
KR102582300B1 KR102582300B1 (ko) 2023-09-26

Family

ID=8610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359A KR102582300B1 (ko) 2021-10-20 2021-10-20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66A (ja) * 1984-07-17 1986-02-05 Nec Corp メモリ同期回路
KR200196888Y1 (ko) * 2000-05-02 2000-09-15 양동훈 좌변기용 절수장치
KR20100131897A (ko) * 2009-06-12 2010-12-16 김기출 변기탈취장치
KR20110054379A (ko) * 2009-11-17 2011-05-25 유상동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66A (ja) * 1984-07-17 1986-02-05 Nec Corp メモリ同期回路
KR200196888Y1 (ko) * 2000-05-02 2000-09-15 양동훈 좌변기용 절수장치
KR20100131897A (ko) * 2009-06-12 2010-12-16 김기출 변기탈취장치
KR20110054379A (ko) * 2009-11-17 2011-05-25 유상동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00B1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557B1 (ko) 손 소독 건조 장치
US8332969B2 (en) Automatic control and battery power supply
KR100918703B1 (ko) 이동식 매트리스 클리닝장치
KR100568252B1 (ko) 양변기의 탈취장치
KR20180116863A (ko) 외부 미세먼지 및 세균의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한 공동현관 소독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80245326A1 (en) Toilet deodorizing method, toilet, and toilet deodorizing device
JP2007232323A (ja) 天井扇
US20050028254A1 (en) Automatic sanitizer and deodorizer
JP5904423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841104B1 (ko) 악취제거 변기
JP2008081928A (ja) 洋風便器装置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KR20230056380A (ko)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KR101365125B1 (ko) 핸드 드라이어
KR101910817B1 (ko) 살균발판
KR101080174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핸드 드라이어
KR102040132B1 (ko) 주방 후드 세정장치
KR200403752Y1 (ko) 살균 핸드 드라이어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BR112021004151A2 (pt) conjunto de filtração para reduzir mau odores no ar e rejeitos aerossolizados de banheiros
KR101671743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27415B1 (ko) 오존과 저온 프라즈마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시스템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5845402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411054B1 (ko) 게이트형 살균 및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