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750A -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750A
KR20230055750A KR1020210139510A KR20210139510A KR20230055750A KR 20230055750 A KR20230055750 A KR 20230055750A KR 1020210139510 A KR1020210139510 A KR 1020210139510A KR 20210139510 A KR20210139510 A KR 20210139510A KR 20230055750 A KR20230055750 A KR 2023005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upport frame
frame
strap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104B1 (ko
Inventor
공미경
Original Assignee
공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미경 filed Critical 공미경
Priority to KR102021013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 입과 코의 공간을 확보하고 마스크 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상하 모서리에 마스크 끈이 설치되어 착용시 귀에 걸을 수 있도록 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끈은 착용자의 머리 후부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단에 설치된 끈조절부재를 포함하며,상기 마스크 내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가 이격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스크 지지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에 일체로 다수의 살 또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단프레임 상단과 상단프레임 하단 양측이 마스크 내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Mask with internal space secure mask support frame and earring strap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 입과 코의 공간을 확보하고 마스크 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내면에는 신축성을 갖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입의 마스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을 자유롭게 하고, 마스크 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시 귀를 압박하여 아프게 하거나 두통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2020년 1월 이후에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대한민국을 비롯한 전세계인이 일상생활에서 마스크착용이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마스크 착용이 필수조건이 된 마스크를 살펴보면, 보건마스크, 비말마스크, 위생마스크, 방역마스크, 도장마스크, 황사마스크, KF94 마스크, KF80 마스크, 직물마스크 등 다양한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 중에서 위생마스크와 도장마스크를 제외한 모든 마스크가 착용시 코, 입, 양볼과 맞닿거나 근접하게 착용됨으로 호흡시 들숨과 날숨에 의해 마스크가 호흡에 따라서 붙었다 떨어졌다 하게 됨으로 착용자가 활동시 매우 불편하며, 특히 운동시에는 거친 호흡에 의해 마스크 내면에 입김이 묻어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착용자가 마스크 착용시 입만 가리고 코를 노출시키거나 입과 코가 노출되도록 턱에 착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크는 마스크 끈(귀걸이 끈)이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여 귀가 아프거나 오래 착용시 두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착용자의 귀됫쪽에서 양측 끈과 끈을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당겨 귀와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방법으로 마스크를 착용함으로 기구 사용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 10-1889651호(등록일자 2018년08월10일)의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구 부근의 마스크 원단의 코와 입 위치 부분에 호흡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100)이 홀더부재(500)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입부근에 위치하는 입돌출부(10)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입돌출부(10)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입돌출부(10) 상부에는 코부근에 위치하며 구멍이 형성되는 코지지부(3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입돌출부(10) 좌우측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는 좌우측 입지지부(20, 40)가 형성되며, 상기 코지지부(30)는 직선형의 막대 형태인 "I"형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이 좌우 두 개로 나누어지고 상기 좌우측 입지지부(20, 40)는 내곽프레임인 삼지 형태인 "ㅅ"형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이 각각 세 개로 나누어지는 것이며,
상기 좌우측 입지지부(20, 40)는 각각 외곽 프레임(21, 41)이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할된 외곽 프레임은 홀더부재(5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홀더부재(500)는 원단의 내부에 위치하며 좌우측 프레임 양단이 각각 끼워지는 홀더(510)와, 상기 원단의 외부에 위치하여 홀더(510)와 원단 외부에서 결합되는 홀더캡(5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510)는 세로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좌우측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세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원단 외부의 홀더캡(520)과 원단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좌우측 입지지부(20, 40)의 각각 외곽 프레임(21, 41)에는 김서림방지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김서림방지구는 판형이며, 좌우대칭형상인 것으로, 김서림방지구의 좌우측 날개가 V자 형상인 윗방향이 되도록 마스크 원단에 위치를 시키고 봉제를 하여 접어 내린 후, 좌우구멍이 외곽 프레임(21, 41)에 의해 구속이 되게 되는 것이고,
김서림방지구의 좌우측 날개는 봉제후 접어 내려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아치(arch) 형상으로 말린 곡면의 형태를 이루게 되고, 재질 자체의 탄력성이 더해져 착용시 사용자 코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안면 방향으로의 밀착성,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상기 김서림방지구의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김서림 방지구 사이의 빈공간인 중앙구멍이 형성되며 좌우측에는 외곽 프레임(21, 41)에 결합되는 김서림 방지구 사이의 빈공간인 좌우구멍이 형성되고 곡선으로 말려서 공기가 배출되는 김서림 방지구 사이의 빈공간인 좌우공기구멍이 얼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김서림방지구의 하단은 마스크 원단의 내면에 봉제결합된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도1의 (가)는 마스크 내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이고 (나)는 프레임이 설치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이다.
상기 도1의 선행기술은 입마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의 중앙에 사용자의 입부근에 위치하는 입돌출부(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입돌출부(1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입돌출부(10) 상부에는 코부근에 위치하며 구멍이 형성되는 코지지부(3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입돌출부(10) 좌우측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는 좌우측 입지지부(20, 40)가 형성되며, 상기 코지지부(30)는 직선형의 막대 형태인 "I"형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이 좌우 두 개로 나누어지고 상기 좌우측입지지부(20, 40)는 내곽프레임인 삼지 형태인 "ㅅ"형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사이의 공간이 각각 세개로 나누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1의 선행기술은 프레임(100)이 돌출된 입마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입마개 형상의 프레임(100) 중 외곽프레임(21,41)은 착용자의 양측 볼에 밀착대응되되, 마스크 내측 양측에 설치된 홀더부재(500)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1의 선행기술은 프레임의 형상모양이 돌출되는 입마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시 외곽프레임이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피부에 프레임자국이 형성되며, 특히 화장을 한 여자의 경우 마스크를 벗었을 때 얼굴 피부에 프레임 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외곽프레임(21,41)으로부터 중앙부의 입돌출부(10)가 전방으로 튀어나온 형상이므로, 마스크의 형상이 입부분 전방으로 볼록 튀어나온 마스크는 외형상 문제가 없으나, 보건마스크, 비말마스크, 황사마스크, KF94 마스크, KF80 마스크, 직물 마스크 등과 같이 판판한 마스크의 경우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 입과 이격이 근접되도록 된 프레임을 끼워 설치한 후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마스크의 형상이 착용자의 입 전방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동시에 마스크 양측부의 마스크 끈이 당겨져 마스크가 프레임을 누르게 됨으로 착용자의 얼굴을 압박하여 피부에 자국이 생기는 동시에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8896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내면에 신축성을 갖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의 코, 입과 마스크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착용자의 얼굴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 얼국에 자국이 발생되지 않고, 운동시 마스크가 코와 입에 달라 붙지 않아 호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귀걸이 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시 귀걸이 끈이 착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귀를 압박하여 머리를 아프게 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목적으로 한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측 상하 모서리에 마스크 끈이 설치되어 착용시 귀에 걸을 수 있도록 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끈은 착용자의 머리 후부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단에 설치된 끈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내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가 이격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스크 지지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에 일체로 다수의 살 또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단프레임 상단과 상단프레임 하단 양측이 마스크 내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끈은 마스크 양측 상하모서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스냅클립이 설치되어 마스크 끈을 마스크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부와 상부프레임 양측 하단부에 톱니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마스크 내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양측 하단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마스크 끈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냅클립이 마스크와 함께 결속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동물 얼굴, 산, 꽃, 나무, 건축물, 새, 물고기 등의 캐릭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끈 각 단부에 설치된 스냅클립은 일측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다수의 신축홈이 형성된 결착공 및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와 대응결착되도록 일측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침봉이 형성된 숫부재와; 상기 암부재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 내면에 신축성을 갖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의 코, 입과 마스크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착용자의 얼굴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 얼굴에 자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시 마스크 끈이 착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귀를 압박하여 두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 끈은 마스크 양측 상하모서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스냅클립이 설치되어 마스크 끈을 마스크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마스크 끈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마스크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마스크에 마스크 지지프레임과 스냅클립을 갖는 마스크 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로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5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에 대한 형상의 실시예을 나타낸 예시도.
도6의 (가)(나)(다)(라)는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을 마스크 끈에 연결되도록한 실시예와 마스크 끈에 연결하지 않고 프레임의 양쪽끝을 마스크의 넓이에 맞춰 잘라내어 마스크의 아래쪽 주름사이에 넣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마스크와 마스크 끈을 연결하는 스냅클립을 분리하여 나타낸 커버부재, 암부재, 숫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스냅클립을 이용하여 마스크와 귀걸이 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크립을 마스크 끈에 연결한 상태에서 스냅클립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마스크에 마스크 지지프레임과 스냅클립을 갖는 마스크 끈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마스크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로 착용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110)는 양측 상하 모서리에 마스크 끈(120)이 설치되어 착용시 귀에 걸거나 머리 후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스크 끈(120)은 착용자의 머리 후부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단에 설치된 끈조절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끈조절부재(125)는 마스크 끈(120) 후단에서 선단측으로 이동되며,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관계 없이 자유롭개 조절하여 마스크(110)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10) 내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가 이격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31)과 상기 상부프레임(131)의 하부에 다수의 살 또는 하부프레임으로 형성된 보강프레임(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31)과 상부프레임(131) 하단 양측이 마스크(110) 내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마스크 끈(120)은 마스크(110) 양측 상하모서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스냅클립(140)이 설치되어 마스크 끈(120)을 마스크(11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마스크 끈(120)은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마스크(110) 양측 상하모서리 4곳에 연결되며 양측에 2개씩 배열되어 메인줄(121)과 보조줄(122)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줄(121)은 마스크(110) 일측 상부모서리에 연결된 후 타측 상부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마스크(110) 양측 하단 모서리에는 짧은 보조줄(122)을 연결하여 양측 보조줄(122) 끝단부와 메인줄(121)을 결속링(123)으로 연결한다.
이때 보조줄(122) 끝단부는 결속링(1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124)가 체결되고 결속링(123)은 메인줄(121)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한다.
따라서 마스크(110)를 착용시 양측 메인줄(121)과 보조줄(122)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하며 메인줄(121)과 보조줄(122)을 결속한 결속링(123)은 착용자의 귀 후부에 위치하고, 끈조절부재(125)를 이용하여 마스크 끈(120)의 착용길이를 조절하며 최대한 당겨 끈조절부재(125)가 착용자의 머리 후부에 대응되도록 하면 메인줄(121)과 보조줄(122)이 마스크(110)를 당겨 밀착 착용되도록 한다.
이때 마스크(110) 내면에는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 전방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또한 마스크(110)를 당겨 지지하는 마스크 끈(120)의 메인줄(121)과 보조줄(122)은 마스크(110) 양측 상하 폭만큼 벌어지고 후면은 결속링(123)에 결속된 상태이므로 측면에서 볼 때 메인줄(121)과 보조줄(122)은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속링(123)이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마스크 끈(120)은 양측 메인줄(121) 및 보조줄(122) 단부에는 스냅클립(140)이 설치되어 마스크(110) 양측 상하 모서리와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마스크 끈(120)의 메인줄(121)과 보조줄(122)은 스냅클립(140)의 연결부(141) 중앙에 형성된 구멍(142)에 결속되고 스냅클립(140)의 암부재(145)와 숫부재(143)는 마스크(110)에 체결되어 마스크 끈(12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냅클립(140)은 숫부재(143)와 암부재(145)가 스냅단추와 같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스크(110)와 마스크 끈(120)을 탈부착으로 마스크(110)를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냅클립(140)의 숫부재(143) 외면에 다양한 케릭터 무늬로 형성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표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도2에 설치된 바와 같이 마스크(110) 내피에 설치하여 마스크(110) 착용시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상부프레임(131)과 보강프레임(132)에 마스크 끈(120)의 당김에 의해 휨이 발생하여 도3과 같이 착용자의 입과 코 앞부분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상부프레임(131)과 보강프레임(132)은 휨이 발생하는 동시에 대응된 마스크(110)를 지지하여 착용자의 입과 코와 이격되도록 하는 동시에 스포츠 운동으로 인하여 가쁜 숨을 들려마실 때 마스크(110)의 내피가 착용자의 입과 코에 달라붙는 현상이 없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표면은 매끄러워 착용자의 볼 피부와 접촉되다라도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상부프레임(131)은 "
Figure pat00001
"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는 살 형태의 보강프레임(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곤충의 날개 또는 새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체를 형상화한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져 시각적인 효과와 소비자가 관심을 갖는 케릭터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상부프레임(131)을 "
Figure pat00002
"형으로 설명한 것은 일예를 설명한 것으로 형상모양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 지지프레임(130) 통상의 마스크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과 같이 마스크 끈(120) 단부에 스냅클립(140)이 형성되어 탈부착할 수 있는 마스크(110) 등 어느 형태의 마스크라 하더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마스크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에 대한 형상모양의 실시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4 및 도5는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31)의 상단부와 양측 하단부에 톱니와 같은 지지돌기(133)를 형성하여 마스크(110) 내면에 설치시 지지돌기(133)에 의해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4에 도시된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새 날개를 형상화 한 것으로 상기 도2 및 도3에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5에 도시된 (가)는 상상동물의 얼굴을 형상화한 일예로서 상부측에 상부프레임(131)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상부프레임(131)과 대응되는 보강프레임(132)을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프레임(131)과 하단 보강프레임(132) 양측 단에는 모두 통공(134)이 형성되어 마스크 끈(120)의 스냅클립(14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5의 (나)는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을 새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31)에 걸림돌기(133)가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31)과 하부의 보강프레임(132)의 양측 단이 만나는 부분에 통공(134)을 형성하여 마스크 끈(120)의 단부에 설치된 스냅크립(140)이 마스크 원단과 함께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5의 (다)의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나비모양을 형상화 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31) 상에 걸림돌기(133)를 형성하고, 하부의 보강프레임(132)양측단과 상부프레임(131) 양측 단이 만나는 부분에 통공(134)을 형성하여 마스크 끈(120)의 단부에 설치된 스냅크립(140)이 마스크 원단과 함께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5의 (가)(나)(다)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다양한 물체를 형상화하여 기존의 마스크 프레임과는 차별화를 갖고 소비자의 취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도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새의 날개형상, 곤충의 날개형상, 동물의 얼굴형상, 식물의 꽃잎 또는 식물의 줄기형상, 나무형상 등 소비자의 취향에 어울리는 형상 모양으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6의 (가)(나)(다)(라)는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을 마스크 끈에 연결되도록한 실시예와 마스크 끈에 연결하지 않고 프레임의 양쪽끝을 마스크의 넓이에 맞춰 잘라내어 마스크의 아래쪽 주름사이에 넣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6의 (가)(나)는 마스크(130) 원단을 마스크 끈(120)으로 결합하고 끈 끝에 연결된 스냅클립(140)에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의 상부프레임(131) 양측 하단에 형성된 통공(134)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6의 (다)(라)는 기존에 사용되는 1회용 보건마스크, 비말마스크, 황사마스크, KF94 마스크, KF80 마스크, 직물 마스크 등의 내면에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지지프레임(130)은 기존에 사용되는 마스크와 본 발명의 마스크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7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마스크와 마스크 끈을 연결하는 스냅클립을 분리하여 나타낸 커버부재, 암부재, 숫부재를 나타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스냅클립을 이용하여 마스크와 귀걸이 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이다.
도7의 (가)는 암부재(145)의 체결홈(148)에 끼움돌기(150)가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부재(149)이며, 도7의 (나)는 상면에 커버부재가 결합되고 결착공(146)에는 저면과 대응되는 숫부재(143)의 침봉(144)이 기워져 체결되도록 한 암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7의 (다)는 숫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숫부재(143)는 암부재(145)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침봉(144)이 마스크(110)의 각 모서리 원단을 뚫고 암부재(145)의 결착공(146)에 끼워져 결합되어 마스크 끈(120)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착공(146) 주변에 다수 형성된 신축홈(147)은 숫부재(143)의 침봉(144)이 마스크(110) 원단을 뚫은 후 결착공(146)에 끼워질 때 원활하게 뚫고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8은 본 발명의 스냅클립을 이용하여 마스크와 마스크 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로서, 스냅클립을 이용하여 마스크 원단과 마스크 끈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끈(120)은 스냅클립(140)의 일측으로 돌출된 연결부(141)에 형성된 구멍(142)에 결속되고, 마스크(110)는 스냅클립(140)의 암부재(145)와 숫부재(143)의 결합에 의해 고정됨으로 마스크(110)에 마스크 끈(120)이 설치된다.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암부재는 결착공이 형성되고, 숫부재는 침봉이 형성되어 마스크 원단을 지지하도록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스크 끈(120)의 단부에 설치된 스냅클립(140)으로 마스크(110) 양측 상하 모서리 원단을 연결토록 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마스크 끈(120)을 사용시에는 별도의 마스크(110)를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기존의 마스크 양측 끈을 절단한 후 본 발명의 마스크 끈(120)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냅클립(140)은 마스크 끈(120)의 양측 메인줄(121)과 보조줄(122) 단부가 연결부(141)의 구멍(142)에 결속되어 고정되며, 스냅클립(140)은 숫부재(143)와 암부재(145)가 침봉(144)와 결착공(146)을 통하여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110)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마스크 내면에는 신축성을 갖는 마스크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마스크 착용자의 코 및 입과 마스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을 자유롭게 하고, 마스크 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시 귀를 압박하여 아프게 하거나 두통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이 당연할 것이다.
110:마스크 111:끈고정공
120:마스크 끈 121:메인중
122:보조줄 123:결속링
124:고정부재 125:끈조절부재
130:마스크 지지프레임 131:상부프레임
132:보강프레임 133:걸림돌기
134:통공 140:스냅클립
141:연결부 142:구멍
143:숫부재 144:침봉
145:암부재 146:결착공
147:신축홈 148:체결홈
149:커버부재 150:끼운돌기

Claims (5)

  1. 양측 상하 모서리에 마스크 끈이 설치되어 착용시 귀에 걸을 수 있도록 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끈은 착용자의 머리 후부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단에 설치된 끈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내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가 이격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마스크 지지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에 일체로 다수의 살 또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단프레임 상단과 상단프레임 하단 양측이 마스크 내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끈은 마스크 양측 상하모서리에 결속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스냅클립이 설치되어 마스크 끈을 마스크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부와 상부프레임 양측 하단부에 톱니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마스크 내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지지프레임은 양측 하단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마스크 끈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냅클립이 마스크와 함께 결속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끈을 형성하는 메인줄과 보조줄의 각 단부에 설치된 스냅클립은 일측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다수의 신축홈이 형성된 결착공 및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와 대응결착되도록 일측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침봉이 형성된 숫부재와; 상기 암부재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KR1020210139510A 2021-10-19 2021-10-19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KR10263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10A KR102630104B1 (ko) 2021-10-19 2021-10-19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10A KR102630104B1 (ko) 2021-10-19 2021-10-19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50A true KR20230055750A (ko) 2023-04-26
KR102630104B1 KR102630104B1 (ko) 2024-01-29

Family

ID=8609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10A KR102630104B1 (ko) 2021-10-19 2021-10-19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26B1 (ko) * 2023-05-09 2023-10-23 주식회사 지텔레마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86B1 (ko) * 2017-02-14 2018-06-01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KR101889651B1 (ko) 2016-11-24 2018-08-17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180280738A1 (en) * 2013-07-17 2018-10-04 Pamela Gabriel Protective Respiratory Mask with Electronic System
US20190388715A1 (en) * 2015-10-16 2019-12-26 Yang Song Particulate filter face mask having fan breathing assist
KR20200000600U (ko) * 2018-09-07 2020-03-17 스타일앤에어 주식회사 습기조절 프레임과 필터 및 외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0493018Y1 (ko) * 2020-08-11 2021-01-18 김병렬 음식물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마스크
KR102255838B1 (ko) * 2020-10-23 2021-05-24 송호 마스크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용 프레임
KR102260630B1 (ko) * 2020-10-07 2021-06-04 박영선 마스크 프레임구조
JP2021107605A (ja) * 2020-10-09 2021-07-29 株式会社Bfull マスクセット及び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102282711B1 (ko) * 2020-09-03 2021-07-29 조웅제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KR102300627B1 (ko) * 2020-09-14 2021-09-09 (주)케이알바트로스 앰비언트 기반의 다색 발광형 패션 마스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0738A1 (en) * 2013-07-17 2018-10-04 Pamela Gabriel Protective Respiratory Mask with Electronic System
US20190388715A1 (en) * 2015-10-16 2019-12-26 Yang Song Particulate filter face mask having fan breathing assist
KR101889651B1 (ko) 2016-11-24 2018-08-17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863286B1 (ko) * 2017-02-14 2018-06-01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KR20200000600U (ko) * 2018-09-07 2020-03-17 스타일앤에어 주식회사 습기조절 프레임과 필터 및 외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0493018Y1 (ko) * 2020-08-11 2021-01-18 김병렬 음식물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마스크
KR102282711B1 (ko) * 2020-09-03 2021-07-29 조웅제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KR102300627B1 (ko) * 2020-09-14 2021-09-09 (주)케이알바트로스 앰비언트 기반의 다색 발광형 패션 마스크
KR102260630B1 (ko) * 2020-10-07 2021-06-04 박영선 마스크 프레임구조
JP2021107605A (ja) * 2020-10-09 2021-07-29 株式会社Bfull マスクセット及び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102255838B1 (ko) * 2020-10-23 2021-05-24 송호 마스크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용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26B1 (ko) * 2023-05-09 2023-10-23 주식회사 지텔레마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04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895B2 (en) Headgear for a respiratory mask and a method for donning a respiratory mask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195663B1 (ko) 귀걸이 끈 없는 목걸이용 끈 조절 마스크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JP3742418B2 (ja) 鼻及び口に密着しない多目的マスク
KR102630104B1 (ko)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KR102287338B1 (ko) 다기능성 마스크
KR20110003053U (ko) 마스크
KR102294903B1 (ko)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KR20190001915U (ko) 방한마스크
KR20210052403A (ko) 마스크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100801178B1 (ko) 안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125923B1 (ko) 위생용 입가리개
KR102273111B1 (ko) 평면형 마스크와 함께 사용가능한 3d 마스크 가드
KR200496469Y1 (ko) 후드-넥 워머
JP6941719B1 (ja) 分離マスク
CN218682181U (zh) 儿童口罩
JP3233245U (ja) マスク
KR102633471B1 (ko) 다용도 마스크 클립.
KR102671800B1 (ko) 하부 통기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KR200236222Y1 (ko) 귀마개를 갖는 방한용 마스크
KR200274886Y1 (ko) 위생 마스크.
KR20220000475U (ko) 귀걸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