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26B1 -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26B1
KR102592026B1 KR1020230060101A KR20230060101A KR102592026B1 KR 102592026 B1 KR102592026 B1 KR 102592026B1 KR 1020230060101 A KR1020230060101 A KR 1020230060101A KR 20230060101 A KR20230060101 A KR 20230060101A KR 102592026 B1 KR102592026 B1 KR 10259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member
mask
suppor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텔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텔레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텔레마
Priority to KR102023006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필터부를 상기 지지부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Face mask and face mask device}
본 발명은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비말을 차단하여 타인이 세균에 의한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싸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사용자마다 머리 크기나 얼굴 크기가 달라 필터부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필터부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고, 귀걸이부를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필터부는 부직포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어려워 필터부와 사용자의 안면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사용자가 오염 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스크는 일회용으로 제작되어 사용 후 전체가 버려지는데, 버려진 마스크의 귀걸이부가 야생 조류의 다리나 목에 걸려 사냥에 불편함을 야기시키거나 야생 조류의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22-0050357 A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고, 귀걸이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필터부를 상기 지지부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귀걸이부에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귀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암단추와, 상기 암단추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귀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수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연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양쪽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제1지지부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보호부재; 상기 제1보호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보호부재;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 중 나머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쪽 단부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쪽 단부에 상기 제2지지부재의 양쪽 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입과 이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부재의 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보호부재의 상단은 상기 제2지지부재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폭은 상기 결합 돌기의 직경보다 짧고, 상기 결합공의 길이는 상기 결합 돌기의 직경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결합 돌기와 함께 걸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이격되는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연결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걸림편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턱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수집부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검출된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 및 상기 검출기 및 상기 송신기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마스크; 및 수집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상기 마스크의 밀착도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필터부를 상기 지지부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수집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마스크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상기 광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기 이전에 검출된 광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이후에 검출된 광량의 차이값과, 상기 필터부의 광차단율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량의 차이값과 상기 필터부의 광차단율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 밀착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 및 산출된 밀착도가 상기 기준 밀착도 정보와 다르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귀걸이부를 이용하여 지지부에 필터부를 탈장착시킴으로써 사용 후 버려지는 폐기물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귀걸이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귀걸이부에 의해 야생 조류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필터부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가 벌어져 사용자의 안면과 필터부 사이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필터부 사이에서 광량, 온도, 습도 및 소리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도, 사용자의 생체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3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필터부를 지지부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지지부에 검출부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필터부를 지지부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지지부에 검출부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를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0) 및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복수의 원단, 예컨대 내피, 필터 및 외피를 용착 및 절단하여 제조된 성형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원단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같은 열가소성 고분자를 용융시켜 노즐을 통해 압출 방사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단은 직경이 10㎛ 이하인 미세 섬유들이 상호 결합해 거미줄과 같은 구조 형태를 가지며, 섬유조직이 무작위로 얽히고 쌓여 미세 이물질이 통과하기 힘든 구조가 된다. 또한, 원단 제작 후 후공정을 통해 정전기를 부여하면 초미세먼지를 잡아낼 수 있는 정전기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110)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110)는 사용자의 입 및 코는 물론, 볼과 턱을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0)는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적어도 사용자의 입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필터부(110)는 지지부(120)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필터부에 귀걸이부가 용착되어 있어 사용 후에는 마스크 전체가 폐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 후 필터부(110)만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지지부(120)에 탈장착하기 위한 관통구(111a, 111b, 111c, 111d)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11a, 111b, 111c, 111d)는 필터부(1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구(111a) 및 제2관통구(111b)와, 필터부(110)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3관통구(111c) 및 제4관통구(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관통구(111a)와 제2관통구(111b)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제3관통구(111c)와 제4관통구(111d)도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관통구(111a) 및 제3관통구(111c)와, 제2관통구(111b) 및 제4관통구(111d)는 필터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귀걸이부(130)는 필터부(110)를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 수 있도록 제1귀걸이부(131) 및 제2귀걸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귀걸이부(131)는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 및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의 한 쪽 단부에 연결되는 제1길이조절부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필터부(110)의 제1관통구(111a)에서 사용자의 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는 통상의 일회용 마스크에 사용되는 탄성을 갖도록 제작된 합성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천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길이조절부재(1312)는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의 한 쪽 단부, 즉 사용자의 귀가 있는 방향에 배치되는 쪽 단부에 설치되어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길이조절부재(1312)는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를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머리 크기 등에 따라 제1끈부재(1311a)와 제2끈부재(1311b)의 길이를 조절하여 마스크, 예컨대 지지부(12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2귀걸이부(132)는 제3끈부재(1321a)와 제4끈부재(1321b) 및 제3끈부재(1321a)와 제4끈부재(1321b)의 한 쪽 단부에 연결되는 제2길이조절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귀걸이부(132)는 앞서 설명한 제1귀걸이부(13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에서는 제2귀걸이부(132)의 설명을 생략한다.
귀걸이부(130)와 지지부(120)에는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34)가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34)는 제1끈부재(1311a), 제2끈부재(1311b), 제3끈부재(1321a) 및 제4끈부재(1321b)의 다른 쪽 단부를 지지부(120)에 각각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에 연결되는 체결부재(1342a, 1342b, 1342c, 1342d)는 필터부(110)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관통구(111a 내지 111d)와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11a, 111b, 111c, 111d)에 이러한 체결부재(134)는 서로 맞물려질 수 있는 암단추(1341a, 1341b, 1341c, 1341d)와 수단추(1342a, 1342b, 1342c, 1342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끈부재(1311a), 제2끈부재(1311b), 제3끈부재(1321a) 및 제4끈부재(1321b)의 다른 쪽 단부에는 암단추(1341a, 1341b, 1341c, 1341d)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120)에는 암단추들(1341a, 1341b, 1341c, 1341d)과 각각 맞물려질 수 있는 수단추들(1342a, 1342b, 1342c, 1342d)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암단추(1341a, 1341b, 1341c, 1341d)가 제1귀걸이부(131)에 연결되고, 수단추(1342a, 1342b, 1342c, 1342d)가 지지부(1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암단추(1341a, 1341b, 1341c, 1341d)가 지지부(120)에 연결되고, 수단추(1342a, 1342b, 1342c, 1342d)가 제1귀걸이부(13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34)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내지 제4관통구(111a 내지 111d)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관통구(111a 내지 111d)로 삽입된 후 서로 맞물려짐으로써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4)는 서로 맞물려짐이 해제되면, 필터부(110)를 지지부(12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134)는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시킬 수 있다면, 암단추, 수단추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필터부(110)를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20)는 폴리프로필렌(PP), 실리콘,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20)는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가방이나 주머니 등과 같이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양쪽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제1지지부재(1211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되는 제1보호부재(1211b)와, 제1보호부재(1211b)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되는 제2보호부재(1211c)와,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 중 나머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1211a)의 양쪽 단부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1221) 및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제1지지부재(1211a)의 양쪽 단부에 제2지지부재(1221)의 양쪽 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23a, 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1a)는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재(1211a)는 필터부(110)에서 사용자의 안면에서 볼과 턱에 대응하는 부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U'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사용자의 코가 있는 쪽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1a)는 0.1 내지 3㎜ 또는, 0.5 내지 2㎜ 정도의 두께와, 5 내지 20㎜, 또는 7 내지 15㎜ 정도의 폭을 가지는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지지부재(1211a)는 한 쪽 면에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1a)에는 필터부(110)를 장착 및 탈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34) 중 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1211a)에는 앞서 예시한 수단추(1342a, 1342b, 1342c, 1342d)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단추(1342a, 1342b, 1342c, 1342d)는 제1지지부재(1211a)를 관통하여 암단추(1341a, 1341b, 1341c, 1341d)와 맞물려지는 쪽이 지지면쪽에 배치되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에는 제2지지부재(1221)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1212a, 1212b)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212a, 1212b)은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공(1212a, 1212b)은 후술하는 제2지지부재(1221)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222a, 1222b)의 직경보다 짧은 폭을 가지며, 결합 돌기(1222a, 1222b)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 또는 안면 크기에 따라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의 중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에는 결합공(1212a, 1212b)과 이격되는 걸림편(1213a, 1213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213a, 1213b)은 제1지지부재(1211a)에 제2지지부재(1221)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할 제2지지부재(1221)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222a, 1222b)와 함께 연결부재(123a, 123b)를 걸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편(1213a, 1213b)은 결합공(1212a, 1212b)의 외측에 결합공(1212a, 1212b)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23a, 123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3a, 123b)를 걸림편(1213a, 1213b)과 결합 돌기(1222a, 1222b)에 걸었을 때 걸림편(1213a, 1213b)은 연결부재(123a, 123b)가 복원력에 의해서 결합 돌기(1222a, 1222b)를 걸림편(1213a, 1213b)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정도로 결합공(1212a, 1212b)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연결부재(123a, 123b)가 복원력에 의해 결합 돌기(1222a, 1222b)를 걸림편(1213a, 1213b) 쪽으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재(123a, 123b)는 걸림편(1213a, 1213b)을 결합 돌기(1222a, 1222b) 쪽으로 끌어 당길 수도 있고, 걸림편(1213a, 1213b)과 결합 돌기(1222a, 1222b)를 서로를 향해 동시에 끌어 당길 수도 있다.
제1보호부재(1211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보호부재(1211b)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2지지부재(1221)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재(1211a)의 상단에는 제2지지부재(1221)의 체결돌기(1223)과 결합될 수 있는 통공(1211e)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보호부재(1211c)는 제1보호부재(1211b)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보호부재(1211c)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은 제1지지부재(1211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보호부재(1211c)는 사용자의 콧등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보호부재(12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보호부재(1211b)와 제2보호부재(1211c)는 사용자의 코 및 입 부위에서 필터부(110)를 돌출시키기 위해서 구부러지도록 제1지지부재(1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보호부재(1211c)는 후술할 수집부(140)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211f)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1211f)은 제2보호부재(1211c)에서 제1보호부재(1211b)에 인접한 쪽, 예컨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코에 가까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는 수집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2보호부재(1211c)와 제1보호부재(1211b)에 연결되는 제3보호부재(1211d)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보호부재(1211d)는 절곡된 'ㄴ'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집부(140)의 한 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보호부재(1211b) 및 제2보호부재(1211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호부재(1211b)와 제2보호부재(1211c)는 필터부(110)가 사용자의 입에 접촉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안면에서 필터부(110)를 이격시켜 입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보호부재(1211b)와 제2보호부재(1211c)는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수집부(14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221)는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221)는 제1지지부재(1211a)에 결합시켰을 때, 사용자의 콧등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221)는 사용자의 콧등과 볼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221)는 0.1 내지 3㎜ 또는, 0.5 내지 2㎜ 정도의 두께와, 5 내지 20㎜, 또는 7 내지 15㎜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221)는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긴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지지부재(1221)는 한 쪽 면에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221)는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는 지지면을 통해 필터부(110)의 가장자리부를 연속적으로 지지하고, 접촉면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1221)는 제1지지부재(1211a)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1222a, 1222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222a, 1222b)는 제2지지부재(1221)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222a, 1222b)는 제1지지부재(1211a)에 형성되는 결합공(1212a, 1212b)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2지지부재(1221)의 지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221)는 제1보호부재(1211b)와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돌기(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 돌기(1223)는 제1보호부재(1211b)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공(1211e)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1222a, 12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 돌기(1223)는 통공(1211e)에 삽입되어, 제2지지부재(1221)를 제1지지부재(1211a)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지지부재(1221)에는 필터부(110)를 제2지지부재(1221)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1224a, 1224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재(1224a, 1224b)는 부직포로 형성된 필터부(110)를 부착시킬 수 있는 벨크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 돌기(1223)와 결합 돌기(1222a, 1222b)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지지부재(1221)의 지지면에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부착부재(1224a, 1224b)가 제2지지부재(12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부착부재(1224a, 1224b)는 제2지지부재(1221)의 지지면은 물론 제1지지부재(1211a)의 지지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부착부재(1224a, 1224b)는 필터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필터부(110)와 지지부(120) 사이로 외부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사용자가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23a, 123b)는 제2지지부재(1221)를 제1지지부재(1211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23a, 123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23a, 123b)는 결합 돌기(1222a, 1222b)와 걸림편(1213a, 1213b)에 걸려서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결합 돌기(1222a, 1222b)를 걸림편(1213a, 1213b) 쪽으로 끌어 당기거나, 걸림편(1213a, 1213b)을 결합 돌기 쪽으로 끌어 당겨서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의 중첩 정도 또는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연결부재(123a, 123b)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지지부(120), 예컨대 제2지지부재(1221)가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지 않아 제2지지부재(1221)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 도 5의 (b)는 연결부재(123a, 123b)를 결합 돌기(1222a, 1222b)와 걸림편(1213a, 1213b)에 건 상태로, 연결부재(123a, 123b)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1a)의 양단부 사이 거리가 줄어들고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의 중첩 정도가 늘어나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 특히 제2지지부재(1221)가 사용자의 안면에 더 효과적으로 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지지부(1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 특히 제2지지부재(1221)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흡습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습기나 땀 등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의 접촉면에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흡수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부재는 면 등과 같은 천을 포함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1a)와 제2지지부재(1221)의 접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211a)에는 사용자의 턱에 접촉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완충부재(126)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26)는 제1지지부재(1211a)가 사용자의 턱을 가압하여 자국을 남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26)는 제1지지부재(1211a)에 의한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에어폼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1a)의 접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과 필터부(110) 사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40)는 제2보호부재(1211c)의 체결공(1211f)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141a, 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40)는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141)와, 검출된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미도시)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미도시) 및 검출기(141) 및 송신기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출기(141)와 송신기 및 배터리(142)는 하나의 구조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141)와 송신기는 하나의 칩셋으로 제작되고, 배터리(142)는 배선(143)에 의해 검출기(141) 및 송신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검출기(141)는 온도계, 습도계, 조도계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는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되는 소리, 즉 호흡을 검출할 수 있다. 송신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상태정보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141), 예컨대 칩셋에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141a)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스위치(141a)를 온(ON) 방향으로 전환하여 배터리(142)로부터 검출기(141) 및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141a)를 오프(OFF) 방향으로 전환하여 검출기(141) 및 송신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검출기(141)는 배터리(142)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상태 정보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로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단말은 수집부(140)의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도와,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도를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마스크는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외부 단말, 예컨대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안면과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마스크 및 수집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도 및 사용자의 생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를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0)와, 필터부(110)를 지지부(120)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130) 및 사용자의 안면과 필터부(110) 사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집부(140)는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지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는 앞서 설명한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마스크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는 수집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지지부(120)에 설치되거나, 수집부(140)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마스크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어기는 수집부(140)를 구성하는 검출기(141) 및 송신기와 하나의 칩셋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기는 휴대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상태 정보를 송신기를 통해 전달받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도와 사용자의 생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는 밀착도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밀착도 정보 및 필터부(110)의 광차단율 정보와, 생체 상태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생체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미도시)와, 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과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밀착도 및 생체 상태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10)의 광차단율 정보는 필터부(110)의 재질, 색상 등에 따른 광차단율을 의미하고, 기준 밀착도 정보는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광량의 차이값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지수를 의미한다. 또한, 기준 생체 상태 정보는 평상시에 사용자의 호흡수, 체온, 호흡시 입에서 배출되는 숨의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기(141)에서 광량을 검출하고, 송신기를 통해 검출기(141)에서 검출된 광량이 송신되면, 제어기는 광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마스크의 밀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기(141)는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광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송신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광량을 제어기로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하기 이전에 수집부(140)에 설치된 스위치(141a)를 온 방향으로 전환한 후,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이에 검출기(141)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기 이전에 광량을 검출하고,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이후에 광량을 검출하며, 송신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광량들을 제어기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기는 수집부(140)에서 송신되는 광량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량의 차이값, 즉 마스크를 착용하기 이전에 검출된 광량과 마스크를 착용한 이후에 검출된 광량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광량의 차이값이 산출되면, 제어기는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에 따라 마스크의 밀착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재를 더 포함하여, 산출된 밀착도가 기준 밀착도 정보와 다르면 알람부재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어기는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이 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밀착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준 밀착도 정보에서 해당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에 따른 밀착도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제어기는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이 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밀착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준 밀착도 정보를 기준으로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에 따른 밀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이 기준 밀착도 정보에 포함된 광량의 차이값보다 작으면, 지지부(120)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아 광이 지지부(1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통해 필터부(110) 내부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이 기준 밀착도 정보에 포함된 광량의 차이값과 동일하거나 크면, 지지부(120)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광이 지지부(1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를 통해 필터부(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필터부(110)의 광차단율과 산출된 광량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마스크의 밀착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스크의 밀착도를 산출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온도, 습도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기(141)가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여 송신기를 통해 제어기로 송신하면, 제어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된 온도를 수신하여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체온과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된 온도가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체온보다 높은 것으로 산출되면, 제어기는 사용자의 몸에 열이 나고 있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검출기(141)가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 공간의 습도를 검출하여 송신기를 통해 제어기로 송신하면, 제어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된 습도를 수신하여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숨의 습도와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된 습도가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숨의 습도보다 낮은 것으로 산출되면, 제어기는 사용자의 몸에 열이 나거나 코가 막혀서 사용자의 입속이 건조해져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검출기(141)가 필터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 공간의 소리, 예컨대 호흡을 검출하여 송신기를 통해 제어기로 송신하면, 제어기는 검출기(141)에서 검출된 소리를 수신하여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호흡수와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는 일정 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검출기(141)에서 검출되는 소리의 회수, 예컨대 호흡수를 세고, 검출된 소리의 회수가 기준 생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호흡수보다 많은 것으로 산출되면, 제어기는 사용자의 몸에 열이 나고 있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필터부 120: 지지부
1211a: 제1지지부재 1211b: 제1보호부재
1211c: 제2보호부재 1221: 제2지지부재
123a, 123b: 연결부재 130: 귀걸이부

Claims (19)

  1.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필터부를 상기 지지부에 탈장착시킬 수 있는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양쪽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제1지지부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보호부재;
    상기 제1보호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보호부재;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 중 나머지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쪽 단부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쪽 단부에 상기 제2지지부재의 양쪽 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폭은 상기 결합 돌기의 직경보다 짧고, 상기 결합공의 길이는 상기 결합 돌기의 직경보다 긴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귀걸이부에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귀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암단추와, 상기 암단추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귀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수단추를 포함하는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연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는 마스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입과 이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서로 연결되는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의 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보호부재의 상단은 상기 제2지지부재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스크.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결합 돌기와 함께 걸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이격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마스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연결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걸림편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이격되는 마스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탈부착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턱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수집부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마스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검출된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 및
    상기 검출기 및 상기 송신기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마스크.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기재되는 마스크; 및
    수집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상기 마스크의 밀착도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수집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마스크와 이격 설치되는 마스크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서 상기 광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기 이전에 검출된 광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이후에 검출된 광량의 차이값과, 상기 필터부의 광차단율을 이용하여 상기 밀착도를 산출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량의 차이값과 상기 필터부의 광차단율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 밀착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 및
    산출된 밀착도가 상기 기준 밀착도 정보와 다르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람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KR1020230060101A 2023-05-09 2023-05-09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KR10259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101A KR102592026B1 (ko) 2023-05-09 2023-05-09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101A KR102592026B1 (ko) 2023-05-09 2023-05-09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026B1 true KR102592026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101A KR102592026B1 (ko) 2023-05-09 2023-05-09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2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53A (ko) * 2015-01-30 2016-08-09 (주)씨아이제이 필터 마스크
KR20210130884A (ko) * 2020-04-22 2021-11-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JP2021195701A (ja) * 2020-06-10 2021-12-27 ジェコル株式会社 マスク用折り畳みスペーサー
KR102363553B1 (ko) * 2021-08-19 2022-02-15 김명숙 산소 마스크 가드
KR102377040B1 (ko) * 2021-11-02 2022-03-21 주식회사 청각장애인생애지원센터 조립형 투명 마스크
KR20220045100A (ko) * 2020-10-04 2022-04-12 공석태 안경서림방지 및 호흡 반사방지 마스크
KR20220048600A (ko) * 2020-10-13 2022-04-20 신경환 마스크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KR20220050357A (ko) 2020-10-16 2022-04-25 크린빌(주) 마스크용 안면 보호대
JP2022071421A (ja) * 2020-10-28 2022-05-16 大洋ゴム株式会社 マスク補助具
KR20220169983A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마스크 살균 장치 및 이를 부착한 마스크
KR20230055750A (ko) * 2021-10-19 2023-04-26 공미경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53A (ko) * 2015-01-30 2016-08-09 (주)씨아이제이 필터 마스크
KR20210130884A (ko) * 2020-04-22 2021-11-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JP2021195701A (ja) * 2020-06-10 2021-12-27 ジェコル株式会社 マスク用折り畳みスペーサー
KR20220045100A (ko) * 2020-10-04 2022-04-12 공석태 안경서림방지 및 호흡 반사방지 마스크
KR20220048600A (ko) * 2020-10-13 2022-04-20 신경환 마스크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KR20220050357A (ko) 2020-10-16 2022-04-25 크린빌(주) 마스크용 안면 보호대
JP2022071421A (ja) * 2020-10-28 2022-05-16 大洋ゴム株式会社 マスク補助具
KR20220169983A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마스크 살균 장치 및 이를 부착한 마스크
KR102363553B1 (ko) * 2021-08-19 2022-02-15 김명숙 산소 마스크 가드
KR20230055750A (ko) * 2021-10-19 2023-04-26 공미경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KR102377040B1 (ko) * 2021-11-02 2022-03-21 주식회사 청각장애인생애지원센터 조립형 투명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04B1 (ko)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JP5721038B2 (ja) マスク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JP2013544592A (ja) 環状のパッド部とフィルター部固定体を有する防塵マスク
KR101699153B1 (ko) 방진용 코마스크
JP2006288650A (ja) マスク
KR20170129379A (ko) 방진형 2중 격리막 마스크
KR200443652Y1 (ko) 마스크
JP5700278B2 (ja) マスク
KR102592026B1 (ko) 마스크 및 마스크 장치
US20220117332A1 (en) Respiratory personal protective mask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JP2007068892A (ja) マスクカバー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JP3124262U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KR102212607B1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CN212520881U (zh) 一种口罩
CN212754370U (zh) 附有简易护目镜的口罩组合构造
US20210370105A1 (en) Air inhalation and exhalation filtering mask
JP2007021026A (ja) マスク
JP2023530749A (ja) 顔カバーシステム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0296073Y1 (ko) 마스크
JP2022025180A (ja) マスク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