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302A -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 Google Patents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302A
KR20230055302A KR1020210138891A KR20210138891A KR20230055302A KR 20230055302 A KR20230055302 A KR 20230055302A KR 1020210138891 A KR1020210138891 A KR 1020210138891A KR 20210138891 A KR20210138891 A KR 20210138891A KR 20230055302 A KR20230055302 A KR 2023005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nail
gel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602B1 (ko
Inventor
홍우식
Original Assignee
홍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우식 filed Critical 홍우식
Priority to KR102021013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97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mprising rollers or belts cooperating with non-rotating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86N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 모양의 금형위에 완전 건조용 젤을 수납하는 금형장치와, 상기 금형장치에 유브이 빛을 조사하여 완전건조 시키기 위한 유브이 성형기를 구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원단을 펼치기 위한 롤러와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두루마리 형태로 존재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을 대형 직사각 형태로 절단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와; 상부 반칼 작업부와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지지부에 대형 직사각형 원단을 거치시킨후 상부 반칼 작업부를 작동시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소형 직사각형 형태로 반칼 작업하는 원단 반칼 작업장치(20)와; 원단 반칼 작업된 원단의 상부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 액상을 구비한 용기를 배치하고 하부에 반칼작업된 원단을 비치하여 반칼 작업된 원단에 손톱이나 발톱 모양의 컬러층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되 다수개의 단위로 도포시키는 컬러층 도포장치(30)와; 상기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수납하기 위해 다수개의 손톱모양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40)와; 상기 금형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며 금형장치의 손톱모양에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젤수지 도포장치(41)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젤수지 도포장치에 의해서 젤수지가 도포되고 아울러 컬러층이 도포된 베이스 원단을 뒤집어서 젤수지에 밀착시킨다음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베이스 원단의 컬러층에 젤수지가 부착되도록 하는 젤수지 압착장치(42)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유브이 램프가 설치되어 완전 경화 수지층을 형성한 원단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도록하는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50)와; 상기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완경 경화가 이루어진 원단의 상부에 다수겹으로 탑층을 형성하는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Gel nail sticker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톱 모양의 금형위에 완전 건조용 젤을 수납하는 금형장치와, 상기 금형장치에 유브이 빛을 조사하여 완전건조 시키기 위한 유브이 성형기를 구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아트의 경우 다양한 색상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 및 발톱 등에 도포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상의 안료를 도포하는 방법은 안료 도포 후 경화시키기 위해 장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안료에 UV경화수지를 포함하여 도포 후 UV발광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젤네일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 젤네일 방법 또한 액상의 안료를 손톱 및 발톱에 도포한 후 UV발광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등 그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으며, 다양한 형상의 무늬 등을 포함할 경우 그 과정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액상의 젤네일을 손톱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고, 다시 그 위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 등을 스티커 형태로 부착하거나 직접 그리는 과정을 거친 후, 또다시 그 위에 탑코트 등의 강도 보강제를 도포해야 하는 등 그 과정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매니큐어 등과 같은 액상 제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건식 스티커가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건식 스티커 방법은 그 형상이 정해져 있거나, 손톱에 접착 후 자연경화 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수정 및 재접착 등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대부분이 매니큐어와 동일한 원료로 구성되어 건조 전과 건조 후의 내구성이 약하여 지속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유연성 및 신축성이 자유롭지 못해 착용감과 부착성이 저하되어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여 심미성이 떨어지며, 지속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공되는 스티커의 재질이 딱딱한 플라스틱 형태여서 착용감이 저하되며, 유연성을 유지하는 스티커의 경우 신속하게 자연경화 되도록 하는 점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어 심미감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8319호(프렌치 네일 겸용 네일 스티커, 2014년 11월 26일 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622호(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2014년 04월 28일 등록)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3452호(건식 네일 스티커, 2013년 09월 23일 공개)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2492호(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2013년 12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손톱 모양의 금형위에 완전 건조용 젤을 수납하는 금형장치와, 상기 금형장치에 유브이 빛을 조사하여 완전건조 시키기 위한 유브이 성형기를 구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단을 펼치기 위한 롤러와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두루마리 형태로 존재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을 대형 직사각 형태로 절단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와; 상부 반칼 작업부와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지지부에 대형 직사각형 원단을 거치시킨후 상부 반칼 작업부를 작동시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소형 직사각형 형태로 반칼 작업하는 원단 반칼 작업장치(20)와; 원단 반칼 작업된 원단의 상부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 액상을 구비한 용기를 배치하고 하부에 반칼작업된 원단을 비치하여 반칼 작업된 원단에 손톱이나 발톱 모양의 컬러층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되 다수개의 단위로 도포시키는 컬러층 도포장치(30)와; 상기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수납하기 위해 다수개의 손톱모양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40)와; 상기 금형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며 금형장치의 손톱모양에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젤수지 도포장치(41)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젤수지 도포장치에 의해서 젤수지가 도포되고 아울러 컬러층이 도포된 베이스 원단을 뒤집어서 젤수지에 밀착시킨다음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베이스 원단의 컬러층에 젤수지가 부착되도록 하는 젤수지 압착장치(42)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유브이 램프가 설치되어 완전 경화 수지층을 형성한 원단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도록하는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50)와; 상기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완경 경화가 이루어진 원단의 상부에 다수겹으로 탑층을 형성하는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반경화 탑층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경사진 패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진 패널에 원단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원단을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계단 형식으로 형성된 탑층이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일측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형성되고 손톱 끝쪽 방향이 얇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와; 상기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를 탑재시키도록하며, 상부에 온열수단이 설치되어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에 장착된 원단의 계단 형상의 탑층이 부드럽게 녹으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탑층 온열 처리장치(80)와; 상기 탑층 온열 처리장치에 의해서 온열처리된 스티커에 단파장을 출력하여 원단이 반건조 되도록 하는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90)와; 상기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에 의해서 반건조로 경화된 원단을 송풍시켜 원단이 잘 마르도록 유도하는 송풍장치(100)와; 상기 송풍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송풍이 완료된 원단을 임시 정렬시키기 위한 원단 임시 정렬장치(110)와; 상기 원단 임시 정렬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워단 임시 정렬장치에 70도 내지 80도의 열을 30분 내지 1시간 가하여 표면을 처리하며, 끈적임을 없애도록 하는 건조장치(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는, 젤네일 스티커의 측면을 촬영하여 경사유도 보조장치의 기울기에 따른 탑층의 돌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탑층 촬영용 카메라(75)와, 상기 탑층 촬영용 카메라의 촬영결과에 따라서 돌출 정도가 기준이하이면 경사패널을 수직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돌출 정도가 기준이상이면 경사패널을 수평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6)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용 패널을 중심으로 경사패널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는, 지지용 고정자(71)와, 상기 지지용 고정자에 설치되는 코일(72)과,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와, 상기 회전형 가동자(73)에 설치되는 영구자석(74)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72)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영구자석(74)에 반발하도록 함으로서 지지용 고정자(71)를 중심으로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경사패널(73b)의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원단에 설치되는 젤네일 스티커의 탑층의 돌출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베이스 원단(1)과, 이 베이스 원단에 구비된 접착제층(2)과,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컬러층(3)과, 상기 컬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완전 건조 수지층(4)과, 상기 완전 건조 수지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반건조 탑층(5)과, 상기 탑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탑층이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일측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형성되고 손톱 끝쪽 방향이 얇게 형성되는 돌출영역(5a)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톱 모양의 금형위에 완전 건조용 젤을 수납하는 금형장치와, 상기 금형장치에 유브이 빛을 조사하여 완전건조 시키기 위한 유브이 성형기를 구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편리하게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탑층 온열처리와 경화 및 송풍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탑층 온열처리와 경화 및 송풍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요부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의 리니어 모터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손톱 부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단면도.
도 13은 손톱모양의 금형에 젤 수지층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면.
도 14는 젤수지층에 베이스 원단을 180도 뒤집어서 컬러층과 접면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5는 롤러를 좌우로 이동하여 베이스 원단을 압착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6은 유브이 램프를 이용하여 베이스 원단과 젤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7은 베이스 원단을 금형으로부터 탈거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탑층 온열처리와 경화 및 송풍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탑층 온열처리와 경화 및 송풍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요부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의 리니어 모터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손톱 부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젤네일 스티커 단면도.
도 13은 손톱모양의 금형에 젤 수지층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면.
도 14는 젤수지층에 베이스 원단을 180도 뒤집어서 컬러층과 접면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5는 롤러를 좌우로 이동하여 베이스 원단을 압착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6은 유브이 램프를 이용하여 베이스 원단과 젤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
도 17은 베이스 원단을 금형으로부터 탈거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와, 원단 반칼 작업장치(20)와, 컬러층 도포장치(30)와, 금형 장치(40)와, 젤수지 도포장치(41)와, 젤수지 압착장치(42)와,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50)와,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와,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와, 탑층 온열 처리장치(80)와, 반건조를 위한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90)와, 반건조를 위한 송풍장치(100)와, 반건조된 원단 임시 정렬장치(110)와, 표면 처리를 위한 건조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는 원단을 펼치기 위한 롤러와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두루마리 형태로 존재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을 대형 직사각 형태로 절단하여 스티커 제조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원단 반칼 작업장치(20)는 상부 반칼 작업부와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지지부에 대형 직사각형 원단을 거치시킨후 상부 반칼 작업부를 작동시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소형 직사각형 형태로 반칼 작업한다.
상기 컬러층 도포장치(30)는 원단 반칼 작업된 원단의 상부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 액상을 구비한 용기를 배치하고 하부에 반칼작업된 원단을 비치하여 반칼 작업된 원단에 손톱이나 발톱 모양의 컬러층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되 다수개의 단위로 도포시킨다.
상기 금형장치(40)는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수납하기 위해 다수개의 손톱모양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41)는 상기 금형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며 금형장치의 손톱모양에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젤수지 압착장치(42)는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젤수지 도포장치에 의해서 젤수지가 도포되고 아울러 컬러층이 도포된 베이스 원단을 뒤집어서 젤수지에 밀착시킨다음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베이스 원단의 컬러층에 젤수지가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50)는 완전 경화 수지층 형성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유브이 램프가 설치되어 완전 경화 수지층을 형성한 원단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는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완경 경화가 이루어진 원단의 상부에 다수겹으로 탑층을 형성하며, 이때 다수겹의 탑층은 너비가 작아지도록하여 계단 형식으로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는 반경화 탑층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경사진 패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진 패널에 원단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원단을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계단 형식으로 형성된 탑층이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일측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형성되고 손톱 끝쪽 방향이 얇게 형성되도록 돌출영역(5a)을 생성한다. 즉,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탑층을 형성함으로서 보다더 예쁜 손톱 스티커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탑층 온열 처리장치(80)는 상기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를 탑재시키도록하며, 상부에 온열수단이 설치되어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에 장착된 원단의 계단 형상의 탑층이 부드럽게 녹으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안착되도록 한다. 즉, 다수겹으로 도포된 탑층이 부드럽고 매끈하게 연결되도록하는 것이다.
상기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90)는 탑층 온열 처리장치에 의해서 온열처리된 스티커에 단파장을 출력하여 원단이 반건조 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장치(100)는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에 의해서 반건조로 경화된 원단을 송풍시켜 원단이 잘 마르도록 유도한다.
상기 원단 임시 정렬장치(110)는 원단이 담기는 공간을 다수층으로 구성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입하기 용이하게 설계한다.
상기 건조장치(120)는 원단 임시 정렬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워단 임시 정렬장치에 70도 내지 80도의 열을 30분 내지 1시간 가하여 표면을 처리하며, 끈적임을 없애도록 한다.
상기와 구성하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두루마리 형태의 베이스 필름 원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두루마리 형태의 베이스 필름 원단을 펼쳐서 일정간격으로 분할하는바, 이를 위해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로 일정간격으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절단한다. 이때 절단되는 베이스 필름 원단은 직사각형 행태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절단시킨 다음 원단 반칼 작업장치(20)를 이용하여 절단된 베이스 필름 원단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하는바, 이는 나중에 제품 포장시 작은 크기로 분할하기 위함이다. 통상 작은 직사각형 형태로 다수개 분할한다.
상기와 같이 원단 반칼 작업장치(20)에 의해서 원하는 크기로 분할이 완료되면 본격적인 손톱 또는 발톱 모양의 잉크를 도포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컬러층 도포장치를 구비하여 베이스 필름 원단에 손톱 또는 발톱 모양의 문양을 다수개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컬러층 도포장치(30)에 의해서 손톱 또는 발톱 모양의 문양 도포가 완료되면 금형장치(40)에 손톱 모양이 다수개 형성된 금형을 안치시키고, 이후 젤수지 도포장치(41)를 이용하여 젤수지를 금형에 도포하며, 이후 컬러층이 형성된 베이스 원단을 180도 뒤집어서 금형장치에 접면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원단의 상부를 젤수지 압착장치(42)로 눌러서 베이스 원단의 컬러층에 고르게 완전경화 수지가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브이 경화장치(50)를 이용하여 연질의 형태로 완전 경화 수지가 굳어지도록한다. 즉, 완전 경화 수지에는 단파장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브이 경화장치로 유브이 빛을 쪼이게 되면 완전 경화가 이루어져 손톱 또는 발톱 모양의 문양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전 경화 수지층이 부착된 이후에는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를 이용하여 완전 경화된 수지층 상부에 탑층을 형성하게 되는바, 상기 탑층은 장파장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온열을 적용하고 아울러 짧게 유브이 램프를 쪼여서 부드러운 반건조 상태를 만들도록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은 완전 경화 수지층 상부에 탑층을 형성하되, 다수회에 걸쳐서 탑층을 형성시키며, 손톱 또는 발톱 문양의 테두리면으로 탑층이 흘러내리지 않토록 계단식으로 너비를 줄여가면서 쌓아 올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탑층을 형성시키고 난 이후에는 탑층 경사 보조장치(70)를 이용하여 손톱 모양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이 이루어지도록하는바, 이는 손톱 중에서 큐티클 영역쪽을 두툼하게 형성시키고, 손톱 끝쪽은 얇게 형성시키도록하기 위함이며, 이런 식으로 손톱의 큐티클쪽을 두툼하게 돌출영역(5a)을 형성하면 심미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탑층 경사 보조 장치(70)를 이용하여 큐티클 영역 쪽으로 손톱 또는 발톱 문양을 기울이도록함으로서 큐티클 영역 쪽이 보다 더 두툼한 형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탑층 경사 유도 보조장치(70)를 이용하여 큐티클 쪽으로 두툼하게 반경화수지가 쏠리고 나면 부드러운 라운드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탑층 온열 처리장치를 활용하게 되며, 상기 탑층 온열 처리장치(80)를 이용하여 50도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가열하게 되면 계단 형상으로 도포되는 탑층의 테두리가 무너지면서 부드럽게 라운드지면서 동시에 큐티클 영역은 두툼하게 그리고 손톱 끝쪽은 얇게 돌출영역(5a)의 형성이 마무리된다.
그리고, 탑층 온열처리가 마무리되면 반건조를 위해 짧게 유브이 경화장치(90)를 거치도록하며, 이에 따라 반건조가 마무리된다.
이후, 송풍장치(100)를 이용하여 10분정도 불어주게 되면 손톱 또는 발톱 모양의 문양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반건조 상태로 마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이 마무리되면 베이스 필름 원단을 인출한후 건조 작업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층층이 쌓도록하고, 정렬이 마무리되면 표면처리를 위한 건조장치에 삽입후 70도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과정에서 손톱 문양의 표면이 처리되면서 끈적거림이 사라지게 되어 부드러우면서도 손가락으로 파지 작업이 용이하고 아울러 끈적이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손톱 또는 발톱 문양에 달라붙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손톱 또는 발톱 스티커의 층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젤네일 스티커는 베이스 원단(1)과, 이 베이스 원단에 구비된 접착제층(2)과,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컬러층(3)과, 상기 컬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완전 건조 수지층(4)과, 상기 완전 건조 수지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반건조 탑층(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원단(1)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원단(1)은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베이스 원단(1) 위에 접착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로는 이미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베이스 원단의 저면에도 접착제를 도포한 하부접착제층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원단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 접착제층에 가부착되는 이형지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접착제층에 이형지를 가부착시켜서 이형지층에 의해 베이스 원단 저면의 하부 접착제층을 보호한다.
상기 베이스 원단(1)에 컬러 잉크를 일정 두께로 인쇄한다. 정확하게는 베이스 원단 위의 접착제층(2)에 컬러층(3)을 형성한다. 이때, 컬러 잉크로는 CMYK 등이 있는데, C는 블루, M은 레드, Y는 옐로우, K는 블랙으로서, 이러한 컬러 잉크를 적절히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쓰거나 하는 식의 다양항 방식으로 컬러층을 형성한다.
컬러층(3)은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컬러층)은 발톱 모양이 나도록 인쇄될 수도 있다. 이때, 컬러층(3)을 형성하기 이전에 베이스 원단(정확하게는 접착제층) 위에 흰색의 잉크를 먼저 칠한 다음 흰색의 잉크층 위에 컬러 잉크를 인쇄하여 컬러층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원단 위에 도포된 접착제층 위에 흰색 잉크층을 형성하고, 흰색 잉크층 위에 컬러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젤네일 스티커에서 표현하고 싶은 색상을 내기 위하여 CMYK를 혼합하거나 다른 색상을 혼합한 컬러 잉크를 흰색 잉크층위에 칠할 수 있다. 흰색 인쇄층 위에 컬러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러층)의 색깔이 돋보이도록 한다. 흰색 인쇄층은 옵션 사항이다.
상기 컬러층(3) 위에 완전 경화 수지액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서 완전 경화 수지층(4)을 형성한다.
상기 완전 경화 수지층(4)은 올리고머, 모노머, 단파장개시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올리고머 40~60%, 모노머 30~55%, 단파장개시제 2~10%를 혼합하여 유브이 젤코팅액을 형성한다. 올리고머는 우레탄 및 아크릴 에폭시 폴리에스터 계열 올리고머이다.
상기 완전 경화 수지층(4) 위에 탑층(5)이 구비된다. 탑층(5)은 완전 경화 수지층위에 젤 원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탑층(5)을 형성하기 위한 탑층 젤코팅액은 모노머, 올리고머, 장파장개시제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모노머 40~50%, 올리고머 15~40%, 장파장개시제 01~05%를 혼합하여 탑층 젤코팅액을 형성한다.
상기 모노머, 올리고머, 장파장개시제는 모두 액상상태의 제품이다. 이들은 모두 자외선 빛을 쐬어주어야만 액상인 상태가 고체로 변하게 된다.
타발 공정에서 베이스 필름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을 손톱(또는 발톱) 모양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나머지 층이라 함은 상기 접착제층, 컬러층, 완전 경화 수지층과 탑층을 의미한다. 상기 타발 공정 이후에 베이스 원단까지 절단하여 젤네일 스티커를 절단하는 컷팅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컷팅 공정에서는 손톱(또는 발톱) 모양으로 형성된 젤네일 스티커가 베이스 원단 위에 복수개로 구비된 스트립 형상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 제품을 젤네일 스트립이라 할 수 있다. 즉, 젤네일 스트립에는 복수개의 젤네일 스티커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젤네일 스트립에 대략 5개 내지 10개 정도의 젤네일 스티커가 구비되도록 컷팅할 수 있다.
이때, 탑층(5)은 완전 경화 수지층(4)에 비하여 파장이 더 긴 빛으로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전 경화 수지층(4)은 젤네일 생산 공장 등에서 건조시키고 탑층은 젤네일 스티커 사용자가 손톱이나 발톱에 젤네일 스티커를 부착시켜서 완전 경화 수지층을 건조시키는 빛의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파장이 더 긴 빛으로 건조시키도록 할 수 있다. 탑층을 완전 경화 수지층을 건조시키는 자외선보다 파장이 더 긴 엘이디 빛으로 건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층에 경사를 주어서 돌출영역을 생성시킴으로서 심미감을 극대화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젤네일 스티커는 기존에 비하여 지속력과 사용감을 높이기 위해 보완된 제품이라는 특징이 있다. 젤네일 스티커를 경화해서 딱딱하게 만들어 사용시 실생활에 걸리는 이물감, 스크래치, 찍힘 부분이 생기는데, 본 발명은 실생활에 걸리는 이물감, 스크래치, 찍힘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보완함으로써 지속력을 더 높여준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의 일측에는 젤네일 스티커의 측면을 촬영하여 경사유도 보조장치의 기울기에 따른 탑층의 돌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탑층 촬영용 카메라(75)와,
상기 탑층 촬영용 카메라의 촬영결과에 따라서 돌출 정도가 기준이하이면 경사패널을 수직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돌출 정도가 기준이상이면 경사패널을 수평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6)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용 패널을 중심으로 경사패널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는 지지용 고정자(71)와, 상기 지지용 고정자에 설치되는 코일(72)과,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와, 상기 회전형 가동자(73)에 설치되는 영구자석(74)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72)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영구자석(74)에 반발하도록 함으로서 지지용 고정자(71)를 중심으로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경사패널(73b)의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원단에 설치되는 젤네일 스티커의 탑층의 돌출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돌출 정도의 기준값을 제어부에 미리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탑층의 돌출 정도를 파악하여 돌출이 기준이하이면 경사패널을 들어올려 급경사를 유도하고, 탑층의 돌출이 기준 이상이면 경사패널을 낮추어서 완만한 경사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탑층의 경사를 자유롭게 원하는 기준만큼 조절함으로서 탑층의 돌출 여부에 따라 심미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
20: 원단 반칼 작업장치
30: 컬러층 도포장치
40: 금형장치
41: 젤수지 도포장치
42: 젤수지 압착장치
50: 완전경화용 유브이 경화장치
60: 탑층 형성장치
70: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
80: 탑층 온열 처리장치
90: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
100: 반건조를 위한 송풍장치
110: 원단 임시 정렬장치
120: 건조장치

Claims (5)

  1. 원단을 펼치기 위한 롤러와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두루마리 형태로 존재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을 대형 직사각 형태로 절단하는 베이스 필름 원단 재단장치(10)와;
    상부 반칼 작업부와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지지부에 대형 직사각형 원단을 거치시킨후 상부 반칼 작업부를 작동시켜 베이스 필름 원단을 소형 직사각형 형태로 반칼 작업하는 원단 반칼 작업장치(20)와;
    원단 반칼 작업된 원단의 상부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 액상을 구비한 용기를 배치하고 하부에 반칼작업된 원단을 비치하여 반칼 작업된 원단에 손톱이나 발톱 모양의 컬러층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되 다수개의 단위로 도포시키는 컬러층 도포장치(30)와;
    상기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수납하기 위해 다수개의 손톱모양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40)와;
    상기 금형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며 금형장치의 손톱모양에 완전 경화용 젤수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젤수지 도포장치(41)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젤수지 도포장치에 의해서 젤수지가 도포되고 아울러 컬러층이 도포된 베이스 원단을 뒤집어서 젤수지에 밀착시킨다음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베이스 원단의 컬러층에 젤수지가 부착되도록 하는 젤수지 압착장치(42)와;
    상기 젤수지 도포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유브이 램프가 설치되어 완전 경화 수지층을 형성한 원단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도록하는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50)와;
    상기 완전 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완경 경화가 이루어진 원단의 상부에 다수겹으로 탑층을 형성하는 반경화를 위한 탑층 형성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탑층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경사진 패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진 패널에 원단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원단을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계단 형식으로 형성된 탑층이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일측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형성되고 손톱 끝쪽 방향이 얇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와;
    상기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를 탑재시키도록하며, 상부에 온열수단이 설치되어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에 장착된 원단의 계단 형상의 탑층이 부드럽게 녹으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탑층 온열 처리장치(80)와;
    상기 탑층 온열 처리장치에 의해서 온열처리된 스티커에 단파장을 출력하여 원단이 반건조 되도록 하는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90)와;
    상기 반건조용 유브이 경화장치에 의해서 반건조로 경화된 원단을 송풍시켜 원단이 잘 마르도록 유도하는 송풍장치(100)와;
    상기 송풍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송풍이 완료된 원단을 임시 정렬시키기 위한 원단 임시 정렬장치(110)와;
    상기 원단 임시 정렬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워단 임시 정렬장치에 70도 내지 80도의 열을 30분 내지 1시간 가하여 표면을 처리하며, 끈적임을 없애도록 하는 건조장치(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탑층 경사유도 보조장치(70)는,
    젤네일 스티커의 측면을 촬영하여 경사유도 보조장치의 기울기에 따른 탑층의 돌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탑층 촬영용 카메라(75)와,
    상기 탑층 촬영용 카메라의 촬영결과에 따라서 돌출 정도가 기준이하이면 경사패널을 수직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돌출 정도가 기준이상이면 경사패널을 수평하게 움직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6)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용 패널을 중심으로 경사패널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용 리니어 모터부(70a)는,
    지지용 고정자(71)와, 상기 지지용 고정자에 설치되는 코일(72)과,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와, 상기 회전형 가동자(73)에 설치되는 영구자석(74)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72)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영구자석(74)에 반발하도록 함으로서 지지용 고정자(71)를 중심으로 원통형 회전형 가동자(7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경사패널(73b)의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원단에 설치되는 젤네일 스티커의 탑층의 돌출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5.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베이스 원단(1)과, 이 베이스 원단에 구비된 접착제층(2)과,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컬러층(3)과, 상기 컬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완전 건조 수지층(4)과, 상기 완전 건조 수지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반건조 탑층(5)과, 상기 탑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탑층이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일측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손톱 중에서 큐티클층 방향이 두껍게 형성되고 손톱 끝쪽 방향이 얇게 형성되는 돌출영역(5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KR1020210138891A 2021-10-18 2021-10-18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10256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891A KR102569602B1 (ko) 2021-10-18 2021-10-18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891A KR102569602B1 (ko) 2021-10-18 2021-10-18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02A true KR20230055302A (ko) 2023-04-25
KR102569602B1 KR102569602B1 (ko) 2023-08-22

Family

ID=8610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891A KR102569602B1 (ko) 2021-10-18 2021-10-18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6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773A (ko) * 2013-12-03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패턴이 형성된 화장품 케이스 제조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160015911A (ko) * 2014-08-01 2016-02-15 이세진 스티커 반칼 커팅 장치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10563B1 (ko) * 2020-06-29 2021-02-01 이형구 네일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네일스티커
KR20220163222A (ko) * 2021-06-02 2022-12-09 홍우식 유브이 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773A (ko) * 2013-12-03 2015-06-12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패턴이 형성된 화장품 케이스 제조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160015911A (ko) * 2014-08-01 2016-02-15 이세진 스티커 반칼 커팅 장치
KR20170018649A (ko) * 2015-08-10 2017-02-20 (주)글루가 네일아트용 반경화 젤네일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210563B1 (ko) * 2020-06-29 2021-02-01 이형구 네일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네일스티커
KR20220163222A (ko) * 2021-06-02 2022-12-09 홍우식 유브이 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602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5336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solid nail coatings to mammalian and artificial nails
KR102024666B1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1906154B1 (ko) Uv젤의 네일 도포를 개선하는 방법과 장치
KR20190017833A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24663B1 (ko) 젤네일 스티커
KR20190017832A (ko) 젤네일 스티커
US9655429B2 (en) Metallic foil nail appliqués
US9655430B2 (en) Double colored nail applique having an ultraviolet cured layer, method of making and using
KR102494165B1 (ko) 유브이 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20163218A (ko)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30039458A (ko) 다중 커팅라인을 갖는 연장가능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의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102569602B1 (ko) 유브이 성형기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10157903A (ko) 반경화형 젤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1076A (ko) 네일 부착용 제품과 제작 설비 및 제작 방법
KR20220163219A (ko)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20163223A (ko) 유브이 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20163221A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20163220A (ko)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30064012A (ko) 금형을 이용한 완전경화용 또는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완전경화용 또는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완전경화용 또는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KR102400791B1 (ko) 네일아트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KR20240066204A (ko) 투명몰드를 이용한 하이포인트가 있는 완전경화용 또는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완전경화용 또는 반경화용 젤네일 스티커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CN116323215A (zh) 镶板,特别是地板镶板、天花板镶板或墙壁镶板、由多个镶板构成的覆盖物以及回收镶板的方法
KR102569603B1 (ko) 금형을 이용한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젤네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220135012A (ko) 장식층이 형성된 부착형 젤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