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953A -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953A
KR20230053953A KR1020210137364A KR20210137364A KR20230053953A KR 20230053953 A KR20230053953 A KR 20230053953A KR 1020210137364 A KR1020210137364 A KR 1020210137364A KR 20210137364 A KR20210137364 A KR 20210137364A KR 20230053953 A KR20230053953 A KR 2023005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t
subscription
affiliated stor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Priority to KR102021013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953A/ko
Publication of KR2023005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수의 가맹점 주차장들에 대하여, 운전자 회원이 매월 등 정기적으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가맹점의 모든 주차장에 출입하여 주차할 수 있되, 정기적 단위 총 이용 시간에 따라 주차 제한을 받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맹점 주차장을 등록하되, 가맹점 주차장의 주차장 위치, 차단기 위치,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 정보를 함께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각 가맹점 주차장의 차단기에서 주차장 외부 영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독 신청을 수신하여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단말은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g)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해당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가맹점 단말은 회원의 구독 상태를 수신하고, 진입되는 차량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회원이 구독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구독상태인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회원의 차량이 가맹점 주차장 주변에 접근할 때 회원 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장 구독 상태를 전송함으로써, 각 가맹점 주차장은 필요한 구독 상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 A subscription economy-based parking lot service method for multiple affiliate parking lots }
본 발명은 복수의 가맹점 주차장들에 대하여, 운전자 회원이 매월 등 정기적으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가맹점의 모든 주차장에 출입하여 주차할 수 있되, 정기적 단위 총 이용 시간에 따라 주차 제한을 받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인에게 폐쇄적인 건물의 주차장은, 해당 건물의 출입자 및 해당 출입자의 차량 정보를 사전에 등록시키고, 등록된 출입자 또는 그 차량만을 통과시키도록 운영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주차장에서는, 해당 아파트의 주민들의 차량만을 통과시키도록 운영된다. 그 외에도,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 국가 기반 시설, 산업 시설 등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런 경우, 주차장의 출입구에 관리 인원이 배치되고, 해당 관리 인원이 출입하는 운전자 또는 그 차량을 일일이 확인하여 신분을 확인하거나 주차권을 발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장 관리 형태는 인건비 등 관리 운용 비용이 증가하므로, 주차장의 차량 통제를 자동화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다.
일례로서, 카메라 등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고 차단기를 설치하여, 출입자의 차량 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만 출입하도록 제한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히,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등록된 차량인 경우에만 차단기를 동작시켜, 주차장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기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RFID 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차단기에 설치된 리더기가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여 입차를 허용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선행기술은 등록이 허여된 차량에게만 입차를 허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별도의 RFID 태그를 발급하고 관리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수의 주차장을 가맹점으로 가입시켜서, 가입된 회원에게 가맹점으로 가입된 모든 주차장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즉, 상기 선행기술은 운전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할 때, 운전자의 스마트 폰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주차권을 발급받고, 발급된 주차권으로 해당 주차장에 진입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다수의 주차장을 가맹점으로 묶어서 이용할 뿐, 개별적인 주차장 이용은 종래 주차장 이용 방식과 동일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수의 주차장을 이용하는 방식에 구독 경제와 같은 지불 시스템이 도입될 수 있다. 즉, 구독 경제 기반의 주차장 운영 시스템은, 다수의 주차장을 가맹점으로 등록시키고, 운전자는 매월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가맹점의 모든 주차장을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체계이다. 물론 월단위 비용은 이동통신 요금과 같이, 월단위 총 이용 시간 등에 따라 등급 별로 달라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독 경제 기반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앞서 폐쇄적인 건물의 주차장 방식과 같이, 등록된 회원에게만 차량을 자유롭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통제해야 한다. 그런데 가맹점 주차장은 통상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통과시키는 종래 방식으로 대부분 운영된다. 따라서 앞서 종래 기술을 적용하면, 각 가맹점 주차장의 전체 회원 및 그 차량 정보를 모두 등록하여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전체 회원 및 그 차량 정보를 모든 가맹점 주차장에 전달하여 등록시키기 어렵다. 즉, 특정 가맹점에 방문하여 주차하는 회원은 전체 회원 수에 비해 극히 적은 수일 것이므로, 각 가맹점 주차장이 불필요하게 많은 회원 정보를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 회원 및 그 차량 정보는 해당 서비스 업체의 중요한 고객 자산인데, 모든 가맹점이 모두 접근 가능하다면 외부에 유출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3674호 (2016.10.07.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7318호 (2010.11.03.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070584호 (2020.01.29.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가맹점 주차장들에 대하여, 운전자 회원이 매월 등 정기적으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가맹점의 모든 주차장에 출입하여 주차할 수 있되, 정기적 단위 총 이용 시간에 따라 주차 제한을 받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가맹점 주차장들에 대하여, 회원의 차량이 어느 하나의 가맹점 주차장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면, 서비스 서버에서 해당 회원의 차량 정보를 해당 주차장에 전송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맹점 주차장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회원의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도록 수신한 차량 정보의 차량이 주차하지 않으면, 해당 차량 정보를 삭제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 가맹점 단말, 및,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맹점 주차장을 등록하되, 가맹점 주차장의 주차장 위치, 차단기 위치,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 정보를 함께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각 가맹점 주차장의 차단기에서 주차장 외부 영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독 신청을 수신하여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단말은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g)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해당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가맹점 단말은 회원의 구독 상태를 수신하고, 진입되는 차량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회원이 구독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구독상태인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지도상의 위도와 경도 값을 갖는 좌표를 점으로 생성하고 점과 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는 구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차단기의 직전까지의 주차장의 진입로 구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을 차량의 주행 루트를 추적하는 차량 추적 구간과,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구간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차량 추적 구간과 상기 명령 전송 구간을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속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운전자가 이동한 후 상기 운전자의 위치가 상기 정보 전송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운전자가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더라도, 차량의 이동 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각 회원에 대하여 회원의 구독 상태를 등급 별로 관리하고, 각 등급은 등급 별로, 정기 기간 단위의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되, 정기적 비용의 클수록 해당 등급의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을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회원에 대하여, 해당 회원이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 해당 회원의 등급, 해당 회원의 정기 기간내의 총 주차 이용 시간이 해당 등급 내에서의 주차 이용가능 시간의 초과 여부를 포함하는 구독 상태를 확인하여, 허용된 구독상태 상태이면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수신한 회원의 구독 상태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되지 않으면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회원의 차량이 가맹점 주차장 주변에 접근할 때 회원 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장 구독 상태를 전송함으로써, 각 가맹점 주차장은 필요한 구독 상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전체 회원의 구독 상태 및 차량정보의 유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예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도식화 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상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을 예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운전자 또는 회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 스마트 단말(10), 가맹점 주차장 및 그 차단기를 관리하는 가맹점 단말(20), 및, 가맹점 단말(20)을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30)로 구성된다. 또한,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50), 또는, 회원 정보, 지리 정보, 가맹점 정보, 가상 차량식별 구역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는 스마트 단말(10), 가맹점 단말(20), 관리자 단말(50)과, 유무선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먼저, 스마트 단말(10)은 운전자 또는 회원이 이용하는 이동 단말로서, 스마트폰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이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 단말(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전용 단말로 개발될 수 있다. 이때, 차단기 관리 서비스 외에도, 내비게이션 기능 등이 구비된 차량용 단말일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은 터치스크린이나 버튼 등의 입력장치(11), 지도나 주차장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13), 이동통신망이나 근거리 통신망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센서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6), 자이로스코프 등 단말의 방향을 측정하는 방향 센서(17), 및, 모바일 CPU 등의 중앙처리장치(18)로 구성된다. 그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위치센서(16)는 SBAS(초정밀 위치정보 보정시스템)에 의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SBAS(초정밀 위치정보 보정시스템)은 GPS 위치 오차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보정하여, 오차가 약 1m 이내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따라서 측정된 현재 위치가 지도상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앱(11)은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서비스 서버(30)와 연동하여 주차장 또는 차단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운전자는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된 서비스 앱(11) 등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의 차단기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11)을 통해 서비스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차단기 관리 서비스 또는 주차 관리 서비스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11)을 통해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등록하고, 이때, 회원 정보 및 그 차량 정보 등을 함께 등록한다. 특히, 차량 정보는 차량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앱(11)은 스마트 단말(10)의 GNSS, GPS 센서 등 위치 센서(16)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를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즉, 운전자 또는 회원은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11)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수집하도록 허용하면, 서비스 서버(30)는 운전자 또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운전자 회원의 이동 위치가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가맹점 단말(20)에게 회원의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 단말(10)은 차량 단말로서, 운전자 또는 회원의 차량에 장착된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20)은 각 주차장을 관리 또는 관제하는 단말 또는 서버로서, 컴퓨터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이나 관제 서버 등일 수 있다.
즉, 각 주차장에 따라 주차장을 관제하는 PC 등 단순한 컴퓨팅 단말로도 구현되거나, 보다 큰 주차장을 관제하고 다양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 서버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가맹점 단말(20)는 차단기와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맹점 단말(20)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의 주차장(이하 가맹점 주차장)에는 차단기(미도시)가 설치되고, 번호 인식기(미도시)를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이 등록된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하여, 차량의 출입을 통제한다. 즉, 가맹점 단말(20)은 출입이 가능한 차량 정보(차량번호 등)를 목록(리스트)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축하여 등록(저장)하고,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만 차단기(미도시)를 통해 출입을 허용한다. 출입이 허용되어 등록된 차량번호 등을 등록차량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 등록차량 정보는 목록(또는 리스트)나 사전에 정해진 포맷, 데이터베이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서비스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가맹점 단말(20)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차량번호 등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등록된 차량 정보(출입을 허용하는 차량번호 목록 등)를 갱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맹점 단말(20)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에 대하여, 해당 차량정보의 차량이 출차하면, 해당 차량정보를 폐기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은 등록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 이용시간(주차장에 진입후 진출 까지의 이용시간)을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50)은 관리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이다.
관리자 단말(50)은 웹브라우저 등이 설치되고, 관리자는 웹브라우저 등을 통해 서비스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차단기 관리 서비스에 접속하여 차단기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관리자 단말(50)에도 관리전용 앱/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어, 관리전용 앱을 통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단말(50)은 주차장 또는 가맹점 단말(20)을 서비스 서버(30)에 등록한다. 이때, 주차장 이름, 위치, 연락처, 주소 등 가맹점 정보를 함께 등록한다. 또한, 주차장의 수용 대수, 비용 등 주차장 정보를 함께 등록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각 가맹점주에 의해 가맹점 정보 또는 주차장 정보가 등록되고, 관리자 단말(50)은 해당 가맹점 또는 가맹점 단말(50)의 등록을 허용(또는 승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각 가맹점에 대하여, 차단기의 진입로 공간을 위도와 경도의 값을 갖는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서비스 서버(30)에 등록한다. 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단말(50)에서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복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차단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서버(30)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수의 서버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30)는 다수의 회원과,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을 관리하고, 각 회원에게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주차장의 이용 서비스를 구독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독 기반의 주차 서비스는, 운전자 회원이 매월 등 정기적으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가맹점의 모든 주차장을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월단위 등 정기적 비용은 이동통신 요금과 같이, 정기적 단위 총 이용 시간 등에 따라 등급 별로 달라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차단기 또는 주차장의 진입로 공간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고, 차량의 위치가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면 해당 가맹점 단말(20)로 해당 차량 또는 운전자(회원)의 차량의 차량번호 등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즉, 서비스 서버(30)은 가맹점 단말(20) 또는 관리자 단말(50)의 요청 및 입력에 따라, 주차장 차단기의 진입로 공간을 지도 상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위도와 경도 값을 가지는 지도 상의 위치 또는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은 스마트 단말(1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또는 스마트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장 단말(20)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 등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30)와, 서비스 앱(11)은 통상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비스 앱(11)은 현재 위치 및 방향 인식 작업만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30)가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고 가맹점 단말(2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서비스 앱(11)이 현재 위치 및 방향 측정과, 차량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진입 여부까지 판단하고, 서비스 서버(30)는 서비스 앱(11)의 개방 요청에 따라 가맹점 단말(2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단기 관리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운전자 회원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41), 가맹점 주차장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DB(42),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구역DB(43)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 방법을 도식화 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서비스 서버(30)는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11)의 요청에 따라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관리한다(S10).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회원 정보 또는 운전자 정보를 함께 등록한다.
회원 정보 또는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아이디(또는 회원 아이디) 등 식별정보, 비밀번호 등 회원의 인증정보, 운전자의 차량번호 등 차량 정보로 구성된다. 회원의 인증정보는 통상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생체 인증 등 다양한 인증 방식에 채택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번호, 차종 등으로 구성된다. 차종은 경차, 일반 승용차, 상용차, 버스 등 차량의 크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차종에 따라 주차장에서 수용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주차장을 등록한다(S21).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단말(20) 또는 관리자 단말(50)로부터, 가맹점 주차장의 주차장 정보, 차단기 정보, 단말 정보 등을 수신하여 등록한다. 즉, 가맹점 단말(20)에서 가맹점주가 직접 등록되거나, 관리자 단말(50)에서 관리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등록될 수 있다.
먼저, 주차장 정보는 주차장 위치, 지도상 공간, 주차 대수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서비스 서버(30)는 관리자 또는 관리자 단말(50)의 요청이나 입력에 따라 지도 상에 선택된 공간을 주차장의 지도상 공간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주차장의 지도상 공간은 위도와 경도 값에 의해 설정된다. 즉, 해당 주자창은, 지도상의 위도와 경도 값을 갖는 좌표를 점으로 생성하고 점과 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는 구역으로 매핑되어 설정된다.
또한, 차단기 정보는 차단기의 위치로 구성된다. 차단기의 위치는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기 위한 입구 또는 진입로에 위치한다.
또한, 단말 정보는 가맹점 단말(20)의 통신 식별 정보, 통신 방식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통신 식별 정보는 가맹점 단말(20)과 서비스 서버(30)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서버접속 아이디, 가맹점 단말의 인증정보, 가맹점 단말의 통신 주소 등으로 구성된다. 즉, 가맹점 단말(20)은 자신의 통신 식별 정보로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통신하고, 서비스 서버(30)는 등록된 통신 식별 정보로, 가맹점 단말(20)을 인증하여 통신 접속을 허용하고 통신 세션을 개시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통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20)로 차량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주차장의 차단기의 진입로 영역에 가상 차량식별 구역을 설정한다(S22).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지도 상의 가상의 구역으로서, 차량이 해당 구역에 진입하면 주차장을 진출입하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전송시켜주는 구역을 말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단말(20) 또는 관리자 단말(50)의 요청이나 입력에 따라 지도 상에 선택된 공간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지도상 공간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지도상 공간은 위도와 경도 값에 의해 설정된다. 즉,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지도상의 위도와 경도 값을 갖는 좌표를 점으로 생성하고 점과 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는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매핑하여 설정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30)는 주차장 차단기의 외부 영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차장의 진입로에 의해 가상 차량식별 구역(A)을 한정하여 설정한다. 차단기의 진입로의 영역, 즉, 차단기 직전까지의 주차장의 진입로 구역(A)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A)은 차량의 진행 루트를 추적하는 차량 추적 구간(A1)과, 차량 번호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구간(A2)으로 세분화 되어 설정될 수 있다. 주차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 경로 상에 각각 차량 추적 구간과 정보 전송 구간이 연속되어 구성된다.
즉, 차량 추적 구간(A1)에서는,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진입하면 해당 차량의 진행 루트를 추적하여 주차장 또는 차단기 방향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정보 전송 구간(A2)에서는, 차량 추적 구간(A1)에 진입하여 해당 차량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진행한 후, 해당 정보 전송 구간에 진입하면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즉시 전송한다.
도 6의 가상 차량식별 구역 A의 예에서, 차량이 차량 추적 구간 A1에 진입하면, 해당 추적 구간 A의 루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는지를 판단(추적)한다. 그런데 차량 추적 구간 A1의 꺽여지는 부분에서 좌회전을 하지 않고 직진을 하면, 해당 차량은 차량 추적 구간 A1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차량이 차량 추적 구간 A1의 루트에 따라 진행한 후, 정보 전송 구간(A2)에 진입하면,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가 즉시 전송된다.
다음으로, 스마트 단말(10)은 가맹점 주차장들에 대하여 정기적 구독을 신청한다(S30).
또한, 바람직하게는, 회원은 등급 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등급, 유료 일반 등급, 유료 프리미엄 등급 등 2개 이상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등급은 등급 별로, 정기 기간 단위의 총 주차 이용 가능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회원은 가맹점 주차장에 대하여 정기 구독을 등록하고 정기적 비용을 지불하면서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등급에 따라 정기 구독 비용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회원은 월 5시간 이내에 모든 가맹점 주차장을 사용할 권한이 주어지고, 일반 유료 회원은 월 30시간 이내, 프리미엄 유료 회원은 월 100시간 이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 등급별로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이 설정되고, 해당 회원은 해당 이용가능 시간 이내로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가맹점 단말(20)로부터 각 회원의 차량의 주차 시간 등을 수집하여, 해당 회원의 각 가맹점 주차장의 주차시간, 전체 총 주차시간 등 주차관련 통계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주차 시간의 통계 정보는 정기적 기간 단위(예를 들어, 월별 등)의 주차시간을 포함한다. 세부적으로, 각 가맹점 주차장 별로, 지역 별로, 전체의 주차 통계 정보 등으로 세분화 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회원의 요청에 따라 등급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단말(10)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고(S41), 서비스 서버(30)는 스마트 단말(10)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수신한다(S42). 바람직하게는, 현재 위치 외에도 측정된 방향(또는 진행 방향)을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현재 위치(또는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운전자의 이동 위치를 모니터링 한다.
즉, 스마트 단말(10)의 위치 센서(16)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센서(16)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센서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을 이용하고, SBAS(초정밀 위치정보 보정시스템) 등에 의해 측정한다. 따라서 GPS 위치 오차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보정하여, 오차가 약 1m 이내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현재 위치는 스마트 단말(10)의 위치이다. 그러나 운전자가 스마트 단말(10)을 소지하고 차량을 운전하므로, 현재 위치는 곧 운전자의 위치(현재 위치)이고, 차량의 위치(현재 위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현재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스마트 단말(10) 또는 운전자(차량)의 이동 궤적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차량(또는 운전자)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한다(S51).
즉, 서비스 서버(30)는 수신된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하여, 운전자(또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가상 차량식별 구역을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진입 여부는 현재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위도와 경도에 의한 영역을 비교하여, 해당 현재 위치가 가상 차량식별 구역 내로 위치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의 예와 같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차량의 진행 루트를 추적하는 차량 추적 구간과,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정보 전송 구간으로 세분화 되어 구분되어 설정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특정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차량 추적 구간으로 차량(운전자)이 진입하면 해당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는지를 추적(판단)하고, 해당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한 후 정보 전송 구간으로 진입하면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감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더라도, 차량(운전자)의 이동 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임계 속도를 20km/h로 설정하면, 운전자의 이동 속도가 20km/h 이하이어야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더라도 60km/h로 이동 중이면,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운전자는 해당 구역 내에서 속도를 20km/h 이하로 줄여야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등록된 운전자(또는 차량)가 가상 차량식별 구역 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52), 차량번호 등 차량 정보를 가맹점 단말(20)로 전송한다(S60).
앞서,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운전자 회원 또는 그 차량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 내로 진입된지 여부가 감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6과 같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이 차량 추적 구간과 정보 전송 구간으로 세분화 되어 구분되는 경우, 차량 또는 운전자의 위치가 차량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한 후, 정보 전송 구간으로 진입하면,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감지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운전자 회원 또는 그 차량이 가상 차량식별 구역 내로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운전자 회원 또는 차량이 가맹점 주차장의 이용이 허용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허용된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번호 등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운전자 회원이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 회원의 가입 등급, 해당 등급 내에서의 주차 이용가능 시간의 초과 여부 등을 확인하여, 허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원 등급은 무료 등급, 유료 일반 등급, 유료 프리미엄 등급 등 2개 이상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 등급 별로, 정기 기간 단위의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주차허용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차량정보 전송부(36)는 회원의 등급을 확인하고, 해당 등급에 따라 해당 회원이 추가적으로 가맹점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회원의 총 주차 이용시간이 회원에게 주어진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주차허용 시간) 이내 인지 등을 확인한다. 여기서 주차 이용시간은 실제 이용시간이고, 주차 이용가능 시간은 주차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운전자 회원이 허용된 상태이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가맹점 단말(20)로 차량번호 등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LTE 등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20)은 진입 차량의 회원이 정상적인 구독 상태이면(S71),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72).
또한, 가맹점 단말(20)의 주차장(이하 가맹점 주차장)에는 차단기(미도시)가 설치되고, 번호 인식기(미도시)를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이 등록된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하여, 차량의 출입을 통제한다. 즉, 가맹점 단말(20)은 출입이 가능한 차량 정보(차량번호 등)를 목록(리스트)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축하여 등록(저장)하고,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만 차단기(미도시)를 통해 출입을 허용한다. 출입이 허용되어 등록된 차량번호 등을 등록차량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 등록차량 정보는 목록(또는 리스트)나 사전에 정해진 포맷, 데이터베이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20)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에 대하여, 해당 차량정보의 차량이 출차하면, 해당 차량정보를 폐기한다(S80). 또는, 가맹점 단말(20)은 수신한 회원의 구독 상태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되지 않으면 폐기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 단말 11 : 서비스 앱
20 : 가맹점 단말 30 : 서비스 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스마트 단말, 가맹점 단말, 및,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맹점 주차장을 등록하되, 가맹점 주차장의 주차장 위치, 차단기 위치,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 정보를 함께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각 가맹점 주차장의 차단기에서 주차장 외부 영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구독 신청을 수신하여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단말은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g)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의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해당 가맹점 주차장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가맹점 단말은 회원의 구독 상태를 수신하고, 진입되는 차량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회원이 구독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구독상태인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은, 지도상의 위도와 경도 값을 갖는 좌표를 점으로 생성하고 점과 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는 구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차단기의 직전까지의 주차장의 진입로 구역을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을 차량의 주행 루트를 추적하는 차량 추적 구간과,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구간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차량 추적 구간과 상기 명령 전송 구간을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속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추적 구간의 루트에 따라 운전자가 이동한 후 상기 운전자의 위치가 상기 정보 전송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운전자가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해당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하더라도, 차량의 이동 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각 회원에 대하여 회원의 구독 상태를 등급 별로 관리하고, 각 등급은 등급 별로, 정기 기간 단위의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되, 정기적 비용의 클수록 해당 등급의 총 주차 이용가능 시간을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량식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회원에 대하여, 해당 회원이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 해당 회원의 등급, 해당 회원의 정기 기간내의 총 주차 이용 시간이 해당 등급 내에서의 주차 이용가능 시간의 초과 여부를 포함하는 구독 상태를 확인하여, 허용된 구독상태 상태이면 해당 회원의 구독 상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수신한 회원의 구독 상태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되지 않으면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KR1020210137364A 2021-10-15 2021-10-15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KR20230053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64A KR20230053953A (ko) 2021-10-15 2021-10-15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64A KR20230053953A (ko) 2021-10-15 2021-10-15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53A true KR20230053953A (ko) 2023-04-24

Family

ID=8614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64A KR20230053953A (ko) 2021-10-15 2021-10-15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9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318A (ko) 2009-04-24 2010-11-03 윤주열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63674B1 (ko) 2014-11-04 2016-10-07 (주)인펙비전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KR102070584B1 (ko) 2018-12-18 2020-01-29 주식회사 위파티 차량번호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한 주차장 입출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318A (ko) 2009-04-24 2010-11-03 윤주열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63674B1 (ko) 2014-11-04 2016-10-07 (주)인펙비전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KR102070584B1 (ko) 2018-12-18 2020-01-29 주식회사 위파티 차량번호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한 주차장 입출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9011A1 (en) Vehicle system, autonomous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123246B2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human occupancy
US20160196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vailable Parking Spaces
US2019038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on-street parking control and unoccupied parking spot availability detection
CN105046965A (zh) 未授权车辆的检测
KR1018611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US20160098864A1 (en)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 of a Public Module Interface of a Data Exchange System Using NFC Technology
KR10155693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시스템
Kabir et al. An IoT based intelligent parking system for the unutilized parking area with real-time monitoring using mobile and web application
US202204145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data annotations
KR20220152972A (ko) 통합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032B1 (ko)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41188B1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20200053736A (ko) 블록체인 기반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방법
Chandrahasan et al. Survey on different smart parking techniques
KR102672135B1 (ko) 복수의 회원제 주차장에 대한 위치 기반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20230053953A (ko) 다수의 가맹점 주차장에 대한 구독 경제 기반 주차장 서비스 방법
US10354458B1 (en) Vehicle occupancy verification utilizing proximity confirmation
KR20230053943A (ko) 복수의 회원제 주차장에 대한 위치 기반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187314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72131B1 (ko) 위치 기반 차량 차단기 관리 시스템
JP2018190039A (ja) 進入管理システム、及び進入管理方法
KR100426610B1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KR20230053934A (ko) 위치 기반 차량 차단기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