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833A -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833A
KR20230053833A KR1020210137089A KR20210137089A KR20230053833A KR 20230053833 A KR20230053833 A KR 20230053833A KR 1020210137089 A KR1020210137089 A KR 1020210137089A KR 20210137089 A KR20210137089 A KR 20210137089A KR 20230053833 A KR20230053833 A KR 2023005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black box
magne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675B1 (ko
Inventor
이지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솔
Priority to KR102021013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6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8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non-standard' camera systems, e.g. camera sensor used for additional purposes i.a. rain sensor, camera sensor split in multiple image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감시하기 위한 보조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카메라와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로 주행풍이 통과하면서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차량을 주행하면서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차량의 주차시에는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Auxiliary Black Box for Vehicle Exterior}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감시하기 위한 보조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카메라와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로 주행풍이 통과하면서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차량을 주행하면서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차량의 주차시에는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란 주로 비행기에서 사용되던 장치로써 비행기가 추락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당시의 상황을 알기 위하여 비행기의 고도 및 속도, 동작 상태, 조종석의 음성 정보, 관제탑과의 교신 등을 기록하여 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한 단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비행기에 장착되어 비행기 사고 시 그 원인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자동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대한 정보 및 특정 이벤트 당시의 주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술을 차량에 적용하여 자동차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블랙박스의 장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각종 센서를 통해 사고 원인을 분석하기도 하고, 영상 카메라를 이용해 사고 당시 및 전후 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여, 이후 사고 분석의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 사고의 경우, 사고 현장의 증거물들을 충분히 획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명확히 구분하기가 어렵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가 힘들어진다.
아울러 최근에는 블랙박스 장치가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정보 기록 뿐 아니라 주차 상황에서 차량에 대한 외부 충격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외부 충격 발생 시점을 전후로 하여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여 주차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사고 영상 촬영으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는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다.
자동차 사고 발생시 목격자 확보 및 목격자의 신뢰성 문제로 본인이 가해자로 둔갑되거나, 현장 보존의 미흡과 교차로 신호 규명의 불명확으로 책임 소재가 불명확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촬영이 가능한 블랙박스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블랙박스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미지 센서, 위치확인 센서, 충격 센서, 마이크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류를 내장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주정차 동안 발생하는 외부환경 변화를 기록한다.
이러한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의 룸미러 본체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주로 설치되며,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 교통 사고 발생시 시시비비를 가리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는 별도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주차 중에 발생하는 후방 사고를 촬영하는 등 더 구체적인 상황의 전,후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2채널로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2채널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기에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감시할 수 없어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타 차량이 주차중에 차량 사각 꼭지점과의 접촉 또는 옆 차량이 도어를 강하게 열어 흠집이 발생하는 문콕 등을 일으킨 사고상황을 촬영할 수 없어 인과관계를 소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전,후방 뿐만 아니라 양측면까지 4채널로 구비되는 블랙박스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86424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블랙박스가 차량 내에만 존재하여 차량의 외부면을 직접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차중의 사고 상황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블랙박스가 요구된다.
KR 10-2286424 (B1) 2021.07.30. KR 10-1979255 (B1) 2019.05.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시동 오프된 주차상태에서 차량의 외부 측면을 감시하고, 하우징을 가로질러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카메라가 동작하지 않는 주행상태에서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주행풍의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동이 오프되어 운전자가 없을 경우에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메일 블랙박스가 촬영하기 어려운 차량 외부의 휀다(Fender) 부분 또는 문콕이 발생하는 도어를 감시하며, 내부의 진동센서에서 진동이 감지될 경우에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메인 블랙박스의 사각지대를 보조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는 저면에 형성된 자석수용홈에 차량의 측면과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수용홈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석이 원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원하는 위치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어 운전자가 없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PCB모듈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메인 블랙박스와의 무선(블루투스 등) 통신으로 연결되되 설정된 거리보다 커질 경우에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로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 내부의 알람을 작동시키고 도난알림을 전송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잠금홀에 삽입되는 잠금쇠가 손잡이를 감싸게 되어 상기 손잡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도난의 위험이 없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저면에는 브릿지를 통해 결합되는 원판이 구비되며, 상기 원판은 결합부에 회전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원판은 잠금쇠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잠금쇠가 결합부의 잠금홀과 원판의 관통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고정되어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움직이지 않은 채로 차량의 손잡이에 고정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동오프시에 메인 블랙박스와 연계하여 차량의 외부를 감시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는 보조 블랙박스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며 주차중인 차량의 외부면을 촬영하는 카메라(111)가 수용되는 카메라수용구(110);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112);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주행풍이 통과하는 공기통로(121)가 형성되고, 주행풍이 상기 공기통로(121)가 통과하면서 프로펠러(122)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통로(121)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후방의 직경이 전방보다 작으며,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22)가 내부에 배치되는 수렴구(121a); 및 상기 수렴구(121a)와 연통되어 주행풍을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으로 유도하며, 상기 프로펠러(122)와 결합된 회전축(123)이 내부에 배치되는 통로구(121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통신모듈(112)은 상기 메인 블랙박스와의 설정거리보다 길어지면 차량내부의 알람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메인 블랙박스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자력으로 차량과 결합하는 자석(21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211)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210)이 형성되는 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수용홈(210)이 상기 부착부(200)의 저면에 곡률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11)이 상기 자석수용홈(21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부착부(200)의 회전시에 상기 자석(211)이 차량 측면에 부착된 위치는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00)에는 자석(211)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동시에 부착부(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핀(221)이 형성된 차폐막(220)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손잡이(10)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면과 저면이 관통되는 잠금홀(32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결합부(300); 및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손잡이(10)를 감싸면서 상기 잠금홀(320)에 삽입되는 잠금쇠(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과 브릿지(331)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3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332)이 형성되는 원판(330)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쇠(310)는 상기 결합부(300)의 잠금홀(320)과 상기 원판(330)의 관통홀(332)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차량의 손잡이(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시동이 오프된 주차상태에서 차량 외부 측면을 감시하고, 하우징을 가로질러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카메라가 동작하지 않는 주행상태에서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주행풍의 풍력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이 오프되어 운전자가 없을 경우에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메일 블랙박스가 촬영하기 어려운 차량 외부의 휀다(Fender) 부분 또는 문콕이 발생하는 도어를 감시하며, 내부의 진동센서에서 진동이 감지될 경우에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메인 블랙박스의 사각지대를 보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는 저면에 형성된 자석수용홈에 차량의 측면과 자력으로 결합되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수용홈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석이 원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원하는 위치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어 운전자가 없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PCB모듈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메인 블랙박스와의 무선(블루투스 등) 통신으로 연결되되 설정된 거리보다 커질 경우에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로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 내부의 알람을 작동시키고 도난알림을 전송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잠금홀에 삽입되는 잠금쇠가 손잡이를 감싸게 되어 상기 손잡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도난의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저면에는 브릿지를 통해 결합되는 원판이 구비되며, 상기 원판은 결합부에 회전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원판은 잠금쇠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을 일정 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잠금쇠가 결합부의 잠금홀과 원판의 관통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고정되어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움직이지 않은 채로 차량의 손잡이에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차량 측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잠금쇠가 잠금홀과 관통홀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가 장착된 모습으로서, (a)는 수평방향의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b)는 경사를 가진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의 시동오프시에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블랙박스와 연계하여 차량의 외부면을 감시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는 보조 블랙박스로서,
차량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며 주차중인 차량의 외부면과 그 주변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111)가 수용되는 카메라수용구(110);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112);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주행풍이 통과하는 공기통로(121)가 형성되고, 주행풍이 상기 공기통로(121)가 통과하면서 프로펠러(122)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행중에 발전부(120)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전원이 오프된 주차상태에서의 차량 외부면을 촬영하여 주차 상태에서 차량 안전을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주차시에 카메라 등 전기 소비가 적어 저장된 전기량이 충분하다면 주행중에는 본 발명의 보조 블랙박스를 차량 내부에 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촬영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차량 전방 상황을 녹화하여 사고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시에 상황 발생 전후를 일정 시간동안 녹화하여 증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의 전,후방에 비치되는 카메라와는 별도로 차량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보조 블랙박스로서, 구분을 위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블랙박스를 "메인 블랙박스"로 명명한다. 메인 블랙박스는 주행중에는 주행모드로 동작하고, 주차중에는 주차모드로 동작하며, 주차모드시에는 진동과 같은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만 동작하고, 차주의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카메라(111)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블랙박스에서 추가적으로 차량의 측면까지 촬영하여 상기 메인 블랙박스와 연계되면서 차량의 360°전 방위를 촬영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전,후방의 메인 블랙박스의 촬영범위에 들지 않는 차량의 측면까지도 촬영할 수 있게 되어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을 마치고 주차시에, 보다 정확하게는 시동오프시에 차량 외부면에 부착하는 주차 상태에서 차량 외부에 부착하고, 주행중에 탈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블랙박스와 상호 보완적으로 차량의 측면까지 촬영하여 차량의 전후좌우 전 방향에 구비되는 4채널로서 이루어지며,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카메라(111)가 구비되어 외부 측면 전후방을 촬영한다.
차량 내부에는 차량의 전,후방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메인 블랙박스가 설치되어 주행시에 동작하지만, 차량을 주차하여 운전자가 차량에서 부재시에 옆 차량에서 도어를 강하게 열어 차량 측면에 손상을 가하는 문콕이나 또는 차량의 휀다와 같은 모퉁이 부분에 손상을 가해졌을 때에는 메인 블랙박스에 촬영범위에 들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므로 촬영하지 못한 상황을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가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로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발전부(120)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배터리(130)에 저장한다.
차량의 주행을 마친 주차 상태에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111)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의 측면의 촬영을 시작하며, 주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과 같은 이벤트를 녹화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에서 주행풍을 이용하여 자가풍력발전을 하므로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배선이 필요없고 메인 블랙박스와 블루투스로 통신되도록 하여 녹화영상 추출 및 제어를 수행하므로 설치 시공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외관이 깔끔하여 미관을 가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의 메인 블랙박스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100)에 내장된 진동센서(미도시)에서 진동이 감지될 때 메인 블랙박스의 주차모드를 동작모드로 변경시켜 설정 시간 동안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여 녹화하거나 또는 차량과 물리적 거리가 멀어질 때에 메인 블랙박스 또는 보조 블랙박스에 기저장된 단말기로 도난알림을 전송하거나 또는 차량에서 경보음을 발산하는 등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형상과 구조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나누어서 후술한다.
후술할 부착부(200)는 자석(211)의 자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며, 후술할 결합부(300)는 자물쇠의 구조와 유사하게 차량의 손잡이(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블랙박스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길이는 폭에 비하여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이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시에 좌우 폭이 작도록 설계되므로 주행풍에 의한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면은 유선형으로 곡률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은 차량의 부착시에 주행풍을 정면으로 맞으며, 유선형의 형상으로 공기유동이 자연스럽게 표면을 타고 후방으로 흐를 수 있다. 공기유동이 양측면을 타고 흐르다가 후면에서 부드럽게 한점으로 모아지게 되어 공기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블랙박스를 차량의 측면에 배치하고자 할 때 파지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면에는 카메라수용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111) 수용구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파여져 있다. 상기 카메라수용구(110)의 내부에 카메라(111)가 삽입된다.
상기 카메라수용구(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카메라(111)는 차량의 측면을 감시하여 사고상황을 녹화하는 장치이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111)는 차량의 측면에서 전방의 상황을 넓은 화각으로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111)는 차량의 측면에서 후방의 상황을 넓은 화각으로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된 카메라(111)가 상호 보완하여 동작하여, 차량의 측면을 사각지대없이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1)는 하우징(100)의 카메라수용구(110)에 삽입되며 상기 카메라(111)의 전면렌즈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이 차량의 측면에 배치됨에도 카메라(111)는 외부의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측면 충돌 등 이벤트의 발생시에 카메라(111)에 온전한 상황이 담기도록 하여 신뢰할만한 증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면에 삽입되는 카메라(111)는 차량의 메인 블랙박스에 장착된 카메라(111)와 연계되어 메인 블랙박스 및 보조 블랙박스가 차량의 360°전방위를 촬영하며 주차시에 장애물을 식별하는 등 어라운드 뷰(around view)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자가풍력발전을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발전부(12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를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121), 상기 공기통로(121) 내부에 구비되어 풍력으로 인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22), 상기 프로펠러(122)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회전축(123), 상기 회전축(123)의 회전으로 인해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124) 및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하우징(100)에 발전부(120)를 구비하므로 외부에서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배선이 필요하지 않다.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주행풍으로 자가발전이 가능하며, 풍력발전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120)는 하우징(100)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공기통로(121)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21)는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주행풍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21)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주행풍을 받아들이도록 수렴구(121a)가 형성되고 상기 수렴구(121a)의 후측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까지 연통되는 통로구(121b)가 형성된다.
상기 수렴구(121a)의 앞쪽은 주행풍을 최대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직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후방의 직경이 전방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주행풍은 수렴구(121a) 전면의 넓은 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수렴구(121a)를 통과하면서 직경이 점차 좁아져 공기의 유속은 빨라지게 된다. 이때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운동량이 증가하므로 상기 수렴구(121a) 내부에 위치한 후술할 프로펠러(122)에 더 큰 운동량을 전달할 수 있고 프로펠러(122)는 더 많은 회전에너지를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발전부(120)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수렴구(121a)의 후측에는 상기 수렴구(121a)와 연통되는 통로구(121b)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구(121b)는 상기 수렴구(121a)와는 달리 일정한 직경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렴구(121a)를 통해 공기통로(121)로 들어온 공기를 하우징(100)의 후면으로 배출하기까지 유도하는 통로이다.
상기 통로구(121b)는 전체 공기통로(121)의 길이에서 상기 수렴구(121a)보다 더 많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통로구(121b)의 내부에는 프로펠러(122)의 후면과 결합되는 후술할 회전축(123)이 위치한다.
상기 통로구(121b)에는 코일(124)이 감겨 있어 회전축(123)의 회전에 따라 기전력을 유도한다. 상기 회전축(123)이 회전하여 상기 코일(124)에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코일(124)에 전류가 생성된다.
상기 코일(124)은 통로구(121b)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발전부(120)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130)와, 상기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카메라(111)에 공급하고 촬영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PCB모듈(140)도 구비된다. 상기 PCB모듈(140)에는 배터리(130)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부와 어댑터, 차량의 상태를 인식하여 카메라(111)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카메라(111)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등이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112)이 구비된다. 상기 통신모듈(112)은 상기 PCB모듈(140) 내장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모듈을 갖추어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112)을 별도의 모듈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이 주행시에 카메라(111)를 동작시키지 않으며 상기 발전부(12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배터리(130)에 축전한다. 차량이 주행을 끝낸 후 주차된 상태에 놓였을 시에는 PCB모듈(140)에서 이를 인식하여 배터리(130)의 전력을 카메라(111)에 공급하여 촬영을 시작하며, 충돌이 감지되었을 때는 이벤트 발생 전,후 영상을 녹화한다.
상기 PCB모듈(140)에서 차량의 주차여부를 확인할 시에는 차량과 전기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메인 블랙박스에서 식별하여 무선 통신모듈(112)을 통해 상기 PCB모듈(140)에 전송하여 촬영시작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가 메인 블랙박스와 통신모듈(112)에 의해 무선 연결이 유지되되, 도난 등의 이유로 메인 블랙박스와의 설정거리보다 길어지면 차량 내부의 알람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메인 블랙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블랙박스는 차량에서 경보 등의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기저장된 단말기에 도난알림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차량 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해지거나 도난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지만, 하우징(100) 내부에 탑재되는 카메라(111)는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을 하우징(100)이 보호하며,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메인 블랙박스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신호세기에 따라 도난의 유무를 식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PCB모듈(140)에는 진동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진동센서(미도시)에서 진동을 감지했을 시에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111)가 촬영을 시작하고 하우징 내부의 메모리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모듈(112)을 통하여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차량의 경보,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것은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내부에 카메라(111) 및 발전부(120)가 구비되어, 차량을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주행풍이 상기 발전부(120)에 유입되고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전부(120)에 의해 자가발전하여 카메라(111)에 공급하므로 차량 등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이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의 메인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 또는 주차상태를 식별하여서 본 발명의 PCB모듈(140)에 전송하여 차량의 상태에 따른 카메라(111) 작동 제어를 수행한다. 차량의 주차시에는 주행풍에 의해 발전부(120)에서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130)에서 저장하고 카메라(111)에 공급하여 촬영을 시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무선 통신하고 있는 메인 블랙박스를 경유하여 영상을 추출하거나 또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차량의 측면과 결합되는 구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착부(200)는 자석(211)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차량에 부착되며, 실시예 2에 따른 결합부(300)는 차량의 손잡이(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상기 자석(211)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을 차량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자력으로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자석(21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211)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210)이 형성되는 부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200)는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서 차량의 측면과 면접촉하도록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200)의 소재는 부드럽고 유연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측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부착부(200)는 차량 측면의 곡면을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져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 부착되어 측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된 카메라(111)가 차량 측면의 일부를 비추므로 측면에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의 저면에는 자석(211)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수용홈(210)은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수용홈(210)은 상기 부착부(200) 저면의 중심부를 원의 중심점으로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자석수용홈(210)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의 중심점이 동심원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수용홈(210) 내부에는 상기 자석수용홈(210)의 폭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상의 자석(211)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211)은 차량의 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차량의 측면이 금속 소재가 아닌 복합소재로 이루어져 자력으로 결합되지 않을 시에는 별도의 자력패드(미도시)를 차량 측면에 부착하여 상기 자석(211)과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가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면 카메라(111)가 조사하는 촬영 각도 조절을 위해 하우징(100)을 잡고 약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부착부(200) 저면의 자석수용홈(210)이 형성하고 있는 동심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자석(211)은 상기 자석수용홈(210)이 형성되는 원호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의 저면을 기준하여 바라보았을 때에 상기 자석(211)은 상기 자석수용홈(210)을 따라 이동하지만, 실제 차량 측면에 자석(211)이 부착되어 있을 시에 자석(211)은 움직이지 않고 부착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부착부(200)가 자석수용홈(210)에 자석(211)을 수용한 채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자석(211)은 차량 측면에 고정된 채 카메라(111)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석(211)은 일반적으로 금속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차량 측면에 부착된 채로 이동시키게 되면 차량 측면에 흠집과 기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자석(211)의 부착 위치는 고정된 채로 자석수용홈(210)이 형성하는 동심원의 중심을 따라 일정 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 측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채로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에는 자석(211)의 자기장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전자기기에 영향끼치는 것을 막기 위한 차폐막(220)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막(220)은 상기 자석(211)과 하우징(100) 저면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차폐막(220)은 자석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부착부(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핀(221)이 구비된다. 상기 노출핀은 차량 측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자석(211)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을 하우징(100)쪽으로 향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노출핀(221)을 따라 차량 측면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한다.
상기 노출핀(221)은 상기 자석(2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갯수는 2~4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상기 노출핀(221)을 4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발전부(120)에서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130)로 축전하기 위한 배선과 카메라(111)를 제어하기 위한 PCB모듈(140)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자석(211)의 자기장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막(22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차폐막(220)은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211)의 자기장이 하우징(100) 내부로 발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소재와 구조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에 따른 실시 예1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에 대한 설명은 이미 기재하였으므로 부착부(200)를 중점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을 설치하고자 하는 차량의 측면에 상기 부착부(200)의 저면을 맞대게 되면 부착부(200) 저면에 구비된 자석(211)이 자력에 의해 차량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차량의 측면이 자력으로 결합될 수 없는 소재인 경우, 별도의 자력패드(미도시)를 상기 차량의 측면에 결합시킨 후 상기 자석(211)을 자력패드(미도시)에 맞대게 하여 자력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자석(211)이 차량 측면에 부착되고 나면, 하우징(100)에 구비된 카메라(111)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100)을 잡고 회전시킨다. 이때 카메라(111)의 조사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카메라(111)의 촬영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부착부(200) 또한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자석(211)의 차량 측면에 부착된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자석(211)은 부착위치가 고정된 채 부착부(200)의 자석수용홈(210)이 자석(21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자석수용홈(210)을 기준하여 바라 보았을 때는 자석(211)이 상기 자석수용홈(210)의 원호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자석(211)이 차량 측면에 고정되므로 회전하면서 마찰로 인한 흠집과 기스가 발생하지 않게 때문에 차량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상품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차량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에 결합되도록 하여 하우징(100)이 측면에 배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손잡이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면과 저면이 관통되는 잠금홀(32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결합부(300); 및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손잡이를 감싸면서 상기 잠금홀(320)에 삽입되는 잠금쇠(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는 자물쇠의 기술사상과 유사하게 기계적인 결합에 의해 차량의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300)는 손잡이를 외부에서 감싸고 잠금쇠(310)는 손잡이를 내부에서 감싸면서 상기 결합부(300)와 잠금쇠(310)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10)에 고정된다. 즉, 결합부(300)와 잠금쇠(310)의 사이에 손잡이(10)를 두고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2의 하우징(100)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결합부(300)가 상기 손잡이(10)게 결합되었을 시에 카메라(111)의 각도조절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300)와는 별개로 일정 각 회전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30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실시예 1의 부착부(200)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300)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되며 양측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손잡이(10)를 상기 결합부(300)의 오목한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1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300)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시에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 결합부(300)의 양측면에는 잠금쇠(310)가 관통하는 구멍인 잠금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홀(3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잠금쇠(310)의 구비되는 갯수에 비례한 갯수로 구비된다. 예로써, 잠금쇠(310)가 1개 구비되면 잠금홀(320)은 하우징(10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2개로 형성되며, 잠금쇠(310)가 2개 구비되면 잠금홀(320)은 하우징(100)의 좌,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로 형성된다.
잠금쇠(310)가 상기 잠금홀(320)을 관통하면 상기 잠금쇠(310)의 상단은 결합부(300)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종래의 자물쇠의 기술사상과 동일하게 잠금쇠(310)가 빠지지 않도록 잠금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잠금쇠(310)는 상기 결합부(300)에 형성된 잠금홀(320)에 삽입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쇠(310)는 절단이 쉽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쇠(310)는 차량의 손잡이(10)의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1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잠금쇠(310)의 중앙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며 이후에 상기 결합부(300)에 삽입된다.
상기 잠금쇠(310)는 단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1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내부에 원판(33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원판(330)은 브릿지(33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시에 브릿지(331)를 통해 결합된 원판(330)도 같이 회전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과 원판(330)은 상대적인 회전과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원판(330)과 결합부(300)가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원판(330)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이어져 고정 결합되는 브릿지(331)가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331)는 하우징(100)과 원판(330)을 결합시키도록 이어주는 구성으로서, 그 길이는 약간 짧게 형성되어도 되며 직경은 상기 원판(330)보다 훨씬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31)는 원판(330)의 중심점에 위치하여 동심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판(330)의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관통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32)은 상기 잠금쇠(310)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이다. 상기 관통홀(332)은 잠금쇠(310)의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되고 나면 상기 관통홀(332)로 잠금쇠(310)를 삽입하여 상기 원판(330)의 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332)의 갯수는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관통홀(332)이 8개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각 조절 범위는 45°(=360°÷8)씩 조절될 수 있으나, 보다 정밀한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관통홀(33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잠금쇠(310)가 원판(330)의 관통홀(332)에 삽입되면 상기 원판(330)은 잠금쇠(310)에 의하여 걸리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하우징(100) 또한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원판(330)의 관통홀(332)이 결합부(300)의 잠금홀(320)과 일직선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잠금쇠(310)가 상기 잠금홀(320)과 관통홀(332)을 연속으로 관통되도록 삽입하면 상기 원판(330)이 잠금쇠(310)에 의하여 걸리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하우징(100) 또한 회전이 제한된다.
차량의 손잡이(10)는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나, 차종에 따라 약간 경사를 형성하면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결합부(300)는 경사가 있는 손잡이(10)에서도 결합될 시에 카메라(111)의 조사 각도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서 상기 결합부(300)에 상기 잠금쇠(310)를 삽입하기 전 하우징(100)을 회전시켜 카메라(111) 조사각도를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에 상기 잠금쇠(310)를 관통홀(332)과 잠금홀(320)에 연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손잡이(10)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도 상기 카메라(111)의 방향은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하우징(1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하였으므로 결합부(300)가 손잡이(10)에 결합되는 결합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결합부(300)의 오목한 부위에 차량의 손잡이(10)가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하우징(10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정 각 회전시킨다.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하면 브릿지(331)를 통해 연결된 원판(3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300)는 손잡이(10)를 외측에서 감싸게 된다.
상기 잠금쇠(310)를 손잡이(10)의 내측에서 감싸도록 삽입한 후, 상기 결합부(300)의 잠금홀(320) 및 원판(330)의 관통홀(332)을 통과하도록 결합부(300)에 결합시킨다. 상기 원판(330)은 잠금쇠(310)에 의해 걸리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카메라(111)의 조사각도가 수평방향을 유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회전각이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300)에 구비되는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잠금쇠(310)는 분리되지 않도록 잠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결합부(300)는 기계적인 결합으로 인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난의 우려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손잡이(10)가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 가능하여 카메라(111)의 조사각도를 항시 수평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잠금쇠(310)가 원판(330)의 관통홀(332)을 통과하므로 회전이 제한되어 외력에 의해서도 회전할 수 없어 카메라(111)는 측면 충돌과 같은 사고상황을 온전하게 촬영, 녹화할 수 있다.

10:손잡이
100:하우징 110:카메라수용구 111:카메라 112:통신모듈
120:발전부 121:공기통로 121a:수렴구 121b:통로구
122:프로펠러 123:회전축 124:코일
130:배터리 140:PCB모듈
200:부착부 210:자석수용홈 211:자석 220:차폐막 221:노출핀
300:결합부 310:잠금쇠 320:잠금홀 330:원판 331:브릿지 332:관통홀

Claims (8)

  1. 시동오프시에 메인 블랙박스와 연계하여 차량의 외부를 감시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는 보조 블랙박스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며 주차중인 차량의 외부면을 촬영하는 카메라(111)가 수용되는 카메라수용구(110);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차량 내부의 메인 블랙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112);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주행풍이 통과하는 공기통로(121)가 형성되고, 주행풍이 상기 공기통로(121)가 통과하면서 프로펠러(122)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20);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121)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후방의 직경이 전방보다 작으며, 주행풍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22)가 내부에 배치되는 수렴구(121a); 및
    상기 수렴구(121a)와 연통되어 주행풍을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으로 유도하며, 상기 프로펠러(122)와 결합된 회전축(123)이 내부에 배치되는 통로구(121b);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112)은
    상기 메인 블랙박스와의 설정거리보다 길어지면 차량내부의 알람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메인 블랙박스에 전송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자력으로 차량과 결합하는 자석(21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211)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210)이 형성되는 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수용홈(210)이 상기 부착부(200)의 저면에 곡률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11)이 상기 자석수용홈(21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부착부(200)의 회전시에 상기 자석(211)이 차량 측면에 부착된 위치는 고정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자석(211)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동시에 부착부(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핀(221)이 형성된 차폐막(220)이 구비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손잡이(10)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면과 저면이 관통되는 잠금홀(32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결합부(300); 및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손잡이(10)를 감싸면서 상기 잠금홀(320)에 삽입되는 잠금쇠(310);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과 브릿지(331)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3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332)이 형성되는 원판(330)이 더 구비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310)는 상기 결합부(300)의 잠금홀(320)과 상기 원판(330)의 관통홀(332)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차량의 손잡이(10)에 고정되는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KR1020210137089A 2021-10-15 2021-10-15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KR10263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89A KR102630675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89A KR102630675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33A true KR20230053833A (ko) 2023-04-24
KR102630675B1 KR102630675B1 (ko) 2024-01-29

Family

ID=8614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89A KR102630675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6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614A (ja) * 2003-09-16 2005-04-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システム
KR20100137883A (ko) * 2009-06-23 2010-12-31 이상돈 차량용 안테나 장치
WO2017126799A1 (ko) * 2016-01-21 2017-07-27 이정애 차량용 풍력발전 장치
KR101979255B1 (ko) 2017-11-29 2019-08-28 (주)아이전자 차량용 카메라 분리형 블랙박스 장치
KR102286424B1 (ko) 2020-12-10 2021-08-06 주식회사 미소전자통신 자동차용 다채널 블랙박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614A (ja) * 2003-09-16 2005-04-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システム
KR20100137883A (ko) * 2009-06-23 2010-12-31 이상돈 차량용 안테나 장치
WO2017126799A1 (ko) * 2016-01-21 2017-07-27 이정애 차량용 풍력발전 장치
KR101979255B1 (ko) 2017-11-29 2019-08-28 (주)아이전자 차량용 카메라 분리형 블랙박스 장치
KR102286424B1 (ko) 2020-12-10 2021-08-06 주식회사 미소전자통신 자동차용 다채널 블랙박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675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326A (en) Automotive vehicle anti-theft and anti-vandalism and anti-carjacking system
WO1992020196A1 (en) An observation and recording system for a police vehicle
US20100073478A1 (en) Vehicle mounted devices and arrangements
KR100872782B1 (ko) 룸미러 블랙박스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CN107426545A (zh) 一种远程行车监控系统及方法
JP2018116722A (ja) ドライブレコーダ本体及び機器
CN210924810U (zh) 智能门铃
KR20230053833A (ko) 차량 외부면 촬영용 보조 블랙박스
JP3200960U (ja) マルチビュー画像表示と盗難防止用gps警報の機能を備えた自動車ルームミラー型デバイス
US20080186153A1 (en) Vehicle theft prevention apparatus
CN205210982U (zh) 行车记录仪
KR100894484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KR101441606B1 (ko) 고휘도 led가 구비된 방범로봇
CN206475857U (zh) 一种通过互联网传送数据的电动汽车防盗报警装置
CN109532670A (zh) 一种车载安全距离判断装置极其软件使用原理
CN114596649A (zh) 一种具有报警提示功能的多功能行车记录仪
CN210075446U (zh) 车载式犯人押运远程监控设备
JP3176875U (ja) カー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と連動してドライブレコーダーを動作させるためのタイマーを内蔵したアダプター
KR200348621Y1 (ko) 차량 감시 시스템
CN219891696U (zh) 一种智能记录仪
CN216486554U (zh) 一种具有活体侦测功能的行车记录仪
KR200464006Y1 (ko) 차량용 블랙 박스
CN214420401U (zh) 一种车载tof相机报警装置
CN220308523U (zh) 电动自行车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