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443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443A
KR20230053443A KR1020210136954A KR20210136954A KR20230053443A KR 20230053443 A KR20230053443 A KR 20230053443A KR 1020210136954 A KR1020210136954 A KR 1020210136954A KR 20210136954 A KR20210136954 A KR 20210136954A KR 20230053443 A KR20230053443 A KR 2023005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open area
disposed
area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443A/ko
Priority to PCT/KR2022/009653 priority patent/WO2023013897A1/ko
Priority to CN202280055162.8A priority patent/CN117795830A/zh
Priority to EP22853276.8A priority patent/EP4383531A1/en
Publication of KR2023005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모터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축방향으로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 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하우징, 하우징 내 배치되는 스테이터, 스테이터 내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며, 스테이터와 로터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운동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권선되고, 로터에는 상기 코일과 마주하는 마그네트가 배치되어, 코일과 마그네트의 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모터는 코일저항에 의한 손실 감소를 위해 복수의 코일을 병렬 연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병렬 접속시에는 코일을 입출력 단자까지 연장하고, 단자에서 종합하여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병렬로 배치된 코일을 종합하여 접속하기 위해 스테이터의 상측에는 버스바 모듈이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 모듈은 스테이터의 상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코일 단자가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3상 회로 구현을 위해 버스바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버스바를 포함한다.
모터의 구동 과정에서 버스바를 포함한 모터 내 구성들은 열을 발생시키나,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에 따르면 모터 내 별도의 방열 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하우징의 변형 또는 전기적인 구성들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하여,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축방향으로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 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의 일부 및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바디;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 및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1오픈영역과, 제2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오픈영역은 제1단위오픈영역과 제2단위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오픈영역에서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고, 상기 제1단위오픈영역과 제2단위오픈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버스바가 복수의 오픈 영역을 통하여 바디의 상방으로 노출되므로, 방열 면적 증가에 따른 방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전달 부재를 통하여 버스바가 직접 방열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열이 설정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스테이터 및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내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모듈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간 방열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스테이터 및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내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10)는, 하우징(100), 스테이터(120), 로터(140) 및 버스바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모터(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120), 상기 로터(140) 및 상기 버스바 모듈(200)이 배치되는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102)은 상기 스테이터(120) 및 상기 로터(140)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버스바 모듈(200)이 배치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단턱(110)을 경계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단턱(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단턱(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단턱(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단면적은 상기 제2영역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10)의 상면에는 상기 버스바 모듈(200)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2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20)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면을 감싸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권선되는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30)의 양단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 모듈(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130)은 제1극성을 가지는 제1코일, 상기 제1극성과 상이한 제2극성을 가지는 제2코일, 상기 제1극성 및 상기 제2극성과 상이한 제3극성을 가지는 제3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140)는 상기 스테이터(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140)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13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130) 간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로터(14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로터(140)의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하우징(100)의 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108, 도 6 참조)를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은 상기 버스 모듈(20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216, 도 4 참조)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상기 스테이터(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상기 단턱(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상기 코일(130)과 제어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모터(10)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버스바 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바디, 버스바, 터미널(290) 및 열전달 부재(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 모듈(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 모듈(2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는 높이가 상이한 2 이상의 단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디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바디(210)와, 상기 제1바디(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2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216)를 통하여 샤프트가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212)은 후술할 상기 버스바의 돌출부(262, 272, 282)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12)은 상기 버스바의 돌출부(262, 272, 282)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212)을 관통하여 상기 코일(130)의 단부는 상기 제1바디(2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130)의 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돌출부(262, 272, 282)에 퓨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결합홀(2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류가 상기 결합홀(214)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단턱(110)의 상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는 상기 제1바디(2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바디(220)의 단면적은 상기 제1바디(2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210)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바디(2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바디(210)의 중앙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220)의 외측에는 상기 제1바디(210)의 가장자리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 내에는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의 외면에는 상기 버스바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바디(22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2바디(220)의 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62, 272, 2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제2바디(220) 내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262, 272, 28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바디(2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바디는 도 8에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이격되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262, 272, 28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제1코일과 연결되는 제1버스바(260)와, 상기 제2코일과 연결되는 제2버스바(270)와, 상기 제3코일과 연결되는 제3버스바(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버스바(260, 270, 280)는 적어도 일부가 반경 방향을 따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260)의 외측에 제2버스바(270)가 배치되고, 상기 제2버스바(270)의 외측에 제3버스바(280)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버스바(260)와 상기 제2버스바(270) 사이, 상기 제2버스바(270)와 상기 제3버스바(280) 사이에는 절연 재질의 절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버스바(260, 270, 280)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버스바(260)와 배치되는 제1돌출부(262), 상기 제2버스바(270)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272) 및 상기 제3버스바(270)에 배치되는 제3돌출부(282)는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서로 상하 방향 단차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후술할 제1단위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262)의 높이는 제2단위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272)의 높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연결부(268, 278, 2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68, 278, 288)는 터미널(290)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버스바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290)을 통해 제어기와 상기 버스바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290)은 상기 제1바디(210) 바디 상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290)은 상기 제1버스바(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터미널(292)과, 상기 제2버스바(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294)과, 상기 제3버스바(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터미널(29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디(210)와 상기 제2바디(22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바디(210)와 상기 제2바디(2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제1영역(201)과 제2영역(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01)과 상기 제2영역(202)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01)은 상기 버스바 바디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02)은 상기 돌출부(262, 272, 282)의 일부일 수 있다.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201)과 상기 제2영역(202)은 상호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201)과 상기 제2영역(202)은 상호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200)은 제1오픈 영역(230)과, 제2오픈 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과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은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오픈 영역(230)과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은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과 상기 제2오픈 영역(240) 사이에는 측벽(232)이 배치되며, 상기 측벽(232)을 통하여 상기 제1오픈 영역(230)과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은 상호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과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2오픈 영역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단위 오픈 영역과 제2단위 오픈 영역을 포함한다 할 때,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은 상기 제1단위 오픈 영역과 상기 제2단위 오픈 영역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오픈 영역(240)에는 상기 홀(212) 및 상기 돌출부(262, 272, 28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262, 272, 282)가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는 상기 버스바의 제1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의 반경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220)와 원주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바디(220)는 상기 버스바 비디를 상방으로 개구시키는 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은 상기 제2바디(2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내주면을 이루는 측벽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의 내주면을 이루는 측벽의 반경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원주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오픈 영역(240)의 원주 방향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는 상기 열전달 부재(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오픈 영역(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상기 바디의 재질과 상이한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상기 버스바의 제1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상기 제1영역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의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250)을 통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전달되며,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전달 부재(250)의 나머지 영역을 통하여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전달 부재(250)이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만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상기 제2오픈 영역(240)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부재(250)은 액상의 방열 물질의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고체 상태의 열전달 부재(250)가 직접 상기 제1오픈 영역(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에는 상기 측벽(232)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버스바가 복수의 오픈 영역을 통하여 바디의 상방으로 노출되므로, 방열 면적 증가에 따른 방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전달 부재를 통하여 버스바가 직접 방열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열이 설정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모듈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간 방열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모듈(도 10의 (a) 참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도 10의 (b)) 내에서 임의의 지정된 3개의 영역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200)의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모듈 대비 약 30C 정도의 온도 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전술한 버스바 모듈과 동일하나, 버스바의 형상에 따른 차이가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버스바가 제1 내지 제3버스바(360, 370,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버스바(360, 370, 380)는 각각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62, 372, 382)를 포함할 수 있으나, 버스바 바디의 형상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 바디 및 돌출부(262, 272, 282)의 상, 하면의 면적이 측면의 면적 보다 작은 형상을 가지나,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버스바 바디 및 상기 돌출부(362, 372, 382)의 상, 하면의 면적이 측면의 면적 보다 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버스바(360, 370, 380) 각각의 버스바 바디는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를 형성하도록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축방향으로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 되지 않는 모터.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의 일부 및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모터.
  3. 바디;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버스바; 및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1오픈영역과, 제2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오픈영역은 제1단위오픈영역과 제2단위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오픈영역에서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고, 상기 제1단위오픈영역과 제2단위오픈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바디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모터.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모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 영역과 상기 제2오픈 영역 사이에 측벽이 배치되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 영역의 내면을 형성하는 측벽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오픈 영역의 내면을 형성하는 측벽의 반경 방향 길이 보다 큰 모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 영역의 원주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오픈 영역의 원주 방향 길이 보다 작은 모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오픈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모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오픈 영역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축방향으로 노출시키는 제1오픈영역과, 제2오픈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오픈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모터.
  12.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바디 배치되어, 상기 제2바디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상방으로 개구시키는 홈을 포함하는 모터.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제1극성의 제1버스바와, 제1극성과 상이한 제2극성의 제2버스바와, 상기 제1극성 및 상기 제2극성과 상이한 제3극성의 제3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버스바는 반경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 상기 제2버스바와 상기 제3버스바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되는 모터.

KR1020210136954A 2021-08-06 2021-10-14 모터 KR20230053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954A KR20230053443A (ko) 2021-10-14 2021-10-14 모터
PCT/KR2022/009653 WO2023013897A1 (ko) 2021-08-06 2022-07-05 모터 및 제어 장치
CN202280055162.8A CN117795830A (zh) 2021-08-06 2022-07-05 马达和控制装置
EP22853276.8A EP4383531A1 (en) 2021-08-06 2022-07-05 Motor and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954A KR20230053443A (ko) 2021-10-14 2021-10-14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443A true KR20230053443A (ko) 2023-04-21

Family

ID=8609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954A KR20230053443A (ko) 2021-08-06 2021-10-14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3443A (ko)
CN (1) CN11779583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95830A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8060B2 (en) Motor
US11522408B2 (e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1277047B2 (en) Busbar apparatus,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usbar apparatus
JP7449051B2 (ja) バスバーデバイスとパワーコンバータハウジングとを備えたシステム、その生産方法、車両用パワーコンバータ、および車両
JPH06233483A (ja) ステータに於けるコイル巻線の結線構造
JP2018113848A (ja) 電気モータ及びそのステータ
CN107404172B (zh) 电动机的绝缘部件
JP5942513B2 (ja) 電気接続構造、シール装置、及びインバータ一体型モータ
KR20230053443A (ko) 모터
US11677290B2 (en) Motor
KR102488606B1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WO2016162920A1 (ja) 回転電機
KR20230006279A (ko) 모터
JP2005065414A (ja) インバータ装置
WO2024095730A1 (ja) 多相モータ
EP4383531A1 (en) Motor and control device
JP2020028204A (ja) 回転電機、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そのアセンブリ方法
US20240223037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motor
US20230126488A1 (en) Motor
JP2017201867A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US20230034461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20220109963A (ko) 모터용 터미널 블록
JP2022179352A (ja) 3相コネクタ一体型ステータ及びこれを含む電動圧縮機
JP2024041219A (ja) モータ
KR10068117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bldc 전동기 브래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