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718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718A
KR20230052718A KR1020210136076A KR20210136076A KR20230052718A KR 20230052718 A KR20230052718 A KR 20230052718A KR 1020210136076 A KR1020210136076 A KR 1020210136076A KR 20210136076 A KR20210136076 A KR 20210136076A KR 20230052718 A KR20230052718 A KR 2023005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conductive layer
module
base
mani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이후상
최종현
박대우
김윤탁
조남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알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알프스(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718A/ko
Priority to US17/826,558 priority patent/US11776724B2/en
Priority to DE102022205696.5A priority patent/DE102022205696A1/de
Priority to CN202210691920.7A priority patent/CN115959055A/zh
Publication of KR2023005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64Circuit arrangements for actuat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4Means for releasing the attractive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H01F7/206Electromagnets for lifting, handling or transporting of magnetic pieces o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개시된 스위치장치는, 베이스 케이스를 포함한 베이스모듈; 조작케이스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된 그립을 포함한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제공된 베이스측 자성유닛과, 상기 조작모듈에 제공된 조작측 자성유닛을 포함한 자력기구; 및 상기 조작케이스 및 상기 그립 사이에 제공된 그립력 센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에 의해 센싱된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모듈에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조작모듈이 베이스모듈에 직관적으로 분리 및 부착될 수 있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어들의 록/언록,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공조(HVAC), 시트 조절, 조명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기술의 비약적이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을 간편하게 조작하고 실행할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자율 주행차량의 승객실 내에서 차량 시트의 회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한 접근성 및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모듈에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조작모듈이 베이스모듈에 직관적으로 분리 및 부착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베이스 케이스를 포함한 베이스모듈; 조작케이스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된 그립을 포함한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제공된 베이스측 자성유닛과, 상기 조작모듈에 제공된 조작측 자성유닛을 포함한 자력기구; 및 상기 조작케이스 및 상기 그립 사이에 제공된 그립력 센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에 의해 센싱된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모듈의 그립에 인가되는 그립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조작모듈 및 베이스모듈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을 가변함으로써 조작모듈을 베이스모듈로부터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일 때,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자기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미만일 때,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자기인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을 설정치와 비교하여 조작모듈 및 베이스모듈 사이에서 발생된 자력을 가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작모듈은 자력의 가변을 통해 및 베이스모듈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 및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그립의 내면 및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그립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된 내측도전층과, 상기 그립의 내면에 부착된 외측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에 인가되는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외측도전층은 내측도전층과 접촉하거나 내측도전층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일 때 외측도전층은 내측도전층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 사이의 전기적 접점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미만일 때 외측도전층은 내측도전층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 사이의 전기적 접점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조작케이스는 그 외면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홈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도전층이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제공된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내측도전층은 조작케이스에 대해 견고하게 장착될 뿐만 아니라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 사이의 이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홈부 내에 부착된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조작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의 외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도전층이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조작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의 접촉신호(접점신호)가 조작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인쇄회로기판이 FPCB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바디의 외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그 내면에 제공된 함몰면을 가지고, 상기 함몰면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오프셋되며, 상기 외측도전층이 상기 함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도전층이 그립의 함몰면에 부착됨으로써 그립에 대해 설정치 이하의 그립력이 인가될 때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의 이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면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면들은 상기 함몰면의 상측가장자리에 연결된 상측 접촉면과, 상기 함몰면의 하측가장자리에 연결된 하측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은 함몰면의 상측가장자리 및 하측가장자리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측 접촉면 및 하측 접촉면을 가짐으로써 그립의 탄성적인 변형 시에 함몰면이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가까워지거나 이격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함몰면의 주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는 상기 그립의 내면으로부터 조작바디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돌기가 그립의 함몰면 주변에 제공됨에 따라 상기 그립에 인가되는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립력이 제거될 때 복원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립력이 그립에 인가되지 않거나 설정치 미만의 그립력이 그립에 인가될 때, 탄성돌기는 내측도전층 및 외측도전층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 상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도전부 및 제2도전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1도전부 및 제2도전부는 보조 인쇄회로기판의 외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도전층은 상기 그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밴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모듈을 베이스모듈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조작모듈의 그립에 설정치 이상의 그립력을 인가함으로써 조작모듈을 베이스모듈로부터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에서 조작모듈이 베이스모듈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모듈에 장착된 그립력 센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제1그립력이 그립에 인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그립력이 조작모듈의 그립에 인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모듈에서 그립이 조작케이스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내측도전층을 전개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베이스모듈(200)과, 자력의 가변을 통해 베이스모듈(20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조작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200)은 차량의 다양한 위치(센터콘솔, 도어트림, 리어시트 콘솔 등)에 장착될 수 있고, 베이스모듈(200)은 차량 내의 다양한 장치에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모듈(200)은 도어래치메커니즘, 아웃사이드미러 조절기구, 시트 조절기구, 공조시스템, 조명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장치에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모듈(200)은 베이스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케이스(210)는 어퍼케이스(211)와, 어퍼케이스(211)의 아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로어케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5)이 베이스케이스(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모듈(100)은 베이스모듈(200)과 유선통신(시리얼통신) 또는 무선통신(블루트스, 와이파이, NFC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조작모듈(1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베이스모듈(200)에 연결된 도어래치메커니즘, 아웃사이드미러 조절기구, 시트 조절기구, 공조시스템, 조명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장치의 작동 및 기능들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모듈(100)은 자력의 가변에 의해 베이스모듈(200)에 대해 분리 및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모듈(100)은 조작케이스(110)와, 조작케이스(110)의 외면에 장착된 그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케이스(110)는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가진 홀더(111)와, 홀더(111)의 아래에 배치된 로어커버(112)와, 홀더(111)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바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조작바디(113)는 그 중심을 따라 연장된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5)이 조작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15)은 로어커버(112)의 캐비티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립(130)은 조작바디(113)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립(130)은 러버 등과 같이 변형이 용이하고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한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가 원통형상일 경우, 그립(130)은 조작바디(1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일 수 있으며, 그립(130)은 조작바디(11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베이스모듈(200) 및 조작모듈(100) 사이에서 자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된 자력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력기구(300)가 조작모듈(100) 및 베이스모듈(200) 사이에서 자기인력(magnetic attraction)을 발생함으로써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력기구(300)가 조작모듈(100) 및 베이스모듈(200) 사이에서 자기척력(magnetic repulsion)을 발생함으로써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력기구(300)는 조작모듈(100)에 제공된 조작측 자성유닛(310)과, 베이스모듈(200)에 제공된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기구(300)는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자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측 자성유닛(310)은 조작모듈(100)의 홀더(111)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은 베이스모듈(200)의 베이스케이스(2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측 자성유닛(310)은 영구자석(311)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은 영구자석(321) 및 전자석(32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측 자성유닛(310)의 영구자석(311)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의 영구자석(321)은 그 사이에서 인력이 항상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석(322)은 전류의 흐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그 극성이 바뀔 수 있고, 이에 전자석(322)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조작측 자성유닛(310)의 영구자석(311)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의 전자석(322)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측 자성유닛(310)은 영구자석(313)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은 전자석(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323)은 전류의 흐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그 극성이 바뀔 수 있고, 이에 전자석(323)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조작측 자성유닛(310)의 영구자석(313)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의 전자석(323)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측 자성유닛(310)은 전자석(315)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은 영구자석(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315)은 전류의 흐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그 극성이 바뀔 수 있고, 이에 전자석(315)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조작측 자성유닛(310)의 전자석(315)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의 영구자석(325)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자력기구(300)는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크기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자력의 크기에 따라 조작모듈(100)은 베이스모듈(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자력은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인력과,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척력과, 조작모듈(100)의 자중을 합한 것이다.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자력이 설정된 기준자력(조작모듈이 베이스모듈에 충분히 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인력) 이상일 때, 조작측 자성유닛(310)과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충분한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고, 이에 조작모듈(100)은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할 수 있다.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된 자력이 상술한 기준자력 미만일 때, 조작모듈(100) 및 베이스모듈(200) 사이에서 자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척력이 작용하므로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립력 센싱유닛(500)이 그립(130)의 내면 및 조작케이스(110)의 외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그립력 센싱유닛(500)은 그립(130)에 가해지는 그립력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력 센싱유닛(500)은 그립(130)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130)에 인가된 그립력이 그립력 센싱유닛(500)에 의해 설정치 이상인 것으로 센싱될 때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분리가능한 분리조건이고, 자력기구(300)는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및 조작측 자성유닛(310) 사이에서 자기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130)에 인가되는 그립력이 그립력 센싱유닛(500)에 의해 설정치 미만인 것으로 센싱될 때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하는 부착조건이고, 자력기구(300)는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및 조작측 자성유닛(310) 사이에서 자기인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력 센싱유닛(500)은 조작케이스(110)의 외면에 부착된 내측도전층(501)과, 그립(130)의 내면에 부착된 외측도전층(5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130)에 인가되는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그립(130)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외측도전층(502)은 내측도전층(501)과 접촉하거나 내측도전층(501)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130)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일 때 외측도전층(502)은 내측도전층(501)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전기적 접점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립(130)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미만일 때 외측도전층(502)은 내측도전층(50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전기적 접점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내측도전층(501)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바디(113)는 그 외면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부(118)를 포함할 수 있고, 홈부(118)는 조작바디(1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도전층(501)은 조작바디(113)의 홈부(11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도전층(501)이 조작케이스(110)의 외면에 제공된 홈부(118)에 수용됨에 따라 내측도전층(501)이 조작케이스(110)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뿐만 아니라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이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바디(113)는 그립(130)의 상측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측 스토퍼(121) 및 그립(130)의 하측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하측 스토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그립(130)은 조작바디(113)의 외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립력 센싱유닛(500)은 조작바디(113)의 홈부(118) 내에 부착된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은 와이어 등을 통해 조작모듈(100)의 인쇄회로기판(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작모듈(100)의 인쇄회로기판(115)은 그립력 센싱유닛(500)에 연결된 풀업저항(pull-up resistor)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은 그 두께가 얇고 유연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고, 이에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의 내면은 조작바디(113)의 외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내측도전층(501)은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의 외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도전층(501)은 패터닝공정 등을 통해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내측도전층(501)은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에 단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립(130)은 조작케이스(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면 및 조작케이스(110)의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립(130)은 그 내면에 제공된 접촉면(137, 139)들과 함몰면(138)을 가질 수 있다. 접촉면(137, 139)들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함몰면(138)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함몰면(138)은 그립(130)의 내면으로부터 그립(130)의 외면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함몰면(138)은 그립(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접촉면(137, 139)들은 조작바디(113)의 외면에 부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접촉면(137, 139)들은 함몰면(138)의 상측가장자리에 연결된 상측 접촉면(137)과, 함몰면(138)의 하측가장자리에 연결된 하측 접촉면(139)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면(138)의 상측가장자리는 상측 경사면(138a)을 통해 상측 접촉면(137)에 연결될 수 있고, 함몰면(188)의 하측가장자리는 하측 경사면(138b)을 통해 하측 접촉면(13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130)은 함몰면(138)의 상측가장자리 및 하측가장자리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측 접촉면(137) 및 하측 접촉면(139)을 가짐으로써 그립(130)의 탄성적인 변형 시에 함몰면(138)이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에 가까워지거나 이격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립(130)은 함몰면(138)의 주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135, 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135, 136)는 외측도전층(502) 및 내측도전층(50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그립(130)의 내면으로부터 조작바디(113)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탄성돌기(135, 136)는 그립(130)에 인가되는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립력이 제거될 때 복원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 탄성돌기(135)가 상측 경사면(138a)으로부터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를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할 수 있고, 하측 탄성돌기(136)가 하측 경사면(138b)으로부터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를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할 수 있다. 그립력이 그립(130)에 인가되지 않거나 제1그립력(F1)이 그립(130)에 인가될 때, 상측 탄성돌기(135) 및 하측 탄성돌기(136)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립력이 그립(130)에 인가되지 않거나 제1그립력(F1)이 그립(130)에 인가될 때, 외측도전층(502)은 내측도전층(501)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제1그립력(F1)은 조작모듈(100)의 조작바디(113)가 조작될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인가되는 그립력으로, 설정치 미만인 그립력일 수 있다. 여기서, 설정치는 그립(130)의 일부 및 탄성돌기(135, 136)들이 충분히 변형되고 외측도전층(502)이 내측도전층(501)과 접촉할 수 있는 설정된 그립력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그립력(F2)이 그립(130)에 인가될 때, 그립(130)이 제2그립력(F2)에 의해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를 향해 눌려짐으로써 상측 탄성돌기(135) 및 하측 탄성돌기(136)는 그 길이가 감소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측도전층(502)이 내측도전층(50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그립력(F2)은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분리되도록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인가되는 그립력으로, 설정치 이상인 그립력일 수 있다. 특히, 제2그립력(F2)은 제1그립력(F1) 보다 큰 그립력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측도전층(502)은 그립(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밴드 형상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내측도전층(501)은 조작바디(1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내지 배열된 하나 이상의 도전부(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2개의 도전부(510, 520)가 전개된 것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내측도전층(501)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 상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도전부(510)와 제2도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제1도전부(510)는 조작바디(113)의 좌측 반원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도전부(520)는 조작바디(113)의 우측 반원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510)는 인쇄회로기판(115)의 제1스위치단자(6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신호패턴(511)과, 인쇄회로기판(115)의 제1그라운드단자(6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그라운드패턴(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신호패턴(511)은 인쇄회로기판(115)의 제1스위치단자(6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근위단(511a, proximal end)과, 인쇄회로기판(511)의 제1스위치단자(611)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원위단(511b, distal en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신호패턴(511)은 외측도전층(502)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제1그라운드패턴(512)은 인쇄회로기판(115)의 제1그라운드단자(61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근위단(512a)과, 인쇄회로기판(115)의 제1그라운드단자(612)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원위단(51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그라운드패턴(512)은 제1신호패턴(511)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도록 “L”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그라운드패턴(512)은 제1신호패턴(511)의 지그재그 형상을 따라 연장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신호패턴(511)의 원위단(511b)은 제1그라운드패턴(512)의 원위단(512b)과 이격되어 있고, 이에 외측도전층(502)이 제1도전부(510)와 접촉하기 전에는 제1신호패턴(511) 및 제1그라운패턴(512)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외측 도전층(502)이 제1도전부(510)와 접촉할 때 제1신호패턴(511)은 외측도전층(502)을 통해 제1그라운드패턴(5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도전부(520)은 인쇄회로기판(115)의 제2스위치단자(6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신호패턴(521)과, 인쇄회로기판(115)의 제2그라운드단자(6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그라운드패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신호패턴(521)은 인쇄회로기판(115)의 제2스위치단자(6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근위단(521a)과, 인쇄회로기판(511)의 제2스위치단자(621)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원위단(52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신호패턴(521)은 외측도전층(502)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제2그라운드패턴(522)은 인쇄회로기판(115)의 제2그라운드단자(62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근위단(522a)과, 인쇄회로기판(115)의 제2그라운드단자(622)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원위단(52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그라운드패턴(522)은 제2신호패턴(521)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도록 “L”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그라운드패턴(522)은 제2신호패턴(521)의 지그재그 형상을 따라 연장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패턴(521)의 원위단(521b)은 제2그라운드패턴(522)의 원위단(522b)과 이격되어 있고, 이에 외측도전층(502)이 제2도전부(520)와 접촉하기 전에는 제2신호패턴(521) 및 제2그라운패턴(522)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외측 도전층(502)이 제2도전부(520)와 접촉할 때 제2신호패턴(521)은 외측도전층(502)을 통해 제2그라운드패턴(5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도전부(510) 및 제2도전부(520)은 서로 간에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도전층(501)은 조작케이스(110)의 조작바디(113)의 외면 상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도전부(510, 520)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그립(130)을 그립할 때, 그립(130)의 좌우 양측을 대칭적으로 균일하게 그립할 경우에 외측도전층(502)이 2개의 도전부(510, 520)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내측도전층(501)의 제1도전부(510) 및 제2도전부(520) 모두가 외측도전층(502)과 접촉할 경우에만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 및/또는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완전한 접점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 및/또는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는 완전한 접점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분리조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립(130)을 그립할 때, 그립(130)의 좌우 양측을 비대칭적으로 그립할 경우에는 외측도전층(502)이 2개의 도전부(510, 5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전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도전층(501)의 제1도전부(510) 및 제2도전부(5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전부만이 외측도전층(502)과 접촉할 경우에는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 및/또는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는 부분적인 접점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 및/또는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는 부분적인 접점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부착조건임을 결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작모듈(100)은 제1제어기(150), 배터리(151), 디스플레이(152), 복수의 센서(153, 154), 제1조명모듈(155), 제1통신모듈(156), 햅틱모듈(157), 제1무선충전모듈(158), 제1무선충전코일(159)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모듈(100)은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모듈(1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은 레귤레이터로부터 안정된 전압(전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배터리(151)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151)는 제1제어기(150)를 통해 디스플레이(152), 복수의 센서(153, 154), 제1조명모듈(155), 제1통신모듈(156) 및 햅틱모듈(15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는 조작모듈(100)의 조작바디(1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153, 15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조명모듈(155)은 조작모듈(100)의 특정 부분에 라이팅 표시를 할 수 있다.
제1통신모듈(156)은 조작모듈(100)의 입력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베이스모듈(2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햅틱모듈(157)은 조작모듈(100)의 터치 입력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진동의 크기 및 유지 시간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무선충전모듈(158) 및 제1무선충전코일(159)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제어기(150)는 제1무선충전모듈(158)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51)를 충전시키거나, 디스플레이(152), 복수의 센서(153, 154), 제1조명모듈(155), 제1통신모듈(156) 및 햅틱모듈(15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기(150)는 디스플레이(152) 및 복수의 센서(153, 254)로부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1통신모듈(156)을 통해 베이스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제어기(150)가 디스플레이(152) 및 제1조명모듈(155)을 제어함으로써 시각정보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제1제어기(150)가 햅틱모듈(157)을 제어함으로써 촉각정보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 복수의 센서(153, 154), 제1조명모듈(155), 제1통신모듈(156), 및 햅틱모듈(157)은 조작케이스(110)의 홀더(111)의 캐비티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51), 제1무선충전모듈(158), 및 제1무선충전코일(159)은 조작케이스(110)의 로어커버(112)의 캐비티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제어기(150)는 인쇄회로기판(115)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모듈(200)은 제2제어기(250), 레귤레이터(251), 기능스위치(252), CAN 통신모듈(253), 제2조명모듈(254), 제2통신모듈(255), 제2무선충전모듈(256), 제2무선충전코일(257), 및 복수의 포트(261, 262, 263, 264)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251)는 기설정된 레벨의 안정된 전압을 기능스위치(252), CAN 통신모듈(253), 제2조명모듈(254), 제2통신모듈(255), 제2무선충전모듈(256), 및 제2제어기(25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기능스위치(252)는 차량에 배치된 장치들의 제어에 필요한 스위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CAN 통신모듈(253)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전자장치들과 데이터, 정보 및 신호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2조명모듈(254)은 베이스모듈(200)의 특정 부분을 밝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조명모듈(224)은 베이스모듈(200)의 베이스케이스(210)의 상면에서 조작모듈(100)이 부착되는 위치를 밝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통신모듈(255)은 조작모듈(100)의 제1통신모듈(156)과 데이터, 정보 및 신호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고, 시리얼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2무선충전모듈(256) 및 제2무선충전코일(257)은 제2제어기(350)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제2제어기(250)는 기능스위치(252)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입력 및 CAN 통신모듈(253)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내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신호를 조작모듈(100)에 전달하거나, 기능스위치(252)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입력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조작모듈(100) 조작에 따른 정보를 차량 내부 전자 장치들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 및 신호 등을 CAN 통신모듈(253)을 통해 차량의 내부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제어기(250)는 인쇄회로기판(215)에 제공될 수 있다.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근접하거나 부착되면(즉, 베이스모듈(200)과 조작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이면) 제2제어기(250)는 제2무선충전모듈(256)을 제어함으로써 자기장이 제2무선충전코일(257)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261, 262, 263, 264)는 전원 단자(261, B+), 시동 확인 정보 수신 단자(262, IG), CAN 통신단자(263, CAN) 및 접지단자(264, 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포트(261, 262, 263 및 264) 중 일부는 레귤레이터(251), 기능스위치(252), CAN 통신모듈(253), 제2조명모듈(254), 제2통신모듈(255) 및 제2무선충전모듈(256)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분리가능한 분리조건 및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하는 부착조건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의 그립력 센싱유닛(500)로부터 수신받은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분리조건 및 부착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그립력이 그립(130)에 인가되지 않거나 설정치 미만인 제1그립력(F1)이 그립(130)에 인가될 때, 그립(130)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음으로써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이 이격되므로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contact signal)가 발생하지 않는다.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를 수신받지 못한다. 이와 같이,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를 수신받지 못할때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하는 부착조건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가 접점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 또한 접점신호를 수신받지 못한다. 이에 제1제어기(150) 및/또는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부착됨을 유지하는 부착조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설정치 이상인 제2그립력(F2)이 그립(130)에 인가될 때, 그립(130) 및 탄성돌기(135, 136)들이 충분히 변형됨으로써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이 서로 접촉할 수 있고,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접점신호는 보조 인쇄회로기판(50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15)에 전달될 수 있고,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접점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로부터 분리가능한 분리조건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수신된 접점신호를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로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150) 및/또는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분리가능한 분리조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와 같이, 외측도전층(502)이 2개의 도전부(510, 520)와 함께 접촉할 때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내측도전층(501) 및 외측도전층(502) 사이의 완전한 접점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조작모듈(100)의 제1제어기(150)는 수신된 완전한 접점신호를 베이스모듈(200)의 제2제어기(250)로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150) 및/또는 제2제어기(250)는 조작모듈(100)이 베이스모듈(200)에 분리가능한 분리조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제어기(150) 및/또는 제2제어기(250)가 분리조건 및 부착조건을 판단함에 따라 자력기구(300)는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제어기(150) 및 제2제어기(250)가 분리조건을 판단할 경우, 자력기구(300)는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설정된 기준 자력 미만인 자기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제1제어기(150) 및 제2제어기(250)가 부착조건을 판단할 경우, 자력기구(300)는 조작측 자성유닛(310) 및 베이스측 자성유닛(320) 사이에서 설정된 기준 자력 이상인 자기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작모듈 110: 조작케이스
111: 홀더 112: 로어커버
113: 조작바디 130: 그립
200: 베이스모듈 210: 베이스케이스
211: 어퍼 케이스 222: 로어 케이스
300: 자력기구 310: 조작측 자성유닛
320: 베이스측 자석유닛 500: 그립력 센싱유닛
501: 내측도전층 502: 외측도전층
503: 보조 인쇄회로기판 510: 제1도전부
520: 제2도전부

Claims (12)

  1. 베이스케이스를 포함한 베이스모듈;
    조작케이스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된 그립을 포함한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제공된 베이스측 자성유닛과, 상기 조작모듈에 제공된 조작측 자성유닛을 포함한 자력기구; 및
    상기 조작케이스 및 상기 그립 사이에 제공된 그립력 센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에 의해 센싱된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가변하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이상일 때,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자기척력을 발생하고,
    상기 자력기구는 상기 그립에 인가된 그립력이 설정치 미만일 때, 상기 베이스측 자성유닛 및 상기 조작측 자성유닛 사이에서 자기인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그립의 내면 및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그립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스위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된 내측도전층과, 상기 그립의 내면에 부착된 외측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에 인가되는 그립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외측도전층은 내측도전층과 접촉하거나 내측도전층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케이스는 그 외면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함몰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홈부 내에 수용된 스위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립력 센싱유닛은 상기 홈부 내에 부착된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조작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스위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스위치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그 내면에 제공된 함몰면을 가지고, 상기 함몰면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오프셋되며, 상기 외측도전층이 상기 함몰면에 부착된 스위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과 접촉하는 접촉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들은 상기 함몰면의 상측가장자리에 연결된 상측 접촉면과, 상기 함몰면의 하측가장자리에 연결된 하측 접촉면을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함몰면의 주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는 상기 그립의 내면으로부터 조작바디를 향해 돌출한 스위치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도전층은 상기 조작케이스의 외면 상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제1도전부 및 제2도전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스위치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도전층은 상기 그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밴드 형상인 스위치장치.
KR1020210136076A 2021-10-13 2021-10-13 스위치장치 KR20230052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076A KR20230052718A (ko) 2021-10-13 2021-10-13 스위치장치
US17/826,558 US11776724B2 (en) 2021-10-13 2022-05-27 Switch apparatus
DE102022205696.5A DE102022205696A1 (de) 2021-10-13 2022-06-03 Schaltvorrichtung
CN202210691920.7A CN115959055A (zh) 2021-10-13 2022-06-17 开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076A KR20230052718A (ko) 2021-10-13 2021-10-13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718A true KR20230052718A (ko) 2023-04-20

Family

ID=8570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076A KR20230052718A (ko) 2021-10-13 2021-10-13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6724B2 (ko)
KR (1) KR20230052718A (ko)
CN (1) CN115959055A (ko)
DE (1) DE1020222056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236B1 (en) * 1998-08-19 2004-11-02 Fisher & Paykel Limite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KR101320615B1 (ko) 2011-11-08 2013-10-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인력의 조정이 가능한 창문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7323B1 (ko) 2012-11-09 201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573583B1 (ko) 2013-12-18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US9442527B2 (en) * 2014-02-20 2016-09-13 Audi Ag Docking and undocking mechanism for remote devices
WO2015147885A1 (en) 2014-03-28 2015-10-01 Intel Corporation Adjustment of magnetic force in a computing device
KR20160063614A (ko) 2014-11-27 2016-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KR20160139729A (ko) 2015-05-28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7200860B2 (ja) 2019-07-04 2023-01-10 Tdk株式会社 圧力検出器および水深計
KR20220097696A (ko) 2020-12-30 2022-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터리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0130A1 (en) 2023-04-13
US11776724B2 (en) 2023-10-03
DE102022205696A1 (de) 2023-04-13
CN115959055A (zh)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5956A2 (en) Manual input device using a motor as an actuator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its manual control knob
US11840177B1 (en) System for holding devices
US6839050B2 (en) Tactile interface device
KR100533452B1 (ko)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
EP2095991B1 (en) Electric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seat
US6448670B1 (en) Signal input device
CN110461655A (zh) 用于车辆的转动调节器
JP5644848B2 (ja) 車両用入力装置
EP3752382B1 (en) A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JP5650295B1 (ja) 操作装置
KR20230052718A (ko) 스위치장치
KR100947729B1 (ko)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시스템
US20220209772A1 (en) Rotary switch device for vehicle
CN115412088A (zh) 盖式触摸开关结构
CN220420062U (zh) 操控设备以及整车控制系统
US20160009178A1 (en) Disassociated articulating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KR101093970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KR101489254B1 (ko) 차량용 정전식 터치 스위치 장치
EP2332788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equipment with prime mover
US20180257539A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JP2002178855A (ja) 設備制御装置
KR101171454B1 (ko) 복합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차량 엔진 시동 제어 방법
EP38351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battery of seat
KR20230052727A (ko) 스위치장치
KR20220123575A (ko) 사용자 제어 시스템 및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