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583B1 -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 Google Patents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583B1
KR101573583B1 KR1020130158475A KR20130158475A KR101573583B1 KR 101573583 B1 KR101573583 B1 KR 101573583B1 KR 1020130158475 A KR1020130158475 A KR 1020130158475A KR 20130158475 A KR20130158475 A KR 20130158475A KR 101573583 B1 KR101573583 B1 KR 10157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ound wave
sound
cover
wav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436A (ko
Inventor
사성진
이희승
박성민
오광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하우징(100)과; 상기 스위치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며, 전후좌우 버튼(111)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좌우 버튼(111) 가압 시 음파를 생성하는 이동스위치(11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0) 외주면에 장착되는 음파발생모듈(120)과; 상기 음파발생모듈(120)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130)와; 일단은 상기 커버(13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음파발생모듈(120)에 접촉하여 상기 커버(130) 회전 시 음파를 생성하는 롤스위치(140)로 구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하나의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음파를 통해 차량의 각종 편의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 실내에 스위치 장착 공간을 줄여 실내의 외관미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Multi switch for generating acoustic}
본 발명은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편의장치 사용을 위한 여러 가지 스위치를 단일화시키는 동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여러 종류의 편의장치 사용을 위한 스위치가 다수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직접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메뉴에 해당하는 특정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자동차 내의 편의장치가 증가하게 되면서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가 증가하고 있어 주행 조작 시 주의가 분산되고, 디자인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편의장치 사용을 위한 여러 가지 스위치를 단일화시키는 동시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전후좌우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좌우 버튼 가압 시 음파를 생성하는 이동스위치와; 상기 스위치하우징 외주면에 장착되는 음파발생모듈과; 상기 음파발생모듈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음파발생모듈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회전 시 음파를 생성하는 롤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이동스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위치 하방 가압 시 음파를 생성하는 푸시스위치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마그네틱베이스가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상기 마그네틱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스위치, 롤스위치 및 푸시스위치에서 생성된 음파를 인식 및 제어하는 음파센서모듈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파센서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착탈신호 및 상기 음파센서모듈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자기장센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하나의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음파를 통해 차량의 각종 편의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 실내에 스위치 장착 공간을 줄여 실내의 외관미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서 이동스위치의 음파 생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서 롤스위치의 음파 생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의 구조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음파를 생성하는 이동스위치(110) 및 롤스위치와, 스위치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음파발생모듈(120), 음파발생모듈(120)에 구비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스위치(110)는 스위치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파를 생성한다.
이때, 이동스위치(110)는 상면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버튼(111)이 구비되어 버튼(111) 가압 시 음파를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스위치(110)를 통해 음파가 발생되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위치(110)가 상부에 구비되고, 외력 발생 시 이동스위치(110)가 눌려지면서 이동스위치(110)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는 음파감지부(112)가 이동스위치(110)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스위치(110)와 음파감지부(112)의 접촉으로 인해 음파가 발생이 가능하게 한다.
음파발생모듈(120)은 스위치하우징(100) 외주면에 장착되어 후술하게 될 롤스위치(140) 작동으로 인한 음파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커버(130)는 음파발생모듈(120) 외주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스위치(140)는 음파발생모듈(120)와 커버(1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음파발생모듈(12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커버(1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커버(130) 회전 시 음파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롤스위치(140)를 통해 음파가 발생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스위치(140)가 일단에 구비되고, 커버(130)가 회전하게 되면 커버(130)에 고정된 롤스위치(140)가 회전하게 되면서 음파발생모듈(120)과의 접촉을 통해 음파가 발생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롤스위치(140)와 커버(130)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스위치(110) 하부에는 푸시스위치(150)가 구비되도록 하여 커버(130)를 회전이 아닌 하방으로 누를 경우 롤스위치(1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음파감지부(미도시)를 가압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스위치(110)와, 롤스위치(140)와, 푸시스위치(150) 일단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가압에 의한 이동 후 외력 소멸 시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인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는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 등에 장착되어 각각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센터콘솔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센터콘솔을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센터페시아를 조작할 수 있게 하며, 시트커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시트커버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 등에 마그네틱베이스(200, 도 5 참조)가 구비되도록 하여 본 발명인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의 스위치하우징(1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는 음파센서모듈(210)이 구비되어 본 발명인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에서 음파를 생성하는 이동스위치(110), 롤스위치(140) 및 푸시스위치(150)에서 생성된 음파를 인식 및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음파센서모듈(210)은 차량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제어부)와 연동되어 이동스위치(110), 롤스위치(140) 및 푸시스위치(150)에서 발생된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게 하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이동스위치(110), 롤스위치(140) 및 푸시스위치(150)의 음파 패턴을 분석하여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파센서모듈(210)과 연동되어 스위치하우징(100)의 착탈신호 및 음파센서모듈(210)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자기장센서(220)가 구비되도록 하여 본 발명인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의 스위치하우징(100)이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제대로 부착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제대로 부착된 후에는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스위치하우징(100)을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 등과 같은 편의장치 중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에 부착하고 스위치 작동을 실시하게 되면 음파를 발생시켜 차량의 편의장치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 실내에 스위치 장착 공간을 줄여 실내의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위치하우징 110 : 이동스위치
111 : 버튼 112 : 음파감지부
120 : 음파발생모듈 130 : 커버
140 : 롤스위치 150 : 푸시스위치
200 : 마그네틱베이스 210 : 음파센서모듈
220 : 자기장센서

Claims (5)

  1.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전후좌우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좌우 버튼 가압 시 음파를 생성하는 이동스위치와;
    상기 스위치하우징 외주면에 장착되는 음파발생모듈과;
    상기 음파발생모듈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음파발생모듈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회전 시 음파를 생성하는 롤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스위치 하부에 음파감지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력 발생 시 상기 이동스위치가 눌려지면서 상기 이동스위치와 상기 음파감지부의 접촉으로 음파 생성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이동스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위치 하방 가압 시 음파를 생성하는 푸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마그네틱베이스가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상기 마그네틱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터콘솔, 센터페시아 및 시트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스위치, 롤스위치 및 푸시스위치에서 생성된 음파를 인식 및 제어하는 음파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파센서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착탈신호 및 상기 음파센서모듈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자기장센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KR1020130158475A 2013-12-18 2013-12-18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KR10157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75A KR101573583B1 (ko) 2013-12-18 2013-12-18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75A KR101573583B1 (ko) 2013-12-18 2013-12-18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36A KR20150071436A (ko) 2015-06-26
KR101573583B1 true KR101573583B1 (ko) 2015-12-01

Family

ID=5351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75A KR101573583B1 (ko) 2013-12-18 2013-12-18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6724B2 (en) 2021-10-13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Switch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88B1 (ko) * 2015-08-31 2017-03-17 성진경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569A (ja) * 2003-11-27 2005-06-16 Polymatech Co Ltd スイッ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569A (ja) * 2003-11-27 2005-06-16 Polymatech Co Ltd スイッ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6724B2 (en) 2021-10-13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Switch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36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9956A (zh) 带有改善的触觉回馈的操作装置
CN102789314B (zh) 提供局部触觉反馈的线性振动器
US10543427B2 (en) Game controller function remapping via external accessory
JP2012035782A (ja) 車載装置
JP2016527600A (ja) 多次元トラックパッド
CN105637447A (zh) 用于将触觉能量直接传送到触摸表面的装置和方法
WO2005073834A3 (en) Touch screens
WO2007124955A3 (de) Haptische eingabeeinrichtung
JP6833835B2 (ja) タクト・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CN105359240A (zh) 切换操作装置
KR101573583B1 (ko)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JP2015165474A (ja) スイッチ装置及び入力装置
US10336361B2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circuit
KR102662152B1 (ko)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JP2003272463A (ja) スイッチ装置
JP2013171377A (ja) 入力装置
JP2010049316A (ja) 入力装置
KR101541926B1 (ko) 복수의 진동 소자를 이용하는 햅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JP2013105499A (ja) 自動車用多機能システムの制御デバイス
WO2016079857A1 (ja) 入力機器
EP2214080A3 (en) Method and device of input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dome switches and pressure sensors
KR20090127584A (ko) 회전식 입력장치
WO2009082527A1 (en) User input device with expanded functionality
CN206209605U (zh) 便于操控的飞梭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