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588B1 -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 Google Patents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588B1
KR101717588B1 KR1020150122323A KR20150122323A KR101717588B1 KR 101717588 B1 KR101717588 B1 KR 101717588B1 KR 1020150122323 A KR1020150122323 A KR 1020150122323A KR 20150122323 A KR20150122323 A KR 20150122323A KR 101717588 B1 KR101717588 B1 KR 10171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ound
forming portion
identif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610A (ko
Inventor
성진경
김영석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성진경
김영석
조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경, 김영석, 조인수 filed Critical 성진경
Priority to KR102015012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는 패턴을 기계적으로 마찰시켜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 물품을 식별한다. 발생되는 소리는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를 바꿔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부와 마찰부가 동일한 위치에서 마찰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소리를 낼 수 있으며, 동일한 패턴에서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다.

Description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Identifier using sound and identifier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리를 이용하여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턴을 마찰시켜 발생되는 소리로 물품을 식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식별자(identifier)는 물건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그 물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전원 코드에 식별자를 붙여 어느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코드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통상적으로 시각을 통해 인식하고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색이나 문자가 식별을 위한 표시로 사용된다. 그러나 시각으로만 인식하는 경우에는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 어려우며,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자가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식별을 위한 표시로 점자를 사용하는데, 점자를 학습하지 못한 시각장애인은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식별자의 경우 전자적인 소리를 이용해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기에 노출되어 위험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가 많아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9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소리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패턴은 항상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는 본체부, 패턴부, 마찰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를 구비한다.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는 서로 대향한다. 패턴부는 제1 형성부의 내면에 부착되며 패턴이 형성된다. 마찰부는 제2 형성부의 내면에 부착되며, 패턴부와 마찰되는 경우 소리를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에서 본체부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를 연결한다. 연결부는 제1 형성부 및 제2 형성부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는 제1 형성부 및 제2 형성부의 외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패턴부와 마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세트는 복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식별자는 동일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를 구비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패턴부와 마찰부가 서로 마찰되어 발생되는 소리로 식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찰음은 전기적 신호가 아니므로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패턴부에 형성된 패턴을 바꿈으로써 발생되는 소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를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데, 연결부가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탄성에 의해 패턴부와 마찰부의 위치가 쉽게 변하기 않는다. 또한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의 외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찰시 동일한 위치를 잡고 마찰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 동일한 패턴에서는 동일한 소리가 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 세트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내는 식별자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1000)는 본체부(1100), 패턴부(1200), 마찰부(1300)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구비한다.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는 판 형상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는 연결부(1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패턴부(1200)는 제1 형성부(1110)의 내면에 부착된다. 패턴부(1200)에는 패턴이 형성된다. 마찰부(1300)는 제2 형성부(1120)의 내면에 부착된다.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된다면, 부착되는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마찰부(1300)와 패턴부(1200)가 서로 마찰되면 소리가 난다. 즉, 마찰부(1300)가 악기의 활과 같은 역할을 하여 마찰부(1300)가 패턴부(1200)를 문질러 소리가 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을 잡고 문지르면, 마찰부(1300)와 패턴부(1200)가 서로 마찰하게 되어 소리가 발생되고, 이 소리를 통해 사용자는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마찰할 때 발생되는 소리는 패턴의 형상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의 형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마찰부(1300)는 문지르는 역할만 하므로, 패턴의 형태에 따라 마찰부(1300)의 형태가 달라질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별자(1000)는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마찰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으며, 고장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의 재질을 바꿔 다양한 소리를 만들 수 있다.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의 재질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패턴부(1200)에 동일한 패턴이 형성되면, 항상 동일한 소리를 발생시켜야 하는데, 사용자가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을 잡을 때 어느 부분을 잡는지에 따라,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가 접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1000)는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에 각각 홈(1111, 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형성부(1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111)은 패턴부(1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121)은 마찰부(1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홈(1111, 1121)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홈(1111, 1121)을 잡고 마찰시키게 되므로,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가 정확하게 마찰이 되며,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마찰이 되므로 동일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홈(1111, 1121)에는 색표시 영역(1112, 1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색표시 역영(1112, 1122)는 홈(1111, 1121)의 경사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표시 영역(1112, 1122)에는 색이 칠해져 있다.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은 소리를 이용해서 식별을 할 수도 있지만, 색표시 영역(1112, 1122)에 표시된 색을 이용해서 식별할 수도 있다. 색표시 영역(1112, 1122)이 홈(1111, 1121)에 형성되면, 외부와 접촉이 적어져 색이 더 오래갈 수 있다.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130)는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1130)는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130)가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면,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마찰시키고자 할 때, 패턴부(1200)와 마찰부(1300)가 정확하게 만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연결부(1130)는 실리콘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1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연결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식별자(100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리 형태란 원통 형상에서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연결부(1130)가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전선, 와이어(wire), 로프(rope) 등에 끼워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부분의 탄성으로 인해 고리가 끼우고자 하는 부분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쉽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 세트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 세트(A)는 복수의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A-1, A-2)를 포함한다. 식별자 세트(A)에 포함된 식별자(A-1, A-2)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식별자(A-1)는 멀티탭(100)에 꽂힌 코드에 가깝게 부착되고, 다른 식별자(A-2)는 가전제품(200)에 가깝게 부착된다.
하나의 식별자 세트(A)에 포함된 식별자(A-1, A-2)는 패턴부에 형성된 패턴이 동일하여 패턴부와 마찰부를 문질러 마찰시킬 때 발생되는 소리가 동일하다. 사용자는 각각의 식별자(A-1, A-2)를 문질러보고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 어느 코드가 어느 가전제품(200)의 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식별자 1100 : 본체부
1110 : 제1 형성부 1111 : 홈
1120 : 제2 형성부 1121 : 홈
1130 : 연결부 1200: 패턴부
1300 : 마찰부

Claims (5)

  1. 서로 대향하는 제1 형성부(1110)와 제2 형성부(1120)를 구비하는 본체부(1100);
    상기 제1 형성부(1110)의 내면에 부착되며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1200); 및
    상기 제2 형성부(11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턴부(1200)와 마찰되는 경우 소리를 만드는 마찰부(1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성부(1110)와 상기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에 각각 홈(1111, 1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형성부(1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111)은 상기 패턴부(1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형성부(1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121)은 마찰부(1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홈(1111, 1121)에는 시각으로 식별이 가능하는 색표시 영역(1112, 1122)이 홈의 경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형성부와 상기 제2 형성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형성부 및 상기 제2 형성부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고리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별자를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식별자는 동일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를 구비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세트.
KR1020150122323A 2015-08-31 2015-08-31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KR10171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23A KR101717588B1 (ko) 2015-08-31 2015-08-31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23A KR101717588B1 (ko) 2015-08-31 2015-08-31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10A KR20170025610A (ko) 2017-03-08
KR101717588B1 true KR101717588B1 (ko) 2017-03-17

Family

ID=5840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323A KR101717588B1 (ko) 2015-08-31 2015-08-31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5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598B2 (ja) * 1998-06-29 2000-02-21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付き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及びメッセージ情報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556B2 (ja) * 1990-06-19 1997-08-1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ラバーコンタクトスイッチ
JP3012598U (ja) * 1994-12-16 1995-06-20 憲治 木下 打楽器を一体に有する手袋
JPWO2003063315A1 (ja) * 2002-01-18 2005-05-26 エヌ・ティ・ティ・アドバンステクノロジ株式会社 線状体用識別タグ、その取付器具および取付方法、コネクタ配設管理方法、コネクタ配設工具、コネクタ付き線状体、およびコネクタ受栓端子盤
KR200358997Y1 (ko) 2004-05-03 2004-08-21 김영기 전원코드 플러그 식별표
KR101573583B1 (ko) * 2013-12-18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파 발생 복합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598B2 (ja) * 1998-06-29 2000-02-21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付き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及びメッセージ情報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10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66319S (en) Interactive gaming device for a user
TR200402773T1 (tr) Tambur.
WO2015058166A3 (en) Measurement device for lighting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CA170088S (en) Base for multi-parameter sonde
CA113091S (en) Electric washing machine
WO200600216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ally achieving electrical continuity
CA173789S (en) Inverter
CA180586S (en) Pole scrubber
CN204044676U (zh) 可穿戴式设备
SG10201810473UA (en) A power monitoring apparatus, a method for power monitoring and a base station used with the aforementioned
CA171381S (en) Clothesline
AU201616330S (en) Tooth-whitening device
KR101717588B1 (ko)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CA175150S (en) Plastic container
USD831575S1 (en) Electrical connector
CA176747S (en) Injection device
CA176727S (en) Scrubber handle
KR200472880Y1 (ko) 커플용 휴대폰 케이스
TW200726305A (en) Conductive heating device
CA107835S (en) Hair brush
KR101509350B1 (ko) 간편한 고정수단을 갖는 배지
CN207530165U (zh) 一种电线插头
CA107834S (en) Hair brush
GB2406975A (en) Glass base stand for a cordless electric kettle
CA189014S (en) Casing for an electrical current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