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235A -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 - Google Patents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235A
KR20230052235A KR1020220129708A KR20220129708A KR20230052235A KR 20230052235 A KR20230052235 A KR 20230052235A KR 1020220129708 A KR1020220129708 A KR 1020220129708A KR 20220129708 A KR20220129708 A KR 20220129708A KR 20230052235 A KR20230052235 A KR 2023005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ly conductive
conductive filler
conductive plastic
modif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강성권
양우형
Original Assignee
삼보계량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계량시스템(주) filed Critical 삼보계량시스템(주)
Publication of KR2023005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282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aluminium
    • C08K2003/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 비율로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e plastic}
본 발명은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전기, 전자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생산성 향상 및 경량화, 소형화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금속부품과 대비하여 낮은 발열성능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플라스틱의 열전도성 향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며, 생산단가가 낮으면서도 열안정성, 충격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제품, 자동차, 조명, 의료기기, 산업기계 등 다양한 장비의 방열 및 열전도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나일론6, 나일론 66, 폴리바코네이트, 폴리올레핀, ABS수지 등과 같은 수지가 이용되고 있으며,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 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물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탄소계 물질은 현저히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방열소재가 적용되는 전자제품 등의 경량화 요구에 부응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소계 필러는 축방향 또는 면방향의 열전도율은 매우 높지만 그 직교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문제점이 있어, 필러의 배향성을 제어하여 복합재를 제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탄소계 필러는 방열소재 100 g 당 0.3 g 이상만 포함되더라도, 투명성을 구현하지 못하고 흑색 또는 회색을 띠어 방열소재를 원하는 색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원하는 색상으로 구현하고자 도색 등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생산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표면 열전도도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자유로운 제품 설계가 가능하며, 도색 등의 후처리를 필요하지 않는 방열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204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5021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70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로운 색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방열 성능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열전도성 필러의 투입량 대비 방열 성능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파 차폐 효율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제 1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질화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무수말레익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제 1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2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의 평균입경이 제 1 열전도성 필러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열전도도가 3.5 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130 중량부의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45 중량부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 비율로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열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자유로운 색 구현이 가능하며, 방열 성능이 우수하고, 절연성 및 전자기파 차폐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펠렛화 가공하여 이를 육안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압출을 통해 가공한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술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흑색 또는 회색을 띠는 탄소계 필러의 단점을 해소하여 자유로운 색상 구현이 가능하며, 열전도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제 1 열전도성 필러 및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질화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된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단독 필러 사용 대비 현저히 높은 효율로 열전도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좋게는,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는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2 내지 15 ㎛, 좋게는 3 내지 10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 좋게는 7 내지 2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의 평균입경이 제 1 열전도성 필러보다 높을 수 있다.
상술한 제 1 열전도성 필러 및 제 2 열전도성 필러 각각의 평균입경을 만족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 2 열전도성 필러를 이용함으로써 열전도성 플라스틱 내에서 분포를 고르게 하며, 효율적인 열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10 중량부, 좋게는 90 내지 105 중량부의 제 1 열전도성 필러, 상기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25, 좋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제 2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필러를 소량 포함할 경우 열전도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열전도성 필러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기계강도, 내부식성 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열전도성 필러 및 제 2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비가 상술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투입량 대비 열전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에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및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개질제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 개질제를 이용함으로써 단독 개질제를 이용하는 경우 대비 우수한 효율로 개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분산성 향상 효과 또한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티타늄계 개질제는 구체적으로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 neodecano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iris(dodecyl)benzenesulfon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hosph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yrophosph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2-ethylenediamino)ethylato; 및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3-amino)phenylato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르코늄계 개질제는 Zirconium(IV) tert-butoxide, Zirconium(IV) ethoxide 및 Zirconium(IV) propoxide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Zirconium(IV) tert-butoxide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 g/10min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용융지수가 낮은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용융지수가 높은 경우 기계강도가 저하되고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높은 기계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5 내지 50 g/10min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낮은 경우 성형성이 낮아지며, 용융지수가 높은 경우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45 중량부, 좋게는 33 내지 40 중량부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기계강도 향상 효과가 낮아질 수 있고,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열전도성 필러와 상용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무수말레익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수 말레익산을 더 포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균일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의 무수말레익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수말레익산을 소량 포함하는 경우 폴리머간 상용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무수말레익산을 다량 포함하는 경우 기계강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술한 조성을 만족함으로써 열전도도가 3.5 W/mK 이상, 좋게는 4.0 이상, 더욱 좋게는 4.5 내지 10 W/mK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굴곡강도가 40 MPa이상, 좋게는 42 MPa이상, 더욱 좋게는 45 MPa 이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열전도도가 현저히 높은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술한 수준의 열전도도 및 우수한 기계강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도도가 높으면서도 절연성이 우수하고,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하여, 열전도성 플라스틱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좋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전기비데, 정수기, LED 조명 및 방수용 생활가전 등의 다양한 가전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전자제품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의 제조
평균입경이 5 ㎛인 질화붕소(제 1 열전도성 필러)와 평균입경이 8 ㎛인 산화마그네슘(제 2 열전도성 필러)을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혼합입자를 제조하였다. 이와 별개로,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 neodecanoato-O(티타늄 개질제) 및 Zirconium(IV) tert-butoxide(지르코늄 개질제)를 1:0.2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개질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 개질제 5 g을 에탄올 : 아세톤이 8: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액 100 g에 침지하여 표면개질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표면개질제 용액 100 g 당 혼합입자 20 g을 침지하여 3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고형분을 분리하고 40 ℃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를 제조하였다.
2.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제조
용융지수가 18 g/10min인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함), 용융지수가 43.0 g/10min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하 ABS라 함),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및 무수말레익산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블렌드 한 뒤, 압출기에 주입하여 용융압출을 통해 두께 10 ㎜로 압출하여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9]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조성을 달리하여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BN MgO PP ABS 무수말레익산
1 97.5 15 100 37.5 2.5
2 100 14.5 100 40 3
3 98.5 16 100 34.5 2.8
4 75 15 100 37.5 2.5
5 120 15 100 37.5 2.5
6 97.5 3.5 100 37.5 2.5
7 109 3.5 100 37.5 2.5
8 97.5 15 100 28 2.5
9 97.5 15 100 48 2.5
[제조예 10 내지 14]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열전도성 필러의 과정에서 티타늄 개질제와 지르코늄 개질제의 중량비를 하기 표 2와 같이 달리하여 표면개질을 수행한 뒤, 이를 표 1의 제조예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티타늄 개질제 지르코늄 개질제
1 1 0.25
10 1 0.55
11 1 0.05
12 1.2 0.05
13 1.25 0
14 0 1.25
제조된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물성 확인
각 제조예에서 제조된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ASTM E 1530에 따라 열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ASTM D 790에 따라 굴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다.
제조예 열전도도(W/mK) 굴곡강도(MPa)
1 4.8 45
2 4.6 48
3 4.6 45
4 2.7 42
5 5.0 26
6 3.3 46
7 3.8 41
8 4.7 34
9 3.9 49
10 4.1 40
11 4.0 38
12 4.0 39
13 3.5 42
14 3.4 40
표 3을 참고하면,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열전도성 플라스틱이 4.5 W/mK 이상의 열전도도 및 45 MPa 이상의 굴곡강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제조예 1과 같이 질화붕소를 소량 포함하거나, 제조예 6과 같이 산화마그네슘을 소량 포함하는 경우 열전도도 저하를 유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조예 7과 같이 마그네슘을 소량 첨가하는 대신 동량의 질화붕소를 첨가한다 하더라도, 45 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나타내기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5와 같이 질화붕소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 열전도도가 일부 향상되나, 굴곡강도와 같은 기계강도 저하가 발생한다. 제조예 8과 같이 ABS 수지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에도 기계강도 저하가 발생하며, ABS 수지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상용성 저하로 인하여 열전도도 저하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0 내지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티타늄과 지르코늄의 혼합비율이 달라짐에 따라 개질 효율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예 10 내지 14의 경우 개질 효율 저하로 열전도성 필러의 분산성 저하를 유발하며, 이로 인하여 열전도도 및 굴곡강도가 일정 수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열전도성 필러는 티타늄계 개질제 : 지르코늄계 개질제를 1:0.1 내지 0.4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질화붕소를 포함하는 제 1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질화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무수말레익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2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전도성 필러의 평균입경이 제 1 열전도성 필러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열전도도가 3.5 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130 중량부의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플라스틱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45 중량부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플라스틱.
KR1020220129708A 2021-10-12 2022-10-11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 KR20230052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5285 2021-10-12
KR1020210135285 2021-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35A true KR20230052235A (ko) 2023-04-19

Family

ID=8614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708A KR20230052235A (ko) 2021-10-12 2022-10-11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2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172A (ja) 2001-08-31 2005-01-20 クール オプ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熱伝導性ランプ・リフレクタ
KR101387086B1 (ko) 2013-06-05 2014-04-18 (주)창림이엔지 절연-방열 마스터 배치 및 절연-방열체
JP2016204653A (ja) 2015-04-20 2016-12-08 三菱化学株式会社 熱伝導性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172A (ja) 2001-08-31 2005-01-20 クール オプ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熱伝導性ランプ・リフレクタ
KR101387086B1 (ko) 2013-06-05 2014-04-18 (주)창림이엔지 절연-방열 마스터 배치 및 절연-방열체
JP2016204653A (ja) 2015-04-20 2016-12-08 三菱化学株式会社 熱伝導性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760B1 (ko)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CN108250747B (zh) 一种热塑性聚醚酰亚胺绝缘导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559145A (zh) 一种高韧性高导热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79952A (ko)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67820A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KR20200071900A (ko)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5848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JP2009155359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
KR101355026B1 (ko) 성형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75291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KR101581499B1 (ko) 고분자 수지용 방열재, 방열 수지 조성물, 플라스틱 방열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2235A (ko) 방열 및 절연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플라스틱
KR20140080115A (ko)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열전도도의 이방성이 감소된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112929A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기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803368B (zh) 聚芳硫醚树脂组合物的毛边抑制方法
CN115850963A (zh) 一种pa66材料及其制备方法、电气设备
KR20160063537A (ko) 팽창 흑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CN115135722A (zh) 聚芳硫醚树脂组合物
JP3075796B2 (ja) 高誘電性樹脂組成物
KR20160083580A (ko)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CN111234452A (zh) 一种绝缘导热酚醛模塑料
CN109929205A (zh) 一种电机外壳用的高导热丙烯腈-苯乙烯-聚苯硫醚共聚物及其制备方法
JP4952192B2 (ja)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KR102709260B1 (ko) 폴리아마이드계 내충격성 방열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