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80A -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3580A KR20160083580A KR1020140195798A KR20140195798A KR20160083580A KR 20160083580 A KR20160083580 A KR 20160083580A KR 1020140195798 A KR1020140195798 A KR 1020140195798A KR 20140195798 A KR20140195798 A KR 20140195798A KR 20160083580 A KR20160083580 A KR 201600835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 expanded graphite
- graphite
- interlaminar
- resin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팽창흑연 및 상기 팽창흑연 제조 시 사용된 흑연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S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SEM 사진이다.
제조예 | |||
1 | 2 | 3 | |
탭 밀도(g/cm3) | 0.140 | 0.080 | 0.340 |
실시예 | 비교예 | |||
3 | 4 | 1 | 2 | |
비중 | 0.9 | 1.0 | 1.30 | 0.96 |
열전도도(두께 방향) | 7.1 | 4.5 | 4.1 | 4.0 |
열전도도(평면 방향) | 22.3 | 17.9 | 7.3 | 11.64 |
Claims (15)
- 하나 이상의 층간 접합 부위, 및 하나 이상의 층간 팽창 부위를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간 접합 부위는 층간 거리가 0.4 nm 이하이고, 상기 층간 팽창 부위의 최대 층간 거리는 30 내지 60 ㎛이며, 흑연면 방향의 평균 길이가 100 내지 450 ㎛인 팽창흑연; 및
상기 팽창흑연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흑연 및 상기 수지의 중량비(팽창흑연:수지)는 1 :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ASTM D1895에 의거하여 측정한 탭 밀도가 0.02 내지 0.8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흑연 말단에 카르복실기가 더욱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릴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팽창흑연의 공간(팽창 부위)이 남겨진 형태로 코팅되거나, 공간(팽창 부위)이 채워진 형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 팽창흑연 존재 하에 수지의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흑연은 하나 이상의 층간 접합 부위, 및 하나 이상의 층간 팽창 부위를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층간 접합 부위는 층간 거리가 0.4 nm 이하이고, 상기 층간 팽창 부위의 최대 층간 거리는 30 내지 60 ㎛이며, 흑연면 방향의 평균 길이가 100 내지 4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흑연을 질산 및 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산에 넣고 50 내지 150℃에서 가열한 후, 흑연의 pH가 0.1 내지 7이 되도록 수세하여 팽창성 흑연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팽창성 흑연을 180 내지 700℃에서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인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1 내지 1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수지 복합체는 상기 팽창흑연 및 상기 수지의 중량비(팽창흑연:수지)가 1 :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 열가소성 수지;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는 한 항에 따른 팽창흑연-수지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함량(팽창흑연 중량 기준)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내지 1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릴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ISO 22007-4 (Laser flash 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시편의 두께 방향 열전도도가 4.3 내지 7.5 W/mK이고, 평면 방향 열전도가 8 내지 25 W/m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2 방법으로 측정한 비중이 0.9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수지 복합체의 수지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비하여 연화 온도(softening temperature) 또는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가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5798A KR20160083580A (ko) | 2014-12-31 | 2014-12-31 |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5798A KR20160083580A (ko) | 2014-12-31 | 2014-12-31 |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580A true KR20160083580A (ko) | 2016-07-12 |
Family
ID=5650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5798A Ceased KR20160083580A (ko) | 2014-12-31 | 2014-12-31 |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358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328B1 (ko) * | 2019-10-17 | 2020-11-11 | 한국화학연구원 | 2액형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준불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81189B1 (ko) * | 2022-01-11 | 2022-12-26 |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
-
2014
- 2014-12-31 KR KR1020140195798A patent/KR20160083580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328B1 (ko) * | 2019-10-17 | 2020-11-11 | 한국화학연구원 | 2액형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준불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81189B1 (ko) * | 2022-01-11 | 2022-12-26 |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skaran et al. |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calcium carbonate nanocomposites | |
CN103980595B (zh) | 一种用于3d打印的改性超高分子量聚乙烯及其制备方法 | |
CN103992548B (zh) | 一种用于3d打印的改性低密度聚乙烯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JP7071235B2 (ja) | 多孔質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293828B1 (ko) | 우수한 내가수분해성과 레이저 투과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CN104011137A (zh) | 聚苯硫醚树脂组合物、其制造方法及反射板 | |
JP6018312B2 (ja) | 強度と耐水圧に優れた硬質ipvcパイプ樹脂組成物及び硬質ipvcパイプ | |
KR102695568B1 (ko) | 수지 조성물 | |
JP2022186597A (ja) | 低誘電損失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高周波機器用成形体及び高周波機器 | |
JP2007302822A (ja) |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 |
JP2008179752A (ja) | 樹脂組成物 | |
KR20160083580A (ko) | 팽창흑연-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
CN106117780B (zh) | 聚烯烃树脂单片制造方法及聚烯烃树脂单片 | |
CN113150442B (zh) | 高模量低密度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JPH10158512A (ja) | 樹脂組成物 | |
Hassan et al. | Enhanced thermal, mechanical and fire-retarding properties of polystyrene sulphonate-grafted-nanosilica/polypropylene composites | |
KR20150074481A (ko) | 나일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25975B1 (ko) | 자동차 외장재 제조용 고분자 수지 블렌드 조성물, 자동차 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60063537A (ko) | 팽창 흑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
CN104927198B (zh) | 一种纳米改性聚丙烯抗老化专用料的制备方法 | |
KR20160083579A (ko) | 팽창성 흑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 |
CN110951185A (zh) | 一种聚氯乙烯改性材料的制备方法 | |
KR100522137B1 (ko) | 반응 압출 공정을 이용한 고분자 / 클레이 나노복합재의제조방법 | |
Lee et al. |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odified CaCO3 fill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nanocomposites | |
CN118541445A (zh) | 液晶聚酯组合物及成型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