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446A -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446A
KR20230051446A KR1020230043838A KR20230043838A KR20230051446A KR 20230051446 A KR20230051446 A KR 20230051446A KR 1020230043838 A KR1020230043838 A KR 1020230043838A KR 20230043838 A KR20230043838 A KR 20230043838A KR 20230051446 A KR20230051446 A KR 2023005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nstruction
treatment
composite
magne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04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1446A/ko
Publication of KR2023005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446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8A priority patent/KR20240029752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3A priority patent/KR20240031981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9A priority patent/KR20240031269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7A priority patent/KR20240031267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5A priority patent/KR20240031265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7A priority patent/KR20240029014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8A priority patent/KR20240031268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2A priority patent/KR20240029013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0A priority patent/KR20240029011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1A priority patent/KR20240029012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0A priority patent/KR20240031263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3A priority patent/KR20240029750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6A priority patent/KR20240031266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5A priority patent/KR20240029751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9A priority patent/KR20240031262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2A priority patent/KR20240029015A/ko
Priority to KR1020240024664A priority patent/KR20240031264A/ko
Priority to KR1020240024656A priority patent/KR20240031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rd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화, 자율,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상기 자화 내지 살균 등이 가미되는 소독; 살균이 가미되는 상기 자화 내지 소독;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소독, 재료, 자재, 물품, 장비, 장치, 시설, 수단, 장치, 방법, 공법, 드론, 로봇, UAM, 킥보드, 시스템, 3D프린터, 모빌리티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Construction, works, cleaning, treatment, material, products, equipment, facility, drone, robot, UAM, 3D printer, mobility}
본 발명은 a)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재료, 자재, 물품, 장비, 장치, 시설, 수단, 장치, 방법, 공법,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b) 또는 에코, 방역, 살균, 소독, 일반, 나노,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피톤치드 등의 상기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와 도시화, 온난화, 산업화, 인구증가, 산업발달, 오염증가 등에 의하여 에코, 자연, 생태, 친환경, 저탄소, 녹색성장, 바이러스, 박테리아, 지구온난화, 지속가능개발, 로봇, 자동, 자율, 저율주행 등이 화두가 되고 있으며, 이들의 처리, 처분, 대책, 대안, 위생, 방역, 살균, 소독, 이용, 사용, 적용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균, 세균, 오염, 먼지, 황사, 수질, 공기질, 토양질, 중금속, 폐기물, 미세먼지,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등에 대한 처리, 처분, 대책, 대안, 위생, 방역, 살균, 소독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생활, 산업활동, 공장가동, 현장업무, 건설현장, 정화처리 등에서는 많은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 작업에는 일정의 작업, 공사, 시공, 요리, 처리, 치료, 배달, 수송, 업무, 정화, 청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업, 에코 내지 지구온난화,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처리 내지 소독, 공사 내지 청정 등을 위해서는 일정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수단으로는 일정의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방법, 공법, 상기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은 인간생활, 산업활동, 주거시설제공, 오염처리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적 요구에 의하여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처리 내지 소독,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있어서 더욱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작업, 수단, 시설, 공법, 방법, 시스템, 네트워크 등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에코, 방역, 살균, 소독, 황토, 피톤, 편백, 내진, 나노, 그린,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피톤치드; 또는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등의 자재, 재료, 장비, 로봇, 드론, UAM, 물질, 물체, 공사, 작업, 청정, 정화;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의 해결, 개선, 개량, 개발 등에 대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관심이 되고 있는 방역, 살균, 소독, 로봇 등에 관한 기존기술로는 스마트 LED 방역 시스템(10-2265975), 등록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 방역시스템의 사육장(10-2183531), 휴대용 연무 방역기(10-2107052), 전기분해 살균·환원수 제조장치(국내특허 등록번호 10-1891161),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10-1441562), 살균기능을 구비한 축사용 조명장치(10-2265655), 초음파를 이용한 살균 세척장치(10-1876127), 표면 소독 장치 및 표면 소독 방법(10-0984385), 공기소독장치에 구비되는 증발챔버(10-1633274), 책 소독장치(10-1275536),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10-0737990), 소독제를 내장한 모바일폰 케이스(10-2264846), 건설용 로봇(10-0804669), 수중 항만 공사용 로봇 시스템(10-0506753),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바닥 마감재 설치 시스템(10-2342189), 도장로봇(10-2067292)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처분, 대책, 대안, 개선, 개발 등의 하나로 새로운 개념의 자화, 자율,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상기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적정의 방역, 살균, 소독, 처리, 처분 방안을 적용하여 더욱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방역, 살균, 소독, 처리, 처분 등을 하면서 동시에 자화, 자율,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등이 적용되는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자화 내지 방전 등이 적용되는 방역, 살균, 소독, 처리, 처분 방안을 고안하고, 상기 자화 내지 방전 등과 동시에 방역, 살균, 소독하는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화, 자율,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상기 자화 내지 소독 등이 가미되는 살균; 살균이 가미되는 상기 자화 내지 소독;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친환경적이고 위생적인 기(器 ), 기(機), 작업, 수단, 공사, 정화, 청정, 처리, 소독, 재료, 자재, 물품, 장비, 장치, 기계, 시설, 설비, 방법,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시스템, 네트워크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기(器) 내지 네트워크,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자화, 자율,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방전이 가미되는 소독 또는 살균; 소독 또는 살균이 가미되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 등이 적용되어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기(器) 내지 네트워크,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의 효율, 효과, 성능, 기능 등이 향상되고, 더욱이 방역, 살균, 소독 등이 적용되어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기(器) 내지 네트워크,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의 효과로는 공간을 오존음이온 처리하여 청정의 환경에서 수행되는 작업, 자화진동가진 유동화되어 초고층건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콘크리트 공사, 오존으로 살균된 레미콘을 사용하여 위생적인 건물 시공, 오염수를 자화회전하여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정화, 공기를 방전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청정, 미생물 분해 및 전해질 전해 기능을 가진 다기능 장비, 오존방전 처리되어 살균되는 자재, 분해 및 전해된 미생물 및 이온을 분사하여 바이오이온 반응이 발생되는 바이오 재료, 자화진동가진된 살균수룰 분사하여 위생 살균된 시설 또는 건물 또는 구조물, 소독 및 살균을 하면서 위생적으로 공사하는 방법, 상기 자화 내지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소독 및 살균하여 소독 및 살균 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업 및 공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기(器) 내지 네트워크,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하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작업 내지 청정, 장비 내지 공법, 기(器) 내지 네트워크, 공사 내지 모빌리티 등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형태의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모빌리티, UAM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빌리티에 연계되는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빌리티에 의한 촬영, 측정, 송신, 수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측정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7 내지 1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복합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콘, 망, 봉, 틀, 나선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 내지 2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 내지 29, 47은 본 발명에 의한 타설기, 펌프카, 타설구, 엔드호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0, 31, 3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3, 34, 3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초 공사를 나타낸 모식도
도 36, 37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를 나타낸 모식도
도 38, 39는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0, 4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 스크리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2, 43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낸 모식도
도 44, 4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내진재, 내진자재를 나타낸 모식도
도 48은 본 발명에 의한 절곡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터널 타설기, 형틀을 나타낸 모식도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타설기, 형틀을 나타낸 모식도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를 나타낸 모식도
도 53 내지 56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를 나타낸 모식도
도 5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을 나타낸 모식도
도 58, 5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장비,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
도 60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폭기기 또는 풍력콤프레셔를 나타낸 모식도
도 61 내지 6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 파쇄기, 처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집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6은 본 발명에 의한 탈수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7은 본 발명에 의한 펠렛화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8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장을 나타낸 모식도
도 69 내지 9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등을나타낸 모식도
도 96 내지 98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 교반기, 디퓨져 등을 나타낸 모식도
도 99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비행체, UAM, 모빌리티에 의한 타설, 진동, 분사, 이송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0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사이클론이 구비된 기능기, 펄스기, 자화기, 복합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1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제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2는 본 발명에 의한 메타버스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3은 입도분포곡선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4는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유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또는 본 발명의 명칭은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재료, 자재, 물품, 장비, 장치, 시설, 수단, 장치, 방법,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중 하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상기 공사 내지 모빌리티; b) 이중 하나의 수단, 장치, 방법, 공법; c) 또는 에코, 방역, 살균, 소독, 황토, 피톤, 편백, 내진, 나노, 그린, 일반, 자율,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피톤치드 중 하나의 상기 공사 내지 공법; d)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등의 기능을 가진 상기 공사 내지 공법; e)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공법;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사 내지 공법 등은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가 있다. 상기 에코는 eco, ecology, economic, 친환경, 친생태 등을 나타내고, 소독은 소독, 제독, 방역 등을 나타내고, 살균은 살균, 사멸, 제거 등을 나타내고, 피톤은 피톤치드, phyton, phytoncide, 피톤치드 살균 등을 나타내고, 편백은 편백, 편백목, 편백나무, 편백목분, 피톤치드가 많이 나오는 편백목 등을 나타내고, 내진은 내진, 耐震, 지진저항, 지진보강, 지진에 견딤 등을 나타내고, 나노는 나노, 미세, 정밀, 소형, 극소형, 나노화, 나노반응, 반응촉진, 미세구조, 나노사이즈 등을 나타내고, 그린은 그린, 녹색, 자연, 나부, 삭물, 녹화, 식생, 저탄소, 녹색성장 등을 나타내고, 바이오는 제약, 약품, 바이오, bio, 생물, 생태, 생태계, 미생물, 바이오반응 등을 나타내고, 스마트는 최신, 건강, 강도, 헬스, 신선, 맵시, 정보, 연산, 단단함, 스마트, 정보처리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다향한 형태의 기능, 기능기, 기능물, 기능제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능은 기능, 성능, 技能, 機能, 性能, function,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하기 자화 내지 복합, 하기 폭기 내지 복합, 하기 정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기는 기능기, 技能器, 技能機, 機能器 or 機能機, 하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하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하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하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하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물 또는 기능제는 기능물, 하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하기 정화물 내지 복합물, 하기 폭기물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단, 장치, 장비, 물체, 공법, 방법 등은 a)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건물, 구조물, 시스템, 방법, 공법, 작업 방법, 작업 공법, 작업 수단,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상기 공사 내지 모빌리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c) 또는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d) 상기 칩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e)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방역 등을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f)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방역 중의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g) 상기 에코 내지 피톤치드 등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일정의 또는 특수의 a1)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a2) 또는 수(水), 물(水 또는 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분말, 슬러리, 촉매, 티탄, 수지, 약품, 물질, 황토, 미생물, 부산물, 광촉매,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a3) 또는 일, 작업, 제조, 제작, 생산, 조리, 요리, 배달, 비행, 공사, 시공, 건설, 정화, 청정, 처리, 처치, 세청, 세척, 살균, 소독, 방역,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b) 또는 자화, 자율,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살균, 소독, 방전, 기능성, 에코, 나노, 미니, 비비, 그린, 청정, 정화, 디톡, 디톡스, 처리, 내진, 방진, 기능, 기능성, 미생물,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사이버, 아바타, 황토, 피톤, 피톤치드, 편백, 편백나무, 저탄소, 녹색성장,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 바이러스청정, 바이러스처리, 돌기, 펄스, 폭기, 팽창, UV, LED, 자외선, 적외선, 광촉매, 육각수,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의 기능을 가지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d)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의한 또는 등에 이용되는 또는 등에 의하여 조성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e)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이 또는 등에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f) 상기 수(水)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이 포함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g)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이 또는 등에 이용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수(水)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자화제, 진동제, 가진제, 오존제, 적외선제, 초음파제, 전자기파제, 음이온제, 회전제, 분해제, 전해제, 살균제, 소독제, 방전제, 자연재, 나노재, 나노미터재, 미니재, 밤(balm), 밤크림, 녹색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디톡제, 디톡스제, 처리제, 내진재, 방진재, 기능제, 기능재, 미생물, 바이오제, 친환경재, 바인더, 와이파이, 스마트폰, 센서, 가상, 아이콘, 황토, 피톤치드, 편백나무, 탄소흡수, 탄소사용, 탄소미발생, 녹화, 녹생, 마이크로재, 마이크로미터재, 2종 이상 물질, 인텔리제, 바이러스청정제, 바이러스처리제, 돌기, 펄스기, 폭기기, 팽창제, UV기, LED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광촉매함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처리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이용되거나, 또는 등에 의하거나, 또는 등에 의하여 발현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명칭, 설명, 수단, 기술, 분야, 효과, 내용, 전체, 명세서, 기술분야, 구체적 내용, 청구항, 요약, 도면, 문장, 문구, 용어, 단어, 단락, 재료, 자재, 원료, 물질, 물체, 부품, 장치, 장비; 상기 명칭 내지 도면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기재된 상기 문장 내지 장비; 등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인용, 구비, 거치, 존치, 교체, 교환, 대체, 가미, 가중, 가함, 더함, 인입, 주입, 투입, 혼입, 혼합, 추가, 첨가, 첨삭, 삭제, 제거, 변경, 변화, 중복, 중합, 결합, 합체, 병행, 연결, 연계, 포함,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상호 또는 서로 상기 이용 내지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의 내용, 명세서, 청구항, 청구 내용, 청구 범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또는 하기의 상기 명칭 내지 장비 등은 상기 이용 내지 변경 등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의 내용, 명세서, 청구항, 청구 내용, 청구 범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로는 청구항 1의 문구 또는 물질을 청구항 2에 추가, 청구항 2의 단어 또는 내용을 청구항 1의 내용과 교체, 청구항 2의 물질을 청구항 1의 물질과 교체, 요약에 기재된 용어 또는 문구를 청구항에 기재, 효과에 기재된 단어 또는 단락을 청구항에 추가, 명세서의 단락을 청구항에 적용, 구체적인 내용의 용어 또는 설명을 청구항에 인용, 도면의 용어 또는 설명을 청구항에 기재, 발명의 명칭에 청구항의 용어를 기재, 기술분야에 발명의 효과 내용을 기재,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요약의 내용을 기재,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부 기재, 청구항의 내용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부 기재, 자화기에 진동기 추가, 장비에 시설 추가, 재료에 자재 추가, 오존기에 음이온기 추가, 정화기에 반도체 추가, 진동자화기에서 진동을 제거하여 자화기로 함, 진동 및 자화에서 자화를 삭제하여 진동으로 함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또는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 또는 설명되는 내용,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용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청구항, 구체적 내용 등에 기재된 내용, 문장, 문구, 용어, 재료, 자재, 원료, 물질, 물체, 장비, 장치, 부품 등은 상호 이용, 사용, 적용, 겸용, 인용, 교체, 교환, 추가, 첨가, 첨삭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의 예로는 청구항 1의 물질을 청구항 2에 추가, 청구항 2의 내용을 청구항 1의 내용과 교체, 청구항 2의 물질을 청구항 1의 물질과 교체, 명세서의 단락을 청구항 1에 적용,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청구항 2에 인용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수단, 물체, 장비, 드론, 로봇, UAM,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비행물체, 비행수단,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등은 제1실시예에 의하면 a) a1)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이 가지고 있는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을 하는 중에 상기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의 운전 또는 조정에 의하여 비행하고, 상기 비행하면서 자신(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비행물체, 모빌리티, UAM 등)에 장착된 카메라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자신에 장착된 녹화기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녹화하면서 자신에 장착된 측정기로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자료를 자신에 장착된 송신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자료가 매핑(mapping) 및 3D 도면 제작 및 공기질 분석에 이용되도록 하거나, a2) 또는 상기에 더하여 상기 비행, 촬영, 녹화, 측정, 송신, 매핑, 제작, 분석 중 하나 이상에 공기, 대기, 지상, 공중, 하늘, 지면, 환경, 주변, 인근, 시설, 시설물, 집, 주택, 건물, 빌딩, 아파트, 단지, 아파트단지, 지역, 지구, 길, 거리, 길거리, 도로, 보도, 인도, 수단, 물체, 장비,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비행물체, 모빌리티, UAM 등에 또는 등을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夜警, 야간경비, 夜間警備), 순찰, 관측,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단, 물체, 장비, 드론, 로봇,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비행물체, 모빌리티, UAM 등에는 카메라, 사진기, 렌즈, 카메라렌즈, CCTV, 녹화기, 캠코더, 측정기, 공기질측정기, 공기질측정센서, 송신기, 인터넷송신기, 송신용와이파이장치,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방범수단, 경비수단, 야경수단, 순찰수단, 관측수단, 모니터링수단, 상기 살균 내지 모니터링 등의 수단 또는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등은 a) 상기 살균기 내지 세척기 등을 이용하거나, b) 또는 살균제, 소독제, 방역연기, 청정제, 정화제, 청소세제, 세정제, 세척제 등을 이용 또는 분사하거나, c) 또는 상기 살균기 내지 세척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제 내지 세척제 등을 분사하여 시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등은 a) 방범수단, 경비수단, 야경수단, 순찰수단, 관측수단, 모니터링수단 등이 이용되거나, b) 또는 카메라, 사진기, 렌즈, 카메라렌즈, CCTV, 녹화기, 캠코더, 방범수단, 경비수단, 야경수단, 순찰수단, 관측수단, 모니터링수단 등에 의하여 촬영, 녹화, 송신, 방송, 육성, 경고, 경고안내, 경고방송, 싸이렌발령 등을 하거나, c) 또는 이상 물체, 사람, 도둑, 칩입자 등의 관측 또는 포착시 방송, 육성, 경고, 경고안내, 경고방송, 싸이렌발령 등을 하거나, d) 또는 상기 송신 자료를 판독하여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등을 하여 시행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66)는 노즐, 디퓨저, 플로터, plotter, 분사기, 타설기, 분사호스 등(66)이거나, 또는 프린터, 3D프린터 등에 구비되는 노즐, 디퓨저, 플로터, 분사기, 타설기, 분사호스 등(66)이 해당된다. 상기 3D프린터 플로터는 3D프린터 플로터, 3D프린터의 플로터, 3D프린터에 구비되어 3차원 이동하는 플로터, 상기 3차원 이동하면서 재료, 몰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거나 또는 자재, 철근, 시멘트 등을 운반하는 플로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매핑은 매핑, mapping, 지도 작업, 지도 제작 작업, 지도에 관한 작업, 지형 작업, 지형을 도면화하는 작업, 3D 도면 제작, 3D 모델링을 할 때 모델에 텍스쳐를 펴 바르는 작업, 어떤 값을 다른 값에 대응시키는 과정 등이 해당된다. 상기 3D 도면 제작은 3D 도면 제작, 매핑하여 3D 도면 제작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기질 분석은 공기질 측정치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공기질, 먼지, 먼지농도, 황사농도, 미세먼지농도, 오존, CO, CO2,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등을 분석 또는 평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드, 킥보드, 전동보드 등은 보드, board, 건축보드, 건설보드, 자재보드, 합판보드, 타는보드, 이동보드, 수영보드, 해양보드, 서핑보드, 놀이보드, 스포츠보드, 해양스포츠보드, 발로 타는 보드, 바다에서 타는 보드, 킥보드, kick board, 퀵보드, quick board, 전동보드, electric board, 전기보드, 전기로 이동하는 보드, 배터리로 이동하는 보드, 배터리 전기로 이동하는 보드, 살균기능을 가진 보드, 살균제 또는 살균기가 구비된 보드, 촬영기능을 가진 보드, 카메라 또는 CCTV가 구비된 보드 등이 해당된다.
b) 또는 b1) 사람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을 하는 중에 상기 사람의 운전 또는 조정에 의하여 비행하면서 카메라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녹화기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녹화하면서 측정기로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자료를 송신기로 송신하고, 상기 비행 중에 상기 공기 내지 UAM 등에 또는 등을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b2)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사진 촬영을 하는 중에 상기 사람 등의 운전 또는 조정에 의하여 비행하면서 자신(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비행물체, 모빌리티, UAM 등)에 구비된 카메라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자신에 구비된 녹화기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녹화하면서 자신에 구비된 측정기로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자료를 자신에 구비된 송신기로 송신; b3)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상기 사람 등의 운전 또는 조정에 의하여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녹화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자료를 송신; b4)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상기 사람 등의 운전 또는 조정에 의하여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자료를 송신 또는 와이파이로 송신; b5) 사람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공중을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자료를 송신 또는 와이파이로 송신; b6)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하늘을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면서 영상 녹화를 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자료를 송신 또는 와이파이로 송신; b7)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공중을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 영상 녹화,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또는 와이파이로 송신하고, 상기 비행 중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b8)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는 중에 공중을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 영상 녹화,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또는 와이파이로 송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c) 또는 c1) 비행하면서 카메라로 촬영하고, 영상기로 영상 녹화하고, 측정기로 공기질 측정하고, 센서로 시설 또는 시설의 외관을 모니터링하고, 송신기로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및 모니터링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비행, 촬영, 녹화, 측정, 모니터링, 송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공기 내지 UAM 등에 또는 등을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c2) 비행하면서 카메라, 렌즈, 카메라렌즈, CCTV 등으로 촬영하고, 영상기, 캠코더 등으로 영상 녹화하고, 센서, 측정기, 공기질측정기 등으로 공기질 측정하고, 줄, 자, 줄자, 스케일, 센서, 게이지, 균열측정기, 스트레인게이지, 모니터링센서 등으로 시설 또는 시설의 외관을 모니터링하고, 송신기, 인터넷장치, 와이파이장치 등으로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및 모니터링 자료를 송신; c3)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영상 녹화하고, 공기질 측정하고, 시설 또는 시설의 외관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촬영 및 녹화 및 측정 및 모니터링 자료를 송신; c4)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영상 녹화, 시설 모니터링; c5) 비행하면서 영상 녹화하고, 촬영, 시설 모니터링; c6) 비행하면서 녹화하고, 매핑(mapping)을 위한 촬영; c7)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영상 녹화하고, 공기질 측정, 시설 모니터링; c8) 비행하면서 촬영, 사진 촬영, 영상 녹화, 공기질 측정, 시설 모니터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녹화 자료 송신, 상기 측정 자료 송신, 상기 모니터링 자료 송신; b9) 비행하면서 촬영, 사진 촬영, 영상 녹화, 공기질 측정, 시설 모니터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녹화 자료 송신, 상기 측정 자료 송신, 상기 모니터링 자료 송신 중 하나 이상을 하고, 상기 비행, 촬영 내지 송신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작업, 활동, 작업 방법, 활동 방법, 또는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등이 이용되는 작업, 활동, 작업 방법, 활동 방법 등은 제2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a), b), c), d) 등이거나, 또는 하기의 a), b), c), d)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a는 a1)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드론, UAM,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를 운전하거나 또는 비행시키면서 상기 사람 등이 가지고 있는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a2)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자신(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에 장착된 카메라, 사진기, 렌즈, 카메라렌즈, CCTV, 녹화기, 캠코더 등으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자신에 장착된 송신기, 와이파이장치 등으로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a3) 상기 촬영 또는 녹화하면서 자신에 장착된 센서, 측정기, 공기질측정센서, 공기질측정기 등으로 공기질 측정하고, 상기 측정 자료를 자신에 장착된 송신기, 와이파이장치 등으로 송신하고, a4) 상기 송신 자료를 PC, 모니터, 수신기, 스크린, 폰,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등으로 수신하고, a5)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프로그램 등으로 또는 상기 수신 자료를 매핑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매핑(mapping)하고, a6) 상기 매핑하여 3차원 도면을 제작하고, a7)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공기질(온도, 습도, 공기질, 먼지, 먼지농도, 황사농도, 미세먼지농도, 오존, CO, CO2, VOC 등)을 평가 또는 분석하거나, a8) 또는 상기 a1) 내지 a7)에 더하여 상기 비행, 촬영, 녹화, 측정, 송신, 수신, 매핑, 제작, 평가, 분석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b는 b1) 상기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자신에 장착된 카메라, 녹화기, CCTV 등으로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로 공중, 하늘, 지상, 공사장면, 작업장면 등을 촬영 또는 영상 녹화; b2) 상기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자신에 구비된 송신기, 인터넷장치, 와이파이장치 등으로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b3) 상기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촬영, 녹화, 송신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b4)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하늘 또는 공중에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영상 녹화; b5)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하늘 또는 공중에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b6) 사람, 로봇, 작업자, 드론운전자, 드론조정자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 b7)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b8)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상기 사람이 운전하는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 b9)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상기 사람이 운전하는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b10)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를 운전하거나 또는 비행시키면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 b11) 사람 등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를 운전하거나 또는 비행시키면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b12) 사람이 지상 또는 지면에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를 운전하거나 또는 비행시키면서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로 촬영을 하고,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중 하나가 하늘 또는 공중에서 촬영 또는 영상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하고, 상기 운전, 비행, 촬영, 녹화, 송신, 수신, 매핑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c는 c1)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저장 또는 USB에 저장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c2)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저장 또는 USB에 저장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c3)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mapping), 지형 매핑, 지형도 매핑, 현황 매핑, 상기 촬영 대상을 매핑, 상기 녹화 대상을 매핑; 여기서 매핑은 상기 수신 자료를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매핑프로그램 등에 입력하여 3D지형, 3D지도, 3D지형도 등을 제작하는 것이다. c4) 상기 매핑하여 3차원 도면 제작, 3차원 지도 제작, 3차원 지형도 제작, 3차원 현황도 제작, 상기 매핑된 대상의 체적 산정, 상기 매핑된 대상의 토공량 산정, 상기 매핑된 대상의 공사량 산정, 상기 매핑된 대상의 작업량 산정; 여기서 산정은 3차원의 토공체, 공사체, 작업체 등에 대하여 체적을 구하여 토공량, 공사량, 작업량 등을 산정하는 것이다. c5)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비행하면서 사진 촬영을 하고, 영상을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 c6)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비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c7)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비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mapping); c8)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비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mapping), 상기 매핑하여 3차원 도면 제작; c9) 상기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가 비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매핑(mapping), 상기 매핑하여 3차원 지형도 제작, 상기 지형도의 지형 체적 산정; c10) 상기 작업, 촬영, 녹화, 송신, 수신, 매핑, 제작, 산정 중 하나 이상에 온도, 습도, 공기질, 먼지, 먼지농도, 황사농도, 미세먼지농도, 오존, CO, CO2,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중 하나 이상 측정; c11) 상기 측정 자료를 송신, 상기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공기질 평가 또는 분석; c12) 상기 촬영 또는 녹화하면서 공기질 측정, 이의 측정 자료를 송신, 이의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공기질 평가 또는 분석; c13) 상기 촬영 또는 녹화하면서 공기질 측정, 이의 측정 자료를 송신, 이의 송신 자료를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공기질 평가 또는 분석, 상기 촬영, 녹화, 측정, 송신, 수신, 평가, 분석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방범, 경비, 야경, 순찰, 관측, 모니터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d는 상기 물체가 이용되는 작업 1, 작업 2, 작업 3, 작업 4, 작업 5, 작업 6, 작업 7, 작업 8, 작업 9, 작업 10, 작업 11, 작업 12, 작업 13, 작업 14, 작업 15, 작업 16, 작업 17, 작업 18, 작업 19, 작업 20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은 a) a1) 건설 공사 준비; a2) 건설 공사 수행; a3)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모빌리티, UAM 중 하나의 물체 구비; a4) 상기 물체를 케이스에서 꺼냄; a5) 상기 물체의 날개를 펼침; a6) 상기 물체가 이륙; a7) 상기 물체가 비행; a8) 상기 물체가 촬영 또는 녹화; a9) 상기 촬영 자료 또는 녹화 영상을 송신; a10) 방역 또는 소독을 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준비 내지 송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더하여, b) b1) 상기 전송 내용을 또는 촬영 자료 또는 녹화 영상을 수신; b2) 상기 전송 내용을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중 하나 또는 앱, 모니터, PC, 노트북, 컴퓨터, PC모니터 중 하나로 수신; b3) 상기 수신 내용을 보거나 또는 시청; b4) 상기 공사 수행자와 통화; b5)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공사의 수행자에게 작업 지시; b6) 상기 내용을 저장 또는 메모리에 저장; b7) 상기 물체가 회기, 회항, return; b8) 상기 물체가 착륙; b9) 상기 물체의 날개를 접기; b10) 상기 물체를 케이스에 넣기; b11) 공기 청정 또는 먼지 제거를 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수신 내지 넣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는 a) 상기 물체가 공사 현장에 반입 또는 구비되고, 상기 물체가 상기 현장을 비행 또는 운행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비행 또는 운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자료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b) 또는 상기 반입 또는 구비, 비행 또는 운행, 촬영, 녹화, 송신에 더하여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상기 비행 또는 운행하도록 하는 조정기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모니터, 컴퓨터, 스크린, 컴퓨터의 모니터 중 하나에 제공,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폰,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중 하나에 제공,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기사, 부장, 소장, 사무실, 감리자, 감독관 중 하나에 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은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면서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집진, 흡착, 방역, 살균, 소독, 처리, 먼지제거,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5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천공, 보링, 발파, 토공, 굴착, 굴삭, 절토, 성토, 준설, 매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6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저장, 투입, 배합, 펌핑, 가압, 운송, 운반, 배송, 타설, 포설, 포장, 분사, 분수, 살수, 숏팅, 주입, 믹싱, 다짐, 양생,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7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목공, 석공, 조적, 철근공, 콘크리트공, 측량, 관측, 관찰, 감리, 감독, 발수, 방수, 지수, 차수, 방청, 코팅, 도장, 도배, 장판공, 바닥공, 지붕공, 창호공, 싱크대공, 유지, 보수, 보강, 식재, 녹화, 녹생토공, 숏크리트공, 시드스프레이, 인젝션공, 그라우팅공, 인테리어공,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토공, 녹생토공, 숏크리트공, 인젝션공, 그라우팅공, 목공, 석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바닥공, 지붕공, 창호공, 싱크대공 등에서 공, 工, 공사, 工事, 시공, 건설, 건축, 축조, work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 8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청정 내지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9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고 상기 청정 내지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면서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회전, 전해, 방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0은 상기 반입, 구비, 비행, 운행, 촬영, 송신, 제공, 공사 내지 축조, 천공 내지 매립, 저장 내지 면처리, 목공 내지 리모델링, 청정 내지 먼지처리, 자화 내지 방전, 방역을 하면서 상기 반입 내지 방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이상에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1은 공사를 하면서 또는 공사를 보조하면서 또는 공사 중에 공사, 작업자, 공사 장면, 공사 시설, 공사 건물,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2는 비행을 하고 공사를 하면서 또는 공사를 보조하면서, 또는 비행을 하면서 공사 중에 공사, 작업자, 공사 장면, 공사 시설, 공사 건물,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3은 촬영을 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의 내용이 폰, PC, 컴퓨터, 모니터, 감독자, 사무실 중 하나에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4는 촬영 또는 측량을 하고, 상기 촬영 또는 측량 내용을 저장 또는 송신하고, 상기 촬영 또는 측량 내용이 이용되어 매핑, 도면 작성, 지형도 작성, 3차원 매핑, 3차원 도면 작성, 3차원 지형도 작성, 토공량 산정, 공사량 산정, 작업량 산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토공량 산정, 공사량 산정, 작업량 산정 등은 1차원, 2차원, 3차원 등의 매핑, 도면, 지도, 지형도 등으로 부터 얻어지는 토량, 토공량, 절토량, 성토량, 토공체적, 성토체적, 절토체적, 공사량, 건물높이, 건물면적, 건물체적, 구조물높이, 구조물면적, 구조물체적, 건물공사량, 시설공사량, 구조물공사량, 작업량, 시설작업량, 건물작업량, 구조물작업량; 1차원 또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상기 토량 내지 구조물작업량; 등으로 부터 산정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기존 또는 어제 또는 1달전의 상기 토량 내지 구조물작업량 - 추가 또는 오늘 또는 1달후의 상기 토량 내지 구조물작업량 = 금회의 토공량, 공사량, 작업량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 15는 촬영을 하면서 녹화를 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6은 촬영을 하면서 녹화를 하고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7은 촬영을 하면서 녹화를 하고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를 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8은 촬영을 하면서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9는 촬영을 하면서 자재를 운반하고, 오존을 방사하고, 살균제를 방출하여 살균을 하고, 전기 방전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0은 2D 도면을 3D 공간으로 모델링, 공사 과정에 대한 3D 증강현실 구축, 3D 시설을 제공하는 부동산앱 제공, 드론으로 찍은 영상을 이용하여 시공 관리, 드론으로 찍은 영상을 이용하여 3D 이미지모델 생성, 드론으로 찍은 영상을 이용하여 시점별로 작업의 진척도 확인, 사이버 모델하우스를 조성하고 아바타가 모델하우스 견학, 상기 모델링 내지 견학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스마트폰앱 개발, 스마트폰앱을 통하여 상기 모델링 내지 견학 중 하나 이상 제공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D 도면을 3D 공간으로 모델링하는 예로는 1) 2D 평면정보와 해당 평면정보를 기초로 이를 3D 모델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 획득, 2) 상기 2D 평면정보와 3D 모델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변환, 3)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카메라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특정 카메라를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내의 선택 위치에 배치, 4) 카메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 배치된 특정 카메라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속성에 따른 가상 감시영역을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에 입체적으로 표시, 5) 상기 특정 카메라의 배치 위치와 각도 및 카메라리스트 중 카메라 종류 변경에 따라 대응되는 감시 영역을 변경하면서 표시, 6) 상기 3D 모델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모델명, 사이즈, 좌표 위치를 레이어의 형태로 상기 2D 평면정보에 포함, 7) 입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레이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3D로 변환, 8)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에 카메라의 종류 및 배치 위치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축된 건물에서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해당 카메라의 감시 영역에 대응되는 3D 모델에 대하여 해당 카메라를 관찰 시점으로 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 9) 상기 감시 영역은 3D 모델링 정보의 배치 상태가 반영되며 유효 식별 거리와 촬영 가능 범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표현, 10)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종류 및 배치 위치 정보를 2D 평면도에 반영하여 시공을 위한 평면도를 생성, 11) 상기 시공을 위한 평면도에는 설치되는 카메라에 대한 시공 정보나 배선 정보, 설치되는 카메라에 대한 3D 모델링 상 카메라 배치 이미지 컷, 3D 모델링 시물레이션을 통해 설치되는 카메라의 가상 영상에 대한 이미지 컷 등을 추가, 12)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내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와 이를 이용하여 건축된 건물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제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정보 및 3D 모델링 상의 배치 중 하나를 수정하거나 실제 카메라의 배치를 수정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 13)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2D 평면도와 이를 3D 모델 변환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종류와 배치 정보를 기준으로 가상 카메라가 배치된 3D 공간정보 모델을 생성, 14) 상기 카메라에 의해 쵤영되는 영상을 상기 3D 공간정보 모델의 대응 가상 카메라와 연동 표시, 15)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3D 공간정보 모델의 관찰 시점을 달리하거나 이벤트가 발생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경우 대응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3D 공간정보 모델을 상기 카메라 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서버 포함, 16) 상기 3D 모델 변환을 위하여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모델명, 사이즈, 좌표 위치를 레이어의 형태로 상기 2D 평면도에 포함, 17) 상기 서버는 입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레이어를 자동으로 추출, 18)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 19) 상기 카메라의 종류 및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20) 상기 서버는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에 카메라의 종류 및 배치 위치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축된 건물에서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 21) 상기 서버는 상기 3D 모델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내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와 이를 이용하여 건축된 건물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제 영상 정보를 매칭하여 카메라의 정보 및 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거나 실제 카메라의 배치를 수정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 22) 상기 1) 내지 21) 등에 의하여 2D 도면을 3D 공간으로 모델링 등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일정의 수단, 작업을 위한 수단, 작업을 하는 수단, 작업에 사용되는 수단 등은 제3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1, 2, 3, 4, 5 등이 해당된다. 청구항 1, 3, 4, 5 등의 말미인 수단은 수단, 手段, 일 수단, 업무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일, 작업, 물질, 물체, 방법, 공법, 도구, 재료, 자재, 장비, 장치, means, way, measure, method,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 또는 도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은 a) 일, 업무, 작업, 제조, 제작, 생산, 조리, 요리, 튀김, 굽기, 볶기, 조림, 정화, 청정, 화장, 안마, 힐링, 복원, 복구, 처리, 처치, 치료, 조성, 형성, 성형,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저장, 투입, 혼합, 가압, 굴착, 발파, 운송, 운반, 이동, 주행, 비행, 탑승, 승차, 하차, 배달, 배송, 택배, 탁송, 공급, 타설, 분사, 주입, 주사, 숏팅, 코팅, 도장, 포설, 포장, 믹싱,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 개량, 보수, 보강, 수리, 해체,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일 ∼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을 하는 복합; 상기 일 ∼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일 ∼ 복합(상기 일 ∼ 리모델링, 복합) 중 하나의 일 또는 작업;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일 ∼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일정범위, 어디에서 어디까지, a ∼ z, a 내지 z, a ∼ z 중에서 선택된 하나, a 내지 z 중에서 선택된 하나 등이 해당된다.
상기 1은 자화되거나 또는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UAM,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일 ∼ 복합(상기 일 ∼ 리모델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즉, 상기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복합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a) 상기 기(器), 기(機) 등은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kit, tool, machine, 어미가 기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b) 차(車)는 차, 車, car, 차량, 택시, 버스, 트럭, 전차, 승용차, 어미가 차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c) 체(體)는 체, 體, 물체, 몸체, 신체, 어미가 체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d) 고(庫)는 고, 庫, 조, 통, 함, 탱크, 박스, 창고, 저장고, 사일로, 어미가 고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e) 제(劑)는 제, 劑, 주제, 부제, 첨가제, 영양제, 부수제, 어미가 제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f) 재(材)는 재, 材, 재료, 자재, 건자재, 공사재, 건축재, 토목재, 건설재, 어미가 재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2는 자화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상기 3은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상기 4는 상기 자화에 진동기, 상기 방사에 오존기, 상기 진동에 자화기, 상기 가진에 음이온기, 상기 오존 처리에 가진기, 상기 음이온 처리에 오존기, 상기 방전 처리에 살균기, 상기 살균 처리에 방전기가 이용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상기 5는 상기 자화에 자화기, 상기 방사에 방사기, 상기 진동에 진동기, 상기 가진에 가진기, 상기 오존 처리에 오존기, 상기 음이온 처리에 음이온기, 상기 방전 처리에 방전기, 상기 살균 처리에 살균기가 이용되는 a)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b)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c)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d)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e)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f)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상기 수단, 작업,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가 수행된다.
상기 수단 ∼ 복합기(즉, 상기 수단, 작업, 기(器) 내지 복합기), 일 ∼ 복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자재, 제품, 상품, 용품, 물품, 음식, 요리, 약품, 화학품, 화장품, 의식주재, 건자재, 내장재, 외장재, 도로, 터널, 교량, 기초,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이 조성되거나, b) 또는 균, 녹, 세균, 오염, 환경, 수질, 부식, 토양, 먼지, 분진, 공기, 대기, 폐기물, 음식물, 슬러지, 침전물, 부유물, 이물질, 공기질, 대기질, VOC, CO, CO2, SOx, NOx, 곰팡이, 박테리아, 미세먼지, 바이러스,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이 정화 또는 처리된다.
상기 수단, 기(器)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는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3D프린터의 플로터 중 하나인 물체 1, 물체 2, 물체 3, 물체 4, 물체 5, 물체 6, 물체 7, 물체 8, 물체 9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물체 1은 a) 공사 현장에 반입 또는 구비되고, 상기 현장을 비행 또는 운행하고, 상기 비행 또는 운행하면서 촬영하고, 상기 촬영 자료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b) 또는 상기 반입 또는 구비, 비행 또는 운행, 촬영, 송신에 더하여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상기 비행 또는 운행하도록 하는 조정기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모니터, 컴퓨터, 스크린, 컴퓨터의 모니터 중 하나에 제공, 상기 자료 또는 영상을 폰,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중 하나에 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2는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물체 3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면서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집진, 흡착, 방역, 살균, 소독, 처리, 먼지제거,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4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천공, 보링, 발파, 토공, 굴착, 굴삭, 절토, 성토, 준설, 매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5는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저장, 투입, 배합, 펌핑, 가압, 운송, 운반, 배송, 타설, 포설, 포장, 분사, 분수, 살수, 숏팅, 주입, 믹싱, 다짐, 양생,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6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목공, 석공, 조적, 철근공, 콘크리트공, 측량, 관측, 관찰, 감리, 감독, 발수, 방수, 지수, 차수, 방청, 코팅, 도장, 도배, 장판공, 바닥공, 지붕공, 창호공, 싱크대공, 유지, 보수, 보강, 식재, 녹화, 녹생토공, 숏크리트공, 시드스프레이, 인젝션공, 그라우팅공, 인테리어공,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7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청정 내지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8은 상기 공사 내지 축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고 상기 청정 내지 먼지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면서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회전, 전해, 방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체 9는 상기 반입, 구비, 비행, 운행, 촬영, 송신, 제공, 공사 내지 축조, 천공 내지 매립, 저장 내지 면처리, 목공 내지 리모델링, 청정 내지 먼지처리, 자화 내지 방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이상에 이용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의 예로는 작업 수단, 또는 작업을 위한 수단, 또는 작업을 하는 수단, 또는 작업에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1) 상기 수단은 a)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b) 또는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c) 또는 상기 장치,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d)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방전기가 이용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중 하나이고, 2) 상기 작업은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작업 중 하나이고, 3) 상기 수단 내지 시설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중 하나가 수행되고, 4) 상기 수단 내지 청정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도로 내지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이 조성되거나, 또는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이 정화 또는 처리되는 것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는 상기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로서, 이의 예로는 기(器)와 기(機), 기기와 기계, 장비와 장치, 자재 재료, 자재의 재료, 재요 이용 자재, 시설과 설비, 기기 구비 드론, 장치 구비 시스템, 프린터 구비 장비, 모빌리티 구비 장비, 장치 구비 모빌리티, 기(器)와 기(機)와 기기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기계와 장비와 장치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자재와 재료와 시설과 설비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드론과 수단과 시스템과 모빌리티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일시설, 일수단, 업무시설, 작업기, 제조기, 성형기, 이동장치, 도장기(器), 조성기(機), 건설기기, 혼합기계, 주입장비, 정화장치, 코팅자재, 보수재료, 진동시설, 양생설비, 작업드론, 분사수단, 인테리어시스템, 이동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일의 시설, 일의 수단, 업무의 시설, 작업의 기기, 제조의 기계, 성형의 기기, 이동의 장치, 도장의 시설, 조성의 장치, 건설의 기기, 혼합의 기계, 주입의 장비, 정화의 장치, 코팅의 자재, 보수의 재료, 진동의 시설, 양생의 설비, 작업의 드론, 분사의 수단, 인테리어의 시스템, 이동의 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일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일을 하는 시설, 일을 하는 수단, 업무를 하는 시설, 작업을 하는 기기, 제조를 하는 ㅈ장치 성형을 하는 기기, 이동을 하는 장치, 도장을 하는 시설, 조성을 하는 장치, 건설을 하는 기기, 혼합을 하는 기계, 주입을 하는 장비, 정화를 하는 장치, 코팅을 하는 자재, 보수를 하는 재료, 진동을 하는 시설, 양생을 하는 설비, 작업을 하는 드론, 분사를 하는 수단, 인테리어를 하는 시스템, 이동을 하는 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기(器)가 구비된 기(機), 기기와 기계가 구비된 장비, 장치가 구비된 자재, 재료가 구비된 시설, 설비가 구비된 드론, 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제조기(器)가 구비된 공사기(機), 생산기기와 요리기계가 구비된 정화장비, 건설장치가 구비된 시공자재, 분사재료가 구비된 도장시설, 해체설비가 구비된 공사드론, 진동수단이 구비된 배달시스템, 탑승장치가 구비된 비행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은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중 하나이고의 예를 들면 a)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b)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c)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치가 이용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c)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물질이 분사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d) 상기 진동기 내지 방전기가 이용되는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공사 또는 시공은 공사, 건설, 건축, 토목, 시공, 작업,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시설공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정화 또는 청정은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장치 또는 장비는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조, 통, 함, 콘, 나선, 기기, 기구, 기계, 노즐, 튜브, 호스, 탱크, 박스, 장치, 장비, 시설, 수단, 관로, 파이프, 디퓨저, 중공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공체는 a) 호스, 튜브, 파이프, 단관, 관로, 밴드, 중공관, 타설구, 타설관, 중공체, 내부 중공체, 자바라호스, 선단호스, 선단튜브, 선단파이프, 엔드호스, 엔드튜브, 엔드파이프, 2m 이하의 길이를 가진 중공체, 콘크리트 타설기 또는 타설구의 엔드호스 또는 엔드튜브 또는 엔드파이프; b) 상기 호스 ∼ 엔드파이프 중 하나의 선단부 또는 타설구, 내부 중공의 상기 호스 ∼ 엔드파이프; c) 상기 또는 하기의 튜브, 케이스, 고정자, 모터,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돌기 등이 구비된 상기 호스 ∼ 엔드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물질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액체, 분말, 공기, 재료,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오존, 음이온, 오존수, 회전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피톤치드, 하기 수(水) 내지 복합물, 하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하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하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 또는 '내지'는 등, ∼, 내지, a ∼ z, a 내지 z, 일정의 범위, 부터 ∼ 까지 등을 나타낸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의 예를 들면 작업하는 기(器), 일하는 기(機), 업무하는 기기, 작업하는 장비, 제조된 재(材), 제작된 기계, 생산하는 수단, 조리하는 장치, 요리하는 시스템, 튀김된 물품, 굽기하는 장치, 볶기 시설, 조림 설비, 정화 제품, 청정 프로그램, 화장 용품, 안마 센서, 힐링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복원, PC 복구, 처리하는 장치, 처치 기구, 치료 시설, 조성된 체(體), 형성 제품, 성형 물품, 공사 자재, 시공 재료, 건설 장비, 시설 건축, 저장하는 고(庫), GPS 투입, 혼합하는 시스템, 가압 장치, 굴착 시스템, 발파 설비, 운송하는 차(車), 컴퓨터 운반, GPS 이동, 차(車) 주행, 드론 비행, 모빌리티 탑승, 승차하는 모빌리티, 하차하는 장치, 배달하는 드론, 배송하는 모빌리티, 택배 어플리케이션, 탁송 하드웨어, 공급되는 제(劑), 타설 녹화기, 분사 벤츄리, 반도체 주입, 주사 CCTV, 숏팅 촬영 카메라, 코팅 녹화 CCTV, 도장하는 장비, 포설 기계, 포장 시스템, 믹싱 측기, 진동 측정기, 사이클론 다짐, 양생 시설, 면처리 장치, 프로그램 개량, PC 보수, 소프트웨어 보강, 장비 수리, 시설 해체, 시설 재개발, 3D프린터 이용 건축, 재건축 프로그램, 인테리어 장비, 리모델링 시설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일정의 수단, 작업을 위한 수단, 작업을 하는 수단, 작업에 사용되는 수단 등은 제4실시예에 의하면 수단 1, 수단 2, 수단 3, 수단 4, 수단 5, 수단 6, 수단 7, 수단 8, 수단 9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단 1은 a) 자신은 살균되고 자기와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은 소독함; 이는 자신은 살균되고 자기와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을 소독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단임, b) 자화기로 살균되고 진동기로 소독함; c) 자신은 살균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을 소독함; d) 자신은 오존기로 살균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을 가진기로 소독함; e) 자신은 살균 및 정화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은 소독 및 청정함; 이는 자신은 살균 및 정화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을 소독 및 청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단임, f) 소독기로 살균 및 방전기로 정화되고 자화기로 소독 및 진동기로 청정함; g) 자신은 살균 및 정화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을 소독 및 청정함; h) 자신은 음이온기로 살균 및 가진기로 정화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을 분해기로 소독 및 유동화기로 청정함; i) 자신은 살균 및 정화 및 자기장방사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은 소독 및 청정 및 오존처리함; 이는 자신은 살균 및 정화 및 자기장방사되고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을 소독 및 청정 및 오존처리하는 성능을 가진 수단임, j) 진동기로 살균 및 방역기로 정화 및 가진기로 자기장방사되고 회전기로 소독 및 방사기로 청정 및 소독기로 오존처리함; k) 자신은 살균 및 정화 및 자기장방사 및 진동처리되고 자기와 다른 물체 또는 물질 등은 소독 및 청정 및 오존처리 및 방전처리함; ℓ) 폭기기로 살균 및 반응기로 정화 및 배양기로 자기장방사 및 자화기로 진동처리되고 포집기로 소독 및 숏팅기로 청정 및 가습기로 오존처리 및 흡착기로 방전처리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2는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것을 하거나, 또는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것을 하면서, 또는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처리; b) 또는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처리; c) 또는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방역, 살균, 소독,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되면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3은 상기 수단 1, 2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것을 하거나, 또는 상기 수단 1, 2 등에 기재된 것을 하면서, 또는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상기 수단 2에 기재된 자화 ∼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자연재 사용의 에코, 나노미터재 사용의 나노, 미생물 사용의 바이오, 강성재 사용의 스마트, 2종 이상 물질 사용의 하이브리드,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적용 또는 포함되는 제(劑), 재(材), 원료,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나노재, 바이오재, 스마트재, 하이브리드재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재(材) 또는 재료의 예로는 에코재, 나노재, 바이오재, 스마트재, 하이브리드재, 에코재료, 나노재료, 바이오재료, 스마트재료, 하이브리드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4는 상기 수단 1, 2, 3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것을 하거나, 또는 상기 수단 1, 2, 3 등에 기재된 것을 하면서, 또는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상기 수단 2에 기재된 자화 ∼ 복합처리, 상기 수단 3에 기재된 이용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a) 발전기 구비, 태양발전기 구비, 풍력발전기 구비, 상기 발전기 중 하나에서 전기 생산; b) MFC(microbial fuel cell, 미생물연료전지, 바이오연료전지) 구비, 상기 MFC에 유기물 또는 폐기물 투입, 상기 투입에 의하여 MFC에서 전기 생산; c) 충전기 구비, 상기 충전기에 배터리 거치, 상기 전기를 상기 충전기에 공급, 상기 공급에 의하여 배터리 충전; d) 전해기 구비, 상기 전해기에 물과 전극을 투입, 상기 전기를 상기 전해기 또는 전극에 공급, 상기 공급에 의하여 전기분해,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물(H2O)를 분해하여 수소(H2) 및 산소(O2) 생산; e) 상기 수소를 연료전지에 투입, 상기 수소 투입에 의하여 연료전지에서 전기 생산; f) 상기 수소를 엔진에 투입, 상기 엔진에서 수소 폭발, 상기 폭발에 의하여 휠 또는 바퀴 회전, 상기 회전에 의하여 차량 또는 수소차 주행; g) 상기 충전기가 구비된 전기충전소 영업, 상기 배터리가 구비된 전기충전소 영업; h) 상기 수소를 수소탱크에 투입, 상기 수소탱크가 구비된 수소충전소 영업; i) 상기 산소를 산소통 또는 산소방에 투입, 상기 산소 투입에 의하여 산소통 또는 산소방 사용; j) 상기 수소(H2)와 산소(O2) 혼합, 상기 혼합에 의하여 브라운가스(HHO) 조성, 상기 브라운가스 사용; k) 상기 수소 또는 브라운가스 점화, 상기 점화에 의하여 불꽃 또는 폭발 발생, 상기 불꽃을 연료로 또는 조리에 또는 용접에 사용, 상기 폭발이 엔진 내에서 진행, 상기 진행에 의하여 엔진 가동, 상기 가동에 의하여 휠 또는 바퀴 회전, 상기 가동 또는 회전에 의하여 차량 주행; ℓ) 상기 MFC가 장착된 발전기인 MFC형 발전기 구비; 상기 충전기 또는 배터리가 장착된 발전기인 충전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형 발전기 구비; 상기 연료전지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지형 발전기 구비; 상기 MFC와 전해기가 장착된 발전기인 MFC전해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와 연료전지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전지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와 충전기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충전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와 연료전지와 MFC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전지MFC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와 연료전지와 충전기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전지충전형 발전기 구비; 상기 전해기와 연료전지와 충전기와 MFC가 장착된 발전기인 전해전지충전MFC형 발전기 구비; m) 상기 발전기, 충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충전기, 배터리, MFC, 전해기, 수소, 엔진, 연료전지, 산소통, 산소방, 수소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수소차, 전기차, 수소드론, 전기드론, 수소모빌리티, 전기모빌리티, 수소UAM(urban air mobility), 전기UAM, 수소충전소, 전기충전소 중 하나 사용 또는 가동; n) 상기 발전기 구비 ∼ 사용 또는 가동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5는 상기 수단 4에 기재된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이 되거나, 또는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을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수단 4는 상기 수단 1, 2, 3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것을 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자화 ∼ 복합처리, 이용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부분이 삭제된 나머지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수단 6은 상기 수단 4에 기재된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수단 3에 기재된 상기 이용이 되거나, 또는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이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7은 상기 수단 4에 기재된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상기 수단 3에 기재된 이용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수단 2에 기재된 상기 자화 ∼ 복합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8은 상기 수단 4에 기재된 상기 발전기 구비 ∼ 복합, 상기 수단 3에 기재된 이용, 상기 수단 2에 기재된 자화 ∼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는 상기 수단 1, 2, 3, 4, 5, 6, 7, 8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것으로, 드론, 비행체, 플로터, 칵보드, 3D프린터,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3D프린터의 플로터 중 하나인 수단 91, 수단 92, 수단 93, 수단 94, 수단 95, 수단 96, 수단 97, 수단 9, 수단 99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단 91은 공사를 하면서 또는 공사를 보조하면서 또는 공사 중에 공사, 작업자, 공사 장면, 공사 시설, 공사 건물,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2는 비행을 하고 공사를 하면서 또는 공사를 보조하면서, 또는 비행을 하면서 공사 중에 공사, 작업자, 공사 장면, 공사 시설, 공사 건물,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3은 촬영을 하고, 상기 촬영의 내용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의 내용이 폰, PC, 컴퓨터, 모니터, 감독자, 사무실 중 하나에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4는 촬영 또는 측량을 하고, 상기 촬영 또는 측량 내용을 저장 또는 송신하고, 상기 촬영 또는 측량 내용이 이용되어 매핑, 도면 작성, 지형도 작성, 3차원 매핑, 3차원 도면 작성, 3차원 지형도 작성, 토공량 산정, 공사량 산정, 작업량 산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5는 촬영을 하면서 촬영 내용을 송신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6은 촬영을 하면서 촬영 내용을 송신하고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7은 촬영을 하면서 촬영 내용을 송신하고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를 하고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8은 촬영을 하면서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 99는 촬영을 하면서 자재를 운반하고, 오존을 방사하고, 살균제를 방출하여 살균을 하고, 전기 방전하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는 a)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방법, 공법,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모빌리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상기 발전기 내지 수소탱크, 상기 수소차 내지 전기충전소; b) 또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전기충전소; c) 상기 기(器) 내지 전기충전소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d)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e)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f) 상기 살균되고 소독함 ∼ 방전처리함, 자화 ∼ 복합처리, 이용, 발전기 구비 ∼ 복합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일정의 수단, 작업을 위한 수단, 작업을 하는 수단, 작업에 사용되는 수단 등은 제5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1은 a) 자화되거나 또는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본 발명에서 방법은 방법, 공법, 공사 방법, 시공 방법, 정화 방법, 청정 방법, 처리 방법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공사 또는 시공은 공사, 건설, 건축, 토목, 시공, 작업,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시설공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정화, 청정, 처리 등은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은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물질, 재료, 하기 수(水)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는 ∼, 내지, 범위, a ∼ z, a 내지 z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은 '상기 자화되거나 내지 살균 처리되는' 등을 나타낸다.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은 자화되거나 또는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되는 을 나타낸다.
상기 2는 a) 자화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1은 수동태 형식의 내용이고, 상기 2는 능동태 형식의 내용이다.
상기 3은 a) 오존 처리되고,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와 동시에 자기장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와 동시에 전기 방전 물질이 조사되고, 상기 조사와 동시에 살균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거나, b) 또는 상기 오존 처리되고 ∼ 살균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오존 처리하고 ∼ 살균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오존 처리하고 ∼ 살균하는 장치는 오존 처리하고,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와 동시에 자기장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와 동시에 전기 방전 물질을 조사하고, 상기 조사와 동시에 살균하는 장치가 해당된다.
상기 4는 a) 오존 발생과 동시에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가진하는 진동기,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1, 2, 3 등에 기재된 장치, 상기 1, 2, 3 등에 기재된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또는 순차 처리된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거나, b)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방역, 살균, 소독, 오존, 음이온, 진동, 가진, 자기장, 방전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또는 순차 처리된 수단이거나, c) 또는 상기 상기 진동기 내지 물질 등으로 처리된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5는 a) a1) 스테이터(2), 이에 거치된 로터(1), 이 로터의 회전축(3) 또는 양측 회전축(도 10의 b, d, e, f, g에서 부호 3) 또는 힌지(240) 구비 회전축(3), 이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이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는 케이스(7)와, a2) 상기 스테이터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자화기(31), 가진기(33), 오존기(34)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b) 상기 케이스 또는 장치가 투입된 중공체(102, 104); c) 상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연계되면서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6, 8); d) 상기 케이블에 순차 연계되는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e) 상기 장치 또는 중공체를 거친 물질(80); f) 상기 장치 또는 중공체로 처리된 또는 진동 처리된 물질(80); g) 상기 장치 또는 중공체에서 제공되는 물질(80);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6은 a) 진동(42)하면서 오존(44)을 방사하는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에 장착되면서 음이온(45)을 방사하는 진동기(32)와, 상기 진동기에 거치되면서 자기장(41)을 방사하는 가진기(33)와, 상기 가진기에 부착되면서 전기방전하는 오존기(34)와, 상기 오존기에 연계되면서 진동(42)하는 음이온기(35)로 구성된 장치(36); b)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80); c) 상기 장치로 처리된 물질(80); d)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80);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7은 a) 1차 자화 또는 자기장 처리(41), 2차 진동 처리(42), 3차 가진 처리(43), 4차 오존 처리(44), 5차 음이온 처리(45), 6차 소독 처리, 7차 살균 처리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거나, b) 또는 상기 7차, 6차, 5차, 4차, 3차, 2차, 1차의 순으로 처리가 되는 수단이거나, c) 또는 상기 처리를 하는 장치, 상기 처리된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8은 a) 케이스(7); 또는 회전체(4)가 구비된 케이스(7); 가 진동 또는 가진하고, 상기 케이스(7) 상부에서 자화를 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하는 상부에서 오존을 방사하거나 또는 상기 발생하는 상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7)에 연계된 케이블(6, 8)에서 오존을 방사하고, 상기 방사 부위에서 음이온을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방사 부위에 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계된 케이블에서 음이온을 방출하는 장치; b) 또는 상기 진동, 가진, 자화, 발생, 방사, 방출하는 진동기, 가진기, 자화기, 오존기, 음이온기가 구비된 장치; c)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d) 상기 장치로 처리된 물질; e)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9는 상기 장치, 물질, 방역, 살균, 소독, 오존, 음이온, 진동, 가진, 자기장, 방전, 자화, 방사, 처리,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케이블,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자화기(31), 자기장기,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자화물(41), 자기장,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유동화물, 방전물, 소독물, 살균물; b)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40, 46), 복합기(30, 36), 중공체(102, 104), 복합물(40, 46);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상기 수단, 상기 수단 1, 상기 수단 2, 상기 수단 3, 상기 수단 4, 상기 수단 5, 상기 수단 6, 상기 수단 7, 상기 수단 8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40)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코일(16)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은 a) 코일, 전극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정착, 권선 등이 되는 것; b) 또는 코일, 전극 등에 전기, 전선, 전원, 전류, 전압 등이 인가되는 것; c) 또는 상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전기분해, 전기방전 등이 발생되는 것; d) 또는 상기 자기장, 전기분해, 전기방전 등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살균, 전해, 방전, 이온, 가스, 스파크, 방역, 살균, 소독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발생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등은 등, 또는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이 해당된다. 상기 전극은 전극, 양극, 음극, anode, cathode, 전도체, 전기가 공급되는 물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9의 적용 시에 또는 상기 9의 수단 적용 시에 하기 9a, 9b, 9c, 9d 중 하나 이상이 해당된다. 상기 9a는 a1)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40, 41, 42, 43, 44, 45, 46)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9b는 b1)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9c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40, 41, 42, 43, 44, 45, 46)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9d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은 상기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b) 복합, c) 자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는 상기 a) 자화기,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b) 복합기, d)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은 상기 a) 자화물, 자기장,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유동화물, 방전물, 소독물, 살균물, b) 복합물, e)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은 상기 a) 자화 내지 살균물; b) 복합 내지 복합물; c) 자화 내지 복합물; e)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것으로 이의 예로는 자화와 진동의 복합,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진동 및 가진을 하는 중공체, 회전기와 방전기가 구비된 중공체, 오존물과 살균물의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는 자화, 물질자화, 물체자화, 자기장 방사, 자화기에 의한 자화, 자화물에 의한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자화, 진동하는 자화, 소독기에 의한 자화, 살균물의 자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은 진동, 물질진동, 물체진동, 진동기에 의한 진동, 진동물에 의한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진동, 살균하는 진동, 방전기에 의한 진동, 소독물의 진동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은 가진, 물질가진, 물체가진, 가진기에 의한 가진, 가진물에 의한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가진, 자화하는 가진, 유동화기에 의한 가진, 방전물의 가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은 오존, 오존처리, 오존방사, 오존조사, 오존소독, 오존살균, 물질오존처리, 물체오존살균, 오존기에서 방사되는 오존, 오존물에서 조사되는 오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오존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오존, 살균하는 오존, 전해기에 생성되는 오존, 분해물에서 발산되는 오존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 음이온처리, 음이온방사, 음이온조사, 음이온소독, 음이온살균, 물질음이온처리, 물체음이온청정, 음이온기에서 방사되는 음이온, 음이온물에서 조사되는 음이온,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음이온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이온, 소독하는 음이온, 회전기에 생성되는 음이온, 전해물에서 발산되는 음이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은 회전, 물질회전, 물체회전, 회전기에 의한 회전, 회전물에 의한 회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회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회전, 유동화하는 회전, 자화기에 의한 회전, 진동물의 회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는 분해, 물질분해, 미생물분해, 분해기에 의한 분해, 분해물에 의한 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분해, 전해하는 분해, 방전기에 의한 분해, 오존물의 분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는 전해, 전기분해, 물질전해, 전해질전해, 전해기에 의한 전해, 전해물에 의한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전해, 분해하는 전해, 오존기에 의한 전해, 자화물의 전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는 유동화, 물질유동화, 콘크리트유동화, 유동화기에 의한 물질 유동화, 유동화물에 의한 유동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유동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유동화, 회전하는 유동화, 회전기에 의한 유동화, 진동물의 유동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은 방전, 전기방전, 물질방전, 물체방전, 방전기에 의한 방전, 방전물에 의한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방전, 소독하는 방전, 살균기에 의한 방전, 오존물의 방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은 소독, 물질소독, 물체소독, 소독기에 의한 소독, 소독물에 의한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살균, 소독하는 소독, 방전기에 의한 소독, 가진물의 소독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은 살균, 물질살균, 물체살균, 살균기에 의한 살균, 살균물에 의한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살균, 소독하는 살균, 분해기에 의한 살균, 방전물의 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는 자화기(30, 31), 물질자화기, 물체자화기, 자기장 방사기, 자화를 하는 자화기, 자화물을 발생하는 자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자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된 자화기, 살균을 하는 자화기, 진동기에 부착된 자화기, 소독물을 생성하는 자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30, 32), 물질진동기, 물체진동기, 진동하는 진동기, 진동물을 조성하는 진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진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진동기, 자화하는 진동기, 소독기에 장착된 진동기, 살균물을 제공하는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는 가진기(30, 33), 물질가진기, 물체가진기, 가진하는 가진기, 가진물을 생성하는 가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가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가진기, 전해하는 가진기, 오존기에 거치된 가진기, 소독물을 공급하는 가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는 오존기(30, 34), 오존처리기, 오존방사기, 오존조사기, 오존소독기, 오존살균기, 물질오존처리기, 물체오존살균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오존물을 생성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오존기, 자화하는 오존기, 분해기에 부착된 오존기, 전해물을 발산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는 음이온기(30, 35), 음이온처리기, 음이온방사기, 음이온조사기, 음이온소독기, 음이온살균기, 물질음이온처리기, 물체음이온청정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음이온물을 생성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음이온기, 자화하는 음이온기, 소독기에 거치된 음이온기, 살균물을 발산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는 회전기, 물질회전기, 물체회전기, 회전하는 회전기, 회전물을 생성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회전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회전기, 유동화하는 회전기, 진동기에 장착된 회전기, 소독물을 공급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는 분해기, 물질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배양기, 분해를 하는 분해기, 미생물을 분해를 하는 분해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분해기, 분해물을 조성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분해기, 자화하는 분해기, 소독기에 거치된 분해기, 음이온물을 발생하는 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전기분해기, 물질전해기, 전해질전해기, 전해하는 전해기, 전해물을 생성하는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전해기, 살균하는 전해기, 오존기에 거치되는 전해기, 진동물을 생성하는 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기는 유동화기, 물질유동화기, 콘크리트유동화기, 유동화를 하는 유동화기, 유동화물을 조성하는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거치되는 유동화기, 가진하는 유동화기, 회전기에 장착된 유동화기, 자화물을 공급하는 유동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는 방전기, 전기방전기, 물질방전기, 물체방전기, 방전하는 방전기, 방전물을 발산하는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방전기, 살균하는 방전기, 자화기에 정착된 방전기, 진동물을 생성하는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기는 소독기, 물질소독기, 물체소독기, 소독을 하는 소독기, 소독물을 분사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소독기, 오존처리하는 소독기, 살균기에 부착된 소독기, 회전물을 분사하는 소독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는 살균기, 등(燈), 광원기, LED기, 방사기, 물질살균기, 물체살균기, 살균하는 살균기, 살균물을 생성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살균기, 진동하는 살균기, 전해기에 연계되는 살균기, 오존물을 조성하는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물은 자화물, 물질자화물, 물체자화물, 자기장 방사물, 자화하는 자화물, 자화기에 발생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자화물, 소독을 하는 자화물, 가진기에서 발생되는 자화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자화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물은 진동물, 물질진동물, 물체진동물, 진동하는 진동물, 진동기에 발생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진동물, 자화하는 진동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진동물, 살균물에 포함되는 진동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물은 가진물, 물질가진물, 물체가진물, 가진하는 가진물, 가진기에 발생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가진물, 전해하는 가진물,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가진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가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물은 오존물, 오존처리물, 오존방사물, 오존조사물, 오존소독물, 오존살균물, 물질오존처리물, 물체오존살균물,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물, 오존기에 발생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오존물, 자화하는 오존물, 분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물, 전해물에 투입되는 오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물은 음이온물, 음이온처리물, 음이온방사물, 음이온조사물, 음이온소독물, 음이온살균물, 물질음이온처리물, 물체음이온청정물,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물,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음이온물, 자화하는 음이온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살균물에 포함되는 음이온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물은 회전물, 물질회전물, 물체회전물, 회전하는 회전물, 회전기에 발생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회전물, 유동화하는 회전물,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회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물은 분해물, 물질분해물, 미생물분해물, 분해를 하는 분해물, 분해기에 발생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분해물, 자화하는 분해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분해물, 음이온물에 투입되는 분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물은 전해물, 전기분해물, 물질전해물, 전해질전해물, 전해하는 전해물, 전해기에 발생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전해물, 살균하는 전해물,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전해물, 진동물에 포함되는 전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물은 유동화물, 물질유동화물, 콘크리트유동화물, 유동화를 하는 유동화물, 유동화기에 발생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유동화물, 가진하는 유동화물, 회전기에서 발생되는 유동화물, 자화물에 주입되는 유동화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물은 방전물, 전기방전물, 물질방전물, 물체방전물, 방전하는 방전물, 방전기에 발생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방전물, 살균하는 방전물, 자화기에서 발생되는 방전물, 진동물에 함유되는 방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물은 소독물, 소독제, 물질소독물, 물체소독물, 소독을 하는 소독물, 소독기에 발생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소독물, 오존처리하는 소독물,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소독물, 회전물에 포함되는 소독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물은 살균물, 살균제, 광촉매, 피톤치드, 물질살균물, 물체살균물, 살균하는 살균물, 살균기에 발생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살균물, 진동하는 살균물, 전해기에서 발생되는 살균물, 오존물에 혼합되는 살균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합(40, 46)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자화와 진동의 복합, 자화와 진동과 가진의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합기(30, 36)는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자화기와 진동기의 복합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중공체는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또는 상기 둘 이상이 내부에 구비된 중공체, 튜브, 파이프, 중공관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7, 37, 76, 77, 102, 104)이다. 상기 복합물(40, 46)은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물, 방전물과 소독물의 복합물, 방전물과 소독물과 살균물의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0은 1) a) 튜브(7), 케이스(7); b) 이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모터(26), 고정자(2); c)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거치된 회전자(1); d)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3), 일측 회전축(도 10의 a, c에서 부호 3), 상부 회전축, 하부 회전축, 양측 회전축(도 10의 b, d, e, f, g에서 부호 3), 상하 회전축, 좌우 회전축, 힌지(240) 구비 회전축(3); e) 상기 회전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거치된 베어링(5), 회전마찰 방지 베어링(5); f)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일측 회전체(도 10의 a, c에서 부호 4), 양측 회전체(도 10의 b, d, e, f, g에서 부호 4); g)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튜브(7), 케이스(7); h) 돌기(230)가 구비된 상기 튜브(7), 케이스(7); i)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돌기(230); k) 상기 전달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230); k) 상기 튜브 내지 돌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케이블(6) 또는 호스(8); ℓ) 코일(16)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자기장기, 자화형진동기, 진동형 자기장기, 자기장형 진동기, 자화 겸용 진동기 등이면서, x)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중 하나 이상에 코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40) 이상이 이용되거나, y) 또는 상기 튜브(7)에서 음이온 발생, 상기 케이스(7)에서 오존 발생, 상기 모터(26)에 오존기 구비, 상기 고정자(2)에 살균제 분사, 상기 회전자(1)에 오존물 분사, 상기 회전축(3)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회전기가 이용, 상기 회전체(4)에 가진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장치;
2) 상기 튜브, 케이스, 자기장기, 장치 중 하나가 투입된 중공체(102, 104); 3)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케이블(6) 또는 호스(8); 4) 상기 케이블 또는 호스에 순차 연계되는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5) 상기 장치 또는 중공체를 거친 물질(80); 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중공체, 물질; 7) 하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중공체, 물질; 8) 하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중공체,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또는 상기 수단 1, 2, 3, 4, 5, 6, 7, 8, 9 중 하나이다.
상기 11은 a) 분해, 전해, 방전, 미생물분해, 전기분해, 전기방전 중 하나에서 발생되면서,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면서, c) 상기 1 내지 10 등의 장치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분해물, 전해물, 방전물, 가스, 바이오가스, 수소, 산소, 효소, 미생물, 이온, 오존, 양이온, 음이온, 이온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또는 상기 수단 1, 2, 3, 4, 5, 6, 7, 8, 9, 10 중 하나이다.
상기 12는 a) 수화반응, 수산화칼슘반응, 수화수산화칼슘반응,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중 하나의 반응을 하고, b) 상기 반응 중 또는 후에 폴리머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포졸란반응, 포졸란폴리머반응 중 하나의 반응을 하고, c) 상기 반응 중 또는 후에 팽창반응, 열발생,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고, d) 상기 반응 중 또는 후에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고, e) 상기 반응, 형성,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장치가 사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13은 a) 상기 장치 내지 도장, 반응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첨가제 1, 첨가제 2, 첨가제 3, 첨가제 4,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물질이 이용되거나, b) 또는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가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장치 내지 도장은 상기 9 등에 기재된 상기 장치, 물질, 방역, 살균, 소독, 오존, 음이온, 진동, 가진, 자기장, 방전, 자화, 방사, 처리,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케이블, 이용 내지 도장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은 수화반응, 수산화칼슘반응, 수화수산화칼슘반응, 수산화수화칼슘반응, 폴리머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포졸란반응, 포졸란폴리머반응, 팽창반응, 열발생,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등이 또는 중 하나가 해당된다.
상기 첨가제 1은 a)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물 5∼30중량부, 광미 50∼80중량부, 석회 80∼95중량부, 황토 1∼15중량부, 수지 0.01∼10중량부, 라텍스 0.001∼5중량부, 미생물 0.0001∼1.5중량부, K2O 0.03∼1.5중량부, CaO 60∼90중량부, SiO2 2∼12중량부, MgO 1∼4중량부, Na2O 0.01∼1.5중량부, Al2O3 0.1∼3.5중량부, Fe2O3 0.2∼3.5중량부, COOH 0.001∼3.3중량부, CH4 0.001∼2.6중량부, C2H4 0.001∼1.4중량부, Na2SiO3 0.1∼8.3중량부, SO3 0.1∼1.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셋 이상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첨가제이다.
상기 첨가제 2는 a)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산물 10∼30중량부, 폐분 1∼5중량부, 애쉬 80∼95중량부, 슬래그 10∼70중량부, 폴리머 0.01∼10중량부, 라텍스 0.001∼5중량부, 피톤치드 0.001∼3중량부, K2O 0.2∼6중량부, CaO 8∼18중량부, SiO2 50∼80중량부, MgO 1∼5중량부, Na2O 10∼14중량부, Al2O3 2∼6중량부, Fe2O3 0.3∼3.5중량부, COOH 0.001∼3.3중량부, CH4 0.001∼2.4중량부, C2H4 0.001∼1.2중량부, Na2SiO3 0.1∼8중량부, SO3 0.5∼4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셋 이상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첨가제이다.
상기 첨가제 3은 a)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광물 5∼30중량부 내지 SO3 0.1∼1.5중량부 중 셋 이상과 상기 부산물 10∼30중량부 내지 SO3 0.5∼4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셋 이상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첨가제이다.
상기 첨가제 4는 a) 상기 첨가제 1, 첨가제 2, 첨가제 3 중 하나 이상과 Ca-Si-COOH, Ca-Si-Polymer, Ca-Si-Pozzolan, CaO-SiO2-COOH, CaO-Si-Polymer, CaO-SiO2-Pozzolan, Ca-Si-COOH-Cell, Ca-Si-Polymer-Cell, Ca-Si-Pozzolan-Cell, CaO-SiO2-COOH-Cell, CaO-Si-Polymer-Cell, CaO-SiO2-Pozzolan-Cell, Ca-Si-COOH 혼합물, Ca-Si-Polymer 혼합물, Ca-Si-Pozzolan 혼합물, CaO-SiO2-COOH 혼합물, CaO-Si-Polymer 혼합물, CaO-SiO2-Pozzolan 혼합물, Ca-Si-COOH-Cell 혼합물, Ca-Si-Polymer-Cell 혼합물, Ca-Si-Pozzolan-Cell 혼합물, CaO-SiO2-COOH-Cell 혼합물, CaO-Si-Polymer-Cell 혼합물,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Ca-Si-COOH 반응물, Ca-Si-Polymer 반응물, Ca-Si-Pozzolan 반응물, CaO-SiO2-COOH 반응물, CaO-Si-Polymer 반응물, CaO-SiO2-Pozzolan 반응물, Ca-Si-COOH-Cell 반응물, Ca-Si-Polymer-Cell 반응물, Ca-Si-Pozzolan-Cell 반응물, CaO-SiO2-COOH-Cell 반응물, CaO-Si-Polymer-Cell 반응물,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첨가제이다.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Cell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함유된 물질이다. 상기 Ca-Si-COOH 혼합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상기 Ca-Si-COOH 반응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등은 1)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반응한 반응물; 2) 또는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과 물, 수분, 액체, CO2 등과 반응한 반응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는 칼슘; Si는 규소; COOH는 카르복실기; Polymer는 폴리머; Pozzolan는 포졸란, 포졸란제, 포졸란물질, 포졸란반응하는 물질; CaO는 생석회, 산화석회; SiO2는 이산화규소; 등이 해당된다.
상기 Cell은 셀, 세포, 전지, 생물, 미생물, 미생물세포, 바이오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등이고, 상기 + Cell은 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 미생물,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중 하나가 반응, 결합, 융합, 부착, 합체, 함유, 생성, 조성, 형성 등이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 는 또는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 혼합물 등에서 - 는 -, ㆍ, +, and, 및, 와, 과, 그리고, 결합, 연결, 연계, 반응, 응집, 포함, 함유, 겔, 결합, 연결, 조합, 체결, 반응, 결합겔, 화학결합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Ca-Si-COOH은 Ca-Si-COOH, CaSiCOOH, Ca와Si와COOH, Ca및Si및COOH, Ca결합Si결합COOH, Ca연결Si연결COOH 등이 해당된다.
상기 14는 a) a1)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튜브형 또는 중공형(37) 자화기(31), 진동기(32),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여기서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는 상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복합의 처리기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처리기이다. a2) 또는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의 전단에 장착된 유입구(72); 상기 튜브 내지 처리기 중 하나의 내부에 장착된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 상기 튜브 내지 처리기 중 하나의 후단에 장착된 또는 순차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a4) a41)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고전압발생기(99); a42)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거치된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103); a43) 상기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거치된 저장고(60),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a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6); 상기 물질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4); 상기 유입구 내지 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a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a7)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6, 8),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a8) 상기 a1) 자화기 내지 a7)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가 구비된 장치1(50); b) b1)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가 구비된 상기 장치1;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1;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1;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 또는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하는 상기 장치1;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1; g) 상기 장치1, 하기 장치2, 하기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1을 거친 물질, 상기 장치1에서 제공되는 물질, 상기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 i) 하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1, 물질; j) 하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1,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자기장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은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자기장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방전물, 살균물,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분해는 미생물분해, 전해는 전기분해, 방전은 전기방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물질유입구의 물질 등은 상기 또는 하기의 수(水) ∼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장고, 콤프레서,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 등에서는 물질, 압기(壓氣), 압축공기(壓縮空氣)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개폐간격(開閉間隔), 타이머 등에 의하여 물질, 압기 등이 공급(開), 무공급(閉), 공급(開), 무공급(閉) 등을 반복적으로 하여 시간차를 주는 펄스, pulse, 비주기적압력. 시간차압력, 진동압력, 충격압력, 펄스압기, 막혔다가(閉) 갑자기 뻥뚤리는(開) 압력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15는 a) a1)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37)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a2) 또는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전단에 장착된 유입구(72); 내부에 장착된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장착된 또는 순차 장착된 티이관(75), 벤츄리관(77), 유출구(78); a4) 상기 티이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103), 저장고(60),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a5)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9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a6)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4);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6); 상기 체크밸브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4);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74) 또는 티이관(75); 상기 유입구 내지 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상기 저장고(60)에는 물질, 첨가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80)이 저장되고, 이의 저장물은 상기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등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에 주입되고, 이의 주입물은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을 흐르는 물질에 첨가되게 된다. a7)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a8)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6, 8),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a9)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전원공급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가 구비된 장치2(51); b) b1)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가 구비된 상기 장치2;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2;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2;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 또는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하는 상기 장치2;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2; g) 상기 장치1, 상기 장치2, 하기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2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2에서 제공되는 물질, 상기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 i) 하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2, 물질; j) 하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2,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장치1, 장치2, 자화기 내지 케이스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물체, 장비, 장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에 또는 등이 이용, 구비 등이 가능하다.
상기 16은 a) a1) 유입 파이프(72, 76); a2) 상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벤츄리(77); a3) 상기 벤츄리의 축소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거치된 인젝터(93); a4) 상기 벤츄리 후단에 연결된 유출 파이프(78); a5) 상기 인젝터에 연결된 체크밸브(91); a6)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된 호스(75, 76, 78); a7) 상기 호스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기(95, 96); a8) 상기 호스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기(95, 96); a9) 상기 호스에 압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셔(105); a10) 상기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92); a11)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98); a12) 물 또는 공기 또는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 파이프(70, 71, 72); a13)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a14) 상기 개폐 시간 조정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또는 충격적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압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a15) 상기 펄스압이 가미된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물, 공기, 물질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로 구성되면서, a16) 상기 유출 파이프에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수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장치3(52); b) b1) 상기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5)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5) 유출 파이프; 가 구비된 상기 장치3;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3;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3;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하는 상기 장치3;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3; g)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3을 거친 물질, 상기 장치3에서 제공되는 물질, 상기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 i) 하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3, 물질; j) 하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장치3,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17은 a) 1차 전기 방전하고, 2차 오존 조사하고, 3차 살균하고, 4차 자기장을 방사하면서 상기 방전, 조사, 살균, 방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이용하는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장치; b) 이 장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사용되는 상기 장치,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18은 a)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고, 자기장을 형성하는 살균기; b) 이 살균기를 거친 물질; c) 상기 살균기가 구비된 장치 또는 상기 살균기가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19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b)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자화기 내지 전원공급기,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장치3을 거친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c) c1)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방역, 살균, 소독, 폭기기, 발포기, 팽창기, 반응기, 흡착기, 포집기, 집진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소독기, 살균기, 폭기제, 발포제, 팽창제,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집진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소독제, 살균제, 촉매, 수지, 애쉬, 기포, 광촉매, 미생물, 부산물, 슬래그, 광원, 램프, LED, 피톤치드; c2) 상기 폭기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LED는 Light-Emitting Diode란 영어의 약자, 발광다이오드 등을 나타낸다. 발광다이오드는 Ga(갈륨), P(인), As(비소)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반도체이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 등으로 빛을 발한다. 다이오드는 이극체(diode) 즉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모두 가진 물체이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적용 시에 또는 상기 19의 수단 적용 시에 하기 19a, 19b, 19c, 19d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19a는 a1)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19b는 b1)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19c는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19d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은 상기 c1)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방역, 살균, 소독, c2)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는 상기 c1) 폭기기, 발포기, 팽창기, 반응기, 흡착기, 포집기, 집진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소독기, 살균기, c2)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은 상기 c1) 폭기제, 발포제, 팽창제,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집진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소독제, 살균제, 촉매, 수지, 애쉬, 기포, 광촉매, 미생물, 부산물, 슬래그, 광원, 램프, LED, 피톤치드, c2)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은 상기 c1) 폭기 내지 피톤치드, c2) 복합, 복합기,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폭기는 폭기, 물질폭기, 풍력폭기, aeration, 폭기기에 의한 폭기, 풍력폭기기에 의한 폭기, 폭기제에 의한 폭기, 풍력폭기기에 공급되는 압기(壓氣)에 의한 폭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폭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폭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폭기, 발포하는 폭기, 반응기에 의한 폭기, 팽창제의 폭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발포는 발포, 물질발포, 발포기에 의한 발포, 발포제에 의한 발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발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발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발포, 팽창하는 발포, 소독기에 의한 발포, 살균제의 발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팽창은 팽창, 물질팽창, expansion, 팽창기에 의한 팽창, 팽창제에 의한 팽창,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팽창,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팽창,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팽창, 발포하는 팽창, 반응기에 의한 팽창, 팽창제의 팽창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d) 상기 반응은 반응, 물질반응, 반응기에 의한 반응, 반응제에 의한 반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반응,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반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반응, 응집하는 반응, 침전기에 의한 반응, 살균제의 반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흡착은 흡착, 물질흡착, sorption, adsorption, 흡착기에 의한 흡착, 흡착제에 의한 흡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흡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흡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흡착, 포집하는 흡착, 여과기에 의한 흡착, 소독제의 흡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포집은 포집, 물질포집, capture, 포집기에 의한 포집, 포집제에 의한 포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포집, 흡착하는 포집, 흡착기에 의한 포집, 응집제에 의한 포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응집은 응집, 물질응집, coagulation, 응집기에 의한 응집, 응집제에 의한 응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응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응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응집, 침전하는 응집, 포집기에 의한 응집, 흡착제의 응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d) 상기 침전은 침전, 물질침전, sedimentation, 침전기에 의한 침전, 침전제에 의한 침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침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침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침전, 응집하는 침전, 응집기에 의한 침전, 포집제의 침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e) 상기 여과는 여과, 물질여과, filtering, 여과기에 의한 여과, 여과제에 의한 여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여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여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여과, 반응하는 여과, 포집기에 의한 여과, 응집제의 여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소독은 소독, 물질소독, 소독기에 의한 소독, 소독제에 의한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소독, 폭기하는 소독, 팽창기에 의한 소독, 발포제 이용의 소독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살균은 살균, 물질살균, 살균기에 의한 살균, 살균제에 의한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살균, 응집하는 살균, 여과기에 의한 살균, 반응제에 의한 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폭기기는 폭기기, 물질폭기기, 풍력폭기기, 폭기를 하는 폭기기, 폭기를 하는 풍력폭기기, 폭기제를 공급하는 폭기기, 압기(壓氣)를 공급하는 풍력폭기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폭기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폭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폭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폭기기, 발포하는 폭기, 반응기에 의한 폭기, 팽창제의 폭기, 반응기가 구비된 폭기기, 팽창제가 공급되는 폭기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발포기는 발포기, 물질발포기, 발포를 하는 발포기, 발포제를 주입하는 발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발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발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발포기, 팽창하는 발포기, 소독기가 구비된 발포기, 살균제가 공급되는 발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팽창기는 팽창기, 물질팽창기, 물질을 팽창시키는 팽창기, 팽창제를 주입하는 팽창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팽창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팽창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팽창기, 발포하는 팽창기, 반응기가 구비된 팽창기, 폭기제가 공급되는 팽창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물질반응기,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기, 반응제가 주입되는 반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반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반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반응기, 응집하는 반응기, 침전기가 구비된 반응기, 살균제가 공급되는 반응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흡착기는 흡착기, 물질흡착기,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 흡착제가 투입되는 흡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흡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흡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흡착기, 포집하는 흡착기, 여과기가 구비된 흡착기, 소독제가 투입되는 흡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포집기는 포집기, 물질포집기,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기, 포집제가 투입되는 포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포집기, 흡착하는 포집기, 흡착기가 구비된 포집기, 응집제가 투입되는 포집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응집기는 응집기, 물질응집기, 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기, 응집제가 투입되는 응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응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응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응집기, 침전하는 응집기, 포집기가 구비된 응집기, 흡착제가 투입되는 응집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침전기는 침전기, 물질침전기, 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기, 침전제가 투입되는 침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침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침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침전기, 응집하는 침전기, 응집기가 구비된 침전기, 포집제가 투입되는 침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여과기는 여과기, 물질여과기,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 여과제가 투입되는 여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여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여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여과기, 반응하는 여과기, 포집기가 구비된 여과기, 응집제가 투입되는 여과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소독기는 소독기, 물질소독기, 소독하는 소독기,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소독기, 폭기하는 소독기, 팽창기가 구비된 소독기, 발포제가 투입되는 소독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살균기는 살균기, 등(燈), 광원기, LED기, 방사기, 물질살균기, 살균하는 살균기, 살균제를 분사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살균기, 응집하는 살균기, 여과기가 구비된 살균기, 반응제가 투입되는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폭기제는 폭기제, 물질폭기제, 폭기하는 폭기제, 폭기기에 투입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폭기제, 발포하는 폭기제, 반응기에 이용되는 폭기제, 팽창제에 추가되는 폭기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발포제는 발포제, 물질발포제, 발포하는 발포제, 발포기에 투입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발포제, 팽창하는 발포제, 소독기에 이용되는 발포제, 살균제에 추가되는 발포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팽창제는 팽창제, 물질팽창제, 물질을 팽창시키는 팽창제, 팽창기에 투입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팽창제, 발포하는 팽창제, 반응기에 이용되는 팽창제, 폭기제에 추가되는 팽창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d) 상기 반응제는 반응제, 물질반응제,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제, 반응기에 투입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반응제, 응집하는 반응제, 침전기에 이용되는 반응제, 살균제에 추가되는 반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흡착제는 흡착제, 물질흡착제,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흡착기에 투입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흡착제, 포집하는 흡착제, 여과기에 이용되는 흡착제, 소독제에 투입되는 흡착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포집제는 포집제, 물질포집제,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제, 포집기에 투입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포집제, 흡착하는 포집제, 흡착기에 이용되는 포집제, 응집제에 투입되는 포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응집제는 응집제, 물질응집제, 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제, 응집기에 투입되는 응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응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응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응집제, 침전하는 응집제, 포집기에 이용되는 응집제, 흡착제에 투입되는 응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d) 상기 침전제는 침전제, 물질침전제, 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제, 침전기에 투입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침전제, 응집하는 침전제, 응집기에 이용되는 침전제, 포집제에 투입되는 침전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여과제는 여과제, 물질여과제,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제, 여과기에 투입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여과제, 반응하는 여과제, 포집기에 이용되는 여과제, 응집제가 투입되는 여과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소독제는 소독제, 소독물, 물질소독제, 소독하는 소독제, 소독기에 투입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소독제, 폭기하는 소독제, 팽창기에 이용되는 소독제, 발포제에 투입되는 소독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살균제는 살균제, 살균물, 광촉매, 피톤치드, 물질살균제, 살균하는 살균제, 살균기에 투입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살균제, 응집하는 살균제, 여과기에 이용되는 살균제, 반응제가 투입되는 살균제 중 하나이다. d) 상기 촉매, 수지, 애쉬, 기포, 광촉매, 미생물, 부산물, 슬래그, 광원, 램프, LED, 피톤치드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능을 하는,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투입되는,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공급되는,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촉매 내지 피톤치드,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상기 19의 복합은 상기 폭기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폭기와 반응의 복합, 폭기와 반응과 응집의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복합기는 상기 폭기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반응기와 응집기의 복합기, 응집기와 여과기와 살균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19의 복합물은 상기 폭기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물, 반응제와 응집제의 복합물, 응집제와 침전제와 여과제의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20은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와 b)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자화기 내지 전원공급기,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장치3을 거친 물질, 유출구를 거친 물질,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과 c) c1)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탈수기, 선별기, 파쇄기, 숏팅기, 도포기, 도장기, 가습기, 제습기, 건조기, 처리기,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청소제, 세정제, 세척제, 탈수제, 선별제, 파쇄제, 숏팅제, 도포제, 도장제, 가습제, 제습제, 건조제, 처리제; c2) 상기 정화 내지 처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20의 적용 시에 또는 상기 20의 수단 적용 시에 하기 20a, 20b, 20c, 20d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20a는 a1)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20b는 b1)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20c는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20d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20의 복합은 상기 정화 내지 처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정화와 정수의 복합, 정화와 정수와 세척의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20의 복합기는 상기 정화 내지 처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청소기와 선별기의 복합기, 숏팅기와 세척기와 청소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20의 복합물은 상기 정화 내지 처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물, 정화제와 세척제의 복합물, 도포제와 도장제와 처리제의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은 상기 c1)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c2)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는 상기 c1)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탈수기, 선별기, 파쇄기, 숏팅기, 도포기, 도장기, 가습기, 제습기, 건조기, 처리기, c2)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은 상기 c1)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청소제, 세정제, 세척제, 탈수제, 선별제, 파쇄제, 숏팅제, 도포제, 도장제, 가습제, 제습제, 건조제, 처리제, c2)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은 상기 c1) 정화 내지 처리제, c2) 복합, 복합기,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21은 a) 자화 또는 자기장 처리하고, 상기 자화 또는 처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전에 오존 처리하고, 상기 진동 전에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하는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장치 내지 물질은 상기 a)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물질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장비, 장치, 수단,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 말단부, 콘크리트 타설 선단부 등에는 1개 이상의 자기장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진동케이스 등의 구비, 정착, 장착, 부착, 결합, 병합, 고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기장기 내지 진동케이스 등이 구비된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부 등은 하나의 진동기가 된다. 그리고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부 등과 상기 자기장기 내지 진동케이스 등으로 구성된 복합체는 하나의 진동기가 된다. 상기 자기장기 내지 진동케이스 등은 진동을 발생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등을 진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타설구, 진동기 등은 a) 타설기, 펌프카, 장비, 콘크리트 타설기, 콘크리트 펌프카, 콘크리트 장비; b) 이중 하나의 선단, 말단, 호스 선단, 호스 말단, 콘크리트 호스 선단, 콘크리트 호스 말단; 등에 구비된 타설구, 진동기,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 진동기, 타설기의 타설구, 펌프카의 타설구, 타설기의 진동형 타설구, 펌프카의 진동형 타설구, 타설기의 타설형 진동기, 펌프카의 타설형 진동기, 내부 중공의 상기 타설구, 내부 중공의 상기 진동기,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배출되는 내부 중공의 상기 타설구,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배출되는 내부 중공의 상기 진동기, 상기 타설구 ∼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진동기는 콘크리트 진동기, 콘크리트 다짐기, 콘크리트 타설기, 콘크리트 진동다짐기, 콘크리트 다짐진동기,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콘크리트를 다짐하는 진동기, 콘크리트를 진동하면서 다짐하는 진동기, 콘크리트를 다짐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 콘크리트를 진동하면서 타설하는 타설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는 몰탈, 레미탈(ready mixed morar), 레미콘, 아스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22는 a)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의 실시예로는 실시예 1) 공기, 균, 세균, 오염, 환경, 박테리아, 재료, 모래, 자갈, 골재, 시멘트, 장비, 타설기, 진동기, 타설구, 배합수, 배합재, 콘크리트 등을 살균하는 오존을 방사하고,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청정하는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자화하는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하는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환경, 수질, 공기, 대기, 주변공기, 분진공기,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 실시예 2) 오존을 방사하여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하고, 음이온을 발생하여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청정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여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자화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여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환경, 수질, 공기, 대기, 주변공기, 분진공기,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 실시예 3)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을 발생하고,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방전기에 의하여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살균기에 의하여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 실시예 4)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기장기,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살균기 등에 의하여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에서 살균의 대상은 물질, 물체, 물건, 물품, 장비, 환경, 수질, 공기, 대기, 주변환경, 주변공기, 분진공기,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은 상기 물질 ∼ 콘크리트, 공기 ∼ 콘크리트 등의 살균이 해당된다. 상기 방역, 살균, 소독 등은 방역, 방지, 방충, 살균, 멸균, 제균, 소독, 해독, 제독 등이 해당된다.
상기 23은 a) 소독 처리 후에 자화 또는 자기장 처리하고, 상기 자화 또는 처리 후에 진동, 가진, 오존 처리, 음이온 처리, 회전 처리, 유동화 처리, 방전 처리, 살균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4는 a) 소독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하고, 상기 살균 후에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처리, 음이온 처리, 회전 처리, 유동화 처리, 방전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5는 1) 오존을 발생하면서 조건 1을 만족하는 자기장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자기장기가 구비되는 것이고, 2) 상기 조건 1은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조건 2를 만족하는 가진기가 구비되는 것이고, 3) 상기 조건 2는 파(波)를 발생하면서 조건 3을 만족하는 오존기가 구비되는 것이고, 4) 상기 조건 3은 전기방전하면서 조건 4를 만족하는 음이온기가 구비되는 것이고, 5) 상기 조건 4는 a) 재료, 자재, 장비, 장치, 공기, 대기, 현장공기, 현장주변, 타설공간, 타설현장, 타설주변, 사용수, 사용재료,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을 살균 또는 소독하는 기능 보유; b) 상기 기능 보유를 위하여 살균기 구비, 소독기 구비, 살균제 분사, 소독제 분사; c) 또는 현장 내의 먼지, 분진, 미세먼지 중 하나를 제거하는 기능 보유; d) 상기 제거 기능 보유을 위하여 필터 구비, 흡입기 구비, 포집기 구비, 집진기 구비, 사이클론 구비, 진공펌프 구비, 미스트분사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고, 6) 상기 자기장기; 이의 구비 장치;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6은 자화기(31)가 구비되고, 상기 자화기의 후단에 진동기(32)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기의 측면에 오존기(34)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의 후단에 음이온기(35)가 구비되고, 상기 음이온기의 전단에 방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방전기의 측면에 가진기(33)가 구비되고, 상기 가진기의 전단에 자기장기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에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단이거나, 또는 상기 구비된 장치가 거치된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7은 a) 자화기(31), 이의 후단에 구비된 진동기(32), 상기 진동기의 측면에 구비된 오존기(34), 상기 오존기의 후단에 구비된 음이온기(35), 상기 음이온기의 전단에 구비된 방전기, 상기 방전기의 측면에 구비된 가진기(33), 상기 가진기의 전단에 구비된 자기장기, 상기 오존기에 구비된 살균기가 포함되는 장치가 거치되는 수단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가 투입된 중공체(7, 37, 76, 77, 102, 104)에 더하여 b2) b21)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장치, 중공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전선(6, 8),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b22)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전선; b23) 상기 자화기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8은 상기 자화기에서 진동, 상기 진동기에서 자기장, 상기 오존기에서 음이온, 상기 음이온기에서 오존, 상기 방전기에서 오존, 상기 가진기에서 자기장, 상기 자기장기에서 진동, 상기 살균기에서 음이온이 각각 발생되는 상기 26의 장치, 상기 27의 장치, 상기 26의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27의 장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29는 상기 자화기에 진동기, 상기 진동기에 자기장기, 상기 오존기에 음이온기, 상기 음이온기에 오존기, 상기 방전기에 오존기, 상기 가진기에 자기장기, 상기 자기장기에 진동기, 상기 살균기에 음이온기가 각각 구비되는 상기 26의 장치, 상기 27의 장치, 상기 28의 장치, 상기 26의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27의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28의 장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방법 등이다.
상기 30은 a) 상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중에서,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29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수단이다.
상기 복합 수단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예 1) 상기 1의 자화되거나 또는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되면서, 상기 2의 자화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하는 수단이다. 예 2) 상기 1의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과, 상기 2의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이다. 예 3)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면서,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수단이다.
예 4)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면서,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는 수단이다. 예 5) 상기 14의 장치1, 물질 중 하나 이상과 상기 15의 장치2,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이다. 예 6) 상기 18의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와 b)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자화기 내지 전원공급기, 장치1, 장치2,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상기 19의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와 b)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자화기 내지 전원공급기, 장치1, 장치2,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이다.
예 7) 상기 1, 2, 3이 되는 수단이다. 예 8) 상기 1이 되고, 상기 2가 되고, 상기 3이 되는 수단이다. 예 9) 상기 4, 5, 6, 7이 되는 수단이다. 예 10) 상기 4가 되고, 상기 5가 되고, 상기 6가 되고, 상기 7이 되는 수단이다. 예 11) 상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중 하나 이상과 상기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하나 이상이 되는 수단이다. 예 12)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고,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는 수단이다. 예 13)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고,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9의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고, 상기 7의 1차 자화 내지 7차 살균 처리가 되고, 상기 14의 장치1,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상기 15의 장치2,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단이다.
상기 31은 a) 상기 수단이 또는 상기 1 내지 30 중 하나의 수단이 a1)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방법, 공법, 작업 방법, 작업 공법, 작업 수단, 공사 방법, 공사 공법, 공사 수단, 정화 방법, 정화 수단, 정화 수단,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빌리티, 네트워크; a2)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복합기; a3)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상기 1 내지 30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이 하는 것을 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상기 32는 a) a1) 링, 오링, 잭, 암잭, 수잭, 시거잭, 소켓, 암소켓, 수소켓, 플랜지, 밸브, 볼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니플, 엘보, 레듀샤, 볼트, 너트, 와셔, 가스켓, 스트레이너, 커플링, 커플러, 조인트, 조인트관, 조인터, 관조인터, 콕, 수도콕, 배수콕, 꼭지, 수도꼭지, 어댑터, 티이관, 이경티이관, 관, 관로, T관, Y관, L관, 벤츄리관, 밴드, 튜브, 스프링클러, 호스, 라인, 파이프, 파이프라인; a2)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a3)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구비된 상기 수단,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구비된 또는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29의 예로는 A) 상기 1의 경우는 a)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면서 자화하는 수단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면서 자화, 폭기, 정화 등을 하는, 또는 자화, 폭기, 정화 등이 되는 수단이고, B) 상기 5는 a) 스테이터 내지 오존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b)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장치로 처리된 또는 진동 처리된 물질; d)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면서 자화, 폭기, 정화 등을 하는, 또는 자화, 폭기, 정화 등이 되는 수단이고, C) 상기 24의 경우는 a) 소독 처리 후에 ∼ 방전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 진동기, 살균기, 타설구; b)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면서 자화, 폭기, 정화 등이 되는, 또는 자화, 폭기, 정화 등을 하는 수단이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에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b) 자화하는 자화기, 진동하는 진동기, 가진하는 방전기, 오존 발생하는 살균기, 음이온 발생하는 오존기, 회전하는 회전기, 분해하는 분해기, 전해하는 전해기,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방전하는 전해기, 소독하는 오존기, 살균하는 자화기, 자화기에 의한 자화,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기가 하는 가진, 가진기가 하는 자화, 오존기에서 방사되는 음이온, 음이온기에서 조사되는 자기장, 회전기가 하는 회전, 분해기에 의한 분해, 전해기에 의한 살균, 유동화기에 의한 유동화, 방전기에 의한 소독, 소독기에 의한 살균, 살균기에서 방사되는 오존, 자화물에 의한 진동, 자기장이 방사되는 진동기, 진동물이 공급되는 가진기, 가진물이 발생되는 가진기, 오존물에 의한 오존, 음이온물이 생성되는 진동기, 회전물에 의한 회전, 분해물을 제공하는 분해기, 전해물이 발생되는 자화기, 유동화물에 의한 유동화, 방전물에 의한 살균, 소독물이 제공되는 소독기, 살균물에 의한 살균; c) 자화와 진동과 가진하는 복합, 오존기와 소독기와 살균기가 조합된 복합기, 진동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중공체, 전해물과 진동물과 살균물의 복합물; 등이 포함 될수 있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등에는 a)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b) 폭기기에 의한 폭기, 발포를 하는 발포기, 팽창제에 의한 팽창, 반응기에서 반응, 흡착제에 의한 흡착, 포집을 하는 포집기, 응집이 발생되는 침전기, 침전하는 침전물, 여과하는 폭기기, 소독하는 반응기, 소독기에 의한 살균, 폭기를 하는 폭기기, 발포기에 의한 발포, 팽창기에 의한 폭기, 반응기에 의한 응집, 포집을 하는 흡착기, 흡착을 하는 포집기, 폭기제가 투입되는 응집기, 미생물이 투입되는 침전기, 여과기에 의한 여과, 소독기에 의한 살균, 소독하는 살균기, 반응하는 폭기제, 발포제에 의한 발포, 팽창제가 투입되는 팽창기, 반응제가 이용되는 폭기, 흡착하는 흡착제, 포집제에 의한 포집, 응집하는 응집제, 침전기에 투입되는 침전제, 여과제에 의한 여과, 소독제에 의한 소독, 폭기하는 살균제, 살균하는 촉매, 팽창하는 수지, 애쉬가 주입되는 포집기, 폭기에 의한 기포, 소독하는 광촉매, 반응기에 투입되는 미생물, 부산물이 이용되는 흡착제, 포집 기능을 가진 슬래그, 살균하는 광원, 응집기에 부착된 램프, 살균하는 LED, 소독하는 피톤치드; c) 폭기하고 살균하는 복합, 응집과 침전과 여과하는 복합기, 폭기와 팽창과 반응하는 복합물; 등이 포함 될수 있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등에는 a)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b) 청정기에 의한 정화, 청정하는 청정기, 정수하는 정수기, 청정기에 의한 청소, 세정제에 의한 세정, 정화기에 의한 세척, 선별하는 선별기, 파쇄하는 파쇄기, 숏팅되는 숏팅제, 도포하는 도포기, 도장제에 의한 도장, 가습을 하는 가습기, 제습하는 제습제, 건조기로 하는 건조, 처리를 하는 처리기, 정화기에 의한 정화, 청정하는 청정기, 세척하는 정수기, 청소기에 의한 정화, 세정기에 의한 세정, 세척기에 투입되는 처리제, 선별기에 의한 선별, 파쇄하는 파쇄기, 숏팅제를 분사하는 숏팅기, 도포하는 도포기, 도장기에 의한 도장, 가습하는 가습기, 제습기에 의한 제습, 건조하는 건조기, 처리기에 의한 처리, 정화하는 정화제, 정수하는 청정제, 정수제가 이용되는 정화, 청소제가 투입되는 청소기, 세정제가 이용되는 세척기, 세척하는 세척제, 선별하는 선별제, 파쇄하는 파쇄제, 숏팅제에 의한 숏팅, 도포되는 도포제, 도장제에 의한 도장, 가습제를 분사하는 가습기, 제습하는 제습제, 건조하는 건조제, 처리제에 의한 처리; c) 정화와 천정과 처리하는 복합, 정수기와 세정기와 세척기가 조합된 복합기, 청소와 세척과 처리에 사용되는 복합물; 등이 포함 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작업, 활동, 작업 방법, 활동 방법 등은 제6실시예에 의하면 일정의 수단을 이용하는 작업, 일정의 수단이 이용되는 작업, 일정의 수단이 이용되어 수행되는 작업, 일정의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작업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수단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작업은 작업 1, 작업 2, 작업 3, 작업 4, 작업 5, 작업 6, 작업 7, 작업 8, 작업 9, 작업 10, 작업 11, 작업 12, 작업 13, 작업 14, 작업 15, 작업 16, 작업 17, 작업 18, 작업 19, 작업 20, 작업 21, 작업 22, 작업 23, 작업 24, 작업 25, 작업 26, 작업 27, 작업 28, 작업 29, 작업 30, 작업 31, 작업 32, 작업 33, 작업 34, 작업 35, 작업 36, 작업 37, 작업 38, 작업 39, 작업 40, 작업 41, 작업 42, 작업 43, 작업 44, 작업 45, 작업 46, 작업 47, 작업 48, 작업 49, 작업 50, 작업 51, 작업 52, 작업 53, 작업 54, 작업 55, 작업 56, 작업 57, 작업 5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작업 1은 a) 일(work), 작업, 업무, 근무, 사무, 서무, 경영, 시행, 진행, 수행, 생활, 활동, 현실활동, 가상활동, 아바타활동, 행동, 행위, 주거, 거주, 시작, 실기, 실시, 연구, 개발, 거동(擧動), 전동(電動), 수동(手動), 자동(自動), 능동, 노동, 근무, 내근, 외근, 역무, 가사, 제조, 재료제조, 용품제조, 제품제조, 수소제조, 생산, 자재생산, 제품생산, 용품생산, 산소생산, 제작, 준비, 마련, 생성, 조성, 조형, 형성, 발생, 제철, 제강, 제련, 주조, 주물, 주형, 금형, 용융, 용해, 성형, 포밍, 리폼, 냉동, 냉장, 냉각, 해동, 절삭, 양각, 음각, 감광, 가공, 직조, 직공, 양잠, 인쇄, 판금, 용접; b)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c)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d)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작업; e)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또는 하기에서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은 하나와, 또는 하나가, 또는 하나에, 또는 하나를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작업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수단, 물체, 시스템 등은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재료, 자재,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부품, 제품, 드론,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가상활동은 장비, 물질, 재료, 자재, 가구, 물체, 물품, 시설, 음식, 하우스, 아바타, 화장품, 생필품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이 이용되거나, 또는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공간,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활동으로서, 활동 1, 활동 2, 활동 3, 활동 4, 활동 5, 활동 6, 활동 7, 활동 8, 활동 9, 활동 10, 활동 11, 활동 12, 활동 13, 활동 14, 활동 15, 활동 16, 활동 17, 활동 18, 활동 19, 활동 20으로 구분된다. 상기 현실활동은 현실활동, 사람이 현실 또는 현실세계에서 활동 등이 해당되고, 상기 아바타활동은 아바타활동, 아바타가 가상 또는 가상세계에서 활동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은 가상, 가상공간, 가상세계,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假想現實), 가상현실공간, 가상현실세계, 사이버공간, 인터넷공간, 인터넷사이트,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3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 앱, 앱공간, 폰앱, 폰앱공간, 스마트폰앱, 스마트폰앱공간, 컴퓨터앱공간, 앱의 공간, 폰앱의 공간, 스마트폰앱의 공간, 컴퓨터, 컴퓨터사이트, 인터넷, 인터넷공간, 모니터, 모니터공간, 현실 및 가상공간, 실제세상 및 가상공간, 지구 및 가상공간, 사람이 사는 공간 및 가상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 이용 또는 구비된다. 상기 앱은 앱, app, 어플, apple,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폰앱, 휴대폰앱, 스마트폰앱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폰은 폰, phone, 전화, 셀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활동 1은 상기 공간에 상기 하우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 외부에 상기 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는 상기 자재로 조성되고, 상기 자재에는 상기 재료가 포함되고, 상기 재료에는 상기 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하우스에 상기 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거실에 상기 물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방에 상기 물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상기 시설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에 상기 아바타가 구비되고, 상기 아바타가 상기 음식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상기 화장품으로 화장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상기 생필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2는 상기 공간에 상기 장비,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가 조성되고, 상기 하우스에 가구, 물체, 물품, 시설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스에 상기 아바타가 구비되고, 상기 아바타에 필요한 상기 음식, 화장품, 생필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활동 3은 상기 시설의 하나인 음식점 또는 쇼핑센터에 아바타가 근무, 조리, 요리, 판매, 안내, 쇼핑, 주문, 먹기, 취식, 계산, 배달, 배송, 탁송, 택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4는 아바타가 상기 하우스의 하나인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중 하나를 광고 또는 관람 또는 상담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5는 아바타가 상기 관람을 하고 다른 아바타가 상기 관람 바바타를 상담 또는 분양상담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6은 상기 시설로 또는 상기 시설의 하나인 진료기로 아바타를 진료 또는 치료하거나, 또는 요리기로 아바타가 요리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7은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일, 업무, 사무, 근무, 작업, 공사, 요리, 조리, 쿠킹, 생활, 활동, 전시, 관람, 회의, 강의, 강연, 수강, 청취, 청정, 정화, 청소, 세척, 세정, 세탁, 빨래, 살균, 소독, 방역, 상기 또는 하기의 일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8은 메타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집, 시설, 건물, 샵(shop), 시장, 마켓, 마트, 학교, 학원, 교실, 백화점, 식당, 음식점, 사무실, 전시장, 관람장, 회의장, 강의실, 센터, 쇼핑센터, 하우스,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9는 모델하우스 조성, 광고, 방문, 상담, 분양, 판매, 매매, 매도, 소개, 중개, 임대,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0은 모델하우스 조성, 상기 모델하우스 광고,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상기 모델하우스 분양, 상기 모델하우스 판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도,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소개, 상기 모델하우스 중개, 상기 모델하우스 임대, 상기 모델하우스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1은 현실세계의 사람이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일, 주거, 생활, 활동, 쇼핑, 업무, 회의, 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2는 현실세계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아바타가 일, 주거, 생활, 활동, 쇼핑, 업무, 회의, 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3은 숍 또는 마트 조성, 아바타 또는 사람이 숍 또는 마트 방문, 숍 또는 마트에서 쇼핑,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아바타가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현실세계에 있는 사람에게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4는 무대 또는 공연장 또는 영화관 조성, 아바타가 연기, 아바타가 공연, 아바타가 촬영, 아바타가 영화 편집,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예매,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장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또는 영화 관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5는 회사 또는 사무실을 조성, 상기 회사에 아바타가 근무,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출근,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일함,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 일함,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퇴근, 아바타가 상기 회사를 청소,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공기 청정,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서 회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6은 a)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공간,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b)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 상기 수단이 구비되고, c)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상기 수단을 이용하고, d)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활동, 생활, 요리, 치료, 처리, 업무, 회의, 관람, 상담, 쇼핑, 판매, 구매, 주문, 계산, 배달, 운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7은 상기 공간에서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사람 대신에 또는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활동,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하고 현실공간에서 상기 아바타인 사람이 활동 또는 생활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8은 상기 공간에 건물 조성, 상기 공간에 또는 상기 건물 주변에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사무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회의실 조성, 상기 사무실에 집기 구비, 상기 사무실 또는 회의실에 책상 구비, 상기 책상에 의자 구비, 상기 의자에 아바타 착석,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 근무, 상기 회의실에서 아바타가 회의, 상기 공간 또는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를 아바타가 산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19는 상기 공간에 공원 조성,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식재 또는 녹화,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놀이기구 설치,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텐트 설치, 아바타가 상기 놀이기구 이용, 아바타가 상기 텐트 이용,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서 아바타가 놀이 또는 휴식 또는 야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 20은 차(車)를 생산, 차(車)를 개조, 차(車)를 캠핑카로 개조, 상기 차(車)를 아바타가 운전,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이동,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여행, 아바타가 상기 이동 또는 여행 목적지에 도착,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 텐트 설치,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서 놀이 또는 휴식 또는 관광, 아바타가 상기 텐트 이용, 아바타가 상기 텐트에서 휴식 또는 야영, 아바타가 요리 또는 조리, 아바타가 취식 또는 음식 먹기, 아바타가 설거지 하기, 아바타가 산책 또는 걷기, 아바타가 운동 또는 수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는 a)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무이용되는 기획, 계약, 작사, 작곡, 보컬, 노래, 녹화, 녹음, 녹취, 방음, 방영, 시청, 경청, 청취, 방청, 감청, 도청, 보청, 선전, 홍보, 광고, 게시, 전시, 전열, 전람, 관람, 비치, 배치, 행사, 파티, 춤, 탈춤, 공연, 음악공연, 예술공연, 가면극, 예능, 연극, 영화, 드라마, 댄스, 경연, 대회, 자랑, 쇼(show), 공중쇼, 드론쇼, TV쇼, 콘서트, 페스티벌, 테스트, 콘테스트, 도예, 도공, 교육, 배움, 가르침, 훈련, 단련, 연습, 연기, 연계, 연관, 연출, 단전, 호흡, 흡입, 들숨, 날숨, 실기, 실시, 합숙, 숙지, 인사, 답사, 치사, 교신, 서신, 놀이, 장난, 요술, 마술, 잠, 밤잠, 낮잠, 잠자기, 교류, 교번, 교부, 상담, 밀담, 회, 면회, 회담, 대화, 대결, 대체, 협약, 협정, 협력, 대면, 비대면, 콘텍트, 언텍트, 면식, 회식, 회유, 다과회, 교수, 교도, 교정, 교섭, 교차, 교통, 교훈, 과외, 주술, 논술, 웅변, 달변, 미술작업, 예술작업, 회의, 화상회의; b) 상기 기획 내지 화상회의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기획 내지 화상회의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기획 내지 복합; c)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기획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용접; d)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기획 내지 c) 용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기획 내지 작업'은 하나 이상과, 또는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기획 내지 작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용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관련, 관계, 연계, 병행 등이 해당되고, 무이용은 무이용, 무사용, 무적용, 무활용, 무구비, 무관련, 무관계, 무연계, 무병행, 별도, 다른, 별도의, 관계없는, 상관없는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이 무이용'은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이 무이용,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과 별도,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과 다른,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과 별도의,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과 관계없는,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과 상관없는,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와 관련없는, 상기 일 내지 용접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지 않는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은 하나와, 또는 하나가, 또는 하나에, 또는 하나를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작업 등이 해당된다. 이하의 이용, 무이용 등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내용 또는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업 3은 a) 상기 일 내지 용접, 기획 내지 화상회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재활용, 구비, 구성, 장착, 정착, 부착, 증착, 탈착, 거치, 설치, 존치, 위치, 거동, 가동, 시동, 운전, 운행, 운항, 순회, 선회, 배회, 회유, 회전, 주행, 비행, 부유, 부양, 승강, 활강, 활공, 항공, 공급, 제공, 전달, 소유, 공유, 가짐, 가교, 운반, 자재운반, 운송, 이사, 이전, 이동, 계류, 저속, 고속, 가속, 가압, 부압, 감압, 감속, 감쇄, 변속, 압송, 이송, 쇼핑, 홈쇼핑, 전화, 통화, 통신, 교신, 수신, 발신, 착신, 채팅, 말하기, 예금, 적금, 인출, 인발, 지출, 저금, 지불, 지원, 영수, 수령, 투자, 투매, 유치, 유발, 주문, 인터넷주문, 장사, 매매, 교역, 판촉, 판매, 자판, 내판, 외판, 방문, 배송, 배달, 배급, 택배, 탁송, 통상, 교역, 무역, 수출, 수입, 하역, 탑승, 탑재, 적재, 승차, 상차, 하차, 주차, 정류, 정압, 정거, 정차, 누계, 누적, 적재, 적선, 선행, 접촉, 접속, 비접촉, 대면, 비대면, 상차, 하차, 운송, 수송, 납품, 안내, 서비스, 관광, 관람, 안내, 서비스, 퀵서비스, 프랜차이즈, 배달서비스; b) 상기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이용 내지 복합; c)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이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화상회의(상기 일 내지 용접, 기획 내지 화상회의); d) 오존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이용 내지 c) 화상회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순회, 선회, 배회 등은 운행, 순회, 관찰, 선회, 비행, 배회, 회유, 다님, 지킴, 돌아다님, 순찰, 대상을 순회, 집을 순찰, 집을 지킴, 대상을 회전, 건물을 회전, 건물을 돌아다님, 비행하면서 대상을 순회, 비행하면서 집을 순찰, 비행하면서 집을 지킴, 비행하면서 대상을 회전, 비행하면서 건물을 회전, 비행하면서 건물을 돌아다님, 비행하면서 건물을 관찰, 비행하여 건물을 돌면서 관찰, 비행하여 건물을 순회하면서 관찰, 비행하여 물품을 배달하면서 건물을 순회하면서 관찰, 비행하여 음식을 배달하면서 주문자의 건물을 순회하면서 관찰, 음식을 배달하면서 비행하여 주문자의 집을 순회하여 순찰,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상기 운행 내지 순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 4는 a) 상기 일 내지 화상회의(상기 일 내지 용접, 기획 내지 화상회의),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유입, 반입, 인입, 압입, 유출, 배출, 인출, 압출, 분출, 반출, 취출, 방류, 반출, 방출, 조사(照射), 빛조사, UV(ultra violet)조사, 방사(放射),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방사, 발사(發射), 저장, 저류, 진입, 진출, 와류(渦流), 이류(移流), 회수, 반환, 확산, 확장, 팽창, 압축, 압착, 압밀, 진공, 분산, 분배, 배분, 배합, 재료배합, 시멘트배합, 교반, 재료교반, 혼합, 반죽, 혼입, 구비, 구성, 구축, 축조, 거치, 설치, 존치, 장착, 정착, 부착, 접착, 연결, 연계, 단결, 결합, 단련, 단축, 연장, 정지, 변경, 변화, 변질, 변수, 질, 손질, 발질, 장난질, 잡이, 고기잡이, 조리, 요리, 튀김, 굽기, 볶기, 조림, 요식, 제과, 제빵, 음용, 식용, 취식, 대접, 접대, 이팅, 쿠킹, 베이킹, 커피제조; b) 상기 유입 내지 커피제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유입 내지 커피제조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유입 내지 복합; c)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배달서비스(상기 일 내지 화상회의,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d) 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유입 내지 c) 배달서비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5는 a) 상기 일 내지 배달서비스(상기 일 내지 화상회의,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유입 내지 커피제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미용(美容), 이용(理容), 이발, 염색, 면도, 화장, 정장, 손화장, 얼굴화장, 네일링, 네일아트, 소지, 손질, 손톱손질, 샤워, 목욕, 족욕, 반신욕, 온탕, 냉탕, 세면, 세수, 수세, 운동, 놀이, 수영, 잠수, 투구, 축구, 농구, 야구, 단련, 대련, 체육, 제조, 교육, 스포츠, 의식주, 게임, 경기, 육상, 마라톤, 달리기, 고속, 중속, 저속, 승마, 낚시, 낚기, 잡기, 안마, 봉안마, 진동안마, 의자안마, 침대안마, 신체안마, 발안마, 마사지, 발마사지, 얼굴마사지, 근육마사지, 바디마사지, 전동마사지, 초음파마사지; b) 상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미용 내지 복합; c)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미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커피제조(상기 일 내지 배달서비스, 유입 내지 커피제조); d) 자화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미용 내지 c) 커피제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6은 a) 상기 일 내지 커피제조(상기 일 내지 배달서비스, 유입 내지 커피제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수리, 수선, 시술, 처치, 치료, 잔료, 구강치료, 치아치료, 의료, 치유, 수술, 제약, 조제, 약조제, 간호, 간병, 보호, 보좌, 보관, 보양, 요양, 양로, 구원, 구조, 구제, 방향, 방습, 휘발, 휘산, 발산, 확산, 제모, 탈모, 탈모방지, 탈모복원, 복원, 신체복원, 건강복원, 하천복원, 균열복원, 훼손복원, 문화재복원, 씽크홀복원, 접골, 뼈접골, 복구, 신체복구, 손상복구, 싱크홀복구, 분업, 분할, 분사, 지지, 지원, 지보, 지탱, 보조, 건강보조, 사격, 지원사격, 발포, 발사, 극복, 수복, 체험, 힐링, 신체힐링, 균열힐링, 구조물힐링; b) 상기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수리 내지 복합; c)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수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초음파마사지(상기 일 내지 커피제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d) 진동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수리 내지 c) 초음파마사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7은 a) 상기 일 내지 초음파마사지(상기 일 내지 커피제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매입, 매수, 투여, 흡입, 섞임, 혼재, 투입, 형틀에투입, 몰드에투입, 첨가, 추가, 충전,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잔디충진, 씽크홀충진, 백필(back fill), 옹벽백필, 메움, 요철메움, 채움, 배면채움, 절곡, 절삭, 삭도, 꺽기, 구부림, 철근절곡, 부착, 부연, 점착, 접착, 착지, 점증, 점축, 점확, 훈증, 훈연, 수침, 함침, 침지; b) 상기 매입 내지 침지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매입 내지 침지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매입 내지 복합; c)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매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구조물힐링(상기 일 내지 초음파마사지,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d) 가진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어 정화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매입 내지 c) 구조물힐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8은 a) 상기 일 내지 구조물힐링(상기 일 내지 초음파마사지,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수리 내지 침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재배, 영농, 농사, 농경, 농작, 경작, 양봉, 관수, 농업관수, 저수, 저류, 저장, 보관, 주수, 배수, 투수, 삼투, 펌핑, 양수, 계량, 계수, 식재, 식수, 식목, 나무식재, 조경식재, 나무식수, 드레인, 팩드레인, 모래드레인, 녹화, 사면녹화, 녹생, 배양, 미생물배양, 교배, 종자교배, 분양, 동물분양, 숙성, 부숙, 발효, 분해, 전해, 부패, 소화, 숙취, 결합, 연계, 연결, 결속, 병합, 합병, 철근결속, 도전, 정전, 방전, 도금, 전기도금, 증류, 증수, 유증, 증설, 증착, 열분해, 가수분해, 미생물분해, 전기응집, 전기분해, 전기폭기, 전기투석, 전기삼투, 전기방전, 전기영동, 발전, 수력발전, 소수력발전, 풍력발전, 이동발전, 휴대발전, 미니발전, 가스발전, 수소발전, 연료전지발전, 수소연료전지발전, 유류발전, 지열발전, 태양발전; b) 상기 재배 내지 태양발전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재배 내지 태양발전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재배 내지 복합; c)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재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침지(상기 일 내지 구조물힐링, 수리 내지 침지); d) 자화기에서 오존이 방사되어 오존살균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재배 내지 c) 침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9는 a) 상기 일 내지 침지(상기 일 내지 구조물힐링, 수리 내지 침지), 재배 내지 태양발전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수직주입, 경사주입, 심층주입, 천층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중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시멘트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그라우팅, JSP(jumbo special pattern)그라우팅, 주사, 약액주사, 영양제주사, 균열주사, 보수주사, 인체에주사, 방수제주사, 수유, 주유, 기름주유; b) 상기 주입 내지 기름주유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주입 내지 기름주유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주입 내지 복합; c)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태양발전(상기 일 내지 침지, 재배 내지 태양발전); d) 음이온 청정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주입 내지 c) 태양발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0은 a) 상기 일 내지 태양발전(상기 일 내지 침지, 재배 내지 태양발전), 주입 내지 기름주유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분무, 분수, 음악분수, 호수분수, 살수, 공중살수, 바닥살수, 분산, 산기, 확산, 살포, 팽창, 확장, 발포, 스프레이, 포설, 지면포설, 지상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포장재포설,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선물포장, 아스콘포장, 물건포장, 다짐, 지면다짐, 지반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흙다짐, 모래다짐, 콘크리트다짐; b) 상기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분사 내지 복합; c)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기름주유(상기 일 내지 태양발전, 주입 내지 기름주유); d) 회전기에서 회전된 오존 공기가 방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분사 내지 c) 기름주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1은 a) 상기 일 내지 기름주유(상기 일 내지 태양발전, 주입 내지 기름주유),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믹싱, 회전믹싱, 원심믹싱, 통속에서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심층믹싱, 심층시멘트믹싱, 지반교반믹싱, DCM(deep cement mixing), 타설,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회전, 축회전, 원심회전, 치기, 콘크리트치기, 거푸집에 레미콘치기, 뿜기, 붙이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몰탈숏크리팅, 녹생토공, 사면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녹화스프레이, 양생, 수양생, 증기양생, 공기양생, 콘크리트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보양, 레미콘보양, 콘크리트보양; b) 상기 믹싱 내지 콘크리트보양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믹싱 내지 콘크리트보양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믹싱 내지 복합; c)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다짐(상기 일 내지 기름주유,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d) 진동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어 살균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믹싱 내지 c) 콘크리트다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2는 a) 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다짐, 믹싱 내지 콘크리트보양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개발, 재개발, 매매, 매도, 매수, 경매, 인도, 임대, 중개, 매매중개, 부동산중개, 주택분양, 건물분양, 아파트분양, 오피스텔분양, 견본, 주택견본, 설계, 건설, 전문건설, 종합건설, 건축, 재건축, 축조, 공사, 건설공사, 지반공사, 토목공사, 천공, 타공, 타정, 박기, 항타, 파일항타, 기초항타, 착공, 드릴링, 시공, 신축, 증축, 개축, 축조, 토공, 토목, 굴착, 개착, 굴삭, 굴토, 절토, 성토, 쌓기, 적층, 터파기, 보링, 시추, 정리, 정지, 지정(地釘), 지반정리, 단지정리, 천공, 장약, 발파, 폭파, 타격, 충격, 미장, 조적, 석공, 목공, 철근공, 비계공, 창호공, 보링공, 삭도공, 준설, 매립, 해안매립, 폐기물매립, 상하수도공, 철근콘크리트공; b) 상기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개발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갸발 내지 복합; 상기 개발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개발 내지 복합; c) 상기 개발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개발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개발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보양(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다짐, 믹싱 내지 콘크리트보양); d) 오존기에서 오존이 방사되어 오존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개발 내지 c) 콘크리트보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3은 a) 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보양,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채취, 샘플링, 시료채취, 샘플채취, 시험, 재료시험, 자재시험, 실험, 조사(調査), 본조사, 사전조사, 탐사, 탑문, 방문, 탐지, 추적, 수사, 수색, 탐색, 검측, 검사, 검식, 감식, 검정, 검증, 검찰, 판독, 판결, 재판, 관찰, 센싱, 감지, 인지, 감응, 관측, 계측, 측량, 측정, 측지, 계량, 계산, 계수, 계시, 정량, 수량, 칭량, 작성, 쓰기, 읽기, 수정, 교정, 배정, 제출, 판독, 해독, 분석, 해석, 모델링, 수치해석, 모델링해석, 시뮬레이션; b) 상기 채취 내지 시뮬레이션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채취 내지 시뮬레이션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채취 내지 복합; c)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채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철근콘크리트공(상기 일 내지 콘크리트보양,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d) 음이온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면서 살균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채취 내지 c) 철근콘크리트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4는 a) 상기 일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채취 내지 시뮬레이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가열, 냉열, 온열, 발열, 온방, 냉방, 난방, 히팅, 냉장, 냉동, 온냉, 가습, 제습, 항습, 건조, 건습, 제어, 제거, 살충, 해충, 멸균, 제균, 살균, 항균, 소독, 제독, 해독, 디톡, 디톡스, 방화, 소화, 불소화, 음식소화, 발화, 내화, 화재, 화염, 중지, 저지, 제지, 노화, 노후, 방지, 탈모방지, 해충유인, 제설, 융설, 결빙, 해빙, 제빙, 해충제거, 탈리, 탈착, 탈락, 탈수, 슬러지탈수, 음식물탈수; b) 상기 가열 내지 음식물탈수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가열 내지 음식물탈수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가열 내지 복합; c)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가열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시뮬레이션; d) 자화기에서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가열 내지 c) 시뮬레이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5는 a) 상기 일 내지 시뮬레이션, 가열 내지 음식물탈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자화진동, 자화가진, 자화오존처리, 자화음이온처리, 자화회전, 진동가진, 진동오존처리, 진동음이온처리, 진동회전, 가진오존처리, 가진음이온처리, 가진회전, 오존음이온처리, 오존회전처리, 음이온회전처리, 자화진동가진, 자화진동오존처리, 자화진동음이온처리, 자화진동회전, 진동가진오존처리, 진동가진음이온처리, 진동가진회전, 가진오존음이온처리, 가진오존회전처리, 오존음이온회전처리,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 자화진동가진음이온처리, 자화진동가진회전, 진동가진오존음이온처리, 진동가진오존회전처리, 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처리,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처리,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b)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음식물탈수; d) 펄스기에서 살균광이 방사되면서 살균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자화 내지 c) 음식물탈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6은 a) 상기 일 내지 음식물탈수,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처리, 처분, 수처리, 면처리, 열처리, 재처리, 병처리, 질병처리, 감염처리, 바이러스처리, 살처분, 지중처분, 매장처분, 자가처리, 자력처리, 외력처리, 정화처리, 수질처리, 상수처리, 하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오염처리, 공기처리, 분진처리, 해충처리, 구강처리, 치아처리, 해충처리, 토양처리, 오염토양처리, 씽크홀처리, 음식물처리, 폐기물매립, 폐기물처리, 건설폐기물처리, 폐기물중간처리, 폐기물최종처리; b) 상기 처리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처리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c)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d) 가진기에서 열이 방사되어 열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처리 내지 c)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7은 a) 상기 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처리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조립, 건물조립, 자재조립, 컴퓨터조립, 해체, 조립해체, 시설해체, 구조물해체, 거품을 분사하여 해체, 미스트를 분사하여 해체, 물을 분사하여 해체, 파쇄, 암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마쇄, 풍쇄, 수쇄, 밀링, 나노링, 나노제조, 선별, 분리, 분별, 건식선별, 풍력선별, 습식선별, 수조선별, 폐기물선별, 죠크러싱, 콘크러싱, 롤러크러싱, 양생, 증기양생, 오토크레이브양생, 탈형, 몰드에서탈형, 탈퇴, 탈피, 소성, 암석소성, 시멘트소성, 탄화, 숯탄화, 냉각,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b) 상기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조립 내지 복합; c)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일,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조립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d) 오존기에서 음이온이 방사되어 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조립 내지 c) 폐기물최종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8은 a) 상기 일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정화,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정수, 수질정수, 이온정수, 알카리정수, 알카리이온정수, 냉온, 냉온정수, 담수화, 해수담수화, 폭기, 에어폭기, 송풍폭기, 풍력폭기, 압기(壓氣)폭기, 반응, 화학반응, 수화반응, 포졸란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 흡착, 오염흡착, 흡수, 포집, 포획, 집진, 전기집진, 먼지집진, 청정, 공기청정, 분진청정, 먼지청정, 의류청정, 터널청정, 미세먼지청정, 공사현장청정, 송풍, 환풍, 터널환풍, 건물환풍, 선풍, 손풍, 냉풍, 온풍, 열풍; b) 상기 정화 내지 열풍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정화 내지 열풍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내지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c)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폐기물소각(상기 일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d) 자화기에서 오존과 살균광이 방사되어 살균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정화 내지 c) 폐기물소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19는 a) 상기 일 내지 폐기물소각, 정화 내지 열풍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청소, 물청소, 벽청소, 유리청소, 진공청소, 자동청소, 로봇청소, 브러시청소, 이사청소, 입주청소, 터널청소, 실내청소, 실외청소, 건물청소, 내벽청소, 외벽청소, 탱크청소, 방음벽청소, 세정, 관세정, 오염세정, 세척, 관세척, 구강세척, 치아세척, 그릇세척, 고압세척, 세수, 세안, 샤워, 연수(軟水), 세륜, 세차, 차세차, 세탁, 빨래세탁, 연마, 표면연마, 숏팅, 표면숏팅, 샌딩, 녹제거 샌딩, 블라스팅, 연마용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표면 숏블라스팅, 면도, 치솔질, 네일링, 손톱네일링, 칠, 색칠, 분칠, 염색, 도색, 도장, 페인팅, 크리닝, 실내크리닝, 실외크리닝, 세탁크리닝, 의류크리닝, 도배, 벽도배, 코팅, 면코팅, 촉매코팅, 광촉매코팅; b) 상기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청소 내지 복합; c)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청소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열풍(상기 일 내지 폐기물소각, 정화 내지 열풍); d) 자화진동기에서 오존과 열이 방사되어 오온열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청소 내지 c) 열풍;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0은 a) 상기 일 내지 열풍,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관리, 감독, 감리, 감별, 감식, 감찰, 식별, 구분, 건문, 검색, 유지, 경호, 경비, 수비, 경계, 경찰, 정찰, 봉양, 봉사, 경로,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강화, 미화, 보수, 균열보수, 방수보수, 누수보수, 줄눈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사면보강, 개량, 지반개량, 개선, 수선, 내진, 방진, 제진, 방재, 방제, 방근, 재해, 재난, 화재, 발화, 소화, 진화, 내화, 열화, 대책, 대비, 방책, 정책, 대안, 방법, 공법, 방역, 감염, 예방, 방균, 제균, 멸균, 항균, 멸균, 소독, 해독, 제독, 디톡, 디톡스, 디톡스피케이션, 공식, 장식, 내장(內裝), 외장(外裝), 냉장, 냉동, 방해, 방충, 방청, 녹방청, 방식(防蝕), 전기방식, 부식방식,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막이, 흙막이, 물막이, 태양막이, 바람막이, 한파막이, 라이닝, 면(面)라이닝, 터널라이닝, 인테리어, 엑스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관리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관리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관리 내지 복합; c)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광촉매코팅(상기 일 내지 열풍,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d) 자화기에서 오존 및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오존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관리 내지 c) 광촉매코팅;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1은 a) 상기 일 내지 광촉매코팅, 관리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공사, 시공, 공정, 작업, 타설, 자재 제조, 시설 공사, 물질타설, 타설재타설, 형틀타설, 철근타설, 철골타설, 현장타설, 지중타설, 수중타설, 사면타설, 포장타설, 보링공타설, 굴착부타설; b) 상기 공사 내지 굴착부타설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공사 내지 굴착부타설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c)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d) 오존기에서 진동 및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오존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공사 내지 c)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2는 a)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공사 내지 굴착부타설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저장, 투입, 혼합, 가압, 굴착, 운송, 운반, 이동, 주행, 비행, 탑승, 승차, 하차, 배달, 배송, 택배, 탁송, 공급, 타설, 분사, 주입, 주사, 숏팅, 코팅, 도장, 포설, 포장, 믹싱,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 b)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c)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굴착부타설; d) 살균기에서 살균제 및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오존소독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굴착 내지 c)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3은 a) 상기 일 내지 굴착부타설, 저장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건설, 건축, 조각, 공사, 시공, 개량, 보강, 보수, 보강, 포장, 개량, 보수, 보강, 수리,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건설 내지 복합; c)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d) 소독기에서 오존 및 소독제가 방사되고 음이온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건설 내지 c)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4는 a) 상기 일 내지 면처리,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건설, 개발, 건축, 축조, 작업, 토목작업, 환경작업, 정화, 정수, 청정, 힐링, 균열힐링,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조경, 식재, 조형작업, 조각, 제조, 자재제조, 생산, 자재생산, 작업, 공사, 건설공사, 시공, 건축시공, 자재제조, 자재생산, 공사작업, 건설공사, 건축시공, 방재, 방제, 토공, 지반공사, 지중공사, 지하공사, 사면공사, 법면공사, 비탈면공사, 기초공사, 파일공사, PHC파일공사, 굴착, 개착, 터파기, 절토, 성토, 지열파일제조, 공장파일제조, 매입기초공사, 항타기초공사, 회전매입기초공사, 현장타설파일공사, 흙막이공사, 흙막이벽공사, 슬러리월공사, 지중연속벽공사, 다이어프럼월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CP(compaction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공사, 준설, 매립, 수중작업, 삭도공사, 승강기공사, 조적,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도장,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개량, 지반개량, 지반정리, 단지정리, 시추, 보링, 배합, 혼합, 공급, 제공, 압송, 이송, 운송,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코팅, 도장,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양생, 수양생, 지열공사, 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분사, 숏크리트작업, 녹생토작업, 시드스프레이작업,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면처리, 씽크홀처리, 씽크홀충진, 공동충진, 석공사, 외벽공사, 비계작업, 해체, 창호작업, 판금공사, 지붕판금공사, 조립, 건축조립, 철강공사, 창호공사, 상하수도공사, 방식, 전기방식, 녹화, 청소, 세척,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건설 내지 복합; c)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d) 소독기에서 오존 및 소독제가 방사되고 음이온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건설 내지 c)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5는 A) a)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건설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되거나 또는 별도의 것으로 a) 상기 천공기에 의하여 지중 천공, 암반 천공, 건물 천공; b) 상기 저장고(20)에 재료 저장; c) 상기 호퍼(21)에 의하여 혼합기(22)에 재료 투입; d) 상기 혼합기(22)에 의하여 재료 혼합; e) 상기 펌프 또는 가압기(23)에 의하여 재료 가압, 압송, 펌핑, 공급, 제공; f) 상기 운송기(24) 또는 공급기에 의하여 재료 운송, 이송, 공급, 제공; g) 상기 공급로(25)에 의하여 재료 공급, 제공; h) 상기 타설기(26)에 의하여 재료 타설, 인젝션, 그라우팅, 형틀에 타설, 공장에서 타설, 현장에서 타설, 기초 공사를 위하여 타설; i) 상기 포설기에 의하여 재료 포설, 지면포설; j) 상기 주입기에 의하여 재료 주입, 지중주입; k) 상기 주사기에 의하여 재료 주사, 균열주사; ℓ) 상기 분사기에 의하여 재료 분사, 사면분사; m) 상기 숏팅기에 의하여 재료 숏팅, 녹숏팅; n) 상기 코팅기에 의하여 재료 코팅, 면코팅; o) 상기 도장기에 의하여 재료 도장, 면도장; p) 상기 포장기에 의하여 재료 포장, 노면포장; q) 상기 다짐기에 의하여 재료 다짐, 지중다짐; r) 상기 믹싱기에 의하여 재료 믹싱, 지중믹싱; s) 상기 양생기에 의하여 상기 타설된 재료 양생; t) 상기 면처리기에 의하여 상기 양생 후 양생물 면처리; B)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C)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D) 살균기에서 살균제 및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오존소독음이온 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굴착 내지 C)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6은 a)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천공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것으로 물질, 재료, 자재, 배수재, 타설재 중 하나를 타설, 치기, 보냄, 이송, 처리, 주물, 붓기, 넣기, 배출, 분출, 뿜기, 분사, 발사, 주입, 유입, 매입, 주사, 코팅, 도장, 믹싱, 다짐; 일정 위치로 상기 타설 내지 다짐; 일정 위치에 상기 타설 내지 다짐; b) 상기 타설 내지 다짐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다짐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c)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d) 자화기에서 오존 및 방전제가 방사되고 오존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타설 내지 c)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7은 a) 상기 일 내지 면처리, 타설 내지 다짐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것으로 a1) 물질, 재료, 자재, 배수재, 타설재 중 하나를 a11) 타설, 타설하여 주입, a12) 타설하여 주사, 분사, 숏팅, 코팅; a13) 타설하여 도장, 포설, 포장; a14) 타설하여 다짐; a15) 타설하여 믹싱; a2) 또는 양생수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양생, 타설재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면처리; b)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c)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다짐; d) 진동기에서 오존 및 진동이 방사되고 음이온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타설 내지 c) 다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8은 a) 상기 일 내지 다짐, 타설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타설, 형틀타설, 철근타설, 철골타설, 공장타설, 현장타설, 지중타설, 제조타설, 공사타설, 치기, 붓기, 넣기, 포설, 지면포설, 주입, 지중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투입, 보링공투입, 주사, 균열주사, 분사, 사면분사, 녹생토분사, 숏크리트분사, 시드스프레이, 코팅, 표면코팅, 도장, 포장, 도로포장, 다짐, 표면다짐, 지중다짐, 믹싱, 지중믹싱; b) 타설에 수반되는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압송, 펌핑, 운송, 이송, 공급, 제공, 상기 치기 내지 지중믹싱; c) 상기 타설 내지 지중믹싱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타설 내지 지중믹싱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d)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e) 가진기에서 오존 및 진동이 방사되고 살균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타설 내지 d)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작업 29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타설 내지 지중믹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a1) 천공기에 의하여 현장타설 파일을 위한 파일공 천공, 지중연속벽공사를 위한 지중벽 천공, 슬러리월 천공, 다이어프럼월 천공, 지열파이프 또는 오일파이프 삽입용 보링공 천공; a2) 상기 천공시 상기 중공체를 거친 자화물을 주입하면서 천공; a3) 또는 배합기에서 배합된 재료를 공급호스를 거쳐 천공기에 설치된 롯드를 통하여 천공 중 또는 후에 천공부, 균열부 중 하나에 주입하여 지중에 파일, 기둥, 지중벽, 지중연속벽 중 하나 완공, 또는 균열부 충진; a4) 또는 중공체를 거친 자화물을 공급호스를 거쳐 천공기에 설치된 롯드를 통하여 천공부, 균열부 중 하나에 주입하여 지중에 파일, 기둥, 지중벽, 지중연속벽 중 하나 완공, 또는 균열부 충진; b) 상기 천공 내지 충진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천공 내지 충진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천공 내지 복합; c)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천공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지중믹싱; d) 진동기에서 살균제 및 진동이 방사되고 오존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천공 내지 c) 지중믹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0은 상기 일 내지 지중믹싱, 천공 내지 충진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 혼합기, 펌프, 가압기, 운송기, 공급기, 타설기, 주입기, 주사기, 믹싱기, 분사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포장기, 진동기, 다짐기, 양생기, 면처리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저장, 혼합, 펌핑, 가압, 운송, 공급, 타설, 주입, 주사, 믹싱, 분사, 숏팅, 코팅, 도장, 포장,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b) 또는 b1) 상기 저장고에 의하여 물, 재료, 소재, 원료, 시멘트, 모래, 자갈, 골재, 혼화제, 콘크리트,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저장; b2) 상기 혼합기에 의하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흙, 지반, 지중, 지하, 지중흙, 흙과 바인더, 지중흙과 몰탈, 지중흙과 고화재 중 하나 이상을 혼합; b3) 상기 펌프에 의하여 재료에 1 이하, 1∼10, 10∼100, 100∼500, 500 이상 중 하나 kg/cm2의 압력을 가함; b4) 상기 가압기에 의하여 재료를 가압, 압송, 펌핑, 공급, 제공; b5) 상기 운송기 또는 공급기에 의하여 재료를 운송, 이송, 공급, 제공; b6) 상기 타설기에 의하여 재료를 타설, 포설, 코팅, 주입, 분사, 투입, 주사, 인젝션, 그라우팅; b7) 상기 포설기에 의하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지면에 아스콘, 사면에 녹생토 중 하나를 포설; b8) 상기 주입기 또는 주사기에 의하여 재료를 균열, 절리, 지반, 지중, 지하, 조인트 중 하나에 주입, 주사; b9) 상기 믹싱기에 의하여 흙, 지반, 지중, 지하, 바인더, 고화제, 시멘트 중 하나 이상을 믹싱; b10) 상기 분사기에 의하여 재료를 사면, 법면, 표면, 지반, 지중, 지하 중 하나에 분사, 주입; b11) 상기 숏팅기 또는 코팅기 또는 도장기에 의하여 재료를 b111) 면, 표면, 지면, 사면, 콘크리트면, 자재, 건자재, 시설, 건물, 구조물, 시설물; b112) 상기 면 내지 시설물 중 하나의 면, 표면, 외면; 중 하나 이상에 숏팅, 분사, 코팅, 도장, 분사하여 코팅, 분사하여 도장; b12) 상기 포장기에 의하여 재료를 포장 또는 노면에 포장; b13)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재료를 진동, 다짐; b14) 상기 다짐기에 의하여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아스콘포장, 지반, 지중, 지하, 몰탈, 모래, 골재, 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지중에 모래, 지중에 콘크리트 중 하나를 다짐; b15) 상기 양생기에 의하여 재료, 타설재, 주입재 중 하나를 양생, 건조, 건조양생; b16) 상기 면처리기에 의하여 수(水), 물(水 or 物), 액(液), 유(油), 약(藥), 제(劑), 재(材), 졸, 겔, 재료, 분사재, 코팅제, 도장제 중 하나를 자재, 재료, 시설, 건물, 구조물, 콘크리트물, 타설재의 양생물 중 하나 이상에 분사하여 상기 자재 내지 콘크리트물 중 하나의 표면을 처리, 마무리, 매끈처리, 요철처리; c) 상기 저장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저장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d)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충진; e) 자화하는 진동기에서 자기장 및 오존이 방사되고 진동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저장 내지 d) 충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1은 상기 일 내지 충진, 저장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자석이 거치된 분사기가 자신에 탑재되어 이동하면서 자화물을 분사, 자석이 거치된 중공체가 구비되어 중공체로부터 분출되는 타설재를 타설, 천공기가 탑재되어 고층 건물에 균열보수용 보링공을 천공, 공급로(25) 또는 분사기(26)가 장착되어 고층 사면에 자화 숏크리트를 분사, 공급로(25) 또는 분사기(26)가 장착되어 터널에 자화 분사수를 분사하여 터널 분진을 제거, 포설기가 탑재되어 자화 포설수를 공중에 포설하여 공기 청정, 버블기가 탑재되어 자화 버블수를 수중에 주입하여 수질 정화; b) 상기 분사 내지 정화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분사 내지 정화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분사 내지 복합; c)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분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d) 진동하는 오존기에서 오존 및 진동이 방사되고 소독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분사 내지 c)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2는 상기 일 내지 충진, 저장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1) A) 3D프린터에 의하여 자신(71)의 프레임(72)에 3차원이동(73)이 가능한 이동체 또는 이동부(116)가 탑재되어 3차원으로 이동(73)하면서 배합기(22), 공급로(25) 중 하나로 부터 공급되는 재료,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중 하나(1)를 타설, 분사, 주입 중 하나를 하여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8)를 조성; B) 3D프린터 또는 장비에 의하여 자신(71)에 장착된 타설기(26)를 통하여 양생을 촉진하는 급결제, 바인더 중 하나가 투입된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중 하나를 건물형태 또는 건물구조를 따라 순환하여 이동하면서 5∼30cm 높이의 레이어(layer)로 또는 층상으로 상승하면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타설하여 건물 공사; C) 3D프린터 또는 장비에 의하여 상기 타설을 건물 바닥, 1층 기둥 및 벽체, 1층 슬라브, 2층 기둥 및 벽체, 2층 슬라브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하여 10층 또는 n층을 축조하고 최종적으로 옥상 슬라브를 하여 건물 완성; D) 3D프린터 또는 장비에 의하여 a) 기초 설치를 위한 지반 보링; b) 상기 이동부에 철근망을 거치하여 상기 보링공에 철근망 투입; c)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상기 보링공에 기초 파일 콘크리트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d)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건물 바닥부의 형틀, 철근을 운반 및 조립; e)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건물 바닥에 콘크리트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f)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을 운반 및 조립; g)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1층 기둥, 벽체에 콘크리트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h) 상기 이동체, 타설기 중 하나 이상을 상승 시킴; i)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슬라브의 형틀, 철근을 운반 및 조립; j)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1층 슬라브에 콘크리트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k)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2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을 운반 및 조립; ℓ)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2층 기둥, 벽체에 콘크리트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m) 상기 이동체, 타설기 중 하나 이상을 상승 시킴; n) 상기를 반복하여 n층 기둥, 벽체, 슬라브의 형틀, 철근을 운반 및 조립, 콘크리트를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o)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최종 옥상 콘크리트를 타설, 상기 타설 후 양생; 2) 상기 보링 내지 양생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보링 내지 양생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보링 내지 복합; 3)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보링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면처리; 4) 자기장을 방사하는 오존기에서 진동 및 음이온이 조사되고 살균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1) 보링 내지 3) 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3은 상기 일 내지 면처리, 보링 내지 양생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a1) 자석(10) 구비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를 호퍼(21)를 통하여 배합기(22)에 투입하여 배합; a2) 상기 배합된 배합물인 콘크리트를 펌프(23)에 의하여 압송; a3) 상기 압송 후에 자석 매입 공급로(25) 또는 타설기(26)를 통하여 지중 또는 보링공 또는 형틀(30)에 타설; a4) 상기 타설된 타설물의 양생 중 자석 매입 양생기(26)를 통하여 자화 양생수를 분사하여 양생을 촉진; a5) 상기 양생 후 형틀(30)을 탈형; a6) 상기 타설 또는 탈형되어 조성된 자재, 시설, 건물, 도로, 교량 중 하나에 자석 매입 코팅기 또는 도장기(26)를 통하여 자화형 코팅제 또는 도장제를 분사; a7) 상기 타설 또는 분사 후에 자재, 시설, 건물, 도로, 교량 중 하나 조성; b) 상기 배합 내지 조성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배합 내지 조성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배합 내지 복합; c)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배합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양생; d) 자기장을 방사하는 음이온기에서 오존 및 음이온이 조사되고 소독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배합 내지 c) 양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4는 상기 일 내지 양생(상기 일 내지 면처리, 보링 내지 양생), 배합 내지 조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a1) 저장고에 저장된 원료를 호퍼를 통하여 배합기에 투입; a2) 상기 배합기에서 배합 후 펌프를 통하여 가압; a3) 상기 가압 후에 타설기를 통하여 지중 또는 보링공 또는 형틀에 타설; a4) 상기 타설된 타설물을 양생기로 양생, 살수양생, 증기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a5) 상기 형틀 해체; a6) 상기 양생 또는 해체하여 기둥, 파일, 말뚝, 자재, 시설,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중 하나를 조성; b) 상기 투입 내지 조성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투입 내지 조성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복합; c)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작업,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조성; d) 살균제를 방사하는 오존기에서 오존 및 음이온이 조사되고 자화처리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a) 투입 내지 c) 조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5는 상기 일 내지 조성(상기 일 내지 양생, 배합 내지 조성, 투입 내지 조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자기장이 발생되는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호퍼(21)를 통하여 콘 구비 자석이 매입된 배합기(22)에 투입하여 배합; b) 상기 배합된 배합물인 몰탈, 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중 하나(1)를 펌프(23)에 의하여 압송하여 자석 매입 공급로(25) 또는 타설기(26)를 통하여 지중 또는 보링공 또는 형틀(30)에 타설; c) 상기 타설된 타설물의 양생 중 양생기(26)를 통하여 양생수를 분사하여 양생을 촉진; d) 상기 양생 후 형틀(30)을 탈형; e) 상기 타설또는 탈형에 의하여 기둥, 파일, 말뚝, 자재, 시설,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중 하나 조성; f) 상기 배합 내지 조성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6은 상기 일 내지 조성, 배합 내지 조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콘 구비 자석(10) 매입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자석 구비 호퍼(21)를 통하여 자석 구비 콘이 매입된 자화형 배합기(22)에 투입하여 배합; b) 상기 배합된 배합물인 자화형 아스콘, 레미콘, 콘크리트 중 하나(1)를 펌프(23)에 의하여 압송하여 콘 구비 자석 매입 공급로(25) 및 포설기(26)를 통하여 땅, 표면, 지면, 도로, 포장 중 하나 위에 포설; c) 상기 포설 부위를 다짐기로 다짐; d) 상기 포설 또는 다짐한 후 자석 구비 호스형 양생기(26)를 통하여 자화형 양생수를 분사; e) 상기 분사하여 양생 촉진; f) 상기 포설 또는 촉진에 의하여 도로, 인도, 포장체, 교통시설, 도로시설 중 하나 축조; g) 상기 배합 내지 축조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7은 상기 일 내지 조성, 배합 내지 축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자석(10) 구비 콘 매입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자석 구비 콘 매입 호퍼(21)를 통하여 콘 구비 자석이 매입된 배합기(22)에 투입; b) 상기 투입 후에 배합; b) 상기 배합된 배합물인 자화형 몰탈, 밀크, 재료, 약액, 현탁액, 슬러리 중 하나(1)를 펌프(23)에 의하여 압송; c) 상기 압송하여 콘 구비 자석 매입 공급로(25)와 중공 롯드형의 자화 주입기(26)를 통하여 지중 또는 사면에 분사 또는 주입; d) 상기 분사 또는 주입하여 지반 또는 사면 개량, 압밀, 압축, 복원, 보강; g) 상기 투입 내지 보강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8은 상기 일 내지 축조, 투입 내지 보강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지반을 굴착 또는 보링; b) 굴착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반에 관입; c) 굴착기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 또는 보링; d) 굴착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중으로부터 인발; e) 타설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반에 관입; f) 지반에 자재, 재료, 모래, 쇄석, 철근, 철골, 강관, 슬래그, 배수재, 보강재, PBD재(plastic board drain material) 중 하나를 타설 또는 삽입; g) 상기 굴착 또는 보링 부위에 상기 자재 내지 PBD재 중 하나를 타설 또는 삽입; h) 타설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재 내지 PBD재 중 하나를 타설 또는 삽입; i) 타설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중으로부터 인발; j) 다짐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반에 관입; k) 다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재 내지 PBD재 중 하나를 타설 또는 다짐; ℓ) 다짐기 또는 이의 롯드를 지중으로부터 인발; m) 상기 타설, 삽입, 다짐, 적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지중에 상기 자재 내지 슬래그 중 하나의 파일 형성, 수직 배수재 형성, 수직 보강재 형성, 수직 PBD재 형성, CIP(cast in place pile) 형성; n) 상기 타설, 삽입, 다짐, 형성 중 하나 이상이 된 지반의 상부 또는 지면에 토사 또는 상재하중 적재, 5m 적재, 10m 적재, 15m 적재, 20m 적재; o) 상기 타설, 삽입, 다짐, 형성, 적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지반 압밀, 배수, 보강, 개량; g) 상기 굴착 내지 개량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9는 상기 일 내지 보강, 굴착 내지 개량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시드(seed),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된 자석(10) 매입 저장고(20); b) 상기 저장고의 재료를 배합기(22)에 투입하는 호퍼(21); c) 상기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는 콘 구비 자석 매입의 배합기(22); d) 상기 혼합된 배합물을 압송하는 펌프(23); e) 상기 압송된 압송물을 공급하는 자석 매입 중공체가 구비된 공급로(25); f) 상기 공급된 공급물을 분사하는 분사기(26);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면, 표면, 사면, 법면, 굴착면, 사면 굴착면, 터널 굴착면 중 하나에 재료, 녹생토, 숏크리트, 시드스프레이재, 피톤치드 숏크리트 중 하나를 포설하거나, 또는 상기 포설에 의하여 상기 면 내지 굴착면 중 하나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0은 상기 일 내지 개량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호퍼(21)를 통하여 콘 구비 자석 매입 배합기(22)에 투입하여 배합하고, b) 이의 배합물인 자화형 녹생토재,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 이상(1)을 펌프(23)에 의하여 압송하여 콘 구비 자석 매입 튜브가 구비된 공급로(25)의 후단에 설치된 분사기(26)를 통하여 사면에 재료,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 이상(1)을 타설하여 사면을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1은 상기 일 내지 개량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20)에 저장된 모래, 시멘트, 물, 재료, 혼화제, 미생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콘 구비 자석 매입 호퍼(21)를 통하여 자석 구비 콘 매입 배합기(22)에 투입하여 배합; b) 상기 배합된 배합물, 몰탈, 슬러리,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중 하나를 펌프(23)에 의하여 압송하여 자석 매입 중공체가 구비된 공급로(25)를 통하여 타설기(26)로 지중, 지반, 형틀, 거푸집, 보링공, 굴착부 중 하나에 타설; c) 상기 타설 후에 양생; d) 상기 양생 시에 자석 매입 호스형 양생기를 통하여 자화 양생수, 또는 육각수의 양생수를 살수; e) 상기 살수하여 양생 촉진; f) 상기 거푸집을 탈형; g) 상기 타설 또는 탈형에 의하여 시설, 건물, 교량, 터널, 도로, 구조물, 시설물 중 하나 축조; h) 상기 배합 내지 축조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2는 상기 일 내지 개량, 배합 내지 축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파이프 또는 중공체(13)가 내장된 탱크 또는 응집조(120)가 이용되어, a) 상기 파이프 또는 중공체를 통하여 반응제, 응집제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재료(1)가 투입되어 탱크 또는 응집조 내의 오염수(121)가 폭기, 응집 중 하나 이상이 되고, b) 상기 오염수의 응집물(122)은 아래로 가라앉아 외부로 반출되고, c) 상기 오염수 중 정화처리된 정화수(123)는 필터(124)를 통하여 미세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상등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재활용 또는 방류(125)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3은 상기 일 내지 축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 호퍼, 혼합기, 펌프, 운송기, 공급로, 타설기, 주입기, 진동기, 다짐기, 믹싱기, 양생기, 면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비; b) 상기 저장고(20)에 재료가 저장; c) 상기 호퍼(21)에 의하여 혼합기(22)에 재료가 투입; d) 상기 혼합기(22)에 의하여 재료가 혼합; e) 펌프(23)에 의하여 재료가 가압, 압송, 펌핑, 공급, 제공; f) 상기 운송기(24)에 의하여 재료가 운송, 이송, 공급, 제공; g) 상기 공급로(25)에 의하여 재료가 공급, 제공; h) 상기 타설기(26)에 의하여 재료, 모래, 파일, 보강재, 개량재, PBD재, 콘크리트 중 하나가 타설, 인젝션, 그라우팅, 지중타설, 보링공에 타설, 형틀에 타설, 연약지반에 타설, 공장에서 타설, 현장에서 타설, 기초 공사를 위하여 타설, 지반 개량을 위하여 타설; i) 상기 주입기에 의하여 재료가 주입, 형틀에 주입, 지중주입; j)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상기 타설 내지 지중주입 중 하나의 재료가 진동; k) 상기 다짐기에 의하여 재료가 다짐, 지중다짐; ℓ) 상기 믹싱기에 의하여 재료가 믹싱, 지중믹싱; m) 상기 양생기에 의하여 상기 타설 또는 주입된 재료가 양생; n) 상기 면처리기에 의하여 상기 양생 후 양생물이 면처리; o) 상기 타설 또는 주입에 의하여 제조, 자재제조, 레미콘제조, 콘크리트제조, 벽돌제조, 블럭제조, 파일제조, 지반개량, 지반보강, 시설조성, 건물조성, 도로조성, 교량조성, 구조물조성; p) 상기 구비 내지 구조물조성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4는 상기 일 내지 축조, 구비 내지 구조물조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20)에 재료가 저장; b) 호퍼(21)에 의하여 혼합기(22)에 재료가 투입; c) 혼합기(22)에 의하여 재료가 혼합; d) 가압기 또는 펌프(23)에 의하여 재료가 가압, 압송, 펌핑, 공급, 제공; e) 공급기 또는 운송기(24)에 의하여 재료가 운송, 이송, 공급, 제공; f) 공급로(25)에 의하여 재료가 공급, 제공; g) 타설기(26)에 의하여 재료가 타설, 주입, 인젝션, 수중타설, 지중타설, 현장에서 타설, 정화를 위하여 타설; h) 분사기에 의하여 재료가 분사, 살수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지중분사, 분진제거분사, 공기류 재료를 하천에 주입; i) 주입기에 의하여 재료가 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지중주입; j) 숏팅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시설이 숏팅, 녹숏팅; k) 코팅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시설이 코팅, 면코팅; ℓ) 도장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시설이 도장, 면도장; m) 상기 저장 내지 면도장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재 제조, 시설 조성, 건물 조성, 구조물 조성,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정, 시설정화, 하천폭기, 수질정화, 공기정화; n) 상기 저장 내지 공기정화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5는 상기 일 내지 구조물조성, 저장 내지 공기정화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별도로 하는 것으로, a) 저장고에 재료 저장, 자석 매입 저장고에 타설재 저장, 이의 저장물 자화, 자화된 저장물 저장; b) 혼합기에서 재료 또는 타설재 혼합, 자석 매입 혼합기에서 재료 또는 타설재 혼합, 상기 혼합된 혼합물 자화, 자화물 혼합; c) 펌프로 재료 또는 타설재를 공급로에 공급, 펌프로부터 자화 몰탈을 가압하여 타설기에 공급; d) 공급로로부터 재료 또는 자화 분사재를 타설기에 공급, 공급로로부터 펌프에서 가압된 재료 또는 분사재를 타설기 또는 분사기에 공급; e) 타설기를 통하여 재료 또는 타설재 타설, 타설기를 통하여 레미콘 타설재 타설, 상기 타설된 타설물 자화, 자화물 타설; f) 분사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타설재 분사, 분사기에 의하여 몰탈 또는 분사재를 분사, g) 분사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몰탈을 사면, 자재, 시설 중 하나에 분사, h) 분사기의 하나인 콘 구비 자석 매입 분사기를 거친 재료 또는 자화물이 지중에 주입, 사면에 분사, 자재에 분사되어 코팅, 시설에 분사되어 도장; i) 주입기로 재료 또는 타설재를 홀, 형틀, 지중 중 하나에 주입, 주입기의 하나인 지중에 관입된 자석 매입 중공롯드를 거친 자화물이 롯드의 분사구멍을 통하여 지중 속으로 분사되어 주입; j) 코팅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코팅용 타설재를 분사하여 양생물 표면 코팅, 코팅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코팅제를 분사하여 타설재의 양생물 표면 코팅, k) 코팅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코팅제를 지면, 자재, 시설, 타설재의 양생물 중 하나에 분사하여 코팅, ℓ) 코팅기의 하나인 자석 매입 스프레이어를 거친 자화수, 자화액 중 하나의 자화물이 자재, 시설 중 하나에 분사되어 자재, 시설 중 하나가 상기 자화물로 코팅, 도포; m) 도장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도장용 타설재를 분사하여 양생물 표면을 도장, 도장기에 의하여 도장제를 분사하여 타설재의 양생물 표면 도장, n) 도장기에 의하여 재료 또는 도장제를 표면, 콘크리트면, 재료, 시설, 타설재의 양생물표면 중 하나에 분사하여 도장, o) 도장기의 하나인 자석 매입 스프레이어를 거친 재료 또는 자화 페인트의 자화물이 자재, 시설 중 하나에 분사되어 자재, 시설 중 하나가 상기 자화물로 도장, 도색, 페인팅; p) 양생기로 양생수 또는 타설재를 타설하여 자재, 시설, 타설재 중 하나 양생, q) 양생기의 하나인 자석 매입 물호스로 구성된 양생기를 거친 자화수, 자화액 중 하나의 자화물이 분사되어 자재, 시설, 타설재 중 하나 양생, r) 면처리기로 자재 또는 시설의 표면을 처리, 면처리기의 하나인 자석 매입 분사기로 자화수, 자화액 중 하나의 자화물을 분사하여 시설, 자재, 타설재 양생물 중 하나의 면을 처리, 매끈처리, 요철처리; s) 상기 저장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6은 a) 상기 일 내지 구조물조성, 일 내지 용접, 기획 내지 화상회의,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유입 내지 커피제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매입 내지 침지, 재배 내지 태양발전, 주입 내지 기름주유,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믹싱 내지 레미콘보양,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채취 내지 시뮬레이션, 가열 내지 음식물탈수,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처리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정화 내지 열풍,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일 내지 광촉매코팅, 관리 내지 리모델링, 공사 내지 굴착부타설, 저장 내지 면처리, 건설 내지 리모델링, 타설 내지 다짐, 타설 내지 면처리, 타설 내지 지중믹싱, 천공 내지 충진, 저장 내지 요철처리, 분사 내지 정화, 보링 내지 양생, 배합 내지 조성, 투입 내지 조성, 투입 내지 보강, 굴착 내지 개량, 배합 내지 축조, 구비 내지 구조물조성, 저장 내지 공기정화, 저장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작업; b)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작업; c)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이 되는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는 상기 일 내지 구조물조성 ∼ 저장 내지 요철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중 둘 이상을 나타내는 또는 대표하는 것은 복합, 복합일, 복합작업, 복합업무, 복합행동, 복합행위, 기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작업 47은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위한 또는 하나가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48은 a)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재료, 자재, 물질,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부품, 제품, 드론,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c)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49는 칩, 장비, 장치,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업무, 작업, 제조, 공사, 정화, 청정,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하나에 의한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상기 일 내지 요철처리,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하나가 이용되는'은 하나의, 하나 용도의, 하나를 하는, 하나에 관련되는, 하나가 관련되는, 하나가 이용되는, 하나에 이용되는, 하나를 조성하는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관련은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 50은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속하는 칩 생산, 장치 제조, 장비 이용, 자재 이송, 재료 투입, 물품 구매, 물체 구비, 물질 교반, 작업 준비, 제조 업무, 공사 수행, 정화 처리, 청정 생활, 시설 건축, 건물 공사, 구조물 보수, 드론 비행, 3D프린터 제작, 모빌리티 운송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1은 a)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빛, 철, H, O, C, N, P, K, Ca, Mg, Si, Fe, Al, Na, OH, COO, CaSi, CaFe,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물체, 물품, 자재, 시설, 수지, 탄소, 섬유, 촉매, 황토, 백토, 점토, 광물, 광석, 광미, 암석, 질석, 금속, 소재, 재료, 자재, 액체, 생수, 상수, 하수, 폐수, 분말, 분진, 폐분, 석분, 공기, 가스, 기포, 연무, 버블,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와류, 자장(磁場), 오존, 음이온, 청정제, 정화제, 반응제, 응집제, 여과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폭기제, 기포제, 팽창제,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광촉매, 그래핀, 나노물, 부산물, 미생물, 음식물, 음폐수, 슬러지, 슬래그, 미스트, 화이버, 라텍스, 피톤치드,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카올린,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아타팔자이트; b) 상기 수(水) 내지 아타팔자이트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수(水) 내지 아타팔자이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된 복합물; c)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하나가 이용되는'은 하나의, 하나 용도의, 하나를 하는, 하나에 관련되는, 하나가 관련되는, 하나가 이용되는, 하나에 이용되는, 하나를 조성하는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하나가 또는 하나에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를 또는 하나에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등도 해당된다. 여기서 관련은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업 52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수행 중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3은 a) 에코, 나노, 비비, 청정, 정화, 방역, 살균, 소독, 디톡, 디톡스, 처리, 내진, 방진, 기능, 기능성, 미생물,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황토, 피톤, 피톤치드, 편백, 편백나무, 저탄소, 녹색성장,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 바이러스청정, 바이러스처리, 돌기, 펄스, 폭기, UV(ultraviolet, ultraviolet rays), LED(luminescent diode, light emitting diode), 자외선, 적외선, 광촉매,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육각수, 이중 둘 이상 복합; b) 또는 자연재 사용의 에코, 나노미터재 사용의 나노, 밤(balm) 사용의 비비, 청정, 정화, 방역, 살균, 소독, 디톡, 디톡스, 처리, 내진, 방진, 기능제 사용의 기능, 기능재 사용의 기능성, 미생물, 미생물 함유 바이오, 친환경재 사용의 친환경, 바인더 사용의 스마트, 센서 사용의 디지탈, 황토, 피톤치드인 피톤, 피톤치드, 편백나무인 편백, 편백나무, 탄소흡수재 사용의 저탄소, 녹화하는 녹색성장, 마이크로미터재 사용의 마이크로, 2종 이상 물질 사용의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제 사용의 인텔리전트, 바이러스를 청정시키는 바이러스청정, 바이러스처리, 돌기, 펄스, 폭기, UV, LED, 자외선, 적외선, 광촉매,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육각수,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4는 a) a1)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자연재, 나노재, 나노미터재, 밤(balm), 밤크림,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디톡제, 디톡스제, 처리제, 내진재, 방진재, 기능제, 기능재, 미생물, 미생물 함유 물질인 바이오제, 친환경재, 바인더, 센서, 황토, 피톤치드, 편백나무, 탄소흡수, 탄소사용, 탄소미발생, 녹화, 녹생, 마이크로재, 마이크로미터재, 2종 이상 물질, 인텔리제, 인텔리전트제, 바이러스청정제, 바이러스처리제, 돌기, 펄스기, 폭기기, UV기, LED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광촉매함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a2)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분말, 입자; a3) 상기 자연재 내지 입자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물, 상기 자연재 내지 입자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된 복합물,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인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5는 작업에 속하는 또는 작업의 하나인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6은 상기 작업, 복합작업,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하기 a, b, c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 또는 작업이다. 상기 a는 자화하는 일, 자화와 진동, 진동과 자화, 자화진동, 진동자화, 자화와 진동인 자화진동, 건설 및 조경, 건설조경, 조경건설, 조경 및 건설인 조경건설, 건설 및 조경인 건설조경, 정화와 청정, 정화청정, 청정과 정화, 청정정화, 청정과 정화인 청정정화, 청소와 이사, 이사와 청소, 청소와 이사인 청소이사, 이사와 청소인 이사청소, 청소이사도배, 이사청소도배, 청소와 이사와 도배, 청소와 이사와 도배인 청소이사도배, 이사와 청소와 도배, 이사와 청소와 도배인 이사청소도배, 분사와 포설, 분사포설, 분사와 포설인 분사포설, 분사 및 포설인 분사포설, 신체목욕, 신체의 목욕인 신체목욕 중 하나이다. 상기 b는 도금처리, 도금과 처리인 도금처리, 풍력폭기처리, 풍력폭기의 처리인 풍력폭기처리, 풍력폭기주입, 헤어처리, 헤어살균처리, 헤어와 살균과 처리인 헤어살균처리, 건설과 토목, 건설토목, 건설토목건축, 건설과 토목과 건축인 건설토목건축, 청소와 세척 및 세차, 청소세척세차, 청소세척세차세탁, 청소와 세척과 세차와 세탁인 청소세척세차세탁, 청소세척세차세탁과 정화 및 청정, 청소세척세차세탁과 정화와 청정과 처리, 청소세척세차세탁과 정화청정처리, 청소세척세차세탁정화청정처리 중 하나이다. 상기 c는 제조와 제작 작업, 제조제작작업, 자동 및 수동 작업, 자동수동작업, 건설 및 조경 작업, 건설조경작업, 안마와 마사지 작업, 안마마사지작업, 청소와 정화 및 처리 작업, 청소정화처리작업, 반응과 응집과 침전 작업, 반응응집침전작업, 분사와 분무 및 도장과 도색 작업, 분사분무도장도색 작업, 연마세척와 분사분무도장도색 작업, 연마세척분사분무도장도색 작업 중 하나이다.
상기 작업 57은 상기 작업, 복합작업, 자화 내지 복합, 에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또는 하나에 의한 a) 자화, 진동, 가진, 방역, 살균, 소독, 제독, 항균,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세탁, 세정, 연마, 회전, 혼합,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충격, 파쇄, 분쇄, 자극, 가속, 와류, 이류, 흔듬, 경화, 고화, 응고, 고결, 본딩, 바인딩, 자성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연무화, 유동화, 액상화, 활성화, 폭기화, 분산화, 청정화, 정화화, 면정리, 면마감, 마사지, 쉐이킹, 장운동, 위운동, 신체운동, 혈액순환, 피로회복, 반응촉진, 수반응, 액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나노반응, 성장촉진, 발아촉진, 식생촉진, 녹화촉진, 식물성장촉진, 바이오반응, 포졸란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자기장화, 육각수화, 미스트화, 슬러리화, 케비테이션, 에너지상승, 자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오존살균, 음이온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오존청정, 음이온청정, 오존정화, 음이온정화; b)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c)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d) 물질 또는 물체의 성질, 특성, 점성, 강성, 강도, 양생, 작업성, 분사성, 주입성, 부착성, 반응성, 방수성, 에너지, 정화성, 처리성, 건전성, 건강성, 신진대사, 혈액순환,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을 촉진, 향상, 변경, 변화;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 촉진, 향상, 변경, 변화; f) 상기 자화 내지 변화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작용; 중 하나이거나, 또는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 58은 1) 촬영, 녹화, 사진촬영, 공간촬영, 카메라로 촬영, 공중에서 촬영, 하늘에서 촬영; 2) 또는 일, 작업, 공사, 작업 장면, 공사 장면, 상기 또는 하기의 일 내지 복합 등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3) 상기 작업 또는 공사하는 수단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4)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사용되는 수단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5)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시설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6)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시설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7)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의하여 축조되는 시설을 촬영, 녹화, 사진촬영; 8) 상기 작업하는 장면과 상기 작업하는 장비와 상기 작업하는 작업자와 상기 작업에 이용되는 자재와 상기 작업되는 시설과 상기 시설을 축조하는 자재를 동시에 촬영, 녹화, 사진촬영; 9) 상기 촬영 또는 녹화 중에 측량, 지형측량, 지형측정, 측정, 먼지농도측정, 관찰, 주변관찰, 작업장면 관찰; 10) 상기 촬영 내지 관찰 중 하나 이상에 순회, 선회, 회전, 경비, 경계, 관제, 관측, 야경, 순찰, 주변순찰; 11) 상기 촬영 내지 순찰 중 하나 이상에 분사, 물분사, 먼지제거분사, 살수, 고압살수, 살포, 연막살포; 12) 상기 촬영 내지 연막살포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오존 방사하여 살균, 소독제 분사하여 소독, 연막 분사 방역; 13) 상기 촬영 내지 방역 중 하나 이상에 청정, 공기청정, 먼지청정,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먼지 청정, 정화, 오염정화, 정수, 물정수, 청소, 공사장청소, 작업장청소, 세정, 시설세정, 세척, 차량세척; 14) 상기 촬영 내지 세척 중 하나 이상의 내용 또는 자료를 송신, 유선송신, 무선송신, 인터넷송신, 와이파이송신; 15)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 16) 상기 송신의 내용 또는 자료를 수신, 화면으로 수신, 핸드폰으로 수신, PC(personal computer)로 수신, 컴퓨터로 수신, 모니터로 수신, 디스플레이로 수신, PC모니터로 수신, 상기 물체를 조종하는 조종기로 수신, 상기 물체를 운전하는 운전기로 수신, 상기 물체를 조종하는 조종기의 화면으로 수신, 상기 물체를 운전하는 운전기의 화면으로 수신, 상기 조종기와 핸드폰과 모니터로 수신, 상기 물체를 조종하는 조종자가 수신, 상기 물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수신, 상기 작업을 관장하는 관장자가 수신; 17)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과 수신; 18) 상기 작업하는 현장의 작업자와 상기 작업을 관장하는 회사 또는 사무실의 관장자가 통화, 무선 통화, 유선 통화, 핸드폰으로 통화, 무전기로 통화; 19)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과 수신과 통화; 20) 상기 통화에 의하여 작업 지시, 수정, 보완, 보강, 수정, 변경, 처리; 21) 상기 통화에 의하여 상기 관장자가 상기 작업자에게 작업 지시, 수정, 보완, 보강, 수정, 변경, 처리; 22) 상기 촬영 내지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관제 시스템 구축, 통제 시스템 구축, 관찰 시스템 구축, 순찰 시스템 구축, 감독 시스템 구축, 감리 시스템 구축; 23) 상기 촬영 또는 수신의 내용, 자료 등을 저장, 시청, 청취, 분석, 해석, 판독, 해독, 평가, 편집, 더빙, 3차원분석; 24) 상기 수신 또는 분석의 내용, 자료 등으로 매핑(mapping), 3차원매핑, 지도제작, 3차원지도제작, 도면제작, 3차원도면제작, 사진제작, 3차원사진제작, 토공도제작, 성토도면제작, 절토도면제작, CAD도면제작, 지형제작, 등고선작성, 지형등고선작성, 야적도제작, 적재도제작, 현황도제작, 3차원현황도제작, 시설현황도제작, 지형도제작, 3차원제도, 3차원그래픽구축, 3차원모형구축, 컴퓨터 내에 3차원모형구축; 25)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과 수신과 통화와 매핑; 26) 상기 매핑 또는 도면으로부터 모델링, 해석모델링, 컴퓨터모델링, 3차원모델링,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시설모델링, 3차원시설모델링, 상기 모델링 수행; 27) 상기 촬영 내지 구축 중 하나 이상으로 지형, 토지, 대지, 단지, 부지, 지도, 지역, 지반, 암반, 사면, 법면, 사면, 비탈면, 경사면, 재료, 자재, 시설, 건물, 구조물, 토공, 절토, 성토, 야적, 적재, 물체, 물품, 장비, 장치, 진지, 부대, 모형, 모델, 균열, 조인트, 절리, 절리면, 대상, 대상물, 대상체, 폐기물, 조성물, 조형물 중 하나 이상의 폭, 량(量), 가로, 세로, 변위, 위치, 좌표, GPS좌표, 높이, 고도, 위도, 경도, 방향, 주향, 경사, 길이, 면적, 체적 중 하나 이상 산정; 28) 상기 촬영 내지 산정 중 하나 이상으로 대상, 지형, 토사, 모래, 골재, 폐기물, 성토, 절토, 토공, 재료, 자재, 반입, 반출, 야적, 적재, 사용, 시설, 건물, 구조물, 상기 지형 내지 조형물 중 하나의 상기 폭 내지 체적 중 하나 이상 산정; 29) 상기 촬영 내지 산정 중 하나 이상으로 수량, 물량, 용량, 대상량, 토공량, 작업량, 공사량, 재료량, 자재량, 토사량, 모래량, 골재량, 폐기물량, 야적량, 적재량, 사용량, 균열량, 시설변위량, 시설변형량, 시설이동량, 시설공사량, 시설증축량, 시설건축량, 시설축조량 중 하나 이상 산정; 30)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과 수신과 통화와 매핑과 산정; 31) 상기 촬영 내지 산정 중 하나 이상으로 전(前), 익일, 어제, 그제, 작업전, 공사전, 1분전, 1시간전, 1일전, 1주일전, 1달전, 1개월전, 1분기전, 1년전 중 하나의 상기 토공량 내지 시설축조량 중 하나 이상과 후(後), 금일, 내일, 모레, 작업후, 공사후, 1분후, 1시간후, 1일후, 1주일후, 1달후, 1개월후, 1분기후, 1년후 중 하나의 상기 토공량 내지 시설축조량 중 하나 이상의 차이 또는 차이량 산정; 32) 상기 익일 측정된 시설의 위치와 금일 측정된 시설의 위치 차이 산정, 1달전 측정된 시설의 좌표와 1달후 측정된 시설의 좌표 차이 산정, 1달전 측정된 시설의 경사와 1달후 측정된 시설의 경사 차이 산정; 33) 상기 어제 작업된 토공체적과 금일 작업된 토공체적의 차이 산정, 1달전 공사된 성토체적과 금일 공사된 성토체적의 차이 산정, 익일 건축된 건물체적과 금일 건축된 건물체적의 차이 산정, 1주전 시공된 건물체적과 1주후 시공된 건물체적의 차이 산정, 1달전 작업된 시설체적과 1달후 작업된 시설체적의 차이 산정; 34) 상기 어제 공사량과 금일 공사량의 차이 산정, 1달전 공사량과 금일 공사량의 차이 산정, 1주전 공사량과 1주후 공사량의 차이 산정, 1달전 공사량과 1달후 공사량의 차이 산정; 35) 상기 어제 공사된 공사량과 금일 공사된 공사량의 차이 산정, 1달전 건설된 공사량과 금일 건설된 공사량의 차이 산정, 1주전 건축된 공사량과 1주후 건축된 공사량의 차이 산정, 1달전 작업된 공사량과 1달후 작업된 공사량의 차이 산정; 36) 상기 어제 공사된 공사체적과 금일 공사된 공사체적의 차이 산정, 1달전 건설된 공사면적과 금일 건설된 공사면적의 차이 산정, 1주전 건축된 공사길이와 1주후 건축된 공사길이의 차이 산정, 1달전 작업된 공사체적과 1달후 작업된 공사체적의 차이 산정; 37) 상기 어제 야적된 자재량과 금일 야적된 자재량의 차이 산정, 1달전 적재된 골재량과 금일 적재된 골재량의 차이 산정, 1주전 반입된 폐기물량과 1주후 반출된 폐기물량의 차이 산정, 1달전 선별된 폐기물량과 1달후 파쇄된 폐기물량의 차이 산정; 38) 상기 차이에 의하여 금회의 또는 추가의 또는 기성의 공급, 제공, 전달, 소유, 공유, 가짐량 내지 시설축조량 중 하나 이상 산정; 39) 상기 내용, 자료 등을 상기 토공량 내지 시설축조량 등을 산정하는 프로그램, S/W, 소프트웨어 등에 입력하여 상기 토공량 내지 시설축조량 등을 산정; 상기 수단을 조종하는 조종기에 수신 산정에 의하여 a) 공사금액, 기성금액, 작업금액, 처리금액, 폐기물처리금액, 금회공사금액, 금회기성금액, 금회작업금액, b) 또는 1분, 1시간, 1일, 1주일, 1월, 1분기, 1년, 금회, 금일, 금주, 금월, 금분기, 금년 중 하나의 공사비, 기성금, 작업비, 처리비, 폐기물처리비, 공사금액, 기성금액, 작업금액 중 하나 산정; 41) 상기 산정에 의하여 a) 상기 공사비 내지 작업금액 중 하나 지급; b) 발주자가 시공자 또는 작업자에게 상기 금액 중 하나 지급; 42) 상기 촬영 내지 지급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관리 구축, 처리 구축, 시스템 구축, 관리 시스템 구축, 관제 시스템 구축, 처리 시스템 구축, 작업 시스템 구축, 공사 시스템 구축, 작업 관리 시스템 구축, 공사 관리 시스템 구축, 기성 관리 시스템 구축, 현장 관리 시스템 구축, 배달 관리 시스템 구축, 택배 관리 시스템 구축, 처리시스템 구축, 토양 처리시스템 구축, 폐기물 처리시스템 구축; 43) 상기 촬영과 측정과 분사와 방역과 송신과 수신과 통화와 매핑과 산정과 구축; 44) 공사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촬영 내지 구축;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은 일, 업무, 작업, 생활, 행동,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타설, 분사, 살수, 주입, 다짐, 진동, 양생, 처리, 면처리,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살균, 소독, 방역, 선별, 분리, 파쇄, 분급, 조사, 탐사, 탐지, 관찰, 측량, 관측, 관제, 순찰, 배달, 배송, 탁송, 택배, 상기 또는 하기의 일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단, 물체, 시스템 등은 로봇, 사람, 인부, 작업자, 아바타, 재료, 자재, 수단, 차량, 장비, 장치, 시설, 설비, 무기, 물질, 물체, 물품, 시스템,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은 집, 주택, 건물, 시설, 설비, 진지, 부대, 구조물, 시설물, 상기 로봇 내지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관장자는 기사,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사장, 상병, 병장, 장교, 대장, 중대장, 군무관, 대대장, 사단장, 군단장, 연대장, 본부장, 관장자, 감독관, 발주자, 감리자, 건물주, 주문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a) 상기 분사는 분사, 지중분사, 공중분사, 수중분사, 저압분사, 중압분사, 고압분사, 제트분사, 숏팅분사, 블라스팅분사, 그라우팅분사, 볼분사, 모래분사, 물질분사, 물체분사, 슬래그분사, 슬래그볼분사, 알루미늄분사, 수쇄슬래그분사, 풍쇄슬래그분사, 50 이하 또는 10∼50kg/cm2의 압력 분사 또는 저압 분사, 50∼100kg/cm2의 압력 분사 또는 중압 분사, 100 이상 또는 100∼500kg/cm2의 압력 분사 또는 고압 분사 중 하나이다. b) 상기 숏팅은 숏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연마숏팅, 표면숏팅, 고압분사, 연마작업, 고압분사연마, 녹제거숏팅, 이물질제거숏팅, 코팅제거숏팅, 금속표면숏팅, 탱크표면숏팅, 표면녹제거숏팅, 볼숏팅, 모래숏팅, 물질숏팅, 슬래그숏팅, 슬래그볼숏팅, 알루미늄숏팅, 수쇄슬래그숏팅, 풍쇄슬래그숏팅, 50 이하 또는 10∼50kg/cm2의 압력 숏팅 또는 저압 숏팅, 50∼100kg/cm2의 압력 숏팅 또는 중압 숏팅, 100 이상 또는 100∼500kg/cm2의 압력 숏팅 또는 고압 숏팅 중 하나이다. c) 상기 제조는 상기 일 내지 레미콘보양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일 내지 레미콘보양 중 하나 제조, 또는 상기 일 내지 레미콘보양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제조이다.
상기 일 내지 레미콘보양은 상기 일 내지 용접, 기획 내지 화상회의, 이용 내지 배달서비스, 유입 내지 커피제조, 미용 내지 초음파마사지, 수리 내지 구조물힐링, 매입 내지 침지, 재배 내지 태양발전, 주입 내지 기름주유,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믹싱 내지 레미콘보양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하기 주입 내지 리모델링은 상기 주입 내지 기름주유, 분사 내지 콘크리트다짐, 믹싱 내지 레미콘보양, 개발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채취 내지 시뮬레이션, 가열 내지 음식물탈수,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처리, 처리 내지 폐기물최종처리, 조립 내지 폐기물소각, 정화 내지 열풍, 청소 내지 광촉매코팅, 관리 내지 리모델링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는 a) 상기 주입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주입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공사, 또는 상기 주입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공사이거나, b) 또는 b1) 공사, 시공, 작업, 건설, 건축, 축조, 신축, 증축, 개축, 축조, 재건축, 재개발, 조경, 식재, 조형, 조각, 환경, 정화,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토공, 굴착, 발파, 성토, 절토, 되메움, 준설, 삭도,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조적, 석공, 석축, 철근공,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공,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도장, 도색,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비계, 해체, 구조물해체, 창호, 판금, 보링, 인젝션, 그라우팅, 충진, 충전, 싱크홀, 발포, 팽창,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면보강, 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개량, 지반개량,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배합, 혼합, 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공급, 이송, 압송, 운반,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레미콘치기, 주입, 몰탈주입, 지중주입, 몰드주입, 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 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제품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코팅, 면도배, 코팅, 라이닝, 터널라이닝, 다짐, 지중다짐, 지상다짐, 포장다짐, 준설, 삭도, 양생, 도배, 식재, 나무식재, 조경식재,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인테리어, 리모델링, 숏크리트공,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공,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RCD기초 공사, ED(earth drill) 또는 ED기초 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2) 상기 공사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수반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b3)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의 일, 업무,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가능하다.
상기 지반개량 또는 지반개량공사에는 지반개량, 지반개량공사, LW(labiles wasser glass)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사, PRD(percussion rotaty drill)공사,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PBD(pastic board drain)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공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공사, 시공, 보수, 보강, 농사, 영농, 주유, 처리, 연소, 소성, 소각 중 하나에는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토목, 조경, 조형, 공장, 제조공장, 현장, 건설현장, 굴착, 지반굴착, 암반굴착, 드릴굴착, 오거굴착, RCD굴착(reverse circulation drill excavation), 탑다운굴착, 착정, 우물공착정, 발파, 암반발파, 천공, 지중천공, 보링, 지반보링, 암반보링, 앵카공보링, 지반조사용보링, 배합, 레미콘배합, 교반, 혼합, 콘크리트혼합, 타설, 형틀타설, 몰드타설, 거푸집타설, 건물형틀타설, 구조물형틀타설, 라이닝타설, 터널라이닝타설, 지면타설, 공장타설, 제조공장타설, 건자재제조공장타설, 현장타설, 도로현장타설, 옹벽현장타설, 터널현장타설, 교량현장타설, 치기, 몰탈치기, 시멘트치기, 콘크리트치기, 붓기, 레미콘붓기, 넣기, 콘크리트넣기, 진동, 형틀진동, 타설물진동, 형틀내타설물진동, 진동기진동, 포설, 포장포설, 지면포설, 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노면포장, 교면포장, 신설포장, 보수포장, 분사, 면분사, 사면분사, 밥면분사, 비탈면분사, 굴착부분사, 뿜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살포, 지중살포, 수중살포, 분산, 수중분산, 분수, 공중분수, 분무, 공중분무, 살수, 지면살수, 분진제거살수, 관수, 농업관수, 식물관수, 비닐하우스관수, 농사, 유입, 수유입, 공기유입, 물질유입, 재료유입, 유출, 수유출, 공기유출, 물질유출, 재료유출, 통과, 물질통과, 주입, 지중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토양주입, 오염토양주입, 건물주입, 균열주입, 구조물주입, 보수용주입, 그라우팅, 앵카그라우팅, 네일링그라우팅, 인젝션, 균열인젝션, 락볼트인젝션, 주유, 유류주유, 주유소주유, 주사, 약물주사, 방수액주사, 균열부주사, 투입, 굴착부투입, 혼입,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싱크홀충진, 굴착부충진, 보링공충진, 앵커공충진, 네일링공충진, 락볼트공충진, 충전, 단면충전, 균열충전, 콘크리트단면충전, 믹싱, 지중믹싱, 지반믹싱, 지중교반믹싱, 시멘트믹싱, 다짐, 포장다짐, 도로다짐, 지중다짐, 조적, 벽돌조적,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지하방수, 균열방수, 교면방수, 면처리, 표면처리, 강재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미장, 몰탈미장, 발수, 포장발수, 콘크리트발수, 블라스팅, 녹제거블라스팅, 도장, 강재도장, 페인트도장, 코팅, 표면코팅, 라이닝, 굴착부라이닝, 터널라이닝, 양생, 타설물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요철보강, 단면보강, 강성보강, 강도보강, 콘크리트보강,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복원, 하천복원, 오염복원, 환경복원, 단면복원, 복구, 단면복구, 콘크리트단면복구, 환경복구,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실외인테리어, 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해체, 건물해체, 선별, 해체물선별, 폐기물선별, 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폐기물분쇄, 신축, 재건축, 재개발, 연소, 물질연소, 연료연소, 소성, 물질소성, 광물소성, 크링커소성, 1000∼1500도소성,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700∼1000도소각, 열분해, 물질열분해, 플라스틱열분해, 300∼700도열분해, 소결, 가열하여소결, 고결, 바인더고결, 고화, 흙고화, 시멘트고화, 경화, 시멘트경화, 콘크리트경화; b2) 상기 공사 내지 콘크리트경화 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콘크리트경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수반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b3)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의 일, 업무,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건설공사에는 신축공사, 건축공사, 토공사, 굴착공사, 기초공사, 바닥공사, 비계공사, 기둥공사, 빔공사, 벽체공사, 칸막이공사, 슬라브공사, 철근공사, 형틀공사, 철근배근공사, 형틀내 철근배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형틀내 콘크리트타설공사, 설비공사, 배관공사, 수도공사, 하수공사, 방수공사, 방음공사, 단열공사, 조적공사, 타일공사, 미장공사, 지붕공사, 옥상공사, 문공사, 창호공사, 도배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조경공사, 배선공사, 전기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마감공사, 면마감공사, 상기 신축공사 내지 면마감공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신축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수반되는 상기 신축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정화는 정화, 정수, 필터정수, 이온정수, 알카리정수, 전해정수, 전기분해정수, 냉온정수, 필터전해정수, 냉온, 생수냉온, 정화,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대상정화, 청정, 공기청정, 복원, 오염복원, 하천복원, 건물복원, 문화재복원, 청소, 실내청소, 실외청소, 침대청소, 걸레청소, 건물청소, 유리청소, 벽청소, 터널청소, 교량청소, 도로청소, 노면청소, 댐청소, 하천청소, 세척, 배관세척, 오염세척, 토양세척, 오염토세척, 치아세척, 구강세척, 세정, 오염세정, 기구세정, 안경세정, 유입, 저수, 저류, 폭기, 중화, 반응, 응집, 침전, 흡착, 흡수, 포집, 포획, 여과, 방류, 방역, 살균, 소독, 시술, 수술, 치유, 치료, 처치, 조제, 세면, 샤워, 세탁, 상기 정화 내지 세탁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수반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정화에는 a) 정화, 정수, 청정,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흡착, 포집, 제거, 멸균, 제어,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대상정화, 수질정수, 공기청정; b) 또는 수, 수질, 오염, 공기, 토양,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시설, 폐기물, 댐, 하천, 연못, 저수지, 해양, 녹조, 적조, 녹적조, 균, 세균, 오염, 병원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중금속, 새집증후군, 아토피균, 환경호르몬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정화 내지 공기청정; c) 또는 상기 정화 내지 공기청정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수반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수질정화에는 a) a1) 저류,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소독, 방류; a2) 이중 하나 이상의 기(器), 기(機), 조(槽), 수조(水槽), 수단, 장치, 장비;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b) 또는 탱크, 상기 탱크의 유입호스, 상기 탱크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응집제 주입기, 상기 유입호스에 연결되면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부에 거치되는 돌기 또는 단턱 또는 진동기 또는 교반수단, 상기 파이프 의 선단에 거치되는 콘부 또는 확산부, 상기 탱크 저부의 슬러지 침전부, 상기 슬러지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출구에 설치된 밸브, 상기 탱크의 내부와 상기 파이프의 외부 사이에 거치되는 유공판, 상기 탱크의 수면에 거치된 회전형 스컴수집기(107), 상기 수면에 구비된 껄대기형 스컴집수기(76), 상기 스컴집수기에 연결되면서 스컴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라인(78), 상기 탱크에 거치된 유출호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상기 토양정화는 자연저감법(natural attenuation), 토양세정법(soil flushing),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토양세척법(soil washing), 용제추출법(solvent extraction), 산화환원법(oxidation reduction), 고형화안정화법(solidification stabilization) 동전기법(electrokinetic separation), 생물분해법(biodegradation), 생물통풍법(bioventing), 토양경작법(land farming), 바이오파일법(biopile),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 퇴비화법(composting),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 소각법(incineration), 유리화법(vitrification), 열분해법(pyrolysi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다.
상기 자연저감법은 토양 또는 지중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정화, 분해, 희석, 휘발, 생분해, 흡착, 지중물질과의 화학반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오염물질 농도가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상기 토양세정법은 오염토양에 물 또는 계면활성제 포함 물을 주입하여 토양의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토양증기추출법은 지반에 추출정을 설치하고 진공을 가하거나 감압하여 토양내의 휘발성 오염물질을 휘발ㆍ추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토양세척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한 후에 세척시켜 정화하는 공법이다. 상기 용제추출법은 오염토양을 추출기내에서 용제(solvent)와 혼합시켜 용해시킨 후 분리기에서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산화환원법은 오염된 토양에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되는 화학물을 첨가하여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오염물질을 정화 또는 무독성화 또는 저독성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고형화안정화법은 오염토양에 시멘트, 석회, 슬래그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오염성분의 이동성을 물리적으로 저하시키거나 화학적으로 용해도를 낮추거나 무해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동전기법은 토양 내에 양극 및 음극을 설치하고 전기를 가하여 양극과 음극의 전기장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이동시켜 추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생물분해법은 오염토양 내로 미생물과 영양분과 수분을 주입시킴으로 미생물의 활성을 자극하여 유기물 분해기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생물통풍법은 공기를 오염된 토양에 주입하여 산소농도를 증대시켜 미생물의 생분해능을 증진시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토양경작법은 굴착된 오염토양을 지표면에 포설하고 정기적으로 쟁기질 또는 뒤집어주어 공기 중의 산소를 공급해 주는 호기성 생분해 공정법이다. 상기 바이오파일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파일 형식으로 쌓아 놓고 공기를 공급하여 미생물의 생분해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식물재배정화법은 식물을 식생하여 식물이 토양내의 오염물질을 분해ㆍ흡수ㆍ침전하여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퇴비화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고 나무조각 또는 동식물 폐기물이 포함되는 유기성 물질을 혼합하여 공극과 유기물 함량을 증대시킨후 공기를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열탈착법은 오염토양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유기오염물질을 휘발 및 탈착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소각법은 80∼1,200℃의 온도로 오염토양 내의 유기오염물질을 소각ㆍ분해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유리화법은 오염토양을 전기적으로 용융시켜 유리와 같은 결정구조로 만드는 방법이다. 상기 열분해법은 오염토양에 열을 가하여 오염토양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지하수정화는 자연저감법(natural attenuation), 물리적장벽(physical barrier), 수리적봉쇄(hydraulic containment), 양수처리법(pump and treat), 공기탈기법(air stripping), 활성탄소법(activated carbon), 화학적/자외선산화(chemical/UV oxidation), 호기성생물반응로(aerobic biological reactors), 화학적침전(chemical precipitation), 이온교환흡착(ion exchange/adsorption), 전기화학적방법(electrochemical method), 원위치산화처리(in-situ chemical oxidation), 원위치환원처리(in-situ chemical reduction), 투과성반응벽(permeable reactive barrier),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 공기살포법(air sparging), 동전기법(electrokinetics), 열처리(thermal treatment)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다.
상기 자연저감법은 자연적인 기작에 의하여 지하수 내의 오염물을 정화나 저감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물리적장벽은 지중에 수직벽을 설치하여 오염원을 고립시키고 오염원으로부터 노출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다. 상기 수리적봉쇄는 지중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오염원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봉쇄하는 방법이다. 상기 양수처리법은 지중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지상에서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공기탈기법은 지하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활성탄소법은 활성탄소에 의하여 지하수의 오염물을 흡착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화학적/자외선산화는 화학물과 자외선으로 산화하여 지하수를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호기성생물반응로는 호기성생물반응로에 지하수를 투입하여 미생물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화학적침전은 지하수에 침전제를 투입하여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이온교환흡착은 이온교환제를 이용하여 지하수 내의 오염물을 흡착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전기화학적방법은 지하수에 전기와 화학물을 가하여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원위치산화처리는 지하수에 산화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을 산화시켜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원위치환원처리는 지하수에 환원제나 환원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투입하여 오염물을 환원시켜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투과성반응벽은 지중에 반응성물질이 포함되는 투수성벽을 설치하여 지하수가 투수성벽을 통과하면서 반응성물질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흡착제거되는 방법이다. 상기 식물복원법은 식물을 이용하여 지하수에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흡착하는 방법이다. 상기 공기살포법은 오염된 지하수에 공기나 산소를 주입하여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동전기법은 지하수에 전기를 공급하여 지하수 내의 오염물질을 이동시켜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 열처리는 지하수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유기오염물을 파괴하거나 휘발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정수는 a) 정수, 물정수, 수정화, 물정화, 대상정수, b) 또는 수, 물, 액, 유, 대상, 상수, 하수, 폐수, 탁수, 오수, 우수, 용수, 해수, 염수, 염분수, 암반수, 해양수, 심층수, 해양심층수, 댐수, 하천수, 수도수, 수돗물, 먹는물, 음료수, 음용수, 오염수, 침출수, 오탁수, 지하수, 지표수, 사용수, 저류수, 저장수, 배출수, 배수수, 용출수, 산성수, 산성배출수, 알카리수, 수조수, 습식선별수조수, 공사용수, 공사배출수, 배합수, 복합수, 혼합수 중 하나 정수, 정화, 중화, 중성화, 담수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청정은 a) 청정, 정화, 정수, 처리, 공기청정, 가스청정, 오염청정, 대상청정; b) 또는 터널, 지하공간, 지하실, 공동구, 단독구, 현장, 건설현장, 공장, 제조공장, 대상, 실내, 실외, 공기, 오염공기, 분진, 먼지, 악취, 냄새, 매연, 가스,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중 하나 이상 청정, 정화, 공기청정, 가스청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대상은 또는 정화 대상은 또는 청정 대상은 균, 녹, 때,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석면, 얼룩, 오염물, 이물질, SOx(sulfur oxides), NOx(nitrogen oxide),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스케일, 침전물, 병원균,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품(品), 체(體), 몸, 손, 발, 목, 손톱, 치아, 구강, 얼굴, 신체, 옷, 의류, 빨래, 입주, 이사, 이전, 그릇, 식기, 용기, 탱크, 박스, 사일로, 재료, 자재, 기체, 토양, 오염토, 먹는물, 수돗물, 식수, 용수, 생수, 상수, 하수, 폐수, 탁수, 댐수, 오탁수, 공장수, 저류수, 저장수, 탱크수, 현장수, 공사수, 터널수, 굴착수, 용출수, 지하수, 지표수, 하천수, 물질, 물체, 물건, 물품, 상품, 용품, 제품, 장비, 장치,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면, 대상지, 방, 실, 집, 벽, 외벽, 유리, 창호, 창틀, 천장, 벽지, 바닥, 장판, 가구, 가전, 식탁, 쇼파, 책상, 의자, 침대, 후드, 배관, 관로, 덕트, 굴뚝, 파이프, 상수관, 하수관, 시설, 건물, 주택, 교량, 길, 도로, 터널, 난간, 탕, 온탕, 냉탕, 목욕탕, 찜질탕, 찜질방, 변기, 변소, 화장실, 신발장, 울타리, 시설물, 구조물, 사무실, 아파트, 학교, 교실, 문, 현관, 실내, 부엌, 거실, 실외, 승강기, 공장, 현장, 곳, 장소, 구역, 공중, 수중, 지중, 지상, 지면, 표면, 포장면, 수질, 토질, 공기질, 대기질, 폐기물, 쓰레기; 상기 균 내지 쓰레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균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균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水)는 수, 생수, 상수, 하수 등; 물(水)는 물, 수, 생수, 상수, 하수 등; 물(物)은 물, 만물, 물질, 물건 등; 액(液)은 액, 액체, 수액 등; 유(油)는 유, 기름, 유류 등; 기(氣)는 기, 공기, 기체, 가스 등; 고(固)는 고, 고체, 분말, 고형물 등; 제(劑)는 제, 첨가제, 보조제 등; 재(材)는 재, 재료, 자재, 주재료 등; 품(品)은 품, 물품, 용품, 제품, 식품, 화장품 등; 체(體)는 체, 신체, 육체, 몸체, 물체 등; 이 해당된다. 균은 균, 菌, 균류(菌類), 진균(眞菌), 세균(細菌), 박테리아, 고세균(古細菌), virus, germ, bacillus, bacterium,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캠필로박터균 등이 해당된다. SOx는 SOx, 황산화물, 黃酸化物, sulfur oxides, 황(S)의 산화물, SO2(이산화황), SO3(삼산화황) 등이 해당된다. NOx는 NOx, 질소산화물, 窒素酸化物, nitrogen oxide, 질소(N)의 산화물, NO, N2O, NO2, N2O2, N2N4 등이 해당된다. VOC는 VOC,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 揮發性有機化合物, volatile organic compounds, 벤젠, 휘발유, 파라핀, 올레핀, 아세틸렌, 유기용제, 액체연료, 방향족화합물, 탄화수소류, 석유화학제품,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용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처리는 a) 처리, 처분, 보수, 보강, 정수, 정화, 청정, 복원, 힐링,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살수, 탈수, 분수, 분무, 선별, 분리, 분별, 파쇄, 분쇄, 풍쇄, 수쇄, 분해, 소각, 소성, 연소, 도장, 도색, 방수,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보수, 보강, 보호, 매립, 열분해, 습식선별, 수조선별, 건식선별, 풍력선별, 수처리, 자가처리, 외력처리, 수질처리, 액처리, 유류처리, 상수처리, 하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오염처리, 공기처리, 분진처리, 토양처리, 오염토양처리, 음식물처리, 폐기물처리, 미생물처리, 생활폐기물처리, 산업폐기물처리, 건설폐기물처리, 폐기물중간처리, 폐기물최종처리, 자화처리, 진동처리, 오존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b) 또는 수, 액, 유, 면, 공기, 토양, 음식물, 폐기물, 자가, 균열, 파손, 훼손, 침하, 변형, 변위, 시멘트면, 콘크리트면 중 하나 상기 처리 내지 청정처리; c) 또는 상기 처리 내지 청정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청소는 청소, 세정, 세척, 쓸기, 닦기, 청정, 정화, 숏팅, 코팅, 크리닝, 페인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살균청소, 소독청소, 방역청소, 청정청소, 정화청소, 오존청소, 음이온청소, 폭기청소, 펄스청소, 건물청소, 내부청소, 외부청소, 유리청소, 외벽청소, 관로청소, 탱크청소, 터널청소, 교량청소, 도로청소, 로봇청소, 드론청소, 관로폭기청소, 드론탱크청소, 사일로청소 중 하나이다.
상기 살균청소는 빛, 열, 선, 풍, 오존, 광선, 열풍, 조명,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음이온, 오존수,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음이온수, 살균수, 소독수,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항균제, 멸균제, 제균제, 미스트,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청소이다.
상기 드론청소는 드론청소, 드론을 이용하는 청소, 드론을 비행하면서 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수행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대상을 쓸고 닦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수행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노즐의 배출구 또는 유공관의 구멍으로 물을 분사하여 수행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물을 분사하고 밀대를 밀어 수행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회전하는 솔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청소, 드론이 비행하면서 솔을 회전시키고 물을 분사하여 수행하는 청소, 드론 또는 비행하는 드론이 분사, 살수, 숏팅, 코팅, 도장, 솔질, 밀대질, 걸레질, 열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여 수행하는 청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외벽청소는 a)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외벽청소,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외벽청소, 상기 분사하면서 밀대질을 하는 외벽청소, 상기 호스가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상기 외벽청소,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와 이에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하기 펄스기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하기 펄스기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물질이 이용되는 외벽청소,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또는 분사 내지 음이온처리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외벽청소,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또는 분사 내지 음이온처리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물질이 이용되는 외벽청소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줄; 상기 줄에 거치되는 의자; 상기 줄의 일측을 고정하는 또는 옥상에 고정하는 중량체 또는 고정수단; 상기 줄을 풀거나 감는 수단; 상기 의자를 내리거나 올리는 수단; 상기 의자에 안착하는 사람이 구비하는 밀대 또는 회전솔 또는 청소기; 물을 분사하는 호스 또는 노즐 또는 유공관; 상기 줄 또는 의자 또는 사람에 거치되는 상기 호스 또는 노즐 또는 유공관; 상기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상기 호스;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또는 유공관; 상기 물 또는 호스에 연계되는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상기 물 또는 호스에 오존, 공기, 펄스압,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살균기; 상기 오존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오존, 공기, 펄스압,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상기 물 또는 호스; 상기 투입되어 형성된 오존수, 폭기수, 펄스수, 살균수 중 하나 이상이 분사되는 상기 호스 또는 노즐 또는 유공관;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호스 또는 노즐 또는 유공관; 상기 분사 또는 방사 중에 대상을 청소하는 상기 밀대 또는 회전솔 또는 청소기; 회전하면서 청소 대상을 청소하는 상기 회전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다.
상기 터널청소 또는 도로청소는 차량; 상기 차량에 구비된 수조, 호스, 노즐, 유공관, 회전솔, 진공기; 상기 수조에 연계되는 상기 호스 내지 회전솔; 상기 호스에 연계되는 상기 노즐 내지 회전솔; 상기 수조 또는 호스에 연계되는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상기 수조 또는 호스에 오존, 공기, 펄스압,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살균기; 상기 오존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오존, 공기, 펄스압,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상기 수조 또는 호스; 상기 투입되어 형성된 오존수, 폭기수, 펄스수, 살균수 중 하나 이상이 분사되는 상기 호스 내지 회전솔; 상기 호스 내지 회전솔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 또는 분사수 또는 미스트;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호스 내지 회전솔; 상기 분사 또는 방사 중에 터널 또는 도로의 내부, 천장, 바닥 중 하나 이상을 청소하는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회전하면서 터널 또는 도로의 내부, 천장, 바닥 중 하나 이상을 청소하는 상기 회전솔; 상기 터널 또는 도로의 내부, 천장, 바닥 중 하나 이상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기; 상기 진공기에 연계되는 사이클론, 필터, 저장고; 상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상기 사이클론; 상기 흡입 또는 분리된 공기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기 필터; 상기 흡입, 분리, 여과 중 하나 이상이 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다.
상기 관로폭기청소는 a) 폭기수 또는 폭기공기 또는 폭기수공기 또는 폭기물질을 관로에 투입하여 관로 내부를 청소, b) 펄스압 또는 펄스수 또는 펄스공기 또는 펄스물질을 관로에 투입하여 관로 내부를 청소, c) 하기 펄스기의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물질 또는 펄스물질 또는 폭기물질을 관로로 유입시켜 관로 내부를 청소, d) 하기 펄스기의 유입구를 호스를 통하여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에 연결하고 상기 수도관 또는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로 배출시키고 상기 배출되는 수돗물 또는 펄스수돗물 또는 폭기수돗물을 관로로 유입시켜 관로 내부를 청소 중 하나이다.
상기 드론탱크청소는 탱크 내부에 드론이 내장된 케이스 투입; 상기 케이스로부터 드론 꺼냄; 상기 드론에 호스, 노즐, 유공관, 회전솔, 진공기 중 하나 이상 연결;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중 하나 이상에 펌프, 콤프레셔, 호퍼, 저장고 중 하나 이상 연계;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펌프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중 하나 이상 연계; 상기 오존기, 폭기기, 펄스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펌프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 오존, 공기, 펄스압, 살균제 중 하나 이상 투입; 상기 드론의 날개를 펼침; 상기 드론이 비행; 일정의 물질이 상기 저장고, 호퍼, 펌프 또는 콤프레셔, 호스를 통하여 공급; 상기 드론이 비행하면서 상기 호스를 통하여 상기 물질 분사; 상기 드론이 비행하면서 상기 호스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물질 분사; 상기 분사에 의하여 상기 탱크의 벽면 또는 내부가 청소, 세정, 세척, 숏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크리닝;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청소 내지 크리닝; 상기 청소 내지 크리닝 중 하나 이상 완료 후에 상기 드론이 회귀, 복귀, 귀환;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중 하나 이상 탈착; 상기 드론의 날개를 접기; 상기 케이스에 드론 넣기; 상기 탱크로 부터 상기 케이스 반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작업 방법은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등의 방법을 나타내는 또는 대표하는 것으로 일 방법, 작업 방법, 업무 방법, 행동 방법, 행위 방법, 기타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말미어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였고, 상기 일 방법 내지 기타 등의 적용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은 방법, 공법, 방안, 대책, 대안, 수단, 절차, 공정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물품, 제조물품, 공장물품, 산업물품, 작업물품, 공사물품, 방역물품, 살균물품, 소독물품, 작업을 하는 물품, 수단에 의한 물품, 수단에 이용되는 물품, 작업에 이용되는 물품, 장비 또는 수단에 의하여 조성된 물품 등은 제7실시예와 같이 하기 1, 2, 3, 4, 5, 6, 7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등에 기재된 수단, 조건, 수단 조건, 작업, 작업 조건 등을 만족하는 물품 등이 해당된다.
상기 1은 자화되거나 또는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된다. 상기 1의 물품은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2는 자화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 또는 방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후에 오존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음이온 처리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한다. 여기서 '되고' 또는 '하고'는 되고, 하고, 되는, 하는, 되는 것이고, 하는 것이고 등이 해당된다. 상기 2의 물품은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3은 상기 자화되거나 ∼ 살균 처리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자화하거나 ∼ 살균 처리하는 장치 또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공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다. 상기 3의 물품은 상기 물질, 장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4는 상기 자화에 진동기, 상기 방사에 오존기, 상기 진동에 자화기, 상기 가진에 음이온기, 상기 오존 처리에 가진기, 상기 음이온 처리에 오존기, 상기 방전 처리에 살균기, 상기 살균 처리에 방전기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4의 물품은 자화에 진동기 ∼ 방전기가 이용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5는 a) 상기 1, 2, 3, 4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b)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c)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d)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통과한 물질,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다. 상기 5의 물품은 기(器) ∼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6은 a) 상기 1, 2, 3, 4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저장고, 투입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이송기, 이송라인, 굴착기, 보링기, 타설기, 주입기, 믹싱기, 분사기, 부착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진동기, 성형기, 양생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도색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면처리기; b)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c)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d)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통과한 물질,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다. 상기 6의 물품은 저장고 ∼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가 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7은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조, 제작, 생산, 조성, 형성, 출하, 양산 중 하나가 된다. 상기 7의 물품은 상기 제조 내지 양산 중 하나가 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8은 a) 상기 1, 2, 3, 4, 5, 장치, 물질,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체, 이의 내부, 외부, 주변, 인근, 공기, 대기 등에 존재하는 균, 녹, 세균, 오염, 환경, 수질, 부식, 토양, 먼지, 분진, 공기, 대기, 폐기물, 음식물, 슬러지, 침전물, 부유물, 이물질, 공기질, 대기질, VOC, CO, CO2, SOx, NOx, 곰팡이, 박테리아, 미세먼지, 바이러스,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이 정화, 청정, 제거, 저감,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가 되거나, b) 또는 상기 1, 2, 3, 4, 5, 장치, 물질,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체 자신이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정화, 청정, 제거, 저감,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8의 물품은 상기 정화 내지 소독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소독 중 하나를 하는 물품이 해당된다.
상기 물품은 물품 1, 물품 2, 물품 3, 물품 4, 물품 5, 물품 6, 물품 7, 물품 8, 물품 9, 물품 10, 물품 11, 물품 12, 물품 13, 물품 14, 물품 15, 물품 16, 물품 17, 물품 18, 물품 19, 물품 20, 물품 21, 물품 22, 물품 23, 물품 24, 물품 25, 물품 26, 물품 27, 물품 28, 물품 29, 물품 30, 물품 31, 물품 32, 물품 33, 물품 34, 물품 35, 물품 36, 물품 37, 물품 38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은 a) 기(器), 기(機), 차(車), 체(體), 제(劑), 재(材), 구(具), 조(槽), 링, 팬, 소자, 밴드, 튜브, 물체, 물품, 부품, 용품, 상품, 제품, 식품, 식료품, 화장품, 몸체, 신체, 의류, 로봇, 드론, 장비, 장치,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시설, 설비, 재료, 자재, 건물, 주택, 구조물, 스프링, 파이프, 벤츄리, 중공체, 시스템, 반도체, 사이클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모빌리티, 네트워크;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방사, 오존처리, 음이온방사, 음이온처리, 회전, 발전, 진공, 가압,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소독, 이중 둘 이상 순차의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가 되는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c) 상기 진동하면서 가진하고, 분해 또는 방전하면서 살균하고, 상기 가진하면서 소독하고, 상기 살균하면서 자화하는 링; d) 상기 진동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파동기와, 단면이 축소된 벤츄리와, 상기 벤츄리에 연계되는 인젝터와, 상기 진동기에 거치된 스프링이 구비되는 튜브; e) 상기 가진하면서 자화기로 파동하고, 상기 파동하면서 분해 또는 방전하고, 오존방사하면서 진동기로 살균 및 소독하는 파이프; f) 상기 방전하면서 오존처리하고,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방사하고, 가진하면서 살균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반도체; g)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器 or 機)가 구비되는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h)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물체;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포함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i) 또는 일, 업무, 작업, 생활, 사무, 작업,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정, 반응, 응집, 여과, 살균, 소독, 방역,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인 또는 하나를 위한 물품; 하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하는 a) 물품; b) 하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은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이용하는 a) 물품; b) 하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4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또는 이용하는 a) 물품; b) 하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5는 상기 이용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a) 물품; b) 하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6은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무이용, 비이용, 무관, 무관계, 다른, 별도 등이 되는,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와 다른, 별도, 별개 등의 수(水), 물(水), 액(液), 술, 비, 강우, 강수, 생수, 샘물, 우수, 오수, 상수, 하수, 폐수, 용수, 탁수, 해수, 염수, 댐수, 용액, 음료, 우유, 액체, 유체(流體), 온수, 냉수, 냉온수, 티(tea), 차(茶), 녹차(綠茶), 커피, 오폐수, 오탁수,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이온수, 먹는물, 수돗물, 수도수, 황토수, 피톤수, 편백수, 인공비, 고로쇠물, 음료수, 음용수, 탄산수, 펌프수, 광천수, 우물수, 하천수, 연못수, 산소수, 수소수, 이온수, 전해수, 가압수, 압력수, 압기수, 펌핑수, 양수물, 바이오수, 철수용액, FeSO4수용액, FeCl3수용액, Fe2+ 이온 또는 Fe3+ 이온의 농도가 400∼600mg/L인 철수용액, 액체(液體); b) 상기 수 내지 액체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물제공, 수분공급, 배합수공급, 함수율증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수화, 가수, 연화, 팽창, 수분화, 수양생, 수화반응, 슬러리화, 포졸란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e)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 f) 자화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수 내지 e)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 내지 물품'은 하나 이상과, 또는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수 내지 물품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가 이용되는 자재'는 하나와, 또는 하나가, 또는 하나에, 또는 하나를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물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품 7은 a) 상기 수 내지 액체,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고(固), 분(粉), 볼, 구, 환, 알, 막, 편, 대, 봉, 셀, 팩, 망, 줄, 선, 실, 절편, 입자, 구슬, 조각, 펠렛, 분말, 황토볼, 피톤볼, 편백볼, 캡슐, 벌집셀, 지오셀, 세라믹볼, 시료, 채취시료, 몰드시료, 샘플시료, 샘플, 가루, 밀가루, 입상물, 입자물, 고체(固體); b) 상기 고 내지 고체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입자, 분말, 덩어리 중 하나를 제공하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경화, 중량화, 밀실화, 고밀도화, 강도증가, 강성증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e) 상기 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상기 수 내지 액체, 기(器) 내지 복합); f)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고 내지 e)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8은 a) 상기 수 내지 복합, 고 내지 고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칡, 쑥, 잎, 싹, 새싹, 나무잎, 꽃, 연꽃, 벗꽃, 씨, 볏씨, 마, 황마, 벼, 겨, 쌀겨, 왕겨, 밀겨, 무, 배, 감, 밤, 쌀, 보리쌀, 팥, 보리, 잡곡, 콩, 땅콩, 밀, 잣, 짚, 밀짚, 볏짚, 사과, 대추, 오디, 포도, 건포도, 배추, 야채, 딸기, 과일, 열매, 곡식, 곡물, 깨, 들깨, 파, 양파, 채소, 야채, 배추, 상추, 고추, 호박, 오이, 오디, 당근, 복숭아, 버섯, 녹두, 숙주, 나물, 콩나물, 시금치, 전분, 녹말, 목(木), 수목, 목재, 목분, 목편, 목탄, 목 목분, 고목, 톱밥, 송진, 종자, 식물, 나무, 뿌리, 연뿌리, 감자, 고구마, 줄기, 가지, 낙엽, 씨앗, 발아물, 식물재, 피, 피막, 외피, 내피, 진피, 껍질, 우드 우드액, 건초, 견과, 견과류, 감자, 고구마, 복숭아, 도토리, 거름, 퇴비, 국화, 철죽, 개나리, 채송화, 선인장, 진달래, 대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삼나무, 리그닌, 야자수, 가로수, 정원수, 코이어, 편백나무, 피톤치드, 피트모스,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합성목재, 인공목재, WPC(wood plastic composite);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흙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흙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고체(상기 수 내지 복합, 고 내지 고체); d) 오존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a) 칡 내지 c) 고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WPC는 목재, 톱밥, 목 목분 등과 수지, PP, PE, PVC, 플라스틱 등이 혼합, 용융, 성형, 냉각, 절단 등이 되어 조성된 복합재, 인공목재, 수지목재, PP목재, PE목재, PVC목재, 플라스틱목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품 9는 a) 상기 수 내지 고체, 칡 내지 WPC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흡착제, 포집제, 청소제, 청결제, 세정제, 세척제, 세탁제, 세차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제균제, 멸균제, 제독제, 해충제, 살충제, 구충제, 제습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액, 방수제(防水劑), 방수제(防銹劑), 발수제, 가소제, 혼화제, 첨가제, 고화제, 고결제, 경화제, 결합제, 부착제, 점착제, 접착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방향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포졸란제, 첨가제, 혼화제, 급결제, 완결제, 소결제, 감수제, 불연제, 난연제, 방화제, 유화제, 유동화제, 점결제, 개질제, AE제(air entraining agent), 속경제, 분산제, 커플링제, 가교제, 분산제(分散劑), 가소제, 촉진제, 지연제, 응고지연제, 팽창제, 발포제(發泡劑), 기포제,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방청제, 응결촉진제, 응결지연제, 흡수제, 흡착제, 포집제, 탈수제, 분리제, 선별제, 파쇄제, 분쇄제, 풍쇄제, 수쇄제, 여과제, 복원제, 힐링제, 처리제, 활성제, 계면활성제, 함수제, 함유제, 함기제, 함고제, 공기연행제, 산성제, 염기제, 중성제, 중화제, 알카리제, pH제,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WPC(상기 수 내지 고체, 칡 내지 WPC); d) 진동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청정제 내지 c) WP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0은 a) 상기 수 내지 WPC,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수지, 고무, 레진, 전분, 본드, 바인더, 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아크릴, 우라실, 엔자임, 페인트, 도장재, 라텍스, 수지재, 고분자재, 플라스틱, 폴리머, 천연폴리머, 인공폴리머, 지오폴리머(geopolymer), 폴리머클레이, 모노머, 올리고머, 중합체, 공중합체, 천연수지, 인공수지, 합성수지, 고무재, 실리콘, 플라스틱, 스티로폼, 포졸라나, 고분자수지, 이온교환수지, 셀룰로오스, 폴리락틱산, 헤미셀룰로오스, 지오폴리머(geopolymer),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SAP(super absorbent polymer),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CMC(carboxymethyl cellulos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HDPE(high density PE), LDPE(low density PE), 상기 PP와 PE의 혼합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상기 수 내지 WPC,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d) 가진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수지 내지 c) pH7이상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1은 a) 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 수지 내지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인산, 칼슘, 칼륨, 유황, 탄소, 지방, 녹말, 비료, 영양분, 미네랄, 포도당, 비타민, 영양제, 무기물, 유기물, 영양소, 콜라겐, 아미노산, 게르마늄,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재, 비타민식품, 비타민수, 비타민술, 비타민음료수,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혼합물(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 수지 내지 혼합물); d) 오존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인산 내지 c)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2는 a) 상기 수 내지 혼합물,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분(粉), 미분, 분말, 분첩, 화장분, 바르는분, 로션, 루즈, 크림, 향수, 향료, 연지, 곤지, 필러, 화장수, 화장품,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미용액, 볼터치, 비비크림, 아이크림, 뷰티밀크, 영양크림, 바디크림, 클렌저, 스킨로션, 스킨밀크, 스킨클렌저, 화장비누, 황토팩, 화장품재, 밀크로션, 스킨로션, 아이크림, 영양수액, 영양크림, 에쎈스, 클렌징크림, 폼클렌징, 황토크림, 피톤크림, 편백크림, 새도우, 아이새도우, 화운데이션, 화운데이션크림, 에센셜오일, 페이스밀크, 페이셜크림, 페이스로션, 페이스파우더;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분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분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상기 수 내지 혼합물,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d) 자화가진기에 발생되는 오존이 방사되는 상기 a) 분 내지 c) 건강보조식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3은 a) 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화장파우더, 화장용크림, 화장용로션, 화장제거제, 화장용패드,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용 메이크업 화장품, 모이스처라이저 화장품, 화장용 콤팩트, 스킨케어용 화장품, 아이메이크업 리무버, 화장용 겔, 화장용 로션, 화장용 크림, 화장용 수렴제, 화장용 스킨프레시너, 화장용 오일, 화장용 콜드크림, 화장용 크렌징 크림, 화장용 크렌징유액, 화장제거용 로션, 영양화장품, 기초화장품, 천연화장품, 인삼화장품, 비타민화장품, 황토화장품, 피톤치드화장품, 주름제거화장품, 안티에이징화장품, 노화방지화장품, 모이스쳐화장품, 에센스화장품;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d) 자화오존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살균되는 상기 a) 화장파우더 내지 c) 페이스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4는 a) 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팩, 화장팩, 황토팩, 얼굴팩, 피톤팩, 편백팩, 헬멧, 헤어케어헬멧, 탈모방지헬멧, 넥케어LED기, 헤어케어LED기, 방독면, 제독면, 마스크, 팩마스크, 마스크팩, 페이셜팩, 화장용 마스크팩, 페이셜 마스크팩, 입마스크, 목마스크, 전기마스크, 전자마스크, 광원마스크, 불빛마스크, LED마스크, 목LED마스크, 헤어LED마스크, 미용마스크, 얼굴마스크, 헤어마스크, 헤드마스크, 황사마스크, 황토마스크, 피톤마스크, 편백마스크, 분진마스크, 가면마스크, 화장용마스크, 넥케어마스크, 헤어케어마스크;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팩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팩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d) 자화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소독되는 상기 a) 팩 내지 c) 에센스화장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5는 a) 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생필품, 바디용품, 마사지용품, 미용품, 피부미용품, 바디미용품, 샴푸, 기능샴푸, 인삼샴푸, 황토샴푸, 피톤샴푸, 편백샴푸, 염색샴푸, 변색샴푸, 비타민샴푸, 탈모방지샴푸, 비듬방지샴푸, 파마약, 염색약, 치약, 기능치약, 인삼치약, 황토치약, 피톤치약, 편백치약, 송염치약, 죽염치약, 비타민치약, 충치방지치약, 칫솔, 전동칫솔, 가글제, 가글액, 입가글액, 치아가글액, 구강가글액, 구강세정제, 비누, 기능비누, 인삼비누, 황토비누, 피톤비누, 편백비누, 비타민비누, 파스, 물파스, 부착파스, 물비누, 목욕비누, 구두약, 물티슈, 세면용품, 모발염색, 탈색제, 헤어케어제, 인조 속눈썹/모발 및 손톱 접착제, 세면용품, 바디용품, 세제, 표백제, 세정제, 광택제, 연마재, 물세제, 가루세제, 황토세제, 피톤세제, 편백세제, 세탁용세제, 청소용세제;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d) 자화회전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처리되는 상기 a) 치약 내지 c) 헤어케어마스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샴푸에는 씨, 잎, 줄기, 뿌리, 식물, 오일, 유분, 박하, 커피, 생강, 계피, 오레가노, 식물성오일, 동물성오일, 광물성오일, 산화방지, 토코페롤, 구연산, 소듐시트레이트, 폴리페놀, 비타민C, 비타민E, 비타민 A, 프로비타민 D3, 발효균주, 홍화씨, 홍화 추출액, 봉선화 추출물, 에센셜오일, 대황, 제네스틴,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이소플라본,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갈산프로필, 과이액지(脂), 시스테인염산염, 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이산화황, 에르솔빈산, 에르솔빈산나트륨, 베타카로틴, 시트르산나트륨,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카테킨, 퀘르세틴, 플라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암모늄 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쇼듐 라우레스, 라우로 암포아세테이트, 라우로 암포 디아세테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인삼, 당귀, 창포, 영지, 고삼, 노간주, 감초, 천궁, 진피, 오가피, 백지, 천연초, 녹두, 녹차잎, 한약재추출물, 스테아릭산, 세탄올, 유동파라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실리콘오일, 실크 아미노산분말, 모린다 시트리폴리아 열매액, 다나졸(danazol), 할로페리돌(haloperidol), 퓨로세미드(furosemid), 이소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클로람페니콜(chloramfenicol), 설파메토사졸(sulfamethoxazole), 카페인(caffeine), 시메티딘(cimethidine), 소듐 디클로페낙(diclofenac Na), 조효소 Q10(coenzyme Q10), 천연정유, 세라마이드, 스핑고신, 코코베타인, 계면활성제, 네츄럴 베타인, 실크 아미노산, 글리세린, 폴리쿼터, 디판테, 자몽씨추출물, 일랑일랑 에센셜오일, 티트리 에센셜오일, 녹차추출물, 정제수,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 18-베타 감초산(18 beta-glycyrrhetinic acid), 글라브리딘(glabridin), 알레우리틱산(aleuritic acid), 폴리페놀(polyphenol), 에스큘린(esculin), 상황버섯 추출물, 꾸지뽕 발효액, 진피 발효액, 누에 숙성분말에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지, 양파 추출물, 황토석 추출물, 티트리오일(Teatree oil), 시스타민 디말리에이트(Cystamine dimaleate), 시트릭산(Citric Acid),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 판테닐트라이아세테이트(Panthenyl Triacetate),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비오틴(Biotin),
비비딘(Vividin), 알란토인(Allantion),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디소디움 라우레트 술포석시네이트(LES), 코코베타인, 미네랄워터(mineral water),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튜메릭산(turmeric acid),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테트라 하이드로큐르큐미노이드(tetra hydrocurcuminoid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낫토균(bacillus subtilis natto)에 발효시킨 발효물, 계면활성제, 분말형 계면활성제, 식물성 계면활성제,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데실글루코사이드,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레시틴, 애플워시, 파네솔(farnes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비네아트롤(vineatrol), 깅코 빌로바(ginkgo biloba), 트리클로산(triclosan), 미녹시딜(minoxidil),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글라이콜 디스테아레이트,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쿼터늄, 에틸렌디아민테르라초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염색샴푸는 색소, 염색제, 변색제, 갈변제, 갈흑제, 산화제, 환원제, 폴리페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샴푸이다. 상기 변색샴푸는 폴리페놀(polyphenol), 탄닌(tannin), 카테킨(catechin), 쿼세틴(quercetin), 이소플라본(isoflavo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폴리하이드록시페놀(polyhydroxyphenol), catechol, resorcin, hydroquinone, 초콜릿, 다크 초콜릿, 파이로갈롤, 파이로카테콜, 커피산, 클로로겐산, 카테콜, 몰식자산, 플라본, 안토시안, 탄닌, 파이로카테콜(pyrocatechol), 레소시놀(resorcinol), 파이로갈롤(pyrogallol),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인공 폴리페놀, 과일의 플라보노이드, 녹차의 카테킨, 포도주의 레스베라트롤, 사과의 쿼세틴, 양파의 쿼세틴, 과일의 플라보노이드, 콩의 이소플라본,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식물의 색소, 다수의 페놀(phenol) 작용기를 가지는 고분자, 벤젠 고리에 하이드록실(hydroxyl, -OH)기를 가지는 화학 작용기, 1분자 내에 다수의 OH기가 있는 페놀, phenylalanine으로부터 생성된 페놀(phenol) 화합물의 다중 폴리머(polymer) 결합체, 머리를 변색시키는 변색제, 공기 또는 산소와 만나면 변색시키는 변색제, 머리를 갈색으로 변색시키는 갈변제, 과일의 갈변원리가 적용되는 변색제, 머리를 변색시키는 폴리페놀, 공기를 만나면 변색되는 변색성분, 산소를 만나면 변색되는 변색성분, 사과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과일을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깍은 사과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깍은 과일을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벗긴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몸에 있는 활성산소(유해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항(抗)산화물질,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의 보호나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샴푸이다. 상기 인공 폴리페놀은 식물성 폴리페놀, 식물성 폴리페놀을 아세톤에 용해, 상기 용해된 물질에 초산을 혼합한 혼합물, 상기 혼합물 교반, 상기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되어 제조된 폴리페놀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제조된 폴리페놀이다. 상기 샴푸에는 공기를 만나면 변색되는, 산소를 만나면 변색되는, 사과를 변색시키는, 과일을 변색시키는,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깍은 사과를 변색시키는, 깍은 과일을 변색시키는, 벗긴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등의 기작, 작용, 원리, 이론, 물질, 재료, 원료, 메카니즘 등이 적용되는 샴푸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품 16은 a) 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밥, 죽, 쌀밥, 찰밥, 햇반, 햇반밥, 김밥, 보리밥, 비빔밥, 국, 술국, 미역국, 명태국, 팥죽, 닭죽, 어죽, 야채죽, 전복죽, 찜, 갈비찜, 황토찜, 피톤찜, 편백찜, 탕, 곰탕, 어탕, 해물탕, 설렁탕, 갈비탕, 복어탕, 수제비, 누룽지, 누름밥, 벌꿀, 설탕, 푸딩, 수프, 라면수프, 조미료, 음식물, 한국음식, 중국음식, 서양음식, 음료, 음식, 한식, 양식, 중식, 짬뽕, 울면, 짜장면, 탕수육, 유산슬, 난자완스, 국수, 칼국수, 막국수, 가락국수, 잔치국수, 비빔국수, 수육, 순대, 족발, 전, 파전, 만두, 군만두, 찐만두, 양념, 구이, 고기구이, 생선구이, 진흙구이, 오리구이, 찌게, 부대찌게, 김치찌게, 파스타, 튀김, 튀김류, 김, 부각, 김부각, 염, 죽염, 소금, 반찬, 김치, 무김치, 백김치, 배추김치, 포기김치, 김장김치, 동치미, 장아찌, 게장, 간장게장, 양념게장, 된장, 간장, 메주, 고추장, 양념장, 묵, 어묵, 오뎅, 도토리묵, 두부, 순두부, 미원, 조미료, 식품, 식료품, 수산물, 먹이, 사료, 동물먹이, 개사료, 식재료, 식자재, 식품재, 음용재, 식용재, 식료품;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밥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밥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d) 진동가진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처리되는 상기 a) 밥 내지 c) 청소용세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7은 a) 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 밥 내지 식료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떡, 찰떡, 팥떡, 콩떡, 송편, 절편, 약과, 쌀떡, 찹쌀떡, 모찌떡, 인절미, 가래떡, 케익떡, 떡케익, 떡볶이, 한과, 약과, 산자, 강정, 전병, 꿀, 벌꿀, 아카시아꿀, 엿, 물엿, 호박엿, 가락엿, 감주, 식혜, 빵, 팥빵, 찐빵, 식빵, 붕어빵, 베이글, 케이크, 과자, 과자 다과, 캔디, 사탕, 스콘, 꽈배기, 초코렛, 즙, 녹즙, 껌, 츄잉껌, 면, 라면, 컵라면, 봉지라면, 피자, 도우, 햄, 소세지, 피자도우, 햄피자, 치즈피자, 호박피자, 배달피자, 조각피자, 치킨피자, 콤비네이션피자, 통닭, 치킨, 튀김닭, 양념닭, 닭강정, 양념치킨, 배달치킨, 피자치킨, 후라이드치킨, 요플레, 요구르트, 발효식품, 냉동식품, 크림, 얼음, 아이스, 아이스크림;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식료품(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 밥 내지 식료품); d) 진동오존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 청정되는 상기 a) 떡 내지 c) 식료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8은 a) 상기 수 내지 식료품, 떡 내지 아이스크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술, liquor, 주(酒), 주류, 소주, 맥주, 양주, 탁주, 곡주, 막걸리, 칡주, 감주, 와인, 샴페인, 인삼주, 과일주, 전통주, 안동주, 문배주, 황토주, 피톤주, 편백주, 병술, 팩소주, 병맥주, 식혜, 콜라, 사이다. 스프라이트, 이온수, 음료수, 쥬스, 감쥬스, 캔쥬스, 과일쥬스, 포도쥬스, 오렌지쥬스, 청량물, 청량음료, 캔음료수, 병음료수;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c) 상기 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상기 수 내지 식료품, 떡 내지 아이스크림); d) 진동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 소독되는 상기 a) 떡 내지 c) 아이스크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19는 a) 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 술 내지 병음료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노즐, 바늘, 호퍼, 후드, 입구, 출구, 밸브, 롯드, 패커, 비트, 플로터, 프린트플로터, 인젝터, 이젝터, 디퓨저, 유입구, 유출구, 토출구, 분사구, 건(gun), 분사건, 패커, 벤츄리, 압력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링노즐, 환노즐, 노즐링, 노즐환, 발사건, 분사건, 시멘트건, 분사노즐, 그라우터, 주입그라우터, 숏크리터, 몰탈숏크리터, 블라스터, 숏블라스터, 볼블라스터, 스프레이어, 스프레이건, 시멘트분사건, 콘크리트호퍼, 물질투입호퍼, 진동기 구비 호퍼, 스크린 구비 호퍼, 진동기 장착 스크린 구비 호퍼, 믹서기 상부에 거치된 호퍼;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노즐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물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노즐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 술 내지 병음료수); d) 가진기가 구비되어 가진하는 상기 a) 노즐 내지 c) 병음료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0은 a) 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 노즐 내지 호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볼트, 나사, 쐐기, 앵카, 네일, 고리, 격자, 해머, 망치, 비트, 커터, 타카, 잭기, 쟁기, 와셔, 못질하는 타카, 흙손, 미장날, 미장칼, 미장손, 미장기, 커플러, 연결커플러, 철근커플러, 커플링, 연결커플링, 연결대, 연결수단, 드릴, 전기드릴, 핸드드릴, 코어드릴, 천공드릴, 콘크리트드릴, 받침대 구비 드릴, 드라이버, 전동드라이버, 회전드라이버, 나사드라이버, 파일드라이버, 삽입드라이버, 파일삽입드라이버, 지중에 파일 삽입 드라이버;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볼트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물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볼트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호퍼(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 노즐 내지 호퍼); d) 오존기가 구비되어 오존 발생하는 상기 a) 볼트 내지 c) 호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1은 a) 상기 수 내지 호퍼, 볼트 내지 드라이버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막, 판, 팬(pan), 띠, 시트, 메쉬, 격자, 그물, 네트, 보드, 킥보드, 자재보드, 벨트, 밴드, 날개, 허리띠, 바지밴드, 분리막, 여과막, 이온막, 철망, 메쉬, 프레임, 플랫폼, 사다리, 철근망, 와이어메쉬, 지오멤브레인, 매트, 양탄자, 온수매트, 냉수매트, 온냉매트, 히팅매트, 쿨링매트, 보양매트, 침대매트, 놀이매트, 매트리스, 온냉수매트, 침대매트리스, 발열시트, 발열매트, 발열형틀, 온수매트, 온수카페트, 콘매트, 콘시트, 매트콘, 시트콘,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드라이버(상기 수 내지 호퍼, 볼트 내지 드라이버); d) 음이온기가 구비되어 음이온 발생하는 상기 a) 막 내지 c) 드라이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2는 a) 상기 수 내지 드라이버, 막 내지 시트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휠, 팬(fan), 바퀴, 날개, 로터, 롤러, 드럼, 얼레, 풀리, 톱니, 윈치, 패들, 패달, 타이어, 회전체, 회전솔, 회전팬, 송풍팬, 환기팬, 브레이크, 리트렉터, 회전롤러, 핸드롤러, 텐덤롤러, 드럼롤러, 다짐롤러, 타이어롤러, 매카담롤러, 흙다짐롤러, 포장다짐롤러, 테니스장롤러;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휠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휠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시트콘크리트(상기 수 내지 드라이버, 막 내지 시트콘크리트); d) 회전기가 구비되어 회전하는 상기 a) 휠 내지 c) 시트콘크리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3은 a) 상기 수 내지 시트콘크리트, 휠 내지 테니스장롤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콕, 꼭지, 수도콕, 냉수콕, 온수콕, 생수콕, 수도꼭지, 생수기콕, 관, 도관, 도갱, 압력관, 튜브, 밴드, 호스, 라인, 관, 관로, 배관, 철관, 통로, 중공관, 상수관, 하수관, 수도, 상수도, 하수도, 2중관, 3중관, 다중관, 배출관, 타설관, 케이싱, 배출관, 타설관, 파이프, 중공라인, 지오튜브, 벤츄리관, 호스라인, 파이프라인;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콕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콕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테니스장롤러(상기 수 내지 시트콘크리트, 휠 내지 테니스장롤러); d) 자화진동기가 구비되어 물질을 진동하는 상기 a) 콕 내지 c) 테니스장롤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4는 a) 상기 수 내지 테니스장롤러, 콕 내지 파이프라인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잭, 시거잭, 압력잭, USB잭, 전기잭, 전선잭, 2발잭, 3발잭, 전선, 케이블, 소켓, 플러그, 2발플러그, 3발플러그,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 포트, 잭포트, 시거잭포트, USB잭포트, 콘센트, 2발 플러그 유입 콘센트, 3발 플러그 유입 콘센트, 전지, 충전지, 충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충전기, 배터리, 2차전지, 변압기, 배전반,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버튼, 전기버튼, 레버, 회전레버, 스위치, on/off스위치, 컨트롤러, 가동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휴대형발전기, 팬발전기, 회전팬발전기, 디젤발전기, 가솔린발전기, 전기발전기, 인버터발전기, 회전하는 팬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수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흐르는 물속에 투입되어 회전하는 팬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휴대형발전기, 상기 팬의 회전자가 고정자 내에서 회전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잭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잭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파이프라인(상기 수 내지 테니스장롤러, 콕 내지 파이프라인); d) 자화진동가진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으로 살균처리되는 상기 a) 잭 내지 c) 파이프라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충전기는 a) 가스충전기, 물질충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충전기, 전기차충전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몸체, 이의 하부 기초, 상기 몸체 연결되는 충전수단으로 구성되거나, c) 또는 변압기, 배전반, 차단기, 케이블, 정류기, 컨버터, 플러그, 충전케이블, 충전커넥터, 충전제어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의 예로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 출력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의 출력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상기 컨버터 출력단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과 충전커넥터, 컨버터의 출력 전류와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제어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물품 25는 a) 상기 수 내지 파이프라인, 잭 내지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차, 차량, 트럭, 배, 보트, 선박, 드론, 기구,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활공체, 부유체, 활공기, 이동체, 항공기, 무인기, 유인기, 광고배너, 장비, 엔진, 디젤엔진, 가스엔진, 가솔린엔진, 기관, 내연기관, 터빈, 회전터빈, 발전터빈, 발동기, 경운기, 카트, 지게차, 유모차, 자동차, 승용차, 전기차, 수소차, 기차, 전철, 경전철, 이동수단, 이동기구, 이송수단, 운행수단, 리프트, 승강기, 콘도라, 엘리베이터, 도져, 로더, 불도져, 크레인, 그레이더, 리프트카, 포크레인, 페이로더, 트레일러, 타워크레인;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차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차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발전기(상기 수 내지 파이프라인, 잭 내지 발전기); d) 펄스기에서 발생되는 펄스 진동이 가해지는 상기 a) 차 내지 c) 발전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6은 a) 상기 수 내지 발전기, 차 내지 타워크레인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자(scale), 줄자, 삼각자, 저울, 천칭, 스케일, 계량기, 펜, 필, 붓, 연필, 색연필, 벼루, 책, 공책, 노트, 칠판, 흑판, 지우개, 편지, 편지지, 봉투, 악기, 기타, 소리, 풍금, 아쟁, 건반, 악보, 피아노, 오르간, 가여금, 음악기, 음향기기, 작품, 미술품, 미술작품, 예술작품, 도예작품, 테이프, 씰테이프, 부착테이프, 접착테이프, 녹음테이프, 학용품, 반지, 가락지, 보물, 보석, 금, 은, 동, 금괴, 돈, 현금, 수표, 코인, 비트코인, 사이버머니, 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시계, 폰시계, 탁상시계, 손목시계, 안경, 색경, 거울, 폰(phone), 셀폰, 핸드폰, 이동폰, 스마트폰, 전화기, 국기, 깃발, 깃대, 타이, 넥타이, 버클, 혁띠, 백, 핸드백, 팩, 백팩, 가방, 인형, 모델, 모형, 피규어, 장난감, 계산기, 계산서, 장부, 가계부, 일기장, 거래장부;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자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자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타워크레인(상기 수 내지 발전기, 차 내지 타워크레인); d) 자화진동기에 방사되는 살균광으로 살균되는 상기 a) 자 내지 c) 타워크레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7은 a) 상기 수 내지 타워크레인, 자 내지 거래장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옷, 조끼, 바지, 반바지, 의류, 상의, 하의, 외투, 속옷, 잠바, 잠옷, 팬티, 런닝, 런닝옷, 복장, 의복, 내복, 외복, 복장, 예복, 정장옷, 캡, 모자, 뚜껑, 덮개, 카바, 고깔, 삿갓, 헬멧, 깔대기, 거들, 브라자, 기저귀, 생리대, 스타킹, 스키니, 드레스, 장갑, 목장갑, 가죽장갑, 골프장갑, 목도리, 슈, 슈즈, 신, 신발, 양말, 장갑, 수건, 타월, 구두, 운동화, 등산화, 고무신, 착용재, 신사복, 체육복, 운동복, 등산복, 학생복, 작업복, 목도리, 마개, 귀마개, 인도어복(in door dress), 아웃도어복;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옷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옷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거래장부(상기 수 내지 타워크레인, 자 내지 거래장부); d) 자화가진기에 방사되는 오존 및 살균광으로 살균되는 상기 a) 옷 내지 c) 거래장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28은 a) 상기 수 내지 거래장부, 옷 내지 아웃도어복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TV, CCTV, 전축, 오디오, 라디오, 냉장고, 냉동고, 에어콘, 리모콘, 세탁기, 청소기, 보일러, 다리미, 가습기, 미스트기, 텔레비젼, 컴퓨터,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타자기, 마우스, 모니터, 플로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USB, USB기, 프린터, 3D프린터, 제조용 3D프린터, 공사용 3D프린터, 제품 제조용 3D프린터, 피규어 제조용 3D프린터, 3D프린터 플로터, 건조기, 의류건조기, 세탁건조기, 드라이어, 헤어드라이어, 히터, 쿨러, 히팅기, 쿨링기, 전열기, 가열기, 냉열기, 온풍기, 냉풍기, 냉온기, 에어컨, 에어컨디셔너, 펠티에소자, 펠티에소자 냉온기, 자판기, 상품자판기, 타자자판기, 리모콘, 필터, 여과기, 정수기,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로봇청소기, 무선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공기청정기, 수질정화기, 의류청정기, 바이러스청정기, 의류세척기;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TV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TV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아웃도어복(상기 수 내지 거래장부, 옷 내지 아웃도어복); d) 자화가진오존기에 방사되는 오존 및 LED광으로 살균되는 상기 a) TV 내지 c) 아웃도어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USB는 USB, universal serial bus, 기억장치, 메모리장치, 이동식 기억장치,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USB장치, USB 구비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품 29는 a) 상기 수 내지 아웃도어복, TV 내지 의류세척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컵, 물컵, 쟁반, 수저, 숫갈, 젖가락, 칼, 날, 칼날, 도마, 가위, 칫솔, 전동칫솔, 구강세척기, 치아세척기, 바이러스세척기, 행거, 걸이, 옷걸이, 빨래줄, 솥, 밥솥, 가마솥, 압력솥, 전기밥솥, 밥통, 보온통, 용기, 가두리, 소쿠리, 다라, 고무다라, 식기, 그릇, 스푼, 양푼, 자기, 범랑, 스프레이어, 생활재, 생활용품, 요, 담요, 이불, 양탄자, 비, 빗자루, 걸레, 쓰레받기, 휴지, 티슈, 물티슈, 화장지, 필터, 히터, 쿨러, 난로, 화로, 후드, 레인지, 가스레인지, 조리레인지, 버너, 보일러, 가스보일러, 스토브, 가마, 열가마, 꽃가마, 도예가마, 오븐, 주걱, 수저, 후드, 레인지, 요리기, 조리기, 젓가락, 가전재, 후라이팬, 고대기, 드라이어, 프라이어, 프라이팬, 에어프라이어, 커피머신,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헤어드라이어, 가스레인지;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컵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컵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의류세척기(상기 수 내지 아웃도어복, TV 내지 의류세척기); d) 자화가진오존음이온기에 방사되는 오존 및 음이온 및 LED광으로 살균되는 상기 a) 컵 내지 c) 의류세척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0은 a) 상기 수 내지 의류세척기, 컵 내지 가스레인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안마기, 안마의자, 안마침대, 안마쇼파, 핀형안마기, 건(gun)형안마기, 봉형안마기, 마사지기, 발마사지기, 손마사지기, 등마사지기, 얼굴마사지기, 허리마사지기, 신체마사지기, 전신마사지기, 마사지침대, 팔마사지기, 허리마사지기, 머리마사지기, 신체마사지기, 안마제품, 마사지제품, 목발, 보조기, 건강보조기, 로봇보조기, 걸음보조기, 실버보조기;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안마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안마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가스레인지(상기 수 내지 의류세척기, 컵 내지 가스레인지); d) 오존음이온기에 방사되는 오존 및 음이온으로 살균되는 상기 a) 안마기 내지 c) 가스레인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1은 a) 상기 수 내지 가스레인지, 안마기 내지 실버보조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가구, 의자, 책상, 식탁, 서랍, 침구, 침대, 쇼파, 시트, 장, 옷장, 장롱, 선반, 찬장, 책장, 책꽂이, 싱크대, 벽장, 신발장, 가구재, 변기, 비데, 세면대, 도어, 도어록, 열쇠, 자물쇠, 등, 전등, 램프, 전구, 전지, 조명, 전구, 광원, 히터, 라이터, 가로등, 형광등, 전열등, LED등, LED램프, 적외선등, 자외선등, 타워라이트, 전선, 전기재, 계단, 사다리, 액자, 간판, 게시판, 싸인, 네온싸인, 광고판, 광고대, 튜브 광고대, 비행 광고대, 송풍 광고대, 송풍으로 자립되는 튜브 광고대, 전등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타워라이트;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가구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가구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실버보조기(상기 수 내지 가스레인지, 안마기 내지 실버보조기); d)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되어 열과 음파를 방사하는 상기 a) 가구 내지 c) 실버보조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2는 a) 상기 수 내지 실버보조기, 가구 내지 타워라이트 중 하나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무이용, 비이용, 무관, 무관계, 다른, 별도 등이 되는, 또는 상기 수 내지 실버보조기, 가구 내지 타워라이트 중 하나와 다른, 별도, 별개 등의 변기, 비데, 욕기, 욕조, 배관, 세면대, 화장대, 샤워기, 반신욕기, 전신욕기, 덕트, 수도, 관로, 통로, 흄관, 도관, 관로, 수조, 수로, 암거, 박스, 탱크, 맨홀, 집수정,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하수도, 상수도, 하수암거, 우수암거,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저류조, 집수조,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배관재, 데크, 목재데크, 통행데크, 벽천, 잔디, 인조잔디, 인공잔디, 막이, 칸막이, 그늘막, 물막이, 태양막이, 바람막이, 한파막이;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 c) 상기 변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품, 또는 상기 변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타워라이트(상기 수 내지 실버보조기, 가구 내지 타워라이트); d) 자화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되어 자화하면서 오존음이온 처리하는 또는 처리되는 상기 a) 변기 내지 c) 타워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3은 상기 수 내지 타워라이트, 변기 내지 한파막이 중 둘 이상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물품이다. 상기 물품 34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제작,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토목, 청정, 정화, 정수, 살균, 소독, 폭기, 폭기, 반응, 응집, 침전, 탈수, 선별, 파쇄, 분쇄, 수쇄, 풍쇄, 처리, 처분, 재료, 자재, 물질, 물품, 장치, 장비, 물체, 기구, 드론, 3D프린터, 시설, 건물, 구조물, 시설물, 상기 수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한파막이(상기 수 내지 타워라이트, 변기 내지 한파막이),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하나가 이용되는'은 하나의, 하나 용도의, 하나를 하는, 하나에 관련되는, 하나가 관련되는, 하나가 이용되는, 하나에 이용되는, 하나를 조성하는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관련은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품 35는 에코, 나노, 미니, 비비, 그린,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디톡, 디톡스, 처리, 내진, 방진, 기능, 기능성, 미생물,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황토, 피톤, 피톤치드, 편백, 편백나무, 저탄소, 녹색성장,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 바이러스청정, 바이러스처리, 돌기, 펄스, 폭기, 팽창, UV, LED, 자외선, 적외선, 광촉매,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육각수,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복합물품(상기 수 내지 한파막이,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6은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또는 하나로 자연재, 나노재, 나노미터재, 미니재, 밤(balm), 밤크림, 녹색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디톡제, 디톡스제, 처리제, 내진재, 방진재, 기능제, 기능재, 미생물, 바이오제, 친환경재, 바인더, 와이파이, 스마트폰, 센서, 황토, 피톤치드, 편백나무, 탄소흡수, 탄소사용, 탄소미발생, 녹화, 녹생, 마이크로재, 마이크로미터재, 2종 이상 물질, 인텔리제, 바이러스청정제, 바이러스처리제, 돌기, 펄스기, 폭기기, 팽창제, UV기, LED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광촉매함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또는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품(상기 수 내지 한파막이,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7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열 내지 피톤치드, 이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품 38은 물품의 하나인 또는 물품에 속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품 중 하나이다.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장비에 대한 적용예를 살펴보면, 자연재 이용의 에코 장비, 나노재 생산의 나노 장비, 나노미터재 이용의 나노 장비, 미니재 제조의 미니 장비, 밤(balm) 이용의 비비 장비, 밤크림 제조의 비비 장비, 종자 또는 녹색제 분사의 녹색 장비, 청정제 분사의 청정 장비, 정화제 제조의 정화 장비, 살균제 살포의 살균 장비, 소독제 분사의 소독 장비, 디톡제 생산의 디톡 장비, 디톡스제 방사의 디톡스 장비, 처리제 분사의 처리 장비, 내진재 포설의 내진 장비, 방진재 설치의 방진 장비, 기능제 생산의 기능 장비, 기능재 장착의 기능성 장비, 미생물 배양의 미생물 장치, 바이오제 분사의 바이오 장비, 친환경재 이용의 친환경 장비, 바인더 이용의 스마트 장비, 스마프폰에 구비된 장비, 스마프폰에 구비된 스마트 장비, 스마프폰에 구비된 상기 기 내지 복합, 스마프폰에 구비된 스마트형의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구비된 스마트폰, 센서 이용의 디지탈 장비, 황토 이용의 황토 장비, 피톤치드 제조의 피톤 장비, 편백나무 이용의 편백 장비, 탄소흡수하는 저탄소 장비, 탄소사용하는 저탄소 장치, 탄소미발생하는 저탄소 장비, 녹화하는 녹색성장 장비, 녹생하는 녹색성장 장치, 마이크로재 이용의 마이크로 장비, 마이크로미터재 제조의 마이크로 장비, 2종 이상 물질 이용의 하이브리드 장비, 인텔리제 이용의 인텔리전트 장비, 바이러스청정제 이용의 바이러스청정 장비, 바이러스처리제 분사의 바이러스처리 장비, 돌기가 장착된 돌기 장치, 펄스기가 이용되는 펄스 장비, 폭기기가 구비되는 폭기 장치, 팽창제가 이용되는 팽창 장비, UV기가 장착된 UV 장비, LED기가 구비되는 LED 장비, 자외선기가 포함되눈 자외선 장비, 적외선기의 적외선 장비, 광촉매함유의 광촉매 장비, 자화하는 자화 장비, 진동하는 진동 장비, 가진하는 가진 장비, 오존발생하는 오존 장비,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 장치, 육각수를 생산하는 육각수 장비, 상기 에코 내지 음이온 중 둘 이상 복합이 이용되는 복합 장비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는 이상의 또는 이하의 내용, 문장, 설명, 용어, 단어, 사항 등은 본 발명, 발명의 내용, 청구항 등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 수단, 장비, 장치, 물품, 물질,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수단,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수단,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크,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타설, 포설, 분사, 분무, 코팅, 도장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
상기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물품 조성 수단, 시설 조성 수단 등은 기(器), 기(機), 차(車), 제(劑), 재(材), 재료, 자재, 물질,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부품, 제품, 드론,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방법, 공법,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정화 수단, 처리 수단, 작업 방법, 공사 방법, 정화 방법, 처리 방법;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c)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d) 상기 칩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단,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일, 업무, 작업,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처리 중 하나가 수행된다.
상기 수단, 작업, 기(器) 내지 복합, 일 내지 처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품, 용품, 물품, 제품, 상품, 식품, 화장품, 자재, 건자재, 도로, 터널, 교량, 기초,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이 조성되거나, 또는 균, 녹, 세균, 오염, 환경, 수질, 부식, 토양, 먼지, 분진, 공기, 대기, 폐기물, 음식물, 슬러지, 침전물, 부유물, 이물질, 공기질, 대기질, VOC, CO, CO2, SOx, NOx, 곰팡이, 박테리아, 미세먼지, 바이러스,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이 정화 또는 처리된다.
상기 공사, 작업 공사, 시설 공사, 수단 이용 공사, 장비 이용 공사 등은 공사 1, 공사 2, 공사 3, 공사 4, 공사 5, 공사 6, 공사 7, 공사 8, 공사 9, 공사 10, 공사 11, 공사 12, 공사 13, 공사 14, 공사 15, 공사 16, 공사 17, 공사 18, 공사 19 중의 하나 이상이다.
상기 공사 1은 a) 공사, 시공, 시설공사,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전문건설공사, 종합건설공사, 지반공사, 도로공사, 포장공사, 지반개량공사, 구조물공사, 시설조성공사, 구조물조성공사, 타설공사, 진동타설공사, 가진타설공사, 자화타설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공사; b) 상기 공사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는 a)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하여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장비를 이용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자재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2는 오존 방사, 음이온 발생,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 방출,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공사; 상기 하나 이상을 하는 장비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하나 이상을 하는 자재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하나 이상을 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3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공사;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는 장비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는 자재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 또는 '내지'는 ∼, 내지, 등, a∼z, 일정의 범위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는은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는,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내지 살균을 하는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 4는 a) a1)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a2)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는 공사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구비된 장비, 자재, 재료, 진동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공사이다.
상기 공사 5는 a) 저장, 저류, 투입, 배합, 가압, 이송, 공급, 타설, 치기, 뿜기, 버블링, 숏팅, 블라스팅, 제팅, 숏크리팅,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녹화스프레이, 주입, 주사, 인젝션, 그라우팅, 믹싱, 충진, 분사, 분무, 살수, 포설, 포장, 다짐, 진동, 미장, 피니싱, 양생, 건조, 경화, 탈형, 면정리, 면처리, 보양, 보호, 보수, 보강, 개량, 개선, 수선, 내진, 방진, 제진, 방재, 방제, 방근, 방충, 방청, 방식,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막이, 흙막이, 물막이, 복원, 복구, 힐링, 설치, 부착, 장착, 정착, 적층, 배근, 못질, 타카질, 라이닝, 개량, 보수, 보강, 수리,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5에서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는 a)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하여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장비에 의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장비를 이용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재 또는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재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재료가 투입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6은 a) 저장, 건설, 전문건설, 종합건설, 건축, 재건축, 축조, 개발, 재개발, 공사, 건설공사, 지반공사, 토목공사, 천공, 타공, 타정, 박기, 항타, 파일항타, 기초항타, 착공, 드릴링, 시공, 신축, 증축, 개축, 축조, 토공, 토목, 굴착, 개착, 굴삭, 굴토, 절토, 성토, 쌓기, 적층, 터파기, 보링, 시추, 정리, 정지, 지정(地釘), 지반정리, 단지정리, 천공, 장약, 발파, 폭파, 타격, 충격, 미장, 조적, 석공, 목공, 철근공, 비계공, 창호공, 보링공, 삭도공, 준설, 매립, 해안매립, 폐기물매립, 상하수도공, 콘크리트공, 철근콘크리트공; b) 상기 저장 내지 철근콘크리트공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7은 a) 저장, 공사, 시공, 작업, 건설, 건축, 축조, 신축, 증축, 개축, 축조, 재건축, 재개발, 조경, 식재, 조형, 조각, 환경, 정화,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토공, 굴착, 발파, 성토, 절토, 되메움, 준설, 삭도,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조적, 석공, 석축, 철근공,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공,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도장, 도색,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비계, 해체, 구조물해체, 창호, 판금, 보링, 인젝션, 그라우팅, 충진, 충전, 싱크홀, 발포, 팽창,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면보강, 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개량, 지반개량,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배합, 혼합, 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공급, 이송, 압송, 운반,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레미콘치기, 주입, 몰탈주입, 지중주입, 몰드주입, 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 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제품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코팅, 면도배, 코팅, 라이닝, 터널라이닝, 다짐, 지중다짐, 지상다짐, 포장다짐, 준설, 삭도, 양생, 도배, 식재, 나무식재, 조경식재,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개량, 보수, 보강, 수리, 인테리어, 리모델링, 숏크리트공,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공,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RCD기초 공사, ED(earth drill) 또는 ED기초 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 상기 저장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8은 a) 저장,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토목, 조경, 조형, 공장, 제조공장, 현장, 건설현장, 굴착, 지반굴착, 암반굴착, 드릴굴착, 오거굴착, RCD굴착, 탑다운굴착, 착정, 우물공착정, 발파, 암반발파, 천공, 지중천공, 보링, 지반보링, 암반보링, 앵카공보링, 지반조사용보링, 배합, 레미콘배합, 교반, 혼합, 콘크리트혼합, 타설, 형틀타설, 몰드타설, 거푸집타설, 건물형틀타설, 구조물형틀타설, 라이닝타설, 터널라이닝타설, 지면타설, 공장타설, 제조공장타설, 건자재제조공장타설, 현장타설, 도로현장타설, 옹벽현장타설, 터널현장타설, 교량현장타설, 치기, 몰탈치기, 시멘트치기, 콘크리트치기, 붓기, 레미콘붓기, 넣기, 콘크리트넣기, 진동, 형틀진동, 타설물진동, 형틀내타설물진동, 진동기진동, 포설, 포장포설, 지면포설, 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노면포장, 교면포장, 신설포장, 보수포장, 분사, 면분사, 사면분사, 밥면분사, 비탈면분사, 굴착부분사, 뿜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살포, 지중살포, 수중살포, 분산, 수중분산, 분수, 공중분수, 분무, 공중분무, 살수, 지면살수, 분진제거살수, 관수, 농업관수, 식물관수, 비닐하우스관수, 농사, 유입, 수유입, 공기유입, 물질유입, 재료유입, 유출, 수유출, 공기유출, 물질유출, 재료유출, 통과, 물질통과, 주입, 지중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토양주입, 오염토양주입, 건물주입, 균열주입, 구조물주입, 보수용주입, 그라우팅, 앵카그라우팅, 네일링그라우팅, 인젝션, 균열인젝션, 락볼트인젝션, 주유, 유류주유, 주유소주유, 주사, 약물주사, 방수액주사, 균열부주사, 투입, 굴착부투입, 혼입,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싱크홀충진, 굴착부충진, 보링공충진, 앵커공충진, 네일링공충진, 락볼트공충진, 충전, 단면충전, 균열충전, 콘크리트단면충전, 믹싱, 지중믹싱, 지반믹싱, 지중교반믹싱, 시멘트믹싱, 다짐, 포장다짐, 도로다짐, 지중다짐, 조적, 벽돌조적,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지하방수, 균열방수, 교면방수, 면처리, 표면처리, 강재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미장, 몰탈미장, 발수, 포장발수, 콘크리트발수, 블라스팅, 녹제거블라스팅, 도장, 강재도장, 페인트도장, 코팅, 표면코팅, 라이닝, 굴착부라이닝, 터널라이닝, 양생, 타설물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요철보강, 단면보강, 강성보강, 강도보강, 콘크리트보강,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복원, 하천복원, 오염복원, 환경복원, 단면복원, 복구, 단면복구, 콘크리트단면복구, 환경복구,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실외인테리어, 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해체, 건물해체, 선별, 해체물선별, 폐기물선별, 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폐기물분쇄, 신축, 재건축, 재개발, 연소, 물질연소, 연료연소, 소성, 물질소성, 광물소성, 크링커소성, 1000∼1500도소성,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700∼1000도소각, 열분해, 물질열분해, 플라스틱열분해, 300∼700도열분해, 소결, 가압가열하여소결, 고결, 고화; b) 상기 저장 내지 고화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6 또는 7 또는 8에서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는 a)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하여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장비에 의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장비를 이용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재 또는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재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재료가 투입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굴착하는 장비에는 굴착기, 천공기, 착공기, 굴삭기, 보링기, T4천공기, 도쟈, 백호, 크레인, 포크레인, 굴착장비, TBM(tunnel boring machine), 쉴드(shield), 세미쉴드(semi-shield), 쉴드굴착기, 세미쉴드굴착기, 비트, 비트천공기, 치즐, 치즐천공기, 드릴, 드릴기, 드릴천공기, PRD(percussion rotary drill).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공사 9는 a) 상기 저장 내지 복합; b)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c) 또는 상기 장비,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 10은 a)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비 또는 자재가 이용되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자재,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공사이다.
상기 공사 11은 a) 콘크리트 타설기 또는 펌프카가 구비 또는 반입되고, b) 상기 타설기 또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타설구에 하기 11-1 또는 11-2 또는 11-3이 거치되고, c) 상기 11-1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다. d) 상기 11-2는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b)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는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고, e) 상기 11-3은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고, f) 상기 거치는 상기 구비 또는 반입의 전, 중, 후, 동시 중(中) 하나 이상에 되고, g) 상기 거치는 자체 거치 또는 연결수단으로 거치되고, h) 상기 연결수단은 봉, 대, 끈, 줄, 막대, 철사, 호스, 케이블, 진동기의 호스, 진동기의 케이블, 연결하는 수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i) 상기 거치되어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또는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조성되고, j)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j1) 진동하거나, j2) 또는 진동하면서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고, k)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ℓ)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m)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n)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n1) 진동하거나, n2)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n3)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o) 상기 타설,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시설, 교량, 육교, 기초, 터널, 도로, 건물, 구조물 중 하나를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 12는 하기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12-1은 콘크리트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에 진동기를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 12-2는 상기 거치시 봉, 철사, 밴드, 케이블, 호스, 상기 진동기의 케이블, 상기 진동기의 호스, 상기 진동기의 케이블이 매입된 호스 중 하나로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 12-3은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봉 내지 호스,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12-4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전원공급기를 연계하는 것이다. 상기 12-5는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로 콘크리트 타설 중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상기 진동기를 인입하는 것이다. 상기 12-6은 상기 진동기로 철근을 진동하여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12-7은 상기 진동기로 철근을 진동하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12-8은 상기 진동기로 상기 진동 중 또는 후에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12-9는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로 타설중, 타설된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12-10은 상기 진동 중에 상기 진동기에서 자기장, 오존, 음이온, 방전물, 살균물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12-11은 상기 인입 후에 인발하는 것이다. 상기 12-12는 상기 인입, 진동, 발생, 인발 중 둘 이상을 2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12-13은 상기 타설 및 진동에 의하여 공사 또는 콘크리트 공사하는 것이다. 상기 12-14는 상기 타설, 진동, 공사, 콘크리트 공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시설, 교량, 육교, 기초, 터널, 도로, 건물, 구조물 중 하나를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12-15는 상기 거치에서 탈착하는 것이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은 자화기 내지 복합기, 코일이 구비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전극이 구비된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기는 저장고, 혼합기, 가압기, 이송라인, 엔드호스, 분사기, 노즐, 디퓨저, 타설호스, 타설구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사 13은 a) 철근, 형틀 중 하나 이상이 조립되거나, 또는 철근 조립 후에 상기 조립된 철근 주위에 형틀이 조립되고, b) 콘크리트 타설기 또는 펌프카가 구비 또는 반입되고, c) 상기 타설기 또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타설구에 상기 11-1 또는 11-2 또는 11-3이 거치되고, d) 상기 거치는 상기 구비 또는 반입 전, 중, 후, 동시 중(中) 하나 이상에 되고, e) 상기 거치되어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또는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조성되고, f)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f1) 진동하거나, f2) 또는 진동하면서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고, g)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h)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i)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j)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k) 상기 진동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ℓ) 상기 양생 후에 상기 형틀이 해체되고, m) 상기 진동, 타설, 양생, 해체,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시설, 교량, 육교, 기초, 터널, 도로, 건물, 구조물 중 하나가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사 14는 a) 콘크리트 타설구가 구비되고, b) 상기 타설구에 상기 11-1 또는 11-2 또는 11-3이 거치되고, c)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체결 또는 철사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은 봉, 대, 판, 끈, 못, 핀, 링, 나사, 볼트, 밴드, 노끈, 철사, 로프, 와이어, 연결대, 연결봉, 이격대, 이격봉, 클램프, 체결대, 체결수단, 호스밴드, 조임밴드, 진동기의 호스, 진동기의 케이블 등으로 체결된다. d) 하기 14-1, 14-2, 14-3 중 하나가 되고, 상기 14-1은 상기 체결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 또는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14-2는 상기 타설구,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a) a1)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a2)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c)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합체 또는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14-3은 상기 구비 또는 분사에 의하여 a) 상기 타설구,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돌기에 의한 진동 확산 또는 콘크리트 교반, 상기 방전기에 의한 전기방전살균,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살균, 상기 회전기에 의한 콘크리트 교반, 상기 진동기에 의한 진동, 상기 음이온기에 의한 음이온청정, 상기 자기장기에 의한 자기장발생, 상기 살균기에 의한 살균, 상기 물질에 의한 살균 또는 소독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b)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기능을 가지는 상기 복합체 또는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조성되는 것이다.
e) e1)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e2) 이중 하나에 구비된 모터 또는 고정자; e3)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구비된 회전자; e4) 회전축이 구비된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 e5) 회전체가 장착된 회전축이 구비된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 중 하나 이상에 전기가 인가되고, f) 상기 전기 또는 인가에 의하여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f1) 진동하거나, f2) 또는 진동하면서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고, g)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되고, h) 콘크리트가 상기 타설구를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면서 타설되고, i)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되고, j) 상기 콘크리트의 진동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다짐, 조밀화, 액상화, 유동화, 연성화, 슬러리화, 기포제거, 공기제거, 공기배출, 가스배출,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공기 배출,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가스 배출, 슬러프치증가, 슬럼프치 3 증가, 슬럼프치 5 증가, 슬럼프치 1∼10 증가, 밀도증가, 강도증가, 철근 사이로 유입, 형틀 구석으로 유입 중 하나 이상이 되고, k) 상기 타설, 진동,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시설, 교량, 육교, 기초, 터널, 도로, 건물, 구조물 중 하나가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사 15는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가 이용되는 공사이다.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 15-1 또는 진동기 15-2이다. 상기 진동기 15-1은 복합체, 타설구, 오존기가 구비된 복합체, 음이온기가 구비된 타설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15-2는 a)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와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가 결합된 결합체; b)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가 결합된 결합체; c) 상기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d) 상기 장비에 포함되는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합체는 복합체 15-1 또는 15-2 또는 15-3이다. 상기 복합체 15-1은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구비된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진동기,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진동튜브,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15-2는 a) a1) 콘크리트가 통과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a2) 상기 타설구에 거치된 튜브, 케이스, 돌기 구비 튜브, 돌기 구비 케이스, 자바라 구비 튜브, 자바라 구비 케이스 중 하나; a3)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에 구비된 모터 또는 고정자; a4)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 a5)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및 a6)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a7)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를 포함하거나, b) 또는 살균기, 상기 자기장기, 상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를 포함하는 복합체이다. 상기 살균기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이다. 상기 복합체 15-3은 상기 케이스가 a)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b)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c) 회전자 또는 모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d)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e) 또는 내부, 외부, 상기 고정자, 상기 회전자,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살균기, 자기장기, 전기방전기, 상기 살균기, 상기 자기장기, 상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케이스; 중 하나인 상기 복합체 1 또는 2이다.
상기 공사 16은 a) 상기 장비를 이용, 상기 자재를 이용, 상기 재료를 이용, 상기 진동기를 이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재료를 진동,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주택공사, 건물공사, 구조물공사, 토목공사, 지반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진동타설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17은 a) 상기 장비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자재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재료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진동기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공사, 상기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공사,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재료를 진동하여 수행하는 공사,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공사, 상기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공사, 피톤치드가 함유된 재료가 상기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타설되는 공사,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된 공사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이용되는 공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18은 상기 장비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자재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진동기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재료를 진동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피톤치드가 함유된 재료가 상기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타설되어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된 공사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이용되어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바인더가 함유된 시멘트가 포함된 재료가 상기 장비에 의하여 타설된 후 양생되어 구조물을 조성하는 공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사 19는 시설, 건물, 교량, 육교, 터널, 도로, 보도, 인도, 기초, 옹벽, 항만, 구조물, 시설물 중 하나를 조성하는 상기 공사 1, 공사 2, 공사 3, 공사 4, 공사 5, 공사 6, 공사 7, 공사 8, 공사 9, 공사 10, 공사 11, 공사 12, 공사 13, 공사 14, 공사 15, 공사 16, 공사 17, 공사 18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시공은 a) 시공,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화기가 매입된 저장고에 저장된 원료가 호퍼를 통하여 배합기에 투입되어 배합기에서 혼합되고, 이 혼합된 물질이 펌프에서 가압되고, 이 가압된 물질이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고, 이 공급된 물질이 타설기로 형틀에 주입된 후 양생되어 시설이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시설공사는 시설공사,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건설공사는 토공사, 굴착공사, 기초공사, 바닥공사, 비계공사, 기둥공사, 빔공사, 벽체공사, 칸막이공사, 슬라브공사, 철근공사, 형틀공사, 철근배근공사, 형틀내 철근배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형틀내 콘크리트타설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신축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지반공사, 사면공사, 설비공사, 배관공사, 수도공사, 하수공사, 준설공사, 방수공사, 방음공사, 단열공사, 조적공사, 타일공사, 미장공사, 지붕공사, 옥상공사, 문공사, 창호공사, 도배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조경공사, 녹화공사, 녹생공사, 배선공사, 전기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마감공사, 면마감공사, 보수공사, 보강공사, 복원공사, 복구공사, 유지관리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이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토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토공사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토목공사는 토목공사, 토목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흙과 목재를 이용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건축공사는 건축공사, 건물을 조성하는 공사, 건축시설을 조성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문건설공사는 토공사, 미장공사, 방수공사, 조적공사, 습식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비계공사, 실내건축공사, 건축공사, 건물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구조물공사, 금속구조물공사, 창호공사, 온실공사, 지붕판금공사, 건축물조립공사, 철근공사, 철근커플러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기계설비공사, 상수도공사, 하수도공사, 보링공사, 그라우팅공사, 철도궤도공사, 포장공사, 수중공사,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강구조물공사, 철강재설치공사, 삭도설치공사, 준설공사, 승강기설치공사, 구조물해체공사, 시설물유지관리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벽지작업, 장판작업, 청소작업, 바닥공사, 천장공사, 마감공사, 면처리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이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토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토공사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종합건설공사는 상기 토공사 내지 리모델링공사, 공사 내지 복합공사, 저장 내지 복합 중 둘 이상의 공사이다.
상기 지반공사는 지반공사, 지반개량공사, 지반보강공사, 지반배수공사, 지반다짐공사, 지반믹싱공사, 그라우팅공사, 숏크리트공사, LW(labiles wasser glass)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사, PRD(percussion rotaty drill)공사,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PBD(pastic board drain)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에 수반되는 지반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지반공사, 시설 조성을 위한 지반공사, 상기 장비가 이용되는 지반공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지반공사; 이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공사; 상기 지반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지반공사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도로공사는 도로공사, 도로를 조성하는 공사, 포장체를 조성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에 수반되는 도로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도로공사, 상기 지반공사 내지 VCCP공사 중 하나가 수반되는 도로공사, 도로 조성을 위한 공사, 상기 장비가 이용되는 도로공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도로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장공사는 포장공사, 포장하는 공사, 도로를 포장하는 공사, 포장체를 조성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에 수반되는 포장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포장공사, 상기 지반공사 내지 VCCP공사 중 하나가 수반되는 포장공사, 포장 조성을 위한 공사, 상기 장비가 이용되는 포장공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포장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지반개량공사는 지반개량공사, 지반을 개량하는 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에 수반되는 지반개량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지반개량공사, 상기 지반공사 내지 VCCP공사, 지반 개량을 위한 공사, 상기 장비가 이용되는 지반개량공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지반개량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구조물공사 또는 시설조성공사 또는 구조물조성공사는 a)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 공사; b) 또는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를 조성하는 공사; c) 또는 상기 장비, 자재, 공사 내지 복합공사,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지반공사 내지 VCCP공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이다.
상기 타설공사, 진동타설공사, 가진타설공사, 자화타설공사 중 하나는 a) 타설공사, 자재타설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진동타설공사, 가진타설공사, 자화타설공사, 재료를 진동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재료를 가진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재료를 자화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진동기에 의하여 재료를 진동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가진기에 의하여 재료를 가진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자화기에 의하여 재료를 자화하면서 타설하는 공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로 재료를 타설하는 공사,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에 재료를 타설하는 공사,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가 이용되어 재료를 타설하는 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는 상기 장비, 자재, 공사 내지 복합공사,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지반공사 내지 VCCP공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중 하나는 a)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철근조립공사, 콘크리트 이용 공사, 철근조립 콘크리트타설 공사, 콘크리트를 형틀에 타설하는 공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가 이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저장은 저장, 저장고에 저장, 재료를 저장고에 저장, 자재를 저장고에 저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저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저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저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저장, 상기 투입을 위한 저장, 상기 투입 전에 수행되는 저장,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저장, 자화하면서 저장, 살균하면서 저장,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를 저장,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를 저장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투입은 투입, 형틀투입, 몰드투입, 형틀에 투입, 몰드에 투입, 저장고에 투입, 재료를 혼합기에 투입, 자재를 저장고에 투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투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투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투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투입, 상기 혼합을 위한 투입, 상기 혼합 전에 수행되는 투입,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투입, 자화하면서 투입, 살균하면서 투입,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를 투입,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를 투입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배합은 배합, 혼합, 재료를 배합, 재료를 혼합, 배합기에서 배합, 혼합기에서 혼합, 재료를 혼합기에서 혼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배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혼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혼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혼합, 상기 가압을 위한 혼합, 상기 가압 전에 수행되는 혼합,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혼합, 진동하면서 혼합, 회전하면서 혼합,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를 혼합,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를 혼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압은 가압, 펌핑, 재료를 가압, 재료를 펌핑, 가압기 로 가압, 펌프로 펌핑, 재료를 가압기에서 가압,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가압,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가압,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가압,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가압, 상기 이송을 위한 가압, 상기 타설 전에 수행되는 가압,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가압, 가진하면서 가압, 소독하면서 가압,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를 가압,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를 가압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송, 공급 중 하나는 이송, 운반, 운송, 공급, 제공, 재료를 이송, 재료를 운반, 재료를 공급, 이송라인으로 이송, 운반차로 운반, 공급호스로 공급, 재료를 운반차로 운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이송,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이송,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이송,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이송, 상기 타설을 위한 이송, 상기 타설 전에 수행되는 이송,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이송, 방전하면서 이송, 전해하면서 이송,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를 이송,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를 이송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은 타설 1, 타설 2, 타설 3, 타설 4, 타설 5, 타설 6, 타설 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타설 1은 1) a) 타설, 치기, 붓기, 주입, 투입, 유입, 넣기, 분사, 분무, 분수, 분출, 배출, 토출, 유출, 뿜기, 부음, 넣음, 살수, 믹싱, 포설, 포장, 다짐, 쇼팅, 제팅, 코팅, 도장, 부어넣음, 인젝션, 숏크리팅, 지중믹싱, 지반믹싱, 토사믹싱, 스프레이, 그라우팅;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타설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타설 내지 복합; b) 또는 홀, 공, 곳, 장소, 철근, 형틀, 몰드, 거푸집,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균열, 공간, 공중, 수중, 구멍, 균열, 천공홀, 지하홀, 보링공, 굴착공, 지중공, 천공부, 굴착부, 균열부, 조인트부, 지중보링공, 건물형틀, 시설형틀, 도로형틀, 교량형틀, 터널형틀, 구조물형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c) 또는 몰탈, 재료,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레미탈, 시멘트재, 건설재, 건축재, 토목재, 함수재, 슬러리재, 콘크리트, 숏크리트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d) 상기 몰탈 내지 숏크리트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홀 내지 구조물형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 이상이거나, 2)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거나, 3) 또는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된 콘크리트를 펌프, 호스, 노즐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구조물 축조 용도의 거푸집에 타설 또는 이에 의하여 구조물이 조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는 a)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하여 살균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자재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시설 또는 기초를 조성하는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 2은 a) 콘크리트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에 진동기를 거치; b) 상기 거치시 봉, 철사, 밴드, 케이블, 호스, 상기 진동기의 케이블, 상기 진동기의 호스, 상기 진동기의 케이블이 매입된 호스 중 하나로 거치; c)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로 콘크리트 타설 중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상기 진동기를 인입; d) 상기 진동기로 철근을 진동하여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 e) 상기 진동기로 철근을 진동하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 f) 상기 진동기로 상기 진동 중 또는 후에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 g)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로 타설중, 타설된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 h) 상기 진동 중에 상기 진동기에서 자기장, 오존, 음이온, 방전물, 살균물 중 하나 이상을 발생; i) 상기 인입 후에 인발; j) 상기 인입 내지 인발 중 둘 이상을 2회 이상 반복; k) 상기 거치에서 탈착; ℓ) 상기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봉 내지 호스,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용; m)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전선 또는 전원공급기 연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재료 또는 콘크리트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타설 3은 a) 이송관(208), 엔드호스(209), 타설구(200)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1개 이상 진동기(32)의 호스(8) 또는 케이블(6)이 거치되는 공정, b) 상기 거치된 호스 또는 케이블이 상기 수단에 결합되는 공정, c) 상기 결합에 의하여 상기 진동기(32)가 상기 수단에 장착되는 공정, d) 상기 수단을 통하여 콘크리트(80)가 타설되는 공정, e) 상기 타설이 형틀 또는 지중 또는 보링공에 되는 공정, f) 상기 진동기(32)가 진동되는 공정, g) 상기 진동이 상기 수단에 전달되는 공정, h)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진동이 상기 수단을 통과하는 콘크리트에 전달되는 공정, i)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80)에 상기 진동기(32)가 삽입되는 공정, j) 상기 진동기(32)에 의하여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진동되는 공정, k) 상기 삽입된 것이 인발되는 공정, ℓ) 상기 수단이 이동되는 공정, m) 상기 타설, 진동, 전달, 삽입, 인발, 이동 중 둘 이상이 2회 이상 반복되는 공정, n) 상기 결합이 해체되는 공정, o) 상기 거치가 탈착되는 공정, p)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또는 경화되는 공정, q) 상기 양생 또는 경화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조성되는 공정,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타설 4는 a) 콘크리트가 타설 직전에 진동; 콘크리트가 타설 직전에 진동되면서 타설; b) 또는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 c) 또는 타설구 내부로 유입, 타설구 내부를 통과, 타설구 내부를 통과한 콘크리트가 진동; d) 상기 타설 또는 진동 중(中)에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타설 5는 a) 튜브, 케이스; b) 이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모터, 고정자; c)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거치된 회전자; d)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 일측 회전축, 양측 회전축, 힌지 구비 회전축; e)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일측 회전체, 양측 회전체; b6)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튜브, 케이스; f) 돌기 또는 탄성재 거치 돌기가 구비된 상기 튜브, 케이스; g)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돌기; h) 상기 전달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 i) 상기 튜브 내지 돌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케이블 또는 호스; j)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진동기가 장착된 콘크리트 타설구로 상기 진동 또는 타설이 되는 것이다.
상기 타설 6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기를 투입하여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대신에 하기 6-1, 6-2, 6-3, 6-4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6-1은 상기 타설하면서 타설과 동시에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6-2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형 진동기,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진동튜브의 복합체,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진동케이스의 복합체, 내부 중공형의 상기 타설구, 내부 중공형의 상기 진동기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타설하면서 타설과 동시에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6-3은 상기 튜브 내지 호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진동튜브 또는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상기 타설구, 진동기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타설하면서 타설과 동시에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6-4는 상기 타설 또는 진동 중(中)에 공기, 균, 세균, 오염, 환경, 박테리아, 재료, 모래, 자갈, 골재, 시멘트, 장비, 타설기, 진동기, 타설구, 배합수, 배합재, 콘크리트 등에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상기 공기 내지 콘크리트 등을 살균하는 것이다.
상기 타설 7은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형틀에 타설, 콘크리트를 타설,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 타설기로 콘크리트 타설, 펌프카로 콘크리트 타설, 타설기로 콘크리트를 형틀에 타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은 타설, 타설방법, 타설공법, 진동타설방법, 진동타설공법, 가진타설방법, 가진타설공법,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용 타설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방법은 a) 타설방법, 타설공법, 진동타설방법, 진동타설공법, 가진타설방법, 가진타설공법;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살균, 자기장,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타설방법, 타설공법;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치기는 치기, 넣기, 주입, 타설, 재료 치기, 콘크리트치기, 거푸집에 레미콘치기,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노즐로 치기, 호스로 치기, 형틀에 치기, 지중에 치기, 균열에 치기, 보링공에 치기, 재료를 호스로 치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치기,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치기,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치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치기, 상기 이송된 재료를 치기,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치기,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치기, 자화하면서 치기, 회전하면서 치기, 장비를 이용하여 재료를 치기,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치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뿜기는 뿜기, 붙이기, 뿜어붙이기, 재료를 뿜기, 재료를 붙이기, 레미콘을 뿜어붙이기, 분사기로 뿜기, 호스로 붙이기, 타설기로 뿜어붙이기, 형틀에 뿜기, 사면에 붙이기, 법면에 재료를 뿜어붙이기,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뿜기,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재료를 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뿜기, 상기 이송된 재료를 뿜기,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뿜기,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뿜기, 자화하면서 뿜기, 회전하면서 뿜기, 장비를 이용하여 재료를 뿜기,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뿜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버블링은 버블링, 팽창, 확장, 공기주입, 가스주입, 버블발생, 버블주입, 기포주입, 버블형성, 거품형성, 기포형성, 버블압형성, 경량, 경량화, 버블로 경량, 버블 주입으로 경량화, 버블기에서 버블 발생, 버블로 버블링, 버블기로 버블링, 재료를 버블링, 버블기로 버블링, 재료를 버블기로 버블링,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버블링,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버블링,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버블링,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버블링, 상기 혼합된 재료를 버블링, 상기 타설 전에 수행되는 버블링,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버블링, 자화하면서 버블링, 회전하면서 버블링,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버블링,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버블링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버블은 버블, 거품, 기포, 증기, 연기, 안개, 물방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숏팅, 블라스팅, 제팅 중 하나는 쇼팅, 숏팅, 제팅, 연마, 녹제거,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제트블라스팅, 숏트분사, 제트분사, 고압분사, 고압분출, shoting, shooting, blasting, shot blasting, jet, jetting, jet blasting, 제트주입, 제트타설, 제트그라우팅, 제트숏크리팅, 제트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 숏트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 모래 또는 슬래그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표면을 연마 또는 표면의 녹을 제거하는 행위, 숏팅기로 숏팅, 제트기로 제팅, 재료를 숏팅기로 숏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숏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숏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숏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제팅, 상기 가압된 재료를 숏팅, 상기 포장 전에 수행되는 숏팅,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숏팅, 자화하면서 제팅, 회전하면서 숏팅,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숏팅,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제팅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숏크리팅,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녹화스프레이 중 하나는 숏크리팅, shotcreting, 숏크리트, shotcrete, 녹생토공, green soil work, 시드스프레이, seed spray, 녹화스프레이, 재료를 숏크리팅, 재료를 뿜어붙히기, 숏크리트재를 뿜어붙히기, 몰탈을 뿜어붙히기, 사면에 숏크리팅, 사면에 재료를 뿜어붙히기, 상기 타설 내지 숏크리팅, 녹생토는 뿜기하는 녹생토공, 종자를 사면에 분사하는 시드스프레이, 녹화재를 분사하는 녹화스프레이, 분사기로 숏크리팅, 노즐로 시드스프레이, 재료를 분사기로 스프레이,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숏크리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스프레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사, 상기 가압된 재료를 숏크리팅, 상기 포장 전에 수행되는 시드스프레이,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숏크리팅, 자화하면서 스프레이, 회전하면서 숏크리팅,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분사,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시드스프레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입, 주사,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는 a) 주입, 주사, 투입, 매입, 인젝션, injection, 그라우팅, grouting, 분사주입, 재료를 주입, 이송롯드로 주입, 형틀에 주입, 지중에 주입, 균열에 주입, 보링공에 주입, 재료를 호스로 주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주입,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주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주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주입, 상기 이송된 재료를 주입,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주입,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주입, 자화하면서 주입, 회전하면서 주입, 장비를 통하여 재료를 주입,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주입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화진동된 레미콘을 펌프, 호스, 노즐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구조물 형틀에 주입, 또는 이에 의하여 구조물이 조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주입 또는 주사에는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수직주입, 경사주입, 심층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가진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시멘트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그라우팅, JSP(jumbo special pattern)그라우팅, 주사, 약액주사, 균열주사, 보수주사, 방수제주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믹싱은 믹싱, mixing, 회전믹싱, 원심믹싱, 통속에서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심층믹싱, 심층시멘트믹싱, 지반교반믹싱, DCM(deep cement mixing), 날개로 믹싱, 롯드에 구비된 회전 날개로 믹싱, 지중을 믹싱, 지반과 바인더를 믹싱, 롯드에 구비된 회전 날개로 지반과 고화제를 믹싱, 재료를 믹싱, 재료를 통속에서 믹싱, 재료를 지중에서 믹싱, 믹싱기로 믹싱,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믹싱,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믹싱,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믹싱,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믹싱, 상기 가압된 재료를 지중에 믹싱,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믹싱,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믹싱, 자화하면서 믹싱, 회전하면서 믹싱, 장비를 통하여 재료를 믹싱,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믹싱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충진은 충진, 충전, filling, 메움, 채움, 뒷채움,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균열충전, 씽크홀충진, 요철메움, 배면채움, 옹벽뒷채움, 재료로 충진, 재료를 공간에 충진, 재료를 지중에 충진, 충진기로 충진,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충진,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충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충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충진, 상기 이송된 재료를 지중에 충진, 상기 다짐 전에 수행되는 충진,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충진, 자화하면서 충진, 회전하면서 충진, 장비에 의하여 재료로 충진,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충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사는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분사, 그라우팅분사, 재료분사, spray, spraying, 재료를 공중에 분사, 재료를 지중에 분사, 분진을 제거하여 위하여 물을 분사, 분사기로 분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분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분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사, 상기 가압된 재료를 공중에 분사, 상기 다짐 전에 수행되는 분사,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분사, 자화하면서 분사, 회전하면서 분사,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분사,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분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수는 살수, 분사, 분수, 분무, 지면살수, 사면살수, 재료살수, 재료를 공중에 살수, 분진을 제거하여 위하여 공중에 살수, 살수기로 살수, 살수차로 살수,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살수,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살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수, 상기 가압된 재료를 공중에 살수, 상기 다짐 전에 수행되는 살수,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살수, 자화하면서 살수, 회전하면서 살수,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살수,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살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설은 포설, 지면포설, 지상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포장재포설, 재료포설, 재료를 지면에 포설, 도로포장을 위하여 아스콘을 포설, 포설기로 포설, 도져로 포설,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포설,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포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설, 상기 이송된 재료를 지면에 포설, 상기 다짐 전에 수행되는 포설,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포설, 진동하면서 포설, 회전하면서 포설,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포설,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포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장은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아스콘포장, 레미콘포장, 재료를 포장, paving, pavement, 재료를 지면에 포장, 도로 조성을 위하여 레미콘을 포장, 포장기로 포장, 로라로 다짐하여 포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포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포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장, 상기 이송된 재료를 지면에 포장, 상기 다짐 전에 수행되는 포장,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포장, 진동하면서 포장, 회전하면서 포장,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포장,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포장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가 다짐은 다짐, 지면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콘크리트다짐, 재료를 다짐, compaction, 재료를 지면에 다짐, 지면에 포장된 것을 다짐, 도로 조성을 위하여 레미콘을 다짐, 다짐기로 다짐, 로라로 다짐,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다짐,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다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다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다짐, 상기 포설된 재료를 지면에 다짐,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다짐,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다짐, 진동하면서 다짐, 살균하면서 다짐, 장비에 의하여 재료를 다짐,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다짐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은 진동, 콘크리트진동, 가진, 레미콘가진, 재료를 진동, 콘크리트를 진동, vibration,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 형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 도로 조성을 위하여 레미콘을 진동, 진동기로 진동,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진동,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 상기 포설된 재료를 진동,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진동,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진동, 자화하면서 진동, 살균하면서 진동, 장비에 의하여 진동,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진동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미장은 미장, 타설면미장, 콘크리트 미장, 타설된 콘크리트 미장, 재료를 미장, 콘크리트를 미장, 타설된 콘크리트를 미장, 형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미장, 건물 조성을 위하여 타설된 레미콘을 미장, 미장기로 미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미장,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미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미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미장, 상기 포설된 재료를 미장, 상기 양생 전에 수행되는 미장,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미장, 자화하면서 미장, 살균하면서 미장, 장비에 의하여 미장,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미장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피니싱은 피니싱, 면피니싱, finishing, 포설면피니싱, 콘크리트면피니싱,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재료를 피니싱,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피니싱,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피니싱,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피니싱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양생은 a) 양생, 수양생, 증기양생, 공기양생, 콘크리트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가열양생, curing, 양생포로 양생, 발열시트로 양생, 살수, 물살수,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된 재료를 양생,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양생,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양생, 시설 조성을 위한 재료 양생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원료가 저장고에 저장, 호퍼에 투입, 배합기에서 배합, 펌프에서 펌핑, 호스를 통하여 이송 또는 타설, 노즐을 통하여 타설이 된 후 상기 타설된 재료가 양생되는 것이다. 3) 상기 건조는 a) 건조, 열건조, 풍건조, dry, drying, 양생을 위한 건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건조, b) 또는 진동기가 선단에 구비된 호스 또는 노즐을 통하여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면서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된 후에 탈형하고 탈형된 구조물을 건조하는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경화는 경화, 고결, 고화, cementation, solidification, 재료경화, 콘크리트경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경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탈형은 a) 탈형, 형틀 제거, 거푸집 제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저장고에 저장된 모래, 자갈, 시멘트가 각각 호퍼를 통하여 배합기에 투입되어 혼합되고, 이의 혼합물인 콘크리트가 펌프에서 가압되고, 상기 가압된 것이 호스를 통하여 공급된 후에 타설기로 형틀에 타설되고 양생된 후에 상기 형틀을 해체 것이다. 3) 상기 면정리, 면처리 중 하나는 면정리, 콘크리트면정리, 면처리, 발수처리, 콘크리트면처리, surface treatment, 형틀이 해체된 콘크리트면정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보양은 보양, 고온보양, 레미콘보양, 콘크리트보양, 거적을 덮어 보양, 양생포로 보양, 탄소시트로 보양, 증기로 보양, 보양기로 보양, 발열시트로 보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5) 상기 보호는 보호, 면보호, protection, 사면보호, 시설보호, 건물보호, 구조물보호, 콘크리트면보호, 녹화로 보호, 녹생토로 보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6) 상기 보수는 보수, 균열보수, repair, 방수보수, 누수보수, 줄눈보수, 시설보수, 구조물보수, 재료로 보수, 재료를 주입하여 보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보강은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지중보강, 균열보강, 사면보강, 건물보강, 시설보강, reinforcing, reinforcement, 보강재로 보강, 화이버로 보강, 철근으로 보강, 재료를 주입하여 보강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개량, 개선, 수선 중 하나는 개량, 지반개량, 개선, 시설개선, 수선, 누수수선, improvement, 보강재로 개량, 환경 개선, 파손을 수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내진, 방진, 제진, 방재, 방제, 방근, 방충 중 하나는 재해, 재난, 지진, 진동, 나무, 뿌리, 해충, 위험 중 하나 이상을 저감, 억제, 견딤, 저항, 제지, 해결, 해소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4) 상기 방청, 방식 중 하나는 방청, 녹방청, 방식, 전기방식, 부식방식, 부식방지, 방청제 도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5) 상기 방수, 차수, 지수, 발수 중 하나는 방수, 차수, 지수, 발수, 시설 방수, 시설 차수, 누수 지수, 시설 발수, 콘크리트 방수, 시트 차수, 방수액 지수, 콘크리트 발수, 방수재로 방수, 차수재로 차수, 지수재로 지수, 발수재로 발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6) 상기 막이는 막이, 흙막이, 물막이, 가물막이, 가설막이, 가설흙막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원, 복구, 힐링 중 하나는 복원, 균열복원, 시설복원, 훼손복원, 씽크홀복원, 콘크리트복원, 구조물복원, 복구, 원상복구, 싱크홀복구, 힐링, 균열힐링, 구조물힐링, 씰링, 누수씰링, 셀프복원, 셀프복구, 셀프힐링, 셀프씰링, 군열 콘크리트를 복원, 복원기로 복원,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위한 복원,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복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복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복원, 상기 경화된 시설을 복원, 상기 양생 후에 수행되는 복원, 상기 장비 내지 VCCP공사 중 하나를 위한 복원, 진동하면서 복원, 살균하면서 복원, 장비에 의하여 복원, 조성된 시설을 복원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거치, 설치, 부착, 장착, 정착, 적층 중 하나는 거치, 설치, 부착, 장착, 정착, 적층, 자재를 거치, 자재를 설치, 자재를 기둥에 부착, 자재를 벽에 장착, 자재를 정착, 자재를 천장에 적층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배근은 배근, 철근배근, 형틀 내부에 철근 배근, 철근커플러로 철근을 연결하여 배근, 건물의 철근 배근, 주철근 배근, 보조철근 배근, 보링공에 철근 배근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못질, 타카질 중 하나는 못질, 타카질, 못박기, 못을 박는 것, 타카로 못을 박는 것, 나무에 못질, 합판에 타카질, 망치로 못박기, 타카로 타카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라이닝은 라이닝, lining, 면라이닝, 차수라이닝, 방수라이닝, 시트라이닝, sheet lining, 매트라이닝, mat lining, 터널라이닝, tunnel lining, 라이너를 형성하는 라이닝, 벽면에 라이너를 형성하는 라이닝, 매립장라이닝, 댐라이닝, 연못라이닝, 하천라이닝, 건물라이닝, 시설라이닝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5) 상기 인테리어는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시설인테리어, 건물인테리어, 구조물인테리어, interior, interior work, 내장공사, 실내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6) 상기 리모델링은 리모델링, 실내리모델링, 실외리모델링, 주택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시설리모델링, remodeling, remodeling work, 구조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에는 저장 및 투입, 저장 및 투입 및 배합, 재료의 저장 및 투입 및 배합, 재료 가압 및 이송, 재료 공급 및 타설, 재료 가압 및 치기, 재료를 버블링하고 숏팅, 재료를 제팅하면서 숏크리팅, 재료를 주입하고 주사, 재료를 지중에 그라우팅하면서 믹싱, 충진과 분사와 살수, 포설과 포장과 다짐, 미장과 피니싱과 양생, 건조 후에 경화하고 탈형, 면정리하고 면처리하고 보양, 시설을 보호하고 보수하고 보강, 지반을 개량하고 개선, 시설을 수선하고 복원, 지진에 대하여 내진 및 방진 및 제진, 뿌리에 대하여 방재 및 방근, 물에 대하여 방수와 차수와 지수, 시설의 복원 및 복구 및 힐링, 자재를 설치하고 부착하고 장착, 시설을 라이닝하고 인테리어하고 리모델링, 재료의 배합 및 가압 및 타설 및 진동 및 양생 및 경화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재료, 자재 재료, 시설 재료, 작업 재료, 공사 재료, 수단 재료 등은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재료 14, 재료 15, 재료 16, 재료 17, 재료 18, 재료 19, 재료 20, 재료 21, 재료 22, 재료 23, 재료 24, 재료 25, 재료 26, 재료 27, 재료 28, 재료 29, 재료 30, 재료 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은 a) 재료, 건설재료, 건축재료, 토목재료, 조경재료, 공사재료, 시공재료, 환경재료, 정화재료, 청정재료, 기초재료, 내진재료; b) 자재를 구성하는 재료, 자재를 조성하는 재료, 자재에 이용되는 재료, 공장에서 제조된 재료, 현장에서 조성된 재료, 공사에 이용되는 재료, 건설에 이용되는 재료, 건축에 이용되는 재료, 시설을 축조하는 재료, 건물을 축조하는 재료, 구조물을 조성하는 재료, 시설 축조에 이용되는 재료, 장비에 이용되는 재료, 장비에 투입되는 재료, 장비로 시공되는 재료, 공사에 이용되어 시설을 조성하는 재료;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료; d) 재료에 속하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중 하나는 a)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2는 a) 상기 수단, 작업, 재료, 자재, 장비, 일 내지 복합작업,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의한 제(劑), 재(材), 재료, 자재, 물질 중 하나이거나, b)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재료,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된 재료,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상기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3은 a)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분(粉), 약(藥), 품(品), 졸(sol), 겔(gel), 풀, 죽, 볼, 구, 환, 알, 술, 인, 숯, 흙, 돌, 옥, 석, 칩, 철, 칡, 황, 염, 쑥, 잎, 꽃, 씨, 마, 벼, 겨, 수지, 금속, 광울, 황토, 폐분, 애쉬, 기포, 공기, 가스, 수소, 산소, 질소, 실리카, 탄산수, 수소수, 슬러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미생물, 발포제, 기포제, 살균제, 소독제, 정화제, 청정제, 방청제, 나노제, 바인더, 화이버, 내진재, 방진재, 제진재, 댐핑재, 보강재, 보강재, 라텍스, 혼화제, 방수제, 유동화제, 바이오제, 편백나무, 피톤치드; b)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물; c)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합은 조합, 결합, 혼합, 믹싱, 합체, 혼입, 투입, 주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는 재료, 몰탈, 바인더, 고화재, 고결재, 경화재, 시멘트, 레미탈, 레미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공사재료,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재료 4는 a) 토사, 토양, 토석, 백토, 점토, 황토, 모래, 규사,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화강토, 마사토, 광물, 광미, 광석, 암석, 암분, 질석, 석재, 진주석, 돌가루, 세라믹, 실리카, 실리카흄, 화강토, 마사토, 인회석, 백운석, 자철석, 맥반석, 화강암, 카올린, 게르마늄, 펄라이트, 스멕타이트, 돌로마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아타팔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b) 상기 토사 내지 몬모릴로나이트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광물류의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f) 상기 광물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의 조직을 강화시키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g)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토사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5는 a) 철, 봉, 빔, 틀, 고철, 구리, 금속, 철사, 철근, 철골, 격자, 와이어, 양이온, 음이온, 섬유, 망사, 메쉬, 철분, 철편, 철칩, 강봉, 격자, FRP, 화이버, 강섬유, 나일론, 그래핀, 비닐론, 바인더, 접착제, 플라스틱, 유리섬유, 탄소섬유, FRP섬유, 폴리에스터,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polyvinyl alcohol)섬유, 와이어메쉬; b) 상기 철 내지 와이어메쉬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보강류 또는 내진류의 상기 철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철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코팅된 상기 철 내지 복합물; f) 상기 보강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를 보강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g)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철근은 영어로 리바(rebar)가 된다.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철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6은 a) 종자, 식물, 나무, 뿌리, 줄기, 씨앗, 열매, 무, 배, 감, 사과, 포도, 배추, 야채, 곡식, 전분, 녹말, 볏짚, 왕겨, 송진, 대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리그닌,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피톤치드, 편백나무; b) 상기 종자 내지 편백나무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식물류의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f) 상기 식물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에 녹화기능을 부여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g)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종자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7은 a) 공기, 가스, 산소, 수소, 질소, 탄소, 오존, 기포, 거품, 증기; b) 상기 공기 내지 증기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기체류의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f) 상기 기체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를 팽창시키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g)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공기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8은 a) 애쉬, 폐분, 철분, 석분, 분진, 패각, 슬러지, 슬라임, 슬래그, 부산물, 폐기물, 조개껍질,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폐유리, 폐비닐, 폐고무, 폐주물사, 폐플라스틱,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킬른더스트; b) 상기 애쉬 내지 킬른더스트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폐기물류의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f) 상기 폐기물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에 재활용재가 첨가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g)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9는 a) 숯, 참숯, 효소, 탄소, 흑연, 목탄, 목칩, 목분, 톱밥, 섬유, 왕겨, 카본, 우드칩, 굴패각, 활성탄, 여과포, 스펀지, 피트모스; b) 상기 참숯 내지 피트모스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포집기능을 가진 상기 숯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숯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숯 내지 복합물; f) 상기 포집기능에 의하여 상기 자재가 포집기능을 가지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g)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숯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0은 a) 촉매, 정촉매, 부촉매, 광촉매, TiO2, ZnO, CdS, ZnS, GaP, CdSe, CdTe, SnO2, Nb2O53, KTaO3, MoSe2, ZnSCdSe, Ni-K4Nb6O17, ZrO2SrTiO3; b) 상기 촉매 내지 ZrO2SrTiO3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촉매기능을 가진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f) 상기 촉매기능에 의하여 상기 자재가 오염 정화기능을 가지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g)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촉매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1은 a) 약제, 약품, 약물, 안료, 유약, 황산, 염산, 질산, 탄소제, 나노제, 활성제, 반응제, 응집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제균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제, 발수제, 가소제, 혼화제, 첨가제, 고화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산성제, 알카리제, 계면활성제, 이산화탄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영가금속, 영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차단제; b) 상기 약제 내지 자외선차단제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약품류의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f) 상기 약품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의 오염을 정화시키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g)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2는 a) 고무, 수지, 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아크릴, 우라실, 라텍스, 바인더, 모노머, 올리고머, 인공수지, 고분자수지, 이온교환수지, 지오폴리머(geopolymer), 지오텍스타일, 셀룰로오스, 폴리락틱산, 헤미셀룰로오스,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SAP(super absorbent polymer), CMC(carboxymethyl cellulose),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겔,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b) 상기 고무 내지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수지류의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고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f) 상기 수지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g)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고무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3은 a) 칼슘, 칼륨, 유황, 인산,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영양제, 무기물, 유기물, 삼, 인삼, 산삼, 홍삼, 수삼, 액삼, 당귀, 감초, 고삼, 갈근, 길경, 더덕, 강황, 우황, 대황, 개자, 계피, 황기, 대추, 녹용, 계지, 오가피, 도라지, 둥굴레, 결명자,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영양제, 영양소, 게르마늄, 콜라겐,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포도씨유, 클로렐라; b) 상기 칼슘 내지 클로렐라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영양제류의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f) 상기 영양제류에 의하여 상기 자재에 함유된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g)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칼슘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4는 a) 나노물, 나노제, 나노금속, 나노철, 나노은, 나노텅스텐, 나노티타늄, 나노탄소, 나노카본, 나노금, 나노백금, 나노활성탄,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 10-9m 크기의 물질, 10-6∼10-12m 크기의 물질; b) 상기 나노물 내지 물질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나노류의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f) 상기 나노류에 의하여 나노반응, 분해반응, 촉매반응, 수화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반응, 미생물반응, 상기 반응,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을 촉진시키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g)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소독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에서 나노는 nano, nano meter size, 나노미터 크기, 10-9m 크기, 10-6∼10-12m 크기 등을 나타낸다.
상기 재료 15는 a) 미생물, 유산균, 방사선균, 광합성균, 효모균, 누룩균, 유용미생물,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호염미생물, 호혐기미생물, 콜라겐, 케라틴, 신데칸, 인테그린, 엘라스틴,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틸리스, 파스테우리, bacillus subtilis, bacillus pasteurii, 바이오반응 물질, 바이오반응하는 물질, 바이오반응 생물, 바이오반응하는 생물, 바이오반응 미생물, 바이오반응하는 미생물, 바이오제, 바이오액, 바이오겔,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본드, 바이오필름; b) 상기 미생물 내지 바이오필름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바이오류의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f) 상기 바이오류에 의하여 미생물의 개체수가 증식되어 상기 자재의 공극 또는 균열을 메우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g)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재료 14;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자화 또는 진동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바이오, 바이오제, 바이오액, 바이오겔,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본드, 바이오필름 중 하나는 a) 생물, 요소, 미생물, 바이오(bio), 우레아; b) 이중 하나의 막(membrane), 실, 씰(seal), 겔(gel), 젤, 액, 액체, 약, 수(水), 물, 제(劑), 재(材), 에코, 나노, 물질, 약품, 화학, 화학물, 점액, 본드, 필름(film), 씰링, 씰링재, 개체, 군락(colony), 물질, 세포, 기질, 세포외기질, 산화, 환원, 탄산화, 탄산화물; c) 상기 생물 내지 탄산화물 등이 포함되는 수(水), 물, 제(劑), 재(材), 물질, 재료; 중 하나이다. 상기에서 바이오는 bio, 생(生), 생물(生物), 미생물, 친환경, 생태, 생태계, 바이오, 바이오제, 바이오재, 바이오물질, 바이오시밀러, 생화학(biochemistry), 생원소(bioelement), 생물발광(bioluminescence) 등을 나타낸다. 상기를 토대로 바이오막,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겔, 바이오젤, 바이오액, 바이오필름, 바이오씰링, 나노바이오, 에코바이오, 스마트바이오, 바이오군락, 바이오세포, 바이오기질, 바이오몰탈, 바이오시멘트, 바이오콘크리트, 바이오막과 바이오실과 바이오씰, 바이오겔과 바이오젤과 바이오액과 바이오필름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바이오반응은 a) 상기 생물 내지 세포외기질 중 하나 이상의 반응, 바이오반응, 수화반응, 수산화반응, 포졸란반응, 탄산화반응, 하이드레이트반응, 바이오본딩, 바이오씰링, 바이오힐링, 바이오바인딩, 바이오브릿징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반응, 생물 내지 세포외기질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막 내지 세포외기질, 바이오제 내지 바이오필름,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거나, c) 또는 상기 반응에 의하여 물질 또는 물체의 강도 향상, 강성 증진, 차수성 향상, 방수성 향상, 투수계수 저감, 간극 충진, 공극 메움, 균열 채움, 조직 긴결, 입자 결합, 조직 본딩, 입자 바인딩, 균열 씰링, 파손 힐링, 조직 브릿징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1) 상기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은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 세포 조직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물질, 생물에서 세포 이외의 물질 또는 기질, 프로테오글라이칸(proteoglycan, PG), 콜라겐, 케라틴, 섬유상 단백질(fibrous protein) 중 하나 이상이다. 2) 상기 프로테오글라이칸은 a) 단백질과 복합된 다당류 물질, 세포와 세포 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수소화겔(hydrated gel) 형태로 존재, 완충작용, 수화작용, 결합작용, 저항작용 중 하나 이상을 한다. 3) 상기 섬유상 단백질은 콜라겐, 세포외기질의 구조를 담당하는 콜라겐, 탄성력을 가진 콜라겐, 엘라스틴(elastin), 신축성을 가진 엘라스틴,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FN), 세포외기질 사이를 조직화하는 파이브로넥틴, 세포와 세포외기질을 연결하는 파이브로넥틴 중 하나 이상이다. 4) 상기 세포외기질과 세포의 접합은 파이브로넥틴, 인테그린(integrins), 디스코이딘 복합 수용체(discoidin domain receptor), 신데칸(syndecans), 세포외기질 수용체(extracellular matrix receptor) 중 하나 이상에 의한다.
상기 생물 내지 세포외기질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탄산화반응에는 CO(NH2)2 + 2H2O → CO3 2- + 2NH4 +; CaCl2 → Ca2+ + Cl2 -; Ca2+ + CO3 2- → CaCO3; CaCl2 + CO(NH2)2 + 2H2O → Ca2+ + Cl2 - + CO3 2- + 2NH4 +; Ca2+ + Cl2 - + CO3 2- + 2NH4 + → CaCO3 + Cl2 - + 2NH4 +; CO(NH2)2 + 2H2O + Cell → CO3 2- + 2NH4 + + Cell; CaCl2 + Cell → Ca2+ + Cl2 - + Cell; Ca2+ + CO3 2- + Cell → CaCO3 + Cell; CaCl2 + CO(NH2)2 + 2H2O + Cell → Ca2+ + Cl2 - + CO3 2- + 2NH4 + + Cell; Ca2+ + Cl2 - + CO3 2- + 2NH4 + + Cell → CaCO3 + Cl2 - + 2NH4 + + Cel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ell은 세포, 단세포, 다세포, 생물, 미생물,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중 하나이다. 상기 + Cell은 세포, 단세포, 다세포, 생물, 미생물,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중 하나가 반응, 결합, 융합, 부착, 합체, 함유, 생성, 조성, 형성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상기 재료 16은 a) C, H, O, N, S, K, P, Ca, Mg, Si, Fe, Me, Al, Na, Cu, Zn, Pb, Cr, Cd, OH, COO, MgO, CaO, K2O, Na2, SiO2, Al2O3, Fe2O3, CaSi, CaMg, CaFe, CaMe, CaCOO, MgFe, MgMe, MgCOO, FeMe, FeCOO, CaMgFe, CaMgMe, CaMgCOO, MgFeMe, MgFeCOO, CaMgFeMe, CaMgFeCOO, CaMgFeMeCOO, Ca+2Mg+2Fe+2Me+3COO-함유제, Ca+2Mg+2Fe+2Me+3COO-결합제, CaMg제, CaFe제, CaMe제, CaCOO제, MgFe제, MgMe제, MgCOO제, FeMe제, FeCOO제, CaMgFe제, CaMgMe제, CaMgCOO제, MgFeMe제, MgFeCOO제, CaMgFeMe제, CaMgFeSi제, CaFeMgSi제, CaMgFeCOO제, CaFeMgSiPolymer제, CaㆍFeㆍMgㆍSiㆍPolymer제, CaㆍFeㆍMgㆍSiㆍPolymer 함유제, Ca+2Mg+2Fe+2Si+ 함유제, Ca+2Mg+2Fe+2Me+3COO-함유제, Ca+2Mg+2Fe+2Me+3COO-결합제, CaMgFeMeCOO제; b) 상기 C 내지 CaMgFeMeCOO제 중 둘 이상의 복합물; c) 이온류의 상기 C 내지 복합물;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C 내지 복합물; e)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상기 C 내지 복합물; f) 상기 이온류에 의하여 상기 재료에 이온을 공급하는 또는 상기 공급에 의한 상기 이온이 포함되는 반응을 생성시키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g)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재료 14, 재료 15;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자화 또는 진동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C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CaSi 내지 CaMgFeMeCOO제 중 하나는 Ca, Mg, Fe, Me, Si, COO, Ca+2, Mg+2, Fe+2, Me+3, COO-, Polymer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물질 또는 이온물이다. 3) 상기 Me는 금속, 주석, 구리, 철금속, 중금속, Metal의 약자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OH는 OH, OH-, OH 이온, OH 라디칼, 수산화물의 화학기호, 히드록시기, 히드록시기 물질, 유기화학에서 알코올의 히드록시기, H2O에서 분리되는 OH, H2O에서 분리되는 OH 이온 중 하나이다. 5) 상기 COO는 COO, COO-, COOH, COONa, CH3COOH, C6H5COOH, HCOOH, CH3COOCH3, C2H5OCOH,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6) 상기 C는 탄소, H는 수소, O는 산소, N는 질소, S는 황, K는 칼륨, P는 인, Ca는 칼슘, Mg는 마그네슘, Si는 실리카, Fe는 철, Me는 metal , Al는 알루미늄, Na는 나트륨, Cu는 구리, Zn는 아연, Pb는 납, Cr는 크롬, Cd는 카드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17은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면서 반응, 화학반응, 나노반응, 분해반응, 촉매반응, 수화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반응, 미생물반응, 팽창반응, 결합반응,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상기 반응,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재료이다. 상기 재료 18은 재료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7, 18-8, 18-9, 18-10, 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18-17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30∼60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20∼7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20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1∼15중량부, FeO 또는 Fe함유물 2∼2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광미, 광물, 광석,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2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40∼7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3∼28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3∼13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3∼1.5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0.3∼3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3∼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점토, 진흙, 상기 광미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3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45∼65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3∼18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5∼14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1∼7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1∼5중량부, FeO 또는 Fe함유물 0.5∼1.7중량부, CaCO3 또는 Ca함유물 0.1∼1.5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01∼1.3중량부, MnO 또는 Mn함유물 0.01∼1.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황토, 황사, 상기 점토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4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50∼65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0∼30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2∼10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1∼3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1.5∼8중량부, SO3 또는 S함유물 0.1∼1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1∼1.5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5∼3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2∼0.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상기 황토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5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50∼6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5∼25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3∼1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0.5∼2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2.5∼3.5중량부, FeO 또는 Fe함유물 1.5∼3중량부, P2O5 또는 P함유물 0.1∼0.4중량부, MnO 또는 Mn함유물 0.01∼0.1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5∼2.5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3∼0.7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석분, 폐분, 석분슬러지, 상기 애쉬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6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35∼5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30∼55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1∼2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0.01∼0.4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0∼0.5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001∼0.2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3∼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카올린, 고령토, 상기 석분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7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55∼75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0∼25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5∼5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1∼8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1∼3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1∼2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5∼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광물, 몬모릴로나이트, 상기 카올린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8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60∼78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10∼20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5∼5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0.5∼4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0.1∼5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5∼4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1∼3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광물, 천연제올라이트, 인공제올라이트, 상기 벤토나이트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9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소와 탄소 80∼99중량부, 수소 20∼29중량부, 탄소 60∼70중량부, 황과 질소와 산소 1∼20중량부, 역청 80∼99중량부, 수분 1∼20중량부, 가스 0.0001∼1.0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된 물질, 아스팔트, 역청재, 아스콘, 상기 제올라이트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0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60∼9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0.5∼2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0.5∼2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0.1∼1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1.5∼3중량부, SO3 또는 S함유물 0.1∼1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1∼1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1∼2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실리카, 실리카흄, 실리카겔, 상기 아스팔트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1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또는 Si함유물 10∼30중량부, CaO 또는 Ca함유물 50∼70중량부, Al2O3 또는 Al함유물 3∼10중량부, MgO 또는 Mg함유물 1∼4중량부, Fe2O3 또는 Fe함유물 1.5∼5중량부, SO3 또는 S함유물 0.5∼4중량부, TiO2 또는 Ti함유물 0.1∼2.5중량부, K2O 또는 K함유물 0.1∼1중량부, Na2O 또는 Na함유물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포함된 물질, 시멘트, 고로시멘트, 포틀란트시멘트, 상기 실리카 내지 암석,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2는 상기 물질의 또는 상기 물질 중 둘 이상의 분말, 액체, 슬러리, 나노물, 분쇄물, 저장물, 투입물, 첨가물, 반죽물, 혼합물, 소성물, 소각물, 가압물, 공급물, 주입물, 타설물, 분사물, 수화물, 반응물, 양생물, 고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3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물질, 시멘트 내지 암석, 분말 내지 고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4는 살균되면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물질, 시멘트 내지 암석, 분말 내지 고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8-15는 CaO + H2O → Ca(OH)2; CaO + CO2 → CaCO3; Ca(OH)2 + CO2 → CaCO3 + H2O; MgO + H2O → Mg(OH)2; MgO + CO2 → MgCO3; Mg(OH)2 + CO2 → MgCO3 + H2O; K2O + CO2 → K2CO3; Na2O + CO2 → Na2CO3; CaO + SiO2 → CaSiO3; MgO + SiO2 → MgSiO3; Fe + O2 → FeO; 2Fe + O2 → Fe2O3; FeO + Fe2O3 → Fe3O4; SiO2 + 2NaOH → Na2SiO3 + H2O; CaCO3 + CO2 + H2O → Ca(HCO3)2; MgCO3 + CO2 + H2O → Mg(HCO3)2; Ca(OH)2 + SiO2 → CaSiO3 + H2O; Mg(OH)2 + SiO2 → MgSiO3 + H2O; Ca(OH)2 + SiO2 + H2O → CaOㆍSiO2ㆍ2H2O; Mg(OH)2 + SiO2 + H2O → MgOㆍSiO2ㆍ2H2O; Ca(OH)2 + Al2O3 + H2O → CaOㆍAl2O3ㆍ2H2O; Mg(OH)2 + Al2O3 + H2O → MgOㆍAl2O3ㆍ2H2O; Ca(OH)2 + 2RCOOH → Ca2(RCOO) + 2H2O; Ca(OH)2 + Na2SiO3 + H2O → CaOㆍNa2SiO3ㆍ2H2O; Ca(OH)2 + Na2OㆍnSiO2 + mH2O → CaOㆍnSiO2ㆍmH2O + NaOH; CaO + H2O + COOH → Ca(OH)2ㆍCOOH; MgO + H2O + COOH → Mg(OH)2ㆍCOOH; Ca(OH)2 + SiO2 + H2O + COOH → CaOㆍSiO2ㆍ2H2OㆍCOOH; 2Ca(OH)2 + SiO2 + H2O + 2RCOOH → CaOㆍSiO2ㆍ2H2OㆍCa2(RCOO)ㆍ2H2O; Mg(OH)2 + SiO2 + H2O + COOH → MgOㆍSiO2ㆍ2H2OㆍCOOH; Ca(OH)2 + Al2O3 + H2O + COOH → CaOㆍAl2O3ㆍ2H2OㆍCOOH; Mg(OH)2 + Al2O3 + H2O + COOH → MgOㆍAl2O3ㆍ2H2OㆍCOOH; Ca(OH)2 + Na2SiO3 + H2O + COOH → CaOㆍNa2SiO3ㆍ2H2OㆍCOOH; Ca(OH)2 + Na2OㆍnSiO2 + mH2O + COOH → CaOㆍnSiO2ㆍmH2OㆍCOOH + NaOH; CaO + H2O + COONa → Ca(OH)2ㆍCOONa; MgO + H2O + COONa → Mg(OH)2ㆍCOONa; Ca(OH)2 + SiO2 + H2O + COONa → CaOㆍSiO2ㆍ2H2OㆍCOONa; Mg(OH)2 + SiO2 + H2O + COONa → MgOㆍSiO2ㆍ2H2OㆍCOONa; Ca(OH)2 + Al2O3 + H2O + COONa → CaOㆍAl2O3ㆍ2H2OㆍCOONa; Mg(OH)2 + Al2O3 + H2O + COONa → MgOㆍAl2O3ㆍ2H2OㆍCOONa; Ca(OH)2 + Na2SiO3 + H2O + COONa → CaOㆍNa2SiO3ㆍ2H2OㆍCOONa; Ca(OH)2 + Na2OㆍnSiO2 + mH2O + COONa → CaOㆍnSiO2ㆍmH2OㆍCOONa + NaOH; Ca(OH)2 + SiO2 + H2O + (C2H6OSi)n → CaOㆍSiO2ㆍ2H2Oㆍ(C2H6OSi)n; Mg(OH)2 + SiO2 + H2O + (C2H6OSi)n → MgOㆍSiO2ㆍ2H2Oㆍ(C2H6OSi)n; 상기 탄산화반응, 상기 바이오반응, 상기 재료 14에 기재된 반응, 상기 재료 15에 기재된 반응, 상기 재료 17에 기재된 반응; 중 하나 이상의 반응을 하는, 또는 반응이 발생되는, 또는 반응에 관계되는, 또는 반응을 발생시키는, 또는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겔, 졸, 철, 염, 요소, 성분, 물질, 광미, 광물, 점토, 진흙, 황토, 애쉬, 석분, 수지, 약품, 약물, 약액, 금속, 규산, 재료, 반응물, 물유리, 카올린, 고령토, 폴리머, 미생물, 부산물, 나노물, 시멘트, 실리카, 수화겔, 수산화겔, 규산소다, 실리카흄,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상기 시멘트 내지 암석, 상기 분말 내지 고결물,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나노물 또는 나노제는 나노물, 나노제, 나노재, 나노물질, 나노미터 크기 물질,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가진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중 하나는 a)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반응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되는 기 겔 내지 고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자화 또는 진동되는 상기 겔 내지 고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겔 내지 고결물;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겔 내지 고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8-15의 재료에는 CaO, H2O, Ca(OH)2, CO2, CaCO3, MgO, Mg(OH)2, MgCO3, K2O, K2CO3, Na2O, Na2CO3, SiO2, CaSiO3, MgSiO3, Fe, O2, FeO, Fe2O3, FeO, Fe3O4, NaOH, Na2SiO3, Na2OㆍnSiO2, CaOㆍSiO2ㆍ2H2O, MgOㆍSiO2ㆍ2H2O, CaOㆍAl2O3ㆍ2H2O, MgOㆍAl2O3ㆍ2H2O, CaOㆍNa2SiO3ㆍ2H2O, Na2OㆍnSiO2, CaOㆍnSiO2ㆍmH2O, COOH, COONa, (C2H6OSi)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식에서 ㆍ는 ㆍ, +, 겔, 결합, 연결, 조합, 체결, 반응, 결합겔, 화학결합 등을 나타낸다. 상기 칼슘은 Ca, CaO, 칼슘, 산화칼슘, 칼슘함유물, 칼슘포함물, 칼슘혼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실리카는 Si, SiO2, 실리카, 산화실리카, 실리카함유물, 실리카포함물, 실리카혼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OOH, Na2SiO3, (C2H6OSi)n 등은 a) 수지, 규산, 규산소다, 물유리, 라텍스, 폴리머, 카르복실기, COOH, Na2SiO3, (C2H6OSi)n; b) 이중 하나 이상 함유물, 포함물, 혼합물, 투입물, 반응물, 반응생성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18-16은 a) 상기 재료, 물질, 모래 내지 복합재료, 수(水) 내지 복합물, 촉매 내지 복합물, 약제 내지 복합물, 고무 내지 복합물, 칼슘 내지 복합물, 나노물 내지 복합물, 미생물 내지 복합물, C 내지 복합물, 시멘트 내지 암석, 분말 내지 고결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재료 18-15의 반응이 발생되는 재료; b) 상기 재료 18-15의 반응이 발생되는 상기 재료 내지 고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18-17은 상기 재료 18-15의 반응을 하는 또는 상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석회, 석고, 광미, 광석, 광물, 암석, 질석, 시멘트, 혼화제, 방수제, 방수재, 방수액, 포졸란제, 실리카, 실리카흄, 활성실리카, 천연포졸란, 천연포졸란제, 폴리머, 지오폴리머, 설페이트물질, 칼슘설페이트, 소듐설페이트, 포타슘설페이트, 트라카이트(trachyte), 트라키안데사이트(trachyandecite), 레타이트(latite), 료라이트(rhyolite), 안데사이트ndesite), 데사이트(dacite), 광산침전물,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칼슘알루미네이트, 소듐알루미노실리케이트, 소듐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소듐포타슘실리케이트, 하이드록사이드물질, 칼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9는 재료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19-10, 19-11, 19-12, 19-13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료 19-1은 칼슘,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이중 하나 포함 물질, 산화물질; 중 하나 이상이 수화반응하고, 상기 수화반응의 물질이 실리카와 반응하고, 상기 실리카와의 반응 물질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반응하여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2는 a) 수화반응, 수산화칼슘반응, 수화수산화칼슘반응,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중 하나의 1차 반응을 하고, b) 상기 반응 후에 폴리머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포졸란반응, 포졸란폴리머반응 중 하나의 2차, 또는 3차, 또는 2차와 3차 반응을 하고, c) 상기 반응 후에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3은 물과 CaO가 1차 수화반응을 하고, 상기 반응 후에 수화반응 생성물과 카르복실기 함유물이 2차 폴리머반응을 하고, 상기 반응 후에 수화반응 또는 폴리머반응 생성물과 SiO2 함유물이 3차 포졸란반응을 하고, 상기 반응 후에 물이 함유되는 또는 겔이 포함되는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의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4는 물과 CaO에 의한 수화반응, 수화반응 또는 폴리머반응 생성물과 SiO2 함유물에 의한 포졸란반응 중 하나 이상과 수화반응 생성물과 카르복실기 함유물에 의한 폴리머반응, 폴리머반응 또는 포졸란반응 생성물과 수지에 의한 팽창반응, 폴리머반응 또는 포졸란반응 또는 팽창반응 생성물과 애쉬에 의한 본딩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5는 a) 칼슘반응, 실리카반응, 폴리머반응, 포졸란반응의 복합반응을 하거나, b) 또는 칼슘이 수화반응하고, 상기 수화반응의 물질이 실리카와 반응하고, 상기 실리카와의 반응 물질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반응하여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는 과정 중에 팽창하면서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6은 상기 반응 중 하나 이상에 본딩반응, 발포반응, 팽창반응, 복원반응, 씰링반응, 바인딩반응, 이온교환반응, 강도를 증가시키는 본딩반응, 기포가 발생되는 발포반응, 체적이 증가되는 팽창반응,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충진하는 복원반응, 상기 모토 또는 혼합토 내의 공극을 채움하는 씰링반응, 상기 혼합토의 구성 입자를 결합하는 바인딩반응, 상기 첨가제와 모토에 함유된 이온이 상호 교환되는 이온교환반응, 상기 첨가제에 함유된 Ca 이온과 상기 모토에 함유된 Na 이온이 상호 교환되는 이온교환반응, 하기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반응, 하기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반응, 상기 생물에 의한 탄산화반응, 상기 바이오반응, 상기 재료 14에 기재된 반응, 상기 재료 15에 기재된 반응, 상기 재료 17에 기재된 반응, 상기 재료 18-15에 기재된 반응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7은 상기 본딩반응 내지 이온교환반응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게 하는 것으로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로 구성되고, 하기 K 내지 Fe3O4, CaO 내지 CaOMgO,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8은 상기 1차, 2차, 3차 중 하나 이상의 반응에 의하여 1차 반응 생성물, 2차 반응 생성물, 3차 반응 생성물, 수산화칼슘,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9는 상기 물질, 팽창제,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에 K, K2O, Mg, MgO, SO3, Na, Na2O, Al, Al2O3, BaO, B2O3, Fe, FeO, Fe2O3, Fe3O4; 상기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반응 또는 상기 반응; 상기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반응 또는 상기 반응; 상기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상기 본딩반응 내지 이온교환반응;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10은 상기 물질, 팽창제,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에 a) CaO, CaCO3, Ca(OH)2, CaOMgO 중 하나 이상과, b) b1) 수지, 고무, 폴리머, 라텍스, COO, COOH, COONa, C3H5NO, CH4N2O, CO(NH2)2, H2NCOOR. H2NCOOC2H5, CH6N2O3, (C2H6OSi)n 중 하나 이상, b2) 또는 애쉬, 광미, 광물, 석회, 폐분, 폐유리, 슬래그, 모노머, 폴리머, 올리고머, 포졸란제,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11은 상기 물질, 팽창제, 칼슘, 실리카, 폴리머,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에 a) 규소, 규산, 규석, 실리카, 물유리, 규산소다, 알루미나, 포졸란제, SiO2, Al2O3, NaOH, NaHCO3, NaOnSiO2, Na2SiO3, Na4SiO4, Na2Si2O5 중 하나 이상과, b) b1) 수지, 고무, 폴리머, 라텍스, COO, COOH, COONa, C3H5NO, CH4N2O, CO(NH2)2, H2NCOOR. H2NCOOC2H5, CH6N2O3, (C2H6OSi)n 중 하나 이상, b2) 또는 애쉬, 광미, 광물, 석회, 폐분, 폐유리, 슬래그, 모노머, 폴리머, 올리고머, 포졸란제,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12는 상기 CaO 내지 CaOMgO,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에 K, K2O, Mg, MgO, SO3, Na, Na2O, Al, Al2O3, BaO, B2O3, Fe, FeO, Fe2O3, Fe3O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재료 19-13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CaO 내지 CaOMgO,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애쉬 내지 포졸란제, K 내지 Fe3O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수화반응은 물반응, 수화반응, 물과의 반응, 수화하여 응결하는 반응, 수화하여 경화하는 반응, 수화하여 경화하면서 열을 발생하는 반응, 수화하여 경화하고 열을 발생하고 물을 소비하는 반응,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와 물의 반응,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히드록시기와 수소 이온이 삽입되는 반응, CaO에 히드록시기와 수소 이온이 삽입되는 반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산화칼슘반응은 수산화칼슘반응,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반응,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반응, 물과 반응하여 칼슘과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반응,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열을 발생하는 화학반응,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와 물이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반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화수산화칼슘반응은 수화반응과 수산화칼슘반응이 동시에 발생되거나, 또는 수화반응 후에 수산화칼슘반응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수산화수화칼슘반응은 수산화칼슘반응과 수화반응이 동시에 발생되거나, 또는 수산화칼슘반응 후에 수화반응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머반응은 폴리머반응, 폴리머에 의한 반응, 폴리머와 물의 반응, 폴리머에 의하여 결화되는 반응, 폴리머와 물이 만나서 팽창하는 반응,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의 반응,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경화 반응,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물의 반응,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물에 의한 팽창 반응,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물에 의한 경화 반응,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충진하는 복원 반응,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폴리머가 팽창하여 충진하는 복원 반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졸란반응은 포졸란반응, 포졸란제에 의한 반응, 포졸란제와 물의 반응,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중 하나 이상의 반응,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중 하나 이상과 물의 반응,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의 반응,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물의 반응,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중 하나 이상과 수산화칼슘의 반응,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수산화나트륨의 반응,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는 반응,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는 반응,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는 반응,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충진하는 복원 반응,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포졸란제가 팽창하여 또는 상기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로 충진하는 복원 반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폴리머포졸란반응은 폴리머반응과 포졸란반응이 동시에 발생되거나, 또는 폴리머반응 후에 포졸란반응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포졸란폴리머반응은 포졸란반응과 폴리머반응이 동시에 발생되거나, 또는 포졸란반응 후에 폴리머반응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는 a)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칼슘과 실리카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겔을 포함하는 반응물,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메워 복원하는 칼슘실리케이트하이드레이트; b)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c)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는 a)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칼슘과 실리카와 폴리머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폴리머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폴리머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겔을 포함하는 반응물,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메워 복원하는 칼슘실리케이트폴리머하이드레이트; b)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c)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는 a)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칼슘과 실리카와 포졸란제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포졸란제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칼슘과 실리카와 포졸란제와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겔을 포함하는 반응물, 상기 혼합토로 조성된 라이너에 형성되는 균열을 메워 복원하는 칼슘실리케이트포졸란하이드레이트; b)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반응물; c) 상기 CaO 내지 CaOMgO 중 하나 이상과 상기 규소 내지 Na2Si2O5, 수지 내지 (C2H6OSi)n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애쉬 내지 포졸란제 중 하나 이상과 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면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물질, 재료, 자재 등은, 또는 본 발명의 물질, 재료, 자재 등에 의하여 팽창, 확장, 발포, 열발생, 에너지발생, 체적증가, 밀도감소, 단위중량감소, 측압발생, 팽창압발생, 주변토에 대한 측압발생, 주변지반에 대한 측압발생, 수화반응, 수산화칼슘반응, 수화수산화칼슘반응, 수산화수화칼슘반응, 폴리머반응, 포졸란반응, 폴리머포졸란반응, 포졸란폴리머반응, 1차 반응, 2차,반응, 3차 반응, 상기 팽창 내지 팽창압발생 등의 반응, 상기 반응, 상기 각종 반응, 상기 본딩반응 내지 이온교환반응, 상기 팽창 내지 이온교환반응 등의 기작, 상기 팽창 내지 이온교환반응 등의 메카니즘 등이 조성, 형성, 생성, 발생, 시작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재료 20은 a) CaO + H2O → Ca(OH)2의 수화반응이 포함되는 수화반응제, 2Na2SiO3 + H2O → Na2Si2O5 + 2NaOH의 수화고결반응이 포함되는 수화고결제, Al2O3의 알루미나가 포함된 실리카제, TiO2 포함의 촉매제, H2O에 의하여 졸화 또는 겔화가 활성화되는 졸겔제, SiO2가 포함되는 흡착성 광물의 포집제, Mg(OH)2 + CO2 → Mg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Fe 산화반응이 형성되는 부산물제, 미생물이 분해하여 개체수가 증가되는 개체증식제; b) 상기 수화반응제 내지 개체증식제 중 둘 이상의 복합제;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화반응제 내지 복합제; d) 상기 이용에 의하여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타설성, 다짐성, 인젝션성, 그라우팅성,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향상되는 상기 수화반응제 내지 복합제; e) 상기 수화반응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내지 19;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화반응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자재, 재료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수화반응 발생, 수화고결반응 발생, Al2O3의 알루미나 반응 발생, TiO2의 광촉매반응 발생, 이의 광촉매반응에 의한 상기 건자재 내의 오염 살균, 졸화 또는 겔화, 상기 겔화에 의한 상기 건자재의 팽창 또는 점착성 증가, 오염 흡착, 오염 포집, 탄산화반응 발생, 상기 탄산화반응에 의한 주변 CO2 흡수 또는 상기 건자재의 강도 증가, 산화반응 발생, 상기 산화반응에 의한 상기 건자재의 색상변화 또는 부피팽창, 미생물 분해에 의한 개체수 증가, 상기 개체수 증가에 의한 상기 건자재의 공극 또는 균열 메움 중 하나 이상이 되고,
상기 재료 21은 a) 정화제 함유 에코제, α×10^(-9)m 크기 입자 또는 나노금속 함유 나노제, 종자 함유 그린제, 황토 함유 황토제, 탄소 함유 카본제, 섬유 함유 보강제, 화이버 함유 화이버제, 본드 함유 본드제, 결합 기능 보유 바인더, 고화 기능 보유 고화제, 식물 또는 피톤치드 함유 피톤제, 식물 또는 미생물 함유 바이오제, 수지 함유 스마트제, 부산물 함유 재활용제, 진동기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배양기에서 배양된 미생물, 내진기능을 가진 내진제; b) 상기 에코제 내지 내진제 중 둘 이상의 복합제;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에코제 내지 복합제; d) 상기 에코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내지 2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에코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자재, 재료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오염 정화, 나노 입자 포함에 의한 나노반응 발생 또는 상기 반응 향상, 종자에 의한 녹화,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탄소에 의한 보강, 섬유에 의한 보강, 화이버에 의한 보강, 본드에 의한 접착성 향상, 바인더에 의한 결합 향상, 고화제에 의한 고화 발생, 식물에 의한 녹화, 피톤치드에 의한 오염 살균, 미생물에 의한 개체수 증식, 수지에 의한 경화, 부산물 재활용, 촉진 배양된 미생물 분해, 내진기능 발현 중 하나 이상이 되고,
상기 재료 22는 a) 숯 함유의 에코재, 나노철 함유의 나노재, 톱밥 함유의 그린재, 철분 함유의 황토재, 나노탄소 함유의 카본재, 지오폴리머 함유의 내진재, 나노화이버 함유의 화이버재, 식물 또는 피톤치드 함유의 피톤재, 식물 또는 미생물 함유의 바이오재, 라텍스 함유의 스마트재; b) 상기 에코재 내지 스마트재 중 둘 이상의 복합재;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에코재 내지 복합제; d) 상기 에코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재료 1 내지 21;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에코재 내지 복합재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자재, 재료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숯에 의함 오염 포집, 나노철에 의한 산화반응 또는 상기 반응 촉진, 톱밥의 목분 함유, 철분에 의한 산화반응 또는 상기 반응 촉진,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나노탄소에 의한 보강, 지오폴리머에 의한 강도 향상, 내진재에 의한 내진기능 방생, 나노화이버에 의한 미세균열 보강기능 향상, 화이버재에 의한 보강기능 향상, 식물에 의한 녹화, 피톤치드에 의한 오염 살균, 미생물에 의한 개체 증식, 라텍스에 의한 강도 보강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재료 23은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탈(ready mixed mortar),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아스콘(asphalt concrete), 시멘콘(cement concrete),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공사재료, 건설재료, 건축재료, 토목재료, 환경재료, 조경재료;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수(水) 내지 복합물, 재료 1 내지 22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24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재료,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된 재료,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상기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재료, 자재에 이용되는 재료, 자재를 구성하는 재료, 원료가 이용되는 재료, 형틀에 투입되는 재료, 지중에 투입되는 재료, 현장에서 채취된 재료, 공장에서 제조된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25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재료,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26은 입경이 1∼100 ㎛의 저입경, ㎜의 중입경, ㎝의 고입경, k62) 비중이 0.1∼0.5의 저비중, 0.51∼1.0의 중저비중, 1.1∼1.5의 중비중, 1.51∼2.0의 중고비중, 2.1∼3.0의 고비중, k63) 분말도가 100∼1,000㎠/g의 저분말도, 이의 이하인 초저분말도, 1,001∼2,000㎠/g의 중저분말도, 2,001∼5,000㎠/g의 중분말도, 5,001∼7,000㎠/g의 중고분말도, 7,001∼10,000㎠/g의 고분말도, 이의 이상인 초고분말도 중 하나인 재료 또는 자재이다. 상기 재료 27은 1∼50kg/㎠의 저압, 이의 이하인 초저압, 51∼100kg/㎠의 중저압, 101∼200kg/㎠의 중압, 201∼300kg/㎠의 중고압, 301∼600kg/㎠m의 고압, 이의 이상인 초고압 중 하나 압력으로 공급 또는 타설되는 재료 또는 자재이다.
상기 재료 28은 a)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중 하나가 1∼50kg/㎠의 저강도, 이의 이하인 초저강도, 51∼100kg/㎠의 중저강도, 101∼150kg/㎠의 중강도, 151∼200kg/㎠의 중고강도, 201∼400kg/㎠m의 고강도, 이의 이상인 초고강도, b) 밀도가 0.1∼0.5t/㎥의 저밀도, 이의 이하인 초저밀도, 0.51∼1.0t/㎥의 중저밀도, 1.1∼1.5t/㎥의 중밀도, 1.51∼2.0t/㎥의 중고밀도, 2.1∼3.0t/㎥의 고밀도, 이의 이상인 초고밀도, c) 투수계수가 10^(-15∼-10)㎝/sec의 저투수성, 이의 이하인 초저투수성, 10^(-9∼-6)㎝/sec의 중저투수성, 10^(-5∼-3)㎝/sec의 중투수성, 10^(-2∼+1)㎝/sec의 중고투수성, 10^(+2∼+5)㎝/sec의 고투수성, 이의 이상인 초고투수성 중 하나인 재료 또는 자재이다.
상기 재료 29는 비중 0.7∼2.0, 함수율 20∼40%, 수분 흡수성 25∼40%, 마모감량 0∼20%, 중금속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유해물질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VOC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BTEX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PAHs(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총 함유량 검출안됨 또는 0.1% 이하, 융점 또는 용융온도 130∼1,300℃, 내충격성 0∼1%, 충격저항성 99∼100%, 충격에 의한 파괴율 0∼1%, 마모시험 후 충격흡수성 60∼95%, 가해진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성 60∼95%, 온도안정성 55∼65℃, 일정거리 이격되어 100℃ 온도 쏘임에 대한 자신의 상승 온도 55∼65℃, 토양과 동일한 온도안정성, 화학물질 함유 자재에 비하여 온도 상승이 적은 온도안정성, (100 - (최종농도/초기농도)×100)%로 산정되는 악취 탈취율 30∼100%, (100 - (최종농도/초기농도)×100)%로 산정되는 오염 정화율 30∼100%; 태양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화학물질 함유 자재에 비하여 적음, 느림, 5∼15℃ 낮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재료 또는 자재이다.
상기 재료 30은 상기 반응, 탄산화반응, 바이오반응, 재료 14에 기재된 반응, 재료 15에 기재된 반응, 재료 17에 기재된 반응, 재료 18-15에 기재된 반응, 본딩반응 내지 이온교환반응, 수화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상기 재료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상기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Cell 또는 미생물이 포함되는 상기 반응 내지 수산화수화칼슘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이 발현되는 재료,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재료 1 내지 29 중 하나이다.
상기 재료 31은 a) 상기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재료 14, 재료 15, 재료 16, 재료 17, 재료 18, 재료 19, 재료 20, 재료 21, 재료 22, 재료 23, 재료 24, 재료 25, 재료 26, 재료 27, 재료 28, 재료 29, 재료 30 중 둘 이상이 조합되거나, b) 또는 조합되면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재료이다. 상기 조합은 조합, 혼합, 혼재, 포함, 함유, 배합, 섞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몰탈은 a) 몰탈, 건조몰탈, 습윤몰탈, 황토몰탈, 피톤몰탈, 석회몰탈, 석고몰탈, 수지몰탈, 에코몰탈, 에어몰탈, 내진몰탈, 방진몰탈, 제진몰탈, 기포몰탈, 발포몰탈, 팽창몰탈, 경량(輕量)몰탈, 중량(中量)몰탈, 중량(重量)몰탈, 기포몰탈, 발포몰탈, 경량몰탈, 시멘트몰탈, 화이버몰탈, 바이오몰탈, 경량기포몰탈, 아스팔트몰탈, 피톤치드몰탈, 레미탈(ready mixed mortar), 혼화제가 포함되는 몰탈, 방수제가 포함되는 몰탈,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 모래와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포대에 담겨진 건조몰탈, 포대에 담겨진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 포대에 담겨져 제품화된 몰탈, 진동 처리된 몰탈, 가진 처리된 몰탈, 자화 처리된 몰탈, 자화진동 처리된 몰탈; b) 시멘트 30∼43중량부와 SiO2 35∼45 중량부와 분산제 0.05∼0.1 중량부의 혼합물; c) 시멘트 35∼60 중량%와 잔골재 28∼55 중량%와 부산물 5∼20 중량%와 탄산칼슘 1.98∼11%와 유동화제 0.01∼2 중량%와 점걸제 0.01∼2 중량%의 혼합물; d) 결합재 25∼45 중량부와 모래 30∼75 중량부와 슬래그 1∼5 중량부와 소포제 0.02∼0.2 중량부와 유동화제 0.1∼2 중량부와 부산물 1∼10 중량부와 혼화제 0.1∼1 중량부의 혼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몰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몰탈;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몰탈; e)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몰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중 하나는 a)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몰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멘트는 a) 시멘트, 황토시멘트, 피톤시멘트, 석회시멘트, 석고시멘트, 수지시멘트, 에코시멘트, 내진시멘트, 방진시멘트, 제진시멘트, 기포시멘트, 발포시멘트, 팽창시멘트, 경량(輕量)시멘트, 중량(中量)시멘트, 중량(重量)시멘트, 석회시멘트, 화이버시멘트, 바이오시멘트, 경량기포시멘트, 아스팔트시멘트, 피톤치드시멘트, 기경성시멘트, 마그네시아시멘트, 수경성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고로시멘트, 실리카시멘트, 슬래그시멘트, 플라이애시시멘트, 팽창성시멘트, 착색시멘트, 내산시멘트, 내황산시멘트, 중용열시멘트, 조강시멘트, 저열시멘트, 백색시멘트, 급결시멘트, 조강시멘트, 백색시멘트, 한중시멘트, 내산시멘트, 포틀란트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매트시멘트, 시트시멘트, 포대에 포장된 시멘트, 탱크에 담겨진 시멘트, 혼화제가 포함되는 시멘트, 방수제가 포함되는 시맨트, 밀도 2.5∼3.2g/cm3인 시멘트, 분말도 3,000∼3,400cm2/g인 시멘트, 주성분이 CaO, SiO2, Al2O3인 시멘트; b)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CaO 50∼70중량부, SiO2 10∼30중량부, Al2O3 3∼10중량부, MgO 1∼4중량부, Fe2O3 1.5∼5중량부, SO3 0.5∼4중량부, TiO2 0.1∼2.5중량부, K2O 0.1∼1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면서 분말도 2500∼5000cm^2/g인 시멘트;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시멘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중 하나는 a)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시멘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알루미나시멘트는 알루미나시멘트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Al2O3 40∼55중량부, CaO 30∼45중량부, SiO2 3∼10중량부, MgO 0.5∼2중량부, Fe2O3 0.5∼3중량부, SO3 0.1∼2중량부, TiO2 0.01∼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시멘트이다.
상기 레미탈은 레미탈(ready mixed mortar), 물이 없는 몰탈, 수분이 없는 몰탈, 포장에 담긴 몰탈, 포대에 담긴 몰탈, 모래와 시멘트가 포함되는 몰탈, 모래와 시멘트가 포함되는 재료, 모래와 시멘트가 포함되는 레미탈, 모래와 시멘트와 혼화제가 포함되는 레미탈, 정화제 또는 반응제가 포함되는 레미탈인 에코탈, 황토가 포함되는 레미탈인 황토탈, 피톤치드가 포함되는 레미탈인 피톤탈, 정화기능을 가진 레미탈인 정화탈, 살균기능을 가진 레미탈인 살균탈 중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은 레미콘, 혼합레미콘, 황토레미콘, 피톤레미콘, 석회레미콘, 석고레미콘, 수지레미콘, 에코레미콘, 내진레미콘, 방진레미콘, 제진레미콘, 기포레미콘, 발포레미콘, 팽창레미콘, 경량(輕量)레미콘, 중량(中量)레미콘, 중량(重量)레미콘, 시멘트레미콘, 화이버레미콘, 바이오레미콘, 경량기포레미콘, 아스팔트레미콘, 피톤치드레미콘, 레미콘 콘크리트, 콘크리트 레미콘, 혼화제가 포함되는 레미콘, 방수제가 포함되는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된 레미콘, 진동 처리된 레미콘, 가진 처리된 레미콘, 자화 처리된 레미콘, 자화진동 처리된 레미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레미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레미콘,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레미콘,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레미콘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중 하나는 a)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레미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아스콘은 아스콘, 황토아스콘, 피톤아스콘, 석회아스콘, 석고아스콘, 수지아스콘, 에코아스콘, 내진아스콘, 방진아스콘, 제진아스콘, 기포아스콘, 발포아스콘, 팽창아스콘, 경량(輕量)아스콘, 중량(中量)아스콘, 중량(重量)아스콘, 시멘트아스콘, 화이버아스콘, 바이오아스콘, 경량기포아스콘, 아스팔트아스콘, 피톤치드아스콘, 아스팔트콘크리트, 석분 함유 아스콘, 혼화제가 포함되는 아스콘, 방수제가 포함되는 아스콘, 포장재로 사용되는 아스콘, 진동 처리된 아스콘, 가진 처리된 아스콘, 자화 처리된 아스콘, 자화진동 처리된 아스콘, 아스팔트 20∼60중량부와 골재 10∼50중량부와 석분 10∼50중량부의 혼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아스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아스콘,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아스콘,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아스콘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중 하나는 a)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아스콘 내지 복합아스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아스팔트는 a) 역청, 피치, 아스팔트, 원유 또는 석유에서 휘발성 유분이 증발되고 남은 잔류물; b) 또는 수소, 탄소, 질소, 황, 산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아스팔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1, 콘크리트 2, 콘크리트 3, 콘크리트 4, 콘크리트 5, 콘크리트 6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콘크리트 1은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흙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섬유콘크리트, 혼합콘크리트, 황토콘크리트, 살균콘크리트, 소독콘크리트, 댐핑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 서중콘크리트, 편백콘크리트, 피톤콘크리트, 석회콘크리트, 석고콘크리트, 수지콘크리트, 에코콘크리트, 내진콘크리트, 방진콘크리트, 제진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발포콘크리트, 팽창콘크리트, 유황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카본콘크리트, 경량(輕量)콘크리트, 중량(中量)콘크리트, 중량(重量)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화이버콘크리트, 바이오콘크리트, 경량기포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피톤치드콘크리트, 라텍스콘크리트, 그래핀콘크리트, 마사토콘크리트, 폴리머콘크리트, 지오폴리머콘크리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LMC(latex modified concrete), SRC(steel reinforced concrete), CRC(carbon reinforced concrete), RC(reinforced concrete), CC(carbon concrete), GC(graphene concrete), PC(precast concrete), PS(prestressed, poststressed), PSC(prestressed concrete, poststressed concrete),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혼화제가 포함되는 콘크리트, 방수제가 포함되는 콘크리트, 공장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현장의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물질이 힘유된 콘크리트, 이중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콘크리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크리트 2는 a) 시멘트, 아스팔트, 흙, 섬유, 혼합재, 황토, 살균제, 소독제, 댐핑재, 편백나무, 피톤치드, 석회, 석고, 수지, 자연재인 에코재, 내진재, 방진재, 제진재, 기포, 발포제, 팽창제, 유황, 무근, 철근, 카본, 경량제, 중량제, 화이버, 미생물 함유 물질인 바이오제, 경량제, 라텍스, 그래핀, 마사토, 폴리머, 지오폴리머, 매트, 시트, 혼화제, 방수제, 이중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b) 상기 시멘트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시멘콘, 아스콘, 레미콘, 에코콘, 황토콘, 수지콘, 피톤콘, 내진콘, 편백콘, 강철콘, 방수콘, 시트콘, 매트콘, 보강콘, 보수콘, 섬유콘, 기포콘, 팽창콘, 경량콘, 중량콘, 살균콘, 소독콘, 나노콘, 라텍스콘, 바이오콘, 스마트콘, 화이버콘, 폴리머콘, 지오폴리머콘;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중 하나는 a)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콘크리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매트시멘트, 시트시멘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중 하나는 a) 매트시멘트, 시트시멘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매트콘크리트인 매트콘, 시트콘크리트인 시트콘, 매트콘크리트인 콘매트, 시트콘크리트인 콘시트; b) 또는 시멘트, 몰탈, 종자, 씨앗, 황토, 수지, 애쉬, 점토, 광물, 부산물, 미생물,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플라스틱, 고분자재, 콘크리트; 이중 하나의 양생물, 경화물, 고결물, 응고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시트, 매트, 시트형 매트, 매트형 시트,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c) 또는 상기 시멘트 내지 응고물 중 하나가 시트, 매트, 섬유, 토목섬유, 직포, 부직포, 2겹 이상의 상기 시트 내지 부직포, 상기 시트 내지 부직포 중 둘 이상의 사이 중 하나에 부착 또는 투입된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d) 물이 분사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포설 후에 물이 분사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상기 분사된 물에 의하여 경화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e) 차수용 또는 방수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보수용 또는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보호용 또는 식생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매트시멘트 내지 콘시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흙콘크리트 내지 지오폴리머콘크리트 중 하나는 흙, 소일, 섬유, 혼합, 황토, 방역, 살균, 소독, 댐핑, 한중, 서중, 편백나무, 피톤치드, 석회, 석고, 수지, 친환경, 에코인 친환경, 친환경인 에코, 내진, 방진, 제진, 기포, 발포, 팽창, 유황, 무근, 철근, 카본, 경량(輕量), 중량(中量), 중량(重量), 시멘트, 화이버, 바이오, 미생물, 바이오인 미생물, 미생물인 바이오, 경량기포, 아스팔트, 라텍스, 그래핀, 마사토, 폴리머, 지오폴리머 중 하나의 콘크리트, 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또는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콘크리트 3은 a) 자화 처리된 피톤치드, 자화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피톤치드, 자화되고 진동되고 오존처리되고 살균처리된 피톤치드, 자화되고 진동되고 오존처리되고 살균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피톤치드; b) 자화 처리된 후에 오존, 음이온,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피톤치드; c) 자화 처리된 후에 오존, 음이온,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물질이 함유되는 피톤치드; d) 자화되고 진동되고 오존처리되고 살균처리된 수(水), 액(液), 유(油), 졸(sol), 겔(gel), 모래, 자갈, 골재, 철근, 수지, 기포, 황토, 시멘트, 보강재, 화이버, 혼화제, 정화제, 살균제, 방청제, 내진제, 나노제, 바이오제, 피톤치드; e) 자화 처리된 후에 오존, 음이온,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콘크리트 4는 콘크리트 타설구에서 타설된 몰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레미콘,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가진기 또는 진동튜브 또는 진동케이스가 구비된 타설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돌기 구비의 가진기 또는 진동튜브 또는 진동케이스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자바라 구비의 가진기 또는 진동튜브 또는 진동케이스가 구비된 타설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구비된 가진기 또는 진동튜브 또는 진동케이스로 구성된 복합체에서 상기 타설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 중공의 상기 타설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크리트 5는 진동기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하는 타설구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하는 타설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하는 타설구인 진동기에서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하는 타설구인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크리트 6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살균, 멸균, 제균, 항균, 소독, 제독, 해독, 청정, 정화, 다짐, 유동화, 연성화, 액상화, 조밀화, 슬러리화, 슬럼프화, 슬럼프치증가, 공기배출, 가스배출, 반응촉진, 수화반응촉진, 포졸란반응촉진, 양생촉진, 강도증진, 고밀도화, 고강도화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페이스트는 슬러리, 페이스트, 황토페이스트, 석회페이스트, 석고페이스트, 수지페이스트, 에코페이스트, 내진페이스트, 방진페이스트, 제진페이스트, 기포페이스트, 발포페이스트, 팽창페이스트, 경량(輕量)페이스트, 중량(中量)페이스트, 중량(重量)페이스트, 시멘트페이스트, 화이버페이스트, 바이오페이스트, 경량기포페이스트, 아스팔트페이스트, 피톤치드페이스트, 물과 석회의 혼합물, 물과 시멘트의 혼합물, 혼화제가 포함되는 페이스트, 방수제가 포함되는 페이스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페이스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페이스트,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페이스트,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페이스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중 하나는 a)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페이스트 내지 복합페이스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플라스터는 a) 플라스터, 황토플라스터, 석회플라스터, 석고플라스터, 수지플라스터, 에코플라스터, 내진플라스터, 방진플라스터, 제진플라스터, 기포플라스터, 발포플라스터, 팽창플라스터, 경량(輕量)플라스터, 중량(中量)플라스터, 중량(重量)플라스터, 시멘트플라스터, 화이버플라스터, 바이오플라스터, 경량기포플라스터, 아스팔트플라스터, 피톤치드플라스터, 돌로마이트플라스터, 혼화제가 포함되는 플라스터, 방수제가 포함되는 플라스터, 칼슘이 함유된 광석의 소성물이 함유된 플라스터, 마그네시아가 함유된 광석의 소성물이 함유된 플라스터; b) 또는 석고, 석회, 물, 모래, 섬유 중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플라스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플라스터,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플라스터,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플라스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중 하나는 a)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플라스터 내지 복합플라스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화제는 혼화제 1, 혼화제 2, 혼화제 3, 혼화제 4, 혼화제 5, 혼화제 6 중의 하나 이상이다. 상기 혼화제 1은 약제, 약품, 약물, 안료, 유약, 황산, 염산, 질산, 탄소제, 나노제, 활성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반응제, 응집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제균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제, 발수제, 가소제, 감수제, 소포제, 착색제, 지연제, 분산제, 첨가제, 고화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훈증제, 코팅제, 도장제, 도색제, 방청제, 방부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산성제, 알카리제, 유동화제, 공기연행제, 수화조절제, 응결촉진제, AE제(air entraining agent), 경화촉진제, 포촐라나(pozzolana), 플라이애시(fly ash), 계면활성제, 이산화탄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영가금속, 영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차단제; 상기 약제 내지 자외선차단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혼화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중 하나는 a)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된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공사 또는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약제 내지 복합혼화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화제 2는 몰탈에 투입되는 혼화제, 시멘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레미콘에 투입되는 혼화제, 아스콘에 투입되는 혼화제,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콘크리트에 1중량% 이하로 투입되는 혼화제,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의 3중량% 이하로 투입되는 혼화제,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물의 5중량% 이하로 투입되는 혼화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화제 3은 콘크리트에 투입되어 반응, 응집, 청정, 정화, 폭기, 방역, 살균, 소독, 항균, 제균, 발포, 팽창, 지수, 방수, 발수, 가소, 감수, 소포, 착색, 응결지연, 차열, 내진, 방부, 강도, 강성, 차수성, 방수성, 유동화, 공기연행, 수화조절, 응결촉진, 산화방지, 자외선안정, 자외선차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는 혼화제이다.
상기 혼화제 4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로 처리된 혼화제; b) 또는 자화되고, 상기 자화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진동 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된 혼화제; c) 또는 자화기에 의하여 자화, 진동, 오존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혼화제; d) 가진기에 의하여 진동, 자화, 음이온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혼화제; e)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 음이온, 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혼화제; f) 살균기에 의하여 자화와 진동과 오존으로 처리된 혼화제; g)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혼화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화제 5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로 처리된 후에 수지, 미생물, 부산물, 살균제, 피톤치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가진 나노물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혼화제이다.
상기 혼화제 6은 a) 콘크리트에 혼입되는 혼화제, 콘크리트에 투입되어 콘크리트의 반응을 조절하는 혼화제,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유동화기, 피니셔,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마감, 진동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콘크리트에 함유된 혼화제, c)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 가닥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형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비계의 발판이 이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방수제가 혼입된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혼화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탄소제는 C, CO2, 탄소, 탄소성분 중 하나가 포함된 물질이다. 상기 나노제는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 10-9m 크기의 물질, 10-9±2m 크기의 물질, 상기 물질이 함유된 다른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수제는 방수제 1, 방수제 2, 방수제 3, 방수제 4, 방수제 5, 방수제 6, 방수제 7, 방수제 8, 방수제 9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방수제 1은 a) 방수제, 방수액, 방수재, 분말 방수제, 액상 방수제, 시트 방수재, 매트 방수재, 몰탈 방수제, 시멘트 방수제, 아스팔트 방수제, 구체 방수제, 콘크리트 구체 방수제, 굳기 이전의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수제; c) 자화기에 의하여 자화, 진동, 오존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방수제; d)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 자화, 음이온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방수제; e)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 음이온, 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방수제; f) 살균기에 의하여 자화와 진동과 오존으로 처리된 방수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빙수제 2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로 처리된 후에 수지, 미생물, 부산물, 살균제, 피톤치드,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가진 나노물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방수제이다. 상기 방수제 3은 a)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유동화기, 피니셔,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마감, 진동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콘크리트에 함유된 방수제, c)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이 배근된 형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방수제, 형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비계의 발판이 이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혼화제가 혼입된 콘크리트에 투입되는 방수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수제 4는 a) 막, 시트, 매트, 보드, 수지, 고분자, 차수막, PVC(poly vinyl chloride), PE(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E), HDPE(high density PE), EVA(ethylene vinyl acetate), 고분자막, 플라스틱, 점토, 광물, 분말, 폴리머, 혼합토,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다짐토, 미생물, 생물막, 미생물씰, 바이오겔, 바이오씰, 바이오액, 바이오필름, 씰링재, 팽창재, 포졸란재, 방수액, 방수제, 방수재, 몰탈,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토사와 수지의 혼합토, 토사와 물질의 혼합토, 토사와 차수재의 혼합토, 토사가 다짐된 다짐토, 혼합토가 다짐된 다짐토; b) 상기 막 내지 다짐토 중 둘 이상의 복합층, 상기 막 내지 다짐토 중 둘 이상의 복합재; c) 1층 또는 2층 또는 3층 이상의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의 방수제,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의 방수재,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방수제,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방수재,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형성되는 방수제, 상기 막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형성되는 방수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미생물, 생물막, 미생물씰, 바이오겔, 바이오씰, 바이오액, 바이오필름 중 하나는 a) 생물, 미생물, 바이오(bio); b) 이중 하나의 막(membrane), 씰(seal), 겔(gel), 젤, 액, 액체, 점액, 필름(film), 씰링, 씰링재; 중 하나이다.
상기 방수제 5는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는 방수제,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면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수제,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는 구체방수제,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는 콘크리트 구체방수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수제 6은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면서 하기 구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1개 이상은 자화, 음이온, 방전, 자기장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고, 다른 1개 이상은 오존, 진동, 가진, 살균, 초음파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는 방수제이다. 상기 방수제 7은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면서 하기 구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1개 이상은 진동가진기에 의하여 자화, 음이온, 방전, 자기장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고, 다른 1개 이상은 자화방전기에 의하여 오존, 진동, 가진, 살균, 초음파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는 방수제이다. 상기 구성요소는 하기 구성물 1 내지 18 중에서 구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된다. 이의 예를 들면 구성물 1의 경우 구성요소는 고무, 석회, 시멘트, 규사, 석영, 폴리머, 탈크(talc), 역청제, 라텍스, 아크릴, 우레탄, 부산물, 미생물, 스테아린산아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방수제 8은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면서 하기 구성물에 자화물, 음이온물, 방전물, 자기장물 중 하나 이상과 오존물, 진동물, 가진물, 살균물, 초음파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방수제이다. 상기 방수제 9는 하기 구성물이 포함되면서 하기 구성물에 진동가진기에서 생성된 자화물, 음이온물, 방전물, 자기장물 중 하나 이상과 자화방전기에서 발생된 오존물, 진동물, 가진물, 살균물, 초음파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방수제이다. 상기 방수제에서 처리, 함유 등의 시점 또는 시기는 방수제의 교반시, 배합시, 제조시, 생산시, 운반시, 이동시, 물과 혼합시, 레미콘에 투입시, 콘크리트에 투입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구성물은 구성물 1, 구성물 2, 구성물 3, 구성물 4, 구성물 5, 구성물 6, 구성물 7, 구성물 8, 구성물 9, 구성물 10, 구성물 11, 구성물 12, 구성물 13, 구성물 14, 구성물 15, 구성물 16, 구성물 17, 구성물 18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구성물 1은 고무, 석회, 시멘트, 규사, 석영, 폴리머, 탈크(talc), 역청제, 라텍스, 아크릴, 우레탄, 부산물, 미생물,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2는 수지, 타르, 규산, 석분, 철분, 폐분, 광미, 명반(明礬), 지방산, 물유리, 분산제, 에멀션, 소석회, 파라핀, 미생물, 아스팔트, 규산소다, 유동화제, 염화칼슘, 규산나트륨, 염화암모늄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3은 석회, 규사, 석영, 폐분, 시멘트, 지연제, 역청제, 라텍스, 폴리머, 폐수지, 슬러지, 미생물, 유동화제, 타르타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본산계유동화제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4는 석고, 타르, 역청, 철분, 수지, 에폭시, 규조토, 미생물, 라텍스, 실리카퓸, 활성실리카, 하이드로겔, 계면활성제, 벤토나이트, 스테아린산아연, 나트륨라우릴황산염, 소듐벤조에이트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5는 수지, 고무, 요소, 분진, 탄산염, 발수제, 팽윤제, 포졸란제,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플라이애시,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미생물이 함유된 바이오제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6은 타르, 푸란, 미생물, 감수제, 무기염, 실리카흄, 분말수지, 메타카올린, 벤토나이트,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지방산계금속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7은 탄닌, 애시, 역청, 실리콘, 슬래그, 우레탄, 미생물, 라텍스, 분말수지, 네오프렌, 실리카흄, 양극성무기염, 지방산계금속염, 리그닌설폰산염, 메타카올린, 미생물이 함유된 바이오제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8은 물, 수지, 우레아, 규조토, 미생물, 실리콘, 실리카흄, 올래인산, 계면활성제, 수용성라텍스, 스테아린산아마이드, 술포네이티드나프탈렌, 나프티온산나트륨, 암모니아수용액, 나트륨라우릴황산염, 소듐벤토나이트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9는 수지, 실란, 타르, 팽창제, 아크릴, 실리카, 바이오제, 포졸란제, 플라이애시, 실리카흄, 폴리에스테르, 스테아린산아연,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에칠렌초산비닐, 물과 반응하는 수화제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0은 물, 수지, 실란, 왁스, 파라핀, 팔라듐, 미생물, 멜라민레진, 폴리부타디엔, 디카르복시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멜라민설폰산염, 칼슘나이트라이트(calcium nitri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푸탈릭레진바니시(phthalic resin varnish), 카르복시산(oxalic acid)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1은 물, 수지, 고무, 폐분, 실란, 올레산, 실리카, 팽창제, 소포제, 바이오제, 오산화인, 유동화제, 부틸셀루솔브, 모노에타놀아민, 폴리아세트, 폴리비닐알콜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2는 물, 수지, 광미, 미생물, 지방산, 팽창제, 실리카, 유동화제, 포졸란제, 암모늄염, 금속수산화물, 알코올아민, 셀룰로오스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3은 수지, 라텍스, 실리콘, 증류수, 바이오제, 지오폴리머, 수산화칼슘,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염, 암모니아수, 황산알루미늄, 아크릴공중합에멀젼,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니트로셀룰로오스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4는 회분, 철분, 석분, 수지, 바이오제, 제올라이트, 시클로헥실아민, 아질산염, 알콕시실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실리콘에멀젼, 소듐실리케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메타크릴산(ethylene methacrylic acid),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지르코늄아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산에스테르(sorbitan mono oleic ester)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5는 수지, 미생물, 발포제, 정제수, 실리카, 소포제, 규산소다, 폴리우레탄, 올레인산아마이드, 디알킬설포서크시네이트, 메라민슬폰산알데히드, 콜로이달폴리아크릴레이트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6은 애시, 수지, 규사, 시멘트, 수용액, 부산물, 에멀젼, 탄산칼슘, 실리카흄, 바이오제, 유동화제, 공기연행제, 금속수산화물, 스테아르산염, 수경성화합물, 계면활성제, 스테아린산아연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7은 수지, 폐분, 멜라민, 시멘트, 미생물, 소포제, 방부제, 아세트산, 무수석고, 탄산리튬, 규산소다, 에스테르염, 나프탈렌, 탄산리튬, 아크릴계모노머, 계면활성제, 암모니아수, 분산안정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물 18은 상기 구성물 1 내지 8 중 하나와 상기 구성물 9 내지 17 중 하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넷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황토는 a) 황토, 피톤황토, 규소 함유 황토, 칼슘 함유 황토, 철분 함유 황토, 수지 함유 황토, 미생물 함유 황토, 돌가루 함유 황토, 한약재 함유 황토, 광촉매 함유 황토, 내진재 함유 황토, 포졸란제 함유 황토, 피톤치드 함유 황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황토; b) 입자 크기가 0.005mm 이하 크기의 입자는 10% 이하이다. 0.02mm 이상 크기의 입자는 10% 이하인 황토; c) 자신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45∼65중량부, CaO 3∼18중량부, Al2O3 5∼14중량부, MgO 1∼7중량부, Fe2O3 1∼5중량부, FeO 0.5∼1.7중량부, CaCO3 0.1∼1.5중량부, TiO2 0.01∼1.3중량부, MnO 0.01∼1.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된 황토; d) 상기 황토 중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황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톤몰탈, 피톤시멘트, 피톤레미콘, 피톤아스콘, 피톤콘크리트, 피톤황토 등에서 피톤은 피톤, 피톤치드, phyton, phytoncide, 피톤치드 함유, 피톤치드 이용 등이 해당된다.
1) 상기 광미는 a) 광미, 광산부산물, 광석에서 필요한 광물을 분리하고 남은 가치없는 부분,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찌꺼기, 철을 제련하는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광미;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Ca 함유물 20∼70중량부, Si 함유물 30∼60중량부, Al 함유물 1∼20중량부, Mg 함유물 1∼15중량부, Fe 함유물 2∼2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광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점토는 a) 점토, 해성점토, 육상점토, 0.074mm 이하의 함량이 90% 이상인 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점토;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40∼70중량부, Al2O3 13∼28중량부, Fe2O3 3∼13중량부, CaO 0.3∼1.5중량부, MgO 0.3∼3중량부, TiO2 0.3∼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점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질석은 질석, 열을 가하면 팽창하는 질석,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광물, 알루미늄과 마그네슘과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구성된 점토광물, 700∼1000℃ 가열시 부피가 5∼15배 증가하는 질석,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질석;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30∼48중량부, Al2O3 5∼20중량부, CaO 0.3∼1.5중량부, MgO 8∼28중량부, Fe2O3 3∼20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중량부, K2O 4∼8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질석;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애쉬는 a) 애쉬, 석탄애쉬, 연탄애쉬, 소각장애쉬, 발전소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애쉬;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65중량부, Al2O3 10∼30중량부, CaO 2∼10중량부, MgO 1∼3중량부, Fe2O3 1.5∼8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5중량부, K2O 0.5∼3중량부, Na2O 0.2∼0.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애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석분은 a) 석분, 돌가루, 쇄석 석분, 채석장 석분, 콘크리트 석분, 건설폐기물 석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석분;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60중량부, Al2O3 15∼25중량부, CaO 0.3∼1중량부, MgO 0.5∼2중량부, Fe2O3 2.5∼3.5중량부, FeO 1.5∼3중량부, P2O5 0.1∼0.4중량부, MnO 0.01∼0.1중량부, K2O 0.5∼2.5중량부, Na2O 0.3∼0.7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석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맥반석은 a) 맥반석, 반암에 속하는 암석, 석영과 장석이 섞인 맥반석,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 주성분인 맥반석,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1 ㎤ 당 3∼15만 개의 구멍을 가진 맥반석,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맥반석;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75중량부, Al2O3 10∼18중량부, CaO 1∼3중량부, MgO 2∼5중량부, Fe2O3 0.5∼2중량부, FeO 0.8∼2.3중량부, P2O5 0.1∼0.4중량부, TiO2 0.1∼0.5중량부, K2O 2∼4중량부, Na2O 2∼4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맥반석;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카올린은 a) 카올린, 고령토, Al2O3·2SiO2·2H2O의 조성을 가진 광물, Al2O3·SiO2·4H2O의 조성을 가진 광물, 바위 속의 장석(長石)이 풍화 작용을 받아 이루어진 흰색 또는 회색의 진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카올인;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35∼50중량부, Al2O3 30∼55중량부, CaO 0.1∼2중량부, MgO 0.01∼0.4중량부, Fe2O3 0∼0.5중량부, TiO2 0.3∼1중량부, K2O 0.001∼0.2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카올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벤토나이트는 a) 화산재, 벤토나이트, 칼슘벤토나이트, 나트륨벤토나이트, 수팽창성 벤토나이트, 몬모릴나이트(monmorillo nite)광물의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벤토나이트;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5∼75중량부, Al2O3 10∼25중량부, CaO 0.5∼5중량부, MgO 1∼8중량부, Fe2O3 1∼3중량부, K2O 0.1∼2중량부, Na2O 0.5∼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거나 또는 함유되면서 SiO2/Al2O3 비율이 2.2∼7.5, 몬모릴로나이트 함량 70meq/100g 이상, 현택액의 수소이온농도 7∼11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벤토나이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제올라이트는 a) 제올라이트, 천연제올라이트, 인공제올라이트, 합성제올라이트, 흡착성을 가진 제올라이트, 3∼10Å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제올라이트;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78중량부, Al2O3 10∼20중량부, CaO 0.5∼5중량부, MgO 0.5∼4중량부, Fe2O3 0.1∼5중량부, Na2O 0.5∼4중량부, TiO2 0.1∼0.5중량부, K2O 1∼3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제올라이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실리카흄은 a) 실리카흄, SiO2 함유의 실리카흄, SiO2 60∼90중량부 함유의 실리카흄, 실리콘(Si) 또는 페로실리콘(FeSi) 또는 실리콘합금을 제조할 때에 발생되는 폐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SiO2를 집진기로 수집 여과하여 얻어지는 실리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실리카흄;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90중량부, Al2O3 0.5∼2중량부, CaO 0.5∼2중량부, MgO 0.1∼1중량부, Fe2O3 1.5∼3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중량부, K2O 0.1∼2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실리카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몰탈 내지 콘크리트, 혼합레미콘, 혼합콘크리트 중 하나에는 혼합물 1, 혼합물 2, 혼합물 3, 혼합물 4, 혼합물 5, 혼합물 6, 혼합물 7, 혼합물 8, 혼합물 9, 혼합물 10, 혼합물 11, 혼합물 12, 혼합물 13, 혼합물 14, 혼합물 15, 혼합물 16, 혼합물 17, 혼합물 18, 혼합물 19, 혼합물 20, 혼합물 21, 혼합물 22, 혼합물 23, 혼합물 24, 혼합물 25, 혼합물 26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a) 상기 혼합물 1은 물, 모래, 자갈, 골재, 석분, 석회, 시멘트, 아스팔트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b) 상기 혼합물 2는 골재 30∼70중량부, 필러 10∼50중량부, 결합재 15∼40중량부, 혼화제 0.1∼10중량부, 물 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c) 상기 혼합물 3은 시멘트 15∼30중량부, 잔골재 20∼45중량부, 굵은골재 30∼60중량부, 부산물 0.1∼3중량부, 혼화제 0.1∼5중량부, 물 1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d) 상기 혼합물 4는 시멘트의 결합재와 입도범위 5∼13mm, 13∼20mm 중 하나 이상의 골재와 폐기물, 유동화제가 포함되고, 물결합재비 25∼35% 또는 공극율 15∼30%인 혼합물이다. e) 상기 혼합물 5는 1㎥당 0.2∼0.65㎥의 비율로 잔골재 및 굵은골재가 함유된 물, 결합재, 혼화제의 혼합물이다. f) 상기 혼합물 6은 시멘트, 골재, 자갈, 모래, 석분, 물, 혼화제, 아스팔트 중 둘 이상이 포함되고 물-시멘트비 또는 골재-아스팔트비 25∼40%인 혼합물이다. g) 상기 혼합물 7은 14∼15중량부의 결합재와 76∼79중량부의 골재와 0.08∼0.1중량부의 혼화제와 0.3∼3중량부의 폐기물과 별도의 물을 포함하여 전체 100중량부인 혼합물이다. h) 상기 혼합물 8은 시멘트 20∼40중량부, 모래 10∼50중량부, 자갈 10∼50중량부, 물 2∼30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i) 상기 혼합물 9는 시멘트 30∼90중량부, 슬래그 1∼55중량부, 플라이애쉬 또는 실리카퓸 0.1∼35중량부로 구성된 결합재와 입도 5∼13mm, 13∼25mm, 25∼40mm 중 하나의 굵은골재와 입도 5mm 이하의 잔골재 또는 슬래그와 상기 결합재에 대해 0.03∼3.0중량부의 유동화제 또는 AE감수제가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j) 상기 혼합물 10은 5∼8부피부 결합재와 60∼80부피부 골재와 0.2∼0.5부피부 혼화제와 이외 전체부피 100%를 채우기 위한 물로 구성되고, 상기 골재는 폐기물, 폐분, 폐콘크리트, 부순돌, 바텀애쉬, 슬래그, 암석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아스팔트, 석회, 석고, 플라이애쉬, 슬러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다. k) 상기 혼합물 11은 시멘트, 아스팔트 등의 결합재 100중량부에 잔골재 200∼250중량부, 굵은골재 260∼280중량부, 탄화물 3∼8중량부, 혼화제 0.5∼1.5중량부, 물 35∼45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ℓ) 상기 혼합물 12는 모래 30∼40중량부, 자갈 35∼45중량부, 물 10∼30중량부, 소각재 또는 플라이애쉬 5∼25중량부, 광물 또는 폴리머 1∼1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폴리머는 수용성폴리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다하이드로시헥산, 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인 것이다. m) 상기 혼합물 13은 물 3∼10중량부, 시멘트 10∼25중량부, 잔골재 25∼35중량부, 조골재 40∼45중량부, 플라이애쉬 0.5∼1.5중량부, 부산물 1∼7중량부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n) 상기 혼합물 14는 시멘트 포함 결합재 100중량부에 모래 또는 자갈 포함 골재 250∼660중량부, 광물 또는 제올라이트 10∼150중량부, 바실러스 포함 미생물 1∼15중량부, 물 10∼3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o) 상기 혼합물 15는 결합재량 또는 시멘트량 250∼550㎏/㎥, 잔골재량 350∼650㎏/㎥, 굵은골재량 850∼1,100㎏/㎥, 수량 150∼200㎏/㎥, 광물 또는 폐기물 200∼450㎏/㎥, 혼화제 0.1∼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p) 상기 혼합물 16은 결합재 또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분, 석분, 광미, 부산물 중 하나 이상 5∼45중량부와 기타 모래, 자갈, 골재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면서, 슬럼프 8∼12cm, 물/시멘트비 50∼60중량%, 잔골재율 45∼53중량%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혼합물이다. q) 상기 혼합물 17은 골재 75∼83중량부, 결합재 13∼15중량부, 물 5∼7중량부, 혼화제 0.07∼0.3중량부 중 하나 이상에 미생물이 상기 결합재 중량 대비 0.0001∼1.5%가 더 혼합되고,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슬래그, 소각재, 플라이애쉬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미생물은 미생물, 혐기미생물, 광합성균,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바실러스, 효모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혼합물이다. r) 상기 혼합물 18은 시멘트 50∼90중량부, 분말슬래그 1∼15중량부, 분말수지 0.1∼7중량부, 라텍스 0.01∼6중량부, 팽창제 0.11∼15중량부, 화이버 0.01∼3.0중량부, 감수제 0∼3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s) 상기 혼합물 19는 시멘트 13∼21중량부, 세골재 27∼36중량부, 조골재 38∼47중량부, 미생물 0.0001∼7중량부, 혼화제 0.3∼1.8중량부, 물 4∼10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t) 상기 혼합물 20은 시멘트 또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모래, 자갈, 골재, 수지, 황토, 폐분, 탄소, 혼화제, 미생물, 부산물 중 하나 이상이 0.0001∼1000중량부 포함된 혼합물이다. u) 상기 혼합물 21은 시멘트 또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300중량부, 모래 130∼300중량부, 자갈 또는 골재 150∼600중량부, 기타 수지, 황토, 폐분, 탄소, 혼화제, 미생물, 부산물 중 하나 이상 0.0001∼100중량부가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v) 상기 혼합물 22는 시멘트 또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300중량부, 모래 130∼300중량부, 자갈 또는 골재 150∼600중량부, 수지 0.1∼30중량부, 황토 10∼100중량부, 폐분 15∼300중량부, 기타 탄소, 혼화제, 미생물, 부산물 중 하나 이상 0.0001∼50중량부가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w) 상기 혼합물 23은 물 5∼9.5 중량%, 시멘트 또는 결합재 15∼19.5 중량%, 잔골재 30∼34.5 중량%, 조골재 40∼44.5 중량%, 부산물 2∼6 중량%, 소각재 0.5∼1.5 중량%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x) 상기 혼합물 24는 시멘트 15∼30중량부, 밀도 2.5∼2.8g/cm3인 조골재 30∼60중량부, 밀도 2.2∼2.6 g/cm3인 세골재 20∼45중량부, 물 15∼35중량부, 혼화제 0.1∼5중량부, 부산물 0.1∼10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y) 상기 혼합물 25는 CaO, SiO2, Al2O3가 함유된 시멘트와; 입도 3∼5mm 또는 15∼25mm, 밀도 2.5∼2.8g/cm3, 단위용적질량 1,340∼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조골재와; 밀도 2.2∼2.6 g/cm3, 단위용적질량 1,295∼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세골재와; 물, 혼화제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z) 상기 혼합물 26은 상기 모래, 자갈, 골재, 석분, 석회, 시멘트, 부산물, 혼합물 중 하나에 SiO2 50∼55중량부, Al2O3 15∼20중량부, MgO 1∼2중량부, FeO 2∼4중량부, Fe2O3 2∼3중량부, CaO 0.5∼0.9중량부, K2O 0.5∼1.1중량부, Na2O 0.5∼0.7중량부, P2O5 0.2∼0.6중량부, MnO 0.03∼0.09중량부, 광물성분 13∼18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혼합물, 또는 상기 혼합물 1 내지 25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 콘크리트 등은 몰탈, 시멘트, 바인더, 경화재, 고결재, 레미탈(ready mixed mortar), 레미콘, ready mixed concrete, 석회콘크리트, 황토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피톤치드콘크리트, 시멘트페이스트, 석회페이스트, 시멘트플라스터, 석회플라스터, 굳는 물질, 굳히는 물질, 경화되는 물질, 경화시키는 물질, 고결하는 물질, 고결시키는 물질,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경화제, 약재, 약품, 약액, 현탁액, concrete, concreting material, 페이스트, 플라스터,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몰탈은 몰탈, 모르타르, mortar, 물과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레미탈은 레미탈, ready mixed mortar, 물이 포함되지 않은 몰탈, 물이 포함되지 않은 콘크리트, 물과 시멘트와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는 재료, 몰탈, 바인더, 고화재, 고결재, 경화재, 시멘트, 레미탈, 레미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공사재료,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상기 몰탈 내지 콘크리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재, 작업 자재, 공사 자재, 시설 자재, 수단 자재, 재료 포함 자재 등은 자재 1, 자재 2, 자재 3, 자재 4, 자재 5, 자재 6, 자재 7 등이다. 상기 자재 1은 a) 자재, 재료, 공통자재, 건설자재, 건축자재, 토목자재, 조경자재, 공사자재, 시공자재, 환경자재, 정화자재, 청정자재, 기초자재, 내진자재, 조립자재, 건설재료, 건축재료, 토목재료, 조경재료, 공사재료, 환경재료, 정화재료, 청정재료, 세그먼트자재; b) 재료로 구성된 자재, 재료로 조성된 자재,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공장에서 제조된 자재, 현장에서 조성된 자재, 공사에 이용되는 자재, 건설에 이용되는 자재, 건축에 이용되는 자재, 시설을 축조하는 자재, 건물을 축조하는 자재, 구조물을 조성하는 자재, 시설 축조에 이용되는 자재, 장비에 이용되는 자재, 장비로 시공되는 자재, 장비로 축조되는 자재, 공사에 이용되어 시설을 조성하는 자재,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재료가 포함되는 자재;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자재; d)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는 a)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가 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재 2는 a) 상기 수단, 작업, 재료, 자재, 장비, 일 내지 복합작업,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의한 제(劑), 재(材), 재료, 자재, 물질, 건자재, 건설자재, 건축자재, 토목자재, 조경자재 중하나이거나, b)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재(材),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제,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자재,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된 자재,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자재, 상기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자재,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자재,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재료가 양생되어 조성된 자재, 타설된 재료가 경화되어 조성된 자재, 형틀에 투입된 재료가 경화되어 조성된 자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재(材)의 예로는 저장재, 혼합재, 분사재, 숏팅재, 주입재, 코팅재, 도장재, 보수재, 방수재, 보강재, 개량재, 양생재, 처리재, 복합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제의 예로는 저장제, 혼합제, 분사제, 숏팅제, 주입제, 코팅제, 도장제, 보수제, 방수제, 보강제, 개량제, 양생제, 처리제, 복합제 등이 해당된다. 하기 저장 내지 복합 등에는 하기 공사 5, 6, 7, 8 등에 기재된 저장 내지 복합 등도 포함된다.
상기 자재 3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재 4는 a) 일정의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된 재료, b) 또는 일정의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이 된 재료가 이용,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 자재이다. 상기 자재 5는 a) 오존 처리되고,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 처리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 물질이 조사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이 된 자재이거나, b) 또는 상기 오존 처리되고 ∼ 살균된 재료가 이용,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 자재이다.
상기 자재 6은 a) 오존 발생과 동시에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가진하는 진동기,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방역, 살균, 소독, 오존, 진동, 가진, 자기장, 방전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자재이거나, b) 또는 상기 처리된 재료가 이용,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 자재이다. 상기 자재 7은 a)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b) 또는 하기 재료, 모래 내지 복합재료,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포함되는 자재, 상기 자재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통자재는 빔, 봉, 대, 판, 관, 판지, 판자, 합판, 시트, 매트, 보드, 형틀, 몰드, 판넬, 보드, 비계, 기초, 커플러, 철근커플러, 자재, 건자재, 건설자재, 공사자재, 폼(foam), 유로폼, 콘크리트폼, 거푸집, 콘크리트형틀, 구조물거푸집, 발열거푸집, 냉열거푸집, 온냉거푸집, 보강재, 건설재, 토목재, 건축재, 내진재, 지진보강내진재, 석고재, 시멘트재, 아스팔트재, 콘크리트재, 철근콘크리트재, 건재료, 건설재료, 토목재료, 건축재료, 조경재료, 제조재료, 공사재료, 코팅재, 광촉매코팅재, 시멘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철근콘크리트재, 피톤자재, 황토자재, 내진자재, 조립자재, 몰탈자재, 시멘트자재, 레미콘자재, 아스팔트자재, 콘크리트자재, 기포콘크리트자재, 발포콘크리트자재, 경량콘크리트자재, RC(reinforced concrete)자재, PC(pre cast or pre casting)자재, PS(pre or post stressed)자재, PC(pre cast concrete)자재, PS(pre or post stressed concrete)자재, PSC(pre or post stress concrete)재, SRC(steel bar reinforced concrete)자재, LC(lightweight concrete)자재,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자재, 경화된 건자재, 양생 후 경화된 건자재, 수화반응 및 양생 후 경화된 건자재, 수화반응 및 포졸란반응 및 양생 후 경화된 건자재; 상기 빔 내지 건자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자재; 상기 빔 내지 건자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자재;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트 또는 매트는 a) 시트, 매트, 시트형 매트, 매트형 시트, 매트시멘트, 시트시멘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매트콘크리트인 매트콘, 시트콘크리트인 시트콘, 콘크리트매트인 콘매트, 콘크리트시트인 콘시트; b) 또는 시멘트, 몰탈, 종자, 씨앗, 황토, 수지, 애쉬, 점토, 광물, 부산물, 미생물,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플라스틱, 고분자재, 콘크리트; 이중 하나의 양생물, 경화물, 고결물, 응고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c) 또는 상기 시멘트 내지 응고물 중 하나가 시트, 매트, 섬유, 토목섬유, 직포, 부직포, 2겹 이상의 상기 시트 내지 부직포, 상기 시트 내지 부직포 중 둘 이상의 사이 중 하나에 부착 또는 투입된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d) 물이 분사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포설 후에 물이 분사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상기 분사된 물에 의하여 경화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e) 차수용 또는 방수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보수용 또는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보호용 또는 식생용으로 사용되는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f) 상기 시트 내지 콘시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재; 상기 시트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시트 내지 복합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는 a)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건축자재는 벽, 문, 돔, 방문, 대문, 창문, 창호, 벽지, 장판, 벽재, 마루, 배관, 변기, 비데, 판넬, 유리, 현관, 기와, 타일, 벽돌, 블록, 기와, 도어, 데크, 커텐, 벽체, 격벽, 거더, 기둥, 샤시, 덕트, 덕트, 배관, 관로, 탱크, 박스, 막이, 칸막이, 루바, 리바, 외장루바, 슬라브, 바닥재, 천장재, 방수제, 방수액, 방수재, 내장재, 외장재, 내장판넬, 외장판넬, 건축자재,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자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하기 맨홀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자재, 상기 벽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벽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는 a)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벽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토목자재는 맨홀, 흄관, 도관, 관로, 수로, 암거, 박스, 탱크, 수조, 연석, 집수정,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경계석, 분리대,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보도블록,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하수암거, 우수암거,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저류조, 집수조,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테트라포트, 믹싱재, 주입재, 성토재, 충진재, 충전재, 채움재, 분사재, 포설재, 포장재, 다짐재, 방수재, 차수재, 투수재, 투과재, 여과재, 흡착재, 포집재, 인젝션재,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토목자재, 시드스프레이재,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자재,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벽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자재, 상기 맨홀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맨홀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중 하나는 a)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맨홀 내지 리모델링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경자재는 데크, 정자, 벤치, 담장, 볼라드, 파고라, 인공석, 암벽재, 벽천재, 인공폭포재, 잔디, 포장재, 인조잔디, 인공잔디, 그늘집재, 목재데크, 합성목재, 조경재, 조각재, 조형재, 녹화재, 녹생재, 녹생토, 조경자재, 시드스프레이재, 조경공사에 사용되는 조경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중 하나는 a)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데크 내지 조경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자재는 기초, 파일, 피어, 말뚝, 케이슨, 보강기초, 내진기초,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시설기초,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기초자재, 회전매입기초, 공장제조기초, 공장제조파일, 현장타설기초, 현장타설파일, 기초케이슨, 방파제케이슨,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철근콘크리트파일, PHC(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파일, 플라스틱파일, 지중기초, 지중그라우팅기초, 지열기초, 지열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에너지파일, 에너지기초,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구조물을 지지하는 자재,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기초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중 하나에는 a)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공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기초 내지 기초자재;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기초는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지면기초, 후팅기초, 매트기초, 표층기초, 깊은기초, 지중기초, 믹싱기초, 주입기초, 분사기초, 다짐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스크류기초, 마이크로파일, PHC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변단면기초, 등단면기초, 상기 기초 내지 에너지기초, 상기 기초 내지 에너지기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 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합기초는 얕은기초와 이 하부의 깊은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지면기초와 지중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표층기초와 이 하부의 지중 믹싱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후팅기초와 이 하부 지중의 변단면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표층의 매트기초와 이 하부 지중의 스크류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상기 기초 내지 에너지기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에너지기초는 지열기초, 지열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에너지파일, 에너지기초, U형 파이프가 내장된 기초,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기초,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난방수 순환 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냉난방시설에 연계된 순환파이프가 내장된 기초, 건물의 냉난방시설에 연계된 난방수 순환파이프가 내장된 기초, U형 파이프가 내장된 현장타설기초, 난방수 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현장타설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공장제조기초는 공장제조기초, 공장제작기초, 공장의 몰드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 또는 경화되어 조성된 기초, 공장에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제조된 기초, 철근 또는 보강재가 삽입된 형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또는 경화된 후 상기 형틀이 제거되어 조성된 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현장타설기초는 현장타설기초, 현장제조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 또는 경화되어 조성된 기초, 현장에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제조된 기초, 철근 또는 보강재가 삽입된 보링공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또는 경화된 후 조성된 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터널자재는 숏크리트재, 볼트, 락볼트, 앵카, 락앵카, 방수재, 라이너, 라이닝, 라이닝재, 터널라이너, 터널라이닝, 터널자재,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방수재는 방수재, 방수제, 방수액, 액상방수제, 분말방수제, 옥상방수재, 터널방수재, 건물방수재, 누수방수재, 시트방수재, 매트방수재, 아스팔트방수재, 플라스틱방수재, EVA방수재, HDPE방수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내진자재는 빔, 대, 봉, 판, 철골, 거더, 격자, H빔, I빔, 시트, 매트, 네트, 가로보, 세로보, 아치재, 보강재, 보강판, 탄소판, 브라켓, 프레임, 플랫폼, 브레이싱, 탄소시트, 탄소매트, 탄소네트, 보강시트, 보강매트, 보강네트, 켄틸레버재, 내진재, 방진재, 내진자재, 내진 보강재, ㄱ형 보강재, I형 보강재, H형 보강재, T형 보강재, ×형 보강재, □형 보강재, X 브레이싱, 철제브라켓, 철제프레임, 철제플랫폼, 철제브레이싱, 볼트 구멍 형성 보강재, 상하 프랜지와 중간 웨브로 구성된 보강재, 지진에 저항되는 자재;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자재;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립자재는 a) 조립자재, 세그먼트자재, 조립식 자재, 시설을 축조하기 위한 조립자재, 시설을 축조하기 위한 세그먼트자재; b) 또는 조립식 건물 축조에 사용되는 보, 벽, 벽체, 판넬, 기둥, 슬라브,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벽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맨홀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그먼트자재는 a) 세그먼트, 세그먼트재, 세그먼트빔, 세그먼트벽, 세그먼트기둥, 세그먼트슬라브, 세그먼트자재, 조각형 세그먼트자재, 터널세그먼트재, TBM(tunnel boring machine)터널세그먼트재, Shield터널세그먼트재, 교량세그먼트재, 교량상판세그먼트재, 건물세그먼트재, 조립세그먼트재, 라이너세그먼트재, 라이닝세그먼트재, 터널라이닝세그먼트재; b) 일정 물체의 1/2 세그먼트재, 일정 물체의 1/3 세그먼트재, 일정 물체의 1/4 세그먼트재, 일정 물체의 부분을 이루는 세그먼트재, 건물의 일정 부분에 해당하는 세그먼트재; c) 절편 또는 세그먼트로 나누어진 상기 빔 내지 복합자재, 상기 벽 내지 리모델링재, 상기 맨홀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커플러는 커플러 1, 커플러 2, 커플러 3, 커플러 4, 커플러 5, 커플러 6, 커플러 7, 커플러 8, 커플러 9, 커플러 10, 커플러 1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1은 커플러, 커넥터, 커플링, 이음재, 연결재, 결합재, 연결대, 철근커플러, 자재커플러, coupler, connector, 나사 조임형 철근커플러, 배수형 철근커플러, 진동형 철근커플러, 자화형 철근커플러, 살균형 철근커플러, 콘크리트 유입형 철근커플러, 나사로 철근이 고정되는 철근커플러, 홀이 형성된 철근커플러, 2개의 철물을 연결하는 커플러, 2개의 자재를 연결하는 커플러, 2가닥의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나사의 조임력에 의하여 2가닥의 철근이 고정 또는 연결되는 커플러, 콘크리트에 삽입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2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커플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커플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커플러,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된 커플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3은 자신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커플러, 자신 내부 또는 주변의 콘크리트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커플러, 자신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커플러, 상기 배수를 위하여 홀이 형성된 커플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4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또는 하나가 되면서 2개 이상의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유동화기, 피니셔,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마감, 진동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c) 또는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형틀에 배근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비계의 발판이 이용되어 조립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자재에 매입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혼화제가 포함된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방수제가 혼입된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5는 a) 몸체; 이에 연결된 캡; 이 캡 내부의 고정체; 이 고정체를 구성하는 절편;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나사; 상기 캡에 형성된 나사;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나사; 상기 절편에 형성된 나사; 상기 몸체 내부의 분리판; 상기 고정체와 분리판 사이의 탄성체;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홀; b) 철근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 내지 홀; c) 철근 또는 이의 선단이 접촉되는 상기 홀, 분리판; d) 강우 또는 액체가 배수되는 상기 홀; e) 자신의 상부로 유입된 콘크리트가 자신의 하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 f) 철근이 조임 또는 고정되는 상기 고정체, 절편, 고정체의 나사, 절편의 나사; g) 콘크리트가 투입 또는 접촉되는 상기 몸체 ∼ 절편의 나사; h)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몸체 ∼ 절편의 나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커플러이다.
상기 커플러 6은 중간에 분리판(8')이 구비된 몸체(6'); 이 몸체의 양측(兩側) 또는 다측(多側)에 체결되는 내부 중공형 캡체(2'); 내부 중공이면서 내면이 쐐기형(13')인 상기 캡체(2'); 상기 캡체 내부에 인입되면서 자신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260)을 고정시키는 내부 중공형의 철근 고정체(4'); 내부 중공이면서 외면이 쐐기형(14')인 상기 철근 고정체(4'); 내면에 철근 고정 수단 또는 나사(15')가 형성된 상기 철근 고정체(4'); 상기 고정체를 구성하는 절편(5'); 상기 고정체를 구성하는 3개 조각의 절편(5'); 상기 몸체 중간의 분리판(8'); 상기 분리판과 철근 고정체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홀이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1개 이상의 개수가 되는 상기 홀; 자신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는 상기 홀;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전에 자신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는 상기 홀; 자신의 상부로 유입된 우수가 자신의 하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 자신의 상부로 유입된 콘크리트가 자신의 하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전에 자신의 상부로 유입된 우수가 자신의 하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몸체 ∼ 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 7은 a) 살균 처리, 피톤치드로 처리, 살균제로 살균 처리, 살균기로 살균 처리, 피톤치드로 살균 처리 중 하나가 되거나, b) 또는 1차 오존 처리되고, 2차 음이온 처리되고, 3차 살균 처리되거나, c) 또는 1차 오존 처리되고, 2차 음이온 처리되고, 3차 피톤치드 처리되고, 4차 살균 처리되는 커플러이다. 상기 커플러 8은 자화되고, 상기 자화 중에 진동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되고, 상기 가진 전에 오존 처리되고, 상기 진동 전에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음이온 처리 중에 방전 처리되고, 상기 오존 처리 후에 살균 처리된 물질이 포설 또는 코팅되는 커플러이다. 상기 커플러 9는 a) 오존 처리되고, 음이온 처리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 처리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 물질이 조사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되거나, b) 또는 상기 오존 처리되고 ∼ 살균된 후에 피톤치드 처리되거나, c) 또는 상기 오존 처리되고 ∼ 살균된 재료가 이용,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된 커플러이다.
상기 커플러 10은 a) 살균 처리된 커플러; b) 자기장이 방사되는 커플러; c) 상기 처리 및 방사되는 커플러; d) 상기 처리, 방사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자신의 중간, 측부, 입구, 출구 중 하나 이상에 홀이 형성된 커플러; e) 상기 처리, 방사, 형성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콘크리트를 자화, 진동, 가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커플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커플러 11은 a) 상기 살균 처리는 살균기를 통과, 살균제에 침지, 피톤치드로 살균; b) 상기 살균 처리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살균; c) 상기 방사는 자기장 발생기에서 시행; d) 상기 방사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자화, 진동, 가진, 유동화; e) 상기 홀에 의하여 자신으로 유입된 물, 우수, 이물질 중 하나 이상이 자신의 외부로 배출; f) 상기 홀에 의하여 자신의 내부, 상부, 하부 중 하나 이상으로 콘크리트가 유입; g) 상기 방사에 의하여 상기 유입된 콘크리트가 자화, 진동, 가진, 유동화; 중 하나 이상이 되게 하는 커플러이다.
상기 홀은 홀, 구멍, hole, 천공부, 천공홀 등으로, 이는 배수, 배기, 배출, 우수배수, 이물질배출, 콘크리트유입, 콘크리트유동, 콘크리트채움, 철근커플러에 유입된 우수 배수, 철근커플러 내부의 가스 배기, 철근커플러에 유입된 이물질 배출, 철근커플러 내부로 콘크리트유입, 철근커플러를 통하여 콘크리트 유동, 철근커플러 내부에 콘크리트채움 중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나사 조임형 또는 배수형 철근커플러는 상기 몸체 ∼ 절편의 나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커플러이다. 상기 진동형 또는 자화형 또는 살균형 철근커플러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철근커플러이거나, b) 또는 상기 몸체 ∼ 절편의 나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철근커플러이다. 상기 콘크리트 유입형 철근커플러는 상기 홀, 상기 캡과 이의 내부에 삽입된 철근 사이의 공간,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자신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철근커플러이다.
상기 형틀은 형틀 1, 형틀 2, 형틀 3, 형틀 4 중의 하나이다. 상기 형틀 1은 틀, 몰드, 형틀, 거푸집, 철근이 매입되는 형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틀, 구조물을 형성하는 형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조물을 형성하는 형틀,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탈형되는 형틀, 진동기가 구비된 형틀, 타설된 콘크리트를 다짐하기 위하여 진동기가 구비된 형틀, 히팅수단이 구비된 형틀, 쿨링수단이 구비된 형틀, 열선 또는 탄소선이 구비된 형틀, 탄소시트가 구비된 형틀, 전기 공급에 의하여 열을 발산하는 탄소시트가 구비된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형틀 2는 a) a1) 자기장을 방사하는 형틀; a2) 자기장을 방사하면서 진동하는 형틀; a3) 자기장을 방사하고 진동하면서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방전기, 살균기, 히팅수단, 쿨링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형틀; a4)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형틀; a5)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장착된 형틀; a6) 상기 방사 또는 진동 중에 오존, 음이온, 방전물, 살균물 중 하나 이상을 발산하는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형틀 3은 a)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경화되는 형틀,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유동화기, 피니셔,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마감, 진동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콘크리트가 내재되는 형틀, c) 또는 철근이 배근되는 형틀,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이 배근되는 형틀,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이 배근되는 형틀, 비계의 발판이 이용되어 조립되는 형틀, 자재의 외형을 이루는 형틀, 혼화제가 포함된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형틀, d) 방수제가 혼입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형틀 4는 폼, 알폼, 갱폼, 형틀, 몰드, 거푸집, 유로폼, 코팅폼, 터널폼, 타설폼, 양생폼, 슬립폼, 와플폼, 스틸폼, 폼판넬, 패널폼, 히팅폼, 쿨링폼, 플라잉폼, 테이블폼, 클라이밍폼, 판재거푸집, 합판거푸집, 나무거푸집. 목재거푸집, 철재거푸집, 강재거푸집, 종이거푸집, 수지거푸집, 강판거푸집, 섬유판거푸집, 경질섬유판거푸집, 합성수지거푸집, 플라스틱거푸집, 알루미늄거푸집, 알루미늄패널거푸집, 문양거푸집, 대형거푸집, 건물거푸집, 교량거푸집, 터널거푸집, 도로거푸집, 구조물거푸집, 일체형거푸집, 모듈식거푸집, 시스템거푸집, 가변형거푸집, 무변형거푸집, 고층타설폼, 터널라이닝타설폼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폼, 형틀, 몰드, 거푸집 등은 폼, 형틀, 몰드, 거푸집, form, mold,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형틀, 내부가 구조물의 외형을 이루는 형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빈 공간을 가진 형틀, 구조물의 외형과 동일한 내형을 가진 형틀 등이 해당된다. 2) 상기 알폼은 합판을 직접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거푸집, 재료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형틀, 콘크리트의 알칼리 성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되어있는 형틀, 철재보다 가볍고 합판보다 내구성이 좋은 알루미늄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갱폼(gang form)은 형틀이 2장 이상 연결되어 일체화된 거푸집, 형틀을 대형화하여 조립 및 분해가 필요없도록 하는 시스템 거푸집, 아파트 외벽의 축조에 사용되는 거푸집, 모양이 같은 구조물의 축조에 여러번 적용되는 거푸집, 작업용 또는 발판용 케이지가 일체로 구비된 대형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유로폼은 철재 외곽틀과 상기 틀 내부에 합판을 댄 거푸집, 강재틀에 합판이 붙여진 폼, 합판에 강재틀이 부착된 폼, 철재틀에 합판을 붙여 만든 패널폼, 단면 크기가 4"×8"인 형틀, 단면 크기가 3"×6"인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5) 상기 코팅폼은 코팅합판이 사용되는 형틀, 일반 합판에 번들거리는 재료를 입힌 코팅합판이 사용되는 형틀, 박리제를 별도로 바를 필요가 없는 코팅판넬이 사용되는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터널폼(tunnel form)은 터널형상의 형틀, 원형 형상의 형틀, 타원 형상의 형틀, 말발굽 형상의 형틀, 터널라이닝 형상의 형틀, TBM(tunnel boring machine) 터널의 형틀, Shield 터널의 형틀,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터널의 형틀, 터널라이닝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제작된 형틀,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형틀; 또는 터널의 바닥, 벽, 지붕, 천장 중 하나 이상 형상의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슬립폼(slipform)은 활동거푸집, 슬라이딩폼(sliding form),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한 강도가 되면 유압잭, 요크, 롯드, 압력기, 이동수단 중 하나로 거푸집을 이동 또는 상승시켜 연속해서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철근이 조립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슬립폼은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이음이 없어 수밀성이 높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슬립폼에는 고층의 교각, 탱크, 건물 등의 공사에 쓰는 연직방향 이동형과 수로 등에 쓰이는 수평 이동형이 있다. 3) 상기 와플폼(waffle form)은 직교되는 장선이 구비된 형틀, 2방향 장선이 구비된 형틀, 일측면에 직교되는 장선이 구비된 형틀, 와플형상의 직교되는 장선이 장착된 형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와플폼은 직교되는 와플형상의 장선이 장착된 형틀로서, 장지간 구조물의 축조에 사용된다. 일반 형틀의 하부에는 1방향의 장선이 구비되는데 반하여 와플폼은 2방향의 직교하는 장선이 구비된다.
1) 상기 히팅폼은 a) 자신; 이의 덮개, 천막, 비닐막,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히팅, 스팀공급, 전기공급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b) 또는 열선, 열관, 열배관, 스팀관, 탄소시트, 히팅시트; 이중 하나에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공급라인, 스팀발생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폼이다. 2) 상기 쿨링폼은 a) 자신; 이의 덮개, 천막, 비닐막,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쿨링, 냉매공급, 전기공급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b) 또는 냉각선, 냉각관, 냉각배관, 냉각시트; 이중 하나에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공급라인, 냉매발생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폼이다. 3) 상기 플라잉폼 또는 테이블폼은 a) 바닥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이거나, b) 또는 거푸집널, 이 거푸집널의 하부에 거치되는 장선, 이 장선의 하부에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멍에, 이 멍에의 하부에 거치되는 지주가 일체화된 거푸집이다.
상기 클라이밍폼은 형틀과 비계 또는 상승수단이 일체로된 거푸집, 갱폼과 이에 거치된 비계 또는 상승수단으로 구성된 거푸집, 자신에 구비된 비계 또는 상승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승되는 거푸집, 기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에 박힌 폼타이를 반력으로 유압기 또는 상승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승되는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클라이밍폼은 a) 클라이밍폼, climbing form, 자동상승거푸집(self climbing form); b) 거푸집과 비계가 일체로된 것, 갱폼에 비계틀과 마감용 비계가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 c) 폼타이 등으로 기 타설한 콘크리트에 지탱하여 유압기, 상승수단, 중앙크레인 등을 이용해서 한 단씩 올려 시공하므로 지상부에 비계를 따로 설치 할 필요가 없는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1) 상기 목재거푸집은 목재거푸집, 나무거푸집, 각재와 합판으로 구성된 거푸집, 가장자리의 각재와 내부의 합판으로 구성된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문양거푸집은 일정의 문양이 형성된 거푸집, 자신에 문양이 형성되어 자신을 콘크리트에서 해체시 해체된 콘크리트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건물거푸집, 교량거푸집, 터널거푸집, 도로거푸집, 구조물거푸집 중 하나는 건물, 교량, 터널, 터널라이닝, 도로, 도로포장, 구조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의 형상을 가진 또는 하나의 조성을 위한 형틀 또는 거푸집이다. 4) 상기 일체형거푸집은 콘크리트와 일체되는 거푸집, 콘크리트와 일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일체형거푸집, 자신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부착되어 탈형없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되는 일체형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일체형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에도 해체가 필요없는 거푸집, 콘크리트 양생 후에도 해체가 필요 없도록 단열재, 내화재 등을 콘크리트 구체와 일체화한 거푸집 등도 해당된다. 5) 상기 대형거푸집은 대형거푸집, 플라잉폼(flying form), 테이블폼(table form), 2개 이상의 거푸집이 연결된 거푸집, 폭 또는 길이가 3∼4 미터인 거푸집, 폭 또는 길이가 3∼4 미터되도록 유로폼을 조립한 거푸집, 발판과 일체형으로된 대형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1) 상기 교량거푸집은 상판거푸집, 교각거푸집 중 하나 이상이다. 2) 상기 상판거푸집은 상판 거푸집, 철근 배그된 상판 거푸집, 상판의 외형을 닮은 거푸집, 상판의 내형과 외형을 닮은 거푸집, 상판의 외형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 상판의 내형과 외형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 상기 내형과 외형의 사이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거푸집, 상기 이격된 공간에 철근이 배근된 상기 거푸집, 상판의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으로 구성된 거푸집, 상판의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이 조립된 거푸집,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거푸집,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거푸집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교각거푸집은 교각 거푸집, 철근 배근된 교각 거푸집, 교각의 외형을 닮은 거푸집, 교각의 외주에 거치되는 거푸집, 교각의 외형을 닮으면서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 교각을 따라 이동 또는 승강하는 상기 거푸집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4) 상기 터널거푸집은 a) 터널의 거푸집; b) 터널의 바닥, 하부, 상부, 천장, 벽, 측부, 둘레, 내부, 내면, 내부, 라이닝, 굴착부, 숏크리트부, 굴착면 숏크리트부 중 하나 이상의 거푸집; c) 터널의 내면 형상을 닮은 거푸집; d) 상기 바닥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닮은 거푸집; e) 상기 바닥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닮으면서 상기 바닥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으로 부터 30cm 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거푸집; f) 상기 이격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g) 철근 배근된 상기 거푸집; 배근된 철근에 설치된 상기 거푸집; h) 일정 길이를 가진 상기 거푸집; 터널 굴착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상기 거푸집; i) 터널 내를 이동하는 상기 거푸집; j)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터널 내를 이동하는 상기 거푸집; k) 히팅 또는 쿨링 기능을 가진 상기 거푸집;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판재거푸집, 합판거푸집, 나무거푸집. 목재거푸집, 철재거푸집, 강재거푸집, 종이거푸집, 수지거푸집, 강판거푸집, 섬유판거푸집, 경질섬유판거푸집, 합성수지거푸집, 플라스틱거푸집, 알루미늄거푸집, 알루미늄패널거푸집 등은 판재, 합판, 나무. 목재, 철재, 강재, 종이, 수지, 강판, 섬유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플라스틱, 알루미늄, 알루미늄패널 등이 이용되는 거푸집이다. 그리고 모듈식거푸집은 모듈러건물, 조립식건물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거푸집, 또는 하나의 모듈을 이루는 거푸집, 또는 건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모듈을 이루는 거푸집 등이다. 시스템거푸집은 장선, 멍에, 지주, 비계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거푸집이다. 가변형거푸집은 형상, 크기, 치수 등의 변형이 가능한 거푸집이다. 무변형거푸집은 형상의 변형이 없는 고정된 거푸집이다. 고층타설폼은 고층을 타설하는데 이용되는 거푸집이다. 터널라이닝타설폼은 터널라이닝을 타설하는데 이용되는 거푸집이다. 스틸폼 또는 철제거푸집(steel form )은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계속 타설할 경우 적합, 목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움, 크레인 등 이동 장비로 조립 및 해체함, 초기 투자비가 고가, 마감면이 매끈, 목재보다 강도가 뛰어남, 여러번 사용할 수 있음, 띠장이나 긴결재 등이 일체화됨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장비, 작업 장비, 공사 장비, 물품 조성 장비, 수단에 포함되는 장비 등은 장비 1, 장비 2, 장비 3, 장비 4, 장비 5, 장비 6, 장비 7, 장비 8, 장비 9, 장비 10, 장비 11, 장비 12, 장비 13, 장비 14, 장비 15, 장비 16, 장비 17, 장비 18, 장비 19, 장비 20, 장비 21, 장비 22, 장비 23, 장비 24, 장비 25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1은 a) a1) 자화(40, 41), 진동(40, 42), 가진(40, 43), 오존(40, 44), 음이온(40, 45),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자화기(30, 31), 자기장기, 진동기(30, 32), 가진기(30, 33), 오존기(30, 34), 음이온기(30, 35),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자화물(40, 41), 자기장, 진동물(40, 42), 가진물(40, 43), 오존물(40, 44), 음이온물(40, 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유동화물, 방전물, 소독물, 살균물; a2)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a3)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거나, b)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를 하는 장비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하기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물 내지 복합물, 정화물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1의 적용 시에 하기 1a, 1b, 1c, 1d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1a는 a1)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1b는 b1)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1c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1d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은 상기 자화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것이다. 상기 복합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것이다. 상기 복합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것이다. 상기 자화기∼복합기에서 기는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조, 통, 함, 콘, 나선, 기기, 기구, 기계, 노즐, 튜브, 호스, 탱크, 박스, 장치, 장비, 시설, 수단, 파이프, 디퓨저, 중공체, 중공통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에서 물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액체, 분말, 공기, 재료,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오존, 음이온, 오존수, 회전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피톤치드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2는 a) a1)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방역, 살균, 소독, 폭기기, 발포기, 팽창기, 반응기, 흡착기, 포집기, 집진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소독기, 살균기, 폭기제, 발포제, 팽창제,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집진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소독제, 살균제, 촉매, 수지, 애쉬, 기포, 광촉매, 미생물, 부산물, 슬래그, 광원, 램프, LED, 피톤치드; a2) 상기 폭기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a3)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거나, b)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를 하는 장비이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하기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물, 하기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2의 적용 시에 하기 2a, 2b, 2c, 2d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2a는 a1)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2b는 b1)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2c는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2d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3은 a) a1)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탈수기, 선별기, 파쇄기, 숏팅기, 도포기, 도장기, 가습기, 제습기, 건조기, 처리기,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청소제, 세정제, 세척제, 탈수제, 선별제, 파쇄제, 숏팅제, 도포제, 도장제, 가습제, 제습제, 건조제, 처리제; a2) 상기 정화 내지 처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물; a3)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거나, b)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를 하는 장비이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a)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3의 적용 시에 하기 3a, 3b, 3c, 3d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3a는 a1)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a2)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3b는 b1)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거나, b2)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3c는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3d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4는 a) a1)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a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좌, 우,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간, 내부, 외부, 상부, 하부;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a3) 또는 상기 자화 내지 하부 중 하나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a4)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물질,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코일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살균제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피톤치드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거나, b)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도장 중 하나를 하는 장비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는 하기 4a, 4b, 4c, 4d, 4e, 4f, 4g, 4h, 4i, 4k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4a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제 내지 복합물, 정화제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b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c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의 전, 중, 후, 좌, 우,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간, 내부, 외부, 상부, 하부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d는 자화와 진동과 폭기와 정화의 복합, 자화와 진동과 살균과 폭기와 응집과 정화와 처리, 자화와 진동과 방전과 살균과 폭기와 응집과 침전과 정화와 청정과 처리의 복합,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방전과 살균과 폭기와 반응과 응집과 침전과 여과와 정화와 청정과 세척과 처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e는 자화기와 진동기과 폭기기와 정화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물과 살균물과 폭기기와 응집기과 정화제와 처리기의 복합, 자화와 진동물과 방전과 살균물과 폭기기와 응집제와 침전과 정화기와 청정제와 처리기, 자화기와 진동기과 가진기과 방전과 살균과 폭기와 반응과 응집과 침전과 여과와 정화와 청정과 세척과 처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f는 자화물과 진동물과 폭기제와 정화제의 복합물, 자화기와 진동기와 살균기와 폭기기와 응집기와 정화기와 처리기의 복합기, 자화기와 진동과 방전과 살균과 폭기와 응집제와 침전과 정화와 청정과 처리제의 복합, 자화기와 진동과 가진과 방전과 살균과 폭기와 반응과 응집과 침전과 여과와 정화제와 청정과 세척과 처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g는 자화 전에 폭기, 자화 전에 폭기하고 상기 폭기 후에 정화, 폭기 후에 정화, 폭기 후에 정화하고 상기 정화 후에 자화, 진동 중에 청소, 진동 중에 청소, 가진 후에 청정, 가진 후에 청정 후에 처리, 가진 후에 청정 후에 세정 후에 처리, 자화기에 구비된 폭기기, 폭기기 후에 구비된 정화기, 진동기 중간에 구비된 청소기, 가진기 상부에 구비된 청정기, 자화물 전에 투입되는 폭기제, 폭기제 후에 투입되는 정화제, 진동물에 투입되는 청소제, 가진물 후에 투입되는 청정제,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h는 a)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폭기, 정화하는 것; b) 역순으로 자화, 진동, 살균, 폭기, 응집, 정화, 처리하는 것; c)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방전, 살균, 폭기, 응집, 침전, 정화, 청정, 처리하는 것; d)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가진, 방전, 살균,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정화, 청정, 세척, 처리하는 것;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i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장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물질,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j는 코일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코일 또는 전극에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4k는 상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가 발현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장비 5는 a) 장비, 장치, 작업 장비, 공사 장비, 작업하는 장비, 공사하는 장비, 자재를 조성하는 장비, 시설을 조성하는 장비, 공사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장비, 자재를 이용하여 시설을 조성하는 장비, 자재를 이용하여 공사하는 장비, 정화 장비, 청정 장비, 정화하는 장비, 청정하는 장비, 공사 중에 정화하는 장비, 공사 중에 청정하는 장비; b) 또는 상기 수단, 작업, 재료, 자재, 일 내지 복합작업,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의한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or 機),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or 機),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or 機),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or 機);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or 機),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기(器 ), 기(機), 기(器 or 機) 등의 예로는 자화기, 폭기기, 정화기, 저장기, 혼합기, 타설기, 천공기, 굴착기, 분사기, 주입기, 숏팅기, 양생기, 코팅기, 처리기,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상기 기 또는 기(器 or 機)는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하기 저장 내지 복합은 하기 장비 6, 공사 5, 공사 6, 공사 7, 공사 8 등에 기재된 저장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6은 a) 재료, 물질, 공사재, 철근, 레미콘, 콘크리트, 정화제, 청정제 중 하나를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이송, 운반, 펌핑, 버블링, 절곡, 타설, 숏팅, 포설, 포장, 분사, 숏크리팅, 믹싱, 지중믹싱,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다짐, 진동, 미장, 피니싱, 양생, 경화, 면정리, 면처리; b) 또는 홀, 공, 곳, 장소, 철근, 형틀, 몰드, 거푸집,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균열, 공간, 공중, 수중, 구멍, 균열, 천공홀, 지하홀, 보링공, 굴착공, 지중공, 천공부, 굴착부, 균열부, 조인트부, 지중보링공, 건물형틀, 시설형틀, 도로형틀, 교량형틀, 터널형틀, 구조물형틀 중 하나에 상기 재료 내지 청정제 중 하나를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c)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d)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
상기 기(器), 기(機), 기(器 or 機) 등의 예로는 저장기, 투입기, 혼합기, 가압기, 이송기, 운반기, 펌핑기, 버블링기, 절곡기, 타설기, 숏팅기, 포설기, 포장기, 분사기, 숏크리터, 주입기, 인젝터, 그라우터, 믹싱기, 지중믹싱기, 다짐기, 진동기, 가진기, 미장기, 피니싱기,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등이 해당되고, 상기 고(庫)의 예로는 저장고, 투입고, 양생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는 a) 하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거나, b) 또는 공사에 속하거나, c) 또는 자재 및 시설을 조성하거나, d)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공사 또는 장비에 수반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재 또는 시설을 조성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장비 7은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으로서, a)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가압기(63), 이송라인(64), 운반차량, 펌프카, 버블기;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또는 이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절곡기(290) 또는 철근 절곡기, 노즐(66), 타설기(63, 66, 205), 타설구(200), 포설기, 분사기(66), 숏크리터, 주입기, 인젝터, 그라우터, 믹싱기, 지중믹싱기, 날개 구비 믹싱기, 다짐기; c) 상기 저장고 내지 다짐기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진동기(32), 가진기(33); d) 상기 저장고 내지 가진기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미장기, 단발기(350), 쌍발기(360), 피니셔, 스크리드(370), 면마무리용 단발기, 면마무리용 쌍발기, 포설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스크리드, 양생기, 증기양생기, 분사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e)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f)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장비 8은 재료, 몰탈, 물질, 철근, 약액, 현탁액, 정화제, 청정제, 처리제,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공사재료, 정화재료, 청정재료 중 하나(80)를 a) 저장하는 저장고(60), 투입하는 호퍼(61), 혼합하는 혼합기(62), 가압하는 가압기(63), 이송하는 이송라인(64), 운반하는 운반차량, 펌핑하는 펌프카, 버블링하는 버블기; b) 절곡하는 또는 철근을 절곡하는 절곡기, 분사하는 또는 재료를 분사하는 노즐, 타설하는 타설기, 타설하는 타설구, 포설하는 포설기, 분사하는 분사기, 숏크리팅하는 숏크리터, 주입하는 주입기, 인젝션하는 인젝터,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믹싱하는 믹싱기, 지중을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다짐하는 다짐기; c) 진동하는 진동기, 가진하는 가진기; d) 미장하는 미장기, 면처리하는 단발기, 면처리하는 쌍발기, 포설하는 피니셔, 면처리하는 피니셔, 면처리하는 스크리드, 양생하는 양생기, 경화하는 경화기, 면정리하는 면정리기, 면처리하는 면처리기; d)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버블링은 버블링, 팽창, 확장, 공기주입, 가스주입, 버블발생, 버블주입, 기포주입, 버블형성, 거품형성, 기포형성, 버블압형성, 경량, 경량화, 버블로 경량, 버블 주입으로 경량화, 버블기에서 버블 발생, 버블로 버블링, 버블기로 버블링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버블은 버블, 거품, 기포, 증기, 연기, 안개, 물방울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9는 a)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가압기(63), 이송라인(64), 운반차량, 펌프카, 버블기;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또는 이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절곡기(290), 노즐(66), 타설기(205), 타설구(200), 포설기, 분사기, 숏크리터, 주입기, 인젝터, 그라우터, 믹싱기, 지중믹싱기, 날개 구비 믹싱기, 다짐기; c) 상기 저장고 내지 다짐기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진동기, 가진기; d) 상기 저장고 내지 가진기 중 하나 이상의 가동 후에 사용되는 미장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스크리드, 면마무리용 단발기, 면마무리용 쌍발기, 포설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스크리드, 양생기, 증기양생기, 분사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e)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f)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는 a) 공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거나, b) 또는 장비에 속하거나, c) 또는 자재 및 시설을 조성하는 것이거나, d) 또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공사 또는 장비에 수반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재 또는 시설을 조성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비 10은 a) 칩, IC칩, 핀, 판, 팬, 침, 콘, 망, 링, 망, 줄, 선, 실, 솔, 봉, 대, 폴, 틀, 날, 조, 통, 함, 링, 대, 판, 막, 관, 통, 코인, 엽전, 와셔, 고무, 시트, 밴드, 튜브, 블럭, 막대, 차, 차량, 트럭, 밴드, 튜브, 호스, 라인, 탱크, 용기, 박스, 셀, 전기셀, 전자셀,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기기, 기구, 기계,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극, 코일, 로프, 나선, 비트, 후크, 센서, 기판, 모듈, 회로, 서버, 허브, 모뎀, 돌기, 파이프, 중공체, 벤츄리관, 인젝터, 와이어, 스프링, 용수철, 배터리, 카드, 메모리카드, 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패키지, 메모리, 메모리칩, 서큘레이터, 인터페이스; b) 상기 칩 내지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인터페이스; c) 상기 칩 내지 인터페이스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조합체;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된 a) 장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b) 또는 상기 장비 1, 장비 2, 장비 3, 장비 4, 장비 5, 장비 6, 장비 7, 장비 8, 장비 9; 중 하나이다. 상기 침은 침, 칩, 팁, 바늘, 니들, 1개 침, 2개 침, 다수개 침 등이 해당되고, 솔은 솔, 줄, 브러시, 1가닥 솔, 2가닥 솔, 다수가닥 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는 a)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장비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제공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살균제 또는 피톤치드가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공사 또는 장비에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자재 또는 시설에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등은 상기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 이용 또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장비 내지 복합기 등에는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셀에는 셀, 세포, 전기셀, 전자셀, 전해셀, 연료셀, 발전셀, 수소셀, MFC(microbial fuel cell), 전지셀, 연료전지셀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통에는 통, 물통, 가스통, 수소통, 산소통, 질소통, 저장통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장비 11은 수소, 가스, 전기, 배터리, 분해기(550), 전해기(571),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573), 미생물연료전지(MFC, 570), 가스를 발생하는 분해기, 수소를 발생하는 전해기, 분해기에서 발생된 가스, 분해기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 전해기에서 발생된 수소,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 추출기, 수소추출기, 압축기, 수소압축기, 탱크, 수소탱크, 인젝터, 차량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젝터, 디스펜서, 차량에 수소를 주입하는 디스펜서,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장비, 상기 장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장비 1 내지 10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장비 1 내지 10은 상기 장비 1, 상기 장비 2, 상기 장비 3, 상기 장비 4, 상기 장비 5, 상기 장비 6, 상기 장비 7, 상기 장비 8, 상기 장비 9, 상기 장비 10이다.
상기 장비 12는 a)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돌기 구비의 진동기, 돌기 구비의 진동튜브, 돌기 구비의 진동케이스, 자바라 구비의 진동기, 자바라 구비의 진동튜브, 자바라 구비의 진동케이스, 진동기가 구비된 자바라, 진동튜브가 구비된 자바라, 진동케이스가 구비된 자바라,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장비, 타설기, 펌프카; b)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자바라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타설구가 구비된 장비, 타설기, 펌프카;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는 a) 핀, 침, 칩, 대, 콘, 망, 봉, 틀, 링, 판, 요철, 돌기, 와셔, 밴드, 나선, 날개, 코일, 고무, 중공체, 돌출물, 와이어, 자바라;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핀 내지 자바라; c) 상기 칩 내지 조합체; d) 상기 핀 내지 조합체 중 둘 이상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핀 내지 조합체는 상기 핀 내지 자바라,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은 상기 핀 내지 자바라, 칩 내지 조합체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체이다. 이의 예로는 핀와 침, 칩과 대와 콘, 망과 봉과 틀과 링과 판, 요철과 돌기와 와셔와 밴드와 나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바라는 자바라, 주름 자바라, 휨성 자바라, 휘어지는 관, 휘어지는 호스, 휘어지는 튜브, 휘어지는 자바라, 주름있는 물체, 주름있는 호스, 주름있는 파이프, 주름있는 중공체, 주름있는 중공관, 주름진 중공의 물체,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중공 물체,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호스,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자바라, 이중 둘 이상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돌기, 자바라, 핀 내지 복합, 자바라 내지 복합 등은 a) 상기 돌기, 자바라, 핀 내지 복합, 자바라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상기 돌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전, 후,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간, 측면, 상부, 하부; 등에 구비 또는 거치가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핀과 상기 핀의 후에 콘과 상기 콘의 후에 나선과 상기 나선의 측면에 자바라와 상기 자바라의 후단에 자화기 구비, 돌기와 상기 돌기의 후단에 링과 상기 링의 후에 날개와 상기 날개의 측면에 자바라와 상기 자바라의 후단에 진동기 구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돌기, 자바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투입, 분사, 코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튜브는 a) 진동튜브, 가진튜브, 진동중공체, 진동하는 튜브, 진동기(32)가 구비된 또는 내장된 튜브(7, 37, 76, 77),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모터(26) 또는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고정자(2)에 연계된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모터,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튜브 캡, 튜브 몸체, 튜브 슈, 튜브 내부, 튜브 외부, 자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튜브이다.
상기 진동케이스는 a) 진동케이스, 가진케이스, 진동중공체, 진동하는 케이스, 진동기(32)가 구비된 또는 투입된 케이스(7, 37, 76, 77),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모터(26) 또는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고정자(2)에 연계된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모터,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캡, 케이스 몸체, 케이스 슈, 케이스 내부, 케이스 외부, 자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케이스이다. 상기 튜브, 케이스, 진동기 중 하나의 형상은 봉, 대, 판, 조, 통, 함, 튜브, 막대, 용기, 파이프, 길이봉,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는 회전체, 편심체, 반원통, 1/4원통, 회전편심체, 편심회전체, 회전하는 물체, 회전하는 회전체, 회전하는 편심체,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회전자 또는 모터의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튜브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또는 중공체는 a) 자신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 고정자; b)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거치된 회전자; c)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일측 회전축,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양측 회전축; d)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e)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자신; f) 돌기가 구비된 자신; g)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돌기; h) 상기 전달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비 13은 a) 자신의 내부를 통하여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인 진동기(200), 상기 타설하는 타설구(200)와 이에 거치된 진동기(30, 32)로 구성된 복합체 중 하나가 포함되거나, b)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면서 조건 1을 만족하는 자기장기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a) 포함과 b) 구비가 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1은 자기장(41)을 발생하면서 조건 2를 만족하는 가진기(33)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2는 파(波)를 발생하면서 조건 3을 만족하는 오존기(34)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波)는 파, 波, wave, 음파, 초음파, 진동파, 가진파, 자기장파, 떨림파, 자력파, 전기파, 전자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조건 3은 전기방전하면서 조건 4를 만족하는 음이온기(35)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4는 a) 공기, 대기, 현장공기, 타설공간, 타설현장, 타설주변, 사용수, 사용재료,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을 살균 또는 소독하는 기능 보유; b) 상기 기능 보유를 위하여 살균기 구비, 소독기 구비, 살균제 분사, 소독제 분사; c) 또는 현장 내의 먼지, 분진, 미세먼지 중 하나를 제거하는 기능 보유; d) 상기 제거 기능 보유을 위하여 필터 구비, 흡입기 구비, 포집기 구비, 집진기 구비, 사이클론 구비, 진공펌프 구비, 미스트분사기 구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14는 a) 진동(42)하는 자화기(31), 오존(44) 및 음이온(45) 발생하는 진동기(32), 자화(41)하는 가진기(33), 자기장(41)발생하는 오존기(34), 오존(44)발생하는 음이온기(35), 가진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진동하는 자기장기,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음이온 방생하는 살균기; b)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c)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거치된 장비, 상기 장비 1 내지 13,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장비 15는 a) a1)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중 하나가 발생되는 튜브형 또는 중공형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는 상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복합의 처리기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처리기이다. a2) 또는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중 하나가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의 전단에 장착된 유입구; 내부에 장착된 거치대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 후단에 장착된 또는 순차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 벤츄리관, 유출구; a4) a41)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오존깔대기,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a42)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거치된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a43) 상기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거치된 저장고, 콤프레서,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 a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호스;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인젝터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물질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유입구 내지 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호스, 체크밸브, 펌프, 저장고; a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a7)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a8) 상기 a1) 자화기 내지 a7)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 가 구비된 장치1; b) b1)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가 구비된 상기 장치1;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1;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1;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하는 상기 장치1;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1; g) 상기 장치1, 하기 장치2, 하기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1을 거친 물질, 상기 장치1에서 제공되는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16은 a) a1)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중 하나가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a2) 또는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의 전단에 장착된 유입구; 내부에 장착된 거치대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 후단에 장착된 또는 순차 장착된 티이관, 벤츄리관, 유출구; a4) 상기 티이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벤츄리관,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저장고,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 a5)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오존깔대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 a6)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호스;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자화기 내지 처리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체크밸브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인젝터 내지 물질유입구 중 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 또는 티이관; 상기 유입구 내지 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된 호스, 체크밸브, 펌프, 저장고; a7)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a8)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a9)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 가 구비된 장치2; b) b1)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가 구비된 상기 장치2;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2;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2;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하는 상기 장치2;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2; g) 상기 장치1, 상기 장치2, 하기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2를 거친 물질, 상기 장치2에서 제공되는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17은 a) a1) 유입 파이프; a2) 상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벤츄리; a3) 상기 벤츄리의 축소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거치된 인젝터; a4) 상기 벤츄리 후단에 연결된 유출 파이프; a5) 상기 인젝터에 연결된 체크밸브; a6)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된 호스; a7) 상기 호스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기; a8) 상기 호스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기; a9) 상기 호스에 압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셔; a10) 상기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 a11)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 a12) 물 또는 공기 또는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 파이프; a13)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a14) 상기 개폐 시간 조정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또는 충격적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압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a15) 상기 펄스압이 가미된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물, 공기, 물질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로 구성되면서, a16) 상기 유출 파이프에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수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장치3(52); b) b1) 상기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5)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b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5) 유출 파이프; 가 구비된 상기 장치3;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장치3;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3;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배출하는 상기 장치3;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장치3; g)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h) 상기 장치3을 거친 물질, 상기 장치3에서 제공되는 물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18은 a) 상기 타이머(98)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여 압기(壓氣), 오존, 음이온, 가스, 공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간격 만큼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72)와 유출구(78)를 통과하는 물질에 유입시키거나, b)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주기로 유입되는 압기의 펄스압을 가진 상기 통과 물질 또는 펄스형의 통과 물질을 상기 유출구(78); 이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19는 a) 상기 장치1(50), 장치2(51), 장치3(52), 유출구(78); b)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 1, 장치 2, 장치 3 등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가스, 공기;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20은 a)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장치3을 거친 물질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중 하나와 상기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44)을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통과 물질(80)에 유입, 유입하여 상기 통과 물질을 처리; b) 상기 유출구 내지 분사구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통과 물질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 21은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1을 거친 물질, 장치2를 거친 물질, 장치3을 거친 물질, 자화기 내지 케이스, 유입 파이프 내지 유출 파이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장비 22는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장치2와 장치3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이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와 이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장치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이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장치2와 상기 장치2의 후단에 연결된 장치3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가 연계되고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3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와 장치3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 1과 2가 연계되어 물질이 상기 장치1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1 및 2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2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 2와 1이 연계되어 물질이 상기 장치2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2 및 1을 통과하여 상기 장치1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 1과 2와 3이 연계되어 물질이 상기 장치1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1 및 2 및 3을 통과하여 상기 장치3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하나가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23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장비, 상기 장비 1 내지 22,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비 24는 a)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하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하기 저장 내지 복합; 하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장비이거나, c) 또는 상기 장비이면서 상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하기 저장 내지 복합 등에는 하기 공사 5, 6, 7, 8 등에 기재된 저장 내지 복합 등도 포함된다.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器)의 예로는 저장기, 자화기, 폭기기, 정화기, 복합기, 공사기, 복합공사기, 리모델링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25는 상기 장비 1, 장비 2, 장비 3, 장비 4, 장비 5, 장비 6, 장비 7, 장비 8, 장비 9, 장비 10, 장비 11, 장비 12, 장비 13, 장비 14, 장비 15, 장비 16, 장비 17, 장비 18, 장비 19, 장비 20, 장비 21, 장비 22, 장비 23, 장비 24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연계된 또는 순차적으로 연계된 또는 역순으로 연계된 장비이다. 이의 예로는 상기 장비 1과 2가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과 2와 3이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과 2와 3과 4가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과 2와 3과 4와 10이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과 2와 3과 4와 10과 24가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1과 12와 13과 14와 17과 24가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6과 5와 4와 3과 2와 1이 연계된 장비, 상기 장비 16과 15와 14와 13과 12와 11이 연계된 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또는 장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시설,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사이버, 아바타,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모빌리티,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24에서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은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하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하기 저장 내지 복합; 하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24에서 a)의 예로는 저장고, 복합기, 자화기, 복합기기, 폭기장치, 복합설비, 정화기구, 복합장치, 공사장비, 복합공사기구, 저장설비, 복합시스템, 저장기구, 리모델링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장고는 조(槽), 통, 함(函), 탱크, 사일로, 저장고, 재료 저장고, 가스 저장고, 수소 저장고, 연료 저장고, 골재 저장고, 시멘트 저장고, 철근 저장고, 레미콘 재료 저장고, 콘크리트 재료 저장고, 상기 호퍼 또는 혼합기에 재료를 공급하는 저장고, 상기 혼합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고, 상기 혼합기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의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고,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저장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 저장고에서 재료는 물, 물질, 재료, 모래, 골재, 시멘트, 아스팔트, 배합재, 하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상기 저장고, 조 내지 사일로 중 하나의 재료 또는 재질은 a) 섬유, 카본, 철재, 금속, 목재, 석재, 와이어, 라이너, 금속라이너, 비금속라이너, 시멘트재, 콘크리트, PVC, FRP, 그래핀, 복합재, 탄소재, 탄소실, 탄소시트, 탄소섬유, 탄소매트, 그래핀재, 고분자재, 플라스틱, 플라스틱복합재, 스테인레스스틸; b) 상기 섬유 내지 스테인레스스틸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섬유 내지 스테인레스스틸 중 하나 이상이 감긴(와인딩된) 재료; c) 상기 섬유 내지 재료 중 하나 이상이 2겹 또는 2층 이상을 이루는 복합재료; d) 상기 감김 시에 본드가 투입되는 상기 재료, 상기 2겹 또는 2층 이상 사이에 본드가 투입되는 상기 복합재료;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호퍼는 콘, 호퍼(61), 슈트, 벨트, 깔대기, 켄베이어, 내부 중공의 상기 콘 내지 깔대기,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 상기 저장고의 재료가 공급되는 호퍼, 상기 혼합기로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 상기 저장고의 재료를 상기 혼합기로 투입하는 호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합기는 믹서, 믹싱기, 혼합기(62), 교반기, 날개(176) 구비 혼합기(62),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호퍼(61)에서 투입된 재료(80)를 혼합하는 혼합기(62), 혼합된 재료를 상기 가압기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에 제공하는 혼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압기는 펌프, 가압기(63), 압력기, 압력펌프, 고압펌프, 유압펌프, 압송펌프, 이송펌프, 콤프레셔, 에어콤프레셔, 재료를 가압하는 가압기, 재료를 펑핑하는 가압기, 재료를 상기 이송라인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가압하는 가압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재료를 상기 이송라인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펌핑하는 가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송라인은 이송라인 1, 이송라인 2, 이송라인 3, 이송라인 4, 이송라인 5, 이송라인 6 중 하나이다. 상기 이송라인 1은 관, 관로, 호스, 슈트, 벨트, 컨베이어, 파이프, 이송관, 이송로, 이송라인, 이송수단, 파이프라인, 재료를 이송하는 수단, 상기 가압기에서 가압되는 재료를 이송하는 수단, 재료를 상기 운반차량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이송하는 수단, 상기 저장고 내지 가압기 중 하나의 재료를 상기 운반차량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이송하는 수단,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라인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송라인 2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압송관, 타설기(205)에 구비된 이송관(208), 펌프카에 구비된 이송관, 타설호스(209)에 연결된 이송관(208), 타설구(200)에 연계된 이송관(208), 유동화기를 통과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유동화기가 구비되어 통과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이송관, 피니셔에 의하여 포설되어 면처리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형틀에 콘크리트를 이송시키는 이송관, 비계에 거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자재에 포함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혼화제가 함유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방수제가 투입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송라인 3은 저장고(60), 호퍼(61), 배합기(62), 펌프(63), 가압기(63), 실린더(206)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208),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이송관, 선단에 엔드호스(209)가 구비된 이송관(208), 선단이 타설구(200)인 엔드호스(209)가 구비된 이송관(208)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송라인 4는 코일(16),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방전기, 살균기; 상기 코일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36); 상기 코일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매입된 중공체(104);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되어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이송관, 압송관, 이송라인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등은 하나의 유동화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이송라인 5는 자신(이송라인)을 구성하는 2개 이상 단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이송관, 압송관, 이송라인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이송관, 압송관, 이송라인 등은 2개 이상의 단관으로 구성되고, 이 단관의 내부 또는 사이에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단관은 단관, 2m관, 3m관, 4m관, 5m관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3m관이 10개로 구성된 이송라인은 30m의 길이를 가진 이송라인이 된다. 상기 이송라인 6은 이송 또는 통과되는 물질 또는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상기 이송라인 1, 이송라인 2, 이송라인 3, 이송라인 4, 이송라인 5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운반차량은 차, 차량, 트럭, 레미콘차, 운반차량, 재료 운반차량, 레미콘 운반차량, 콘크리트 운반차량, 재료를 운반하는 수단,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되는 재료를 운반하는 수단, 재료를 상기 운반차량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이송하는 수단, 상기 저장고 내지 가압기 중 하나의 재료를 상기 운반차량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로 이송하는 수단,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차량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버블기는 버블기 1, 버블기 2, 버블기 3, 버블기 4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버블기 1은 버블기, 펄스기, 버블 펄스기, 펄스 버블기, 버블을 발생하는 펄스기, 버블을 발생하는 버블기, 재료에 버블을 투입하는 버블기, 상기 이송라인에 버블을 투입하는 버블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버블을 주입하는 버블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버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버블기 2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버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버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버블기, 상기 호퍼 또는 혼합기에 버블을 공급하는 버블기, 재료의 이송라인에 버블을 주입하는 버블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에 버블을 투입하는 버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버블기 3은 a)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6)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b) 또는 상기 장치1 내지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으로 부터 버블을 발생하는 장치, 버블기, 펄스기, 압기버블기, 오존버블기, 펄스버블기, 살균버블기 중 하나이다. 상기 버블기 4는 a)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6)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거치된, b) 또는 상기 거치되어 버블을 발생하는 장치, 버블기, 펄스기, 자화버블기, 압기버블기, 진동버블기, 가진버블기, 오존버블기, 음이온버블기, 회전버블기, 펄스버블기, 살균버블기, 복합버블기 중 하나이다.
상기 물질은 상기 또는 하기의 수(水) ∼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물질에는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돌,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분말, 재료, 물질, 모래, 자갈, 골재, 토사, 토양, 석, 암석, 바위, 쇄석, 쇄사, 해사, 폐분, 애쉬,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디톡스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첨가제, 혼화제, 액상물, 고상물, 기상물, 미생물, 나노물, 슬러리,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피톤치드;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물;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의 순으로 조합된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된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상기 차염은 차염, 차염산, 차아염소산나트륨, 나트륨하이포아염소산, 클로록스, 표백제액체, 나트륨하이포아염산염용액, 차아염소산소다, 차염소산소다, 치아염소산나트륨용액, 차염소산나트륨, 차염산나트륨, 차염산소다, 차아염산나트륨, 차아염산소다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라디칼은 라디칼, radical,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가진 원자(atom) 또는 분자(molecule), OH-라디칼 등으로, 이의 예로는 탄소 간의 공유결합이 균일 분해가 되어 형성되는 탄소라디칼(carbon radical)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티탄, 티탄제 등은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티탄재, 티탄함유물, 티탄포함물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디톡제, 디톡스제 등은 디톡제, 살균제, 디톡스제, 청정제, 정화제, 소독제, detox agent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나노물은 나노물, 나노제,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인 물질, 10-9미터 크기의 물질, 10억 분의 1 미터 크기의 물질, 10-7∼10-11미터 크기의 물질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자화물은 자화된 물질, 진동물은 진동된 물질, 가진물은 가진된 물질, 오존물은 오존처리된 물질, 음이온물은 음이온처리된 물질, 회전물은 회전된 물질, 분해물은 분해된 물질, 전해물은 전기분해처리된 물질, 살균물은 살균된 물질, 방전물은 전기방전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피톤, 피톤제, 피톤치드 등은 피톤, 피톤제, 피톤재, 피톤치드, phytoncide, 피톤치드의 준말, 피톤치드의 약어, 피톤치드 함유물, 피톤치드 포함물 등이 해당된다. 피톤치드는 식물, 나무, 편백나무 등이 자신의 생존을 어렵게 만드는 균, 해충,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퇴치하기 위해 방출하는 것으로 살생 효능을 가진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이는 식물성 살균물질 또는 식물성 살생물질이 된다. 피톤치드는 식물을 뜻하는 phyton과 죽이다를 뜻하는 cide의 합성어이다.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것으로는 향신료, 양파, 마늘, 나무, 녹차나무, 오크, 향나무, 소나무, 잣나무, 편백나무 등이 있다. 소나무에서 방출되는 테르펜류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allicin)이나 다이알릴 다이설파이드(diallyl disulfide) 등이 대표적인 피톤치드이고, 나무 중에는 편백나무에서 피톤치드가 가장 많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버블기는 상기 압기, 펄스, 펄스 압기, 오존 포함 공기 등에 의하여 버블, 거품, 기포, 공기방울, bubble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버블 내지 bubble 등은 재료, 콘크리트, 공기, 대기, 수질, 환경, 주변, 인근, 현장, 현장내부, 현장공기, 상기 튜브 내지 파이프 등을 통과하는 물질 등에 공급, 주입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자화버블기 내지 복합버블기 등은 a) 상기 자화가 내지 복합기 등이 거치된,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되는,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으로 처리하면서 버블을 형성하는 버블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버블기는 상기 오존, 물질, 또는 물질에 포함되는 촉매, 광촉매,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공기, 대기, 수질, 환경, 주변, 인근, 현장, 현장내부, 현장공기, 상기 튜브 내지 파이프 등을 통과하는 물질 등이 살균되기 때문이다. 상기 펄스버블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개폐간격(開閉間隔), 타이머 등에 의하여 압기가 공급(開), 무공급(閉), 공급(開), 무공급(閉) 등을 반복적으로 하여 시간차를 주는 펄스, pulse, 비주기적압력. 시간차압력, 진동압력, 충격압력, 펄스압기, 막혔다가(閉) 갑자기 뻥뚤리는(開) 압력 등이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콘크리트 내지 물질 등에 작용되는 것이다.
상기 자화버블기 내지 복합버블기는 a)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거치된, b) 또는 자화, 압기,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펄스, 버블;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하는,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으로 처리하면서 버블을 형성하는 버블기이다.
상기 절곡기는 절곡기 1, 절곡기 2, 절곡기 3 중 하나이다. 상기 절곡기 1은 절곡기, 철근 절곡기, 재료 절곡기, 자재 절곡기, 보강재 절곡기, 형틀에 배근되는 철근 절곡기, 철근을 ㄱ 또는 ㄷ 또는 ㄹ 또는 ㅁ 형상으로 절곡하는 절곡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근되는 철근 절곡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절곡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절곡기 2는 하우징(291), 이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293),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왕복이동되게 구동되는 로라(292),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철근이 삽지 또는 인입되는 반력지그(294)와 가이드지그(295), 상기 반력지그(294)에 대향되는 가이드지그(295), 상기 대향되는 사이(299)에 철근이 삽지 또는 인입되는 반력지그와 가이드지그, 철근(260)의 굵기게 따라 상기 사이(299)의 크기가 조정되는 반력지그와 가이드지그, 상기 로라의 이동에 의한 철근의 절곡 시에 철근이 절곡되는 각도를 유도하는 상기 가이드지그(295), 상기 철근의 절곡시 철근의 반력 역할을 하는 반력지그(294), 상기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노브(297), 상기 이동 정도 및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298)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기 3은 상기 로라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여 철근을 절곡하는 것, 2개의 원통으로 구성된 상기 반력지그(294)와 1개의 원통으로 구성된 상기 가이드지그(294)를 이용하여 철근(260)을 절곡하는 것, 단면이 상하 직선 및 좌우 곡선의 폐합형인 통으로 구성된 반력지그(294)와 직사각통으로 구성된 가이드지그(294)를 이용하여 철근(260)을 절곡하는 것, 상기 반력지그(294)와 상기 가이드지그(294) 사이(299)에는 철근(260)이 삽지 또는 인입되고, 상기 로라(292)의 이동에 의하여 철근(260)이 가이드지그(294)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도록 하는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노즐은 a) 노즐(66), 분사기, 물분사 노즐, 물줄기분사 노즐, 미스트분사 노즐, 물 및 오존 분사 노즐, 재료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구비된 노즐,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재료를 분사하는 노즐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자신의 전단, 내부, 내관(66-1), 외관(66-3), 후단, 연결부, 연결호스 중 하나 이상에 콘, 링, 홀(66-2), 벤츄리(77), 축소부(77), 충돌판(67); b2) 자신의 선단 또는 말단에 홀, 구멍, 콘, 확산콘(68), 분사구(68); b3) 상기 벤츄리 또는 축소부에 인젝터(93); b4) 상기 인젝터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타이머(98),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노즐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노즐이다. 상기 노즐의 예로는 노즐(66)을 통과하는 물(80)이 노즐 내관(66-1)의 홀(66-2)을 통과하면서 1차 와류하고, 외관(66-3)의 내벽에 부딪혀 2차 와류하고, 내부의 충돌판(67)에 충돌하여 3차 와류하고, 선단의 확산콘(68)에서 4차 와류하면서 확산 분사하는 노즐이 있다. 이는 도 15 참조.
상기 타설기는 타설기 1, 타설기 2, 타설기 3, 타설기 4, 타설기 5, 타설기 6, 타설기 7, 타설기 8, 타설기 9, 타설기 10, 타설기 11, 타설기 12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타설기 1은 a) 드론(65), 펌프카(205), 펌핑카, 타설기(205),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320), 3D프린터형 드론, 드론형 3D프린터, 타설구(200)가 구비된 타설기(205), 타설호스(209)가 구비된 타설기(205), 타설호스(209)의 선단에 타설구(200)가 구비된 타설기(205); b) 재료 또는 콘크리트 타설구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3D프린터; 자신(205)의 선단에 콘크리트 타설구(200)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3D프린터; 호스(200)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3D프린터; 자신에 거치된 호스(209) 선단에 콘크리트 타설구(200)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3D프린터; 상기 가압기(63)에서 가압된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타설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타설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타설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타설장비, 타설수단 중 하나는 타설을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등이다. 상기 펌프카, 펌핑카,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중 하나는 펌프 또는 펌핑 또는 가압을 하는 카(car),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수단, 트럭, 카고, 트레일러 등이다.
상기 드론은 드론 1 또는 드론 2이다. 상기 드론 1은 a) 드론(65), 비행하는 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무인비행하는 드론, 타설수단이 구비된 드론, 3D프린터형 드론, 비행하면서 타설하는 드론,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b) 타설수단인 노즐, 호스, 분사기, 타설기,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드론; d)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된 드론;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되어 비행하면서 타설하는 드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드론 2는 a) 드론, 무인드론, 유인드론, 분사드론, 분무드론, 살수드론, 수중드론, 공중드론, 비행드론, 택배드론, 배달드론, 농약드론, 소독드론, 업무드론, 공사드론, 청정드론, 재난드론, 구호드론, 케이지드론, 모빌리티, 발전드론, 태양발전드론, 풍력발전드론, 공기청정드론, 무인비행드론, 인공강우드론, 드론비행기, 드론비행선, 물건운반드론, 카메라 구비 드론, 회전날개 구비 드론, 발전기 구비 드론, 태양 또는 풍력 발전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해양오염 정화하는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분사기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중에 물질을 분사하여 인공강우를 생성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b) 몸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장착된 거치대에 거치된 회전날개가 구비된 드론; c)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d)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의해 비행하는 드론; e) 제어부가 내장되면서 외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날개와 상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드론; f) 기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기체 또는 거치대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체에 양력을 제공하는 1개 이상의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지를 구비하여 비행하는 드론; g) 일정의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비행하게 하는 날개와 상기 비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날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로 구성된 드론; h) 상기 드론, 몸체, 거치대, 날개, 프로펠라, 카메라, 배터리, 발전기, 모터,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상기 드론 내지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상기 드론;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사드론은 본체; 이에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구동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축에 체결되면서 상기 모터 또는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상기 회전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리 및 용기; 농약 또는 물질이 저장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된 상기 용기;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상기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된 자화기 또는 파동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호스; 상기 용기 또는 호스에 연계되는 벤츄리관; 상기 용기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관에 연계되는 펌프;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또는 디퓨져; 상기 펌프의 압기(壓氣)가 통과되는 상기 호스, 벤츄리관, 노즐, 디퓨져;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물질이 분사되는 상기 노즐 또는 디퓨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달드론은 a) 배달통이 구비되는 드론이거나, b) 또는 배송지 주소 저장 또는 입력, 물품 탑재, 이륙, 운항, 배송지 도착, 착륙, 물품 인계, 배송비 결제, 이륙, 회항, 운항, 출발지 도착, 착륙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은 a)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b)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의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이거나, c)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의 이용 또는 구비 등이 가능하거나, d)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의 이용 또는 구비 등이 되는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이다.
상기에서 무인드론은 무인드론, 자동운전드론, 무인운전드론, 사람미탑승드론 등이고; 유인드론은 유인드론, 유인운전드론, 사람이 운전하는 드론, 사람탑승드론 등이고; 분사드론은 분사드론, 분사하는 드론, 노즐로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분무드론은 분무드론, 분무하는 드론, 미스트를 분무하는 드론 등이고; 살수드론은 살수드론, 살수하는 드론, 살수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수중드론은 수중드론, 수중 또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드론, 수륙양용드론 등이고; 공중드론은 공중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운행하는 드론 등이고; 비행드론은 비행드론,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택배드론은 택배드론, 택배하는 드론, 택배물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고; 배달드론은 배달드론, 배달하는 드론, 음식을 배달하는 드론 등이고; 농약드론은 농약드론, 농약을 살포하는 드론, 노즐로 농약을 포설하는 드론 등이고; 소독드론은 소독드론, 소독하는 드론, 공중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업무드론은 업무드론, 업무하는 드론, 공중에서 업무하는 드론 등이고; 공사드론은 공사드론, 공사하는 드론, 공사에 이용되는 드론 등이고; 청정드론은 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재난드론은 재난드론, 재난구호드론, 재난에 투입되는 드론 등이고; 구호드론은 구호드론, 인명을 구호하는 드론, 재난구호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이동하는 것, 공중을 운행하는 모빌리티 등이고; 발전드론은 발전드론, 발전하는 드론, 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태양발전드론은 태양발전드론, 태양발전하는 드론,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풍력발전드론은 풍력발전드론, 풍력으로 발전하는 드론,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공기청정드론은 공기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무인비행드론은 무인비행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무인으로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인공강우드론은 인공강우드론, 인공강우를 내리는 드론, 인공강우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드론비행기는 드론비행기, 드론인 비행기, 드론과 같은 비행기 등이고; 드론비행선은 드론비행선, 드론인 비행선, 드론과 같은 비행선 등이고; 물건운반드론 물건운반드론,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비행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다.
상기 케이지드론은 케이지드론, 케이지가 에워싸인 드론, 케이지로 보호되는 드론, 외부에 케이지가 구비되는 드론 등이다. 상기 케이지는 케이지, cage, 망, 네트, 스크린, 우리, 새장, 쇠창살, 철사 케이지, 철근 케이지, 창살 케이지, 철사로 만든 우리, 철사로 만든 새장,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합성수지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드론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는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서 드론이 물체와 충돌 시 드론을 보호하는 케이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UAM, 비행기, 모빌리티 등은 드론, 차, 차량, 택시, 콜택시, 버스, 트럭, 배, 보트, 선박,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전동킥보드, 퀵보드, 카트, 전동카트, 스크터, 전동스크터, 자전거, 전기자전거, 바이크, 전동바이크, 오토바이, 전기오토바이, 드론카, 드론택시, 택시드론, 드론버스, 드론트럭,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항공택시, 항공버스, 비행택시, 비행버스, 에어택시, 에어버스, 이착륙기, 수직이착륙기, 전기수직이착륙기, 플라잉카, 플라잉택시, 플라잉버스, 플라잉트럭, 하늘을 나는 차(car), 하늘을 나는 택시, 하늘을 나는 버스, 하늘을 나는 수단,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촬영드론, GPR드론, GPS드론, 레이더드론,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전기모빌리티, 택시모빌리티, 배달모빌리티, 공격모빌리티, 수비모빌리티, 배터리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 UAM기, 항공모빌리티기, 에어모빌리티기, 이동하는 모빌리티, 활공하는 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모빌리티시스템, 비행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3D프린터는 a) 3D프린터, 3D프린팅을 하는 3D프린터, 타설수단이 구비된 3D프린터, 3차원으로 타설하는 3D프린터, 드론형 3D프린터, 자신에 구비된 플로터로 타설하는 3D프린터, 자신에 구비된 플로터가 3차원으로 이동하면서 타설하는 3D프린터;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3D프린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3D프린터; c) 타설수단인 노즐, 호스, 디퓨저, 분사기, 타설기, 타설구, 플로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3D프린터; d) 상기 타설수단, 노즐 내지 플로터 중 하나 이상이 3차원으로 이동하면서 타설하는 3D프린터;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된 3D프린터; f)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되어 타설하는 3D프린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a) 상기 3D프린터형 드론은 3D프린터와 드론의 결합체, 3D프린팅을 하는 드론, 3D프린터가 구비된 드론, 3D프린터의 플로터가 구비된 드론, 플로터로 3D프린팅을 하는 드론, 3차원으로 타설하는 드론, 비행하면서 3차원으로 타설하는 드론, 분사 노즐이 구비된 드론, 비행하면서 분사 노즐로 3차원으로 타설하는 드론, 비행하면서 3D프린터의 플로터로 타설하는 드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b) 상기 드론형 3D프린터는 드론과 3D프린터의 결합체, 비행하는 3D프린터, 드론이 구비된 3D프린터, 드론의 날개가 구비된 3D프린터, 드론으로 3D프린팅을 하는 3D프린터, 드론에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드론에 의하여 3차원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드론에 의하여 3차원 이동하면서 타설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비행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비행하는 플로터로 3차원 타설하는 3D프린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 상기 날개는 팬, fan, 날개, wing, 블레이드, 프로펠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기 2는 a) 차량; b) 차량의 호퍼(61), 실린더(206), 붐대(207), 이송관(208), 엔드호스(end hose, 209); c) 차량과 이에 탑재된 상기 호퍼 내지 엔드호스; d) 차량의 후방에 거치되면서 콘크리트(80)가 투입되는 호퍼(61); e) 상기 투입된 콘크리트를 펌핑하는 실린더(63, 206); f) 하기 이송관, 엔드호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붐대(207); g) 상기 투입 또는 펌핑된 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이송관(208); h) 상기 이송관의 말단에 연계된 엔드호스(209); i) 상기 차량 내지 엔드호스 중 하나의 타설구(200); j)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k)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된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ℓ)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타설기이다.
상기 타설기 3은 a) a1)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구(200), 진동형 타설구; a2)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인 진동기(200), 중공형 진동기(200); a3)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또는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또는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구, 진동기; a4) 또는 가진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상기 타설구, 진동기; a5) 상기 가진기 내지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타설구, 진동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면서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기; 이에 속하는 드론(65), 펌프카(205), 펌핑카,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32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4는 자신의 이송관(208), 엔드호스(209), 타설구(209)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32),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거치된 타설기이다. 여기서 연결수단은 봉, 대, 판, 끈, 줄, 로프, 철근, 와이어, 연결수단(212), 진동기의 전선(6), 진동기의 호스(8)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기 5는 a)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인 진동기(200),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32),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200),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진동형 타설구(200),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타설구인 진동기(200),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타설형 진동기(200)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32)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진동기(32)가 콘크리트 타설구(200)에 구비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기(205); 이에 속하는 드론, 펌프카, 펌핑카,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6은 a) 타설기; 이에 속하는 드론, 펌프카, 펌핑카,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 중 하나로서, b)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에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구비되고, c) 상기 복합체는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의 타설구(200)와 이에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6, 8, 212)으로 거치된 진동기(32), 봉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7), 진동케이스(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d)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e)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f)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g)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h)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타설기 7은 하기 조건 7-1을 만족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타설기이다. 상기 조건 7-1은 a) 콘크리트 타설구(200), 이에 거치된 롯드(212) 또는 케이스 호스(8) 또는 진동기 호스(8), 이 롯드(212) 또는 호스(8)에 연결된 진동하는 케이스(7) 또는 진동기(32), 상기 호스 내부에 매입된 케이블(6), 이 케이블에 연결되는 모터(26) 또는 플러그(10) 또는 전원공급기(12),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내부에 매입된 스테이터(2), 이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1), 이 로터에 연계되는 회전체(3),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내부에 매입된 회전체(4), 상기 로터 또는 케이블의 회전 또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4),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또는 진동기(32), 이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타설구(200) 또는 호스(8),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는 상기 케이스(7) 또는 진동기(3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b) 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이중 하나 이상의 속, 내부, 외부; 등에 팬, 나선, 스크류, 회전기, 교반기, 회전교반기, 중공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팬 내지 회전교반기 등은 물질, 재료, 콘크리트 등을 교반, 믹싱, 혼합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타설기 8은 a) 타설기; 이에 속하는 드론, 펌프카, 펌핑카,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 중 하나로서, b)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에 조건 1을 만족하는 타설구가 구비되고, c) 상기 조건 1은 콘크리트를 진동, 타설진동, 진동타설, 다짐진동, 진동다짐, 타설 전 진동, 타설 중 진동, 타설 후 진동, 타설하면서 진동, 진동하면서 타설, 타설 중 및 후에 진동, 타설 전 및 중 및 후에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d) 상기 타설구는 조건 2를 만족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가진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내부 중공의 상기 타설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e) 상기 조건 2는 진동하는 진동기, 튜브,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또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타설기 9는 a) 재료타설기, 레미콘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숏크리트타설기, 녹생토타설기, 시드스프레이기, 그라우팅타설기, 시설타설기, 건물타설기, 교량타설기, 도로타설기, 기초타설기, 터널타설기, 구조물타설기; b) 또는 재료,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중 하나를 타설하는 타설기, 재료를 형틀에 타설하는 타설기, 재료를 지중에 타설하는 타설기, 재료를 보링공에 타설하는 타설기; c) 또는 시설, 건물, 교량, 도로, 기초, 터널, 구조물 중 하나를 조성하기 위한 타설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10은 자화하고 진동하면서 살균하는 기능을 가진; 또는 소독하고 살균하는 이외에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드론, 펌프카, 펌핑카, 타설기,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기 드론 내지 3D프린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11은 자화하고 진동하면서 살균하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소독하고 살균하는 이외에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지면서, a) 차량; b) 차량의 호퍼, 실린더, 붐대, 이송관, 엔드호스(end hose); c) 차량과 이에 탑재된 상기 호퍼 내지 엔드호스; d) 차량의 후방에 거치되면서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호퍼; e) 상기 투입된 콘크리트를 펌핑하는 실린더; f) 하기 이송관, 엔드호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붐대; g) 상기 투입 또는 펌핑된 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이송관; h) 상기 이송관의 말단에 연계된 엔드호스; i) 상기 차량 내지 엔드호스 중 하나의 타설구; j) 상기 자화 내지 방전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타설기이다.
상기 타설기 12는 a) 타설기; 이에 속하는 드론, 펌프카, 펌핑카, 타설장비, 타설수단, 펌프트럭, 펌프수단, 펌프기구, 펌프장비, 3D프린터; 중 하나로서, b)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에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구비되고, c) 상기 복합체는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의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으로 거치된 진동기, 봉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d)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e)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f)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g)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h)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건물타설기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건물, 건물 형틀, 철근 배근된 건물 형틀 중 하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교량타설기는 교량타설기, 상판타설기, 교각타설기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교량(480)은 상판(481), 교각(482) 등으로 구성된다. 도 44의 a는 상판(481), 교각(482) 등으로 구성된 교량(480)을 보여준다. b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3차원 형상의 상판타설기(483), 상판 형틀(483) 등을 보여준다. c는 상판타설기(483), 상판 형틀(483) 등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상판타설기(483)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상판, 상판 형틀(483), 철근 배그된 상판 형틀(483), 상판의 외형(485)을 닮은 형틀(483), 상판의 내형(484)과 외형(485)을 닮은 형틀(483), 상판의 외형(485)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3), 상판의 내형(484)과 외형(485)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3), 상기 내형(484)과 외형(485)의 사이가 일정 거리 이격(486)된 상기 형틀, 상판의 내부형틀(484)과 외부형틀(485)로 구성된 형틀(483), 상판의 내부형틀(484)과 외부형틀(485)이 조립된 형틀(483), 일정의 길이(487)를 가진 상기 형틀(483), 교량(4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형틀(483) 중 하나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교각타설기(488)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교각, 교각 형틀(488), 철근 배근된 교각 형틀(488), 교각의 외형을 닮은 형틀(488), 교각의 외형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8), 교각을 따라 이동 또는 승강하는 상기 형틀(488) 중 하나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숏크리트타설기, 녹생토타설기, 시드스프레이기 중 하나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사면, 법면, 터널, 표면, 외벽, 건물, 구조물, 굴착부, 굴착면, 비탈면 중 하나에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숏크리트재, 녹생토, 시드스프레이재 중 하나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그라우팅타설기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지반, 지중, 지하, 암반, 건물, 구조물, 균열, 요철, 조인트, 보링공, 지하보링공, 건물보링공; 보강재가 투입된 상기 지반 내지 건물보링공; 중 하나에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그라우팅재 중 하나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도로타설기 중 아스콘 도로타설기는 a) 아스콘을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거나, b) 또는 트럭으로부터 아스콘이 투입되는 호퍼, 이 호퍼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연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아스콘을 스크류로 공급하는 체인, 상기 공급된 아스콘을 분산시켜 도로에 포설하는 상기 스크류, 상기 포설된 아스콘에 진동을 가하면서 피니싱하는 스크리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호퍼 내지 스크리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도로타설기 중 콘크리트 도로타설기는 a) 콘크리트를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거나, b) 또는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깔아 놓는 스프레더, 상기 거푸집 상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는 1차 스크리드, 상기 고르는 중에 콘크리트에 진동과 압력을 가해 다지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다져진 콘크리트를 칼날을 이용해 평탄하게 하여 마무리하는 피니싱 스크리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가 구비된 상기 스프레더 내지 피니싱 스크리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1) 상기 기초타설기는 기초타설기 1, 기초타설기 2, 기초타설기 3 중 하나이다. 2) 상기 기초타설기 1은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지반, 지중, 지하, 암반, 굴착부, 천공홀, 보링공, 지하보링공; 철근망이 투입된 상기 지반 내지 지하보링공; 중 하나에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기초조성재 중 하나를 타설하는 것이다. 3) 상기 기초타설기 2는 a) 백호(170), 굴삭기, 보링기, b) 이중 하나의 회전축(174), c) 상기 회전축에 연계된 호스(64), d) 상기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바인더(191), e) 상기 롯드에 구비된 날개(176), 비트(177), 길이가 상이한 2개 이상의 날개(176); f) 지중에 관입되는 상기 롯드(174), 날개(176), 비트(177); g) 자신의 회전(175)에 의하여 바인더(191), 토사(190), 잔토(190), 슬라임(192), 섬유 또는 보강재(193) 중 둘 이상을 혼합하는 상기 롯드 또는 날개; h) 상기 혼합에 의하여 지중에 기초(195), 파일, 지중기초, 지하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195), 원통(196) 및 콘(197) 형상의 기초(195), 변단면 또는 깔대기(197) 형상의 기초(195), 대원통(196) 및 콘(197) 및 소원통(198) 형상의 기초(195) 중 하나를 조성하는 상기 백호 내지 날개; i) 지상에서 바인더(191), 토사(190), 잔토(190), 섬유 또는 보강재(193), 상기 조성 중에 지상으로 배출된 슬라임(192) 중 둘 이상을 혼합, 포설, 다짐하는 백호(172), 이의 버켓(177); j) 상기 혼합, 포설, 다짐에 의하여 지상에 기초(194), 표층기초(194), 매트기초(194) 중 하나를 조성하는 상기 백호(172), 버켓(177); k)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버켓;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4) 상기 기초타설기 3은 a) 백호, 굴삭기,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b) 이중 하나의 붐(513), c) 이 붐의 암(514), d) 이 암의 선단(515), e) 이 선단의 회전수단(516); f) 상기 회전수단에 장착된 회전축(520); g)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장착된 비트(524); h) 상기 회전축에 연계되는 또는 순차 연계되는 호스(64), 펌프(63), 배합기(62), 호퍼(61), 저장고 또는 사일로(60); i)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널타설기는 터널타설기 1, 터널타설기 2, 터널타설기 3, 터널타설기 4 중 하나이다. 상기 터널타설기 1은 a) 터널, 지하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지하철터널, 지반굴착터널, 발파굴착터널, 기계굴착터널, 지하공간, 지하공동구, 지하단독구, Shield굴착터널, TBM(tunnel boring machine)굴착터널,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굴착터널; b) 이중 하나의 바닥, 하부, 상부, 천장, 벽, 측부, 둘레, 내부, 내면, 내부, 라이닝, 굴착부, 숏크리트부, 그라우팅부, 굴착면 숏크리트부, 주변지반 그라우팅부; c)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의 거푸집;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닮은 거푸집; d)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닮으면서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으로 부터 30cm 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거푸집; e) 철근 배근된 상기 거푸집; 배근된 철근에 설치된 상기 거푸집; f) 일정 길이를 가진 상기 거푸집; 터널 굴착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상기 거푸집; g) 터널 내를 이동하는 상기 거푸집;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터널 내를 이동하는 상기 거푸집; 중 하나 이상에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시멘트재, 숏크리트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를 타설하는 타설기이다.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거푸집, 30cm, 일정거리 이격,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와 거푸집의 사이 등에는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시멘트재, 숏크리트재, 그라우팅재 등이 타설, 주입, 투입 등이 된다. 상기 바닥은 바닥, 하부 등이 포함되고, 상기 둘레는 상부, 천장, 벽, 측부, 둘레 등이 포함된다. 상기 라이닝(lining)은 터널, 굴착면, 굴착부, 숏크리트부,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설치되는 일정두께 또는 30cm 두께의 콘크리트층이거나, 또는 굴착부 표면에 타설되는 숏크리트부의 표면에 설치되는 일정두께 또는 30cm 두께의 콘크리트층이다. 상기 굴착부는 굴착부, 굴착면, 굴착된 부위 등이다. 상기 숏크리트부는 굴착면 표면에 뿜어붙이기된 일정두께 또는 15cm 두께의 숏크리트층이다. 상기 그라우팅부는 터널 주변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부위이다.
상기 터널타설기 2는 지하 굴착 중, 지하 굴착 후, 지하 굴착 직후, 지하 굴착과 동시, 지하 굴착 중 굴착부 후방, 지하 굴착 후 버력 반출시, 지하 굴착 후에 버력 반출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터널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에 철근, 형틀 중 하나 이상을 설치하고, 상기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또는 상기 굴착된 면과 형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기이다. 상기 터널타설기 3은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터널 내지 거푸집 중 하나 이상에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시멘트재, 숏크리트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를 타설하는 타설기이다. 상기 터널타설기 4는 지반 또는 암반을 굴착하는 굴착기, 천공기, 전면에 다수개의 굴착비트가 장착된 커터헤드(431); 이중 하나의 후방에 연결되어 터널 굴착시 발생되는 버력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432); 상기 이송하는 호이스트 구비의 버력이송부(433); 상기 벨트컨베이어 또는 버력이송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벨트컨베이어 또는 버력이송부 또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 버력을 담아 반출하는 버력반출부(434);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굴착기 내지 버력반출부; 등에 의하여 굴착되는 터널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이하 도 44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펌프카는 펌프카 1, 펌프카 2, 펌프카 3, 펌프카 4, 펌프카 5, 펌프카 6, 펌프카 7, 펌프카 8, 펌프카 9, 펌프카 10, 펌프카 1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펌프카 1은 펌프카, 펌핑카, 재료 펌프카, 레미콘 펌프카, 아스콘 펌프카, 콘크리트 펌프카, 타설구가 구비된 펌프카, 타설호스가 구비된 펌프카, 타설호스의 선단에 타설구가 구비된 펌프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펌프카 내지 콘크리트 펌프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펌프카 내지 콘크리트 펌프카;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는 상기 펌프카 내지 콘크리트 펌프카;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재료를 제공하는 상기 펌프카 내지 콘크리트 펌프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펌프카 2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에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가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으로 거치된 펌프카이다.
상기 펌프카 3은 자신의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가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거치된 펌프카이다. 상기 펌프카 4는 a) 차량; b) 차량의 호퍼(61), 실린더(63, 206), 붐대(207), 이송관(208), 엔드호스(end hose, 209); c) 차량과 이에 탑재된 상기 호퍼 내지 엔드호스; d) 차량의 후방에 거치되면서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호퍼(61); e) 상기 투입된 콘크리트를 펌핑하는 실린더(63, 206); f) 하기 이송관, 엔드호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붐대(207); g) 상기 투입 또는 펌핑된 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이송관(208); h) 상기 이송관의 말단에 연계된 엔드호스(207); i) 상기 차량 내지 엔드호스 중 하나의 타설구(200); j)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200); k)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된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ℓ)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펌프카(205)이다.
상기 펌프카 5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200)와 이에 장착된 진동기(32)로 구성된 복합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200)와 이에 장착된 진동튜브(7, 32)로 구성된 복합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200)와 이에 장착된 진동케이스(7, 32)로 구성된 복합체, 상기 타설구(200)의 내부에 진동기(32), 상기 타설구의 단부에 진동튜브(7), 상기 타설구의 외부에 진동케이스(7);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펌프카이다. 상기 펌프카 6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펌프카이다.
상기 펌프카 7은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b)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것이다. 상기 펌프카 8은 자신의 이송관(208), 엔드호스(209), 타설구(200), 이송관 말단의 엔드호스(209), 엔드호스 말단의 타설구(200)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30, 32)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수단(6, 8, 212)으로 연결된 진동기(30, 32)가 거치된 펌프카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1) a)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 이의 하나인 전선(6), 케이블(6), 호스(8); 등이거나, b) 또는 상기 이송관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을 줄, 끈, 링, 철사, 밴드, 조임밴드, 호스밴드,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203)로 연결하는 것이거나, c) 또는 c1) 상기 이송관 내지 타설구 중 하나에 봉, 대, 막대, 롯드, 거치대, 지지대 중 하나(212)가 거치되고, c2) 상기 이송관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가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203)로 체결되고, c3)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에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이 거치되고, c4)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이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로 체결되는 것이거나, 2) 또는 상기 연결된 진동기에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자기장이 발생되는 오존음이온자화기; 콘크리트를 자화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자기장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은 진동기의 호스(6), 케이블(6), 자바라호스(8), 케이블과 호스, 케이블과 이를 에워싼 호스(8), 호스(8)와 이 내부에 내재된 케이블(6) 중 하나이다.
상기 펌프카 9는 상기 차량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분사기, 살균기, 살균형 분사기, 방사형 살균기, 분사형 살균기, 콘크리트 살균기 중 하나가 구비된 펌프카이다. 상기 방사형 살균기는 열, 오존, 음이온,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거나, 또는 램프를 통하여 열, 오존, 음이온,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기 내지 콘크리트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은 염소, 살균제, 소독제, 페놀수, 피톤치드, 크레솔수, 클로르칼크, 포말린, 알코올, 메탈락실, 보르도액, 과산화수소수, 프탈라마이드제, 벤디미다졸제, 트라이아졸제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기 내지 콘크리트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는 노즐, 호스, 가압기, 저장고, 전선, 플러그, 콘센트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펌프카 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또는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또는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30, 32)가 a) 구비된, 또는 b) 콘크리트 타설구(200)에 구비된, 또는 c) 콘크리트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에 연결수단(6, 8, 212)으로 구비된 펌프카이다.
상기 펌프카 11은 a) 진동형 복합체 또는 복합체 진동기가 구비되고, b) 상기 복합체는 자신의 타설구(200)와 이에 거치된 또는 연결수단으로 거치된 진동기(32), 봉진동기(32), 진동튜브(7), 진동케이스(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c) 상기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d)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e)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f) 상기 타설구(200)를 통하여 콘크리트(80)가 타설되고, g)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펌프카이다.
상기 타설호스는 타설호스 1, 타설호스 2, 타설호스 3 중 하나이다. 상기 타설호스 1은 타설호스, 엔드호스(209), 재료를 타설하는 호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호스, 타설구(200)가 구비된 호스(209), 선단에 타설구가 구비된 호스, 타설기에 구비된 타설호스, 펌프카에 구비된 타설호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타설호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타설호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호스 2는 물질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호스, 상기 타설기의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구비된 타설호스, 상기 펌프카의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구비된 타설호스, 상기 이송관(208)을 통하여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209), 선단에 타설구가 구비된 타설호스, 상기 유동화기를 통과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유동화기가 구비되어 통과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타설호스, 상기 피니셔에 의하여 포설되어 면처리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시키는 타설호스, 상기 진동기가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시키는 타설호스, 상기 철근의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이 투입되는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시키는 타설호스, 상기 형틀(2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비계(280)에 거치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자재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호스, 상기 혼화제가 함유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시키는 타설호스, 상기 방수제가 투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시키는 타설호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호스 3은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배출되는 호스, 이송관의 일단에 구비된 호스, 이송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배출되는 호스, 자화기가 구비된 타설호스, 진동기가 구비된 타설호스(도 19 참조), 진동기가 거치된 타설구가 구비된 호스, 봉진동기가 구비된 타설호스, 진동튜브가 구비된 타설호스, 진동케이스가 구비된 타설호스, 유동화기가 구비된 타설호스, 자화기 또는 진동기가 매입된 중공체가 구비된 타설호스(도 20 참조), 줄 또는 롯드 또는 지지대 또는 거치대(212)에 의하여 진동기가 연결된 타설호스(도 21 a, b, c 참조), 자신의 내부 또는 외부에 진동기가 구비되면서 지지대(212)에 의하여 자신과 이격되어 진동기(32)가 연결된 타설호스(도 21 d 참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는 타설구 1, 타설구 2, 타설구 3, 타설구 4, 타설구 5, 타설구 6, 타설구 7, 타설구 8, 타설구 9, 타설구 10, 타설구 11, 타설구 12, 타설구 13, 타설구 14, 타설구 1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타설구 1은 a) 타설구(200), 치기구, 붓기구, 주입구, 투입구, 유입구, 넣기구, 분사구, 분무구, 분출구, 배출구, 토출구, 유출구, 뿜기구, 부음구, 넣음구, 살수구, 믹싱구, 포설구, 포장구, 다짐구, 쇼팅구, 제팅구, 코팅구, 도장구, 부어넣음구, 인젝션구, 숏크리팅구, 지중믹싱구, 지반믹싱구, 토사믹싱구, 스프레이구, 그라우팅구; b)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는 중공체의 선단부, 토출부, 타설부, 선단홀, 선단구멍, 선단중공부; c) 상기 홀 내지 구조물형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중공부; d) 상기 몰탈 내지 그라우팅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중공부; e) 상기 몰탈 내지 그라우팅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홀 내지 구조물형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타설 내지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중공부;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중공부; g)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는 상기 타설구 내지 선단중공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2는 a)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구,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기(205)의 타설구(200), 펌프카의 타설구, 타설기의 진동형 타설구, 펌프카의 진동형 타설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기(32)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200), 돌기(230) 또는 자바라 구비 진동기(32)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 탄성재(231) 거치 돌기(230)가 구비된 진동기(32)가 거치된 타설구(200), 진동튜브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3은 진동기(32), 진동튜브(7), 진동케이스(7), 돌기 구비의 진동기, 돌기 구비의 진동튜브, 돌기(230) 구비의 진동케이스, 자바라(230) 구비의 진동기(32), 자바라 구비의 진동튜브, 자바라 구비의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구비되어 진동하는 재료 또는 콘크리트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4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200), 고정자(2)에 연계되는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200), 콘크리트를 진동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시키는 콘크리트 타설구 또는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내부 중공의 상기 타설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5는 a)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살균기, 자기장기, 전기방전기; b) 또는 살균기능을 가진 오존기, 전기방전을 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c) 상기 오존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6은 a)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기능을 가지거나, b)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 중, 후, 동시 중 하나 이상에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7은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b)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8은 a) 상기 진동기, 케이스, 오존기 내지 복합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진동, 다짐, 가진, 자화, 방역, 살균, 소독, 기포제거, 공기제거, 유동화, 슬러리화, 슬러프치증가, 반응촉진, 수화반응촉진, 다짐화, 고밀도화, 고강도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9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10은 a) 형틀, 거푸집, 보링공 등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투입되어 a1)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거나, a2)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및 타설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11은 a) 내부 중공형 진동기; b)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c)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중공형 진동기; d)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중공형 콘크리트 타설구; e)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f)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g)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h)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진동기로 구성된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12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a) 진동기 내지 h)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13은 고정자(2)에 연계되는 회전자(1)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7)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200)와; 상기 타설구에 구비된 자기장기(31)와; 상기 자기장기에 거치된 오존기(34)와; 상기 오존기에 거치된 음이온기(35)와; 상기 음이온기에 장착된 방전기와; 상기 방전기에 거치된 살균기와; 상기 살균기에 구비된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가 구비된 상기 진동케이스와; 상기 살균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와; 상기 방전기가 구비된 상기 오존기; 로 구성된 복합체, 진동기, 타설구, 복합체 진동기, 진동형 타설구, 중공형 진동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중공형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타설구 14는 콘크리트를 진동, 타설진동, 진동타설, 다짐진동, 진동다짐, 타설 전 진동, 타설 중 진동, 타설 후 진동, 타설하면서 진동, 진동하면서 타설, 타설 중 및 후에 진동, 타설 전 및 중 및 후에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타설구 15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와; 상기 타설구에 구비된 자기장기와; 상기 자기장기에 거치된 오존기와; 상기 오존기에 거치된 음이온기와; 상기 음이온기에 장착된 방전기와; 상기 방전기에 거치된 살균기와; 상기 살균기에 구비된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가 구비된 상기 진동케이스와; 상기 살균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와; 상기 방전기가 구비된 상기 오존기와; 상기 음이온기가 거치된 상기 살균기와; 상기 방전기가 거치된 상기 자기장기; 로 구성되면서 자화, 진동, 가진 ,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자기장발생,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복합체, 진동기, 타설구, 복합체 진동기, 진동형 타설구, 중공형 진동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중공형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엔드호스, 타설구 등을 거친 물질, 재료,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등은 a) 유동화, 슬러리화, 에너지증가, 슬럼프치증가, 상기 자화 내지 살균; b) 상기 자화 내지 살균 등으로 처리; c)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됨; d)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 포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숏팅기는 a) 숏팅기, 연마기, 샌딩기, 분사기, 블라스팅기, 숏블라스팅기; b) 또는 볼, 구, 철, 모래, 규사, 금속, 재료, 슬래그, 볼슬래그, 슬래그볼, 파쇄슬래그, 수쇄슬래그, 풍쇄슬래그, 슬래그 용융물에 물을 가하여 파쇄된 슬래그인 수쇄슬래그, 슬래그 용융물에 바람을 가하여 흩어진 슬래그인 풍쇄슬래그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숏팅기; c) 상기 분사하여 표면의 녹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숏팅기; d) 상기 가압기 또는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숏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숏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숏팅기 내지 숏블라스팅;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분사하는 상기 숏팅기 내지 숏블라스팅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숏팅 또는 블라스팅은 shot, shoot, shoting, shooting, sanding, blasting, shotblasting, shootblasting, sandblasting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포설기는 포설기, 바닥 포설기, 사면 포설기, 포장 포설기, 도로 포설기, 레미콘 포설기, 아스콘 포설기, 콘크리트 포설기; 상기 혼합기의 재료를 포설하는 포설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설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포설기 내지 콘크리트 포설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포설하는 상기 포설기 내지 콘크리트 포설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장기는 포장기, 포설기, 도로 포장기, 도로 포장을 하는 포장기, 레미콘 포장기, 아스콘 포장기, 콘크리트 포장기; 상기 혼합기의 재료를 포장하는 포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포장기 내지 콘크리트 포장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포장하는 상기 포장기 내지 콘크리트 포장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사기는 노즐, 뿜기, 분사기, 디퓨저, 숏크리터, nozzle, sprayer, 뿜어붙이기, 분사하여 뿜어붙이기, 숏크리팅기, 녹생토 분사기, 스프레이기, 시드스프레이기, 숏크리트 분사기, 인젝션 분사기, 그라우팅 분사기; 상기 가압기 또는 이송라인의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노즐 내지 그라우팅 분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노즐 내지 그라우팅 분사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또는 하나 재료를 분사하는 상기 노즐 내지 그라우팅 분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숏크리터는 숏크리터, shotcreter, 사면 숏크리터, 법면 숏크리터, 굴착면 숏크리터, 숏크리팅(shotcretting)하는 숏크리터, 사면에 몰탈을 뿜기하는 숏크리터, 법면에 녹생토를 뿜어붙이는 숏크리터, 굴착면에 레미콘을 뿜어붙이는 숏크리터; 상기 가압기의 재료를 분사하는 숏크리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숏크리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숏크리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재료를 분사하는 숏크리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입기는 주입기 1 또는 2이다. 상기 주입기 1은 주입기, 투입기, 인젝터, injecter, 그라우터, grouter, 인젝션기, 그라우팅기, 지중 주입기, 형틀 투입기, 균열 인젝션기, 지중 그라우팅기, 지반 그라우팅기, 암반 그라우팅기; 상기 가압기 또는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주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주입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입기 2는 a) 백호, 오거, 크레인, 굴삭기, 보링기, 압입기, 관입기, 항타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b) 이중 하나의 붐 또는 리더; c) 상기 붐 또는 리더에 거치된 암; d) 이 암의 선단; e) 이 선단의 크래들히치; f) 상기 선단 또는 크래들히치에 장착된 회전수단, 버켓; g) 상기 백호 내지 버켓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롯드; h) 상기 롯드의 선단에 구비된 비트; i) 상기 롯드의 측면에 구비된 날개; j) 상기 롯드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날개; k) 상기 롯드, 날개, 비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구멍; ℓ) 재료를 지중에 주입하는 상기 롯드, 날개, 비트, 구멍; m) 지중에 주입된 재료와 토사를 믹싱하는 상기 롯드, 날개, 비트; n) 토사와 재료를 지상에서 믹싱하는 상기 버켓 또는 날개; o) 상기 a) 백호 내지 n) 날개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또는 순차 연계된 저장고, 배합기, 가압기, 이송라인; p)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이송라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인젝터는 인젝터, injecter, 주입용 인젝터, 인젝션하는 인젝터, 균열에 재료를 주입하는 인젝터, 균열에 채움재를 주입하는 인젝터; 상기 가압기의 재료를 인젝션하는 인젝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인젝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인젝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재료를 인젝션하는 인젝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그라우터는 그라우터, grouter,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지반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지반에 재료를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지반에 재료를 압력으로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상기 가압기 또는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그라우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그라우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재료를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믹싱기는 a) 믹싱기, mixer, 형틀믹싱기, 지중믹싱기, 토사믹싱기, 교반수단 구비 믹싱기, 교반날개(176) 구비 믹싱기, 토사와 바인더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반과 고화제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가압기 또는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와 토사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믹싱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믹싱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백호 내지 이송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형틀믹싱기는 형틀에 날개 또는 교반수단을 넣어 형틀 내의 재료를 믹싱하는 것이다. 상기 토사믹싱기는 a) 토사믹싱기, 날개 구비 회전 롯드, 토사를 믹싱하는 믹싱기, 토사와 첨가제를 믹싱하는 믹싱기, 토사와 바인더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중에서 토사와 바인더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면에서 토사와 바인더를 믹싱하는 믹싱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백호 내지 이송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중믹싱기는 a) 지중믹싱기, 날개 구비 회전 롯드, 지중을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지중과 첨가제를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지중과 바인더를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지중에서 토사와 첨가제를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지중에서 지반과 바인더를 믹싱하는 지중믹싱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백호 내지 이송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짐기는 로라, roller, 콤팩터, compacter, 다짐기, 진동기, 포장 다짐기, 도로 다짐기, 포장공사 다짐기, 도로공사 다짐기, 도로포장 다짐기, 아스콘포장 다짐기, 진동형 다짐기, 다짐형 진동기, 콘크리트 다짐기, 콘크리트 진동 다짐기, 지반 다짐기, 봉 다짐기, 낙하추 다짐기, SCP(sand compaction pile) 다짐기, GCP(gravel compaction pile) 다짐기,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다짐기, VCCP(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다짐기; 상기 가압기에서 가압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다짐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다짐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니셔는 피니셔 1, 피니셔 2, 피니셔 3, 피니셔 4, 피니셔 5 중 하나이다. 상기 피니셔 1은 흙손, 미장손, 미장칼, 미장기, 마감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스크리드, 면마감기, 면처리기, 아스콘 피니셔, 콘크리트 피니셔, 포설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피니셔, finisher, finishing machine,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의 면을 마무리하는 피니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피니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피니셔;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면처리하는 피니셔; 상기 타설 내지 경화 중 하나를 하면서 면처리하는 피니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니셔 2는 a) 타설된 콘크리트를 마감하는 피니셔,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유동화기,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진동 중 하나 이상이 된 콘크리트를 피니싱하는 피니셔, c) 또는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을 마감하는 피니셔,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처리하는 피니셔,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이 투입된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마감하는 피니셔, 형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면처리하는 피니셔, 비계가 이용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면처리하는 피니셔, 자재를 조성하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처리하는 피니셔, 혼화제가 포함된 콘크리트를 포설 및 마감하는 피니셔, 방수제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면처리하는 피니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니셔 3은 진동하는 피니셔, 자신에 장착된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피니셔,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스가 진동하는 진동기가 장착되어 진동하는 피니셔, 회전축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스가 진동하는 진동기가 장착되어 진동하는 피니셔, 로터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스가 진동하는 진동기가 장착되어 진동하는 피니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니셔 4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피니셔이다. 상기 피니셔 5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상기 방사 중에 진동하고, 상기 진동 후에 가진하고, 상기 가진 전에 오존 발생하고, 상기 진동 전에 음이온 발생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 중에 방전 작용하고, 상기 오존 발생 후에 살균 작용하는 피니셔이다.
상기 아스콘 피니셔는 a) 아스콘을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거나, b) 또는 트럭으로부터 아스콘이 투입되는 호퍼, 이 호퍼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연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아스콘을 스크류로 공급하는 체인, 상기 공급된 아스콘을 분산시켜 도로에 포설하는 상기 스크류, 상기 포설된 아스콘에 진동을 가하면서 피니싱하는 스크리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가 구비된 상기 호퍼 내지 스크리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콘크리트 피니셔는 a) 콘크리트를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거나, b) 또는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깔아 놓는 스프레더, 상기 거푸집 상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는 1차 스크리드, 상기 고르는 중에 콘크리트에 진동과 압력을 가해 다지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다져진 콘크리트를 칼날을 이용해 평탄하게 하여 마무리하는 피니싱 스크리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가 구비된 상기 스프레더 내지 피니싱 스크리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미장기는 a) 흙손, 미장손, 미장칼, 미장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스크리드, 면처리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를 미장하는 미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미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미장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미장하는 미장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타설된 타설면 또는 포설된 포설면을 미장, 처리, 피니싱, 마무리, 면처리 중 하나를 하는 장비이다.
상기 단발기(350)는 a) 단발기, 면마무리용 단발기, 미장날이 구비된 단발기, 미장날이 구비된 면마무리용 단발기, 회전하는 미장날이 구비된 단발기, 회전하는 미장날이 구비된 면마무리용 단발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를 면처리하는 단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단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단발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미장하는 단발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회전(353)하면서 콘크리트의 면을 처리 또는 미장하는 날 또는 칼날(351), 상기 날을 회전시키는 모터(352), 상기 칼날에 거치된 거치대(354);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 밀대(355), 운전대(356), 의자(357); 상기 밀대에 구비된 손잡이(358); 상기 모터 또는 운전대 또는 회전의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35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날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날은 날, 끌, 칼날, 평날, 각날, 미장날, 블레이드, 평평한 날, 각진 날, knife, blad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쌍발기(360)는 a) 쌍발기, 면마무리용 쌍발기, 미장날이 2개 구비된 쌍발기, 미장날이 2개 구비된 면마무리용 쌍발기, 회전하는 미장날이 2개 구비된 쌍발기, 회전하는 미장날이 2개 구비된 면마무리용 쌍발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를 면처리하는 쌍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쌍발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쌍발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미장하는 쌍발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단발기(350)가 2대 이상 결합, 상기 칼날(351)이 2조 이상 구비,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날(351)이 2조 이상 구비,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날(351)이 2개 이상 상호 이격되어 거치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상기 스크리드(370)는 a) 스크리드, 면마무리용 스크리드, 미장날이 구비된 스크리드, 밀대의 하단에 미장날이 구비된 스크리드;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포설기에서 포설된 재료의 면을 매끄럽게하는 스크리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스크리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스크리드;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재료의 면을 처리하는 스크리드; 상기 타설 내지 경화 중 하나를 하면서 면처리하는 스크리드;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칼날(371), 이 칼날이 거치된 거치대(372), 상기 거치대에 연계된 손잡이(373),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면을 피니싱하는 상기 칼날(371);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30) 이상이 구비된 상기 칼날 내지 손잡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생기는 양생기, 열양생기, 고온양생기, 증기양생기, 분사양생기, 물분사양생기, 가마양생기, 가마 속에 재료를 넣어 양생하는 양생기, 오토클레이브 양생기, 온도 150~200℃로 양생하는 오토클레이브 양생기, 압력 5~15kg/㎠로 양생하는 오토클레이브 양생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주입기에서 주입된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양생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양생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타설 내지 다짐 중 하나의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토클레이브는 autoclave, 고온ㆍ고압의 가마 양생, 고온ㆍ고압의 가마 속에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경화기는 양생기, 열경화기, 고온경화기, 증기경화기, 분사경화기, 물분사경화기, 가마경화기, 가마 속에 재료를 넣어 경화하는 경화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주입기에서 주입된 재료를 경화하는 경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경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경화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경화하는 경화기; 상기 타설 내지 다짐 중 하나의 재료를 경화하는 경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면정리기 또는 면처리기는 미장기, 마감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스크리드, 면정리기, 면처리기, 면마감기, 면마무리용 단발기, 면마무리용 쌍발기, 포설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피니셔, 면마무리용 스크리드, 면처리하는 면처리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또는 상기 분사기에서 분사된 재료를 면처리하는 면처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면정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면처리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중 하나의 재료를 면처리하는 면처리기; 상기 타설 내지 경화 중 하나의 재료를 면처리하는 면처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면마감기는 재료를 포설, 재료를 타설, 재료를 다짐, 타설면 미장, 타설면 마감, 타설면 마무리, 타설면 피니싱, 재료를 타설하면서 면마감, 재료를 포설하면서 면마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비이다.
상기 장치, 장비 등에는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타설기, 펌프카, 타설구, 이송관, 타설호스, 엔드호스, 타설구, 피니셔, 커플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면처리기; 상기 기(器)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고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유동화와 방전과 소독과 살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와 유동화방전소독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 자화진동과 가진오존음이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은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유동화와 방전과 소독과 살균, 회전분해전해유동화와 방전소독살균, 회전분해와 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은 a)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e) 자화하고 진동가진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 자화와 진동과 가진, 자화과 진동가진, 자화진동과 가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가진오존음이온은 a)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것, i) 가진오존음이온,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 가진오존과 음이온, 가진과 오존음이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는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e)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f)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유동화, 회전분해와 전해유동화, 회전분해전해와 유동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에서 상기 복합에 속하는 유동화방전소독살균은 a)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유동화 방전하고 소독 살균하는 것, d) 유동화 방전되고 소독 살균되는 것, e) 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유동화방전소독살균, 유동화와 방전과 소독과 살균, 유동화와 방전소독살균, 유동화방전과 소독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는 자화, 물질자화, 물체자화, 자기장화, 자기장 방사, 장치를 자화, 물체를 자화, 물질을 자화, 재료를 자화, 살균에 자화, 장치로 자화, 물체로 자화, 진동하는 자화, 가진하는 자화, 자화기로 자화, 자기장기에 의하여 자화, 자화물로 자화, 진동 전에 자화, 가진 후에 자화, 살균 중에 자화, 오존기로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자화, 진동하는 자화, 소독기에 의한 자화, 살균물의 자화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은 진동, 물질진동, 물체진동, 장치를 진동, 물체를 진동, 물질을 진동, 재료를 진동, 자화에 진동, 자화로 진동, 자기장으로 진동, 자화에 의한 진동, 가진에 의한 진동, 회전에 의한 진동, 자기장에 의한 진동, 장치로 진동, 물체로 진동, 진동기로 진동, 진동물로 진동, 자화 전에 진동, 가진 후에 진동, 살균 중에 진동, 오존기로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진동, 살균하는 진동, 방전기에 의한 진동, 소독물의 진동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은 가진, 물질가진, 물체가진, 장치를 가진, 물체를 가진, 물질을 가진, 재료를 가진, 자화에 가진, 자화로 가진, 자기장으로 가진, 자화에 의한 가진, 진동에 의한 가진, 회전에 의한 가진, 자기장에 의한 가진, 오존에 가진, 장치로 가진, 물체로 가진, 가진기로 가진, 가진물로 가진, 자화 중에 가진, 소독 후에 가진, 회전 중에 가진, 살균기로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가진, 자화하는 가진, 유동화기에 의한 가진, 방전물의 가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은 오존, 오존 처리, 오존 방사, 오존 조사, 오존 정화, 오존 살균, 오존 소독, 장치를 오존처리, 물체를 오존살균, 물질을 오존소독, 재료를 오존처리, 음이온 발생하는 오존, 오존에 오존처리, 장치로 오존처리, 물체로 오존살균, 오존기로 오존처리, 오존물로 오존처리, 진동 중에 오존방사, 살균 중에 오존처리, 전해 중에 오존처리, 살균기로 오존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오존조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오존처리, 살균하는 오존, 전해기에 생성되는 오존, 분해물에서 발산되는 오존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 음이온 처리, 음이온 방사, 음이온 조사, 음이온 청정, 음이온 살균, 음이온 소독, 장치를 음이온처리, 물체를 음이온살균, 물질을 음이온소독, 오존 발생하는 음이온, 재료를 음이온처리, 분해에 음이온처리, 장치로 음이온처리, 물체로 음이온살균, 음이온기로 음이온청정, 음이온물로 음이온처리, 진동 중에 음이온청정, 살균 중에 음이온처리, 분해 중에 음이온살균, 소독기로 음이온방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음이온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음이온처리, 소독하는 음이온, 회전기에 생성되는 음이온, 전해물에서 발산되는 음이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은 회전, 물질회전, 물체회전, 장치를 회전, 물체를 회전, 물질을 회전, 재료를 회전, 진동에 의한 회전, 가진에 의한 회전, 자기장에 의한 회전, 전해에 회전, 장치로 회전, 물체로 회전, 회전기로 회전, 회전물로 회전, 자화 전에 회전, 가진 후에 회전, 전해 중에 회전, 소독기로 회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회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회전, 유동화하는 회전, 자화기에 의한 회전, 진동물의 회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는 분해, 물질분해, 미생물분해, 장치를 분해, 물체를 분해, 물질을 분해, 재료를 분해, 진동에 미생물 분해, 장치로 분해, 물체로 분해, 분해기로 분해, 분해물로 분해, 진동 전에 분해, 방전 후에 분해, 살균 중에 분해, 소독기로 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분해, 전해하는 분해, 방전기에 의한 분해, 오존물의 분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는 전해, 전기분해, 물질전해, 전해질전해, 장치를 전해, 물체를 전해, 물질을 전해, 재료를 전해, 가진에 전해, 장치로 전해, 물체로 전해, 전해기로 전해, 전해물로 전해, 살균 전에 전해, 오존처리 후에 전해, 오존방사 중에 전해, 음이온기로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전해, 분해하는 전해, 오존기에 의한 전해, 자화물의 전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는 유동화, 물질유동화, 콘크리트유동화, 장치를 유동화, 물체를 유동화, 물질을 유동화, 재료를 유동화, 자화에 의한 유동화, 자기장에 의한 유동화, 진동에 의한 유동화, 가진에 의한 유동화, 진동에 유동화, 장치로 유동화, 물체로 유동화, 유동화기로 유동화, 유동화물로 유동화, 자화 전에 유동화, 음이온청정 후에 유동화, 방전 중에 유동화, 방전기로 유동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유동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유동화, 회전하는 유동화, 회전기에 의한 유동화, 진동물의 유동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은 방전, 전기방전, 물질방전, 물체방전, 장치를 방전, 물체를 방전, 물질을 방전, 재료를 방전, 자화에 방전, 장치로 방전, 물체로 방전, 방전기로 방전, 방전물로 방전, 살균 전에 방전, 자화 후에 방전, 살균 중에 방전, 음이온기로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방전, 소독하는 방전, 살균기에 의한 방전, 오존물의 방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은 소독, 물질소독, 물체소독, 장치를 소독, 물체를 소독, 물질을 소독, 재료를 살균, 소독에 의한 살균, 소독하는 소독, 진동에 소독, 장치로 소독, 물체로 소독, 소독기로 소독, 소독물로 살균, 소독 전에 소독, 가진 후에 소독, 방전 중에 소독, 진동기로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소독하는 소독, 방전기에 의한 소독, 가진물의 소독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은 살균, 물질살균, 물체살균, 장치를 살균, 물체를 살균, 물질을 살균, 재료를 살균, 소독에 의한 살균, 소독하는 살균, 진동에 살균, 장치로 살균, 물체로 살균, 살균기로 살균, 살균물로 살균, 소독 전에 살균, 진동 후에 살균, 가진 중에 살균, 자화기로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살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소독하는 살균, 분해기에 의한 살균, 방전물의 살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고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유동화기와 방전기와 소독기와 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와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자화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와 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것은 것,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는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유동화기와 방전기와 소독기와 살균기, 회전분해전해기와 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회전분해기와 전해유동화기와 방전소독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기는 a)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e) 자화하고 진동가진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가진기, 자화진동기와 가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것, i)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 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기는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e)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f)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기,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유동화기, 회전분해기와 전해유동화기, 회전기와 분해전해기와 유동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는 a)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유동화 방전하고 소독 살균하는 것, d) 유동화 방전되고 소독 살균되는 것, e) 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유동화방전소독살균기, 유동화기와 방전기와 소독기와 살균기, 유동화방전기와 소독살균기, 유동화기와 방전소독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방전자기장기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자기장기가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이거나, b) 또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방전자기장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자화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방전기와 자기장기, 진동가진자화오존기와 음이온방전자기장기, 진동가진기와 자화오존음이온기와 방전자기장기 중 하나이거나, c)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전, 후, 좌, 우,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기 내지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복합기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자기장기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자기장기가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이거나, b)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전, 후, 좌, 우,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기 내지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복합기이거나, c) 또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자기장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자화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자기장기, 진동가진자화기와 오존음이온자기장기, 진동가진와 자화오존와 음이온자기장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방전기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가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이거나, b)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전, 후, 좌, 우,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복합기이거나, c) 또는 진동가진자화오존음이온방전기, 진동기와 가진와 자화와 오존와 음이온와 방전기, 진동가진자화오존와 음이온방전기, 진동가진와 자화오존와 음이온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전해살균을 하는 방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와 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와 음이온회전기와 전해살균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발생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자기장발생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 자화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기와 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와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하는 가진의 오존발생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처리의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면서 회전하는 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와 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와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자기장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청정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기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을 발생하는 기구,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회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오존기와 음이온회전기,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하는 오존 발생의 회전형 음이온기,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진동가진기와 오존회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진동하면서 가진하고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진동가진하면서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살균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기는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는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회전기는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형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기는 자화진동기 1, 자화진동기 2, 자화진동기 3, 자화진동기 4, 자화진동기 5, 자화진동기 6, 자화진동기 7, 자화진동기 8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1은 a) 자화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 자화기 구비 진동기, 진동기 구비 자화기 중 하나 이거나, b) 또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가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2는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3은 a) 진동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4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5는 a) 상기 자기장 중 하나가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c) 상기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6은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7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상기 로터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투입된 중공체; 상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연계되면서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순차 연계되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또는 자화가진기가 구비된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8은 a) 진동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가진기는 자화가진기 1, 자화가진기 2, 자화가진기 3, 자화가진기 4, 자화가진기 5, 자화가진기 6, 자화가진기 7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1은 a) 자화가진기, 자화기와 가진기, 자화기 구비 가진기, 가진기 구비 자화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화기에 상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2는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에 더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또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3은 자화기와 이의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자화기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4는 자화기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으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5는 거치판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6은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모터에는 상기 전원부(20), 컨버터(21), 인버터(22), 스위칭부(23), 검출부(24), 제어부(25); 또는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되는 또는 구비되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화가진기 7은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가진기는 자화가진기 1, 자화가진기 2, 자화가진기 3, 자화가진기 4, 자화가진기 5, 자화가진기 6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1은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판이 거치되는 공정, 상기 판에 자성체가 부착되는 공정, 상기 판에 다른 자성체가 이격되어 거치되는 공정, 으로 조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2는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판이 거치되는 공정, 상기 거치판에 부착판이 장착되는 공정, 상기 부착판에 자성체가 부착되는 공정, 상기 부착판과 자성체의 외주를 코일로 감싸는 공정, 으로 조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3은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2개의 자성체가 거치되는 공정, 상기 2개 자성체의 사이에 코어가 구비되는 공정, 상기 코어의 외주를 코일로 감싸는 공정, 상기 코어와 자성체에 이격되어 이격판이 거치되는 공정, 으로 조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4는 상기 케이스, 자성체, 코어, 코일, 판, 거치판, 부착판, 이격판; 이중 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상기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5는 상기 케이스, 자성체, 코어, 코일, 판, 거치판, 부착판, 이격판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방전제발생, 살균제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6은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면서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오존기, 자화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음이온기는 a) 자기장이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c) 상기 가진 또는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음이온기, 자화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회전기는 자화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회전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기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가진기, 진동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오존기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오존기, 진동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음이온기는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회전기는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가진오존기는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가진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가진기, 오존기, 가진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가진음이온기는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기구, 가진기, 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가진회전기는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가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오존음이온기는 오존과 음이온 발생기, 오존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기,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오존기와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음이온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오존회전기는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복합기,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음이온회전기는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음이온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을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오존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자화진동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회전기, 자화하는 진동형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오존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음이온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진동가진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회전기, 진동하는 가진형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진동하고 가진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에 속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는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오존발생과 회전과 음이온처리하는 복합기,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오존처리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는 자화기 1, 자화기 2, 자화기 3, 자화기 4, 자화기 5, 자화기 6, 자화기 7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에는 자화기 1, 자화기 2, 자화기 3, 자화기 4, 자화기 5, 자화기 6, 자화기 7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기 1은 a) 자화기, 자기장기, 자화하는 자화기, 자화하는 자기장기, 자성체, 자력체, 자석, 봉 자화기, 코팅 자화기, 라이닝 자화기, 코어 자화기, 코일 자화기, 튜브 자화기, 케이스 자화기, 전자석 자화기, 자력 발생기, 자기장 발생기, 물질을 자화하는 수단, 물체를 자화하는 자화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기장기, 진동기에 거치된 자화기, 살균 기능을 가진 자화기, 진동하는 자화기, 자화물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물을 발생하는 자화기; b) 상기 자화기 ∼ 진동물을 발생하는 자화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자화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자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자화기, 상기 혼합기의 재료를 자화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자화기,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재료를 자화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자화기, 상기 타설기의 재료를 자화하는 자화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자화하는 자화기, 살균을 하는 자화기, 진동기에 부착된 자화기, 살균물을 생성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자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코팅 자화기 또는 라이닝 자화기는 자성체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자성체가 2개 이상 배열되는 공정, 상기 2개 이상 사이에 분리재가 삽입되는 공정, 상기 자성체, 분리재 중 하나 이상의 외부가 코팅 또는 라이닝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자화기이다. 상기 자성체에는 a) 자성체, 자화하는 자성체,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성체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콘, 망, 봉, 틀, 링, 대, 판, 막, 관, 원, 통, 군(群), 원통, 도넛, 코인, 엽전, 와셔, 고무, 시트, 밴드, 튜브, 블럭, 막대, 삼각, 사각, 다각, 자유형, 임의형, 중공체, 벤츄리관; 상기 콘 내지 벤츄리관 중 둘 이상 복합체; 중 하나 자성체 또는 하나의 형상을 가진 자성체가 포함된다.
상기 코팅, 라이닝, 케이스 중 하나의 재료에는 a) 수지, 고무, 금속, 비금속, 철재, 폴리머, 세라믹, PVC(poly 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합성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고분자재, 스테인레스스틸; b) 이중 하나의 액체, 용융물, 고온용융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튜브 자화기 또는 케이스 자화기는 튜브 또는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자성체가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공정, 상기 내장에 의하여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에 자기장이 형성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자화기이다. 상기 코어 자화기 또는 코일 자화기는 코어의 외주에 코일이 감기는 공정, 상기 코어 및 코일이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공정, 상기 코어, 코일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는 공정, 상기 공급에 의하여 상기 코어, 코일,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는 공정, 상기 자기장이 형성되는 자화기가 획득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자화기이다.
상기 자화기 2는 a) 자화하는 기구, 물질을 자화하는 기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하는 자화기, 가진하는 자화기,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을 증진시키는 기구, 2개 이상 자석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된 기구,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가 삽입된 기구,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코어에 감긴 코일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b) 자기장과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자화기 3은 a) a1) 케이스가 진동 또는 가진하고, a2) 상기 케이스 상부에서 자화를 하거나 또는 자기장을 발생하고, a3) 상기 발생하는 상부에서 오존을 방사하거나, 또는 상기 발생하는 상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계된 케이블에서 오존을 방사하고, a4) 상기 방사 부위에서 음이온을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방사 부위에 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계된 케이블에서 음이온을 방출하거나, b) 또는 상기 진동, 가진, 자화, 발생, 방사, 방출하는 진동기, 가진기, 자화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가 구비된 자화기이다.
상기 자화기 4는 상기 자화기 1, 자화기 2, 자화기 3 중 하나에 a) 자화하면서 진동하는 자화진동기,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자화기; b) 또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기; c) 또는 자화하는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것이다. 상기 자화기 5는 상기 진동, 가진, 자화, 발생, 방사, 방출에 더하여 a) 자화하면서 진동하는 자화진동기,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자화기; b) 상기 진동 내지 방출에 더하여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기; c) 상기 진동 내지 방출에 더하여 자화하는 진동기, 자기장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싱기 자화기 6은 a) 상기 자성체, 콘 내지 복합체, 분리재, 수지 내지 용융물, 튜브, 케이스, 코어, 코일; b) 상기 자화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자화기; b) 상기 자성체 내지 복합 자화기 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ⅰ) 자화기,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ⅱ) 또는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빛, 열, 파, 광, 선, 풍, 공기, 기포, 가스,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미스트, LED광, 살균광,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ⅲ)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음이온물; ⅲ) 상기 수 내지 음이온물 중 둘 이상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함침, 침지, 주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화기이다.
싱기 자화기 7은 a) 자성체와 이의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성체로 구성된 자화기; b) 자성체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과 상기 코어 및 자성체로부터 이격된 이격판으로 구성된 자화기; c) 거치판과 이에 거치된 자성체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로 구성된 자화기; d) 상기 부착판, 이격판, 거치판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는 자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기장기는 a) 자기장기, 진동자기장기, 가진자기장기, 오존자기장기, 음이온자기장기, 전기방전자기장기, 진동가진자기장기, 오존음이온자기장기, 진동오존방전자기장기; b) 자기장 방사기, 자화기, 자화하는 기구, 자기장을 방사하는 기구,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방전자기장기,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 1, 진동기 2, 진동기 3, 진동기 4, 진동기 5, 진동기 6, 진동기 7, 진동기 8, 진동기 9, 진동기 10, 진동기 11, 진동기 12, 진동기 13, 진동기 14, 진동기 15, 진동기 16, 진동기 17, 진동기 18, 진동기 19, 진동기 20, 진동기 21, 진동기 22, 진동기 23, 진동기 24, 진동기 25, 진동기 26, 진동기 27, 진동기 28, 진동기 29, 진동기 30, 진동기 31, 진동기 32, 진동기 33, 진동기 34, 진동기 35, 진동기 36, 진동기 37, 진동기 38, 진동기 39, 진동기 40, 진동기 41, 진동기 42, 진동기 43, 진동기 44, 진동기 45, 진동기 46, 진동기 47, 진동기 48, 진동기 49, 진동기 50, 진동기 51, 진동기 52, 진동기 53, 진동기 54, 진동기 55, 진동기 56, 진동기 57, 진동기 58, 진동기 59, 진동기 60, 진동기 61, 진동기 62, 진동기 63, 진동기 64, 진동기 65, 진동기 66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진동기에는 상기 진동기 1 내지 진동기 66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기 1은 진동기, 봉형 진동기, 가진기, 봉형 가진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진동하는 물체, 바이브레이터, vibrator, 진동하는 봉형 케이스, 돌기 구비의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케이스, 자바라 구비의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케이스, 자화하는 진동기, 가진하는 진동기,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진동물을 발생하는 진동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기, 방전물을 발생하는 진동기, 오존 발생과 동시에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가진하는 진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진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기, 상기 혼합기의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상기 분사기의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자화하는 진동기, 소독기에 장착된 진동기, 살균물을 제공하는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2는 a) 진동하는 기구, 진동을 발생하는 기구, 비틈진동하는 기구, 회전진동하는 기구,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3방향 또는 4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로터 또는 스테이터를 중심으로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모터 또는 로터에 거치된 회전축의 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축의 힌지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축의 힌지를 중심으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축의 일측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축의 양측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양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기, 진폭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 진동기, 진폭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진동을 다방향으로 발생하는 편심 진동기, 진동 또는 유동하는 줄 또는 현(弦, chord) 또는 진자, 줄 또는 현 또는 진자에 부착된 진동기 또는 자화기; b) 또는 진동과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진동기 3은 a) 진동기와 방전기가 조합된 진동방전기, 진동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진동자기장기,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방전자기장기, 진동기와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진동방전자기장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형 진동기, 자화진동형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4는 회전자 또는 모터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회전자 또는 모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돌기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자바라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상기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는 튜브, 케이스; 이중 하나의 내부에 거치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이 회전축의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의 캡,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의 몸체,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의 슈; 상기 튜브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에 연계 또는 순차 연계되는 전선, 케이블, 컨트롤러; 상기 전선의 보호관;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튜브 내지 보호관;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튜브 내지 보호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튜브 내지 보호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이 이용되는 상기 튜브 내지 보호관;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가 투입된 중공체; 상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연계되면서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연계되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6은 상기 튜브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에 a)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살균기, 자기장기, 전기방전기; b) 또는 살균기능을 가진 오존기, 전기방전을 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c) 상기 오존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진동기 또는 튜브 또는 케이스이다.
상기 진동기 7은 a) 상기 스테이터에 자기장기 구비, 상기 로터에 가진기 구비, 상기 회전축에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회전체에 진동하는 자기장기 구비, 상기 튜브에 진동하는 오존기 구비, 상기 케이스에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자화하는 가진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자기장발생하는 오존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캡에 오존발생하는 음이온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몸체에 가진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슈에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전선에 상기 복합기 구비, 상기 케이블에 오존기 구비, 상기 컨트롤러에 음이온기 구비, 상기 보호관에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진동기 또는 튜브 또는 케이스이다.
상기 진동기 8은 a) 튜브, 케이스; b) 이중 하나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 스테이터; c)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 d) 상기 모터 또는 로터의 회전축, 일측 회전축, 양측 회전축, 힌지 구비 회전축; e) 상기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f)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진동자, 회전체, 반원통체, 3/4원통체, 3/5원통체, 반원통 진동자, 반원통 회전체, 비대칭 진동자, 비대칭 회전체; g)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진동자, 회전체; h) 상기 진동자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i) 상기 케이스의 하나인 또는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봉, 조, 함, 판, 튜브, 박스, 블록, 탱크, 용기, 파이프, 하우징; j) 상기 케이스, 봉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k) 상기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나사, 상호 끼움 나사; ℓ) 상기 튜브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호스, 연결 호스, 전선, 샤프트, 케이블, 플렉시블 케이블; m) 상기 전선 내지 케이블 중 하나가 내장된 호스, 튜브, 보호관; n)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에 연계된 상기 회전체; o)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 p) 상기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q) 상기 튜브 내지 보호관 중 하나에 연계된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r) 상기 모터 내지 전원공급기, 상기 모터의 회전, 상기 로터의 회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기 샤프트의 회전, 상기 케이블의 회전 중 하나 이상을 조정 또는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s) 상기 튜브 내지 전원공급기; 이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 t)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의 안착대, 고정수단; u)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내면 간의 공간을 채움하는 우레탄, 에폭시, 채움재; v)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튜브 내지 채움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튜브 내지 채움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A) 진동기; B) 또는 상기 구성된 것으로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9는 상기 진동기, 튜브 내지 보호관, 튜브 내지 채움재 중 하나 이상에 a) 진동하면서 자화하는 진동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진동하는 자화진동기; b) 진동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c) 또는 자화,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된 것이다. 상기 진동기 10은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판이 거치되는 공정, 상기 판에 자성체가 부착되는 공정, 상기 판에 다른 자성체가 이격되어 거치되는 공정, 으로 조성된 진동기이다. 또는 상기 진동기 10은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판이 거치되는 공정, 상기 거치판에 부착판이 장착되는 공정, 상기 부착판에 자성체가 부착되는 공정, 상기 부착판과 자성체의 외주를 코일로 감싸는 공정, 으로 조성된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11은 케이스가 준비되는 공정, 상기 케이스 내부에 2개의 자성체가 거치되는 공정, 상기 2개 자성체의 사이에 코어가 구비되는 공정, 상기 코어의 외주를 코일로 감싸는 공정, 상기 코어와 자성체에 이격되어 이격판이 거치되는 공정, 으로 조성된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12는 상기 케이스, 자성체, 코어, 코일, 판, 거치판, 부착판, 이격판; 이중 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13은 상기 케이스, 자성체, 코어, 코일, 판, 거치판, 부착판, 이격판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14는 a) 케이스가 구비되는 단계, b) 상기 케이스의 하나인 또는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봉, 조, 함, 판, 튜브, 박스, 블록, 탱크, 용기, 파이프,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가 선정되는 단계, c)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상부 캡, 하부 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단계, d) 상기 케이스,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에 돌기가 형성되는 단계, e) 상기 캡, 몸체, 슈, 상부 캡, 하부 슈 중 하나 이상에 나사 또는 상호 끼움 나사가 형성되는 단계, f) 상기 케이스, 캡, 몸체, 슈 중 하나의 내부에 모터, 스테이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단계, g)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로터가 연계되는 단계, h) 상기 모터 또는 로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단계, i) 상기 회전축에 베어링이 거치되는 단계, j) 상기 회전자 또는 회전축에 진동자, 회전체, 반원통체, 3/4원통체, 3/5원통체, 반원통 진동자, 반원통 회전체, 비대칭 진동자, 비대칭 회전체 중 하나가 장착되는 단계, k) 상기 회전자 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는 단계, ℓ)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되는 단계, m) 상기 진동이 상기 돌기에 전달되는 단계, n)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돌기가 진동되는 단계, o) 상기 봉, 케이스, 모터,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베어링, 진동자, 회전체, 캡 중 하나 이상에 호스, 연결 호스, 전선, 샤프트, 케이블, 플렉시블 케이블 중 하나가 거치되는 단계, p) 상기 전선 내지 케이블 중 하나가 호스, 튜브, 보호관 중 하나에 내장되는 단계, q)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에 상기 회전체가 연계되는 단계, r)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는 단계, s)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되는 단계, t) 상기 봉 내지 캡, 호스 내지 케이블, 호스 내지 보호관 중 하나에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단계, u) 상기 봉 내지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상기 모터의 회전, 상기 로터의 회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기 샤프트의 회전, 상기 케이블의 회전 중 하나 이상을 조정 또는 제어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단계, v) 상기 봉 내지 전원공급기; 이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부, 외부; 중 하나에 상기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가 거치되는 단계, w)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모터 내지 캡, 호스 내지 케이블, 호스 내지 보호관,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스위치,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안착대 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단계, x)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케이스 내면 간의 공간이 우레탄, 에폭시, 채움재 중 하나로 채움되는 단계, y) 상기 봉 내지 전원공급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단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1) 진동케이스, 2) 또는 상기 조성된 것으로 진동, 자화, 가진,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방전제발생, 살균제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케이스이다.
상기 진동기 15는 a) 상기 진동케이스가 콘크리트 타설구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케이스와 타설구로 구성된 진동기로서, b) 상기 진동케이스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진동기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 자화, 가진,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방전제발생, 살균제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고, c)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d) 상기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d1) 진동되거나, d2) 또는 진동, 자화, 가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d3) 또는 진동과 동시에 자화, 가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되고, e) 상기 콘크리트의 진동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다짐, 조밀화, 액상화, 유동화, 연성화, 슬러리화, 기포제거, 공기제거, 공기배출, 가스배출,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공기 배출,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가스 배출, 슬러프치증가, 슬럼프치 3 증가, 슬럼프치 5 증가, 슬럼프치 1∼10 증가, 밀도증가, 강도증가, 철근 사이로 유입, 형틀 구석으로 유입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16은 a) a1) 케이스가 구비되는 단계, a2) 상기 케이스의 하나인 또는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봉, 조, 함, 판, 튜브, 박스, 블록, 탱크, 용기, 파이프,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가 선정되는 단계, a3)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단계, a4) 상기 캡, 몸체, 슈, 상부 캡, 하부 슈 중 하나 이상에 나사 또는 상호 끼움 나사가 형성되는 단계, a5) 상기 케이스, 캡, 몸체, 슈 중 하나의 내부에 모터, 스테이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단계, 중 하나 이상과; b) b1)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로터가 연계되는 단계, b2) 상기 모터 또는 로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이 구비되는 단계, b3) 상기 회전축의 상하에 베어링이 거치되는 단계, b4)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진동자, 회전체, 반원통체, 3/4원통체, 3/5원통체, 반원통 진동자, 반원통 회전체, 비대칭 진동자, 비대칭 회전체 중 하나가 장착되는 단계, 중 하나 이상과; c) c1)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는 단계, c2)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되는 단계, c3) 상기 봉, 케이스, 모터,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베어링, 진동자, 회전체, 캡 중 하나 이상에 호스, 연결 호스, 전선, 샤프트, 케이블, 플렉시블 케이블 중 하나가 거치되는 단계, c4) 상기 전선 내지 케이블 중 하나가 호스, 튜브, 보호관 중 하나에 내장되는 단계, c5)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에 상기 회전체가 연계되는 단계, c6)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 회전되는 단계, c7)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되는 단계, c8) 상기 봉 내지 캡, 호스 내지 케이블, 호스 내지 보호관 중 하나에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단계, c9) 상기 봉 내지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상기 모터의 회전, 상기 로터의 회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기 샤프트의 회전, 상기 케이블의 회전 중 하나 이상을 조정 또는 제어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단계, c10) 상기 봉 내지 전원공급기; 이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부, 외부; 중 하나에 상기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가 거치되는 단계, c11)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모터 내지 캡, 호스 내지 케이블, 호스 내지 보호관,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스위치,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안착대 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단계, c12)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케이스 내면 간의 공간이 우레탄, 에폭시, 채움재 중 하나로 채움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조된 1) 진동기; 2) 또는 상기 제조된 것으로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처리, 음이온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 이다.
상기 진동기 17은 a) 상기 튜브, 케이스, 봉 내지 하우징, 캡, 몸체, 슈, 나사, 모터,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베어링, 진동자, 회전체, 호스 내지 케이블, 호스, 튜브, 보호관, 안착대, 고정수단, 공간, 우레탄, 에폭시, 채움재; b) 상기 튜브 내지 채움재 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ⅱ) 또는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빛, 열, 파, 광, 선, 풍, 공기, 기포, 가스,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미스트, LED광, 살균광,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ⅲ)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음이온물; ⅲ) 상기 수 내지 음이온물 중 둘 이상 복합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함침, 침지, 주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18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구비 내지 투입 중 하나에 의하여 a)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 b)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주변의, 또는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 중 하나를 거치는, 또는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 중 하나가 구비된 물질, 물체, 물건, 제품, 용품, 상품, 액체, 공기, 대기, 재료, 자재, 장치, 장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자화, 진동, 가진, 청정, 정화, 세정, 자기장 방사, 진동 방사, 오존 방사, 음이온 방사, 방전,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는 a) 상기 튜브 내지 채움재; b) 상기 튜브 내지 채움재 중 하나의 면 내지 중공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 19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구비 내지 투입, 자화 내지 살균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a) 튜브 내지 b) 장비 중 하나 이상의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슬러리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타설성, 다짐성, 인젝션성, 그라우팅성,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증가, 증대, 향상, 가속, 배가, 배속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튜브 내지 장비는 a) 상기 튜브 내지 중공부; b) 이중 하나 주변의 또는 이중 하나를 거치는 또는 이중 하나가 구비된 물질 내지 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 20은 a) 콘크리트 타설구, 이에 거치된 롯드 또는 케이스 호스 또는 진동기 호스, 이 롯드 또는 호스에 연결된 케이스 또는 진동기, 상기 호스 내부에 매입된 케이블, 이 케이블에 연결되는 모터 또는 플러그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내부에 매입된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이 로터에 연계되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내부에 매입된 회전체, 상기 로터 또는 케이블의 회전 또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 이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타설구 또는 호스,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는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b) 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이중 하나 이상의 속, 내부, 외부; 등에 팬, 나선, 스크류, 회전기, 교반기, 회전교반기, 중공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진동기 21은 a)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 b) 상기 방사하면서 자화하는 진동기; c) 상기 방사, 자화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 d) 상기 방사, 자화,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 방류하는 진동기; e) 상기 방사, 자화, 진동, 방류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 방출하는 진동기; f) 상기 방사, 자화, 진동, 방류, 방출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전기 방전하는 진동기; g) 케이스 내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h) 케이스 내에 매립된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i) 상기 방사, 자화, 진동, 방류, 방출,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발생하는 진동기; j) 상기 연결수단이 연성(軟性), 강성(强性), 호스, 케이블, 자신의 호스, 자신의 케이블 중 하나인 진동기; k) 상기 방사, 자화, 진동, 방류, 방출, 방전, 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연성 내지 케이블 중 하나인 진동기; ℓ) 상기 편심체의 거치가 2개 이상인 다단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는 22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와; 상기 타설구에 구비된 자기장기; 로 구성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는 23은 상기 진동기는 22에서 상기 자기장기에 거치된 오존기와; 상기 오존기에 거치된 음이온기와; 상기 음이온기에 장착된 방전기와; 상기 방전기에 거치된 살균기와; 상기 살균기에 구비된 자화기; 로 구성되면서 살균 기능을 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는 24는 상기 진동기는 22 또는 23에서 자화기가 구비된 상기 진동케이스; 살균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방전기가 구비된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가 거치된 상기 살균기; 방전기가 거치된 상기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25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구비된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이다. 상기 진동기 26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복합체이다.
상기 진동기 27은 상기 타설구,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b)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복합체이다. 상기 진동기 28은 회전자 또는 모터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 돌기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자바라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상기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29는 a) 공사 재료의 타설구; 상기 타설구에 진동케이스가 장착된 복합체; 가진기가 장착된 상기 타설구 또는 복합체;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로 구성된 복합체 또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30은 상기 타설구, 케이스, 복합체,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 및 진동하는 방전기에서 생성되는 오존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하나를 이용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31은 a) 상기 모터,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의 캡, 케이스의 몸체, 케이스의 슈; b) 상기 모터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케이블, 컨트롤러; c) 상기 전선의 보호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또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32는 a) 상기 모터에 자기장기 구비, 상기 고정자에 자기장기 구비, 상기 회전자에 가진기 구비, 상기 회전축에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회전체에 진동하는 자기장기 구비, 상기 케이스에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자화하는 가진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자기장발생하는 오존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캡에 오존발생하는 음이온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몸체에 가진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케이스의 슈에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상기 전선에 상기 복합기 구비, 상기 케이블에 오존기 구비, 상기 컨트롤러에 음이온기 구비, 상기 보호관에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또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33은 a) 상기 진동기, 튜브, 케이스,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진동, 다짐, 가진, 자화, 방역, 살균, 소독, 기포제거, 공기제거, 유동화, 슬러리화, 슬러프치증가, 반응촉진, 수화반응촉진, 다짐화, 고밀도화, 고강도화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진동하는 타설구이거나, b) 또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타설구이다. 상기 진동기 34는 타설형 진동기, 콘크리트 타설형 진동기, 콘크리트 타설 진동기, 타설기의 타설형 진동기, 펌프카의 타설형 진동기, 진동 타설구, 진동형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기의 타설구, 펌프카의 타설구, 타설기의 진동형 타설구, 펌프카의 진동형 타설구, 진동기 구비 타설구, 진동튜브 구비 타설구, 진동케이스 구비 타설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5는 a)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로 구성된 진동기; b)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와 상기 타설구에 구비된 자화기로 구성된 진동기; c)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와 상기 진동케이스에 구비된 오존기로 구성된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6은 a) 자신의 내부가 중공이고, b) 자신의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부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c) 상기 중공 또는 이의 선단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d) 상기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d1)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 타설구, 타설 진동기, 타설구 진동기, 내부 중공의 타설구, 내부 중공의 진동 타설구, 내부 중공의 타설구 진동기, d2)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고정자에 연계된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진동기 장착의 상기 타설구, 선단에 진동중공체 장착의 상기 타설구, 진동기 장착의 자기장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7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d1) 타설구 ∼ d2)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8은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을 발생하고,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방전기에 의하여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살균기에 의하여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d1) 타설구 ∼ d2)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9는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기장기,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상기 d1) 타설구 ∼ d2)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40은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자기장기, 봉진동기, 진동자화기, 진동회전기, 진동튜브, 상기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중공체 또는 진동중공체가 a) 거치된, 또는 b) 상기 중공체 또는 진동중공체가 타설구 자신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선단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상기 d1) 타설구 ∼ d2)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41은 a) 콘크리트 타설기 또는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 이에 연결되는 연결수단, 이 연결수단에 거치된 진동기로 구성되거나, b) 또는 오존과 음이온을 방사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고 가진하는 상기 타설기 또는 타설구, 연결수단, 진동기로 구성되거나, c) 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진동기에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타설기 또는 타설구를 통과하는 콘크리트, 상기 타설기 또는 타설구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을 진동, 자화, 가진,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복합체 진동기이다. 여기서 연결수단은 봉, 줄, 끈, 링, 철사, 롯드, 밴드, 조임밴드, 호스밴드, 호스, 케이블, 진동기 호스, 진동기 케이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 42는 콘크리트 타설기,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에 구비된 또는 봉, 줄, 끈, 링, 철사, 롯드, 밴드, 호스, 케이블, 연결수단, 진동기 호스, 진동기 케이블 중 하나로 연결되어 구비된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43은 콘크리트 타설기, 엔드호스, 타설구 중 하나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진동기로서, 1) 상기 연결수단은 a)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이거나, b) 또는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을 줄, 끈, 링, 철사, 밴드, 조임밴드, 호스밴드,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거나, c) 또는 c1)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에 봉, 대, 막대, 롯드, 거치대, 지지대 중 하나가 거치되고, c2)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가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로 체결되고, c3)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에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이 거치되고, c4)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이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로 체결되는 것이거나, 2) 또는 상기 연결된 진동기에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진동과 자기장이 발생되고 가진하는 오존음이온진동자화가진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콘크리트를 자화하고 가진하는 자기장자화가진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구비되고, 3)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은 진동기의 호스, 케이블, 자바라호스, 케이블과 호스, 케이블과 이를 에워싼 호스, 호스와 이 내부에 내재된 케이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진동기 44는 a) 콘크리트 타설구, 이에 거치된 롯드 또는 케이스 호스 또는 진동기 호스, 이 롯드 또는 호스에 연결된 케이스 또는 진동기, 상기 호스 내부에 매입된 케이블, 이 케이블에 연결되는 모터 또는 플러그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내부에 매입된 회전체, 상기 케이블의 회전 또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 이 케이스 또는 진동기의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타설구 또는 호스, 상기 타설구를 통하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는 상기 케이스 또는 진동기로 구성되거나, b) 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팬, 나선, 스크류, 회전기, 교반기, 회전교반기, 중공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중공체(37, 102, 104); 이중 하나의 속, 내부, 외부; 등에는 팬, 나선, 스크류, 회전기, 교반기, 회전교반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발생, 형성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 45는 a) 일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b) 타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출 또는 타설되고, c) 상기 타측의 타설구 또는 상기 유출되는 타설구 또는 상기 타설되는 타설구에 진동기, 진동케이스, 중공체,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되고, d)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에 전기가 인가되고, e) 상기 전기 또는 인가에 의하여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되고, f)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가 전달되고, g)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가 진동되고, h) 상기 타설구의 진동이 유출, 유출 전, 유출 중, 유출 후, 기 유출,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에 전달되고, i)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유출 내지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도록 하는 상기 타설구 ∼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46은 a) a1) 상기 일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 콘크리트에 전달되고, a2)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유출 내지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가 진동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a3) 상기 타설구, 상기 타설구와 이에 장착된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상기 타설구 진동기, 상기 복합체 진동기 중 하나이면서, b) 상기 타설구,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에 돌기가 형성되고, c) 상기 돌기에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d) 상기 진동기 내지 진동중공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진동,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47은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진동기, 타설구 ∼ 자기장기 장착의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타설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로서, 상기 케이스,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48은 a) a1) 내부 중공의 중공체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중공체와, a2) 상기 중공체; 이의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케이스와, a3)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회전자 또는 모터와, a4) a41) 상기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케이스; a42)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케이스; a43) 상기 회전자 또는 모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b) 또는 상기 a)에 더하여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거나, c) 또는 상기 a), b) 중 하나 이상에 더하여 상기 중공, 중공체, 내부, 외부, 케이스, 회전자, 모터, 고정자 중 하나 이상에 c1)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c2)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진동기 49는 a)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중공형 진동기; 진동기와 이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로 구성된 복합체; 진동기가 거치된 중공체와 이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로 구성된 복합체; b) 또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b1) 내부 중공형 진동기, b2) 상기 a) 진동기, b3) 상기 a)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0은 a)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진동기로 구성된 복합체;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것으로 진동기가 구비된 중공체로 구성된 복합체; b) 또는 상기 오존을 방사하고 ∼ 살균을 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상기 콘크리트 타설구, 상기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1은 a) 타설된 콘크리트에 투입되어 a1) 자신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진동하거나, a2) 또는 자신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및 타설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b) 상기 진동기의 하나인 b1) 콘크리트 타설구, b2)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b3)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중공형 진동기, b4)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중공형 콘크리트 타설구, b5)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b6)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b7)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b8)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거치된 진동기로 구성된 복합체; c) 또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a) 진동기 내지 b8) 복합체; d) 또는 d1)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d2)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a) 진동기 내지 c)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2는 복합체 1, 복합체 2, 복합체 3, 복합체 4, 복합체 5, 복합체 6, 복합체 7, 복합체 8 중 하나이거나,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인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가 거치된 콘크리트 타설구와 상기 타설구에 구비된 자기장기와 상기 자기장기에 거치된 오존기로 구성된 진동기이다. 상기 복합체 1은 a)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의 자신,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이격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진동기, 진동케이스,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진동기,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이거나, b) 또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2는 a) 콘크리트 타설구가 구비되고, b) 상기 타설구; 이의 자신,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이격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c) 상기 거치되어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3은 a) 콘크리트 타설기 또는 펌프카가 구비 또는 반입되고, b) 상기 타설기 또는 펌프카의 타설구; 이의 자신,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이격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c) 상기 거치는 상기 구비 또는 반입 전, 중, 후, 동시 중(中) 하나 이상에 되고, d) 상기 거치되어 상기 타설구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4는 a) 상기 타설구, 자신 내지 중공부,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b)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5는 a) 상기 타설구 내지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복합체이거나, b) 또는 상기 타설구 내지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돌기에 의한 진동 확산 또는 콘크리트 교반, 방전기에 의한 전기방전살균, 오존기에 의한 오존살균, 회전기에 의한 콘크리트 교반, 진동기에 의한 진동, 음이온기에 의한 음이온청정, 자기장기에 의한 자기장발생, 살균기에 의한 살균, 상기 물질에 의한 살균 또는 소독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6은 a) a1) 콘크리트가 통과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a2) 상기 타설구에 거치된 케이스, 돌기 구비 케이스, 자바라 구비 케이스 중 하나; a3)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모터 또는 고정자; a4)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 a5)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및 a6)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를 포함하거나, b) 또는 살균기, 상기 자기장기, 상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를 포함하는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6에서 살균기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이다.
상기 복합체 7은 상기 케이스가 a)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b)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c) 회전자 또는 모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d)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 e) 또는 내부, 외부, 상기 고정자, 상기 회전자,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살균기, 자기장기, 전기방전기, 상기 살균기, 상기 자기장기, 상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케이스; 중 하나인 상기 복합체 1, 복합체 2, 복합체 3, 복합체 4, 복합체 5, 복합체 6 중의 하나이다.
상기 복합체 8은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복합체 1, 복합체 2, 복합체 3, 복합체 4, 복합체 5, 복합체 6, 복합체 7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케이스; b2) 이에 거치된 모터, 고정자; b3)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거치된 회전자; b4)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 b5)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b6)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가 구비된 진동기의 복합체로서, x) 상기 케이스,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y) 또는 상기 튜브에 가진기 이용, 상기 케이스에 자화기 구비, 상기 모터에 방사물 분사, 상기 고정자에 오존 분사, 상기 회전자에서 음이온 발생, 상기 회전축에 음이온 분사, 상기 회전체에 자화물 분사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상기 진동기 53은 a) 진동기, 타설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고, b) 상기 진동,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이 타설구, 이에 구비된 진동기, 이의 둘로 구성된 복합체 중 하나에 전달되고, c) 상기 전달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d) 타설구를 통하여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e) 진동에 의하여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54는 a) 형틀, 형틀 내부, 철근이 조립된 형틀, 철근망이 내재된 형틀; b) 철근, 철근망, 철근 사이, 철근망 내부; c) 형틀과 철근, 형틀과 철근망, 형틀과 철근 사이, 형틀과 철근망의 내부, 형틀 내의 철근 사이, 형틀 내의 철근망 내부, 형틀 내벽과 철근의 사이, 형틀 내벽과 철근망의 사이; d) 콘크리트, 타설된 콘크리트, 형틀 내부의 콘크리트, 철근 사이의 콘크리트, 철근망 내부의 콘크리트, 형틀과 철근 사이의 콘크리트, 형틀 내벽과 철근 사이의 콘크리트, 형틀과 철근망과 콘크리트, 형틀과 철근 사이와 콘크리트; 중(中) 하나 이상에 투입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中)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형 타설구, 중공형 타설구, 타설기의 타설구, 펌프카의 타설구, 타설기의 진동형 타설구, 펌프카의 진동형 타설구, 타설되는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는 콘크리트 타설구, 타설된 콘크리트에 인입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콘크리트 타설구,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타설구, 고정자에 연계된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진동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타설구, 진동기, 타설형 진동기, 중공형 진동기, 콘크리트 타설 진동기, 타설기의 타설형 진동기, 펌프카의 타설형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5는 상기 형틀, 철근, 철근망, 타설구 ∼ 펌프카의 타설형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가진기, 자화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이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타설구 ∼ 펌프카의 타설형 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6은 a) 콘크리트 타설구가 구비되고, b) 상기 타설구; 이의 자신,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이격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케이스가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타설구에 케이스가 거치되어 복합체가 조성되고, c) 상기 케이스에는 고정자가 거치되고, 상기 고정자에는 회전자가 거치되고, 상기 회전자에 회전축이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에는 모터가 거치되고, 상기 모터에 회전축이 거치되고, d) 상기 회전축에 회전체가 거치되고, e) 상기 모터,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가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f) 상기 진동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고, g) 상기 전달되어 상기 타설구,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고, h)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타설구 통과 전, 통과 중, 통과 후, 기 통과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또는 상기 타설구에 의한 타설,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를 진동하거나,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57은 상기 타설구, 케이스, 복합체,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모터,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케이스, 타설구, 복합체, 콘크리트 등이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58은 a) 상기 타설구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면서 상기 진동하거나, b) 또는 상기 타설구에 살균기, 상기 케이스에 방전기, 상기 복합체에 오존기, 상기 고정자에 자기장기, 상기 회전자에 진동기, 상기 회전축에 회전기, 상기 모터에 음이온기, 상기 회전체에 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케이스, 타설구, 복합체, 콘크리트 등이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59는 상기 타설구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살균하는 살균기, 상기 케이스에 주변공기를 전기방전하여 살균하는 방전기, 상기 복합체에 오존을 발생하여 주변환경 또는 콘크리트를 살균하는 오존기, 상기 고정자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장기, 상기 회전자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상기 회전축에 회전축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회전기, 상기 모터에 오존을 발생하여 주변환경을 청정하게 하는 음이온기, 상기 회전체에 회전체의 원심회전력을 가속시키게 하는 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케이스, 타설구, 복합체, 콘크리트 등이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 60은 a) 타설 전, 타설 중, 타설 후, 기 타설의 콘크리트를 a1) 동시에 진동하거나, a2) 또는 진동과 자화, 가진, 회전, 살균처리, 소독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방전처리,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a3)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b) 또는 자신의 내부로 유입, 자신의 내부를 통과, 자신의 내부를 통과한 콘크리트를 b1) 동시에 진동하거나, b2) 또는 진동과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b3) 또는 진동과 동시에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61은 a) 내부 중공의 진동기, 타설구, 진동기가 구비된 타설구인 복합체; b)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상기 진동기 내지 복합체; c) 자신과 힌지(hinge)로 연결된 돌기 또는 자바라 구비의 상기 진동기 내지 복합체; d) 회전은 자유이지만 수평 및 연직 이동은 고정되는 힌지(hinge)로 연결된 돌기 또는 자바라가 구비된 상기 진동기 내지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62는 콘크리트를 진동, 타설진동, 진동타설, 다짐진동, 진동다짐, 타설 전 진동, 타설 중 진동, 타설 후 진동, 타설하면서 진동, 진동하면서 타설, 타설 중 및 후에 진동, 타설 전 및 중 및 후에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63은 a) 타설구, 진동기가 구비된 타설구, 진동기가 구비된 타설구인 복합체, 오존기가 구비된 상기 복합체, 음이온기가 구비된 타설구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와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가 결합된 결합체이거나, c) 또는 상기 케이스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가 결합된 결합체이다. 상기 진동기 64는 a) 타설구와 이에 구비된 가진기, 튜브, 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 b) 또는 가진기, 튜브,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타설구; c) 또는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 또는 케이스와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가 결합된 결합체; d)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와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가 결합된 결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65는 a) 타설기, 드론, 펌프카, 3D프린터 중 하나의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구비된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 b) 또는 상기 타설기 내지 3D프린터 중 하나의 콘크리트 타설구와 이에 연결된 봉, 대, 링, 밴드, 롯드, 호스, 케이블, 진동기 호스, 진동기 케이블, 연결수단 중 하나로 연결된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체; c) 또는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방사와 동시에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발생과 동시에 전기 방전하고, 상기 방출과 동시에 살균을 하는 상기 복합체; d) 또는 상기 타설구, 진동기, 봉진동기, 진동튜브, 진동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d1)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분사되거나, d2)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복합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66은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철근을 진동하는 진동기, 콘크리트를 진동하면서 철근을 진동하는 진동기, 형틀 내의 콘크리트를 진동하면서 상기 형틀에 배근된 철근을 진동하는 진동기, 형틀 내의 철근 및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형틀을 진동하는 진동기, 철근 및 콘크리트가 투입된 형틀을 진동하는 진동기, 형틀과 이 내부의 철근 및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돌기가 형성된 진동기, 돌기와 자화기가 구비 진동기, 철근을 진동하는 돌기와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자화기가 구비 진동기, 철근을 진동하는 돌기와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자화기가 구비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철근에 진동을 전달하는 돌기가 형성된 진동기,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자화기가 구비 진동기, 철근에 진동을 전달하는 돌기와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자화기가 구비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체가 내재된 케이스의 외주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선단 또는 케이블에 자화기가 구비된 진동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는 가진기 1, 가진기 2, 가진기 3, 가진기 4, 가진기 5, 가진기 6, 가진기 7, 가진기 8, 가진기 9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가진기에는 가진기 1, 가진기 2, 가진기 3, 가진기 4, 가진기 5, 가진기 6, 가진기 7, 가진기 8, 가진기 9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가진기 1은 가진기, 봉형 가진기, 진동기, 봉형 가진기, 가진튜브, 가진케이스, 가진하는 봉형 케이스, 돌기 구비의 상기 가진기 내지 가진케이스, 자바라 구비의 상기 가진기 내지 가진케이스, 가진하는 가진기, 자화하는 가진기, 진동하는 가진기, 자기장에 의하여 가진하는 가진기, 가진물을 발생하는 가진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가진기, 오존물을 발생하는 가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가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가진기, 상기 가압기의 재료를 가진하는 가진기,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재료를 가진하는 가진기, 상기 주입기의 재료를 가진하는 가진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가진하는 가진기, 전해하는 가진기, 오존기에 거치된 가진기, 소독물을 공급하는 가진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2는 a) 자화가진기, 진동가진기, 오존가진기, 음이온가진기, 전기방전가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가진기; b)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가진기; c)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가진기; d)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상기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가진기; e) 상기 부착판, 이격판, 거치판 중 하나 이상이 진동하는 상기 가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3은 a) 가진하는 기구, 물체를 가진하는 기구, 2개 이상의 압력으로 가진을 하는 편심 가진기, 진동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가진자 또는 피스톤, 봉에 부착된 가진기 또는 자화기; b) 가진과 자화, 진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가진기 4는 튜브, 케이스; 이중 하나의 내부에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이 회전축에 구비된 비대칭 회전체;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상기 튜브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케이블; 이 케이블이 내장된 호스;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가 내장된 중공체 또는 하우징; 상기 중공체 또는 하우징의 측면으로 도출된 상기 케이블 또는 호스;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 캡, 중간 몸체, 하부 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튜브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진기 5는 상기 가진기 1, 가진기 2, 가진기 3, 가진기 4 중 하나에 a) 가진하면서 자화하는 가진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가진하는 자화가진기; b) 가진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c) 또는 자화, 진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가진기;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것이다.
상기 가진기 6은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50%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가진기,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50%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가진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50%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가진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50% 후에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7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투입된 중공체; 상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연계되면서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순차 연계되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가진기 또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가진기 8은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자기장이 방사되는 가진기 또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가진기 9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모터,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구비, 거치, 발생, 형성, 분사, 코팅, 도장 중 하나가 되는 가진기이다.
상기 오존기는 오존기 1, 오존기 2, 오존기 3, 오존기 4, 오존기 5, 오존기 6, 오존기 7, 오존기 8, 오존기 9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오존기에는 오존기 1, 오존기 2, 오존기 3, 오존기 4, 오존기 5, 오존기 6, 오존기 7, 오존기 8, 오존기 9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오존기 1은 오존기, 오존발생기, 오존처리기, 오존방사기, 오존조사기, 오존소독기, 오존살균기, 물질오존처리기, 물체오존살균기, 살균기능을 가진 오존기, 오존살균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 기구, 오존 처리하는 기구, 오존 살균하는 기구,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오존물을 생성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형성하는 오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오존기, 자화하는 오존기, 분해기에 부착된 오존기, 전해물이 발산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2는 a) 진동하는 오존기, 살균하는 오존기, 정화제를 발생하는 오존기, 살균물을 발생하는 오존기, 자화하는 오존기, 분해기에 부착된 오존기, 음이온을 발산하는 오존기; b) 양극과 음극에 전원 또는 고전압을 가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오존기; c) 상기 양극, 음극, 관, 코일, 판, 침, 솔, 바늘 중 하나 이상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된 또는 순차 연계된 오존기; d) 상기 연계에 의하여 상기 관 내지 바늘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는 오존기; e) 상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3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오존기, 상기 혼합기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기,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 재료에 오존을 주입하는 오존기, 상기 타설기의 재료를 오존처리하는 오존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오존처리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3은 오존과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오존기 4는 a) 원통관 또는 이중관이 구비되는 공정, b) 상기 원통관, 이중관, 이중관의 내관, 이중관의 외관; 이중 하나의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공정, c) 상기 원통관, 이중관, 내관, 외관, 코일 중 하나 이상에 전선이 연계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5는 a) 판이 구비되는 공정, b) 상기 판에 이격되어 1개 이상의 침이 거치되는 공정, c) 상기 판, 침 중 하나 이상에 전선이 연계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6은 a) 판이 구비되는 공정, b) 상기 판에 1개 이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공정, c) 상기 중공부에 이격되어 1개 이상의 솔이 거치되는 공정, d) 상기 판, 솔 중 하나 이상에 전선이 연계되는 공정, 에 의하여 조성된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7은 상기 원통관, 이중관, 내관, 외관, 코일, 판, 침, 솔, 전선; 이중 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8은 상기 원통관, 이중관, 내관, 외관, 코일, 판, 침, 솔, 전선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방전제발생, 살균제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9는 진동, 가진, 자화, 자기장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을 발생하거나, 또는 오존처리를 하는 오존기, 자화형 오존기, 진동형 오존기, 가진형 오존기, 자화진동가진형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는 음이온기 1, 음이온기 2, 음이온기 3, 음이온기 4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음이온기에는 음이온기 1, 음이온기 2, 음이온기 3, 음이온기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음이온기 1은 음이온기, 음이온발생기, 음이온처리기, 음이온방사기, 음이온조사기, 음이온청정기, 음이온소독기, 음이온살균기, 물질음이온처리기, 물체음이온청정기, 오존 발생 음이온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음이온물을 생성하는 음이온기, 청정기능을 가진 음이온기, 전기방전을 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음이온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음이온기, 자화하는 음이온기, 소독기에 거치된 음이온기, 살균물을 발산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2는 a) 음극에 전원 또는 고전압을 가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음이온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 또는 바늘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가진하는 음이온기, 음이온물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오존물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b) 상기 관, 코일, 판, 침, 솔, 바늘 중 하나 이상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된 또는 순차 연계된 음이온기; c) 상기 연계에 의하여 상기 관 내지 바늘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는 음이온기; d) 상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3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음이온기, 상기 가압기에 음이온을 투입하는 음이온기, 상기 주입기에 음이온을 주입하는 음이온기, 상기 타설기의 재료를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4는 음이온과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기는 회전기 1, 회전기 2, 회전기 3, 회전기 4, 회전기 5, 회전기 6, 회전기 7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회전기에는 회전기 1, 회전기 2, 회전기 3, 회전기 4, 회전기 5, 회전기 6, 회전기 7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기 1은 팬(fan), 휠, 로터, 로라, 나선, 날개, 믹서, 스크류, 헬리칼, 스파이럴, 회전기, 회전체, 회전추, 회전자, 회전팬, 회전축, 회전봉, 회전줄, 회전솔, 회전로프, 회전날개, 회전돌기, 회전나선, 회전해머, 회전스크류, 회전와이어, 회전다발줄, 회전방사줄, 편심회전체, 회전교반기, 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스테이터에 거치된 로터, 로터에 구비된 회전축, 로터에 구비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중심축이 구비된 회전기, 중심축이 회전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자체 회전하는 회전기, 진동하는 회전기, 회전물을 발생하는 회전기, 오존물을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여 회전물을 발생시키는 회전기, 돌기 달린 회전기, 갈퀴 달린 회전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팬 ∼ 갈퀴 달린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2는 물질회전기, 물체회전기, 회전하는 회전기, 회전물을 생성하는 회전기, 진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기, 가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기, 자기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회전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회전기, 유동화하는 회전기, 진동기에 장착된 회전기, 소독물을 공급하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3은 자가 회전기, 동력 회전기, 무동력 회전기, 물질 회전기, 콘크리트 회전기, 물질 또는 콘크리트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팬 내지 회전체, 중심축에 구비된 상기 팬 내지 회전체, 회전하는 중심축이 구비된 상기 팬 내지 회전체, 모터 구비 상기 팬 내지 회전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팬 내지 회전체,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상기 팬 내지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기 4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기, 물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혼합기의 물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주입기의 재료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타설기의 재료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5는 회전과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기 6은 a) 1개 점 또는 1개 줄에 연계된 2가락 이상의 줄, 상기 1개 점 또는 1개 줄이 거치된 축,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기 또는 회전체이거나, b) 또는 상기 점, 줄, 축, 회전수단, 회전기, 회전체, 회전기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다. 상기 회전기 7은 a)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 이의 선단에 상기 꼬임이 풀어진 2개 이상의 가닥,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장착된 1개 이상의 봉, 이 봉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 상기 꼬임선이 1개 이상 장착된 축,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기 또는 회전체이거나; b) 또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수단, 회전기, 회전체, 회전기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다.
상기 분해기는 분해기 1, 분해기 2, 분해기 3, 분해기 4, 분해기 5, 분해기 6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분해기에는 분해기 1, 분해기 2, 분해기 3, 분해기 4, 분해기 5, 분해기 6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분해기 1은 a) 분해기, 배양기,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발효기, 전기분해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b) 또는 가스, 수소, 산소, 이온, 이온물, 전해물, 전해수, 바이오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라디칼,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2는 물질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배양기, 분해를 하는 분해기, 미생물을 분해를 하는 분해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분해기, 분해물을 조성하는 분해기, 미생물 배양조가 구비된 분해기, 배양조에서 미생물을 분해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분해기, 자화하는 분해기, 소독기에 거치된 분해기, 음이온물을 발생하는 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3은 용기, 배양조; 이중 하나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거치된 분리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에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기 4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해기, 상기 저장고의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 배양된 미생물을 상기 혼합기에 투입하는 분해기, 상기 타설기에 분해 미생물을 투입하는 분해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분해시키는 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5는 분해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분해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해기 6은 전기, 전극, 히터, 고주파기; 이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열, 자기장, 전기장;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물, 미생물, 균, 오염, 곰팡이, 박테리아, 폐기물 중 하나 이상을 분해 또는 배양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전해기 5, 전해기 6, 전해기 7, 전해기 8, 전해기 9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전해기에는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전해기 5, 전해기 6, 전해기 7, 전해기 8, 전해기 9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전해기 1은 전해기, 전기분해기,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전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염분이 함유된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전해조가 구비된 전해기, 전해조 내의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로를 생성하는 전해기, 미생물이 투입된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 2는 물질전해기, 전해질전해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전해기, 전해물을 생성하는 전해기, 전원에 의한 전해기, 전원 및 전극에 의한 전해기,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에 의한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해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전해기, 살균하는 전해기, 오존기에 거치되는 전해기, 진동물을 생성하는 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 3은 용기, 전해조; 이중 하나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거치된 분리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에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 상기 양극에서 생성되는 산소를 포집하는 포집기; 상기 음극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포집하는 포집기; 상기 포집된 산소와 수소를 저장하는 저장고;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해기 4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해기, 상기 저장고의 물질을 전해하는 전해기, 상기 혼합기에 전해물을 투입하는 전해기,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재료를 전해하는 전해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전해시키는 전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 5는 전해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전해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전해기 6은 a) 전해기, 전기분해기, 전해조;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액;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해기 7은 a) 전해조에 투입되는 물, 해수, 염분, 염수, 폐수, 음폐수, 폐기물, 전해액;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되는 상기 물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물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O2, H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기 8은 a) 상기 전해조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전해기 9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b)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분사하는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c)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방역, 살균, 소독, 청정, 정화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화기는 유동화기 1, 유동화기 2, 유동화기 3, 유동화기 4, 유동화기 5, 유동화기 6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유동화기에는 유동화기 1, 유동화기 2, 유동화기 3, 유동화기 4, 유동화기 5, 유동화기 6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화기 1은 유동화기, 튜브형 유동화기, 중공형 유동화기, 파이프형 유동화기, 재료를 유동화하는 기구,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기구, 재료의 이송라인에 설치되는 이송되는 재료를 유동화시키는 기구, 콘크리트의 이송라인에 설치되는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기구, 콘크리트의 이송라인에 설치되는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튜브형 기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기 2는 물질유동화기, 재료유동화기, 콘크리트유동화기, 물질을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유동화물을 조성하는 유동화기, 자화에 의한 유동화기, 진동에 의한 유동화기, 가진에 의한 유동화기, 자기장에 의한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유동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거치되는 유동화기, 가진하는 유동화기, 회전기에 장착된 유동화기, 자화물을 공급하는 유동화기, 상기 저장고에 저장된 물질을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상기 가압기에 의하여 가압된 재료를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재료를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기 3은 a) 슬러리형의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b) 또는 타설기, 펌프카, 이송관, 타설호스, 타설구, 피니셔,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유동화기, c) 상기 타설기 내지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설, 펌핑, 이송, 유동화, 마감, 진동 중 하나의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d)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절곡기로 절곡된 철근의 조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커플러로 연결된 철근이 투입된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형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비계에 거치되어 콘크리트를 유동화하는 유동화기, 건물 또는 자재의 형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혼화제가 포함된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방수제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기 4는 a) 자기장기, 자화기, 유동화기, 자기장 발생기, 전기장 발생기,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봉 또는 튜브 또는 중공체에 권선된 코일, 이송관의 1지점 이상에 권선된 코일, 엔드호스의 1지점 이상에 권선된 코일, 타설구의 1지점 이상에 권선된 코일; b)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봉, 튜브,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중공체;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봉 내지 중공체; d)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봉이 투입된 상기 튜브 내지 중공체,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튜브 내지 중공체; e) 상기 코일 또는 전극에 연계된 전선, 상기 전선에 연계된 전원공급기; f)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기장기 내지 중공체,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기장기 내지 중공체; g) 자기장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상기 자기장기 내지 중공체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유동화시키는 유동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유동화기 5는 a)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61); b) 상기 호퍼에 투입된 재료를 펌핑 또는 가압하는 실린더(206), 피스톤(206), 펌프, 가압기; c)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재료를 가압하는 상기 실린더(206), 피스톤(206); d) 상기 호퍼 내지 가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공되는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관(208); e) 상기 이송관에 연계된 엔드호스(209); f) 상기 엔드호스의 단부인 타설구(200); g) 상기 호퍼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코일(16),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자기장기, 살균기, 중공체(104), 코일 구비의 중공체(104), 자화기 구비의 중공체(104); h) 상기 이송관(208)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관 또는 단관의 사이,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i)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j) 전원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k)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화기 6은 유동화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유동화기, 전해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방전기는 방전기 1, 방전기 2, 방전기 3, 방전기 4, 방전기 5, 방전기 6, 방전기 7, 방전기 8, 방전기 9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방전기에는 방전기 1, 방전기 2, 방전기 3, 방전기 4, 방전기 5, 방전기 6, 방전기 7, 방전기 8, 방전기 9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방전기 1은 a) 방전기, 전기방전기, 불꽃 방전기, 진공 방전기, 스파크 방전기, 두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류가 흐르는 방전기, 두 전극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되는 방전기, 용기와 이에 투입된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 또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방전기, 상기 용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분진이 대전되어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2는 물질방전기, 물체방전기, 방전하는 방전기, 방전물을 발산하는 방전기, 전기에 의한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방전기, 살균하는 방전기, 자화기에 정착된 방전기, 진동물을 생성하는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3은 용기; 이에 구비된 전극; 이중 하나 이상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상기 전선에 공급된 전기에 의하여 방전 현상이 발생되는 상기 용기와 전극;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전기 4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유발하는 방전기, 상기 저장고의 물질을 방전하는 방전기, 방전물인 오존을 상기 혼합기에 투입하는 방전기, 상기 이송라인에 방전물인 음이온을 투입하는 방전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방전물을 방사하는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5는 방전과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자기장,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방전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방전기 6은 a) 방전통, 집진통;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c) 상기 방전통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d)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 전기방전, 코로나방전 중 하나가 발생되는 상기 방전통 내지 전극; e)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방전통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전기 7은 a) 상호 이격된 양극 및 음극; 이에 연결되어 전기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방전되거나, b) 또는 상기 전기방전되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방전기 8은 a)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생성되는 방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방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방전기;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가 되어 정전기력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분진이 집진되는 방전기; f) 원통을 양극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을 음극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되어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방전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9는 전기방전하여 살균기능을 가진 방전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판 또는 유공판과 이에 이격되어 거치된 침으로 구성된 방전기, 유공판과 이의 유공부에 이격되어 거치 또는 삽입된 침으로 구성된 방전기, 상기 판은 양극이 되고 상기 침은 음극이 되는 방전기, 상기 양극과 음극이 되도록 전기를 인가시키는 회로 또는 기판이 구비된 방전기, 상기 판과 침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야기시키는 방전기,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방사시키는 방전기, 상기 양극의 판에 음극으로 대전된 공기 중의 분진이 부착되는 방전기, 상기 부착된 분진이 제거 또는 진동으로 제거되는 또는 타격으로 제거되는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역기는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드론, 살균드론, 소독드론, 방역모빌리티, 살균모빌리티, 소독모빌리티, 균을 제거하는 기기, 연무를 분사하는 기기, 연무를 분사하는 드론, 연무를 분사하는 모빌리티, 비행하는 드론 또는 방역기, 비행하면서 연무를 분사하는 드론 또는 방역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독기는 소독기 1, 소독기 2, 소독기 3, 소독기 4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소독기에는 소독기 1, 소독기 2, 소독기 3, 소독기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소독기 1은 a)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열소독기, 가열소독기, 물질소독기, 물체소독기, 소독하는 소독기, 살균하는 소독기,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기, 소독제를 분무하는 소독기, 소독을 하는 소독기, 정화제를 분사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소독기, 오존처리하는 소독기, 살균기에 부착된 소독기, 회전물을 분사하는 소독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기 2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기, 상기 저장고의 물질을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혼합기에 투입되는 재료를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이송라인에 소독제를 투입하는 소독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소독하는 소독기, 현관의 상부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기, 게이트에 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기 3은 소독과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오존, 음이온, 전해, 방전,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소독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소독기 4는 오존, 음이온, 광선,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소독제, 광촉매,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여, 또는 램프에서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여 상기 균 내지 새집증후군 중 하나 이상을 소독, 제독, 해독, 제거, 저감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 살균기는 살균기 1, 살균기 2, 살균기 3, 살균기 4, 살균기 5, 살균기 6, 살균기 7, 살균기 8, 살균기 9, 살균기 10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살균기에는 살균기 1, 살균기 2, 살균기 3, 살균기 4, 살균기 5, 살균기 6, 살균기 7, 살균기 8, 살균기 9, 살균기 10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살균기 1은 a) 등(燈), 램프, 히터, LED등, 자외선램프, 100℃ 이상 고온히터, 살균기, 제균기, 멸균기, 항균기,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청정기, 정화기, 세척기, 세정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 플라즈마기, 증기발생기, 옷걸이램프, 오존분사기, 살균제분사기, 소독제분사기, 연막분사차, 약품분사기, 약품분사차, 약품분사대포, 살균연무분사차, 살균약품분사기, 살균약품분사차, 살균약품분사대포, 열을 가하는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는 살균기; b) 거치대에 구비된 램프, 이동수단에 구비된 램프, 바퀴 달린 거치대에 구비된 램프; c) 광촉매가 코팅된 용기와 이에 구비된 히터, 램프, 오존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살균기; d) 상기 코팅된 광촉매와 상기 램프에 의한 빛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하여 살균 기능을 하는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2는 광원기, LED기, 방사기, 물질살균기, 물체살균기, 살균하는 살균기, 소독하는 살균기, 살균물을 생성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구비되는 살균기, 진동하는 살균기, 전해기에 연계되는 살균기, 오존물을 조성하는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3은 소독살균기, 램프살균기, 오존살균기, 음이온살균기, 살균제 발생기, 살균제 방사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살균기와 방전기가 조합된 살균방전기, 살균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살균자기장기, 살균기와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살균방전자기장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4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기, 상기 저장고의 물질을 살균하는 살균기, 상기 혼합기에 투입되는 재료를 살균하는 살균기, 상기 이송라인에 살균제를 투입하는 살균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현장 또는 공간을 살균하는 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5는 살균과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오존, 음이온, 전해,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살균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살균기 6은 1)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6)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2) 또는 상기 장치1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장치, 살균기, 자화살균기, 진동살균기, 가진살균기, 오존살균기, 음이온살균기, 회전살균기, 펄스살균기, 버블살균기, 복합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6은 1) 상기 장비 15 등에 기재된 장치1,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상기 장비 16 등에 기재된 장치2,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상기 장비 17 등에 기재된 장치3, 상기 a1) 유입 파이프 내지 a16)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2) 또는 a1) 자화기 내지 a16)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장치, 살균기, 자화살균기, 진동살균기, 가진살균기, 오존살균기, 음이온살균기, 회전살균기, 펄스살균기, 버블살균기, 복합살균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해당된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오존, 물질, 또는 물질에 포함되는 촉매, 광촉매,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공기, 대기, 수질, 환경, 주변, 인근, 현장, 현장내부, 현장공기, 상기 튜브 내지 파이프 등을 통과하는 물질 등이 살균되기 때문이다. 상기 압기살균기는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등에 상기 저장고, 콤프레서,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 등에서 제공되는 압기(壓氣) 또는 압축공기(壓縮空氣)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등은 고압으로 공급 또는 분사되게 된다. 상기 오존살균기는 상기 오존이 이용되어 살균되기 때문이다. 상기 펄스살균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개폐간격(開閉間隔), 타이머 등에 의하여 압기가 공급(開), 무공급(閉), 공급(開), 무공급(閉) 등을 반복적으로 하여 시간차를 주는 펄스, pulse, 비주기적압력. 시간차압력, 진동압력, 충격압력, 펄스압기, 막혔다가(閉) 갑자기 뻥뚤리는(開) 압력 등이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콘크리트 내지 물질 등에 작용되는 것이다. 상기 버블살균기는 상기 압기, 펄스, 펄스 압기, 오존 포함 공기 등에 의하여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콘크리트 내지 물질 등에 버블, 거품, 기포, 공기방울, bubble 등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자화살균기 내지 복합살균기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b)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거치된,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d)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으로 처리하면서 살균하는 살균기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살균기 7은 열, 빛, 연기, 안개, 연무, 염소, 오존, 음이온, 미스트, 스모그, 살균제, 소독제, 페놀수, 피톤치드, 크레솔수, 클로르칼크, 포말린, 알코올, 메탈락실, 보르도액, 과산화수소수, 프탈라마이드제, 벤디미다졸제, 트라이아졸제;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열 내지 트라이아졸제; 램프를 통하여 상기 열 내지 트라이아졸제;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기 8은 a) 용기, 이 용기의 입구 및 출구, 상기 입구에 스크린 및 팬, 상기 출구에 필터; b) 상기 용기 내부에 히터, 상기 용기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 상기 용기의 밀대 또는 손잡이; c) 상기 출구의 외부에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d) 상기 용기의 중간에 벤츄리관; e) 상기 벤츄리관의 외부에 순차적으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호스, 콤프레셔;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g)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빛, 열, 스팀, 압기, 약품, 약물, 살균제, 소독제,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LED빛, 플라즈마, 살균가스,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램프; h)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램프; i)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용기 내지 램프; j) 상기 용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기 9는 a) 거치대; b) 이 거치대에 상기 빛 내지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램프; c) 상기 거치대에 바퀴 또는 이동수단; d) 상기 램프에 구비된 갓 또는 반사판; e) 광촉매 코팅된 상기 거치대 내지 반사판; e) 상기 거치대 또는 램프 주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f)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기 10은 상기 살균기 1, 살균기 2, 살균기 3, 살균기 4, 살균기 5, 살균기 6, 살균기 7, 살균기 8, 살균기 9 중 둘 이상이 연계된 또는 순차적으로 연계된 또는 역순으로 연계된 살균기이다. 상기 살균기 1∼9 등은 a) 버블기, 펄스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의 기능을 가지거나, b) 또는 버블기, 펄스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기 등의 역할을 하거나, c)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 진동 내지 복합 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고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고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고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분해물과 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유동화물과 방전물과 소독물과 살균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것은 것, 물, 물질, 제(劑), 재(材), 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자화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은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e) 회전분해전해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유동화물과 방전물과 소독물과 살균물, 회전분해전해유동화물과 방전소독살균물, 회전분해물과 전해유동화방전물과 소독살균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물은 a)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b)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c) 자화 진동 가진하는 것, d) 자화 진동 가진되는 것, e) 자화하고 진동가진하는 것, f) 자화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g)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는 것, h) 자화되고 진동되고 가진되는 것, i) 자화진동가진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 자화진동물과 가진물, 자화물과 진동가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가진오존음이온물은 a)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b)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c) 가진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것, d) 가진되고 오존처리 음이온처리되는 것, e) 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는 것, f)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g)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처리하는 것, h) 가진되고 오존처리되고 음이온처리되는, i)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물, 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회전분해전해유동화물은 a)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하는 것, b)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되는 것, c) 회전 분해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d) 회전 분해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e) 회전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f)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유동화하는 것, g) 회전하고 분해하고 전해하고 유동화하는 것, h) 회전되고 분해되고 전해되고 유동화되는 것, i) 회전분해전해유동화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유동화물, 회전분해물과 전해유동화물, 회전분해전해물과 유동화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에서 상기 복합물에 속하는 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은 a)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하는 것, b) 유동화 방전 소독 살균되는 것, c) 유동화 방전하고 소독 살균하는 것, d) 유동화 방전되고 소독 살균되는 것, e) 유동화하고 방전소독살균하는 것, f)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살균하는 것, g) 유동화하고 방전하고 소독하고 살균하는 것, h) 유동화되고 방전되고 소독되고 살균되는 것, i) 유동화방전소독살균물, 유동화물과 방전물과 소독물과 살균물, 유동화방전물과 소독살균물, 유동화물과 방전물과 소독살균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화물에는 자화물, 자화제, 자화수, 자화액, 자화물질, 자기장화물, 자기장 방사물, 장치에 투입되는 자화물, 물체에 이용되는 자화물, 물질을 자화하는 자화물, 재료를 자화하는 자화물, 살균에 이용되는 자화물, 장치로 공급되는 자화물, 물체로 자화하는 자화물, 자화기로 자화하는 자화물, 자기장기에 의하여 자화된 자화물, 자화물로 자화된 자화물, 진동 전에 자화하는 자화물, 가진 후에 자화하는 자화물, 살균 중에 자화하는 자화물, 오존기로 처리된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자화된 자화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화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자화물질은 물질자화물, 물체자화물, 자기장 방사물, 자화하는 자화물, 자화기에 발생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자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자화물, 소독을 하는 자화물, 가진기에서 발생되는 자화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자화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진동물에는 진동물, 진동제, 진동수, 진동액, 진동물질, 장치에서 생성되는 진동물, 물체를 진동하는 진동물, 물질을 진동하는 진동물,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물, 자화에 의한 진동물, 장치로 진동하는 진동물, 물체에 투입되는 진동물, 진동기에 의한 진동물, 진동물로 이용되는 진동물, 자화 전에 진동하는 진동물, 가진 후에 진동하는 진동물, 살균 중에 주입되는 진동물, 오존기로 생성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진동된 진동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진동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진동물질은 물질진동물, 물체진동물, 진동하는 진동물, 진동기에 발생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진동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진동물, 자화하는 진동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진동물, 살균물에 포함되는 진동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가진물에는 가진물, 가진제, 가진수, 가진액, 가진물질, 장치에서 생성되는 가진물, 물체를 가진하는 가진물, 물질을 가진하는 가진물, 재료를 가진하는 가진물, 오존에 투입되는 가진물, 장치로 가진하는 가진물, 물체로 가진하는 가진물, 가진기로 가진하는 가진물, 가진물로 가진하는 가진물, 자화 중에 가진하는 가진물, 소독 후에 가진하는 가진물, 회전 중에 가진하는 가진물, 살균기로 가진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가진된 가진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가진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가진물질은 물질가진물, 물체가진물, 가진하는 가진물, 가진기에 발생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가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가진물, 전해하는 가진물,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가진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가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오존물에는 오존물, 오존제, 오존수, 오존액, 오존물질, 오존공기, 오존가스, 오존 처리물, 오존 방사물, 오존 조사물, 오존 정화물, 오존 살균물, 장치에서 공급되는 오존처리물, 물체를 오존처리하는 오존살균물, 물질을 오존처리하는 오존소독물, 재료를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물, 오존에 가해지는 오존처리물, 장치로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물, 물체로 오존처리하는 오존살균물, 오존기로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물, 오존물로 오존처리하는 오존처리물, 진동 중에 오존처리하는 오존방사물, 살균 중에 방사되는 오존처리물, 전해 중에 조사되는 오존처리물,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처리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오존조사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오존처리된 오존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오존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오존물질은 오존소독물, 오존살균물, 물질오존처리물, 물체오존살균물,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물, 오존기에 발생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오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오존물, 자화하는 오존물, 분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물, 전해물에 투입되는 오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물에는 음이온물, 음이온제, 음이온수, 음이온액, 음이온물질, 음이온공기, 음이온가스, 음이온 처리물, 음이온 방사물, 음이온 조사물, 음이온 청정물, 음이온 살균물,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처리물, 물체를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살균물, 물질을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소독물, 재료를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처리물, 분해에 추가되는 음이온처리물, 장치로 공급되는 음이온처리물, 물체에 주입되는 음이온살균물, 음이온기로 발생되는 음이온청정물, 음이온물로 음이온처리하는 음이온처리물, 진동 중에 방사되는 음이온청정물, 살균 중에 주입되는 음이온처리물, 분해 중에 발생되는 음이온살균물, 소독기로 제공되는 음이온방사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음이온처리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음이온처리된 음이온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음이온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음이온물질은 음이온소독물, 음이온살균물, 물질음이온처리물, 물체음이온청정물,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물,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음이온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음이온물, 자화하는 음이온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살균물에 포함되는 음이온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물에는 회전물, 회전제, 회전수, 회전액, 와류물, 소요돌이물, 회전물질, 장치에서 생성되는 회전물, 물체를 회전하는 회전물, 물질을 회전하는 회전물, 재료를 회전시키는 회전물, 전해에 발생되는 회전물, 장치로 제공되는 회전물, 물체에 투입되는 회전물, 회전기로 제공되는 회전물, 회전물에 투입되는 회전물, 자화 전에 주입되는 회전물, 가진 후에 발생되는 회전물, 전해 중에 생성되는 회전물, 소독기로 회전하는 회전물, 회전하는 물질, 회전하여 와류하는 물질,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회전된 회전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회전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물질은 물질회전물, 물체회전물, 회전하는 회전물, 회전기에 발생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회전물, 유동화하는 회전물,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물, 소독물에 포함되는 회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해물에는 분해물, 분해제, 분해수, 분해액, 분해물질, 분해가스, 바이오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장치에서 생성되는 분해물, 물체에 투입되는 분해물,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물, 재료에 분사되는 분해물, 진동가 가비된 미생물 분해물, 장치에 제공되는 분해물, 물체에 포설되는 분해물, 분해기로 분해하는 분해물, 분해물에 주입되는 분해물, 진동 전에 진행되는 분해물, 방전 후에 분해되는 분해물, 살균 중에 분해되는 분해물, 소독기로 공급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분해된 분해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분해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분해물질은 물질분해물, 미생물분해물, 분해를 하는 분해물, 분해기에 발생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분해물, 자화하는 분해물,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분해물, 음이온물에 투입되는 분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해물에는 전해물, 전해제, 전해수, 전해액, 전해물질, 전해가스, 전기분해물, 장치에서 생성되는 전해물, 물체가 이용되는 전해물, 물질에서 전해된 전해물, 재료에 투입되는 전해물, 가진에 의한 전해물, 장치로 전해된 전해물, 물체에 분사되는 전해물, 전해기로 전해된 전해물, 전해물에 투입되는 전해물, 살균 전에 전해된 전해물, 오존처리 후에 이용되는 전해물, 오존방사 중에 조사되는 전해물, 음이온기로 분사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전해된 전해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전해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전해물질은 물질전해물, 전해질전해물, 전해하는 전해물, 전해기에 발생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해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전해물, 살균하는 전해물,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전해물, 진동물에 포함되는 전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동화물에는 유동화물, 유동화제, 유동화수, 유동화액, 유동화물질, 장치에서 공급되는 유동화물, 물체를 유동화하는 유동화물, 물질을 유동화하는 유동화물, 재료를 유동화하는 유동화물, 진동이 더해진 유동화물, 장치로 제공되는 유동화물, 물체에 투입되는 유동화물, 유동화기로 생성되는 유동화물, 유동화물에 추가되는 유동화물, 자화 전에 투입되는 유동화물, 음이온청정 후에 생성되는 유동화물, 방전 중에 이용되는 유동화물, 방전기로 유동화된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유동화된 유동화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유동화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유동화물질은 물질유동화물, 콘크리트유동화물, 유동화를 하는 유동화물, 유동화기에 발생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유동화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유동화물, 가진하는 유동화물, 회전기에서 발생되는 유동화물, 자화물에 주입되는 유동화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전물에는 방전물, 방전제, 방전수, 방전액, 방전물질, 방전공기, 방전가스, 전기방전물, 장치에서 발생되는 방전물, 물체에서 생성되는 방전물, 물질을 방전하는 방전물, 재료에 투입되는 방전물, 자화에 의한 방전물, 장치로 제공되는 방전물, 물체에 이용되는 방전물, 방전기로 방전되는 방전물, 방전물에 투입되는 방전물, 살균 전에 발생되는 방전물, 자화 후에 주입되는 방전물, 살균 중에 생성되는 방전물, 음이온기로 생성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방전된 방전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방전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방전물질은 물질방전물, 물체방전물, 방전하는 방전물, 방전기에 발생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방전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방전물, 살균하는 방전물, 자화기에서 발생되는 방전물, 진동물에 함유되는 방전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소독물에는 소독물, 소독제, 소독수, 소독액, 소독물질, 장치를 소독하는 소독물, 물체를 소독하는 소독물, 물질을 소독하는 소독물, 재료를 소독하는 소독물, 진동에 추가되는 소독물, 장치로 제공되는 소독물, 물체로 공급되는 소독물, 소독기로 생성되는 소독물, 소독물로 이용되는 소독물, 살균 전에 주입되는 소독물, 가진 후에 생성되는 소독물, 방전 중에 발생되는 소독물, 진동기로 제공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소독된 소독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소독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소독물질은 물질소독물, 물체소독물, 소독을 하는 소독물, 소독기에 발생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소독물, 오존처리하는 소독물,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소독물, 회전물에 포함되는 소독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물에는 살균물, 살균제, 살균수, 살균액, 살균물질, 장치를 살균하는 살균물, 물체를 살균하는 살균물, 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물, 재료를 살균하는 살균물, 진동에 의한 살균물, 장치에 분사되는 살균물, 물체에 분사되는 살균물, 살균기로 공급되는 살균물, 살균제로 이용되는 살균물, 소독 전에 분사되는 살균물, 진동 후에 생성되는 살균물, 가진 중에 살포되는 살균물, 자화기로 제공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된 살균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살균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살균물질은 촉매, 수지, 애쉬, 기포, 광촉매, 미생물, 부산물, 슬래그, 광원, 램프, LED, 피톤치드, 물질살균물, 물체살균물, 살균하는 살균물, 살균기에 발생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살균물, 진동하는 살균물, 전해기에서 발생되는 살균물, 오존물에 혼합되는 살균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는 a)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방역, 살균, 소독; b) 상기 폭기 내지 살균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c) 반응 전의 폭기, 응집 전에 발포, 폭기 후에 팽창, 응집 전에 반응, 여과 전에 흡착, 반응 후에 포집, 응집과 침전, 여과와 소독, 포집 후 살균;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폭기기에는 폭기기, 수중폭기기, 하천폭기기, 연못폭기기, 공기폭기기, 풍력폭기기, 폭기하는 장치, 발포하는 폭기기, 자화하는 폭기기, 물질 또는 물체를 폭기하는 폭기기, 기포를 발생하는 폭기기, 응집기에 거치된 폭기기, 발포 기능을 가진 폭기기, 진동하는 폭기기, 폭기제를 발생하는 폭기기, 발포제를 발생하는 폭기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폭기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폭기기, 반응기의 물질을 폭기하는 폭기기, 정화기의 물질을 폭기하는 폭기기, 타설기의 재료를 폭기하는 폭기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폭기하는 폭기기, 살균을 하는 폭기기, 진동기가 부착된 폭기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폭기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풍력폭기기는 a) 풍력을 이용하는 폭기기, 풍력폭기하는 장치, 풍력을 이용하여 압기(壓氣)를 공급하는 폭기기, 풍력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눌러 압기를 공급하는 폭기기, 상기 압기를 물속에 투입하여 물을 폭기하는 폭기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이 날개가 거치된 기둥 또는 타워, 상기 기둥 또는 타워의 기초, 상기 날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크랭크, 상기 크랭크에 거치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롯드, 이 롯드에 거치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실린더, 상기 왕복운동 중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하여 압기가 발생되는 상기 실린더, 상기 압기가 배출되는 실린더의 배출구,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배출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상기 실린더,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 또는 압축 시에 상기 유입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 또는 마개가 구비된 상기 실린더, 상기 압기의 배출 시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 압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막 또는 마개, 상기 압기의 유출 후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 유입구,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 선단에 구비된 분산기 또는 분산판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풍력폭기는 a) 상기 풍력폭기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기(壓氣)에 의한 폭기; b) 또는 상기 압기(壓氣), 호스, 분산기, 분산판 중 하나 이상이 물속에 투입되어 발생되는 폭기이다.
상기 발포기에는 발포기, 재료발포기, 팽창발포기, 발포하는 장치, 폭기하는 발포기, 진동하는 발포기, 물질 또는 물체를 발포시키는 발포기, 기포를 발생하는 발포기, 응집기에 거치된 발포기, 자화 기능을 가진 발포기, 살균하는 발포기, 발포제를 발생하는 발포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발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발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발포기, 반응기의 물질을 발포하는 발포기, 정화기의 물질을 발포하는 발포기, 타설기의 재료를 발포하는 발포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발포하는 발포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발포기, 진동기가 부착된 발포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발포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팽창기에는 팽창기, 재료팽창기, 발포팽창기, 팽창하는 장치, 팽창하는 팽창기, 진동하는 팽창기, 물질 또는 물체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기포를 발생하는 팽창기, 반응기에 거치된 팽창기, 자화 기능을 가진 팽창기, 살균하는 팽창기, 팽창제를 발생하는 팽창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팽창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팽창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팽창기, 반응기의 물질을 팽창하는 팽창기, 처리기의 물질을 팽창하는 팽창기, 타설기의 재료를 팽창하는 팽창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팽창하는 팽창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팽창기, 가진기가 부착된 팽창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팽창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반응기에는 반응기, 오염반응기, 생물반응기, 화학반응기, 미생물반응기, 반응제가 투입되는 반응기, 반응하는 장치, 폭기하는 반응기, 자화하는 반응기, 물질 또는 물체를 반응시키는 반응기, 기포를 발생하는 반응기, 응집기에 거치된 반응기, 가진 기능을 가진 반응기, 살균하는 반응기, 반응제를 발생하는 반응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반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반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반응기, 응집기의 물질을 반응하는 반응기, 처리기의 물질을 반응하는 반응기, 타설기의 재료를 반응하는 반응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반응하는 반응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반응기, 가진기가 부착된 반응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반응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흡착기에는 흡착기, 오염흡착기, 생물흡착기, 화학흡착기, 미생물흡착기, 흡착제가 투입되는 흡착기, 흡착하는 장치, 반응하는 흡착기, 오염을 포집하는 흡착기, 물질 또는 물체를 흡착시키는 흡착기, 기포를 발생하는 흡착기, 포집기에 거치된 흡착기, 가진 기능을 가진 흡착기, 살균하는 흡착기, 흡착제를 발생하는 흡착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흡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흡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흡착기, 정화기의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 처리기의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 공기 중의 오염을 흡착하는 흡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에 포함된 오염을 흡착하는 흡착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흡착기, 가진기가 부착된 흡착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흡착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포집기에는 포집기, 균포집기, 오염포집기, 생물포집기, 화학포집기, 미생물포집기, 포집제가 투입되는 포집기, 포집하는 장치, 반응하는 포집기, 오염을 포집하는 포집기, 물질 또는 물체를 포집시키는 포집기, 진동을 발생하는 포집기, 흡착기에 거치된 포집기, 가진 기능을 가진 포집기, 살균하는 포집기, 포집제를 발생하는 포집기, 살균제를 발생하는 포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집기, 정화기의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기, 처리기의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기, 공기 중의 균을 포집하는 포집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에 포함된 오염을 포집하는 포집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포집기, 가진기가 부착된 포집기, 살균제를 생성하는 포집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기에는 집진기 1 또는 2 또는 3이 포함된다. 상기 집진기 1은 집진기, 균집진기, 오염집진기, 분진집진기, 먼지집진기, 전기집진기, 집진제가 투입되는 집진기, 집진하는 장치, 정화하는 집진기, 오염을 집진하는 집진기, 공기 중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기, 스파크를 발생하는 집진기, 흡착기에 거치된 집진기, 가진 기능을 가진 집진기, 살균하는 집진기, 집진제를 발생하는 집진기, 살균제를 발생하는 집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집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집진기, 실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 현장의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 공기 중의 균을 집진하는 집진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집진기, 가진기가 부착된 집진기, 살균제를 생성하는 집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집진기 2는 a) 프레임; b) 이에 장착된 것으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 또는 회전솔이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 c) 상기 회전솔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흙, 균, 토사, 모래, 철편, 오염, 슬러지, 슬러리, 슬라임, 이물질, 잡동사니 중 하나 이상이 침적되는 버켓; d) 상기 흡입기 후방 통로 또는 상기 버켓의 침적물에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기; e) 상기 흡입기 또는 이의 통로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연계된 회전팬, 미스트기, 히터, 탱크 또는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필터; f)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분사기, 램프, 오존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집진기이다. 상기 집진기 3은 중공통; 이의 내부에 거치된 전극; 이중 하나 이상에 연결된 전선; 상기 전선에 연계되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집진기이다.
상기 응집기에는 응집기 1 또는 2가 포함된다. 상기 응집기 1은 응집기, 오염응집기, 생물응집기, 화학응집기, 미생물응집기, 이물질응집기, 고형물응집기, 수처리응집기, 고속응집기, 응집제가 투입되는 응집기, 응집하는 장치, 폭기하는 응집기, 자화하는 응집기, 물질 또는 물체를 응집시키는 응집기, 기포를 발생하는 응집기, 침전기에 거치된 응집기, 가진 기능을 가진 응집기, 살균하는 응집기, 응집제를 발생하는 응집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응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응집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응집기, 정화기의 물질을 응집하는 응집기, 처리기의 물질을 응집하는 응집기, 반응기의 재료를 응집하는 응집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응집하는 응집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응집기, 가진기가 부착된 응집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응집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응집기 2는 유입 호스, 이 호스 중간에 구비된 응집제 주입구,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연직 파이프, 이 파이프 내부에 거치된 콘 또는 충돌판, 상기 파이프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 자신의 내벽과 상기 파이프 외면에 거치된 다공판 또는 경사다공판, 상기 파이프를 통과한 물이 여과되는 상기 다공판, 자신의 하부에 구비된 첨전부, 상기 첨전부에 연계되어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자신 상부에 구비되어 수면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스키머, 상기 스키머로 걸러지는 부유물이 투입되는 깔대기, 이 깔대기에 연계되어 상기 걸러진 부유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파이프, 자신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등된 정화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이 유출구에 연계되는 유출 호스 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응집기이다.
상기 침전기에는 침전기, 오염침전기, 생물침전기, 화학침전기, 미생물침전기, 이물질침전기, 고형물침전기, 수처리침전기, 침전제가 투입되는 침전기, 침전하는 장치, 폭기하는 침전기, 자화하는 침전기, 물질 또는 물체를 침전시키는 침전기, 기포를 발생하는 침전기, 침전기에 거치된 침전기, 가진 기능을 가진 침전기, 살균하는 침전기, 침전제를 발생하는 침전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침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침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침전기, 정화기의 물질을 침전하는 침전기, 처리기의 물질을 침전하는 침전기, 반응기의 재료를 침전하는 침전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침전하는 침전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침전기, 가진기가 부착된 침전기, 소독제를 생성하는 침전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여과기에는 여과기, 오염여과기, 모래여과기, 입상여과기, 막여과기, 한외여과기, 나노여과기, 마이크로여과기, 활성탄여과기, 생물여과기, 화학여과기, 미생물여과기, 이물질여과기, 고형물여과기, 수처리여과기, 여과제가 투입되는 여과기, 여과하는 장치, 흡착하는 여과기, 포집하는 여과기, 물질 또는 물체를 여과시키는 여과기, 오존을 발생하는 여과기, 응집기에 거치된 여과기, 가진 기능을 가진 여과기, 살균하는 여과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여과기, 기포제를 발생하는 여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여과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여과기, 정화기의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 처리기의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 반응기의 재료를 여과하는 여과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재료를 여과하는 여과기, 소독 및 살균을 하는 여과기, 가진기가 부착된 여과기, 살균제를 생성하는 여과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폭기제에는 가스, 기포, 공기, 산소, 수소, 질소, 거품, 아연, 생물, 광물, 미생물, 발포제, 팽창제, 알루미늄, 아연분말, 알루미늄분말, 폭기제, 물질폭기제, 폭기하는 폭기제, 폭기기에 투입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폭기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폭기제, 발포하는 폭기제, 반응기에 이용되는 폭기제, 팽창제에 추가되는 폭기제, 상기 폭기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폭기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발포제에는 발포제, 기포제, 팽창제, 물리발포제, 화학발포제, 유기발포제, 무기발포제, 펜테인, 헥세인, 프레온가스, 탄산수소소듐(NaHCO3), 바이카보네이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다이나이트로소펜타메틸테트라민(DPT, 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OBSH, 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물질발포제, 발포하는 발포제, 발포기에 투입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발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발포제, 팽창하는 발포제, 소독기에 이용되는 발포제, 살균제에 추가되는 발포제, 상기 발포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발포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팽창제에는 팽창제, 화학팽창제, 생물팽창제, 효모, 케피르, 유기산, 산성염, 소금, 이스트, 베이킹소다, 탄산수소나트륨, 황산알루미늄나트륨, 인산칼슘, 공기,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거품, 증기, 기포제, 발포제, 물질팽창제, 물질을 팽창시키는 팽창제, 팽창기에 투입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팽창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팽창제, 발포하는 팽창제, 반응기에 이용되는 팽창제, 폭기제에 추가되는 팽창제, 상기 팽창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팽창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반응제에는 미생물, 영양제, 나노제, 영가금속, 슬래그, 펄라이트, 아타팔가이트, 스멕타이트, 활성탄, 폐타이어, 폐콘크리트, 폐주물사, 조개껍질, 굴패각, 왕겨, 카본, 이온교환수지, 계면활성제, 반응제, 물질반응제, 물질을 반응시키는 반응제, 반응기에 투입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반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반응제, 응집하는 반응제, 침전기에 이용되는 반응제, 살균제에 추가되는 반응제, 상기 반응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반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영양제는 질소, 인, 인산, 칼슘, 칼륨,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철분, 콜라겐, 포도씨유, 클로렐라, 미생물영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나노제는 나노미터 크기의 크기 또는 입자를 가지는 물질, 나노금속, 나노철, 나노은, 나노텅스텐, 나노티타늄, 나노탄소, 나노카본, 나노금, 나노백금, 나노활성탄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흡착제에는 숯, 목탄, 톱밥, 우드칩, 섬유, 지오텍스타일, 부직포, 규조토, 석류석, 안트라사이트, 세라믹,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활성탄,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여과포, 종이, 펠트, 스펀지, 흡착제, 물질흡착제,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흡착기에 투입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흡착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흡착제, 포집하는 흡착제, 여과기에 이용되는 흡착제, 소독제에 투입되는 흡착제, 상기 흡착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흡착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포집제에는 포집제, 흡착제, 물질포집제,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제, 포집기에 투입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포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포집제, 흡착하는 포집제, 흡착기에 이용되는 포집제, 응집제에 투입되는 포집제, 상기 포집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포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제에는 물, 분사수, 노즐수, 살수수, 분수수, 집진제, 먼지집진제, 분진집진제, 오염집진제, 집진기에 투입되는 집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집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집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집진제, 흡착하는 집진제, 흡착기에 이용되는 집진제, 응집제에 투입되는 집진제, 상기 집진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집진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응집제에는 a) 백반, 산화철, 황산철, 침강제, 녹말류, 소석회, 수산화칼슘, 칼슘염, 응집제, 폴리머, 알루미늄염, 생물응집제, 화학응집제, 무기전해질, 침강촉진제, 염화알루미늄, 유기고분자화합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황산알루미늄, 물질응집제, 황산제1철, 염화제2철, 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제, 응집기에 투입되는 응집제, 침전하는 응집제, 포집기에 이용되는 응집제, 흡착제에 투입되는 응집제;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응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응집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응집제, 상기 응집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응집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침전제에는 침전제, 침강제, 응집제, 물질침전제, 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제, 침전기에 투입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침전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침전제, 응집하는 침전제, 응집기에 이용되는 침전제, 포집제에 투입되는 침전제, 상기 침전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침전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여과제에는 막, 여과막, 나노막, 모래, 규사, 활성탄, 여과제, 물질여과제,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제, 여과기에 투입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여과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여과제, 반응하는 여과제, 포집기에 이용되는 여과제, 응집제가 투입되는 여과제, 상기 여과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여과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소독제에는 알코올, 크레졸, 포르말린, 페놀류, 승홍수, 산화칼슘, 아이오딘, 알데하이드류, 과산화수소수, 계면활성제, 머큐로크롬, 양성비누, 붕산, 소독제, 소독물, 소독약, 균소독제, 손소독제, 물질소독제, 소독하는 소독제, 소독기에 투입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소독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소독제, 폭기하는 소독제, 팽창기에 이용되는 소독제, 발포제에 투입되는 소독제, 상기 소독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소독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살균제에는 살균제 1 또는 2 또는 3이 포함된다. 상기 살균제 1은 살균제, 살균물, 광촉매, 피톤치드, 균살균제, 오염살균제, 물질살균제, 박테리아살균제, 살균하는 살균제, 살균기에 투입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이용되는 살균제, 응집하는 살균제, 여과기에 이용되는 살균제, 반응제가 투입되는 살균제, 상기 살균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살균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살균제 2는 a) 열, 빛, 연기, 안개, 연무, 염소, 오존, 음이온, 미스트, 스모그, 살균제, 소독제, 페놀수, 피톤치드, 크레솔수, 클로르칼크, 포말린, 알코올, 메탈락실, 보르도액, 과산화수소수, 프탈라마이드제, 벤디미다졸제, 트라이아졸제;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b) 살균기능을 가진 상기 열 내지 차아염소산; 램프에서 방사되는 상기 열 내지 차아염소산; c) 상기 열 내지 차아염소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살균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살균제 3은 오존, 음이온, 자외선, 광촉매, 피톤치드, 레몬산, 안식향산, 벤조산, 구연산, 젖산, 소르브산(sorbic acid), MIT(methylisothiazolinone), C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 아이소싸이아졸리논(isothiazolinone), PGH(oligo(2-)ethoxy 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구아니딘(guanidine), 시아노이미다졸계(cyano-imidazole), 벤질카바메이트계(benzyl-carbamates), 옥살티인카복사마이드계(oxathiincarboxamides), 카바메이트계(carbamates), 디티오레인계(dithiolanes), 트라이아졸계(triazoles), 피리딘계(pyridines), 피리미딘계(pyrimidines), 아실알라닌계(acylalanines), 트라이아졸로벤조티아졸계(triazolobenzothiazole), 벤지미다졸계(benzimidaz), 아닐리노피리미딘계(anilino-pyrimidines), 아실알라닌계(acylalanines), 티오파네이트계(thiophanates), 디티오카르밤산염(Dithiocarbamates), 프탈이미드계(phthalimides),메톡시아크릴레이트계(methoxy-acrylates), 벤지미다졸계(benzimidazoles), 아닐리노피리미딘계(anilino-pyrimidines), 옥살티인카복사마이드계(oxathiincarboxamides), 카르복실산아미드계(carboxylic acid Amides), 카바메이트계(carbamates), 클로로니트릴계(chloronitriles), 트라이아졸계(triazoles), 트라이아졸로벤조티아졸계(triazolobenzothiazole), 상기 오존 내지 트라이아졸로벤조티아졸계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살균제가 포함된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는 a)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b)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c) 정화와 청정, 정수와 청소와 세정, 세척 후에 청정, 선별과 파쇄, 청정을 위한 숏팅, 숏팅 후에 도포, 세정 후에 도장, 청정과 가습, 정화와 제습, 청정을 위한 건조, 선별 후에 처리;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정화는 a) 정화, 정수, 필터정수, 이온정수, 알카리정수, 전해정수, 전기분해정수, 냉온정수, 필터전해정수, 냉온, 생수냉온, 정화,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청정, 공기청정, 복원, 오염복원, 하천복원, 건물복원, 문화재복원, 청소, 실내청소, 실외청소, 침대청소, 걸레청소, 건물청소, 유리청소, 벽청소, 터널청소, 교량청소, 도로청소, 노면청소, 댐청소, 하천청소, 세척, 배관세척, 오염세척, 토양세척, 오염토세척, 치아세척, 구강세척, 세정, 오염세정, 기구세정, 안경세정, 유입, 저수, 저류, 폭기, 중화, 반응, 응집, 침전, 흡착, 흡수, 포집, 포획, 여과, 방류, 방역, 살균, 소독, 시술, 수술, 치유, 치료, 처치, 조제, 세면, 샤워, 세탁; b) 상기 정화 내지 세탁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되는 복합;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d)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정화에는 a) 정화, 정수, 청정,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흡착, 포집, 제거, 멸균, 제어,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수질정수, 공기청정; b) 또는 수, 수질, 오염, 공기, 토양,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시설, 폐기물, 댐, 하천, 연못, 저수지, 해양, 녹조, 적조, 녹적조, 균, 세균, 오염, 병원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중금속, 새집증후군, 아토피균, 환경호르몬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정화 내지 공기청정;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정수는 a) 정수, 물정수, 수정화, 물정화, b) 또는 수, 물, 액, 유, 상수, 하수, 폐수, 탁수, 오수, 우수, 용수, 해수, 염수, 염분수, 암반수, 해양수, 심층수, 해양심층수, 댐수, 하천수, 수도수, 수돗물, 먹는물, 음료수, 음용수, 오염수, 침출수, 오탁수, 지하수, 지표수, 사용수, 저류수, 저장수, 배출수, 배수수, 용출수, 산성수, 산성배출수, 알카리수, 수조수, 습식선별수조수, 공사용수, 공사배출수, 배합수, 복합수, 혼합수 중 하나 정수, 정화, 중화, 중성화, 담수화; c) 상기 정수 내지 담수화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되는 복합;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수 내지 복합;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수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은 a) 청정, 정화, 정수, 처리, 공기청정, 오염청정, 가스청정; b) 또는 터널, 지하공간, 지하실, 공동구, 단독구, 현장, 건설현장, 공장, 제조공장, 실내, 실외, 공기, 오염공기, 분진, 먼지, 악취, 냄새, 매연, 가스,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중 하나 이상 청정, 정화, 공기청정, 가스청정; c) 상기 청정 내지 가스청정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되는 복합;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정화기에는 정화기 1, 정화기 2, 정화기 3, 정화기 4, 정화기 5, 정화기 6, 정화기 7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정화기 1은 a) 정화기, 청정기, 반응기, 응집기, 필터기, 준설기, 처리기, 수질정화기, 공기정화기, 오염정화기, 대기정화기, 분진정화기, 먼지정화기, 댐정화기, 연못정화기, 하천정화기, 도로정화기, 터널정화기, 실내정화기, 현장정화기, 공사현장정화기; b)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응집기 2, 하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c)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유출 호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정화기; d)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청정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정화기;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정화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정화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정화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정화기 2는 a) 저류,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살균, 방류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정화기이거나, b) 또는 b1)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살균조, 방류조; b2) 또는 저류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살균기, 방류조; b3) 또는 오염수가 통과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순차적으로 선택된 어느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정화기이다.
상기 정화기 3은 a) 분산기, 폭기기; b)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호스; c) 상기 호스에 연계되는 팬, 펌프, 콤프레셔, 버블발생기, 공기주입기; d) 상기 팬 내지 공기주입기 중 하나에 구비되는 모터; e) 수중 또는 하천에 투입되는 상기 분산기 내지 공기주입기; f) 수중 또는 하천에 버블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분산기 내지 공기주입기; g) 수저 또는 하천의 침전물을 수면으로 올리는 벨트, 컨베이어, 회전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갈퀴 달린 컨베이어; h) 수저 또는 하천의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상기 버블, 공기, 분산기 내지 컨베이어; i) 상기 수면의 또는 부유된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수집기, 스크레이퍼, 갈퀴 달린 스크레이퍼; j) 회전하면서 상기 침전물 또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수집기 또는 스크레이퍼; k) 상기 부유 또는 수집된 침전물 또는 부유물이 적재되는 적재대; ℓ) 회전하는 상기 수집기 또는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이송되는 침전물 또는 부유물이 적재되는 적재대; m) 상기 분산기 내지 적재대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보트, 푼톤, 부유체; n) 상기 분사기 내지 부유체가 구비되는 장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정화기 4는 유입 호스, 이에 연결되는 파이프가 내재된 응집조, 상기 파이프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파이프의 외벽과 상기 응집조의 내벽 사이에 거치된 스크린, 상기 유입 호스로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는 상기 파이프, 상기 파이프 선단에 구비된 확장부, 상기 응집조 하부에 형성된 침전부, 상기 침전부에 설치되어 침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통과된 물이 투과되면서 상등되는 상기 스크린, 상기 상등된 물의 수면에 거치되어 이동 또는 회전하는 스키머, 상기 스키머에 걸러지는 부유물이 수집되는 깔대기, 상기 깔대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집된 부유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파이프,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상등된 정화수를 유출시키는 유출 호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정화기이다.
상기 정화기 5는 a) 방, 거실, 건물, 시설, 구조물, 시설물, 댐, 하천, 개천, 연못, 저수지, 저류지, 조, 통, 함, 룸, 집, 부스, 박스, 튜브, 통로, 터널, 도로, 인도, 철로, 철도, 지하철, 지하실, 아치, 천막, 텐트, 드론, 보트, 폰툰, 케이스, 하우스, 게이트, 중공체, 다공체, 부유체, 차, 차량, 트럭, 버스,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이동수단, 몸, 손, 발, 팔, 치아, 이빨, 머리, 사람, 인체, 신체, 동물, 펫, 개, 고양이, 물체, 물질, 수, 물, 수질, 환경, 토양, 토사, 오염, 공기, 대기, 가스, 하수, 상수, 오수, 탁수, 폐수, 오염수, 슬러지, 슬라임, 폐기물, 거치물, 존치물, 침전물, 유입물, 출입물, 장소, 공간, 지역, 지점, 부위, 부분, 대상, 대상지, 대상물, 대상체, 청정대상, 의류, 의복, 바지, 상의, 하의, 양복, 신발, 구두, 장화, 문, 현관, 현관문, 벽, 벽체, 내벽, 외벽, 유리, 창문, 유리창, 실내, 실외, 출입구, 출입체, 탑, 타워, 커튼, 분수, 등, 램프, 시설, 설비,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책상, 침대, 침구, 용기, 식기, 그릇, 시스템, 휀스, 울타리, 가두리, 가두리망, 오탁방지망, 팬, 송풍기, 선풍기, 환풍기, 환기시설, 환기설비, 분사기, 살수기, 샤워기, 스프링클러,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집진기, 승강기, 엘리베이터; b)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c) 상기 방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방 내지 엘리베이터 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정화하는 것이다.
상기 정화기 6은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앞, 뒤, 속, 겉, 천장, 천정, 상부, 하부, 내부, 외부, 전면, 배면, 후면, 전방, 후방, 인근, 부근, 통로, 입구, 출구, 출입구, 5m 이내 범위;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정화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정화기이다. 상기 정화기 7은 정화기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청정기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정화 기능을 가진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에는 청정기 1, 청정기 2, 청정기 3, 청정기 4, 청정기 5, 청정기 6, 청정기 7, 청정기 8, 청정기 9, 청정기 10, 청정기 11, 청정기 1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청정기 1은 a) 청정기, 정화기, 반응기, 응집기, 세균청정기, 수질청정기, 공기청정기, 오염청정기, 대기청정기, 분진청정기, 먼지청정기, 댐청정기, 연못청정기, 하천청정기, 도로청정기, 터널청정기, 실내청정기, 현관청정기, 샤워청정기, 공기샤워청정기, 현관공기샤워청정기, 현장청정기, 공사현장청정기; b)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c)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청정기;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중 하나를 청정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 ∼ 5m 이내 범위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앞, 뒤, 속, 겉, 천장, 천정, 상부, 하부, 내부, 외부, 전면, 배면, 후면, 전방, 후방, 인근, 부근, 통로, 입구, 출구, 출입구, 5m 이내 범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2는 청정기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정화기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청정 기능을 가진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3은 a) 필터, 프리필터, 집진필터, 탈취필터, 헤파필터, 포스트필터, 백필터, 바이오필터, 사이클론; b)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비된 용기; c) 상기 필터 내지 용기 중 하나의 유입구, 유출구; d)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 또는 흡입기; e) 상기 팬 또는 흡입기를 회전시키는 모터; f)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 중 하나 이상 통과 후에 배출되는 상기 유출구; g) 상기 필터 내지 유출구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램프; h) 광촉매가 도포된 상기 필터 내지 램프; i) 상기 필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구비된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j) 상기 필터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에 구비된 집진기; k) 상기 필터 내지 집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4는 a)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세차기, 세탁기, 분사기, 분사구, 물대포, 샤워기, 물샤워기, 에어샤워기, 믹싱기, 주입기, 주사기, 인젝터, 집진기, 포집기, 흡착기, 필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여과기, 분리기, 파쇄기, 준설기, 처리기, 송풍기, 환풍기, 열풍기, 선풍기, 필터기, 회전팬, 환기팬, 드론, 튜브, 흡착탑, 환기설비, 환기시스템, 정화터널, 청정터널, 분사터널, 집진터널, 분사통로, 집진통로, 분사아치, 집진아치, 정화시설, 정화게이트, 청정시설, 분사시설, 집진시설, 청정드론, 미스트기, 스프링쿨러, 환기시설; b) 펌프 장착 노즐, 펌프 장착 분사기, 충돌판 및 확장콘 장착 노즐,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분사기, 노즐 구비 스프링쿨러,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드론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c) 또는 조, 통, 함, 봉, 팬, 댐, 하천, 기둥, 드론, 차량, 엔진, 보트, 튜브, 노즐, 호스, 호퍼, 박스, 탱크, 관로, 배관, 펌프, 필터,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건물, 주택, 공장, 굴뚝, 현장, 공중, 수중, 지하, 터널, 도로, 차로, 가로, 연도, 보도, 인도, 교량, 공사장, 지하도, 통행로,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분리대, 포장면, 파이프, 중공체,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연소기, 소각기, 타설기, 분사기, 여과기,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d)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e)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f)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g)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h)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i) 청정기능을 가진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청정기능을 가진 상기 조 내지 하우징; j)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조 내지 하우징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청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중 하나는 a)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정화 또는 청정에 이용되는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청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5는 진동, 가진, 오존 중 하나 이상이 방사하면서 자기장을 조사(照射)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와 상기 조사하면서 제공되는 물질,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발산하거나, b) 또는 상기 발산하면서 공기 또는 오염을 처리하는 흡착기, 포집기, 집진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6은 a) 일정 케이스의 일측에 유입구, 호스, 후드, 흡입기 중 하나 이상과; 타측에 유출구와; 내부에 무순 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오존기, 램프, 코일과; 내면 또는 외면에 광촉매 코팅과; b) 상기 일측,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팬, 회전팬, 송풍기, 흡입팬, 진공펌프, 진공호스, 진공펌프호스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팬 내지 진공펌프 중 하나 이상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망 또는 다공판과; d) 상기 팬, 망, 타측, 유출구, 다공판, 진공펌프; 이중 하나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로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사이클론집진기, 필터, 필터막, 여과재, 여과통, 흡착통, 필터여과재,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7은 a) 수조; 이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중 하나에 구비되어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기, b) 상기 미스트기를 조정하는 컨트롤러, c) 상기 미스트기에서 생성된 미스트를 가압하는 펌프, d) 상기 미스트를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 e)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탑재된 차량, f) 상기 수조 내지 차량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물대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청정기 8은 a) 방역, 살균, 소독 중 하나 이상을 하고, b) 물질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물질순환을 촉진하는 자기장을 방사하고, c) 상기 방사를 위한 자화기가 구비되고, d) 전기 방전을 하는 방전기가 구비되고, e)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f) 수, 물, 바람, 에어, 미스트 중 하나 이상을 분사, 흡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9는 a)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샤워기; b) 에어를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분사된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기; c) 에어를 분사, 흡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에어건; d) 에어를 분사, 흡입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에어브러시; e) 상기 에어샤워기에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에어흡입기; 상기 에어샤워기의 측면 또는 하부에 거치된 상기 에어건; 상기 에어건의 이격부 또는 대면부에 거치된 상기 에어브러시; f)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에어브러시 중 하나에 연계되는 또는 순차 연계되는 호스, 팬, 모터, 송풍기, 콤프레셔, 진공기, 필터, 사이클론; g)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 h) 상기 에어의 분사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상기 호스 내지 콤프레셔; i) 상기 에어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호스 내지 진공기; j) 상기 흡입된 에너를 정화하는 상기 필터, 사이클론; k) 상기 에너, 분사 에어, 흡입 에어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정화하는 상기 호스 내지 사이클론; ℓ) 또는 사람, 동물, 물체, 물질, 공기, 수질, 차량, 의류, 의복, 신발, 현관, 거치물, 존치물, 침전물, 유입물, 출입물 중 하나 이상을 청정 또는 샤워시키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m) 또는 건물, 실내, 현관, 터널, 도로, 출입구, 통행로 중 하나에 설치되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n) 오존을 발생하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o) 광촉매가 도포된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p) 램프가 구비된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q) 상기 광촉매와 상기 램프의 광원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을 발현시키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r) 상기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살균작용를 하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s) 에어 샤워를 하면서 살균작용를 하는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사이클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청정기 10은 물, 노즐수, 확산수, 연기, 안개, 연무, 버블, 미스트, 에어, 바람, 공기, 압기(壓氣), 팬공기, 송풍공기, 선풍공기, 펌프공기, 압축공기, 압력공기,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미스트공기,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공기, 음이온기에서 발생되는 음이온공기, 미스트기에서 발생되는 미스트공기, 음이온기에서 발생되는 오존공기, 미스트기에서 발생되는 음이온공기,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미스트공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 또는 흡입 또는 배출 또는 회전시켜 사람, 동물, 물체, 물질, 공기, 수질, 환경, 차량, 의류, 의복, 신발, 현관, 실내, 주택, 건물, 공장, 현장, 터널, 도로, 거치물, 존치물, 침전물, 유입물, 출입물, 상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을 샤워 또는 청정시키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11은 a) 물질을 가압하는 펌프; 상기 가압된 물질을 이송하는 호스; 상기 이송된 물질을 분사하는 유공관과 분사건 또는 브러시; 상기 분사된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흡입된 물질을 이송하는 호스; b) 상기 이송된 물질을 정화하는 필터, 정화기, 사이클론; c) 상기 펌프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내장된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청정기 12는 a) 일정의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 또는 가압하는 팬, 펌프, 장치, 송풍기, 에어펌프, 압축펌프, 콤프레셔, 에어콤프레셔, 발생기, 생성기, 가압기; b) 상기 발생, 가압 중 하나의 물질을 이송하는 호스, 라인, 덕트, 파이프, 파이프라인; c) 상기 발생, 가압, 이송 중 하나의 물질을 분사 또는 방사하는 팬, 건, 램프, 노즐, 디퓨저, 브러시, 분사구, 분사기, 분사건, 분사브러시, 방사기, 유공체, 유공판, 유공관, 유공헤드, 유공파이프; d) 상기 팬 내지 유공파이프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모터, 펌프; e) 상기 발생, 가압, 이송, 분사, 방사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히팅하는 히터, 가열기; f) 상기 발생 내지 방사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쿨링하는 쿨러, 냉열기; g) g1) 상기 분사 물질, 방사 물질, g2) 또는 주변 공기, 이물질 중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흡입구, 유공체, 유공판, 유공관, 유공헤드, 흡입기; h) 상기 흡입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진공펌프, 흡입펌프; i) 상기 흡입된 물질을 이송하는 호스, 라인, 덕트, 파이프, 파이프라인; j) 상기 발생 내지 방사, 히팅, 쿨링, 흡입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정화하는 필터, 청정기, 정화기, 집진기,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필터카트리지, 카트리지필터; k) 상기 팬 내지 카트리지필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또는 순차 연계된 전선,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ℓ) 상기 팬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버튼, 스위치, 리모컨, 컨트롤러, 자동운전기, 자동가동기; m) 상기 사람 내지 출입물;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대상; 상기 대상에 속하는 상기 사람 내지 출입물;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기; n) 상기 팬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을 운전, 가동, 자동운전, 자동조정, 10∼30초 동안 가동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버튼 내지 감지기; o) 상기 팬 내지 감지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박스, 시설, 케이스, 하우징, 거치대, 플랫폼; p) 상기 팬 내지 플랫폼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카메라, 온도계, 습도계, 화재경보기, 공기질측정기, 먼지농도측정기, CO2측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정수기에는 정수기 1, 정수기 2, 정수기 3, 정수기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정수기 1은 a) 정수기, 수질정수기, 직수정수기, 필터정수기, 이온정수기, 알카리정수기, 전기분해정수기, 생수를 정수하는 정수기, 수돗물를 정수하는 정수기, 공사수를 정수하는 정수기, 오염수를 정수하는 정수기, 수돗물정수기, 냉온정수기; b) 상기 정수기 내지 냉온정수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정수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수기 내지 복합정수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수기 내지 복합정수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수기 내지 복합정수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정수기 2는 전해조 구비 정수기, 전극이 투입된 전해조 구비 정수기, 유입 호스와 필터와 냉온기와 취수 꼭지로 구성된 정수기, 산성수는 배출되고 알카리수는 필터와 냉온기와 취수 꼭지를 통하여 취수되는 정수기, 생수통의 물을 냉온 배출하는 냉온정수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정수기 3은 a) 유입 호스, 이가 연결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용기; b)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용기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전극, 양극, 음극; c) 상기 전극이 투입된 전해조; d)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전해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이 통과되는 필터, 필터통; e) 상기 유입 호스 내지 필터통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로, 상기 양극에서 생성되는 산성수가 흐르는 통로, 상기 음극에서 생성되는 알카리수가 흐르는 통로; f) 상기 유입 호스 내지 통로 중 하나에 연계되는 유출 호스; g)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유출 호스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히터, 쿨러, 냉온기, 펠티에소자; h) 상기 유입 호스에서 유출 호스를 거치는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상기 히터 내지 펠티에소자; i) 상기 유출 호스의 선단에 거치되면서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꼭지, 온수꼭지, 냉수꼭지, 정수꼭지, 배출구, 취출구; j)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취출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필터, 필터통, 3단필터, 다단필터, 여과기, 정화기, 냉각기; k) 상기 히터 내지 냉각기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된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고; ℓ)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꼭지,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꼭지,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꼭지,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구; m) 또는 상기 산성수를 배출하는 상기 꼭지 내지 배출구, 상기 알카리수를 배출하는 상기 꼭지 내지 배출구; n)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산성수, 알카리수 중 하나 이상을 취사 선택하는 버튼; o)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산성수, 알카리수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배출구; p) 오존기 또는 음이온기가 구비된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q) 오존 또는 음이온이 방사되는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r) 상기 방사에 의하여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산성수, 알카리수, 공기, 주변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s)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로 구성된 정수기; t) 상기 유입 호스 내지 정수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정수기 4는 a) 박스; 이에 형성된 안착대; 생수통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로; b) 상기 박스 내지 통로 중 하나에 거치되는 히터, 쿨러, 냉온기, 펠티에소자; c) 상기 생수통에서 통로를 거치는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상기 히터 내지 펠티에소자; d) 상기 통로의 선단에 거치되면서 상기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콕, 온수콕, 냉수콕, 정수콕, 배출구, 취출구; e) 상기 박스 내지 취출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필터, 필터통, 3단필터, 다단필터, 여과기, 정화기, 냉각기; f) 상기 히터 내지 냉각기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된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고; g) 상기 박스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콕,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콕,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콕,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구; h)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중 하나 이상을 취사 선택하는 버튼; i)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얼음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배출구; j) 오존기 또는 음이온기가 구비된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k) 오존 또는 음이온이 방사되는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ℓ) 상기 방사에 의하여 온수, 냉수, 정수, 얼음, 공기, 주변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상기 유입 호스 내지 배출구; m) 상기 박스 내지 배출구로 구성된 냉온수기; q) 상기 박스 내지 냉온수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청소기에는 청소기 1, 청소기 2, 청소기 3, 청소기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청소기 1은 a) 솔, 털, 걸레, 헝겊, 섬유, 붓솔, 총채, 밀대, 노즐, 호스, 진공, 회전솔, 부직포, 분사기, 진공기, 청소기, 봉청소기, 솔청소기, 밀대청소기, 로봇청소기, 수질청소기, 공기청소기, 진공청소기, 분사청소기, 고압청소기, 차량청소기, 외벽청소기, 내벽청소기, 유리청소기, 건물청소기, 도로청소기, 터널청소기, 탱크청소기; b) 상기 청소기 내지 탱크청소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청소기; c) 청소제를 분사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먼지를 흡입히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필터 또는 사이클론이 구비된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청소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f)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청소기 내지 복합청소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소기 2는 a) 미스트 또는 이에 물이 함유된 미스트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미스트기; b) 미스트 또는 미스트수에 물, 압기, 공기, 기포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수조, 호스, 펌프, 급수라인, 콤프레셔; c) 상기 미스트기, 수조 내지 콤프레셔 중 하나 이상을 거치하는 거치대; d) 상기 미스트기 내지 콤프레셔, 거치대 중 하나 이상이 탑재된 틀, 카트, 트럭, 차량, 기구, 드론, 멜빵, 지게, 플랫폼, 이동틀, 이동수단, 비행수단; e) 상기 미스트기 내지 거치대, 틀 내지 비행수단 중 하나 이상에 순차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 구비된 후드 또는 흡입구, 흡입라인,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 집진기 또는 수조 또는 사이클론, 필터 또는 필터카트리지; f) 상기 미스트기 내지 필터카트리지가 구비된 청소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청소기 3은 a) 줄; 이가 거치된 회전체; b)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붐, 붐대, 가변대; c) 상기 줄 내지 가변대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이동수단; 상기 줄이 통과되면서 청소 대상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을 승강하는 상기 줄; 상기 줄에 연계되는 방사줄; 상기 줄 또는 방사줄에 연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계되는 연계줄; 상기 줄 내지 연계줄 중 하나에 거치되는 작업대; 상기 줄 내지 작업대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줄; 상기 줄 내지 결합줄 중 하나에 거치되는 안전대; 상기 줄 내지 안전대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줄; 상기 줄 내지 체결줄 중 하나에 거치되는 제2안전대; d) 상기 줄 내지 제2안전대 중 하나 이상에 탑재되는 로봇, 노즐, 디퓨저, 분사기; e) 상기 로봇에 거치되는 노즐, 디퓨저, 분사기; f) 상기 줄 내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계되는 이송호스, 가압기, 호퍼, 저장고; g) 청소제를 각각 저장, 투입, 가압, 이송하는 상기 이송호스, 가압기, 호퍼, 저장고; h) 청소제를 분사하는 상기 로봇, 노즐, 디퓨저, 분사기; i) 상기 줄 내지 저장고가 구비되는 탱크청소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청소기 4는 a) 솔, 회전솔, 다단솔, 원판솔, 원통솔, 원판회전솔, 원통회전솔, 원호 형상의 솔, 터널 형상의 솔, 게이트 형상의 솔, 다수개 솔, 2개 이상의 다수개 솔; b) 상기 솔 중 하나 이상을 거치하는 거치대; c) 상기 솔, 거치대, 솔기 거치된 거치대 중 하나가 구비된 차량; d) 상기 차량에 거치된 거치대, 2개 이상의 거치대; e)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솔 내지 다수개 솔; f) 터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솔 내지 다수개 솔, 지면 또는 도로에 거치되는 상기 솔 내지 다수개 솔; g) 회전하면서 터널 내부를 청소하는 상기 솔 내지 다수개 솔, 회전하면서 지면 또는 도로를 청소하는 상기 솔 내지 다수개 솔; h) 상기 솔 또는 차량에 구비된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 청소하면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 터널 또는 지면 또는 도로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 i) 상기 솔 또는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에 연계되는 필터, 집진기, 사이클론; j) 터널을 통과하면서 터널 내부를 청소하는 상기 솔 내지 사이클론, 도로를 운행하면서 도로를 청소하는 상기 솔 내지 사이클론; i) 상기 솔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터널청소기, 도로청소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세정기에는 a) 세정기, 솔세정기, 밀대세정기, 로봇세정기, 표면세정기, 공기세정기, 진공세정기, 분사세정기, 가열세정기, 고압세정기, 식기세정기, 변기세정기, 외벽세정기, 내벽세정기, 차량세정기, 유리세정기, 건물세정기, 도로세정기, 터널세정기, 탱크세정기; b) 상기 세정기 내지 탱크세정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세정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세정기 내지 복합세정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세정기 내지 복합세정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세정기 내지 복합세정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세정하는 상기 세정기 내지 복합세정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세정기 내지 복합세정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세척기에는 a) 세척기, 솔세척기, 밀대세척기, 로봇세척기, 표면세척기, 공기세척기, 진공세척기, 분사세척기, 식기세척기, 차량세척기, 가열세척기, 고압세척기, 외벽세척기, 내벽세척기, 차량세척기, 유리세척기, 건물세척기, 도로세척기, 터널세척기, 탱크세척기; b) 상기 세척기 내지 탱크세척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세척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세척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탈수기에는 탈수기 1, 탈수기 2, 탈수기 3, 탈수기 4, 탈수기 5, 탈수기 6, 탈수기 7, 탈수기 8, 탈수기 9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탈수기 1은 a) 필터, 로라, 프레스, 압축기, 압착판, 압착로라, 탈수기, 통탈수기, 압착탈수기, 회전탈수기, 압축탈수기, 회전통탈수기, 원심탈수기, 피스톤압착탈수기, 가열탈수기, 고압탈수기, 슬러지탈수기, 가압탈수기, 진공탈수기, 발열탈수기, 드럼탈수기, 전기탈수기, 전기삼투탈수기, 전기영동탈수기, 탈수된 탈수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가 구비된 탈수기, 필터프레스, 프레스필터, 벨트프레스; b)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탈수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탈수기 내지 복합탈수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탈수기 내지 복합탈수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탈수기 내지 복합탈수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탈수기 2는 압착판을 가압하는 피스톤, 전극 구비 탈수기, 발열체 구비 탈수기, 2개 이상의 필터 사이에 슬러지가 압축되어 탈수되는 필터프레스,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로라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로라탈수기,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계되는 벨트에 슬러지가 압착되어 탈수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3은 벨트 또는 압착 벨트가 구비된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2개 이상의 회전드럼 사이에 벨트 또는 압착 벨트가 구비된 탈수기,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중 하나와 벨트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로라 또는 드럼과 벨트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4는 2개 이상의 필터가 이웃하여 구비된 필터프레스, 2개 이상 필터에 슬러지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필터프레스, 상기 가압 해제 후에 필터 케익이 낙하 또는 추출되는 필터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5는 투수형 벨트가 구비된 벨트프레스, 벨트에 물질 또는 슬러지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1개 이상의 회전형 드럼과 이에 감겨진 벨트가 구비된 벨트프레스, 상기 드럼과 벨트 사이에 물질 또는 슬러지가 투입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6은 a)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b) 또는 상기 필터, 드럼, 벨트 중 하나 이상에 전기가 인가되는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c) 상기 전기 인가를 위하여 전극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b) 벨트프레스; d)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전기삼투, 전기영동, 전기탈수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c)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7은 전극, 발열체, 전원공급기, 전기가 인가되는 전극,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체,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탈수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8은 상기 로라, 사이, 물질, 벨트, 필터, 슬러지, 드럼,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전극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9는 a) 상기 물질, 슬러지; b) 탈수된 상기 물질, 슬러지; 중 하나를 고화하는 고화기, 펠렛화하는 펠렛화기, 고형연료화하는 고형연료화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탈수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고화기는 고결제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 또는 슬러지를 고화시키는 고화기, 또는 상기 물질 또는 슬러지와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고결제, 바인더, 고화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고화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물유리,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발열체는 히터, 코일, 전극, 발열체, 발열선, 발열코일, 발열수단, 발열저항체, 펠티에소자, 유전발열체, 저항발열체, 전기저항체, 램프히터, 원적외선히터, 금속발열체, 비금속발열체, 초고온 유전발열체, 마이크로웨이브, SiC 발열체, SiC 비금속 발열체, Ni-Cr계 발열체, Fe-Cr-Al계 발열체, 몰리브덴 발열체, 텅스텐 발열체, 백금 발열체, 2규화 몰리브덴 발열체, 탄화규소 발열체, 흑연 발열체, 산화 지르코늄 발열체, 란탄크로마이트 발열체, 아크가열수단, 유도가열수단, 유전가열수단, 가스가열수단, 마이크로파가열수단, 플라즈마가열수단,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히터 내지 플라스마가열수단, 전기가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상기 히터 내지 플라스마가열수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펠렛화기 또는 고형연료화기는 혼합기, 슬러지와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 융융기, 가연물 또는 슬러지를 용융하는 용융기, 압축기, 슬러지 또는 용융물을 압축하는 압축기, 압출기, 슬러지 또는 압축물을 압출하는 압출기, 성형기, 압출물을 펠렛 또는 고형연료로 성형하는 성형기, 압출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된 절단물 또는 펠렛 또는 고형연료를 저장하는 저장고 중에서 순차 선택된 어느 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기에는 선별기 1, 선별기 2, 선별기 3, 선별기 4, 선별기 5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선별기 1은 a) 망, 체, 팬(fan), 수조, 선별팬, 돌기팬, 선별수조, 스크린, 선별기, 분리기, 분별기, 분급기, 분산기, 확산기, 송풍기, 선풍기, 트롬멜, 사이클론, 물질선별기, 망선별기, 체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 트롬멜선별기, 트롬멜스크린선별기, 자력선별기, 금속선별기, 진동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 건식선별기, 팬선별기, 풍선별기, 바람선별기, 풍력선별기, 송풍선별기, 선풍선별기, 수(手)선별기, 수(水)선별기, 습식선별기, 수조선별기, 비중선별기, 갈퀴선별기, 파쇄선별기, 분산선별기, 확산선별기, 집진선별기, 회전선별기, 타격선별기, 다단선별기, 다층선별기, 원심선별기, 중력선별기, 원통선별기, 자력선별기, 돌기선별기, 동력선별기, 무동력선별기, 쉐이킹선별기, 스프링선별기, 회전체선별기, 회전원통선별기, 다방향선별기, 다종구멍선별기, 교반형선별기, 살균형선별기, 소독형선별기, 정화형선별기,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기구,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기구; b) 상기 망 내지 기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선별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2는 a) 경사진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b) 유공구멍으로 물질이 선별되는 경사진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c) 단부에 회전팬이 구비된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d) 송풍 구멍 형성의 유공봉이 내부에 구비된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e) 수조 내의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f) 스크린과 회전팬으로 구성된 선별기; g) 스크린과 이의 하부에 회전팬으로 구성된 선별기; h) 상부에 슬롯이 형성된 중공링과 하부에 팬이 구비된 유공 몸체로 구성된 송풍기; i) 상기 하부 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중공링의 슬롯으로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기; j) 상기 슬롯으로 바람이 배출되어 상기 중공링에 부압이 발생되는 송풍기; k) 상기 부압에 의하여 상기 중공링으로 외부 바람이 유입되는 송풍기; ℓ) 상기 배출 바람과 외부 바람이 동시에 송풍되는 송풍기; m) 바람을 부는 회전팬과 바람이 배출되는 슬롯 형성 중공링이 구비된 풍력선별기; n) 풍력선별기와 이에 의한 풍력선별 후에 풍력 바람이 유입 또는 흡입되는 수조, 사이클론, 미스트기, 데미스트, 엘리미네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집진형 풍력선별기; o) 또는 자신, 선별망, 선별물, 선별수조 중 하나에 버블, 폭기압, 펄스압, 와류공기, 선회공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선별기; p) 상기 버블, 폭기압, 펄스압, 와류공기, 선회공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또는 버블기, 폭기기, 나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선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3은 a) 중공체; b) 이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 c)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fan); d) 이 팬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 e) 이 중공링의 노즐, 슬롯노즐, 오픈노즐, 내측 곡면, 외측 평면; f) 상기 노즐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과 외측 평면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g)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 h) 상기 팬의 송풍공기와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함께 송풍되는 링형 송풍기; i) 상기 송풍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 다른 송풍기; j)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k)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체 내지 다른 송풍기; ℓ) 상기 진동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m) 상기 부착에 의하여 진동 공기가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n)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상기 선별기 4는 a) 가연물, 불연물, 경량물, 중량물, 종이, 비닐, 목재, 석재, 철재, 금속, 토사, 암석, 플라스틱,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이거나, b) 또는 가연물을 펠렛화하는 펠렛화기, 가연물을 고형연료화하는 고형연료화기, 상기 선별된 가연물을 펠렛화하는 펠렛화기, 상기 선별된 가연물을 고형연료화하는 고형연료화기 중 하나가 구비된 선별기이다.
상기 선별기 5는 송풍공기와 부압공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 또는 풍력선별하는 장치,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송풍공기와 무동력 부압기의 부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압공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폭기와류하면서 풍력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펄스공기와 나노버블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 또는 습식선별하는 장치, 펄스기에 발생되는 펄스공기와 나노기에서 발생되는 나노버블을 선별수조에 투입하여 폐기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착하면서 부유시켜 제거하는 장치, 폭기공기와 폭기제를 이용하여 골재를 세척하여 골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무동력으로 운전되는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폭기공기가 함유된 폭기제를 골재에 분사하여 골재를 세척하고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 무동력 분산기를 이용한 토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를 이용하여 토사를 분산시키고 이에 송풍을 가하여 토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산성제를 이용하여 선별 골재의 알카리성분을 중화하여 골재의 pH를 저감시키는 장치, 액시드장치에서 생성되는 산성제를 선별 골재에 분사하여 골재의 알카리성분을 중화하고 pH를 저감시키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 파쇄기에는 파쇄기 1, 파쇄기 2, 파쇄기 3, 파쇄기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파쇄기 1은 a) 볼밀, 돌기, 해머, 로터, 로라, 돌기봉, 돌기해머, 해머밀, 로라밀, 파쇄기, 분쇄기, 마쇄기, 박리기, 크러셔, 회전체, 회전기, 회전줄, 와이어, 타격대, 타격수단, 돌기회전체, 회전타격대, 회전로프, 회전와이어, 다발줄, 회전다발줄, 다단파쇄기, 다층파쇄기, 수직파쇄기, 수평파쇄기, 경사파쇄기, 박리파쇄기, 회전파쇄기, 선별파쇄기, 집진파쇄기, 다단파쇄기, 돌기파쇄기, 회전체파쇄기, 충돌형 파쇄기, 사이클론 파쇄기, 원심회전 파쇄기, 분산형 파쇄기, 확산형 파쇄기, 살균형파쇄기, 소독형파쇄기, 정화형파쇄기, pH저감형 파쇄기, 돌기 구비 파쇄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b) 상기 볼밀 내지 pH저감형 파쇄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파쇄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볼밀 내지 복합파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볼밀 내지 복합파쇄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파쇄기 2는 a) 크러셔,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콘크러셔, 롤크러셔, 돌기크러셔, 파동크러셔, 롤러크러셔, 로터크러셔, 톱니크러셔, 톱니바퀴크러셔, 요철롤러크러셔, 톱니롤러크러셔, 해머크러셔, 임팩트크러셔, 자이러트리크러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하는 크러셔, 축에 구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하는 크러셔, 골재를 생산하는 크러셔; b) 상기 크러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크러셔; c) 죠크러셔와 콘크러셔와 임팩트크러셔, 죠크러셔와 더블죠크러셔와 콘크러셔와 임팩트크러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파쇄기 3은 회전하는 로터 또는 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 또는 분쇄시키는 로터 또는 타격대, 봉에 거치된 해머, 회전 봉에 거치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해머,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회전하는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돌기 형성의 해머, 고정판과 롤라 또는 이동판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압축하여 파쇄하는 기구, 고속회전하는 봉에 부착된 해머로 물질을 파쇄하는 기구, 원추형의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내부통의 원운동 또는 편심원운동으로 파쇄하는 기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파쇄기 4는 a) 통, 드럼, 회전통, 트롬멜; b) 이중 하나 외부의 외부 드럼; c) 상기 통 내지 외부 드럼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바, 판, 리바, 격자, 발판, 타격판, 돌출바, 걸림턱; d) 상기 통 내지 외부 드럼 중 하나에 거치된 축; e) 이 축에 거치된 봉, 강선, 스프링; f) 상기 축, 봉 내지 스프링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 해머; g) 상기 통 내지 해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돌기; h) 상기 통 내지 해머, 돌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수단, 모터; i) 상기 회전 또는 역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파쇄기이다.
상기 도포기에는 a) 도포기, 포설기, 도장기, 코팅기, 분사기, 노즐, 솔도포기, 밀대도포기, 로봇도포기, 표면도포기, 공기도포기, 진공도포기, 분사도포기, 가열도포기, 고압도포기, 외벽도포기, 내벽도포기, 차량도포기, 유리도포기, 건물도포기, 도로도포기, 터널도포기, 탱크도포기; b) 상기 도포기 내지 탱크도포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도포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도포기 내지 복합도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도포기 내지 복합도포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도포기 내지 복합도포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도포하는 상기 도포기 내지 복합도포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도포기 내지 복합도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도장기에는 a) 도장기, 도색기, 도포기, 코팅기, 분사기, 노즐, 솔도장기, 밀대도장기, 로봇도장기, 표면도장기, 공기도장기, 진공도장기, 분사도장기, 가열도장기, 고압도장기, 외벽도장기, 내벽도장기, 차량도장기, 유리도장기, 건물도장기, 도로도장기, 터널도장기, 탱크도장기; b) 상기 도장기 내지 탱크도장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도장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도장기 내지 복합도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도장기 내지 복합도장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도장기 내지 복합도장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도장하는 상기 도장기 내지 복합도장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도장기 내지 복합도장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기에는 a) 가습기, 로봇가습기, 실내가습기, 공기가습기, 진공가습기, 분사가습기, 가열가습기, 고압가습기, 차량가습기, 건물가습기, 탱크가습기; b) 상기 가습기 내지 탱크가습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가습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가습기 내지 복합가습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가습기 내지 복합가습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가습기 내지 복합가습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가습하는 상기 가습기 내지 복합가습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가습기 내지 복합가습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제습기에는 a) 제습기, 로봇제습기, 실내제습기, 공기제습기, 진공제습기, 분사제습기, 가열제습기, 고압제습기, 차량제습기, 건물제습기, 탱크제습기; b) 상기 제습기 내지 탱크제습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제습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제습기 내지 복합제습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제습기 내지 복합제습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제습기 내지 복합제습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제습하는 상기 제습기 내지 복합제습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제습기 내지 복합제습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건조기에는 a) 건조기, 팬(fan), 히터, 오븐, 발열기, 발열선, 열건조기, 열풍건조기, 열선건조기, 적외선건조기, 로봇건조기, 실내건조기, 공기건조기, 진공건조기, 흡입건조기, 가열건조기, 고압건조기, 의류건조기, 의복건조기, 식기건조기, 차량건조기, 건물건조기, 탱크건조기; b) 상기 건조기 내지 탱크건조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건조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건조기 내지 복합건조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건조기 내지 복합건조기, 상기 정화 내지 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건조기 내지 복합건조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건조하는 상기 건조기 내지 복합건조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건조기 내지 복합건조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처리기에는 처리기 1, 처리기 2, 처리기 3, 처리기 4, 처리기 5, 처리기 6, 처리기 7, 처리기 8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처리기 1은 a) 처리기, 청정기, 정화기, 송풍기, 선별기, 파쇄기, 필터기, 준설기, 환기시설, 환기설비, 정화터널, 정화게이트, 로봇처리기, 실내처리기, 공기처리기, 진공처리기, 흡입처리기, 가열처리기, 고압처리기, 의류처리기, 의복처리기, 식기처리기, 차량처리기, 건물처리기, 탱크처리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 조합된 복합처리기;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처리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처리기,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처리기: e)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처리하는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처리기: 상기 방 ∼ 5m 이내 범위,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처리기 내지 복합처리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2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3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4는 a)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세차, 세탁, 분사, 샤워, 믹싱, 주입, 주사, 집진, 포집, 흡착, 여과, 폭기, 송풍, 환풍, 열풍, 선풍, 흡착, 환기, 분리, 선별, 분쇄, 파쇄, 처리, 처분,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 b) 또는 수, 물, 토양, 토사, 오염, 공기, 가스, 하수, 상수, 오수, 탁수, 폐수, 오염수, 폐기물,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c)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5는 a) 음압식, 양압식, 풍력식, 유풍식, 무풍식, 음압청정식, 양압청정식, 음압환기식, 양압환기식, 풍력음압식, 풍력양압식, 유풍음압식, 유풍양압식, 무풍음압식, 무풍양압식, 유풍음압청정식, 유풍양압청정식, 무풍음압청정식, 무풍양압청정식, 유풍음압환기식, 유풍양압환기식, 무풍음압환기식, 무풍양압환기식; b) 실내 또는 내부에 (-)압이 작용하는 음압식, 실내 또는 내부에 (+)압이 작용하는 양압식,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사용되는 유풍식, 바람이 사용되지 않는 무풍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음압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는 양압식,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부는 유풍식,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풍력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유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하인 무풍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청정하는 음압청정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청정하는 양압청정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환기하는 음압환기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환기하는 양압환기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10 cm/sec 이하의 속도로 넣으면서 환기하는 무풍양압환기식; c) 또는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음압식 내지 무풍양압환기식; 중 하나의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6은 a) 필터, 필터통,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카트리지필터, 이중 둘 이상 복합필터 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b)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팬, 환기팬, 배기팬, 압기팬, 송풍팬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c) c1)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오염 감지 센서, 수질 감지 센서, 공기질 감지 센서, 램프, LED램프, 공기질 표시 램프, 오염농도 표시 램프, 먼지농도 표시 램프, 필터교체 알림 램프, 필터교체를 알리는 알람,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것이 표시되는 램프; c2) 또는 먼지 농도, 미세먼지농도, 초미세먼지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온도, 시간, 중금속농도, VOCs농도, CO농도, CO2농도, 바람세기, 바람속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c3) 또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팬 내지 송풍팬, 센서 내지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7은 a)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b)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팬 내지 송풍팬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c) c1) 상기 센서 내지 램프; c2) 상기 표시부,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c3) 또는 구멍, 나사 구멍, 걸이용 구멍, 정착용 구멍, 벽걸이용 구멍 중 하나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8은 a)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b)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팬 내지 송풍팬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c) c1) 상기 센서 내지 램프; c2) 상기 표시부,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c3) 또는 구멍, 나사 구멍, 걸이용 구멍, 정착용 구멍, 벽걸이용 구멍 중 하나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송풍기는 송풍기 1 또는 2이다. 상기 송풍기 1은 송풍기, 공기송풍기, 바람송풍기, 터널송풍기, 실내송풍기, 공장송풍기, 현장송풍기,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송풍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송풍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송풍기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송풍기 2는 a) 몸체, 유공 몸체, 하부 유공 및 상부 비유공 몸체, 상부 단면이 좁아지는 몸체; b) 상기 몸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 c) 회전 날개 또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d) 상기 날개의 회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입 또는 통과되는 링노즐, 환노즐, 링형상의 노즐,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 또는 슬롯이 형성된 속빈 링노즐, 내측이 곡면 또는 둥근 또는 경사진 속빈 링노즐,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내측이 곡면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이 형성되고 내측이 곡면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상기 틈 또는 슬롯으로 상기 바람이 배출되는 상기 노즐; e) 상기 배출된 바람이 빠르게 흐르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또는 느리게 흐르는 상기 외측, 평평면; f) 상기 빠름 및 느림에 의하여 상기 외측, 평평면 중 하나보다 기압이 낮은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g) 상기 빠름, 기압 낮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h)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람과 같이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중 하나를 통하여 흐르는 또는 송풍되는 링; i) 상기 틈 또는 슬롯이 개방된 또는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링에서 외부 또는 먼거리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송풍 공기; j) 상기 송풍 공기가 송풍되는 상기 링;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송풍기이다.
상기 필터기는 a) 필터, 프리필터, 집진필터, 탈취필터, 헤파필터, 포스트필터, 백필터, 바이오필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필터기이거나, b) 또는 필터, 사이클론, 전처리 필터, 후처리 사이클론, 필터 후에 여과재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와 필터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상기 중 하나의 필터가 삽입된 필터기, 필터통,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가 구비된 필터기이다. 상기 바이오필터는 바이오필터(biofilter); 생물막반응기(biofilm reactor); 미생물을 응집시켜 여과기능을 하는 필터; 미생물 유래 효소(enzyme)를 이용한 필터; 미생물 또는 세균(bacteria)이 집락(colony)을 형성한 생물막(biofilm)으로 만들어진 필터 또는 반응기; 중 하나이다.
상기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는 후드, 덕트, 굴뚝, 환풍기, 선풍기, 송풍기, 배풍기, 급기구, 배기구, 환기구, 환기통, 급배기구, 환기라인, 급기라인, 배기라인, 급배기라인, 자연환기설비, 강제환기설비, 기계환기설비, 바닥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구,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1.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설비, 건물에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급기구(給氣口)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기(排氣機)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給氣機)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구(排氣口)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부압의 배기기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팬 또는 펌프가 구비된 상기 후드 내지 환기설비 중 하나이다.
상기 정화터널은 a) 정화터널, 정화통로, 정화아치, 정화게이트, 상기 청정 내지 처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정화터널; b) 또는 분사기, 흡입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문, 터널, 통로, 아치, 탱크, 박스; c) 또는 차량, 대상, 사람 중 하나가 통과되면 공기, 압기,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하여 먼지를 탈착시키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이의 흡입물을 팬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중 하나로 침전 또는 집진하는 정화터널; 중 하나이다.
상기 정화게이트는 a) a1) 분사기, 흡입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문, 터널, 통로, 아치, 탱크, 박스, 게이트; a2) 상기 분사기에 연계되는 팬, 펌프; a3) 상기 흡입기에 연계되는 진공펌프; a4) 상기 문 내지 진공펌프 중 하나에 연계되는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거나, b) 또는 상기 문 내지 게이트 중 하나로서 차량, 대상, 사람, 물체 중 하나가 통과되면 공기, 압기,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하여 먼지를 탈착시키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이의 흡입물을 팬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중 하나로 침전 또는 집진하는 것이다.
상기 준설기는 준설기, 댐준설기, 하천준설기, 연못준설기, 수저준설기, 저수지준설기, 모래준설기, 골재준설기, 침전물준설기, 수중 또는 수저를 폭기하여 준설하는 준설기, 수저의 침전물을 준설하는 준설기, 수저의 침전물을 폭기하여 준설하는 준설기, 수저의 침전물을 회전형의 스크레이퍼 또는 컨베이어로 준설하는 준설기, 준설선, 크람쉘, 크레인, 포크레인, 스크레이퍼, 회전스크레이퍼, 수중컨베이어, 수중회전컨베이어, 갈퀴달린 컨베이어, 갈퀴달린 수중컨베이어, 침전물을 퍼올릴수 있는 갈퀴가 구비된 컨베이어, 침전물을 퍼올릴수 있는 갈퀴가 구비된 스크레이퍼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준설기에 의한 준설 작업에는 a) 수저의 퇴적물 또는 토사 또는 골재를 준설하는 준설 작업; b) 준설하고자 하는 주위에 또는 하류에 실트막, 오탁방지막, 오일휀스 중의 하나 이상의 가두리를 설치하고 수행되는 준설 작업; c) 준설하고자 하는 지역, 또는 상기 가두리가 설치된 내부, 또는 상기 가두리가 설치된 상류에서 실시되는 준설 작업; d) 준설과 동시에, 준설이 수행되는 지점에, 또는 준설이 수행되는 주변에, 또는 상기 가두리가 설치된 내부에, 또는 준설이 수행되는 지점부터 하류방향으로 상기 가두리가 설치된 지점까지의 일정 지점에, 수중폭기작업, 수중주입작업, 수중흡입작업, 수질정화작업을 실시하고 실시되는 준설 작업;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중 하나에는 a)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청소제, 세정제, 세척제, 탈수제, 선별제, 파쇄제, 숏팅제, 도포제, 도장제, 가습제, 제습제, 건조제, 처리제; b)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폭기제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c) 상기 지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투입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투입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투입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투입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e)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처리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시설, 작업 시설, 공사 시설, 재료 이용 시설, 자재 이용 시설, 수단 이용 시설, 장비 이용 시설, 작업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공사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공사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등은 시설 1, 시설 2, 시설 3, 시설 4, 시설 5, 시설 6, 시설 7, 시설 8, 시설 9 등이다. 상기 시설 1은 상기 수단, 작업, 재료, 자재, 장비,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작업 재료, 공사 재료, 작업 자재, 공사 자재, 작업 장비, 공사 장비, 자재 이용 작업, 자재 이용 공사, 장비 이용 작업, 장비 이용 공사, 일 내지 복합작업,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의한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시설물,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주택건물, 아파트건물, 주상복합건물, 오피스텔건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 2는 a) 방, 건물, 주택, 가옥, 한옥, 양옥, 빌딩, 교량, 육교, 터널, 도로, 보도, 인도, 기초, 포장체, 옹벽, 댐, 제방, 하천, 개천, 연못, 항만, 시설, 자재, 구조물, 구조체, 시설물, 주유소, 충전소, 주유소시설, 충전소시설, 지중기초,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복합기초, 지하시설, 지상시설, 조립시설, 수리시설, 환경시설, 처리시설, 수처리시설, 발전시설, 지상건물, 지하건물, 주택건물, 아파트건물, 주상복합건물, 오피스텔건물, 조립식주택, 이동식주택, 지상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중구조물, 기초구조물, 철골구조물, 벽돌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시설;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방 내지 복합시설;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시설, 공사되어 조성된 시설,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자재가 이용되어 조성된 시설, 장비에 의하여 공사되어 조성된 시설, 자재가 이용되어 공사된 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는 a)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에 속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가 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살균 또는 처리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상기 자재 또는 재료가 포함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기초가 구비된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기초 상부에 설치된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은 상기 건물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건물 내지 충전소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주유소시설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주유소시설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건물 내지 충전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다. 상기 충전소는 물, 물질, 유류, 기름, 석유, 등유, 가스, 수소, 산소, 휘발유, LPG 중 하나 이상을 충전 또는 충진하는 충전소이다. 상기 충전은 조, 통, 함, 차, 배, 차량, 트럭, 버스, 선박, 보트, 드론, 탱크, 박스,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오토바이, 이동수단, 비행수단 중 하나에 된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 교량, 육교, 터널, 도로, 보도, 인도, 기초, 포장체, 옹벽, 댐, 제방, 항만, 시설, 구조물, 시설물,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지상건물, 지하건물, 주택건물, 아파트건물, 주상복합건물, 오피스텔건물, 지상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중구조물, 기초구조물, 철골구조물, 벽돌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구조체는 구조체, 시설체, 시설, 건물, 구조물, 시설물, 주택, 가옥, 빌딩, 아파트, 하우스,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가건물, 아파트건설, 주상복합건물, 오피스텔건물, 기초,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콘크리트 구조체,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철근 또는 보강재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환경시설에는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발전시설은 발전시설, 수력발전시설, 수소발전시설, 태양발전시설, 풍력발전시설, 조력발전시설, 파력발전시설, 화력발전시설, 원자력발전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설은 기(器 ),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시스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전시설은 발전기, 수력발전기, 수소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조력발전기, 파력발전기, 화력발전기, 원자력발전기 등이 될수도 있다. 상기 수소발전시설은 수소, 수소통, 수소가스, 수소전지, 수소연료전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전지 1, 수소전지 2, 수소전지 3 중 하나이다. 상기 수소전지 1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반응(2H2 + O2 → H2O)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가 양극 또는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을 통해 음극 또는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소전지 2는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 또는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의 사이에는 전해질, 이온막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수소전지이다. 상기 수소전지 3은 상기 산화전극에서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하기의 반응 1 또는 반응 2와 같이 발생되고, 상기 환원전극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하기의 반응 3 또는 반응 4와 같이 발생되는 수소전지이다. 상기 반응 1은 산성 조건에서 2H2 → 4H+ + 4e- 이다. 상기 반응 2는 염기성 조건에서 2H2 + 4OH- → 4H2O+ 4e- 이다. 상기 반응 3은 산성 조건에서 O2 + 4H+ + 4e- → 2H2O 이다. 상기 반응 4는 염기성 조건에서 O2 + 2H2O + 4e- → 4OH- 이다.
상기 태양발전시설은 태양발전시설 1 또는 2이다. 상기 태양발전시설 1은 태양발전시설, 태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시설,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시설,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태양 빛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시설,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시설,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주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시설 중 하나이다. 상기 태양발전시설 2는 a) 태양전지(solar cell); b) 이에 연결되는 전선; c)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인버터, 축전지, 송전 케이블, 변전소; d) 상기 태양전지 내지 변전소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기둥; e) 상기 기둥이 거치되는 기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풍력발전시설은 풍력발전시설 1, 풍력발전시설 2, 풍력발전시설 3 중 하나이다. 상기 풍력발전시설 1은 풍력발전시설, 육상풍력발전시설, 해상풍력발전시설, 해양풍력발전시설,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시설, 풍력을 이용하여 날개를 돌려 발전하는 시설, 풍력을 이용하여 날개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설 중 하나이다. 상기 풍력발전시설 2는 a) 날개; b) 이의 회전축; c) 상기 날개 또는 회전축에 연계 또는 순차 연계되는 감속기, 증속기, 기어박스, 발전기, 인버터, 축전지; d) 상기 발전기 내지 축전지 중 하나에 연계되는 전선, 케이블, 송전 케이블, 변전소; e) 상기 날개 내지 변전소 중 하나를 지지하는 기초, 타워, 기둥;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풍력발전시설 3은 기초 설치, 상기 기초의 상부에 기둥 또는 타워 설치, 상기 기둥 또는 타워에 날개 연결, 상기 날개의 회전축에 감속기 또는 증속기, 발전기, 인버터, 축전지 중 하나 이상 연계, 상기 축전지에 전기 이송 케이블 연결 중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시설 3은 a) 흙, 황토, 점토, 광물, 목재, 석재, 철재, 철골, 합판, 합금, 금속, 비금속, PVC, 플라스틱, 레미콘, 시멘트, 콘크리트, 플라스터, 알루미늄, 고분자재; b) 상기 흙 내지 고분자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c) 또는 이동식, 고정식, 조립식, 조립자재 사용, 공장에서 제조, 현장에서 시공, 현장에서 축조, 현장에서 조립, 공장에서 제조 후 현장에서 조립; 중 하나의 또는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이다. 상기 시설 4는 기초, 이의 상부에 바닥, 이중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벽과 기둥, 상기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 상기 벽과 기둥의 상부에 거치되는 천장 또는 슬라브, 상기 천장 또는 슬라브를 지지하는 빔, 상기 슬라브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벽 내지 빔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이다.
상기 시설 5는 a) 상기 장비, 자재, 재료, 저장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이거나, b) 또는 재료가 b1)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거나, b2) 또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또는 하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어 조성된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이거나, c) 또는 c1) 저장고에 저장, 호퍼에 투입, 혼합기에서 혼합, 가압기에서 가압, 이송라인으로 이송, 운반차량으로 운반, 펌프카로 펌핑; c2) 노즐로 분사, 타설기로 타설, 타설구로 타설, 분사기로 분사, 주입기로 주입, 믹싱기로 믹싱, 다짐기로 다짐; c3) 진동기로 진동, 가진기로 가진; c4) 미장기로 미장, 단발기로 표면 처리, 쌍발기로 표면 처리, 피니셔로 표면 피니싱, 스크리드로 표면 마무리, 양생기로 양생, 경화기로 경화, 면정리기로 면정리, 면처리기로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이 된 자재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설 6은 a) a1) 바인더와 토사가 믹싱된 것으로 표층믹싱기초와 이 하부의 지중믹싱기초로 구성된 복합 기초와; a2) 상기 기초 상부에 조성되는 것으로 a21) 진동되면서 타설되거나, a22) 또는 진동기가 거치된 타설구를 통하여 타설되면서 진동되는 콘크리트가 포함되는 구조체로; 구성된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조건 5-1을 만족하는 기초와; 상기 기초 상부에 조성되는 것으로 조건 5-2를 만족하는 콘크리트가 포함되는 구조체로; 구성된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중 하나 중 하나이거나, c) 또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체, 구조물 중 하나 이상에 철근이 존치되고, 상기 철근이 2개 이상 연결 시 철사, 철근커플러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 상기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건 5-1은 a) 표층기초, 매트기초, 팽이기초, 지중기초, 믹싱기초, 표층믹싱기초, 지중믹싱기초, 고화기초, 표층고화기초, 지중고화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현장타설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매트기초와 이의 하부에 스크류기초, 매트기초와 이의 하부에 지중믹싱기초; b) 재료가 타설 또는 믹싱되어 조성되는 상기 표층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기초; c) 재료가 진동되면서 타설 또는 믹싱되어 조성되는 상기 표층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기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5-2는 진동되면서 타설되거나, 또는 타설되면서 진동되는 것이다.
상기 시설 7은 a) 진동기에서 타설된 또는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재료 또는 콘크리트; b) 파(波)를 발생하는 진동기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진동기로 진동 또는 처리된 재료 또는 콘크리트; e) 음이온을 발생하면서 조건 6-1을 만족하는 자기장기가 구비된 장비; 중 하나 이상이 포함 또는 이용되어 조성된 시설,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건 6-1은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조건 6-2를 만족하는 가진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6-2는 파(波)를 발생하면서 조건 6-3을 만족하는 오존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6-3은 전기방전하면서 조건 6-4를 만족하는 음이온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건 6-4는 a) 공기, 대기, 현장공기, 타설공간, 타설현장, 타설주변, 사용수, 사용재료,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을 살균 또는 소독하는 기능 보유; b) 상기 기능 보유를 위하여 살균기 구비, 소독기 구비, 살균제 분사, 소독제 분사; c) 또는 현장 내의 먼지, 분진, 미세먼지 중 하나를 제거하는 기능 보유; d) 상기 제거 기능 보유을 위하여 필터 구비, 흡입기 구비, 포집기 구비, 집진기 구비, 사이클론 구비, 진공펌프 구비, 미스트분사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시설 8은 진동기에서 타설된 재료가 양생되어 조성된 건물,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재료가 주입되어 조성된 기초, 파(波)를 발생하는 진동기로 진동된 재료가 타설되어 조성된 교량, 음이온을 발생하는 진동기로 처리된 재료가 타설되어 조성된 육교, 상기 물질이 함유되는 재료가 타설되어 조성된 터널, 상기 물질이 함유되면서 상기 타설되는 재료가 진동 후 양생되어 조성된 도로, 진동기에서 타설된 재료가 타설 후 양생되어 조성된 옹벽,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어 조성된 댐, 음이온을 발생하는 진동기로 처리된 재료가 타설되고 다짐되어 조성된 제방, 진동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설된 재료가 타설되고 면처리되어 조성된 항만, 파(波)를 발생하는 진동기로 진동된 재료가 타설된 후 가진되어 조성된 시설, 음이온을 발생하는 진동기로 처리된 재료가 타설되고 미장되어 조성된 구조물, 상기 물질이 함유되는 재료가 타설되고 표면 피니싱되고 양생되어 조성된 시설물,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된 재료가 이용되는 상기 방 내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설 9는 주거용, 산업용, 수리용, 토류용, 지하용, 교량용, 통행용, 조경용, 환경용, 놀이용, 기초용, 농업용, 시설용, 내진용, 기타용; 이중 둘 이상 복합용; 중 하나의 시설이다. 상기 주거용 시설은 a) 방, 벽, 집, 거실, 부엌, 현관, 기둥, 벽체, 화장실, 건물, 주택, 가옥, 한옥, 양옥, 빌딩, 아파트, 주차장, 주상복합, 아파트시설, 아파트건물, 주상복합건물; b) 또는 황토방, 편백방, 피톤방, 황토편백방, 황토피톤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방 내지 주상복합건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방 내지 화장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건물 내지 주상복합건물 중 하나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건물 내지 주상복합건물 중 하나에는 상기 방 내지 화장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방은 방, 안방, 거실, 서재, 책방, 황토방, 편백방, 피톤방, 황토편백방, 황토피톤방, 건물의 방, 주택의 방, 가옥의 방, 시설의 방, 구조물의 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택의 방에는 황토, 촉매, 광촉매, 편백칩,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벽지, 벽재, 보드, 자재, 황토수, 황토재, 혼합물, 반죽물, 미장재, 장판, 마루, 바닥재, 천장재, 마감재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가옥의 방에는 a) 벽면에 벽지; b) 상부 벽면에 황토보드; c) 하부 벽면에 편백루바; d) 천장에 편백루바, 천장재; e) 바닥에 단열재; f) 상기 바닥 또는 단열재의 상부에 호스; g) 상기 호스의 상부에 열전도판; h) 상기 바닥, 단열재, 호스, 열전도판 중 하나의 상부에 h1) 장판, 마루, 황토보드; h2) 또는 상기의 장판, 마루, 자재, 바닥재, 마감재; i) 상기 호스에 온수, 냉수, 냉온수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또는 순환시키는 히터, 칠러, 보일러, 냉온기, 온방기, 냉방기, 온수기, 냉수기, 냉각기, 냉온수기; j) 상기 공급하거나 또는 순환시키는 펌프, 전량펌프, 순환펌프; k) 상기 히터 내지 순환펌프 중 하나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수단;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편백은 편백, 편백칩, 편백목, 편백나무, 편백목분, 피톤치드가 나오는 편백목, 편백목 함유, 편백목 이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톤은 피톤, 피톤치드, phyton, phytoncide, 피톤치드 함유, 피톤치드 이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피톤치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산업용 시설은 상가, 사무실, 철탑, 굴뚝, 울타리, 매립장, 발전소, 하우스, 사일로, 상가건물,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석탄야적지, 시멘트공장, 사무실건물, 발전소건물, 쓰레기매립장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리용 시설은 댐, 보, 제방, 하천, 개천, 수로, 안벽, 항만, 부두,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저수지, 저류지, 차수벽, 반응벽, 유수지, 저류조, 인공어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토류용 시설은 옹벽, 석축, 축대, 사면, 지반, 흙막이, 지중벽, 흙막이벽, 슬러리월, 지하연속벽, 보강토옹벽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지하용 시설은 터널, 암거, 지하구, 가스구, 공동구, 단독구, 전력구, 통신구, 하수관, 상수관, 가스관, 지하철, 지하도, 지하실, 지하도로, 지하박스, 지하시설, 지하탱크, 지하라인, 지하공간, 지하주차장,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파이프라인, 지하파이프라인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교량용 시설은 교량, 교각, 교대, 육교, 다리, 연육교, 하천교량, 해상교량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통행용 시설은 길, 로, 도로, 차도, 보도, 인도, 농로, 임도, 철도, 궤도,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방음벽, 방음터널, 자전거길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조경용 시설은 정자, 공원, 화단, 벽천, 인공벽, 그늘집, 조경물, 조경시설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환경용 시설은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방류조, 선별시설, 파쇄시설, 분리시설, 수처리시설, 토양처리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놀이용 시설은 트랙, 코트, 구장, 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골프장, 운동장, 돔구장, 놀이터, 잔디구장, 조깅코스, 육상트랙, 운동장트랙, 테니스코트, 마라톤코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용 시설은 a)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깊은기초, 믹싱기초, 보강기초, 내진기초, 지하기초, 지중기초,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지중주입기초, 지중타설기초, 그라우팅기초, 지반개량기초, 그라우팅기초, 등단면기초, 변단면기초, 가변형기초, 기둥기초, 스크류기초, 마이크로파일, 표층기초, 지표면기초, 표층매트기초;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농업용 시설은 농장건물, 식물농장, 도시농장, 빌딩농장, 컨테이너농장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시설용 시설은 시설, 가시설, 시설물, 가시설, 내진시설, 방진시설, 방재시설, 방화시설, 코팅시설, 광촉매코팅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내진용 시설은 자신, 벽, 보, 문, 창문, 기둥, 내부, 외부, 벽면, 내벽, 외벽, 자신, 바닥, 천장, 슬라브, 층과 층 사이, 바닥과 천장 사이, 바닥과 옥상 사이, 바닥과 슬라브 사이,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 이중 하나의 면, 표면, 내면, 외면, 내부, 외부, 공간; 중 하나 이상에 빔, 대, 봉, 판, 철골, 거더, 격자, H빔, I빔, 시트, 매트, 네트, 가로보, 세로보, 아치재, 보강재, 보강판, 탄소판, 브라켓, 프레임, 플랫폼, 브레이싱, 탄소시트, 탄소매트, 탄소네트, 보강시트, 보강매트, 보강네트, 켄틸레버재, 내진 보강재, ㄱ형 보강재, I형 보강재, H형 보강재, T형 보강재, ×형 보강재, □형 보강재, X 브레이싱, 철제브라켓, 철제프레임, 철제플랫폼, 철제브레이싱, 볼트 구멍 형성 보강재, 상하 프랜지와 중간 웨브로 구성된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 시설이다.
상기 기타용 시설은 공사물, 시공물, 건조물, 건설물, 토목물, 건축물, 축조물, 조경물, 조각물, 조형물, 환경물, 시설물, 구조물, 강구조물, 조립물, 조립시설, 조립시설, 철골시설, 벽돌시설, 내진시설, 방재시설, 반진시설, 지상시설, 지하시설, 지중시설, 수중시설, 공중시설, 지하공간시설, 시멘트시설, 콘크리트시설, 철근콘크리트시설, 조립건물, 조립구조물, 철골구조물, 벽돌구조물, 내진구조물, 방재구조물, 방진구조물, 지상구조물, 지하구조물, 지중구조물, 수중구조물, 공중구조물, 지하공간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설 하부의 기초, 기초 상부의 시설, 구조물 하부의 기초, 기초 상부의 구조물; 상기 공사물 내지 구조물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시설; 상기 공사물 내지 복합시설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공사물 내지 복합시설;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에는 기초 1, 기초 2, 기초 3, 기초 4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기초 1은 a)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깊은기초, 지면기초, 후팅기초, 매트기초, 표층기초, 팽이기초,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석션기초, 주입기초, 그라우팅기초, 분사기초, 믹싱기초, 타설기초, 다짐기초, 매입기초, 항타기초, 현타기초, 공장기초, 돌기기초, 보강기초, 지하기초, 지중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기둥기초, 건물기초, 구조물기초, 지반개량기초,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변단면기초, 가변형기초, 등단면기초, 스크류기초, 마이크로파일, PHC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CIP기초, PRD기초, RCD기초,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d)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된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이용되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e)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f)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 2는 백호, 오거, 크레인, 굴삭기, 보링기, 압입기, 관입기, 항타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b) 상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의 붐 또는 리더; c) 상기 붐 또는 리더에 거치된 암; d) 이 암의 선단; e) 이 선단의 크래들히치; f) 상기 선단 또는 크래들히치에 장착된 회전수단, 버켓; g) 상기 백호 내지 버켓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롯드; h) 상기 롯드의 선단에 구비된 비트; i) 상기 롯드의 측면에 구비된 날개; j) 상기 롯드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날개; k) 상기 롯드, 날개, 비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구멍; ℓ) 재료를 지중 또는 형틀에 주입하는 상기 롯드, 날개, 비트, 구멍; m) 지중에 주입된 재료와 토사를 믹싱하는 상기 롯드, 날개, 비트; n) 토사와 재료를 지상에서 믹싱하는 상기 버켓 또는 날개; o) 상기 a) 백호 내지 n) 날개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또는 순차 연계된 저장고, 배합기, 가압기, 이송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장비에 의하여 조성되는 기초, 파일, 지중기초, 지중변단면기초, 표층기초, 지면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 3은 복합기초, 얕은기초와 이 하부의 깊은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지면기초와 지중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표층기초와 이 하부의 지중 믹싱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후팅기초와 이 하부 지중의 변단면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표층의 매트기초와 이 하부 지중의 스크류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 4는 파일과 피어, 얕은기초와 파일이 조합된 복합기초, 얕은기초와 깊은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얕은기초와 이의 하부에 깊은기초, 얕은기초와 스크류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얕은기초와 이의 하부에 스크류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매트기초와 스크류기초, 매트기초와 이의 하부에 스크류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후팅기초와 스크류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후팅기초와 이의 하부에 스크류기초, 표층기초와 지중믹싱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표층기초와 이의 하부에 지중믹싱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얕은기초와 지중믹싱기초, 얕은기초와 마이크로파일이 조합된 복합기초, 지중기초와 건물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지하기초와 주택기초, 지중기초와 얕은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지하기초와 얕은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돌기기초와 볼트기초, 핀파일와 봉파일이 조합된 복합기초, 돌기파일과 볼트파일로 구성된 복합기초, 지중주입기초와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와 지중다짐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JSP기초와 SGR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SCW기초와 DCM기초, CIP기초와 PRD기초가 조합된 복합기초, 지중기초와 주변지반로 구성된 복합기초, 지중기초와 표층기초, 지중믹싱기초와 표층고화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파일은 파일, 말뚝, 목재파일, 금속파일, 철재파일, PVC(polyvinyl chloride)파일, FRP(fiber reinforced plastics)파일, 플라스틱파일, 콘크리트파일, 고강도파일, 고강도콘크리트파일, 마이크로파일, 지중믹싱파일, 그라우팅파일, 압축강도 500kg/cm2 이상의 고강도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PHC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파일;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파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피어는 교량피어, 교각피어, 건물피어, 직경이 파일보다 크고 케이슨 보다 작은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피어;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피어;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케이슨은 교량케이슨, 박스케이슨, 직경이 파일과 피어보다 큰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케이슨;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케이슨;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블럭기초, 매트기초, 표층기초, 지표면기초, 표층매트기초, 심도 2m 이내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얕은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얕은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줄기초는 줄기초, 줄모양기초, 줄형태기초, 지반이 줄형태로 굴착되어 조성된 기초, 지반을 줄형태로 굴착한 후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줄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줄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직접기초 ∼ 단독기초 중 하나는 넓은토대, 넓은기초, 구조물의 하부에 넓게 설치되는 토대, 1개의 면적이 구조물 투영면적의 5% 이상의 면적이 되는 토대, 전체면적이 구조물 투영면적의 50% 이상 면적이 되도록 설치된 토대, 상기 직접기초 ∼ 단독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블럭기초는 블럭, 이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을 관통되는 봉, 상기 블럭의 상부에 거치된 브라켓 또는 구조물의 기둥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홀에 관통된 봉의 마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기초이다. 상기 매트기초는 매트 형상의 기초, 또는 가로 및 세로에 비하여 높이가 작은 기초이다. 상기 표층기초 또는 지표면기초는 표층, 지면, 지상, 지표면, 심도 2m 이내의 표층 중 하나에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표층매트기초는 표층에 조성된 매트 형상의 기초이다.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 파일, 말뚝, 피어, 케이슨, 벽기초, 파일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 심도 2m 이상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깊은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깊은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벽기초는 벽기초, 지중벽기초, 지하벽기초, 슬러리월기초, 벽줄모양기초, 벽줄형태기초, 지하콘크리트벽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지면기초, 후팅기초, 매트기초, 표층기초 중 하나는 지면기초, 후팅기초, 매트기초, 표층기초, 얕은기초,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상부에 비하여 하부가 확대된 후팅기초, 매트형상의 매트기초, 표층에 설치되는 표층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얕은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얕은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팽이기초는 a) 팽이, 고깔, 깔대기, 삼각플라스크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진 기초이거나, b) 또는 팽이 형틀, 이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 상기 형틀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기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 상기 양생 후 탈형되는 상기 형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기초이다. 상기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중 하나는 a) 동하중, 진동, 내진, 지진, 진동하중, 내진하중, 지진하중 중 하나에 견디는 또는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기초; b) 또는 내진제, 방진제, 댐핑제 중 하나가 함유되는 기초; c)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동적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동적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석션기초는 석션기초, 진공 또는 석션압이 이용되어 지중에 삽입되는 기초, 기초를 지중에 삽입하고 기초의 상부에 있는 구멍에 진공 또는 석션압을 가하여 기초를 지중에 더 삽입시키는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석션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석션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입기초는 a) 지반, 지중, 지하, 지면, 표층, 중층, 심층, 지표면,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깊이 10m 이내의 중층, 깊이 10m 이상의 심층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주입, 투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b) 또는 주입기에 의하여 지중에 바인더가 주입되어 조성된 기초; c) 또는 상기 주입, 투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가 된 부, 부위, 구간, 깊이, 기초, 보링공, 천공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기초, 파일, 피어,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d)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주입기초; e)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주입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초재료는 수(水), 물,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재료, 고화제, 고결제,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바인더, 레미탈,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빔, H빔,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주입, 투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주입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주입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분사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분사기초; b) 또는 상기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가 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천공홀 중 하나에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c)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분사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분사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믹싱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교반 또는 믹싱하여 형성된 기초, 표층기초, 지중기초, 매트기초, 믹싱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DCM(deep cement mixing)기초, SCW(soil cement wall), CDM(cement deep mixing)기초; b) 또는 상기 믹싱기에 의하여 지중에서 바인더와 토사가 믹싱되어 조성된 기초; c) 또는 상기 교반 또는 믹싱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천공홀 중 하나에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d)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믹싱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믹싱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타설 또는 투입하여 형성된 기초, 표층기초, 지중기초, 매트기초, 타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b) 또는 상기 타설 또는 투입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천공홀 중 하나에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c)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타설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타설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다짐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기초재료를 다짐하여 형성된 기초, 다짐기초, SCP(sand compaction pile), GCP(gravel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b) 또는 상기 다짐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천공홀 중 하나에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c)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다짐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다짐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매입기초는 a)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천공부,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매입된 또는 항타 없이 매입된 기초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매입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매입기초이다. 상기 항타기초는 a)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항타, 해머링, 해머항타, 드롭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항타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항타기초이다.
상기 현타기초는 a) 현장에서 타설되는 기초, 현장에서 타설되어 조성된 기초, 현장에서 재료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조성된 기초; b) 또는 현장의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공 중 하나에 빔, 철근, 강관, 기초, 파일, 철근망, 보강재,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 c)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현타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현타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공장기초는 a) 공장기초, 공장에서 제조된 기초; b) 또는 공장에서 형틀조립, 철근조립,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양생, 형틀해체의 순으로 제조된 기초; c)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공정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공장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돌기기초는 a) 자신의 주위에 1개 이상의 핀, 봉, 대, 판, 링, 돌기, 볼트, 나선, 쐐기, 스크류, 요철체, 돌출체, 테이퍼체, 헬리칼체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기초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돌기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돌기기초이다. 상기 보강기초는 a)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핀 내지 헬리칼체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b)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빔 내지 헬리칼체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c)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조성된 기초에 상기 빔 내지 헬리칼체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된 기초; d)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보강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보강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지하기초 또는 지중기초는 a) 지하, 지중, 지반 중 하나에 조성 또는 매입 또는 그라우팅된 기초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지하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지하기초이다. 상기 고화기초는 a) 고화, 고결, 경화 중 하나가 된 기초; b) 또는 기초재료가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서 고화, 고결, 경화 중 하나가 된 기초; c) 기초재료가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투입되어 고화, 고결, 경화 중 하나가 된 기초; d)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고화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고화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둥기초는 기둥기초, 기둥의 기초, 건물기둥의 기초, 기둥 형상의 기초, 공장에서 제조된 기둥기초, 상기 지반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조성된 기둥 형상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기둥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기둥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건물기초 또는 구조물기초는 a) 건물, 주택, 시설, 교량, 옹벽, 항만, 시설물, 구조물 중 하나의 기초 또는 하나 하부에 조성되는 기초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구조물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구조물기초이다.
상기 지반개량기초는 지반개량기초, 지반을 개량하는 기초, 지반을 개량하여 조성된 기초, JSP(jumbo special pile), SGR(space grouting rocket)기초, LW(labiles wasserglass)기초, CCP(chemical chuning pile), CGS(compaction grouting system)기초, DJM(dry jet mixing)기초, JGM(jet grouting method)기초, TJG(twin jet grouting)기초, SIG(super injection grout)기초, RJP(rodin jet pile), CJG(column jet grouting)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지반개량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지반개량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어스드릴기초는 어스드릴기초, 어스드릴로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드릴로 어스(지반)를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회전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안정액으로 공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어스드릴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어스드릴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올케이싱기초는 올케이싱기초, 요동식 올케이싱기초, 전선회식 올케이싱기초, 돗바늘 올케이싱기초, 해머 그랩 등으로 토사를 배출하면서 케이싱을 압입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올케이싱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올케이싱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변단면기초 또는 가변형기초는 a) 길이 방향, 상하 방향, 깊이 방향, 심도 방향, 지반에 관입 후 상하 방향, 지면에서 지중 방향 중 하나로 단면, 횡단면, 면적, 단면적, 폭, 직경, 두께, 굵기 중 하나가 변함, 다름, 확대, 축소, 가변, 테이퍼, 점증, 점확, 상부확대하부축소 중 하나가 되는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변단면기초, 가변형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부는 굵고 하부는 가는 기초, 직경이 상부는 굵고 하부는 가는 기초, 상부는 확대되고 하부는 축소되는 기초,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기초 중 하나이거나, c)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가변형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가변형기초이다.
상기 등단면기초는 a) 상기 단면 내지 굵기 중 하나가 동일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등단면기초,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등단면기초이다. 상기 스크류기초는 a) 봉, 대, 기둥, 샤프트 중 하나의 외면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거나, 또는 자신의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기초, b) 또는 상기 형성된 기초가 지반에 관입된 후 상기 기초와 지반 사이가 그라우팅된 기초; c)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스크류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스크류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파일은 a)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직경 20cm 이하의 파일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그라우팅; b2) 이의 전, 중, 후, 동시; b3) 또는 지반, 보링공, 천공홀, 천공부,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 이상이 매입되는 기초이거나, c)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마이크로파일;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PHC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중 하나는 a) 몰탈,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중 하나가 이용된 파일이거나,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콘크리트파일, 또는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콘크리트파일이다.
상기 CIP(cast in place)기초는 CIP기초, 현장타설기초, 현장시공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는 PRD기초, 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퍼커슨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는 RCD기초, 역순환 굴착기초, RCD장비를 이용해 정수압으로 공벽을 보호하며 드릴롯드 끝부분에 장착된 드릴비트(drill bit)를 회전시켜 지반 천공을 한 후에 사전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성된 현장타설 콘크리트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중 하나는 a) 지열, 에너지, 지열에너지 중 하나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b)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지열파이프, 이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투입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c)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히나에 U자형 지열파이프,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d) 또는 수, 물, 액체, 냉수, 온수, 난방수, 냉방수 중 하나가 순환되는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e) 상기 수 내지 냉방수 중 하나가 한쪽으로 유입되고 다른 한쪽으로 유출되는 U자형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f)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에 속하는 에너지기초; 상기 기초 내지 복합기초 중 하나로 사용되는 에너지기초;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물체, 물질,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에서는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전해, 방전, 살균, 소독, 압기, 펄스, 펄스압, 기능, 기능기, 기능제, 기능작용, 자화오존, 진동오존, 가진오존, 압기오존, 펄스오존, 오존자기장, 자화진동오존, 자화가진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등이 또는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분사, 조사, 방출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오존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 등은 자화, 자기장, 오존, 진동, 가진, 압기, 펄스, 펄스압, 주기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 또는 펄스압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또는 둘 이상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또는 둘 이상으로 처리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자화진동가진오존의 경우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로 구성; b)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이 발생 또는 방사; c)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으로 처리; d) 그리고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 또는 펄스압은 충격, 전기, 펌프, 펌프압, 전기충격, 물리충격, 해머충격, 낙하물충격, 공기충격, 압축공기충격(83), 압기(83)의 공급과 중단 반복, 펌프압의 공급과 중단 반복 등에 의히여 발생된다. 상기 펄스는 펄스, 펄스압, pulse, pulse poressure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압기는 압기(104'), 壓氣, 압축공기, compressed air, 콤프레셔에서 제공되는 압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기의 공급과 중단 반복의 예로는 콤프레셔(105)에서 제공되는 압기(83)의 공급과 중단이 반복적으로 되는 곳, 관, 장소, 대상, 호스(79), 튜브(76), 드론, 노즐(66), 분사기(66), 파이프(76), 벤츄리관(77) 등에서 발생되는 펄스, 펄스압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콤프레셔(105)에서 제공되는 압기(83)가 유입되는 파이프(76) 또는 벤츄리관(77)에 있어서 타이머(98)에 의하여 타이밍된 시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를 열고 닫고를 반복하여 상기 유입을 가함, 중지함을 반복적으로 또는 상기 유입의 on, off를 반복적으로 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벤츄리관에 압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또는 가해지는 펄스, 펄스압, pulse, pulse poressure 등이 해당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76) 또는 벤츄리관(77); 이를 통과하는 수, 물, 액, 유, 물질, 유체, 액체, 공기, 기체, 분말, 입자 등(80)에는 펄스, 펄스압; 이에 의한 와류, 교반, 충격, 압력, 충격압, 케비테이션, 무동력교반, 무동력와류; 등이 발생된다. 이에 의하여 통과 입자(80)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분사력이나 충격력이 매우 강한 물질(80)을 주입, 분사, 타설, 인젝션, 그라우팅 등을 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17, 18, 19 등 참조.
상기 자화기 ∼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은 자화, 자기장, 오존, 진동, 가진, 압기, 펄스, 펄스압, 주기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 또는 펄스압 중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 또는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장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자화진동가진오존기의 경우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로 구성; b)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장치; c)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으로 처리하는 장치; d) 그리고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인 기능기(30)는 기능기 1, 기능기 2, 기능기 3, 기능기 4, 기능기 5, 기능기 6 ,기능기 7, 기능기 8, 기능기 9, 기능기 10, 기능기 11, 기능기 12, 기능기 13, 기능기 14, 기능기 15, 기능기 16, 기능기 17, 기능기 18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기 1은 오존(44) 발생하는 자화기(31), 오존기(34) 구비 자화기(31), 오존음이온 발생하는 자화기(31), 오존음이온기 구비 자화기(31), 기능제 생성기, 기능작용 발생기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기 2는 상기 자화기 중 하나 구비 진동기(32)이고, 상기 기능기 3은 상기 자화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자기장(41)발생하면서 진동(42)하는 진동기(32)이고, 상기 기능기 4는 상기 자화기(31), 진동기(32) 중 하나 이상 구비 가진기(33)이고, 상기 기능기 5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41), 진동(42)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가진하는 가진기(33)이고, 상기 기능기 6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오존기(34)이고, 상기 기능기 7은 상기 자화기 내지 가진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발생하는 오존기(34)이고, 상기 기능기 8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음이온기(35)이고, 상기 기능기 9는 상기 자화기 내지 오존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발생하는 음이온기(35)이고, 상기 기능기 10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 구비 또는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27, 340), 회전체, 회전팬(27), 회전축(410), 회전봉(411), 회전줄(411), 회전솔, 회전로프(411), 회전날개, 회전돌기, 회전나선, 회전스크류(426), 회전와이어(411), 회전다발줄(413), 회전방사줄, 회전축(410)에 구비된 상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기 11은 상기 자화기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회전하는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상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기 12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 이상 구비 전해기(450)이고, 상기 기능기 13은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자신의 전극 회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전기분해하는 전해기(450)이고, 상기 기능기 14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전해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살균기(470)이고, 상기 기능기 15는 상기 자화기 내지 전해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회전, 분해, 전해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살균 또는 소독하는 살균기(470)이고, 상기 기능기 16은 상기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340), 전해기(450), 살균기(470) 중 하나 이상 구비 방전기(460)이고, 상기 기능기 17은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자신의 전극 회전, 분해, 전해,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460)이고, 상기 기능기 18은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이 순차 또는 무순 조합된 복합기(30, 36)이다.
상기 기능제(40)는 기능제 1, 2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제 1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공급되는 또는 하나를 거친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기장, 진동파, 가진파, 오존, 음이온, 회전파, 전해가스, 살균제, 대전입자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제 2는 상기 자화물 내지 대전입자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40, 46)이다.
상기 기능작용(40)은 기능작용 1, 2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작용 1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처리(44), 음이온처리(45), 회전처리, 전해처리, 살균처리, 방전처리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작용 2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40, 46), 복합처리(40, 46)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용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주입, 분사, 분무, 살수, 포설, 훈증, 침지, 수침, 함침, 코팅, 도장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자화(40, 41), 자기장(40, 41), 진동(40, 42), 가진(40, 43), 오존(40, 44), 오존처리(40, 44), 오존살균(40, 44), 오존소독(40, 44), 음이온(40, 45), 음이온처리(40, 45), 음이온청정(40, 45), 회전(40), 자체회전(40), 물체회전(40), 분해(40), 물질분해(40), 미생물분해(40), 전해(40), 전기분해(40), 버블(40), 폭기(40), 살균(40), 방전(40), 전기방전(40), 자화기(30, 31), 진동기(30, 32), 가진기(30, 33), 오존기(30, 34), 음이온기(30, 35), 회전기(30), 분해기(30), 버블기(30), 폭기기(30), 전해기(30), 살균기(30), 방전기(30), 자화물(40, 41), 진동물(40, 42), 가진물(40, 43), 오존(40, 44), 음이온(40, 45), 오존물(40, 44), 음이온물(40, 45), 회전물(40), 분해물(40), 버블물(40), 폭기물(40), 전해물(40), 살균물(40), 방전물(40);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40, 46), 복합작용, 복합처리, 복합기(30, 36), 복합물(40, 46);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40)이 투입되는 물질, 물체, 장비, 장치, 하기 수 ∼ 복합물, 하기 콘 ∼ 복합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자화∼ 전기방전 등(40)은 각자의 또는 복합의 기능, 기능성, 다기능 등(40)을 가진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30)은 하나의 기능기, 기능기구 등(30)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자화물 ∼ 복합물 등(40)은 하나의 기능물, 기능물질 등(40)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자화, 자기장, 자화기, 자화물 등(30, 31, 40, 41)은 a) 자화, 자석, 자성체, 자력체, 자기장, 자화기, 자화물, 자화수, 자화액, 전자석, 마그네트, 자기장체, 200∼20,000 가우스의 자기장, 자신이 자화, 물질(80)을 자화, 자화기에 의한 자화,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자신이 또는 물질을 자화하는 자화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기, 자기장에 의한 자화, 자화를 하는 자기장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자화, b2) 또는 등이 자기장, 자기에너지, 자력에너지 등 발생, b3) 또는 등에 자기장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진동기, 진동물 등(30, 32, 40, 42)은 a) 진동, 진동기, 진동물, 진동수, 진동액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진동, b2) 또는 등이 진동, b3) 또는 등에 진동을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진동은 진동, 진자, 자진, 振動, vibration, 편심진동, 상대진동, 펄스진동, 상하진동, 좌우진동, 경사진동, 대각진동, 폭기진동, 충격진동, 공진진동, 합성진동, 복합진동, 자화진동, 음파진동, 초음파진동, 1차원진동, 2차원진동, 3차원진동, 자신이 진동, 진동기 자신이 진동, 타체(他體)가 진동, 진동기 또는 가진기에 의한 진동, 진동의 여운, 진동의 잔여 진동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 가진기, 가진물 등(30, 33, 40, 43)은 a) 가진, 가진기, 가진물, 가진수, 가진액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가진, b2) 또는 등이 가진, b3) 또는 등에 가진을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가진은 가진, 여진, 加振, excitation, 편심가진, 상대가진, 펄스가진, 상하가진, 좌우가진, 경사가진, 대각가진, 폭기가진, 충격가진, 공진가진, 합성가진, 복합가진, 자화가진, 음파가진, 초음파가진, 1차원가진, 2차원가진, 3차원가진, 타체(他體)를 진동, 진동기 또는 가진기에 의한 가진, 진동에 의한 가진, 가진의 여운, 가진의 잔여 가진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진은 계(系), 물질, 물체, 장치, 장비, 타체(他體), 하기 수 내지 복합물, 하기 콘 내지 복합체 a) 등을 가진, 진동하는; b) 또는 등에 진동을 가하는; c) 또는 등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도 해당된다.
상기 오존, 음이온, 오존물, 음이온물, 오존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등(30, 34, 35, 40, 44, 45)은 a) 오존, 음이온, 오존물, 음이온물, 오존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등을 방역, 살균, 소독, 항균, 멸균, 청정, 정화, 정수, 세정, 균제거, 오염제거, 공기청정, 오염정화, 공기정화, 수질정화, 새집증후군제거, 환경호르몬제거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오존(44)은 오존, ozone, O3, 자화오존, 진동오존, 가진오존, 압기오존, 펄스오존, 오존자기장, 자화진동오존, 자화가진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산소 원자 3개로 이루어진 산소의 동소체, 압기(83)가 주입되는 압기오존, 압기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펄스오존, 0.01∼20 ppm 오존, 1∼50 g/hr 오존, 1∼300 g/m3 오존;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오존; 등이 해당된다. 상기 ppm, g/hr, g/m3 등은 오존 농도, 오존 발생량, 오존 생산량, 기체 또는 액체의 총량 중에서 오존이 차지하는 양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ppm은 parts per million, particle per million, g/hr은 그램/시간, 발생량/시간, g/m3은 그램/체적, 그램/부피 등을 의미한다.
상기 음이온(45)은 음이온, anion, negative ion, negatively charged ion, 마이너스의 전하를 가진 원자 및 원자단, 전자를 유입하여서 음전하를 띠고 있는 이온, 중성의 입자가 전자를 얻어 만들어지는 음전하를 띠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음이온은 자연, 숲, 나무, 음이온기, 음이온발생기, ionizer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인체, 신체 등에 이로운 물질이고, 이는 청정, 방역, 살균, 소독, 공기청정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회전, 회전기, 회전물 등(30, 40)은 a) 회전, 회전기, 회전체, 회전축, 진자, 회전자, 회전물, 와류물, 교반물, 회전하여 와류된 물질, 회전하여 교반된 물질,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1) 등을 회전, b2) 또는 등이 회전, b3) 또는 등에 회전을 가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해, 분해기, 분해물, 전해, 전해기, 전해물, 버블, 버블기, 버블물, 살균, 살균기, 살균물, 방전, 방전기, 방전물 등(30, 40)은 a) 물질, 공기, 수, 물, 액, 전기, 전자, 세균, 미생물, 유기물, 폐기물 등의 분해, 발효, 부숙, 전해, 버블, 방전, 살균; b) 상기 분해 내지 방전 등을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수단; c) 상기 분해 내지 방전 등의 수, 물, 액, 유, 공기, 가스, 물질, H2, O2, CO2, CH4;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 가진, 진동기, 가진기, 진동물, 가진물 등(30, 32, 33, 40, 42, 43)에는 자화, 자기장, 오존, 음이온, 자화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방전물, 살균물등이 이용 또는 방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자화 내지 방전물 등에는 상기 진동 내지 가진물 등이 이용 또는 방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펄스, 펄스기, 펄스압, 펄스수, 펄스물, 펄스액, 펄스유, 펄스공기, 펄스가스, 펄스물질, 펄스압력, 펄스오존, 펄스음이온;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 포함, 함유, 주입, 분사, 구비, 조성, 발생, 방사, 공급, 제공 등이 되는 물질, 물체, 재료, 장비, 장치, 기능기, 기능물,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등도 가능하다. 상기 자화 ∼ 복합물, 물질 내지 내지 복합물 등에는 상기 펄스 내지 펄스음이온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등도 가능하다.
상기 펄스는 a) 펄스, pulse, 충격, 펄스압, 충격압, 충격펄스, 압력충격, 가압충격, 전기충격, 해머충격, 압기(壓氣, 82)충격, 압축공기충격,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또는 파동 또는 충격,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 타이머(98)의 조정에 의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 b) 솔레노이브밸브(92)의 개폐를 타이머(98)로 조정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수, 물, 액, 유, 압, 압력, 공기, 가스, 물질, 오존, 음이온; c)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수, 물, 액, 유, 압, 압력, 공기, 가스, 물질, 오존, 음이온 등에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상기 수 내지 음이온;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를 들면 펄스오존은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이 가해지는 오존,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이 포함되는 오존, 압기(壓氣)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오존, 압기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포함되는 오존, 솔레노이브밸브(92)의 개폐를 타이머(98)로 조정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오존에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오존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복합, 복합기의 복합, 복합물의 복합 등(36, 46)은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분해, 전해, 폭기, 방전, 살균; b) 또는 자기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폭기처리, 살균처리, 방전처리; c) 또는 자기장, 진동교반, 가진폭기,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분해제거, 전해팽창, 폭기교반, 살균소독, 방전살균; d) 또는 자기에너지, 진동폭기, 가진교반,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분해폭기, 전해폭기, 폭기팽창, 살균폭기, 방전소독; 중 둘 이상이 해당된다. 이에는 자화진동, 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 자기장진동처리, 가진오존음이온처리, 자기장진동가진오존음이온처리, 자기장방사진동교반, 자기장방사가진폭기, 진동교반오존살균, 자기장방사음이온청정, 자기장방사진동교반가진폭기오존살균음이온청정,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 자기에너지발생가진교반, 오존음이온소독,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복합기에는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소독, 자화진동 ∼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의 기,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복합물에는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소독, 자화진동 ∼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의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물질, 재료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기능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은 또는 등에는 a) a1) 상기 자화 ∼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기능물; a2)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전원, 전기, 전압, 전류, 광원,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디톡스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첨가제, 피톤치드, 액상물,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자기장,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청정기, 정화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디톡기, 광원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미스트기, 크리닝기; a3) 상기 자화 내지 크리닝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a4)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a5)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또는 등을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폭기, 펄스, 포설, 방사, 조사, 방출, 발생, 생성, 공급, 제공, 인가, 허용, 포함,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투입, 주입, 함침, 수침, 침지; b) 또는 물질, 물체, 물건, 제품, 용품, 상품, 액체, 공기, 대기, 재료, 자재, 장치, 장비,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또는 등을 자화, 진동, 가진, 청정, 정화, 세정, 자기장 방사, 진동 방사, 오존 방사, 음이온 방사, 분해처리, 전해처리, 방역, 살균, 소독, 방전처리; c) 또는 상기 물질 내지 장비, 수 내지 복합물 등의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슬러리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타설성, 다짐성, 인젝션성, 그라우팅성, 워커빌리티 등이 또는 등을 증가, 증대, 향상, 가속, 배가, 배속;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염은 차염, 락스, 차염소산, 차염소산나트륨 등이고, 그리고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피톤촉매 등은 티타늄제, 피톤치드제, 디톡스제, 피톤치드촉매 등이 해당되고, 디톡기는 디톡기, 디톡스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는 수, 水, 물 등이다. 상기 물은 물, 物, 물질 등이다. 상기 액은, 액, 液, 액체 등이다. 상기 유는 유, 油, 기름 등이다. 상기 기는 기, 氣, 기체 등이다. 상기 고는 고, 固, 고체 등이다. 상기 제는 제, 劑, 소제, 소재, 첨가제 등이다. 상기 재는 재, 材, 재료 등이다. 상기 빛은 빛, 햇빛, 광원, 불빛, 전등빛 등이다. 상기 열은 열, 熱, 열기, heat 등이다. 상기 파는 파, 波, 단파, 장파, 파장, 음파, 전자파, 초음파, 적외선파 등이다. 상기 광은 광, 光, 빛, 광원 등이다. 상기 선은 선, 線, 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이다. 상기 풍은 풍, 風, 바람 등이다. 상기 살균광은 방역, 살균, 소독 등을 하는 광, 선, 빛, 광선, 광원 등이다.
상기 라디칼은 라디칼, radical, OH라디칼, 살균력을 가진 라디칼, 자유라디칼(free radical),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가진 원자(atom) 또는 분자(molecule), 자신의 결합이 균일 분해(homolytic cleavage) 과정을 거쳐 홀전자를 갖게 되는 원자, 탄소(carbon) 간의 공유결합이 균일 분해가 되어 형성된 탄소 라디칼, 원자간 공유결합에서 불균일 분해(heterolytic cleavage)되어 홀전자를 가지는 원자, 전자쌍(electron pair)으로 이루어진 원자 간의 공유결합(covalent bond)이 불균일 분해(heterolytic cleavage)되어 홀전자를 가지는 원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은 a)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b) 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전단, 중간, 후단, 전위, 후위, 호스, 파이프, 이음부, 연결부, 거치대, 지지대; c) 상기 또는 하기의 상(上) 내지 지지대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위치, 존치, 시행, 작용, 거동, 주입, 투입, 분사, 코팅, 도장, 라이닝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자화 후에 진동, 진동 후에 오존처리, 자화 처리 후 오존 처리, 자화 처리 후 진동 처리 후 오존 처리, 자화기 후단에 진동기, 진동기 후위에 오존기, 자화물에 투입된 진동물, 진동물의 내부에 주입된 오존물, 자화 후에 진동기 이용, 진동 후에 오존물 투입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상(上) 내지 지지대 등은 상기 자화 내지 지지대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위치, 존치, 시행, 작용, 거동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자화기 구비의 지지대, 진동기의 상(上)에 가진기 존치, 오존기의 좌우에 음이온기가 거치된 거치대가 장착된 지지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공정, 단계, 시행, 수행, 방법, 공법, 장비, 장치, 제품, 물질, 물품, 물체, 수단, 내용, 청구항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이 이용, 사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분사, 방사, 코팅, 도장, 라이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 기능물 등은 상기 수 내지 복합물, 구비 내지 침지, 자화 내지 방전처리, 유동성 내지 워커빌리티, 증가 내지 배속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상기 자화 ∼ 기능물 등도 해당된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에는 폭기자화기, 폭기진동기, 폭기가진기, 폭기오존기, 폭기음이온기, 폭기기능기, 폭기복합기, 펄스자화기, 펄스진동기, 펄스가진기, 펄스오존기, 펄스음이온기, 펄스기능기, 펄스복합기, 살균성자화기, 살균성오존기, 와류성진동기 등도 포함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 31, 32, 33, 34, 35, 36)은 1) a) a1) 콘, 망, 봉, 틀, 링, 대, 판, 막, 핀, 침, 칩, 솔, 관, 조, 통, 함,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센서, 소자, 진자, 전극, 금속, 시트, 종이, 박막, 동전, 엽전, 바늘, 나선, 돌기, 튜브, 밴드, 호스, 노즐, 관로, 박스, 몸체, 드론, 블록, 돌기, 회전체, 회전기, 테이프, 파이프, 디퓨저, 중공체, 중공관, 중공통, 케이스,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시스템, 플로터, 3D프린터, 벤츄리관; a2) 상기 콘 내지 벤츄리관 중 둘 이상 복합체; a3)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상(上), 하(下), 면(面), 측(側), 위, 속,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좌측, 우측, 일단, 양단, 선단, 일부, 일면, 양면, 표면, 측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중앙, 중공, 통로, 내부, 내주, 내면,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중공, 공간, 이격, 주변, 주위, 인근,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연결부, 이격부, 중공부; 등에 또는 등이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b) 또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d)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을 구비한 또는 등에 내장된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e)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내지 기능기;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방사하는 상기 콘 내지 기능기; g)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기능기; 등이 또는 등도 해당되거나, 2)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 형상, 형태, 모양 등을 가진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에는 진동막, 자화판, 진동대, 가진링, 진동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시트, 막자화기, 종이자화기, 시트자화기, 돌기자화기, 막형 자화기, 판진동기, 판형 진동기, 링자화기, 봉형 자화기, 봉진동기, 회전형 진동기, 블록형 진동기, 오존살균하는 오존기, 돌기 구비 가진기, 회전기 구비 음이온기, 음이온청정하는 음이온기, 오존살균하는 자화기, 음이온청정하는 진동기, 판 형의 진동기, 침 형상의 자화기, 튜브 형상의 진동기, 파이프 형상의 기능기, 기능기가 내장된 튜브, 자화기가 부착된 파이프, 오존기가 구비된 중공체 등도 포함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자화물 ∼ 복합물, 기능기 등(30, 31, 32, 33, 34, 35, 36)은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전(前) 내지 중공부, 상기 콘 내지 중공부 등에 이용, 구비, 거치, 포함, 함유, 포설,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전(前) 내지 중공부, 상기 콘 내지 중공부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자화물 ∼ 복합물, 기능기 등이 이용, 구비, 거치, 포함, 함유, 포설,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자화물 ∼ 복합물, 기능기 등이 이용, 구비, 거치, 포함, 함유, 포설, 분사 등이 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체(37, 76)는 a) 링, 관, 조, 통, 함, 바늘, 튜브, 밴드, 호스, 노즐, 관로, 박스, 파이프, 디퓨저, 중공관, 중공체, 벤츄리관; b) 중공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인젝터(93) 또는 이젝터(93) 구비 중공체; 밸브(56) 또는 체크밸브(91) 또는 솔레노이드밸브(92) 중 하나 구비 중공체; 역류방지용 체크밸브(91) 구비 중공체; 일정 간격으로 개폐가 반복되는 솔레노이드밸브(92) 구비 중공체; 상기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구비 중공체; 압기(83)가 주입되는 중공체; 압기(83)를 주입하는 콤프레셔(105) 구비 중공체; 인젝터 또는 이젝터와 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중 하나 구비 중공체; 인젝터(93)와 체크밸브(91)와 솔레노이드밸브(92)가 구비된 중공체; 인젝터(93)와 체크밸브(91)와 솔레노이드밸브(92)와 콤프레셔(105)와 상기 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가 구비된 중공체; d) 상기 봉 내지 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매입된 중공체, 상기 링 내지 중공체; e)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중공체, 상기 링 내지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또는 상기 중공체는 조, 통, 함, 튜브, 호스, 단관, 관로, 밴드, 파이프, 내부 통공의 중공체, 캡과 슈가 구비된 중공체, 일정의 길이를 가진 중공체, 30cm 길이의 중공체, 50cm 길이의 중공체, 75cm 길이의 중공체, 100cm 길이의 중공체, 10∼200cm 길이의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중공체의 재질 또는 형상은 철, 철재, 금속, STS, SUS, PVC, FRP, 고무, 자바라, 주름관, 플라스틱, 고분자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중공체는 진동중공체, 진동하는 중공체, 진동기가 거치된 중공체, 진동기가 내부에 거치된 중공체, 진동기가 외부에 거치된 중공체, 진동하는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체크밸브(91)의 예로는 스프링(54), 볼(55), 밸브(56),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밸브 걸림턱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물질(82, 83, 84), 오존(82), 압기(83) 등이 체크밸브를 통하여 체크밸브에 연계된 관 또는 벤츄리관 등(76, 77)의 내부로 유입시에는 유입압에 의하여 스프링(54)이 압축되어 밸브(56)가 열리고, 반대로 유입되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 스프링의 확장, 확장된 스프링의 압력 등에 의하여 밸브(56)가 닫히거나 또는 밸브(56)가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상기 관 또는 벤츄리관 등(76, 77)의 내부로 물질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걸림턱은 스프링(54), 볼(55), 밸브(56)가 매입된 튜브, 파이프, 인젝터(93), 이젝터(93) 등의 내측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91)가 벤츄리관(77)에 설치되는 경우 벤츄리관으로 물질의 통과시 벤츄리관에 부압이 생겨 체크밸브(91)의 밸브(56)가 열려 체크밸브(91)를 통하여 무동력으로 벤츄리관(77) 내부로 첨가제 등(82, 83, 84, 85)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벤츄리관(77)은 직관 내에 잘룩한 부위(53)가 있는 관, 길이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축소부(53)가 형성된 관, 상기 축소부(53)에 인젝터 또는 이젝터(93)가 구비된 관, 자신의 내부를 흐르는 물질에 의하여 부압이 발생되는 축소부(53)가 형성된 관, 상기 부압에 의하여 상기 인젝터 또는 이젝터를 통하여 물질(82, 83, 84, 85)이 무동력으로 유입되는 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축소부는 뾰족하거나(L=0), 또는 일정의 폭이나 길이 등(L)을 가진다.
상기 인젝터 또는 이젝터(93)는 관, 파이프, 중공체, 벤츄리관 등(37, 76, 77)의 외면, 축방향, 길이방향, 흐름방향, 장길이방향 중 하나에 대하여 수직, 경사, 내각, 외각, 15도, 30도, 45도, 70도, 90도, 90도 이하, 90도 이상 중 하나(θ)로 거치가 가능하고, 상기 거치된 관, 관로, 통로, 튜브, 호스, 파이프, 중공관, 경사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공체, 링 내지 복합체, 인젝터, 이젝터, 관 내지 경사관 중 하나 이상으로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유입, 주입, 투입, 공급, 제공, 인가, 통과, 거침, 접촉, 흐름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다공형 또는 유공형의 상기 기능기; 다공형 또는 유공형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또는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상기 전(前) ∼ 중공부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기능기; 상기 기능기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을 제공하는 상기 기능기 또는 콘 내지 복합체;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된다. 이의 예로는 콘에 구비된 자화기, 자화기가 구비된 콘, 망에 구비된 진동기, 자화기가 구비된 망, 틀에 구비된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가 구비된 틀, 기능기가 또는 기능기에 구비된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이 또는 콘망봉틀나선에 구비된 기능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은 a)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진동기(36),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체,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b) 이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c) 또는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자기장(41), 진동처리(42), 가진처리(43), 오존처리(44), 음이온처리(45), 회전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버블처리, 폭기처리, 방전처리, 자화진동(46), 자화가진(46), 자화오존, 자화음이온, 자화회전기, 진동가진, 진동오존, 진동음이온, 진동회전체, 가진오존, 가진음이온,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 자화진동오존, 자화진동음이온,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 진동가진음이온, 진동가진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 가진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음이온,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살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46)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 생성, 조성, 공급, 제공, 이용,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주입, 조사, 방사 등을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c) 또는 자신, 물질, 물체 등을 또는 등에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 등(40)을 하는 또는 등으로 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d) 또는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화진동물(46), 자화가진물, 자화오존물, 자화음이온물, 자화회전물, 진동가진물, 진동오존물, 진동음이온물, 진동회전체, 가진오존물, 가진음이온물, 가진회전물, 오존음이온물, 오존회전물, 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물, 자화진동오존물, 자화진동음이온물, 자화진동회전물, 진동가진오존물, 진동가진음이온물, 진동가진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오존회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 자화진동가진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진동가진오존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46) 등(40)을 발생, 생성, 조성, 공급, 제공, 이용,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주입, 조사, 방사 등을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에서 자화(41),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폭기, 방전,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폭기물, 방전물, 복합물(46) 중 하나가 발생, 생성, 조성,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사용, 코팅, 도장, 투입, 주입, 함침, 수침, 침지, 조사, 방사, 발산 등이 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중 하나에는 a)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회전, 분해, 전해, 폭기, 방전,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b)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신(즉,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이의 속, 면, 표면, 중공,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선단, 일단, 양단, 타설구, 배출구, 분사구, 선단외부, 선단내부, 타설구외부, 타설구내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포함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자화막, 진동판, 가진하는 대, 오존봉, 음이온 발생 링, 센서, 자화하는 소자, 진동진자, 가진 발생하는 시트, 종이 형상의 오존기, 튜브 형상의 음이온기, 밴드형 자화기, 진동하는 호스, 가진박스, 몸체, 테이프 형상의 진동기, 자신의 배출구에 자화기가 구비된 중공관, 자신의 타설구 외부에 진동기가 구비된 파이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기(30, 36)는 a)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자화분해기, 자화전해기, 자화살균기, 자화방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기, 진동분해기, 진동전해기, 진동살균기, 진동방전기,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가진분해기, 가진전해기, 가진살균기, 가진방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오존분해기, 오존전해기, 오존살균기, 오존방전기, 음이온회전기, 음이온분해기, 음이온전해기, 음이온살균기, 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자화진동분해기, 자화진동전해기, 자화진동살균기, 자화진동방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분해기, 진동가진전해기, 진동가진살균기, 진동가진방전기,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분해기, 가진오존전해기, 가진오존살균기, 가진오존방전기, 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분해기, 가진오존전해기, 가진오존살균기, 가진오존방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오존음이온분해기, 오존음이온전해기, 오존음이온살균기, 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자화진동가진분해기, 자화진동가진전해기, 자화진동가진살균기, 자화진동가진방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진동가진오존분해기, 진동가진오존전해기, 진동가진오존살균기, 진동가진오존방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방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b) 이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상기 복합기, 자화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등(30, 31, 32, 33, 34, 35, 3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기(30, 36)에는 a) 복합자화기, 복합진동기, 복합가진기, 복합오존기, 복합음이온기, 복합회전기, 복합분해기, 복합전해기, 복합살균기, 복합방전기; b)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c) 복합의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등도 포함된다. 이중에서 복합진동기의 예를 들면 복합진동기는 a) 자화진동기, 자화가진진동기, 자화가진오존진동기, 자화가진오존음이온진동기,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자화가진진동복합기, 자화가진오존진동복합기, 자화가진오존음이온진동복합기,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복합기, 봉형의 자화진동기, 봉형의 자화가진진동기, 봉형의 콘크리트진동기, 봉형의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기;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등을 하는 진동기, 복합진동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는 a)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의 복합기(36),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살균을 하는 방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방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살균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살균을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살균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를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를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발생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발생하고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발생하고 회전하는 복합기, 자기장발생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고 회전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자화기 내지 오존기가 구비된 음이온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진동기 내지 음이온기가 구비된 자화기가 장착된 회전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오존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자화(41)와 진동(42)과 가진(43)과 오존처리(44)와 음이온처리(45)를 하는 복합기(36), 자기장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청정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기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을 발생하는 기구, 통과 물질을 자화진동가진오존소독음이온청정하는 기구,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진동오존음이온기, 오존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가진진동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또는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진동, 가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진동, 가진,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오존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음이온기, 진동자화하는 가진음이온기, 가진자화하는 진동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음이온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오존기(30, 36)는 a) 자화오존기, 오존자화기, 자화하는 오존기, 오존처리하는 자화기, 오존살균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b) 또는 상기 자화오존기는 b1) 진동(42), 가진(43), 자기장(41) 중 하나(40, 41, 42, 43)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b2) 또는 자화기(31), 진동기(32),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7); b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b4)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고전압발생기(99);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103), 상기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저장고(60),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b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유입구 내지 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b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b7)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 b8) 상기 b1) 자화기 내지 b7)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등이 구비된 장치1(50)이다.
상기 장치1, b1) 자화기 내지 b8) 케이스 등에는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음이온기는 자화음이온기, 음이온자화기, 자화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기, 자기장(41)과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자화(41)와 음이온처리(45)하는 장치, 자화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상기 오존발생기 대신에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가진기(30, 36)는 a) 진동가진기, 가진진동기, 진동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b) 또는 상기 진동가진기는 b1) 진동(41), 가진, 자기장(42) 중 하나(40, 41, 42)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b2) 또는 진동기, 자화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6, 37); b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티이관(75), 벤츄리관(77), 유출구(78); b4)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103), 저장고(60),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b5)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9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b6)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압기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또는 티이관(75); 상기 유입구 내지 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b7)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b8)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 b9) 상기 b1) 자화기 내지 b8)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등이 구비된 장치2(51)이다.
상기 장치2, b1) 자화기 내지 b9) 케이스 등에는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은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장치 1, 장치 2 중 하나 이상이 구비, 결합, 병합, 체결,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으로부터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기능물 중 하나가 조성, 발생, 제공, 분사, 배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에서 a) 유입 호스(72)의 전단에는 유입관, 수도관, 압력관, 유입파이프, 압력수, 수도수, 압력공기 등(70); b) 유출 호스(79)의 유출구에는 노즐(66), 분사기(66), 분무기(66), 와류판(67)이나 확장부(68) 등이 구비된 노즐(66) 등; c) 상기 관(73, 74, 75, 77), 호스(72, 79), 파이프(76), 중공형(37), 튜브형(37) 등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오존, 음이온,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상기 펌프(63)에는 저장고(60); 상기 케이스(102)에는 공기 구멍(101); 등이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조성, 형성, 공급, 발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30, 36)는 a)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진동자화가진오존기, 가진자화진동오존기, 오존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기, 진동자화하는 가진오존기, 가진자화하는 진동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36), b) 상기 장치1(50)과 장치2(5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와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 1과 2가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1 및 2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 2와 1이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2 및 1을 통과하여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가진오존음이온기, 오존가진음이온기, 음이온가진오존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가진오존기,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디퓨저,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오존음이온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진동가진음이온기는 a) 진동가진음이온기, 가진진동음이온기, 음이온진동가진기, 진동가진하는 음이온기, 가진진동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가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디퓨저,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오존음이온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기는 a) 진동가진오존기. 가진진동오존기. 오존진동가진기, 진동하는 가진오존기. 가진진동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가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 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디퓨저,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자화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음이온기, 진동자화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1 또는 2의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음이온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음이온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오존기는 a) 자화진동오존기, 진동자화오존기, 오존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오존기, 진동자화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1 또는 2의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구비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기는 a) 자화진동가진기, 진동자화가진기, 가진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가진기, 진동자화하는 가진기, 가진자화하는 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또는 2,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장치 1 또는 2에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중 하나와 상기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을 상기 유입구(72) 내지 유출구(78) 중 하나의 통과 물질에 유입하여 상기 통과 물질(80)을 처리; b2) 상기 유출구 내지 분사구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통과 물질(80)을 배출, 공급, 분사; b3) 상기 분사하여 물질 또는 물체를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오존음이온기는 오존음이온기, 음이온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음이온기, 음이온청정하는 기능을 가진 오존기,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장치, 오존와 음이온 처리하는 장치, 오존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오존발생기(96) 대신에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오존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음이온기는 a) 가진음이온기. 음이온가진기, 가진하는 음이온기. 음이온발생하는 가진기,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장치 2, 유출구; b2)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 노즐, 디퓨저,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음이온;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가진오존기는 a) 가진오존기, 오존가진기, 가진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가진기,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장치 2, 유출구(78); b2)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음이온기는 a) 진동음이온기, 음이온진동기, 진동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진동(42)과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진동와 음이온 처리하는 장치, 진동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진동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96); c) 진동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오존발생기(96) 대신에 진동 및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진동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오존기는 a) 진동오존기, 오존진동기, 진동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 이거나, b) 또는 b1) 상기 타이머(98)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압기(壓氣), 오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간격 만큼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과하는 물질(80)에 유입시키거나, b2)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주기로 유입되는 압기의 펄스압을 가진 상기 통과 물질 또는 펄스형의 통과 물질을 상기 유출구(78); 이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는 자화가진기, 가진자화기, 자화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하기 자화가진기 1, 자화가진기 2, 자화가진기 3, 자화가진기 4, 자화가진기 5, 자화가진기 6, 자화가진기 7;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가진기 1은 상기 자화기와 가진기가 합체된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2는 상기 자화기에 상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3은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에 더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또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4는 1개 이상의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1개 이상의 자화기(31)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5는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6은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상기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부착판, 자화기, 코어, 코일, 이격판, 거치판, 부착판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분사, 주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가진기 7은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7)에서 발생하는 진동(42), 자기장(41), 가진,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하는 진동기, 진동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진동기의 복합기; 하기 자화진동기 1, 자화진동기 2, 자화진동기 3, 자화진동기 4, 자화진동기 5, 자화진동기 6, 자화진동기 7, 자화진동기 8, 자화진동기 9;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1은 상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가 합체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2는 상기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살균기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가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3은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4는 a) 진동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5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6은 a) 상기 자기장 중 하나가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c) 상기 가진 또는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7은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8은 케이스(7),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2),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1), 상기 로터 회전축(3) 또는 양측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5),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5),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 상기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 자화가진기(36),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30, 36) 9는 자화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기와 진동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을 하는 복합기, 자기장과 진동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하는 기구, 자화진동물을 발생하는 기구, 통과 물질을 자화진동하는 기구,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진동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자화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자화진동기, 자화진동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30, 31)는 a) 자화기, 자성기, 자력기, 육각수기, 자석, 자성체, 막자석, 판자석, 전자석, 전기자석, 시트자석, 종이자석, 박막자석, 磁石, 磁化器, magnet, magnetizer, magnetizing coil, 물질을 자화(41)하는 자화기, 자기장(41)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기장(41)을 방사 또는 조사하는 자화기, 자기에너지(41)를 방사하는 자화기, 자기장(41)에 의하여 진동을 하는 자화기, 자기장(41)에 의하여 진동을 증진시키는 자화기, 2개 이상 자석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된 자화기,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가 삽입된 자화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코어에 감긴 코일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화(41)하면서 진동(42)하는 자화진동기, 진동(41)하면서 자기장(41)을 발생하는 진동자화기; b) 자화(41)하는 또는 자화기능을 가진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기; d) 또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e) 자기장에 더하여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자화기; g)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는 a) a1) 2개 이상 자석 구비, a2) 상기 2개 이상 자석의 사이에 이격재 삽입, a3) 상기 자석과 이격재 외주를 코팅 또는 라이닝; b) 또는 b1) 코어 구비, b2) 상기 코어 외주에 코일 감기, b3) 상기 코어, 코일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코어, 나선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어 knI (여기서 k = 4π×10-7, n = 단위 길이당 나선의 감긴수, I = 전류 세기) 크기가 되는 자기에너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장, 자기에너지 등은 1,000∼20,000 가우스, 0.1∼2 테슬라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의 크기를 가지는 자기장, 자기에너지 등이 될 수 있다. 자기장은 자기장, 전자기장, 자기파, 전자기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30, 32)는 a) 진동기, 振動機, 막진동기, 판진동기, 봉진동기, 진동소자, 압전소자, 음파기, 초음파기, 진동압전소자, 시트진자, 음파소자, 초음파소자, 자화진동기, 다기능진동기, 로타리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vibrator, 물질 또는 물체를 진동(42)하는 진동기, 자신이 진동(42)하는 진동기, 봉 또는 케이스(7)가 진동하는 진동기,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모터(26) 또는 로터(1)에 구비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스테이터(2)에 거치된 로터(1)에 구비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고정자 또는 스테이터(2)와 이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자 또는 로터(1)가 구비된 모터의 회전축 또는 새프트(3)에 거치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N극 및 S극을 가진 스테이터(2, 영구자석)와 이의 내부에 코일이 감긴 로터(1)가 구비된 모터의 새프트(3)에 거치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N극 및 S극을 가진 로터(1, 영구자석)와 이의 외부에 코일이 감긴 스테이터(2)가 구비된 모터의 회전축 또는 새프트(3)에 거치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진동(42)하면서 자화(41)하는 진동자화기, 자기장(41)을 발생하면서 진동(42)하는 자화진동기; b) 진동(42)하는 또는 진동하는 기능을 가진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 d) 또는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진동기; e) 진동에 더하여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진동기; g)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에는 봉 또는 케이스(7), 이의 내부에 구비된 편심체 또는 회전체(4),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6) 또는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 이 케이블이 내장된 호스(8) 또는 쉬스(sheath),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모터(26), 이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케이블(6), 이 케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편심체 또는 회전체(4), 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봉 또는 케이스(7) 등으로 구성되는 봉진동기, 케이스진동기 등(32)도 가능하다. 상기 편심체 또는 회전체는 반원통, (1/2)원통, (1/3)원통, (1/4)원통 등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는 a) 케이스 구비, b)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 거치, c)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하여 로터 거치, d) 모터 또는 상기 로터에 회전축 거치, e) 상기 회전축에 회전체 거치, f) 상기 로터, 스테이터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모터는 모터, motor, 진동모터, 전기모터, 전동모터, 서보모터, 토크모터, 기어모터, AC모터, DC모터, 리니어모터, BLDC모터, Brush모터, Brushless모터, Pulse모터, Stepping모터, BrushlessDC모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기(30, 33)는 a) 가진기, 加振機, 자극기, 여진기(勵振器), 여자기(勵磁機), 익사이터, 오실레이터, exciter, shaker, oscillator, 진동을 가하는 장치, 물체에 진동을 가하는 장치, 물질을 가진하는 가진기, 자신이 가진하는 가진기, 가진(43)하면서 자화(41)하는 가진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가진하는 자화가진기; b) 가진하는 또는 가진하는 기능을 가진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가진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가진기; e) 가진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가진기; g) 가진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기에는 진동, 편심진동, 상대진동, 펄스진동, 상하진동, 좌우진동, 경사진동, 대각진동, 폭기진동, 충격진동, 공진진동, 음파진동, 초음파진동, 1차원진동, 2차원진동, 3차원진동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하는 진동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진기에는 가진, 편심가진, 상대가진, 펄스가진, 상하가진, 좌우가진, 경사가진, 대각가진, 폭기가진, 충격가진, 공진가진, 음파가진, 초음파가진, 1차원가진, 2차원가진, 3차원가진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하는 가진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편심진동기, 펄스진동기, 상하진동기, 편심가진기, 펄스가진기, 상하가진기, 상하진동과 좌우진동을 하는 진동기, 편심진동과 상하진동과 좌우진동을 하는 진동기, 펄스가진과 3차원가진을 하는 가진기, 편심가진과 펄스가진과 3차원가진을 하는 가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기(30, 34)는 a)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물질을 오존살균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오존기(34),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는 오존기(34); b) 오존을 방사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음이온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오존기; e) 오존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오존기; g) 오존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기, 원통관, 2중관, 내부, 외부, 코일, 판, 침, 중공부, 솔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분사, 주입 등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오존(O3)은 살균, 탈취, 공기정화 등의 효능이 있어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제거, 상수도의 살균,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오존을 발생시키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절연체(121) 또는 공간(121) 사이에 양극(120)과 음극(122)을 두고 이에 고전압 등을 걸어주면 코로나방전 등이 일어나서 3O2 + electric E = 2O3 + heat 등과 같은 반응에 의하여 산소로부터 오존이 발생된다. 2) 세라믹판이나 공간 등(121)의 양쪽에 코팅, 인쇄, 부착 등이 된 금, 은, 동, 백금, 니켈 등의 물체(120, 122)에 고전압 등을 인가하면, 물체(120, 122) 간에 코로나방전 등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 시에 공기중의 산소(O2)가 산소원자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산소원자가 분리되지 않은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오존(O3)을 형성한다. 3) 유리관이나 석영관 등의 유전체(123)와 이의 내부에 삽입된 봉 또는 관 형상의 양극(124)과 상기 유전체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 또는 스프링 형상의 음극(16)전압 등을 인가하면 방전이 발생되어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킨다. 4)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되고 상기 관과 코일에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5)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고 상기 판과 침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6)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고 상기 판과 솔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이는 도 30 참조. 도 30은 오존기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등이 구비된 복합기를 나타낸다. 상기 침은 침, 칩, 팁, 바늘, 니들, 1개 침, 2개 침, 다수개 침 등이 해당되고, 솔은 솔, 줄, 브러시, 1가닥 솔, 2가닥 솔, 다수가닥 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이온기(30, 35)는 a) 음이온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물질을 음이온 청정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음이온기,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 또는 바늘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표면적인 매우 적은 뾰족하고 날카로운 바늘(127, 129)에서 전하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 b) 음이온을 방사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오존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음이온기; e) 음이온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음이온기; g) 음이온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원통관, 2중관, 코일, 판, 침, 솔, 바늘 등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등이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된다.
상기 전하 또는 음이온은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분진, 꽃가루 등과 같은 입자와 결합, 낙하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한다. 이는 전기집진기의 원리가 된다. 전기집진기의 예로는 봉이 내장된 원통에서 봉을 음(-)으로 하고 원통을 양(+)으로 하여 직류고전압을 가하면 원통 내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로 부터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되어 원통의 내면에 부착되어 청정공기가 되고, 원통에 부착된 분진은 세척, 충격 등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집진기는 하나의 정전필터(electrostatic filter)가 된다.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은 a) 원통관 또는 2중관 구비, b) 상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 권선, c) 판 구비, d) 상이 판에 이격되어 침 거치, e) 상기 원통관, 2중관, 코일, 판, 침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회전기는 하기 회전기 1, 회전기 2, 회전기 3, 회전기 4 등이 해당된다. 회전기 1은 휠, 릴, 팬(fan), 로라, 로터, 드럼, 버켓, 바퀴, 얼레, 풀리, 톱니, 윈치, 나선, 패들, 패달, 도르레, 샤프트, 스크류, 회전기, 회전체, 회전자, 회전팬, 송풍팬, 선풍팬, 송풍기, 선풍기, 트롬멜, 호이스트, 회전기구, 회전수단, 편심회전체, 원심회전체, 다수회전체, 다중회전체, 다열회전체, 다층회전체, 다겹회전체, 대칭회전체, 비대칭회전체, 동력회전체, 무동력회전체, 모터 구비 회전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자신이 회전하는 회전기, 수 또는 물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물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물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장비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회전기 등이 해당된다. 회전기 2는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 이의 선단에 상기 꼬임이 풀어진 2개 이상의 가닥,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장착된 1개 이상의 봉, 이 봉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 상기 꼬임선이 1개 이상 장착된 축,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으로 구성된 회전기이다. 회전기 3은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 수단, 회전체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기이다. 회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회전기이다.
상기 회전기는 a)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 구비, b) 상기 꼬임선 선단에 상기 꼬임을 풀어 2개 이상의 가닥 도출, c)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1개 이상의 봉 구비, d) 이 봉의 양단에 돌기 형성, e)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구비, f)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비, g) 상기 모터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분해기는 하기 분해기 1, 분해기 2, 분해기 3, 분해기 4 등이 해당된다. 분해기 1은 분해기,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등이다. 분해기 2는 용기,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 상기 용기의 유출구,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등으로 구성된다. 분해기 3은 a) 용기에 투입되는 물질, 미생물; b) 히터에 의한 열; c) 공급라인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물질, 미생물 등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분해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분해기이다.
상기 분해기는 용기 구비,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설치,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 설치,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거치,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구비, 상기 용기에 히터 설치,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구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MFC는 하기 MFC 1, MFC 2, MFC 3 등이 해당된다. MFC 1은 용기에 투입된 물질, 폐기물, 슬러지, 폐수 등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이다.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MFC 3은 a) 용기의 양극부에 투입되는 물질, 폐기물, 슬러지, 폐수, 유기물; b) 상기 양극부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에 연결되는 전선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상기 전해기는 하기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등이다. 전해기 1은 a) 전해기, 전기분해기, 전해조;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액;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H+, OH-, H2, O2, CO2, Cl2, HOCl, NaOCl, 라디칼,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염분농축수,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 등으로 구성된다. 전해기 2는 a)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물질, 염분, 염수, 해수, 전해액;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수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분해,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염분농축수, 담수, 산성수, 알카리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등이 되는 것이다.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등이 구비된 것이다. 전해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전해기이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은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전해기는 a) 전해조 구비, b) 상기 전해조에 전극, 전해액 투입, c) 상기 전극 중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거치, d) 상기 전해조에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등 연계, e) 상기 전극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살균기는 하기 살균기 1, 살균기 2, 살균기 3 등이 해당된다. 살균기 1은 등, 램프, 히터, LED등, 자외선램프, 100℃ 이상 고온히터, 살균기, 제균기, 멸균기, 항균기,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디톡스기, 청정기, 정화기, 세척기, 세정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 플라즈마기, 증기발생기, 옷걸이램프, 오존분사기, 살균제분사기, 소독제분사기, 연막분사차, 약품분사기, 약품분사차, 약품분사대포, 살균연무분사차, 살균약품분사기, 살균약품분사차, 살균약품분사대포 등이다. 살균기 2는 a) 용기, 이 용기의 입구 및 출구, 상기 입구에 스크린 및 팬, 상기 출구에 필터; b) 상기 용기 내부에 히터, 상기 용기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 상기 용기의 밀대 또는 손잡이; c) 상기 출구의 외부에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d) 상기 용기의 중간에 벤츄리관; e) 상기 벤츄리관의 외부에 순차적으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호스, 콤프레셔;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g)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빛, 열, 스팀, 압기, 약품, 약물, 물질, 살균제, 소독제,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LED빛, 플라즈마, 살균가스,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램프; h)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램프; i)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용기 내지 램프; j) 상기 용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된다. 살균기 3은 a) 거치대; b) 이 거치대에 상기 빛 내지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램프; c) 상기 거치대에 바퀴 또는 이동수단; d) 상기 램프에 갓 또는 반사판; e) 광촉매 코팅된 상기 거치대 내지 반사판; e) 상기 거치대 또는 램프 주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f)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용기 내지 전원공급기, 또는 상기 거치대 내지 전원공급기 등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비하여 제조한다. 상기 용기는 조, 통, 함, 링, 관, 병, 장, 옷장, 서랍,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유리관, 석영관, 단일관, 2중관, 3중관, 케이스, 하우징, 신발장, 칫솔케이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방전기는 하기 방전기 1, 방전기 2, 방전기 3, 방전기 4 등이다. 방전기 1은 a) 방전기, 전기방전기, 방전통;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c)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d)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 전기방전, 코로나방전 중 하나가 발생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e)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방전기 2는 a) 상호 이격된 양극 및 음극; 이에 순차 연결되어 전기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방전되거나, b) 또는 상기 전기방전되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방전기 3은 a)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방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방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방전기;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방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방전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방전기; 등이다. 방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방전기이다. 상기 방전기는 상기 방전통 내지 전원공급기 등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제조한다.
상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복합물 등은 a)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 오존물, 음이온,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이중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 b) 상기 자화 ∼ 복합 중 하나가 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진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을 거친 또는 등으로 처리된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시키는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e)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에 의하여 상기 자화 ∼ 복합 등이 된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f)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에서 처리된 자화처리물, 진동처리물, 가진처리물, 오존처리물, 음이온처리물, 분해처리물, 전해처리물, 살균처리물, 방전처리물, 복합처리물; g)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포함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처리물;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진동물의 경우 진동물은 진동수, 진동액, 진동재, 진동열, 진동파, 진동광, 진동풍, 진동버블, 진동물질, 진동광원, 진동미스트, 진동자화물, 진동음이온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물에는 오존이 포함되고, 음이온물에는 음이온이 포함된다.
상기 복합물(40, 46)은 자화진동물, 자화가진물, 자화오존물, 자화음이온물, 자화회전물, 자화분해물, 자화전해물, 자화살균물, 자화방전물, 진동가진물, 진동오존물, 진동음이온물, 진동회전물, 진동분해물, 진동전해물, 진동살균물, 진동방전물, 가진오존물, 가진음이온물, 가진회전물, 가진분해물, 가진전해물, 가진살균물, 가진방전물, 오존음이온물, 오존회전물, 오존분해물, 오존전해물, 오존살균물, 오존방전물, 음이온회전물, 음이온분해물, 음이온전해물, 음이온살균물, 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물, 자화진동오존물, 자화진동음이온물, 자화진동회전물, 자화진동분해물, 자화진동전해물, 자화진동살균물, 자화진동방전물, 진동가진오존물, 진동가진음이온물, 진동가진회전물, 진동가진분해물, 진동가진전해물, 진동가진살균물, 진동가진방전물,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오존분해물, 가진오존전해물, 가진오존살균물, 가진오존방전물, 가진오존회전물, 가진오존분해물, 가진오존전해물, 가진오존살균물, 가진오존방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오존음이온분해물, 오존음이온전해물, 오존음이온살균물, 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 자화진동가진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회전물, 자화진동가진분해물, 자화진동가진전해물, 자화진동가진살균물, 자화진동가진방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진동가진오존회전물, 진동가진오존분해물, 진동가진오존전해물, 진동가진오존살균물, 진동가진오존방전물, 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방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40, 41, 42, 43, 44, 45, 46)이 포함된다.
a) 상기 자화진동물은 자화진동물, 자화물과 진동물의 혼합물, 자화진동기를 거친 물질, 자화진동기로 처리된 물질, 자화 및 진동된 물질, 자화물과 진동물이 조합된 복합물, 상기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물, 상기 진동물이 투입된 자화물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의 혼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를 거친 물질,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로 처리된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회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물의 복합물,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오존물이 포함된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진동물 내지 음이온물이 포함된 자화물이 투입된 회전물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방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이 투입된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등이 포함된다. e) 상기 자화가진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은 상기 자화진동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물질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은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자화액, 자화제, 자화가스, 자화물질, 자기장물, 자화생성물, 자화된 물질, 자화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자화기에서 자화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물은 진동물, 진동수, 진동액, 진동제, 진동가스, 진동물질, 진동생성물, 진동된 물질, 진동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진동기에서 진동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물은 가진물, 가진수, 가진액, 가진제, 가진가스, 가진물질, 가진생성물, 가진된 물질, 가진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가진기에서 가진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물은 오존, 오존물, 오존수, 오존액, 오존제, 오존가스, 오존공기, 오존물질, 오존생성물, 오존처리된 물질, 오존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오존기에서 오존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이온물은 음이온, 음이온물, 음이온수, 음이온액, 음이온제, 음이온가스, 음이온공기, 음이온물질, 음이온생성물, 음이온처리된 물질, 음이온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음이온기에서 음이온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전물은 a) 회전기, 회전체,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회전물질, b)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회전하는 물질, c)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d) 회전하는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e)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분산 또는 비산하는 물질, f)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확산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해물은 분해물, 분해수, 분해액, 분해제, 분해가스, 분해물질, 분해결과물, 분해생성물,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분해기에서 분해된 물질, 상기 H2 ∼ 바이오가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물은 전해물, 전해수, 전해액, 전해제, 전해가스, 전해물질, 전기분해물, 전해결과물, 전해생성물, 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전해기에서 전해된 물질, 상기 H2 ∼ 차아염소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는 전해, 전기분해, electrolysis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물은 살균물, 살균수, 살균액, 살균제, 살균가스, 살균물질, 살균기능을 가진 물질, 살균기에서 공급되는 물질, 소독물, 소독수, 소독액, 소독제, 소독가스, 소독물질, 소독기능을 가진 물질, 소독기에서 공급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방전물은 방전물, 방전수, 방전액, 방전제, 방전가스, 방전물질, 전기방전물, 방전결과물, 방전생성물, 오존, 음이온, 대전입자,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방전기에서 방전된 물질,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자화기 ∼ 복합기, 회전체, 기능기(30, 31, 32, 33, 34, 35, 36)에서 기 또는 체는 기(器 ), 기(機), 체(體),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몸체, 물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자화기는 자화기, 자화기기, 자화기구, 자화기계, 자화장치, 자화장비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기능물(40, 41, 42, 43, 44, 45, 46)에서 물은 수(水), 물,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공기, 바람, 물질, 골재, 광물, 토사, 암석, 물체, 물질, 재료, 자재,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자화물은 자화수, 자화물, 자화액, 자화유, 자화기, 자화고, 자화제, 자화재, 자화물질, 자화액체, 자화분말, 자화공기, 자화재료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a) 모든 물체, 물품, 용품, 물질, 장비, 장치, 기계, 자재, 재료, 시설, 설비,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구조물; b)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상기 흙 내지 펠렛; c) 상기 물체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의 부품, 요소, 구성물, 구성요소; 등에는 1)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돌기, 소자, 음이온, 자기장,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2)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4)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30, 40) 이상이 구비된 또는 발생되는 기기, 기구, 케이스, 하우징, 중공체;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또는 등으로 처리, 처분, 정화, 청정;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또는 등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결합, 연계, 연결, 병합,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B) 또는 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ⅱ) 또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파동, 미스트, CO2,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펄스압, 액상물, 탄산물, 탄산수, 산성수, 산성액, pH저감제,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ⅲ)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회전물; ⅲ) 상기 수 내지 회전물 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물질은 수(水), 물,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돌,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공기, 바람, 물질, 모래, 자갈, 골재, 토사, 토양, 석, 암석, 바위, 쇄석, 쇄사, 해사,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쌀, 콩, 벼, 보리, 대두, 곡식, 알곡, 곡물, 기름, 유류, 음식, 음식물, 식재료, 식자재, 목재, 철, 금속, 석재, 입자, 입자물, 입상물, 이물질,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시멘트, 조대물질, 미세물질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폐기물, 슬러지 등은 폐기물, 부산물, 오니, 폐액, 슬러지, 음식물, 음폐수, 폐자재, 폐가전, 폐촉매, 폐시멘트, 폐콘크리트, 폐차, 폐가구, 폐자동차, 폐전기제품, 폐전자제품, 지정폐기물, 건설폐기물, 생활폐기물, 도시폐기물, 해체폐기물, 사업자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무기성폐기물, 건설슬러지, 수처리슬러지, 유기성슬러지, 무기성슬러지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등은 솜, 종이, 나무, 목재, 비닐, 섬유, 직포, 부직포,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부유물, 지푸라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물질은 무기이물질, 유기이물질 등으로 구분되고, 상기 가연물은 펠렛 등의 원료가 된다. d) 상기 금속은 철, 동, 납,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귀금속, 희유금속, 휘귀금속, 비철금속, 알루미늄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광물은 광물, 희토류, 금속광물, 천연광물, 비금속광물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압기는 압기, 壓氣, 압축공기, 압력공기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봉, 대, 바, 빔, 줄, 선, 솔, 근, 돌기, 날개, 강선, 연선, 철선, 강봉, 리바, 갈퀴, 로프, 나선, 스프링, 와이어, 브러시 등은 상기 봉 내지 브러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과 같은 상기 봉 내지 브러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봉은 대, 로프는 와이어, 봉 같은 바, 철선 같은 와이어, 바 구비 와이어, 돌기 구비 스프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송수단(400)은 a) 벨트, 체인, 차량, 트럭, 스크류, 나선체, 컨베이어(400), 이송벨트, 회전수단, 이송수단, 이송스크류, 이송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컨베이어벨트, 회전벨트, 회전스크류, 물질이송수단, 폐기물이송수단, 회전컨베이어, 회전벨트컨베이어, 회전컨베이어벨트, conveyer, belt conveyer, conveyer belt; b) 자신 또는 이의 상부에 놓여진 물질을 이송시키는 수단,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c) 물질을 이송, 배출, 혼합, 교반, 교반이송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d) 자신이 회전하면서 물질을 이송, 배출, 혼합, 교반, 교반이송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e) 양단의 로라 또는 회전기를 포함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 로라 또는 회전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 및 중간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의 로라 또는 회전기를 지나는 궤적으로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f) 또는 돌기, 갈퀴 등(420)이 구비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400), 표면에 돌기 또는 갈퀴(420)가 구비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400); g) 일정의 길이를 가진 통, 원통, 반원통 등에 내재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특히 스크류; h) 원통 또는 반원통 등에 내재되어 원통 또는 반원통 등을 통과하는 물질을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 회전스크류;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홀, 구멍 등은 홀, 구멍, 슬롯, 절개부, 오픈부, 천공부, 타공부, 유공부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직경은 직경, 공칭직경, 원형의 형상으로 변환할 시의 직경 또는 공칭직경 등도 해당된다. c) 상기 하우징, 케이스, 중공체 등(38, 76)은 조, 통, 함, 카바, 덮개, 탱크, 박스, 튜브, 호스, 가두리, 하우징, 하우스, 케이스, 파이프, 중공체, 중공관, 중공통, 상하오픈 중공통, 좌우오픈 중공통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모터, 회전수단 등(26)은 휠, 모터, 로라, 회전체, 회전수단, motor, 전기모터, 회전모터, 회전로라, 동력회전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톡, 디톡스 등은 해독, 제독, 방역, 살균, 소독, 제균, 멸균, 항균, 디톡, 디톡스, 독제거, detox, detoxification, detoxification약어 등을 나타낸다. 상기 디톡제는 디톡제, 디톡스제, 해독제, 멸균제, 살균제, 소독제,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티탄제는 티탄, 촉매, 티타늄, 티탄제, 광촉매,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피톤제는 피톤제, 피톤치드, 피톤치드수, 피톤치드액,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톡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등은 a)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해독기, 제독기, 디톡기, 멸균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b) 또는 디톡제, 디톡스제, 해독제, 멸균제, 살균제, 소독제,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을 조제, 조성, 형성, 발생, 생성, 공급, 제공, 주입, 분사, 분무, 코팅, 도장 등을 하는 기, 기기, 기구, 장치, 키트, 디톡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디톡스키트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b)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회전기, 방역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c)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자기장기; d) 상기 a) 돌기 내지 c) 자기장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코일 또는 전극이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e) 상기 a) 돌기 내지 d)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의 전, 후, 좌, 우, 상, 하, 면, 표면,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일측, 양측, 타측, 다측, 일단, 양단, 다단, 속,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연결부, 이음부; 등에는 A) 자화, 진동, 가진 , 오존, 음이온, 방전, 자기장, 회전, 방역, 살균, 소독; B) 상기 a) 돌기 내지 d) 복합기; C) 상기 a) 돌기 내지 d)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D) 상기 진동 내지 물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복합기, 중공체, 복합물; 등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존치, 위치, 장착, 정착, 조합, 결합, 병합, 연결, 연계, 포함, 해당, 분사, 코팅, 도장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 돌기 내지 e) 이음부 등은 상기 A) 돌기 내지 D) 복합물 등이 상기 이용 내지 도장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복합기는 상기 a) 돌기 내지 c) 자기장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이거나, 또는 상기 돌기 내지 자기장기 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전, 후, 좌, 우, 내부, 외부 등에 상기 돌기 내지 자기장기 등이 구비된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b) 파(波)를 발생하는 자기장기; c)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d) 상기 살균기와 방전기가 조합된 살균방전기, 상기 살균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살균자기장기, 상기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방전자기장기, 상기 살균기와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살균방전자기장기; e) 오존 발생과 동시에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가진하는 진동기; f)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g) 가진 및 자화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자기장기; h) 자화 및 가진하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및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기방전하는 방전기; i) 상기 진동기와 방전기가 조합된 진동방전기, 상기 진동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진동자기장기, 상기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방전자기장기, 상기 진동기와 방전기와 자기장기가 조합된 진동방전자기장기; j) 상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 상기 돌기는 콘, 망, 봉, 틀, 나선, 핀, 침, 칩, 대, 판, 팬, 돌기, 날개, 와이어, 자바라, 회전체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자바라는 자바라, 주름 자바라, 휨성 자바라, 휘어지는 관, 휘어지는 호스, 휘어지는 튜브, 휘어지는 자바라,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관,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호스,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자바라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 가진기, 진동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진동기 등이다. d) 상기 가진기는 가진기, 진동기, 진동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진동기 등이다. e) 상기 고정자는 고정자, 스테이터, 고정진자 등이다.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 로터, 회전진자 등이다. f) 상기 회전축은 모터, 회전자 등의 상, 하, 면, 표면, 일측, 양측, 타측, 다측, 일단, 양단, 다단 등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g) 상기 회전축의 상, 하, 면, 표면, 상하, 일측, 양측, 타측, 다측, 일단, 양단, 다단 등에는 링, 오링, 베어링, 마찰방지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h) 상기 회전체 또는 회전체는 회전축, 모터 회전축, 회전자 회전축 등에 1개, 2개, 3개, 다수개, 복수개, 2개 이상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i) 상기 회전축의 상하, 양측, 다측, 양단, 다단 등에 2개 이상의 회전체 또는 회전체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j) 상기 2개 이상의 회전체 또는 회전체가 구비되는 경우 2개 이상의 설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 서로 상이한 방향 등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의 경우에는 회전체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 진폭, 영향 등이 크게 된다.
상기 회전기는 팬, fan, 핀, pin, 판, plate, 돌기, 나선, 나선체, 날개, wing, 로터, rotor, 믹서, mixer, 오거, 스크류, screw, 나선날개, 회전날개, 헬리칼, helical, 스파이럴, spiral, 회전기, 회전자, 회전기, 교반기, 충돌판, 경사판, 2개 이상의 경사판, 중공체 내부에 거치된 경사판, 교반회전기, 회전교반기, 회전체; 모터 구비 상기 팬 내지 회전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팬 내지 회전체; 대상을 회전시켜 교반시키는 상기 팬 내지 회전체; 대상과 충돌하여 교반시키는 상기 팬 내지 회전체; 자가 회전기, 동력 회전기, 무동력 회전기, 물질 회전기, 콘크리트 회전기, 콘크리트 회전교반기, 물질 또는 콘크리트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물질 또는 콘크리트를 회전시켜 교반시키는 회전기, 이송관 또는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의 내부에 거치되어 이송관 또는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를 통과하는 물질 또는 콘크리트를 회전시켜 교반시키는 회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전기, 팬 내지 회전체 등은 자체, 자가, 자력, 외력, 동력, 풍력, 전기, 전원, 모터, 회전모터, 물질, 통과물질, 물질압력, 통과물질압력, 흐름물질, 흐름압력, 흐름물질압력 등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타설구는 타설구, 타설홀, 타설부, 타설관, 타설부분, 타설구멍, 타설위치, 출구, 배출구, 배출부, 타설부, 분사구, 분사부, 호스, 튜브, 파이프, 자바라, 자바라호스, 엔드호스, 엔드튜브, 진동튜브, 엔드파이프, 엔드자바라, 콘크리트 배출구,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배출부, 콘크리트 타설부, 콘크리트 타설관, 콘크리트 분사관, 콘크리트 배출관, 2m 이하 길이의 호스, 선단에서 2m 이내 길이의 호스, 타설 선단에서 2m 이내 길이의 호스, 콘크리트 타설 선단에서 2m 이내 길이의 호스, 콘크리트 배출 선단에서 2m 이내 길이의 호스, 콘크리트 타설 선단에서 2m 이내 길이의 콘크리트 배출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구의 재질 또는 재료는 수지, 레진, 고무, 폴리머, 플라스틱, PVC, PE, HDPE, LDPE, FRP, 아크릴, 철, 금속, STS, 무기재, 유기재, 연성재, 탄성재, 강성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튜브는 진동하는 또는 가진하는 튜브, 호스, 라인, 파이프, 중공체, 중공관, 상기 타설구 내지 콘크리트 배출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튜브, 케이스, 중공체 등은 a) 조, 통, 함, 봉, 대, 판, 대봉, 긴봉, 길이봉, 튜브, 박스, 탱크, 용기, 호스, 파이프, 케이스, 하우징, 하우스, 중공관, 2중관, 3중관, 중공체, 1면 오픈 중공체, 2면 오픈 중공체, 3면 오픈 중공체, 4면 오픈 중공체,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긴 봉, 캡(cap)과 본체(body)와 슈(shoe)가 구비된 중공체; b) 내부 중공의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관에서 관은 관, 호스, 튜브, 파이프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펌프카는 펌프카, 펌프차, 펌핑카, 압력카, 가압카, 가압기, 펌핑기, 가압수단, 펌핑수단, 가압장치, 펌핑장치, pump car, pumping car, 콘크리트 펌프카, 콘크리트 펌프차, 콘크리트 펌핑카, 콘크리트 압력카, 콘크리트 가압카, pump car, pumping car, concrete pump car, concrete pumping car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콘크리트 펌프카가 현장에 진입, 인입, b) 상기 펌프카; 이의 붐, 이송관; 중 하나의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에 진동기, 진동기 케이블, 진동기 호스 등이 거치, c) 상기 엔드호스 또는 타설구와 진동기, 케이블, 호스 등을 결합 또는 철사로 결합, d) 상기 거치 또는 결합되어 조성된 엔드호스, 타설구, 엔드호스 진동기, 진동 엔드호스 중 하나를 통과한 또는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진동, e) 상기 엔드호스로부터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 f) 상기 엔드호스로부터 타설되어 형틀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 장비, 물체, 물건, 물질, 수단, 작업 등에는 코일,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조성, 형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의 연계가 가능하거나, 또는 전기, 전원, 전압, 전류 등의 공급이 가능하고, 이의 경우 상기 코일,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자기장, 전자기장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자기장, 전자기장 등은 물질, 재료, 콘크리트 등을 자화, 연화, 자성화, 유동화, 유연화, 슬러리화 등을 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의 외부에는 보호재, 보호판, 보호시트, 보호쉬스, 보호튜브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는 본 발명에서 1) a) 수단, 장비, 장치, 자재, 재료, 시설, 돌기, 자바라, 건물, 구조물,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작업, 공법, 공사 방법, 시공 방법, 정화 방법, 청정 방법, 상기 1 내지 32 수단, 상기 장비 1 내지 25, 상기 작업 1 내지 57, 상기 공사 1 내지 19, 상기 재료 1 내지 31, 상기 자재 1 내지 7, 상기 칩 내지 조합체, 상기 핀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처리,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중 하나 처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처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b) 상기 수단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상(上), 하(下), 좌(左), 우(右), 전(前), 중(中), 후(後), 내부, 외부, 상부, 하부, 전단, 중간, 후단, 전위, 후위, 전면, 후면, 측, 측부, 측면, 좌측, 우측, 호스, 튜브, 파이프, 이음부, 중공부, 연결부, 거치대, 지지대; c) 상기 a) 수단 내지 b) 지지대 중 둘 이상의 복합; 등은 상기 a) 수단 내지 c) 복합 등이 거나, 2) 또는 상기 a) 수단 내지 c) 복합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형성, 해당, 함유, 포함, 분사, 분무, 살수, 포설, 숏팅, 미장,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거나, 3)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의 기능을 가지거나, 4)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5)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6)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거나, 7)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상(上) 내지 지지대 중 하나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이 이용 또는 구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자화는 진동, 자화 중에 진동, 자화는 복합물, 자화에 수단 이용, 자화 후에 수단 이용, 자화에 오존기 이용, 자화 전에 오존기 이용, 자화에 가진기 구비, 자화는 진동의 기능을 가짐, 자화는 살균을 함, 자화 후에 살균을 함, 자화는 진동물이 됨, 자화에는 자재가 이용, 자화 중에 진동이 이용, 자화 중에 진동기 이용, 자화 중에 오존 처리, 자화 처리 후에 방전 처리, 자화에 방전기 이용, 자화에 살균, 자화 중에 살균, 자화 기능을 가진 수단, 폭기하는 장비, 정화하는 장치, 정화와 살균하는 장치, 살균되는 자재, 진동되고 살균되는 자재, 청정된 재료, 실균 및 청정된 재료, 반응하는 시설, 반응과 응집과 여과와 청정하는 시설, 청소되는 건물, 실균되고 청소되고 청정되는 건물, 진동기 구비 구조물, 정화기 이용 공사, 진동 및 반응제 및 정화기 이용 공사, 폭기제 이용 공법, 가진 및 폭기제 및 청정기 이용 공법, 청정 공사 방법, 살균 및 폭기 및 청정 공사 방법, 자화기 및 살균물 및 폭기 및 청정 및 정화제 이용 공사 방법, 자화기와 칩, 자화기와 폭기기와 칩, 자화기와 폭기기와 정화기와 칩, 칩이 이용되는 자화기와 망이 부착된 폭기기와 콘이 거치된 정화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의 다른 예로는 상기 수단 내지 지지대 중 하나의 상기 상(上) 내지 지지대 중 하나에 상기 수단 내지 지지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및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등도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기능기, 고정자, 회전자, 로터, 스테이터, 회전축, 회전체, 편심체, 베어링, 힌지 등은 1개, 2개, 3개, 다수개, 복수개, 2개 이상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의 예를 들면 2개 로터의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2개의 회전체, 2개 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3개의 편심체, 3개 회전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구비된 2개의 회전체, 3개의 힌지가 형성된 2개 회전축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에 의하여 진동하는 2개의 케이스, 4개의 힌지가 형성된 회전축에 구비된 3개의 편심체에 의하여 진동하는 2개의 케이스, 2개의 힌지가 형성된 회전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에 의하여 진동하는 3개의 케이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자화 처리, 진동 처리, 가진 처리, 오존 처리, 음이온 처리, 오존 살균, 음이온 실균, 오존 정화, 음이온 청정, 회전 처리, 분해 처리, 전해 처리, 유동화 처리, 방전 처리, 소독 처리, 살균 처리, 자화기 이용, 자기장기 구비, 진동기 거치, 가진기 장착, 오존기 정착, 음이온기 존치, 회전기 부착, 분해기 구성, 전해기 적용, 유동화기 활용, 방전기 위치, 소독기 포함, 살균기 구비, 자화물 발생, 자기장 방사, 진동물 조사, 가진물 생성, 오존물 이용, 음이온물 형성, 회전물 조성, 분해물 배출, 전해물 분사, 유동화물 주입, 방전물 분무, 소독물 상수, 살균물 코팅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응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물 내지 복합물, 정화물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폭기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로는 자화와 폭기와 정화, 진동과 반응과 처리, 자화기와 폭기기와 정화기, 자화물과 폭기제와 정화제, 진동기와 반응기와 처리기, 진동물과 반응제와 처리제, 자화와 폭기와 정화의 복합, 진동과 반응과 처리의 복합, 자화기와 폭기기와 정화기의 복합기, 자화물과 폭기제와 정화제의 복합물, 진동기와 반응기와 처리기의 복합기, 진동물과 반응제와 처리제의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복합기, 폭기기∼복합기, 정화기∼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서 기는 기(器), 기(機), 차(車), 고(庫), 제(劑), 재(材), 체(體), 물체, 조, 통, 함, 콘, 나선, 기기, 기구, 기계, 노즐, 튜브, 탱크, 박스, 장치, 장비, 시설, 수단, 관로, 파이프, 디퓨저, 중공체, 중공통,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기(器), 기(機), 장치, 장비 등도 상기 기(器) 내지 시스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제 내지 복합물, 정화제 내지 복합물, 수(水) 내지 복합물 등에서 물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액체, 분말, 공기, 재료,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오존, 음이온, 오존수, 회전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물, 물질 등도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드론, 비행체, 모빌리티, 무인비행기; b)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일, 비행, 이동, 촬영, 관측, 관제, 측량, 작업, 매핑, 공사, 건설, 정화, 청정, 방역, 배달, 탑승, 운송, 모니터링; c)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d) 상기 드론 내지 복합 등의 작업, 방법, 장치, 장비,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e) 상기 드론 내지 네트워크 등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비행, 활공, 주행, 이동, 촬영, 측정, 측량, 센싱, 매핑, 관측, 관찰, 관제, 방범, 작업,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살수, 살포, 분사, 방역, 정화, 청정, 청소, 소독, 살균, 소화, 진화,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소독제포설, 농약살포, 먼지제거, 공사, 시공, 건축, 건설, 가압, 타설, 포설, 주입, 진동, 다짐, 양생,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승하차, 승차, 하차, 위치인식, 좌표인식,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하는 모빌리티; b)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의 장비 또는 수단이 구비되는 모빌리티; c) 상기 장비 또는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모빌리티; d)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장비, 수단; e) 또는 작업, 장비, 사람, 로봇, 수단, 시설 등의 상부에 거치된 모빌리티; f) 상기 작업 내지 시설 등의 공중을 비행하는 모빌리티; g) 상부에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상기 작업 내지 시설; h) 공중에 모빌리티가 비행하는 상기 작업 내지 시설; i)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작업 내지 시설 등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j)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모빌리티에 이용되는 작업, 방법, 수단,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작업 내지 시설;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작업 또는 작업방법은 실시예 1에 의하면 물질, 물체, 장치, 장비, 모빌리티(65), 상기 기 내지 복합, 또는 이동 기능을 가진 모빌리티(65)가 이용되는 작업이 해당된다. 1) a) 상기 물체, 장비, 모빌리티(65) 등이 비행, 활공, 주행, 이동, 정지, 이륙, 착륙 중 하나 이상을 하고, b) 상기 물체, 장비, 모빌리티 등이 b1) 공사, 건설, 건축, 작업, 시공; b2) 또는 시설, 설비, 건물, 주택, 상가, 도로, 교량, 터널, 기초, 지반, 지하, 공장, 단지, 아파트, 구조물 중 하나를 상기 공사 내지 시공(상기 공사, 건설, 건축, 작업, 시공); b3) 상기 비행 내지 착륙(상기 비행, 활공, 주행, 이동, 정지, 이륙, 착륙) 중 하나 이상에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고, c) 상기 모빌리티가 c1) 저장, 혼합, 가압, 굴착, 토공, 이송, 타설, 포설, 살포, 포장, 분사, 성형, 자화, 진동 다짐, 살수, 양생; c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중 하나 이상에 수행되는 상기 저장 내지 양생(상기 저장, 혼합, 가압, 굴착, 토공, 이송, 타설, 포설, 살포, 포장, 분사, 성형, 자화, 진동 다짐, 살수, 양생); c3) 또는 재료를 상기 저장 내지 양생;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고, d) 상기 모빌리티가 d1)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차,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먼지제거; d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상기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차,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먼지제거); d3) 또는 상기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상기 시설, 설비, 건물, 주택, 상가, 도로, 교량, 터널, 기초, 지반, 지하, 공장, 단지, 아파트, 구조물) 중 하나를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고,
e) 상기 물체, 장비, 모빌리티 등이 e1) 오존, 연무, 음이온, 정화제, 청정제, 청소제, 세척제, 세차제, 세정제, 살균제, 소독제, 미스트, 광촉매, 피톤치드; e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오존 내지 피톤치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방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방출하고, f) 상기 방출에 의하여 f1)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f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중 하나 지역, 상기 공사 내지 시공 중 하나 현장, 상기 저장 내지 양생 중 하나 현장, 상기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고, g) 상기 모빌리티가 g1)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비행 촬영, 카메라 촬영, CCTV 녹화; g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오존 내지 피톤치드, 방출,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촬영, 녹화, 비행 촬영, 카메라 촬영, CCTV 녹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고,
h) 상기 물체, 장비, 모빌리티 등이 h1) 측정, 측량, 관측, 관찰, 관제, 계측, 점검, 진단, 순찰; h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방출,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기 측정 내지 순찰(상기 측정, 측량, 관측, 관찰, 관제, 계측, 점검, 진단, 순찰); h3) 또는 시설, 설비, 건물, 도로, 교통, 거리, 골목, 동네, 마을, 단지, 현장, 공장, 공단, 공사장, 작업장, 사업장, 아파트, 구조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상기 측정 내지 순찰; h4) 또는 장면, 현황, 상황, 영상,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거리, 위도, 경도, 각도, 고도, 높이, 길이, 가로, 세로, 크기, 면적, 체적, 수직도, 연직도, 공간좌표, 위치좌표, GPS좌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상기 측정 내지 순찰; h5)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방출,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장면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측정 내지 순찰;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고, i) 상기 모빌리티가 i1) 송신, 전송, 통신, 교신, 송수신, 무선송신, 유선송신, 인터넷송신, 와이파이송신; i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방출,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장면 내지 포름알데히드, 측정 내지 순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송신, 전송, 통신, 교신, 송수신, 무선송신, 유선송신, 인터넷송신, 와이파이송신; i3)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순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촬영물을 송신, 전송, 통신, 교신, 송수신, 무선송신, 유선송신, 인터넷송신, 와이파이송신; 중 하나를 하거나,
상기 비행 내지 순찰은 상기 비행 내지 착륙, 공사 내지 시공, 저장 내지 양생, 정화 내지 먼지제거, 방출,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재료, 모빌리티, 시설 내지 구조물, 장면 내지 포름알데히드, 측정 내지 순찰 등이 해당된다.
2) 또는 상기 1)에 더하여, 또는 상기 a), b), c), d), e), f), g), h), i)에 더하여, a) 상기 영상, 촬영물, 송신한 송신물, 전송한 전송물; 상기 비행 내지 순찰 중 하나의 영상, 촬영물, 송신물, 전송물; 중 하나가 수신, 착신, 무선수신, 유선수신, 인터넷수신, 와이파이수신, PC수신, 모니터수신, 스마트폰수신; b) 상기 영상 내지 전송물(상기 영상, 촬영물, 송신한 송신물, 전송한 전송물; 상기 비행 내지 순찰 중 하나의 영상, 촬영물, 송신물, 전송물), 수신한 수신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매핑(mapping), 빌딩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매칭, 영상매칭, 도면매칭, 도면화, 3차원화, 그래픽화; c) 상기 영상 내지 전송물, 수신물, 매핑 내지 그래픽화(상기 매핑, 빌딩정보모델링, 매칭, 영상매칭, 도면매칭, 도면화, 3차원화, 그래픽화)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도면, 3차원도면, 그래픽도면, BIM도면, 지형도, 지적도, 현황도, 공사도, 작업도, 완공도, 준공도, 공간정보, 3차원공간정보, 항공사진, 공사사진, 작업사진, 항공영상, 공사영상, 작업영상, 정사영상(orthomosaic),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3차원지형모델(3D terrain model), 매칭도, 설계와 현재 작업의 매칭도, 설계와 현재 공사의 매칭도, 설계 도면과 현재 공사 도면의 매칭도, 공사현황도, 작업현황도, 지형현황도,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에 대한 상기 도면 내지 작업현황도 중 하나 이상 제작; d) 상기 영상 내지 전송물, 수신물, 매핑 내지 그래픽화, 도면 내지 작업현황도, 제작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량, 면적, 크기, 체적, 토지면적, 토공량, 굴착량, 성토량, 절토량, 공사량, 사면안정, 구조안정, 절리면, 작업량, 건축량, 건설량, 시공량, 1일 또는 1시간 또는 1주일의 상기 물량 내지 시공량,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에 대한 상기 물량 내지 시공량 중 하나 이상을 산정;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3) 또는 물체, 물품, 장비, 장치, 모빌리티 등에 a) 상기 비행 내지 순찰, 송신, 전송, 통신, 교신, 송수신, 수신, 매핑 내지 그래픽화, 제작, 산정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로봇,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c) 또는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d) 상기 칩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e)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산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반도체; f) 또는 상기 비행 내지 산정 중의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반도체;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器) 내지 반도체는 상기 기(器) 내지 네트워트, 상기 칩 내지 반도체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물체, 물품, 장비, 장치,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등은 사람, 로봇, 인부, 기사, 장치, 장비, 기계, 기기, 작업자, 노동자, 시공자, 발주자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람 내지 발주자 등이 하는 일, 작업,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촬영, 찍기, 사진찍기, 제도, 제작, 정화, 청정,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전해(전기분해의 약자), 방전(전기방전의 약자), 방역, 소독, 살균, 적외선, 자외선, 열화상, 초음파; b)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탈수, 선별, 파쇄, 숏팅, 도포, 도장, 가습, 제습, 건조, 처리; c) 폭기, 발포, 팽창, 반응, 흡착, 포집, 집진, 응집, 침전, 여과; d) 콘, 망, 봉, 틀, 칩, 나선, 센서, 소자, 자석, 전극, 전지, 코일, 돌기, 회로, 도체, 반도체, 측정기, 레이더, 스캐너, 3D스캐너; e)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방역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f)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탈수기, 선별기, 파쇄기, 숏팅기, 도포기, 도장기, 가습기, 제습기, 건조기, 처리기; g) 폭기기, 발포기, 팽창기, 반응기, 흡착기, 포집기, 집진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h)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전해물, 방전물, 방역물, 소독물, 살균물, 적외선물, 자외선물, 열화상물, 초음파물; i) 정화물, 청정물, 정수물, 청소물, 세정물, 세척물, 탈수물, 선별물, 파쇄물, 숏팅물, 도포물, 도장물, 가습물, 제습물, 건조물, 처리물; j) 폭기물, 발포물, 팽창물, 반응물, 흡착물, 포집물, 집진물, 응집물, 침전물, 여과물; k) 자화제, 진동제, 가진제, 파동제, 오존제, 적외선제, 초음파제, 전자기파제, 음이온제, 회전제, 진공제, 가압제, 전해제, 방전제, 방역제, 소독제, 살균제, 적외선제, 자외선제, 열화상제, 초음파제; ℓ)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청소제, 세정제, 세척제, 탈수제, 선별제, 파쇄제, 숏팅제, 도포제, 도장제, 가습제, 제습제, 건조제, 처리제; m) 폭기제, 발포제, 팽창제,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집진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n) 자화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파동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방역처리, 소독처리, 살균처리, 적외선처리, 자외선처리, 열화처리, 초음파처리; o) 정화처리, 청정처리, 정수처리, 청소처리, 세정처리, 세척처리, 탈수처리, 선별처리, 파쇄처리, 숏팅처리, 도포처리, 도장처리, 가습처리, 제습처리, 건조처리, 처리처리; p) 폭기처리, 발포처리, 팽창처리, 반응처리, 흡착처리, 포집처리, 집진처리, 응집처리, 침전처리, 여과처리; q) 상기 자화 내지 여과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제, 복합처리; r) 상기 자화 내지 여과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제, 복합처리; s)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기(器), 기(機), 장비, 수단, 장치, 시설, 재료, 자재, 방법, 공법, 업무, 공사,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반도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기; t)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일, 작업,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촬영, 찍기, 사진찍기, 제도, 제작, 정화, 청정,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a) 상기의 기(器)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b) 또는 하기의 수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처리; 등은 상호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연결, 연계, 결합, 합체, 병합, 합병, 첨가, 첨삭, 추가, 정착, 부착, 장착, 분사, 분무, 주입,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물체, 물품, 장비, 장치, 모빌리티(65) 등은 실시예 2에 의하면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공중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시스템 중 하나의 모빌리티(65)로서, 상기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모빌리티 14, 모빌리티 15, 모빌리티 16, 모빌리티 17, 모빌리티 18, 모빌리티 19, 모빌리티 20, 모빌리티 21, 모빌리티 22, 모빌리티 23 등이 가능하다.
상기 모빌리티 1은 a) 손님이 탑승되고, 물건이 적재되고, 이륙하고, 비행하고, 상기 비행하면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후에 물을 분사하고, 상기 분사하면서 오존을 방사하고, 상기 분사에 의하여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상기 방사에 의하여 공기를 정화되고, 상기 비행 또는 정화하면서 전경을 촬영하고, 상기 전경을 촬영하면서 상기 전경을 측량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무선 전송하고, 상기 측량 자료를 무선 전송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착륙하고, 상기 손님을 하차시키고,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b) UAM(urban air mobility)이 승객을 태우고, 물건을 탑재하고, 비행 또는 이동하고, 촬영하고, 측량하고,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측량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손님을 목적지에 하차하고,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c)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 또는 공사; d)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작업 또는 공사; e)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 또는 공사; f)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작업 또는 공사; g)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 또는 공사; h)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 i)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 j)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오존방사; k)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자신, 사물, 시설, 장비 중 하나의 위치 좌표 파악; ℓ)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자신, 사물, 시설, 장비 중 하나의 위치 좌표 파악; m)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 n)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토지 또는 건물 또는 부동산을 촬영하면서 상기 촬영 영상을 송신;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자신 또는 주변 등의 공기질 정화 또는 자신(모빌리티)에 코팅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자신 또는 주변 등의 공기질 정화; o)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방역과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와 소독제포설; p)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작업 또는 공사 장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송신 또는 해당자에서 송신; q)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방역과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와 소독제포설 및 이동하여 배달;
r)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방역과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와 소독제포설, 및 이동하여 배달, 및 탑승하여 이동; s)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방역과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와 소독제포설, 및 이동하여 배달, 및 승차 후 이동; t)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과 측정과 측량과 살수와 분사와 방역과 청정과 오존방사와 음이온방사와 소독제포설, 및 이동하여 배달, 및 승차 후 이동, 및 이동 후 하차; u) 비행 또는 이동과 촬영, 찍기, 사진찍기, 측정, 측량, 센싱, 관측, 관찰, 방범, 작업, 공사, 정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파일 또는 이미지를 전송, 무선전송, 유선전송, 인터넷전송; v) 상기 전송된 상기 영상 또는 파일 또는 이미지를 수신, 무선수신, 유선수신, 인터넷수신; w) 상기 전송 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자료를 참조하여 폰, 무전기, 마이크, 확성기, 육성기, 핸드폰, 스마트폰, 유선전화, 무선전화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공사자에게 연락, 업무연락, 지시, 작업지시, 업무지시, 공사지시, 명령, 작업명령, 공사명령, 업무명령, 조정, 작업조정, 업무조정, 공사조정; x) 상기 영상 또는 자료를 참조하여 기사, 기장 부장, 소장, 감독관, 감리자, 발주자, 책임자 중 하나가 상기 연락 내지 공사조정; y) 상기 영상 또는 자료를 참조하여 집 또는 본사 또는 사무실의 상기 기사 내지 책임자 중 하나가 상기 폰 내지 무선전화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현장의 작업자 또는 공사자에게 상기 연락 내지 공사조정;
z1) 비행 또는 이동하면서 사물, 물체, 시설, 건물, 작업, 공사, 건축, 건설, 시공, 배합, 가압, 이송, 운반, 택배, 타설, 포설, 살포, 포장, 주입, 자화, 진동 다짐, 양생, 처리, 정화, 청정, 살균, 소독, 사람, 인부,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을 촬영; z2) 비행 또는 이동과 촬영, 찍기, 사진찍기, 측정, 측량, 센싱, 매핑(mapping), 관측, 관찰, 관제, 방범, 작업,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살수, 살포, 분사, 방역, 정화, 청정, 청소, 소독, 살균, 소화, 진화,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소독제포설, 농약살포, 먼지제거, 공사, 시공, 건축, 건설, 가압, 타설, 포설, 주입, 자화, 진동 다짐, 양생,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승하차, 승차, 하차, 상기 촬영 내지 하차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촬영 내지 하차 중 둘 이상 순차 복합; z3)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의 역할;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와 같이 작업;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 대신으로 사용;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를 대신하여 작업; 사람과 로봇과 장비를 탑재; 사람과 로봇과 장비를 탑재하여 비행;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 또는 시설의 상부에 거치;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 또는 시설의 공중에 거치; 사람 또는 로봇 또는 장비 또는 시설의 상부를 비행; z4) 운전하여 또는 자가 운전하여 또는 운전되어 또는 원격 운전되어 비행 또는 이동과 영상 촬영, 먼지농도 측정, 항공 측량, 3차원 매핑, 항공 관측, 항공 관찰, 항공 관제, 작업 관제, 거리 방범, 제조 또는 공사 작업, 무선 전송, 유선 전송, 인터넷 전송, 무선 수신, 유선 수신, 인터넷 수신, 물 살수, 농약 살포, 물질 분사, 정화, 청정, 소독, 방역, 수질 정화, 공기 청정, 의류 청정, 건물 청소, 공기 소독, 균 살균, 불 소화, 화염 진화, 오존 방사, 음이온 방사, 소독제 포설, 농약 살포, 먼지 제거, 건설 공사, 시설 시공, 구조물 건설, 건물 건축, 재료 가압, 재료 타설, 자재 포설, 몰탈 주입, 레미콘 진동, 아스콘 다짐, 콘크리트양생, 물건 배달, 손님 또는 사람 탑승, 손님 또는 사람 승차, 손님 또는 사람 하차, 상기 촬영 내지 하차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촬영 내지 하차 중 둘 이상 순차 복합; z5) 하기 장치가 구비되면서 상기 비행, 이동, 촬영 내지 복합; z6)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면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여기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은 상기 비행, 이동, 촬영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z7) 자신에게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면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z8)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시스템,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 복합 등 구비; z9) 상기 장치, 물질, 분사, 모빌리티, 모빌리티의 노즐, 모빌리티의 분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소독, 살균, 집진, 숏팅,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에는 상기 a) 내지 z9) 중 하나 이상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계, 장치, 장비, 수단, 시설, 시스템, 네트워크;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계, 장치, 장비, 수단, 시설, 시스템, 네트워크;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모빌리티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a) 내지 z9) 중 하나 이상을 할 수도 있다.
a) 상기 기(器), 기(機) 등은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kit, tool, machine, 어미가 기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b) 차(車)는 차, 車, car, 차량, 택시, 버스, 트럭, 전차, 승용차, 어미가 차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c) 체(體)는 체, 體, 물체, 몸체, 신체, 어미가 체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d) 고(庫)는 고, 庫, 조, 통, 함, 탱크, 박스, 창고, 저장고, 사일로, 어미가 고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e) 제(劑)는 제, 劑, 주제, 부제, 첨가제, 영양제, 부수제, 어미가 제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f) 재(材)는 재, 材, 재료, 자재, 건자재, 공사재, 건축재, 토목재, 건설재, 어미가 재로 끝나는 단어 또는 용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2는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1) a) 비행, 활공, 부유, 주행, 이동, 이송, 수송, 운반, 운송, 운전, 배달, 전달,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여객이송, 승객이송, 여행, 운행, 픽업, 라이딩, 딜리버리, 드라이빙; b) 조사, 실사, 답사, 탐사, 탐지, 시험, 방문, 방사, 발사, 발포, 진단, 관찰, 관측, 관제, 계측, 측량, 측지, 적산, 경비, 경계, 순시, 순찰, 컨트롤, 모니터링; c)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작업, 굴착, 천공, 발파, 토공, 절토, 성토, 석공, 목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이송, 타설, 포설, 포장, 주입, 믹싱, 성형, 자화, 진동 다짐, 분사, 살수, 양생, 면처리, 운영, 관리, 수리, 수선, 보수, 보완, 복원, 복구, 힐링, 씰링, 방수, 차수, 발수, 조적, 미장, 코팅, 도장, 도색, 개량, 보강, 해체, 철거, 인테리어, 리모델링; d)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차, 세정, 정수, 소독, 살균, 방역, 방재, 방제, 방화, 소화, 진화, 농약살포, 숏팅, 블라스팅; e) 선별, 풍력선별, 건식선별, 습식선별, 수중선별, 자력선별, 분리, 토사분리, 이물질분리, 파쇄, 죠크러싱, 콘크러싱, 임팩트크러싱, 분쇄, 마쇄, 수쇄, 풍쇄, 압쇄, 박리, 매립, 매립장매립, 소각, 고온소각, 마감, 면마감, 처리, 처분, 세척, 분급, 재활용; g) 또는 사람, 승객, 손님, 로봇, 장비, 장치, 제품, 용품, 물류, 물품, 상품, 댐, 하천, 연못, 시설, 도로, 철도, 교량, 터널, 건물, 구조물, 지하철, 지하공간, 암석, 암반, 골재, 토사, 폐기물, 부산물 중 하나의 상기 비행 내지 재활용; h) 상기 비행 내지 재활용 중 둘 이상의 복합, 상기 비행 내지 재활용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i) 상기 비행 내지 재활용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면서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농도측정, 온도측정, 송신, 영상 송신, 데이터 송신, 촬영 영상 송신, 측정 데이터 송신, 수신, 영상 수신, 중개, 상호 중개, 매핑, 지형매핑, 모니터링, 작업모니터링, 공사모니터링, 이중 둘 이상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거나, 2)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3)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계, 장치, 장비, 수단, 시설, 시스템, 네트워크;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계, 장치, 장비, 수단, 시설, 시스템, 네트워크;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모빌리티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모빌리티 3은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을 하면서 연무, 연기, 오존, 농약, 음이온, 청정제, 정화제, 소독제, 살균제, 소화제, 진화제, 광촉매, 미스트, 피톤치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살포하거나, b) 또는 상기 살포하는 기기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살포하면서 하기 장치 구비, 하기 장치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장치 이용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4는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즉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a1)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a2)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구비하거나, b) 또는 상기 구비하면서 하기 장치 구비, 하기 장치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장치 이용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측기는 측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5는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모빌리티 3의 살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a) 하기 장치 구비; b) 하기 장치를 이용한 작업; c) 하기 장치가 구비되면서 작업 수행; d)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e)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면서 작업 수행; f)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하기 장치 거치; g)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6은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모빌리티 3의 살포, 상기 모빌리티 5의 구비 내지 분사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조사, 탐사, 측정, 측량, 측지, 적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송신, 수신, 중개, 시험, 센싱, 매핑(mapping), 발파, 굴착, 굴삭, 천공, 보링, 항타, 관입, 매입, 삽입, 저장, 투입, 혼합, 펌핑, 가압, 이송, 운반, 압송, 운송, 작업, 철근공, 형틀공, 기초공, 콘크리트공, 타설, 포설, 살포, 포장, 분사, 성형, 주입, 믹싱, 자화, 진동 다짐, 살수, 양생, 탈형, 면정리, 면처리, 조적, 미장, 코팅, 도색, 도장, 목공, 석공, 방수공, 차수공, 타일공, 벽돌공, 블럭공, 창호공, 정화, 청정, 살균, 소독, 관리, 진단, 보수, 수선, 보강, 개량, 해체, 철거, 재건축, 재개발, 좌표인식, 위치인식, 인테리어,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7은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모빌리티 3의 살포, 상기 모빌리티 5의 구비 내지 분사, 상기 모빌리티 6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현장 조사, 지질 탐사, 농도 측정, 지형 측량, 현장 측지, 자재 적산, 예산 적산, 작업량 적산, 공사량 적산, 작업 촬영, 공사 녹화, 현장 시험, 농도 센싱, 3차원지형 매핑(mapping), 매칭, 영상매칭, 도면매칭, 화약 발파, 지반 굴착, 사면 굴삭, 지반 천공, 지중 보링, 기초 항타, 파일 지중 관입, 재료 저장, 재료 투입, 재료 혼합, 재료 펌핑, 재료 가압, 자재 이송, 자재 운반, 재료 압송, 자재 운송, 공사 작업, 철근조립하는 철근공, 형틀조립하는 형틀공, 기초설치하는 기초공, 콘크리트타설하는 콘크리트공, 재료 타설, 재료를 형틀에 타설, 재료 포설, 농약 살포, 재료 포장, 재료 분사, 광촉매 분사, 피톤치드 분사, 재료 지중 주입, 재료 지중 믹싱, 제품 성형, 자재 성형, 타설 재료 진동, 주입 재료 다짐, 물을 살수, 살수하여 양생, 양생후 형틀을 해체하여 탈형, 탈형된 콘크리트 면정리, 양생된 구조물 면처리, 광촉매 분사 면처리, 피톤치드 분사 면처리, 벽체 조적, 벽체 미장, 벽면 코팅, 외면 도색, 표면 도장, 나무를 조립하는 목공, 돌을 붙이는 석공, 건물을 방수하는 방수공, 댐을 차수하는 차수공, 타일을 붙이는 타일공, 벽돌을 쌓는 벽돌공, 블럭을 조립하는 블럭공, 창호를 설치하는 창호공, 오염을 제거하는 정화, 공기 청정, 의류 청정, 균 살균, 시설 소독, 유지 관리, 구조물 관리, 안전 진단, 교량 진단, 터널 진단, 구조물 진단, 건물 보수, 구조물 수선, 시설 보강, 기초 개량, 지반 개량, 노후건물 해체, 건물 철거, 노후건물 재건축, 지역 재개발, 자신의 좌표 인식, 자신의 비행좌표 인식, 작업지점의 좌표 인식, 장비의 좌표 인식, 장비의 이동좌표 인식, 시설의 좌표 인식, 작업 좌표 인식, 비행하는 행로의 좌표 인식, 작업 위치 인식, 장비 위치 인식, 작업지점 위치 인식, 장비 이동위치 인식, 시설 위치 인식, 정차 중인 위치 인식, 비행 중인 위치 인식, 내부 인테리어, 구조물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a) 상기 타설에는 타설, 재료 타설, 자재 타설, 콘크리트 타설, 재료를 형틀에 타설, 콘크리트를 형틀에 타설, 지중에 타설, 지중에 배수재를 타설, 콘크리트 타설호스에 모빌리티가 장착되어 모빌리티가 비행하면서 타설호스를 이동시키면서 타설호스를 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b) 상기 진동에는 진동, 타설 재료 진동, 주입 재료 진동, 포설 재료 진동, 콘크리트 진동, 진동기로 진동, 가진기로 진동, 모빌리티에 봉진동기가 장착되어 모빌리티가 비행하면서 봉진동기의 일부를 콘크리트에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진동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c) 상기 살수에는 살수, 물을 살수, 양생을 위하여 살수, 먼지제거를 위하여 살수, 타설 콘크리트에 살수, 비행하면서 살수, 모빌리티가 비행하면서 살수, 모빌리티에 장착된 분사기로 비행하면서 살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d) 상기 양생에는 양생, 살수 양생, 살수하여 콘크리트를 양생, 살수기로 살수하여 콘크리트를 양생, 비행하면서 모빌리티에 장착된 살수기로 살수하여 콘크리트를 양생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모빌리티 8은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모빌리티 3의 살포, 상기 모빌리티 5의 구비 내지 분사, 상기 모빌리티 6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6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7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8의 현장 조사 내지 구조물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상기 조사 내지 녹화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시험 내지 저장; 상기 투입 내지 콘크리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상기 조적 내지 창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리모델링; 상기 조사 내지 녹화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시험 내지 저장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투입 내지 콘크리트공;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조적 내지 창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리모델링; 상기 조사 내지 녹화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시험 내지 저장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투입 내지 콘크리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상기 조사 내지 녹화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시험 내지 저장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투입 내지 콘크리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타설 내지 면처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조적 내지 창호공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리모델링;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9는 상기 모빌리티 1의 상기 물건을 주문자에게 전달 ∼ 미세먼지제거, 상기 모빌리티 2의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모빌리티 3의 살포, 상기 모빌리티 5의 구비 내지 분사, 상기 모빌리티 6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6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7의 조사 내지 리모델링, 상기 모빌리티 8의 현장 조사 내지 구조물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a) 차, 차량, 트럭, 택시, 버스, 로라, 비계, 형틀, 장비, 장치, 시설, 시스템, 크레인, 포크레인, 공사장비, 이동수단 중 하나에 구비 또는 탑재 또는 착륙되어 a1)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의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중 하나 파악; a2) 자신에 거치된 추적기, GPS, 좌표계, 위치추적기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파악; a3)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에 의한 작업 또는 공사 위치 파악; a4)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 지점에서 수행되는 작업 또는 공사 위치 파악; b) 이동하면서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위치 내지 지역, 작업, 공사, 작업 시설,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 촬영; c) 비행하면서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위치 내지 지역, 작업, 공사, 작업 시설,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 촬영; d) 상기 파악 자료, 촬영 영상 중 하나 이상 송신; e) 상기 송신 내용을 수신, 무선 수신, 유선 수신, 모니터 수신, 스마트폰 수신; f)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위치 내지 지역, 작업, 공사, 작업 시설, 공사 구조물 중 하나 이상을 정화, 청정, 살균, 소독, 방역, 먼지제거; g) 상기 송신 내용으로 매핑(mapping), 상기 송신 내용으로 현황도 제작, 상기 송신 내용으로 작업도 제작, 상기 송신 내용으로 공사도 제작; h) 상기 수신 또는 제작 내용과 설계 자료 비교; 상기 자료와 설계 도면 비교; 상기 위치와 설계 자료의 위치 비교; 상기 좌표와 설계 자료의 좌표 비교; i)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이중 하나의 운전자, 조정자 중 하나에 송신; j) 상기 송신 내용을 상기 차 내지 이동수단, 이중 하나의 운전자, 조정자 중 하나가 수신, 무선 수신, 유선 수신, 모니터 수신, 스마트폰 수신; k) 또는 측정기, 좌표기, GPS, 위치측정기, 좌표측정기, 촬영기, 송신기, 수신기, 장화기, 청정기, 자료 입력기, 자료 제어기, 자료 매핑기, 자료 저장기, 자료 표시기, 자신 또는 사무실에 구비된 상기 측정기 내지 표시기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파악 내지 수신;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0은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먼지제거, 조사 내지 리모델링, 파악 내지 수신, 하기 작업, 하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또는 둘 이상 순차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상기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를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에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공중에 구비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1은 a) 모빌리티, 상기 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또는 공중에 구비된 또는 상부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구비된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2는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먼지제거, 조사 내지 리모델링, 파악 내지 수신, 기(器) 내지 복합기; b) 하기 작업, 비행 내지 복합작업; c) 또는 일정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d) 상기 비행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의 공간, 공중, 공기, 대기, 현장, 작업장, 공사장,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e)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면, 현황, 상황, 영상,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거리, 위도, 경도, 각도, 고도, 높이, 길이, 가로, 세로, 크기, 면적, 체적, 수직도, 연직도, 공간좌표, 위치좌표, GPS좌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촬영 또는 측정 또는 관찰하는 모빌리티이다.
본 발명의 센서, 측기, 장치, 장비, 드론, 로봇, 추적기, 측정기, 계측기, 관측기, 모빌리티,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등은 상기 장면 내지 포름알데히드 등을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계측, 관측 등을 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의 'd) 상기 비행 내지 네트워크'는 상기의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먼지제거, 조사 내지 리모델링, 파악 내지 수신, 기(器) 내지 복합기; b) 하기 작업, 비행 내지 복합작업; c) 또는 일정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가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13은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가 구비된 모빌리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중 하나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c) 모빌리티가 구비된 또는 공중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d) 모빌리티에 연계된 또는 공중에 연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e)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먼지제거, 조사 내지 리모델링, 파악 내지 수신, 또는 하기 작업 1 내지 작업 31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는 상기 기(器), 기(機), 차(車), 체(體), 고(庫), 제(劑), 재(材),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복합 또는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14는 a) a1) 자기장을 방사하는 장치 또는 가진기; a2) 또는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음이온발생하고, 살균하고, 소독하고, 전기방전하는 장치 또는 가진기; a3) 또는 진동기로 자화하고, 자화기로 진동하고, 오존기로 가진하고, 음이온기로 오존발생하고, 오존기로 음이온발생하고, 진동기로 살균하고, 살균기로 소독하고, 소독기로 전기방전하는 장치 또는 가진기; a4) 또는 자화하는 자화기, 진동하는 진동기, 가진하는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오존발생하는 오존기, 음이온발생하는 음이온기, 살균하는 살균기, 소독하는 소독기, 전기방전하는 방전기가 거치된 장치 또는 가진기; a5) 또는 자화하는 진동기, 진동하는 자화기, 가진하는 오존기, 오존발생하는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음이온발생하는 살균기, 살균하는 음이온기, 소독하는 방전기, 전기방전하는 소독기가 거치된 장치 또는 가진기;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구비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중 하나가 거치되거나, c) 또는 상기 구비, 거치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하기 작업을 하는 모빌리티이다.
a) 상기 가진기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가진기이면서 가진자화기, 진동자화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b) 상기 가진자화기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가진기이다. c) 상기 진동자화기는 자화기와 자화진동기가 조합된 것이다. d) 상기 자화가진기는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된 것이다. e)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것이다. f) 상기 진동기는 f1)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이거나, f2) 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상기 로터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진동기에서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에 자화기가 구비된 자화진동기이다. g) 상기 자화기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기, 가진자화기의 둘이 조합된 것이다.
상기 모빌리티 15는 a) 저장고, 투입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이송기, 이송라인, 굴착기, 보링기, 타설기, 주입기, 믹싱기, 분사기, 부착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진동기, 성형기, 양생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도색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면처리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b) 또는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살균물, 소독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처리물,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복합물;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6은 a) 드론, drone, 차, car, 공유카, 차량, 택시, 콜택시, 버스, 트럭, 배, ship, 보트, 선박, 보드, board, 기차, 열차, 전동차, 지하철, 킥보드, kick board, 퀵보드, quick board, 공유보드, 전동보드, 전동킥보드, 카트, cart, 전동카트, 스크터, 전동스크터, 자전거, 전기자전거, 공유자전거, 바이크, bike, 전동바이크, 오토바이, 공유오토바이, 전기오토바이, 드론카, 드론택시, 택시드론, 드론버스, 드론트럭,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선, 우주선, 위성, 인공위성, 지구위성, 항공기, 항공택시, 항공버스, 비행택시, 비행버스, 에어택시, 에어버스, 이착륙기, 수직이착륙기, 전기수직이착륙기, 플라잉카, 플라잉택시, 플라잉버스, 플라잉트럭, 하늘을 나는 차(car), 하늘을 나는 택시, 하늘을 나는 버스, 하늘을 나는 수단,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촬영드론, GPR드론, GPS드론, 레이더드론,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전기모빌리티, 택시모빌리티, 배달모빌리티, 공격모빌리티, 수비모빌리티, 배터리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공중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 UAM기, 항공모빌리티기, 에어모빌리티기, 이동하는 모빌리티, 활공하는 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모빌리티시스템, b) 비행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이동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비행하면서 촬영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송출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c)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의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이용되는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보드는 보드(board),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전동킥보드, 이동보드, 배달보드, 택배보드, 배달통장착보드, 이동보드, 합판보드, 석고보드, 건축보드, 서핑보드, 바다서핑보드,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보드,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보드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보드는 배달보드 1, 배달보드 2, 배달보드 3, 배달보드 4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보드 1은 피자, 치킨, 음식, 음료, 짜장면, 음식물, 물건, 물체, 물품, 상품, 제품, 용품, 배달물, 배달대상물 중 하나를 배달하는 것으로, a) 발판(650), 바퀴(652), 뒷바퀴 중 하나에 카바(653) 설치; 상기 발판, 바퀴, 뒷바퀴, 카바 중 하나에 배달통(654) 거치; 상기 발판, 바퀴, 뒷바퀴, 카바 중 하나에 배달통이 용접 또는 결합; b) 또는 바퀴의 중심축에 지지대(655) 설치; 상기 지지대에 바퀴의 카바 거치; 상기 발판, 지지대, 카바 중 하나 이상에 거치대(656) 장착; 상기 발판, 지지대, 카바,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배달통(654) 거치; 상기 발판, 지지대, 카바,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배달통이 용접 또는 결합; c) 또는 c1) 상기 발판 내지 거치대 중 하나 이상과 배달통 천공; 상기 천공 부위에 볼트 삽입; 상기 삽입된 볼트에 나사 끼움 또는 조임; 상기 끼움 또는 조임에 의하여 상기 발판 내지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배달통 결합; c2) 상기 발판, 바퀴, 뒷바퀴, 카바, 중심축, 지지대, 거치대, 배달통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오존기, 음이온기, 방전기, 살균기, 히팅기, 적외선기, 원적외선기 중 하나 이상이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 c3) 상기 자화기에 의하여 자기장,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 상기 방전기에 의하여 소독제, 상기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제, 상기 히팅기에 의하여 배달대상을 가열하는 열기, 적외선기에 의하여 적외선, 원적외선기에 의하여 원적외선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방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보드, 킥보드, 퀵보드, 전동보드, 이동보드, 이륜보드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보드 2는 a) 상기에 의하여 배달통이 구비된 배달수단인 보드, 퀵보드, 전동보드, 이동보드, 이륜보드, 자전거, 전동자전거, 이륜자전거 중 하나가 조성; b) 상기 배달통에 배달대상이 인입; c) 상기 히팅기 또는 열기에 의하여 상기 배달대상이 보온; d) 상기 배달통이 구비된 배달수단이 운행 또는 이동; e) 상기 배달수단이 배달 대상지에 도착; f) 상기 자화기 내지 원적외선기, 자기장 내지 원적외선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배달대상이 살균, 소독, 청정, 정화; g) 상기 배달통에서 배달대상이 인출; h) 상기 배달대상이 배달 주문자에게 인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 이상이 되게 하는 보드, 킥보드, 퀵보드, 전동보드, 이동보드, 이륜보드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보드 3은 a) 배달통, 의자 겸용의 배달통, 음식을 담거나 또는 배달하는 배달통, 치킨을 배달하는 배달통, 피자를 배달하는 배달통, 사람이 서는 전방 또는 후방에 배달통, 사람이 서는 전방의 운전대 또는 후방의 거치대에 배달통, 사람이 서는 후방에 위치한 뒷바퀴의 카바 또는 상부에 배달통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b) 상기 구비되면서 전원, 전기, 전동, 동력, 배터리 중 하나가 이용되어 운행되는 보드, 킥보드, 퀵보드, 전동보드, 이동보드, 이륜보드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보드 4는 보드(661), 상기 보드에 속하는 것으로 사람의 발이 안착되는 보드판(650), 상기 보드판 하부의 양측에 바퀴(652), 상기 바퀴에 연계되는 모터 또는 회전수단, 상기 모터 또는 회전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수단, 상기 바퀴의 브레이크, 상기 보드판 상부의 폴대(651), 상기 폴대에 설치된 운전대(649), 상기 운전대에 거치된 브레이크잡이, 상기 브레이크와 브레이크잡이 사이의 브레이크줄, 상기 보드판 후면의 적재대 또는 배달통(654), 상기 보드 또는 보드판을 자립하게 하는 지면 지지대(657),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보드 내지 지지대,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보드 내지 지지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드카는 1) 카(car), 이에 구비되는 화로, 조명, 라이트, 수조, 싱크대, 조리대, 튀김대, 그릇, 수저, 젓가락, 저장고, 수납장, 적재함, 냉장고, 커피머신; 2) 상기 싱크대에 구비된 도마, 칼; 3) 상기 싱크대에 거치된 수도콕 또는 수도꼭지; 4) 상기 싱크대 내지 수도꼭지 중 하나 이상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수조; 5) 상기 싱크대의 하부에 거치된 호스, 하수통, 하수시설; 6) 상기 화로에 속하는 버너, 삼발이; 7) 상기 화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통; 8) 상기 가스통의 보관대; 9) 상기 차의 전방에 거치된 선반, 진열대; 10) 상기 차의 전방 상부에 거치된 차양 또는 어닝; 11) 상기 차의 주변에 거치된 탁자, 의자, 텐트; 12) 상기 탁자에 거치된 파라솔; 13) 상기 차의 주변에 거치된 배너, 광고대, 광고판; 14) 상기 차 또는 탁자에 구비된 메뉴판; 15)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16) 자동 요리하는 자동 요리수단; 17) 음식 원료가 자동 공급되는 공급수단; 18) 상기 자동 공급되는 원료를 자동 요리하는 자동 요리수단; 19) 타이머가 설정된 상기 화로 내지 요리수단; 20) 상기 화로 내지 요리수단 중 하나 이상의 가동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 21) 상기 요리 또는 가동 시간을 알려주는 얼람수단; 22) 상기 요리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보관하는 쓰레기통; 23) 상기 요리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을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 24) 상기 음식물처리기에 속하는 카타, 미생물, 미생물투입기; 25) 상기 쓰레기와 미생물이 투입되는 음식물분해조; 26) 상기 카타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이 투입되는 음식물분해조; 27) 상기 카 내지 음식물분해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선, 콘센트, 플러그, 배터리, 전원공급기; 28) 또는 푸드앱, 업주폰, 업주앱, 손입폰, 손님앱, 통신망, 중앙서버, 종업원, 배달원, 배달수단; 29) 앱스토어에 올려지는 상기 푸드앱, 업주앱, 손님앱; 30) 상기 업주폰에 내려받는 또는 장착되는 상기 푸드앱 또는 업주앱; 31) 상기 손님폰에 내려받는 또는 장착되는 상기 푸드앱 또는 손님앱; 32) 또는 업체, 푸드, 메뉴, 업체 메뉴, 푸드 메뉴 중 하나 이상을 선택, 주문, 예약,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손님폰; 33) 상기 업체 내지 메뉴, 선택 내지 결제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상기 푸드앱, 업주앱, 손님앱; 34) 상기 선택 내지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푸드앱, 손님앱; 35) 상기 선택 내지 결제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상기 푸드앱, 업주앱; 36) 상기 업체 내지 메뉴, 선택 내지 결제 중 하나 이상이 관리되는 상기 중앙서버; 37) 상기 주문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38) 상기 요리 음식을 서빙하는 종업원; 39) 상기 배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요리 음식을 배달하는 배달원; 40) 상기 배달수단에 속하는 드론, 킥보드, 스크터, 자전거, 오토바이, 모빌리티; 41) 상기 카 내지 모빌리티 중 둘 이상을 통신 연결하는 통신망, 통신기; 42) 상기 차 내지 통신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꽃, 화환, 마차, 장식물, 조경물, 조형물, 포토존, 미니어추어, 데코레이션물; 43) 사진 촬영 배경이 되는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44)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45)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드트럭은 푸드트럭(food truck), 요리하는 트럭, 요리하고 판매하는 트럭, 요리하고 판매하고 배달하는 트럭, 음식을 요리하는 트럭, 음식을 요리하고 판매하는 트럭, 음식을 요리하고 판매하고 배달하는 트럭, 쿠킹과 병행하여 푸드를 배달하는 트럭, 쿠킹과 푸드의 배달이 가능한 트럭,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트럭 중 하나이다. 상기 커피트럭은 원두, 우유, 밀크, 프림, 물; 이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커피머신; 상기 커피머신에 의하여 제조되는 커피; 상기 커피가 투입되는 잔 또는 컵; 상기 잔의 받침대; 상기 컵의 홀더;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트럭이다. 상기 푸드트레일러는 푸드트레일러(food trailer), 차에 매달리는 푸드트레일러, 차에 견인되는 푸드트레일러, 차의 뒤에 매달리어 이동되는 푸드트레일러, 요리하는 트레일러, 요리하고 판매하는 트레일러, 요리하고 판매하고 배달하는 트레일러, 음식을 요리하는 트레일러, 음식을 요리하고 판매하는 트레일러, 음식을 요리하고 판매하고 배달하는 트레일러, 쿠킹과 병행하여 푸드를 배달하는 트레일러, 쿠킹과 푸드의 배달이 가능한 트레일러, 상기 차 내지 데코레이션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트레일러 중 하나이다.
상기 배달통은 a) a1) 배달통, 배달함, 배달팩, 철가방, 배달박스, 배달케이스; a2) 또는 음식, 피자, 치킨, 김밥, 곱창, 족발, 막국수, 짜장면, 탕수육, 콜라, 사이다. 음료수, 음식물, 먹거리, 식품, 용품, 물건, 물품, 제품, 상품, 식용품, 배달물, 배달물건, 배달대상물 중 하나 이상이 담겨지는 조, 통, 함, 백, 박스, 탱크, 용구, 용기, 가방, 몸체, 본체, 케이스, 하우징, 하우스, 중공통, 중공체; a3) 또는 배달물을 저장, 살균, 보온, 가열 중 하나 이상을 하는 통, 배달물을 저장, 살균, 보온, 가열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기능을 가진 통, 배달물을 저장, 살균, 보온, 가열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이 구비된 통, 또는 저장 공간, 살균수단, 보온수단, 가열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통;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케이스; b2) 이의 덮개; b3) 상기 케이스와 덮개 간의 자물수단; b4) 상기 케이스의 외피를 구성하는 이중막 또는 이중외피; b5) 상기 이중막 사이에 존재하는 단열용 빈공간; b6) 통풍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 내지 이중외피; b7) 상기 자물수단에 속하는 것으로 b71) 상기 케이스에 거치된 고리; b72) 상기 덮개에 거치된 고리; b73) 상기 2개의 고리에 인입되어 상기 고리를 체결하는 자물쇠; b8) 상기 케이스 내지 자물쇠, 케이스의 천장, 케이스의 바닥, 덮개의 내측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오존기, 음이온기, 방전기, 살균기, 히팅기, 적외선, 원적외선; b9)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 상기 방전기에 의하여 소독제, 상기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제, 상기 히팅기에 의하여 배달대상을 가열하는 열기, 적외선기에 의하여 적외선, 원적외선기에 의하여 원적외선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자물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덮개는 뚜껑, 덮개, 마개, 씌우개, 카바, cover, cap, top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물수단은 자물, 잠금, lock, 연결, 결합, 체결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캠핑카 또는 차박카는 a) 차, 버스, 트럭, 차량,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의 일부분, 차의 뒷부분, 트럭의 일부분, 트럭의 뒷부분, 트럭의 적재공간 중 하나를 방, 집, 부엌, 거실, 화장실, 주택, 하우스, 생활공간, 주거공간, 캠핑공간, 트레일러, 이동주택 중 하나 이상으로 한 것이거나, b) 또는 차에 상기 방 내지 이동주택 중 하나 이상을 조성한 것이거나, c) 또는 1) 기존차 반입, 2) 차의 내부에 구비된 물체 해체, 3) 차에 구비된 의자 해체, 4) 차의 내부를 2공간 이상으로 구획, 5) 차의 내부에 2공간 이상을 조성, 6) 상기 조성을 위하여 칸막이 설치, 7) 차의 내부에 방, 거실, 주방, 창고, 물탱크, 화장실 중 하나 이상을 설치, 8) 상기 차, 내부, 방 내지 화장실 중 하나 이상에 문, 창문, 출입문, 비상문, 서랍, 수납공간, 에어컨, 선풍기 중 하나 이상 설치, 9) 상기 방에 침대 설치, 10) 상기 거실에 쇼파, 탁자, 의자, 텔레비젼 중 하나 이상 설치, 11) 상기 주방에 칼, 도마, 후드, 조리기, 냉장고, 싱크대,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중 하나 이상 설치, 12) 상기 화장실에 변기, 행거, 세면대, 샤워대 중 하나 이상 설치, 13) 차의 내부에 인테리어 설치, 14) 차의 내부 또는 외부 도색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 차(車)이다.
상기 캠핑트레일러는 a) 캠핑용 트레일러, 또는 차, 트럭, 승용차 중 하나에 연계되는 상기 방 내지 이동주택 중 하나 이상이거나, b) 또는 1) 차체; 2) 상기 차체의 문, 비상문; 3) 상기 문의 손잡이; 4) 상기 문과 지면에 설치되는 계단, 출입계단, 접이식계단; 5) 상기 차체의 창문, 미당이창, 여닫이창; 6) 상기 차체의 엔진, 기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러레이터; 7) 상기 차체 하부의 바퀴; 8) 상기 바퀴의 카바; 9) 상기 차체 상부의 상부 통풍구; 10) 상기 차체 측면의 저장공간, 측면 통풍구; 11)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어닝, 차양, 텐트, 가림막, 햇빛가리개, 선바이저; 12)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견인수단; 13) 견인하는 차에 연결되는 상기 견인수단; 14) 상기 견인수단 하부의 받침다리; 15) 상기 차체, 차체 내부, 차체 외부, 견인수단 중 하나에 구비되는 가스통; 16) 상기 차체 내부의 방, 문, 거실, 화장실, 부엌, 싱크대, 수조, TV, 수납대; 17) 상기 싱크대의 수도콕, 수도꼭지; 18) 상기 화장실 내지 수도꼭지 중 하나 이상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수조; 19) 상기 수조의 펌프; 20) 상기 싱크대의 하부에 연계되는 호스, 하수구, 하수통, 하수시설; 21) 상기 화장실에 연계되는 정화조; 22) 상기 차체에 구비되는 통신기; 23) 상기 차체 내지 통신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콘센트, 플러그, 충전기, 배터리, 배터리케이스, 전원공급기, 태양발전기, 풍력방전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빌리티 17은 a) 콘, 망, 봉, 틀, 칩, 나선, 센서, 소자, 자석, 전극, 전지, 코일, 돌기, 회로, 도체, 반도체, 측정기, 레이더, 스캐너, 3D스캐너,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b)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전해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소독물, 살균물, 적외선물, 자외선물, 열화상물, 초음파물; c) 자화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파동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소독처리, 살균처리, 적외선처리, 자외선처리, 열화처리, 초음파처리; d) 상기 콘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처리; e) 상기 콘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처리; f)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g)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기; h)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물; i) 상기 콘 내지 3D스캐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j)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콘 내지 3D스캐너; k)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기; ℓ)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기; m)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진동물 내지 복합처리; n) 상기 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o) 상기 콘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에 의한 교반, 확산, 와류, 폭기, 정화, 청정, 세척, 세차, 세정, 소독, 살균, 방역;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대상을 상기 교반 내지 방역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물체의 예를 들면 a) 콘의 전 또는 후에 망이 거치되고, 상기 망의 전 또는 후에 봉이 거치되고, 상기 봉의 전 또는 후에 틀이 거치되고, 상기 틀의 전 또는 후에 나선이 거치되어 조성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b)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에 자성체가 거치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c) 상기 자성체에 파동체가 거치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d) 상기 자성체와 자력이 상이한 자력체가 상기 파동체에 거치되어 조성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e) 나선의 전 또는 후에 틀이 거치되고, 상기 틀의 일측에 망이 거치되고, 상기 망의 내부에 봉이 거치되고, 상기 봉에 콘이 끼움되어 조성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f)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에 자성체가 거치된 거치되어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g) 상기 자성체에 파동체가 거치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h) 상기 자성체와 자력이 상이한 자력체가 상기 파동체에 거치되어 조성된 콘망봉틀나선 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i)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자성체, 파동체, 자력체,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j)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자성체, 파동체, 자력체,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콘망봉틀나선, 기 내지 복합; k)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거치된 상기 콘망봉틀나선, 기 내지 복합; ℓ) 상기 콘망봉틀나선에 또는 상기 콘망봉틀나선이 거치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m) 상기 a) 콘망봉틀나선 내지 ℓ) 복합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구비된 중공체; n) 상기 중공체의 측면에 체크밸브, 인젝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중공체; o) 상기 중공체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p)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중공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 18은 전기, 유류, 가스, 수소, 태양, 태양광, 태양열, 바람, 풍력, 수력, 파력, 조력, 동력, 모터, 충전, 배터리, 전지,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수소탱크, 가스탱크, 연료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비행 중에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동력 또는 전기 또는 에너지; 상기 유류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전기; 상기 동력 또는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에 의하여 운전 또는 가동 또는 비행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8에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의 예로는 전기모터, 전기배터리, 전기발전기, 유류발전기, 가스충전기, 수소충전기, 태양발전기, 태양광배터리, 태양열동력, 바람태양발전기, 풍력태양발전기, 수력전기발전기, 파력태양발전기, 조력풍력수력발전기, 동력배터리, 배터리충전, 모터충전기, 배터리발전기, 전지동력, 건전지충전기, 충전지건전지, 충전기연료전지, 수소탱크 구비 발전기, 가스탱크 구비 발전기, 연료전지의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태양전지의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수소연료전지의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발전기의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태양발전기의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풍력발전기의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기 내지 복합은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모빌리티에 구비된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비행하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비행하는 모빌리티에 제공되는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네트워크,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의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드론, 모빌리티, 장치, 장비, 수단 등은 비행, 이동, 주행, 정지, 이륙, 착륙;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등에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배터리충전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풍력기, 태양전지, 배터리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비행하면서 상기 풍력기, 태양전지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전기, 배터리 중 하나 이상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것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19는 a) 상부 날개, 하부 본체, 상기 날개의 지지대, 이 지지대가 장착된 상기 본체,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 이 모터에 연계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 상기 본체에 장착된 탱크, 이 탱크에 담겨진 물질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탱크 또는 펌프에 연계되는 호스, 이 호스에 장착되는 벤츄리, 이 벤츄리에 장착된 인젝터, 이 인젝터에 장착된 오존기, 상기 인젝터와 오존기 사이에 장착된 밸브 또는 체크밸브, 상기 탱크 또는 펌프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에 연계되면서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 b)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의자, 부스, 탑승대, 운전대; c) 사람이 탑재되는 본체, 의자, 부스, 탑승대; d) 상기 날개 내지 탑승대 중 하나에 이상에 구비된 센서, 카메라,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등, 전등, 등불, 점멸등, 조명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e) 상기 날개 내지 조명장치 중 하나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0은 a) 4G, 5G, 6G, LTE, WiFi,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전기, 전자, 통신, 배터리, 정보기술(IT), 정보통신기술(ICT),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환경기술, 로봇기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지리정보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빅데이터,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카메라, 열화상카메라, GPR(ground penetrating radar), 레이더, 레코더, 마이크, 스피커, 라디오, 라우터, 모니터, 스크린, 스캐너, 3D스캐너, 3차원화, 4차원화, 메타버스, 미디버스, 블록체인, 3D프린팅, 3D프린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폰,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비, 장치, 시설, 설비, 부품,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c)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d) 상기 4G 내지 반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또는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콘 내지 복합기, 모터 내지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a) 기 내지 d)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 21은 a) 운전대(540),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543), 여객실, 승객실, 의자, 좌석, 책상, 식당(543), 카페(543), 사람(541, 542), 로봇(541, 542), 센서(610), 측정기(610), 촬영기(610), 카메라(610), CCTV(610),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54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b) 또는 b1) 자신(모빌리티)의 전, 중, 후, 상, 하, 좌, 우, 면, 표면, 속, 내부, 내면, 외부, 외면, 하부, 상부, 날개, 모터, 노즐, 디퓨저, 분사기, 운전대(540), 조정기; b2) 또는 상기 날개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콘 내지 복합기, 모터 내지 발전기, 4G 내지 네트워크, 운전대 내지 택배물보관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2는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540);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541), 센서(610), 측정기(610), 카메라(610), CCTV(610),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f) 상기 운전대(540)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1, 542), 로봇(541, 54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모빌리티(65)이다.
상기 모빌리티 23은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먼지제거, 조사 내지 리모델링, 파악 내지 수신 중 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b) 또는 상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모빌리티 14, 모빌리티 15, 모빌리티 16, 모빌리티 17, 모빌리티 18, 모빌리티 19, 모빌리티 20, 모빌리티 21, 모빌리티 22 중 둘 이상이 수행하는 내용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작업은 a) 작업 1, 작업 2, 작업 3, 작업 4, 작업 5, 작업 6, 작업 7, 작업 8, 작업 9, 작업 10, 작업 11, 작업 12, 작업 13, 작업 14, 작업 15, 작업 16, 작업 17, 작업 18, 작업 19, 작업 20, 작업 21, 작업 22, 작업 23, 작업 24, 작업 25, 작업 26, 작업 27, 작업 28, 작업 29, 작업 30, 작업 31, 모빌리티가 하는 작업 또는 하기 작업,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작업 또는 하기 작업, 상부에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작업, 공중을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작업 등이 가능하거나, b) 또는 상기 작업에는 작업 1, 작업 2, 작업 3, 작업 4, 작업 5, 작업 6, 작업 7, 작업 8, 작업 9, 작업 10, 작업 11, 작업 12, 작업 13, 작업 14, 작업 15, 작업 16, 작업 17, 작업 18, 작업 19, 작업 20, 작업 21, 작업 22, 작업 23, 작업 24, 작업 25, 작업 26, 작업 27, 작업 28, 작업 29, 작업 30, 작업 31, 모빌리티가 하는 작업 또는 하기 작업,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작업 또는 하기 작업, 상부에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작업, 공중을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작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업 1은 비행, 공중비행, 고공비행, 활공, 공중활공, 이동, 공중이동, 현장이동, 자재이동, 사람이동, 주행, 자율주행, 도로주행, 차량주행, 이송, 물건이송, 공중이송, 승객이송, 운송, 화물운송, 승객운송, 택시운송, 압송, 고공압송, 고층압송, 운행, 항공운행, 택시운행, 택시역할, 트럭역할, 운전, 이동운전, 비행운전, 수송, 상품수송, 물품수송, 전송, 영상전송, 이미지전송, 송신, 파일송신, 영상송신, 정보송신, 자료송신, 수신, 파일수신, 영상수신, 정보수신, 중개, 영상중개, 자료중개, 공인중개, 토지중개, 부동산중개, 시청, 영상시청, 도청, 소리도청, 감청, 정보감청, 통신, 무선통신, 교신, 상호교신, 송수신, 정보송수신, 운반, 공중운반, 음식운반, 이전, 자리이전, 이사, 집이사, 공급, 물질공급, 급유, 유류급유, 급수, 가뭄급수, 생수급수, 제공, 재료제공, 음식제공, 배달, 식품배달, 피자배달, 치킨배달, 물건배달, 송달, 원격송달, 전달, 무인전달, 택배, 무인택배, 비행택배, 상품택배, 탑승, 합승, 승용, 승객탑승, 탑재, 승객탑재, 물품탑재, 승차, 사람승차, 승객승차, 하차, 사람하차, 승하차, 택시승하차, 픽업, 라이딩, 딜리버리, 드라이빙, 비행, 공중비행, 택시비행, 장거리비행, 활공, 공중활공, 활동, 작업활동, 날기, 공중날기, 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딜리버리, 물품딜리버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계획, 작업계획, 공사계획, 단지계획, 비행계획, 조사, 현장조사, 현황조사, 지반조사, 답사, 현장답사, 탐사, 현장탐사, 물리탐사, 지질탐사, 지형탐사, 비파괴탐사, 탐지, 지질탐지, 음파탐지, 초음파탐지, 탐색, 현장탐색, 거리탐색, 수색, 현장수색, 산악수색, 정찰, 공중정찰, 주변정찰, 야간정찰, 실사, 현장실사, 현황실사, 시추, 지반시추, 보링시추, 보링, 지반보링, 굴착보링, 천공보링, 채취, 시료채취, 원료채취, 샘플채취, 시험, 현장시험, 실험, 자재실험, 야외실험, 분석, 현장분석, 지질분석, 지층분석, 해석, 지형해석, 구조해석, 모델해석, 모델링, 수치모델링, 컴퓨터모델링, 모델링해석, 매칭, 영상매칭, 도면매칭, 적산, 자재 적산, 예산 적산, 작업량 적산, 공사량 적산, 제도, 지형제도, 그림제도, 설계, 시설설계, 현장설계, 건물설계;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촬영, 작업촬영, 영상촬영, 현장촬영, 공사촬영, 항공촬영, 공중촬영, 비행촬영, 배달촬영, 택배촬영, 시설촬영, 인물촬영, 사람촬영, 사진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錄畵), 영상녹화, 공사녹화, 작업녹화, 영상화, 3차원영상화, 작업영상화, 조명, 공중조명, 야간조명 , 측정, 공기질측정, 수질측정, 위치측정, 좌표측정, GPS측정, 농도측정, 위치인식, 좌표인식, 측량, 사진측량, 항공측량, 공중측량, 지형측량, 지적측량, 센싱, 원격센싱, 온도센싱, 농도센싱, 환경센싱, 변위센싱, 위치센싱, 좌표센싱, 관측, 공중관측, 항공관측, 계측, 시설계측, 변형계측, 관찰, 현장관찰, 시설관찰, 도로관찰, 매핑, 지형매핑, 건물매핑, 관제, 현장관제, 작업관제, 공사관제, 중앙관제, 방범, 야간방범, 단지방범, 순찰, 현장순찰, 도로순찰, 공중순찰, 야간순찰, 컨트롤, 현장컨트롤, 작업컨트롤, 공사컨트롤, 프린팅, 도면프린팅, 3차원프린팅, 모니터링, 작업모니터링, 공사모니터링, 현장모니터링, 먼지모니터링;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촬영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4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제조, 자재제조, 물품제조, 공장제조, 현장제조, 약품제조, 수소제조, 배터리제조, 시멘트제조, 제작, 공장제작, 현장제작, 제품제작, 자재제작, 콘크리트제품제작, 발전, 태양발전, 풍력발전, 수력발전, 조력발전, 자가발전, 전기발전, 수소발전, 연료전지발전, 송전, 전기송전, 배전, 전기배전, 수전, 전기수전, 변전, 전기변젼, 조립, 제품조립, 생산, 자재생산, 제품생산, 콘크리트제품생산;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5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공사,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조경공사, 시공, 건축시공, 구조물시공, 건설, 도로건설, 터널건설, 교량건설, 시설건설, 구조물건설, 건축, 건물건축, 조립식건축, 개발, 단지개발, 축조, 시설축조, 설치, 자재설치, 비계설치, 형틀설치, 장비설치, 조경, 나무조경, 조형, 시설조형, 조각, 현장조각, 완공, 건물완공, 준공, 구조물준공, 운영, 시설운영, 건물운영, 관리, 공사관리, 시공관리, 시설관리, 작업, 공사작업, 시공작업,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표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해체, 건물해체, 철거, 시설철거, 재건축, 건물재건축, 재개발, 단지재개발,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리모델링공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6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발파, 암반발파, 터널발파, 화약발파, 굴착, 지반굴착, 굴삭, 지중굴삭, 개착, 지반개착, 기초공, 기초공사하는 기초공, 항타, 기초 항타, 파일 관입, 파일 지중 관입, 기초 매입, 기초를 지중에 삽입, 기초를 보링공에 삽입, 토공, 단지토공, 도로토공, 절토, 산악절토, 성토, 저지대성토, 정지, 바닥정지, 지면정지, 정리, 지반정리, 단지정리, 터파기, 지반터파기, 흙막이, 흙막이공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발파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7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저장, 물저장, 재료저장, 저장고에 저장, 투입, 재료투입, 호퍼로 투입, 혼합, 원료혼합, 몰틸혼합, 콘크리트혼합, 혼합토혼합, 벤토나이트혼합토혼합, 혼합기로 혼합, 배합, 레미콘배합, 배합기로 배합, 펌핑, 압력펌핑, 펌프로 펌핑, 가압, 콘크리트가압, 콤프레셔로 가압, 타설, 몰탈타설, 레미콘타설, 콘크리트타설, 형틀에 타설, 지중에 타설, 시멘트를 타설, 콘크리트를 타설, 타설기로 타설, 펌프카로 타설, 치기, 레미콘을 치기, 포설, 혼합토포설, 시멘트혼합토포설, 벤토나이트혼합토포설, 사면에 포설, 지면에 포설, 도로에 포설, 포설기로 포설, 지면에 살포, 농약 살포, 성형, 제품 성형, 자재 성형, 진동, 진동기로 진동, 콘크리트를 진동, 다짐, 혼합토다짐, 시멘트혼합토다짐, 벤토나이트혼합토다짐, 지중을 다짐, 교반다짐, 도로포장을 다짐, 롤러로 다짐, 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살수하여 양생, 양생기로 양생, 면처리, 표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숏팅기로 슬래그볼을 숏팅하여 면처리, 분사기로 재료를 분사하여 면처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8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믹싱, 흙믹싱, 재료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반경화제믹싱, 지반과 바인더 믹싱, 천층믹싱, 심층믹싱, DCM(deep cement mixing), 지중교반믹싱, 심층시멘트믹싱, 소일바인더믹싱, 지반과 고화제를 믹싱, 지중에 바인더를 투입하면서 믹싱, 믹싱기로 믹싱, 날개 달린 롯드를 회전하면서 믹싱, 지중에 기초 또는 기둥 조성을 위하여 지중에 바인더를 투입하면서 믹싱;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믹싱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9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포장, 재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인도포장, 박스포장, 물품포장, 음식포장, 외부포장, 외면포장, 강성포장, 연성포장, 탄성포장, 우레탄포장, 레미콘포장, 아스콘포장, 콘크리트포장, 흙콘크리트포장, 소일시멘트포장, 소일바인더혼합포장;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포장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0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조적, 벽돌조적, 벽돌쌓기, 미장, 벽미장, 표면미장,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시트방수, 매트방수, 우레탄방수, 아크릴방수, 시멘트방수, 아스팔트방수, 벤토나이트방수, 차수, 댐차수, 제방차수, 지수, 누수지수, 건물지수, 도장, 건물도장, 도색, 벽도색, 코팅, 면코팅, 벽코팅, 방식(防蝕), 전기방식, 페인팅, 벽페인팅, 실내페인팅, 실외페인팅;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조적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1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몰탈주입, 누수부주입, 균열부주입, 보링공에주입, 주사, 이젝션,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균열보수제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분사그라우팅, 고압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강관이용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2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살수, 물살수, 마스트살수, 살포, 연무살포, 미스트살포, 분사, 물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지중분사, 고압분사, 저압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연무분사, 녹생토분사, 분진제거분사, 먼지제거분사, 건조, 의류건조, 가습, 실내가습, 분무, 안개분무, 분수, 물분수, 녹화(綠花), 사면녹화, 식재, 법면식재, 정원식재, 숏크리트, 사면숏크리트, 굴착면숏크리트,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seed spray), 압력스프레이;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살수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3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준설, 해안준설, 바다준설, 모래준설, 매립, 해안매립, 삭도, 케이블삭도,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시설개량, 주택개량, 보강, 지반보강, 사면보강, 균열보강, 건물보강, 시설보강, 구조물보강;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준설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4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충진, 공동충진, 요철충진, 균열충진, 씽크홀충진, 충전, 동공충전, 크랙충전, 메움, 요철메움, 바다메움, 바닥메움, 채움, 뒤채움, 벽채움, 발포, 팽창발포, 체적발포, 재료발포, 팽창, 부피팽창, 자재팽창, 압축, 부피압축, 재료압축;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충진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5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석공, 돌붙이기, 목공, 목수작업, 토공, 흙깍기, 흙쌓기, 철근공, 철근조립, 콘크리트공, 콘크리트타설, 판금, 판붙이기, 지붕판금, 조립, 자재조립, 건축조립, 건물조립, 시설조립;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석공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6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관리, 공사관리, 공장관리, 현장관리, 시공관리, 작업관리, 원격관리, 본사관리, 지사관리, 의류관리, 업무관리, 시설관리, 감리, 공사감리, 작업감리, 감독, 현장감독, 작업감독, 공사감독, 산정, 토공량 산정, 절토량 산정, 성토량 산정, 골재량 산정, 토사량 산정, 폐기물량 산정, 작업량 산정, 공사량 산정, 감지, 시설감지, 감시, 현장감시, 공정감시, 원격감시, 지시, 작업지시, 공사지시, 원격지시, 지적, 작업지적, 공사지적, 원격지적, 명령, 작업명령, 수정명령, 보완명령, 원격명령, 조정, 작업조정, 공사조정, 공정조정, 조작, 원격조작, 작업조작, 수정, 작업수정, 보완, 작업보완, 보정, 작업보정, 오류보정, 통제, 작업통제, 원격통제, 중앙통제, 경비, 야간경비, 단지경비, 부대경비, 아파트경비, 경기, 축구경기, 야구경기, 훈련, 야외훈련, 산악훈련, 놀이, 야외놀이, 추적, 야외추적, 서비스, 안내서비스, 손님서비스, 진단, 교량진단, 시설진단, 터널진단, 안전진단;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7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정화, 환경정화, 오염정화, 청정, 공기청정, 먼지청정, 의류청정, 청소, 건물청소, 외벽청소, 전지판청소, 태양전지판청소, 날개청소, 풍력날개청소, 풍력발전날개청소, 세척, 외벽세척, 세차, 차량세차, 세정, 탱크세정, 세탁, 의류세탁, 세차, 차량세차, 정수, 물정수, 오염정수, 하수정수, 연못정수, 하천정수, 방역, 소독방역, 방제, 방재, 방제, 살균, 소독,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복구, 하천복구, 치유, 자연치유, 나무치유, 자가치유, 치료, 현장치료, 물리치료, 힐링, 균열힐링, 신체힐링, 처리, 오염처리, 의류처리, 폐기물처리, 면처리, 수처리, 댐처리, 연못처리, 하천처리, 씽크홀처리, 농약살포,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소독제포설, 농약살포,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정화 내지 복합 등의 예로 a) 램프 이용, 라이트 이용, 자외선 이용, 적외선 이용; b)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의 램프 이용,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의 라이트 이용,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의 자외선 이용,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의 적외선 이용; c) 또는 시설, 장비, 차량, 자재, 물품, 통로, 공기, 대기, 하우징, 드론, 모빌리티 등에 광촉매 분사; d) 상기 광촉매로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산화텅스텐(WO3), 산화텅스텐-이산화티타늄(WO3-TiO2), 황화아연(ZnS), 산화니켈(NiO) 및 산화철(Fe2O3) 등 이용; e) 상기 시설 내지 모빌리티, 상기 시설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면, 표면, 내면, 외면, 내벽, 외벽, 내부, 외부 등에 팔라듐(Pd), 티타늄(Ti), 백금(Pt), 로듐(Rh), 금(Au), 은(Ag), 텅스텐(W),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망간(Mn) 및 바륨(Ba), 소재금속, 금속소재 등을 코팅; f) 상기 시설 내지 외부 등에 오염, 공기, 대기, 오염공기, 오염성분 등을 투입; g) 또는 오염, 공기, 대기, 오염공기, 오염성분 등에 상기 시설 내지 외부 등 거치; h) 상기 시설 내지 외부, 광촉매 등에 램프빛 또는 자외선 조사; i) 상기 광촉매 물질들이 빛 또는 자외선을 받아서 각각의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고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 j) 상기 코팅층의 소재 금속들은 촉매제로써 일부 취약한 광촉매 성능을 보완; k) 상기 광촉매, 코팅층 등은 오염된 공기와 효과적으로 반응, 살균, 탈취, 정화, 화학반응; ℓ) 이산화티타늄(TiO2) 표면에 코팅된 팔라듐(Pd) 입자가 자외선(UV) 광에 의해서 산화된 후 광촉매 반응 시 여기된 전자가 팔라듐(Pd) 표면에서 오존과 반응하고 분해하여 전자의 재결합을 막아 광촉매의 효율을 향상; m)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n) 상기 시설 내지 모빌리티 등이 비행, 주행, 이동, 정지, 고정, 안착, 설치, 거치, 이륙, 착륙 등을 되면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작업 18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소화, 불 소화, 진화, 화염 진화, 방화, 불방화, 방역, 살균방역, 소독방역, 연무방역, 공중방역, 방사,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자외선방사, 적외선방사, 광촉매방사, 피톤치드방사, 발사, 포발사, 공중발사, 수중발사, 로켓발사, 어뢰발사, 발포, 공중발포, 연막발포, 공격, 지상공격, 공중공격, 방어, 공격방어, 진지방어, 지역방어, 수비, 지역수비, 공격수비, 조사, 빛조사, 광선조사, 음파조사, 초음파조사, 적외선조사, 레이저조사, 열적외선조사, 방재, 지진방재, 시설방재;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소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19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유입, 하수유입, 오염공기유입, 저류, 탱크저류, 저류조저류, 폭기, 팬폭기(fan aeration), 송풍폭기, 버블폭기, 반응, 생물반응, 응집반응, 응집, 화학응집, 생물응집, 침전, 플럭침전, 탈수, 원심탈수, 전기탈수, 압력탈수, 슬러지탈수, 필터프레스탈수, 벨트프레스탈수, 여과, 모래여과, 필터여과, 활성탄여과, 필터링, 오염필터링, 먼지필터링, 이물질필터링, 살균, 소독살균, 바이러스살균, 소독, 살균소독, 염소소독, 방류, 청정수방류, 청정공기방류, 처리수방류, 처리공기방류, 유출, 정화수유출, 정화공기유출;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0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반입, 현장반입, 폐기물반입, 선별, 골재선별, 폐기물선별, 분리, 폐기물분리, 파쇄, 암반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암석분쇄, 폐기물분쇄, 마쇄, 골재마쇄, 폐기물마쇄, 물에 의한 수쇄, 바람에 의한 풍쇄, 압력에 의한 압쇄, 세척, 골재세척, 토사세척, 분급, 골재분급, 야적, 골재야적, 적재, 골재적재, 적치, 토사적치, 반출, 골재반출, 매립, 폐기물매립, 매립장매립, 소각, 폐기물소각, 소각장소각, 처리, 폐기물처리, 재활용처리, 재활용, 폐기물재활용, 부산물재활용;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1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유입 내지 복합, 반입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으면서, 상기 작업 1 내지 작업 20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상기 작업 1 내지 작업 20 중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이다.
상기 작업 22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유입 내지 복합,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a) 하나 이상 작업, b) 또는 둘 이상 복합작업, c) 또는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작업, d)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작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3은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유입 내지 복합, 반입 내지 복합, 복합작업; b)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계획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발파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믹싱 내지 복합, 포장 내지 복합, 조적 내지 복합, 주입 내지 복합, 살수 내지 복합, 준설 내지 복합, 충진 내지 복합, 석공 내지 복합,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소화 내지 복합, 유입 내지 복합, 반입 내지 복합, 복합작업을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이라 표기하고자 한다.
상기 작업 24는 a) 사람, 주인, 집주인, 직원, 대리, 차장, 과장, 부장, 실장, 이사, 상무, 전무, 사장, 회장, 감리, 기사, 기장, 로봇, 제3자, 기술사, 기술자, 건물주, 감독관, 설계자, 작업자, 시공자, 감리자, 발주자, 드론,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b) 또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폰, 전화, 서버, 장치, 장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태블릿PC,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기기, 핸드폰, 모바일기(mobile kit), 무전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드론,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의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c)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d) 또는 집, 방, 주택, 자택, 시설, 건물, 본사, 지사, 회사, 건설회사, 설계사, 건축사, 시공사, 감리사, 현장, 공장, 작업장, 공사장, 구조물, 시설물, 아파트, 상황실, 관제실, 조종실, 발주처, 관공서, 감리실, 감독관실, 사무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e)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가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f)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가 상기 집 내지 사무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g)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 구비된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h)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가 상기 집 내지 사무실 중 하나에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i)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가 상기 집 내지 사무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상기 a) 기 내지 i) 복합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 25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와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전 또는 후에 수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와 병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6은 개, 펫, 사람, 동물, 고양이, 의복, 의류, 물체, 물질, 차량, 통행물, 존치물, 침전물, 퇴적물, 유입물, 출입물, 주변, 댐, 하천, 개천, 해안, 해양, 지반, 수질, 토양질, 공기질, 오염물, 병원균, 방, 집, 주택, 시설, 건물, 구조물, 시설물, 사무실, 아파트, 지하, 지하실, 주차장,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병원균,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관리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7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발파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믹싱 내지 복합; 또는 상기 포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조적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살수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충진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석공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관리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소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8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발파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믹싱 내지 복합; 또는 상기 포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조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살수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충진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석공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관리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소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29는 a) a1)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a2)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또는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이용, 구비,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와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와 병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면서 수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a) 드론, 모빌리티 등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b) 드론, 모빌리티 등은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작업, 비행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 그리고 상기 작업, 비행 내지 복합 등은 드론, 모빌리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작업 30은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b)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c) 또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발파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믹싱 내지 복합; 또는 상기 포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조적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살수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충진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석공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관리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소화 내지 복합;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31은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b) 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c) 또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하기 장치, 하기 장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촬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발파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믹싱 내지 복합; 또는 상기 포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조적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주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살수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준설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충진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석공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관리 내지 복합;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소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유입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반입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a)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장치 13, 장치 14, 장치 15, 장치 16, 장치 17, 장치 18, 장치 18, 장치 20, 장치 21,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가 구비된 장치, 장비에 구비된 하기 장치, 장비가 구비된 하기 장치, 하기 장치에 구비된 장비, 하기 장치가 구비된 장비, 모빌리티가 구비된 하기 장치, 모빌리티에 구비된 하기 장치, 상부에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치,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치, 하기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하기 장치에 구비된 모빌리티, 상기 작업을 하는 장치 등이 가능하거나, b)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분사하거나, c)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거나, d) 또는 d1)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살균물, 소독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처리물; d2)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복합물; d3)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하기 장치,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 1은 a) a1) 호스(70, 72, 76), 벤츄리관(77), 노즐(78, 66)의 순으로 구성되고, a2) 상기 호스(72, 76)로 가압 물질 또는 공기가 유입되고, a3) 상기 벤츄리관(77)의 축소부(53)에 1개 이상의 인젝터(93)가 구비되고, a4) 상기 인젝터(93)에 탱크(60), 오존기(95), 음이온기(95), 콤프레셔(105)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고, a5) 상기 탱크(60)의 물질 또는 소독제, 오존기의 오존, 음이온기의 음이온, 콤프레셔의 압기(壓氣)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인젝터(93)를 통하여 상기 벤츄리(53)로 유입되고, a6) 상기 노즐(78, 66)을 통하여 상기 물질, 공기, 소독제, 오존, 음이온, 압기(壓氣),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80) 이상이 분사되는 장치이거나, b) 또는 호스, 벤츄리관(77), 노즐(66), 축소부(53), 인젝터(93)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구비, 거치, 장착, 투입, 주입, 분사, 코팅, 도장, 도색 등이 되는 상기 a) 장치이다.
상기 장치 2는 a) 상기 호스, 벤츄리관, 노즐, 인젝터, 탱크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b) 상기 인젝터(93)에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c) 상기 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타이머(98); d)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되는 상기 노즐(66);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 3은 a) 유입 파이프(70, 72, 76); b) 상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벤츄리관(77); c) 상기 벤츄리관의 축소부(53)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거치된 인젝터(93); d) 상기 벤츄리관 후단에 연결된 유출 파이프(78); e) 상기 인젝터에 연결된 체크밸브(91); f)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된 호스(76); g) 상기 호스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기(95); h) 상기 호스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기(95); i) 상기 호스에 압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셔(105); j) 상기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92); k)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98); ℓ) 물 또는 공기 또는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 파이프(70, 72, 76); m)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n) 상기 개폐 시간 조정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또는 충격적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압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o) 상기 펄스압이 가미된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물, 공기, 물질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78); 로 구성되면서, p) 상기 유출 파이프에 호스(79), 노즐(66), 분사기(66), 수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 4는 a) a1) 자화, 진동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2), 진동기(1),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4), 자화진동기(4) 중 하나(1, 2, 4, 5, 6, 8), a2)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18), 내부에 거치대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 또는 상기 발생 수단 거치대,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184), 벤츄리관(185), 유출구(186), a3)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인젝터(188), 체크밸브(183), 솔레노이드밸브(184), 오존유입구(189), 오존깔대기(190), 오존발생기(191), 고전압발생기(192);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압기유입구(187), 이의 압기유입구 후단에 콤프레서(98); 중 하나 이상, a4)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8);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8);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8);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8);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파이프 중 하나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체크밸브(183), 펌프(103); 중 하나 이상, a5)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193), a6) 상기 자화기 내지 타이머 중 하나 이상이 내장되는 케이스(195)가 구비된 장치(40, 97)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5는 a) a1) 자화, 진동 자기장 중 하나 이상(6, 7, 8)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1, 2, 3), a2)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180), 내부에 거치대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 또는 상기 발생 수단 거치대, 후단에 티이관(182), 벤츄리관(185), 유출구(186) 중 하나 이상, a3) 상기 티이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183), 솔레노이드밸브(184), 벤츄리관(185), 압기유입구(187), 압기(62)를 생성하는 콤프레서(98) 중 하나 이상, a4)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인젝터(188), 체크밸브(183), 솔레노이드밸브(184),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61)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189), 오존깔대기(190), 오존(61)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191),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192) 중 하나 이상, a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8);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8);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8); 상기 인젝터 내지 압기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8);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8);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181);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 또는 티이관(182); 상기 파이프 중 하나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183), 펌프(103); 중 하나 이상, a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193), a7)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유입구 내지 유출구, 인젝터 내지 고전압발생기, 인젝터 내지 고전압발생기, 호스 내지 티이관, 타이머, 배전반 내지 전원 중 하나 이상이 내장되는 케이스(195)가 구비된 장치(40)이거나,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가 구비되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6은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와 이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5와 이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장치4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5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5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4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5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5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4의 유입구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5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5의 유출구에 상기 장치4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5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5의 유출구 호스에 상기 장치4의 유입구 호스가 연계된 상기 장치4와 장치5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4와 장치5가 연계되어 물질이 상기 장치4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4 및 장치5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5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5와 장치4가 연계되어 물질이 상기 장치5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5 및 장치4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4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장치 7은 a) a1) 유공 몸체; a2) 상기 몸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 a3)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a4) 상기 날개의 회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배출되는 틈이 형성되면서 외측이 평평하고 내측이 곡면인 속빈 링노즐; a5) 상기 배출된 바람이 빠르게 흐르는 상기 내측; 상기 배출된 바람이 느리게 흐르는 상기 외측; a6) 상기 빠름 및 느림에 의하여 상기 외측보다 기압이 낮은 상기 내측; a7) 상기 빠름, 기압 낮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내측; a8)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람과 같이 상기 내측을 통하여 흐르는 또는 송풍되는 링이 구비된 장치; b) 또는 상기 몸체 내지 링이 구비되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몸체 내지 링이 구비되면서 자화기, 진동기,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몸체 내지 링이 구비되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몸체 내지 링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송풍된 공기 및 바람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8은 a) 진동기 1, 진동기 2, 진동기 3, 진동기 4, 진동기 5, 진동기 6, 진동기 7, 진동기 8, 드론, 모빌리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진동기가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진동기를 거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거나, c) 또는 상기 진동기를 거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동기 1은 자기장을 조사(照射)하는 진동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가진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화기,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이다. 상기 진동기 2는 상기 복합기에 의하여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3은 빛, 자기장,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으로 물질을 처리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4는 a)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후에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후에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거나, b) 또는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후에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후에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진동자화기 또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5는 자기장의 조사 중에 진동, 가진, 오존이 방사된다. 상기 오존은 상호 대면되는 침과 판 사이의 전기방전에 의하여 방사(放射)되는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6은 케이스(7), 이의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2), 이의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91), 이의 로터 회전축(3), 이의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 이의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97)가 장착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에 자화기가 구비된 진동자화기이다.
상기 진동기 7은 a)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자화기(31)로 구성된 가진자화기; b)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자화진동기; c)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 및 부착판의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자화가진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하나가 구비된 진동기이다.
상기 진동기 8은 a) a1)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a2)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a3)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a4)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a5)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a6)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3)에 연계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b)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에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자화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장치 9는 a) 자화기 1, 자화기 2, 자화기 3, 자화기 4, 자화기 5, 드론, 모빌리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자화기가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자화기를 거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기를 거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 자화기 1은 자기장을 조사(照射)하는 진동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가진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화기,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이다. 상기 자화기 2는 상기 복합기에 의하여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자화기이다. 상기 자화기 3은 빛, 자기장,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으로 물질을 처리하는 자화기이다. 상기 자화기 4는 진동, 10∼150dB 진동,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 상기 회전에 의한 상기 비대칭 회전체 케이스의 진동 중 하나 후에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자화기이다. 상기 자화기 5는 a)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후에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후에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거나, b) 또는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후에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후에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가진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장치 10은 a) 오존기 1, 오존기 2, 오존기 3, 오존기 4, 드론, 모빌리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오존기가 포함되거나, b) 또는 상기 오존기를 거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거나, c) 또는 상기 오존기를 거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 오존기 1은 자기장을 조사(照射)하는 진동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가진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화기,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이다. 상기 오존기 2는 상기 복합기에 의하여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오존기이다. 상기 오존기 3은 빛을 방출하고, 자기장을 방출하고,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상기 빛, 자기장, 오존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으로 물질을 처리하는 자화기이다. 상기 오존기 4는 진동, 10∼150dB 진동,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 상기 회전에 의한 상기 비대칭 회전체 케이스의 진동 중 하나 후에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오존기이다.
상기 장치 11은 a) 필터, 사이클론 전처리 필터, 필터 후에 여과재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와 필터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상기 필터 내지 여과재필터 중 하나 이상이 삽입된 필터기, 필터통,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면서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0;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0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장치; b) 또는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0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c) 또는 상기 장치 11 a)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장치 11 b)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d) 또는 상기 장치 11 a)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장치 11 b)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면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e) 또는 상기 장치 11 a)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장치 11 b)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f)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분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g) 또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필터는 필터,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장치 12는 a)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면서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1;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1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드론; b) 또는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1; 상기 장치 1 내지 장치 11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드론; c) 또는 상기 장치 12 a) 드론 또는 b) 드론이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드론; d) 또는 상기 장치 12 a) 드론 또는 b) 드론이면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드론; e) 또는 상기 장치 12 a) 드론 또는 b) 드론이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드론; f)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분사되는 상기 드론; g) 또는 상기 드론, 이에서 제공되는 물질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13은 상기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드론, 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또는 하나에 구비된 장비, 장치, 기구, 시설, 설비, 드론, 튜브, 노즐, 호스,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믹싱기,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포장기, 다짐기, 정화기, 청정기, 청소기, 흡입기, 집진기, 샤워기, 처리기, 미스트기, 환기시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치 14는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소독, 살균, 집진, 숏팅,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장치 13, 드론,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장치 15는 상기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장치 13, 장치 14, 드론,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둘 이상이 조합 또는 연계된 복합 장치이다.
a) 상기 진동자화기는 진동기와 자화기, 진동기가 구비된 자화기, 진동기와 오존기가 구비된 자화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b)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기와 진동기, 자화기가 구비된 진동기, 자화기와 오존기가 구비된 진동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c)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기, 오존을 발생하는 진동기,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의 케이스가 진동하는 진동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d) 상기 자화기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오존을 발생하는 자화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e) 상기 오존기 또는 오존발생기는 e1) 오존기, 오존발생기, 전기방전 오존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오존으로 살균 또는 소독 처리하는 오존기, 전기방전에 의하여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e2) 또는 상기 원통관, 코일, 판, 침, 솔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방전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는 오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장치 16은 벤츄리관,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가 순차적으로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 1 내지 12 중 하나에 벤츄리관,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가 순차적으로 연계된 것이다.
상기 장치 17은 상기 장치 1 내지 16; 상기 벤츄리관 내지 음이온기; 상기 장치 1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의 전, 중, 후, 좌, 우, 속,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외부, 중앙부; 중(中) 하나 이상에 호스, 튜브, 파이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회전기, 전해기, 방전기, 소독기, 살균기; 상기 호스 내지 살균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장치 18은 상기 장치 1 내지 중앙부, 호스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펌프, 가압기, 콤프레셔 중 하나가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 1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펌프, 가압기, 콤프레셔 중 하나로부터 압기(壓氣)가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장치 19는 상기 장치 1 내지 복합기, 펌프 내지 콤프레셔 중 하나 이상에 전선, 케이블,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타이머,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장치 20은 박스 또는 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장치 1 내지 19 중 하나이다. 상기 장치 21은 상기 장치 1 내지 20 중 둘 이상이 연계된 복합 장치이다.
상기 장비, 장치가 구비되는 장비, 드론에 연계되는 장비, 모빌리티에 연계되는 장비 등은 장비 1, 장비 2, 장비 3, 장비 4, 장비 5, 장비 6, 장비 7, 장비 8, 장비 9, 상기 작업을 하는 장비, 상기 작업을 하는 모빌리티, 상기 작업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장비가 구비된 모빌리티, 장비에 구비된 모빌리티,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상부에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모빌리티에 구비된 장비, 비행하는 모빌리티에 연계된 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하기 장비,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되는 하기 장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비 1은 상기 기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기;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또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2는 상기 장치, 모빌리티, 장치 구비 모빌리티, 모빌리티 구비 장치,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3은 a) 저장고, 투입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이송기, 이송라인, 굴착기, 보링기, 타설기, 주입기, 믹싱기, 분사기, 부착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진동기, 성형기, 양생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도색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면처리기; b)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c)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장비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드론저장고, 드론투입기, 드론혼합기, 드론펌프, 드론가압기, 드론이송기, 드론이송라인, 드론굴착기, 드론보링기, 드론타설기, 드론주입기, 드론믹싱기, 드론분사기, 드론부착기, 드론포설기, 드론포장기, 드론다짐기, 드론진동기, 드론성형기, 드론양생기, 드론숏팅기, 드론코팅기, 드론도장기, 드론도색기, 드론정화기, 드론청정기, 드론공사기, 드론처리기, 드론면처리기, 모빌리티저장고, 모빌리티투입기, 모빌리티혼합기, 모빌리티펌프, 모빌리티가압기, 모빌리티이송기, 모빌리티이송라인, 모빌리티굴착기, 모빌리티보링기, 모빌리티타설기, 모빌리티주입기, 모빌리티믹싱기, 모빌리티분사기, 모빌리티부착기, 모빌리티포설기, 모빌리티포장기, 모빌리티다짐기, 모빌리티진동기, 모빌리티성형기, 모빌리티양생기, 모빌리티숏팅기, 모빌리티코팅기, 모빌리티도장기, 모빌리티도색기, 모빌리티정화기, 모빌리티청정기, 모빌리티공사기, 모빌리티처리기, 모빌리티면처리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의 예로는 드론 구비 저장고, 드론 구비의 투입기, 드론이 구비된 혼합기, 드론 구비 펌프, 드론 구비 가압기, 드론 구비 이송기, 드론 구비 이송라인, 드론 구비 굴착기, 모빌리티 구비 보링기, 모빌리티 구비 타설기, 모빌리티 구비 주입기, 모빌리티 구비 믹싱기, 모빌리티 구비 분사기, 모빌리티 구비 부착기, 모빌리티 구비 포설기, 모빌리티 구비 포장기, 모빌리티 구비 다짐기, 모빌리티 구비의 진동기, 모빌리티가 구비된 성형기, 모빌리티 구비 양생기, 모빌리티 구비 숏팅기, 모빌리티 구비 코팅기, 모빌리티 구비 도장기, 모빌리티 구비 도색기, 모빌리티 구비 정화기, 모빌리티 구비 청정기, 모빌리티 구비 공사기, 모빌리티 구비 처리기, 모빌리티 구비 면처리기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저장고는 조, 통, 함, 탱크, 박스, 전지, 수소통, 가스통, 배터리, 저장고, 사일로, 재료 저장고, 재료를 저장하는 저장고, 저장하는 수단 또는 장비, 공사 재료를 저장하는 저장고,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저장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b) 상기 투입기는 호퍼, 투입기, 재료 투입기, 투입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기, 재료를 혼합기에 투입하는 투입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투입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c) 상기 혼합기는 믹서, 혼합기, 날개 회전 혼합기, 날개 장착 롯드 회전 혼합기, 재료 혼합기, 혼합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공사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투입기로 투입되는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혼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d) 상기 펌프는 펌프, 가압기, 재료 펌프, 펌핑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재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펌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e) 상기 가압기는 펌프, 가압기, 콤프레셔, 재료 가압기, 가압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가압하는 가압기, 재료를 가압하여 타설기로 보내는 가압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가압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f) 상기 이송기는 호스, 라인, 파이프, 이송기, 재료 이송기, 이송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기,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이송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g) 상기 이송라인은 호스, 튜브, 라인, 파이프, 이송라인, 공급라인, 파이프라인, 재료 이송라인,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라인, 상기 가압기에서 가압된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라인,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이송라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h) 상기 굴착기는 백호, 굴착기, 굴삭기, 포크레인, 지반 굴착기, 암반 굴착기, 지중 굴착기, 굴착하는 수단 또는 장비, 상기 이송라인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면서 굴착하는 굴착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굴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i) 상기 보링기는 보링기, 착정기, 지반 보링기, 암반 보링기, 지중 보링기, 그라우팅 보링기, 보링하는 수단 또는 장비, 상기 이송라인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주입하면서 보링하는 보링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보링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j) 상기 타설기는 타설기, 펌프카, 콘크리트 펌프카, 재료 타설기, 콘크리트 타설기, 타설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형틀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기, 지중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구조물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지중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지중에 기포를 타설하는 타설기, 지중에 연직배수재를 타설하는 타설기, 지중에 PBD재(plastic board drain재 또는 prefabricated board drain재)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타설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k) 상기 주입기는 주입기, 주사기, 인젝터, 그라우터, 그라우팅기, 재료 주입기, 인젝션 주입기, 그라우팅 주입기, 주입하는 장비,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기, 재료를 형틀에 주입하는 주입기, 재료를 지중에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이송라인으로 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주입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ℓ) 상기 믹싱기는 믹싱기, 지중 믹싱기, 소일 믹싱기, 심층 믹싱기, 천층 믹싱기, 재료 믹싱기, 믹싱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반과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반에 투입된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지반에 투입된 재료와 슬래그볼을 믹싱하는 믹싱기, 공사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이송라인으로 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믹싱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m) 상기 분사기는 노즐, 디퓨저, 분사기, 스프레이어, 그라우팅기, 그라우팅 분사기, 고압 분사기, 저압 분사기, 시드(seed) 스프레이어, 재료 분사기, 숏팅 분사기, 블라스팅 분사기, 숏크리트 분사기, 녹생토 분사기, 시드 분사기, 분사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형틀에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지중에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지중에 재료와 슬래그를 분사하는 분사기, 지중에 재료와 풍쇄슬래그를 분사하는 분사기, 지중에 롯드를 관입하여 재료와 풍쇄슬래그를 분사하는 분사기, 지중에 관입된 롯드를 통하여 재료와 풍쇄슬래그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이송기로 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분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n) 상기 부착기는 부착기, 재료 부착기, 벽지 부착기, 장판 부착기, 부착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부착하는 부착기, 벽지를 벽에 부착하는 부착기, 상기 저장고에 저장된 재료를 부착하는 부착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부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o) 상기 포설기는 포설기, 살포기, 장판 포설기, 레미콘 포설기, 아스콘 포설기, 콘크리트 포설기, 포설하는 장비, 재료 포설기, 벽지 포설기, 재료를 포설하는 포설기, 상기 투입기로 투입되는 재료를 포설하는 포설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포설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p) 상기 포장기는 포장기, 포설기, 재료 포장기, 도로 포장기, 인도 포장기, 콘크리트 포장기, 포장하는 장비, 재료를 포설하는 포장기, 공사 재료를 포설하는 포장기, 상기 투입기로 투입되는 재료를 포장하는 포장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포장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q) 상기 다짐기는 롤러, 다짐기, 콤팩터, 진동 다짐기, 충격 다짐기, 포장 다짐기, 재료 다짐기, 지반 다짐기, 다짐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도로포장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재료를 지중에 넣어 다짐하는 다짐기, 공사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타설기로 타설되는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타설기로 지중에 타설되는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다짐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r) 상기 진동기는 진동기, 봉 진동기, 재료 진동기, 다짐 진동기, 충격 진동기, 레미콘 진동기, 콘크리트 진동기, 진동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타설된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공사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상기 타설기로 타설된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진동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s) 상기 성형기는 틀, 폼, 몰드, 형틀, 슬립폼, 성형기, 거푸집, 재료 성형기, 콘크리트 성형기, 성형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공사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성형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250)이다. t) 상기 양생기는 양생기, 살수 양생기, 공기 양생기, 증기 양생기, 재료 양생기, 콘크리트 양생기,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양생하는 수단 또는 장비, 공사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타설기로 타설된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타설기로 타설된 재료에 살수하여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양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폼은 폼, form, 형틀, 슬립폼,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립폼은 슬립폼, slip form, 슬라이딩폼, 이동형 거푸집,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 아파트(310) 건축에 사용되는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250), 상부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 건물(310)이 건축되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250), 콘크리트를 칠 때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 올리면서 이음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콘크리트 면에 따라 거푸집을 서서히 활동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수 있는 거푸집, 건축되는 건축물(310)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 거푸집(250), 아파트 건물(310) 외곽의 4각에 폐합되도록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아파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일정 형상을 가진 거푸집(250) 등이 해당된다.
u) 상기 숏팅기는 숏팅기, 블라스팅기, 재료 숏팅기, 숏팅하는 장비, 재료를 분사하는 숏팅기, 시설 표면에 재료를 분사하는 숏팅기, 시설 표면에 재료를 분사하여 시설 표면을 연마하는 숏팅기, 시설 표면에 재료를 분사하여 시설 표면의 녹을 제거하는 숏팅기, 상기 이송기로 이송되는 재료를 숏팅하는 숏팅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숏팅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v) 상기 코팅기는 코팅기, 재료 코팅기, 코팅하는 수단 또는 장비, 시설을 코팅하는 코팅기,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기, 상기 가압기로 가압되는 재료를 시설에 분사하여 코팅하는 코팅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코팅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w) 상기 도장기 또는 도색기는 도장기, 페인터, 도색기, 재료 도장기, 도장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분사하는 도장기, 시설면을 도장하는 도장기, 표면을 도장하는 도장기, 재료를 분사하여 표면을 도장하는 도장기, 상기 가압기로 가압되는 재료를 시설에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도장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x) 상기 정화기 또는 청정기는 a) 필터, 여과재, 흡착탑, 정화탑, 청정탑, 정화기, 청정기, 청소기, 세척기, 세차기, 세정기, 살균기, 소독기, 처리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토양정화기, 수질정화기, 폐수정화기, 공기청정기; b) 또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정화 또는 청정하는 상기 필터 내지 음이온기; c) 상기 필터 내지 음이온기 중 둘 이상 복합기; 상기 필터 내지 음이온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정화기 또는 청정기에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정화기 또는 청정기, 비행하는 정화기 또는 청정기, 정화기 또는 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정화 또는 청정 기능을 가진 드론 또는 모빌리티, 필터 등이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면서 정화 또는 청정을 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등도 가능하다.
y) 상기 공사기는 공사기, 공사기기, 공사수단, 공사장비, 건설장비, 토목장비, 건축장비, 공사하는 장비, 시설 공사기, 건설 공사기, 공사하는 장비, 공사하는 공사기, 시설을 조성하는 공사기, 건물을 건설하는 공사기, 상기 공사장비가 이용되는 공사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공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z1) 상기 처리기는 처리기, 면처리기, 재료처리기, 정화처리기, 토양처리기, 공기처리기, 수질처리기, 폐기물처리기, 처리하는 수단 또는 장비,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기, 시설을 처리하는 처리기,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기, 상기 필터 내지 음이온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z2) 상기 면처리기는 손, 쇠손, 흙손, 고대, 양고대, 마루멘, 피니셔, 기리스기, 냉가고대, 가각고대, 메지고대, 미장칼, 미장기, 단발기, 쌍발기, 스크리드, 면처리기, 시설의 면처리기, 표면을 처리하는 면처리기, 콘크리트면을 처리하는 면처리기, 상기 공사장비에 연계되는 면처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는 수(水), 물(水), 액(液), 유(油), 제(劑), 재(材), 볼, 빔, 봉, 판, 바(bar), 철, 근, 강철, 철근, 리바(rebar), 철골, 금, 은, 구리, 아연, 금속, 팩, 망, 망사, 팩망, 철망, 섬유망, 막, 네트, 격자, 매트, 시트, 막대, 재료, 자재, 건자재, 공사재, 건설재, 건축재, 시공재, 조경재, 주자재, 부자재, 약품, 수지, 세제, 석재, 목재, 나무, 편백나무, 철재, 벽재, 철근, 철골, 판재, 합판, 보드, 필터, 섬유, 직포, 부직포, 강섬유, 유리섬유, 화이버, 벽돌, 블럭, 타일, 벽지, 장판, 박스, 암거, 흄관, 파일, 기초, 기둥, 피어, 케이슨, 파이프, 슬라브, PHC파일(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또는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바인더, 고화제, 폴리머, 발수제, 코팅제, 숏팅제, 도장제, 도색제, 정화제, 청정제, 청소제, 살균제, 소독제, 방수제, 방수재, 방수막, 차수재, 차수막, 방수매트, 방수시트, 페인트, 배수재, PBD재(plastic board drain재 또는 prefabricated board drain재), 수지재, 고무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모래, 자갈, 골재, 쇄석, 몰탈, 광물, 점토, 황토, 슬래그, 슬래그볼, 볼슬래그, 수쇄슬래그, 풍쇄슬래그. 슬러지, 슬러리, 카올린,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광촉매,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녹생토, 미생물, 나노재, 나노미터재, 피톤치드, 내장재, 외장재, 개량재, 보강재, 보수재, 수선재, 내진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시드스프레이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초는 기초, 파일, 기둥,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깊은기초, 건물기초, 교량기초, 구조물기초, 아파트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로 조성된 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로 조성된 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파일은 파일, 기둥, 지중파일, 목재파일, 공장파일, 현장파일, PHC파일, 콘크리트파일, 현장타설파일, 샌드콤팩션파일(SCP; sand compaction pile), 자갈콤팩션파일(GCP; gravel compaction pile), 쇄석콤팩션파일(CCP;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슬래그콤팩션파일(SCP; slag compaction pile), CIP(cast in place pile),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조성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장비 4는 a)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고, 이에 저장된 재료를 혼합기에 투입하는 호퍼 또는 투입기, 상기 저장 또는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투입 또는 혼합된 재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재료를 가압하는 가압기, 상기 펌핑 또는 가압된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기, 상기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라인,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기, 지반을 보링하는 보링기, 하기 성형기 또는 상기 굴착된 굴착부 또는 보링된 보링부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재료를 형틀 또는 지중 또는 굴착부 또는 보링부에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재료가 투입된 지반 또는 보링부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이송라인에서 이송된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재료를 부착하는 부착기, 상기 이송기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포설하는 포설기,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재료를 지면에 포장하는 포장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되는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주입기로 주입된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자신에 투입된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재료에 물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가압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숏팅기, 상기 이송기에서 이송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코팅기, 상기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도장기, 상기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도색기, 폐수를 정화하는 정화기, 공기를 청정하는 청정기, 공사를 하는 공사기, 공사 장비인 공사기, 재료를 분사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처리기, 상기 양생된 재료의 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면처리기; b)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c)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장비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5는 상기 장치 또는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분사되는, 또는 상기 분사되어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6은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전기분해기), 방전기(전기방전기), 음이온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7은 a) 진동기, 봉진동기, 복수진동기, 자화진동기, 가진진동기, 오존진동기, 음이온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진동기; b) 또는 케이스; 이의 내부에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이 회전축에 구비된 비대칭 회전체;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케이블; 이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진동기; c) 상기 진동기, 케이스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 방전기, 음이온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방사되는 물질,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8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다짐, 진동다짐, 다짐진동, 자화다짐, 가진다짐, 오존처리, 오존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처리, 음이온청정, 유동화, 연성화, 조밀화, 슬러리화, 슬럼프화, 슬럼프치증가, 공기배출, 가스배출; b)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e)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9는 a) a1) 링, 오링, 잭, 암잭, 수잭, 시거잭, 소켓, 암소켓, 수소켓, 플랜지, 밸브, 볼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니플, 엘보, 레듀샤, 볼트, 너트, 와셔, 가스켓, 스트레이너, 커플링, 커플러, 조인트, 조인트관, 조인터, 관조인터, 콕, 수도콕, 배수콕, 꼭지, 수도꼭지, 노즐, 디퓨저, 어댑터, 티이관, 이경티이관, 관, 관로, T관, Y관, L관, 벤츄리, 벤츄리관, 밴드, 튜브, 사이클론, 스프링클러, 조, 통, 함, 탱크, 박스, 전지, 수소통, 가스통, 배터리, 호스, 라인, 파이프, 파이프라인; a2)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기,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a3)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구비된 상기 기(器 or 機),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구비된 또는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링 내지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에는 상기 링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작업, 공사, 작업 1 내지 작업 31, 공사 내지 복합 등은 드론, 모빌리티, 사람, 인부, 작업자, 로봇, 기사, 기장, 전문가, 기술자, 운전사, 운전기사, 택배기사, 장비기사 등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드론 내지 장비기사 등은 상기 작업, 공사, 작업 1 내지 작업 31,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칩 내지 반도체,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은 상기 사람 내지 장비기사 등에 의하여 이용, 가동, 운전, 비행,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내지 장비기사 등은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이용 내지 이동 등을 할 수가 있거나, 또는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이용 내지 이동 등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작업 또는 작업방법은 실시예 3에 의하면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공중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시스템 중 하나를 이용하여 또는 하나가 이용되어, a) 작업이 되거나, b) 또는 작업을 하거나, c) 또는 하기 1, 2, 3 중 하나가 되거나, d) 또는 하기 1, 2, 3 중 하나를 하거나, e) 또는 하기 1, 2, 3 중 하나의 작업이 되거나, f) 또는 하기 1, 2, 3 중 하나의 작업을 하는 것이다.
상기 1은 실시예 2의 모빌리티 1에 기재된 바와 같거나, 모빌리티 1이 수행하는 것 또는 작업과 같다. 상기 2는 a)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을 하면서 연무, 연기, 오존, 농약, 음이온, 청정제, 정화제, 소독제, 살균제, 소화제, 진화제, 광촉매, 미스트,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살포; b) 상기 살포하는 기기 구비; c) 상기 살포하면서 작업, 하기 장치 구비, 하기 장치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장치 이용 작업; d) d1)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d2)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비; e) 상기 구비하면서 작업, 하기 장치 구비, 하기 장치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하기 장치 이용 작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3은 a) 하기 장치 구비; b) 하기 장치를 이용한 작업; c)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 분사; d)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하기 장치 거치; e)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a) 하기 장치이거나, b) 또는 자신 또는 하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분사하거나, c) 또는 자신 또는 하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작업,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 및 작업은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작업 또는 작업방법은 실시예 4에 의하면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공중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시스템 중 하나의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으로, 또는 상기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작업으로서, 또는 상기 모빌리티가 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작업; 이의 전, 중, 후, 동시, 중간, 도중, 시작, 쉼, 정지, 휴지, 마침, 종료;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모빌리티가 이동 또는 비행 또는 정지 또는 착륙한다. 상기 작업은 실시예 1, 2, 3 등에 기재된 작업, 또는 실시예 1, 2, 3 등의 모빌리티에 기재된 작업, 또는 실시예 1, 2, 3 등의 모빌리티가 수행하는 것 또는 작업 등과 같다.
본 발명에서 공사 또는 공사 방법은 실시예 5에 의하면, 공사에 있어서, 또는 건설, 토목, 건축, 조경, 시설,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목조, 철골,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중 하나의 공사에 있어서, 또는 공사 중에, 또는 상기의 하나 공사 중에, a) 모빌리티가 a1) 공사 작업을 하고, a2) 상기 공사 장면 또는 작업을 촬영하고, a3) 상기 촬영 영상을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시청 중 하나 이상을 하고, a4) 먼지를 측정, 제거, 살수, 정화, 청정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b) 모빌리티로 공사 장면이 촬영되고, 상기 촬영된 촬영물이 송신기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전송물이 수신기로 수신되거나, c)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물을 집, 본사, 지사, 원격, 사무실, 상황실, 발주처, 사람, 주인, 직원, 건물주, 발주자, 감독관, 제3자, 서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SNS,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mobile kit), 모니터, 스크린 중 하나로 전송하여 상기 집 내지 스크린 중 하나에서 상기 공사 장면을 시청 또는 볼 수 있도록 하거나, d) 또는 모빌리티로 공사 장면 촬영, 먼지 농도 측정, 먼지 제거, 먼지 제거를 위한 살수, 오염 정화, 먼지 정화, 공기 청정, 상기 촬영된 영상 송신, 상기 송신된 영상 수신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e) 또는 모빌리티로 공사 장면 촬영, 상기 촬영된 영상 송신, 공사 먼지 정화를 하거나, f) 또는 상기 공사의 재료 또는 현장을 f1) 모빌리티로 자화, 진동, 가진, 파동, 다짐, 진동다짐, 다짐진동, 자화다짐, 가진다짐, 소독, 살균,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광촉매분사, 피톤치드분사, 오존처리, 오존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처리, 음이온청정, 유동화, 연성화, 조밀화, 슬러리화, 슬럼프화, 슬럼프치증가, 공기배출, 가스배출; f2) 모빌리티가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f3) 모빌리티에 구비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 방전기, 음이온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모빌리티가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e)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g) 또는 상기 공사, 작업, 촬영, 찍기, 사진찍기,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시청, 측정, 제거, 살수, 정화, 청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h) 또는 비행을 하는 모빌리티가 이용되거나, i) 또는 비행을 하면서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가 이용되거나, j) 또는 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를 할 수 있다.
상기 1은 모빌리티로, 또는 모빌리티가 비행 또는 이용되어 공사, 건설, 건축, 보수, 보강, 수리, 개량, 재개발, 재건축,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정수, 분사, 살수, 쇼팅, 블라스팅, 먼지제거;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에 상기 공사 내지 재건축; 상기 공사 내지 재건축 중 하나에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2는 상기 공사 내지 먼지제거; 이중 하나의 장면, 작업, 현황, 상황, 진도, 시설, 단지, 대지, 부지, 공간, 공중, 시설, 건물, 구조물, 현장, 작업장, 인부, 로봇, 작업자, 공사로봇, 작업로봇;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 파일, 녹화물, 이미지, 촬영물, 영상물 중 하나를 실시간으로 또는 촬영과 동시에 전송, 무선전송, 유선전송, 인터넷전송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3은 상기 전송된 영상, 파일, 녹화물, 이미지, 촬영물, 영상물 중 하나가 집, 본사, 지사, 원격, 사무실, 상황실, 발주처, 사람, 주인, 직원, 건물주, 발주자, 감독관, 제3자, 서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SNS,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 모니터, 스크린 중 하나에서 수신되는 것이다.
상기 4는 모빌리티로, 또는 모빌리티가 비행 또는 이용되어 공사의 장면, 작업, 현장, 시설,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 영상을 원격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5는 모빌리티로, 또는 모빌리티가 비행 또는 이용되어 a) 촬영, 찍기, 사진찍기, 영상 촬영, 공사 영상 촬영, 녹화, 영상화, 측정, 온도 측정, 먼지 측정, 측량, 지형 측량, 계측, 변위 계측, 관측, 공사 관측, 진단, 안전 진단, 관리, 공사 관리, 송신, 영상 송신, 수신, 영상 수신, 통신, 무선 통신, 교신, 상호 교신, 송수신, 정보 송수신, 조사, 현장 조사, 탐사, 지형 탐사, 지장물 탐사, 매핑(mapping), 지도 매핑, 지도 제작, 지형도 제작, 현황도 제작, 공사현황도 제작, 설계와 비교, 설계도면과 비교, BIM(building information method)도면과 비교, 상기 현황도와 설계도 비교, 상기 현황도와 BIM도면 비교; b) 상기 촬영 내지 진단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관리 내지 비교; c) 상기 촬영 내지 진단 중 하나의 자료 또는 결과물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내지 비교; d) 또는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정수, 분사, 살수, 쇼팅, 블라스팅, 먼지제거; e) 상기 촬영 내지 비교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f)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촬영 내지 비교;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6은 a)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비행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가 구비된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7은 a)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비행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가 구비되면서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 내지 복합에는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 기 내지 반토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8은 a) 비행하면서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가 구비된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9는 a)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면서 비행하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가 구비된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10은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 방전기, 음이온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방사되는 물질,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d) 상기 물질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11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12는 상기 공사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면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드론, UAM, 비행기, 모빌리티 등은 드론(drone), 차(車, car), 차량, 택시(taxi), 콜택시, 버스(bus), 트럭(truck), 배(ship), 보트(boat), 선박, 보드(board), 기차(train), 열차, 전동차, 지하철,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전동으로 이동하는 전동킥보드, 속도가 빠른 퀵보드, 카트, 전동에너지 이용의 전동카트, 스크터, 전동으로 주행하는 전동스크터, 자전거,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자전거, 바이크, 전동바이크, 오토바이, 전기 동력이 이용되는 전기오토바이, 카 용도의 드론인 드론카, 택시 용도의 드론인 드론택시, 버스 용도의 드론인 드론버스, 트럭 용도의 드론인 드론트럭,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하늘을 이동하는 택시인 항공택시, 하늘을 이동하는 버스인 항공버스, 하늘을 비행하는 택시인 비행택시, 하늘을 비행하는 버스인 비행버스, 하늘 택시인 에어택시, 하늘 버스인 에어버스, 이륙 및 착륙하는 기기인 이착륙기, 수직으로 이륙 및 착륙하는 기기인 수직이착륙기, 이륙 및 착륙하는 전기 이용 기기인 전기수직이착륙기, 날라다니는 카인 플라잉카, 날라다니는 택시인 플라잉택시, 날라다니는 버스인 플라잉버스, 날라다니는 트럭인 플라잉트럭, 하늘을 나는 차(car), 하늘을 나는 택시, 하늘을 나는 버스, 하늘을 나는 수단, 무인 운전의 무인비행기, 유인 운전의 유인비행기, 촬영 기능을 가진 촬영드론, GPR이 구비된 GPR드론, GPS가 구비된 GPS드론, 레이더가 구비된 레이더드론, 무인비행기인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도심항공교통인 UAM(urban air mobility), 이동성능 가진 모빌리티, 무인으로 이동하는 무인모빌리티, 유인으로 이동하는 유인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모빌리티, 택시 용도의 모빌리티인 택시모빌리티, 배달 기능을 가진 배달모빌리티, 공격 기능을 가진 공격모빌리티, 수비 기능을 가진 수비모빌리티, 배터리가 사용되는 배터리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 UAM기, 항공모빌리티기, 에어모빌리티기, 이동하는 모빌리티, 활공하는 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 기기인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 기계인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 수단인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모빌리티시스템, 비행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시스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이용되는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드론, UAM, 비행기, 모빌리티 등은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의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또는 비행수단, 이동수단, 활공수단, 주행수단, 운반수단, 승차수단, 탑승수단, 배달수단, 택배수단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공사는 공사 1, 공사 2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공사 1은 a) 공사, 건설, 건축,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공사 작업, 발파, 굴착, 천공, 보링, 토공, 절토, 성토, 터파기, 저장, 투입, 혼합, 교반, 펌핑, 가압, 타설, 포설, 살포, 포장, 주입, 분사, 살수, 자화, 진동 다짐, 양생, 살수양생, 면처리, 양생물 면처리, 구조물 면처리, 조적, 미장, 코팅, 도장, 도색, 석공, 목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발수, 방수, 차수, 창호공, 숏팅, 블라스팅, 수리, 수선, 개량, 보강, 해체, 구조물해체, 재개발, 재건축; b) 상기 공사 내지 재건축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c) 상기 정화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d) 상기 정화 내지 청정,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가 되면서 시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하는 상기 공사 내지 재건축;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 공사 2는 a) 공사, 건설, 개발, 건축, 축조, 작업, 토목공사, 환경공사, 정화, 정수, 청정, 힐링, 균열힐링,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조경공사, 식재, 조형공사, 조각, 제조, 자재제조, 생산, 자재생산, 작업, 공사, 건설공사, 시공, 건축시공, 자재제조, 자재생산, 공사작업, 건설공사, 건축시공, 방재공사, 토공사, 토공, 지반공사, 지중공사, 지하공사, 사면공사, 법면공사, 비탈면공사, 기초공사, 파일공사, PHC파일공사, 굴착, 개착, 터파기, 절토, 성토, 지열파일공사, 공장파일공사, 매입기초공사, 항타기초공사, 회전매입기초공사, 현장타설파일공사, 흙막이공사, 흙막이벽공사, 슬러리월공사, 지중연속벽공사, 다이어프럼월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CP(compaction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공사, PBD(prefabricated board drain)공사, 준설, 매립, 수중, 삭도, 승강기공사, 조적,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도장,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개량, 지반개량, 지반정리, 단지정리, 시추, 보링, 배합, 혼합, 공급, 제공, 압송, 이송, 운송,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코팅, 도장,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몰탈주입, 누수부주입, 균열부주입, 보링공에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균열보수제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분사그라우팅, 고압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강관이용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지중분사, 고압분사, 저압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양생, 수양생, 지열공, 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반경화제믹싱, 지반과 바인더 믹싱,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공사,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분사, 숏크리트,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면처리, 수처리, 댐처리, 연못처리, 하천처리, 씽크홀처리, 씽크홀충진, 공동충진, 석공사, 석공, 외벽공사, 비계공사, 해체, 건물해체, 창호공사, 판금공사, 지붕판금공사, 조립, 건축조립, 철강공사, 창호공사, 상하수도공사, 방식, 전기방식, 녹화, 청소, 세척, 세차,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공사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b)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 장비, 작업 장비, 공사 장비, 건설 장비, 토목 장비, 건축 장비, 공사를 하는 장비, 작업을 하는 장비 등은 장비 1, 장비 2, 장비 3, 장비 4, 장비 5, 장비 6, 장비 7, 장비 8, 장비 9, 장비 10, 장비 11, 상기 작업을 하는 장비, 상기 작업을 하는 모빌리티, 상기 작업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장비가 구비된 모빌리티, 장비에 구비된 모빌리티,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상부에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비, 모빌리티에 구비된 장비, 비행하는 모빌리티에 연계된 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하기 장비,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되는 하기 장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되는 장비의 예로는 살균수가 분사되는 장비, 살균제가 분사되는 장비, 소독물이 분사되는 장비, 자화기에 의한 소독수가 분사되는 장비, 진동기에 의한 살균수 및 소독물이 분사되는 장비, 상기 분사에 의하여 살균 또는 소독되는 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1은 장비, 공사 장비, 건설 장비, 토목 장비, 건축 장비, 작업 장비, 상기 정화 내지 청정 중 하나 이상 장비,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 장비,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 이상 장비,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 장비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장비 2는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하나가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3은 a) 저장고, 투입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이송기, 이송라인, 굴착기, 보링기, 타설기, 주입기, 믹싱기, 분사기, 부착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진동기, 성형기, 양생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도색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면처리기; b)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c)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장비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4는 a)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고, 이에 저장된 재료를 혼합기에 투입하는 호퍼 또는 투입기, 상기 저장 또는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투입 또는 혼합된 재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재료를 가압하는 가압기, 상기 펌핑 또는 가압된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기, 상기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라인,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기, 지반을 보링하는 보링기, 하기 성형기 또는 상기 굴착된 굴착부 또는 보링된 보링부에 재료를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재료를 형틀 또는 지중 또는 굴착부 또는 보링부에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재료가 투입된 지반 또는 보링부를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이송라인에서 이송된 재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재료를 부착하는 부착기, 상기 이송기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포설하는 포설기,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재료를 지면에 포장하는 포장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되는 재료를 다짐하는 다짐기, 상기 주입기로 주입된 재료를 진동하는 진동기, 자신에 투입된 재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재료에 물 또는 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재료를 양생하는 양생기, 상기 가압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숏팅기, 상기 이송기에서 이송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코팅기, 상기 이송라인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도장기, 상기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재료를 분사하는 도색기, 폐수를 정화하는 정화기, 공기를 청정하는 청정기, 공사를 하는 공사기, 공사 장비인 공사기, 재료를 분사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처리기, 상기 양생된 재료의 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면처리기; b)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c)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장비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5는 백호, 트럭, 도져, 로라, 비계, 형틀, 그레이더, 굴삭기, 크레인, 보링기, 굴착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비 6은 a) 백호, 굴삭기, 크레인, 보링기, 굴착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b) 이중 하나의 리더; c) 상기 리더의 선단 또는 크래들히치; d) 상기 백호 내지 크래들히치 중 하나에 거치된 회전수단; e) 상기 백호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에 장착된 축 또는 롯드; f) 상기 축 또는 롯드에 장착된 날개 또는 가변 날개; g) 상기 축 또는 롯드에 순차 연결되는 호스, 펌프, 배합기, 호퍼, 사일로 또는 저장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장비 7은 a) 사일로 또는 저장고,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b) 상기 공급라인에 거치된 축 또는 롯드; c) 상기 축 또는 롯드가 구비된 백호, 포크레인, 이동수단; d) 상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의 붐; e) 상기 붐에 연결된 암; f) 상기 암의 선단; g) 상기 선단의 크래들히치; h) 상기 백호 내지 크래들히치 중 하나에 장착된 모터, 회전수단, 드라이브; i) 상기 모터 내지 드라이브 중 하나가 장착된 상기 축 또는 롯드; j) 상기 축 또는 롯드에 장착된 날개 또는 가변 날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장비 8은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전기분해기), 방전기(전기방전기), 음이온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사일로 내지 가변 날개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9는 a) 진동기, 봉진동기, 복수진동기, 자화진동기, 가진진동기, 오존진동기, 음이온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진동기; b) 또는 케이스; 이의 내부에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이 회전축에 구비된 비대칭 회전체;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케이블; 이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진동기; c) 상기 진동기, 케이스 내지 슈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 방전기, 음이온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방사되는 물질,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사일로 내지 가변 날개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0은 자화, 진동, 가진, 파동, 다짐, 진동다짐, 다짐진동, 자화다짐, 가진다짐, 오존처리, 오존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처리, 음이온청정, 유동화, 연성화, 조밀화, 슬러리화, 슬럼프화, 슬럼프치증가, 공기배출, 가스배출; b)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e)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장치, 장비,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사일로 내지 가변 날개 중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1은 a) a1) 링, 오링, 잭, 암잭, 수잭, 시거잭, 소켓, 암소켓, 수소켓, 플랜지, 밸브, 볼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니플, 엘보, 레듀샤, 볼트, 너트, 와셔, 가스켓, 스트레이너, 커플링, 커플러, 조인트, 조인트관, 조인터, 관조인터, 콕, 수도콕, 배수콕, 꼭지, 수도꼭지, 노즐, 디퓨저, 어댑터, 티이관, 이경티이관, 관, 관로, T관, Y관, L관, 벤츄리, 벤츄리관, 밴드, 튜브, 사이클론, 스프링클러, 조, 통, 함, 탱크, 박스, 전지, 수소통, 가스통, 배터리, 호스, 라인, 파이프, 파이프라인; a2)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의 복합기, 상기 링 내지 파이프라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a3)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구비된 상기 장비, 장치,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사일로 내지 가변 날개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비 내지 가변 날개 중 하나에 구비된 또는 하나가 구비된 상기 링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재료, 공사 재료, 작업 재료,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작업에 사용되는 재료 등은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재료 11, 재료 12, 재료 13, 재료 14, 재료 15,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가 되는 재료,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재료,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함유되는 재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료 1은 a) 또는 수(水), 물, 액, 유(油), 약(藥), 졸, 겔,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재료, 자재, 유체,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액기체, 액고체, 기고체, 액기고체, 용수, 생수, 상수, 하수, 우수, 오수, 폐수, 탁수, 오탁수, 탄산수, 이온수, 해수, 염수, 샘물, 먹는물,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기름, 유류, 경유, 휘발유, 철, 고철, 구리, 금속, 비금속, 광물, 광미, 광석, 암석, 암분, 석재, 석분, 목재, 목분, 분말, 톱밥, 흙, 토사, 토석, 황토, 백토, 점토, 화강토, 마사토, 흑연, 규사, 탄소, 그래핀, 세라믹, 포졸란, 실리카, 실리카흄, 석회, 석고, 모래, 해사, 쇄사, 자갈, 쇄석, 골재, 순환골재, 재생골재, 폐콘크리트, 점토광물, 카올린,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아타풀자이트, 유기물, 무기물, 부산물, 폐기물, 음폐물, 폐분, 미분, 철분, 분진, 슬래그, 슬러지, 슬러리, 주물사, 숯, 애쉬, 저회, 비회, 석탄재, 소각재, 소성재, 탄화재, 탄화물, 활성탄, 수지, 모노머, 폴리머, 올리고머, 고무, 녹말, 라텍스, 물유리, 중합체, 공중합체, 약품, 약액, 현탁액, 효소, 효모, 요소, 촉매, 정촉매, 광촉매, 이산화티탄, 이온물, 영가물, 다가물, 양이온, 음이온, 이온수, 철이온, 금속이온, 피톤치드, 폭기제, 반응제, 흡착제, 응집제, 복원제, 살균제, 소독제, 활성제, 계면활성제,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파우더, 나노재, 입상물, 입자물, 소성물, 소각물, 탄화물, 씨앗, 종자, 발아물, 미생물, 비료, 영양분, 지방, 녹말, 비타민, 미네랄, 섬유, 직포, 부직포, 탄소섬유, 화이버, 섬유화이버, 유리화이버, 금속화이버, 포집제, 흡착제, 제습제, 탈수제, 살균제, 혼화제, 첨가제, 경화제, 분산제, 급결제, 완결제, 소결제, 감수제, 촉진제, 지연제, 방청제, 팽창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소포제, 착색제, 점착제, 접착제,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방수제, 방수액, 발수제, 산성제, 염기제, 유동화제, 피톤치드, 공기연행제, 셀룰로즈, CMC(carboxymethyl cellulose);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2는 a) 수(水), 물(水), 액(液), 유(油), 제(劑), 재(材), 볼, 빔, 봉, 판, 바(bar), 철, 강철, 철근, 철골, 금, 은, 구리, 아연, 금속, 팩, 망, 망사, 팩망, 철망, 섬유망, 막, 네트, 격자, 매트, 시트, 막대,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건자재, 공사재, 건설재, 건축재, 시공재, 조경재, 주자재, 부자재, 약품, 수지, 세제, 석재, 목재, 나무, 편백나무, 철재, 벽재, 철근, 철골, 판재, 합판, 보드, 필터, 섬유, 직포, 부직포, 강섬유, 유리섬유, 화이버, 벽돌, 블럭, 타일, 벽지, 장판, 박스, 암거, 흄관, 파일, 기초, 기둥, 피어, 케이슨, 파이프, 슬라브, PHC파일(prestress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또는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바인더, 고화제, 폴리머, 발수제, 코팅제, 숏팅제, 도장제, 도색제, 정화제, 청정제, 청소제, 살균제, 소독제, 방수제, 방수재, 방수막, 차수재, 차수막, 방수매트, 방수시트, 페인트, 배수재, PBD재(plastic board drain재 또는 prefabricated board drain재), 수지재, 고무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모래, 자갈, 골재, 쇄석, 몰탈, 광물, 점토, 황토, 슬래그, 슬래그볼, 볼슬래그, 수쇄슬래그, 풍쇄슬래그. 슬러지, 슬러리, 카올린,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광촉매,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녹생토, 미생물, 나노재, 나노미터재, 피톤치드, 내장재, 외장재, 개량재, 보강재, 보수재, 수선재, 내진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시드스프레이재;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3은 a) 수, 물, 액, 유, 약, 제, 재, 졸, 겔, 흙, 탄, 숯, 황토, 백토, 점토, 모래, 규사, 쇄사, 자갈, 쇄석, 골재, 애쉬, 섬유, 탄소, 수지, 촉매, 폐분, 석분, 철분, 분진, 광물, 물질, 광미, 재료, 자재, 암석, 석회, 석고, 공기, 가스, 마사토, 화강토, 자철석, 인회석, 백운석, 그래핀, 부산물, 슬래그, 슬러지, 세라믹, 실리카, 엔자임, 시멘트, 혼화제, 급결제, 완결제, 점착제, 접착제, 팽창제, 기포제, 방수제, 발수제, 제독제, 함수제, 건조제, 화이버, 결합재, 고화재, 바인더, 나노재, 보강재, 타설재, 다공체, 탄화물, 소각물, 소성물, 이온재, 이온수, 양이온, 음이온, 활성탄, 카올린, 아스팔트, 피톤치드, 유동화제, 마이크로재,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지오폴리머,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혼합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슬러리,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Ca, Mg, Si, Fe, Me, Al, K, Na, OH, COO, CaMg, CaSi, CaFe, CaAl, MgSi, MgFe, MgAl, SiFe, SiAl, FeAl, CaMgSi, CaMgFe, CaMgAl, MgSiFe, MgSiAl, SiFeAl, CaMgSiFe, CaMgSiAl, MgSiFeAl, CaMgSiFeAl, KSiAl, NaSiAl, KNaSiAl, CaSiCOO, MgFeCOO, CaMgFeCOO: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는 Ca, Mg, Si, Fe, Me, Al, K, Na, OH, CO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함유된 것이다.
상기 재료 4는 a)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제, 재,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반응물, 결합물, 포함물, 나노물,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5는 a)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 하나 이상 함유물, 액상물, 기상물, 고상물, 분말물, 입자물, 교반물, 투입물, 첨가물; c) 상기 수 내지 첨가물(즉, 상기 수 내지 복합재, 함유물, 액상물, 기상물, 고상물, 분말물, 입자물, 교반물, 투입물, 첨가물) 중 하나 이상 함유 상기 몰탈 내지 플라스터; d) 또는 수화반응, 포졸란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6은 a)입경이 1∼100 ㎛의 저입경, 1∼100 ㎜의 중입경, 1∼100 ㎝의 고입경, b) 비중이 0.1∼0.5의 저비중, 0.51∼1.0의 중저비중, 1.1∼1.5의 중비중, 1.51∼2.0의 중고비중, 2.1∼3.0의 고비중, c) 분말도가 100∼1,000㎠/g의 저분말도, 이의 이하인 초저분말도, 1,001∼2,000㎠/g의 중저분말도, 2,001∼5,000㎠/g의 중분말도, 5,001∼7,000㎠/g의 중고분말도, 7,001∼10,000㎠/g의 고분말도, 이의 이상인 초고분말도 중 하나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7은 1∼50kg/㎠의 저압, 이의 이하인 초저압, 51∼100kg/㎠의 중저압, 101∼200kg/㎠의 중압, 201∼300kg/㎠의 중고압, 301∼600kg/㎠m의 고압, 이의 이상인 초고압 중 하나 압력으로 공급 또는 타설 또는 주입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8은 a) 모래, 자갈, 골재, 필러, 결합재, 혼화재, 물 중 둘 이상이 함유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시멘트와 물, 모래, 자갈, 쇄석, 골재, 물, 혼화재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와 필러, 모래, 석분, 쇄석 중 하나 이상의 혼합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9는 a) 상기 골재가 세골재, 조골재, 모래, 해사, 쇄사, 자갈, 쇄석, 골재, 순환골재, 필러, 광물, 광석, 광미, 폐기물, 부산물, 폐분, 분진, 석분, 미분, 슬래그, 슬러지, 소각재 중 하나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상기 필러가 광물, 광석, 광미, 폐기물, 부산물, 폐분, 분진, 석분, 미분, 슬래그, 슬러지, 소각재 중 하나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상기 결합재가 결합재, 시멘트, 아스팔트, 석고, 석회, 전분, 약품, 폴리머, 접착제 중 하나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d) 상기 혼화제가 급결제, 지연제, 소결제, 분산제, 방수제, 차수제, 발수제, 기포제, 팽창제, 발포제, 소포제, 착색제, 경화제, 감수제, 안료, 염료, 미생물, 유용미생물, 유효미생물, 바실러스, 파스퇴우리, 유동화제, 공기연행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광물, 광석, 광미, 폐기물, 슬래그, 슬러지 중 하나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e) 상기 물이 수, 물, 액, 유, 용수, 상수, 하수, 댐수, 펌프수, 지하수, 우물수, 지표수, 하천수, 탄산수, 산소수, 수소수, 이온수 중 하나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0은 시멘트, 아스팔트, 소일, 황토, 공기, 기포, 압기, 산소, 질소, 수지, 약품, 약액, 요소, 효소, 효모, 촉매, 엔자임, 계면제, 활성제, 실리카, 카본, 기포제, 팽창제, 칼라제, 그래핀, 폴리머, 미생물, 화이버 중 하나 이상에 더하여 골재, 필러, 결합재, 혼화제, 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1은 a) 골재 또는 필러 25∼70중량부, 결합재 15∼40중량부, 혼화제 0.1∼10중량부, 물 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시멘트 15~30중량부, 잔골재 20~45중량부, 굵은골재 30~60중량부, 폐기물 0.1~3중량부, 혼화제 0.1~5중량부, 물 1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시멘트의 결합재와 입도범위 5∼13mm, 13∼20mm의 골재와 폐기물, 유동화제가 포함되고 물결합재비 25∼35% 또는 공극율 15∼30%가 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2는 a) 물, 시멘트의 결합재, 혼화제의 1㎥당 0.2∼0.65㎥의 비율로 잔골재 및 굵은골재가 포함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시멘트, 골재, 물, 혼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시멘트비가 25∼40%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밀도 3.0∼3.2g/cm3, 분말도 3,000∼3,400cm2/g, 화학적 주성분은 CaO, SiO2, Al2O3 중 하나 이상인 시멘트와; 입도 3∼5mm 또는 15∼25mm, 밀도 2.5∼2.8g/cm3, 단위용적질량 1,340∼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조골재와; 밀도 2.2∼2.6 g/cm3, 단위용적질량 1,295∼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세골재에 물, 혼화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d) 14~15중량부의 결합재와, 76~79중량부의 골재와, 0.08~0.1중량부의 혼화제와, 0.3~3중량부의 폐기물과, 별도의 물;을 포함하여 100중량부로 구성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e) 시멘트 20~40중량부, 모래 10~50중량부, 자갈 10~50중량부, 물 2~30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가 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k25) 아스팔트 20~60중량부, 골재 10~50중량부, 석분 10~50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가 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f) 결합재와 물과 모래와 자갈과 혼화제를 포함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g) 시멘트 30∼90중량부, 슬래그 1∼55중량부, 플라이애쉬 또는 실리카퓸 0.1∼35중량부로 혼합된 결합재와, 입도 5∼13mm, 13∼25mm, 25∼40mm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굵은골재와, 입도 5mm이하인 잔골재 또는 슬래그잔골재와, 상기 결합재에 대해 0.03∼3.0중량부의 유동화제 또는 AE감수제 포함 혼화제가 포함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3은 a) 5∼8부피부 결합재와, 60∼80부피부 골재와, 0.2∼0.5부피부 혼화제와, 이외 전체부피 100%를 채우기 위한 물로 구성되고, 상기 골재는 폐기물, 폐분, 폐콘크리트, 부순돌, 바텀애쉬, 슬래그, 암석 중 선택된 1종 또는 2 내지 7종의 혼합물이고,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아스팔트, 석회, 석고, 플라이애쉬, 슬러지 중 선택된 1종 또는 2 내지 6종의 혼합물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시멘트 등의 결합재 100중량부에 잔골재 200∼250중량부, 굵은골재 260∼280중량부, 탄화물 3∼8중량부, 혼화제 0.5∼1.5중량부, 물 35∼45중량부가 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모래 30~40중량부, 자갈 35~45중량부, 물 10~30중량부, 소각재 또는 플라이애쉬 5~25중량부, 광물 또는 폴리머 1~15중량부를 포함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상기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다하이드로시헥산, 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d) 물 3~10중량부, 시멘트 10~25중량부, 잔골재 25~35중량부, 조골재 40~45중량부, 플라이애쉬 0.5~1.5중량부, 부산물 1~7중량부를 포함하여 100중량부를 이루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e) 시멘트 포함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또는 자갈 포함 골재 250∼660중량부, 광물 또는 제올라이트 10∼150중량부, 바실러스 포함 미생물 1∼15중량부, 물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4는 a) 결합재량 또는 시멘트량 250∼550㎏/㎥, 잔골재량 350∼650㎏/㎥, 굵은골재량 850∼1,100㎏/㎥, 수량 150∼200㎏/㎥, 광물 또는 폐기물 200∼450㎏/㎥, 혼화제 0.1∼5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b) 결합재 또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55중량부, Al2O3 15∼20중량부, MgO 1∼2중량부, FeO 2∼4중량부, Fe2O3 2∼3중량부, CaO 0.5∼0.9중량부, K2O 0.5∼1.1중량부, Na2O 0.5∼0.7중량부, P2O5 0.2∼0.6중량부, MnO 0.03∼0.09중량부, 광물성분 13∼18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폐분, 석분, 광미 중 하나 5~45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폐분, 석분, 광미 중 하나의 입경은 0.03~0.08mm이고, 슬럼프가 8~12cm, 단위수량/시멘트량이 50~60중량%, 잔골재율이 45~53중량%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c) 골재 75~83중량부, 결합재 13~15중량부, 물 5~7중량부, 혼화제 0.07~0.3중량부에 미생물이 상기 결합재 중량 대비 3~15%가 더 혼합되고,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슬래그, 플라이애쉬 중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고, 상기 미생물은 광합성균,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바실러스, 효모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상기 수 내지 복합재; k36) 시멘트 50~90중량%에 분말슬래그 1~15중량%, 분말수지 0.1~7중량%, 라텍스 0.01~6중량%, 팽창제 0.11~15중량%, 화이버 0.01~3.0중량%, 감수제 0~3중량% 중 하나 이상 포함 상기 수 내지 복합재; d) 시멘트 13~21중량부, 세골재 27~36중량부, 조골재 38~47중량부, 피톤치드 1~7중량부, 혼화제 0.3~1.8중량부, 물 4~1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e) 자화 또는 가진화 또는 육각수화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재료 15는 a) 석회, 석고, 시멘트, 바인더, 결합재, 아스팔트 중 하나 이상 100 중량부와, b) 모래 또는 쇄사 100∼600 중량부, 자갈 또는 쇄석 또는 순환골재 150∼800 중량부, 혼화제 0.0001∼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과, c) 물 또는 이온수 50∼400 중량부, 폐분 또는 석분 또는 애쉬 또는 부산물 10∼600 중량부, 소일 또는 황토 또는 마사토 10∼600 중량부, 수지 또는 폴리머 또는 라텍스 0.005∼50 중량부, 화이버 또는 보강재 0.0001∼40 중량부, 미생물 또는 이의 함유물 0.00001∼1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a) Ca, Mg, Si, Fe, Me, Al, K, Na, OH, COO, CaMg, CaSi, CaFe, CaAl, MgSi, MgFe, MgAl, SiFe, SiAl, FeAl, CaMgSi, CaMgFe, CaMgAl, MgSiFe, MgSiAl, SiFeAl, CaMgSiFe, CaMgSiAl, MgSiFeAl, CaMgSiFeAl, KSiAl, NaSiAl, KNaSiAl, CaSiCOO, MgFeCOO, CaMgFeCOO; b) 이중 하나 이상 제, 재,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반응물, 결합물, 포함물, 나노물,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 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차적으로 상기 Ca 내지 피톤치드물 중 하나는 상기 Ca 내지 피톤치드물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Ca 내지 피톤치드물의 이온, 성분, 요소 등이 함유된 물질 등이 포함된다. 이의 후자 예로는 Ca의 경우 Ca 성분이 함유된 CaO, CaCO3, Ca(OH)2 등이 해당된다. 이에 더하여 1) Ca는 Ca, 칼슘, 칼슘이온, Ca^(+2), CaO, CaCO3, Ca(OH)2, Ca3SiO5(tricalcium silicate), Ca2SiO4(dicalcium silicate), CaSiO3(calcium metasilicate), CaO·SiO2·nH2O 등이 포함되고, 2) Mg는 Mg, Mg^(2+), MgO, MgCO3, 마그네슘, 마그네슘이온, Mg(OH)2 등이 포함되고, 3) Si는 Si, Si^(+2), Na2SiO3, 규소, 규산, 규소이온, SiO2, CaO·SiO2·nH2O 등이 포함되고, 4) Fe는 Fe, FeO, Fe2O3, Fe3O4, 철, 철이온 등이 포함되고, 5) Me는 금속, 금속이온, Metal, 이의 약자 Me 등이 포함되고, 6) Al은 알루미늄, 알루미늄이온 등이 포함되고, 7) K는 K, K+, KOH, 칼륨, 칼륨이온 등이 포함되고, 8) Na는 Na, Na+, NaOH, NaCl, Na2SiO3, Na2SO4, 나트륨, 나트륨이온 등이 포함되고, 9) OH는 OH, OH-, KOH, NaOH, 수산화이온 등이 포함되고, 10) COO는 COO, COO-, COOH, CH3COOH, 카르복실, 카르복실이온, 수지 원료, 수지 성분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CaMg, CaSi, CaFe, CaAl, MgSi, MgFe, MgAl, SiFe, SiAl, FeAl, CaMgSi, CaMgFe, CaMgAl, MgSiFe, MgSiAl, SiFeAl, CaMgSiFe, CaMgSiAl, MgSiFeAl, CaMgSiFeAl, KSiAl, NaSiAl, KNaSiAl, CaSiCOO, MgFeCOO, CaMgFeCOO 등은 자기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하나 이상 성분을 함유한 특징을 가진다. 이의 예로는 1) CaMg는 Ca, Mg, CaMg 등이 포함되고, 2) CaSi는 Ca, Si, CaSi는 등이 포함되고, 3) CaFe는 Ca, Fe, CaFe 등이 포함되고, 4) CaMgSiAl는 Ca, Mg, Si, Al, CaMg, SiAl, CaMgSi, MgSiAl, CaMgSiAl 등이 포함되고, 5) MgSiFeAl는 Mg, Si, Fe, Al, MgSi, FeAl, MgSiFe, SiFeAl, MgSiFeAl 등이 포함되고, 6) CaMgSiFeAl는 Ca, Mg, Si, Fe, Al, CaMg, SiFe, MgSi, FeAl, CaMgSiFe, MgSiFeAl, CaMgSiFeAl 등이 포함되고, 7) MgFeCOO는 Mg, Fe, COO, MgFe, FeCOO, MgFeCOO 등이 포함되고, 8) CaMgFeCOO는 Ca, Mg, Fe, COO, CaMg, FeCOO, CaMgFe, MgFeCOO, CaMgFeCOO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제, 재,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반응물, 결합물, 포함물, 나노물,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1) 상기 제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제, 이의 하나로 Ca제, Mg제, FeCOO제, CaMgFeCOO제 등이 해당되고, 2) 재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재, 이의 하나로 Ca재, Mg재, FeCOO재, CaMgFeCOO재 등이 해당되고, 3) 이온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이온, 이의 하나로 Ca이온, Mg이온, FeCOO이온, CaMgFeCOO이온 등이 해당되고, 4) 성분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또는 하나 이상 함유 성분, 이의 하나로 Ca성분, Mg성분, FeCOO성분, CaMgFeCOO성분, Ca 함유 성분, Mg 함유 성분, FeCOO 함유 성분, CaMgFeCOO 함유 성분 등이 해당되고, 5) 요소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요소, 이의 하나로 Ca요소, Mg요소, FeCOO요소, CaMgFeCOO요소 등이 해당되고, 6) 원소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원소, 이의 하나로 Ca원소, Mg원소, FeCOO원소, CaMgFeCOO원소 등이 해당되고, 7) 물질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물질, 이의 하나로 Ca물질, Mg물질, FeCOO물질, CaMgFeCOO물질 등이 해당되고, 8) 반응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간의 또는 하나 이상과 다른 물질과의 반응물, 산화반응물, 수화반응물, 탄산화반응물 등, 이의 하나로 Ca반응물인 CaO, Ca(OH)2, CaCO3, Mg반응물인 MgO, Mg(OH)2, MgCO3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9) 결합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간의 또는 하나 이상과 다른 물질과의 결합물, 이의 하나로 Ca와 Mg의 결합물인 CaMg, Ca와 O의 결합물인 CaO, Ca와 H2O의 결합물인 Ca(OH)2 등이 해당되고, 10) 포함물은 등이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포함물, 이의 하나로 Ca 포함 물질, Mg 포함 재료, FeCOO 포함 수지, CaMgFeCOO 포함 모래 등이 해당되고, 11) 나노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나노물, 이의 하나로 Ca성분 함유 나노물, Mg성분 함유 나노물, FeCOO나노물, CaMgFeCOO나노물, 또는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등이 해당되고, 12) 그리고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 등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또는 하나 이상 성분 함유 수지, 부산물, 탄소, 섬유, 촉매, 화이버, 라텍스, 미생물, 피톤치드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바이오물의 예를 들면 Ca 또는 Ca성분 함유 미생물, Mg 또는 Mg성분 함유 미생물, FeCOO 또는 FeCOO성분 함유 미생물, CaMgFeCOO 또는 CaMgFeCOO성분 함유 미생물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등은 1) Ca 또는 Ca 함유 성분에 의한 칼슘반응, 산화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포졸란반응, 2) Mg 또는 Mg 함유 성분에 의한 마그네슘반응, 산화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3) Si 또는 Si 함유 성분에 의한 규소반응, 규산반응, 규소고결반응, 4) Fe 또는 Fe 함유 성분에 의한 철반응, 철응집반응, 철산화반응, 철고결반응, 철이온화반응, 5) Me 또는 Me 함유 성분에 의한 금속반응, 금속응집반응, 금속산화반응, 금속고결반응, 금속이온화반응, 6) Al 또는 Al 함유 성분에 의한 알루미늄반응, 알루미늄응집반응, 알루미늄이온화반응, 7) K 또는 K 함유 성분에 의한 칼륨반응, 산화반응, 탄산화반응, 8) Na 또는 Na 함유 성분에 의한 나트륨반응, 산화반응, 탄산화반응, 9) OH 또는 OH 함유 성분에 의한 수산화반응, 음이온반응, 라디칼반응, 10) COO 또는 COO 함유 성분에 의한 수지반응, 고결반응, 팽창반응, 카르복실반응, 11) 상기 반응 중 둘 이상의 복합반응 등이 발생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사용 물질, 재료, 타설재 등의 강도, 강성, 밀도, 본딩, 바인딩, 결합력, 점착력, 마찰각, 방수성, 차수성, 내구성 등이 향상되고, 또한 기존 사용 시멘트, 약액, 물질, 재료, 타설재 등의 기능, 성능, 효과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사용 재료의 양생물, 고화물의 강도, 강성, 밀도, 본딩, 바인딩, 결합력, 점착력, 마찰각, 방수성, 차수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Ca 내지 피톤치드물 중 둘 이상은 상호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 재료, 타설재 등을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새로운 효과, 향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의 하나 실시예로 Ca 성분과 Si 성분과의 반응으로 규산칼슘, 규산석회, 3CaCO3 + SiO2 → Ca3SiO5 + 3CO2, 2CaCO3 + SiO2 → Ca2SiO4 + 2CO2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의 효과, 향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Si, Al 성분, 이의 하나인 Si2O5, Al2O2, SiO2 등과 상기 K, Na, OH 중 하나 이상 성분, 이의 하나인 KOH, NaOH, KOH+Na2SiO3, NaOH+Na2SiO3, NaOH+Na2SO4, Ca(OH)2+Na2SiO3, Ca(OH)2+Na2SO4, Na2SiO3+Na2CO3 등은 상호 결합하여 지오폴리머(geopolymer) 등과 같은 새로운 물질이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의 효과, 향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지오폴리머 조성의 반응식으로는 n(Si2O5, Al2O2 ) + 2nSiO2 + 4nH2O + NAOH (or) KOH → (NA+, K+) - (-Si-O-Al-O-Si-O-) + 4nH2O, 또는 n(Si2O5,Al2O2) + 2nSiO2 + 4nH2O + NaOH/KOH → (Na+ ,K+) + n(OH)3-Si-O-Al-O-Si-(OH)3, 또는 n(OH)3-Si-O-Al-O-Si-(OH)3 + NaOH/KOH → (Na+,K+)-(-Si-O-Al -O-Si-O-)+4H2O 등이 해당되고, 지오폴리머의 조성물 또는 구성식은 (Na,K)-(Si-O-Al-O-Si-O-), (Na,K)-n(Si-O-)-(Si-O-Al-), (Na,K)-(Si-O-Al-O-Si-O-), (Na,K)-((SiO2)zㆍAlO2)nㆍwH2O, (NA+, K+)-(-Si-O-Al-O-Si-O-)+4nH2O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지오폴리머에는 상기 K, Na 대신 Li, Na, K, Rb, Cs 중 하나 이상 성분 사용시 지오폴리머가 되는 반응식에서 하기 크기 순인 Li 성분 < Na 성분 < K 성분 < Rb 성분 < Cs 성분 순으로 지오폴리머화가 진행되는 Li, Na, K, Rb, Cs 중 하나 이상 사용 지오폴리머 등도 포함된다.
상기 자재, 공사 자재, 작업 자재,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 작업에 사용되는 자재 등은 자재 1, 자재 2, 자재 3, 자재 4, 자재 5, 상기 자화 내지 가스배출 중 하나가 되는 자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자재,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함유되는 자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재 1은 a) 보, 들보, 지중보, 지상보, 가로보, 세로보, 타일, 벽돌, 블럭,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판넬, 내장판넬, 외장판넬, 벽, 벽체, 기둥, 슬라브, 공사재, 건설재, 건축재, 조경재, 시공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창호재, 방수재, 차수재, 매트, 시트, 복합매트, 복합시트, 방수매트, 방수시트,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시트, 아스팔트시트, 빔, 판,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마루판, 복공판, 앵커, 소일앵커, 락앵커, 네일링, 소일네일링, 볼트, 소일볼트, 락볼트, 형틀, 몰드, 거푸집, 보드, 거더, 슬라브, 암거, 하수암거, 우수암거, 박스, 탱크,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맨홀, 관, 강관, 유공관, 무공관, 관로, 수로,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흄관,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수조, 저류조, 집수조, 집수정,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포장재, 보도재, 경계석, 분리대, 기초, 기둥, 파일, 말뚝, PHC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피어, 케이슨, 지열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테트라포트, 방파제블럭,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 터널세그먼트, 교량세그먼트, 라이닝세그먼트, 터널라이닝세그먼트, 몰탈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아스팔트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시멘트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LMC(latex modified concrete)자재, PC(pre cast)자재, PS(pre stress or post stress)자재, PF(pre fabricated)자재, PCS(pre cast concrete)자재, PSC(pre stress or post stress concrete)자재;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재,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재; c)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재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재 2는 공사, 건설, 개발, 건축, 축조, 작업, 토목, 환경, 정화, 정수, 청정, 힐링, 균열힐링,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조경, 식재, 조형, 조각, 제조, 자재제조, 생산, 자재생산, 작업, 공사, 건설공사, 시공, 건축시공, 자재제조, 자재생산, 공사작업, 건설공사, 건축시공, 방재, 방제, 토, 토공, 지반, 지중, 지하, 사면, 법면, 비탈면, 기초, 파일, PHC파일, 굴착, 개착, 터파기, 절토, 성토, 지열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흙막이, 흙막이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 다이어프럼월, CIP(cast in place pile), CP(compaction pile), SCP(sand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CP), 준설, 매립, 수중, 삭도, 승강기, 조적,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도장,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개량, 지반개량, 지반정리, 단지정리, 시추, 보링, 배합, 혼합, 공급, 제공, 압송, 이송, 운송,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코팅, 도장,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몰탈주입, 누수부주입, 균열부주입, 보링공에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균열보수제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분사그라우팅, 고압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강관이용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 JSP(jumbo special pattern),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지중분사, 고압분사, 저압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양생, 수양생, 지열공, 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반경화제믹싱, 지반과 바인더 믹싱,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분사, 숏크리트,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면처리, 수처리, 댐처리, 연못처리, 하천처리, 씽크홀처리, 씽크홀충진, 공동충진, 석, 석공, 외벽, 비계, 해체, 창호, 판금, 지붕판금, 조립, 건축조립, 철강, 창호, 판금, 상하수도, 방식, 전기방식, 녹화, 청소, 세척, 세차,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의 제(劑), 재(材),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3은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재,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제(劑) 또는 재(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4는 중량, 경량, 발포, 기포, 팽창, 투수, 무근, 철근,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RC(reinforced concrete), CC(carbon concrete), GC(graphene concrete), PC(precast concrete), PS(prestressed, poststressed), PSC(prestressed concrete, poststressed concrete), SRC(steel reinforced cement), CRC(carbon reinforced cement)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된,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제, 재, 액, 수, 물, 재료, 원료, 소재, 자재, 분말, 시트, 매트, 타설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재 5는 a) 봉, 대, 판, 망,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나노재,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보 내지 복합재; b) 또는 타설, 양생, 경화, 고결 중 하나 후의 b1)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중 하나가 1∼50kg/㎠의 저강도, 이의 이하인 초저강도, 51∼100kg/㎠의 중저강도, 101∼150kg/㎠의 중강도, 151∼200kg/㎠의 중고강도, 201∼400kg/㎠m의 고강도, 이의 이상인 초고강도, b2) 밀도가 0.1∼0.5t/㎥의 저밀도, 이의 이하인 초저밀도, 0.51∼1.0t/㎥의 중저밀도, 1.1∼1.5t/㎥의 중밀도, 1.51∼2.0t/㎥의 중고밀도, 2.1∼3.0t/㎥의 고밀도, 이의 이상인 초고밀도, b3) 투수계수가 10^(-15∼-10)㎝/sec의 저투수성, 이의 이하인 초저투수성, 10^(-9∼-6)㎝/sec의 중저투수성, 10^(-5∼-3)㎝/sec의 중투수성, 10^(-2∼+1)㎝/sec의 중고투수성, 10^(+2∼+5)㎝/sec의 고투수성, 이의 이상인 초고투수성 중 하나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재료 또는 자재는 상기 재료, 상기 자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제(劑) 또는 재(材),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재료 또는 자재,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제(劑) 또는 재(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재료 또는 자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일, 공사, 작업 등에 의하여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등이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시설은 시설 1, 시설 2, 시설 3, 시설 4, 시설 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설 1은 a) 상기 장비,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수 내지 복합재 중 하나 이용 시설; b) 상기 장비,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수 내지 복합재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c) 상기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수 내지 복합재 중 하나가 함유된 시설; d)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시설, 건물, 도로, 포장, 지반, 구조물, 시설물; e)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건물, 도로, 포장, 지반, 구조물, 시설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 2는 a)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강철주택, 철골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펜트하우스(Pent House),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식물농장컨테이너, 철재건물, 강재건물, 강철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시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펜트하우스는 펜트하우스, Pent House, Penthouse; 또는 아파트, 호텔, 주상복합, 고층건물 등의 최고층, 맨위층, 상층부, 고급스러운 주거공간;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강철주택, 철골주택, 컨테이너주택 등은 철, 강, 강척, 철골, 컨테이너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되는 주택이다. 그리고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은 케노피가 있는 건물, 주택 등을 나타낸다.
상기 시설 3은 a)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트랙,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도시, 안전, 구조, 지반, 기초,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부,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시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 4는 a) 시설,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구조물, 시설물,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쓰레기매립장, 발전소, 태양발전소, 풍력발전소, 해상풍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수력발전소, 조력발전소, 파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건물시설, 수리시설, 정화시설, 수소시설, 도로시설, 교통시설, 지하시설, 수중시설, 지상시설, 공중시설, 공원시설, 놀이시설, 우주시설, 발사체, 발사시설,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차정거장, 우주정거장,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시설,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시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 5는 a)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이동주택,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식물농장컨테이너, 철재건물, 강재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지반, 사면, 법면, 비탈면, 절개면,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보,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발전소, 쓰레기매립장,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b) 또는 봉, 대, 판, 망,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보강재,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상기 또는 하기의 수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 포함 상기 집 내지 부유시설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은 수소시설 1, 수소시설 2, 수소시설 3, 수소시설 4, 수소시설 5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 1은 a) 수소시설, 수소제조시설, 수소생산시설, 전기분해기, 바이오분해기, 수소거래시설, 수소운송수단, 수소저장시설, 수소탱크, 수소충전소, 수소주입기, 수소발전기, 수소발전소, 수소장치, 수소장비, 수소연소장치, 수소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수소에너지시설, 수소이동수단, 수소교통수단, 수소모빌리티, 수소차, 수소트럭, 수소버스, 수소택시, 수소기차, 수소자동차, 수소승용차, 수소화물차, 수소캠핑카, 수소자전거, 수소오토바이, 수소부유수단, 수소배, 수소보트, 수소선박, 수소잠수함, 수소비행수단, 수소드론, 수소비행기, 수소비행선, 수소우주선, 수소플라잉카, 수소시설, 수소건물, 수소도시, 수소단지, 수소하우스, 수소플랜트, 수소클러스터; b) 상기 수소시설 내지 수소클러스터 중 둘 이상 사이의 연결수단: c)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기(器 or 機), 기기, 기구, 수단, 장치, 장비, 시설, 설비; d) 상기 수소시설 내지 설비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시설; e) 전기 또는 배터리 사용의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시설; f)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시설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시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 2는 a) 상기 수소, 기체, 수소기체, 기체수소, 액체수소, 브라운가스 중 하나의 수소류를 제조하는 수소제조시설, 상기 수소 내지 브라운가스 중 하나의 수소류를 생산하는 수소생산시설, 천연가스를 고온 및 고압으로 수증기와 반응시켜 순수한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제조하는 수소생산시설, 석유화학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소를 정제하여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생산하는 수소생산시설,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생산하는 수소생산시설, 미생물을 분해하여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생산하는 수소생산시설,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생산하는 전기분해기, 미생물을 분해 또는 발효 또는 배양하여 상기 수소류를 생산하는 바이오분해기, 상기 제조된 수소 또는 상기 수소류를 거래 또는 판매하는 수소거래시설, 상기 생산 또는 거래된 수소를 운송하는 수소운송수단, 상기 제조 또는 운송된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시설, 상기 생산 또는 운송된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탱크, 상기 제조 또는 저장된 수소를 차량에 충전시키는 수소충전소, 상기 수소충전소에 구비되어 차량의 탱크 또는 탱크 주입구에 수소를 주입하는 수소주입기, 상기 수소제조시설에서 제조된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소발전기, 상기 생산 또는 운송된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소발전소,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되면서 수소가 이용되는 장치인 수소장치,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되면서 수소가 이용되는 장비인 수소장비, 상기 수소주입기를 통하여 주입된 상기 수소 내지 브라운가스 중 하나를 연소시키는 수소연소장치, 상기 수소운송수단으로부터 운송된 수소(H2)를 전자(e-)와 수소이온(2H+)으로 분리한 후 산소(O2)와 반응시켜 물(H2O)과 전기로 전환시키는 수소전지, 상기 수소저장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인 수소(H2)를 전자(e-)와 수소이온(2H+)으로 분리한 후 공기 중의 산소(O2)와 반응시켜 물(H2O)과 전기로 전환시켜 전기를 얻는 연료전지, 상기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저장된 수소(H2)를 백금촉매를 통하여 전자(e-)와 수소이온(2H+)으로 분리한 후 공기 중의 산소(O2)와 반응시켜 물(H2O)과 전기로 전환시켜 전기를 얻는 수소연료전지, 상기 수소제조시설에서 제조된 수소(H2)가 산소(O2)와 반응하여 H2O가 될때 방출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수소에너지시설, 상기 수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소이동수단, 상기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수소교통수단, 상기 수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는 수소모빌리티,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소차, 상기 수소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소트럭, 상기 연료전지 스텍에서 수소와 산소를 화학반응시켜 만들어진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소버스, 상기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운행하는 수소택시, 상기 수소탱크와 연료전지가 구비되어 수소탱크 저장 수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로 운행하는 수소기차, 상기 수소탱크가 탑재된 수소자동차, 상기 수소충전소에서 충전된 수소를 이용하는 수소승용차, 상기 수소연소장치에서 수소를 연소시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는 수소화물차, 상기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바퀴의 모터를 회전하여 이동하고 불을 피워 취사하는 수소캠핑카, 상기 수소주입기로 주입된 수소를 이용하는 수소자전거, 상기 수소전지가 탑재된 수소오토바이, 상기 수소발전소가 구비되어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소부유수단, 상기 연료전지가 탑재된 수소배, 상기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된 수소보트, 상기 수소발전기가 탑재된 수소선박, 상기 수소생산시설이 구비된 수소잠수함, 상기 수소저장시설이 구비된 수소비행수단, 상기 수소탱크가 거치된 수소드론, 상기 수소에너지시설이 구비된 수소비행기, 상기 수소충전소에서 충전된 수소가 이용되는 수소비행선, 상기 수소발전기가 구비된 수소우주선,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수소플라잉카,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시설 중 하나가 구비되면서 수소가 이용되는 시설인 수소시설, 상기 수소운송수단에 의하여 운송되는 수소를 이용하는 건물인 수소건물, 상기 수소제조시설에서 제조된 수소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소발전기가 구비된 도시인 수소도시, 상기 수소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수소 또는 상기 수소발전소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는 단지인 수소단지, 상기 수소에너지시설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취사 및 냉난방을 하는 하우스인 수소하우스, 상기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에너지로 이용하는 플랜트인 수소플랜트,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수소클러스터 중 둘 이상이 연계 또는 구비되는 수소클러스터; b)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수소클러스터 중 둘 이상 사이의 연결수단, 상기 수소생산시설과 수소충전소 사이의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의 하나인 이송관 또는 연결관; c)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시설, 상기 수소제조시설이 구비된 기(器 or 機), 상기 수소저장시설이 구비된 기기, 상기 수소탱크가 구비된 기구, 상기 수소발전기가 구비된 수단, 상기 수소연료전지가 구비된 장치, 상기 수소주입기가 구비된 장비, 상기 수소장치가 구비된 시설, 상기 수소장비가 구비된 설비; d)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설비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수단, 상기 수소제조시설과 수소거래시설과 수소운송수단과 수소저장시설이 조합된 복합수단, 상기 수소생산시설과 수소운송수단과 수소저장시설과 수소전지가 조합된 복합수단; e) 상기 복합수단이 구비되면서 전기 또는 배터리가 사용되는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f) 미생물연료전지가 거치되면서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 3은 a) 오존이 발생되는 수소제조시설, 음이온이 발생되는 수소생산시설,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는 전기분해기, 오존 및 자기장이 방사되는 바이오분해기, 자기장이 발생되는 수소거래시설, 살균제가 분사되는 수소운송수단, 소독제가 분사되는 수소저장시설, 상기 발생되는 수소탱크, 상기 분사되는 수소충전소, 상기 방사되는 수소주입기, 상기 5의 기구가 구비되는 수소발전기, 상기 5의 장치가 구비되는 수소발전소, 오존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수소장치, 오존과 음이온과 자기장이 발생되는 수소장비, 상기 5의 시설이 구비되는 수소연소장치,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전지, 오존기가 구비되는 연료전지, 음이온기가 구비되는 수소연료전지, 오존기가 구비되면서 수소에너지를 이용하는 수소에너지시설, 소독기가 구비되는 수소이동수단,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가 구비된 수소교통수단, 자기장을 방사하는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된 수소모빌리티,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차, 상기 복합기가 구비되는 수소트럭, 상기 오존자화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버스, 오존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수소택시,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고 자화기 및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기차, 오존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자동차,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고 자화기 및 살균기가 구비되어 공기청정되는 수소승용차, 오존이 발생되는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화물차,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는 오존기가 구비되는 수소캠핑카, 오존 및 자기장이 발생되고 오존기 및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자전거, 상기 발생 및 분사되는 수소오토바이, 상기 발생 및 분사되는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부유수단, 상기 방사 및 분사되고 오존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배, 오존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되고 상기 방사되는 수소보트, 오존 및 살균제가 방사되고 오존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선박, 살균제가 분사되고 오존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잠수함, 음이온이 발생되고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비행수단, 오존이 발생되고 상기 복합기가 구비되는 수소드론, 오존과 음이온과 자기장이 조사되고 자화기와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비행기, 소독제가 분사되고 오존이 발생되고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비행선, 오존기와 살균기가 조합된 복합기가 구비되고 자기장이 발생되는 수소우주선, 자화기와 오존기가 조합된 복합기가 구비되고 오존이 발생되는 수소플라잉카, 오존과 음이온과 자기장과 살균제가 방사되는 수소시설, 오존기에 의하여 소독제가 방사되는 수소건물, 음이온기에 의하여 살균제가 방사되는 수소도시,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음이온이 방사되는 수소단지,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소독제가 방사되는 수소하우스, 오존이 방사되는 음이온가가 구비된 수소플랜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수소클러스터; b)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수소클러스터 중 둘 이상 사이의 연결수단, 상기 둘 사이에 거치되면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되는 연결수단; c)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면서 오존이 발생되는 기(器 or 機), 음이온이 발생되는 기기, 자기장이 발생되는 기구, 오존이 발생되고 자화기가 구비된 수단, 자기장이 발생되고 오존기가 구비된 장치, 오존 및 음이온이 발생되고 오존자화기가 구비된 장비, 살균제가 방사되고 오존살균기가 구비된 시설, 오존 및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화오존살균기가 구비된 설비; d)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설비 중 둘 이상이 조합되면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되면서 오존과 음이온과 자기장이 방사되는 복합수단; e) 상기 오존기가 거치된 상기 복합기가 구비되면서 전기 또는 배터리 사용의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살균기가 거치된 상기 복합기가 거치되면서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 4는 상기 수소시설 2의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수소시설 3의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상기 수소제조시설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소시설 5는 a) 상기 수소시설 2의 상기 수소운송수단으로부터 운송된 수소(H2)를 전자(e-)와 수소이온(2H+)으로 분리한 후 산소(O2)와 반응시켜 물(H2O)과 전기로 전환시키는 수소전지와 상기 수소시설 3의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전지가 조합된 것으로 상기 수소운송수단으로부터 운송된 수소(H2)를 전자(e-)와 수소이온(2H+)으로 분리한 후 산소(O2)와 반응시켜 물(H2O)과 전기로 전환시키면서 자화기가 구비되는 수소전지; b) 상기 수소시설 2의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소차와 상기 수소시설 3의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차가 조합된 것으로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면서 살균기가 구비되는 수소차; c) 상기 수소시설 2의 상기 수소탱크가 거치된 수소드론과 상기 수소시설 3의 오존이 발생되고 상기 복합기가 구비되는 수소드론이 조합된 것으로 상기 수소탱크가 거치되면서 오존이 발생되고 상기 복합기가 구비되는 수소드론; d) 상기 수소시설 2의 상기 수소장비가 구비된 설비와 상기 수소시설 3의 오존 및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화오존살균기가 구비된 설비가 조합된 것으로 상기 수소장비가 구비되면서 오존 및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화오존살균기가 구비된 설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초(基礎, foundation))는 기초 1, 기초 2, 기초 3, 기초 4, 기초 5, 기초 6, 기초 7, 기초 8, 기초 9, 기초 10, 기초 11, 기초 12, 기초 13, 기초 14, 기초 15, 기초 16, 기초 17, 기초 18, 기초 19, 기초 20, 기초 21, 기초 22, 기초 23, 기초 24, 기초 25, 기초 26, 기초 27, 기초 28, 기초 29, 기초 30, 기초 31, 기초 32, 기초 33, 기초 34, 기초 35, 기초 36, 기초 37, 기초 38, 기초 39, 기초 40, 기초 41, 기초 42, 기초 43, 기초 44, 기초 45, 기초 46, 기초 47, 기초 48, 기초 49, 기초 50, 기초 51, 기초 52, 기초 53, 기초 54, 기초 55, 기초 56, 기초 57, 기초 58, 기초 59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초 1은 기초, 파일, 피어, 기둥, 케이슨,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돌기 구비 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개량기초, 기둥기초, 주입기초, 분사기초, 믹싱기초, 컴팩션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보강기초, 스크류기초, 믹스기초, 내진기초, 지중기초, 표층기초, 지하기초, 중층기초, 심층기초, 지반기초, 시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건물기초, 교량기초, 구조물기초, 아파트기초, 시설지지기초, 가변기초, 팽이기초, 확장기초, 확장판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의 결합기초,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심도 15m 이하의 중층기초, 심도 15m 이상의 심층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로 조성된 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로 조성된 기초;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 또는 둘 이상이 순차 조합된 복합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파일은 파일, 기둥, 지중파일, 목재파일, 공장파일, 현장파일, PHC파일, 콘크리트파일, 현장타설파일, 샌드콤팩션파일(SCP; sand compaction pile), 자갈콤팩션파일(GCP; gravel compaction pile), 쇄석콤팩션파일(CCP;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슬래그콤팩션파일(SCP; slag compaction pile), CIP(cast in place pile), 공장에서 제작된 파일,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조성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피어는 피어, 기주(基柱), 단면이 사각형인 피어, 단면이 원형인 피어, 길이 또는 심도가 15m 이상인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슨은 케이슨, 박스 형상의 박스케이슨, 원통 형상의 원통케이슨, 사각형 현상의 사각형케이슨, 내부 중공의 중공케이슨, 철재케이슨, 철골케이슨, 콘크리트케이슨, 길이 또는 심도가 30m 이상인 기초, 수상이나 육상에서 제작한 속이 빈 콘크리트 구조물,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오픈되면서 굴착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닫히면서 굴착되고 굴착 내부에 공기가 투입되어 굴착 내부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공기케이슨(pneumatic caisson), 자중이나 적재하중에 의하여 지지층까지 침하시킨 후 모래, 자갈,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속채움된 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중 하나는 핀(pin), 강(鋼), 철, 강철. 철근, 철골, 금속, 강관, 돌기, 파일, 강관파일,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포함 또는 형성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고화기초는 토사(soil)와 고화재(binder)가 고화된 기초(foundation)이거나, 또는 상기 고화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다. b) 상기 고결기초는 바인더, 흙이 고결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c) 상기 개량기초는 지반이 개량된 기초이거나, 개량재가 지반 또는 기초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d) 상기 기둥기초는 기둥(column)형상의 기초이거나 또는 재료가 지반에 침투되어 조성된 기둥형상의 기초이다. e) 상기 주입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주입(injection, 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분사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분사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g) 상기 믹싱기초는 고화재가 지반에 믹싱(mix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h) 상기 컴팩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다짐(compa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i) 상기 인젝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인젝션(inje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j)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재료 또는 그라우팅재가 지반에 그라우팅(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k) 상기 보강기초는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 또는 기초에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스크류기초는 지중에 삽입된 또는 회전압입되어 삽입된 스크류기초이다. b) 상기 확장기초는 기초의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이 확장된 기초이다. c) 상기 확장판기초는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에 확장판이 장착된 기초이다. d) 상기 믹스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e) 상기 믹싱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믹싱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내진기초는 지진보강, 내진보강, 지진대비 등의 기초이다. g) 상기 지중기초(underground foundation)는 지중에 조성된 기초, 또는 가변 날개가 장착된 롯드에 의하여 지중에 바인더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h) 상기 표층기초(surface foundation)는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또는 기초의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지면에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i)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shallow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큰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상인 기초, 상기 깊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얕은 기초 중 하나이다. j)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deep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작은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하인 기초, 상기 얕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깊은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지반기초는 지반에 조성된 기초이다. b) 상기 시설기초는 시설을 지지하는 기초이다. c) 상기 시설지지기초는 시설의 지지를 위하여 시설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이다. d) 상기 표층부 기초는 지중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표층부 기초, 또는 일정의 두께를 가진 표층부 기초, 또는 표층 고화체로 구성된 기초이다. e) 상기 가변기초는 가변기초, 변화기초, 단면변화기초, 변단면기초, variable foundation, variable shape foundation 중 하나이거나, 또는 폭, 직경, 단면, 형상, 길이 방향의 형상, 길이 방향의 단면 중 하나가 변화되는 기초이다.
상기 변단면기초는 변단면기초, 단면이 변하는 기초, 단면의 형상 또는 크기가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점점축소 또는 점점확대되는 기초, 상부는 원통 형상이고 중간은 콘 형상이고 하부는 상부의 원통보다 작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기초,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원통형상의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원통부 기초는 원통 형상의 기초, 또는 하기 콘부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기초, 또는 지중 원통 기초, 또는 지반에 바인더가 주입되어 조성된 원통부 기초이다. b) 상기 콘부 기초는 a) 콘 형상의 기초, 지중 콘 기초, 상기 원통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 b) 또는 자신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 기초, c) 또는 상기 원통부 기초의 조성에 이용되는 2개 이상 동일 날개보다 길이가 짧으면서 점축되는 2개 이상 가변 날개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콘부 기초 중 하나이다. c) 상기 꼬리부 기초는 기초의 하부를 이루는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콘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원통부, 콘부,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 기초이다.
상기 기초 2는 지중 고화체와 비고화된 주변 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의 복합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와 지반의 복합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3은 a) 날개; b) 이가 구비된 롯드; c) 상기 롯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d) 상기 날개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백호 또는 이동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에 의하여 투입된 바인더와 토사, 잔토, 사토, 지반,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의 고결에 의하여 조성된 고화체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날개 또는 롯드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4는 상기 기초 중 하나와 주변 지반 또는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5는 상기 기초 중 하나에 보강재가 삽입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6은 상기 기초 중 하나와 보강재와 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7은 상기 기초 중 하나의 조성 시에 발생된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8은 상기 기초, 보강기초, 복합기초 중 하나와 이 상부의 표층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9는 날개에 의하여 지반과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부산물 중 하나 이상 함유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지중 변단면 고화체이다. 상기 기초 10은 상기 고화체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사토, 슬라임과 바인더가 백호 버켓에 의하여 교반되어 조성된 표층 고화 기초이다. 상기 기초 11은 지중 변단면 고화체와 이 상부에 조성되는 표층 다짐형 고화체의 둘이 조합된 복합 기초이다.
상기 기초 12는 a) 상기 고화체와 이의 주변 비고화된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b) 상기 고화체에 보강재가 삽입된 보강기초; c) 상기 고화체, 보강재, 지반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13은 a) 원통부; b) 자신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직경 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 c) 상기 원통부, 콘부,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 기둥형 기초이다. 상기 기초 14는 a) 상기 원통부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2개 이상의 동일 길이 날개; b) 상기 콘부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것으로 상기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2개 이상의 가변 길이 날개; c) 상기 꼬리부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것으로 상기 a) 및 b) 둘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2개 이상의 동일 길이 날개;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형성된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중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 기둥형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a) 날개, b) 날개. c) 날개 중 하나가 이용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15는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형의 기둥 중 하나의 상부에 백호, 이의 버켓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바인더와 흙, 토사, 잔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 포설, 다짐 중 하나 이상이 되어 설치되는 표층형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진동기 또는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버켓이 이용되어 조성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16은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형의 기둥 중 하나의 조성 시에 발생되는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표층형 기초이다. 상기 기초 17은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기둥형 기초와 상기 표층형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18은 상기 기둥형 기초와 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층형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19는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 표층부, 표층형의 표층 중 하나 이상에 보강재가 투입된 보강 기초이다.
상기 기초 20은 a) 롯드 또는 날개가 장착된 회전형 롯드; b) 상기 롯드의 홀, 노즐, 비트, 회전수단; c) 상기 회전수단이 거치된 암; d) 상기 암이 구비된 붐; e) 상기 롯드 내지 붐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된 장비 또는 드릴 또는 굴착기 또는 포크레인; f) 지반과 바인더를 회전하면서 교반시키는 상기 롯드; g) 상기 교반 부위에 보강재를 투입하는 투입기; h) 상기 교반 및 투입되어 지중에 보강 기초를 조성하는 상기 롯드 또는 포크레인; i) 상기 비트의 하나인 확공비트; j) 상기 비트 또는 확공비트가 구비된 롯드; k) 상기 롯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롯드, 홀, 노즐, 비트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조성되는 기초이고, 상기 홀 또는 노즐은 상기 롯드에 형성되면서 바인더가 분출되는 곳이고, 상기 비트는 상기 롯드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롯드의 회전 시에 지반을 굴착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롯드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초 21은 상기 롯드에 순차적으로 연계된 공급호스, 펌프, 배합기, 호퍼, 사일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기초이거나,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롯드, 공급호스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조성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22는 상기 날개, 장비, 롯드 내지 포크레인, 호스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에 a) 진동자화기; b) 또는 바인더를 진동자화하는 진동자화기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3은 상기 기초의 조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바인더; 상기 장비를 통하여 공급되는 바인더; 상기 배합기에서 배합된 바인더 슬러리; 상기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상기 슬러리;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롯드; 상기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날개; 상기 날개에 의한 교반; 일정의 백호에 장착된 버켓; 이의 버켓에 의한 교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바인더가 지반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4는 흙, 토사, 잔토, 지반, 슬라임, 고화재, 보강재, 바인더, 슬러리 중 하나 이상의 교반, 양생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5는 날개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상기 기둥형 기초와 백호에 장착된 버켓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표층형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날개, 버켓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6은 버켓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표층형 기초, 날개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기둥형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27은 상기 표층부, 원통부, 콘부, 꼬리부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8은 표층부(194)와 원통부(196), 표층부(194)와 콘부, 표층부(194)와 꼬리부, 원통부(196)와 콘부(197), 원통부와 꼬리부, 콘부(197)와 꼬리부(198), 표층부(194)와 원통부(196)와 콘부(197), 표층부(194)와 원통부(196)와 꼬리부(198), 원통부(196)와 콘부(197)와 꼬리부(198), 표층부(194)와 원통부(196)와 콘부(197)와 꼬리부(198) 중 하나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29는 자신의 a) 심도가 15m 이내, 5∼15m; b) 선단이 풍화토층에 거치, 풍화암층에 거치, N치 18∼35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인 기초이다. 상기 N치는 표준관입시험에 의하여 산정된다. 상기 기초 30은 상기 변단면 또는 기둥형의 상부 동일단면이 N치 15∼30인 지층에 거치, 상기 동일단면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동일단면이 N치 18∼35인 지층에 거치, 상기 상부와 하부의 중간인 콘단면이 N치 16∼32인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31은 자신 상부에 놓이는 8층 이하 건물, 25∼45ton/㎡ 이하 하중 시설, 250∼450kN/㎡ 이하 하중 구조물 중 하나를 지지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32는 상기 조성 시에 발생된 또는 상기 기초의 조성에 의하여 발생된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33은 날개(176, 178)의 회전에 의하여 바인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34는 백호(172), 이에 장착된 버켓(178), 상기 버켓 내부에 장착된 날개, 상기 버켓 내부에 장착된 회전 날개 중 하나 이상의 장비에 의하여 바인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35는 상기 형성, 교반, 주입 중 하나 시에 날개(176, 178)에 의하여 바인더, 흙, 토사, 잔토, 지반,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6은 진동자화기에 의하여 진동자화된 바인더가 이용되어 조성된 또는 바인더가 지반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37은 Ca성분이 함유된 수화반응제, Na성분이 함유된 수화고결제, Al성분이 함유된 실리카제, Ti성분이 함유된 촉매제, H성분이 함유된 졸겔제, Si성분이 함유된 포집제, Mg성분이 함유된 탄산화제, Fe성분이 함유된 부산물제, Cell이 함유된 개체증식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바인더가 이용되어 조성된 또는 바인더가 지반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38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화반응제 60∼80중량부, 상기 수화고결제 5∼10중량부, 상기 실리카제 4∼7중량부, 상기 졸겔제 1∼3중량부, 상기 포집제 6∼12중량부, 상기 탄산화제 4∼8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바인더가 이용되어 조성된 또는 바인더가 지반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39는 자신의 N치 15∼35; 강도 25∼45ton/㎡; 강도 25∼45ton/㎡ × 안전율 또는 1.1∼3.0로 산정되는 값인 (25×1.1∼3.0)ton/㎡ ∼ (45×1.1∼3.0)ton/㎡; 최대 강도 100ton/㎡; 중 하나인 기초이다.
상기 기초 40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의 상부에 거치된 표층 기초(194)이다. 상기 기초 41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195)와 표층 기초(194)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2는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195)와 이의 주변 비고화된 지반 또는 원지반(190)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3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195)와 상기 주입되지 않은 원지반(190)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4는 회전하면서 바인더(80)를 분사하는 롯드(174, 516)가 지반에 영구 존치되어 롯드로 보강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5는 상기 고화기초 ∼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195)와 이에 삽입된 보강재(193) 또는 상기 롯드(174, 516)로 구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6은 지반에 영구 존치된 보강재(193) 또는 지반에 영구 존치된 상기 롯드(174, 516)와 이의 주변(190)에 형성된 상기 고화기초 ∼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195)로 조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7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와 이에 삽입된 보강재로 구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8은 보강재(193)가 삽입기(171), 또는 삽입기능을 가진 이동수단(171), 에 의하여 삽입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49는 상기 보강재(193)가 판 구비 보강재, 확장판 구비 보강재, 자신과 볼트 연결되는 확장판 구비 보강재, 돌기 구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0은 보강재(193)가 삽입되면서 자신의 a) 심도가 15m 이상, 100m 이하, 15∼100m; b) 선단이 암반층에 거치, 연암층에 거치, N치 30 이상 지층에 거치, N치 100 이하 지층에 거치, N치 50∼100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인 기초이다. 상기 기초 51은 보강재(193)가 삽입되어 내진시설, 8층 이상 건물, 100층 이하 건물, 25∼45ton/㎡ 이상 하중 시설, 250∼450kN/㎡ 이상 하중 구조물 중 하나를 지지하는 기초이다. 상기 기초 52는 지중 고화체(195)와 미고화된 지반(190)의 결합체, 지중 고화체(193)와 이의 주변 지반 또는 원지반(190)의 결합체, 지중 고화체(193)와 롯드(174, 516)의 결합체, 지중 고화체(195)와 보강재(193)의 결합체, 지중 고화체(195)와 스크류의 결합체, 고화체(195)와 롯드(174, 516)와 지반(190)의 결합체, 고화체와 보강재와 지반의 결합체, 고화체와 스크류와 지반의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53은 상기 결합체인 복합 기초이다.
상기 기초 54는 회전 날개(176)에 의하여 지반, 슬라임 중 하나 이상의 모재와 보강재, 혼화제, 부산물, 미생물 중 하나 이상의 바인더, 또는 진동자화 처리된 상기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55는 벽, 지중벽, 기둥, 지중기둥, 지지, 건물지지, 시설지지, 구조물지지, 지보, 시설지보, 지탱, 건물지탱, 보강, 지반보강, 건물보강,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보수, 지반보수, 건물보수, 차수, 지반차수, 제방차수, 방수, 지반방수, 건물방수, 투수, 지반투수, 막이, 물막이, 흙막이, 여과, 오염여과, 반응, 오염반응, 오염정화반응, 화학반응, 역학반응, 정화, 오염정화, 불투수, 반투수, 지하벽, 연속벽, 지하연속벽, 반응성투수, 오염반응성투수, 오염정화반응성투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초 또는 하나 용도의 기초이다.
상기 기초 56은 1차와 2차와 3차와 4차의 지지층으로 구성되고, a) 상기 1차 지지층은 상기 2차, 3차, 4차 지지층의 조성 시에 배출되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것으로 상기 2차 지지층의 상부에 거치되는 지지층(194)이고, b) 상기 2차 지지층은 날개가 장착된 회전롯드에 의하여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변단면 고화층의 상부 또는 이 상부의 동일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196)이고, c) 상기 3차 지지층은 상기 2차 지지층과 4차 지지층 사이의 콘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197)이고, d) 상기 4차 지지층은 상기 변단면 고화층의 하부 또는 이 하부의 동일단면으로서 상기 2차의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198)인 지중 기초(195)이다.
상기 기초 57은 변단면이 a) 상하 변단면, 상중하 변단면, 점축 단면, 점확 단면, 점축 후 점확 단면, 점확 후 점축 단면, 동일 후 점확 단면, 동일 후 점축 단면, 동일 후 점확 후 동일 단면, 동일(196) 후 점축(197) 후 동일(198) 단면, 동일 후 콘모양 후 동일 단면, b) 동일단면 기둥체(196)와 이의 하부에 콘단면 기둥체(197)와 이의 하부에 상기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 기둥체(198), c) 동일단면 기둥체(196)와 이의 하부에 콘단면 기둥체(197)와 이의 하부에 상기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 기둥체(198), d) 또는 축, 길이, 기둥, 상기 롯드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상하 변단면 ∼ 동일 후 점축 후 동일 단면 중 하나인 지중 기초이다
상기 기초 58은 항타기초, 지중에 항타하여 설치되는 기초, 항타기로 지중에 항타하여 설치되는 기초, 매입기초, 지중에 매입되는 기초, 지중의 보링공에 매입되는 기초, 지중의 보링공에 매입되고 상기 보링공 내부가 그라우팅되어 조성되는 기초, 현장타설기초, 현장에서 타설되는 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기초, 현장의 보링공 내부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기초, 현장의 보링공 내부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어 조성되는 기초, 현장의 보링공 내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기초, 현장의 보링공 내부에 철골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CIP(cast in place) 기초, 현장의 지반에 항타 또는 보링공에 매입되는 기초, 현장의 지반에 항타 또는 보링공에 매입되는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기초, 지반에 모래가 다짐되어 조성되는 SCP(sand compaction pile)기초, 지반에 자갈이 다짐되어 조성되는 GCP(gravel compaction pile)기초, 지반에 쇄석이 다짐되어 조성되는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기초, 지반에 슬래그가 다짐되어 조성되는 SCP(slag compaction pile)기초, 기초에 보강재가 삽입되는 보강 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초 59는 고화체, 보강재, 지반 중 둘 이상의 평균 또는 환산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을 가지는 기초이다. 상기 평균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은 산정 a, b, c 중 하나에 의한다. 상기 산정 a는 (상기 고화체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1이라 칭함) + 상기 지반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2라 칭함)) ÷ 2 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b는 (상기 p1 + 상기 보강재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3라 칭함)) ÷ 2 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c는 (상기 p1 + 상기 p2 + 상기 p3) ÷ 3 으로 산정된다. 상기 환산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은 산정 1, 산정 2, 산정 3, 산정 4, 산정 5, 산정 6, 산정 7, 산정 8, 산정 9 중 하나에 의한다.
상기 산정 1은 (상기 p1 × 상기 고화체의 면적(A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지반의 면적(A2이라 칭함)) ÷ (상기 A1 + 상기 A2)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2는 (상기 p1 × 상기 A1 + 상기 p3 × 상기 보강재의 면적(A3이라 칭함)) ÷ (상기 A1 + 상기 A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3은 (상기 p1 × 상기 A1 + 상기 p2 × 상기 A2 + 상기 p3 × 상기 A3) ÷ (상기 A1 + 상기 A2 + 상기 A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4는 (상기 p1 × 상기 고화체의 체적(V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지반의 체적(V2이라 칭함)) ÷ (상기 V1 + 상기 V2)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5는 (상기 p1 × 상기 V1 + 상기 p3 × 상기 보강재의 체적(V3이라 칭함)) ÷ (상기 V1 + 상기 V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6은 (상기 p1 × 상기 V1 + 상기 p2 × 상기 V2 + 상기 p3 × 상기 V3) ÷ (상기 V1 + 상기 V2 + 상기 V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7은 (상기 p1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고화체의 면적(A1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지반의 면적(A21이라 칭함)) ÷ (상기 A11 + 상기 A21)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8은 (상기 p1 × 상기 A11 + 상기 p3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보강재의 면적(A31이라 칭함)) ÷ (상기 A11 + 상기 A31)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9는 (상기 p1 × 상기 A11 + 상기 p2 × 상기 A21 + 상기 p3 × 상기 A31) ÷ (상기 A11 + 상기 A21 + 상기 A31)으로 산정된다.
상기 점착력은 t/m2, 내부마찰각은 도(°)의 단위 또는 물리량을 가진다. 상기 기초의 지지력은 Terzaghi, Meyerhof, Hansen 중 하나 이상의 지지력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상기 Terzaghi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 + βBr1Nr + r2DfNq이다. 상기 Meyerhof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FcsFcdFci + βr1BNrFrsFrdFri + r2DfNqFqsFqdFqi이다. 상기 Hansen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scdcicgcbc + βr1BNrsrdrirgcbr + r2DfNqsqdqiqgcbq이다. 상기 qu = 기초의 지지력; α = 기초형상계수; β = 기초형상계수; B = 기초폭; c = 점착력; Df = 기초 근입깊이; 상기 Nc, Nr, Nq = 지지력계수; 상기 Fcs, Frs, Fqs = 형상계수; 상기 Fcd, Frd, Fqd = 깊이계수; 상기 Fci, Fri, Fqi = 경사계수; 상기 sc, sr, sq = 형상계수; 상기 dc, dr, dq = 깊이계수; 상기 ic, ir, iq = 경사계수; 상기 gc, gr, gq = 지반계수; 상기 bc, br, bq = 저면경사계수; 이다.
상기 기초의 극한 지지력은 상기에서 산정된 1개 지지력, 2개 평균 지지력, 3개 평균 지지력 중 하나로 한다. 상기 기초의 허용 지지력은 상기 극한 지지력을 안전율(Fs)로 나는 q = qu / Fs 또는 q = qu / 3 이다. 상기 기초가 지지하는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40)의 침하량은 지반물성치를 이용하는 공식 S = qㆍBㆍ(1-μ2)/EㆍIw, 재하시험에 의한 공식 S = S30ㆍ(2B/(B+0.3))2, N치에 의한 공식 S = 0.4ㆍ(Po/N)ㆍHㆍlog(Po+ΔP)/Po 중 하나 이상으로 산정된 개별 침하량 또는 둘 이상의 평균 침하량 이다. 상기 q =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강도 또는 시설의 하중강도, B = 기초폭, μ = 지반의 포아슨비, E = 지반의 탄성계수, Iw = 침하에 의한 영향값, S30 = 재하시험시 재하판의 침하량, H = 토층 두께, Po = 지반의 유효상재하중, ΔP = 시설의 하중에 의한 연직응력증가분이다.
본 발명에서 물체,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등은 실시예 6에 의하면 a) 작업을 관측 또는 촬영하고, 시설 또는 상기 작업하는 시설을 녹화하고, 공사 또는 상기 시설의 공사를 영상화하고, 먼지 또는 상기 작업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카메라로 담고, 먼지농도 또는 상기 작업 중 먼지농도를 측정하거나, b) 또는 관측,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영상화, 카메라로 담기, 측정, 먼지농도 측정, 촬영 영상 전송, 측정 자료 전송 중 둘 이상을 하거나, c) 또는 촬영, 측정, 전송을 동시에 하거나, d) 또는 하기 1, 2, 3, 4, 5, 6, 7, 8, 9, 10 중 하나를 하거나, e) 또는 e1)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거나, e2) 또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거나, e3) 또는 자신에 연계되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d4) 또는 상기 수단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는 물체,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등이다.
상기 1은 공사하는 것이다. 상기 2는 공사 또는 작업, 촬영 또는 녹화, 측정 또는 관측을 하는 것이다. 상기 3은 공사, 작업, 촬영, 측정, 송신, 수신을 하는 것이다. 상기 4는 공사, 작업, 촬영, 측정,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정화, 청정, 먼지제거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5는 공사 또는 작업 장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6은 공사, 작업, 상기 공사 장면 촬영, 상기 작업 장면 촬영, 상기 공사 또는 작업 먼지 측정, 상기 촬영 영상 송신, 상기 측정 자료 송신, 상기 송신 내용 수신, 상기 공사 또는 작업 현장 정화, 상기 공사 또는 작업 공기 청정, 상기 먼지 제거; 이중 둘 이상 복합;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7은 상기 영상이 집, 본사, 지사, 원격, 사무실, 상황실, 발주처, 사람, 주인, 직원, 건물주, 발주자, 감독관, 제3자, 서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 모니터, 스크린 중 하나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8은 a)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b)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가 구비되면서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또는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9는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소독기, 살균기, 전해기, 방전기, 음이온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방사되는 물질,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소독물, 살균물, 전해물, 방전물, 음이온물; d) 상기 물질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10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분사, 발생, 코팅, 투입 중 하나가 되는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모빌리티, 작업 등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촬영하는 촬영기는 카메라, 촬영기, CCTV, 무선카메라, 유선카메라, 영상카메라, 영상 송신 카메라, 회전 카메라, 360도 회전 카메라 중 하나이다. 상기 송신하는 송신기는 비콘, NFC, WiFi, 블루투스, 전선, 케이블, 케이블선, 무선송신기, 유선송신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수신하는 수신기는 서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SNS,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 모니터, 스크린 중 하나이다. 상기 모바일기는 폰,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NS기기,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장치는 a)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장치 13, 장치 14, 장치 15,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가 구비된 장치, 장비에 구비된 하기 장치, 장비가 구비된 하기 장치, 하기 장치에 구비된 장비, 하기 장치가 구비된 장비, 모빌리티가 구비된 하기 장치, 모빌리티에 구비된 하기 장치, 상부에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치, 비행하는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치, 하기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하기 장치에 구비된 모빌리티, 상기 작업을 하는 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b)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분사하거나, c)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거나, d) 또는 d1)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살균물, 소독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처리물; d2)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복합물; d3)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하기 장치,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장치의 상세 내용은 상기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는 실시예 7에 의하면 a) a1) 공사하고, 공사 장면을 촬영하고, 공사 현장의 먼지농도를 측정하고, 공사 장면을 관측하고, 상기 현장을 정화하고, 상기 현장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상기 현장의 오염을 처리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현장의 먼지를 제거하는, a2) 또는 공사, 공사 장면 촬영, 공사 현장의 먼지농도 측정, 공사 장면 관측, 상기 현장 정화, 상기 현장의 공기 청정, 상기 현장의 오염 처리, 상기 촬영 영상 송신, 상기 송신 영상 수신, 상기 현장의 먼지 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a3) 또는 공사를 하는, a4) 또는 공사, 촬영, 측정을 하는, a5) 또는 공사, 촬영, 측정, 측량, 관측, 정화, 청정, 처리, 먼지제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를 하는, a6) 또는 공사, 촬영, 측정, 측량, 관측, 정화, 청정, 처리, 영상송신, 영상수신, 먼지제거, 상기 공사 내지 먼지제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상기 공사 현장 촬영, 상기 현장의 먼지농도 측정, 상기 공사 지역 측량, 상기 공사 장면 관측, 상기 현장 정화, 상기 현장 공기 청정, 상기 공사에서 발생되는 먼지 처리, 상기 촬영 영상 송신, 상기 촬영 영상 수신, 상기 현장 먼지 제거; 중 하나를 하는, a7) 또는 이동하거나 비행하면서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거나, b) 또는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은 영상, 동영상, 촬영물, 공사 영상, 작업 영상, 현장 촬영물 중 하나를 전송 또는 무선전송 또는 유선전송하면서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2는 상기 영상 내지 촬영물 중 하나를 전송 또는 무선전송 또는 유선전송하면서 a) 저장(60), 재료저장, 투입(61), 재료투입, 상기 저장 재료를 혼합에 투입, 혼합(62), 원료혼합, 몰틸혼합, 콘크리트혼합, 혼합토혼합, 벤토나이트혼합토혼합, 배합, 레미콘배합, 펌핑(63), 압력펌핑, 가압(63), 콘크리트가압, 타설(66),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66), 레미콘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지면에 살포, 농약 살포, 성형, 제품 성형, 자재 성형, 포장, 도로포장, 진동, 콘크리트진동,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살수, 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면처리, 표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b) 상기 저장 재료를 혼합에 투입, 상기 저장 또는 투입 재료를 혼합 또는 배합, 상기 혼합 또는 배합 재료를 펌핑 또는 가압, 상기 혼합 또는 가압 재료를 타설 또는 치기 또는 포설 또는 포장, 상기 타설 또는 포설 재료를 진동 또는 다짐, 상기 재료에 살수, 상기 타설 재료에 살수, 상기 타설 또는 진동 재료를 양생, 상기 재료에 살수하여 양생, 상기 양생되어 조성된 구조물을 면처리; c)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저장 내지 면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로 되는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3은 a) a1) 공사 현장 촬영; a2) 상기 촬영 영상 송신; a3) 또는 균, 세균, 먼지, 황사, 분진, 오염, 환경, 향, 악취, 냄새, 오존, 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소리, 바람, 소음, 진동, 농도, 휨, 변위, 응력, 강도, 강성, 압력, 수축, 팽창, 침하, 융기, 균열, 균열폭, VOC, CO, CO2, SOx, NOx, 수질, 토양질, 공기질, 오염물, 병원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이중 하나의 농도 또는 밀도 또는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측정; a4) 상기 측정 수치 송신; 중 하나 이상과, b) 상기 촬영하는 카메라 구비, 상기 측정하는 센서 또는 측정기 구비, 상기 송신하는 송신기 구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4는 촬영, 찍기, 사진찍기, 현장 촬영, 영상 촬영, 측량, 부지 측량, 매핑(mapping), 지형 매핑, 지형도 매핑, 3차원화, 현장 3차원화, 토공량 산정, 절토량 산정, 성토량 산정, 골재량 산정, 토사량 산정, 폐기물량 산정, 작업량 산정, 공사 토공량 산정, 절토량 산정, 성토량 산정, 공사량 산정, 작업된 공사량 산정, 3차원 도면화, 현장을 3차원 도면화, 공사 현황도 제작, 준공도 제작; 촬영 영상을 이용하는 상기 측량 내지 준공도 제작; 상기 촬영 내지 제작 중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5는 이동 또는 비행하면서 상기 전송, 저장 내지 복합, 촬영 내지 복합,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공사는 A) a) a1)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조성, 조경; a2) 측량, 계측, 굴착, 굴삭, 천공, 발파, 숏크리트, 보링, 그라우팅, 준설, 절토, 성토, 토공, 목공, 석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a3) 저장, 투입, 혼합, 펌핑, 가압, 이송, 운반, 배달, 탑승, 합승, 승용, 타설, 분사, 주입, 주사, 포설, 살포, 포장, 자화, 진동 다짐, 살수, 양생; a4) 미장, 방수, 숏팅, 블라스팅, 코팅, 도장, 도색, 면처리, 면마감, 창호공, 식재, 녹화,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보수, 보강, 개량, 수리, 수선, 인테리어, 리모델링; a5) 재료의 또는 재료에 상기 저장 내지 양생; a6) 지반 또는 구조물의 상기 미장 내지 리모델링; a7) 상기 공사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의 수단 또는 기(器 또는 機)가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리모델링; a8) 상기 측량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공사 내지 조경; a9) 상기 공사 내지 조경 중 하나를 위한 상기 측량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댐, 기초, 파일, 제방, 건물, 주택, 시설, 교량, 도로, 포장, 터널, 옹벽, 구조물, 아파트, 주상복합, 지중기초, 표층기초, 내장, 외장, 미장, 조적, 라이닝, 인젝션, 그라우팅, 숏크리트, 보수보강, 지반개량, 지반보강, 사면보강, 사면녹화, 인테리어, 리모델링,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재료 이용, 자재 이용 중 하나의 공사이거나, c) 또는 c1) 콘, 망, 봉, 틀, 칩, 나선, 센서, 소자, 자석, 전극, 전지, 코일, 돌기, 회로, 도체, 반도체, 측정기, 레이더, 스캐너, 3D스캐너,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c2)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전해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소독물, 살균물, 적외선물, 자외선물, 열화상물, 초음파물; c3) 자화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파동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소독처리, 살균처리, 적외선처리, 자외선처리, 열화처리, 초음파처리; c4) 상기 콘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처리; c5) 상기 콘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처리; c6)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c7)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기; c8)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물; c9) 상기 콘 내지 3D스캐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c10)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콘 내지 3D스캐너; c11)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진동물 내지 복합처리; c12) 상기 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c13) 상기 콘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에 의하여 교반, 확산, 와류, 폭기, 정화, 청정, 세척, 세차, 세정, 소독, 살균, 방역;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하나를 이용 또는 분사하거나, B)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공사 장비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 재료를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교반 내지 방역 중 하나를 하는 공사이다.
상기 처리는 a)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차, 세정, 정수, 살균, 소독, 처리, 연마, 숏팅, 블라스팅; b) 또는 균, 녹, 수, 물, 수질, 공기, 대기, 토양, 면, 표면, 얼룩, 찌끼, 세균, 먼지, 황사, 분진, 오염, 환경, 향, 악취, 냄새, 오존, 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소리, 바람, 소음, 진동, 농도, 휨, 변위, 응력, 강도, 강성, 압력, 수축, 팽창, 침하, 융기, 균열, 균열폭, VOC, CO, CO2, SOx, NOx, 수질, 토양질, 공기질, 오염물, 병원균, 부산물, 폐기물, 침전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정화 내지 블라스팅;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는 실시예 8에 의하면 공중을 비행하는 모빌리티로서 상기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은 A) A1) a)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무인드론, 유인드론,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무인비행체, 유인비행체 중 하나; b) 이에 구비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송출기; 상기 카메라 또는 송출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카메라 또는 송출기 또는 케이블에 연계되는 수신기 또는 모니터; 또는 상기 카메라 또는 송출기 또는 케이블에 무선 연결되는 핸드폰 또는 모바일기기; 상기 영상이 방영되는 상기 수신기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 또는 모바일기기; 상기 드론 또는 이의 비행을 조정하는 조정기;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대상을 매핑(mapping)하는 매핑기; 로 구성되면서, A2) 상기 드론 내지 유인비행체 중 하나에 연무기, 상기 카메라에 오존기, 상기 케이블에 방전기, 상기 수신기 또는 모니터에 음이온기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드론 내지 매핑기 중 하나 이상에 연무기, 방사기, 정화기, 청정기, 청소기, 세척기, 세차기, 세정기, 살수기, 살균기, 소독기, 숏팅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방전기,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모빌리티 2는 a) 대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대상을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b) 상기 촬영 중에 연무를 방사, 벤츄리를 통하여 방사,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여 방사, 오존과 함께 방사, 오존과 소독제가 유입되는 벤츄리를 통하여 방사 중 하나를 하거나, c) 또는 상기 방사에 더하여 상기 대상, 상기 대상의 공중, 상기 촬영의 지역, 상기 대상과 공중과 지역 중 하나를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소독, 살균, 집진, 숏팅,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고, d) 상기 촬영의 내용 또는 파일을 PC(personal computer), 모니터,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mobile)기기 중 하나로 전송하거나, e) 또는 상기 전송에 더하여 상기 촬영, 촬영의 영상, 촬영의 파일, 촬영의 결과물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을 매핑(mapping), 3D영상화, 3D프린팅, 3D형상화, 모니터링 중 하나를 하고, f) 상기 연무, 방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위하여 연무기, 방사기, 정화기, 청정기, 청소기, 세척기, 세차기, 세정기, 살수기, 살균기, 소독기, 숏팅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방전기,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g) 또는 연무, 방사물, 정화제, 청정제, 청소제, 세척제, 살수제, 살균제, 소독제, 숏팅제, 오존, 음이온, 방전물, 먼지제거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상기 연무기 내지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h) 상기 촬영, 방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전송, 매핑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에 연무, 연막, 오존, 촉매, 음이온, 자기장, 미스트, 광촉매, 진동수, 가진수, 자화수, 육각수, 오존수, 음이온수,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거나, 또는 상기 연무기 내지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방사하고, i) 상기 벤츄리, PC 내지 모바일기기, 연무기 내지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에서 빛, 파,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음파, 초음파,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거나, j) 또는 상기 벤츄리 내지 먼지제거기(상기 벤츄리, PC 내지 모바일기기, 연무기 내지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자화기 장착 진동기, 자화기 장착 가진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로 구성된 자화기, 양극판과 음극침이 장착된 자화기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k) 또는 상기 벤츄리 내지 먼지제거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연무 내지 먼지제거제, 연무 내지 피톤치드, 빛 내지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모빌리티 3은 상기 연무기에 벤츄리, 상기 오존기에 내관 외관의 2중관, 상기 방전기에 판형 양극과 침형 음극, 상기 음이온기에 솔형 음극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모빌리티 1 또는 모빌리티 2이다. 상기 모빌리티 4는 상기 드론 내지 유인비행체, 연무기 내지 먼지제거기, 벤츄리 내지 먼지제거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중 하나 이상에 디퓨저가 구비되는 상기 모빌리티 1 또는 모빌리티 2 또는 모빌리티 3이다.
상기 디퓨저는 내관, 외관, 상기 내관에 형성된 1개 이상의 홀, 상기 내관의 선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내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충돌판, 상기 외관의 선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외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확산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되면서 상기 내관으로 유입되는 물질이 상기 내관의 홀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상기 외관의 내면에 부딪힌 후 상기 충돌판에 충돌되어 와류되고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확산되면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모빌리티 5는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6은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대상의 먼지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측정되는 자료를 송신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7은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대상의 먼지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측정되는 자료를 송신하고, 상기 대상의 먼지를 제거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8은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작업, 비행 중 하나를 하면서 촬영, 공사 촬영, 측정, 먼지 측정, 먼지 정화, 상기 촬영되는 영상 송신, 상기 측정되는 자료 송신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9는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작업, 비행 중 하나를 하면서 촬영, 공사 촬영, 측정, 먼지 측정, 먼지 정화, 상기 촬영되는 영상 송신, 상기 측정되는 자료 송신 중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a)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b) 또는 b1) 상기 콘 내지 방역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대상을 상기 교반 내지 방역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c) 또는 상기 가스 내지 날개 중 하나에 의하여 운전 또는 가동 또는 비행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d) 또는 상부 날개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e) 또는 상기 4G 내지 반도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콘 내지 복합기, 모터 내지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f) 또는 상기 운전대 내지 택배물보관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f2) 또는 상기 전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콘 내지 복합기, 모터 내지 발전기, 4G 내지 네트워크, 운전대 내지 택배물보관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c)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0은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540);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 센서(610), 측정기(610), 카메라(610), CCTV(610),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f) 상기 운전대 또는 조정기를 조작하는 사람, 로봇;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1은 a) 손님을 태우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목적지에 손님을 내려주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또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b) 물품을 탑재하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해당자에게 물품을 전달 또는 택배하는 모빌리티; c) 음식을 탑재하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주문자에게 음식을 배달하는 모빌리티; d) 상기 이륙, 비행, 도착, 탑재, 착륙, 전달, 배달 중 하나 이상에 촬영, 도심촬영, 녹화, 영상녹화, 측정, 온도측정, 송신, 영상송신, 작업, 배달작업, 공사, 시설공사, 정화, 주변정화, 청정, 먼지청정, 살균, 오염살균, 출발지살균, 소독, 연막소독, 도착지소독, 방역, 주변방역, 비행경로방역, 순찰, 목적지순찰, 방범, 목적지방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는 실시예 9에 의하면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무인드론, 유인드론,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무인비행체, 유인비행체,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공중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제품,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시스템 중 하나의 모빌리티로서, 상기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모빌리티 14, 모빌리티 15, 모빌리티 16, 모빌리티 17, 모빌리티 18, 모빌리티 19, 모빌리티 20, 모빌리티 21, 모빌리티 22, 모빌리티 23, 모빌리티 24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은 a) 대상을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b) 상기 촬영되는 영상으로 상기 대상의 현황을 파악하거나, 또는 상기 대상을 매핑(mapping)하거나, 또는 상기 대상의 현황도 또는 지형도를 작성하고, c) 상기 대상의 지반 정지(整地) 장면을 촬영하고, d) 상기 지반 정지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 상기 지반 정지 상태를 파악하거나, 또는 상기 지반 정지 상태를 매핑(mapping)하거나, 또는 상기 지반 정지의 현황도를 작성하고, e) 상기 대상에서 수행되는 공사 장면을 촬영하고, f) 상기 공사 장면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 상기 공사 상태를 파악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 상태를 매핑(mapping)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의 현황도를 작성하고, g) 상기 공사의 완공 장면을 촬영하고, h) 상기 완공 장면에 대한 촬영 영상으로 상기 완공 상태를 파악하거나, 또는 상기 완공 상태를 매핑(mapping)하거나, 또는 상기 완공의 현황도를 작성하고, i) 상기 비행, 촬영, 찍기, 사진찍기, 파악, 매핑, 작성, 지반 정지, 공사, 완공 중 하나 이상에 자신이 비행하면서 i1) 상기 비행 내지 완공 중 하나 이상의 지역 또는 공간을 정화, 청정, 청소, 방역, 방제, 살균, 소독, 살수, 숏팅, 샌딩, 세척, 세차, 세정, 집진, 블라스팅,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둘 이상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i2) 또는 연무, 연막, 오존, 촉매, 음이온, 자기장, 미스트, 정화제, 청정제, 살균제, 소독제, 광촉매, 피톤치드, 상기 연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거나, i3) 또는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2는 연무기, 연막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자화기, 자기장기, 미스트기, 정화기, 청정기, 방전기, 살균기, 소독기, 상기 연무기 내지 소독기 중 둘 이상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 구비되어 a)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b) 또는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거나, c) 또는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상기 모빌리티 1이다.
상기 모빌리티 3은 A) 본체, 이에 장착된 날개,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수단, 상기 본체에 장착된 탱크, 상기 탱크에 저류된 물질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탱크 또는 펌프에 연계되는 호스, 상기 호스에 장착된 벤츄리, 상기 펌프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에 장착된 노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면서, B) 상기 본체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 구비되어 a)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b) 또는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거나, c) 또는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상기 모빌리티 1 또는 모빌리티 2이다.
상기 모빌리티 4는 A) a) 계획, 조사, 답사, 촬영, 찍기, 사진찍기, 매핑, 분석, 해석, 제도, 설계, 발파, 굴착, 절토, 성토, 정지, 저장, 투입, 혼합, 펌핑, 가압, 이송, 운송, 전송, 운반, 공급,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타설, 포설, 살포, 코팅, 포장, 도장, 미장, 주입, 주사, 분사, 자화,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 공사, 건설, 건축, 조경, 완공, 운영, 관리, 보수, 보강, 해체, 철거, 재건축, 재개발, 관리, 감리, 감독, 관제, 측량, 측정, 센싱, 공사관리, 공장관리, 현장관리, 영상화, 프린팅, 모니터링; b) 개발을 위한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c) 단지 또는 시설 또는 도로 또는 공사에 대한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d) 단지 또는 시설 또는 도로의 조성을 위한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e)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 순차의 복합; f) 자신이(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자신에(모빌리티에) 의한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B) 또는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또는 어느 하나 중에 연무, 연막, 오존, 촉매, 음이온, 자기장, 미스트, 정화제, 청정제, 살균제, 소독제, 광촉매, 피톤치드, 상기 연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순차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시간차 방사, 조사, 분사, 분무, 살수, 분출, 배출 등을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5는 a) 현장조사와 촬영, 촬영과 매핑, 촬영과 지형분석, 촬영과 도면제도, 촬영과 등고선작성, 촬영과 자재운반, 촬영과 펌핑, 촬영과 영상전송, 촬영과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 타설과 진동, 살수하여 콘크리트 양생, 촬영과 측량, 촬영과 관리, 촬영과 감독, 촬영과 관제, 촬영과 센싱, 촬영과 공사관리, 촬영과 3D프린팅, 촬영과 모니터링, 촬영과 매핑과 3D영상화, 촬영과 매핑과 3D영상화와 모니터링, 촬영과 매핑과 3D영상화와 모니터링과 공사관리 중 하나를 하거나, b) 또는 중 하나에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순차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시간차 방사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6은 상기 방사를 1차 연무와 2차 오존과 3차 음이온, 1차 자기장과 2차 미스트와 3차 정화제, 1차 청정제와 2차 살균제와 3차 소독제, 1차 연무와 2차 오존과 3차 자기장과 4차 미스트, 1차 연무와 2차 오존과 3차 자기장과 4차 미스트와 5차 정화제, 1차 연무와 2차 오존과 3차 자기장과 4차 미스트와 5차 정화제와 6차 소독제 중 하나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7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어느 하나에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를 조력하거나, 또는 하나를 하면서 정화, 청정, 청소, 방역, 방제, 살균, 소독, 살수, 숏팅, 샌딩, 세척, 세차, 세정, 집진, 블라스팅,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둘 이상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8은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9는 정화와 청정, 오염 정화와 공기 청정, 오염 정화와 먼지 청소, 청정과 방역, 공기 청정과 세균 방제, 공기 청정과 살균, 먼지제거와 소독, 소독과 살수, 정화와 숏팅, 청정과 샌딩, 공기 청정과 이물질 세척, 공기 청정과 분진제거, 오염 정화와 먼지제거, 살균과 블라스팅, 오염 정화와 공기 청정과 미세먼지 제거, 소독과 오염 정화와 공기 청정과 미세먼지 제거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0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면서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순차 방사 또는 둘 이상을 시간차 방사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1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고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2는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고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지역 또는 공간을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13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에 구비 또는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이 구비 또는 연계되면서,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중 하나를 방사하고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수단, 물체, 시스템 등은 기(機), 기(器), 기기, 기계, 기구, 장치, 장비, 수단, 트럭, 도져, 차량, 호스, 튜브, 물체, 파이프,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그레이더, 계획수단, 조사수단, 답사수단, 촬영기, 카메라, 디지탈카메라, 매핑수단, 분석수단, 해석수단, 제도수단, 설계수단, 발파장비,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착정기, 절토장비, 성토장비, 정지장비, 저장고, 혼합기, 펌핑기, 펌프, 콤프레셔, 가압기, 이송기, 운송기, 전송기, 운반기, 배달수단, 타설기, 펌프카, 포설기, 주입기, 인젝터, 진동기, 다짐기, 양생기, 숏팅기, 코팅기, 도장기, 도색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면처리기, 공사장비, 건설장비, 건축장비, 토목장비, 조경장비, 포장장비, 완공수단, 운영수단, 관리수단, 보수장비, 보강장비, 해체장비, 재건축수단, 재개발수단, 관리수단, 감리수단, 감독수단, 관제수단, 관제시스템, 측량기, 센서, 측정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운전수단, 가동수단, 공사관리수단, 현장관리수단, 영상화장비, 프린터, 프린팅기, 3D프린터, PC(personal computer), 핸드폰, 모바일(mobile), 모바일기기, 모니터, 모니터링기; 상기 기(機) 내지 모니터링기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기;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는 또는 본 발명의 수단에는 a) 수소시설, 수소제조시설, 수소생산시설, 전기분해기, 바이오분해기, 수소거래시설, 수소운송수단, 수소저장시설, 수소탱크, 수소충전소, 수소주입기, 수소발전기, 수소발전소, 수소장치, 수소장비, 수소연소장치, 수소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수소에너지시설, 수소이동수단, 수소교통수단, 수소모빌리티, 수소차, 수소트럭, 수소버스, 수소택시, 수소기차, 수소자동차, 수소승용차, 수소화물차, 수소캠핑카, 수소자전거, 수소오토바이, 수소부유수단, 수소배, 수소보트, 수소선박, 수소잠수함, 수소비행수단, 수소드론, 수소비행기, 수소비행선, 수소우주선, 수소플라잉카, 수소시설, 수소건물, 수소도시, 수소단지, 수소하우스, 수소플랜트, 수소클러스터; b) 상기 수소시설 내지 수소클러스터 중 둘 이상 사이의 연결수단: c) 상기 수소시설 내지 연결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기(器 ),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시스템, 모빌리티, 네트워크; d) 상기 수소시설 내지 네트워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수단; e) 전기 또는 배터리 사용의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수단; g)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장비 내지 반도체 등이 되는 또는 구비되는 상기 수소시설 내지 복합수단;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단, 물체, 시스템 등은 수단, 手段, 일 수단, 업무 수단, 작업 수단, 공사 수단, 일, 작업, 물질, 물체, 방법, 공법, 도구, 재료, 자재, 장비, 장치, means, way, measure, method, 시스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 또는 도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촬영기는 촬영기, 카메라, 디지탈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카메라촬영기,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카메라와 이에 연계된 모니터로 구성된 촬영기, 카메라와 모니터와 상기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선으로 구성된 촬영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센서는 a) 센서, 측정센서, 감지센서, 전자센서, 자동센서, 카메라,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초분광(hyper spectal)센서, 다중분광(multi spectal)센서, 디지탈카메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균, 세균, 먼지, 황사, 분진, 오염, 환경, 향, 악취, 냄새, 오존, 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소리, 바람, 소음, 진동, 농도, 휨, 변위, 응력, 강도, 강성, 압력, 수축, 팽창, 침하, 융기, 균열, 균열폭, VOC, CO, CO2, SOx, NOx, 수질, 토양질, 공기질, 오염물, 병원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이중 하나의 농도 또는 밀도 또는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측정 또는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측정기는 a) 측정기, 압력측정기, 농도측정기, 전자측정기, 자동측정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균 내지 VOC 중 하나 이상을 측정 또는 감지하는 측정기이다. 상기 센서, 측정기는 상기 균 내지 VOC 이외의 다른 것도 센싱, 측정, 감지, 관측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중 하나 시스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 시스템, 또는 공사시스템, 관리시스템, 관측시스템, 멀티관측시스템, 감리시스템, 관제시스템, 정화시스템, 모니터링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관측시스템은 대상을 모빌리티로 촬영하여 관측하거나, 또는 모빌리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촬영물을 이용하여 대상을 관측하거나, 또는 모빌리티로부터 1대 이상의 PC, 모니터, 핸드폰, 모바일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촬영물을 이용하여 대상을 관측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멀티관측시스템은 대상을 촬영하는 모빌리티로부터 2대 이상의 PC, 모니터, 핸드폰, 모바일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촬영물을 이용하여 대상을 관측 또는 관찰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모빌리티 14는 연무기, 연막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자화기, 자기장기, 미스트기, 정화기, 청정기, 방전기, 살균기, 소독기, 상기 연무기 내지 소독기 중 둘 이상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 구비되는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상기 수단이 연계되는 모빌리티, 상기 수단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연계는 연계, 연결, 연락, 연속, 접속, 구비, 거치, 장착, 존치, 정착, 부착, 선으로 연계, 줄로 연계, 케이블로 연계, 유선으로 연계, 무선으로 연계, 공중에 연계, 상부에 연계, 시설의 공중에 모빌리티 연계, 시설의 상부에 모빌리티 연계, 시설의 상부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시설의 공중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현장의 상부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현장의 공중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15는 일정의 빛, 불(fire), 파(wave), 선(ray), 불빛, 광선, 바람,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또는 하기 수(水) 내지 복합 중 둘 이상을 순차 방사하는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상기 수단이 연계되는 모빌리티, 상기 수단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물질은 수(水), 물(水 또는 物), 액(液), 유(油), 약(藥), 졸, 겔,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분말, 가스, 공기, 압기(壓氣), 기포, 산소, 수소, 질소, 탄소, 약품, 약물, 약재, 약액, 수지, 이온, 효소, 효모, 미생물, 양이온, 음이온, 엔자임, 팽창제, 기포제, 방수제, 제독제, 혼화제, 호기제, 혐기제, 활성제, 탄산제, 반응제, 흡착제, 응집제, 방향제, 항균제, 진동수, 가진수, 오존수, 자화수, 육각수, 이온수, 탄산수, 음이온수, 양이온수,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자화물, 음이온물, 균제거제, 오염제거제, 악취제거제, 아토피원제거제, 환경호르몬제거제, 박테리아제거제, 새집증후군제거제, 펌프압기, 송풍압기, 콤프레셔압기, 풍력콤프레셔압기;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상기 수(水) 내지 풍력콤프레셔압기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제;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 16은 상기 수(水) 내지 복합 중 하나를 분사하는 상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 또는 둘 이상이 순차 구비되는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상기 수단이 연계되는 모빌리티, 상기 수단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7은 등(燈), 전등, 등불, 점멸등, 조명등, 야광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상기 수단이 연계되는 모빌리티, 상기 수단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18은 오존, 음이온,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을 조사(照射)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방전기, 오존기, 살균기, 소독기, 음이온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구비에 더하여 상기 하나에서 생성된 물질,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음이온, 음이온수, 음이온물,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상기 물질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모빌리티 또는 상기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모빌리티는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모빌리티 14, 상기 수단이 연계되는 모빌리티, 상기 수단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빌리티 19는 오존, 음이온,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을 조사(照射)하는 자화기가 거치된 오존기가 장착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방전기, 오존기, 살균기, 소독기, 음이온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구비에 더하여 상기 하나에서 생성된 물질,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음이온, 음이온수, 음이온물,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상기 물질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모빌리티이거나 또는 상기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0은 a) 상기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모빌리티, 기(機) 내지 복합,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구비; b) 하기 장치가 상기 드론 내지 복합기(상기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모빌리티,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 c)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빛 내지 물질, 수(水) 내지 복합, 물질 내지 복합물, 생성되는 생성물, 분사되는 분사물, 상기 연무 내지 분사물 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가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 통과; d) 상기 드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연무 내지 분사물(즉, 상기 연무 내지 복합제, 빛 내지 물질, 수(水)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제, 물질 내지 복합물, 생성물, 분사물, 복합물) 중 하나가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 통과; e)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통과한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 또는 코팅; f)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하기 장치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하기 장치의 유출구로 배출; g) 상기 배출된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방사 또는 분사; h)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촬영, 찍기, 사진찍기, 방영, 비행 중 하나 이상에 분사 또는 방출; i)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상기 드론 내지 복합기, 모빌리티의 비행 지역, 모빌리티의 촬영 지역, 모빌리티의 촬영 대상,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사람 중 하나 이상에 분사 또는 코팅; j)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분사, 방출, 코팅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k)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분사, 방출, 코팅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드론 내지 복합기, 지역, 대상, 사람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되게 하는 모빌리티이거나 또는 상기 모빌리티 중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1은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순차적으로 하는 상기 a)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b)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c)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d)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e)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f)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2는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540);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 센서(610), 측정기(610), 카메라(610), CCTV(610),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f) 상기 운전대 또는 조정기를 조작하는 사람, 로봇;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모빌리티 23은 a) 손님을 태우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목적지에 손님을 내려주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또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b) 물품을 탑재하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해당자에게 물품을 전달 또는 택배하는 모빌리티; c) 음식을 탑재하고 이륙하고 하늘을 비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고 목적지에 착륙하고 주문자에게 음식을 배달하는 모빌리티; d) 상기 이륙, 비행, 도착, 탑재, 착륙, 전달, 배달 중 하나 이상에 촬영, 도심촬영, 녹화, 영상녹화, 측정, 온도측정, 송신, 영상송신, 작업, 배달작업, 공사, 시설공사, 정화, 주변정화, 청정, 먼지청정, 살균, 오염살균, 출발지살균, 소독, 연막소독, 도착지소독, 방역, 주변방역, 비행경로방역, 순찰, 목적지순찰, 방범, 목적지방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모빌리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모빌리티 24는 상기 모빌리티 1, 모빌리티 2, 모빌리티 3, 모빌리티 4, 모빌리티 5, 모빌리티 6, 모빌리티 7, 모빌리티 8, 모빌리티 9, 모빌리티 10, 모빌리티 11, 모빌리티 12, 모빌리티 13, 모빌리티 14, 모빌리티 15, 모빌리티 16, 모빌리티 17, 모빌리티 18, 모빌리티 19, 모빌리티 20, 모빌리티 21, 모빌리티 22, 모빌리티 23 중 둘 이상이 조합, 결합, 병합, 연결, 연계, 구성, 구비, 거치, 존치, 장착, 정착, 부착, 체결, 병행 등이 된 모빌리티 또는 둘 이상이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장치는 a) 장치 1, 장치 2, 장치 3, 장치 4, 장치 5, 장치 6, 장치 7, 장치 8, 장치 9, 장치 10, 장치 11, 장치 12, 장치 13, 장치 14, 장치 15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분사하거나, c) 또는 자신 또는 하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에 대한 상에 내용은 상기 기술된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등에는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드론 6, 드론 7, 드론 8, 드론 9, 드론 10, 드론 11, 드론 1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드론 1은 드론, 무인 드론, 유인 드론, 이동 드론, 비행 드론, 실내 드론, 실외 드론, 무인비행기, 무게 12kg 이하 드론, 무게 25g 이하 드론, 무게 25kg 이상 드론 중 하나이다. 상기 드론 2는 복수의 프로펠러(534)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5)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3은 날개, 회전날개, 프로펠러, 4개 프로펠러, 다수 프로펠러 중 하나(534)와 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로 구성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4는 상부 날개(534), 하부 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상기 날개의 지지대(532), 이 지지대가 장착된 상기 본체,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535), 이 모터에 연계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 상기 본체에 장착된 탱크, 이 탱크에 담겨진 물질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탱크 또는 펌프에 연계되는 호스, 이 호스에 장착되는 벤츄리, 이 벤츄리에 장착된 인젝터, 이 인젝터에 장착된 오존기, 상기 인젝터와 오존기 사이에 장착된 밸브 또는 체크밸브, 상기 탱크 또는 펌프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에 연계되면서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5는 자신 또는 자신 본체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위하여 아래 방향의 하향류, 뒤 방향의 배향류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날개 또는 프로펠라 구비 드론이다. 상기 드론 6은 자신 또는 자신 본체의 하부로 바람을 보내는 하향류에 의하여 상승 비행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바람을 보내는 배향류에 의하여 수평 비행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7은 상기 하향류, 배향류에 의하여 3차원 비행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8은 날개 또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이 모터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건전지, 충전기, 충전지, 플러그, 콘센트, 밧데리, 발전기, 태양전지, 태양발전기, 풍차, 풍력발전기 중 하나 이상 구비 드론이다. 상기 드론 9는 발전기, 태양전지,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회전팬, 회전팬에 연계된 회전자, 회전자의 외부에 구비된 고정자, 상기 회전팬과 회전자와 고정자가 포함되는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0은 a) 회전자(전자석)와 이의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b) 상기 생산 전기를 직류 또는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c) 상기 전기를 공급 또는 송전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파워서플라이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1은 카메라,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등, 전등, 등불, 점멸등, 조명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상기 센서, 상기 측정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2는 a) 상기 기(機) 내지 복합,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장치 중 하나에 구비되는 드론; b) 상기 기(機) 내지 장치(상기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장치) 중 하나가 구비되는 드론; c)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분사하는 드론; d)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 또는 코팅되는 드론; e)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드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비행기는 a)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b) 상기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장치 중 하나에 구비되는 비행기; c) 상기 기(機) 내지 장치(상기 기(機) 내지 복합기, 연무기 내지 복합기, 등(燈)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장치) 중 하나가 구비되는 비행기; d)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분사하는 비행기; e) 상기 연무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 또는 코팅되는 비행기; f) 상기 계획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비행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계획은 계획, 개발 계획, 공사 계획, 단지 계획, 상기 조사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의 계획, 또는 정화 계획, 청정 계획, 시설 조성 계획, 도로 공사 계획 등이다. 상기 조사는 조사, 현장 조사, 현지 조사, 단지 조사, 지반 조사, 지질 조사,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조사, 또는 현황 조사, 부지 조사, 위치 조사, 건물 조사, 지장물 조사, 대상지 조사 등이다. 상기 답사는 답사, 현장 답사, 현지 답사, 단지 답사,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답사, 또는 현황 답사, 부지 답사, 대상지 답사, 계획지 답사 등이다. 상기 촬영은 촬영, 찍기, 사진찍기, 영상 촬영, 공중 촬영, 현지 촬영, 현장 촬영, 지형 촬영, 대상 촬영,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촬영, 또는 대상지 촬영, 대상물 촬영, 공사 촬영, 정화 촬영, 이미지 촬영 등이다.
상기 매핑은 매핑,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 오패시티 매핑(opacity mapping), 리플렉션 매핑(reflection mapping), 범프 매핑(bump mapping),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매핑, 또는 3차원 맵을 만드는 작업, 3차원 이미지 구현 작업, 지도 제작, 지형도 제작, 3차원 지도 제작, 3차원 지형도 제작 중 하나이다. 상기 리플렉션 매핑은 모델이 반사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매핑이다. 범프 매핑은 모델의 표면에 엠보싱 효과를 내는 매핑이다. 텍스처 매핑은 모델의 표면에 색과 패턴을 부여하는 매핑으로, 이에 의하여 이미지가 모델 위에 칠해진 듯이 보인다. 오패시티 매핑은 모델에 불투명한 부분과 투명한 부분을 지정하는 매핑이다.
상기 분석은 분석, 현지 분석, 현장 분석, 지형 분석, 지질 분석, 지반 분석, 토질 분석, 환경 분석,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의 분석, 또는 오염 분석, 조사 분석, 대상 분석, 단지 분석, 구조 분석, 구조물 분석, 모델 분석, 수치 분석, 오염농도 분석 중 하나이다. 상기 해석은 해석, 영상 해석, 지형 해석, 구조 해석, 오염 해석, 수치 해석, 모델 해석,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해석, 또는 단지 해석, 구조물 해석, 모델링 해석, 컴퓨터 해석, 유한요소 해석, 컴퓨터 이용 해석 중 하나이다. 상기 제도는 제도, 그림 제도, 도면 제도,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제도, 또는 수치 제도, 지형 제도, 지도 제작, 도면 제작, 이미지 제작 중 하나이다. 상기 설계는 설계, 도면 설계, 구조 설계, 단지 설계,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설계, 또는 시설 설계, 건물 설계, 도로 설계, 구조물 설계 중 하나이다.
상기 발파는 발파, 화약 발파, 암반 발파, 지반 발파, 지중 발파, 지상 발파, 단지 발파,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발파, 또는 대상지 발파, 건물 발파, 건물 해체 발파, 발파기로 발파 중 하나이다. 상기 굴착은 굴착, 천공, 착공, 지반 굴착, 지면 굴착,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굴착, 또는 암반 굴착, 토사 굴착, 도로 굴착, 터널 굴착, 굴착기로 굴착 중 하나이다. 상기 절토는 절토, 땅깍기, 지반 절토, 토사 절토,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절토, 또는 굴삭기로 절토, 포크레인으로 절토, 절토수단으로 절토 중 하나이다. 상기 성토는 성토, 땅쌓기, 흙성토, 트럭으로 성토,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절토, 도져로 성토, 성토수단으로 성토 중 하나이다. 상기 정지는 정지, 지반 정지, 단지 정지, 산지 정지,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정지, 또는 대상지 정지, 지면 정지, 그레이더로 정지 중 하나이다.
상기 저장은 저장, 물질 저장, 재료 저장, 자재 저장, 물 저장,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를 위한 저장, 또는 모래 저장, 자갈 저장, 골재 저장, 시멘트 저장, 저장고에 저장, 상기 혼합을 위한 물질을 저장 중 하나이다. 상기 투입은 투입, 물질 투입, 자재 투입, 시멘트 투입, 골재 투입, 호퍼로 투입, 투입기로 투입, 혼합기에 물질 투입 중 하나이다. 상기 혼합은 혼합, 물질 혼합, 몰탈 혼합, 레미콘 혼합, 콘크리트 혼합, 혼합기로 혼합, 상기 투입된 물질을 혼합 중 하나이다. 상기 펌핑은 펌핑, 가압, 물질 펌핑, 펌프로 펌핑, 레미콘 펌핑, 상기 혼합된 물질을 펌핑 중 하나이다.
상기 이송, 운송, 전송, 운반, 공급, 배달, 배송, 택배, 탁송 중 하나는 물질, 물체, 제품, 상품, 물품, 재료, 자재, 음식, 화물, 포장물, 승객, 손님, 사람 중 하나의 이송, 운송, 전송, 운반, 공급, 배달, 배송, 택배, 탁송 중 하나이다. 상기 탑승은 탑승, 합승, 승용, 승차, 하차, 승객 탑승, 손님 탑승, 사람 탑승, 승객 이송, 손님 이송, 사람 이송 중 하나이다.
상기 측정 또는 센싱 대상에는 균, 세균, 먼지, 황사, 분진, 오염, 환경, 향, 악취, 냄새, 오존, 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소리, 바람, 소음, 진동, 농도, 휨, 변위, 응력, 강도, 강성, 압력, 수축, 팽창, 침하, 융기, 균열, 균열폭, VOC, CO, CO2, SOx, NOx, 수질, 토양질, 공기질, 오염물, 병원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이중 하나의 농도 또는 밀도 또는 크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다.
상기 모니터링은 모니터링, 상기 조사 내지 현장관리 중 하나 모니터링,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모니터링,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모니터링, 공사장면 모니터링, 스크린을 이용한 모니터링, 모니터를 이용한 모니터링, 핸드폰을 이용한 모니터링, 드론에 연계된 스크린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을 이용한 모니터링, 드론의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셜된 스크린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을 이용한 모니터링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작업 또는 작업방법은 실시예 10에 의하면 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이거나, 또는 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중 하나가 이용되어 작업을 하는 것으로, 또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작업으로서, 또는 모빌리티가 하는 작업으로서, a) 상기 작업은 상기 모빌리티, 비행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중 하나의 비행, 활공, 주행, 이동, 운전, 가동, 정지, 이륙, 착륙 중 하나 이상에 수행되고, b) 상기 작업 시에는 전기, 유류, 가스, 수소, 태양, 태양광, 태양열, 바람, 풍력, 수력, 파력, 조력, 동력, 모터, 충전, 배터리, 전지,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수소탱크, 가스탱크, 연료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상기 가스 내지 발전기 중 하나의 에너지, 상기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동력을 주는 상기 가스 내지 에너지,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날개, 상기 날개에 거치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상기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내지 날개,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되는 상기 모터 내지 날개, 상기 모빌리티를 비행시키는 상기 가스 내지 날개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상기 작업에 대한 상세 내용은 상기에 기술된 내용음 참조하면 된다.
a) 상기 작업은 작업, 업무, work, assignment, business,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위치 인식, 좌표 인식 등의 예로는 모빌리티의 비행 경로 설정, 모빌리티로 동영상을 촬영, 상기 경로 상의 지점들에 대한 GPS값 결정, 상기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의 영상 중앙점이 모빌리티 비행 경로 상에 존재하면 이 모빌리티 비행 경로상의 지점의 GPS좌표가 이 특정 프레임으로 인식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에는 수신기,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지상기준점 단말의 위치좌표를 수신하는 좌표수신부, 상기 모빌리티로 촬영된 영상으로 측량대상 지역의 지상기준점 위치정보를 매핑하도록 하는 매핑부, 상기 매핑된 측량대상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의 모빌리티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조정부, 촬영 또는 측량 대상 역의 특정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의 위치가 조정되어 촬영 또는 측량되는 데이터를 수신기로 전달하도록 하는 구간 선택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좌표 수신부는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지상기준점 단말의 식별번호와 함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지상기준점 단말의 식별번호별로 저장한다. 상기 매핑부는 상기 좌표 수신부로부터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지상기준점 단말의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모빌리티로 촬영된 영상에 상기 위치좌표를 디스플레이하고 지도정보에 매핑한다. 상기 위치조정부는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의 모빌리티 위치를 상기 지상기준점 단말의 위치를 따라 이동시키고 정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구간 선택부는 상기 지상기준점 단말별 식별정보에 각 지상기준점 단말의 거리별로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 중, 선택되는 구간에 따라 촬영 또는 측량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설정된 수신기로 전달한다.
상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기 등에는 기기본체, 이에 거치된 날개 또는 프로펠라, 본체가 비행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 상기 모빌리티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또는 측량 대상지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지상기준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상기준점 감지부, 상기 모빌리티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어부에 의한 진동이 상기 촬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 상기 모빌리티의 위치로부터 대상 지상기준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된 수신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 이의 촬영정보 등의 이용 예로는 모빌리티 비행, 모빌리티 촬영, 모빌리티의 비행경로 수신, 모빌리티의 영상데이터 수신, 모빌리티의 영상데이터 획득, 수치표고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행경로 보정, 상기 영상데이터 해당되는 지역 또는 지형 또는 시설의 수치표고모델 보정, 상기 해당되는 지역 또는 지형 또는 시설의 지도, 지형도, 등고선도, 현황도 등 작성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지형도제작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otal station 등을 이용한 기준자료 취득, 드론 또는 모빌리티의 촬영 성과물을 이용한 현황도 제작 등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의 예로는 모빌리티, 모빌리티 발사기, 모빌리티 조정기, 메인서버, 내부에 GPS 수신기가 탑재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현재 비행중인 지점에 관한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비행 위치가 추적되는 위치 측정모듈,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빌리티가 대상 지역에 도착하면 도착 정보를 상기 조정기에 알리는 알림모듈, 대상 지역의 건축물과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센서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a) 무인모빌리티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UAM(unmanned aerial mobility, uncrewed aerial mobility); b) 유인모빌리티는 MAM(manned aerial mobility), CAM(crewed aerial mobility); c) 비행모빌리티는 flying mobility; d) 항공모빌리티는 aviation mobility; e) 도심항공모빌리티는 UAM(urban air mobility); f) 무인비행모빌리티는 unmanned flying mobility; g) 유인비행모빌리티는 manned flying mobility; h) 모빌리티는 mobility; i)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는 mobility apparatus; j) 모빌리티기기는 mobility instrument; k) 모빌리티기계는 mobility machine; ℓ) 모빌리티수단은 mobility means; m) 모빌리티장치는 mobility device; n) 모빌리티장비는 mobility equipment; o) 모빌리티시설은 mobility plant; p) 모빌리티설비는 mobility facility; q) 모빌리티제품은 mobility product; r) 모빌리티시스템은 mobility system; 등을 의미한다.
상기 칩은 칩 1, 칩 2, 칩 3 중 하나이다. 상기 칩 1은 칩, chip, IC칩, IT칩, ICT칩 PC칩, 회로칩, 센서칩, 진자칩, 자심칩, 코일칩, 코드칩, 앰프칩, 기판칩, 모듈칩, 부품칩, 콘덴서칩, 저항칩, 진동칩, 가진칩, 회전칩, 전기칩, 집적칩, 능동칩, 수동칩, 전자칩, 자화칩, 오존칩, 압전칩, 열전칩, 발열칩, 온열칩, 냉온칩, 온냉칩, 장비칩, 장치칩, 복합칩, 다이오드칩, 서미스터칩, 페라이트칩, 마그네트칩, 마그네트론칩, 트랜지스터칩, 트랜스포머칩, 음이온칩, 펠티에칩, 집적회로칩, 마이크로칩(microchip), 컴퓨터칩, 노트북칩, 인터넷칩, 메모리칩, 스마트칩, 바이오칩, 스마트폰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2는 실리콘웨이퍼로부터 만들어진 칩, 회로 및 전자기기들과 함께 에칭(etching)된 칩, GPS의 PRN 코드 칩, 2진 코드에서 0 또는 1에 해당되는 칩, 컴퓨터 메모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논리회로가 구비된 칩 또는 모듈, 속도 단위 cps(칩/초)를 가지는 칩, 확산코드 파형의 펄스, 디지탈 심볼을 주파수영역 상으로 대역확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파형,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3은 쇠칩, 철칩, 폐칩, 목칩, 금속칩, 세라믹칩, 도체칩, 반도체칩, 전도체칩, 비도체칩, 식물칩, 줄기칩, 뿌리칩, 나무칩, 황토칩, 야자칩, 소성칩, 탄성칩, 고무칩, 유리칩, 카본칩, 수지칩, 피톤칩, PE칩, PP칩, PC칩, PVC칩, FRP칩, SBR칩, PVB칩, PLA칩, SEBS칩, HDPE칩, 타이어칩, 플라스틱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은 핀, pin, 돌기, 전자핀, 전기핀, 소자핀, 칩핀, 진자핀, 회로핀, 전극핀, 오존핀, 음이온핀, 콘덴서핀, 스크류핀, 기초에 설치된 핀, 파일에 설치된 핀, 시설에 설치된 핀, 물체에 돌출된 핀, 전기분해용 2개의 핀, 전기분해용 양극 및 음극의 2개 핀, 판에 이격된 핀,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오존기,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음이온기,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의 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자는 칩, 소자, 素子, element, 회로, 센서, 진자, 자심, 코일, 앰프, 기판, 모듈, 부품, 콘덴서, 저항체, 진동자, 가진자, 회전자, 인덕터, 안테나, 진공관, 전기회로, 집적회로, 빛소자, 열소자, 광소자, 발광소자, 능동소자, 수동소자, 전기소자, 전자소자, 통신소자,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회전소자, 압전소자, 열전소자, 발열소자, 온열조사, 냉온소자, 온냉소자, 센서소자, 장비소자, 장치소자, 집적소자, 복합소자, UV소자, IC소자, ICT소자, Iot소자, 다이오드, 서미스터, 페라이트, 마그네트, 마그네트론,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LED소자, 음이온소자, 펠티에소자, 반도체소자, 이중 둘 이상 복합소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소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소자이다. 상기 능동소자는 전류, 전기신호 등을 증폭(amplify), 정류(rectify) 등을 하거나, 또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수동소자는 공급된 전기, 전압, 전력(power) 등을 저장, 방출, 소비 등을 하거나, 또는 주어진 전기, 신호, 전력 등에 대해 능동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소자들로서, 저항(resistor), 축전기(capacitor), 인덕터(inductor) 등이 해당된다. 저항은 전류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소자 등이며 R로 표기한다.
축전기는 축전기, 배터리, 축전지, 또는 전하를 저장해 두는 소자로서 C로 표기하고, 이는 이격된 2개의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가 채워져 있어 전기적 연결을 막는 것으로, 축전기에 전압이 걸리면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부호는 반대이고 전하량의 크기는 같은 전하가 비축된다. 인덕터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하는 소자이며 L로 표기하고, 주로 고리 또는 코일 형태를 가진다.
상기 센서는 센서, sensor, 빛센서, 열센서, 광센서, 파센서, 자기센서, 발열센서, 감지센서, 진동센서, 가진센서, 농도센서, 발광센서, 광원센서, 소자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소리센서, 신호센서, 유량센서, 자기센서, 음향센서, 미각센서, 후각센서, 장치센서, 장비센서, 음파센서, 열화상센서, 초음파센서, 카메라,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디지탈카메라, 각종센서, 기타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이중 둘 이상의 복합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센서에는 빛, 열, 광, 파, 자기, 발열, 감지, 진동, 가진, 농도, 발광, 광원, 소자, 온도, 습도, 압력, 소리, 신호, 유량, 자기, 음향, 미각, 후각, 장치, 장비, 음파, 열화상, 초음파, 기타,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발생하거나,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자는 진자, 소자, 가진자. 진동자, 振子, pendulum, 단진자(單振子), 복진자(複振子), 용수철진자, 비틀림진자, 탄성력의 작용으로 진동하는 것, 줄 또는 실에 매달려 흔들리는 추,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줄 또는 실에 매달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왕복운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중력이나 탄성력 등의 힘에 의해 평형점을 중심으로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회로는 회로, 전기회로, 전자회로, 가동회로, 운전회로, 장치회로, 장비회로, 기구회로, 기계회로, 집적회로, 논리회로, 닫힌회로, 열린회로, 직렬회로, 병렬회로, 직류회로, 교류회로, IC회로, IT회로, ICT회로, LC회로, LR회로, RLC회로, 시스템회로, 반도체회로, 전류가 흐르는 통로, 이중 둘 이상 복합회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닫힌회로(closed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열린회로(open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회로, 직렬회로(series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순서대로 일렬로 연결된 회로, 병렬회로(parallel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평행하게 연결된 회로, 직류회로(direct current circuit)는 직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교류회로(alternating current circuit)는 교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등이 해당된다. 통상 회로는 전기에너지인 전원(power), 전기에너지를 받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하(load), 상기 전원과 부하를 연결해주는 전선(conducting wire)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는 서버, server, 정보제공서버, 데이타제공서버, 커뮤니케이션서버, 프린터를 제어하는 서버, 파일 관리하는 서버, 네트워크를 감시·제어하는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집약적인 처리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시스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하는 서버, 데이터·프로그램·파일·소프트웨어를 지원이나 서버,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담겨진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자신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허브는 허브, hub, 중심, 핵심, 중심지, 핵심지, 중심장치, 핵심장치, PC허브, 컴퓨터허브, 인터넷허브, WiFi넷허브,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허브, 중심이 되는 곳. 중심이 되는 장치. 중심이 되는 장소. 자전거 바퀴의 살이 모여 있는 중심축, 여러개의 신호가 집중되는 장치, 신호를 여러 개의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 내보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듈은 모듈, module, IC모듈, IT모듈, PC모듈, ICT모듈, LED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NOT 게이트, 메모리 모듈, RAM과 같은 메모리 모듈, 프로그램의 기능을 독립적인 부품으로 분리한 것, 서브루틴과 데이터 구조의 집합체, 컴파일 가능한 단위, 건축물 따위를 지을 때 기준으로 삼는 치수. 기어의 톱니 크기를 나타낸 값,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분할한 논리적인 일부분. 컴퓨터 시스템에서 부품을 떼 내어 교환이 쉽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의 각 부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일부,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독립적인 구성 요소,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다른 구성 요소와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 요소, 컴퓨터 내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회로 보드로 패키지화 된 독립적인 전자 회로 등이 해당된다. 모듈의 인터페이스는 모듈에 의해 제공되거나 필요로 되는 요소들을 표현한다. 모듈의 개념을 지원하는 언어로는 Ada, FORTRAN, Pascal, Python, Ruby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모듈의 개념을 패키지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모뎀은 모뎀, modem, 변조장치, 복조장치, 변복조장치, 통신모뎀, 컴퓨터모뎀, 인터넷모뎀, WiFi모뎀, LTE모뎀,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온라인 시스템 모뎀, 직류 디지탈 신호를 교류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모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바꾸는 모뎀,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단말기의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통신 시설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되는 신호를 바꾸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판은 기판, 基板, 칩판, IC판, IC회로판, substrate, 실리콘기판, IC를 만들기 위한 실리콘의 박판,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반도체 집적회로의 실리콘 박편, 전기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판, 절연기판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재료, 집적회로나 고밀도 집적회로 등의 회로가 복사되어 있는 실리콘의 단결정판(單結晶板), 표면에 구리 박(箔)으로 배선되어 집적회로나 저항 등의 전기 부품을 장치해 사용하는 합성수지판, 유리천이나 종이 기재(基材)나 에폭시 수지 적층판에 동박을 입히고 동박의 일부분을 에칭하여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덴서는 콘덴서, 고주파콘덴서, 저주파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 condenser, 전해콘덴서, 슈퍼콘덴서, 오디오콘덴서, LCD콘덴서, 메인보드콘덴서, 필름콘덴서, OS-CON콘덴서, AC모터용콘덴서, 전력용콘덴서, 세라믹콘덴서, 적층세라믹콘덴서, 마이카콘덴서, 필름콘덴서, 폴리에틸렌콘덴서, 스치롤콘덴서, 폴리프로필렌콘덴서, 폴리카보네이트콘덴서, 폴리에스텔콘덴서, 마일러콘덴서, 응축기(凝縮器), 냉각기(冷却器), 축전기(蓄電器), 집광렌즈(集光렌즈), 집광기(集光器), 충전기(充塡器), 비전도체(菲傳導締)로 분리된 두 개의 전도면(傳導面)으로 구성되어 전하(電荷)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는 콘덴서, 기체나 증기를 응축(凝縮)시키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트렌스는 트랜스, transformer, transducer, 변압기, 트랜스포머, 트랜스듀서, 전력조정기, 전원용트랜스, 파워트랜스, 신호용트랜스, 아웃풋트랜스, 라인트랜스, 전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교류와 직류를 변환시키는 변환기, 교류의 전압 변환과 임피던스 변환을 하는 회로 부품, 임피던스의 변환 또는 입력계와 출력계를 직류로 분리하기 때문에 1차 측과 2차 측이 다른 임피던스로 설정되어 있는 신호용 트랜스, 상기 1차 측을 언밸런스 라인으로 하고 상기 2차 측을 밸런스 라인에 맞도록 설계된 언밸런스 → 밸런스 변환의 기능을 가진 트랜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도체는 도체, 금속, 금, 은, 구리, 알루미늄, 금속체, Conductor, 전도성 급속, 전도성 비급속, 전도성 섬유, 전도성 플라스틱, 한 방향이나 여러 방향으로 전류 즉 전기의 흐름이 가능한 물체나 물질, 도체에 걸어준 전압과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비례하는 옴의 법칙을 준수하는 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반도체는 반도체, Semiconductor, 실리콘(Si)반도체, 반도체소자, 다이오드반도체, 트랜지스터반도체, 어떤 특별한 조건하에서만 전기가 통하는 물질, 전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가해진 전압이나 열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조사된 빛의 파장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전기전도도 값은 절연체의 값보다는 크고 도체의 값보다는 작은 반도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도체 및 금속,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반도체, 결정 격자를 이루는 고체 물질은 격자의 주기성으로 인해 물질 내의 전자가 에너지띠를 형성하는 반도체, 원자가띠(valence band)와 전도띠(conduction band) 사이의 너무 크지 않은 적당한 크기의 띠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인 반도체, 작은 띠틈을 가지고 있는 실리콘과 같은 단일 원소 반도체 물질이나 GaA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된 반도체, 열이나 전기장 혹은 빛 등을 이용하여 원자가전자에 이 띠틈보다 큰 에너지를 가해 주면 이들 전자는 띠틈을 넘어 전도띠의 들뜬상태로 올라가게 되는 반도체, 상기 전자가 전도띠로 들뜨게 되면 전자가 빠진 원자가띠에 양공이 생기게 되어 전도띠의 전자와 원자가띠의 양공이 각각 (-)와 (+) 전하를 가지는 전하 운반자가 되어 전기전도에 기여하게 되는 반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에는 전기, 전자, 통신, 정보, 지능, 비트, 코드, 펄스, 신호, 측정, 제어, 계측, 화학, 물리, 생물, 인공, 나노, 논리, 칩, 센서, 소자, 진자, 기판, 모듈, 회로, 5G, IT, Al, IC, ICT, IoT, 바이오, 미생물, 데이터,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반도체, 컴퓨터, 메모리, 실리콘, 웨이퍼, 컨트롤, 시스템, 인공지능, 프로세스, 마이크로, 빅데이터, 모니터링, 블록체인, 아날로그, 프로그램,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에는 전기칩, 전자센서, 통신소자, 지능기판, 비트진자, 5G칩, IT센서, Al소자, ICT진자, IoT기판, 바이오칩, 스마트센서, 인공지능소자, 빅데이터회로, 블록체인기판, 칩센서, 칩소자, 기판회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반도체 등은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칩은 chip 등이고, 5G는 5th Generation 등이고, IT는 Image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등이고, Al는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이고, IC는 Integrated Circuit 등이고, ICT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등이고, IoT는 Internet of Things 등이고, 불록체인은 Block Chain 등이고, 회로는 회로, 집적회로 등이 해당된다. CCTV는 CCTV, 폐쇄회로 텔레비전, 씨씨티브이, Closed Circuit Television,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는 전지, Cell, 건전지(dry cell), 습전지(wet cell), 배터리(battery), 연료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전해전지, 전기분해전지, 전지 내에 미리 채워놓은 화학물질에서 나오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화학 장치, 본체 또는 케이스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등이 구비된 전지 등이 해당된다. 일차 전지(primary cell)는 전지의 기전력이 0으로 떨어지면 재충전할 수 없어 재사용할 수 없는 전지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cell) 혹은 축전지(storage cell)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전(discharging) 과정과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충전(charging) 과정을 반복할 수 있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solar cell), 광전지(photovoltaic cell), 광기전력 전지(photovoltaic cell), 태양 빛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장치, 빛에너지가 전기로 바뀌는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료전지는 연료전지, Fuel Cell,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키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지속적으로 연료와 산소의 공급을 받아서 화학반응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전해조와 양극과 음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장치,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등이 구비된 연료전지, 또는 전해조, 양극, 음극, 전해질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등이 구비된 연료전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양극에서는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과 전자를 방출한다. 여기서 발생한 전자가 외부의 도선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직류 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전해질은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양이온)이 연료전지의 두 극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극에서는 양극에서 이동해온 수소이온과 도선을 통해 이동한 전자와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물 또는 수증기를 만들어 배출한다.
상기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연료전지, 수소가 이용되는 연료전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전체 반응 (2H2 + O2 → H2O)을 통해 전자는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을 통해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산화전극에서 다음과 같이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2H2 → 4H+ + 4e- (산성 조건), 2H2 + 4OH- → 4H2O + 4e- (염기성 조건), 그리고 환원전극에서는 다음과 같이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O2 + 4H+ + 4e- → 2H2O (산성 조건), O2 + 2H2O + 4e- → 4OH- (염기성 조건), 그리고 산성 조건에서 수소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고분자 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라고 하며, 30-40% 농도의 수산화 포타슘(KOH) 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알칼리 연료 전지라고 부른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는 a)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로봇,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b) 또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폰, 전화, 서버, 장치, 장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태블릿PC,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기기, 핸드폰, 모바일기(mobile kit), 무전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드론,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 일시스템, 작업시스템, 업무시스템, 자동시스템, 수동시스템, 로봇시스템, 공사시스템, 건축시스템, 청정시스템, 정화시스템, 처리시스템, 판매시스템, 주문시스템, 배달시스템, 택배시스템, 이동시스템, 공유시스템, 관리시스템, 공사관리시스템, 시공관리시스템, 토공관리시스템, VR시스템, AR시스템, MR시스템, 공사VR시스템, 태양발전관리시스템, 풍력발전관리시스템, 안전시스템, 관제시스템, 관측시스템, 비행시스템, 운항시스템, 이착륙시스템, 드론시스템, 모빌리티시스템, 현장관제시스템, 공사관제시스템, 드론관제시스템, 비행관제시스템, 모빌리티관제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현장관제시스템 또는 공사관제시스템 또는 드론관제시스템은 1) 공사 현장에 드론, 비행체, 모빌리티, 킥보드, UAM 등 구비; 2) 2개 이상의 공사 현장에 드론 등 구비; 3) 상기 드론 등에 비행시간 입력; 4) 상기 드론 등에 2회 이상 비행시간 입력, 지정; 5) 상기 드론 등에 정기적 비행시간 입력, 지정; 6) 상기 드론 등의 날개 펴기; 7) 상기 드론 등 조종; 8) 상기 드론 등 이륙; 9) 상기 드론 등 비행; 10) 상기 드론 등의 촬영, 녹화; 11) 상기 구비 내지 녹화 중 하나에 측량, 지형측량, 지형측정, 측정, 먼지농도측정, 관찰, 주변관찰, 작업장면 관찰; 12) 상기 구비 내지 관찰 중 하나 이상에 순회, 선회, 회전, 경비, 경계, 관제, 관측, 야경, 순찰, 주변순찰; 13) 상기 구비 내지 순찰 중 하나 이상에 분사, 물분사, 먼지제거분사, 살수, 고압살수, 살포, 연막살포; 14) 상기 구비 내지 연막살포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오존 방사하여 살균, 소독제 분사하여 소독, 연막 분사 방역; 15) 상기 구비 내지 방역 중 하나 이상에 청정, 공기청정, 먼지청정,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먼지 청정, 정화, 오염정화, 정수, 물정수, 청소, 공사장청소, 작업장청소, 세정, 시설세정, 세척, 차량세척; 16) 상기 현장의 재료, 자재, 철근, 시멘트 중 하나 이상 운반, 이송; 17) 상기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자신에 구비된 호스로 콘크리트 타설; 18) 상기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기 또는 펌핑하는 펌프카의 호스를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타설; 19) 상기 콘크리트를 형틀에 타설; 20)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기를 투입하여 상기 콘크리트 진동; 21)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물분사; 22) 상기 물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 촉진; 23) 상기 촬영의 자료 또는 내용을 송신; 24) 상기 녹화의 자료 또는 내용을 송신; 25) 상기 송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수신, 핸드폰으로 수신, 모니터에 수신, PC모니터에 수신, 스크린으로 수신, 본사에서 수신, 관제실에서 수신, 사무실에서 수신, 상기 조종하는 조종기에 수신; 26)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방영, 모니터에 방영, 스크린에 방영, 관제실의 모니터에 방영,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27) 상기 2개 이상 현장의 촬영 내용을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28)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관제실에 구비된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29)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관찰, 시청, 판독; 30) 상기 관제실에서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시청, 방영, 관찰, 방청, 판독; 31)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저장, PC에 저장, 메모리에 저장, USB에 저장; 32) 상기 수신 내지 저장 중 하나 이상 후에 현장의 작업자와 통화, 영상통화; 33) 상기 관제실에서 상기 현장의 작업자와 통화, 영상통화; 34) 상기 관제실에서 상기 현장의 작업자에게 지시, 업무지시, 작업지시; 35) 상기 비행 후에 회귀, 출발지로 회귀; 36) 상기 드론 착륙; 37) 상기 드론의 날개 접기; 38) 상기 드론 보관; 39) 상기 입력된 비행시간에 상기 이륙 내지 착륙; 40) 상기 이륙 내지 착륙 중 둘 이상을 반복, 1회 반복, 2회 반복, 다수 반복; 41) 상기 드론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조종 내지 반복 중 하나를 하는 수단, 중 하나 이상 이용 또는 구비; 42) 또는 앱 개발, 관제앱 개발, 시스템앱 개발, 상기 앱을 앱스토어에 넣기, 상기 앱을 앱스토어에 진열, 상기 앱을 폰의 앱스토어에 진열, 상기 앱을 다운 받기, 상기 앱을 내려 받기, 상기 앱을 폰에 내려 받기, 상기 앱을 앱스토어에서 폰에 내려 받기, 상기 앱을 구매 하기, 상기 앱을 폰으로 구매 하기, 상기 앱을 설치 하기, 상기 앱을 폰에 설치 하기, 상기 앱을 열기, 상기 앱을 폰에서 열기, 상기 앱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기, 상기 앱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조종 하기, 상기 앱을 이용하여 폰에서 상기 입력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물품 선택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음식 선택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물품 주문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음식 주문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결제하기, 상기 앱을 통하여 모빌리티 열기, 상기 앱을 통하여 모빌리티 시동걸기, 상기 앱을 통하여 모빌리티 가동하기, 모빌리티 운전하기, 모빌리티 이동하기, 모빌리티 시동끄기, 상기 앱을 통하여 모빌리티 닫기,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시청,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방영,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관찰,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판독; 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드론, 비행체, 모빌리티, 킥보드, UAM,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조종 내지 반복 등을 하는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관제시스템, 현장관제시스템, 공사관제시스템, 드론관제시스템 등에는 드론, 무인비행체, 드론조정기, 송신기, 인터넷서버, 와이파이서버, 드론관제서버,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 센터,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 상기 드론 몸체와 연결되는 플러그, 유무선으로 접속된 모바일단말기, 자동비행앱, 관제프로그램, 비행경로서버, 스트리밍서버,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드론 항공관제 애플리케이션, 드론모바일앱, 중계서버, 웹서비스서버, 스트리밍서버, 3D고도정보제공수단, 통신부, 제어부, 이동식 중계기 제어부, 측정센서, 영상을 촬영장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 드론을 격납하는 드론 스테이션, 웹기반의 인터페이스, 드론제어 모듈, 드론 프로펠러,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카메라, 드론 본체에 구비되어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관제서버와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는 통신기,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GPS단말기, 인터넷 통신회사의 3G/4G통신용 중계기, 3G/4G통신용 중계기를 통해 드론과 데이터통신하는 관제서버, 드론 비행 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드론 검정장치, 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드론 및 드론 검정장치와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통신이 설정된 드론으로부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고 통신이 설정된 드론 검정장치로부터 드론 비행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모니터링부, 통신이 설정된 드론의 비행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컨트롤러,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관제센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관리자, 스태프, 드론영상촬영자, 참가자의 단말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각 지역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제서버,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드론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현장 상황을 판독하는 관제센터,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된 위치로 비행하도록 조정되는 비행제어수단,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기압센서, 센서부, 프로펠러 구동수단, GPS모듈, GPS모듈을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정보와 GPS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GPS신호를 상호동기화하여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드론, 관제센터로부터 요청시 관계 기관 서버에 위기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드론,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드론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모니터링기, 원하는 위치로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드론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영상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 드론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드론의 촬영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상태 및 설정항목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자화처리 등이 이용되는 상기 드론 내지 조작기;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드론 내지 조작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행경로서버는 비행 경로를 운영하는 서버, 드론 운용중인 사용자에게 비행에 대한 안내사항 또는 긴급한 내용을 글자로 전달하는 메시지 푸쉬서비스 제공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비행하는 드론으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PIP(picture in picture) 모드는 수신되는 영상 스트리밍 데이터를 별도의 다이얼로그 위에서 재생하여 조금 더 큰 화면에서 영상 데이터와 비행상태를 확인하는 모드이다. 상기 드론모바일앱은 드론을 제어하는 앱이다. 상기 중계서버는 관제실과 드론모바일앱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 중계, 드론의 상태 정보 수신, 드론모바일앱에서 요청하는 정보 제공 등을 한다. 상기 웹서비스서버는 관제 웹 서비스와 드론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외부 API 연동 기능을 갖는 서버이다. 상기 외부 API 연동기능은 주소 검색 정보, 날씨, 지구자기장 지수 정보 등을 제공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실시간 영상 송수신을 위한 서버, 실시간 사진 송수신을 위한 파일서버 포함 등이다. 상기 3D고도정보제공수단은 드론 활동 영역의 정해진 간격의 고도 정보를 저장한 공간정보DB와, 공간정보DB에서 특정한 위치의 고도를 추출하기 위한 고도 추출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요청하는 위치의 고도를 다양한 정보로 제공하는 웹API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드론 및 드론 운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드론 운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비행 조작 신호를 드론의 위치 정보, 드론의 자세 정보, 드론의 운행 제한 정보 등에 따라 보정하여 비행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행 보정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관제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식 중계기 제어부는 드론의 비행 경로를 확인하고, 드론의 비행 경로 상에 통신 범위 이탈 지역이 있는 경우, 통신범위 이탈 지역과 최근접에 위치한 이동식 중계기를 통신 범위 이탈 지역으로 이동시켜 드론과 통신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부, 상기 와이어릴에 권취되면서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전원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론제어 모듈은 드론에 탑재되어 드론 관제센터로부터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 임무를 해석하여 드론의 자동운항 및 자동계측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상기 드론 검정장치는 드론의 이착륙 동작을 검정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드론의 공중 정지 동작인 호버링 동작을검정하는 드론 호버링 장치, 드론의 게이트 통과 동작을 검증하는 드론 게이트 장치 등으로서, 이에는 드론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드론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가 설치된 초음파 센서바, 상기 초음파 센서바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초음파 센서바를 회전시켜 초음파 센서바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각도조절 지그, 일측이 초음파 센서바에 연결된 각도 조절 지그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수평바 등이 포함되는 드론 위치측정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제서버에는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와 GPS위치정보,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는 비행정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영상정보와 위치정보 파악, 다양한 종류의 비행정보를 제공받아 영상을 판독, 안전사고나 위급상황의 발생유무를 파악, 원하는 위치로 드론을 이동시킬 있도록 드론의 통신부 구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 등이 가능하다.
상기 관제시스템에는 앱, 드론, 드론앱 등으로부터 드론의 이름, 드론의 GPS 연결 상태, 네트워크 상태, 드론 베터리 상태,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 설정, 표시되는 지도 설정, 드론의 기체상태 설정, 드론조정기 설정, 미션설정, 드론의 상태 확인, 드론 운항 위치, 드론 운항 고도 등이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관제시스템은 드론의 비행을 관제, 이동통신 단말기로 항공관제 서비스 제공, 드론 또는 자동비행앱을 통해 전달된 드론의 비행 상태를 포함하는 드론 정보를 관리 등을 한다. 상기 관제시스템을 위하여 관제소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 인증, 사용자의 드론에 대한 드론 정보 인증, 드론 항공관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 드론 조정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속한 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드론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 드론 항공관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드론에 대한 비행허가를 승인 받는 비행승인, 드론 항공관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 촬영, 녹화 등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 등이 된다.
상기 주문시스템(690)은 주문시스템 1, 주문시스템 2, 주문시스템 3 중 하나이다. 상기 주문시스템(690) 1은 업체(691), 통신망(692), GPS(693), 위치정보수단(693), 중앙서버(694), 업주폰(695), 업주어플(696), 손님폰(697), 손님어플(698); 살균 처리된 상기 업체 내지 손님폰;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업체 내지 손님폰;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업체 내지 손님폰;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업체 내지 손님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폰은 폰, 핸드폰, 휴대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어플은 앱, app, 어플, appl,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앱모듈, 어플모듈, 어플리케이션모듈 등이 해당된다. 상기 GPS는 GPS, GPS앱, GPS모듈, 衛星航法裝置,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손님은 손님, 단골, 이용자, 사용자, 주문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망은 통신망, 통신기, 기지국, 통신기지국, 통신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업체(691)는 식당, 음식점, 치킨집, 피자집, 레스토랑, 카(car), 드론, 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모빌리티, 푸드카, 푸드트럭, 커피트럭, 치킨트럭, 피자트럭, 푸드트레일러 중 하나이다. 상기 통신망(692)은 상기 업체 내지 손님폰 중 둘 이상을 무선 통신 또는 연락하는 것이다. 상기 GPS 또는 위치정보수단(693)은 업체, 업주, 사용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중앙서버(694)는 업체 위치정보에 따라 손님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업체 중 일정 업체를 선택해 원하는 메뉴를 주문,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제 처리 수행, 업주폰으로부터 해당 업체의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 손님폰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업체 위치정보를 생성, 업체 위치정보를 해당 손님폰으로 제공, 메뉴 선택에 대한 정보를 손님폰에 제공, 선택된 메뉴에 대한 결제 정보를 해당 손님폰에 제공, 선택된 메뉴에 대한 손님폰의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접수정보를 해당 업주폰으로 제공, 업주폰으로부터 주문접수정보에 따른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받아 해당 손님폰으로 제공,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 정보를 업주폰으로 제공, 설정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정보를 업주폰으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업주폰의 고유아이디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업주정보DB에 저장, 업주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업위치정보와 영업유무 정보를 해당 업주폰의 고유아이디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업주정보DB에 저장,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 정보, 업주폰에서 제공된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정보와 영업위치정보와 영업유무정보를 해당 업주폰의 고유아이디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저장, 손님폰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업체들의 위치에 대한 업체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손님폰으로 제공, 사용자가 선택한 한 업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메뉴정보를 업주정보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손님폰으로 제공,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에 대한 가격정보를 업주정보DB로부터 추출하고 가격정보를 포함한 결제정보를 손님폰으로 제공, 손님폰으로부터 결제 완료정보가 수신되면 결제가 완료된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접수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업주폰으로 제공, 업주폰으로부터 상기 주문접수정보에 따른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받고 해당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정보를 순차적으로 해당 손님폰으로 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업주폰(695)은 업주어플 탑재, 중앙서버로 업체 관련정보를 제공,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문접수정보를 획득하여 표시, 주문접수정보에 따른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업주어플(696)은 업주폰에 탑재, 사용자에게 업체의 위치정보를 제공, 업체의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선택페이지를 제공, 중앙서버로부터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 정보를 획득, 설정페이지 정보에 따른 설정페이지를 화면에 표시, 화면에 표시된 설정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업체정보와 메뉴정보와 가격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제공모드 수행, 영업위치와 영업유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를 제공, 설정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영업위치정보와 영업유무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문접수정보를 획득하여 표시, 주문접수정보에 따른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제공, 실시간으로 업체위치 설정페이지를 제공, 설정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실시간 업체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중앙서버로 제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손님폰(697)은 손님어플 탑재, 중앙서버로 주기적인 사용자의 위치정보 제공,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업체 위치정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업체 중 일정 업체를 선택해 원하는 메뉴를 주문,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제 처리 수행, 중앙서버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정보를 통해 정상적으로 주문이 완료 되었는지 여부 확인, 주문한 메뉴의 완료 상태를 확인, 중앙서버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주문번호정보 확인, 조리완료 알림정보 확인, 주문 완료여부 확인, 주문한 메뉴의 완료상태 확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손님어플(698)은 손님폰에 탑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중앙서버로 전송, 상기 중앙서버에 주기적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 제공,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업체들의 위치에 대한 업체 위치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음, 업체 위치정보에 따라 업체들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 상기 업체 위치정보에 따라 표시된 업체 중 한 업체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한 업체에 대한 선택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 선택한 업체에서 제공되는 메뉴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 표시된 메뉴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한 메뉴에 대한 선택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 선택된메뉴에 대한 결제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 표시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완료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 중앙서버로부터 주문번호정보와 조리완료 알림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표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주문시스템 2는 통신폰; 통신폰을 이용하여 손님의 위치 및 업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위치추적부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손님의 위치 및 업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손님과 업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알림 메세지를 보내는 알림부; 손님과 업체 간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손님 또는 업체의 이동경로 및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제공부; 업체의 메뉴 또는 일정을 저장하는 저장부; 손님의 위치에 기반하여 손님이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업체의 위치를 표시해주고 알림메세지를 발송하는 발송부; 상기 일정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 또는 손님의 위치에 기반하여 손님이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로 들어 올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가 있는 경우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는 발송부; 업체를 선정하는 업체 선정부; 업체의 메뉴를 선정하는 메뉴 선정부; 상기 선정한 메뉴를 주문하는 주문부; 상기 주문한 메뉴의 비용을 지불하는 지불부; 상기 추적, 표시, 알림, 제공, 저장, 발송, 선정, 주문, 지불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손님어플; 상기 손님어플이 장착되는 손님폰; 상기 추적 내지 지불 중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업주어플; 상기 업주어플이 장착되는 업주폰; 상기 추적 내지 지불 중 하나 이상이 관리되는 관리서버; 상기 추적부 내지 관리서버 중 둘 이상을 통신 연결하는 통신망;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통신폰 내지 통신망;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통신폰 내지 통신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문시스템 3은 1) 주문자, 가맹점, 배달대행자; 2) 상기 주문자의 주문자단말기; 3) 상기 주문자단말기에 장착되는 주문앱; 4) 업체 및 메뉴를 선정, 주문, 예약, 결제하는 주문자단말기; 5)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 6) 상기 가맹점단말기에 장착되는 가맹앱; 7)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배달주문을 접수하는 가맹점단말기; 8)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요리하는 상기 가맹점; 9) 배달대행자에 구비되는 배달대행서버; 10) 배달대행서버에 배달기사의 배차를 요청하는 가맹점단말기; 11) 상기 가맹점단말기의 배차요청에 따른 상기 배달기사의 배차승인요청을 접수할 수 있도록 배달주문리스트를 마련하는 상기 배달대행서버; 12) 상기 주문 요리를 배달하는 배달기사; 13) 상기 배달기사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결제용단말기; 14) 상기 배달주문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고 상기 선택입력에 따른 상기 배차승인요청을 상기 배달대행서버에 전달하는 휴대결제용단말기; 15) 구매자의 결제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결제용단말기; 16) 상기 가맹점단말기의 상기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휴대결제용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맹점단말기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중개서버; 17) 상기 선정, 주문, 예약, 배달, 결제 중 하나 이상을 중개하는 중개서버; 18) 상기 주문자 내지 중개서버 중 둘 이상을 통신 연결하는 통신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달, 택배, 이송, 탁송, 배달시스템, 택배시스템 등은 배달시스템 1, 배달시스템 2, 배달시스템 3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배달시스템 1은 1) 물품, 물건, 식당, 음식, 식당리스트, 음식리스트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앱 개발; 2) 앱, 어플, 핸드폰앱 중 하나를 폰 또는 핸드폰에 내려 받기; 모빌리티에 비행시간 입력; 3) 폰, 핸드폰, 앱, 핸드폰앱 중 하나에서 물품, 물건, 식당, 음식 중 하나를 선택; 4) 폰, 핸드폰, 앱, 핸드폰앱 중 하나에서 물품, 물건, 음식 중 하나를 주문; 5)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결제; 6)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요리, 조리, 쿠킹, 만듬, 준비; 7)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포장, 배달통 준비, 살균배달통 준비, 살균기능을 가진 배달통 준비, 살균기가 설치된 배달통 준비, 내부에 살균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배달통 준비; 8)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적재대 또는 배달통에 투입; 9) 배, 보트, 선박, 유람선, 로켓,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우주선,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기차, 전차, 트램(tram), 전철, 지하철, 차(車), 밴(van), 트레일러, 버스, 트럭, 택시, 오토바이, 스쿠터, 자전거, 카트, 전동카트, 리어카,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중 하나로 이송; 10) 상기 배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송; 11)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송; 12) 상기 오토바이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로 이송; 13)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둘 이상으로 이송; 14)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둘 이상으로 순차적 이송; 15)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전달, 주문자에게 전달; 16) 상기 선택 또는 주문한 것을 결제; 17)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이 귀환, 회귀, 복귀; 18) 상기 개발 내지 복귀 중 하나 이상에 촬영, 녹화; 19) 상기 개발 내지 녹화 중 하나에 측량, 지형측량, 지형측정, 측정, 먼지농도측정, 관찰, 주변관찰, 작업장면 관찰; 20) 상기 개발 내지 관찰 중 하나 이상에 순회, 선회, 회전, 경비, 경계, 관제, 관측, 야경, 순찰, 주변순찰; 21) 상기 개발 내지 순찰 중 하나 이상에 분사, 물분사, 먼지제거분사, 살수, 고압살수, 살포, 연막살포; 22) 상기 개발 내지 연막살포 중 하나 이상에 살균, 소독, 방역, 오존 방사하여 살균, 소독제 분사하여 소독, 연막 분사 방역; 23) 상기 개발 내지 방역 중 하나 이상에 청정, 공기청정, 먼지청정,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먼지 청정, 정화, 오염정화, 정수, 물정수, 청소, 공사장청소, 작업장청소, 세정, 시설세정, 세척, 차량세척; 24) 상기 촬영의 자료 또는 내용을 송신; 25) 상기 녹화의 자료 또는 내용을 송신; 26) 상기 송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수신, 핸드폰으로 수신, 모니터에 수신, PC모니터에 수신, 스크린으로 수신, 본사에서 수신, 관제실에서 수신, 사무실에서 수신,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를 조종하는 조종기에 수신; 27)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방영, 모니터에 방영, 스크린에 방영, 관제실의 모니터에 방영,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28) 상기 2개 이상의 촬영 내용을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29)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관제실에 구비된 2개 이상 모니터에 방영; 30)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관찰, 시청, 판독; 31) 상기 관제실에서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시청, 방영, 관찰, 방청, 판독; 32) 상기 수신의 자료 또는 내용을 저장, PC에 저장, 메모리에 저장, USB에 저장; 33) 상기 수신 내지 저장 중 하나 이상 후에 배달자와 통화, 영상통화; 34) 상기 관제실에서 배달자와 통화, 영상통화; 35) 상기 관제실에서 배달자에게 지시, 업무지시, 작업지시; 36)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촬영 내지 작업지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 구비; 37)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 이용, 구비; 38) 상기 개발 내지(∼) 작업지시 중 둘 이상을 반복, 1회 반복, 2회 반복, 다수 반복; 39) 또는 상기 앱 개발 내지(∼) 판독; 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배달시스템 2는 1)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상기 배달통(배달통, 살균배달통, 살균기능을 가진 배달통, 살균기가 설치된 배달통, 내부에 살균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배달통 등)이 구비된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2)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둘 이상; 3)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무순으로 둘 이상; 4)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순차적으로 둘 이상; 5) 이동 속도가 빠른에서 느린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6) 이동 속도가 빠른에서 느린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7) 이동 거리가 장거리에서 단거리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8) 이동 거리가 장거리에서 단거리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9) 이동 거리가 먼거리에서 가까운거리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0) 이동 거리가 먼거리에서 가까운거리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1) 이동 장소가 먼장소에서 가까운장소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2) 이동 장소가 먼장소에서 가까운장소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3) 자신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4) 자신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5) 배달통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6) 배달통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의 이송 수단; 17) 상기 이송 수단 또는 2개 이상의 이송 수단으로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18)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 이용 후에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19)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 이용 후에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20)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21)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2)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3)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의 이송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이송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의 이송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의 이송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4)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5) 또는 하나의 이송수단(single delivery) 또는 최종의 이송수단(last delivery)으로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26) 또는 하나의 이송수단 또는 최종의 이송수단으로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27) 상기 개발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 장비, 장치, 시스템,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28)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앱 개발 내지 판독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수단, 장비, 장치,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이용되어 배달되는 것이다.
상기 배달시스템 3(700)은 a) 주문자(701), 주문앱(702), 주문자단말기(703), 가맹점(704), 가맹앱(705), 가맹점단말기(706), 배달사(707), 배달자(708), 배달앱(709), 배달자단말기(710), 통신망(711); b) 상기 주문자단말기에 장착되는 주문앱; 상기 가맹점단말기에 장착되는 가맹앱; 상기 배달사에 속하는 배달자; 상기 배달자단말기에 장착되는 배달앱; 상기 주문자 내지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되는 서버(712); 음식의 조회, 선정, 주문, 예약, 요리, 배달, 전달, 결제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서버(712); 회원 정보를 생성 관리하고 주문을 중계하는 상기 서버; 상기 주문자 내지 서버 중 둘 이상을 통신 연결하는 통신망; 상기 서버에 회원가입하는 주문자, 가맹점, 배달사; 상기 조회 내지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주문자, 주문앱, 주문자단말기;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하고 포장하는 가맹점, 가맹앱, 가맹점단말기; 상기 가맹점의 요청에 의하여 음식을 배달하는 상기 배달사, 배달자, 배달앱, 배달자단말기; 상기 음식의 원재료, 원료종류, 원료함량, 원산지, 영양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식정보; 상기 음식의 포장종류, 요리시설, 요리일시, 유통기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포장정보; 상기 음식의 배달 시간, 시작시간, 도착시간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배달정보; 상기 음식정보, 포장정보, 배달정보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전자암호코드; 상기 음식정보, 포장정보, 배달정보, 회원정보, 가맹점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전자암호코드; 상기 회원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상기 서버; c) 상기 서버에 연계되는 배달앱, 데이터를 관리하고 중계하는 데이터시스템(713), 주문자와 가맹점의 회원가입을 처리하는 회원가입부(714), 주문자회원정보와 가맹점회원정보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는 데이터관리부(715), 주문정보와 배달정보를 전달하는 중계부(716); d) 상기 가맹점에 연계되는 배달사(707), 배달자(708), 식자재를 생산하는 공장,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부(720),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721), 주문정보에 따라 음식을 만드는 조리부(722), 완성된 음식을 포장하고 포장정보와 전자암호코드를 생성하는 포장부(723), 배달정보를 생성하고 음식을 배송하는 배송부(724); e) 상기 전자암호코드에 속하는 QR코드, 바코드; 주문자 회원정보와 가맹점 회원정보가 생성 저장되는 상기 서버; 식자재의 종류, 함량, 원산지, 영양정보 중 하나 이상의 음식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데이터시스템; 상기 음식정보를 주문자에게 게시하는 상기 데이터관리부; 주문자가 음식을 선택하고 주문을 실행하면 주문정보가 생성되어 전달되는 상기 상기 중계부; 주문 정보와 주문자 정보를 가맹점에게 전달하는 상기 중계부; 가맹점의 주문수신부에서 수신한 주문정보에 의하여 조리하는 상기 조리부; 조리가 완료된 음식을 포장하는 상기 포장부; 음식정보와 포장정보 및 전자암호코드가 표기되는 포장지 또는 포장용기; 포장된 음식을 배송시키는 상기 배송부; 포장된 음식을 배달하는 상기 배달자; 배달 시작과 동시에 포장물에 생성된 음식정보, 주문정보, 포장정보, 배달정보, 전자암호코드가 전달되는 주문자단말기 및 서버의 중계부; 주문자에게 음식을 전달하는 배달자; 주문한 음식을 수령하는 주문자; 주문자에게 배달이 완료되었음이 통지되는 상기 서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이송, 여행, 출근, 퇴근, 갈아탐, 갈아타고이동, 이동방법, 이송방법, 여행방법, 이동시스템, 이송시스템, 여행시스템 등은 1) 배, 보트, 선박, 유람선, 로켓, 비행기, 우주선,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기차, 전차, 트램(tram), 전철, 지하철, 차(車), 밴(van), 트레일러, 버스, 트럭, 택시, 오토바이, 스쿠터, 자전거, 카트, 전동카트, 리어카,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2)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둘 이상; 3)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무순으로 둘 이상; 4)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순차적으로 둘 이상; 5) 이동 속도가 빠른에서 느린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6) 이동 속도가 빠른에서 느린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7) 이동 거리가 장거리에서 단거리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8) 이동 거리가 장거리에서 단거리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9) 이동 거리가 먼거리에서 가까운거리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10) 이동 거리가 먼거리에서 가까운거리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11) 이동 장소가 먼장소에서 가까운장소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12) 이동 장소가 먼장소에서 가까운장소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13) 자신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14) 자신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15) 객실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 16) 객실의 크기가 큰에서 작은 순으로 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2개 이상; 17) 상기 이동 수단 또는 2개 이상의 이동 수단으로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18)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 이용 후에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19)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이상 이용 후에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20)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중 하나; 21)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2)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로 이용하고,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의 이용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3)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로 이동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동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동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로 이동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4) 상기 배 내지 우주선 중 하나로 이동 후에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 중 하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후에 상기 기차 내지 택시 중 하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후에 상기 오토바이 내지 리어카 중 하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후에 상기 보드 내지 전동보드; 25) 또는 하나의 이동수단 또는 최종의 이동수단으로 드론, 무인비행기, UAM, 모빌리티; 26) 또는 하나의 이동수단 또는 최종의 이동수단으로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27) 상기 개발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 장비, 장치, 시스템,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28)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앱 개발 내지 판독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배 내지 전동보드, 수단, 장비, 장치,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은 이동, 이송, 여행, 출근, 퇴근, 모바일, mobile, 갈아탐, 갈아타고이동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유시스템(660)은 a) 보드(661), 킥보드, 전동보드, 헬멧(646)이 구비되는 보드, 2개 이상의 보드, 지역별로 구비되는 2개 이상의 보드,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GPS 모듈과 도난 방지용 GPS 모듈이 구비되는 보드(661); b) 상기 보드(661)에 구비된 통신기(670), 카메라(671), GPS 모듈(672), 제어기(673), 고장알림기(674), 전자센서(675); 또는 상기 보드(661)와 폰(663)과 공유서버(664)를 무선연결하는 통신기(662, 670), 상기 보드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671), 상기 보드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모듈(672), 상기 보드의 이용 또는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673), 상기 보드의 고장을 공유서버에 알리는 고장알림부(674), 상기 보드에 헬멧의 분리 및 결합을 센싱하는 전자센서(675); c) 상기 보드(661) 또는 폰(663) 또는 공유앱에 구비된 통신기(680), 태그인식기(681), 제어기(682); 또는 상기 보드와 폰과 공유서버 간에 무선연결되는 통신기(662, 680), 상기 보드에 부착된 인식태그를 인식하는 태그인식기(681), 상기 보드 또는 폰 또는 공유앱을 제어하는 제어기(682); d) 공유서버(664)에 구비된 통신기(683), 보드DB(684), 회원DB(685), 제어기(686); 또는 공유서버(664)와 폰(663)과 보드(661)를 무선연결하는 통신기(662, 683), 상기 보드가 데이버베이스화된 보드DB(684), 상기 보드를 이용하는 회원이 데이버베이스화된 회원DB(685), 공유서버를 제어하는 제어기(686); e) 또는 공유앱, 앱스토어에 구비되는 또는 올려놓은 공유앱, 상기 공유앱을 내려 받는 폰 또는 스마트폰, 상기 내려 받은 공유앱을 여는 폰, 상기 열어 잠금이 해제되는 보드, 상기 해제되어 대여되는 보드, 상기 해제 후 이용 또는 이동되는 보드, 상기 대여 및 이용을 승인 또는 해제하는 공유앱, 상기 이용 또는 이동 시간을 산정하는 산정수단, 상기 산정된 시간을 공유서버(664)에 전송하는 보드 통신기(670), 상기 산정된 시간을 보드(661)에 전송하는 공유서버 통신기(683); f) 상기 헬멧(646)의 거치대(647), 상기 거치대가 구비되는 보드(661), 상기 헬멧의 거치대에서 상기 헬멧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를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헬멧의 거치대에 상기 헬멧이 결합되는 경우 결합을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분리 후 상기 결합이 되지 않는 경우 결합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분리 및 결합을 인식하는 전자센서(675), 상기 헬멧 또는 이의 거치대에 구비되는 상기 전자센서, 상기 결합되지 않은 경우 헬멧 비용을 청구하는 청구수단, 상기 비용을 폰에 전달하는 전달수단, 보드의 대여 및 이용 요금을 폰에 전달하는 전달수단; g) 상기 산정수단 내지 전달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공유센터 또는 공유서버(664), 상기 공유앱을 통해 접속하는 폰에서 보드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공유서버, 상기 전달과 승인과 해제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와이파이 또는 통신망(662), 상기 폰과 공유서버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와이파이 또는 통신망, 운행을 시작하면 카메라의 전원을 구동시켜 촬영하고 GPS 모듈을 구동시켜 보드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공유서버로 전송하는 보드, 자신에 포함된 부품 또는 전자 부품이 고장나거나 파손되면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공유서버로 전송하는 보드, 배터리 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부족하면 배터리 부족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공유서버로 전송하는 보드; h) 상기 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보드를 인식하는 보드 아이디가 기록되는 전자태그, 상기 전자태그의 인식을 위한 태그 인식기를 갖는 폰 또는 공유앱, 폰이 상기 전자태그를 인식하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보드아이디와 상기 폰의 회원아이디를 공유서버에 전송하는 공유앱, 상기 보드아이디와 상기 회원아이디가 서로 매칭되면 보드의 대여를 처리하는 공유서버(664), 상기 이용 요금 또는 헬멧 요금 또는 이용 및 헬멧 요금을 상기 회원의 기등록된 계좌 또는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이용 및 결제 메시지를 생성하여 폰에 전송하는 공유서버(664); i) 상기 보드 내지 공유서버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카메라(671), 청정기, 정화기, 노즐, 분사기, 촬영 및 블랙박스기능을 하는 카메라(671); j) 상기 보드 내지 공유서버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소독제(640), 소독건, 소독노즐, 소독분사기, 소독스프레이어; k) 상기 소독제의 용기(640), 상기 용기의 케이스, 상기 용기 또는 케이스의 거치대, 상기 용기의 버튼, 상기 용기의 분사수단, 상기 버튼을 눌러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분사수단을 눌러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소독제가 유출되는 노즐 또는 유출구; ℓ) 상기 헬멧의 턱끈, 상기 헬멧의 거치대,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헬멧, 상기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헬멧, 상기 헬멧과 하기 용기 내지 기둥 중 하나를 연결하는 끈 또는 연결끈; m)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보드 손잡이,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본체,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발판; n) 상기 헬멧을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손잡이를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본체를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발판을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o) 상기 거치대가 구비되는 기둥, 상기 본체 또는 발판 또는 손잡이에 연계되는 상기 기둥, 상기 본체 또는 발판 또는 기둥에 구비된 바퀴; p) 상기 보드 내지 바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GPS 또는 위치센서, 상기 헬멧의 내부에 구비된 GPS 또는 위치센서, 상기 소독제 내지 기둥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배터리케이스,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안착되는 배터리; q) GPS 또는 위치센서가 장착된 상기 a) 보드 내지 p) 배터리, 조명 또는 라이트가 구비된 상기 보드 내지 배터리, 오존 또는 음이온 또는 오존음이온이 방사되는 상기 보드 내지 배터리, 오존기 음이온기 또는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되는 상기 보드 내지 배터리; r)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이용되는 상기 a) 보드 내지 q) 배터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105를 참조한다.
상기 공유앱, 공유시스템(660), 도 105의 시스템 등은 보드, 킥보드, 전동보드, 차, 차량, 푸드카, 푸드트럭, 스쿠터, 공유스쿠터, 자전거, 공유자전거, 오토바이, 공유오토바이, 드론, 공유드론, 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공유앱, 공유시스템, 공유보드, 공유자전거, 공유모빌리티 등에서 공유는 공유, 대여, 쉐어, 이용, 사용, 서비스, 공유서비스, 대여서비스, 쉐어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유앱 등에서 앱은 앱, 어플, app, apple, application, 앱스토어의 앱, 앱스토어에 구비된 앱, 폰에 내려받는 앱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보드는 보드, 킥보드(kick board), 퀵보드(quick board), 전동보드, 공유보드, 자전거, 스크터, 오토바이, 모빌리티, 공유자전거, 공유스크터, 공유오토바이, 공유모빌리티 등이 되거나, 또는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전동보드는 전동보드, electric board, 전동킥보드, 전동퀵보드, 전동가동보드, 전기보드, 전기의 힘으로 이동하는 보드, 배터리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토공관리시스템은 절토, 굴착기로 절토, 드론으로 상기 절토 촬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송신 자료 수신, 상기 수신 자료로 매핑, 상기 매핑하여 3차원의 절토 지형 제작, 상기 3차원 지형으로 상기 절토의 체적 산정, 상기 체적으로 절토량 산정, 이전의 절토량과 금회 절토량의 차이 산정, 상기 차이로 금회 절토 정도 산정, 성토, 포크레인으로 성토, 드론으로 상기 성토 촬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송신 자료 수신, 상기 수신 자료로 매핑, 상기 매핑하여 3차원의 성토 지형 제작, 상기 3차원 지형으로 상기 성토의 체적 산정, 상기 체적으로 성토량 산정, 이전의 성토량과 금회 성토량의 차이 산정, 상기 차이로 금회 성토 정도 산정, 상기 절토량과 성토량의 차이 산정, 상기 차이로 절성토량 산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관리시스템은 a) 상기 현장관제시스템의 1) 구비 내지 42) 판독; b) 상기 토공관리시스템의 절토 내지 산정; c) 또는 공사, 장비로 공사, 드론으로 상기 공사 촬영, 드론으로 상기 공사 장면 촬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송신 자료 수신, 상기 수신 자료로 매핑, 상기 매핑하여 3차원의 공사 조형물 제작, 상기 3차원 조형물로 상기 공사한 체적 산정, 상기 체적으로 공사량 산정, 이전의 공사량과 현재 공사량의 차이 산정, 상기 차이로 금회 순수 공사량 산정, 상기 공사량으로 공사금액 산정, 이전의 공사금액과 현재 공사금액의 차이 산정, 상기 차이로 금회 순수 공사금액 산정, 상기 순수 공사량에 대한 공사금액을 금회 기성금액 또는 지급금액으로 산정, 상기 기성금액 또는 지급금액을 공사자에게 지급; d) 일별로 상기 공사 내지 지급, 주별로 상기 공사 내지 지급, 월별로 상기 공사 내지 지급, 분기별로 상기 공사 내지 지급, 년별로 상기 공사 내지 지급; e) 드론 또는 UAM 또는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상기 구비 내지 지급;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VR시스템은 1) 도면, 완공도, 계획도, 준공도, 드론,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헤드셋, 다이브, 버튼, 젠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 2)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람의 머리 또는 얼굴에 착용; 3) 상기 착용한 사람에게 또는 상기 사람의 눈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도면, 완공도, 계획도, 준공도, 드론에 의한 촬영물, 상기 사람이 실제로 보는 공사 현황,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 또는 유리를 통하여 상기 사람이 실제로 또는 현재로 보는 공사 현황 중 하나 이상이 보여짐; 4) 상기 사람의 눈에 상기 공사 현황과 상기 도면, 완공도, 계획도, 준공도, 촬영물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보여짐; 5) 상기 보여짐에 의하여 상기 공사 현황과 상기 도면, 완공도, 계획도, 준공도, 촬영물 중 하나 이상의 차이가 파악; 6) 상기 차이에 의하여 현재 공사가 도면대로 되는지가 파악; 7) 상기 현재 공사와 도면의 차이가 파악되면 상기 공사가 수정 또는 변경; 8) 상기 현재 공사와 도면이 일치되면 수정 또는 변경없이 공사 진행; 9) 상기 보여짐에 의하여 상기 공사 현황과 상기 도면, 완공도, 계획도, 준공도, 촬영물 중 하나 이상의 차이가 다시 파악; 10) 상기 차이에 의하여 현재 공사 진행 정도 또는 잔여 공사 내용이 파악; 11) 상기 파악에 의하여 현재 또는 잔여의 공사 공정이 파악; 12) 상기 파악에 의하여 해당 공사의 공정율이 산정; 13) 상기 파악된 공사 내용과 도면 또는 완공도를 비교하여 공사의 공정율이 산정; 14) 상기 산정된 공정율과 계획 또는 전체 공정율이 비교; 15) 상기 구성 내지 비교 중 하나 이상이 2회 이상 반복; 16) 상기 구성 내지 비교 중 하나 이상이 기간별로 2회 이상 반복; 17) 상기 구성 내지 비교 중 하나 이상이 공정별로 2회 이상 반복; 18) 상기 구성 내지 비교 중 하나 이상이 공사 부위별로 2회 이상 반복; 19) 상기 구성 내지 비교 중 하나 이상이 공사별로 2회 이상 반복; 20) 상기 구성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공사 완공; 21) 상기 착용한 사람의 눈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완공 장면과 완공도가 동시에 보여짐; 22) 상기 완공 장면과 완공도의 차이가 파악됨; 23) 상기 완공 장면과 완공도의 차이가 있으면 재공사, 보완공사; 24) 상기 완공 장면과 완공도의 차이가 없으면 준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VR시스템은 가상현실(假想現實, VR, virtual reality)시스템,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시스템, 사이버공간(cyberspace)시스템, 가상세계(virtual worlds)시스템,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시연자 또는 아바타의 판단과 선택으로 실시간 이동과 작동을 하는 시스템,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 또는 아바타가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중 하나로서,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헤드셋, 다이브, 버튼, 젠더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VR시스템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아가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들어가는 응용 프로그램,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머리 또는 얼굴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HMD(head mounted display), VR 체험을 위해 사용자가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와 차단한 후 사용자의 시각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눈에 영상에 보이도록 머리 또는 얼굴에 쓰는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안경, 마이크, 이어폰, 스피커, 스테레오스피커, 센서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헤드셋은 헤드셋, 헤드폰, 마이크가 달인 헤드폰, 머리에 착용하는 일반형 헤드셋, 밴드를 목 뒤로 착용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귀에 걸치는 이어셋형 헤드셋 중 하나이다. 상기 다이브는 헤드셋 또는 디스플레이에 스마트폰을 탑재해 스마트폰 패널을 활용하는 기기이다.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다이브에 부착된 버튼 또는 자석; 스마트폰에 탑재된 마그네틱 센서가 지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입력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버튼; 또는 메뉴 선택, 메뉴 호출, 메뉴 재생, 메뉴 일시정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버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젠더는 스마트폰과 마우스, 키보드, 조이패드 중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마우스, 키보드, 조이패드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시스템에 구비된다. 상기 AR시스템은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과 현실 세계에 가상정보를 더해 보여주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시스템이다. 상기 MR시스템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현실 세계에 가상정보를 더해 보여주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혼합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시스템이다. 상기 VR, AR, MR 등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현실을 구현해 사람 또는 아바타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차이점을 보면 VR은 모두 가상의 정보를 보여 주는 방식이고, AR은 실제 현실에 가상의 정보를 더해 보여 주는 방식이고, MR은 현실 배경에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혼합시켜 보여 주는 방식이다.
상기 태양발전관리시스템은 드론으로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 주위 순찰, 카메라 또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으로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 촬영, 카메라 또는 열화상카메라로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 촬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송신 자료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의 균열 또는 이상현상 분석,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균열 또는 이상현상 보수, 드론을 이용하여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 세척, 드론에 구비된 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태양전기 또는 태양발전기 세척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풍력발전관리시스템은 드론으로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 주위 순찰, 카메라 또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으로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 촬영, 카메라 또는 열화상카메라로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 촬영, 상기 촬영 자료 송신, 상기 송신 자료 수신, 상기 수신 자료를 이용하여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의 균열 또는 이상현상 분석,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균열 또는 이상현상 보수, 드론을 이용하여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 세척, 드론에 구비된 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풍력날개 또는 풍력발전기 세척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드론, 로봇, 부품, 제품, 물품, 용품, 재료, 자재, 건물, 구조물,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장면, 현황, 상황, 영상,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거리, 위도, 경도, 각도, 고도, 높이, 길이, 가로, 세로, 크기, 면적, 체적, 수직도, 연직도, 공간좌표, 위치좌표, GPS좌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등을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측량, 계측, 관측, 관찰, 파악, 평가, 확인, 산정 등을 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a) 상기 기(器), 기(機) 등은 어미가 기로 끝나는 단어, 용어, 물질, 물체 등이 해당되고, 이의 예로는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b) 상기 측기는 측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PC는 PC, 컴퓨터, 개인컴퓨터, 개인용컴퓨터, 퍼스널컴퓨터, 퍼스컴, personal computer, 개인이 사용하는 소형 컴퓨터 등이 해당되고, 소프트웨어로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언어로는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 베이식(basic) 등이 있으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키보드,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이 포함된다. d) 상기 GPS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시스템, 위성 또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또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시설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GIS는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또는 지역에서 수집한 각종 지리 정보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 정보, 처리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대량의 정보처리, 지도제작, 원격탐사 등에 이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4G는 4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4세대 무선기술, 4th generation, 4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our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5G는 5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5세대 무선기술, 5th generation, 5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if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는 사람이나 인간의 인식, 판단, 추론, 언어, 행동, 지령, 학습, 문제해결, 행동지령, 학습기능, 뇌기능, 두뇌작용 등을 컴퓨터 스스로 하거나, 또는 추론, 학습, 판단 등을 하면서 작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d) 상기 사물인터넷(loT, internet of things)은 생활, 활동 상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각종 사물들에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과 사물 간에 인터넷 기반으로 상호 소통을 하고, 이를 통해 가전제품, 전자기기,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원격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e) 상기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지 않고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는 운전자 없이 주행하는 차인 무인 자동차(driverless car) 개념도 포함될 수 있다. f) 상기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의학 분야에서 수술 및 해부 연습, 항공·군사 분야에서 비행조종 훈련, 건설분야에서 모의공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필요시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g) 상기 드론(Drone)은 소형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uninhabited aerial vehicle)로서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되는 비행기, 헬리콥터 등이 해당된다. 이는 공중 영상 촬영, 공사 장면 촬영, 원거리 공중 촬영, 군사작전, 인터넷 쇼핑 배달, 무인(無人)택배 등에 이용된다.
상기 LTE는 LTE, Long Term Evolution, 4G 이동통신 기술,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60킬로미터 이상 고속 이동시에 1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4G 또는 5G에서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다. 무선 이동통신 규격은 큰 범주로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로 나뉘어 있으며, 현재 4세대(4G) 이동통신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2015년 이후부터 이동통신 업계는 5G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각 세대 구분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이에 있다. LTE 통신 서비스를 적용한 제품으로는 컴퓨터용 LTE 모뎀으로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4G LTE 모뎀이다. 본 발명에서 LTE의 적용 예로는 LTE 모뎀 이용, 4G LTE 모뎀 이용, USB LTE 모뎀 이용, LTE를 이용하여 통신, LTE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전송 또는 수신,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LTE 모뎀 이용, LTE 통신 서비스가 되는 드론, LTE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LTE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WiFi는 WiFi, Wireless Fidelity, WiFi 무선랜, 무선통신, 무선인터넷,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 기술,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술 등이 해당된다. WiFi를 이용하려면 와이파이 공유기를 구비하고, WiFi를 지원하는 지역에 있어야 하고, 집이나 회사에서는 무선공유기 이용하여 WiFi 사용하고, 컴퓨터에는 무선 랜 카드와 무선 랜 카드를 위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WiFi가 설치되면 컴퓨터끼리 통신 가능, 스마트폰도 데이터 통신 가능, 무선 외장 하드 디스크에 WiFi 기술을 사용 등을 한다. 본 발명에서 WiFi의 적용 예로는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을 WiFi로 무선 송수신, 모빌리티로 무선 송수신, 무선 송수신되는 모빌리티, 모빌리티와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PC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감독자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사장 간의 무선송수신 등이 해당된다.
상기 메타버스는 메타버스, Metaverse, 3차원 가상세계,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통,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가공 또는 추상 의미하는 Meta(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의 합성어,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내는 UGC(User Generated Content) 상품 이용,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 업무 뒤에 놓인 비전 기술, 가상공간에서 소프트웨어의 대리자(아바타)와 인간적 교류를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디버스는 미디버스, Midibus, 중형버스, 25인승의 소형버스, 미니버스보다 크고 대형 버스보다 작은 차량, 동영상 관리 솔루션, 동영상 통합 솔루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에 이용되는 기술,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중 지불을 막아 주는 것, P2P 네트워크를 통해 이중 지불을 막는 데 쓰이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기는데,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고, 이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자이고,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고,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등은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폰앱, 전화앱, PC앱,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app, appl,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약어 또는 줄임말,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들어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TV용 응용프로그램,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장비 내지 반도체,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에는 벤츄리, 벤츄리관, 이젝터, 인젝터, 벤츄리에 거치된 이젝터, 벤츄리에 거치된 인젝터 등이 구비가 가늘하다. 상기 벤츄리, 벤츄리관 등은 벤츄리, 벤츄리관(77), venturi, venturi pipe 등이 해당된다. 벤츄리관은 파이프, 축소부(53), 벤츄리(53), 확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소부, 벤츄리 등에는 이젝터, 인젝터(93, 94),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장비, 장치, 수단, 드론, 모빌리티, 기(器) 내지 복합기, 장비, 내지 반도체 등에는 벤츄리, 벤츄리관, 축소부, 확장부, 호스, 관로, 파이프, 파이프라인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a) 상기 방법은 방법, 공법, 수단, 대책, 대안, 해결책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전송, 송신 등은 전송, 전달, 송신, 송달, 배달, 보내기, 무선 송신, 유선 송신, 인터넷 송신, wifi 송신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방사, 분사 등은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분사, 噴射, 분출, 배출, 유출, 살수, 살포, 분수, 포설, 살포, 생성, 발생, 조성, 형성, 스프레이, spray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정지는 정지, 整地, 고르기, 땅정비, 지반정비, 단지정지, 공단정지, 정지작업, 지반처리, 흙고르기, 땅고르기, 지반고르기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삭도는 삭도, 索道, cableway, ropeway, 삼 등으로 여러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꼰 줄, 리브트 이용 공사 또는 유지보수, 케이블카 이용 공사 또는 유지보수, 공중에 설치한 강철선에 운반차를 매달아 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나르는 장치, 공중에 로프를 가설하고 여기에 운반기구를 걸어 동력 또는 운반기구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이송, 운송, 전송, 운반, 배달 등은 이송, 운송, 전송, 운반, 배달, 배송, 택배, 탁송, 수송, 이동, 전달, 보냄, 공급, 제공, delivery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 배달 등은 이동, 활동, 움직임, 이송, 이전, 이사, 운반, 운전, 운송, 수송, 송신, 배달, 송달, 전달, 거행, 이행, 시행, 비행, 활공, 날기, 택배, 모바일, 모빌리티, 딜리버리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숏팅, 샌딩, 블라스팅 등은 숏팅, 샌딩, 블라스팅, 연마, 표면연마, 녹제거, 블라스팅, shoting, shooting, sanding, blasting 등이거나, 또는 볼, 철, 철볼, 구슬, 모래, 샌드, 슬래그, 슬래그볼, 풍쇄슬래그, 파쇄슬래그, 수쇄슬래그 등을 분사하여 상기 숏팅 내지 블라스팅 등을 하는 것이다. h) 상기 연무, 연막, 미스트 등은 연무, 연막, 미스트, 수분, 버블, 증기, 수증기 등이 해당된다. i) 상기 단지, 시설, 도로 등은 단지, 시설, 도로, 공단, 택지, 집, 건물, 구조물, 시설물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65)는 드론, 택시, 트럭, 버스,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항공택시, 항공버스, 비행택시, 비행버스, 에어택시, 에어버스, 이착륙기, 수직이착륙기, 전기수직이착륙기, 플라잉카, 플라잉택시, 플라잉버스, 플라잉트럭, 하늘을 나는 차(car), 하늘을 나는 택시, 하늘을 나는 버스,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촬영드론, GPR드론, GPS드론, 레이더드론,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UAM(urban air mobility)기,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기구,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시스템, 항공모빌리티기, 에어모빌리티기, 비행하는 모빌리티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기, mobility facility, 이동수단, 운반수단, 이송수단, 상기 또는 하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수단, 상기 또는 하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모빌리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물체, 시스템 등은 a) 기(器 or 機), 기기, 기계, 기구, 장치, 장비, 수단, 방법, 물체,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b)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는 a) 일정의 일, 업무, 제조, 공사, 작업 등의 작업 또는 공사 장면(320)을 촬영(321)하고 먼지, 먼지 형태, 먼지 영상, 먼지가 포함되는 공기, 공기 중의 먼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먼지 또는 먼지군(dust群)(320)을 녹화(321)하면서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330)를 측정(331)하거나, b) 또는 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 하나를 하거나, c) 또는 c1)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거나, c2) 또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거나, c3) 또는 자신에 연계되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c4) 또는 상기 수단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분사되는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가 이용되는 시스템은 하기 업무를 하거나, 또는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하기 장치가 구비된 것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업무, 또는 모빌리티에 의한 업무, 또는 모빌리티기에 의한 업무는 업무 1, 업무 2, 업무 3, 업무 4, 업무 5, 업무 6, 업무 7, 업무 8, 업무 9, 업무 10, 업무 11, 업무 12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업무 1은 일정의 일, 업무, 제조, 공사, 작업 등의 작업 또는 공사 장면을 촬영하고 먼지, 먼지 형태, 먼지 영상, 먼지가 포함되는 공기, 공기 중의 먼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먼지 또는 먼지군(dust群)을 녹화하면서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2는 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3은 c1)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에 하기 장치를 거치하거나, c2) 또는 상기 모빌리티기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거나, c3) 또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거나, c4) 또는 상기 모빌리티기에 연계되는 상기 촬영, 상기 측정, 하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하기 장치를 거치하거나, c5) 또는 상기 수단에 하기 장치 또는 유출구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4는 하기 장치를 제조한 후에 상기 모빌리티기에 하기 장치를 장착 또는 연계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5는 상기 모빌리티기로 공중을 비행하고, 하기 장치를 지상에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6은 하기 장치에 구비된 호스를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7은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에 호스, 파이프, 노즐, 디퓨저, 분사기, 살수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8은 하기 장치에 구비된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을 상기 모빌리티기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9는 상기 물질 또는 분사에 의하여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소독, 살균, 공기청정, 오염정화,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10은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관측, 관제, 측정, 진단, 조사, 탐지, 탐색, 측량, 측정, 계측, 작업, 매핑, 시공, 건설, 건축, 공사, 정화, 청정, 소독, 살균, 방역, 소화, 진화, 살수, 분사, 분무, 살포,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이동, 이송, 운송, 수송, 감시, 순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모니터링, 상기 관측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의 복합, 상기 관측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중 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11은 상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업무 12는 상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와 동시에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은 작업(320) 또는 공사 장면을 촬영(321)하면서 먼지(330)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331)하는 것이다. 상기 2는 먼지 또는 먼지군(dust群)(320)을 촬영(321)하면서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330)를 측정(331)하는 것이다. 상기 3은 이미지센서(610)에 의하여 먼지 또는 먼지군(320)을 촬영(321)하면서 먼지센서(611)에 의하여 먼지(330)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331)하는 것이다. 상기 4는 커메라(320)에 의하여 작업 장면을 촬영(321)하고, 이미지센서(610)에 의하여 먼지 또는 먼지군을 녹화(321)하면서, 먼지센서(611)에 의하여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330)를 측정(331)하는 것이다. 상기 먼지센서는 레이저 광산란 방식, 즉 레이저를 이용한 광산란 측정방식에 의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먼지센서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레이저를 이용해 반사 면적을 인식하여 먼지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5는 시설, 사물, 풍경, 현장 중 하나 이상을 영상화하고, 작업 또는 공사 장면을 촬영하고, 먼지 영상을 녹화하고,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영상화 등은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사진찍음, 레코딩, 영상화, 영화화, 동영상화, 연속적인 동영상을 만듬 등이 해당된다. 상기 6은 시설, 사물, 풍경, 현장 중 하나 이상을 촬영하고, 먼지 영상을 녹화하고,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7은 시설, 사물, 풍경, 현장 중 하나 이상을 영상화하면서 먼지의 농도 또는 입자개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8은 관측, 관제, 측정, 진단, 조사, 탐지, 탐색, 측량, 측정, 계측, 작업, 매핑, 시공, 건설, 건축, 공사, 정화, 청정, 소독, 살균, 방역, 소화, 진화, 살수, 분사, 분무, 살포,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이동, 이송, 운송, 수송, 감시, 순찰, 모니터링, 상기 관측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의 복합, 상기 관측 내지 모니터링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중 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9는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중 둘 이상을 하면서 상기 관측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10은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상기 관측 내지 공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살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배달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1은 상기 관측 내지 공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살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배달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2는 상기 관측 내지 공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정화 내지 살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배달 내지 모니터링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영상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 유출구, 배출구, 장비, 드론, 모빌리티 등은 a) 자신, 노즐, 디퓨저, 분사기, 다른 장비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분사하거나, b) 또는 자신, 노즐, 디퓨저, 분사기, 다른 장비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소독, 살균, 집진, 처리, 먼지제거, 분진제거, 미세먼지제거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등에는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드론 6, 드론 7, 드론 8, 드론 9, 드론 10, 드론 11, 드론 12, 드론 13, 드론 14, 드론 15, 드론 16, 드론 17, 드론 18, 드론 19, 드론 20, 드론 21, 드론 22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드론 1은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모빌리티, 흡입기 구비 드론, 집진기 구비 드론, 청정기 구비 드론 중 하나이다. 상기 드론 2는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3은 노즐, 디퓨저, 분사기 중 하나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4는 자기장 포함의 미스트를 방사하는 미스트기; 이의 거치 분사기, 흡입기, 집진기; 중 하나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5는 미스트(30, 230)을 노즐, 디퓨저, 분사기, 분사수단 중 하나(79)를 통하여 공중에 분사하여 공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드론(65)이다. 상기 드론 6은 연무, 안개, 수분, 포그, 미스트 중 하나를 발생, 조성, 형성, 방사, 조사, 분사, 분무, 분수, 살수, 발사, 배출, 방출, 숏팅 중 하나를 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7은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진동자화기(36),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36), 진동자화오존기(36), 자화진동오존기(36),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36); 중 하나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8은 a) 미스트 또는 미스트에 물이 함유된 미스트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미스트기; b) 또는 회전솔(205), 이 회전솔의 중심축(260), 이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162)가 구비된 회전형 크리너; c) 상기 미스트, 미스트수, 미스트기, 회전솔, 중심축, 크리너 중 하나 이상에 물, 압기, 공기, 기포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수조(100), 호스(78), 펌프(103), 급수라인, 콤프레셔(98); 중 하나 이상이 탑재된 드론(65)이다. 상기 드론 9는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오존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또는 하나에 의한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자기장진동, 자기장진동오존; 중 하나가 방사 또는 분사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0은 미스트(30, 230)을 생성하는 미스트기(202)가 장착되어 건물, 외벽, 유리, 시설 중 하나를 청소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1은 수조(1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미스트기(202)로 미스트를 생성하고, 이의 생성물을 호스(78)를 통하여 분사 또는 주입하여 대상 또는 수질을 정화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2는 a) 터널, 암거, 통로, 지하공간, 방음터널, b) 댐, 하천, 개천, 연못, 저수지, 저류지, 유수지, 정화조, 응집조, 침전조, c) 관로, 배관, 파이프, 수도관, 하수관, 송수관, 송유관, 파이프라인, d) 건물, 외벽, 유리, 창호, 방, 실내, 거실, e) 공기, 대기, 공간, 공중, 도로, 포장, 방음벽 중 하나를 청정 또는 정화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3은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세차기, 세탁기, 흡착기, 포집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살균기, 소독기, 여과기, 물대포, 분사기, 분리기, 파쇄기, 처리기, 미스트기, 환기설비, 청정시설, 환기시설,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4는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오염 감지 센서, 수질 감지 센서, 공기질 감지 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5는 램프, LED램프, 공기질 표시 램프, 오염농도 표시 램프, 먼지농도 표시 램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것이 표시되는 램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드론 16은 먼지 농도, 미세먼지농도, 초미세먼지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온도, 시간, 중금속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VOCs 농도, 일산화탄소인 CO 농도, 이산화탄소인 CO2 농도, 바람세기, 바람속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17은 솔, 회전솔(205), 총채(271), 밀대, 스펀지 밀대, 고무 밀대, 막대에 달린 밀대(271), 먼지털이개; 거치대로 거치된 상기 솔 내지 먼지털이개;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드론 18은 건물의 수도시설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270); 상기 수돗물이 통과되어 미스트수를 공급하는 미스트기(202); 또는 외벽 및 유리의 청소를 위한 총채(271), 밀대, 먼지털이개, 스펀지 밀대, 고무 밀대, 막대에 달린 밀대(271);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9는 정화, 청정,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청소, 집진,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20은 대상, 공중, 공기, 오염, 수질, 상수, 하수, 오수, 폐수, 탁수, 먼지, 분진, 이물질, 터널, 건물, 도로, 포장, 외벽, 관로, 배관, 탱크, 폐기물, 대상물, 방음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정화, 청정,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청소, 집진, 처리 중 하나를 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21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분진, 먼지 중 하나 이상을 집진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다. 상기 드론 22는 미스트 분사에 더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분진, 먼지 등을 집진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다. 본 발명에서 청정은 정화, 청정, 크린, clean, cleaning, 깨끗함, 청정됨, 청정함, 청정기능을 가짐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드론, 비행체, 부유체, 비행수단,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기 중 하나 구비의 청정기; 청정기 구비의 상기 드론 내지 모빌리티기; 등은 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1은 집진 또는 a) 연무 방사; 집진하면서 연무 방사; 연무 방사하면서 집진; 집진하고 연무를 방사하면서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 제거; b) 집진하거나 또는 연무를 방사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램프,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 장착; c) 집진하거나 또는 연무를 방사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램프에서 빛, 진동기에서 진동, 가진기에서 가진, 오존기에서 오존, 음이온기에서 음이온 중 하나 이상 방사; d) 오존기가 장착된 집진기에 의하여 집진하거나 또는 진동기가 장착된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를 방사하고 가진기가 장착된 분사기에 의하여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오존기 구비 램프에서 빛, 음이온기 구비 진동기에서 진동, 램프 구비 가진기에서 가진, 진동기 구비 오존기에서 오존, 가진기 구비 음이온기에서 음이온 중 하나 이상 방사; e) 상기 방사하면서 e1)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e2)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e3)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a) 집진 또는 연무 방사; 집진하면서 연무 방사; 연무 방사하면서 집진; 집진하고 연무를 방사하면서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 제거; b) 집진하거나 또는 연무를 방사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램프,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 장착; c) 집진하거나 또는 연무를 방사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램프에서 빛, 진동기에서 진동, 가진기에서 가진, 오존기에서 오존, 음이온기에서 음이온 중 하나 이상 방사; d) 오존기가 장착된 집진기에 의하여 집진하거나 또는 진동기가 장착된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를 방사하고 가진기가 장착된 분사기에 의하여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면서 오존기 구비 램프에서 빛, 음이온기 구비 진동기에서 진동, 램프 구비 가진기에서 가진, 진동기 구비 오존기에서 오존, 가진기 구비 음이온기에서 음이온 중 하나 이상 방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3은 a) 소독과 살균과 공기정화와 먼지제거; b)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c) 진동하는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자기장을 생성하는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오존을 생성하는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가진하는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d) 진동하는 오존기가 장착된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화기가 장착된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오존을 생성하는 음이온기가 장착된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가진하는 자화기가 장착된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4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a) 소독과 살균과 공기정화와 먼지제거; b)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c) 진동하는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자기장을 생성하는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오존을 생성하는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가진하는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d) 진동하는 오존기가 장착된 자화기에 의한 소독과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화기가 장착된 진동기에 의한 살균과 오존을 생성하는 음이온기가 장착된 가진기에 의한 공기정화와 가진하는 자화기가 장착된 오존기에 의한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5는 a) 소독, 살균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지면서 오존, 음이온,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광촉매,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분사; b)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정화, 청정, 정수, 청소, 먼지제거; c) 또는 소독기와, 살균기와, 자화기가 구비된 가진기가 장착된 오존기, 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d) 상기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6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a) 소독, 살균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으로 오존, 음이온,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광촉매,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분사; b)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정화, 청정, 정수, 청소, 먼지제거; c) 또는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거치된 소독기와, 살균기와, 자화기가 구비된 가진기가 장착된 오존기, 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d) 상기 오존기가 구비되면서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거치된 미스트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 살균, 분사,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7은 차량형, 보트형, 차량형 부유체, 보트형 부유체 중 하나의 드론, 비행체, 비행수단, 모빌리티 등으로서, 1) 연무 방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2) 상기 연무 또는 방출에 의하여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세차, 세탁, 분사, 샤워, 집진, 포집, 흡착, 여과, 폭기, 살균, 소독, 송풍, 환풍, 열풍, 선풍, 환기, 먼지제거, 청정과 소독, 청정과 소독과 살균,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와 집진,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와 포집과 먼지제거; 3)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방출 내지 먼지제거; 4) 또는 상기 방출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면서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8은 차량형, 보트형, 차량형 부유체, 보트형 부유체 중 하나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면서 1) 소독 또는 정화 기능; 연무 방출에 의한 소독 또는 정화 기능;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에 의한 소독 또는 정화 기능;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 방출에 의한 소독 또는 정화 기능;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에 의한 소독 또는 정화 기능; 2)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에 의한 소독 또는 정화 기능; 3)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는 기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9는 차량형, 보트형, 차량형 부유체, 보트형 부유체 중 하나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거나, 또는 이동형, 차량형, 보트형,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차량형 부유체, 보트형 부유체, 이동하는 차량형, 이동하는 보트형, 이동하는 부유체, 이동하는 비행체 중 하나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으로서,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이 1)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세차, 세탁, 분사, 샤워, 집진, 포집, 흡착, 여과, 폭기, 살균, 소독, 송풍, 환풍, 열풍, 선풍, 환기, 먼지제거, 청정과 소독, 청정과 소독과 살균,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와 집진, 청정과 소독과 살균과 청소와 분사와 포집과 먼지제거; 2)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의 진동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3)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의 자기장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4) 자기장을 방사하는 오존기의 오존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5) 진동하는 자화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의 미스트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6)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진동하는 자화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에서 생성되는 오존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7)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8)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면서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0은 1) 광촉매 코팅; 내면 또는 외면이 광촉매 코팅; 분사기에 의하여 광촉매 코팅; 자화기와 오존기가 구비된 분사기에 의하여 광촉매 코팅; 상기 코팅에 더하여 램프 구비; 상기 코팅에 더하여 LED램프 구비;상기 코팅에 더하여 자기장을 방사하는 오존기 장착의 램프 구비; 2) 상기 코팅 또는 구비에 더하여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 장착; 3) 상기 장착하면서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11은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2) 또는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3)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4)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5) 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소독, 살균, 정화, 청정; 6)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상기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2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2) 또는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3)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4)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5) 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하는 것이다.
상기 13은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2) 또는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3)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4)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5) 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6)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상기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4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2) 또는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3)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4)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5) 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중 하나와 먼지 제거;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하는 것이다.
상기 15는 1) 연무 방출; 대상 또는 공기의 소독 또는 살균 용도로 연무 방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상기 연무로 소독, 살균; 상기 방출하여 소독, 살균; 2)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방출 내지 살균; 3)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상기 방출 내지 살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6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연무 방출; 대상 또는 공기의 소독 또는 살균 용도로 연무 방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연무 방출; 자화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생성된 미스트가 함유된 연무 방출; 상기 연무로 소독, 살균; 상기 방출하여 소독, 살균; 2)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방출 내지 살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7은 드론 또는 모빌리티으로 소독제를 분사하여 대상 또는 공기를 소독하는 것으로, 1)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자화수와 오존공기를 생성하는 생성기 구비; 상기 소독제는 연무; 상기 분사는 자화기와 오존기가 장착된 분사기에 의함; 상기 소독 중에 먼지 제거; 2) 또는 상기 분사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포함되는 분사기에 의함;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8은 소독제를 분사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으로서, 1)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 자화기와 오존기가 장착된 분사기 구비; 상기 분사는 진동기가 장착된 상기 분사기에 의함; 상기 소독제는 연무; 상기 소독제에 의한 소독 중에 먼지 제거; 2) 또는 상기 분사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포함되는 분사기에 의함; 중 하나 이상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19는 1)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 2)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과 먼지 제거; 3) 연무와 미스트 또는 미스트수를 분사하여 소독과 먼지 제거; 4) 분사기에 의하여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 먼지 제거; 5)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와 미스트를 분사하여 소독, 먼지 제거; 6) 자화기와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 먼지 제거; 7) 또는 상기 분사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포함되는 분사기에 의하여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 먼지 제거; 8)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상기 소독, 먼지 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0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 제거하거나, 2)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가 장착된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하고, 오존을 방사하는 분사기에 의하여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 제거하거나, 3) 또는 상기 분사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포함되는 분사기에 의하여 연무 및 미스트를 방출하여 소독 및 먼지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21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2)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과 먼지 제거; 3) 연무와 미스트 또는 미스트수를 분사하여 소독과 먼지 제거; 4) 분사기에 의하여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 먼지 제거; 5)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와 미스트를 방출하여 소독, 먼지 제거; 6) 진동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먼지 제거; 7)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먼지 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2는 1) 대상 또는 공기를 소독하고, 상기 대상 또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 2) 상기 소독 중에 상기 제거; 3) 연무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 제거; 4) 연무와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소독, 제거; 5) 연무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을 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제거; 6) 분사기에서 연무를 분사하여 상기 소독, 제거; 7) 진동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에서 생성되는 연무와 미스트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 제거; 8)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먼지 제거; 9) 또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상기 소독, 먼지 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3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하기 장치, 하기 유출구, c) 상기 자화기 내지 유출구 중 하나를 거진 물질, 재료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분사되면서, 1) 소독하고 먼지 제거; 2) 연무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 제거; 3) 연무와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소독, 제거; 4) 연무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을 하고,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제거; 5) 분사기에서 연무를 분사하여 상기 소독, 제거; 6) 진동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에서 생성되는 연무와 미스트를 방출하여 상기 소독, 제거; 7) 자기장을 방출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출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출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연무를 방출하여 소독, 먼지 제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24는 a) 소독제를 분사하고, 살균제를 분사하고, 연무, 안개, 수분, 증기, 포그, 버블, 수증기, 물안개,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하거나, b) 또는 상기 분사에 더하여 빛,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거나, c) 또는 자화기와 진동기가 구비된 분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하고, 진동기와 오존기가 구비된 미스트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출하거나, d)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분사, 방출, 분사와 방출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25는 a) 소독기에 의하여 소독제를 분사하고,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제를 분사하고, 미스트기에 의하여 연무, 안개, 수분, 증기, 포그, 버블, 수증기, 물안개,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하거나, b) 또는 상기 분사에 더하여 자화기에 의하여 빛,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거나, c) 또는 상기 살균기, 소독기, 미스트기, 자화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32), 가진기, 자화기(31), 오존기(34), 진동자화기(36),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36), 진동자화오존기(36), 자화진동오존기(36),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 및 방출하거나, d)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분사, 방출, 분사와 방출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26은 a) 소독기 또는 분사기에 의하여 소독제를 분사하고, 살균기 또는 분사기에 의하여 살균제를 분사하고, 미스트기 또는 분사기에 의하여 연무, 안개, 수분, 증기, 포그, 버블, 수증기, 물안개,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하고, 자화기에 의하여 빛,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고, 상기 살균기, 소독기, 분사기, 미스트기, 자화기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 진동자화오존기, 자화진동오존기,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분사, 방출, 구비에 더하여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을 분사하고,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중 하나에 의한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자기장진동, 자기장진동오존 중 하나를 방출하거나, c) 또는 상기 a)의 분사, 방출, 구비에 더하여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분사, 방출, 분사와 방출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27은 a) 빛을 방출하고, 상기 빛의 방출 중에 자기장을 조사(照射)하고, 상기 자기장의 조사 중에 오존을 분사하고, 상기 오존의 분사 중에 자화, 진동 가진, 연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거나, b) 또는 진동기에 의하여 상기 방출하고, 자화기에 의하여 상기 조사하고, 오존기에 의하여 상기 분사하고, 가진기에 의하여 상기 방사하거나, c)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방출, 조사, 분사, 방사하는 것이다.
상기 28은 a) 자기장의 조사 중에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중 하나 이상을 방사(放射)하고, 상기 진동은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고, 상기 가진은 자기장에 의한 가진이고, 상기 오존은 상호 대면되는 침과 판 사이의 전기방전에 의하여 발생되고, 상기 방사 중에 빛, 연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거나, b) 또는 상기 조사가 자화기, 상기 방사가 진동기, 상기 진동이 자화가진기, 상기 가진이 진동자화기, 상기 발생이 자화진동오존기, 상기 방출이 미스트기에 의하거나, c) 또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오존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진동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가진하는 오존기로 구성되는 복합기, 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와 연무, 자화수, 육각수,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분사기 또는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가 이용되어 상기 방사와 방출을 하는 것이다.
상기 29는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는 오존을 방사하면서 빛, 연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것이고, 상기 미스트기는 미스트를 분사하면서 빛, 오존, 살균물, 소독물, 살균제, 소독제,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것이고, 상기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에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기는 자기장을 조사(照射)하는 진동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가진기와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화기, 오존기, 미스트기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이고, 상기 가진기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 중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가진기이고, 상기 자화기는 상기 복합기에 의하여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자화기인 것이다.
상기 30은 소독, 살균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드론 또는 모빌리티으로서, 상기 드론은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드론 6, 드론 7, 드론 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드론 1은 a) 소독제, 살균제, 소독물, 살균물, 제균제, 항균제, 반응제, 광촉매, 피톤치드; 이중 하나가 포함된 미스트;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거나, b) 또는 소독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c) 또는 소독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소독제 내지 미스트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2는 살균 램프가 구비되면서 미스트를 분사하는 드론이거나, 또는 램프와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기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3은 진동(5), 가진, 오존(7), 자기장(6) 중 하나에 의하여,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중 하나를 방사하면서 소독 또는 살균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4는 빛, 자기장,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소독 또는 살균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5는 빛, 자기장,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면서 미스트를 분사하여 소독 또는 살균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6은 빛을 방출하면서 자기장을 방출하고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여 소독 또는 살균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7은 오존으로 살균 또는 소독 처리하는 오존기가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8은 소독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중 하나이고, 상기 드론, 소독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는 a)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진동자화기(36),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36), 진동자화오존기(36), 자화진동오존기(36),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36);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하기 장치 중 하나를 거친 물질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상기 31은 필터기, 청정기, 집진기, 분사기, 미스트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상기 필터기, 청정기, 집진기, 분사기, 미스트기, 드론, 모빌리티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진동자화기(36),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36), 진동자화오존기(36), 자화진동오존기(36),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36);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b) 또는 하기 장치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하기 장치 중 하나를 거친 물질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32는 필터기, 청정기, 집진기, 분사기, 미스트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거치된 드론이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청정기(40),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에 연계되는 청정기, 상기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에 구비되는 청정기 등은 청정기 1, 청정기 2, 청정기 3, 청정기 4, 청정기 5, 청정기 6, 청정기 7, 청정기 8, 청정기 9, 청정기 10, 청정기 11, 청정기 12, 청정기 13, 청정기 14, 청정기 15, 청정기 16, 청정기 17, 청정기 18, 청정기 19, 청정기 20, 청정기 21, 청정기 22, 청정기 23, 청정기 24 등이 포함 가능하거나, b) 또는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기에는 상기 청정기 1 내지 청정기 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거나, c) 또는 상기 청정기에는 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정기 1은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세차기, 세탁기, 분사기, 분사구, 물대포, 샤워기, 믹싱기, 주입기, 주사기, 인젝터, 집진기, 포집기, 흡착기, 필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살균기, 소독기, 여과기, 분리기, 파쇄기, 선별기, 처리기, 송풍기, 환풍기, 열풍기, 선풍기, 회전팬, 환기팬, 드론, 튜브, 흡착탑, 환기설비, 정화터널, 청정터널, 분사터널, 집진터널, 분사통로, 집진통로, 분사아치, 집진아치, 정화시설, 청정시설, 분사시설, 집진시설, 미스트기, 물분사기, 연무분사기, 미스트분사기, 스프링클러, 환기시설,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2는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기이다. 상기 청정기 3은 펌프 장착 노즐, 펌프 장착 분사기, 충돌판 및 확장콘 장착 노즐,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분사기, 노즐 구비 스프링클러,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상기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이다. 상기 청정기 4는 드론에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5는 조, 통, 함, 봉, 팬, 댐, 하천, 기둥, 드론, 차량, 엔진, 보트, 튜브, 노즐, 호스, 호퍼, 박스, 탱크, 관로, 배관, 펌프, 필터,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건물, 주택, 공장, 굴뚝, 현장, 공중, 수중, 지하, 터널, 도로, 차로, 가로, 연도, 보도, 인도, 교량, 공사장, 지하도, 통행로,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분리대, 포장면, 파이프, 중공체,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연소기, 소각기, 타설기, 분사기, 여과기, 케이스,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는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복합기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에는 상기 조 내지 하우징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청정기 6은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7은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8은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9는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10은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11은 a) 일정 케이스(78, 100, 195)의 일측에 유입구, 호스, 후드, 흡입기 중 하나(174) 이상과; 타측에 유출구와; 내부에 무순 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오존기(191), 램프(90), 히터용 등의 코일(85)과; 내면 또는 외면에 광촉매 코팅과; b) 상기 일측,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팬(93), 회전팬(93), 흡입팬(93), 진공펌프(175), 진공호스(175), 진공펌프호스(175)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팬 내지 진공펌프 중 하나 이상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망(215) 또는 다공판(215)과; d) 상기 팬, 망, 타측, 유출구, 다공판, 진공펌프; 이중 하나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로 수조(100, 176), 집진기(76), 사이클론(83), 사이클론집진기(83), 필터(84), 필터막(84), 여과재(84), 여과통(84), 흡착통(84), 필터여과재(84), 필터카트리지(84) 중 하나 이상; e) 상기 장치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호스(78), 통로(78), 파이프(78), 거치대(91), 바퀴(163), 램프(90), 흡입기(174), 펌프(175), 진공펌프(175); 등이 구비된 청정기(40, 96)이다.
상기 청정기 12는 상기 청정기 11이 추가된 또는 별도의 청정기로서, 진공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 또는 물질이 탱크(100), 수조(176), 집진기(83), 사이클론(83), 필터(84)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정화되는 청정기(40, 96) 등이다. 이는 도 3 참조. 상기 청정기 13은 상기 청정기 11, 12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또는 별도의 청정기로서, 내부 중공의 원통필터(84, 170)와 이의 상부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탄여과재(84), 회전팬(93), 보호망(171)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일체화된 청정기(40, 96) 등이다.
상기 청정기 14는 상기 청정기 11, 12, 13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또는 별도의 청정기로서, c) 살균 램프(90)가 구비되면서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청정하는 청정기(40, 96) 등이다. 상기 청정기 15는 상기 청정기 11, 12, 13, 14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또는 별도의 청정기로서, 상기 미스트 등(30, 230)을 노즐, 디퓨저, 분사기, 분사수단 등(79)을 통하여 공중에 분사하여 공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65) 등이다.
상기 청정기 16은 a) 음압식, 양압식, 풍력식, 유풍식, 무풍식, 음압청정식, 양압청정식, 음압환기식, 양압환기식, 풍력음압식, 풍력양압식, 유풍음압식, 유풍양압식, 무풍음압식, 무풍양압식, 유풍음압청정식, 유풍양압청정식, 무풍음압청정식, 무풍양압청정식, 유풍음압환기식, 유풍양압환기식, 무풍음압환기식, 무풍양압환기식; b) 실내 또는 내부에 (-)압이 작용하는 음압식, 실내 또는 내부에 (+)압이 작용하는 양압식,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사용되는 유풍식, 바람이 사용되지 않는 무풍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음압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는 양압식,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부는 유풍식,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풍력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유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하인 무풍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청정하는 음압청정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청정하는 양압청정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환기하는 음압환기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환기하는 양압환기식,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10 cm/sec 이하의 속도로 넣으면서 환기하는 무풍양압환기식; c) 또는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음압식 내지 무풍양압환기식; 중 하나의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청정기 17은 하기의 A, B, C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A는 필터, 필터통,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카트리지필터, 이중 둘 이상 복합필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B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팬, 환기팬, 배기팬, 압기팬, 송풍팬, 풍력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는 센서, 램프, 표시부, 케이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센서는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오염 감지 센서, 수질 감지 센서, 공기질 감지 센서,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열화상센서, 초분광(hyper spectal)센서, 다중분광(multi spectal)센서, 디지탈카메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등이다. 상기 램프는 램프, 살균램프, LED램프, 공기질 표시 램프, 오염농도 표시 램프, 먼지농도 표시 램프, 필터교체 알림 램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것이 표시되는 램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표시부는 먼지 농도, 미세먼지농도, 초미세먼지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온도, 시간, 중금속농도, VOCs농도, CO농도, CO2농도, 바람세기, 바람속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스'는 a)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팬 내지 풍력팬, 센서 내지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케이스이거나, b) 또는 구멍, 나사 구멍, 걸이용 구멍, 정착용 구멍, 벽걸이용 구멍 중 하나가 형성된 케이스이다.
상기 청정기 18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b) 또는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 진동자화오존기, 자화진동오존기,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된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19는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자기장진동, 진동자기장, 자기장가진, 가진자기장, 자기장오존진동, 진동오존자기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생성 또는 방출하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20은 드론, 모빌리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생성된 물질,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방사 또는 분사하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21은 빛,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살균제, 제균제, 항균제, 소독제, 반응제, 응집제, 광촉매, 미생물, 피톤치드; 상기 미스트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방사 또는 분사하는 청정기이다.
상기 청정기 22는 상기 청정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자화 내지 진동오존자기장, 물질 내지 복합물, 빛 내지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대상을 정화, 청정, 자화, 진동 가진, 폭기, 와류, 이류, 가압, 가속, 교반, 순환, 분산, 확산, 응집, 반응, 살균, 소독, 자극, 쉐이킹, 청정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나노화, 피코화, 펨토화, 연무화, 가습화, 습윤화, 유동화, 액상화, 기포화, 발포화, 팽창화, 경량화, 미스트화, 육각수화, 슬러리화, 오존처리, 자기처리, 마이크로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상기 청정기 23은 상기 청정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자화 내지 진동오존자기장, 물질 내지 복합물, 빛 내지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대상, 공중, 공기, 오염, 수질, 상수, 하수, 오수, 폐수, 탁수, 먼지, 분진, 이물질, 터널, 건물, 도로, 포장, 외벽, 관로, 배관, 탱크, 폐기물, 대상물, 방음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정화, 청정, 세정, 세척, 세탁, 세차, 청소, 집진, 처리,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청정기 24는 자립형, 부착형, 행거형, 실내형, 실외형, 이동형, 차량형, 고정형, 드론형, 모빌리티형, 보트형, 터널형, 주택용, 공장용, 벽체 부착형, 유리에 부착형, 천장에 부착형 중 하나의 청정기이다.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는 a) 드론,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체, 모빌리티, 이동형 드론, 차량형 드론, 보트형 드론, 실내형 드론, 실외형 드론, 터널형 드론 등이거나, b) 또는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물대포는 물대포, 이동형 물대포, 차량형 물대포, 보트형 물대포, 실내형 물대포, 실외형 물대포, 터널형 물대포, 물대포 1, 물대포 2 등이 가능하다. 상기 물대포 1은 a) 프레임(171); 이의 하부에 로라(163); 상부에 손잡이(210), 회전팬(93); 상기 회전팬의 컨트롤러(197); 상기 회전팬의 전 또는 후에 1개 이상 개수의 노즐(79);이 포함되는 물대포(195, 202)이다. 상기 물대포 2는 수조(100), 이의 수조의 전단, 내부, 외부, 후단 등에 구비된 미스트발생기(202), 이의 미스트발생기를 조정하는 컨트롤러(197), 상기 미스트발생기에서 생성된 미스트(230) 또는 상기 수조의 물 등을 가압하는 펌프(103), 상기 미스트(230)를 공중, 대기, 대상, 건물, 외벽, 터널, 도로, 포장 등(121)에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79),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탑재된 차량(106) 또는 바퀴(163) 구비 차량(106), 상기 수조 내지 차량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물대포(40) 등이다.
상기 정화기는 a) 정화기, 공기 정화기, 오염 정화기, 수질 정화기, 오수 정화기, 폐수 정화기, 먼지 정화기, 실내형 정화기, 실외형 정화기, 이동형 정화기, 차량형 정화기, 고정형 정화기, 드론형 정화기, 보트형 정화기, 터널형 정화기, 주택용 정화기, 공장용 정화기 등이거나, b) 또는 유입 호스(78); 이 호스에 연결되는 파이프(111)가 내재된 응집조(110); 상기 파이프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주입기(82); 상기 파이프의 외벽과 상기 응집조의 내벽 사이에 거치된 이물질 거름용의 스크린(112); 상기 응집조의 수면에 거치된 회전형 스컴수집기(107); 상기 수면에 구비된 껄대기형 스컴집수기(76); 상기 스컴집수기에 연결되면서 스컴을 외부로 반출하는 파이프(78); 상기 호스 및 파이프 등에 구비된 자화기(3); 상기 응집조의 하부에 구비된 침전부(113); 이의 침전부에 연결되어 침전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구(114);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된 유출 호스(78); 등으로 구성된 정화기이다. 상기 수질 정화기에는 정화조, 저류조, 집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탈수조, 여과조, 필터조, 살균조, 소독조, 방류조, 급속의 상기 정화조 내지 방류조, 완속의 상기 정화조 내지 방류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화기, 정화조, 반응조 등의 예로는 유입장치, 저류조, pH조정장치, 전기응집장치, 화학응집장치, 오존처리장치, 생물반응장치, 분리막장치, 모래여과장치, 정밀여과장치, 활성탄여과장치, 한외여과장치, 나노여과장치, 슬러지처리장치, 방류조, 유출장치, 하우스, 이동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장치를 통하여 처리대상수인 침출수, 폐수, 오수, 하수, 오염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저류조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저류조에 저류되고,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처리대상수는 pH조정장치에 의하여 pH조정제가 투입되어 처리대상수의 pH가 조정되고, 상기 pH처리된 처리대상수는 전기응집장치의 전기응집탱크에 유입되어 전기응집탱크를 통과하면서 전기응집탱크 내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되는 전기의 전기적인 작용에 의하여 전기응집처리되고, 상기 전기응집처리된 처리대상수는 화학응집장치의 화학응집탱크내로 유입되고 여기에 응집제가 투입되어 화학응집처리되고, 상기 화학응집장치의 화학응집탱크내의 처리대상수에 오존처리장치에 의하여 산소 또는 오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투입되어 처리대상수가 오존처리되고,
상기 화학응집장치의 화학응집탱크에서 화학응집처리 및 오존처리된 처리대상수는 생물반응장치의 반응탱크로 유입된후 처리대상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미생물과 블로어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미생물반응이 진행되어 생물반응처리되고, 상기 생물반응처리된 처리대상수는 생물반응장치의 반응탱크 내에 분리막박스가 설치되고 반응탱크내의 생물반응처리된 처리대상수가 분리막박스의 가두리에 부착된 분리막을 통하여 분리막박스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펌핑기로 펌핑되어 반응탱크 외부로 유출됨으로 분리막처리되고, 상기 분리막처리된 처리대상수는 모래여과장치의 모래여과탱크내로 유입되어 모래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모래여과탱크 내의 모래여과제에 의하여 모래여과처리되고, 상기 모래여과처리된 처리대상수는 정밀여과장치의 정밀여과탱크내로 유입되어 정밀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정밀여과탱크 내의 정밀여과제에 의하여 정밀여과처리되고, 상기 정밀여과처리된 처리대상수는 활성탄여과장치의 활성탄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활성탄여과탱크내로 유입되어 활성탄여과탱크 내의 활성탄여과제에 의하여 활성탄여과처리되고, 상기 활성탄여과처리된 처리대상수는 한외여과장치의 한외여과탱크내로 유입되어 한외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한외여과탱크 내의 한외여과제에 의하여 한외여과처리되고, 상기 한외여과처리된 처리대상수는 나노여과장치의 나노여과탱크내로 유입되어 나노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나노여과탱크 내의 나노여과제에 의하여 나노여과처리되고, 상기 저류조, 전기응집장치, 스키머, 화학응집장치, 생물반응장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탈수, 고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되어 슬러지처리되고, 상기 나노여과처리된 처리완료수는 방류조에 투입되고, 상기 방류조에 투입된 처리완료수는 유출장치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유입장치는 유입호스 및 밸브1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호스는 처리대상수를 유입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1은 처리대상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저류조는 저류탱크 및 펌프1로 구성되고, 상기 저류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는 처리대상수를 저류하는 것이고, 이의 바닥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슬러지는 슬러지처리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펌프1은 처리대상수를 펌핑하여 저류탱크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고, 상기 pH조정장치는 pH조정제, pH조정제저장고, 밸브2로 구성되고,
상기 pH조정제는 산성약품 또는 염기성약품이고, 이는 저류조에 투입되고, 상기 산성약품은 황산, 염산, 질산, 기타산성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황산, 염산, 질산, 기타산성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황산, 염산, 질산, 기타산성물, 황산과 염산, 황산과 질산, 황산과 기타산성물, 염산과 질산, 염산과 기타산성물, 질산과 기타산성물, 황산과 염산과 질산, 황산과 염산과 기타산성물, 염산과 질산과 기타산성물, 황산과 염산과 질산과 기타산성물 중의 하나이고, 상기 기타산성물은 황산, 염산, 질산을 제외한 기타의 산성약품이고, 상기 염기성약품은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기타염기성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기타염기성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기타염기성물, 수산화칼슘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과 기타염기성물, 수산화나트륨과 기타염기성물, 수산화칼슘과 수산화나트륨과 기타염기성물 중의 하나이고, 상기 기타염기성물은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을 제외한 기타의 염기성약품이고, 상기 pH조정제저장고는 pH조정제를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2는 pH조정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전기응집장치는 전기응집탱크, 양극판, 음극판, 전원공급기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응집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에는 처리대상수, 양극판, 음극판이 담겨지고, 상기 전기응집탱크의 바닥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슬러지는 슬러지처리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도성을 가진 일정한 크기를 가진 판이고, 이는 전기응집탱크 내부에 쌍을 이루어 한쌍 이상 다수개가 설치되고, 이에는 전원공급기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의 직류전기가 공급되고, 상기 전원공급기는 양극판 및 음극판에 양극 및 음극의 직류전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화학응집장치는 응집제, 화학응집탱크, 스키머, 흡착판, 밸브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폴리머, 기타응집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폴리머, 기타응집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폴리머, 기타응집제,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제2철, 황산알루미늄과 폴리머, 황산알루미늄과 기타응집제,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 황산제1철과 폴리머, 황산제1철과 기타 집제, 염화제2철과 폴리머, 염화제2철과 기타응집제, 폴리머와 기타응집제,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염
화제2철,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폴리머,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기타응집제,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폴리머,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폴리머,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기타응집제, 염화제2철과 폴리머과 기타응집제,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폴리머,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기타응집제,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폴리머와 기타응집제, 황산알루미늄과 황산제1철과 염화제2철과 폴리머와 기타응집제 중의 하나이고, 상기 기타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폴리머를 제외한 기타의 응집제이고,
상기 화학응집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는 처리대상수가 담겨지고, 스키머 및 흡착판이 부착되고, 응집제가 투입되는 탱크이고, 이에는 블로어1에 의하여 산소 또는 오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공급되고, 상기 화학응집탱크의 바닥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슬러지는 슬러지처리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스키머는 처리대상수에서 오일, 스컴, 이물질, 부유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오일, 스컴, 이물질, 부유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오일, 스컴, 이물질, 부유물, 오일과 스컴, 오일과 이물질, 오일과 부유물, 스컴과 이물질, 스컴과 부유물, 이물질과 부유물, 오일과 스컴과 이물질, 오일과 스컴과 부유물, 스컴과 이물질과 부유물, 오일과 스컴과 이물질과 부유물 중의 하나이고, 상기 흡착판은 처리대상수에서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3은 응집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오존처리장치는 산소발생기, 오존발생기, 블로어1로 구성되고, 상기 산소발생기는 대기 중으로부터 산소를 집적하는 장치이고, 이는 산소가 압축된 산소통으로도 대체가 가능하고, 상기 오존발생기는 산소발생기 또는 산소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블로어1은 산소 또는 오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화학응집장치에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산소 또는 오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산소, 오존, 산소와 오존 중의 하나이고, 상기 생물반응장치는 반응탱크 및 블로어2로 구성되고, 상기 반응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는 처리대상수 및 분리막장치가 담겨진 탱크이고, 이에는 블로어2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반응탱크의 내부에서는 미생물반응이 진행되고, 상기 미생물반응은 처리대상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미생물과 블로어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진행되고, 상기 반응탱크의 바닥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경우 슬러지는 슬러지처리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블로어2는 공기를 생물반응장치에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막장치는 상기 반응탱크 내에 설치되고, 이는 분리막박스 및 펌핑기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막박스는 분리막이 부착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박스이고, 상기 분리막박스의 일정한 크기는 상기 반응탱크의 일정한 크기보다는 작고, 상기 분리막은 멤브레인으로서 처리대상수를 물과 기타로 분리하는 막이고, 상기 반응탱크 내 처리대상수는 분리막을 통하여 물만 분리막박스 내로 유입되고, 상기 펌핑기는 분리막박스 내에 설치되어 분리막 내에 모여진 물을 펌핑하는 것이고, 상기 모래여과장치는 모래여과탱크 및 모래여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모래여과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에는 모래여과제가 투입되고, 상기 모래여과제는 모래로 된 여과제이고, 상기 모래는 자갈의 단일물 또는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로 대체가 가능하고, 상기 혼합물의 혼합율은 모래와 자갈이 각각 중량비로 1~99%의 범위이고, 혼합율의 총계는 100%이고, 상기 정밀여과장치는 정밀여과탱크 및 정밀여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정밀여과탱크는 정밀여과제가 투입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상기 정밀여과제는 0025~20 마이크로미터 범위를 가지는 마이크로 크기의 여과기능을 가진 여과제이고, 상기 활성탄여과장치는 활성탄여과탱크 및 활성탄여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탄여과탱크는 활성탄여과제가 투입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상기 활성탄여과제는 활성탄으로 된 여과제이고, 이는 나노탄소튜브로도 대체가 가능하고, 상기 한외여과장치는 한외여과탱크 및 한외여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한외여과탱크는 한외여과제가 투입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상기 한외여과제는 0001~001 마이크로미터 범위를 가지는 울트라 크기의 여과기능을 가진 여과제이고, 상기 나노여과장치는 나노여과탱크 및 나노여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나노여과탱크는 나노여과제가 투입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상기 나노여과제는 00001~0005 마이크로미터 범위를 가지는 나노 크기의 여과기능을 가진 여과제이고, 상기 정밀여과제, 한외여과제, 나노여과제의 투입은 카트리지 형태로 투입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여과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가 되는 것이고, 상기 슬러지처리장치는 슬러지집수기, 슬러지탈수기, 슬러지고화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집수기는 슬러지가 이송되어 집수되는 곳이고, 상기 슬러지탈수기는 슬러지를 탈수하는 것이고, 이는 원심탈수, 압축프레스탈수, 전기삼투탈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하고, 상기 슬러지고화기는 슬러지를 고화하는 것이고, 이는 슬러지에 시멘트, 석회, 석고, 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시멘트, 석회, 석고, 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시멘트, 석회, 석고, 첨가제, 시멘트와 석회, 시멘트와 석고, 시멘트와 첨가제, 석회와 석고, 석회와 첨가제, 석고와 첨가제, 시멘트와 석회와 석고, 시멘트와 석회와 첨가제, 석회와 석고와 첨가제, 시멘트와 석회와 석고와 첨가제 중의 하나이고, 상기 첨가제는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물유리,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방류조는 방류탱크 및 펌프2로 구성되고, 상기 방류탱크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탱크이고, 이는 처리완료수를 저류하는 것이고, 상기 펌프2는 방류탱크에 저류된 처리완료수를 외부로 펌핑하는 것이고, 상기 유출장치는 유출호스 및 밸브4로 구성되고, 상기 유출호스는 처리완료수를 유출하는 호스이고, 상기 밸브4는 처리수의 유출량을 조절하고, 상기 하우스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격납고이고, 이에는 유입장치, 저류조, pH조정장치, 전기응집장치, 화학응집장치, 오존처리장치, 생물반응장치, 분리막장치, 모래여과장치, 정밀여과장치, 활성탄여과장치, 한외여과장치, 나노여과장치, 슬러지처리장치, 방류조, 유출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격납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이동바퀴, 이동궤도, 이동받침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는 하우스 저면에 설치되어 하우스를 이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이동바퀴, 이동궤도, 이동받침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이동바퀴, 이동궤도, 이동받침대, 이동바퀴와 이동궤도, 이동바퀴와 이동받침대, 이동궤도와 이동받침대, 이동바퀴와 이동궤도와 이동받침대 중의 하나이고, 상기 이동바퀴는 원회전하는 바퀴이고, 상기 이동궤도는 타원회전하는 궤도이고, 상기 이동받침대는 리프트기계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우스 저면에 설치된 일정 공간을 가진 받침대이다.
상기 집진기는 a) 집진기, 먼지 집진기, 분진 집진기, 미세먼지 집진기, 실내형 집진기, 실외형 집진기, 이동형 집진기, 차량형 집진기, 고정형 집진기, 드론형 집진기, 터널형 집진기, 주택용 집진기, 공장용 집진기 등이거나, b) 또는 b1) 프레임(171), 또는 카트, 로라, 이동수단 등(163)에 구비된 프레임(171); b2) 이의 프레임에 장착된 것으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174); 또는 회전솔(205)이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174); b3) 상기 회전솔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흙, 균, 토사, 모래, 철편, 오염, 슬러지, 슬러리, 슬라임, 이물질, 잡동사니 중 하나 이상이 침적되는 버켓(203); b4) 상기 흡입기 후방 통로 또는 상기 버켓의 침적물에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기(202); b5) 상기 흡입기 또는 이의 통로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연계된 회전팬(93), 모터(162) 구비 회전팬(93), 미스트기(202), 히터(85), 탱크 또는 수조(100, 176), 집진기(83), 사이클론(83), 필터(84); b6) 상기 프레임(171)에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분사기(79), 램프(90), 오존기(191), 음이온기(201); g) 상기 장치, 프레임 내지 음이온기 등에 거치된 호스(78), 통로(78), 파이프(78), 거치대(91), 바퀴(163), 램프(90), 흡입기(174), 펌프(175), 진공펌프(175), 흡입기에 연계된 진공펌프(175) 등이 구비된 집진기(40, 96)이다. 상기 히터(95)는 상기 통로, 버켓, 필터 후단, 기타 등에 구비되어 유입, 유출, 통과 등이 되는 공기, 물질 등을 가열, 히팅, 살균, 소독 등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90), 오존기(191), 음이온기(201) 등도 공기, 대기, 공중, 물질 등을 가열, 히팅, 살균, 소독 등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청소기는 청소기, 실내형 청소기, 실외형 청소기, 이동형 청소기, 차량형 청소기, 고정형 청소기, 드론형 청소기, 보트형 청소기, 터널형 청소기, 주택용 청소기, 공장용 청소기; 청소기 1, 청소기 2, 청소기 3, 청소기 4, 청소기 5, 청소기 6, 청소기 7 등이 가능하다. 상기 청소기 1은 미스트 또는 이에 물이 함유된 미스트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미스트기이다. 상기 청소기 2는 회전솔(205), 이의 회전솔 중심축(260) 또는 내부중공 외피다공형(262) 중심축(260), 이의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162)가 구비된 회전형 크리너이다. 상기 청소기 3은 상기 미스트, 미스트수, 미스트기, 회전솔, 중심축, 내부중공, 크리너 중 하나 이상에 물, 압기, 공기, 기포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수조(100), 호스(78), 펌프(103), 급수라인, 콤프레셔(98)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청소기이다. 상기 청소기 4는 상기 미스트기, 회전솔, 중심축, 모터, 크리너, 수조 내지 콤프레셔 중 하나 이상을 거치하는 거치대, 지지대(91) 중 하나가 구비된 청소기이다. 상기 청소기 5는 상기 미스트기 내지 콤프레셔(즉, 미스트기, 회전솔, 중심축, 모터, 크리너, 수조 내지 콤프레셔), 거치대 중 하나 이상이 탑재된 틀(171), 카트(163), 트럭, 차량(163), 기구, 드론(65), 모빌리티, 멜빵, 지게, 플랫폼(171), 이동틀, 이동수단(163), 비행수단 중 하나이다. 상기 청소기 6은 상기 미스트기 내지 거치대(즉, 상기 미스트기 내지 콤프레셔, 거치대), 틀 내지 비행수단(즉, 틀, 카트, 트럭, 차량, 기구, 드론, 모빌리티, 멜빵, 지게, 플랫폼, 이동틀, 이동수단, 비행수단) 중 하나 이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후드 또는 흡입구(174), 흡입라인(78),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175), 집진기 또는 수조(100) 또는 사이클론(83), 필터 또는 필터카트리지(84), 히터(85) 중 둘 이상이다. 상기 청소기 7은 상기 미스트기 내지 거치대, 틀 내지 비행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후드 또는 흡입구(174), 흡입라인(78),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175), 집진기 또는 수조(100) 또는 사이클론(83), 필터 또는 필터카트리지(84), 히터(8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청소기 8은 상기 미스트기 내지 비행수단(즉, 상기 미스트기 내지 거치대, 틀 내지 비행수단), 후드 내지 필터카트리지(즉, 후드 또는 흡입구, 흡입라인, 흡입기 또는 진공펌프, 집진기 또는 수조 또는 사이클론, 필터 또는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청소기(40, 96) 등이다.
상기 송풍기는 a) 송풍기, 실내형 송풍기, 실외형 송풍기, 이동형 송풍기, 차량형 송풍기, 고정형 송풍기, 드론형 송풍기, 터널형 송풍기 등이거나, b) 또는 b1) 몸체(100, 195), 유공 몸체, 하부 유공 및 상부 비유공 몸체, 상부 단면이 콘(76) 형상으로 좁아지는 몸체(100, 195); b2) 이의 몸체 중 하나 내부에 거치된 모터; b3) 회전 날개 또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b4) 상기 날개의 회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21)이 유입 또는 통과되는 링노즐(220), 환노즐(220), 링형상의 노즐,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 또는 슬롯(222)이 형성된 속빈 링노즐(220), 내측(223)이 곡면 또는 둥근 또는 경사진 속빈 링노즐,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내측(223)이 곡면이고 외측(224)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222)이 형성되고 내측이 곡면(223)이고 외측이 평평한(224) 속빈 링노즐, 상기 틈 또는 슬롯(222)으로 상기 바람(221)이 배출되는 상기 노즐(220); b5) 상기 배출된 바람(221)이 빠르게 흐르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223); 또는 느리게 흐르는 상기 외측, 평평면(224); b6) 상기 빠름 및 느림에 의하여 상기 외측, 평평면 중 하나(224)보다 기압이 낮은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223); b7) 상기 빠름, 기압 낮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223); b8) 상기 유입된 공기(225)가 상기 바람(221)과 같이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중 하나(223)를 통하여 흐르는 또는 송풍(226)되는 링(220); b9) 상기 틈 또는 슬롯(222)이 개방된 또는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링에서 외부 또는 먼거리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송풍 공기(226); b10) 상기 송풍 공기(226)가 송풍되는 상기 링(220);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송풍기이다.
상기 필터기는 필터기 1, 필터기 2 등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기 1은 필터, 사이클론 전처리 필터, 필터 후에 여과재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와 필터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중 하나가 구비된 필터기 등이다. 상기 필터기 2는 상기 필터 중 하나가 삽입된 필터기, 필터통,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다. 8) 상기 정수기에는 정수기, 필터정수기, 이온정수기, 알카리정수기, 전기분해정수기, 전해조(71) 구비 정수기(88), 유입 호스(78)와 필터(84)와 냉온기(85, 86)와 취수 꼭지(75)로 구성된 정수기(88), 산성수(170)는 배출되고 알카리수(171)는 필터(84)와 냉온기(85, 86)와 취수 꼭지(75)를 통하여 취수되는 정수기(88), 생수통의 물을 냉온 배출하는 냉온정수기(88, 89), 실내형 정수기, 실외형 정수기, 이동형 정수기, 차량형 정수기, 고정형 정수기, 드론형 정수기, 보트형 정수기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냉온기(85, 86)는 히터(85), 쿨러(86) 등으로 구성되어 통과수를 히팅, 쿨링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상기 미스트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는 a) 후드, 덕트, 굴뚝, 환풍기, 선풍기, 송풍기, 배풍기, 급기구(255), 배기구(256), 환기구, 환기통, 급배기구, 환기라인, 환기시설, 환기설비, 급기라인(255), 배기라인(256), 급배기라인(255, 256), 자연환기설비, 강제환기설비, 기계환기설비, 바닥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구,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1.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설비(252, 253), 건물에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급기구(給氣口, 254)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기(排氣機, 252)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給氣機, 251)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구(排氣口, 253)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251)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부압의 배기기(252)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b) 팬(93) 또는 펌프(103)가 구비된 상기 후드 내지 환기설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정화터널은 흡입기가 구비된 문, 게이트, 터널, 통로, 아치, 탱크, 박스 등이 가능하다. 이는 차량, 대상, 사람 등(121)이 통과되면 공기, 압기, 미스트 등을 분사(79)하여 먼지, 분진 등을 탈착시키고, 진공기 또는 흡입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174)하고, 이의 흡입물을 팬(93)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등(100)으로 침전, 집진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처리기는 처리기 1, 처리기 2, 처리기 3, 처리기 4, 처리기 5, 처리기 6 등이 가능하다. 상기 처리기 1은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정, 세척, 세차, 세탁, 분사, 샤워, 믹싱, 주입, 주사, 집진, 포집, 흡착, 여과, 폭기, 송풍, 환풍, 열풍, 선풍, 흡착, 환기, 분리, 선별, 분쇄, 파쇄, 처리, 처분, 먼지제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처리기 2는 수, 물, 토양, 토사, 오염, 공기, 가스, 하수, 상수, 오수, 탁수, 폐수, 오염수, 폐기물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처리기 3은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기 4는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기이다. 상기 처리기 5는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중 둘 이상이 구비된 처리기이다. 상기 처리기 6은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40)에는 a) 음압식(280), 양압식(281), 풍력식, 유풍식, 무풍식, 음압청정식(280), 양압청정식(281), 음압환기식(280), 양압환기식(280), 풍력음압식, 풍력양압식, 유풍음압식, 유풍양압식, 무풍음압식, 무풍양압식, 유풍음압청정식, 유풍양압청정식, 무풍음압청정식, 무풍양압청정식, 유풍음압환기식, 유풍양압환기식, 무풍음압환기식, 무풍양압환기식; b) 실내 또는 내부에 부압 또는 (-)압이 작용하는 음압식(280), 실내 또는 내부에 접압 또는 (+)압이 작용하는 양압식(281),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사용되는 유풍식, 바람이 사용되지 않는 무풍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음압식(280), 팬이나 펌프 등으로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는 양압식(281),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부는 유풍식,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풍력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유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하인 무풍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청정하는 음압청정식(280),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청정하는 양압청정식(281),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환기하는 음압환기식(280),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환기하는 양압환기식(281),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10 cm/sec 이하의 속도로 넣으면서 환기하는 무풍양압환기식(281); c) 또는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음압식 내지 무풍양압환기식; 중 하나의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40)에는 a) 하기의 A, B, C 등이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포함되거나, b) 또는 하기의 A, B, C 등이 벽(298), 문, 창(299), 창호, 창문, 유리(299), 천장, 천정, 실내, 실외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는 필터(290), 필터통,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카트리지필터, 이중 둘 이상 복합필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290)이다. 상기 B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팬(291), 환기팬, 배기팬, 압기팬, 송풍팬, 풍력팬 중에서 선택된 하나(291)이다. 상기 C는 센서, 램프, 알람, 표시부, 케이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센서는 센서(292), 먼지 감지 센서, 오염 감지 센서, 수질 감지 센서, 공기질 감지 센서,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초분광(hyper spectal)센서, 다중분광(multi spectal)센서, 디지탈카메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램프는 램프(293), 살균램프, LED램프, 공기질 표시 램프, 오염농도 표시 램프, 먼지농도 표시 램프, 필터교체 알림 램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것이 표시되는 램프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알람은 필터교체를 알리는 알람(294)이다. 상기 표시부는 먼지 농도, 미세먼지농도, 초미세먼지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온도, 시간, 중금속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VOCs 농도, 일산화탄소인 CO 농도, 이산화탄소인 CO2 농도, 바람세기, 바람속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95),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스는 a) 상기 필터 내지 복합필터, 팬 내지 풍력팬, 센서 내지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케이스(296)이거나, b) 또는 구멍(297), 나사 구멍, 걸이용 구멍, 정착용 구멍, 벽걸이용 구멍 중 하나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296)이다.
상기 미스트는 연무, 안개, 수분, 증기, 포그, 버블, 수증기, 물안개, mist, 미스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등에 의하여 일정의 또는 상기의 물질 등은 정화, 청정, 자화, 진동 가진, 폭기, 와류, 이류, 가압, 가속, 교반, 순환, 분산, 확산, 응집, 반응, 살균, 소독, 자극, 쉐이킹, 청정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나노화, 피코화, 펨토화, 연무화, 가습화, 습윤화, 유동화, 액상화, 기포화, 발포화, 팽창화, 경량화, 미스트화, 육각수화, 슬러리화, 오존처리, 자기처리, 마이크로화, 에너지증가, 먼지제거 등이 된다. 그리고 살균성의 빛에 의한 청정, 오존에 의한 정화, 가진에 의한 진동, 진동에 의한 가진, 진동에 의한 폭기, 가진에 의한 와류, 자기장에 의한 이류, 진동에 의한 가압, 가진에 의한 가속, 진동에 의한 교반, 진동에 의한 순환, 자기장에 의한 분산, 자기장에 의한 확산, 오존에 의한 살균, 오존에 의한 소독, 진동에 의한 자극, 가진에 의한 쉐이킹, 오존에 의한 청정화, 가진에 의한 미립화, 자기장에 의한 세립화, 진동에 의한 미분화, 진동에 의한 세분화, 진동에 의한 나노화, 가진에 의한 피코화, 이온에 의한 펨토화, 자기장에 의한 연무화, 진동에 의한 가습화, 가진에 의한 습윤화, 진동에 의한 유동화, 자기장에 의한 액상화, 진동에 의한 경량화, 자기장에 의한 미스트화, 자기장에 의한 육각수화, 오존에 의한 오존처리, 자기장에 의한 자기처리, 진동에 의한 에너지증가 등이 된다.
본 발명의 미스트기는 a) 연무, 안개, 수분, 포그, 미스트, 상기 미스트 내지 복합물, 상기 미스트 내지 복합미스트 등을 발생, 조성, 형성, 방사, 조사, 분사, 분무, 분수, 살수, 발사, 배출, 방출, 숏팅 등을 하는 기(器, 機), 팬,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치, 장비, 노즐, 드론, 모빌리티, 박스, 탱크, 수조, 튜브, 파이프, 저류조, 가습기, 선풍기, 송풍기, 환풍기, 디퓨저, 분사기, 분사수단, 스프링클러, 상기 미스트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미스트기는 a) 미스트기, 빛미스트기, 램프미스트기, 자화미스트기, 빛자화미스트기, 램프자화미스트기; b) 또는 가진기, 자화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 등이 거치된 미스트기, 상기 미스트기, 가진자기장의 상기 미스트기, 자기장가진의 상기 미스트기; c) 상기 미스트기, 노즐 내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가진기, 자화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 d) 상기 미스트기 내지 스크레이퍼, 기 내지 자화가진기;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정화기 내지 환기시설 등에는 미스트 분사 청정기, 미스트수 이용 정화기, 미스트공기 분사 집진기, 미스트 이용 세척기, 미스트 배출 정수기, 미스트 적용 처리기, 미스트수 분사기, 미스트공기 타설기, 미스트 이용 습식 선별기, 미스트 분무 흡착탑, 미스트 살수 환기설비, 미스트 이용 청정수단, 미스트공기를 분사하는 청정장치, 미스트가 코팅된 청정자재, 미스트 생성 청정시설 등도 해당된다. 상기 필터에는 필터,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진동자화기(36), 자화진동기, 가진자화기, 자화가진기(36), 진동자화오존기(36), 자화진동오존기(36), 가진자화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36) 등은 a)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b) 1개 이상의 복수 진동기, 1개 이상의 복수 자화기, 1개 이상의 복수 오존기, 1개 이상의 진동기와 1개 이상의 자화기와 1개 이상의 오존기의 복합기; c)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d)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e) 진동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f) 오존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g)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가진기; h) 전원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가 구비된 모터(26)에 구비된 회전체(24) 또는 비대칭 회전체(2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가진기; i)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케이스(7), 회전체 케이스(7), 비대칭 회전체 케이스(7) 등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가진기, 상기 케이스; j) 상기 전원부(20), 컨버터(21), 인버터(22), 검출부(23), 스위칭부(24), 제어부(25), 모터(26), 회전축(23), 회전체(24), 케이스(7) 등이 구비되는 또는 삽입되는 진동기, 가진기, 케이스; k) 일정의 오존기(34)가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ℓ)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중 하나가 구비된 오존기; m) 상기 자화기 내지 오존기 등이 구비, 거치, 설치, 내재, 삽입, 부착, 장착 등이 된 콘, 노즐, 튜브, 박스, 탱크, 파이프(29); n) 상기 콘, 노즐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튜브, 박스, 탱크, 파이프(29); o) 상기 자화기 내지 파이프 등이 구비된 장치, 장비, 기구, 시설, 자재, 재료, 제품, 물체, 드론, 모빌리티, 설비,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믹싱기,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포장기, 다짐기, 정화기, 청정기, 공사기, 처리기, 자화기, 오존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가진오존기; 등(30)도 해당 또는 포함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가진오존기 등에서는 진동(42), 가진(43), 오존(44), 자기장(41), 자기장진동(46), 진동자기장, 자기장가진, 가진자기장(46), 자기장오존진동, 진동오존자기장 등이 조성, 형성, 방사, 조사, 발생, 방출 등이 된다.
그리고 자화기(31)는 자화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오존기; 자기장 또는 자기장진동 등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방사, 조사, 분사, 배출, 방출, 공급, 제공, 작업, 업무, 조작, 가동, 이용 등을 하는 기,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진동기(32)는 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오존기; 진동 또는 가진 등을 상기 발생 내지 이용 등을 하는 기,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자화, 자기장은 상호 다르거나, 또는 상호 동일하게 사용, 적용, 기재, 교환, 교체, 대체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오존기(34)는 오존기, 진동오존기, 자화오존기, 자화진동오존기, 전기방전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오존으로 살균 또는 소독 처리하는 오존기, 전기방전에 의하여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판, 솔, 회전체 등은 철, 금속 등의 재질을 가진다. 상기 원통관, 코일, 판, 침, 솔 등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방전에 의하여 오존 등이 발생된다. 상기 침, 솔 등은 침, 칩, 솔, 봉, 핀, 대, 바늘, 막대, 뾰족침, 바늘침, 1개 이상 침, 다발침, 침다발, 뭉치침, 침뭉치, 1개 이상 솔, 다발솔, 솔다발, 뭉치솔, 솔뭉치, 브러시, brush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정화기, 청정기, 청정장치, 청정시설 등은 정화기, 청정기, 집진기, 세척기, 세정기, 정수기, 처리기, 분사기, 타설기, 선별기, 흡착탑, 환기설비, 청정장치, 청정시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는 청정기, 균청정기, 공기청정기, 먼지청정기, 오염청정기, 수질청정기, 폐수청정기, 현장청정기, 폐기물청정기, 지하공간청정기, 새집증후군청정기, 상기 대상 청정기,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등을 하는 청정기, 상기 균 내지 지하파이프라인 등을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등을 하는 청정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정기, 처리기, 청정수단 등은 정화기, 청정기, 집진기, 세척기, 세정기, 정수기, 처리기, 분사기, 타설기, 선별기, 흡착탑, 환기설비, 청정수단, 청정장치, 청정시설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의 장치, 장비, 시설, 수단, 미스트기, 타이머(timer), 회전체, 회전축, 오존기(ozonizer), 스테이터(stator), 콤프레서(compressor), 컨트롤러(controller), 솔레노이드밸브,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전선(25), 전원, 전기, 전압, 전류, AC(교류), DC(직류), 케이블(25), 잭, 전원잭(27), 플러그(27), 콘센트(28), 배터리, 충전기, 충전지, 배전반, 분전반, 변압기, 전원공급기(28), 고전압발생기, power supplier, 조정기(26), 운전기, 리모콘(26),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버튼, 스위치, on/off버튼, on/off스위치(26) 등의 이용, 구비, 거치, 공급, 인가, 제공, 연결, 연계, 장착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부는 a) 전원부, 전원공급부, 전원공급기, power supplier; b) b1) 전원, AC, DC 등을 제공하는, b2) 상기 미스트기, 램프, 컨버터, 인버터, 검출부, 스위칭부, 제어부, 모터, 솔레노이브밸브, 타이머, 히터, 쿨러, 냉온기, 미스트기 내지 스크레이퍼, 기 내지 자화가진기 등에 전원, AC, DC 등을 제공하는 등의 전원부, 전원공급부, 전원공급기, power suppli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원, AC, DC 등에서 a) 전원은 전원, 전류, 전압, AC, DC, 교류전류, 직류전류, current, voltage, electric powder; b) AC는 AC, 교류, 교류전류, alternating current; c) DC는 DC, 직류, 직류전류, direct current;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여 생성되는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의 가진 또는 10∼150dB 가진은 a)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여 생성되는 상기 모터 의 가진 또는 10∼150dB 가진, b)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여 생성되는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의 가진 또는 10∼150dB 가진 등이 해당된다.
이하 그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 또는 이하 또는 이상에 설명된 내용, 용어, 단어, 숙어, 문장 등은 본 발명의 내용, 범위, 청구항, 실시예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이하 또는 이상에 서술되는 도, 그림, 내용, 문장, 용어, 단어, 이름, 숙어, 물체, 물건, 물질, 장비, 장치, 시설, 수단, 부품, 재료, 자재, 일, 작업, 업무, 공사 등에는 a) 기(器 or 機), 드론(65), 모빌리티(65), 로봇(541), 사람(541), 센서(610), 측정기(610), 촬영기(610), 카메라(610), CCTV(610), 원격조정기(539), 운전대(540)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1, 542) 또는 로봇(541, 542); b)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자화 내지 복합처리(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수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c) 상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80), 상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물질(80); d)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의 이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첨가, 가미, 추가, 연결, 연계, 분사, 코팅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 모빌리티, UAM 등(65)을 보여준다. 여기서 드론(drone), 모빌리티(mobility), UAM(urban air mobility) 등(65)은 본체부(530), 추진부(533), 랜딩부(536), 원격조정기(539), 운전대(540), 객실(543), 여객실(543), 승객실(543)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530)는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과 지지대(532), 추진부(533)는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 랜딩부(536)는 다리(537)와 바퀴(53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UAM, 본체부, 몸체 등에는 운전대(540), 운전실(543), 탑승대, 탑승실, 객실(543), 여객실, 승객실,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사람객실, 여객실, 승객실, 로봇(541), 센서(610), 측정기(610), 카메라(610), CCTV(610),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본체부 내지 승객실, 운전대 내지 택배물보관함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의 이용 또는 구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운전대, 조정기, 원격조정기 등은 사람, 로봇, 프로그램, 원격조정 등에 의하여 운전 또는 조정된다. 상기 운전실 내지 카페 등에는 사람, 로봇, 손님, 탑승객, 이동객 등의 출입, 인입, 인출, 승차, 착석, 하차, 이용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의 운전, 이동, 비행 등은 사람(541), 로봇(541), 라이더, 운전대(540), 원격조정기(539), 자동운전, 수동운전, 원격운전 등으로 가능하다. 여기서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은 자가, 기사, 기장, 로봇, 운전자, 라이더, 자동시스템, 원격운전 등에 의하여 운전, 이동, 비행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드론, 모빌리티, UAM 등은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승차, 하차, 승하차, 승객이송, 사람이송,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택시, 버스, 트럭, 콜택시, 항공택시, 도심택시, 도심공항택시, 도심항공택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단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UAM 등(65)의 사례로는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등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543),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540);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 센서(610), 측정기(610), 카메라(610), CCTV(610),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543),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543),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543); f) 상기 운전대(540)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1), 로봇(54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드론, 모빌리티, UAM, 모빌리티기 등은 a) 드론(drone), 차(車, car), 차량, 택시(taxi), 콜택시(call taxi), 버스(bus), 트럭(truck), 배(ship), 보트(boat), 선박, 보드(board), 킥보드(kick board), 전동보드, 전동킥보드, 퀵보드(quick board), 카트(cart), 전동카트, 스크터(scooter), 전동스크터, 자전거, 전기자전거, 바이크, 전동바이크, 오토바이, 전기오토바이, 드론카(drone car), 드론택시, 택시드론, 드론버스, 드론트럭,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비행선, 우주선, 위성, 인공위성, 지구위성, 항공기, 항공택시, 항공버스, 비행택시, 비행버스, 에어택시, 에어버스, 이륙착륙을 하는 이착륙기,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수직이착륙기, 전기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전기수직이착륙기, 날라다니는 차인 플라잉카, 플라잉택시, 플라잉버스, 플라잉트럭, 하늘을 나는 차(car), 하늘을 나는 택시, 하늘을 나는 버스, 하늘을 나는 수단, 무인비행기, 유인비행기, 촬영을 하는 촬영드론, GPR 구비의 GPR드론, GPS 구비의 GPS드론, 레이더 탑재의 레이더드론, 무인항공기인 UAV(unmanned aerial vehicle, uncrewed aerial vehicle), 도심항공교통인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 무인모빌리티, 유인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항공모빌리티, 에어모빌리티, 전기로 비행하는 전기모빌리티, 택시 용도의 택시모빌리티, 배달을 하는 배달모빌리티, 공격하는 공격모빌리티, 수비하는 수비모빌리티, 배터리가 이용되는 배터리모빌리티, 도심항공모빌리티, 무인비행모빌리티, 유인비행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 UAM기(urban air mobility plane), 항공모빌리티기, 에어모빌리티기, 이동하는 모빌리티, 활공하는 모빌리티, 비행하는 모빌리티기, 하늘을 나는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器 또는 機), 모빌리티 구비의 기기인 모빌리티기기, 모빌리티 이용 기계인 모빌리티기계,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수단인 모빌리티수단, 모빌리티가 구비된 장치인 모빌리티장치,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장비인 모빌리티장비, 모빌리티가 포함되는 시설인 모빌리티시설, 모빌리티를 구성하는 설비인 모빌리티설비, 모빌리티 이용 제품인 모빌리티제품, 모빌리티의 시스템인 또는 모빌리티를 구성하는 시스템인 모빌리티시스템, b) 공중 등을 비행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지역을 이동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공중 등을 비행하면서 촬영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하늘 등을 비행하면서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송출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c)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둘 이상의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이용되는 복합모빌리티;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드론 내지 복합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98 등에는 드론(65), 모빌리티(65), 로봇(541), 사람(541), 센서(610), 측정기(610), 촬영기(610), 카메라(610), CCTV(610), 자화 내지 복합처리(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물질(80) 등이 기재 또는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98; 이중 하나에 도시된 장치, 장비, 수단, 그림, 도면,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등에는 드론(65), 모빌리티(65), 로봇(541), 사람(541), 센서(610), 측정기(610), 촬영기(610), 카메라(610), CCTV(610), 원격조정기(539), 운전대(540)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1, 542) 또는 로봇(541, 542), 물질(80),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등의 이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첨가, 가미, 추가, 연결, 연계, 분사, 코팅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센서 내지 CCTV 등은 상기 장면 내지 포름알데히드 등을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계측, 관측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 내지 CCTV 등에서의 측정 자료, 촬영 영상 등은 a) 인터넷, 송신기, 송수신기, 와이파이 등(340)을 통하여 송신(341), 무선송신, 유선송신; b) 또는 수신기, PC(342), 모니터(343), 스크린(343), 핸드폰(344), 스마트폰(344), 모바일기기 등을 통하여 수신, 시청, 스트리밍, 실시간 수신, 실시간 시청, 실시간 스트리밍; 등이 가능하다.
도 2에 의하면 드론 또는 모빌리티(65)에는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펌프(63), 호스(64), 노즐 또는 분사기(66) 등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모빌리티, 본체부, 몸체, 지지대, 추진부, 날개, 모터, 랜딩부, 다리, 바퀴, 저장고 내지 분사기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드론 또는 모빌리티(65)는 상기 장비, 장치, 저장고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기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이동시키는, 또는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또는 상기 장착에 의하여 상기 자화, 와류, 자화와류, 저장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drone, 무인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무인비행기, 회전날개에 의하여 비행하는 본체에 거치된 타설장비 또는 타설기 구비 드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장착은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복합기 등이 상기 드론 내지 바퀴 등에 장착, 탑재, 거치, 설치, 존치, 용접, 접합, 체결, 달림, 메달림 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 예로는 a) 날개(534), 회전날개, 프로펠러(534), 4개 프로펠러, 다수 프로펠러 중 하나와 본체(530, 531)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b) 상부 날개(534) 및 하부 본체(530)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c) 상기 본체(530)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위하여 아래 방향의 하향류, 뒤 방향의 배향류 등을 생성하는 날개, 프로펠라 등(534)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d) 상기 본체(530)의 하부로 바람을 보내는 하향류에 의하여 상승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e)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바람을 보내는 배향류에 의하여 수평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f) 상기 하향류, 배향류 등에 의하여 3차원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g) 상기 날개, 프로펠러 등(534)을 회전시키는 모터(535), 이에 연결된 전선, 이에 연계된 건전지, 충전기, 충전지, 플러그, 콘센트, 밧데리, 발전기, 태양전지, 태양발전기, 풍차, 풍력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h) 상기 프로펠러(534)에 구비된 거치대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i)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본체(530)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j) 상기 본체(530), 프로펠러(534), 이중 하나 상부, 하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태양, 상기 하향류, 배향류, 비행에 의한 바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j1)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j2) 회전하는 회전체, 이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k) 상기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인 드론 또는 모빌리티, ℓ) 상기 j2) 회전체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상기 k) 회전자(전자석)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m) 상기 회전자(전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상기 k) 발전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n) 상기 회전체, 이의 외주, 상부, 하부, 상부외주, 하부외주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상기 하향류, 배향류,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유입, 유출, 유입유출 중 하나를 시키는 원추형 중공 가이드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o) 상기 생성 전기를 직류, 교류 등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p) 상기 생성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파워서플라이어 등 구비 드론, q) 카메라,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등, , 전등, 등불, 점멸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도 3, 4,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무인비행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모빌리티기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모빌리티(65)가 본체 또는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팔 또는 지지대(532), 날개(534), 다리(537), 먼지센서(611), 이미지센서(610) 등으로 구성되는 사례이다. 본 발명은 먼지센서, 이미지센서 등이 탑재된 모빌리티가 공중을 비행하면서 먼지센서에 의하여 먼지농도가 측정되고,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먼지영상이 촬영되고, 측정된 먼지농도와 촬영된 먼지영상은 인터넷, 송신기, 송수신기, 와이파이 등(340)을 통하여 송신(341)되고, 이는 PC(342), 모니터(343), 스크린(343), 핸드폰(344), 스마트폰(344), 모바일기기 등에 전송되어 사람, 감독자, 감리자, 발주처 등이 현장에 가지 않고 먼지농도 및 먼지영상을 관측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빌리티 또는 모빌리티기는 현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먼지 관리, 먼지 처리 등을 할 수 있는 4차원의 스마트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내지 이미지센서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자화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의 이용, 구비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드론, 모빌리티, 측정에 이용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에는 센서, 각종센서, 먼지센서, 이미지센서 등(610)의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먼지센서에 의하여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먼지(PM 2.5), 지름이 1.0㎛ 이하인 극초미세먼지(PM 1.0) 등의 농도가 관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공중의 먼지영상이 마치 육안으로 보듯이 선명하게 촬영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된 먼지농도 및 촬영된 먼지영상 결과는 PC,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기기 등에 전송되거나, 또는 서버 등에 저장되어 컴퓨터로 보거나, 또는 인쇄기 등으로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먼지는 먼지, 분진, 황사, dust, 미세먼지, 실내먼지, 실외먼지, 공장먼지, 현장먼지, 공사먼지, PM1.0, PM2.5, PM10 등이 해당된다. PM1.0은 1.0μm 이하의 극초미세먼지, PM2.5는 2.5μm 이하의 초미세먼지, PM10은 10μm 이하의 미세먼지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PM은 물질, Particle Matter, 입자, 에어로졸 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측정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먼지센서는 레이저 광산란 방식, 즉 레이저를 이용한 광산란 측정방식에 의하여 먼지(350)를 측정하는 것으로 먼지센서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레이저(351)를 조사하여 렌즈(352), 광학센서(353) 등에 의하여 반사 면적을 인식하여 먼지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분진, 먼지 등은 분진, 먼지, 티끌, 粉塵, dust, 부유물, 미세먼지, 미세분진, 공기 중 부유물, 미세한 고체입자, 150㎛ 이하의 입자, 공기 또는 가스 속에 존재하는 고체미립자, 0.01∼100μm의 입자, 대기 중에 부유하거나 비산강하(飛散降下)하는 미세한 고체상의 입자상 물질,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 50μm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 등이 해당된다. 상기 PM10은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이다. 상기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의 크기의 미세먼지이다. 통상의 미세먼지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 검댕 등과 흙먼지, 폐기물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40), 기능기(30), 기능물(40), 기능처리 등을 나타낸다. 이는 a)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전기분해, 유동화, 방전, 전기방전, 살균, 돌기,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전기방전기, 살균기, 자화물(41), 자기장(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전기분해물, 유동화물, 방전물, 전기방전물, 살균물, 자화처리(41), 진동처리(42), 가진처리(43), 오존처리(44), 음이온처리(45), 회전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유동화처리, 방전처리, 살균처리, 돌기처리, 돌기에 의한 처리,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40, 46), 복합기(30, 36), 복합물(40, 46), 복합처리; 등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기능(40)은 자화 내지 살균, 복합 등이 해당되고, 이는 상기 기능기(30),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능물(40),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에서 생성된다. 상기 기능기(30)는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돌기, 복합기 등이 해당되고, 이는 상기 기능(40), 기능물(40), 자화 내지 복합,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을 생성한다. 상기 기능물(40)은 상기 자화물 내지 살균물, 복합물 등이 해당되고, 이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기능처리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돌기처리, 복합처리 등이 해당되고, 이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 기능기, 기능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폭기 내지 복합처리, 정화 내지 복합처리;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d)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거나, 이용 가능하다.
a) 상기 기(器 or 機), 장비, 장치, 작업, 공사,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시설, 작업 수단, 공사 수단,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b) 상기 중 하나의 수단,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c)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이 이용, 구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수행, 진행, 분사, 코팅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은 상호 이용, 적용, 활용, 교체, 교환, 변경, 인용, 구비, 거치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능기(30)를 통과하거나 접촉되는 수, 물, 액, 유, 물질,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물체, 기능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80)은 상기 기능물, 자화 내지 복합,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40, 41, 42, 43, 44, 45, 46)이 되거나, 또는 등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장치, 장비, 물체, 기능기(30. 50, 51, 52);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일단, 선단, 양단, 유입구, 유출구; 등에는 호스(64, 79), 파이프(70), 노즐(66), 펌프(63), 가압펌프(63), 진공펌프(63), 사이클론(16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기(32)에는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26)가 사용되는 진동기(32)로는 모터(26)의 회전축(3)에 연계된 회전체(4), 비대칭 회전체(4), 편심체(4), 비대칭 편심체(4) 등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7)가 진동하는 진동기의 예가 있다.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모터(26) 등은 케이스(7)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은 하우징(37)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능기(30)를 통과한 물질(80)은 사이클론(161)을 통과하고 노즐(66)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은 전원, 전기, 전압, 전류, AC, DC 등이 해당된다. AC는 교류, 交流, alternating current, 일정한 주기를 갖고 규칙적으로 크기와 방향을 바꾸는 전류 등이다. DC는 직류, 直流, direct current, 항상 일정한 크기 및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등이다.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30), 기능물(40) 등의 예이다. 여기서 그림 a의 진동기는 a) 스테이터(2, 固定子, stator); b) 이에 연계되는 로터(1, 回轉子, rotor); c) 이 로터의 회전축(3), 일측 회전축(도 4의 a, c), 양측 회전축(도 4의 b, d, e, f, g), 힌지(240) 구비 회전축(도 4의 e, f, g); d) 상기 회전축 중 하나에 연계되는 편심체, 회전체(4), 일측 회전체(도 4의 a, c), 양측 회전체(도 4의 b, d, e, f, g); e) 상기 회전체 중 하나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f) 상기 케이스(7)가 투입된 중공체(37, 76, 77, 102, 104); g) 상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연계되면서 상기 중공체의 외부로 또는 중공체 벽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6), 이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 또는 호스(8); h) 상기 케이블에 순차 연계되는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i)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j)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k)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또는 이용되는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되는 진동기(32)를 나타낸다. 그림 b는 스테이터(2), 로터(1), 회전축(3)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림 c, d, e는 다양한 형태의 자화기, 진동기 등을 나타낸다.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폭기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정화 내지 복합처리, 폭기 내지 복합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의 구비,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물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등의 생성 등이 가능하다.
도 8의 그림 a에서 진동기(32)는 케이스(7); 이의 내부에 고정자인 스테이터(2); 이 스테이터의 안착대 또는 고정대;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회전자인 로터(1); 이 로터의 회전축(3); 상기 회전축의 일단, 중간, 양단 등에 베어링(5);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1개 이상의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축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 또는 요동하는 상기 케이스(7);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6);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8);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중공체 하우징(37); 상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상부 캡(cap)과 중간 몸체(body)와 하부 슈(shoe);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기 캡; 상기 케이스 또는 몸체의 하나인 봉 또는 통(7); 상기 중공체 또는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전선(6), 케이블(6), 튜브(8), 호스(8);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상기 로터 또는 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9);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또는 이용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된 진동기(32)를 보여준다. 상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의 그림 a에서 진동기는 A) a) 케이스(7); b) 이의 케이스 내부에 모터(26), 스테이터(2) 또는 고정자; c)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1) 또는 회전자; d) 상기 모터 또는 로터의 회전축(3); e) 이의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5); f)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진동자(4), 회전체, 반원통체, 3/4원통체, 3/5원통체, 반원통 진동자, 반원통 회전체, 비대칭 진동자, 비대칭 회전체(4); g)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진동자(4), 회전체(4); h) 상기 진동자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i) 상기 케이스(7)의 하나인 또는 상기 케이스(7)가 내장된 봉, 조, 함, 판, 튜브, 박스, 블록, 탱크, 용기, 파이프, 하우징; j) 상기 케이스, 봉 내지 하우징 중 하나를 구성하는 캡, 몸체, 슈, 상부 캡, 중간 몸체, 하부 슈; k) 상기 캡, 몸체, 슈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나사, 상호 끼움 나사; ℓ) 상기 케이스 내지 캡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호스, 연결 호스, 전선(6), 샤프트(6), 케이블(6), 플렉시블 케이블(6); m) 상기 전선 내지 케이블 중 하나가 내장된 호스, 튜브(8), 보호관(8); n)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에 연계된 상기 회전체(4); o)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6)에 별도 구비된 모터(26) 등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샤프트 또는 케이블(6)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4); p) 상기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q) 상기 모터 내지 보호관 중 하나에 연계된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r) 상기 모터 내지 전원공급기, 상기 모터의 회전, 상기 로터의 회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기 샤프트의 회전, 상기 케이블의 회전 중 하나 이상을 조정 또는 제어하는 스위치(9), 컨트롤러(9); s) 상기 케이스 내지 전원공급기; 이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스위치(9), 컨트롤러(9); t)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의 안착대, 거치대, 고정수단; u)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케이스 내면 간의 공간 또는 빈공간을 채움하는 우레탄, 에폭시, 채움재; v) 상기 채움하여 상기 모터 내지 컨트롤러 등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착시키는 상기 우레탄 내지 채움재;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채움재;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채움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또는 이용되는 상기 케이스 내지 채움재; 등으로 구성된 진동기(32); B) 또는 자화,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유동화, 방전, 살균,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상기 진동기(32); 등이 해당된다.
1) 상기 진동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케이스 내지 채움재; 2) 상기 진동기 내지 채움재(상기 진동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케이스 내지 채움재) 중 하나의 면, 속, 상, 하, 좌, 우, 전, 중, 후, 동시, 표면, 내면, 내부, 외부, 외면, 일단, 양단, 선단, 공간,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이중 둘 이상 복합기(30); b) 또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미스트, LED광, 살균광, 액상물,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c)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30); d)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e)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f)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함침, 침지, 주입, 투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이용 내지 투입 중 하나에 의하여 a) 상기 진동기 내지 중공부(즉, 상기 1) 상기 진동기 내지 채움재; 2) 이중 하나의 상기 면 내지 중공부); b) 상기 진동기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주변의,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중공부 중 하나를 거치는, 또는 상기 진동기 내지 중공부 중 하나가 구비된 물질, 물체, 물건, 제품, 용품, 상품, 액체, 공기, 대기, 재료, 자재, 장치, 장비;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살균, 소독, 청정, 정화, 세정, 자기장 방사, 진동 방사, 오존 방사, 음이온 방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구비 내지 투입, 자화 내지 음이온 방사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진동기 내지 장비(즉, 상기 a) 상기 진동기 내지 중공부; b) 상기 물질 내지 장비) 중 하나 이상의 정화, 청정, 살균, 소독,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슬러리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타설성, 다짐성, 인젝션성, 그라우팅성,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이 증가, 증대, 향상, 가속, 배가, 배속 등이 가능하다.
도 8의 그림 b는 스테이터(2), 로터(1), 회전축(3)의 단면도이다. 도 8의 그림 c는 a)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기구; 그림 d는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기구; 그림 e는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기구; 등이 해당되고, 상기 기구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 로터(1), 회전축(3), 자화기(31), 부착판(18), 거치판(19), 코일(16), 코어(15), 이격판(17)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8의 그림 b는 자석 구비 스테이터(2), 자기장 방사 로터(1), 오존 방사 회전축(3)이 구비된 진동기가 가능하다. 도 8의 그림 c는 a) 오존을 방사하는 자화기(31)와 이에 부착되면서 자기장을 방사하는 부착판(18)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되면서 진동을 하는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복합기가 가능하다. 그림 d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되면서 오존을 방사하는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되면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주면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복합기가 가능하다. 그림 e는 진동기가 장착된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거치되면서 자기장을 방사하는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주면서 전기방전하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되면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이격판(17)으로 구성된 복합기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의 그림 b는 자화기가 장착된 케이스와 이의 케이스에 구비된 스테이터(2), 로터(1), 회전축(3)이 포함되는 진동기가 가능하다. 도 8의 그림 c는 a)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기구와 상기 기구를 에워싸면서 오존 방사하는 파동기가 거치된 케이스가 포함되는 복합기가 가능하다. 그림 d는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기구와 상기 기구가 내장되면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살균기가 거치된 케이스가 포함되는 복합기가 가능하다. 그림 e는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기구와 상기 기구가 포함되면서 살균제를 방사하는 방전기가 거치된 케이스가 구비되는 복합기가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 스테이터, 로터, 회전축, 회전체, 진동기, 자화기, 부착판, 파동기, 거치판, 코일, 코어, 이격판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구비 등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230), 자바라(230), 코일(16), 전극, 전자석(135), 탄성재(231) 구비 돌기(23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30) 등이 거치된 진동기(32), 기능기(3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30, 31, 32, 33, 34, 35, 36) 등의 예이다. 상기 돌기 내지 전자석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드론, 모빌리티 등의 이용이나,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돌기는 봉, 대, 판, 막대, 돌기, 철근, 철봉, 요철체, 돌출대, 돌출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탄성재(231)는 관절, 탄성재, 연성재, 스프링, 자라바, 조인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돌기(230) 또는 자바라(230)는 a) 진동기(32), 기능기(3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캡, 몸체, 슈; 등에 1개, 2개, 3개, 쌍, 단일, 다수개, 여러개 등으로 거치가 가능하다. 상기 돌기는 기능기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에 따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돌기가 거치된 진동기의 경우 진동기의 진동에 의하여 돌기가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 또는 전극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선, 플럭,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이 연계되면 상기 코일 또는 전극에 열, 빛, 오존, 음이온, 자기장, 전기장, 스파크, 살균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봉진동기에 돌기 등이 구비되면 봉진동기는 도깨비 방망이 모양이 될 수도 있다.
a) 상기 진동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줄, 선, 전선(6), 거치대, 호스(8), 케이블(6); c) 상기 전선(6) 또는 케이블(6)의 호스(8) 또는 자바라,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의 보호 호스(8) 또는 자바라,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호스(8) 또는 자바라; 등에는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줄 내지 자바라 등이 드론 등에 거치되어 드론 등의 이동 또는 비행에 의하여 상기 줄 내지 자바라 등에 거치된 진동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이동되거나 또는 콘크리트 내부에 투입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의 적용예로는 펌프카 또는 타설기로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를 드론이 비행하면서 진동기를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 투입하여 콘크리트를 진동, 다짐 등을 하는 것이다. 이는 인력이 하는 콘크리트 진동, 다짐 작업을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이 하는 실시예가 된다.
도 9 a는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케이스 내지 채움재 등이 구비된 진동기(32), b는 코일(16), 돌기(230), 전자석(135),기능기(30) 등이 구비된 진동기(32), c는 코일(16), 돌기(230), 기능기(30), 전자석(135), 오존기(34), 음이온기(35) 등이 구비된 진동기(32), d는 탄성재(231) 장착 돌기(230) 등이 구비된 진동기(32)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3의 진동기를 이용하여 재료 또는 콘크리트를 진동하는 경우 코일(16)에 의한 자화 또는 자기장, 돌기(230)에 의한 진동 전달 또는 철근 진동, 전자석(135)에 의한 자화 또는 자기장, 기능기(30)에 의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오존기(34)에 의한 오존 살균, 음이온기(35)에 의한 음이온 소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케이스 내지 채움재, 진동기, 코일, 돌기, 전자석, 기능기, 탄성재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돌기는 a) 핀, 침, 칩, 대, 콘, 망, 봉, 틀, 링, 판, 요철, 돌기, 와셔, 밴드, 나선, 날개, 코일, 고무, 막대, 철근, 철봉, 보강재, 중공체, 돌출물, 와이어, 자바라;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핀 내지 자바라; c) 상기 칩 내지 조합체; d) 상기 핀 내지 조합체 중 둘 이상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핀 내지 조합체는 상기 핀 내지 자바라,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은 상기 핀 내지 자바라, 칩 내지 조합체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또는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체이다. 이의 예로는 핀와 침, 칩과 대와 콘, 망과 봉과 틀과 링과 판, 요철과 돌기와 와셔와 밴드와 나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바라는 자바라, 주름 자바라, 휨성 자바라, 휘어지는 관, 휘어지는 호스, 휘어지는 튜브, 휘어지는 자바라, 주름있는 물체, 주름있는 호스, 주름있는 파이프, 주름있는 중공체, 주름있는 중공관, 주름진 중공의 물체,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중공 물체,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호스, 주름이 있으면서 휘어지는 자바라, 이중 둘 이상 복합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자바라는 돌기에 포함될 수 있고, 돌기보다는 길이이가 길거나 또는 굵기가 클 수 있다. 상기 돌기 또는 자바라의 길이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 길이의 0.01∼3.0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 자바라, 핀 내지 복합, 자바라 내지 복합 등은 a) 상기 돌기, 자바라, 핀 내지 복합, 자바라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상기 돌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전, 후,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간, 측면, 상부, 하부; 등에 구비 또는 거치가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핀과 상기 핀의 후에 콘과 상기 콘의 후에 나선과 상기 나선의 측면에 자바라와 상기 자바라의 후단에 자화기 구비, 돌기와 상기 돌기의 후단에 링과 상기 링의 후에 날개와 상기 날개의 측면에 자바라와 상기 자바라의 후단에 진동기 구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돌기, 자바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투입, 분사, 코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의 하나인 진동튜브는 a) 진동튜브, 가진튜브, 진동중공체, 진동하는 튜브, 진동기(32)가 구비된 또는 내장된 튜브(7, 37, 76, 77),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모터(26) 또는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고정자(2)에 연계된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튜브(7, 3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모터,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튜브 캡, 튜브 몸체, 튜브 슈, 튜브 내부, 튜브 외부, 자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돌기, 방전기, 오존기, 회전기, 진동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살균기, 오존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발생하고 살균기능을 하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튜브이다.
상기 진동기의 하나인 진동케이스는 a) 진동케이스, 가진케이스, 진동중공체, 진동하는 케이스, 진동기(32)가 구비된 또는 투입된 케이스(7, 37, 76, 77),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모터(26) 또는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고정자(2)에 연계된 회전자(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32)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모터, 고정자,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케이스 캡, 케이스 몸체, 케이스 슈, 케이스 내부, 케이스 외부, 자신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돌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케이스이다. 상기 튜브, 케이스, 진동기 중 하나의 형상은 봉, 대, 판, 조, 통, 함, 튜브, 막대, 용기, 파이프, 길이봉,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또는 편심체는 회전체, 편심체, 반원통, 1/4원통, 회전편심체, 편심회전체, 회전하는 물체, 회전하는 회전체, 회전하는 편심체, 회전축 또는 힌지 구비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회전자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회전자 또는 모터의 양측에 장착된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튜브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고정자에 연계되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튜브 또는 케이스 또는 중공체는 a) 자신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 고정자; b) 상기 모터 또는 고정자에 거치된 회전자; c)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회전축,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일측 회전축, 상기 모터 또는 회전자의 양측 회전축; d) 상기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 e)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자신; f) 돌기가 구비된 자신; g)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상기 돌기; h) 상기 전달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회전자, 회전축, 회전체, 기능기 등의 예이다. 상기 회전자(1)의 일측, 양측, 상부, 하부, 상하부 등에는 회전축(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체(4)가 1개, 2개, 3개 다수개, 여러개 등으로 구비 또는 편심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체(4)가 회전 또는 편심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회전체를 에워싸는 봉, 튜브, 케이스 등(7)이 진동을 하게 되고, 이것이 하나의 진동기(32) 또는 가진기가 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힌지(240), 베어링(5)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힌지(240)는 회전축(3)이 절곡지게 회전하도록 하고, 베어링(5)은 마찰없이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는 반원통체, 1/2원통체, 1/3원통체, 1/4원통체, 회전체, 편심체, 블럭, 금속체 등이 해당된다. 그림 a는 회전자의 일측에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구비된 1개의 회전체, 그림 b는 회전자의 양측에 회전축과 양측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1개의 회전체, 그림 c는 회전자의 일측에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 그림 d는 회전자의 양측에 회전축과 양측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2개의 회전체, 그림 e는 일측에 힌지가 구비된 회전축, 그림 f는 중간에 힌지가 구비된 회전축, 그림 g는 3지점에 힌지가 구비된 회전축 등을 보여준다. 상기 힌지는 힌지, 관절, 골절, 경첩, 조인트, 연결부, 변곡부, hinge, 휘어지는 지점, 회전이 가능한 지점, 자유 회전 지점, 회전은 자유이지만 수평 및 연직 이동은 고정인 지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테이터 내지 전원공급기, 케이스 내지 컨트롤러, 고정자, 회전자, 로터, 스테이터, 회전축, 회전체, 편심체, 베어링, 힌지 등은 1개, 2개, 3개, 다수개, 복수개, 2개 이상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의 예를 들면 회전축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 회전축에 구비된 3개의 편심체, 회전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 3개의 힌지가 형성된 회전축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 4개의 힌지가 형성된 회전축에 구비된 3개의 편심체, 2개의 힌지가 형성된 회전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2개의 회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테이터 내지 힌지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 통과 물질은 장치, 장치1, 장치2, 장치3 중 하나를 통과, 흐름, 거침, 통행, 지남 등이 된 또는 상기 장치에서 처리된 물질,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테이터 내지 힌지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도 10의 그림 h, i, j, k, ℓ, m은 다양한 형태의 기능기를 보여준다. 여기서 그림 h는 진동기(32)와 이의 일측 또는 하부에 거치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31, 32, 33, 34, 35, 36)으로 구성된 기능기(30)이다. 그림 i는 진동기(32)와 이의 타측 또는 상부에 거치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31, 32, 33, 34, 35, 36)으로 구성된 기능기(30)이다. 그림 j는 진동기(32)와 이의 양측 또는 상하부에 거치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31, 32, 33, 34, 35, 36)으로 구성된 기능기(30)이다. 그림 k는 진동기(32)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31)으로 구성되면서 돌기(230)가 구비된 기능기(30)이다. 그림 ℓ, m은 진동기(32)와 이의 전, 중, 후, 상, 하, 좌, 우, 면, 표면, 내부, 외부, 중간 등에 구비된 또는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31)으로 구성된 기능기, 복합기 등(30)이다. 그림 n은 그림 g의 장치가 매입된 튜브 또는 케이스(7)로서 양측에 힌지가 3개씩 구비된 회전축의 양측에 2개씩 거치된 회전체 또는 편심체가 매입된 튜브 또는 케이스(7)가 된다. 이의 경우 회전축의 양측에 2개씩 거치된 회전체 또는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튜브 또는 케이스(7)는 양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회전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튜브 또는 케이스(7)가 일측의 일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고, 반면에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회전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튜브 또는 케이스(7)가 양측의 양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저장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수 내지 복합물; b)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전, 중, 후, 상, 하, 좌, 우, 면, 표면, 내부, 외부, 중간, 복합;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물, 폭기 내지 복합물, 정화 내지 복합물, 저장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수 내지 복합물,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의 구비, 거치, 이용, 혼합, 혼용, 결합, 투입, 주입, 배출, 공급, 제공, 연계, 연결, 돌출구비, 내재구비, 삽입구비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이중 하나의 수단,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이중 하나의 수단, 또는 장비, 장치, 시설,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자화기 내지 복합물,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의 구비, 거치, 이용, 혼합, 혼용, 결합, 투입, 주입, 배출, 공급, 제공, 연계, 연결 등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케이스 등의 예이다. 그림 a는 a1) 절연체(121) 또는 공간(121) 사이에 양극(120)과 음극(122)을 두고 이에 고전압 등을 걸어주면 코로나방전 등이 일어나서 오존이 발생, 또는 3O2 + electric E = 2O3 + heat 등과 같은 반응에 의하여 산소로부터 오존이 발생되는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30), 케이스(37); a2) 세라믹판이나 공간 등(121)의 양쪽에 코팅, 인쇄, 부착 등이 된 금, 은, 동, 백금, 니켈 등의 물체(120, 122)에 고전압 등을 인가하면, 물체(120, 122) 간에 코로나방전 등이 발생되는 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30), 케이스(37);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방전 시에 공기중의 산소(O2)가 산소원자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산소원자가 분리되지 않은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오존(O3)을 형성한다. 그림 b는 b1)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 기능기(30), 음이온기, 케이스(37); b2)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되고 상기 관과 코일에 전원을 가하면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 되는 오존기, 기능기, 음이온기; b3) 유리관이나 석영관 등의 유전체(123)와 이의 내부에 삽입된 봉 또는 관 형상의 양극(124)과 상기 유전체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 또는 스프링 형상의 음극(16)에 전압, 전원, 전류 등을 인가하면 방전이 발생되어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오존기, 기능기(30), 방전기, 음이온기, 케이스(37); 등을 나타낸다.
그림 c는 c1)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 또는 바늘이 거치된 오존기, 기능기, 음이온기; c2)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고 상기 판과 침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오존기, 기능기(30), 음이온기, 케이스(37); 등을 나타낸다. 그림 d는 d1)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오존기, 음이온기; d2)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고 상기 판과 솔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오존기, 기능기, 음이온기; 등을 나타낸다. 상기의 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케이스, 하우징 등(30)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40)이 구비되거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40)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의 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등은 상기 자화가 내지 복합기 등(30)이 해당된다. 상기 침은 침, 칩, 팁, 바늘, 니들, 1개 침, 2개 침, 다수개 침 등이 해당되고, 솔은 솔, 줄, 브러시, 1가닥 솔, 2가닥 솔, 다수가닥 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침, 솔, 코일, 코어, 전극, 양극, 음극 등은 도체, 전도체, 금, 은, 동, 철, 구리, 아연, 금속, 흑연, 카본, 반도체, 텅스텐, 알루미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의 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케이스, 하우징 등에는 펌프(63), 가압기(63), 사이클론(161), 노즐(66), 분사기(66)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도 5에서 a와 b, c와 d 사이의 수직 실선은 a와 b, c와 d의 그림을 각각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체, 공간, 양극, 음극,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케이스, 세라믹판, 금, 은, 동, 백금, 니켈, 물체, 원통관, 2중관, 내부, 외부, 코일, 관, 유리관, 석영관, 유전체, 봉, 스프링, 판, 침, 바늘, 중공부, 케이스, 하우징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기능기, 케이스, 절연체(121), 공간(121), 양극(120), 음극(122), 세라믹판, 공간, 물체, 원통관(123), 2중관(123, 124), 내부, 외부, 코일(16), 유리관, 석영관, 유전체(123), 판(126), 침(127), 바늘, 중공부(128), 솔(129), 바늘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자화처리,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등의 기구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는 2개 이상 자석(131)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133)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132)가 삽입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그림 b는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코어(15) 또는 기능기(30)에 감긴 코일(16)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그림 c는 자화기(31), 코일(16), 상기 기구(130), 하기 봉 내지 금속봉 등이 투입되어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하기 관 내지 중공체 등(7, 37, 76, 77, 104)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코어는 봉, 막대, 코어, 철봉, 구리봉, 비중공체, solid body, 코어봉, 중심봉, 금속봉,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관, 관로, 튜브, 호스, hollow body, 이송관, 압송관, 벤츄리관, 중공관, 중공체 등이 가능하다. 상기 관 내지 중공체 등(7, 37, 76, 77, 104)의 내부로는 수, 물, 액, 유, 물질, 재료, 몰탈, 콘크리트 등(80)의 흐름, 통과, 이동, 이송 등이 가능하고,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은 자기장에 의하여 자화, 육각수화, 유동화, 활성화, 슬럼프화, 슬러리화, 장거리이송, 고층이송, 고층건물이송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의 그림 b의 적용예로는 1) 상기 봉 내지 복합기 등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이 감기고 이에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봉 내지 복합기 등이 전자석(135)이 되는 것, 2) 상기 관 내지 중공체 등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이 감기고 이에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관 내지 중공체 등(104)을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3) 상기 봉 내지 복합기 등이 상기 관 내지 중공체 등의 내부에 삽입되어(그림 c 참조) 상기 관 내지 중공체 등을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등이 해당하다. 상기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자석(131), 이격재(132), 코어(15), 코일(16), 봉 내지 중공체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 구비, 기능 발현, 기능물 발생 등이 되는 중공체(7, 37, 76, 77, 102, 104)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능기(30)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능(40)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기능물(40)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되고, 중공체(104)는 관, 통, 튜브(37, 76), 관로(76), 박스(102), 벤츄리관(77), 인젝터(93), 노즐(66), 파이프(76), 중공체, 중공관, 케이스(7), 하우징(37)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중공체; 이의 벽, 측면, 피막, 외부, 중간; 등에는 인젝터(93, 94), 체크밸브(91)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기능기(30, 40)는 상기 중공체(104)에 거치대, 지지대 등(112)에 의하여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거치대, 지지대 등(112)은 1개, 2개, 다수대, 2개 이상, 기능기의 1지점, 기능기의 다지점, 기능기의 2지점 이상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기능기와 중공체 간의 충격, 접촉, 부딛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기, 중공체, 이의 둘 사이 등에 거치대, 지지대, 고무, 고무판, 이격대, 완충재, 충격방지재, 접촉방지재, 부딛힘방지재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인젝터(93, 94)는 관(93, 94), 튜브, 파이프, 인젝터, 이젝터, 경사관(94), 수직관(93), 중공체(104)의 측면에 거치된 경사관(94), 중공체(104)의 측면에 거치된 수직관(93), 벤츄리관(77)의 축소부(53)에 거치된 경사관(94), 벤츄리관(77)의 축소부(53)에 거치된 수직관(93)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중공체(104)로는 일정 물질(80)이 유입, 유출, 흐름, 통과, 관통, 지남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인젝터(93, 94)로는 오존(82), 압기(83), 펄스압(84), 첨가제(85) 등이 유입되어 중공체(104), 중공체 물질(80) 등에 투입이 가능하다. 상기 인젝터, 벤츄리관, 벤츄리관의 축소부, 관 내지 수직관 등에는 밸브,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역류차단용 체크밸브(91), 주기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91), 상기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체크밸브(91)는 스프링(54), 볼(55), 밸브(56) 등으로 구성되어 첨가제(92, 93, 94, 95)가 중공체(104) 내부로 유입시에는 상기 스프링(54)이 압축되어 밸브(56)가 열려 첨가제(92, 93, 94, 95)가 인젝터(93, 94)를 통하여 중공체 내부로 유입되고, 반대로 중공체 내부의 물질(80)은 스프링(54)의 압력 또는 스프링의 복원에 의하여 밸브(56)가 닫혀 중공체 내부의 물질(80)이 인젝터(93, 94)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상기 중공체(7, 37, 67, 77, 104)는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물체, 몸체, 링, 관, 관로, 밴드, 튜브, 호스, 파이프,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상기 물체 내지 타설구 중 둘 이상의 사이, 2개 이상의 관으로 구성되는 이송관(208)에서 상기 2개 이상의 관 사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물체 내지 타설구 등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사이 등에 거치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체(7, 37, 67, 77, 104)에는 기능기(30), 거치대(112), 지지대, 자화기(31), 진동기(32), 회전기(27), 교반기, 회전교반기, 교반회전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투입, 내장, 발현, 발생, 조성, 형성, 장착, 분사, 분무,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체, 벽 내지 중간, 인젝터(93, 94), 체크밸브(91), 거치대, 지지대, 거치대 내지 부딛힘방지재, 관 내지 수직관(93), 경사관(94), 벤츄리관(77), 축소부(53), 밸브 내지 타이머, 물체 내지 타설구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13의 예로는 자화기기(31)가 구비되고, 물질(80)을 진동(42)하거나 또는 자기장(41)을 발생하고, 물질(80)을 가진(43)하여 가진물(43)이 되게 하고, 자신(102)의 측면에 거치된 인젝터(93)를 통하여 첨가제(85)가 투입되는 중공체(104) 등이 해당된다. 도 13은 기능기(30) 구비, 기능(40) 발현, 기능물(40) 발생 등이 되는 중공체(104)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의 그림 a는 관, 단관, 튜브, 파이프(76); 그림 b는 수직관(93) 구비 벤츄리관(77); 그림 c는 경사관(94) 구비 중공체(7, 37, 76) 및 수직관(93) 구비 벤츄리관(77); 그림 d는 그림 a, b, c가 결합된 중공체(104)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θ는 중공체(104)의 측면에 구비된 인젝터(93, 94) 또는 경사관(94)의 경사 각도, D는 중공체(104)의 내경, d는 벤츄리관(77)의 내경, L은 벤츄리관의 벤츄리(53) 길이 또는 축소부(53) 길이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L은 0 또는 1∼100cm 등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체는 2개 이상 다수개의 결합이 가능하고, 여기서 2개 이상의 연결은 잭, 연결잭, 끈, 철사, 링, 밴드, 소켓, 플랜지(57), 나사, 볼트(58), 너트(59), 조인트, 조임밴드, 호스밴드, 연결수단, 나사형성소켓, 볼트와 너트, 볼트구멍 형성 플랜지와 상기 볼트구멍에 삽입된 볼트, 볼트구멍 형성 플랜지(57)와 상기 볼트구멍에 삽입된 볼트(58)와 상기 볼트에 끼움된 너트(59) 등에 의한다. 상기 중공체의 외부, 외면, 면, 표면, 측면 등에 구비된 인젝터, 수직관, 경사관 등(93, 94)으로는 오존(82), 압기(83), 펄스압(84), 첨가제(85),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 물질의 유입이 가능하고, 이의 물질은 중공체(104)로 유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벤츄리관(77), 이의 축소부(53) 등을 통과하는 물질에 의하여 상기 벤츄리관, 축소부 등에서는 물질의 유속이 빨라지고, 이에 의하여 압력이 작아지고, 진공 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벤츄리관, 축소부 등에 구비되는 관, 호스, 파이프, 인젝터, 경사관 등에는 진공 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무동력으로 첨가제를 상기 관 내지 경사관 등을 통하여 벤츄리관, 축소부 등에 주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관 내지 경사관 등에 연계되는 수조, 물통, 탱크 등의 물질 또는 첨가제를 상기 관 내지 경사관 등을 통하여 벤츄리관, 축소부 등에 주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의 경우 벤츄리관을 통과하는 물질에 무동력으로 첨가제를 투입할 수가 있고, 또한 인젝터에 연결된 수조의 물을 인젝터를 통하여 무동력으로 벤츄리관에 주입할 수가 있다. 이의 적용예로는 모기액이 담겨진 병의 상단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입구를 입으로 불면 상기 병에 내재된 호스를 통하여 모기액이 벤츄리관에 무동력으로 유입되어 벤츄리관의 출구를 통하여 모기액이 분출되는 것이다. 다른 적용예로는 드론에 구비된 농약 살포기로서 농약이 담겨진 탱크의 상단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입구에 펌프압을 가하면 상기 탱크에 내재된 호스를 통하여 농약이 벤츄리관에 무동력으로 유입되어 벤츄리관의 출구를 통하여 농약이 분출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자화기, 코일 권선 봉, 코일 권선 기능기 등이 구비된 기능기, 중공체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기능기(30), 중공체(7, 37, 67, 77, 104) 등에 코일(16), 자화기(31), 코일 권선 봉, 코일 권선 기능기 등이 구비되어 기능기, 중공체 등에서 자기장, 전자기장, 자기파, 전자기파 등(41)이 발생되고, 이때 상기 기능기(30), 중공체(104) 등은 하나의 자화기, 유동화기, 자기장발생기 등(31)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기(30), 중공체(104) 등을 거치는 물질(80), 콘크리트 등은 자화, 육각수화, 유동화, 술러리화, 슬럼프치증가, 유속증가, 내벽유속증가, 슬립존유속증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코일(16), 자화기(31) 등에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의 연계가 가능하다.
중공체를 흐르는 물질은 중공체 내벽의 슬립존(slip zone)(86), 중공체 중앙의 플러그흐름존(plug flow zone)(88), 중공체 내벽과 중앙 사이의 전단존(shearing zone)(87)을 흐르게 된다. 중공체를 흐르는 물질의 유속은 중공체 내벽에서는 작거나 거의 없고, 중공체의 중앙에서는 가장 크고, 중공체의 내벽과 중앙 사이는 일정의 크기를 가진다(도 8의 그림 a). 이와 같은 경우의 중공체에 코일(16), 자화기(31), 코일 권선 봉 등이 구비되면 중공체에 자기장, 전자기장, 자기파, 전자기파 등(41)이 발생되어 중공체(104)를 흐르는 물질(80), 콘크리트 등은 자화, 육각수화, 유동화, 술러리화, 슬럼프치증가, 유속증가, 내벽유속증가, 슬립존유속증가 등이 될 수 있다(도 8의 그림 b, c, d). 이는 고층건물을 공사하기 위하여 고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이송관(208)에 코일(16), 자화기(31), 코일 권선 봉, 중공체(104) 등을 구비하여 자기장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유동화하고, 이송관 슬립존의 유속을 증가시켜 고층까지 콘크리트를 원할하게 타설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 1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 또는 돌기 구비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는 a) 콘, 망, 봉, 틀, 칩, 나선, 회전기, 콘망봉틀나선, 상기 칩 내지 조합체 등이 구비된 기능기 또는 중공체; b) 또는 상기 콘 내지 조합체 등에 구비된 기능기 또는 중공체; c) 또는 기능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조합체, 중공체; d)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콘 내지 조합체, 중공체; 등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기능기는 a)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상기 콘 내지 나선 등이 구비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 내지 나선 등은 돌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그림 a는 콘(210) 또는 θ의 경사도(216)를 가진 콘, 망(211), 봉(212), 틀(213), 나선(214), 회전기(27); 그림 b는 중앙(215)에 봉(212), 기능기(30) 등이 거치된 콘, 망, 봉, 틀, 회전기(27), 나선; 그림 c는 튜브, 관로, 파이프, 중공관, 중공체 등(7, 37, 76, 77, 102, 104)에 매입된 콘, 망, 봉, 틀, 칩, 나선; 그림 d는 거치대, 지지대 등(112)에 거치된 콘, 망, 봉, 틀, 회전기(27), 나선; 등을 보여준다. 도 15, 16은 상기 콘 내지 나선,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혼재되어 구성된 기능기를 보여준다. 상기 콘 내지 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에는 기능기(30) 거치, 물질(80) 흐름, 물질(80) 통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나선, 회전기, 콘망봉틀나선 등을 통과하는 물질, 물체 등(80)은 충돌, 자화, 진동, 살균, 소독, 청정, 교반, 혼합, 믹싱, 섞임, 폭기, 기폭, 맥동, 와류, 선별, 분리, 여과, 거름, 파쇄, 파단, 분쇄, 컷팅, 부딪힘, 세립화, 미세화, 미소화, 나노화, 단락화, 단립화, 케비테이션화 등이 된다.
상기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자석, 라이닝자석, 기구, 전자석, 코어, 코일, 봉, 막대, 코어, 철봉, 구리봉, 비중공체, solid body, 코어봉, 중심봉, 금속봉, 기능기, 관, 관로, 튜브, 호스, hollow body, 이송관, 압송관, 벤츄리관, 중공관, 중공체,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자석, 이격재, 인젝터, 체크밸브, 관 내지 중공체, 봉 내지 복합기, 봉 내지 중공체, 관 내지 하우징, 중공체 내지 중간, 관 내지 수직관, 밸브 내지 타이머, 물체 내지 타설구, 중공체 내지 타설구,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칩 내지 조합체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자석, 자성체, 자화기 등은 a) 자석, 자석군, 전자석, 쌍자석, 봉자석, 판자석, 원자석, 각자석, magnet, 자석체,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기화체, 자기장체, 육각수화체, 자화파동체, 자석구비체, 자화에너지체, 더블자석, 다발자석, 다종자석, 복합자석, 나노자석, 초전도자석, 마그네토솜, 자석박테리아, 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 S극N극/S극N극 자석, N극S극/S극N극 자석, S극N극/N극S극 자석, N-S-N-S-N-S-N-S 자석, N-S-S-N-N-S-S-N 자석,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 솔레노이드전자석, 거치대구비자석, 와류형 거치대구비자석; b)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물질을 자화하는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c)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이상 매입, 카바, 라이닝, 또는 둘 이상 반복, 결합, 연결 중 하나의 자석, 자성체, 자화체, 자기장체;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자석, 자성체, 자화기 등은 1) 자석, 전자석, 초전도자석, 라이닝자석, 2) NS극, SN극, NS극/NS극, SN극/SN극, NS극/SN극, SN극/NS극, NS극/막/NS극, SN극/막/SN극, NS극/막/SN극, SN극/막/NS극 중 하나 이상 자석, 3) 하나 자력 또는 전체 합산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자석, 4) 상기 자석 중 하나(10)가 매입, 코팅, 카바, 라이닝 중 하나(15)가 된 몸체 또는 자성체(16), 5) 콘의 중앙 통로에 관통되어 끼움된 자석, 자성체, 6)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내경 또는 내부 단면적의 0.01∼0.8배가 되는 외경 또는 직경 또는 단면적을 가진 자석, 자성체 등도 가능된다. 그리고 자석은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마그네트, magnet, 육각수화체, 자력파동체, 자화파동체, 자력에너지체, N극S극 자석, NS극 또는 N극S극을 가진것, 1개 이상 자석이 카바재 등으로 카바된 자석, 카바재 내부에 1개 이상 자석이 매입된 자성체, 물질을 자화, 육각수화 하는 것 등도 해당된다.
상기를 설명하면 상기 1) a) NS극 자석은 N극S극 자석, b) SN극 자석은 S극N극 자석, c) NS극/NS극 자석은 N극S극/N극S극 자석, N극S극 자석과 N극S극 자석의 2개 결합 자석, d) SN극/SN극 자석은 S극N극/S극N극 자석, S극N극 자삭과 S극N극 자석의 2개 결합자석, e) NS극/SN극 자석은 N극S극/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과 S극N극 자석의 2개 결합자석, f) SN극/NS극 자석은 S극N극/N극S극 자석, S극N극 자석과 N극S극 자석의 2개 결합자석, g) NS극/막/NS극 자석은 N극S극/막/N극S극 자석, 또는 N극S극 자석, 막, N극S극 자석의 순으로 결합된 자석, 또는 N극S극 자석과 N극S극 자석의 사이에 막이 매입되어 결합된 자석, h) SN극/막/SN극 자석은 S극N극/막/S극N극 자석, 또는 S극N극 자석, 막(14), S극N극 자석 순으로 결합된 자석, 또는 S극N극 자석과 S극N극 자석 사이에 막이 매입되어 결합된 자석, 여기서 막은 막, 분리막, 이격막, 분리재, 이격재 등이 해당되고, i) NS극/막/SN극 자석은 N극S극/막/S극N극 자석, 또는 N극S극 자석, 막, S극N극 자석의 순으로 결합된 자석, 또는 막이 N극S극 자석과 S극N극 자석 사이에 매입되어 결합된 자석, j) SN극/막/NS극 자석은 S극N극/막/N극S극 자석, 또는 S극N극 자석, 막, N극S극 자석의 순으로 결합된 자석, 또는 S극N극 자석과 N극S극 자석의 사이에 막이 내재된 자석, k) 중 하나 이상 자석에서 둘 이상 자석의 예로는 k1) NS극 자석과 SN극 자석의 2 자석, k2) NS극/NS극 자석과 SN극/SN극과 NS극/SN극 자석의 결합자석, k3) SN극/NS극, NS극/막/NS극, SN극/막/SN극, NS극/막/SN극, SN극/막/NS극의 결합자석 등이 해당된다.
상기 2) 하나 자력 또는 전체 합산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자석의 예로는 SN극/막/NS극의 경우 SN극 자석, 또는 NS극 자석의 하나 자력, 또는 SN극 자석과 또는 NS극 자석 2개의 전체 합산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자석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튜브 카바(133) 내부에 10개의 자석(131)이 매입된 튜브로 라이닝(132)된 자석의 경우 10개 중 하나 자석의 자력 또는 10개 전체 합산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자석 등도 해당된다. 상기 3) 상기 자석 중 하나(131)가 매입, 코팅, 카바, 라이닝 중 하나(133)가 된 몸체 또는 자성체(130)의 예로는 SN극 자석, NS극 자석, SN극/막/NS극 자석 등(131)이 금속, 피막, 피막재, 카바재, 고분자재, 플라스틱, STS재, 코팅재, 라이닝재, 용융물, 가열물, 통, 호스, 튜브, 파이프, 가열파이프 등(133)에 또는 등으로 매입, 코팅, 카바, 라이닝 등이 된 몸체 또는 자성체 등(130)이 해당된다. 여기서 자석(131)을 코팅, 카바, 라이닝 등(133)을 상기 5)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내경 또는 내부 단면적의 0.01∼0.8배가 되는 외경 또는 직경 또는 단면적을 가진 자석, 자성체는 자석, 자성체의 외경 또는 직경 또는 단면적이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내경 또는 내부 단면적의 0.01∼0.8배가 되어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내경 또는 내부 단면적보다 작아 자석, 자성체가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등의 내부에 충분히 매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자석, 자성체의 규격 조건이 된다.
여기서 a) 상기 자석, 자성체의 외경 또는 직경 또는 단면적에 대한 0.01배의 하한 조건은 통상 중공체의 내경이 20cm 임을 감안할때 20cm의 0.01배는 2mm가 되므로 자석, 자성체의 외경을 2mm 이하로 제조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자석, 자성체의 외경이 작아 20cm 중공체 내부에 매입되는 자석, 자성체의 자화력이 미미하기 때문이고, b) 0.8배의 상한 조건은 자석의 외경이 중공체 내경의 80%를 넘는 경우 중공체의 통수단면적이 작아져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의 흐름에 제약, 저항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 0.01∼0.8배의 경우는 이 범위의 평균치인 0.4배 정도 적용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화, 육각수화는 a) a1)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육각수화체, 자력파동체, 자화파동체, 자력에너지체, 상기 콘 내지 자력에너지체, a2) 이중 하나 구비 중공체, a3) 이중 하나 구비 저장고, 배합기, 펌프, 공급로,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양생기, 면처리기, a4) 이중 하나 구비 장비, 자화장비, 타설장비 등에 의한 자화, 육각수화, b) 상기 자석 내지 자력에너지체 등의 통과, 접촉, 지남, 흐름, 관통, c) 이중 하나에 의한 수, 물,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물질,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의 자화, 육각수화, d) 상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의 유동화, 워커빌리티 등 증가, 물/시멘트비 등 감소, 양생후 강도 등 증가, 투수계수 등 감소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자화, 자성화, 자력화, 파동화, 육각수화, 자기화, 자기장화, 자화에너지화 등은 대표적으로 자화라는 용어로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a) 상기 자석 내지 자화에너지체, b) 이의 구비 중공체, c) 이중 하나 구비 저장고, 배합기, 펌프, 공급로,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양생기, 면처리기, d) 이중 하나 구비 장비, 자화장비, 타설장비 등은 하나의 자화기, 육각수기, 자화장치, 육각수장치, 자화장비, 육각수장비 등이 되고, 또한 상기 자석 내지 자화에너지체 등이 구비된 상기 또는 하기 콘 내지 장비, 자석 내지 장비 등도 하나의 상기 자화기 내지 육각수장비 등이 된다. 본 발명의 자화에 의하여 자화물, 자화수, 자화재, 자화 타설재 등이 조성되고, 여기서 자화물은 a)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자화액, 자화유, 자화제, 자화재, 자화체, 자화물질, 자화된 물질, b) 또는 자석, 전자석, 자성체 등을 통과, 흐름, 접촉, 관통, 스침, 이중 하나에 의하여 자화, 자력화, 자성화, 파동화, 육각수화 등이 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자석, 자석군, 전자석, 쌍자석, 봉자석, 판자석, 원자석, 각자석, 자석체,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기화체, 자기장체, 육각수화체, 자화파동체, 자석구비체, 자화에너지체, 더블자석, 다발자석, 다종자석, 복합자석, 나노자석, 초전도자석, 마그네토솜, 자석박테리아, 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 S극N극/S극N극 자석, N극S극/S극N극 자석, S극N극/N극S극 자석, N-S-N-S-N-S-N-S 자석, N-S-S-N-N-S-S-N 자석,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 자력이 동일 또는 상이한 2개 이상 복수자석, 솔레노이드전자석, 거치대구비자석, 와류형 거치대구비자석; b)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타설재를 자화하는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b)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이상 매입, 카바, 라이닝, 또는 둘 이상 반복, 결합, 연결 중 하나의 자석, 자성체, 자화체, 자기장체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자석군은 2개 이상 자석, 이의 자석군 등, 또는 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 S극N극/S극N극 자석, N극S극/S극N극 자석, S극N극/N극S극 자석, N-S-N-S-N-S-N-S 자석, N-S-S-N-N-S-S-N 자석 등이 해당된다. 2) 전자석은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 솔레노이드전자석, 전기를 가하면 자력이 발생되는 자석, 상기 코일에 전기를 가하면 자력이 발생되는 자석 등이 해당된다. 3)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 솔레노이드전자석 등은 전자석의 일종이다. 4) 쌍자석은 2개 이상 자석, 이의 자석쌍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쌍자석은 a) 2개 이상의 자석, 자성체, 상기 자석 내지 자력에너지체, b) 또는 상호 전, 후, 좌, 우, 앞, 뒤, 상, 하, 이격, 부착, 압착, 접촉, 접합, 결합, 연계, 연결, 이음, 평행, 직각, 경사, 맛대기 등이 된 2개 이상 자석, 자성체, 상기 자석 내지 자력에너지체, c) 상기 전 내지 맛대기 중 하나로 배치, 배열, 거치, 연결 등이 된 2개 이상 자석, 자성체, 상기 자석 내지 자력에너지체 등도 해당된다. 5) 봉자석, 판자석, 원자석, 각자석은 봉, 판, 보드, 원, 원형, 원통, 각, 사각, 다각 등의 자석 등이 해당된다. 6) 자석체,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기화체, 자기장체, 육각수화체, 자화파동체, 자석구비체, 자화에너지체는 자석, 자성, 자력, 자화, 파동, 자기화, 자기장, 육각수화, 자화파동, 자화에너지 등을 띠는, 등을 하는, 등을 방출하는, 등을 발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등에 의하여 물질을 자화하는, 등에 의하여 물질을 육각화하는, 등의 자석, 체, 물체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체 내지 자화에너지체 등은 는 자력, 자성, 자기장 등을 띠는 제, 재, 체, 물체, 물건, 기구, 금속, 수단, 또는 자석을 포함한 제, 재, 체, 물체, 물건, 기구, 금속, 수단 등도 해당된다.
7) 더블자석은 2개 이상 자석, 이의 자석군 등이 해당된다. 8) 다발자석은 2개 이상의 다발을 이루는 자석 등이 해당된다. 9) 나노자석은 자석, 이의 구성 입자, 분자, 물질 등의 크기가 나노미터인 자석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다종자석은 2종 또는 2자력 이상의 자석이 조합, 결합, 구비, 체결, 연결, 연계 등이 된 자석이 해당된다. 그리고 복합자석은 2개, 2조, 2종, 2쌍, 2세트, 2자력 중 하나 이상의 자석이 조합, 결합, 구비, 체결, 연결, 연계 등이 된 자석, 또는 자석 및 자석 이외의 물체가 조합, 결합, 구비, 체결, 연결, 연계 등이 된 것, 수단, 기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자석구비체는 자석, 전자석, 자성체, 복합자석, 다종자석 등을 구비한 제, 재, 체, 물체, 물건, 기구, 금속, 수단, 거치대, 지지대, 이격대, 고정대 등이 해당된다.
10) 초전도자석은 superconducting magnet, 솔레노이드 코일, 레이스트랙, 다이폴, 트로이달, 초전도 줄이 감긴 것을 -269℃의 액체 헬륨에 담그면 초전도 상태로 되어 안정된 고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코일에 초전도체를 사용한 공심 전자석, 코일에 초전도체를 사용한 극저온 전자석, 코일용 선재(線材)에 초전도체인 Nb 합금 등을 사용하여 액체 헬륨 온도로 냉각하여 초강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 등이 이용, 해당 등이 된다. 초전도자석은 전력의 소비가 없으므로 리니어 모터카, 핵융합로, MHD(magneto hydrodynamics) 발전, 자기 부상 철도 등에 이용된다. 초전도자석의 냉각 방법에는 액체 헬륨 속에 자석을 담그는 침지냉각, 헬륨을 초전도선 속에 강제로 순환하는 강제냉각 등이 있다. 11) 마그네토솜, 자석박테리아는 a) 자성, 자력, 자성체 등을 가진 미생물, 박테리아, magnetosome, b) 자신, 이의 몸, 내부, 외부, 표면 등에 자석, 자석류, 나노미터 크기의 자석 입자, 분자, 원소 등을 가진 미생물, 박테리아, magnetosome 등이 해당된다.
12) 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 S극N극/S극N극 자석, N극S극/S극N극 자석, S극N극/N극S극 자석, N-S-N-S-N-S-N-S 자석, N-S-S-N-N-S-S-N 자석은 S극N극, N극S극 등의 자석이 결합된 자석군, 쌍자석, 더블자석, 다발자석, 다종자석, 복합자석 등이 해당된다. 13) S극N극 자석은 S극 및 N극을 띠는 자석 등이 해당된다. 14) N극S극 자석은 N극 및 S극을 가진 자석 등이 해당된다. 15) S극N극/S극N극 자석은 S극N극 자석과 S극N극 자석의 결합 자석, S극N극 자석과 분리막과 S극N극 자석의 결합 자석 등이 해당된다. 16) N극S극/S극N극 자석은 N극S극 자석과 S극N극 자석의 조합 자석, N극S극 자석과 분리막과 S극N극 자석의 조합 자석 등이 해당된다. 17) S극N극/N극S극 자석은 S극N극 자석과 N극S극 자석의 결합 자석, S극N극 자석과 분리막과 N극S극 자석의 결합 자석 등이 해당된다. 18) N-S-N-S-N-S-N-S 자석은 N-S 자석-N-S 자석-N-S 자석-N-S 자석의 결합 자석, N-S 자석-분리막-N-S 자석-분리막-N-S 자석-분리막-N-S 자석의 결합 자석 등이 해당된다. 19) N-S-S-N-N-S-S-N 자석은 N-S 자석-S-N 자석-N-S 자석-S-N 자석, N-S 자석-분리막-S-N 자석-분리막-N-S 자석-분리막-S-N 자석 등이 해당된다. 20) 거치대구비자석은 거치대, 이격대, 지지대 등이 구비된 자석, 자신을 거치하는 수단 구비 자석 등이 해당된다.
21)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은 자신을 구성하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가진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등이다. 여기서 자석 또는 자성체가 1개로 구성된 경우의 자력은 1개 자석 또는 자성체의 자력이고, 자석 또는 자성체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경우의 자력은 2개 이상 자석 또는 자성체의 1개씩 개별 자력, 또는 2개 이상 자석 또는 자성체의 합산 자력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2개 이상 자석의 합산 자력의 실시 예로는 3개 자석이 결합된 복수자석의 경우, 첫째 2,000가우스 자석, 둘째 1,000가우스 자석, 셋째 3,000가우스 자석이 결합되어 합산 자력인 6,000가우스인 복수자석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석 또는 자성체 구비 콘이 3개 자석 매입 자성체 구비 콘인 경우 이는 1000가우스 자석, 3000가우스 자석, 7000가우스 자석의 3개 자석이 매입된 11,000가우스 자력을 가진 자성체 구비 콘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 자성체, 이의 구비 콘 등은 a) n1가우스 자석, n2가우스 자석, n3가우스 자석 등의 n개 자석으로 구성된 또는 결합된 자석, b) 이의 구비 콘, n개 콘, c) n1가우스 자석, n2가우스 자석, n3가우스 자석 등의 n개 자석이 매입된 또는 라이닝된 자성체, d) 이의 구비 콘, n개 콘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a) n1 자력 자석, n2 자력 자석, n3 자력 자석 등의 n개 자석으로 구성된 또는 결합된 자석, b) 이의 구비 콘, n개 콘, c) n1 자력 자석, n2 자력 자석, n3 자력 자석 등의 n개 자석이 매입된, 또는 라이닝된, 또는 매입되면서 라이닝된 자성체, d) 이의 구비 콘, n개 콘 등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22)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의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의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것은 0.01배 이하이면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이 너부 가늘어 제조가 어렵고, 효과가 미미하며, 0.8배 이상인 경우는 중공체 내경을 채워 물질, 타설재 등의 중공체을 흐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은 a) 자석, 자석군, 전자석,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육각수화체, 자기화제, 자기장체, 파동체, 솔레노이드전자석, 거치대구비자석, 와류형 거치대구비자석; b) 자석, 자석군, 전자석, 쌍자석, 봉자석, 판자석, 원자석, 각자석, 자석체,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기화체, 자기장체, 육각수화체, 자화파동체, 자석구비체, 자화에너지체, 더블자석, 다발자석, 다종자석, 복합자석, 나노자석, 초전도자석, 마그네토솜, 자석박테리아, S극N극 자석, N극S극 자석, S극N극/S극N극 자석, N극S극/S극N극 자석, S극N극/N극S극 자석, N-S-N-S-N-S-N-S 자석, N-S-S-N-N-S-S-N 자석,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 자력이 동일 또는 상이한 2개 이상 복수자석, 솔레노이드전자석, 거치대구비자석, 와류형 거치대구비자석; c) 자력이 1000∼20,000 가우스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외경이 하기 중공체 내경의 0.01∼0.8배인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타설재를 자화하는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콘, 망, 봉, 틀, 나선 등은 a) 콘, 망, 봉, 틀, 나선, 콘체, 봉체, 콘망, 망콘, 콘봉, 망봉, 봉망, 봉틀, 봉콘, 돌출봉, 원추콘, 고깔콘, 돌기콘, 경사콘, 더블콘, 다중콘, 나선콘, 다공콘, 중공콘, 통로콘, 접촉콘, 이격콘, 콘나선, 스크류콘, 순방향콘, 역방향콘, 콘후나선, 나선후콘, 콘중나선, 나선중콘, 나선위콘, 콘위나선, 일측이격콘, 양측이격콘, 망나선, 콘망봉, 봉망나선, 콘망나선, 콘봉나선, 콘망봉틀, 콘봉틀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b) 경사각이 1∼89도인 콘, (상기 경사각은 도 2, 4, 8의 α각도 참조), 이격 범위가 상기 외경과 내경 사이인 이격콘, 일측 중공 직경이 타측 중공 직경의 1.1∼5.0배인 콘, 길이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0.1∼0.8배 또는 상기 일측 중공 직경의 0.1∼10.0배인 콘,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이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0.05∼0.9배 또는 상기 자석 단면적의 1.1∼10.0배인 콘 등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은 자신의 또는 자신에 형성된 올, 망, 체, 틀, 유공, 다공, 천공, 구멍 등에 의하여 물질 와류 기능 외에 물질 등에 포함된 종이, 이물질, 쓰레기, 조대물질, 조각물질 등의 가름, 걸림, 체가름, 분리, 선별, 제거, 체선별 등의 기능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와류는 와류, 渦流, 교란, 소용돌이, 케비테이션, vortex, eddy current, turbulence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콘(11), 망(48), 봉(45), 틀(46), 나선(47),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콘은 a) 콘(11), 콘체, 원뿔, 고깔, 삿갓, 콘망, 망콘, 콘봉, 봉콘, 원추콘, 고깔콘, 돌기콘, 경사콘, 더블콘, 다중콘, 나선콘, 다공콘, 중공콘, 통로콘, 접촉콘, 이격콘, 콘나선, 스크류콘, cone, 순방향콘, 역방향콘, 콘후나선, 나선후콘, 콘중나선, 나선중콘, 나선위콘, 콘위나선, 일측이격콘, 양측이격콘, 망나선, 콘망봉, 봉망나선, 콘망나선, 콘봉나선, 콘망봉틀, 콘봉틀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b) 경사각이 1∼89도인 콘, (상기 경사각은 도 2, 4, 8의 α각도 참조), 이격 범위가 상기 외경과 내경 사이인 이격콘, 일측 중공 직경이 타측 중공 직경의 1.1∼5.0배인 콘, 길이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0.1∼0.8배 또는 상기 일측 중공 직경의 0.1∼10.0배인 콘,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이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0.05∼0.9배 또는 상기 자석 단면적의 1.1∼10.0배인 콘 등이 해당된다.
2) 망은 망(48), 망체, 철망, 올망, 틀망, 나일론망, 메쉬망, 격자망, 와이어망, 평망, 중공망, 매트망, 원통망, 삼각망, 사각망, 올이 있는 망, 올구멍이 있는 망, 체구멍이 있는 망, 틀(46)의 홀구멍 크기보다 작은 홀구멍을 가진 망(48) 등이 해당된다. 3) 봉은 봉(48), 대, 로드, 스틱, 봉체, 콘봉, 망봉, 봉망, 봉틀, 봉콘, 봉체, 돌출봉, 경사봉, 수직봉, 평행봉, 중공체 내경 또는 직경에 대하여 5∼90% 길이 범위를 가진 봉, 또는 콘, 망, 봉, 틀, 나선, 자석, 자성체, 전자석, 물질 흐름 방향, 타설재 통과 방향 등에 대하여 돌출봉, 경사봉, 수직봉, 평행봉 등이 해당된다. 상기 5∼90% 길이 범위를 가진 봉에서 상기 범위의 설정 이유는 5% 이하 길이는 봉의 와류효과가 미미하고, 90% 이상 길이는 봉 구비 자석이 매입되는 중공체의 내경이 커야하는 문제점 등이 있기 때문이다.
4) 틀은 틀(46), 올틀, 틀체, 격자틀, 나일론틀, 메쉬틀, 와이어틀, 평틀, 중공틀, 매트틀, 원통틀, 삼각틀, 사각틀, 올구멍이 있는 틀, 격자구멍이 있는 틀, 격자체가 있는 틀, 망(48)의 홀구멍 크기보다 큰 홀구멍을 가진 틀(46), 봉 구비 틀, 봉 구비 봉틀, 봉이 외부에 구비된 틀, 봉이 외부에 구비된 봉틀, 봉이 외부에 1개 이상 다수개 구비된 봉틀, 봉(45)이 외부에 구비되어 외부 통과 물질이 봉에 부딪혀 와류되는 봉틀(46) 등이 해당된다. 5) 콘체는 콘, 상기 콘, 콘이 2개 이상 결합된 체 등이 해당된다.
6) 봉체는 봉, 봉체, 봉틀, 돌출봉, 수평봉, 경사봉, 봉틀체, 타설재 또는 자화 타설재를 와류하는 상기 봉 내지 봉틀체, 자석 또는 자성체 등의 면, 표면, 외부, 외주, 길이방향 등에 구비되는 상기 봉 내지 봉틀체 등이 또는 등으로 해당, 포함, 속함, 구성, 형성, 구분, 세분 등이 된다. 여기서 봉틀, 봉틀체 등은 틀(46)이 구비된 봉(45), 틀(46)에 구비된 봉(45), 봉이 구비된 틀, 봉에 구비된 틀 등이 해당되고, 여기의 봉틀, 봉틀체 등에서 봉(45)은 봉, 대, 막대, 수직봉, 수평봉, 경사봉, 돌출봉, 자석 길이 대비 5∼90% 길이를 가진 봉, 자석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봉, 돌출봉 등이 해당되고, 틀(46)은 틀, 틀망, 망틀, 특격자, 격자틀, 자석 외경 대비 100∼110% 내경을 가진 틀 등이 해당된다. 상기 100∼110% 내경 범위를 가진 틀에서 상기 범위의 설정 이유는 100% 이상이 되어야만 자석이 틀 내부에 매입되거나 또는 틀 내부에 자석의 매입이 가능하고, 11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틀에 매입된 자석이 헐거워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틀에 매입된 자석은 필요시 끈, 줄, 묶음, 용접, 채움재 등에 의하여 긴결시킨다.
여기서 봉, 봉체 등은 흐름물질, 자화물질 등의 와류 촉진을 위하여 자석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보다는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봉틀체는 내부에 자석이 끼움되는 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틀의 외부에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봉이 구비되어 자석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봉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석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봉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은 자석 외주를 통과하는 물질이 봉과 부딪치면서 물질이 와류되어 물질의 교반, 자화효과 향상 등을 위한 때문이다. 상기 봉, 봉체, 봉틀체 등은 자석, 자성체 등의 면, 표면, 외면, 외주, 외부, 일부, 부분 등에 점, 오, 열, 오열, 1오, 2오, 1열, 2열, 랜덤, 자유, 임의, 지그재그 등의 방식으로 1개, 이의 이상 개수, 다수개 등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콘체, 봉체, 자화체, 중공체 등에서 체는 체, 몸체, body, 물체, 물건, 구성체, 형성체 등이 해당된다.
7) 콘망, 망콘 등은 콘망, 망콘, 콘-망, 망-콘, 콘 구비 망, 망 구비 콘, 콘 형상의 망, 망 형상의 콘 등이 해당된다. 8) 콘봉은 콘봉, 콘-봉, 콘 구비 봉, 콘 형상의 봉, 봉콘, 봉-콘, 봉 구비 콘, 봉 형상의 콘 등이 해당된다. 9) 망봉, 봉망 등은 망봉, 봉망, 망-봉, 봉-망, 망 구비 봉, 봉 구비 망, 망 형상의 봉, 봉 형상의 망 등이 해당된다. 10) 봉틀은 봉틀, 봉-틀, 봉 구비 틀, 봉 형상의 틀, 틀봉, 틀-봉, 틀 구비 봉, 틀 형상의 봉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틀이 유공틀인 경우 유공 구멍은 상기 망의 올구멍보다 크기가 큰 것도 포함된다. 11) 봉콘, 콘봉 등은 콘과 봉, 봉과 콘, 콘 전 봉, 콘 후 봉, 봉 전 콘, 봉 후 콘, 돌출봉과 원추콘, 돌출봉 전 원추콘, 돌출봉 후 원추콘, 봉 또는 콘의 상기 전 내지 동일위치 등에 구비된 콘 또는 봉 등이 해당된다. 12) 돌출봉은 돌출봉, 외부로 돌출봉, 자석이나 틀 등의 외부로 돌출된 봉 등이 해당된다.
13) 원추콘, 고깔콘, 돌기콘, 경사콘, 더블콘, 다중콘, 나선콘, 다공콘, 중공콘, 통로콘, 접촉콘, 콘나선, 스크류콘은 원추형, 고깔형, 돌기 부착, 경사진, 2개 이상의 개수의 더블, 2개 이상이 겹쳐진 또는 층을 이루는 다중, 나선형, 홀이 천공된 다공, 중공형, 통로 형성, 물질 또는 타설재 접촉, 나선형, 스크류형 등의 콘, con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나선은 콘(11)과 나선(47), 콘나선, 나선콘, 콘후나선, 나선후콘, 콘중나선, 나선중콘, 나선위콘, 콘위나선 등도 해당된다. 14) 이격콘, 일측이격콘, 양측이격콘 등은 a) 이격, 일측이격, 양측이격, b) 콘의 전체가 자석 등으로부터 이격, 콘의 일측이 자석 등으로부터 이격, 콘의 양측이 자석 등으로부터 이격, c) 자석 등으로부터 이격, 일측이격, 양측이격 등의 콘 등이 해당된다. 15) 순방향콘은 물질, 타설재, 중공체 등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 또는 < 방향으로 위치된 콘 등이 해당된다. 16) 역방향콘은 물질, 타설재, 중공체 등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또는 > 방향으로 위치된 콘 등이 해당된다.
17) 나선은 나선(47), 이의 하나인 콘나선, 봉나선, 콘봉나선, 봉콘나선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콘나선, 봉나선, 콘봉나선, 봉콘나선은 봉(45, 46), 콘(11), 나선(47), 이중 하나의 상기 전 내지 동일위치 등에 봉, 콘, 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a) 콘나선은 콘나선, 콘(11) 과 나선(47), 콘 전 나선, 콘 중 나선, 콘 후 나선, 콘 위 나선 등이고, b) 봉나선은 봉나선, 봉(45, 46)과 나선(47), 봉 전 나선, 봉 후 나선, 봉 중 나선, 봉 밑 나선 등이고, c) 콘봉나선은 콘봉나선, 콘(11) 및 봉(45, 46) 및 나선(47), 콘 전 봉 후 나선, 콘과 봉의 상부 나선, 콘 상부 봉 아래 나선, 콘 전 봉 후 나선, d) 봉콘나선은 봉콘나선, 봉(45, 46)과 콘(11)과 나선(47), 봉 전 콘 후 나선, 봉 상부 콘 하부 나선, 봉 주변 콘 아래 나선, 봉과 콘의 아래 나선 등이 해당된다. 상기 봉(45, 46), 콘(11), 나선(47)은 물질, 자화물질, 자석 및 자신 통과물질 등을 와류, 폭기, 교반 등을 하는 작용을 한다.
18) 콘후나선, 나선후콘, 콘중나선, 나선중콘, 나선위콘, 콘위나선은 콘의 후에 구비된 나선, 나선 후의 콘, 콘 중간이 구비된 나선, 나선 중간에 구비된 콘, 나선 위의 콘, 콘 위에 위치된 나선 등이 해당된다. 19) 망나선은 망나선, 망-나선, 망 구비 나선, 망 형상의 나선 등이 해당된다. 20) 콘망봉은 콘망, 콘봉, 망봉, 콘망봉, 콘-망-봉, 콘망-봉, 콘-망봉, 콘과 망과 봉 등이 해당된다. 21) 봉망나선은 봉망, 봉나선, 망나선, 봉망나선, 봉-망나선, 봉망-나선, 봉-망-나선 등이 해당된다. 22) 콘망나선은 콘망, 콘나선, 망나선, 콘망나선, 콘-망나선, 콘망-나선, 콘-망-나선 등이 해당된다. 23) 콘봉나선은 콘봉, 콘나선, 봉나선, 콘봉나선, 콘-봉나선, 콘봉-나선, 콘-봉-나선 등이 해당된다.
24) 콘망봉틀은 a) 콘, 망, 봉, 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b) 콘, 망, 봉, 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둘 이상 다수개 연결, 이의 하나로 콘망-콘망-콘망, 콘망봉-콘망틀-콘망틀, 콘망봉-콘망봉-콘망틀, c) 콘, 망, 봉, 틀, 콘망, 콘봉, 콘틀, 망봉, 망틀, 봉틀, 콘망봉, 콘방틀, 망봉틀, 콘망봉틀, d) 콘망봉틀 결합, 콘-망-봉-틀, 콘망-봉틀, 콘망봉-틀, 콘-망, 봉-틀, 콘망-콘봉, 콘틀-망봉, 망틀-봉틀, 콘망봉-콘방틀, 망봉틀-콘망봉틀, e) 콘망봉틀 합체, 콘 후에 망 후에 봉 후에 틀, 콘 전에 망 전에 봉 전에 틀, 콘 위에 망 위에 봉 위에 틀, 콘 하부에 망 하부에 봉 하부에 틀, 콘 전 망 위 봉 하 틀, 콘 후에 망 하부에 봉 상부에 틀, 콘 후 망 위 봉 후 틀, f)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콘-망봉-틀의 조합, g) 또는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콘망, 콘봉, 콘틀, 망봉, 망틀, 봉틀, 콘망봉, 콘방틀, 망봉틀, 콘망봉틀; 이중 하나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일단, 양단, 일부, 일면, 양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속, 내부, 내면, 중앙, 중공, 통로,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측면,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흐름에 대한 또는 타설재 흐름에 대한 전방향, 후방향; 등에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배치, 조합, 체결, 결합, 연계, 열위치, 오열위치, 교차위치, 1열배치, 2열배치, 다열배치, 교차배치, 차등배치, 바둑판배치, 지그재그배치 등이 된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콘망, 콘봉, 콘틀, 망봉, 망틀, 봉틀, 콘망봉, 콘방틀, 망봉틀, 콘망봉틀 등이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콘망봉틀을 상기 전 내지 후방향 등에 구비 내지 지그재그배치 등을 시키는 이유는 콘망봉틀을 상기 전 내지 후방향 등에 구비 내지 지그재그배치 등을 시킴으로 콘망봉틀 등을 흐름, 통과 등을 하는 타설재, 원료, 물질 등이 콘망봉틀에 접촉, 대면, 부딪힘 등이 되게 하여 타설재, 원료, 물질 등의 교반, 폭기, 와류, 자화, 육각수화, 파동화, 맥동화, 케비테이션, 이중 하나 향상, 상승, 촉진, 배가 등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콘망봉틀은 a) 콘, 망, 봉, 틀, 콘망, 콘봉, 콘틀, 망봉, 망틀, 콘망봉, 망봉틀, 콘망봉틀, b) 콘-망, 콘-봉, 콘-틀, 망-봉, 망-틀, 콘-망-봉, 망-봉-틀, 콘-망-봉-틀, c) 콘망-봉, 콘-망봉, 망봉-틀, 망-봉틀, 콘망-봉틀, 콘망봉-틀, 콘-망봉틀, d)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중 하나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e)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중 하나와 다른 또는 동일한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f)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중 하나 보다 큰 또는 작은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 등이 또는 등도 해당된다.
25) 콘봉틀나선은 a) 콘, 봉, 틀, 나선, 콘봉, 콘틀, 콘나선, 봉틀, 봉나선, 틀나선, 콘봉틀, 콘봉나선, 봉틀나선, 콘봉틀나선, b) 콘-봉, 콘-틀, 콘-나선, 봉-틀, 봉-나선, 틀-나선, 콘-봉틀, 콘봉-틀, 콘-봉-틀, 콘-봉나선, 콘봉-나선, 콘-봉-나선, 봉-틀나선, 봉틀-나선, 봉-틀-나선, 콘봉-틀나선, 콘봉-틀나선, 콘봉틀-나선, 콘-봉틀나선, 콘-봉-틀-나선, c) 1개 콘-2개 봉, 1개 콘-2개 틀, 콘 위 나선, 봉 아래 틀, 봉 상부 나선, 틀 일부 나선, 콘 전 봉틀, 1개 콘봉-2개틀, 1개 콘-2개 봉-3개 틀, 콘 상부 봉나선, 콘봉 일측 나선, 콘 위 봉 후 나선, 봉 전방 틀나선, 봉틀 후방 나선, 봉 내부 틀 내부 나선, 콘봉 외부 틀나선, 콘봉 상부 틀나선, 콘봉틀 양단 나선, 콘 일측 봉틀나선, 1개 콘 내부 봉-1개 틀 내부 나선, d)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중 하나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e)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중 하나와 다른 또는 동일한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f)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중 하나 보다 큰 또는 작은 형상, 크기, 모양, 규격 등을 가진 상기 콘 내지 콘봉틀나선 등이 또는 등도 해당된다.
26) 콘망봉나선은 a) 콘, 망, 봉, 나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b) 콘, 망, 봉, 나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둘 이상 다수개 연결, 이의 하나로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콘망-봉나선, 콘망봉-봉나선-봉망, c) 콘망봉나선, 콘, 망, 봉, 나선, 콘망, 망봉, 망나선, 봉나선, 콘망봉, 콘망봉, 망봉나선, d) 콘망봉나선 결합,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나선, e) 콘망봉나선 합체, 콘망봉 전 나선, 콘망 후 봉나선, 콘망 전 봉 후 나선, 콘 위 망봉나선, 콘 전 망 후 봉나선, 콘 전 망 후 봉 위 나선, f)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콘-망-봉-나선의 조합, g) 또는 1개 이상의 콘, 망, 봉, 나선, 콘망, 콘봉, 콘나선, 콘망봉, 콘망나선, 콘봉나선, 콘망봉틀, 콘봉틀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이중 하나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일단, 양단, 일부, 일면, 양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속, 내부, 내면, 중앙, 중공, 통로,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측면,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흐름에 대한 또는 타설재 흐름에 대한 전방향, 후방향; 등에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배치, 조합, 체결, 결합, 연계, 열위치, 오열위치, 교차위치, 1열배치, 2열배치, 다열배치, 교차배치, 차등배치, 바둑판배치, 지그재그배치 등이 된 1개 이상의 콘, 망, 봉, 나선, 콘망, 콘봉, 콘나선, 콘망봉, 콘망나선, 콘봉나선, 콘망봉틀, 콘봉틀나선,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27) 콘망봉틀나선은 a) 콘(11), 망(48), 봉(45), 틀(46), 나선(47)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b)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둘 이상 다수개 연결, 이의 하나로 콘망봉틀나선-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콘망-봉틀나선, c)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콘봉, 콘틀, 콘나선, 망봉, 방틀, 망나선, 봉틀, 봉나선, 틀나선, 콘망봉, 콘틀나선, 망봉틀, 망틀나선, 봉틀나선, 콘망봉틀, 콘봉틀나선, 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d) 콘망봉틀나선 결합,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콘(11)-망(48)-봉(45)-틀(46)-나선(47), e) 콘망봉틀나선 합체, 콘망봉틀 전 나선, 콘망봉 후 틀나선, 콘망 위 봉틀나선, 콘 하 망봉틀나선, 콘 후 망 위 봉 하 틀 후 나선, 콘망 후 봉틀 후 나선, 콘망 위 봉틀 위 나선, 콘망 전 봉틀 전 나선, f) 콘망봉틀나선의 조합, 콘망-봉틀나선의 조합, 콘망봉틀-나선의 조합, 콘-망봉틀나선의 조합, 콘-망-봉-틀-나선의 조합, g)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망봉틀, 콘망봉틀, 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이중 하나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일단, 양단, 일부, 일면, 양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속, 내부, 내면, 중앙, 중공, 통로,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측면,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흐름에 대한 또는 타설재 흐름에 대한 전방향, 후방향; 등에 또는 중 하나에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배치, 조합, 체결, 결합, 연계, 열위치, 오열위치, 교차위치, 1열배치, 2열배치, 다열배치, 교차배치, 차등배치, 바둑판배치, 지그재그배치 등이 된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망봉틀, 콘망봉틀, 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이의 실시예로는 콘 후에 망 후에 봉 후에 틀 후에 나선, 콘 전에 망 전에 봉 전에 틀 전에 나선, 콘 위에 망 위에 봉 위에 틀 위에 나선, 콘 아래에 망 아래에 봉 아래에 틀 아래에 나선, 콘 후에 망 위에 봉 후에 틀 아래에 나선, 콘 전에 망 아래에 봉 위에 틀 전에 나선, 콘 아래에 망 위에 봉 아래에 틀 위에 나선, 콘 위에 망 전에 봉 후에 틀 아래에 나선, 1개 콘 후에 2개 망 후에 3개 봉 후에 2개 틀 후에 1개 나선, 3개 콘 전에 2개 망 전에 2개 봉 전에 3개 틀 전에 4개 나선, 콘 1개 위에 망 2개 위에 봉 3개 위에 틀 3개 위에 나선 4개, 2개 콘 아래에 망 3개 아래에 2개 봉 아래에 4개 틀 아래에 나선 3개 등이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망봉틀나선은 콘-망-봉-틀-나선의 5종이 나열, 배열, 구비, 거치 등이 된 것도 포함되는데, 이를 연차적으로 통과하는 물질, 타설재 등은 콘-망-봉-틀-나선의 5종에 의하여 5회의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재질의 균질성, 교반성 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콘망봉틀나선이 유공형, 다공형, 천공형, 타공형 등의 콘망봉틀나선인 경우 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물질, 타설재 등은 콘-망-봉-틀-나선의 5종에 의한 5회의 와류에 더하여 각각의 유공홀에 의한 와류의 5회가 더하여져 총 10회의 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재질의 균질성, 교반성 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공형 콘망봉틀나선은 콘망봉틀나선을 이루는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의 전체, 일부, 부분, 구역, 일부구역, 지점, 일지점, 다지점 등에 1개 이상, 다수개, 10개, 50개, 100개 등의 홀, 구멍, 다공, 유공, 천공, 타공, 슬롯, 절개부, 천공홀, 천공구멍 등이 형성된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10개 홀 형성 콘, 300개 올구멍 형성 망, 3개 구멍 형성 봉, 100개 올구멍 형성 틀, 30개 홀 형성 나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다공 형성 콘형 콘망봉틀나선은 상기 다공형 콘망봉틀나선에 더하여 콘망봉틀나선을 이루는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이 콘형상으로 된 것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100개 홀이 형성된 콘형상의 콘, 600개 올구멍이 형성된 콘형상의 망, 30개 구멍이 형성된 콘형상의 봉, 300개 올구멍이 형성된 콘형상의 틀, 130개 홀이 형성된 콘형상의 나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홀 내지 천공구멍, 다공형, 콘형, 콘형상 등은 통과하는 물질, 타설재 등의 와류, 폭기, 교반, 균질성, 교반성, 자화성, 와류자화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콘망봉틀나선, 이의 구비 자석, 이의 매입 중공체, 이의 구비 배합기, 타설기, 분사기 등의 예로는 a) 콘, 상기 콘의 내부에 위치한 콘 형상의 망, 상기 망의 내부에 거치된 봉, 상기 콘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망의 올구멍보다 올구멍이 큰 콘 형상의 틀, 상기 콘, 망, 틀 중 하나의 일측에 위치한 나선으로 구성된 구성체, b) 상기 a)의 콘, 망, 틀, 나선, 구성체,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또는 이의 중앙 통로에 매입 또는 부착된 자석 또는 전자석, c) 이의 자석 구비 통, 튜브, 중공체, d) 이의 중공체 구비 배합기, 타설기, 분사기, e) 2개 콘 - 이의 각각 외부에 망 - 이의 각각 외부에 봉 - 이의 측면에 2개 틀 - 이의 내부에 2개 나선으로 구성된 구성체, f) 상기 e)의 콘, 망, 틀, 나선 중 하나 내부 또는 중앙 통로에 매입 또는 부착된 자석 또는 전자석, g) 이의 자석 구비 통, 튜브, 중공체, h) 이의 중공체 구비 배합기, 타설기, 분사기 등이 또는 등도 해당된다.
28) 경사각이 1∼89도인 콘은 콘의 경사각이 1∼89도인 콘 등이다. 그리고 상기 콘 중에서 이격 범위가 상기 외경과 내경 사이인 이격콘은 콘의 이격 범위가 상기 자석 외경과 중공체 내경 사이인 이격콘 등이다. 여기서 콘의 이격 범위는 자석 외경과 중공체 내경 사이 등이 해당된다. 이는 콘의 이격 범위가 논리적으로 자석 외경 이하와 중공체 내경 이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콘의 경사각은 1도, 10도, 20도, 25도, 30도, 40도, 45도, 50도, 60도, 70도, 75도, 80도, 89도, 1∼89도 등으로 다양한 각도를 가지고, 여기서 콘의 경사각은 수평선, 콘, 이가 매입되는 중공체 등의 중심축 등에 대한 각도이고, 여기서 하한 각도인 1도는 1도 이하가 되면 콘이 중심축에 대하여 수평이 되어 콘의 형상이 형성되지 않고, 89도 이상의 90도 등이 되면 콘이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이 되어 콘의 형상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1도, 10도, 20도, 25도, 30도, 40도, 45도, 50도, 60도, 70도, 75도, 80도, 89도, 1∼89도의 경우는 이 범위의 평균치인 45도 정도 적용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29) 일측 중공 직경이 타측 중공 직경의 1.1∼5.0배인 콘은 양측이 관통되는 중공 단면을 가진 콘의 경우, 중공 단면이 큰 일측 중공 직경(11-1)이 중공 단면이 작은 타측 중공 직경(11-2)의 1.1∼5.0배인 콘 등이 해당된다. 이는 중공 단면이 큰 일측 중공 직경(11-1)이 중공 단면이 작은 타측 중공 직경(11-2)의 최소 1.1 ∼ 최대 5.0배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1.1배는 중공 단면이 큰 일측 중공 직경이 중공 단면이 작은 타측 중공 직경보다는 최소 1.1배 커야 콘 모양을 가지기 때문이고, 여기서 5.0배는 중공 단면이 큰 일측 중공 직경이 중공 단면이 작은 타측 중공 직경보다 5.0배 이상 크면 중공 단면이 큰 일측 직경이 너무 크게 되고, 이의 경우 콘이 상기 중공체 내부에 매입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 때문 등이다.
30) 길이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0.1∼0.8배 또는 상기 일측 중공 직경(11-1)의 0.1∼10.0배인 콘은 콘의 길이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최소 0.1배 ∼ 최대 0.8배 또는 중공 단면이 큰 상기 일측 중공 직경(11-1)의 최소 0.1배 ∼ 최대 10.0배인 콘 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콘의 길이는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최소 0.1배, 중공 단면이 큰 상기 일측 중공 직경(11-1)의 최소 0.1배의 하한치와 상기 자석 내지 거치대구비자석 중 하나 길이의 최대 0.8배, 중공 단면이 큰 상기 일측 중공 직경의 최대 10.0배의 상한치로 한정하였다.
31)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이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0.05∼0.9배 또는 상기 자석 단면적의 1.1∼10.0배인 콘은 콘의 중공 단면이 큰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11-1)이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최소 0.05배 ∼ 최대 0.9배 또는 상기 자석 단면적의 최소 1.1배 ∼ 최대 10.0배인 콘 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콘의 중공 단면이 큰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11-1)은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최소 0.05배, 상기 자석 단면적의 최소 1.1배의 하한치와 상기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최대 0.9배, 상기 자석 단면적의 최소 1.1배 ∼ 최대 10.0배의 상한치로 한정하였다.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은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의 형상, 모양, 규격, 크기 등을 가지는; 또는 중 하나와 동일한 형상, 모양, 규격, 크기 등을 가지는; 또는 중 하나 보다 큰, 작은, 10% 큰, 10% 작은, 1∼400% 큰 또는 작은 형상, 모양, 규격, 크기 등을 가지는; 또는 중 하나의 형상, 모양, 규격, 크기 등보다 큰, 작은; 또는 중 둘 이상이 결합, 조합, 체결 등이 된;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도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콘 형상의 망, 봉, 틀, 나선, b) 망 형상의 콘, 봉, 틀, 나선, c) 봉 형상의 콘, 망, 틀, 나선, d) 틀 형상의 콘, 망, 봉, 나선, e) 나선 형상의 콘, 망, 봉, 틀, f) 콘 형상의 콘망, 봉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자석 또는 전자석, 자석 또는 전자석 구비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은 이들의 보호, 안전, 보관, 유지, 관리 등을 위하여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의 내부에 매입, 또는 타설재, 물질, 원료 등이 저류, 흐름, 접촉, 통과 등이 되는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의 내부에 매입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또는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자석 또는 전자석,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의 크기, 규모, 형상, 형태, 모습 등은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의 내부에 매입이 가능한 크기, 규모, 형상, 형태, 모습 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은 1개 이상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을 1개 이상으로 구비한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도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콘 구비 망, 봉 구비 틀, 나선 구비 콘망, 봉틀 구비 콘망봉, 틀나선 구비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구비 콘망봉틀나선, 2개 콘 내부에 구비된 3개 망, 1세트 봉이 자신의 외주에 구비된 2세트 틀, 2개 나선이 양측에 구비된 2개 콘망, 3개 봉틀이 전방에 구비된 4개 콘망봉, 3개 틀나선이 내부에 구비된 2개 콘망봉틀, 2개 콘망봉나선이 3방향에 구비된 3개 콘망봉틀나선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의 배치, 배열, 나열, 구비, 거치, 위치 등의 순서는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의 순, 나열순, 순서, 순차, 역순, 무순, 자유순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나열순의 예로는 a) 콘 후 망 후 봉 후 틀 후 나선의 배치, b) 콘망 후 봉틀 후 콘망봉 후 틀나선 후 콘망봉틀 후 콘망봉나선 후 콘망봉틀나선의 배치, c) 콘 후 망 후 봉 후 틀 후 나선 후 콘망 후 봉틀 후 콘망봉 후 틀나선 후 콘망봉틀 후 콘망봉나선 후 콘망봉틀나선의 배치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무순, 자유순의 예로는 콘 후 망 배치, 봉 전 틀 배치, 나선 후에 콘망 배치, 봉틀 전에 콘망봉 배치, 틀나선 후 콘망봉틀 후 콘망봉나선 배치, 콘 전 봉 전 틀, 나선 후 봉틀 후 콘망 배치, 콘망봉틀나선 후 콘망봉틀 후 콘망봉나선 후 콘망봉 후 틀나선 배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은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이중 하나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일단, 양단, 일부, 일면, 양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속, 내부, 내면, 중앙, 중공, 통로,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측면,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흐름에 대한 또는 타설재 흐름에 대한 전방향, 후방향; 등에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배치, 조합, 체결, 결합, 연계, 열위치, 오열위치, 교차위치, 1열배치, 2열배치, 다열배치, 교차배치, 차등배치, 바둑판배치, 지그재그배치 등이 된 1개 이상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도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콘 후 망, 봉 전 틀, 나선 상부 콘망, 봉틀 내부 콘망봉, 틀나선 일측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측면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b) 콘 후에 망, 봉 전에 틀, 나선 상부에 콘망, 봉틀 내부에 콘망봉, 틀나선 일측에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측면에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c) 콘의 후방에 망, 이의 내부에 봉, 상기 망의 외부에 틀, 이의 외부에 나선이 구비된 구비체, d) 1개 콘의 후방에 2개 망, 이의 내부에 2개 봉, 상기 망의 외부에 틀, 이의 외부에 2개 나선의 구비체, e) 타설재 흐름에 대한 전방향에 콘, 이의 일측에 콘망, 이의 일단에 봉틀, 이의 상부에 콘망봉, 이의 일단에 틀나선, 이의 측면에 콘망봉틀, 이의 상부에 콘망봉나선, 이의 일부에 콘망봉틀나선이 거치된 거치체, f) 콘 일측에 망, 이의 일부에 봉, 이의 일부분에 틀, 이의 1지점에 나선, 이의 2지점에 콘망이 구성된 구성체, g) 봉틀 2지점에 2개 콘망봉, 이의 전방에 틀나선, 이의 2곳에 2개 콘망봉틀, 이의 1지점에 콘망봉나선, 이의 양단에 2개의 콘망봉틀나선으로 구성된 구성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을 상기 전 내지 후방향 등에 구비 내지 지그재그배치 등을 시키는 이유는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을 상기 전 내지 후방향 등에 구비 내지 지그재그배치 등을 시킴으로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을 흐름, 통과 등을 하는 타설재, 원료, 물질 등이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에 접촉, 대면, 부딪힘 등이 되게 하여 타설재, 원료, 물질 등의 교반, 폭기, 와류, 자화, 육각수화, 파동화, 맥동화, 케비테이션 등을 하거나, 또는 이중 하나 향상, 상승, 촉진, 배가 등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자석, 전자석, 튜브, 파이프, 중공관, 중공체 등의 형상은 a) 콘형, 망형, 봉형, 틀형, 통형, 나선형, 원추형, 고깔형, 더블형, 다발형, 자유형, 돌기형, 와류형, 삿갓형, 중공형, 이중형, 다중형, 유공형, 다공형, 타공형, 천공형, 절곡형, 가변형, 회오리형, 스크류형, 깔대기형,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다중삿갓형, 중앙중공형, 중앙통로형, 피막경사형, 중공경사형, 양측 통로형, 중앙 통로에 자석 또는 자성체 끼움형, 상기 중 둘 이상 복합형; b) 콘망봉틀나선 복합형; c) 콘, 망, 봉, 틀, 나선 중 둘 이상 복합형; d) 자신의 용어 또는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진 형; 이의 예로는 십자 형상의 봉, 통 형상의 콘, 판 형상의 봉, 사다리 형상의 나선, e) 콘, 망, 봉, 틀, 나선 중 자신의 용어와 다른 형상을 가진 형; 이의 예로는 콘 형상의, 망 형상의 봉, 틀 형상의 나선, 망 형상의 콘, 틀 형상의 콘 등도 해당된다.
상기에서 복합형은 콘형, 망형, 봉형, 틀형, 통형, 나선형, 원추형, 고깔형, 더블형, 다발형, 자유형, 돌기형, 와류형, 삿갓형, 중공형, 이중형, 다중형, 유공형, 다공형, 타공형, 천공형, 절곡형, 가변형, 회오리형, 스크류형, 깔대기형,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다중삿갓형, 중앙중공형, 중앙통로형, 피막경사형, 중공경사형, 양측 통로형, 중앙 통로에 자석 또는 자성체 끼움형 중 둘 이상이 복합, 결합, 연합, 조합, 연결, 연계, 체결, 병합 등이 된 것으로, 이의 예로는 콘망형, 콘형과 망형, 봉틀형, 봉형과 틀형, 통나선원추형, 고깔더블다발형, 자유돌기와류형, 삿갓 중공이중형, 다중유공형, 다공가변형, 회오리깔대기형, 스파이럴지그재그형, 다중삿갓중앙중공형, 중앙통로피막경사형, 중공경사양측통로형 등이 해당된다.
상기 내용을 설명하면 콘형은 콘 형상, 망형은 망의 형상, 봉형은 봉의 형상, 틀형은 틀 모양 또는 상기 망의 올구멍보다 큰 올구멍을 가진 틀 형상, 통형은 통 모양, 나선형은 나선 모양, 원추형은 원추 모양, 고깔형은 고깔 모양, 더블형은 2개 또는 이의 이상 개수, 다발형은 2개 이상이 군 또는 다발을 이루는 것, 자유형은 모양이나 배치가 자유로운 또는 임의인 것, 돌기형은 돌기 모양 또는 돌기 형성, 와류형은 통과 물질을 와류시키는 또는 이를 하는 형상을 가진 것, 삿갓형은 삿갓 모양, 중공형은 내부가 빈 또는 내부에 중공 공간 등이 있는, 이중형은 2개 또는 이의 이상, 다중형은 2개 이상 층을 이루는 것, 유공형은 유공, 다공, 천공, 구멍이 있는 등; 다공형은 다공, 유공, 천공, 다수의 구멍이 있는 등; 타공형은 타공, 유공, 다공 등의 구멍이 있는; 천공형은 유공, 다공, 천공, 천공된 홀이 있는 등; 절곡형은 절곡 또는 휘어진, 가변형은 모양이나 배치가 변화되는, 회오리형은 통과 물질을 회오리시키는 또는 이를 하는 형상을 가진, 통로형은 중앙 또는 중심 등에 통로가 있는, 피막경사형은 경사진 피막을 가진 형상, 중공경사형은 내부가 중공이고 피막이 경사진, 양측 통로형은 입구 및 출구의 양측이 통로인, 중앙 통로에 자석 또는 자성체 끼움형은 콘 등의 중앙 통로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끼움, 이격끼움 등이 된 것 등이 해당한다.
본 발명의 a) 자석 구비 콘, b) 콘 구비 자석, c) 자석 구비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 봉틀, 콘망봉, 틀나선, 콘망봉틀, 콘망봉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에는 자석 기능 병합 콘, 콘 기능 병합 자석, 더블 또는 다발 콘 구비 자석, 자석 구비 콘 또는 물체, 콘 또는 물체 구비 자석, 자화형 자석 구비의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구비의 자화형 자석 등도 포함된다. 이를 설명하면 a) 자석 기능 병합 콘은 a1) 자석 기능을 가진 콘, 콘 형상의 자석, 자석 형상의 콘, a2) 자석 기능이 병합, 합체, 부여, 첨가, 추가 등이 된 콘, a3)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10, 16)이 구비, 부착, 장착, 관통, 끼움 등이 된 콘, 고깔, 깔대기 등(11)이 해당되고, b) 콘 기능 병합 자석은 a1) 콘 기능을 가진 자석, 콘 형상의 자석, 자석 형상의 콘, a2) 콘 기능이 병합, 합체, 부여, 첨가, 추가 등이 된 자석, a3) 콘, 고깔, 깔대기 등(11)이 구비, 부착, 장착, 관통 등이 된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10, 16)이 해당되고, c) 더블 또는 다발 콘 구비 자석은 2개, 더블, 트윈, 다발, 2개 이상 다발 등의 콘이 구비, 부착, 정착, 장착 등이 된 자석,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또는 2개 이상 콘이 구비된 자석, 2개 또는 2개 이상 콘의 내부를 관통하여 콘이 구비된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이 해당되고, d) 자석 구비 콘 또는 물체는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이 자신, 내부, 외부, 통로, 중공부, 중앙부, 중앙통로 등에 구비, 거치, 설치, 부착, 정착, 관통, 끼움 등이 된 콘, 물체, 이의 하나인 몸체, 고리, 고깔, 나선, 와류선, 스크류, 회오리선, 중공체, 깔대기 등이 해당되고, e) 콘 또는 물체 구비 자석은 자신, 외부, 외면, 길이방향 등에 콘, 물체, 이의 하나인 몸체, 고리, 고깔, 나선, 와류선, 스크류, 회오리선, 중공체, 깔대기 등이 구비, 거치, 설치, 부착, 정착, 관통, 끼움 등이 된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이 해당되고, f) 자화형 자석 구비의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는 물질을 자화시키는 자화형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이 구비, 거치, 설치, 관통, 끼움 등이 된 것으로 물질을 교반, 혼합, 폭기, 와류, 회오리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진 콘, 물체, 이의 하나인 몸체, 고리, 고깔, 나선, 와류선, 스크류, 회오리선, 중공체, 깔대기 등이 해당되고, g)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구비의 자화형 자석은 물질을 교반, 혼합, 폭기, 와류, 회오리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진 콘, 물체, 이의 하나인 몸체, 고리, 고깔, 나선, 와류선, 스크류, 회오리선, 중공체, 깔대기 등이 구비, 거치, 설치, 관통, 끼움 등이 된 자화형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자력에너지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a) 자석 기능 병합 콘, 콘 기능 병합 자석, 더블 또는 다발 콘 구비 자석, 자석 구비 콘 또는 물체, 콘 또는 물체 구비 자석, 자화형 자석 구비의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구비의 자화형 자석, b) 이중 하나 구비 자석, 자석군, 자성체, 자력체, 자화체, 파동체, 육각수화체, 자력파동체, 자화파동체, 자력에너지체에서 이중 하나는 a) 자석 기능 병합 콘, 콘 기능 병합 자석, 더블 또는 다발 콘 구비 자석, 자석 구비 콘 또는 물체, 콘 또는 물체 구비 자석, 자화형 자석 구비의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교반 또는 폭기 기능 콘 또는 물체 구비의 자화형 자석 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 구비 콘, 콘 구비 자석 등에서 콘(11)은 1) 형상이 콘형, cone, 원추형, 고깔형, 깔대기형, 중앙중공형, 중앙통로형, 피막경사형, 중공경사형, 양측 통로형, 중앙 통로에 자석 또는 자성체 끼움형, 상기 중 둘 이상 복합형, 2) 경사각이 1도, 10도, 20도, 25도, 30도, 40도, 45도, 50도, 60도, 70도, 75도, 80도, 89도, 1∼89도, 3) 일측 중공의 직경 또는 단면적이 타측 중공 직경 또는 단면적의 1.1∼5.0배, 4) 길이 또는 사길이가 상기 자석 길이의 0.1∼0.8배, 상기 일측 중공 직경의 0.1∼10.0배, 5) 상기 일측 중공 단면적이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 내부 단면적의 0.05∼0.9배, 또는 상기 자석 단면적의 1.1∼10.0배 중 하나 이상 콘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콘(cone)은 자석 구비 콘, 콘 구비 자석 등을 통과, 접촉, 지남, 흐름, 관통 등을 하는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졸, 겔, 물질, 재료, 원료, 액체, 유체 등을 교반, 폭기 등을 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교반, 폭기 등에 의하여 물질과 자석과의 접촉 등을 활발하게 하여 자석의 자화, 육각수화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통과, 접촉, 교반, 폭기 등의 물질의 자화, 육각수화 정도, 효율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 더하여 콘을 설명하면 콘의 형태는 콘형, 깔대기형, 삼각플라스크형, 중공형, 관통형, 중앙 관통형, 중앙축 관통형, 양측 구멍 형성형, 양측 중공 형성형, 길이 방향으로 양측 구멍 형성형, 양측에 입구 및 출구 구비형, 일측에 입구 및 타측에 출구 구비형, 자석 끼움형, 중앙에 자석 끼움형,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자석 끼움형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자석, 자성체, 전자석, b) 이중 하나 이상 구비 콘, 콘체, 봉, 봉체, c) 하기 중공체 내지 장비 등에 매입된 상기 자석 내지 봉체 등은 각각 1개 또는 1쌍 이상으로 상호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앞, 뒤, 면, 표면, 아래, 외부, 외면, 내면, 내부, 중공, 상부, 하부, 둘레, 주변, 인근, 중간, 후면, 전면, 전위치, 후위, 후위치, 동일면, 측면, 접촉면, 동일위치 등에 구비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의 예로는 1개 자석에 2개 콘 또는 봉 구비, 상호 연결된 2개 자석에 각각 2개 콘 또는 봉 구비, 1개 콘에 2개 자석 구비, 1개 자석에 콘, 봉, 나선 구비, 상호 연결된 3개 자석에 각각 3개의 콘, 봉, 나선 구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상기 자석 내지 중공체 중 하나는 상기 또는 하기 저장고 내지 장치, 이의 전, 후, 좌, 우, 상, 하, 위, 앞, 뒤, 면, 표면, 아래, 외부, 외면, 내면, 내부, 중공, 상부, 하부, 둘에, 주변, 인근, 중간, 후면, 전면, 전위치, 후위, 후위치, 동일면, 측면, 접촉면, 동일위치, 이음부, 연결부, 연결수단, 연결호스, 연결라인 등에 구비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자석 내지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매입되면서 타설재가 저장 또는 통과되는 조, 통, 함, 봉, 판, 막, 탱크, 박스, 수조, 튜브, 호스, 나선, 몸체, 물체, 블럭, 수단, 시설, 아연체, 금속체, 다공체, 파동체, 고분자체, 스크류, 파이프, 중공관, 중공체, 이중 하나 구비 저장고, 배합기, 펌프, 공급로,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양생기, 면처리기, 이중 하나 구비 장비, 자화장비, 타설장비 등은 상기 자화체, 와류체, 자화와류체 등이 구비, 매입 등이 된 조 내지 중공체로서 이는 하나의 자화기, 육각수기 등이 되고, 이는 휴대, 이동, 장착 등이 간단하고, 상기 또는 하기 저장고 내지 장비 등에 구비, 설치 등이 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자석 내지 자화에너지체, 이중 하나 이상 구비 콘, 콘체, 봉, 봉체, 콘 내지 콘망봉틀나선 등은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에 구비, 매입 등이 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또는 바람직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조 내지 중공체 등을 거친, 통과한 물질은 자화, 와류, 자화와류, 와류자화, 자화 후 와류, 와류 후 자화, 자화 중 와류, 와류 중 자화, 자화 후 2회 이상 와류, 와류 후 2회 이상 자화, 2회 이상 자화 중 와류, 2회 이상 와류 중 2회 이상 자화 등이 되게 된다. 여기서 2회 이상은 2회 이상이 가능하도록 2개 이상의 자석, 콘, 봉 등이 구비되면 된다. 이의 실시예로 2회 이상 와류 중 2회 이상 자화의 경우는 2개 이상 콘 또는 봉에 구비된 2개 이상 자석, 이가 매입된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자화 후 와류는 흐름 방향에 대하여 자석 뒤에 또는 후위에 구비된 콘 또는 봉, 이가 매입된 중공체 등의 경우가 해당되고, 그리고 자화 중 와류는 자석에 구비된 콘 또는 봉, 이가 매입된 중공체 등의 경우가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 내지 중공관 중 하나가 매입되는 탱크, 중공체'는 a) 상기 조 내지 중공관 중 하나가 매입되면서 타설재가 접촉 또는 통과되는 탱크, 중공체, b) 상기 자석 내지 자화에너지체, 이중 하나 구비 콘, 콘체, 봉, 봉체 등이 구비, 매입된 조 내지 중공관 중 하나가 매입된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적용예로는 통 매입 중공체, 파이프 매입 중공체 등과 같으며, 여기서 통, 파이프 등이 하나의 중공체 이므로, 상기는 통(중공체) 매입 중공체, 파이프(중공체) 매입 중공체 등이 되어 2중, 2겹 등의 중공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의 경우 물질이 통, 파이프, 중공체 등의 전체를 통과, 저류하는 경우 자석이 구비되어 통과 또는 저류 물질이 자화되는 통(중공체)이 매입된 것으로 자석이 비구비되어 통과 또는 저류 물질이 비자화되는 중공체, 자석이 구비되어 통과 또는 저류 물질이 자화되는 파이프(중공체)가 매입된 것으로 자석이 비구비되어 통과 또는 저류 물질이 비자화되는 중공체 등이 된다. 여기서 내부의 통, 파이프에는 자석, 전자석, 자성체 등이 구비되어 물질의 자화가 발생되고, 상기 통, 파이프 외부의 중공체에는 자석, 전자석, 자성체 등이 구비되지 않아 물질의 자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자화, 비자화의 2중 흐름층, 저류조 등이 형성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 기능기, 기능장치, 기능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50)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는 a) a1)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음이온(45), 자기장(41) 중 하나(40)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37) 또는 튜브형(37)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30, 37); 상기 전해는 전기분해, 방전은 전기방전 등이 해당. a2) 또는 자화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30, 31, 32, 33, 34, 15, 36)이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발생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여기서 도 17의 경우에는 4개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발은 튜브 또는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 또는 물질을 와류 또는 폭기 등은 한다.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a4) a41)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고전압발생기(99); a42)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103); a43) 상기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저장고(60),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a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발생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발생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유입구 내지 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이의 저장고(60)에는 물질, 첨가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85)이 저장되고, 이의 저장물은 상기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등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에 주입되고, 이의 주입물은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을 흐르는 물질에 첨가되게 된다. a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a7)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a8) 상기 a1) 자화기 내지 a7)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a9)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 37)가 구비된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a10)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a11) 상기 유출구(78), 유출호스(79) 등에 거치된 노즐, 충돌판(67) 및 확산콘(68) 구비 노즐, 내부에 충돌판 및 선단에 확산콘 구비 노즐, 와류판(67) 및 확장부(68) 구비 노즐; a12)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장치, 장치1,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펄스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30, 50);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빛,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장치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펄스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개폐간격(開閉間隔), 타이머 등에 의하여 압기가 공급(開), 무공급(閉), 공급(開), 무공급(閉) 등을 반복적으로 하여 시간차를 주는 펄스, pulse, 비주기적압력. 시간차압력, 진동압력, 충격압력, 펄스압기, 막혔다가(閉) 갑자기 뻥뚤리는(開) 압력 등이 발생되기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 이의 경우 유출구, 유출호스, 유출파이프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 또는 물질(80)은 펄스수, 펄스액, 펄스물질, 펄스압, 펄스압수, 펄스압액, 펄스압물질, 펄스압이 포함된 물질 등이 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 기능기, 기능장치, 기능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의 일예는 하기도 해당될 수 있다. 이는 a) a1)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상기 자화기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 구비; a2)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이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 구비; a3) 상기 유입구 내지 유출구 등 구비; a4) 상기 인젝터 내지 콤프레서 등 구비; a5) 상기 호스 내지 저장고 등 구비; a6) 상기 타이머 구비; a7) 상기 밸브 내지 전원공급기 등 구비; a8) 상기 케이스 구비; a9)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케이스 등 구비; a10)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등 구비; a11) 상기 노즐 등 구비; a12)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 구비; 등이 되는 장치, 장치1,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펄스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하나에 빛,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등이 분사된 장치;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하나에서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등이 방사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되는 또는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에서 자화물,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가 생성 또는 분사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노즐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살수,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i) 상기 a) 장치 내지 h) 장치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되는 또는 이용되는 상기 a) 장치 내지 h) 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 기능기, 기능장치, 기능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51)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는 a) a1)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회전, 분해, 전해, 방전, 살균, 음이온(45), 자기장(41) 중 하나(40)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37) 또는 튜브형(37)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30, 37); a2) 또는 자화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30, 31, 32, 33, 34, 15, 36)이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a3) 상기 튜브, 중공체, 자화기 내지 발생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티이관(75), 벤츄리관(77), 유출구(78); a4)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103), 저장고(60),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a5)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9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a6)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압기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또는 티이관(75); 상기 유입구 내지 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이의 저장고(60)에는 물질, 첨가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85)이 저장되고, 이의 저장물은 상기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등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에 주입되고, 이의 주입물은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을 흐르는 물질에 첨가되게 된다. a7)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a8)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a9) 상기 a1) 자화기 내지 a8)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a1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 37)가 구비된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a11)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10) 케이스; a12) 상기 유출구(78), 유출호스(79) 등에 거치된 노즐, 충돌판 및 확산콘 구비 노즐, 내부에 충돌판(76) 및 선단에 확산콘(68) 구비 노즐, 와류판(67) 및 확장부(68) 구비 노즐; a13)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장치, 장치2,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펄스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30, 51);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빛,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미스트, 살균물, 소독물,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미스트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진동물, 진동수, 가진물, 가진수,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오존물, 오존수, 오존공기, 미스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장치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 기능기, 기능장치, 기능장비,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의 일예는 하기도 해당될 수 있다. 이는 a) a1)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상기 자화기 내지 자기장 발생기 구비; a2)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이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 구비; a3) 상기 유입구 내지 유출구 등 구비; a4) 상기 체크밸브 내지 콤프레서 등 구비; a5) 상기 인젝터 내지 고전압발생기 등 구비; a6) 상기 호스 내지 저장고 등 구비; a7) 상기 타이머 구비; a8) 상기 배전반 내지 전원공급기 등 구비; a9) 상기 케이스 구비; a1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a1) 자화기 내지 a9) 케이스 등 구비; a11)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a1) 자화기 내지 a10) 케이스 등 구비; a12) 상기 노즐 구비; a13)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 구비; 등이 되는 장치, 장치2,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펄스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자기장 발생기 등(30, 51); b)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 내지 복합 등을 방사하는 장치; c)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장착된 장치; d)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되면서 상기 진동물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생성 또는 분사하는 장치; e) 또는 상기 빛 내지 피톤치드,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 이상이 방사 또는 구비 또는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중 어느 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f) 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질이 상기 유출구, 이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 중 하나를 통하여 배출 또는 분사되는 장치; g)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이 이용, 방사, 분사,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장치; h) 또는 상기 배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 내지 먼지제거 중 하나를 하는 장치; i) 상기 a) 장치 내지 h) 장치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되는 또는 이용되는 상기 a) 장치 내지 h) 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19, 20은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 기능기 등(50, 51, 52)의 유출구(78), 후단 등에 펌프 또는 가압기(63), 필터 또는 청정기(160), 노즐 또는 분사기(66) 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펌프 또는 가압기(63)는 기능기(50, 51, 52)의 통과 물질을 펌핑 또는 가압하는 것이고, 필터 또는 청정기(160)는 기능기(50, 51, 52)의 통과 물질을 여과하는 것이고, 노즐 또는 분사기(66)은 기능기(50, 51, 52)의 통과 물질을 분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기(50, 51, 52), 상기 장치1(50), 장치2(51), 장치3(52) 등의 입구, 전단, 유입구 등(72)에는 호스(70), 유입호스(70), 펌프 또는 가압기(63)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입구, 전단, 유입구, 호스(70), 유입호스(70) 등에는 관, 관로, 수도관, 압력관, 수도시설,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기능기(50, 51, 52)의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이중 하나의 측면, 외부, 중간; 에는 저장고(60, 85), 펌프(63), 체크밸브(91), 파이프(76) 등이 구비되어 저장고 내의 물질, 첨가제(85) 등이 펌프, 체크밸브, 파이프 등을 통하여 상기 기능기(50, 51, 52),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등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도 17의 장치1, 도 18의 장치2에서 케이스(102)가 생략된 장치3이다. 상기 저장고, 펌프, 체크밸브, 파이프, 기능기,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장치, 장치1, 장치2, 장치3, 자화기 내지 노즐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도 21, 2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 또는 장치가 2개 연계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의 예로는 하나 기능기(50) 또는 장치1의 후단 또는 유출구(78)에 다른 하나 기능기(51) 또는 장치2의 전단 또는 유입구(72)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의 반대로 다른 하나 기능기(51) 또는 장치2의 후단 또는 유출구(78)에 하나 기능기(50) 또는 장치1의 전단 또는 유입구(72)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의 경우 통과 물질은 하나 기능기(50) 또는 장치1과 다른 하나 기능기(51) 또는 장치1의 2개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처리 등이 된다. 여기서 도 17의 장치는 장치1, 도 18의 장치는 장치2, 도 19의 장치는 장치3으로 명명하였다.
도 21 a에는 노즐(66)의 상세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노즐은 노즐, 내부의 충돌판(67)과 선단의 확산콘(68)이 구비된 노즐, 내관(66-1)과 외관(66-3)이 구비된 노즐, 내관 홀과 외관 확산콘이 구비된 노즐, 내관 홀(66-2)과 내부 충돌판(67)과 외관(66-3) 확산콘(68)이 구비된 노즐, 내관 홀을 거친 물이 외관의 내벽에 충돌된 후에 내부 충돌판에 충돌되어 외관 확산콘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분사되는 노즐, 내관(66-1) 홀(66-2)을 1차 와류하면서 거친 물이 외관(66-3)의 내벽에 충돌되어 2차 와류된 후에 내부 충돌판(67)에 충돌되어 3차 와류하고 외관(66-3) 확산콘(68)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4차 와류하여 분사되는 노즐(66)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충돌판은 노즐의 통과 물질을 충돌, 와류, 폭기, 소용돌이 등을 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노즐(66), 내부, 충돌판(67), 선단, 확산콘(68), 내관(66-1), 외관(66-3), 내관 홀(66-2), 확산콘(68)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66), 호스(76, 79), 파이프(76, 79), 이송라인(64), 중공체(7, 37, 76, 77, 102, 104);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중간,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등에는 벤츄리관(77),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타이머(98), 콘센트(10), 플러그(11), 전원공급기(12),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이는 도 15 b 참조. 상기 노즐 내지 중공체 등을 통과하는 물질(80)이 벤츄리 또는 관축소부를 거치면서 유로가 작아지므로 속도가 빨라져 부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벤츄리 또는 관축소부에 연계된 인젝터를 통하여 외부의 물질, 첨가제 등(82, 83, 84, 85)이 무동력으로 상기 노즐 내지 중공체 등으로 유입되어 상기 노즐 내지 중공체 등의 통과 물질에 외부의 첨가제가 무동력으로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크밸브)91)는 일방향 열림 밸브로서 상기 통과 물질이 인젝터로 유출되지 못하게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는 상기 타이머(98)의 조정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열리고 닫혀 상기 첨가제의 유입 시간 또는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전원공급기 등은 상기 타이머, 솔레노이드밸브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상기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복합기 등은 a) 진동(42), 가진(43), 자기장(41)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진동기, 자화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7, 30, 37), b)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상기 발생 수단 거치대(112),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c)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고전압발생기(99);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압기유입구(94, 104), 이의 압기유입구 후단에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중 하나 이상, d)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2);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파이프 중 하나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펌프(63); 중 하나 이상, e)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f)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 중 하나 이상, g) 상기 a) 진동기 내지 f) 전원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가 구비된 장치1(50)이 가능하다.
2) 또한 상기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복합기 등은 a) 진동(42), 가진(43), 자기장(41)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진동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30, 37), b)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상기 발생 수단 거치대(112), 후단에 티이관(75), 벤츄리관(77), 유출구(78) 중 하나 이상, c)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103, 104),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중 하나 이상, d)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9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중 하나 이상, e)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2);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체크밸브 내지 압기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또는 티이관(75); 상기 파이프 중 하나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펌프(63); 중 하나 이상,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g)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 중 하나 이상, h) 상기 a) 진동기 내지 g) 전원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가 구비된 장치 2(51) 등이 가능하다.
3)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에서 a) 유입 호스(72)의 전단에는 유입관, 수도관, 압력관, 유입파이프, 압력수, 수도수, 압력공기 등(70); b) 유출 호스(79)의 유출구에는 노즐(66), 분사기(66), 분무기(66), 와류판(67)이나 확장부(68) 등이 구비된 노즐(66) 등; c) 상기 관(73, 74, 75, 77), 호스(72, 79), 파이프(76), 중공형(37), 튜브형(37) 등에는 진동, 가진, 자화, 자지장, 오존, 진동기,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이중 둘 이상 복합 등(30, 31, 32, 33, 34, 40, 41, 42, 43', 44); 상기 펌프(63)에는 저장고(60); 상기 케이스(102)에는 공기 구멍(101); 등이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조성, 형성, 공급, 발생 등이 될 수 있다.
4) 상기 자화진동가진기(30, 36)는 a) 상기 장치 1(50) 또는 2(51)의 상기 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37)에서 제공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중 하나와 상기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을 상기 유입구(72)와 유출구(78)의 통과 물질(80)에 유입, 유입하여 상기 통과 물질을 처리; b) 상기 유출구 내지 분사구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통과 물질(80)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12) 상기 자화진동오존기(30, 36)는 a) 상기 장치 1 또는 2의 상기 진동기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34),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중 하나(34)가 구비된 것이다. 13) 상기 진동가진오존기(30, 36)는 상기 장치 1, 장치 2, 진동기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디퓨저,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것이다.
5)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30, 36)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36), 상기 장치1(50)과 장치2(5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와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 1과 2가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1 및 2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8)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 2와 1이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2 및 1을 통과하여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등이 해당된다.
6)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의 제조 예를 들면 a) '상기 원통관 ∼ 가진기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거치'에서 상기 원통관 ∼ 가진기에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등이 포함되므로 이의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에 오존기가 거치되어 조성되는 자화진동가진오존기; b) 이와 다르게 원통관(123) 또는 이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가 장착된 자화진동가진오존기; c) 상기 판(126)에 이격되어 침(127)이 거치된 오존기(34)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가 거치된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이 해당된다.
7) 상기 자화진동기(30, 36)는 하기 자화진동기 1, 2, 3, 4, 5, 6, 7 등이다. 7-1) 상기 자화진동기 1은 상기 자화기(31), 가진기(33), 오존기(34)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32)가 거치된 것이다. 7-2) 상기 자화진동기 2는 진동기(32)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31)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31)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32)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등이다. 7-3) 상기 자화진동기 3은 a) 진동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42);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실시간,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41);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실시간,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42)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7-4) 상기 자화진동기 4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진동기이다. 7-5) 상기 자화진동기 5는 a) 상기 자기장 ∼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중 하나(41)가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41);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실시간,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42)이 발생되고, c) 상기 진동(42);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실시간,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7-6) 상기 자화진동기 6은 전체 진동(42) 중 진동기(32)에 의한 진동(42) 50∼99.99%와 자기장(41)에 의한 진동(42)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진동기(32)에 의한 진동(42) 50∼99.99% 후에 자기장(41)에 의한 진동(42)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41)에 의한 진동(42) 0.01∼49.99%와 진동기(32)에 의한 진동(42)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41)에 의한 진동(42) 0.01∼49.99% 후에 진동기(32)에 의한 진동(42)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등이다. 7-7) 상기 자화진동기 7은 케이스(7), 이의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2), 이의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1), 이의 로터 회전축(3), 이의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5),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5),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 이의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 또는 자화가진기(36)가 구비된 자화진동기이다.
8) 상기 자화가진기(30, 36)는 하기 자화가진기 1, 2, 3, 4, 5, 6 중 하나이다. 8-1) 상기 자화가진기 1은 상기 자화기(31)에 상기 진동기(32), 가진기, 오존기(34)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것이다. 8-2) 상기 자화가진기 2는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41)에 더하여 진동(42)을 발생하는 진동기(32) 또는 자화가진기(36)이다. 8-3) 상기 자화가진기 3은 1개 이상의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1개 이상의 자화기(31)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8-4) 상기 자화가진기 4는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8-5) 상기 자화가진기 5는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8-6) 상기 자화가진기 6은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7)에서 발생하는 진동(42), 자기장(41)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가진기이다.
9) 상기 진동오존기(30, 36)는 a) 상기 타이머(98)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압기(壓氣), 오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간격 만큼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과하는 물질(80)에 유입시키거나, b)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주기로 유입되는 압기의 펄스압을 가진 상기 통과 물질 또는 펄스형의 통과 물질을 상기 유출구(78); 이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10) 상기 가진오존기(30, 36)는 a) 상기 장치 1(50), 장치 2(51), 유출구(78); b)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10) 상기 자화기(30, 31)는 a) 물질을 자화(40, 41)하거나 또는 자기장(40, 41)을 발생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진동형 자화기, 자화진동형 자화기; b) 또는 상기 진동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 자화 및 진동 및 가진 및 오존처리 기능을 가진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이다.
11) 상기 진동기(30, 32)는 하기 진동기 1, 2, 3, 4 중 하나이다. 11-1) 상기 진동기 1은 a) 진동(40, 42)하면서 자기장(40, 42)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형 진동기, 자화진동형 진동기; b) 또는 상기 진동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 자화 및 진동 및 가진 및 오존처리 기능을 가진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이다. 11-2) 상기 진동기 2는 케이스(7), 이의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2), 이의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1), 이의 로터 회전축(3), 이의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5),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5),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 이의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가 구비된 진동기이다. 11-3) 상기 진동기 3은 상기 케이스 내지 비대칭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서 자기장(40, 41)이 발생되는 진동기이다. 11-4) 상기 진동기 4는 상기 케이스 내지 비대칭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서 진동(42)과 자기장(41)이 발생되는 진동기이다.
12) 상기 가진기(30, 33)는 가진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화가진기, 자화형 가진기, 자화가진형 가진기; b) 또는 가진하는 상기 자화기 ∼ 자화 및 진동 및 가진 및 오존처리 기능을 가진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이다.
13) 상기 오존기(30, 34)는 진동(40, 42), 가진, 자화(40, 41), 자기장발생(40, 41)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40, 44)을 발생하거나; 또는 오존처리(40, 44)를 하는; a) 오존기, 자화형 오존기, 진동형 오존기, 가진형 오존기, 자화진동가진형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이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b) 또는 상기 진동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 자화 및 진동 및 가진 및 오존처리 기능을 가진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이다. 여기서 원통관, 이중관, 코일, 판, 침, 솔 등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등이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오존 등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기능은 기능, 성능, 技能, 機能, 性能, function; 상기 자화 ∼ 복합처리, 정화 ∼ 복합; 등이 해당되고, 기능물(40)은 기능물, 기능물질, 상기 자화물 ∼ 복합물 등이 해당되고, 기능기(30)는 기능기, 技能器, 技能機, 機能器, 機能機,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이 해당되고, 기능제는 기능제, 기능재, 技能劑, 技能材, 機能劑, 機能材, 상기 정화제 ∼ 복합제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기능물(40)은 상기 기능기, 자화기 ∼ 복합기 등을 거친, 접촉한, 또는 등을 통과한, 또는 등으로 처리된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재료, 자재, 소재, 원료, 기능물; 또는 상기 자화물 ∼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능물(40)은 기능기(30, 50, 51), 이에 연계된 노즐(66), 호스, 배출구(79), 주입기, 타설기, 분사기(66) 등을 통하여 재료, 자재, 건자재, 기능제, 건물, 구조물, 공장, 현장, 장비, 공장 내부, 장비 주변, 주변 공기 등에 이용, 주입, 투입, 분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복합에 속하는 자화오존, 진동오존, 가진오존, 압기오존, 펄스오존, 오존자기장, 자화진동오존, 자화가진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등은 자화, 자기장, 오존, 진동, 가진, 압기, 펄스, 펄스압, 제트압, 주기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 또는 펄스압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또는 둘 이상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또는 둘 이상으로 처리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자화진동가진오존의 경우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로 구성; b)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이 발생 또는 방사; c) 자화, 진동, 가진, 오존으로 처리; d) 그리고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 또는 펄스압은 충격, 전기, 펌프, 펌프압, 전기충격, 물리충격, 해머충격, 낙하물충격, 공기충격, 압축공기충격(83), 압기(83, 63)의 공급과 중단 반복, 펌프압의 공급과 중단 반복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펄스는 펄스, 펄스압, 제트압, pulse, pulse poressure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압기는 압기(83, 63), 壓氣, 압축공기, compressed air, 콤프레셔에서 제공되는 압기(83), 풍력콤프레셔에서 제공되는 압기(63)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기의 공급과 중단 반복의 예로는 콤프레셔(105)에서 제공되는 압기(83)의 공급과 중단이 반복적으로 되는 곳, 관, 장소, 대상, 호스(79), 튜브(76), 드론, 노즐(66), 분사기(66), 파이프(76), 벤츄리관(77) 등에서 발생되는 펄스, 펄스압, 제트압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콤프레셔(105)에서 제공되는 압기(83)가 유입되는 파이프(76) 또는 벤츄리관(77)에 있어서 타이머(98)에 의하여 타이밍된 시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를 열고 닫고를 반복하여 상기 유입을 가함, 중지함을 반복적으로 또는 상기 유입의 on, off를 반복적으로 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벤츄리관에 압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또는 가해지는 펄스, 펄스압, 제트압, pulse, pulse poressure 등이 해당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76) 또는 벤츄리관(77); 이를 통과하는 수, 물, 액, 유, 물질, 유체, 액체, 공기, 기체, 분말, 입자 등(80)에는 펄스, 펄스압, 제트압; 이에 의한 와류, 교반, 충격, 압력, 충격압, 케비테이션, 무동력교반, 무동력와류; 등이 발생된다. 이에 의하여 통과 입자(80)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분사력이나 충격력이 매우 강한 물질(80)을 주입, 분사, 타설, 인젝션, 그라우팅 등을 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17, 18 참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은 자화, 자기장, 오존, 진동, 가진, 압기, 펄스, 펄스압, 제트압, 주기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 또는 펄스압 중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 또는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장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의 예로서 자화진동가진오존기의 경우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로 구성; b)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이 발생 또는 방사되는 장치; c) 자화, 진동, 가진, 오존으로 처리하는 장치; d) 그리고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타설구에 진동기, 기능기 등이 구비된 타설기 또는 펌프카(205)를 나타낸다. 그림 a는 기존의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b는 외부에 기능기(30) 또는 진동기(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c는 내부에 기능기(30) 또는 진동기(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d는 내부 및 외부에 기능기(30) 또는 진동기(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e는 기능기(30) 또는 진동기(32)가 거치된 튜브(104)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f는 봉(212), 줄, 끈, 링, 철사, 밴드, 롯드(212), 호스(8), 케이블(6), 진동기 호스(8), 진동기 케이블(6), 연결수단 등에 의하여 연결된 기능기(30) 또는 진동기(32)가 거치된 튜브(104)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등이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5)는 차량의 후단에 구비된 것으로 콘크리트(80)가 투입되는 호퍼(61), 콘크리트(80)를 펌핑 또는 가압하는 실린더(206), 차량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높이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붐대(207), 상기 투입 또는 가압된 콘크리트(80)를 타설현장으로 이동하는 이송관(208), 상기 이송관(208)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호스(209), 엔드호스(209)의 타설구(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61)에 투입된 콘크리트(80)는 실린더(206)의 펌핑으로 이송관(208)과 엔드호스(209)를 통해 현장, 형틀, 거푸집,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등에 타설된다. 상기 호퍼 내지 엔드호스, 펌프카, 타설구 등에는 진동기, 상기 기능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기능, 기능물, 자화 내지 복합,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의 발현이 가능하다. 상기 붐대(207)에는 관절(207-1), 관절 양측의 붐(207-2), 상기 붐을 거동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207-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설구(200)는 상기 엔드호스(209)의 선단(201), 단부(201), 선단부, 끝단(201)에서 2m 이내 범위(202), 끝단(201)에서 2m 이내 구간(202), 끝단(201)에서 2m 까지의 범위(202), 끝단(201)에서 2m 까지의 구간(202) 등이 해당될 수 있고, 이에는 진동기(32), 기능기(30, 37)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타설구, 이에 진동기가 구비된 복합체 등은 하나의 진동기(32)가 되고, 이로부터 진동(42) 등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설구(200)는 a) 펌프카; b) 펌프카의 붐대, 이송관, 엔드호스(end hose); c) 상기 붐대에 거치된 이송관, 엔드호스; d) 상기 이송관에 연계된 엔드호스; e) 상기 자신 내지 엔드호스 중 하나의 말단, 선단;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또는 하나 이상이 해당될 수도 있다. 상기 붐대(207)는 붐, 붐대, 신장붐, 다단붐, 펼쳐진붐, 공중으로 펼쳐진붐, 관절(207-1) 또는 피스톤(207-3)이 구비된 붐 또는 붐대, 일정의 높이와 거리를 이동하는 붐대, 관절(207-1) 또는 피스톤(207-3)의 거동에 의하여 일정의 높이와 거리를 이동하는 붐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송관(208)은 이송관, 압송관, 콘크리트 이송관, 붐에 장착된 콘크리트 호스, 붐에 장착된 콘크리트 파이프, 붐에 장착된 콘크리트 이송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엔드호스(209)는 엔드호스, 선단호스, 말단호스, 끝단호스, end hose, 엔드파이프, 엔드자바라, 엔드자바라호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선단은 선단, 말단, 끝단, 단부, 선단부 등이 해당된다.
도 23 a는 1) 차량, 타설기, 펌프카 등(205)의 호퍼(61), 이에 주입된 콘크리트980) 등에 빛, 광, 살균광, 자외선, 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등, 램프, 전등, 광원(452); 2) 상기 호퍼, 콘크리트 등에 투입되는 첨가제(85), 이의 저장고(60); 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는 소독제, 살균제, 방수제, 방수액, 피톤치드, 구체방수제,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타설구(200)에 의하여 형틀(250)에 콘크리트(80) 타설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여기서 타설구(200)는 콘크리트 타설하면서 진동하는 진동기이거나, 또는 진동기, 기능기 등(30, 32, 40)이 구비된 타설구이다. 그림 a는 형틀(250)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의 상부에서 타설구(200)를 통하여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고, 그림 b는 형틀(250)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에 타설구(200)가 접하여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고, 그림 b는 형틀(250)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에 타설구(200)가 접하여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고, 그림 c는 형틀(250)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에 타설구(20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고, 그림 c는 형틀(250)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80)에 진동기(30, 32)가 삽입 진동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이다. 그림 a에서 타설구(2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진동하고, 그림 b 및 c에서 타설구(200)는 기 타설된 콘크리트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진동하고, 그림 d는 타설과 동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한다. 상기 타설구, 형틀, 콘크리트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의 고층타설용 타설기, 유동화기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타설기 또는 유동화기는 a)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호퍼(61); b) 상기 호퍼에 투입된 콘크리트를 펌핑 또는 가압하는 실린더(206), 피스톤(206), 펌프, 가압기; c)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상기 실린더(206), 피스톤(206); d) 상기 호퍼 내지 가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208); e) 상기 이송관에 연계된 엔드호스(209); f) 상기 엔드호스의 단부인 타설구(200); g) 상기 호퍼 내지 타설구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코일(16),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기능기(30), 살균기, 유동화기, 코일 또는 자화기 또는 기능기 구비의 중공체(104); h) 상기 이송관(208)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관 또는 단관의 사이, 내부, 외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i)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j) 전원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살균제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상기 코일 내지 중공체; k)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중공체; 등으로 구성된다.
도 25의 그림 a는 코일(16), 자화기(31), 진동기(32), 복합기(36), 기능기(30) 등이 구비된 중공체(104)가 5개 거치된 이송관(208)을 보여준다. 그림 b는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된 중공체(104) 2개가 거치되고,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등(16, 30, 31, 32, 33, 34, 35, 36)이 3개 매입된 이송관(208)을 보여준다. 그림 c는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등이 5개 매입된 이송관(208)을 보여준다. 상기 코일(16)은 이송관(208); 이의 내부, 외부; 등에 별도로 독자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코일, 중공관 등에 전기, 전원 등이 공급되면 자기장, 전기장 등이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이송관을 이송 또는 통과하는 물질, 재료, 콘크리트 등은 자화, 연화, 유동화, 슬러리화, 고층이송 등이 된다. 상기 중공체는 이송관을 구성하는 단관의 외부, 연결부 등에 구비가 가능하고, 여기서 중공체가 2개 이상 단관 사이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경우 소켓, 클램프, 나사, 볼트, 프랜지 등에 의하여 연결이 가능하다. 이의 연결 예로는 도 7 d를 참조한다.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등이 이송관의 내부에 매입되는 경우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등은 줄, 선, 끈, 링, 철사, 밴드, 거치대, 지지대 등에 의하여 이송관의 내부에 지지 또는 거치가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이송관, 압송관, 이송라인 등은 1개, 2개, 10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의 관, 단관, 짧은관, short pipe 등이 연결되어 전체 길이를 형성한다. 상기 코일 내지 기능기, 중공체 등에 의하여 이송관을 통과하는 콘크리트, 물질, 재료 등은 유동화, 활성화, 슬러리화, 슬럼프치증가, 유속증가, 슬립존유속증가, 이송관 내벽의 마찰감소, 빠른고층이송, 빠른고층타설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관(208)에 의하여 이송된 콘크리트(80)가 폼, 형틀, 거푸집, 슬립폼 등(250)에 타설되어 경화된 후 건물, 구조물 등(310)이 조성된다. 여기서 건물, 구조물 등(310)에 내진 보강을 위하여 1층에 ×형, □형, ×형과 □형의 복합형의 내진자재(130)가 적용된 것을 보여준다.
도 26, 27은 본 발명에 의한 타설구 또는 콘크리트 타설구(20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몰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시멘트재, 아스팔트재 등(80)의 타설구(200), 펌프(63)의 타설구(200), 펌프카(205)의 타설구(200); 이중 하나의 면, 속, 표면, 내면, 내부(도 20 b), 단부(201), 일단(201), 양단, 선단(201), 구멍, 외부(도 20 a, c, d, e), 외면, 외주, 공간, 중공부, 선단부, 축방향, 길이방향, 수평방향, 수직방향, 경사방향, 단면방향, 공급방향, 콘크리트 공급방향(도 20 b, c에 표기), 단부에서 2m 까지(202), 단부에서 콘크리트 공급방향으로 2m 까지(202)(도 20 b, c에 표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기능기, 진동센서(도 20 d), 진동소자(도 20 d), 막진동기(도 20 d), 봉진동기(도 20 a, b, c, e), 복수진동기, 자화진동기, 가진진동기, 오존진동기, 음이온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진동기 등이 구비된 것을 보여준다. 도 19의 a, b, d, e 등에서 타설구(200)는 콘크리트가 이송, 타설 등이 되는 호스, 파이프 등(64)의 선단, 선단부, 타설부, 선단일부, 단부에서 2m 까지(202) 등이 해당되고, c에서 타설구(200)는 상기 호스, 파이프 등(64)의 선단(201)에 구비된 관, 튜브, 길이 2m 이내의 튜브 등(200)이 해당된다. 상기 타설구는 진동기, 진동을 하는 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형 콘크리트 타설구, 콘크리트 진동타설구, 콘크리트 타설구 진동기 등이 된다. 여기서 진동기, 기능기 등은 줄, 끈, 링, 밴드, 철사, 철선, 고무줄 등(203)이나 용접, 나사, 볼트, 플랜지 등에 의하여 타설구에 정착될 수 있다. 상기 타설구(200)에는 노즐(66), 호스(64), 펌프(63), 펌프카(205), 혼합기(62), 호퍼(61), 저장고(60) 등의 장비(38)가 연계될 수 있다.
도 26에서 그림 a는 외부에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b는 내부에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c는 엔드호스의 선단에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구비된 파이프(104)가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d는 내부 및 외부에 소형의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e는 외부에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철사 등으로 장착된 타설구(200)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타설기(205), 타설구(200), 이송관(208), 엔드호스(209), 중공체(76, 77, 102, 104); 이중 하나의 상, 중, 하, 내부, 외부, 선단, 하부; 등에는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27), 방전기, 살균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30, 40),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등은 상기 타설기 내지 중공체 등을 통과하는 물질, 콘크리트 등을 자화, 진동, 가진, 파동, 파동,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교반, 방전, 소독, 살균 등을 한다.
도 27은 진동기(32), 기능기(30) 등이 장착된 튜브 또는 중공체(104) 등이 구비된 타설구(200)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림 a는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내부에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104)가 이격되어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b는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내부에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104)가 밀착되어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c는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외부에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104)가 이격되어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d는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외부에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104)가 밀착되어 구비된 타설구(200), 그림 e는 진동기(32) 또는 기능기(30)가 내부에 거치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102, 104)가 이격되어 구비된 타설구(200) 등을 나타낸다.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37, 102, 104)는 콘크리트의 이송관(208), 호스, 엔드호스(209), 타설구(200) 등에 연결되고, 여기서 연결은 잭, 연결잭, 끈, 철사, 링, 밴드, 소켓, 플랜지, 나사, 볼트, 너트, 조인트, 조임밴드, 호스밴드, 연결수단, 나사형성소켓, 볼트와 너트, 볼트구멍 형성 플랜지와 상기 볼트구멍에 삽입된 볼트, 볼트구멍 형성 플랜지(57)와 상기 볼트구멍에 삽입된 볼트(58)와 상기 볼트에 끼움된 너트(59) 등에 의한다. 상기 튜브 또는 중공체(37, 102, 104); 이중 하나의 속, 내부, 외부; 등에는 팬, 나선, 스크류, 회전기, 교반기, 회전교반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발생, 형성 등이 가능하다.
도 28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40∼46)을 하거나, 또는 코일(16), 회전기(27),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36)이 이용 또는 구비된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 b, c, d는 봉(212), 대, 줄, 선, 끈, 막대, 철사, 롯드(212), 호스(8), 케이블(6), 스프링, 연성봉, 강성봉, 탄성봉, 연성재, 탄성재, 지지대, 거치대, 진동기 호스(8), 진동기 케이블(6) 등에 의하여 1개 이상의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이 이격되어 연결된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림 b, d는 자신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이 구비되면서 상기 줄 내지 거치대 등에 의하여 자신과 이격되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이 연결된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림 e는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의 외부에, 또는 등과 이격되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이 장착된 것이다. 상기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을 통과하는, 통과된 등의 물질, 재료, 콘크리트 등(80)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40∼46)이 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36)은 이송관(208),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등에 또는 등에 이격되어 1개 이상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2개 이상의 경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은 다발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된다. 이의 예로서 2개 이상 자화기의 경우 다발 자화기, 2개 이상 진동기의 경우 다발 진동기 등이 해당된다. 도 21의 그림 a, b, e는 각각 1개, 그림 c는 2개, 그림 d는 3개의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코일(16)은 이송관(208), 타설구(200), 타설호스(209), 엔드호스(209); 이중 하나의 내부, 외부; 등에 별도로 독자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코일, 중공관 등에 전기, 전원 등이 공급되면 자기장, 전기장 등이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이송관, 타설구, 타설호스, 엔드호스을 이송 또는 통과하는 물질, 재료, 콘크리트 등은 자화, 연화, 유동화, 슬러리화, 고층이송 등이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타설구(200)를 통하여 물질, 콘크리트 등을 진동하면서 타설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29의 그림에서 a는 무근 형틀(250)에 콘크리트(80) 타설, b는 철근(260) 배근 형틀(250)에 콘크리트(80) 타설, c는 침적 또는 누적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80) 상부에 타설구(200)가 이격되어 콘크리트(80) 타설, d는 침적 또는 누적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80)에 타설구(200)가 일부 인입되면서 콘크리트(80) 타설, e는 침적 또는 누적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80)에 타설구(200)가 완전히 인입되면서 콘크리트(80) 타설 등의 예를 보여준다. 그림 b에서 2개 이상 가닥의 철근(260) 연결시에는 철근커플러(27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타설구, 형틀, 철근, 철근커플러, 콘크리트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가 구비된 장비를 이용하여 자재, 구조물 등의 조성하거나 또는 조성하는 공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원료, 물질, 재료, 물, 모래, 자갈, 시멘트, 혼화제 등이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날개(176) 구비 혼합기(62), 펌프(63), 호스(64), 노즐(66), 드론(65),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등의 장비에 의하여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이송, 분사, 타설, 양생, 경화, 면정리, 면처리 등이 되어 자재(309), 파일(309),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가 이용되는 건물, 자재로 축조되는 구조물 등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자재의 하나인 파일(309)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장비, 자재 내지 구조물, 파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1, 32, 3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사 또는 정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기능기(30)는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날개(176) 구비 혼합기(62), 펌프(63), 호스(64), 노즐(66), 드론(65),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차량(170),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에 거치가 가능하다. 상기 공사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으로 구성된 장치(38), 이를 거친 콘크리트(80), 콘크리트(80) 타설 등에 의하여 시행이 가능하다. 상기 공사, 형틀 등에 의하여 건물, 시설, 구조물 등(310)이 조성된다. 상기 형틀(250), 건물(310), 시설, 구조물(310) 등의 내부에는 콘크리트(80), 철근(260), 커플러(270) 거치 철근(260) 등이 타설, 배근, 거치, 매입 등이 되게 된다. 그리고 도 24, 25, 26 등은 원료, 재료, 바인더, 액상 재료 등이 펌프(63), 호스(64), 노즐(66), 드론(65), 모빌리티, 3D프린터(320), 롯드(174), 날개(176), 호스 구비 드론(65), 노즐 구비 드론(65), 날개(176) 구비 롯드(174), 롯드(174)에 구비된 날개(176); 이중 하나 이상 구비 차량(170); 등을 통하여 주입, 투입, 타설, 분사, 인젝션,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펌프 내지 차량 등에 상기 기능기(30)의 거치가 가능하다. 상기 저장고 내지 차량, 펌프 내지 차량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1 a는 터널 굴착면; c는 시설물(301); b는 사면, 법면, 비탈면; c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10); d는 수중(315), 지중; 등에 상기 주입 내지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2 a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09); b는 건물 균열부(311); c는 호수, 저수지(315); d는 댐, 제방, 도로(180); e는 지반, 지중, 지하(180); f는 정화조(140); 등에 상기 주입 내지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기능기(30)는 수처리(315), 정화조(140)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정화조(140)는 정화조 탱크(140), 오염수(80) 유입구, 응집제(85) 주입기(142), 정화조 내부 파이프(143), 정화조 하부 침전지(144), 정화조 바닥의 침전밸브(145), 정화조 내벽과 상기 파이프 사이의 다공필터(146), 정화조 상부 수면에서 회전하면서 스컴을 수집하는 회전형 스크레이퍼(147), 스크레이퍼에서 수집된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148), 스컴 유입구에 연계된 스컴 배출구(149), 정화조의 상부로 상등(141)되는 정화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30)의 거치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와 응집제의 교반, 와류 등이 왕성하여 고속 반응 및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수의 처리시간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이 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을 통하여 정화되어 정화수가 된다.
도 33에서는 a) 백호(170), 굴삭기, 보링기, b) 이중 하나의 회전수단(173) 및 롯드(174) 또는 회전축(174), c) 이의 롯드에 연계된 상기 호스(64), d) 이의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바인더(191), e) 상기 롯드에 구비된 날개(176), 비트(177), 길이가 상이한 2개 이상의 날개(176); f) 지중에 관입되는 회전축(174), 롯드(174), 날개(176), 비트(177); g) 상기 롯드 또는 날개의 회전(175), h) 이의 회전에 의하여 바인더(191), 토사(190), 잔토(190), 슬라임(192), 섬유 또는 보강재(193) 등의 혼합; i) 이의 혼합에 의하여 지중에 형성된 기초(195), 파일, 지중기초, 지하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195), 원통(196) 및 콘(197) 형상의 기초(195), 변단면 또는 깔대기(197) 형상의 기초(195), 대원통(196) 및 콘(197) 및 소원통(198) 형상의 기초(195); j) 상기 혼합 중 지상으로 배출되는 슬라임(192); k) 상기 지중기초에 관입되는 철근, 철골, 와이어, 보강재, 커플러가 거치된 상기 철근 내지 보강재(193); ℓ) 상기 관입하는 장비(171), 압입기, 크레인(171); m) 상기 관입에 의하여 보강재로 보강된 지중기초(195); n) 굴착기의 굴착에 의하여 지중에 형성된 지하벽, 지중벽(195); o) 상기 지하벽, 지중벽 등에 투입되는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커플러 거치의 철근케이지, 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p) 상기 철근 내지 콘크리트 등이 투입된 지하벽, 지중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195); q) 지상에서 바인더(191), 토사(190), 잔토(190), 슬라임(192), 섬유 또는 보강재(193) 등을 혼합, 포설, 다짐 등을 하는 백호(172), 이의 버켓(177); r) 상기 포설 중에 투입된 철근, 철골, 와이어, 보강재, 커플러가 거치된 상기 철근 내지 보강재; s) 상기 혼합, 포설, 다짐 등에 의하여 지상에 형성된 기초(194), 표층기초(194), 매트기초(194); t) 상기 철근 내지 보강재 등으로 보강된 기초, 표층기초, 매트기초(194); 등을 보여준다. 상기 백호 내지 매트기초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1, 32, 33 등에서는 기능기(30, 50, 51, 52)에서 생성되는 오존, 음이온, 오존수, 음이온수 등을 기능기(30, 50, 51, 52), 펌프 또는 가압기(63), 필터 또는 청정기(160), 노즐 또는 분사기(66) 등을 통하여 공중, 지상, 현장, 공사장 등에 분사하여 공사 중 균,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등을 청정, 정화, 제거 등을 하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도 25, 26, 27에서는 제조, 공사 등에 있어서 기능기 구비, 기능물 발생 등이 되는 저장고(60), 호퍼(61), 혼합기(62), 펌프(63), 호스(64), 노즐(66), 드론(65),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저장고에 저장, 호퍼에 투입, 혼합기에서 혼합, 펌프로 펌핑, 호스 또는 드론으로 이송, 호스 또는 노즐 또는 드론으로 타설, 형틀에서 성형, 양생기로 물, 증기 등을 분사(66)하여 양생, 경화기로 양생 콘크리트 경화, 면정리기로 굳은 콘크리트 면정리, 면처리기로 형틀해체 콘크리트의 면처리 등이 적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4에는 a) 백호, 굴삭기,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b) 이중 하나의 붐(513), c) 이 붐의 암(514), d) 이 암의 선단(515), e) 이 선단의 회전수단(516); f) 이의 회전수단에 장착된 축, 롯드(520); 회전형(527)의 상기 축, 롯드(520); g) 상기 축 또는 롯드의 선단에 장착된 비트(524); h)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으로 구성된 타설 장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축(520)에 구비된 날개(176)는 길이가 상호 동일 또는 가변인 특징을 가진다. 상기 축(520) 또는 날개(176)에는 돌기(523)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축, 롯드 등(520)은 백호,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이중 하나의 붐(513), 이 붐의 암(514), 이의 암 선단(515) 등에 구비되고, 상기 축, 롯드 등에는 호스(64), 펌프(63), 배합기(62), 호퍼(61), 저장고 또는 사일로(60) 등이 연계되어 바인더, 고화재 등(80)이 공급된다. 상기 바인더, 고화재 등(80)은 축, 롯드(520), 이중 하나의 노즐(525), 비트(524), 비트 구멍(525) 등을 통하여 지반(180) 등에 상기 주입 내지 그라우팅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 기둥고화체, 그라우팅체, 변단면 기초, 등단면 기초 등이 조성된다.
도 35는 a) 백호, 굴삭기, 크레인, 보링기, 굴착기,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b) 이중 하나의 리더(514); c) 이의 리더의 선단 또는 크래들히치(515); d) 상기 백호 내지 크래들히치 등에 거치된 회전수단(516); e) 상기 백호 내지 회전수단 등에 장착된 축 또는 롯드(520); f) 이의 축 또는 롯드에 장착된 날개, 가변 날개(176); g) 상기 축 또는 롯드 선단의 비트(524); h) 상기 축 또는 롯드에 순차 연결되는 호스(64), 펌프(63), 배합기(62), 호퍼(61), 사일로 또는 저장고(60); i)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저장고; 등으로 구성되는 기초 타설 장비 또는 기초 조성 장비를 보여준다. 여기서 바 또는 돌기 구비 날개(176), 바 또는 돌기 구비 날개가 거치된 축, 롯드 등(520)의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호스 내지 저장고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질, 몰탈, 약액, 현탁액, 페이스트, 콘크리트 등이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을 통하여 지중, 지반, 지하 등에 타설되어 기초, 변단면기초, 등단면기초, 고화기초, 고화기둥, 그라우팅기초, 현장타설기초 등이 조성된다.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270)는 캡체(2'), 이의 캡체가 양측, 3측, 4측, 다측, 2개, 3개, 4개, 복수 등으로 결합되면서 중간에 분리판(9')이 구비된 몸체(6'), 상기 캡체나 몸체에 인입되는 철근 고정체(4'), 이의 철근 고정체과 상기 분리판 사이에 거치되는 탄성체(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캡체, 분리판, 몸체, 철근 고정체, 탄성체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에 의한 철근 연결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270)는 양측 또는 다측이 중공이고 중간에 분리판(8')이 구비된 몸체(6'); 이의 양측 또는 다측에 체결되는 내부 중공형 또는 내부 중공 내면 쐐기형(13') 캡체(2'); 상기 캡체 내부에 인입되면서 자신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260)을 고정 또는 고정 연결시키는 내부 중공형 또는 내부 중공 외면 쐐기형(14') 또는 내면에 철근 고정체 또는 나사(15') 형성 철근 고정체(4'); 상기 고정체를 조성하는 절편(5'); 상기 몸체 중간의 분리판(8'); 상기 분리판과 철근 고정체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9'); 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홀이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상기 몸체 내지 탄성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철근 고정체(4')에는 내면에 철근 고정체 또는 나사 등(15')이 구비되어, 이에 의하여 자신의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시켜 2개 이상의 철근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그림 a는 철근 고정체가 인입된 캡체와 탄성체가 인입된 몸체가 분리된 형태, 그림 b는 철근 고정체가 인입된 캡체와 탄성체가 인입된 몸체가 체결되는 형태, 그림 c는 철근 고정체가 인입된 캡체와 탄성체가 인입된 몸체가 체결된 철근 커플러의 양측에 철근이 삽입되어 고정 또는 고정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철근(260)의 마디(261), 리브(262), 돌기, 마디돌기, 리브돌기 등은 철근 표면 외부로 돌?w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디 내지 리브돌기 등이 a) 철근 고정체(4'); b) 이의 절편, 편절(5'); c) 상기 고정체 또는 절편의 나사, 톱니, 요철, 내부 톱니, 내부 요철; d) 상기 나사 내지 요철 중 하나의 산, 뾰족산, 꼭지산; 등에 록킹, 물림, 걸림 등이 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몸체, 캡체, 분리판, 고정체, 절편 등에는 홀, 구멍, 오픈부, 천공부, 드릴 천공부 등(85', 86', 87', 88')의 구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등이 가능하다. 상기 홀 내지 천공부 등은 강우 배출, 가스 배출, 이물질 배출, 콘크리트 유입, 콘크리트 통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32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레일(330)이 거치된 프레임(322)과, 상기 레일(330)을 따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이동부, 헤드, 이의 케이스 중 하나와, 상기 헤드, 이동체, 이동부,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고 축조 재료(80)를 분출하여 3D 구조물(310)을 형성하는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66)와, 상기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에 압력을 제공하여 재료(80)가 분출되도록 하는 펌프(63)를 포함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3D프린터에서 프레임(322)은 지면, 신축 시설 위 또는 주위, 신축 건물 위 또는 주위 등에 거치된다. 본 도에서 그림 a는 노즐(66), 플로터, 타설기, 타설구(200)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에는 기능, 기능기, 기능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32, 40, 42)이 이용, 구비, 발현 등이 가능하다. 상기 3D프린터, 레일, 프레임, 이동체, 이동부, 헤드, 케이스, 노즐, 디퓨저, 플로터, 타설기, 펌프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3차원으로 이동하는 3D프린터의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66)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3D프린터는 상기 장비,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또는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또는 상기 장착에 의하여 상기 자화, 와류, 자화와류,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3D프린터(320), 3D프린팅기, 3D프린팅머신, 3D프린팅장치, 3D printer, 지면 또는 신축 시설의 주위에 거치된 프레임에 거치되면서 3차원 이동하는 타설기 구비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여기의 3D프린터(320)는 프레임(322)에 3차원이동(323)이 가능한 이동체 또는 이동부(336)가 탑재되어 3차원으로 이동(323)하면서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재료,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80)을 타설, 분사, 주입 등을 하여 시설, 건물, 구조물 등(310)을 조성, 공사, 시공, 건설, 건축 등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3차원 이동체 또는 이동부(336)는 모터, 로라, 레일 등에 의하여 3차원 이동하고, 이에는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플로터, plotter, 노즐 등(66)이 거치되어 축조하고자 하는 시설, 건물의 구조나 형태를 따라 3차원 이동하면서 재료를 타설하여 시설, 건물을 축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3D프린터, 이의 이동체 또는 이동부, 이에 거치된 타설장비 등은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3차원 이동하면서 재료를 타설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프린터는 프린터, 인쇄기, printer, 3D프린터, 3차원프린터, 3차원모형 프린터, 3차원피규어(3D figure) 프린터, 3차원모형을 제작하는 프린터, 3차원피규어를 제작하는 프린터, 3차원모형을 프린트하는 프린터, 건물 또는 조형물을 축조하는 프린터, 재료를 배출하여 건물 또는 조형물을 적층 축조하는 프린터, 재료를 반복적으로 적층 배출하여 건물 또는 조형물을 적층 축조하는 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3D프린터 또는 3차원 이동의 예로는 기초, 기둥, 지지대, 프레임 등(322)에 지지되면서 이의 상부 좌우에 거치된 2개 레일a(330), 이에 각각 거치되면서 모터a(331)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레일a를 따라 전후 이동(1차원 이동)(323)하는 2개 로라a(332), 이의 로라a 2개 사이에 구비된 레일b(333), 이에 거치되면서 모터b(334)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레일b를 따라 이동하는 좌우 이동(이의 1차원 + 상기 1차원 = 2차원 이동)(323)하는 1개 로라b(335), 이에 거치되면서 모터c(34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a(342)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하 이동(이의 1차원 + 상기 2차원 = 3차원 이동)(323)하는 줄, 실, 벨트, 체인 등의 상하 이동부(336), 또는 상기 회전체a(342)와 이에 맞대어 위치한 다른 회전체b(343) 사이에 압착 매입되어 상기 회전체a의 회전에 의하여 밀림 또는 끌림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막대 형태의 상하 이동부(336), 상기 상하 이동부에 장착되어 3차원 이동하는 타설장비(66)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막대 형태의 상하 이동부(336)는 상기 회전체a(342)와 이에 맞대어 위치한 다른 회전체b(343), 그리고 상기 회전체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체c(344)와 이에 맞대어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체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체d(345)의 사이에 압착 매입되어 상기 회전체a(342)의 회전에 의하여 밀림 또는 끌림 등이 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3D프린터에서 막대(336)는 대, 봉, 막대, 롯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프레임은 기초, 기둥, 4개 기둥, 가로 및 세로 보의 조합, 4개 기둥과 중간 보와 상부 보의 조합, 세로 기둥과 가로 보의 조합, 이의 입체물, 4개 기둥 및 이의 상부에 위치한 4방향 레일(330), 가두리 4개 레일, 상기 레일a(330), 레일b(333), 또는 4개 기둥 및 이의 상부 코너를 연결하는 4방향 레일(330)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줄, 실, 벨트, 체인, 상하 이동부 등의 하부에는 추, 중추, 납덩어리 등의 중량물이 장착되어 하단부의 위치, 좌표 등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재료가 정확한 위치, 좌표 등에 타설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라 또는 회전체에는 이의 회전을 감속, 정지 등을 하는 브레이크, 리트렉터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이의 브레이크 예로는 로라 또는 회전체 측면에 거치된 브레이크라이닝(338), 이를 로라 또는 회전체 방향으로 밀거나 압착하여 로라 또는 회전체에 접촉되어 이의 회전을 감속, 정지 등을 하는 페달, 압착수단 등(339)의 조합이 해당된다. 상기 모터는 로라 또는 회전체의 중심축, 회전축 등(336)에 거치되어 이를 회전시킴으로 상기 중심축, 회전축 등의 몸체인 로라 또는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로라, 회전체 등은 이들의 보호, 안전 등을 위하여 케이스, 하우징 등(347)에 매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a(342)는 상기 로라b(335), 케이스(347), 이의 하부 등에 줄, 끈, 봉 등(34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중에서 상기 회전체a와 상기 로라b의 연결은 상기 회전체a와 상기 로라b의 중심축(336)에 각각 거치된 베어링(337)을 상호 줄, 끈, 봉 등(340)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부(335), 이에 장착된 타설장비(66)는 상기 전후 1차원, 좌우 1차원, 상하 1차원에 위하여 총 3차원 이동, 또는 상기 전후 1차원, 좌우 1차원, 이 둘에 의한 2차원, 상하 1차원, 이와 상기 2차원에 의한 3차원 이동 등을 하게 되어 상기 타설장비(66)에 의하여 건물을 3차원적으로 공사, 건물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의 3차원적 타설, 건물 축조에 필요한 형틀, 철근, 콘크리트 등의 운반, 조립, 타설 등이 가능하게 된다. 구조물 공사를 위한 형틀, 철근, 콘크리트 타설장비 등은 a) 상기 로라, 회전체, 이동체, 이동부,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적재대, 운반대, 케이지, 이동대, 승강대 등에 구비, 거치, 탑재, 묶음, 정착, 장착, 적재 등이 되어 3차원적으로 이동하면서 건물공사 공정에 따라 적정의 층, 장소, 위치 등에 운반, 하역, 조립, 타설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타설장비는 a) 타설기, 노즐, 호스, 디퓨저, 분사기, 프린트의 플로터, b) 이중 하나 구비 타설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체, 이동부(335) 등에 장착되어 3차원 이동하는 타설장비(66)에는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등이 연계되어 레미콘 등의 재료(80)가 공급된다. 상기 타설기(66),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재료(80) 등에는 본 발명의 자석, 자화체, 이의 매입 중공체 등의 구비가 가능하여 자화 재료가 공급, 타설되는 특징을 가지고, 본 발명의 풍력콤프레셔, 풍력발전기, 태양발전기 등에 의하여 생성된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전기 등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 3D프린터(320)의 다른 예로는 레일(330)이 거치된 프레임(322)과, 상기 레일(330)을 따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이동부, 헤드, 이의 케이스 중 하나와, 상기 헤드, 이동체, 이동부,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고 축조 재료(80)를 분출하여 3D 구조물(310)을 형성하는 노즐, 디퓨저, 플로터, 타설기, 분사기, 타설호스, 분사호스 등(66)과,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에 압력을 제공하여 재료(80)가 분출되도록 하는 펌프(63)를 포함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3D프린터에서 프레임(322)은 지면, 신축 시설 위 또는 주위, 신축 건물 위 또는 주위 등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3D프린터(320)에 의한 건물, 구조물 등의 축조 예로는 1) 사례 : 상기 3D프린터에 장착된 노즐, 호스, 디퓨저, 플로터, 타설기, 분사기 등(66)을 통하여 양생을 촉진하는 급결제, 바인더 등이 투입된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을 건물형태 또는 건물구조를 따라 순환하여 이동하면서 5∼30cm 높이의 레이어(layer)로 또는 층상으로 상승하면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타설하여 건물 공사, 여기서 5cm 이하는 타설 높이가 너무 낮아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30cm 이상은 1회 타설 높이가 너무 높아 즉각적인 양생이 어려워 실시간적으로 순환하여 이동하면서 실시되는 타설공사가 어렵기 때문임, 2) 사례 : 상기 타설을 건물 바닥, 1층 기둥 및 벽체, 1층 슬라브, 2층 기둥 및 벽체, 2층 슬라브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하여 n층을 축조하고 최종적으로 옥상 슬라브를 하여 건물 완성, 3) 사례 : a) 기초 설치를 위한 지반 보링, b) 상기 이동부에 철근망을 거치하여 상기 보링공에 철근망 투입, c)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상기 보링공에 기초 파일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d)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건물 바닥부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e)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건물 바닥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f)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g)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1층 기둥, 벽체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h) 상기 이동체, 타설기 등을 상승 시킴, i)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슬라브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j)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1층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k)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2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ℓ)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2층 기둥, 벽체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m) 상기 이동체, 타설기 등을 상승 시킴, n) 상기를 반복하여 n층 기둥, 벽체, 슬라브 등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o)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최종 옥상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등에 의한다. 상기 1층, 2층, n층은 층별 높이(3m 등)를 한번에 조립, 타설 등을 하거나 또는 3m 기준인 층별 높이를 다시 세분하여 0.25m 높이, 0.5m 높이, 1m 높이, 1.5m 높이 등으로 하여 세분 조립, 타설 등이 가능하다.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단발기(350), 쌍발기(360) 등은 몰탈,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등의 표면을 처리, 정리, 마감, 매끈, 평탄, 평활 등을 하는 것으로 하나의 피니셔, 미장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단발기(350)는 a) 칼, 날, 팬, 날개(351), 칼날, 원반, 원판, 미장칼, 미장날, 방사 날개, 십자 날개, 별모양 날개, 선풍기 날개, 대, 긴대,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대, 2개 이상 날개, 2개 이상의 날개로 구성된 방사형 날개(351), 단부가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 중간이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351); b)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c) 모터(352)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d)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플러그, 전원공급기; e) 회전(353) 또는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면을 피니싱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351); f)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가 거치된 골격 또는 플랫폼 또는 거치대(354); g)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밀대(355), 운전대(356), 의자(357); h) 상기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중 하나에 구비된 손잡이(358); i) 상기 모터 또는 운전대 또는 회전의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359); j) 상기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기장기 내지 방사기 등이 구비된 상기 칼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쌍발기(360)는 상기 단발기(350)가 2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가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거치된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리드를 나타낸다. 스크리드(370)는 a) 스크리드, screed, 미장기, 피니셔, 스크리드 미장기, 스크리드 피니셔; b) 단발기(350) 또는 쌍발기(360)에 거치된 스크리드(370); c)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대 또는 날개(371), 이가 거치된 거치대(372), 상기 거치대에 연계된 손잡이(373),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면을 피니싱하는 상기 대 또는 날개(371); d) 상기 자기장기 내지 방사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 40) 이상이 구비된 상기 대 내지 손잡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미장기, 칼 내지 날개, 모터, 배터리, 플러그, 전원공급기, 골격, 플랫폼,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손잡이, 컨트롤러, 대 내지 손잡이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피니셔는 a) 피니셔, 미장기, 마감기, 처리기, 면처리기, finisher, 콘크리트피니셔, 아스콘피니셔, 아스팔트피니셔; b) 포장판 양쪽의 거푸집에 걸쳐지는 강제(鋼製)의 빔에 진동기를 고정하여 진동을 주면서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포설하면서 표면을 소정의 횡단형으로 마무리를 하는 장비; c) 또는 재료를 포설, 아스콘 포설, 콘크리트 포설, 재료를 타설, 재료를 다짐, 타설면 미장, 타설면 처리, 타설면 마무리, 타설면 피니싱, 재료를 타설하면서 면처리, 재료를 포설하면서 면처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비; 등이다.
상기 콘크리트 피니셔(concrete finisher)는 콘크리트를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고나, 또는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깔아 놓는 스프레더, 거푸집 상부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는 1차 스크리드, 콘크리트에 진동과 압력을 가해 다지는 바이브레이터, 날카로운 칼날을 이용해 평탄하게 절삭해 포장작업을 마무리하는 피니싱 스크리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스팔트피니셔(asphalt finisher)는 아스콘을 평탄하게 포설하고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포장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트럭 등으로부터 아스콘이 투입되는 호퍼, 이 호퍼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연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아스콘을 아스팔트피니셔 후방부에 있는 스크류로 공급하는 체인, 상기 공급된 아스콘을 분산시켜 도로에 포설(鋪設)하는 스크류, 상기 포설된 아스콘에 진동을 가하면서 피니싱(finishing)하는 스크리드 등으로 구성된다.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낸다. 형틀(250)은 가설물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80)가 투입, 콘크리트의 형태와 치수 유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데 필요한 수분의 누출 방지, 외기의 영향 차단,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경화 또는 양생 등이 되도록 한다. 가장 간단한 형틀(250)은 외곽틀(252), 이에 부착되는 판재(251), 이들의 경사대 또는 지지대 또는 브레이싱(25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형틀, 외곽틀, 판재, 경사대, 지지대, 브레이싱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통상 외곽틀(252)은 콘크리트와 맞닿는 판재(251)의 배면 가장자리 4면에 거치되고, 경사대(253)는 판재의 배면 외곽틀(252)의 대각선으로 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형틀(250)은 1개 단독 사용(그림 a),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1개의 넓은 면적으로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조립되고 자신에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후 조립된 것이 해체되는 형틀로 사용,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틀로 사용(그림 c),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된 형틀로 사용(그림 c) 등이 된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형틀은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간격 또는 공간은 벽, 보, 기둥, 바닥, 슬라브, 터널, 도로, 교량, 옹벽, 구조물형상 등이 해당되고, 상기 간격 또는 공간에는 콘크리트(80)가 타설된다.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는 기둥거푸집, 벽체거푸집, 마주보는 거푸집 등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 또는 모양으로 유지, 콘크리트 측압 또는 압력 지지 등을 하는 부재 또는 인장부재로 형틀 내부 매립형, 형틀 관통형 등이 있다.
상기 형틀은 폼, form, 형틀, 슬립폼,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립폼은 슬립폼, slip form, 슬라이딩폼, 이동형 거푸집,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 아파트(310) 건축에 사용되는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250), 상부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 건물(310)이 건축되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250), 콘크리트를 칠 때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 올리면서 이음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콘크리트 면에 따라 거푸집을 서서히 활동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수 있는 거푸집, 건축되는 건축물(310)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 거푸집(250), 아파트 건물(310) 외곽의 4각에 폐합되도록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아파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일정 형상을 가진 거푸집(250)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42 d 참조.
도 43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 장선, 멍에, 지주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 b는 내부에 콘크리트(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는 형틀(250)의 단면도, 사시도이고, 그림 c, d는 바닥, 슬라브 등의 공사를 위한 형틀(250), 바닥판(251), 장선(255), 멍에(256), 지주(257)에 대한 단면도, 사시도이다. 상기 형틀, 장선, 멍에, 지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의 그림 a, b에서 형틀은 내부에 콘크리트(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의 그림 c, d와 같이 통상 바닥형틀, 슬래브형틀 등(250)은 지주, 동바리, 서포트 등(257)의 위에 멍에(256), 멍에 위에 장선(255) 등을 조립하고, 장선 위에 판재, 합판 등(251)을 깔아 형성된다. 여기서 합판 위에는 바닥, 슬라브 등을 형성하는 콘크리트(80)가 타설된다. 테이블폼은 이런 조립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부 동바리(257), 중간의 멍에(256) 및 장선(255), 상부 바닥판(합판, 251) 등을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시간, 인력, 공정 등을 줄일 수 있다. 테이블폼을 이동할 때 지게차와 같은 장비가 사용되고, 제작 비용이 많기 때문에 소형 공사보다는 대형 공사에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폼은 아파트 등과 같이 규격화되고 층마다 반복적인 구조물의 바닥 전용거푸집에 이용된다. 이는 크레인으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이다. 상기 형틀은 폼, 형틀, 몰드,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거푸집(250)의 일부로써 콘크리트(80)에 직접 접하는 것은 판재, 널판, 합판, 막음널, 바닥판, 거푸집널 등의 판류(251)이고, 이는 목재, 금속, 강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장선(長線, 255)은 형틀 또는 마루 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로 대어 받치는 부재를 말하며, 보통 띠장, 띳장 등으로도 불리고, 이로는 목재, 각관 파이프, 아연 도금제 각형 파이프 등이 사용된다. 멍에(256)는 장선 하부에 거치되는 부재,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장선을 지지하며 동바리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동바릿돌 또는 동바리 위에 거치되어 형틀 또는 마루를 지지하는 자재 등이 해당된다.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비계(280)는 구조물(310) 공사 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물, 공사 또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왕래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발판,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 등이다. 비계(280)는 비계, 飛階, 아시바, scaffolding, 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고소에 임시로 설치된 작업상면 및 그것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총칭,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과 계단(285)이 거치된 비계(280) 등이 해당된다. 발판은 판자, 합판, 널재, 판재, 아나방, 구멍철판 등이 사용되는데, 이의 규격 예로는 폭 25cm 이상, 두께 4cm 이상, 길이 2.5∼3.5m 등이 있다. 발판은 경우에 따라 장선에서 20cm 이하로 내밀어 걸치고, 30cm 이상 겹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의 최하부는 지면에서 2∼3m 높이로 띠장, 장선, 발판 등을 기둥에 수평이 되게 결속하고, 그 위부터는 1.5m 내외 간격으로 설치한다.
비계로는 강관형비계, 통나무비계, 시스템비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강관형비계 또는 통나무비계는 여러 개의 강관 파이프 또는 통나무를 철선, 결속선, 클램프, 조임쇠 등의 연결부재(286)를 이용하여 비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비계(280)는 수직재(281), 수평재(282, 283), 발판(284), 계단재(285), 난간대, 횡대,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인 클램프 및 연결핀(286) 등의 부자재를 인력이 일일이 지상에서 인양 소운반하여 공중에서 매달려 설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비계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일부 구성이 완성된 형태로 되어 비계 설치 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비계로서, 구조물(310)의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부(281)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부(284)와 및 작업자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부(285)가 포함되는 비계 등이 해당된다.
도 4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0 a는 기둥, 이에 거치된 띠장, 이에 거치된 장선 등이 구비되는 외줄비계이다. 도 40 b는 기둥, 이의 양측에 거치된 띠장, 이에 거치된 장선 등이 구비되는 겹비계이다. 도 40 c는 2개의 기둥, 이에 거치된 띠장, 이에 거치된 장선 등이 구비되는 쌍줄비계이다. 여기서 비계, 외줄비계, 겹비계, 쌍줄비계 등은 시설, 건물, 교량, 구조물 등의 외부, 내부, 길이 방향 등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 띠장, 장선 등은 2개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비계, 기둥, 띠장, 장선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자재 중 하나인 내진자재(130)의 대표적인 모식도로서 a, b, c, d, e, f의 순으로 ×형(단면도), □형(3차원 형상), ×형과 □형의 복합형(단면도), T형(단면도), I형(단면도), I형(3차원 형상)의 내진자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0 d, e, f에는 내진자재의 볼트 구멍(131), 플랜지(132), 웨브(133) 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볼트 구멍(131)은 건물이나 구조물과 내진자재를 볼트, 너트, 못, 봉 등으로 연결 시 이용된다. 그리고 플랜지(132), 웨브(133) 등은 내진자재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 부재, 부품 등이 된다. 여기서 내진자재(130)는 내진 보강을 위하여 시설, 건물, 교량, 구조물 등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재, 내진자재, 건물, 구조물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4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기, 엔드호스(209), 타설구(200) 등에 연결수단(203)으로 연결된 진동기(30, 32)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수단(203)은 a)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6, 8); b) 또는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을 줄, 끈, 링, 철사, 연결수단, 밴드, 조임밴드, 호스밴드,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203)로 연결하는 것; c) 또는 c1)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에 봉, 대, 막대, 롯드, 거치대, 지지대 중 하나(212)가 거치되고, c2) 상기 타설기 내지 타설구 중 하나와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212)가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203)로 체결되고, c3)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212)에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6, 8)이 거치되고, c4) 상기 봉 내지 지지대 중 하나(212)와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6. 8)이 상기 줄 내지 호스조임밴드 중 하나(203)로 체결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도 41에는 밴드, 조임밴드, 호스밴드, 호스조임밴드 등의 연결수단(20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동기의 부속물은 진동기의 호스(8), 케이블(6), 자바라호스(8), 케이블(6)과 호스(8), 케이블(6)과 이를 에워싼 호스(8), 호스(8)와 이 내부에 내재된 케이블(6)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결된 진동기에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유동화기, 방전기, 살균기;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자기장이 발생되는 오존음이온자화기; 콘크리트를 자화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자기장기; 등(30, 31, 32, 33, 34, 35, 365, 37)의 구비가 가능하다.
도 48은 본 발명에 의한 절곡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절곡기(290)는 bar bender, steel bar bender, 철근 절곡기, 철근(260)을 절곡하는 절곡기(290)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절곡기(290)의 예로는 하우징(291), 이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293),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왕복이동되게 구동되는 로라(292),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철근이 삽지 또는 인입되는 반력지그(294)와 가이드지그(295), 상기 반력지그(294)에 대향되는 가이드지그(295), 상기 대향되는 사이(299)에 철근이 삽지 또는 인입되는 반력지그와 가이드지그, 철근(260)의 굵기게 따라 상기 사이(299)의 크기가 조정되는 반력지그와 가이드지그, 상기 로라의 이동에 의한 철근의 절곡 시에 철근이 절곡되는 각도를 유도하는 상기 가이드지그(295), 상기 철근의 절곡시 철근의 반력 역할을 하는 반력지그(294), 상기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노브(297), 상기 이동 정도 및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298);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하우징 내지 컨트롤러;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 내지 컨트롤러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48에서 그림 a는 상기 하우징 내지 컨트롤러 등이 구비된 철근 절곡기를 보여준다. 그림 b는 절곡기에 구비된 로라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여 철근을 절곡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그림 c는 2개의 원통으로 구성된 반력지그(294)와 1개의 원통으로 구성된 가이드지그(294) 및 이를 이용하여 철근(260)을 ㄱ자, ⊂자 등으로 절곡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d는 단면이 상하 직선 및 좌우 곡선의 폐합형인 통으로 구성된 반력지그(294)와 직사각통으로 구성된 가이드지그(294) 및 이를 이용하여 철근(260)을 ㄱ자, ㄷ자 등으로 절곡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e∼s 등은 상부에 반력지그(294), 하부에 가이드지그(294)를 보여준다. 여기서 상부의 반력지그(294)와 하부의 가이드지그(294) 사이(299)에는 철근(260)이 삽지 또는 인입되고, 로라(292)의 이동에 의하여 철근(260)이 가이드지그(294)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고, 이때 반력지그(294)은 철근의 반력 역할을 한다.
상기 반력지그(294), 가이드지그(295) 등은 일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단면 또는 평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둥근형,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육각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3변형, 4변형, 다변(多邊)형, 3면형, 4면형, 다면(多面)형, 직선과 직선으로 구성된 폐합형(그림 m, n의 상부 그림),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된 폐합형(그림 g, h, i, j, k, ℓ 등의 상부 그림), 2개의 직선과 1개의 곡선으로 구성된 폐합형(그림 q, r의 상부 그림), 2개의 직선과 2개의 곡선으로 구성된 폐합형(그림 g, h, i, j, k, ℓ 등의 상부 그림), 4개의 직선과 2개의 곡선으로 구성된 폐합형(그림 q, r의 하부 그림), 2변 이상이 직선이고 코너가 각이진 폐합형(그림 q의 하부 그림), 2변 이상이 직선이고 코너가 곡선을 이루는 폐합형(그림 r의 하부 그림), 코너의 내부 각도(θ)가 직각 또는 예각 또는 90°이하를 이루는 상기 삼각형 내지 폐합형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반력지그, 가이드지그 등은 철근의 직경, 절곡 각도 등에 따라 위치 이동, 간격 조정, 사이 크기 조정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반력지그, 가이드지그 등에 레버, 스크류, 밀고당기는수단, push & pull device 등(298-1)이 구비되어 이의 조정 또는 반력지그, 가이드지그 등의 밀고 당김 등에 의하여 위치 이동, 간격 조정, 사이 크기 조정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그림 s를 참조한다. 상기 반력지그와 가이드지그 사이(299)에 삽지 또는 인입된 철근(260)의 지지, 거치, 고정, 반력 등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철근 고정대(296)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로라, 반력지그, 가이드지그 등의 높이는 철근의 직경 또는 굵기와 동등 이상이 되어 철근이 탈락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철근의 삽지, 인입, 절곡 등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91)은 조, 통, 함, 박스, 탱크, 사각통, 육면체형상 등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91)의 내부에는 로라(292)의 구동수단 또는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의 예로는 모터, 회전모터, 감속기 구비 모터 등을 이용하여 로라에 연결된 중심축을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원을 그리면서 왕복이동되게 선회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로라(292)에는 모터, 링, 회전링, 체인, 회전체인, 회전벨트, 속도조정기, 모터와 이의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 모터와 이의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회전벨트 등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홀(293)은 일정의 빈공간 폭을 가진 원형, 타원형, 둥근형, 원호형 등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빈공간 폭을 따라 로라가 이동하여 로라가 이동되는 방향과 거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노브(297)는 철근의 절곡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 조절노브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위에 눈금 표시된 각도에 맞추면 자동으로 로라의 회전각이 조절되어 원하는 각도로 철근이 절곡된다. 상기 조절노브(297)는 하나, 둘, 한쌍, 상하한쌍 등으로 구성되어, 여기서 둘 또는 한쌍의 경우 한 번의 세팅으로 절곡각이 다른 2개의 연속적인 철근 절곡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절노브(297)들은 각각 연결되는 작동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ㄱ자 또는 ㄷ자 또는 ⊂자 형상의 철근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로라의 회전각에 따른 이동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철근(260)의 초기 형상은 ㅡ, 일자형 등이나, 철근이 절곡되는 형상은 ㄱ, ㄴ, ㄷ, V, U, ⊂ 등이 된다. 상기 컨트롤러(298)는 로라, 모터 등의 가동, 시작, 중지, 속도, 회전속도, 이동, 이동정도, 이동속도 등을 조정하는 것으로, 버튼, 레버, 스위치, 작동버튼, 작동레버, 전원스위치, 작동스위치, 리모트컨트롤러, 발로 조작하는 풋스위치, 손으로 조작하는 핸드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터널타설기(430)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터널타설기(430)는 지반 또는 암반을 굴착하는 굴착기, 천공기, 전면에 다수개의 굴착비트가 장착된 커터헤드(431); 이중 하나의 후방에 연결되어 터널 굴착시 발생되는 버력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432); 상기 이송하는 호이스트 구비의 버력이송부(433); 상기 벨트컨베이어 또는 버력이송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벨트컨베이어 또는 버력이송부 또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 버력을 담아 반출하는 버력반출부(434);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굴착기 내지 버력반출부; 등에 의하여 굴착되는 터널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하기 1)∼30)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포함된다. 여기서 라이닝은 굴착된 터널의 바닥, 하부, 상부, 천장, 측부, 둘레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또는 30cm 또는 50cm 두께를 가진 내면층, 보호층, 라이닝층, 바닥층, 둘레층, 콘크리트층 등이 해당된다.
1) 상기 벨트컨베이어(431), 버력이송부(433), 호이스트, 버력반출부(434), 버력반출대차, 버력반출부 후방; 이중 하나의 상부, 측부, 하부, 둘레, 이격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터널 바닥, 하부,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라이닝 형틀(435, 437), 콘크리트 라이닝 타설 수단(435, 437); 이는 터널라이닝, 터널하부라이닝, 터널상부라이닝 등의 콘크리트 타설에 이용된다. 2) 철근을 이송시키는 상기 호이스트; 3)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기; 4) 철근이 배근되는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의 형틀(435); 5)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에 배근된 철근에 거치되는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의 형틀(435); 6)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의 형틀(435); 7) 상기 하부 또는 바닥부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기 타설 수단(435); 8) 상기 타설 수단에 포함되는 호퍼, 펌프 또는 실린더,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9)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상기 호퍼,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상기 펌프 또는 실린더,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상기 이송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기 엔드호스,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기 타설구; 10)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기 또는 경화시키는 경화기; 11) 상기 양생 또는 경화된 콘크리트의 면에 밀착되는 히팅수단이 구비된 상기 양생기; 12)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또는 경화 후에 탈형되는 상기 형틀(435); 13) 상기 양생 또는 경화된 바닥 콘크리트 상면에 레일(440)을 설치하는 레일설치수단; 14) 상기 벨트컨베이어 내지 호이스트 중 하나 이상의 하부 또는 바닥부에 거치되는 상기 형틀 내지 레일설치수단; 15) 상기 커터헤드(431)에 의하여 굴착된 터널의 하부 또는 바닥부에 대하여 철근 이송,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또는 경화, 레일 설치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터널 굴착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회 이상 반복하는 상기 형틀 내지 레일설치수단; 이상 1)∼15) 등의 장치, 공정에 의하여 터널의 하부 또는 바닥부의 콘크리트 라이닝이 설치된다.
16) 상기 설치된 레일(440)을 이동하면서 버력을 반출하거나 또는 철근을 이송시키는 이동대차; 17)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기(436); 상기 하부, 바닥부는 하부, 바닥부, 인버트 등이 되고,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등은 상기 하부, 바닥부를 제외한 부분이다. 터널라이닝은 a) 전단면라이닝이거나, b) 또는 하부라이닝, 바닥라이닝, 인버트라이닝 등과 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라이닝, 천장라이닝, 측부라이닝, 둘레라이닝 등으로 구성된다. 18) 상기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을 이송시키는 이동대차; 19) 철근이 배근되는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437); 20)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 배근된 철근에 거치되는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437); 21)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437); 22)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기 타설 수단(437); 23)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기 또는 경화시키는 경화기(438); 24) 상기 양생 또는 경화된 콘크리트의 면에 밀착되는 히팅수단이 구비된 상기 양생기(438); 25)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양생을 위하여 히팅이 되는 상기 형틀(437); 26)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또는 경화 후에 탈형되는 상기 형틀(437); 27) 상기 버력이송부, 호이스트, 버력반출부 중 하나 이상 후방의 상기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상기 이동대차 내지 면처리기; 28) 상기 커터헤드(431)에 의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철근 이송, 철근 배근, 형틀 이송,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또는 경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터널 굴착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회 이상 반복하는 상기 이동대차 내지 면처리기; 이상 16)∼29) 등의 장치, 공정에 의하여 상기 기 설치된 터널의 하부 또는 바닥부 라이닝에 연결되어 터널의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라이닝이 설치된다. 이상에 의하여 터널 내부 전체의 라이닝 콘크리트가 폐합되어 터널 내주 형상의 콘크리트 라이닝이 완성된다. 2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30, 40)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이용되는 상기 호이스트 내지 면처리기; 30) 상기 벨트컨베이어 내지 이격부, 형틀 내지 레일설치수단, 호이스트 내지 면처리기 등에 구비 또는 연계되는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이상 1)∼30) 등이 터널타설기에 포함된다. 여기서 터널타설기는 기계, 장비, 커터, 굴착기, 천공기, 커터헤드, 터널굴착기, Shield, Shield굴착기, TBM(tunnel boring machine), TBM굴착기, 터널전단면굴착기 등에 의하여 터널이 굴착되는 경우에 터널; 이의 바닥, 하부, 상부, 천장, 측부, 둘레, 라이닝; 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 49의 a는 상기 굴착기 내지 버력반출부, 형틀 내지 레일설치수단, 호이스트 내지 면처리기 등을 이용하여 터널 굴착, 터널 라이닝 설치 등을 하는 모식도이다. b는 터널 하부 또는 바닥부의 콘크리트 라이닝(441), 이의 형틀(435), 타설 수단(435) 등을 나타낸다. c는 터널 하부 또는 바닥부의 콘크리트 라이닝(441), 이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440) 등을 나타낸다. d는 터널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라이닝(442)의 설치를 위한 터널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형틀(437);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기 타설 수단(437) 등을 나타낸다. e는 터널 하부 또는 바닥부의 콘크리트 라이닝(441), 이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440) 및 터널 상부, 천장, 측부, 둘레 중 하나 이상의 라이닝(442) 등을 나타낸다. 상기 굴착기 내지 버력반출부, 형틀 내지 레일설치수단, 호이스트 내지 면처리기, 라이닝, 형틀, 타설 수단, 레일, 상부, 천장, 측부, 둘레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타설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교량타설기는 교량타설기, 상판타설기, 교각타설기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교량(480)은 상판(481), 교각(482) 등으로 구성된다. 도 50의 a는 상판(481), 교각(482) 등으로 구성된 교량(480)을 보여준다. b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3차원 형상의 상판타설기(483), 상판 형틀(483) 등을 보여준다. c는 상판타설기(483), 상판 형틀(483) 등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상판타설기(483)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상판, 상판 형틀(483), 철근 배그된 상판 형틀(483), 상판의 외형(485)을 닮은 형틀(483), 상판의 내형(484)과 외형(485)을 닮은 형틀(483), 상판의 외형(485)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3), 상판의 내형(484)과 외형(485)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3), 상기 내형(484)과 외형(485)의 사이가 일정 거리 이격(486)된 상기 형틀, 상판의 내부형틀(484)과 외부형틀(485)로 구성된 형틀(483), 상판의 내부형틀(484)과 외부형틀(485)이 조립된 형틀(483), 일정의 길이(487)를 가진 상기 형틀(483), 교량(4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형틀(483) 중 하나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교각타설기(488)는 상기 저장고 내지 타설구, 호퍼 내지 중공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어 교각, 교각 형틀(488), 철근 배근된 교각 형틀(488), 교각의 외형을 닮은 형틀(488), 교각의 외형을 닮으면서 철근이 배근된 형틀(488), 교각을 따라 이동 또는 승강하는 상기 형틀(488) 중 하나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교량타설기, 상판타설기, 교각타설기, 교량, 상판, 교각, 형틀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분해기(550)는 분해기 1, 분해기 2, 분해기 3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분해기 1은 분해기(550),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중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2는 용기(102),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551)과 음극(552),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553),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6),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12),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555),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560), 상기 용기의 유출구(561),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56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46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해기에서 용기(102)에는 수, 물, 액, 유, 물질, 미생물, 유기물, 폐수, 하수, 폐기물 등의 유입이 되어 상기 수 내지 폐기물 등이 배양, 분해, 발효, 부숙, 숙성 등이 되는 곳이다. 상기 축전지(12)는 상기 미생물 내지 폐기물 등의 반응에 의하여 미생물연료전지가 되는 경우 발생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기(12)는 양극, 음극, 전극 등에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분해기 3은 하기 배양기, 전해기, MFC, CO2; 또는 외부 반입 CO2;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CO2의 주입에 의하여 폐수, 해수, 염분, 염수, 물, 폐기물, 부산물, 음식물, 미생물, 전해질, 전해액, 시멘트재, 폐콘크리트 등에 함유된 Ca, CaO, 석회, 몰탈, 시멘트, 염분, NaCl 중 하나 이상을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CaCO3형성, Na분리, Cl분리,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산화는 CaCO3형성 등이 해당된다. CaCO3는 CaO + CO2 = CaCO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CaCO3형성에 의하여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등이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pH저감 등이 된다. 상기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등에 의하여 pH저감이 된다. 상기 염분 또는 NaCl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Na, Cl로 분리된다.
상기 배양기는 a) 용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히터(555)에 의한 열; c) 공급라인(562)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미생물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바이오시밀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570)는 MFC 1, MFC 2, MFC 3 중 하나이다. 상기 MFC 1은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570)이다. 상기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551)과 음극(552)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상기 MFC 3은 a) 용기(102)의 양극부(551)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유기물; b) 상기 양극부(551)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553)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552)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551)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552)에 연결되는 전선(6)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1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이는 도 46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용기(102)는 조, 통, 함, 링, 관,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전해기 1은 a) 전해기(571), 電解器, 電解機, 전기분해기, 電氣分解機, 전해조(102);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551)과 음극(552) 사이의 이온막(553);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질, 전해액(554);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10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46 c를 참조한다.
상기 전해기 2는 a) 전해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551)과 음극(552)에서 발생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433)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102)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전해기 4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b)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분사하는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c)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이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탄산화, 몰탈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용기 내지 공급라인, 축전지, 전해조, 양극, 음극, 양극부, 음극부,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Fe+는 양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 또는 Fe+는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Na+, Cl-,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전해수, 전해물,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담수는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조성된 담수이다. 상기 전해액은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또는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유, 해수 등이고, 상기 전해수는 전기분해된 또는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수, 물, 액, 유, 담수 등이다. 상기 전해물은 전기분해된 물질로서, 이의 물질에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방전기(572)에는 a) 방전기(572), 전기방전기(572); b) 전극(552)이 투입된 용기(102, 551), 상기 전극 및 용기에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하는 방전기(572),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용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분진이 대전되어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방전기(572);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이는 도 46 d 참조. 상기 방전기는 전기집진기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전기 또는 전기집진기는 a) 방전기, 전기집진기, 전기가 이용되는 집진기,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집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장치;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집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551)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552)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집진기; 이는 도 46 d 참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집진기; 중 하나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573)에는 수소전지 1, 수소전지 2, 수소전지 3. 수소전지 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소전지 1은 수소(H)와 산소(O)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반응(2H2 + O2 → H2O)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가 양극(551) 또는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6)을 통해 음극(552) 또는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573)이다. 이는 도 47 a 참조. 상기 수소전지 2는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 또는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의 사이에 전해질(438), 이온막(43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47 b 참조. 상기 수소전지 3은 상기 산화전극(551)에서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하기의 반응 1 또는 반응 2와 같이 발생되고, 상기 환원전극(552)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하기의 반응 3 또는 반응 4와 같이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47 a. b. c 참조. 상기 반응 1은 산성 조건에서 2H2 → 4H+ + 4e- 이다. 상기 반응 2는 염기성 조건에서 2H2 + 4OH- → 4H2O+ 4e- 이다. 상기 반응 3은 산성 조건에서 O2 + 4H+ + 4e- → 2H2O 이다. 상기 반응 4는 염기성 조건에서 O2 + 2H2O + 4e- → 4OH- 이다. 상기 수소전지 4는 전해기(571)와 수소연료전지(573)가 결합된 것이다. 이는 도 47 c 참조. 이는 전해기(571)에서 발생되는 수소, 산소를 이용하여 수소연료전지(573)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이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전해조, 전해액, 이온막, 전극, 양극, 음극, 히터, 유입구, 유출구, 공급라인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53 및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기초 조성, 보강재 삽입, 표층 기초 조성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a는 백호 등(170)에 장착된 축 또는 롯드(174)의 관입; b는 축 또는 롯드(174), 이에 장착된 날개(176) 등에 의한 지중(190) 주입, 분사, 믹싱, 교반, 그라우팅, 재료(80) 주입, 주입 및 믹싱 등; c는 축 또는 롯드(174)의 인발, 주입 및 인발, 믹싱 및 인발 등; d는 상기 작업에 의하여 지중(190)에 형성된 기초(195); e는 백호 등(171)에 의한 보강재(193) 삽입; f는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195), 선단에 확장판(199)이 구비된 기초(195); g는 백호 등(172)을 이용한 표층 기초(194) 조성 작업; h는 지중 기초(195) 또는 보강재(193) 삽입 기초(195)와 이 상부의 표층 기초(194), 이의 상부에 놓인 건물, 구조물(310), 자재(309)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보강재 또는 내진재(130)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등을 보여준다. 여기의 a 내지 g의 작업에 사용되는 주 장비(170, 171, 172)는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즉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으로 상기 a 내지 g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초(194, 195),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309), 공사현장, 현장의 공기, 현장의 대기, 현장 주변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30, 50, 51, 52)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분사, 도장, 코팅, 분사에 의한 살균, 분사에 의한 먼지제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등(50, 51, 52)에서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이 배출, 유출, 분사 등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먼지제거, 분진제거 등이 가능하다.
도 55는 본 발명에 의한 얕은기초(100), 이의 철근(260), 선단, 측면, 내부, 외부, 내외부, 하부, 보강재 등에 장착된 확장재(199), 확장대, 확장판(199), 절편관, 절개관, 와이어, 절개관의 굴절, 절개관의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지중기초, 표층기초; 이중 하나의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선단, 측면, 하부, 하단, 지반(190), 내부, 외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보강재; 등에는 상기 확장재 내지 와이어 등(199)의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연계, 연결, 접속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확장재 내지 와이어 등(199)에 의하여 기초의 지지력(121)이 향상되게 되게 된다. 상기 확장재 내지 와이어 등(199)은 기초의 내측(71), 중간, 외측(72); 또는 기초 단부의 연직선 또는 수직선에 대하여 내측(71), 중간, 외측(72); 등에 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초(100, 195) 상부에는 건물(310), 구조물, 건물 기둥, 구조물 기둥, 구조물 내력벽, 구조물 내력기둥, 구조물 지지기둥, 자재(310) 구비 구조물(309), 내진재 또는 보강재 구비 구조물 등이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건물, 구조물, 건물보(빔), 슬라브 등은 상기 기둥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건물, 구조물은 건물, 구조물, 이를 지지하는 기둥, 이의 기둥 하부에 기초, 이의 기초 선단에 상기 확장재 내지 와이어 등의 순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재 내지 와이어 등(199)이 확장되어 기초의 선단면적 증가, 지지력 증가 등이 되어 상기 기둥, 건물, 구조물 등을 지지하는 지지력, 저항력 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기초는 구조물 등의 하중(120)에 대하여 지지(121)하는 시설이 된다. 본 발명에서 기초는 깊은기초(195), 얕은기초(100) 등으로 구분되고, 깊은기초(195)는 길이가 직경의 1∼2배 이상인 기초, 얕은기초(100)는 길이가 직경의 1∼2배 이하인 기초 등이 해당된다.
도 56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의 종류 및 적용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기초는 표층 기초(1), 대구경 동일단면(2)과 콘단면(3)과 소구경 동일단면(4)의 변단면 기초(5), 변단면 기초(5)와 이의 주변 지반(31)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상기 기초 상부에 거치된 시설, 건물, 구조물(40) 등이 해당된다. 도 15에서 a는 제방, 도로 등(42); b는 벽체, 옹벽, 흙막이벽 등(43); c는 보강토, 보강토옹벽 등(44); d는 암거, 박스, 파이프라인 등(45); e는 건물, 주택, 상가, 아파트, 주상복합 등(41); f는 지하실, 지하도, 지하주차장 등(46); g는 도로, 철도 등(47); h는 교대 등(48); i는 교량, 육교 등(49); j는 교각, 피어 등(50)의 시설(40) 및 이에 적용되는 기초를 나타낸다. 도 51에 기재된 부호 중에서 상기의 부호와 중복되는 부호는 상기의 부호와 중복되지 않도록 다른 부호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중복되는 부호는 중복되지 않도록 다른 부호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기초는 기초 1, 기초 2, 기초 3, 기초 4, 기초 5, 기초 6, 기초 7, 기초 8, 기초 9, 기초 10, 기초 11, 기초 12, 기초 13, 기초 14, 기초 15, 기초 16, 기초 17, 기초 18, 기초 19, 기초 20, 기초 21, 기초 22, 기초 23, 기초 24, 기초 25, 기초 26, 기초 27, 기초 28, 기초 29, 기초 30, 기초 31, 기초 32, 기초 33, 기초 34, 기초 35, 기초 36, 기초 37, 기초 38, 기초 39, 기초 40, 기초 41, 기초 42, 기초 43, 기초 44, 기초 45, 기초 46, 기초 47, 기초 48, 기초 49, 기초 50, 기초 51, 기초 52, 기초 53, 기초 54, 기초 55, 기초 56, 기초 57, 기초 5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기초 1은 기초, 파일(pile), 말뚝, 피어(pier), 후팅(footing), 케이슨(caisson), 핀기초, 빔기초, 줄기초, 벽기초, 봉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정적기초,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연속기초, 군기초, 지반기초, 지중기초, 지하기초, 암반기초, 기계기초, 건물기초, 주택기초, 교량기초, 교각기초, 옹벽기초, 시설기초, 석션기초, 돌기기초, 돌기 형성 기초, 볼트기초, 볼트 장착 기초, 앵커기초, 네일기초, 블럭기초, 우물통기초, 구조물기초, 데크로드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앵커파일, 네일파일,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강관파일, PHC파일,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파일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개량기초, 보강기초, 기둥기초, 주입기초, 분사기초, 믹싱기초, 컴팩션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보강기초, 확장기초, 확장판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믹스기초, 내진기초, 표층기초, 지중기초, 지반기초, 시설기초, 시설 지지기초, 시멘트기초, 콘크리트기초, 플라스틱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PC기초, PC파일, PHC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강관기초, 강재기초, 금속기초, 비금속기초, 스크류기초, 인젝션기초, 철근인젝션기초, 공장제조기초, 현장타설기초, 지중주입기초,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 지중다짐기초,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기초는 기초; 지반 또는 시설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올케이싱기초; 상기 기초 내지 올케이싱기초 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파일은 공장에서 제작된 파일, PC기초, PC파일, PHC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피어는 파일보다 직경 또는 단면이 큰 기초이다. 상기 케이슨은 파일, 피어보다 직경 또는 단면이 큰 기초이다. 상기 줄기초는 줄기초, 줄모양기초, 줄형태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벽기초는 벽기초, 지중벽기초, 지하벽기초, 슬러리월기초, 벽줄모양기초, 벽줄형태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중 하나는 a) 동적, 진동, 내진, 지진; 이중 하나의 하중 중 하나에 이용되는 기초; b) 시공시 동적, 진동, 항타 중 하나를 하면서 또는 가하면서 지중 등에 삽입되는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석션기초는 석션기초, 기초를 지중에 삽입하고 기초의 상부에 있는 구멍에 진공 또는 석션압을 가하여 기초를 지중에 더 삽입시키는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스크류기초는 봉, 대, 기둥, 샤프트 중 하나의 외면이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가 형성 되거나, 또는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가 형성된 기초이다.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후팅,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파일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지중주입기초는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이중 둘 이상 재료; 중 하나를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지중분사기초는 a)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분사기초; b) 상기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가 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기초, 파일, 피어 중 하나가 매입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지중믹싱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믹싱하여 형성된 기초, 지중믹싱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중 하나이다. 상기 지중다짐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다짐하여 형성된 기초, SCP(sand compaction pile), GCP(gravel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중 하나이다. 상기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중 하나는 a)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매입, 관입, 삽입, 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 b)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빔, 철근, 철봉, 강관, 파일, 보강재 중 하나가 매입, 관입, 삽입, 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중 하나는 a) 그라우팅, 지중그라우팅, 건물그라우팅, 균열부그라우팅; 상기 그라우팅 중 하나의 전, 중, 후, 동시; 또는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매입되는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b)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의 기초,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로 된 기초; c) 상기 그라우팅 내지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철근케이지, 물체, 기초, 파일, 피어,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주입 또는 매입되는 기초; d) 그라우팅과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기초; 그라우팅재 또는 그라우팅부와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기초; e) 그라우팅공 또는 그라우팅부에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주입 또는 매입된 기초; f) 또는 기초, 이의 주변, 외주, 외면, 외부, 내부, 보링공, 매입공, 항타공, 주변지반 중 하나에 그라우팅이 된 또는 그라우팅재가 주입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시멘트기초, 콘크리트기초, 플라스틱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PC기초, PC파일, PHC파일 중 하나는 시멘트, 콘크리트, 플라스틱, 철근콘크리트, pre cast concrete,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중 하나 이상으로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PHC 또는 PHC파일은 고강도콘크리트말뚝,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 중 하나이다. 상기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중 하나의 기초는 a)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중 하나의 기초; b) 또는 b1) 봉, 대, 롯드, 기둥, 샤프트; b2) 이중 하나의 또는 이중 하나의 길이를 따라 전체, 부분, 일부, 선단, 하단, 하부, 중간, 다지점, 일지점, 일구간, 다구간, 2개 구간, 3개 구간, 다수 구간,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에 날개,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등이 구비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매입기초는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중 하나에 매입된 기초이다. 상기 현타기초는 a) 현장에서 타설되는 기초, 현장에서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b) 현장, 이의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중 하나에 빔, 철근, 강관, 철근망, 보강재, 콘크리트 등이 투입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후팅 또는 후팅기초는 후팅, 후팅기초, 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매입기초는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보링홀, 굴착부, 천공부 중 하나에 매입, 근입, 압입, 투입 중 하나가 기초이다. 상기 항타기초는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항타, 해머링, 해머항타, 드롭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이다. 상기 현타기초, 현타파일, 현장타설파일 중 하나는 현장에서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빔, 철근, 강관,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투입되고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기초, 마이크로파일, 소구경파일 중 하나는 a)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파일이나 마이크로파일이 삽입되고 그라우팅이 된 파일, b)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그라우팅 후 그 내부에 빔, 철근, 강관, 강봉,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삽입된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중 하나는 a) 지열, 에너지, 지열에너지 중 하나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b)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지열파이프,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c)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히나에 U자형 지열파이프,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d) 또는 수, 물, 액체, 냉수, 온수, 난방수, 냉방수 중 하나가 순환되는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e) 상기 수 내지 냉방수 중 하나가 한쪽으로 유입되고 다른 한쪽으로 유출되는 U자형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핀기초, 봉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네일기초, 앵커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네일파일, 앵커파일, 스트랜드파일 중 하나는 a)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홀, 구멍, 통공, 공동, 중공, 주변, 외부, 외면, 외측, 외향, 외벽, 피막, 피복, 외주, 선단, 하단, 상단, 일단, 타단, 상부, 하부, 중간, 가두리, 가장자리; 중 하나 이상에 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이중 둘 이상 복합체;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2)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x) 중 하나가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관통, 통과, 삽입, 매입, 투입, 접합, 결합, 연결, 돌출, 외부로 돌출; y) 중 하나가 1, 2, 3, 4, n, 1개, 2개, 3개, 4개, n개, 다(多), 다수, 다수개, 직교, 수직, 연직, 수평, 경사 중 하나로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접합, 결합, 연결, 삽입, 매입, 투입, 돌출, 관통, 통과, 관통설치, 통과설치 등이 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중 하나이다.
상기 블럭기초 또는 콘크리트기초는 a)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콘크리트블럭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4각기초, 다각기초, 육면체기초, 자유형기초, 자유형상기초, 임의형상기초, 마름모형기초, 다이아몬드형기초, 후팅기초, 얕은블럭기초, 얕은콘크리트기초, b)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에는 a) 블럭, 블럭헤드, 헤드블럭,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블럭; b) 상기 블럭에 형성된 홀, 구멍, 천공홀; c) 상기 블럭, 홀, 구멍, 천공홀 중 하나 이상에 부착 또는 관통되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d)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브라켓, 안착대; e)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캡, 마개, 덮개, 마감재 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를 상기 블럭헤드, 홀, 구멍, 천공홀, 홀입구 중 하나에 정착하는 캡, 앵카, 볼트, 너트, 마개, 정착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고화기초는 상기 고화체 내지 그라우팅체 중 하나이다. 상기 고결기초는 바인더, 흙이 고결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상기 개량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둥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침투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주입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주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분사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분사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믹싱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믹싱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컴팩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다짐 또는 컴팩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인젝션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인젝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철근인젝션기초는 철근이 투입된 기초, 철근에 주입재가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 형틀에 배근된 철근에 주입재가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 지중에 근입된 철근에 주입재가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재료가 지반에 그라우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보강기초는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 기초에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 보강재가 삽입된 상기 기초 내지 올케이싱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스크류기초는 스크류드라이브에 의하여 설치된 스크류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기초이다. 상기 확장기초는 확장기초, 확장판기초, 자신의 일부가 확장된 기초, 자신의 일부에 판 또는 확장재가 장착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확장판기초는 확장판(199)이 보강된 기초, 판 또는 확장판(199)이 장착된 기초, 선단에 확장판(199)이 장착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확장판은 a)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기초의 직경, 원주, 둘레, 크기, 형상, 단면, 단면적 중 하나보다 큰 판, 원판, 중공판 중 하나이다.
상기 믹스기초는 일정의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믹싱기초는 일정의 바인더가 지반에 믹싱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내진기초는 지진보강 또는 지진대비 기초이다. 상기 지중기초는 지중에 조성된 기초, 또는 가변 날개가 장착된 롯드에 의하여 지중에 바인더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상기 표층기초는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또는 기초의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지반기초는 지반에 조성된 기초이다. 상기 시설기초는 시설을 지지하는 기초이다. 상기 시설지지기초는 시설의 지지를 위하여 시설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이다. 상기 표층부 기초는 지중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표층부 기초, 또는 일정의 두께를 가진 표층부 기초, 또는 표층 고화체로 구성된 기초이다. 상기 원통부 기초는 지중 원통 기초 또는 지반에 바인더가 주입되어 조성된 원통부 기초이다. 상기 콘부 기초는 a) 지중 콘 기초, b) 또는 자신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 기초, c) 또는 상기 원통부 기초의 조성에 이용되는 2개 이상 동일 날개보다 길이가 짧으면서 점축되는 2개 이상 가변 날개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콘부 기초이다. 상기 꼬리부 기초는 상기 원통부(2), 콘부(3),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 기초이다.
상기 어스드릴기초는 어스드릴기초, 어스드릴로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드릴로 어스(지반)를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회전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안정액으로 공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올케이싱기초는 올케이싱기초, 요동식 올케이싱기초, 전선회식 올케이싱기초, 돗바늘 올케이싱기초, 해머 그랩 등으로 토사를 배출하면서 케이싱을 압입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기초는 상기 기초 내지 올케이싱기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복합기초에는 파일과 피어, 얕은기초와 파일, 얕은기초와 깊은기초, 얕은기초와 스크류기초, 얕은기초와 지중믹싱기초, 얕은기초와 마이크로파일, 지중기초와 건물기초, 지하기초와 주택기초, 지중기초와 얕은기초, 지하기초와 얕은기초, 돌기기초와 볼트기초, 핀파일와 봉파일, 돌기파일과 볼트파일, 지중주입기초와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와 지중다짐기초, JSP와 SGR, SCW와 DCM, CIP기초와 PR기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는 하기 a, b, c, d, e, f, g, h, i, j, k 중 하나이다. 상기 a는 하기 a1, a2, a3 중 하나이다. 상기 a1은 하기 a11, a12, a13, a14 중 하나이다. 상기 a11은 단관, 콘관,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key-in pipe),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중 하나이다. 상기 a12는 다발 구비 관 또는 다수개의 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중 하나이다. 상기 a13은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확장되는 단관,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 외관 또는 절편선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발 또는 벽발이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 또는 키인 확장되는 키인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확장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외관이 확장되는 다중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발이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 또는 절편벽이 확장되는 절편관, 확장형 격자 삽입 절편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 확장에 더하여 상기 격자가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 상기 격자가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중 하나이다. 상기 a14는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상기 절편의 확장시 상기 당김선에 의하여 격자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 연결판이 구비된 상기 관 중 하나이다.
상기 a2는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톱니형, 원통형, 원판형, 중공형, 채움형, 피막형, 벽면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직선형, 연직형, 경사형, 곡선형, 곡면형, 오목형, 볼록형, 돌기형, 절편형, 점증형, 점축형, 점증점축형, 테이퍼형, 불연속형, 스파이크형, 마름모형, 사다리형, 선따기형, 벽절편형, 벽선따기형, 연결판구비형, 연결잭 형성, 볼트 구멍 형성, 경사 또는 각도(α) 1∼89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중 하나이다. 상기 a3은 상기 a11의 단관 내지 테이퍼판; a12의 다발 구비 관 ∼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a13의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확장되는 단관 ∼ 상기 격자가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a14의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 연결판이 구비된 상기 관; a2의 관 ∼ 관 구비 판; 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이다.
상기 b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2중관, 외관과 중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3중관 중 하나이다. 상기 c는 2개 관(내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2중관, 3개 관(내관, 중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3중관, 외관과 중관과 내관의 순 또는 역순으로 길이가 긴 2중관 또는 3중관 중 하나이다. 상기 d는 자신의 길이 또는 높이가 d1) 5∼50cm; d2) 기초 길이의 0.1∼10%; d3) 기초 직경의 0.5∼5배; 중 하나인 상기 a11의 단관 ∼ a2의 관 구비 판, a3의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e는 자신의 두께 또는 벽두께가 기초 두께 또는 직경의 0.1∼50%인 상기 a11의 단관 ∼ a3의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f는 일정의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g는 상기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에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h는 일정의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의; 또는 하나 형태의; 또는 하나 형성의; 상기 콘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i는 i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i2)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j는 하기 j1 또는 j2가 불연속; 확장 불연속; 경사 불연속; 1∼99% 불연속, 2개 점 또는 공간 이상 불연속; 중 하나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j1은 1) 일단, 일측,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일지점까지; 2) 또는 벽의 상기 일단 내지 일지점까지; 중 하나이다. 상기 j2는 j21) j211) 자신 또는 자신 벽의 선단, 일단,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j212) 또는 지중에 삽입, 매입,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중 하나가 되는 부위, 선단, 일단, 하단, 단부, 헤드; j22) 상기 선단 내지 헤드; 부위 내지 헤드 중 하나에서 일지점까지; 중 하나이다. 상기 k는 상기 기초에 포함되는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에 포함되는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의 상단 면적을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2는 고화체와 비고화된 주변 지반의 복합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의 복합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와 지반의 복합기초,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심도 15m 이하의 중층기초, 심도 15m 이상의 심층기초, 표층기초와 상기 중층기초로 구성되는 복합기초, 표층기초와 상기 심층기초로 구성되는 복합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3은 a) 날개(176); b) 이가 구비된 롯드(520); c) 상기 롯드(52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16); d) 상기 날개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이동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에 의하여 투입된 바인더(190)와 토사(191), 잔토(191), 사토(191), 지반(191), 슬라임(192), 보강재(193) 중 하나 이상의 고결에 의하여 조성된 고화체 기초이다. 상기 기초 3에서 상기 날개 또는 롯드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4는 상기 기초(도 51의 1, 2, 3, 4, 5) 중 하나와 주변 지반 또는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5는 상기 기초(도 51의 1, 2, 3, 4, 5) 중 하나에 보강재가 삽입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6은 상기 기초 중 하나와 보강재와 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7은 상기 기초 중 하나의 조성 시에 발생된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8은 상기 기초, 보강기초, 복합기초 중 하나와 이 상부의 표층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9는 날개에 의하여 지반과 부산물 함유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지중 변단면 고화체이다.
상기 기초 10은 상기 고화체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사토, 슬라임(192)과 바인더가 백호 버켓에 의하여 교반되어 조성된 표층 다짐형 고화체이다. 상기 기초 11은 변단면 고화체와 이 상부에 조성되는 다짐형 고화체의 둘이 조합된 복합체이다. 상기 기초 12는 a) 상기 고화체와 이의 주변 비고화된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b) 상기 고화체에 보강재가 삽입된 보강기초; c) 상기 고화체, 보강재, 지반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복합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13은 a) 원통부(2); b) 자신(3)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직경 또는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3); c) 상기 원통부(2), 콘부(3),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4);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 기둥형 기초(5)이다. 이는 도 51 참조. 상기 기초 14는 a) 상기 원통부(2)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2개 이상의 동일 길이 날개; b) 상기 콘부(3)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것으로 상기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2개 이상의 가변 길이 날개; c) 상기 꼬리부(4)의 조성을 위하여 바인더와 지반을 교반하는 것으로 상기 둘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2개 이상의 동일 길이 날개;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형성된 상기 원통부(2), 콘부(3), 꼬리부(4) 중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 기둥형 기초(5)이다. 이는 도 51 참조. 상기 기초 14의 a) 날개, b) 날개. c) 날개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15는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형의 기둥 중 하나(2, 3, 4, 5)의 상부에 백호, 이의 버켓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바인더와 흙, 토사, 잔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 포설, 다짐 중 하나 이상이 되어 설치되는 표층형 기초(1)이다. 이는 도 51 참조. 상기 기초 15의 버켓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16은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형의 기둥 중 하나(2, 3, 4, 5)의 조성 시에 발생되는 잔토, 사토, 슬라임(192)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표층형 기초(1)이다. 상기 기초 17은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기둥형 기초(5)와 상기 표층형 기초(1)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18은 상기 기둥형 기초(5)와 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층형 기초(1)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19는 상기 원통부, 콘부, 꼬리부, 기초, 기둥, 표층부, 표층형의 표층 중 하나 이상에 보강재(193)가 투입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20은 a) 날개(176)가 장착된 롯드(520); b) 상기 롯드의 홀, 노즐, 비트, 회전수단; c) 이의 회전수단이 거치된 암(515); d) 이의 암이 구비된 붐(513); e) 상기 롯드 내지 붐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된 백호 또는 포크레인(510); f) 상기 보강재를 투입하는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1, 2, 3, 4, 5)이다. 상기 기초 20에서 상기 롯드, 홀, 노즐, 비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21은 상기 롯드(520)에 순차적으로 연계된 공급호스(64), 펌프(63), 배합기(62), 호퍼(61), 사일로(6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21에서 상기 롯드, 공급호스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22는 상기 날개, 장비, 롯드 내지 포크레인, 호스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에 a) 진동자화기; b) 또는 바인더를 진동자화하는 진동자화기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1, 2, 3, 4, 5)이다. 상기 기초 23은 상기 기초의 조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바인더(80); 상기 장비를 통하여 공급되는 바인더(80); 상기 배합기에서 배합된 바인더 슬러리(80); 상기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상기 슬러리(80);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롯드(520); 상기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날개(176); 상기 날개에 의한 교반; 일정의 백호에 장착된 버켓; 이의 버켓에 의한 교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23에서 바인더에는 상기 진동자화기,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 24는 흙(191), 토사, 잔토, 지반, 슬라임(192), 고화재, 보강재(193), 상기 바인더(190), 상기 슬러리 중 하나 이상의 교반, 양생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이는 도 48 참조.
상기 기초 25는 날개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상기 기둥형 기초(2, 3, 4, 5)와 백호에 장착된 버켓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표층형 기초(1)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25에서 상기 날개, 버켓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26은 버켓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표층형 기초(1), 날개의 교반에 의하여 조성된 기둥형 기초(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27은 상기 표층부, 원통부, 콘부, 꼬리부 중 둘 이상으로 구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28은 표층부와 원통부, 표층부와 콘부, 표층부와 꼬리부, 원통부와 콘부, 원통부와 꼬리부, 콘부와 꼬리부, 표층부와 원통부와 콘부, 표층부와 원통부와 꼬리부, 원통부와 콘부와 꼬리부, 표층부와 원통부와 콘부와 꼬리부 중 하나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29는 자신의 a) 심도가 15m 이내, 5∼15m; b) 선단이 풍화토층에 거치, 풍화암층에 거치, N치 18∼35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N치는 표준관입시험에 의하여 산정된다. 상기 기초 30은 상기 변단면 또는 기둥형의 상부 동일단면(2)이 N치 15∼30인 지층에 거치, 상기 동일단면보다 직경이 작은 하부 동일단면(4)이 N치 18∼35인 지층에 거치, 상기 상부와 하부의 중간인 콘단면(3)이 N치 16∼32인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1은 자신 상부에 놓이는 8층 이하 건물, 25∼45ton/㎡ 이하 하중 시설, 250∼450kN/㎡ 이하 하중 구조물 중 하나를 지지하는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2는 상기 조성 시에 발생된 또는 상기 기초(2, 3, 4, 5)의 조성에 의하여 발생된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표층 기초(1)이다. 상기 기초 33은 날개(176)의 회전(527)에 의하여 바인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1)이다. 상기 기초 34는 백호, 이에 장착된 버켓, 상기 버켓 내부에 장착된 날개, 상기 버켓 내부에 장착된 회전 날개 중 하나 이상의 장비에 의하여 바인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된 후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35는 상기 형성, 교반, 주입 중 하나 시에 날개에 의하여 바인더, 흙, 토사, 잔토, 지반, 슬라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교반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6은 상기 진동자화기에 의하여 진동자화된 바인더가 이용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7은 상기 바인더에 Ca성분이 함유된 수화반응제, Na성분이 함유된 수화고결제, Al성분이 함유된 실리카제, Ti성분이 함유된 촉매제, H성분이 함유된 졸겔제, Si성분이 함유된 포집제, Mg성분이 함유된 탄산화제, Fe성분이 함유된 부산물제, Cell이 함유된 개체증식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8은 상기 바인더에 자신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화반응제 60∼80중량부, 상기 수화고결제 5∼10중량부, 상기 실리카제 4∼7중량부, 상기 졸겔제 1∼3중량부, 상기 포집제 6∼12중량부, 상기 탄산화제 4∼8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39는 자신의 N치 15∼35; 강도 25∼45ton/㎡; 강도 25∼45ton/㎡ × 안전율 또는 1.1∼3.0로 산정되는 값인 (25×1.1∼3.0)ton/㎡ ∼ (45×1.1∼3.0)ton/㎡; 최대 강도 100ton/㎡; 중 하나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40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표층 기초이다. 상기 기초 41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와 표층 기초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2는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와 이의 주변 비고화된 지반 또는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3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와 상기 주입되지 않은 지반으로 구성된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44는 상기 바인더를 분사하는 롯드 또는 스크류가 지반에 영구 존치되어 조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5는 상기 고화체∼그라우팅체 중 하나와 이에 삽입된 롯드 또는 스크류로 구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6은 지반에 영구 존치된 롯드와 이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고화체∼그라우팅체 중 하나로 조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7은 상기 기초, 지중 기초, 중층 기초, 심층 기초 중 하나와 이에 삽입된 보강재로 구성된 보강기초이다. 상기 기초 48은 상기 보강재가 이동수단의 장비에 의하여 삽입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49는 상기 보강재가 판 구비 보강재, 확장판 구비 보강재, 자신과 볼트 연결되는 확장판 구비 보강재, 돌기 구비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0은 상기 보강재에 의하여 자신의 a) 심도가 15m 이상, 100m 이하, 15∼100m; b) 선단이 암반층에 거치, 연암층에 거치, N치 30 이상 지층에 거치, N치 100 이하 지층에 거치, N치 50∼100 지층에 거치; 중 하나 이상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1은 상기 보강재에 의하여 내진시설, 8층 이상 건물, 100층 이하 건물, 25∼45ton/㎡ 이상 하중 시설, 250∼450kN/㎡ 이상 하중 구조물 중 하나를 지지하는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2는 고화체(2, 3, 4, 5)와 미고화된 지반의 결합체, 고화체와 이의 주변 지반 또는 원지반의 결합체, 고화체와 롯드의 결합체, 고화체와 보강재의 결합체, 고화체와 스크류의 결합체, 고화체와 롯드와 지반의 결합체, 고화체와 보강재와 지반의 결합체, 고화체와 스크류와 지반의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53은 상기 결합체인 복합기초이다. 상기 기초 54는 날개에 의하여 지반, 슬라임 중 하나 이상의 모재와 보강재, 혼화제, 부산물, 미생물 중 하나 이상의 바인더, 또는 진동자화 처리된 상기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5는 벽, 기둥, 지지, 지보, 지탱, 보강, 개량, 보수, 차수, 방수, 투수, 막이, 여과, 반응, 정화, 불투수, 흙막이, 물막이, 지하벽, 연속벽, 반응성투수, 지하연속벽 중 하나 용도의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6은 1차와 2차와 3차와 4차의 지지층으로 구성되고, a) 상기 1차 지지층(1)은 상기 2차, 3차, 4차 지지층의 조성 시에 배출되는 토사, 잔토, 사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된 것으로 상기 2차 지지층의 상부에 거치되는 지지층이고, b) 상기 2차 지지층(2)은 날개가 장착된 회전롯드에 의하여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변단면 고화층의 상부 또는 이 상부의 동일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이고, c) 상기 3차 지지층(3)은 상기 2차 지지층과 4차 지지층 사이의 콘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이고, d) 상기 4차 지지층(4)은 상기 변단면 고화층의 하부 또는 이 하부의 동일단면으로서 상기 2차의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에 해당되는 부위의 지지층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7은 상기 변단면이 a) 상하 변단면, 상중하 변단면, 점축 단면, 점확 단면, 점축 후 점확 단면, 점확 후 점축 단면, 동일 후 점확 단면, 동일 후 점축 단면, 동일 후 점확 후 동일 단면, 동일 후 점축 후 동일 단면, 동일 후 콘모양 후 동일 단면, b) 동일단면 기둥체와 이의 하부에 콘단면 기둥체와 이의 하부에 상기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 기둥체, c) 동일단면 기둥체와 이의 하부에 콘단면 기둥체와 이의 하부에 상기 동일단면 보다 직경이 작은 동일단면 기둥체, d) 또는 축, 길이, 기둥, 상기 롯드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상하 변단면 ∼ 동일 후 점축 후 동일 단면 중 하나인 상기 기초이다.
상기 기초 58은 상기 고화체, 보강재, 지반 중 둘 이상의 평균 또는 환산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을 가지는 기초이다. 상기 평균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은 산정 a, b, c 중 하나에 의한다. 상기 산정 a는 (상기 고화체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1이라 칭함) + 상기 지반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2라 칭함)) ÷ 2 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b는 (상기 p1 + 상기 보강재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p3라 칭함)) ÷ 2 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c는 (상기 p1 + 상기 p2 + 상기 p3) ÷ 3 으로 산정된다.
상기 환산의 점착력 또는 내부마찰각은 산정 1, 산정 2, 산정 3, 산정 4, 산정 5, 산정 6, 산정 7, 산정 8, 산정 9 중 하나에 의한다. 상기 산정 1은 (상기 p1 × 상기 고화체의 면적(A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지반의 면적(A2이라 칭함)) ÷ (상기 A1 + 상기 A2)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2는 (상기 p1 × 상기 A1 + 상기 p3 × 상기 보강재의 면적(A3이라 칭함)) ÷ (상기 A1 + 상기 A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3은 (상기 p1 × 상기 A1 + 상기 p2 × 상기 A2 + 상기 p3 × 상기 A3) ÷ (상기 A1 + 상기 A2 + 상기 A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4는 (상기 p1 × 상기 고화체의 체적(V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지반의 체적(V2이라 칭함)) ÷ (상기 V1 + 상기 V2)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5는 (상기 p1 × 상기 V1 + 상기 p3 × 상기 보강재의 체적(V3이라 칭함)) ÷ (상기 V1 + 상기 V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6은 (상기 p1 × 상기 V1 + 상기 p2 × 상기 V2 + 상기 p3 × 상기 V3) ÷ (상기 V1 + 상기 V2 + 상기 V3)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7은 (상기 p1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고화체의 면적(A11이라 칭함) + 상기 p2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지반의 면적(A21이라 칭함)) ÷ (상기 A11 + 상기 A21)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8은 (상기 p1 × 상기 A11 + 상기 p3 × 상기 회전하는 롯드 방향에 대한 상기 보강재의 면적(A31이라 칭함)) ÷ (상기 A11 + 상기 A31)으로 산정된다. 상기 산정 9는 (상기 p1 × 상기 A11 + 상기 p2 × 상기 A21 + 상기 p3 × 상기 A31) ÷ (상기 A11 + 상기 A21 + 상기 A31)으로 산정된다.
상기 점착력은 t/m2, 내부마찰각은 도(°)의 단위 또는 물리량을 가진다. 상기 기초의 지지력은 Terzaghi, Meyerhof, Hansen 중 하나 이상의 지지력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상기 Terzaghi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 + βBr1Nr + r2DfNq이다. 상기 Meyerhof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FcsFcdFci + βr1BNrFrsFrdFri + r2DfNqFqsFqdFqi이다. 상기 Hansen 지지력 공식은 qu = αcNcscdcicgcbc + βr1BNrsrdrirgcbr + r2DfNqsqdqiqgcbq이다. 상기 qu = 기초의 지지력; α = 기초형상계수; β = 기초형상계수; B = 기초폭; c = 점착력; Df = 기초 근입깊이; 상기 Nc, Nr, Nq = 지지력계수; 상기 Fcs, Frs, Fqs = 형상계수; 상기 Fcd, Frd, Fqd = 깊이계수; 상기 Fci, Fri, Fqi = 경사계수; 상기 sc, sr, sq = 형상계수; 상기 dc, dr, dq = 깊이계수; 상기 ic, ir, iq = 경사계수; 상기 gc, gr, gq = 지반계수; 상기 bc, br, bq = 저면경사계수; 이다. 상기 기초의 극한 지지력은 상기에서 산정된 1개 지지력, 2개 평균 지지력, 3개 평균 지지력 중 하나로 한다. 상기 기초의 허용 지지력은 상기 극한 지지력을 안전율(Fs)로 나는 q = qu / Fs 또는 q = qu / 3 이다. 상기 기초가 지지하는 시설, 건물, 구조물 중 하나(40)의 침하량은 지반물성치를 이용하는 공식 S = qㆍBㆍ(1-μ2)/EㆍIw, 재하시험에 의한 공식 S = S30ㆍ(2B/(B+0.3))2, N치에 의한 공식 S = 0.4ㆍ(Po/N)ㆍHㆍlog(Po+ΔP)/Po 중 하나 이상으로 산정된 개별 침하량 또는 둘 이상의 평균 침하량 이다. 상기 q =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강도 또는 시설의 하중강도, B = 기초폭, μ = 지반의 포아슨비, E = 지반의 탄성계수, Iw = 침하에 의한 영향값, S30 = 재하시험시 재하판의 침하량, H = 토층 두께, Po = 지반의 유효상재하중, ΔP = 시설의 하중에 의한 연직응력증가분인 것이다.
상기 기초 59는 공장에서 제조되는 공장기초, 현장에서 타설되어 조성되는 현타기초, 토사와 바인더가 교반되어 조성되는 믹싱기초, 지반과 고화제가 믹스되어 조서되는 믹스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지중에 타설되어 조성되는 현타기초, 기초의 일부가 확장되는 확장기초, 선단에 확장판이 구비된 확장기초, 지반 그라우팅에 의하여 조성되는 그라우팅기초,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기초,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심도 15m 이하의 중층기초, 심도 15m 이상의 심층기초, 외주에 스크류 장착 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매입 후 항타기초, 굴착 또는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순환파이프 삽입 에너지기초, 형틀 또는 굴착부에 철근 삽입 및 콘크리트 또는 진동처리 콘크리트 타설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60은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이다. 상기 기초 61은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이다.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된다.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된다.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된다. 상기 기초 62는 진동처리된 재료,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그라우팅재,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기초이다. 상기 진동처리는 진동기에 의한다. 상기 진동기는 a)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동시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속밀도가 1,000∼20,000 가우스인 자기장, 자속밀도가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동시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스는 하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1은 봉, 통, 블럭, 원통, 튜브, 파이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공형, 중공통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케이스이다. 상기 2는 자신의 내부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의 전체 또는 부분이 구비된 케이스이다. 상기 3은 자신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이다. 상기 4는 자신을 거치거나 또는 접촉되는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 이상을 자화, 진동, 진동자화,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케이스이다. 상기 5는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의 유동성, 이동성, 타설성, 주입성, 침투성, 작업성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는 케이스이다.
상기 기초 63은 얕은기초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되는 기초이다.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된다.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된다.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된다. 상기 기초 63에서 얕은기초의 하부에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변단면기초, 돌기구비기초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믹싱기초는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이중 둘 이상 재료; 중 하나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 믹싱기초, 지중믹싱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중 하나이다. 상기 스크류기초는 봉, 대, 기둥, 샤프트 중 하나의 외면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거나, 또는 자신의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기초이다.
상기 기초 63에서 그라우팅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변단면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파일은 a) 그라우팅; b) 이의 전, 중, 후, 동시; c) 또는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매입되는 기초이다. 상기 변단면기초는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지반에 관입 후 상하 방향 중 하나로 단면, 횡단면, 단면적, 직경, 두께, 굵기 중 하나가 변함, 다름, 확대, 축소, 테이퍼, 점증, 점확, 상부확대하부축소 중 하나가 되는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기초 64는 절개된 외관, 내관으로 구성된 관이 구비된 판 또는 확장형 판이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외관의 길이가 상기 내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내관의 길이가 상기 외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외관과 내관의 길이가 다른 것이다. 상기 기초 65는 일정의 기초로서, 상기 기초는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에 네일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네일이 구비된 핀이 관에 거치되고, 상기 관이 판에 구비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는 관 구비 판이 파일, 피어, 케이슨, 깊은기초,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돌기구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중 하나로서,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지반 또는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상부에 상기 얕은기초 내지 전면기초 중 하나가 설치된다.
상기 기초 66은 블럭헤드, 이에 형성된 홀, 이의 홀에 관통되는 봉,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안착대로 구성된 블럭기초로서, 상기 블럭헤드에 하기 1, 2, 3 중 하나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에 더하여 상기 블럭헤드의 하부에 관 구비 판이 장착된다. 상기 1은 핀, 2핀, 3핀, 4핀, 2발핀, 3발핀, 4발핀, 경사 핀, 돌기 구비 핀 중 하나이다. 상기 2는 자신의 외면에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이 용접된 핀이다. 상기 3은 핀, 이의 측면에 봉, 이 봉의 측면에 돌기, 이 돌기의 측면에 볼트, 이 볼트의 측면에 네일, 이 네일의 측면에 앵커, 이 앵커의 측면에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복합체이다.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된다.
상기 기초 67은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IP, PRD, RCD, CJG, SCP, GCP, CCP, VCP, VCCP 중 하나이다. 상기 JSP는 jumbo special pile, jumbo special pile 기초, 시멘트 또는 경화제가 지중에 고압으로 분사교반되어 조성되는 파일, 경화제와 제트에어가 지중에 고압으로 분사되어 조성되는 파일, 지중에 삽입된 2중관 중 내관으로 경화제가 분사되고 외관으로 제트에어가 분사되어 지중에 조성되는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SGR은 space grouting rocket, space grouting rocket, 물유리와 시멘트와 약제가 지반에 주입되어 조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LW는 labiles wasserglass, labiles wasserglass 기초, 물유리가 지반에 주입되어 조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SCW는 soil cement wall, soil cement mixing wall, soil cement wall 기초, 소일과 시멘트가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DCM은 deep cement mixing, deep cement mixing 기초, 지반과 시멘트가 교반되어 조성된 심도 15m 이상의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CCP는 a) chemical chuning pile, chemical chuning pile 기초, b) 또는 충격수, 펄스수, 충격펄스수, 고압 충격수, 초고압 펄스수 중 하나가 이용되어 지반 속에서 토사와 경화제가 교반되어 지중에 조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CDM은 cement deep mixing, cement deep mixing, 시멘트와 흙이 교반되어 조성된 심도 15m 이상의 기초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CGS는 다짐그라우팅 기초, 그라우트재가 지반속으로 다짐되어 조성된 기초, 수분이 적은 그라우트재가 지반속으로 다짐되어 조성된 기초, compaction grouting system, compaction grouting system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DJM은 dry jet mixing, dry jet mixing 기초, 분말 경화제가 지중에 분사되어 조성된 파일, 석회 또는 시멘트가 지중에 분사되어 조성된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JGM은 jet grouting method, jet grouting method 기초, 그라우트재가 제트식으로 지중에 주입되어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TJG은 twin jet grouting, twin jet grouting 기초, 그라우트재가 트윈제트식으로 지중에 주입되어 형성된 기초, 트윈제트 노즐에 의하여 그라우트재가 지중에 주입되어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SIG는 super injection grout, super injection grout 기초, 공기와 물의 힘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절삭토를 지표에 배출하고 지중에 형성된 공동에 고화재를 충진하여 조성되는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RJP는 rodin jet pile, rodin jet pile 기초, 지중에 삽입된 3중관으로 경화제와 물과 공기가 분사되어 지중에 조성되는 파일, 지중에 삽입된 3중관 중 내관으로 경화제가 분사되고 중관으로 고압수가 분사되고 외관으로 제트에어가 분사되어 지중에 조성되는 파일 중 하나이다. 상기 CIP기초는 CIP기초, 현장타설기초, 현장시공기초, cast in place pile, cast in place pile 기초, 지반을 오거나 보링기로 천공하여 형성된 보링공에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지중에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CJG는 column jet grouting, column jet grouting 기초, 제트 그라우팅으로 지중에 형성돤 기둥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PRD기초는 PRD기초, percussion rotary drill 기초, 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퍼커슨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기초 또는 기초 조성 장비의 예로는 드릴, 이에 거치된 롯드, 상기 롯드의 회전수단, 상기 롯드의 선단에 구비된 비트 또는 확공비트, 상기 롯드의 길이를 따라 상기 롯드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거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상기 확공비트,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거치된 상기 롯드, 상기 롯드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비트,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롯드, 상기 롯드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하는 상기 비트, 상기 지반의 굴착과 동시에 상기 롯드 또는 비트를 따라 지반에 관입되는 상기 케이싱, 지중의 목표심도까지 굴착하는 상기 확공비트, 상기 목표심도까지 관입되는 상기 케이싱, 지상으로 인발되는 상기 롯드 및 확공비트, 상기 인발시 지중에 존치되는 상기 케이싱의 선단에 걸리면서 외경이 축소되는 상기 확공비트, 상기 축소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확공비트, 상기 인입되어 롯드를 따라 지상으로 인발되는 상기 확공비트, 상기 지중에 존치되는 상기 케이싱, 상기 지중에 존치되어 기초를 이루는 상기 케이싱 등이 해당된다.
상기 RCD기초는 RCD기초, reverse circulation drill 기초, 역순환 굴착기초, RCD장비를 이용해 정수압으로 공벽을 보호하며 드릴로드 끝부분에 장착된 드릴비트(drill bit)를 회전시켜 지반 천공을 한 후에 사전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성된 현장타설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SCP는 sand compaction pile, sand compaction pile 기초, 모래를 지중에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조성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GCP는 gravel compaction pile, gravel compaction pile 기초, 자갈을 지중에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조성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CCP는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기초, 쇄석을 지중에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조성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VCP는 vibrated compaction pile, vibrated compaction pile 기초, 진동을 가하면서 지중에 재료를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조성한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VCCP는 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진동을 가하면서 지중에 쇄석을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조성한 기초 중 하나이다.
도 57은 본 발명에 의한 방(room)을 나타낸다. 이의 방(143)에는 a) 벽면(136, 137)에 벽지, 황토칠, 마감재; b) 상부 벽면(137)에 벽지, 황토칠, 마감재; c) 하부 벽면(136)에 편백루바; d) 천장(138)에 편백루바, 보드, 천장재; e) 바닥(150)에 단열재(151); f) 상기 바닥 또는 단열재의 상부에 히팅, 보일러 용도의 호스(152); g) 상기 호스의 상부에 열전도판(154); h) 상기 바닥, 단열재, 호스, 열전도판 중 하나의 상부에 h1) 장판, 마루, 황토보드(155); h2) 또는 상기의 장판, 마루, 자재, 바닥재, 마감재(155); i) 상기 호스에 온수, 냉수, 냉온수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또는 순환시키는 히터(153), 칠러, 보일러(153), 냉온기, 온방기, 냉방기, 온수기, 냉수기, 냉각기, 냉온수기; j) 상기 호스, 히터 내지 냉온수기 등에 거치되어 상기 공급하거나 또는 순환시키는 펌프, 전량펌프, 순환펌프; k) 상기 히터 내지 순환펌프 중 하나에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수단; ℓ)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벽지 내지 전원공급수단; 등이 설치, 위치, 거치, 장착, 부착, 붙임, 칠, 바름, 미장, 벽지 붙임, 보드 부착, 미장재 바름 등이 되는 방이 포함된다. 이의 방은 방, 황토방, 피톤방, 편백방, 황토피톤방 등이 된다.
도 58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장비, 장치1(50), 장치2(51), 장치3(52), 가압기(63), 필터(160), 자화기 내지 복합기(30, 50, 51, 52); 이중 하나를 거친 물질(80),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복합물(80); 등에 의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의 예로는 자재, 재료, 시설, 건물, 구조물 등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소독, 살균 등을 하는 것이 해당된다. 도 53에서 a는 벽돌, b는 블럭, c는 창문, d는 박스, e는 배수로, f는 맨홀, g는 도관, h는 판넬, i는 흄관, j는 보드, k는 벽체, ℓ은 봉 등의 자재(309)를 나타낸다. 이의 자재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물 등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벽돌 내지 벽체, 자재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장비,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30, 50, 51, 52)이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40),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자재, 제품, 장치, 장비, 시설 등을 나타낸다. 도 59에서 a는 통, b는 박스, c는 캔, d는 취출 꼭지, e는 ㄱ관로, f는 병, g는 항아리, h는 주전자, i는 가두리함, j는 주사기, k는 호스, ℓ은 집 등의 자재, 제품, 시설 등을 나타낸다. 상기 통 내지 집, 자재, 제품, 시설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폭기기, 풍력송풍기, 풍력버블기, 풍력콤프레셔 등을 나타낸다. 이는 a) 기(器 or 機), 재료, 원료, 수, 물, 댐, 하천, 연못, 물질, 물체, 댐수, 연못수, 하천수, 수조, 저류지, 유수지, 시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수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에 압기, 공기, 대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을 주입; 이의 주입에 의하여 상기 재료 내지 복합기 등을 경량화, 기포화, 다공화, 폭기, 와류, 교반, 케비테이션, b) 또는 상기 재료 내지 복합기 등에 산소주입, 공기주입; 등을 하는 풍력폭기기(50), 풍력송풍기, 풍력버블기, 풍력압축기, 풍력수압축기, 풍력공기압축기, 풍력콤프레셔(50) 등이 해당된다.
상기 풍력폭기기 내지 풍력콤프레셔 등(50)은 a) 회전하는 풍력날개에 연계된 스크류 또는 회전직선변환기와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을 생성하여 주입하는 풍력콤프레셔(wind compressor), 풍력스크류콤프레셔(wind screw compressor), 풍력피스톤콤프레셔(wind piston compressor) 등이거나, b) 바람 또는 풍력(51), 이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풍차, 회전체(52), 이중 하나 회전력(53), 이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54), 이 크랭크에 거치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로드(55), 이 로드에 거치된 피스톤(56), 이 피스톤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실린더(56), 상기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한 실린더 내부의 수, 물, 액, 유, 공기, 물질 등 압축,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기(壓氣),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63), 이가 배출되는 실린더의 배출구(62), 이의 배출구에 연결된 호스, 배출호스, 공급호스(6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기는 압축공기를 나타낸다. 상기 날개 내지 공급호스, 기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 등의 이용, 구비,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압축물은 풍력을 이용하여 얻어진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실런더(56)에는 공기 등 유입구(59), 이에 설치된 유입밸브(60), 그리고 압기 등 배출구(62), 이에 설치된 배출밸브(61) 등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57)의 미는 힘, 작용 등에 의한 실린더(56) 내 물질 또는 공기 압축 시에는 공기 유입밸브(60)는 닫히고 배출밸브(61)가 열려 압기, 압축물 등(63)이 배출구(62), 배출호스(64) 등을 통하여 배출되고, 피스톤(57)이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압기 배출밸브(61)는 닫히고 수, 물, 액, 유, 물질, 공기 등의 유입밸브(60)는 열려 물질, 공기 등이 실린더 내로 유입되고, 다시 피스톤이 실린더를 압축하게 되면 물질, 공기 유입밸브는 닫히고 압기, 압축물 배출밸브가 열려 압기, 압축물 등이 배출구, 배출호스 등을 통하여 배출되고, 피스톤이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배출밸브는 닫히고 물질, 공기 유입밸브는 열려 물질, 공기가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압기, 압축물, 압축공기, 풍력압기 등(63)이 공급, 제공, 주입 등이 된다. 이가 주입되는 중공체(37, 76, 77)의 경우 상기 중공체에 구비된 인젝터(93), 경사관(93) 등을 통하여 중공체 내로 유입되어 중공체 내부를 흐르는 물질, 원료, 재료,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등에 압기, 압축공기 등을 주입하여 이의 경량화, 폭기, 호기화 등에 기여를 하게 된다. 상기 풍력에 의한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은 외부의 전원이나 전기의 공급없이 자연의 바람을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이 된다. 여기서 풍력, 바람, 풍력콤프레셔 등에 의한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은 일정의 압력, 콤프레셔 대용, 경량콘크리트 등에 주입되는 경량재 대용, 일반콤프레셔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 대용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풍력폭기기 내지 풍력콤프레셔(50)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풍력피스톤콤프레셔의 경우는 바람, 풍력 등(51)으로 회전하는 날개, 회전체, 블레이드, 프로펠라, 회전축 등(52)의 회전력(53)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 등(52)에 연결된 크랭크(54), 이에 연결된 샤프트 또는 커넥팅롯드 등(55)을 통하여 실린더(56) 내의 피스톤(57), 스크류 등을 직선운동(58)시키거나 회전시켜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하여 실린더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62)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63)를 내보내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풍력콤프레셔는 바람, 풍력 등을 이용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를 얻는, 만드는, 제공하는, 공급하는 등의 장치가 된다. 상기 피스톤(57)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공기 배출구(62)의 밸브(61)가 닫히고 물 또는 공기 유입구(59) 밸브(60)가 열려 실린더 내로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되고, 반대로 피스톤(57)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물 또는 공기 유입구(59) 밸브(60)는 닫히고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 배출구(62)의 밸브(61)가 열려 실린더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63)가 배출, 공급 등이 되게 된다. 상기 풍력스크류콤프레셔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실린더 내의 스크류가 회전하여 실린더 내의 물 또는 공기를 일측으로 압축하여 실린더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가 배출, 공급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풍력폭기기 내지 풍력콤프레셔(50) 등에서 제공되는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63)은 상기 실린더의 배출구(62)에 연결된 호스, 파이프, 파이프라인 등(64)을 통하여 수(水), 물, 액(液), 유(流),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 물체, 몸체, 재료, 자재, 물속, 수중, 하천, 연못, 수조, 탱크, 관로, 튜브, 호스, 파이프, 중공체,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생물반응조, 화학반응조, 공중, 실내, 공장, 현장, 대기, 실내공기, 터널, 터널현장, 분진공기, 악취공기, 상기 튜브 내지 면처리기 등에 주입되어 공기, 산소, 기포 등을 공급하여 폭기, 반응, 응집, 산화, 정화, 정수, 청정 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흙,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80)에 주입되어 공기, 기포 등이 매입된 기포토, 기포몰탈, 기포레미콘, 기포콘크리트, 경량토, 경량몰탈, 경량레미콘, 경량콘크리트 등을 조성하게 되고, 양생기에서 분사되는 양생용 공기에 추가 투입되어 양생을 촉진하게 되거나, 양생공기의 분사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 회전체, 블레이드, 프로펠라, 회전축, 크랭크, 샤프트, 커넥팅롯드, 실린더, 피스톤, 스크류, 배출구, 유입구, 배출라인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공사, 장비, 장치, 제조, 자재 제조, 저장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물, 전선 내지 전원공급기 등에서는 친환경에너지, 대체에너지, 하기 전기, 하기 발전기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에너지로는 지열, 태양, 태양열, 바람, 풍력, 조력, 파력, 태양전기, 풍력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기 또는 에너지는 지열발전기, 태양발전기, 태양열발전기, 풍력발전기, 조력발전기, 파력발전기 등에서 얻게 된다. 상기 발전기로는 a) 풍력날개와 이의 회전축과 이에 거치된 변속기와 이에 연계된 발전기로 구성된 풍력발전기; b)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c) 회전하는 회전체, 이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d)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 e) 상기 회전자(전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 f) 태양전지와 인버터로 구성된 또는 태양열 이용 증기에 의한 회전체와 이에 연계된 발전기로 구성된 태양발전기, 태양광발전기, 태양열발전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태양발전기는 태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태양광발전기, 태양열발전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태양광발전기는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고, 여기서 태양열발전기는 적외선식, 증기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적외선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축열기, 발전기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증기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열교환기, 증기터빈, 복수기, 발전기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광발전기는 태양전지 등을 태양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태양의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로, 태양전지 등으로 받은 빛을 직접 전기로 바꾸는 것이다. 태양광발전기의 예로는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태양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쪼여지면 태양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기가 생성되는 것 등이고, 축전지는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고, 전력변환장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또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태양열발전기는 태양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태양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로, 태양열발전기는 적외선식, 증기식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적외선식 태양열발전기는 크게 집열기, 축열기, 발전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집열기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모아서 열로 변환하는 설비이고, 집열기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관 속으로 물을 흐르게 하는 평판 집열관이고, 이것은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외부층(유리나 플라스틱)이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의 내부구성물을 둘러싼 형태로 이루어져 온실효과를 일으키고, 빛이 집열판 속으로 들어오면 이것은 검은색의 내부에 부딪쳐 적외선으로 바뀌는데 적외선은 투명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내부는 점점 더 뜨거워지고, 이렇게 뜨거워진 내부에는 열을 흡수하였다가 전달하는 매체가 흐르는데 이 뜨거워진 매체는 물과 열교환하여 난방용 또는 온수용 물을 생성하고, 축열기는 집열기에서 획득한 열이 교환되어 이용처에 활용될 매체인 난방수, 온수 등을 저장하는 설비이고, 발전기는 집열기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증기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열교환기, 증기터빈, 복수기, 발전기 등으로 구성되고, 빛을 한곳에 모이게 하는 집열기를 이용하여 태양열을 모아 흡수체에 싸여 있는 파이프의 열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는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하게 되고, 그동안 열교환기 속을 통하는 다른 파이프의 열매체가 가열되고, 그 열매체는 증기터빈과 복수기의 순으로 열에너지를 소비하면서 다시 열교환기로 되돌아오고, 이 과정에서 전기 생성, 냉난방 및 급탕 등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복수기는 응축기, 컨덴서 등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증기터빈에서 배출된 증기를 물로 냉각하여 응축 또는 복수(復水)시키는 것이고, 발전기는 증기터빈으로부터 제공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82)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는 a) 날개, 변속기, 발전기, 인버터, 전선 등으로 구성, b)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날개, 날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심 회전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어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여서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변속기, 변속기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등으로 구성 등이 된다. 풍력발전기의 예로는 풍차, 풍력날개, 회전축, 변환장치, 발전기로 구성되어, 풍차 또는 풍력날개의 회전운동이 풍력날개의 회전축을 통하여 변환장치 또는 기어박스로 전달되고, 변환장치 또는 기어박스에서 회전운동의 회전속도를 가속하여 발전기로 보내어 발전기에서 기계적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 등이다. 상기 발전기에 추가하여 인버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인버터는 생성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또는 교류전기(AC)를 직류전기(DC)로변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풍력폭기기, 풍력콤프레셔, 발전기; 이중 하나의 부속품; 상기에 기재된 부속품;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61은 본 발명에 의한 처리, 선별, 파쇄 등의 공정 또는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박리(314), 세척(315), 탈수(316), 분급(318), 펠렛화(322), 집진(323) 등의 처리(310) 공정을 보여준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물질이 호퍼(311)에 투입, 트롬멜 선별(331), 송풍기 선별(332), 자력선별기 선별(333), 수조선별기 선별(334), 죠크러셔 파쇄(350), 더블죠크러셔 파쇄(351), 콘크러셔 파쇄(352), 임팩트크러셔 파쇄(353), 세척(315), 분급(318), 처리수 정화(405), 슬러지 탈수(316) 등이 공정으로 처리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투입 내지 집진, 투입 내지 탈수, 호퍼, 트롬멜, 송풍기, 자력선별기, 수조선별기,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조선별기(334)에는 물을 담는 수조(335), 수조에 투입된 물질 중에서 자신에 형성된 구멍으로 미세입자가 빠져나간 조대물 또는 골재를 배출시키는 컨베이어(400), 이 컨베이어에 의하여 배출된 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330), 수조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형 스크류(337), 수면 상부의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형 스크레이퍼(336), 수조를 월류한 처리수를 저류하는 저류조(176)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정화조 또는 수처리장치(140)는 오염수(80) 유입구, 응집제(85) 주입기(142), 내부 유입 파이프(143), 침전지 또는 슬러지(144), 침전밸브(145), 다공필터(146), 회전형 스크레이퍼(147), 스컴 유입구(148), 스컴 배출구(149), 정화된 상등수 배출구(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된 정화수는 선별수조(335), 세척기(401), 이송라인(151) 등에 주입되어 재활용되고, 상기 주입 시에 상기 기능기, 펄스기 등(30, 50, 51)이 구비된 튜브, 벤츄리관 등(77)을 통한 기능수의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수조 내지 저류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 펄스기 등(30, 50, 51, 52)의 거치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와 응집제의 교반, 와류 등이 왕성하여 고속 반응 및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수의 처리시간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이 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을 통하여 정화되어 정화수가 된다.
상기의 예로는 건설 폐기물(300)이 파쇄(323) 또는 죠크러셔 파쇄(351), 풍력선별(342), 트롬멜선별(341), 스크린선별(345), 풍력선별(342), 더블죠크러셔 파쇄(352), 콘크러셔 파쇄(353) 등응 통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풍력선별에 의하여 가연물이 선별되고, 이의 가연물로부터 용융, 성형, 절단 등의 펠렛화 과정을 통하여 연료 펠렛이 조성된다. 상기 공정, 파쇄, 선별, 용융, 파쇄 장치, 선별 장치, 용융 장치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돌기, 회전체, 회전기 등의 이용, 구비, 방사, 조사, 발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처리장치는 a) 유입라인,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전해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살균조, 방류조, 농축기, 탈수기, 유출라인; b)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되는 둘 이상의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c)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중 하나 탱크(140)의 유입라인(70), 이 유입라인에 연계되면서 상기 탱크 내부에 거치되는 수직 파이프(143), 이 파이프 선단의 확공부; d) 상기 파이프 내부에 부착되는 판, 날개, 나선, 스크류, 수평판, 경사판, 교반수단, 폭기수단, 플레이트, 지그재그판, 지그재그경사판; e) 상기 탱크의 내부와 상기 파이프의 외부 사이에 거치되는 스크린(146), 경사스크린, 유공스크린(146); f) 상기 탱크 또는 유입구에 응집제(85)를 주입하는 주입기(142), 상기 응집조 하부의 침전부(144), 이 침전부에 침전되는 침전물(145) 또는 슬러지(145)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라인, 이 유출라인의 밸브; g) 상기 침전물 또는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기, 상기 침전물 또는 농축된 농축물을 탈수하는 탈수기; h)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상등수(141) 또는 정화수(81)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라인(150), 이의 유출라인에 연계된 정화수 이송라인(151); i) 상기 상등수 수면에 거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레이퍼(147), 이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깔대기(148), 이 깔대기에 연계되어 상기 부유물(383)을 외부로 배출(383)시키는 유출라인(149); j)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유출라인;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리, 선별, 파쇄 등의 장치(310)에는 폐기물(300)이 투입되는 호퍼(311), 폐기물(300)이 투입되어 선별되는 트롬멜선별기(312, 331), 폐기물을 풍력선별하는 풍력선별기(332), 상기 풍력선별된 가연물(305), 상기 트롬멜선별기의 망을 통과한 토사(301), 상기 트롬멜선별기를 거친 골재(302), 상기 토사를 확산하는 회전형 확산기(340), 상기 토사에 풍력을 가하는 팬 또는 송풍기(332), 상기 풍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토사(301, 381), 상기 골재 또는 폐기물에서 금속(386)을 선별하는 자력선별기(333), 상기 골재 또는 폐기물에 풍력을 가하는 팬(332), 상기 풍력에 의하여 날려진 분진공기에서 분진(383)을 선별하는 사이클론(161), 상기 사이클론에 연계되는 필터(87), 상기 골재 또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물(383)이 선별되는 수조(335) 또는 습식선별기(334), 상기 수조 또는 습식선별기에 투입된 골재(302)를 세척후 배출시키는 컨베이어(400), 상기 수조의 부유물(383)을 배출시키는 스크레이퍼(336), 상기 수조의 침전물(381)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스크류(337), 상기 수조의 월류수(80) 및 침전물을 저장하는 저류조(176), 상기 저류조에서 반출되는 침전물 및 토사(381), 상기 수조 또는 습식선별기에서 배출된 골재에서 수분을 선별하는 스크린 또는 진동스크린(330), 상기 스크린을 거친 골재(302)를 파쇄하는 파쇄기(313)인 죠크러셔(350), 더블죠크러셔(351), 콘크러셔(352), 임팩트크러셔(353, 314), 상기 파쇄 중 발생되는 먼지공기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323) 또는 사이클론(161), 상기 파쇄된 골재(302)에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305)을 선별하는 팬(332), 상기 골재를 세척하는 세척기(303), 상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펌프(63), 노즐(66), 유공관(315, 401), 스크린(315, 330) 등, 상기 노즐 또는 유공관에 형성된 구멍(101), 상기 노즐 또는 유공관 또는 구멍에서 분사되는 분사수(402), 상기 스크린을 거치는 골재에 분사수(402)를 분사하는 노즐 또는 유공관 또는 구멍(101), 상기 세척된 골재(304)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330, 318),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통과물(304, 382)에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305)을 선별하는 팬(332), 상기 수조, 세척기 등에 사용된 사용수(80)를 정화하는 정화조(140), 상기 정화된 정화수를 가압하는 펌프(63), 상기 정화수를 이송하는 이송라인(151), 상기 정화수를 폭기하는 벤츄리 또는 폭기기(77), 상기 벤츄리에 장착된 인젝터(93), 상기 인젝터로 유입되는 물질, 압기, 오존, 첨가제 등(82, 83, 84, 85), 상기 수조, 저류조, 정화조, 사이클론 등의 침전물을 탈수하는 탈수기(316),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케익(382), 상기 케익, 이물질, 부유물, 가연물 등을 펠렛화(353)하는 펠렛화기(322), 상기 펠렛화기에 포함되는 혼합기(370),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저장고(374);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2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기 또는 링송풍기(22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몸체(102), 이 내부에 팬(27) 및 모터(26), 상기 팬의 바람이 유출되는 링(221), 상기 링에 형성되면서 바람이 유출되는 노즐(222), 상기 링의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링(221)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225)와 상기 팬의 바람(28)이 송풍되는 송풍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선별기에는 링형 선별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a) 몸체 또는 중공체(76, 102); b) 이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26); c)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fan, 27); d) 이 팬(27)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8)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e)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f) 상기 노즐(222)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g)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h) 상기 팬의 송풍공기(28)와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225)가 함께 송풍되는 링형 송풍기(220, 332); i) 상기 송풍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 다른 송풍기; j)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k)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체 내지 다른 송풍기; ℓ) 상기 진동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m) 상기 부착에 의하여 진동 공기가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n)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스크류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2중 통(357, 358), 이의 내부에 스크류(426), 회전에 의하여 통 내부의 물질을 파쇄 또는 박리하는 스크류(426), 이 스크류의 회전축(410),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26), 상기 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25), 물에 수침된 상기 통, 상기 통의 후단에 거치된 회전 파쇄기(313)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는 파쇄기, 분쇄기, 크러셔, 죠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파쇄기에는 원통(357, 358)과 이 내부의 줄(411), 해머(415), 회전체(430), 스크류(426)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박리기 또는 파쇄기, 원통(357, 358)과 이 내부에 돌기(420) 장착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314) 또는 파쇄기(313), 원통과 이 내부에 로프(411) 장착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정회전 원통(358)과 이 내부 등에 역회전 원통(357)과 이 내부 등에 정회전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정회전 원통(357, 358)과 이 내부에 돌기(420) 및 로프(411) 장착의 역회전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쇄기에는 원통 파쇄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a) 원통(357, 358), 원통형 회전체, 중공형 회전체, 수침된 회전체(도 58 b); b) 이중 하나의 내부에 거치된 돌기(420), 회전축(410); c) 상기 회전체, 회전축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 돌기(420), 로프(411), 고무, 원바, 수평바, 경사날, 스크류(426), 리프터(359), 타이어, 갈고리, 다발줄(413), 꼬임줄(411), 꼬임줄(411)과 이의 선단에 조성된 다발줄(413); d) 상기 돌기 또는 로프에 부착된 해머(415) 또는 다른 돌기(420); e)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에 일측으로 투입되는 물질(300), 물질과 물; f)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상기 물, 물질 중 하나 이상의 회전; g) 상기 리프터(359)에 의한 상기 물질의 상승 후 낙하; h) 상기 회전에 의한 상기 물질 간의 충격, 마쇄작용, 상호마찰 운동; i) 상기 돌기(420)에 의한 돌기 파쇄, 상기 로프에 의한 줄 파쇄, 상기 물의 수력 또는 회전력 또는 와류력, 상기 리프터(359)에 의한 낙하 파쇄, 상기 고무 또는 타이어에 의한 반발력 또는 탄성 마쇄, 상기 해머(415)에 의한 타격 파쇄; j) 상기 파쇄에 의한 상기 물질에 부착된 몰탈 또는 시멘트 제거; k)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외주에 형성된 구멍으로 배출되는 상기 물질의 몰탈 또는 시멘트; ℓ)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에 타측으로 배출되는 물질, 파쇄물질, 박리물질; m)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하부에 거치된 풍력선별기(27, 312, 332); n) 상기 풍력선별기에 의하여 이물질이 선별되는 상기 배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파쇄기, 박리기 등이다.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한 줄, 회전체, 혼합기, 믹싱기, 파쇄기, 줄파쇄기, 회전줄파쇄기, 지중믹싱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또는 박리하는 박리기 등이다. 여기서 그림 a1은 줄, 연성줄, 강성줄, 수평줄, 수직줄, 곡선줄(102); a2는 다발줄(413); a3은 돌기(420) 형성의 다발줄(413); a4는 줄(411)과 다발줄(413); a5는 봉(411)과 다발줄(413); a6은 꼬임선, 동아줄, 스트랜드선(411); a7은 꼬임줄(411)과 다발줄(413); a8은 돌기 구비의 줄(411)과 다발줄(413); 그림 b는 수직 방향의 줄(411), 다발줄(413); 그림 c는 축 또는 롯드 또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줄 또는 4단 줄(411); 그림 d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줄 또는 5단 줄(411)과 다발줄(413); 그림 e는 축 또는 롯드 또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줄(411), 해머(415), 다발줄(413); 그림 f는 곡선줄(412)에 구비된 봉(411), 해머(415), 다발줄(413);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줄은 줄, 선, 봉, 대, 강줄, 연줄, 로프, 와이어, 탄성줄, 수평줄, 수직줄, 경사줄, 동아줄, 꼬임줄, 로프줄, 회전줄, 무회전줄, 스트랜드선, 축에 구비된 줄, 회전축에 구비된 줄,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줄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폭기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등을 할 수가 있다. 도 59의 a 내지 f 줄은 자체로 존치되거나, 또는 튜브, 중공체, 케이스, 하우징, 2중관, 3중관 등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도 6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격막(161), 미스트분사기(401), 분사미스트(402), 엘리미네이터(162), 데미스터(163) 등이 이용되는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323, 324)이다. 이는 중공통(166); 이의 유출구(164);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팬, 펌프, 송풍기, 진공펌프(63); 상기 중공통(166)의 유입구(160); 상기 유출구 또는 유입구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팬 내지 진공펌프(63);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공기, 먼지공기 등(80)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160); 상기 중공통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입구에 연계되는 격막(161); 상기 격막 또는 중공통 내부에 구비된 노즐 또는 수분사 노즐(402); 이의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이 펌프에 연계된 물탱크; 상기 격막(161)의 상부에 거치되는 수분제거기 또는 엘리미네이터(162); 상기 유출구에 구비된 필터 또는 데미스터(163); 상기 중공통 하부에 형성된 깔대기(167);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수(402)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 또는 먼지공기(80) 중 먼지, 분진, 미세먼지 등이 포함되는 물이 침전되는 상기 깔대기; 상기 깔대기 하부에 거치된 배출구(165); 이 배출구에 연계되는 수조(176), 침강조(175), 원심분리기(177); 상기 수조 내지 원심분리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중공통 내부, 유입구, 격막 중 하나에 주입하는 펌프 또는 순환펌프(63);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통 내지 순환펌프;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막(161)은 막, 판, 격막, 이격막, 수직박, 경사막, 수평막, 다단막, 수직격막, 경사격막, 수평격막, 이격격막, 다단격막, 2개 이상이 이격된 격막, 1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막이 2개 이상 이격된 격막, 2개 이상이 이격되어 1개 이상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2개 이상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3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6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일구간 수직 및 타구간 수평인 격막, 일구간 경사 및 타구간 수평인 격막, 일구간 경사 및 타구간 다른 경사인 격막, 일구간 수직 및 타구간 수평 및 다른 구간 수평인 격막, 2개 이상의 격막, 2개 이상의 경사 격막, 상호 이격된 2개 이상의 격막, 상호 이격된 2개 이상의 경사 격막, 2개의 변곡을 가진 격막, 3개의 변곡을 가진 격막, 2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격막, 2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경사 격막, 노줄이 구비된 상기 격막, 물이 분사되는 상기 격막, 물이 분사되는 노즐 또는 유공관이 구비된 상기 격막, 상기 격막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격막 중 하나이다. 도 60 b에는 다수개의 격막, 이의 격막에 의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통로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64), 수분제거기 또는 엘리미네이터(162), 필터 또는 데미스터(163) 등을 통과한 청정공기(81)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65)로 배출된 배출물(383)은 배출구에 연계되는 수조(176), 침강조(175), 원심분리기(177) 등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엘리미네이터, eliminator, 제거장치, 물방울 제거장치, 공기 중의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그재그형의 방해판, 지그재그로 접어 굽힌 아연 철판, 지그재그로 판을 좁은 간격으로 병치하고 그 틈으로 공기나 가스가 통과하면 배플 플레이트가 되어 물방울이 제거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데미스터는 데미스터, demister, 김 서림 방지 장치, 성에 방지 장치, 수분 제거 장치, 유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액적 또는 분진을 분리하고 제거하는 필터 장치, 그물망(網目) 등을 여러겹 포갠 것에 증기를 통하여 증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섬유상태의 물체를 충전한 것이 많고 주로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며 기류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도 66은 본 발명에 의한 탈수기를 나타낸다. 상기 탈수하는 탈수기(316)는 필터. 프레스, 탈수기, 압축기, 압착판, 가압탈수기, 압축탈수기, 압착탈수기, 원심탈수기, 진공탈수기, 발열탈수기, 필터프레스(360), 프레스필터, 벨트프레스(361), 롤러탈수기, 드럼탈수기, 회전탈수기, 전기탈수기, 전기삼투탈수기, 전기영동탈수기, 탈수된 탈수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가 구비된 탈수기(316, 360, 361);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탈수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또는 탈수기 1, 탈수기 2, 탈수기 3, 탈수기 4, 탈수기 5, 탈수기 6;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1은 벨트 또는 압착 벨트(366)가 구비된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2개 이상의 회전드럼(425) 사이에 벨트 또는 압착 벨트(366)가 구비된 탈수기,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중 하나와 벨트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롤러 또는 드럼(425)과 벨트(366) 사이에 물질(415)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중 하나(361)이다. 이는 도 61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2는 2개 이상의 필터(365)가 이웃하여 구비된 필터프레스(360), 2개 이상 필터(365)에 슬러지(415)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필터프레스, 상기 가압 해제 후에 필터 케익(384)이 낙하 또는 추출되는 필터프레스 중 하나(360)이다. 이는 도 61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3은 투수형, 투과형, 섬유형, 다공형, 타공형 등의 벨트(366)가 구비된 벨트프레스(361), 벨트에 물질 또는 슬러지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1개 이상의 회전형 드럼(425)과 이에 감겨진 벨트(366)가 구비된 벨트프레스(361), 상기 드럼과 벨트 사이에 물질 또는 슬러지(145)가 투입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361)이다. 이는 도 61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4는 a)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b) 또는 상기 필터, 드럼, 벨트 중 하나 이상에 전기가 인가되는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여기서 전기 인가를 위하여 상기 필터, 드럼, 벨트 등은 도체, 철, 금속, 전도체, 전도재 등의 재질을 가지거나, 또는 물접촉, 수분접촉, 수분함유 등도 가능하다. c) 상기 전기 인가를 위하여 전극, 전극판 등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b) 벨트프레스; d)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전기삼투, 전기영동, 전기탈수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c)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5는 전극, 발열체, 전원공급기, 전기가 인가되는 전극,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체,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탈수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6은 상기 롤러, 사이, 물질, 벨트, 필터, 슬러지, 드럼,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전극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도 67은 본 발명에 의한 펠렛화기를 나타낸다. 상기 선별, 파쇄, 처리 등이 된 물질 중에서 종이, 비닐, 섬유, 가연물 등은 펠렛화기에 의하여 펠렛화하여 펠렛을 만들어 연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펠렛화기(322)는 a) 혼합기(370),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저장고(374); b) 펠렛화 대상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370),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펠렛화 대상을 용융하는 용융기(371), 회전 스크류 또는 돌기 구비 스크류가 구비되어 용융물이 교반 및 압출되는 용융기(371), 용융물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상기 성형기 통과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68은 본 발명에 의한 처리를 위한 매립장 또는 매립시설을 나타낸다. 상기 선별, 파쇄, 처리, 정화 내지 복합 등이 된 물질 중에서 재활용이 되지 않는 물질은 매립시설 등에 매립, 처리된다. 상기 매립장 또는 매립시설(470)은 가두리시설(471), 지하수배제시설(472), 차수시설(473), 침출수배제시설, 침출수처리시설, 가스처리시설, 복토시설, 배수시설(48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가두리시설 내지 복토시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a) 상기 가두리시설(471)은 매립장의 가두리 또는 가장자리를 이루는 것으로, 제방, 둔덕, 옹벽, 지면, 사면, 저류지, 굴착면;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중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는 숏크리트층;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중 하나의 내부에 존치되는 그라우팅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투입되는 상기 제방 내지 그라우팅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b) 상기 지하수배제시설(472)은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매립장 바닥, 차수시설 하부 중 하나에 굴착된 트렌치; 이 트렌치에 구비된 유공관, 집수정; 이의 집수정에 설치된 양수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c) 상기 차수시설(473)은 매립장 바닥, 사면, 법면 중 하나 이상에 포설된다. d) 상기 차수시설(473)은 a) 점토, 혼합토, 다짐토, 혼합다짐토, 벤토나이트혼합토, 토사와 벤토나이트의 혼합토, 토사와 벤토나이트와 기능제의 혼합토,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시트, GCL(geosynthetic clay liner), 막, 시트, PVC시트, EVA시트,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시트, 점토 또는 혼합토와 HDPE시트, 점토 또는 혼합토와 GCL, 점토 또는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b) 상기 점토 ∼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중 하나와 토목섬유, 지오텍스타일, 지오콤포지트; c) 상기 점토 ∼ 지오콤포지트 중 하나와 마대층, 토사마대층, 폐타이어층;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e) 상기 기능제는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고결제, 바인더, 고화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이다.
f) 상기 침출수배제시설은 매립장 바닥, 사면, 법면; 또는 차수시설 상부;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유공관(474); 이 유공관에 포설되는 배수층(475), 모래층, 자갈층; 상기 유공관에 연계되는 집수정(476); 이의 집수정에 설치된 양수기; 상기 집수정에서 침출수처리시설로 침출수를 이송하는 이송라인(47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g) 상기 침출수처리시설(405)은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살균조, 여과조, 방류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주입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중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i) 상기 가스처리시설은 매립장 내에 설치되는 가스 포집정(480); 이의 포집정에 설치된 펌프; 상기 포집정에 포집된 가스를 대기 확산하는 확산관; 상기 포집정에 포집된 가스를 이송하는 이송라인(481), 이 이송라인에 연계된 가스저장통, 가스발전기(48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j) 상기 복토시설(485)은 매립장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일일복토층(483), 중간복토층(484), 최종복토층(485)으로 구분된다. k) 상기 일일복토층(483)은 매립장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상부에 매일 복토되는 것으로 토사, 모래, 자갈, 골재, 분사재, 포설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ℓ) 상기 중간복토층(484)은 매립장에 폐기물 매립이 7일 이상 중지되는 경우에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분사재, 포설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m) 상기 최종복토층(485)은 매립장에 폐기물 매립이 종료된 후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폐기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가스배제층, 차단층, 배수층, 식생대층 중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n) 상기 가스배제층, 배수층, 식생대층 중 하나 이상은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o)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점토 ∼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중 하나로 구성된다. p) 상기 배수시설(486)은 매립장의 외곽에 설치되는 수로, 배수로, 개수로, 트렌치, 플륨관, 배수시설 중 하나이다.
도 69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에 속하는 미스트기, 물대포, 분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4에서 청정기(139)는 a) 수조(176), 펌프(63), 미스트기(202), 콤프레셔(105), 노즐(66), 분사기(66); b) 수조의 물(80), 펌프에 의한 가압수, 미스트기에 의한 미스트(204), 콤프레셔에 의한 압기(83), 노즐 또는 분사기에 의하여 분사되는 상기 물 내지 압기; c)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등에 구비된 진동기(30, 32), 가진기(30, 33), 자화기(30, 31), 오존기(30, 34), 음이온기(30, 35), 전해기 또는 전기분해기, 방전기 또는 전기방전기; d) 상기 자화기 내지 전기방전기 등(30)이 구비된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e)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자화기 내지 전기방전기 등이 구비된 차량(106), 트럭, 드론(65), 모빌리티, 이동수단(106), 바퀴(163) 구비 이동수단(106); f) 상기 수조 내지 분사기, 자화기 내지 전기방전기, 차량 내지 이동수단 등이 구비된 물대포(140), 수대포, 분사수단, 샤워수단(140); g) 상기 수조 내지 샤워수단 등을 조정 또는 운전하는 컨트롤러(197); h)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조 내지 컨트롤러; 등이 해당 또는 이용 또는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 디퓨저, 분사기 등(66) 등에는 상기 수조 내지 컨트롤러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노즐, 디퓨저, 분사기 등(66)의 선단에 충돌판(67), 확장판(68)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상기 충돌판(67)은 통과물과 충돌하여 통과물을 와류 또는 폭기시키고, 상기 확장판(68)은 분사물을 확산, 분산 등을 한다. 상기 노즐, 디퓨저, 분사기 등으로는 수(80), 물(80), 물질(80), 압기(83), 오존(82), 미스트(204) 등의 분사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기(139) 또는 물대포(140)에는 콤프레셔(105), 펌프(63), 혼합기(62);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이송라인(64); 이의 이송라인에 접속되는 기능기(30), 미스트기(202), 첨가제 탱크(60); 상기 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첨가제(85); 이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노즐(66), 분사기(66); 상기 분사기(66)로부터 분사되는 물질(80), 압기(83), 미스트(204); 주변(121) 또는 공중(121)에 분사되는 상기 물질(80), 압기(83), 미스트(2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0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에 속하는 청정기, 처리기, 물대포 등의 하나로 프레임(171); 이의 하부에 로라(163); 상부에 손잡이(210), 회전팬(93); 상기 회전팬의 컨트롤러(197); 상기 회전팬의 전 또는 후에 1개 이상 개수의 노즐(6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40)가 이용되는 상기 프레임 내지 노즐; 등이 포함되는 물대포(140), 분사수단, 샤워수단 등을 보여준다. 도 65 a는 사각 또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171)이 이용되고, 도 65 b는 거치대 또는 거치발 형태의 프레임(171)이 이용되고, 도 65 c는 차량(106)에 탑재된 물대포(79)를 보여준다. 여기서 a, b, c의 청정기 또는 물대포는 고정형, 휴대형, 이동형, 밀대형, 트럭탑재형 등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팬(93)에는 콤프레셔(105), 펌프(63), 수조(176), 미스기(202) 등으로부터 물, 물질(80), 압기(83), 첨가제(85), 고압수, 압력수 등이 투입되고, 이의 투입 물질이 분쇄되어 나노물, 미스트, 분쇄물, 분쇄수, 미스트 등이 되어 주변, 공중 등(121)으로 분사되고, 필요시 먼지, 분진 등을 제거한다.
도 7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처리기 등(139)의 일종으로 진공, 진공기, 진공펌프 등(175)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 물질, 먼지, 분진, 공중의 공기 등(121)이 흡입구(174)를 거쳐 일정 라인(78)을 통하여 탱크(100), 수조(176), 집진기(161), 사이클론(161), 필터(84), 히터(85) 등에 의하여 또는 등의 순으로 정화되는 청정기(139)의 일례를 보여준다. 여기서 균, 오염, 분진, 먼지, 이물질 등은 탱크(100)에서 침전, 내부에 분사수가 살포되는 탱크(100)에서 침전, 수조(176)의 물에 침전, 집진기(161) 또는 사이클론(161)에 의하여 집진, 필터(84)에 의하여 여과 등이 되게 된다.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집진, 필터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등에는 미스트기(202)에 의한 미스트(204)의 분사, 공급, 제공, 투입, 주입 등이 가능하여 이의 미스트에 의하여 공중, 공기 등의 분진, 먼지, 오염, 이물질 등의 제거, 낙하 등이 가능하다. 상기 탱크 내지 필터 등에는 진동기(30, 32), 자화기(30, 31), 오존기(30, 34), 히터(85), 램프(90),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물(30, 40)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도 72, 73 등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 공중 또는 분사, 집진을 동시에 청정하는 청정기(139)로서, 이는 바닥, 도로, 인도, 포장면, 콘크리트공사, 노면보수공사, 보수공사, 도로보수공사, 공중, 공기, 대기 등(121)의 먼지, 분진,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공사, 노면보수공사 등에서 노면, 포장면, 콘크리트 등을 줄톱, 회전톱 등으로 절단하는 경우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면에 본 장치(139를 거치하거나, 또는 회전솔(205) 등을 이용하여 분진, 절단물 등을 포집하거나, 또는 상기 줄톱, 회전톱 등에 장착되어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청정기에 속하는 집진기는 1) 집진기, 먼지집진기, 분진집진기, 미세먼지 집진기, 필터 구비 집진기, 사이클론 구비 집진기, 상기 청정 내지 처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집진기 중 하나이거나; 2) a) 프레임(171), 또는 카트, 로라, 이동수단 등(163)에 구비된 프레임(171); b) 이의 프레임에 장착된 것으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174); 또는 회전솔(205)이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흡입기(174); c) 상기 회전솔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흙, 균, 토사, 모래, 철편, 오염, 슬러지, 슬러리, 슬라임, 이물질, 잡동사니 중 하나 이상이 침적되는 버켓(203); d) 상기 흡입기 후방 통로(도 67에서 흡입기 또는 회전팬 후방의 n자형 통로) 또는 상기 버켓의 침적물에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기(202); e) 상기 흡입기 또는 이의 통로(도 67에서 흡입기 또는 회전팬 후방의 n자형 통로)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연계된 회전팬(93), 모터(162) 구비 회전팬(93), 미스트기(202), 히터(85), 탱크(100) 또는 수조(176), 집진기(161), 사이클론(161), 필터(84); f) 상기 프레임(171)에 구비된 바닥, 공중 중 하나 이상의 분사기(79), 램프(90), 오존기(191), 음이온기(201); g) 상기 장치, 프레임 내지 음이온기 등에 거치된 호스(78), 통로(78), 파이프(78), 거치대(91), 바퀴(163), 램프(90), 흡입기(174), 펌프(175), 진공펌프(175), 흡입기에 연계된 진공펌프(175); h)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프레임 내지 진공펌프; 등이 구비된 집진기(139) 등이다. 상기 히터(85)는 상기 통로, 버켓, 필터 후단, 기타 등에 구비되어 유입, 유출, 통과 등이 되는 공기, 물질 등을 가열, 히팅, 살균, 소독 등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90), 오존기(191), 음이온기(201) 등도 공기, 대기, 공중, 물질 등을 가열, 히팅, 살균, 소독 등을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2 참조.
상기 청정기에는 도 73의 청정기도 포함된다. 이는 a) 일정 케이스(76, 102, 104)의 일측에 유입구, 호스, 후드, 흡입기 중 하나(174) 이상과; 타측에 유출구와; 내부에 무순 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오존기(191), 램프(90), 히터용 등의 코일(85)과; 내면 또는 외면에 광촉매 코팅과; b) 상기 일측,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팬(93), 회전팬(93), 흡입팬(93), 진공펌프(175), 진공호스(175), 진공펌프호스(175) 중 하나 이상과; c) 상기 팬 내지 진공펌프 중 하나 이상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망(215) 또는 다공판(215)과; d) 상기 팬, 망, 타측, 유출구, 다공판, 진공펌프; 이중 하나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로 수조(176), 집진기(161), 삿갓 집진기(161), 사이클론(161), 사이클론집진기(161), 필터(84), 필터막(84), 여과재(84), 여과통(84), 흡착통(84), 필터여과재(84), 필터카트리지(84) 중 하나 이상; e) 상기 장치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호스(78), 통로(78), 파이프(78), 거치대(91), 바퀴(163), 램프(90), 흡입기(174), 펌프(175), 진공펌프(175) 등이 구비된 청정시설(139)이다. 상기 청정기, 케이스, 유입구 내지 흡입기, 유출구, 오존기 내지 코일, 팬 내지 진공펌프호스, 망, 다공판, 수조 내지 필터카트리지, 호스 내지 진공펌프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7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 살균기 등(40)이다. 도 74 a는 1) 살균기능을 가진 등, 램프, 광원기 중 하나(90)이거나, 2) 또는 살균 램프(90) 또는 미스트기(202)가 구비되면서 미스트를 분사하여 먼지를 청정하는 청정시설(139)이거나, 3) 또는 a) 거치대(91); b) 이 거치대에 상기 빛 내지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램프(90); c) 상기 거치대에 바퀴 또는 이동수단(92); d) 상기 램프에 갓 또는 반사판(93); e) 광촉매 코팅된 상기 거치대 내지 반사판(93); e) 상기 거치대 또는 램프 주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f)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g)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거치대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청정시, 살균기 등이다. 도 69 b는 1) 필터(84), 여과재(84), 케이스(76, 102, 104)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2) 또는 필터(84) 또는 내부 중공의 원통필터(84); 이의 상부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탄여과재(84), 회전팬(93), 타공망 또는 보호망(172);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3)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필터(84), 여과재(84), 케이스(76, 102, 104)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등이다.
도 74 c는 1) 실내, 공장, 건축공사, 실내공사 등에서 분진, 먼지 등이 발생되는 경우 이들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 먼지 등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청정기이거나, 2) 또는 a) 용기(76, 102, 104); 이 용기의 입구(174) 및 출구; 상기 입구, 출구 중 하나 이상에 필터(84), 스크린(215), 팬(93); b) 상기 용기 내부에 히터(85), 램프(90), 오존발생기(191); c) 상기 용기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92), 상기 용기의 밀대 또는 손잡이; d) 상기 출구의 외부에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d) 상기 용기의 중간에 벤츄리관; e) 상기 벤츄리관의 외부에 순차적으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호스, 콤프레셔(105);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g)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빛, 열, 스팀, 압기, 약품, 약물, 살균제, 소독제,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LED빛, 플라즈마, 살균가스,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램프(90); h)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램프; i)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용기 내지 램프; j) 상기 용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k)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용기 내지 전원공급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청정기, 살균기 등(139)이다.
도 7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처리기 등의 일종으로 집진터널, 청정터널, 정화터널, 집진아치, 집진통로 등(240)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흡입기, 집진기 등이 구비된 문, 터널, 통로, 아치, 탱크, 박스 등이 해당된다. 도 70은 차량, 대상, 물질, 물체, 사람 등(121)이 통과되면 노즐, 호스, 디퓨저, 분사기, 유공관, 분산기 등으로 공기, 압기, 미스트 등을 분사(66)하여 먼지, 분진 등을 탈착시키고, 진공기 또는 흡입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174)하고, 이의 흡입물을 팬(93)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등(100)으로 침전, 집진 등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0 a는 단면도이고, 도 70 b는 사시도 또는 횡면도 또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정화터널이다.
상기 정화터널은 a) 정화터널(240), 정화통로, 정화아치, 상기 청정 내지 처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정화터널; b) 또는 분사기, 흡입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문, 터널, 통로, 아치, 탱크, 박스; c) 또는 차량, 대상, 사람 중 하나(121)가 통과되면 공기, 압기, 미스트 중 하나를 분사(79)하여 먼지를 탈착시키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174)하고, 이의 흡입물을 팬(93)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탱크, 수조, 집진기, 사이클론 중 하나(100)로 침전 또는 집진하는 정화터널; 중 하나이다.
도 76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 처리기 등에 속하는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이다. 상기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139, 497)는 후드, 덕트(255, 256), 굴뚝, 환풍기, 선풍기, 송풍기, 배풍기, 급기구(255), 배기구(256), 환기구, 환기통, 급배기구, 환기라인, 급기라인(255), 배기라인(256), 급배기라인(255, 256), 자연환기설비, 강제환기설비, 기계환기설비, 상기 청정 내지 처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 바닥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구,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1.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설비(252, 253), 건물에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급기구(給氣口, 254)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기(排氣機, 252)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給氣機, 251)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구(排氣口, 253)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251)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부압의 배기기(252)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팬(93) 또는 펌프(63)가 구비된 상기 후드 내지 환기설비 중 하나 등이다. 상기 후드 내지 기계환기설비 등에는 팬(93), 회전팬(93), 송풍기, 펌프(63), 콤프레셔(105), 탱크(100), 수조(176), 미스트기(202), 분사기(79, 257), 급수라인(257), 오존발생기(191), 미스트기(202), 덕트, 호스, 급기라인, 배기라인, 급기덕트, 배기덕트,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30, 40)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수, 물, 액, 유, 압기, 공기, 대기, 오존, 미스트 등의 이용, 유입, 주입, 투입, 분사, 순환, 교환, 송기, 배기, 배출 등이 가능하다.
도 76에서 a, b, c 는 방, 룸, 집, 주택, 건물 등에 구비되는 청정기, 환기시설 등이고, d는 터널, 아치, 통로 등에 구비되는 청정기, 분사기, 환기시설 등이다. 그리고 a, b, c 는 청정기, 환기시설 등이 구비되는 방, 룸, 집, 주택, 건물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구비되는 상기 방 내지 건물 등의 청정기이고, d는 청정기, 분사기, 환기시설 등이 구비되는 터널, 아치, 통로; 또는 상기 구비되는 상기 터널 내지 통로 등의 청정기이다. 여기서 상기 방 내지 건물, 터널 내지 통로 등은 청정 기능을 하거나, 또는 하나의 청정기가 될 수 있다.
도 77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69) 중에서 시설 또는 탱크(1)의 외부(7)가 아닌 내부(6)를 청소하는 청소기를 나타낸다. 이는 a) 붐(51), 붐집(59), 관절, 붐대, 관절대, 가변재, 신축재, 경사재, 거치대; 2개 이상의 상기 붐 내지 거치대; b) 이중 하나가 연결된 오거(50), 차량, 붐차, 붐수단, 굴삭기, 굴착기, 기중기, 크레인, 포크레인, 붐크레인, 이동수단, 고소차, 이사차, 작업차, 청소차, 스카이차, 사다리차, 유압크레인, 타워크레인, 고소작업대, 고소작업차, 고소승강차, 이삿짐승강차, 이동수단(50) 등이 이용되는 청소기(69)이다. 이의 청소기는 a) 상기 오거 내지 이동수단(50); b) 이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붐 내지 거치대(51); c) 상기 붐 내지 거치대 중 하나에 구비된 1개 이상의 회전체(4); d) 이의 회전체에 거치된 줄(10), 상기 시설(1)의 홀(2)을 승강(3)하는 줄(10); e) 상기 줄(10)에 연계 또는 순차 연계되는 고리(11), 방사줄(12), 고리(13), 지지대(22), 고리, 줄(14), 고리, 작업대(22), 고리(15), 줄(16), 고리, 안전대(23), 고리, 줄(18), 고리, 2차 안전대(24); f) 상기 고리 내지 안전대 중 하나에 장착되는 사람(36), 로봇(36), 호스, 노즐, 디퓨저, 처리기, 분사기(66); g) 상기 고리 내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 또는 순차 연계되는 공급호스(64), 가압기(63), 혼합기(62), 호퍼(61), 저장고(60); g) 상기 공급호스 내지 저장고 등에서 공급되는 청소제 또는 처리제를 분사하는 상기 분사기(66); h)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오거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장치이다. 상기 고리 내지 분사기 등에는 로라(4), 회전체(4), 안전줄(29)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도 77은 2개 또는 2대의 상기 오거 내지 수단 등이 적용되어 2개의 선단(52)이 연결된 것을 보여준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는 2개 또는 2대 이상의 상기 오거 내지 수단 등의 적용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2개 이상의 선단(52)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선단(52) 등에는 로라(4), 회전체(4), 줄(10), 승강줄(10), 승강고리, 로라와 줄 등의 거치가 가능하다. 도 72의 지붕 홀(2) 상부에는 지붕 홀을 승강하는 줄(10), 고리(11) 등이 승강시에 상기 홀(2); 이의 내면, 외면, 측면, 테두리; 중 하나와 마찰없도록 하는 줄가이드체(130)가 도시되어 있다. 줄가이드체(130)는 거치대(155)와 이에 거치된 원호 또는 중공체(1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붐은 붐(51), 붐집(59), 접히고 펴지는 붐, 붐집(59)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붐(51), 골절(51-1)이 있는 붐(51), 피스톤 또는 실린더 등(55)에 의하여 승강하는 붐, 이동대(58)가 이동하는 붐(56), 바퀴(57)로 이동대(58)가 이동하는 붐(56), 길이방향(150) 또는 하향(151)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붐, 줄(10)에 거치된 청소기의 하중이 길이방향(150) 또는 하향(151)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붐 등이 해당된다.
도 78은 본 발명의 미스트 등(30, 230)을 생성하는 미스트기 등(202)이 장착된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드론 등(139, 65)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 유리 등의 시설을 청정, 청소, 세척 등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a) 드론(65), b) 인력, c) 집진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등을 이용하여 시설을 청정, 청소, 세척 등을 하는 것으로, 이의 a) 드론, b) 인력, c) 집진기 등에는 상기 미스트 내지 복합미스트 등(80, 204)이 이용, 분사, 분무, 살수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분사, 분무, 살수 등이 되는 선단, 배출구 등에는 상기 충돌판(67), 확장콘(68); 이중 하나 구비 노즐, 호스, 디퓨저, 파이프, 분사기; 등(66)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c) 집진기는 a) 드론, b) 인력 등에 장착되어 미스트 분사에 더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분진, 먼지 등을 집진하는데도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b) 인력에는 건물의 수도시설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270); 이의 수돗물이 통과되어 미스트수를 공급하는 미스트기(202); 외벽 및 유리 등의 청소를 위한 총채(271), 밀대, 먼지털이개, 스펀지 밀대, 고무 밀대, 막대에 달린 밀대(271);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c) 집진기(139)에는 흡입기(174), 흡입라인(78), 진공펌프(175), 수조(176), 사이클론(161), 필터(84), 히터(85), 진동기(30, 32), 자화기(30, 31), 오존기(30, 34) 등의 구비 또는 순차적 구비가 가능하다.
도 79는 청정기의 하나인 정수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정수기(88, 189)에는 필터정수기, 이온정수기, 알카리정수기, 전기분해정수기, 전해조(71) 구비 정수기(88), 양극(551)과 음극(552)이 거치된 전해조(71) 구비 정수기(88), 유입 호스(78)와 필터(84)와 냉온기(85, 86)와 취수 꼭지(75)로 구성된 정수기(88), 산성수(170)는 배출되고 알카리수(171)는 필터(84)와 냉온기(85, 86)와 취수 꼭지(75)를 통하여 취수되는 정수기(88), 이상 그림 a 참조. 생수통(176)의 물(80)을 냉온 배출하는 냉온정수기(88, 89)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냉온기(85, 86)는 히터(85), 쿨러(86) 등으로 구성되어 통과수(80)를 히팅, 쿨링 등을 하는 것이다. 이는 그림 b 참조.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상기 미스트기(202),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30)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필터정수기는 2개 이상의 필터(84), 히터(85), 쿨러(86), 취수 꼭지(7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그림 c 참조. 상기 정수기, 전해조, 양극, 음극, 필터, 취수 꼭지, 생수통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80은 본 발명에 의한 자화기, 중공체, 자화형 중공체, 중공형 자화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a)는 자석이 라이닝된 자성체, (b)는 거치대(112), 와류형 거치대(112), 물을 와류시키는 와류형 거치대(112), (c)는 거치대 구비 자화기(30), (d)는 양단 및 중간 연결수단(114) 구비 중공체, (e)는 거치대(112) 구비 자화기(30)가 매입된 양단 연결수단(114) 구비 중공체(37), (f)는 거치대(112) 구비 자화기(30)가 매입되고 측면에 인젝터(93), 경사관(94)이 구비된 중공체(37)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중공체(13) 등을 통하여 물질, 재료, 타설재 등(80)이 통과되어 자화 물질, 재료, 타설재 등이 배출, 유출, 타설 등이 되게 된다. 여기서 거치대(112)는 길이 방향으로 모양이 휘어진 형태의 나선형으로 되어 와류형 거치대의 일종이 된다. 여기서 거치대는 4개의 발(113)이 달린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발(113)은 직선, 곡선, 나선, 스크류 등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체(37)의 내부에는 벤츄리(53), 축소부(53), 필터(160)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인젝터(93), 경사관(94), 중공체(37) 등으로는 물질, 재료, 첨가제 등의 유입, 통과, 흐름 등이 가능하다.
도 8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65), 모빌리티, 청정기(139), 청정수단(139), 미스트기(202) 등, 이에서 공급되는 물질, 미스트,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80, 204)을 이용하여 청정 대상(121)을 청정, 정화, 청소, 세척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청정 대상(121)으로는 a) 터널, 암거, 통로, 아치, 방음벽, 지하공간, 방음터널, b) 댐, 하천, 개천, 연못, 저수지, 저류지, 유수지, 정화조, 반응조, 폭기조, 응집조, 침전조, c) 관로, 배관, 파이프, 수도관, 하수관, 송수관, 송유관, 파이프라인, d) 룸, 방, 집, 주택, 건물, 단지, 현관, 휀스, 울타리, 외벽, 유리, 창호, 실내, 거실, e) 공기, 대기, 공간, 공중, 도로, 포장, 방음벽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는 혼합기(62), 콤프레셔(105), 펌프(63), 수조(176), 미스트기(202), 드론(65), 모빌리티, 노즐(66), 청정기(13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혼합기 내지청정기 등을 이용하여 물질, 수 내지 복합물,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을 청정 대상에 분사, 투입, 주입 등을 하여 청정 대상을 청정, 정화, 청소, 세척 등을 하는 것이다.
도 8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압식(280) 및 양압식(281) 청정기(139)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 투시도, c)는 배면도 등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청정기(139)를 구성하는 필터(290), 팬(291), 센서(292), 램프(293), 표시부(295), 케이스(296), 구멍(297) 등과 기타 벽(298), 창(299) 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정기(139)를 벽(298), 창(299)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 창 등을 청정기가 설치될 정도 따내어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구멍, 이에 거치되는 못, 앵카,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정기,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자립형, 부착형, 행거형, 실내형, 실외형, 이동형, 차량형, 고정형, 드론형, 보트형, 터널형, 주택용, 공장용, 벽체 부착형, 유리에 부착형, 천장에 부착형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40)에는 a) 음압식(280), 양압식(281), 풍력식, 유풍식, 무풍식, 음압청정식(280), 양압청정식(281), 음압환기식(280), 양압환기식(280), 풍력음압식, 풍력양압식, 유풍음압식, 유풍양압식, 무풍음압식, 무풍양압식, 유풍음압청정식, 유풍양압청정식, 무풍음압청정식, 무풍양압청정식, 유풍음압환기식, 유풍양압환기식, 무풍음압환기식, 무풍양압환기식; b) 실내 또는 내부에 부압 또는 (-)압이 작용하는 음압식(280), 실내 또는 내부에 접압 또는 (+)압이 작용하는 양압식(281),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사용되는 유풍식, 바람이 사용되지 않는 무풍식, 팬이나 펌프 등으로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음압식(280), 팬이나 펌프 등으로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는 양압식(281), 바람이 부는 풍력식, 바람이 부는 유풍식,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풍력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상인 유풍식, 바람속도가 10 cm/sec 이하인 무풍식,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청정하는 음압청정식(280),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청정하는 양압청정식(281), 실내 또는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환기하는 음압환기식(280),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넣으면서 환기하는 양압환기식(281), 외부에서 실내 또는 내부로 공기를 10 cm/sec 이하의 속도로 넣으면서 환기하는 무풍양압환기식(281); c) 또는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중 하나에 거치된 상기 음압식 내지 무풍양압환기식; 중 하나의 상기 정화기 내지 복합기 등(40)이 포함된다.
도 83, 84는 a) 에어공급기(324) 또는 에어발생기(324), 급기라인(323), 에어분사구(321); 이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에어샤워기(430); b) 또는 에어흡입구(322), 배기라인(325), 진공기(326), 에어청정기(327); 이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에어흡입기(440); c) 또는 상기 에어공급기 내지 에어흡입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청정기(139); d)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에어공급기 내지 청정기;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78 좌측그림, 도 79 등은 정면도이고, 도 78 우측그림은 일정의 길이를 가진 3차원도이다. 상기 에어공급기 내지 청정기 등에 의하여 사람, 인체, 바디, 차량, 트럭, 물질, 물체, 승용차 등의 청정, 샤워, 정화, 세척, 세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청정기에는 유입구(310), 유출구(311), 케이스(305), 케이스 내부에 필터(300), 팬(93), 상기 케이스 또는 유출구에 연계되는 사이클론(161)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기(324) 또는 에어발생기(324)에는 팬(93), 가압팬, 회전팬(93), 송풍팬(93), 링송풍기(220), 펌프(63), 압축펌프(63), 콤프레셔(105), 에어콤프레셔(105), 에어공급기, 에어발생기, 에어가압기(105) 등이 포함 가능하다. 상기 진공기(326)에는 팬, 흡입팬, 펌프, 진공기, 진공펌프, 흡입펌프 등이 포함 가능하다. 상기 에어청정기(327)에는 필터(84, 290, 300), 필터통(305), 사이클론(161), 공기청정기, 에어청정기, 수조(176), 분진공기가 유입되어 분진이 물속에 흡수되고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수조(176), 분사기 구비 탱크(100), 상부에 분사기가 구비되어 분사수에 의하여 유입 공기 중 분진이 침전되고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탱크(100) 등이 포함 가능하다.
상기 에어샤워기(430)는 a) 에어분사구(321), 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324) 또는 콤프레셔(324); b) 또는 오존기가 거치된 에어분사구(321), 이 에어분사구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 자화기가 거치된 에어공급기(324);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흡입기(440)는 a) 에어흡입구(322), 이에 진공을 가하는 팬 또는 회전팬 또는 진공기 또는 진공펌프(326), 상기 흡입된 에어를 집진하는 필터 또는 집진기 또는 공기청정기(327); b) 또는 음이온기가 거치된 에어흡입구(322), 이 에어흡입구에 진공을 가하는 것으로 오존기가 거치된 팬 또는 진공기 또는 진공펌프(326), 상기 흡입된 에어를 집진하는 것으로 음이온기가 거치된 필터 또는 집진기 또는 공기청정기(32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건(431)은 a) 건(gun, 322), 이에 연결된 호스(323, 325), 이 호스에 연계되어 에어 공급, 진공 가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에어공급기(324), 팬(324, 326), 진공기(326) 중 하나 이상; b) 또는 진동기가 거치된 건(gun), 이에 연결되면서 자화기가 거치된 호스, 이 호스에 연계되어 에어 공급, 진공 가함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기가 거치된 에어공급기, 가진기가 거치된 팬 또는 진공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브러시(433)는 a) 브러시(brush, 434), 브러시(434) 구비 다공판(433), 브러시 구비 다공통, 브러시 구비 다공대, 이중 하나에 연결된 호스(323, 325), 이 호스에 연계되어 에어 공급, 진공 가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에어공급기(324), 팬(324, 326), 진공기(326) 중 하나 이상; b) 또는 자화기가 거치된 상기 브러시 내지 다공대, 이중 하나에 연결되면서 진동기가 거치된 호스, 이 호스에 연계되어 에어 공급, 진공 가함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기가 거치된 에어공급기, 진동기가 거치된 팬 또는 진공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85, 86 등에서 에어분사구(321)는 사람, 차량 등(121)에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샤워시키고, 에어건(431)은 사람, 차량 등에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샤워시킨다. 에어브러시(433)는 사람의 손으로 잡은 후에 사람, 의복, 물체 등을 브러시(434)로 문지르면서 공기를 분사하여 사람, 의복, 물체 등에 부착된 균, 먼지, 오염 등을 탈착하는 것이고, 상기 탈착된 물질은 브러시 내부의 중공부를 통하여 호스, 배기라인 등(325)을 거쳐 흡입기, 청정기 등으로 유입되어 정화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에어는 수, 물, 액, 유, 액체, 기체, 고체, 에어, 공기, 물질, 바람, 오존, 음이온, 의복, 의류 등으로 대체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에어분사는 물을 분사하는 수분사, 에어샤워기는 수를 분사하여 사람 등을 샤워시키는 수샤워기, 에어흡입기는 물을 흡입하는 수흡입기, 에어건은 오존을 분사하는 오존건, 에어브러시는 의복을 문지르는 의복브러시 등이 해당된다.
도 8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샤워기, 에어분사청정기 등의 청정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는 대상면(470)에 설치되면서 에어분사구(321), 에어흡입구(322) 등이 구비된 케이스(450)의 측면도이고, 그림 b는 상기 케이스(450)가 천장에 구비된 현관(320)의 정면도이고, 그림 c는 상기 케이스(450)의 평면도이다. 상기 케이스(450)에 구비된 필터(328)는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필터(328)는 필터, 필터통, 카트리지필터, 필터카트리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케이스(450)에는 필터(328)의 안착 또는 삽입이 가능하도록 필터 안착구, 삽입구, 안착홈, 삽입홈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에어샤워기, 에어분사청정기, 청정기 등은 하기의 청정기 1, 청정기 2, 청정기 3, 청정기 4, 청정기 5, 청정기 6, 청정기 7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1은 a) 등, 전등, 램프, 형광등, 광선등, 살균등, 소독등, 샹들리에, 화재경보기 중 하나(452) 이상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등 내지 화재경보기 등(452)에 자신의 부품, 내용물, 구성요소 등이 구비되는 청정기(139) 또는 에어샤워기(430)인 것이다. 여기서 부품, 내용물, 구성요소 등은 에어분사기(321), 에어건(432), 에어브러시(433), 에어샤워기(430), 이물질흡입기, 에어흡입기(322), 에어공급기(324), 진공기(326), 에어청정기(327), 에어집진기(327)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2는 천장, 천정, 벽면 등의 대상면(470)에 홀 또는 드릴을 천공(472)하고, 상기 대상면(470)에 자신(139, 450)을 거치하고, 상기 대상면(470) 또는 이의 주변에 거치된 전선을 자신에 연결하고, 자신에 형성된 홀(472)과 상기 대상면(470)에 형성된 홀(472)에 못, 핀, 나사, 볼트, 너트, 네일, 앙카, 타카못, 타카핀, 볼트와 너트, 고정수단 중 하나(473) 이상을 설치하여 상기 못 내지 고정수단 중 하나(473) 이상에 의하여 상기 대상면(470)에 고정된 청정기, 에어샤워기 등이다. 상기 대상면(470)은 천장, 천정, 벽체, 현관(320), 대상면, 바탕면, 콘크리트면, 벽지면, 청정기 설치면, 청정기 설치 대상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3은 a) 에어샤워기(430), 에어흡입기(322), 에어건(431), 에어브러시(433);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에어공급기(324), 에어진공기(326); c) 상기 에어샤워기, 에어건, 에어브러시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에어분사구(321); d) 상기 에어흡입기, 에어건, 에어브러시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에어흡입구(322); d) 상기 에어흡입기, 에어진공기, 에어건, 에어브러시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필터(328) 또는 집진기 또는 공기청정기(327); e) 상기 에어샤워기 내지 공기청정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된 호스(323, 325);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에어샤워기 내지 호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청정기(139) 또는 에어샤워기(430)이다. 상기 필터(328)는 필터, 필터통, 통필터, 필터박스, 박스필터, 필터카트리지, 카트리지필터, 필터꽂이에 꼽는 필터, 필터꽂이와 이에 거치된 필터,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필터,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카트리지필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4는 자신에 구비된 판(471), 분사구가 구비된 판(471), 흡입구가 구비된 판(471), 대상면(470), 자신이 고정되는 대상면(470)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홀(472)이 이용되는 청정기 또는 에어샤워기이다. 여기서 판(471)은 판, 지지판, 거치판, 돌출판, 확장판, plate, 홀의 형성을 위한 돌출판, 나사 등이 인입되는 홀의 형성을 위한 돌출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기 5는 자신(450) 또는 이의 판(471)에 형성된 홀(472)을 관통하여 대상면(470) 또는 이에 형성된 홀(472)에 상기 못 내지 고정수단 중 하나(473)가 설치 또는 인입되어 상기 대상면(470)에 고정된 청정기, 에어샤워기 등이다. 상기 청정기 6은 대상면(470)에 홀 또는 드릴을 천공(472)하고, 자신(40, 450)에 형성된 홀(472)을 관통하여 상기 천공된 홀 또는 천공부(472)에 상기 못 내지 고정수단 중 하나(473)가 설치 또는 인입되어 상기 대상면(470)에 고정된 청정기, 에어샤워기 등이다. 상기 청정기 7은 대상면(470)에 홀 또는 드릴을 천공(472)하고, 상기 대상면에 자신(139, 450)을 거치하고, 상기 대상면에 거치된 전선을 자신에 연결하고, 자신에 형성된 홀(472)과 상기 대상면에 형성된 홀(472)에 상기 못 내지 고정수단 중 하나(473)를 설치 또는 인입하여 상기 나사 또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대상면에 고정된 청정기, 에어샤워기 등이다.
도 88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의 예로서 집(460), 방(461), 거실(462), 현관(320), 현관문(319), 현관내부(318), 현관외부(317) 등에 거치된 청정기(139, 497)를 나타낸다. 여기서 청정기는 에어를 공급하고 분사하는 에어공급기(324) 또는 에어분사구(321) 또는 에어순환시설(497), 분사된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기(326), 실내의 에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에어흡입기(326) 또는 에어흡입구(322) 또는 에어순환시설(497), 공급 또는 흡입 또는 방출되는 에어를 청정하는 에어청정기(327), 먼지농도 측정 등을 하는 각종센서(451), 자외선 등을 방사하는 각종램프(452), 팬(291) 및 필터(290) 등으로 구성된 환기시설 또는 순환시설(497),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에어공급기 내지 순환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공급기, 에어흡입기, 에어순환시설(497)에는 팬(93), 링송풍기(220), 펌프(63), 압력펌프(63), 콤프레셔(105) 등이 이용 가능하다. 상기 에어청정기(327)에는 팬(291), 필터(290), 사이클론(161) 등이 이용 가능하다.
도 89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139)가 건물(480), 주차장(481), 울타리(482) 등에 설치되거나, 청정기(139)가 구비되어 청정 기능을 가진 건물(480), 주차장(481), 울타리(482) 등의 청정기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청정기는 상기 도 76 내지 83 등에 기재된 청정기 등이 포함된다.
도 90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청정기, 청정기 필터, 필터 청정기, 필터형 청정기 등(139, 305)으로서, 이에는 회전팬(93)과 프리필터(300)와 헤파필러(301)와 정화필터(302), 회전팬(93)과 침전필터(300)와 카본필터(301)와 울트라필터(302)와 카본필터(303), 회전팬(93)과 항균필터(300)와 카본필터(301)와 나노필터(302), 회전팬(93)과 프리필터(300)와 본필터(302)와 포스트필터(304), 회전팬(93)과 프리필터(300)와 헤파필터(301)와 탈취필터(302)와 카본필터(303), 회전팬(93)과 프리필터(300)와 미디엄필터(301)와 탈취필터(302)와 헤파필터(303), 회전팬(93)과 프리필터(300)와 탈취필터(301)와 헤파필터(302)와 나노필터(303), 상기 각각의 후단에 후처리필터(304) 등이 포함된다. 이에는 유입구(310), 유출구(311), 케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전팬(93)은 생략, 제거, 제외, 교체, 변경, 탈착, 회전체로 교체, 환풍기로 교체, 송풍팬으로 교체, 구성에서 제외, 포함에서 제외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정기, 정화기, 처리기, 공기청정기 등에는 회전팬, 프리필터, 본필터, 미디엄필터, 헤파필러, 탈취필터, 정화필터, 침전필터, 카본필터, 울트라필터, 항균필터, 나노필터, 포스트필터, 후처리필터 중의 하나 이상이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9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청정기, 청정기 필터, 필터 청정기, 필터형 청정기 등(305)으로서, a는 팬(93), 필터(290), 케이스(102), 유입구(310), 유출구(311) 등으로 구성된 청정기(305)이고, b는 상기 필터(290)가 다수개인 청정기이고, c는 유입구(310), 유출구(311)가 상하로 되는 청정기이고, d는 상기 필터(290)가 다수개인 청정기이고, e는 팬(93)과 5종의 필터(300, 301, 302, 303, 304)가 구비된 청정기이고, f 내지 k는 케이스가 원통형, 사각통형, 원판형, 연직 원판형, 사다리형, 판형 또는 다단판형 등인 청정기이다. 상기 팬(93), 필터(290) 등은 케이스(102)에 내재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유입구(310), 유출구(31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의 하나인 로봇청소기(116), 의류청정기 또는 의류세척기(122)로서, 그림 a의 로봇청소기(116)는 솔(115), 진공기(175), 오존기(34), 사이클론(161), 필터(160), 케이스(102)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b의 의류청정기(122)는 옷, 의류, 의복 등(121)을 청정, 세척, 세정 등을 하는 것으로, 이는 노즐 또는 분사기(66), 옷걸이 또는 행거(177), 진공기(175), 오존기(34), 사이클론(161), 필터(160), 케이스(102)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옷걸이 또는 행거(177)는 고정, 이동, 진동, 요동, 흔들림, 쉐이킹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노즐 또는 분사기는 의류에 공기(80)를 분사하고, 상기 옷걸이 또는 행거는 의류를 흔들고, 상기 진공기는 공기, 먼지, 분진 등(80)을 흡입하고, 상기 오존기는 오존을 발생하여 살균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 등은 상기 공기, 먼지, 분진 등(80)을 집진한다. 상기 노즐 내지 케이스 등에는 진동기(32), 가진기, 자화기(31), 오존기(34), 음이온기, 방전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도 93은 본 발명에 의하여 댐, 하천, 개천, 연못, 해안, 해양, 바다, 폰드, 저수지, 저류지, 침전물, 이물질 등(121)을 청정, 청소, 폭기, 준설 등을 하는 청정기, 청소기, 폭기기(498), 준설기 등(139, 129)이다. 여기서 청정기(139, 129)는 컨베이어(490), 스크레이퍼(493), 스컴제거기(147), 칼퀴(491) 달린 컨베이어, 칼퀴(491) 달린 스크레이퍼(493), 부유체(494), 스크린(492), 저장고(100), 오탁방지망(127),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컨베이어 내지 오탁방지망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폭기기(498)는 공기 등을 불어 물을 폭기하는 것으로, 이에는 팬, 펌프, 회전팬, 송풍기, 선풍기, 콤프레셔, 에어콤프레셔 등이 포함된다. 상기 컨베이어(490), 스크레이퍼(493) 등은 회전하면서 수면, 수중, 수저 등의 이물질, 부유물, 침전물 등을 수면 위로 올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청정기, 청소기, 폭기기(498), 준설기, 컨베이어(490), 스크레이퍼(493), 스컴제거기(147), 칼퀴(491) 달린 컨베이어, 칼퀴(491) 달린 스크레이퍼(493), 부유체(494), 스크린(492), 저장고(100), 오탁방지망(127) 등은 a) 수상, 수면, 수중, 수저, 하저, 해저, 바다, 연못, 하천, 개천, 댐, 저수지, 저유지, 유수지, 공중, 대기, 건물, 구조물; b) 상기 수상 내지 구조물 중 하나의 내부, 외부, 인근, 근처, 부근, 주위, 가두리; 등에 구비, 거치, 설치, 존치, 위치, 정착, 장착, 도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컨베이어(490)는 수중의 이물질 등(121)을 수면으로 올리는 것이고, 스크레이퍼(493)는 회전하면서 이물질 등(121)을 상기 부유체 내지 저장고 등에 올리는 것이고, 상기 스컴제거기(147)는 수면에 부유된 스컴을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부유체(494)는 수면에 부유되는 것으로 상기 청정기 내지 오탁방지망 등이 거치되고, 상기 스크린(492)은 상기 올려진 이물질, 스컴 등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저장고(100)는 상기 이물질, 스컴 등을 저류하는 것이고, 상기 오탁방지망(127)은 상기 수중, 청정기 내지 저장고 등에 또는 등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9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설, 환기설비, 환기시스템 등(139, 497)으로서, 이는 공기공급기(63, 93, 105, 176, 202, 324), 덕트(255, 256), 급기라인(255), 공기폭기기(498), 배기라인(256), 진공기(175), 공기흡입기(326), 공기청정기(327) 등으로 또는 등의 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방, 룸, 집, 주택, 건물, 구조물, 터널, 지하철, 지하실, 현장, 공사현장, 터널현장 등의 환기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공급기는 펌프(63), 팬(93), 콤프레셔(105), 수조(176), 미스트기(202), 에어공급기(324), 에어발생기(324) 등이 해당된다.
도 9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139) 중에서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상기 살수기, 물대포, 스프링클러 등에는 수조(176), 정화기(140), 가압기(63), 노즐(66)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들은 도로(499, 도 90 a), 터널(481, 도 90 b), 공간 등의 청정, 정화, 세정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로는 물, 우수, 터널수 등이 저류되는 수조(176), 물을 정화하는 정화기(140), 물 또는 상기 정화된 물을 가압하는 펌프 또는 가압기(63), 상기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6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도 96은 본 발명에 의한 혼합기, 교반기, 공사장비, 현장혼합기 등의 예를 나타낸다. 이에는 재료, 모토, 토사 등(80)을 양질토 또는 통과물(80), 골재 또는 비통과물(302)로 선별하는 스크린(492), 첨가제 등(85)이 투입되는 호퍼(61), 상기 통과물과 첨가제를 혼합하는 혼합기, 스크류, 켄베이어 등(62, 490), 일정의 재료 또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571)을 선별, 교반, 타격, 파쇄 등을 하는 선별기, 교반기, 타격기, 파쇄기 등(570), 상기 혼합물 또는 일정의 물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66), 상기 혼합물 또는 재료를 포설(572)하는 포설기(573), 상기 혼합물 또는 재료를 다짐(574)하는 다짐기(575),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30, 40)가 이용되는 상기 스크린 내지 다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내지 포설기 등에는 믹서, 교반기, 교반날개, 스크류, 회전스크류, 로터리, 회전로터리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에는 수지, 석회, 시멘트, 팽창제, 발포제, 라텍스,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첨가제, 혼화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다짐되어 다짐층, 포장층, 혼합토층, 차수층, 방수층, 복토층, 기층, 보조기층, 성토층 등(574)이 형성된다.
도 9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 교반기, 타격기, 파쇄기, 와류기, 폭기기, 기능기 등(570)의 예를 나타낸다. 이는 자신을 통과하는 물질(80)을 선별, 교반, 타격, 파쇄, 와류, 폭기 등을 하는 것으로 a) 용기(580); b) 이의 내부에 구비된 판(582), 나선(583), 스크류(583), 날개(584), 봉(585), 다발봉(586); c) 상기 판 내지 다발봉 등의 축(581), 중심축, 회전축(581); d) 상기 판 내지 회전축 등을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수단(26);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용기 내지 회전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지 회전수단 등은 수직, 연직, 수평, 경사, 대각, 1개, 2개, 3개, 5개, 1개 이상 개수, 1측 설치, 2측 설치, 양측 설치, 3측 설치, 4측 설치, 다측 설치, 수직 설치, 수평 설치, 경사 설치, 대각 설치, 돌기 설치 등이 가능하다. 도 91의 a, b, c, d는 용기 내에 봉이 각각 1측, 2측, 3측, 4측으로 설치된 평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판 내지 다발봉 등은 일정의 물질(80)을 선별, 교반, 타격, 파쇄, 와류, 폭기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98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230)가 구비된 선별기, 교반기, 타격기, 파쇄기, 와류기, 폭기기, 기능기, 상기 용기 내지 회전수단 등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돌기에 의하여 상기 선별 내지 폭기 등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7 및 98에서 a는 경사판이 장착된 사각통, b는 경사판이 장착된 원통, c는 축에 거치된 스크류가 장착된 원통, d는 롯드에 거치된 날개가 장착된 원통, e는 경사봉이 장착된 사각통, f는 수평축에 거치된 나선이 장착된 수직통, g는 수평회전축에 거치된 날개가 장착된 수직통, h는 수직축에 거치된 봉이 장착된 수직통, i는 축에 거치된 다발봉이 장착된 통, j는 수평축에 거치된 봉이 장착된 수평통 등이 포함되는 선별기, 교반기, 타격기, 파쇄기, 와류기, 폭기기, 기능기 등(570)의 예를 나타낸다.
도 99는 본 발명의 드론, 비행체, UAM, 모빌리티 등에 의한 타설(601), 진동(42), 분사(602), 이송(603) 등을 나타낸다. 이의 예로는 a) 콘크리트 타설(601),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42), 콘크리트에 양생수 분사(602), 공사 자재 이송(603); b) 또는 노즐, 호스, 디퓨저, 타설기 등으로 레미콘차 또는 이송관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 타설(601), 진동기로 타설된 콘크리트 진동(42), 분사기 또는 양생기 등으로 콘크리트에 물 또는 양생수 분사(602), 드론에 구비된 함(531), 통(60), 저장고(60), 고리(604), 집게(604), 거치대(604), 적재대(531) 등으로 공사 자재 이송(603);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타설(601)은 몰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레미콘차 또는 이송관에서 공급되는 레미콘 등(80)을 노즐, 호스, 타설기 등으로 타설, 형틀에 타설, 지중에 타설 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동(42)은 타설된 몰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등(80)을 진동기(32), 자화기(31), 가진기(33), 기능기(30) 등으로 진동, 가진, 다짐 등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진동(42)에는 자화(41),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602)는 노즐, 디퓨저, 분사기 등을 이용하여 물, 버블수, 양생수, 연기, 농약, 미스트,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저장고(60)에서 제공되는 물질 등(80)을 분사, 공중에 분사, 수중에 분사, 콘크리트에 분사 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603)은 음식, 피자, 치킨, 햄버거, 물건, 물품, 물체, 소품, 자재, 철근, 시멘트, 공사자재 등을 이송, 운반, 운송, 배달, 배송, 탁송, 택배 등을 하거나, 또는 드론 등에 구비된 함(531), 통(60), 저장고(60), 고리(604), 집게(604), 거치대(604), 적재대(531)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음식 내지 공사자재 등을 이송, 운반, 운송, 배달, 배송, 탁송, 택배 등을 하는 것이다.
도 100은 본 발명의 기능기, 펄스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도 17의 장치1, 도 18의 장치2, 도 19의 장치3, 도 17 또는 도 18의 상기 자화기 내지 노즐 등에 양극(551), 음극(552), 전극(551, 552), 분해기(550), 전해기(550), 방전기(572), 사이클론(161) 등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양극(551), 음극(552), 전극(551, 552) 등은 분해기, 배양기, 전해기, 방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등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분해물, 전해물, 오존물, 음이온물 등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분해기(550)는 분해물, 전해물, 배양물, 미생물 등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해기(550)는 전해물, 양이온, 이온물질, 차염, 라디칼, 수소, 산소, 가스, 산성수, 음이온수, 버블수 등을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기(572)는 방전물, 스파크 등을 발생한다. 여기서 사이클론(161)은 수, 물, 액, 공기 등(80)에서 먼지, 분진, 물질, 이물질 등을 선별한다. 도 13, 17, 18, 19, 20, 21, 100 등에서 보는바와 같이 벤츄리, 벤츄리관 등(77)에는 통과하는 물질(80)이 가속; 이에 의하여 진공 발생, 부압 발생; 상기 벤츄리관에 연계되는 호스(76) 또는 인젝터(93)에 진공 발생, 상기 발생에 의하여 상기 호스(76) 또는 인젝터(93)로 첨가제가 무동력으로 유입, 상기 발생에 의하여 탱크 또는 수조(60)에 있는 물질 또는 첨가제(85)가 호스(76) 또는 인젝터(93)를 통하여 무동력으로 유입, 이의 유입에 의하여 벤츄리관(77)으로 첨가제(85)가 무동력으로 유입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01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제시스템, 드론관제시스템, 모빌리티관제시스템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의 예로는 다수개의 현장(615)에 구비된 다수개의 드론, 비행체, UAM, 모빌리티 등(65)이 각 현장(615)을 비행하면서 촬영 또는 녹화하고, 이의 촬영 자료를 관제센터(616)에 송신하고, 이의 송신 자료를 관제센터(616)에서 수신하고, 이의 수신 자료 또는 내용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615)에서 수행되는 일, 작업, 공사, 업무, 건설, 건축, 시공 등을 관측, 관찰, 순찰, 시청, 조정, 처리, 지시, 감리, 감독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현장은 집, 섬, 마을, 지역, 가옥, 촌락, 단지, 장소, 공장, 시설, 수단, 부대, 진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건물, 구조물, 하우스, 아파트, 공사현장,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등으로 교체, 대체 등이 가능하다.
도 102는 본 발명에 의한 메타버스, Metaverse, 가상세계, 가상현실세계, 가상회의장, 가상전시장 등에서 대표적으로 가상회의장, 가상전시장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의 예로는 아바타(625), 좌장석(620), 단상(621), 탁자(622), 회의탁자(622), 부스(623), 전시부스(623), 가상의 또는 가상세계의 또는 가상현실세계의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가상공간에 있는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앱 또는 어플의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앱 또는 어플에 있는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폰 앱 또는 햄드폰 어플의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가상의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등과 현실의 사람, 가상의 상기 아바타 내지 전시부스 등과 상기 아바타(625)인 현실의 사람 또는 아바타(625)를 대신하는 현실의 사람,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는 상기 아바타(625),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625),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625)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물질, 재료, 상기 또는 하기 수 내지 복합 등에는 함수비 1∼80%; 함수율 1∼90%; 포화도 0.1∼99%; 공극비 0.12∼0.87; 공극율 4∼80%; 균등계수 1∼60; 곡률계수 1∼30; 비표면적 100∼6,000㎠/g; 액성한계 10∼90%; 소성한계 5∼60%; 수축한계 1∼30%; 소성지수 0.1∼40; 수축지수 0.1∼30; 액성지수 0.1∼60; 활성도 0.1∼20; 탄성계수 1∼1,000t/m2; 포아슨비 0.01∼30; 압축강도 10∼3,000t/m2; 인장강도 1∼1,000t/m2; 경도 0.3∼30; 신장율 0.1∼1,000%; 입경 0.01nm∼300nm 0.01㎛∼300㎛, 1mm∼300mm, 1cm∼300cm, 1m∼3m; 비중 0.1∼0.6, 0.6∼0.9, 0.9∼1.9, 1.9∼2.9, 2.9∼3.9; 열전도도 0.01∼10W/m/K, 10∼100W/m/K, 100∼1000W/m/K; 융점 500∼1,000℃, 1,000∼1,900℃, 1,900∼3,000℃;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물질, 재료, 상기 또는 하기 수 내지 복합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물질, 재료, 상기 또는 하기 수 내지 복합 등의 입경, 비중, 분말도, 압력, 강도, 밀도, 융점, 공극율, 공극비,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소성지수, 수축지수, 액성지수, 활성도, 탄성계수, 포아슨비, 입도분포, 균등계수, 곡률계수, 비표면적, 투수계수, 열전도도, 함수비, 함수량, 마모감량, 정화율 등은 상기에 기재된 것 이외에 임의 수치, 일정 수치 등의 상기 입경 내지 정화율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임의 수치 또는 일정 수치 예로는 입경 8.79mm, 비중 1.77, 분말도 1,030㎠/g, 압력 10.7kg/㎠, 강도 100.67kg/㎠, 밀도 1.087t/㎥, 융점 999℃, 공극율 67%, 공극비 0.34, 액성한계 63.43%, 소성한계 13.4%, 수축한계 4.3%, 소성지수 1.3, 수축지수 0.6, 액성지수 6.7, 활성도 3.4, 탄성계수 506t/m2, 포아슨비 1.2, 압축강도 104t/m2, 인장강도 78t/m2, 경도 6.43, 신장율 36.8%, 균등계수 3.7, 곡률계수 6.3, 비표면적 987㎠/g, 투수계수 10.89-15㎝/sec, 열전도도 10.98W/m/K, 함수비 43.4%, 함수율 78.6%, 마모감량 34.23%, 정화율 78.9% 등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에 기재된 이외의 어떤 수치도 가능하다.
상기 균등계수(Cu)는 입자의 입도분포가 좋고 나쁜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도 103에서와 같이 입도분석 자료를 토대로 하여 작성한 입경가적곡선(630)에서 통과백분율(631) 10%, 60%에 해당하는 입경(632)인 D10, D60 을 이용하여 Cu = D60 / D10으로 산정된다. 상기 곡률계수(Cg)는 도 103에서와 같이 입도분포곡선(630)에서 통과백분율(631) 10%, 30%, 60%에 해당하는 입경(632)인 D10, D30, D60 을 이용하여 Cg = D302 / (D60 x D10) 으로 산정된다. 여기서 입경의 단위는 nm, ㎛, mm, cm 등이 가능하다. 상기 통과백분율(631)의 범위는 0∼100%, 상기 입경(632)의 범위는 1nm(나노미터)나∼100cm(센티미터) 등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D10 = 10mm , D30 = 20mm, D60 = 30mm인 경우 Cu = D60 / D10 = 30 / 10 = 3이고, Cg = D302 / (D60 x D10) = 202 / (30 x 10) = 1.3이 된다. 상기 액성한계(LL, liquid limit)는 흙 또는 물질의 액체상태와 소성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이고, 소성한계(PL, plastic limit)는 흙 또는 물질의 소성상태와 반고체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이고, 수축한계(SL, shrinkage limit)는 흙 또는 물질의 반고체상태와 고체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이다. 상기 소성지수(PI, plasticity index)는 액성한계(LL) - 소성한계(PL)로서 액성한계(LL)와 소성한계(PL)의 차이를 나타낸다. 소성지수는 흙 또는 물질이 소성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함수비 구간의 크기를 의미하며, 소성지수가 클수록 세립분을 포함하는 소성이 풍부한 흙 또는 물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축지수(SI, shrinkage index)는 소성한계(PL) - 수축한계(SL)로서 소성한계(PL)와 수축한계(GL)의 차이를 나타낸다. 수축지수가 큰 흙 또는 물질일수록 팽창성이 크다. 수축지수가 작으면 안정한 흙 또는 물질이다. 상기 액성지수(LI, liquidity index)는 = (ω - PL) / PI 로서 자연상태의 흙의 함수비(ω)에서 소성한계(PL)를 뺀 값을 소성지수(PI)로 나눈것이다. 액성지수는 흙 또는 물질의 유동가능성을 나타낸 것으로 0에 가까운 값일수록 흙 또는 물질은 안정한것으로 볼수 있다. 자연 상태의 함수비(ω)가 액성한계(LL)에 가까울수록, 즉 액성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공학적으로 불안정한 흙이다. 또한 액성지수가 1이면 정규압밀점토, 0이면 과압밀 점토가 된다. 상기 활성도(A, activity)는 소성지구(PI) / (0.002 mm 보다 가는 입자의 중량백분율(%))로서 소성지수(PI)와 0.002mm보다 가는 입자 함량의 비율이다. 흙의 상태 변화에 필요한 함수비는 입자의 단위중량당 표면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활성도는 흙이 물을 흡수하려는 정도를 나타낸다. 활성도가 크면 지반의 팽창 잠재력이 커진다. 포아슨비는 물빌 또는 부재의 축방향 변형률을 축에 수직한 방향의 변형률로 나눈 재료정수이다. 상기 정화율은 (100 - (최종농도/초기농도)×100)%로 산정된다. 이의 예로는 물질에 함유된 납, 아연, 구리, 중금속, 가스, 오염물, VOC, 오염물질 등의 초기농도가 100ppm이고, 최종농도가 10ppm인 경우 정화율은 (100 - (10/100)×100)% = 100 - 10 = 90%으로서, 이는 100ppm의 초기 오염농도가 정화되어 10ppm의 최종 오염농도가 되고, 이때 정화율은 90%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4는 a) 소독제(640), 소독건, 소독노즐, 소독분사기, 소독스프레이어, 상기 소독제의 용기(641), 상기 용기의 케이스(642), 상기 용기 또는 케이스의 거치대(643), 상기 용기의 버튼(644), 상기 용기의 분사수단(644), 상기 버튼을 눌러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640), 상기 분사수단을 눌러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소독제가 유출되는 노즐 또는 유출구(645); b) 또는 헬멧(646), 상기 헬멧의 턱끈, 상기 헬멧의 고리 또는 거치대(647),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헬멧, 상기 유출 또는 분사되는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헬멧, 상기 헬멧과 하기 용기 내지 기둥 중 하나를 연결하는 끈 또는 고리 또는 연결끈(648); 여기서 끈 또는 고리는 헬멧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헬멧을 하기 용기 내지 기둥 등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c)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손잡이(649),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본체, 상기 소독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발판(650); d) 상기 헬멧을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손잡이를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본체를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상기 발판을 소독하는 상기 소독제; e) 상기 거치대가 구비되는 기둥(651), 상기 본체 또는 발판 또는 손잡이에 연계되는 상기 기둥(651); f) 상기 소독제 내지 기둥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GPS 또는 위치센서, 상기 헬멧의 내부에 구비된 GPS 또는 위치센서, 상기 소독제 내지 기둥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배터리케이스,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안착되는 배터리; g) GPS 또는 위치센서가 장착된 상기 소독제 내지 배터리, 조명 또는 라이트가 구비된 상기 소독제 내지 배터리, 오존 또는 음이온 또는 오존음이온이 방사되는 상기 소독제 내지 배터리, 오존기 음이온기 또는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되는 상기 소독제 내지 배터리; 상기 본체 또는 발판에 구비된 바퀴(652); 상기 바퀴 상부에 구비된 바퀴 카바; 상기 본체, 기둥, 발판, 카바 등에 구비된 배달통(654); 탑승자의 의자 대용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탑승자의 등을 기댈수 있는 상기 배달통(654); 배달되는 물건 또는 음식이 배달 중 저장되는 상기 배달통; h) 상기 헬멧의 고리 또는 거치대에서 상기 헬멧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를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헬멧의 고리 또는 거치대에 상기 헬멧이 거치되는 경우 거치를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분리 후 상기 거치가 되지 않는 경우 거치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표시기, 상기 거치되지 않은 경우 헬멧 비용을 청구하는 청구수단, 상기 비용을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전달수단, 자신(전동보드)의 대여 및 이용 요금을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전달수단, 상기 수단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공유센터 또는 공유서버, 상기 대여 및 이용을 승인 또는 해제하는 어플, 상기 스마트폰에 내려받는 상기 어플, 상기 스마트폰에서 열리는 상기 어플, 상기 열리어 상기 승인 또는 해제하는 어플, 상기 전달과 승인과 해제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와이파이 또는 통신망, 상기 스마트폰과 공유서버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와이파이 또는 통신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전동보드(661)이다.
상기 소독제 내지 통신망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이용 또는 구비 또는 가미가 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 내지 기둥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독건 내지 거치대 등은 상기 손잡이 내지 기둥 등에 구비된다. 상기 소독제는 소독제, 살균제, 청정제, 정화제, 항균제, 멸균제, 해독제, 제독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독건, 소독노즐, 소독분사기, 소독스프레이어 등은 소독제를 분사하는 또는 손으로 누르면 소독제가 분사되는 건, gun, 총, 노즐, 분사기, 스프레이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동보드(661)는 보드, 킥보드, 퀵보드, 공유보드, 전동보드, 스크터, 자전거, 공유자전거, 오토바이, 드론, 모빌리티, 공유모빌리티 등이 되거나, 또는 등으로 대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04를 참조한다. GPS 또는 위치센서는 위치, 위치추적, 위치표시, 위치감지, 위치알림 등을 위한 것이다. GPS는 위성항법장치, 위치표시장치, 衛星航法裝置,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위치센서는 위치센서, 위치추적센서, 위치표시센서, 위치감지센서, 위치알림센서 등이 해당된다. GPS 또는 위치센서는 상기 소독제 내지 배터리 등의 위치를 찾거나 또는 분실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오존, 음이온, 오존음이온 등은 소독, 살균, 청정, 정화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등은 오존, 음이온, 오존음이온 등은 생성, 발생, 방사, 조사, 분사 등을 한다. 상기 오존음이온은 오존과 음이온이다.
이상은 그림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내용, 범위, 청구항, 실시예 등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이하 또는 이상에 서술되는 도, 그림, 내용, 문장, 용어, 단어, 이름, 숙어, 물체, 물건, 물질, 장비, 장치, 시설, 수단, 부품, 재료, 자재, 일, 작업, 업무, 공사, 도의 물체, 그림의 물체 등에는 a) 기(器 or 機), 드론, UAM, 보드, 킥보드, 모빌리티; b)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기, 수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c) 상기 중 하나를 거친 물질, 상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물질; d)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의 이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첨가, 가미, 추가, 연결, 연계, 분사, 코팅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하기 기 내지 복합, 본 발명의 내용, 범위, 청구항, 실시예 등에는 상기 a) 기 내지 d)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상기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등은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음식, 식품, 주류, 음료, 화장품, 공장제품, 전자제품, 산업물품, 제조상품, 생활용품, 사무용품 등이 해당되고, b) 상기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장비, 장치, 기 내지 네트워크 등은 일, 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c) 상기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장비, 장치, 기 내지 네트워크, 기 내지 복합기 등은 일, 작업,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거나, d) 상기 일, 작업,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장비, 장치, 수(水)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기 내지 복합기 등이 이용되거나, e) 상기 일, 작업,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의 대상은 상기 기(器), 기(機),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장비, 장치, 수(水)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기 내지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물품, 물품이 이용되는 배달, 장비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 제품이 이용되는 공사, 상품이 적재된 드론이 비행, 시스템에 의하여 제작된 용품, 용품이 이용되는 시설, 용품이 이용되는 작업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화장품에는 화장품 1, 화장품 2, 화장품 3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화장품 1은 분(粉), 미분, 분말, 분첩, 화장분, 바르는분, 로션, 루즈, 크림, 향수, 향료, 연지, 곤지, 필러, 화장수, 화장품,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미용액, 볼터치, 비비크림, 아이크림, 뷰티밀크, 영양크림, 바디크림, 클렌저, 스킨로션, 스킨밀크, 스킨클렌저, 화장비누, 황토팩, 화장품재, 밀크로션, 스킨로션, 아이크림, 영양수액, 영양크림, 에쎈스, 클렌징크림, 폼클렌징, 황토크림, 피톤크림, 편백크림, 새도우, 아이새도우, 화운데이션, 화운데이션크림, 에센셜오일, 페이스밀크, 페이셜크림, 페이스로션, 페이스파우더;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화장품 2는 화장파우더, 화장용크림, 화장용로션, 화장제거제, 화장용패드,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용 메이크업 화장품, 모이스처라이저 화장품, 화장용 콤팩트, 스킨케어용 화장품, 아이메이크업 리무버, 화장용 겔, 화장용 로션, 화장용 크림, 화장용 수렴제, 화장용 스킨프레시너, 화장용 오일, 화장용 콜드크림, 화장용 크렌징 크림, 화장용 크렌징유액, 화장제거용 로션, 영양화장품, 기초화장품, 천연화장품, 인삼화장품, 비타민화장품, 황토화장품, 피톤치드화장품, 주름제거화장품, 안티에이징화장품, 노화방지화장품, 모이스쳐화장품, 에센스화장품;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화장품 3은 팩, 화장팩, 황토팩, 얼굴팩, 피톤팩, 편백팩, 헬멧, 헤어케어헬멧, 탈모방지헬멧, 넥케어LED기, 헤어케어LED기, 방독면, 제독면, 마스크, 팩마스크, 마스크팩, 페이셜팩, 화장용 마스크팩, 페이셜 마스크팩, 입마스크, 목마스크, 전기마스크, 전자마스크, 광원마스크, 불빛마스크, LED마스크, 목LED마스크, 헤어LED마스크, 미용마스크, 얼굴마스크, 헤어마스크, 헤드마스크, 황사마스크, 황토마스크, 피톤마스크, 편백마스크, 분진마스크, 가면마스크, 화장용마스크, 넥케어마스크, 헤어케어마스크;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생활용품에는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생필품, 바디용품, 마사지용품, 미용품, 피부미용품, 바디미용품, 샴푸, 기능샴푸, 인삼샴푸, 황토샴푸, 피톤샴푸, 편백샴푸, 비타민샴푸, 탈모방지샴푸, 비듬방지샴푸, 파마약, 염색약, 치약, 기능치약, 인삼치약, 황토치약, 피톤치약, 편백치약, 송염치약, 죽염치약, 비타민치약, 충치방지치약, 칫솔, 전동칫솔, 가글제, 가글액, 입가글액, 치아가글액, 구강가글액, 구강세정제, 비누, 기능비누, 인삼비누, 황토비누, 피톤비누, 편백비누, 비타민비누, 파스, 물파스, 부착파스, 물비누, 목욕비누, 구두약, 물티슈, 세면용품, 모발염색, 탈색제, 헤어케어제, 인조 속눈썹/모발 및 손톱 접착제, 세면용품, 바디용품, 세제, 표백제, 세정제, 광택제, 연마재, 물세제, 가루세제, 황토세제, 피톤세제, 편백세제, 세탁용세제, 청소용세제;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음식은 음식 1, 음식 2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식 1은 수(水), 밥, 죽, 쌀밥, 찰밥, 햇반, 햇반밥, 김밥, 보리밥, 비빔밥, 국, 술국, 미역국, 명태국, 팥죽, 닭죽, 어죽, 야채죽, 전복죽, 찜, 갈비찜, 황토찜, 피톤찜, 편백찜, 탕, 곰탕, 어탕, 해물탕, 설렁탕, 갈비탕, 복어탕, 수제비, 누룽지, 누름밥, 벌꿀, 설탕, 푸딩, 수프, 라면수프, 조미료, 음식물, 한국음식, 중국음식, 서양음식, 음료, 음식, 한식, 양식, 중식, 짬뽕, 울면, 짜장면, 탕수육, 유산슬, 난자완스, 국수, 칼국수, 막국수, 가락국수, 잔치국수, 비빔국수, 수육, 순대, 족발, 전, 파전, 만두, 군만두, 찐만두, 양념, 구이, 고기구이, 생선구이, 진흙구이, 오리구이, 찌게, 부대찌게, 김치찌게, 파스타, 튀김, 튀김류, 김, 부각, 김부각, 염, 죽염, 소금, 반찬, 김치, 무김치, 백김치, 배추김치, 포기김치, 김장김치, 동치미, 장아찌, 게장, 간장게장, 양념게장, 된장, 간장, 메주, 고추장, 양념장, 묵, 어묵, 오뎅, 도토리묵, 두부, 순두부, 미원, 조미료, 식품, 식료품, 수산물, 먹이, 사료, 동물먹이, 개사료, 식재료, 식자재, 식품재, 음용재, 식용재, 식료품; b)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식 2는 떡, 찰떡, 팥떡, 콩떡, 송편, 절편, 약과, 쌀떡, 찹쌀떡, 모찌떡, 인절미, 가래떡, 케익떡, 떡케익, 떡볶이, 한과, 약과, 산자, 강정, 전병, 꿀, 벌꿀, 아카시아꿀, 엿, 물엿, 호박엿, 가락엿, 감주, 식혜, 빵, 팥빵, 찐빵, 식빵, 붕어빵, 베이글, 케이크, 칩, 과자, 과자칩, 다과, 캔디, 사탕, 스콘, 꽈배기, 초코렛, 즙, 녹즙, 껌, 츄잉껌, 면, 라면, 컵라면, 봉지라면, 피자, 도우, 햄, 소세지, 피자도우, 햄피자, 치즈피자, 호박피자, 배달피자, 조각피자, 치킨피자, 콤비네이션피자, 통닭, 치킨, 튀김닭, 양념닭, 닭강정, 양념치킨, 배달치킨, 피자치킨, 후라이드치킨, 요플레, 요구르트, 발효식품, 냉동식품, 크림, 얼음, 아이스, 아이스크림; b)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주류에는 술, 주(酒), 주류, 소주, 맥주, 양주, 탁주, 곡주, 막걸리, 칡주, 감주, 와인, 샴페인, 인삼주, 과일주, 황토주, 피톤주, 편백주, 병술, 팩소주, 병맥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료에는 식혜, 콜라, 사이다. 스프라이트, 이온수, 음료수, 쥬스, 감쥬스, 캔쥬스, 과일쥬스, 포도쥬스, 오렌지쥬스, 청량물, 청량음료, 캔음료수, 병음료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기(器), 기(機), 4G, 5G, 6G, LTE, WiFi,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전기, 전자, 통신, 배터리, 정보기술(IT), 정보통신기술(ICT),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환경기술, 로봇기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지리정보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빅데이터,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카메라, 열화상카메라, GPR(ground penetrating radar), 레이더, 레코더, 마이크, 스피커, 라디오, 라우터, 모니터, 스크린, 스캐너, 3D스캐너, 3차원화, 4차원화, 메타버스, 미디버스, 블록체인, 3D프린팅, 3D프린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폰,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비, 장치, 시설, 설비, 부품,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c) 상기 기(器) 내지 복합 또는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칩, 핀, 센서, 소자, 진자, 전극, 전지, 코일, 기판, 모듈, 모뎀, 허브, 서버, 회로, 도체, 콘덴서, 트랜스, 반도체; d) 상기 4G 내지 복합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등이 이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 4G 내지 복합 등은 정보, 통신, 기술, 공법, 송수신, 로봇, 미생물, 바이오, 바이오물질, 바이오미생물, 생명, 생명체, 나노, 나노화, 나노제, 나노미터크기입자, 환경, 정화, 청정, 살균, 소독, 정화제, 청정제, 살균제, 소독제, 인공, 자연, 지능, 인터넷, 지리, 교통, 자율, 주행,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거나, 등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 내지 복합 등의 생성, 제조, 발생, 형성, 구현, 실현, 가동, 시행, 실시, 진행 등을 하거나,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4G 폰이 이용되는 모빌리티, 5G 폰이 구비된 모빌리티, 6G 시스템이 구비된 모빌리티, LTE 기기가 이용되는 모빌리티, WiFi 송신기가 연계되는 모빌리티, 앱이 다운로드된 모빌리티, 어플이 이용되는 모빌리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스마트폰앱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모빌리티, 전기 모빌리티, 전자 모빌리티, 통신 모빌리티, 배터리 모빌리티, 전기로 가동하는 모빌리티, 전자기기가 구비된 모빌리티, 통신용도의 모빌리티, 배터리로 가동하는 모빌리티, 정보기술(IT)이 적용되는 모빌리티, 정보통신기술(ICT)이 이용되는 모빌리티, 로봇공학이 적용되는 모빌리티, 생명공학 장비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나노기술 시설이 이용되는 모빌리티, 환경기술 장비가 구비되는 모빌리티, 로봇기술 설비가 거치되는 모빌리티,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사용되는 모빌리티, 사물인터넷(IoT)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지리정보체계가 거치된 모빌리티, 위성항법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드론이 구비된 모빌리티, 자율주행차로 이용되는 모빌리티, 가상현실(VR)에 활용되는 모빌리티, 빅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모바일 장비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클라우드 컴퓨팅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카메라가 구비된 모빌리티,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모빌리티, GPR이 구비된 모빌리티, 탐사용 레이더가 구비된 모빌리티, 녹화용 레코더가 구비된 모빌리티, 음성이 나오는 마이크가 구비된 모빌리티, 스피커가 연결된 모빌리티, 라디오가 장착된 모빌리티, 라우터에 연결되는 모빌리티, 모니터가 구비된 모빌리티, 스크린에 영상을 전송하는 모빌리티, 스캐너가 구비된 모빌리티, 3D스캐너가 장착된 모빌리티, 3차원화 장비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4차원화 장비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3D프린팅에 이용되는 모빌리티, 3D프린터에 연계되는 모빌리티, BIM을 위한 영상을 송신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기(器), 기(機), 콘, 망, 봉, 틀, 칩, 나선, 센서, 소자, 자석, 전극, 전지, 코일, 돌기, 회로, 도체, 물체, 반도체, 측정기, 레이더, 스캐너, 3D스캐너,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b)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물질,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전해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소독물, 살균물, 적외선물, 자외선물, 열화상물, 초음파물, 자화제, 진동제, 가진제, 파동제, 오존제, 적외선제, 초음파제, 전자기파제, 음이온제, 회전제, 진공제, 가압제, 전해제, 방전제, 정화제, 청정제, 소독제, 살균제, 적외선제, 자외선제, 열화상제, 초음파제; c) 자화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파동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소독처리, 살균처리, 적외선처리, 자외선처리, 열화처리, 초음파처리; d) 상기 기(器)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제, 복합처리; e) 상기 기(器) 내지 초음파처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제, 복합처리; f)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g)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h)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물; i) 상기 기(器) 내지 3D스캐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j)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3D스캐너; k)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ℓ)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의 전, 후, 좌, 우, 상, 하, 면, 표면, 주변, 주위, 인근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m)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진동물 내지 복합처리; n) 상기 기(器)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o) 상기 기(器)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에 의한 교반, 확산, 와류, 폭기, 정화, 청정, 세척, 세차, 세정, 소독, 살균, 방역; 상기 교반 내지 방역 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대상을 상기 교반 내지 복합;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병행,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처리, 기(器) 내지 복합 등은 상기 드론, 모빌리티, 장비, 장치, 수단, 일, 작업,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기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칩 내지 반도체, 자화 내지 복합 등에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병행,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A) a) 콘 후에 망이 거치되고, 상기 망 후에 봉이 거치되고, 상기 봉 후에 틀이 거치되고, 상기 틀 후에 나선이 거치되어 조성된 튜브, 파이프, 중공체, 콘망봉틀나선; b)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센서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튜브, 파이프, 중공체, 콘망봉틀나선; c) 상기 콘 내지 나선, 센서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튜브, 파이프, 중공체, 콘망봉틀나선; d) 상기 콘 내지 나선, 센서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튜브 내지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e) 상기 콘 내지 나선, 센서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튜브 내지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f) 상기 콘 내지 나선, 센서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튜브 내지 콘망봉틀나선,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g) 상기 콘 내지 나선, 센서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튜브 내지 콘망봉틀나선,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중 하나 이상이 연계 또는 구비된 장치, 장비, 드론, 시스템, 모빌리티; B) 이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a) 콘이 구비된 노즐이 장착된 드론, 망이 부착된 모빌리티, 봉이 구비된 드론으로 진동, 승객용 틀이 구비된 모빌리티, 전자 칩이 장착된 모빌리티, 나선이 매입된 중공체가 장착된 파이프, 측정 센서가 장착된 모빌리티, 전자 소자가 장착된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자석이 구비된 진동기가 장착된 자화기가 거치된 장비, 전극이 사용되는 연료전지가 구비되어 발전된 전기로 비행하는 모빌리티, 전지가 구비된 장치가 이용되는 장비가 연계되는 모빌리티, 코일을 통과한 살균수가 돌기를 거치면서 와류되어 분사, 전자 회로가 장착된 자화기가 구비된 드론, 도체가 이용되는 전기분해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해수가 분사되는 모빌리티, 반도체가 이용되는 진동기가 구비된 시스템이 구비된 모빌리티, 먼지농도를 측정하는 측정기가 구비된 모빌리티, 레이더가 거치된 스캐너가 장착된 모빌리티, 3D스캐너가 장착된 모빌리티, 자화기에서 발생되는 소독물이 분사되는 모빌리티, 살균수가 분사되는 진동기가 장착된 수단이 구비되는 장비, 살균공기가 생성되는 가진기가 장착된 시스템이 구비되는 모빌리티, 소독연무가 분사되는 파동기가 구비된 오존기에서 방사되는 오존이 분사되는 분사기, 살균 증기가 발생되는 음이온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가해지는 장치, 회전기에서 회전된 물질이 자화기에서 진동된 후 가진기를 통하여 분사, 진동을 하는 진공기가 구비된 장치가 거치된 혼합기, 살균수를 가압하는 가압기가 거치된 장치 또는 모빌리티, 4G 또는 5G의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전달하는 전해기에서 생성되는 살균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LTE 또는 WiFi로 통신하는 통신기가 구비된 방전기, 정보기술(IT) 또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되어 통신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로봇공학이 적용되어 로봇이 소독하는 소독기, 생명공학이 적용되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기, 나노기술이 적용되어 물질을 나노미터화시키는 적외선기, 환경기술을 이용하여 환경을 개선하는 자외선기가 구비된 모빌리티, 로봇기술이 적용되어 로봇이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기, 인공지능(AI)의 알고리즘을 가진 초음파기, 사물인터넷(IoT)으로 영상을 방영하면서 자화하는 장치, 지리정보체계(GIS)로 지리정보를 검색하면서 진동, 위성항법장치(GPS)로 위치를 인식하면서 가진, 드론으로 하천수 폭기를 위한 파동, 모빌리티에서 방사되는 오존, 이의 오존을 이용한 공기정화, 자율주행차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이의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청정, 가상현실(VR)에서의 회전, 이의 회전에 의한 가상현실 체험, 물질 흡입 수단에 가해지는 진공, 콘크리트 가압, 펌프를 이용한 가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산하는 장치에 첨가되는 자화물, 모바일 장치에 가해지는 진동물, 클라우드 컴퓨팅을 하는 수단에 분사되는 가진물, 모빌리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공중에 분사되는 파동물, 열화상카메라에서 방사되는 오존물, GPR 탐사기에서 방사되는 음이온물, 레이더에서 발생되는 회전물, 레코더를 통하여 흡입되는 진공물, 마이크를 통하여 가압되는 가압물, 스피커의 전극에 의하여 전해되는 전해물을 공급하는 장치, 라디오에서 방사되는 방전물, 이의 방전물에 의하여 공기 살균, 라우터에 장착된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소독물이 투입되는 혼합기, 모니터에 구비된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살균물, 스크린에서 방사되어 주변을 살균하는 적외선물이 주입되는 타설기, 스캐너에 구비된 자외선기에서 방사되는 자외선물, 3D스캐너에서 방사되는 열화상물에 의한 공기 살균, 3차원화 영상을 송수신하면서 초음파물을 방사하는 장치, 4차원화 도면을 제작하면서 자화제를 방출하는 자화기, 3D프린팅을 하면서 진동하는 진동제를 방출하는 가진기, 3D프린터에 의하여 가진제를 발생하면서 파동제를 방출하는 오존기, BIM을 하면서 오존제를 방사하는 건물정보모델링 장치, 일정의 기(器)가 장착되어 음이온제를 발생하는 오존기, 일정의 기(機)가 구비돠어 와류회전하는 회전제를 배출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초음파기가 장착된 모빌리티, 영상통화하는 폰을 이용하여 진공제를 가하면서 물질을 흡입하는 장비, 일정의 기기가 구비되어 가압제를 공급하면서 타설하는 타설기, 일정의 기구에 의하여 전해제가 방출되어 균을 살균하는 장치, 기계의 방전작용에 의하여 방출되는 방전제에 의한 공기 청정, 소독제를 생성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오존처리하는 모빌리티, 측정 센서가 장착되면서 살균제를 분사하는 소독기가 장착된 드론, 일정 장비에서 발사되는 적외선제에 의하여 소독되는 물체, 자외선제를 생성하는 장치에 의하여 오염이 살균되면서 물질을 자화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드론이 연계되는 장비, 시설에 열화상제를 가하여 열살균하는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 초음파제 생성 설비를 이용하여 진동하면서 오존을 방사하는 시스템이 구비되는 모빌리티, 전자 부품이 사용되어 자화처리하면서 정화하는 집진기, 진동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가진처리와 파동처리하면서 오존을 방사하는 드론이 공중에 비행하는 시설 공사 또는 작업, 컴퓨터에 의하여 자동운전되는 오존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되는 모빌리티가 적용되는 작업, 자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음이온처리하는 장비가 구비되어 공기청정하는 모빌리티, 일정의 하드웨어에 의하여 관리되는 전해처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명령에 의하여 방전처리하는 장치가 구비된 모빌리티가 적용되는 작업 또는 공사, 소독처리 네트워크가 적용되는 모빌리티, LTE 통신시설에 의하여 영상 통신하면서 살균처리, WiFi 무선통신으로 교신하면서 적외선처리하는 모빌리티, 로봇공학을 통하여 개발된 로봇을 이용하여 자외선처리, 생명공학에서 고안된 바이오를 이용하여 열화처리, 나노기술이 접목되어 물질을 나노미터화시키면서 초음파처리, 환경기술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합, 로봇기술이 적용되어 로봇으로 상기 복합을 하는 복합기, 인공지능(AI)으로 상기 복합처리하는 복합물, 사물인터넷(IoT)에서 제공되는 상기 복합제를 이용한 정화, 지리정보체계(GIS)로 탐색된 지역을 상기 복합처리, 위성항법장치(GPS)로 선정된 위치를 상기 복합처리하여 정화; b) 이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모빌리티기, 기 내지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등에서 기는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콘, 망, 봉, 틀, 칩, 판, 막, 대, 막대, 나선,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센서, 장비, 장비, 시설, 설비, 부품, 시트, 매트,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은 a)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전해, 전기분해, 방전, 전기방전, 정화, 청정, 소독, 살균, 적외선, 자외선, 열화상, 초음파,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으로 처리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d) 또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파동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진공물, 가압물, 전해물, 방전물, 정화물, 청정물, 소독물, 살균물, 적외선물, 자외선물, 열화상물, 초음파물,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에서, 또는 자화제, 진동제, 가진제, 파동제, 오존제, 적외선제, 초음파제, 전자기파제, 음이온제, 회전제, 진공제, 가압제, 전해제, 방전제, 정화제, 청정제, 소독제, 살균제, 적외선제, 자외선제, 열화상제, 초음파제, 이중 둘 이상 복합제 등에서 물 또는 제는 수(水), 물(水 또는 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파(波), 열(熱), 선(線), 체(體), 압(壓), 력(力), 힘, 압력, 물체, 물질, 광선, 열기, 파동, 음파, 물질,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물체, 공기, 가스, 산소, 수소, 증기, 연기, 연무, 안개, 포그, 버블, 수증기, 미스트, 재료, 원료, 에너지, 슬러리;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초음파기 등으로 처리된 또는 등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슬러리;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제 내지 복합제 등에서 물, 제 등은 물, 物, 제, 劑, 재, 材, 재료, 물질,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상기 자화제, 복합제, 폭기물, 소독물, 자화재, 복합재, 폭기재료, 소독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은 a)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전해, 전기분해, 방전, 전기방전, 정화, 청정, 소독, 살균, 적외선, 자외선, 열화상, 초음파,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물질; c)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물질; d)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으로 처리된 또는 등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거친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통과한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서 발생되는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서 제공되는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서 분사되는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에서 이용, 조성, 형성, 발생, 공급, 제공, 분사, 도장 등이 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물질은 a)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졸(sol), 겔(gel), 물질, 원료, 재료, 촉매, 광촉매, 살균제, 소독제, 정화제, 청정제, 방청제, 나노제, 수지, 라텍스, 황토, 폐분, 애쉬, 기포, 공기, 가스, 실리카, 탄산수, 슬러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미생물, 발포제, 기포제, 바인더, 화이버, 내진재, 방진재, 제진재, 댐핑재, 보강재, 보강재, 혼화재, 고화재, 유동화제, 바이오제, 편백나무, 피톤치드; b) 상기 자화물 내지 살균물; c) 상기 수(水) 내지 살균물 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물 내지 살균물, 복합물 등에서 물은 상기 수(水) ∼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자화물의 예를 들면 자화물은 자화수(水), 자화물(水 또는 物), 자화액(液), 자화유(油), 자화기(氣), 자화고(固), 자화제(劑), 자화재(材), 자화파(波), 자화열(熱), 자화선(線), 자화체(體), 자화물체, 자화물질, 자화광선, 자화열기, 자화파동, 자화음파, 자화물질, 자화액체, 자화기체, 자화고체, 자화물체, 자화공기, 자화가스, 자화산소, 자화수소, 자화증기, 자화연기, 자화연무, 자화안개, 자화포그, 자화버블, 자화수증기, 자화미스트, 자화재료, 자화원료, 자화에너지, 자화슬러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자화는 자화, 자석, 마그네틱, 자성화, 자성체화, 육각수화, 자기에너지, 자기에너지화, 자기를 띰, 자기 발생, 자기장 발생, 자기장 투입, 자기장 주입, 자기장 방사, 자기장 조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살균물의 예를 들면 살균물은 살균수(水), 살균물(水 또는 物), 살균액(液), 살균유(油), 살균기(氣), 살균고(固), 살균제(劑), 살균재(材), 살균파(波), 살균열(熱), 살균선(線), 살균체(體), 살균물체, 살균물질, 살균광선, 살균열기, 살균파동, 살균음파, 살균물질, 살균액체, 살균기체, 살균고체, 살균물체, 살균공기, 살균가스, 살균산소, 살균수소, 살균증기, 살균연기, 살균연무, 살균안개, 살균포그, 살균버블, 살균수증기, 살균미스트, 살균재료, 살균원료, 살균에너지, 살균슬러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살균물의 적용예로는 드론이 살균수에 살균, 모빌리티에 살균물 분사, 장비에서 살균액 발생, 장치에서 살균유 배출, 시스템에 살균기(氣) 분사, 기기에 살균고(固) 투입, 기게에 살균제(劑) 분사, 재료에 살균재(材) 투입, 자재에 살균파(波) 방사, 시설에 살균열(熱) 조사, 건물에 살균선(線) 조사, 구조물에 살균체(體) 투입, 자재에 살균물체 가미, 살균물질이 함유된 재료, 살균광선이 가해지는 시설, 살균열기를 분사하는 드론, 살균파동이 발사되는 드론, 살균음파가 분출되는 모빌리티, 모빌리티에 살균물질 도장, 저장고에 살균액체 저장, 가압기에서 살균기체 가압, 타설기에서 살균고체 타설, 시설에 살균물체 부착, 오염공기에 살균가스 살포, 터널에 살균산소 주입, 건물에 살균수소 주입, 모빌리티에서 살균공기 분사, 드론으로 살균증기 분사, 거리에 살균연기 분사, 동네에 살균연무 살포, 농장에 살균안개 포설, 논밭에 살균포그 분사, 모빌리티로 공중에 살균버블 분사, 자화기로 살균수증기 자화, 진동기로 살균미스트 진동, 가진기로 살균재료를 분사하면서 가진, 재료에 살균원료 투입, 수소에 살균에너지 투입, 모빌리티에 구비된 주입기로 몰탈에 살균슬러리 주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는 자화, 磁化, magnetization, 자성을 가지는 것, 자기장을 방사하는 것, 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것, 자석이 아닌 물체가 자석의 성질을 가지게 되는 것, 물을 자화하는 것, 육각수화하는 것, 물을 육각수화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해는 분해, 分解, 전해, 발효, 부패, 부숙, 전기분해, 미생물분해, 미생물발효, 미생물부패, 미생물부숙, 유기물분해, 유기물발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는 전해, 電解, 전기분해, 電氣分解, electrolysis, 전기를 이용한 물의 분해 등이다. 상기 유동화는 유동화, 슬러리화 등이다. 상기 방전은 방전, 放電, 전기방전, 電氣放電, discharge, electric discharg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 또는 소독은 살균, 멸균, 제균, 항균, 소독, 제독, 해독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도장은 칠, 도장, 도색, 분사, 포설, 분무, 코팅, 페인팅, painting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콘, 망, 봉, 틀, 나선, 코일, 돌기 등은 물질, 통과물질, 접촉물질 등을 교반, 혼합, 폭기, 와류, 회전, 가속, 분리, 파쇄, 분쇄, 미세화, 미소화, 나노화, 마이크로화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b) 상기 칩, 센서, 소자, 코일, 회로, 도체, 반도체 등은 전기, 전자, 통신, 연산, 계산, 산정, 전달, 정보전달, 저장, 정보저장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 상기 자석, 전극, 전지 등은 전기, 전력, 정전기, 자장, 자기장, 에너지, 전기분해 등의 생성, 발생, 전달, 송전, 배전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d) 상기 측정기, 레이더, 스캐너, 3D스캐너 등은 측정, 관측, 관찰, 정찰, 계측, 스캐닝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e)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파동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진공기, 가압기, 전해기, 방전기, 정화기, 청정기, 소독기, 살균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열화상기, 초음파기 등은 e1)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되거나, e2)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제 내지 복합제,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등을 생성, 발생, 조성, 형성 등을 할 수 있다. f) 상기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 음이온, 회전, 진공, 가압 등은 자화, 물질자화, 물을 자화, 육각수 자화, 물을 육각수화, 물을 육각수로 자화, 물을 자화하여 육각수로 함, 진동, 물질 진동, 물체 진동, 자체 진동, 자가 진동, 가진, 자체 가진, 물질 가진, 물체 가진, 진동을 가함, 진동 발생, 파동, 물질 파동, 물체 파동, 음파 파동, 초음파 파동, 오존, 오존 살균, 오존 처리, 음이온, 음이온 처리, 음이온 청정, 회전, 팬 회전, 자체 회전, 물질 회전, 진공, 부압, 진공을 가함, 가압, 펌핑, 압력, 압력을 가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g)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로 처리된 물질,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h)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으로 처리, 처분, 처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a1) 일, 작업, 비행, 활공, 주행, 이동, 촬영, 찍기, 사진찍기, 측정, 측량, 센싱, 매핑, 관측, 관찰, 관제, 방범, 작업, 송신, 수신, 통신, 중개, 교신, 송수신, 살수, 살포, 분사, 방역, 정화, 청정, 청소, 소독, 살균, 소화, 진화,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소독제포설, 농약살포, 먼지제거, 공사, 시공, 건축, 건설, 가압, 타설, 포설, 주입, 자화, 진동 다짐, 양생, 배달, 배송, 택배, 탁송, 탑승, 합승, 승용, 승하차, 승차, 하차, 위치인식, 좌표인식, 상기 작업, 상기 작업 1 내지 작업 31, a2)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작업, a3)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b)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등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장비, 수단, 복합기 등이 구비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c) 상기 기(器), 기(機), 장비, 장치, 수단, 수(水)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일, 작업, 비행 내지 복합, 콘 내지 방역, 자화 내지 복합처리, 콘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칩 내지 반도체,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구비 또는 이용 또는 연계되는 모빌리티; d) 모빌리티가 구비 또는 이용 또는 연계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e)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등이 구비되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모빌리티; f)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장비, 수단; g) 또는 작업, 장비, 사람, 로봇, 수단, 시설 등의 상부에 거치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h) 상기 작업 내지 시설 등의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i) 상부에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거치되는 상기 작업 내지 시설, 비행 내지 복합; j) 공중에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비행하는 상기 작업 내지 시설; k)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작업 내지 시설, 자화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ℓ) 드론 또는 모빌리티가 이용되는 일, 작업, 방법, 수단,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비행 내지 복합작업, 상기 작업 내지 시설,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 등에 관한 것이다.
a) 본 발명에서 사람, 주인, 집주인, 직원, 대리, 차장, 과장, 부장, 실장, 이사, 상무, 전무, 사장, 회장, 감리, 기사, 토목기사, 건축기사, 대리기사(541), 배달기사, 택배기사, 운전기사(541), 항공기사(541), 기장(541), 로봇(541, 542), 제3자, 라이더, 운전자(541, 542), 조정자(541, 542), 운전사(541), 원격조정자, 객실(543), 여객실, 승객실, 기술사, 기술자, 건물주, 감독관, 전문가, 설계자, 작업자, 시공자, 감리자, 발주자, 드론, 모빌리티 등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수행할 수 있다. b) 그리고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등은 상기 사람 내지 발주자,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의 역할 또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수행 할 수 있다. c) 그리고 상기 사람 내지 발주자 등은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의 역할 또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수행 할 수 있다. d) 그리고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물질, 기기, 폰, 전화, 서버, 장치, 장비,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태블릿PC,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기기, 핸드폰, 모바일기(mobile kit), 무전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드론,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에 의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수행 될 수 있다. e)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f) 그리고 집, 방, 주택, 자택, 시설, 건물, 본사, 지사, 회사, 건설회사, 설계사, 건축사, 시공사, 감리사, 현장, 공장, 작업장, 공사장, 구조물, 시설물, 아파트, 상황실, 관제실, 조종실, 발주처, 관공서, 감리실, 감독관실, 사무실 등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수행 될 수 있다. g) 그리고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등이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h)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등이 상기 집 내지 사무실 등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i)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된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등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j)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등이 상기 집 내지 사무실 등에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k)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된 상기 사람 내지 모빌리티 등이 상기 집 내지 사무실 등에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할 수 있다.
a)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장비, 작업, 사람, 로봇, 수단, 시설, 재료, 자재, 기초, 파일, 물질, 물체, 물품, 제품, 드론, 구조물, 모빌리티, 기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물, 자화기 내지 복합처리,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콘 내지 방역, 콘 내지 복합처리, 사람 내지 모빌리티, 4G 내지 BIM, 4G 내지 복합, 집 내지 사무실, 칩 내지 반도체 등에 의하여 또는 등에서 되거나, 또는 수행되거나, 또는 진행될 수 있다. b)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등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을 하거나, 또는 수행하거나, 또는 진행할 수 있다. c)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등에는 장비 내지 반도체 등의 구비, 거치, 존치, 연계, 연결, 이용, 사용, 활용 등이 가능하다. e)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등에는, 또는 등의 상부에는, 또는 등의 공중에는, 또는 등의 하늘에는 드론,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등이 구비, 거치, 존치, 비행,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f)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등에는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연계, 연결, 구성, 구비, 거치, 존치, 설치, 생성, 발생, 방출, 분사,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 이의 내용, 범위, 청구항, 청구항 내용, 청구항 범위; 등에는 a) 상기 기(器 or 機),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시설, 설비, 재료, 자재, 물질, 물체, 물품, 제품, 기초, 파일, 건물, 구조물, 커플러, 철근커플러, 3D프린터, 발전기, 풍력발전기, 풍력콤프레셔,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스크리드, 미장기, 처리기, 면처리기, 폼, 형틀, 거푸집, 슬립폼, 장선, 멍에, 지주, 비계, 절곡기, 철근절곡기, 벤츄리, 벤츄리관,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전지, 연료전지,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수(水)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네트워크, 링 내지 복합기, 장비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작업, 공사 내지 복합, 백호 내지 이동수단, 4G 내지 BIM, 4G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비행 내지 복합작업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공사 내지 복합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콘 내지 복합처리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4G 내지 복합 등의 기(器 or 機) 또는 수단 또는 장비, 비행 내지 복합 등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또는 재료, 공사 내지 복합 등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또는 재료, 4G 내지 복합 등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또는 재료,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또는 재료, 콘 내지 복합처리 등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또는 재료, 자화 내지 복합처리, 자화기 내지 복합물, 콘 내지 복합처리, 콘 내지 방역, 사람 내지 모빌리티, 집 내지 사무실, 칩 내지 반도체; b) 또는 전기, 전자, 통신, 기계, 수소, 정보, IC, ICT, 배터리,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제(劑), 재(材), 카(car), 재료, 자재, 물질,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시설, 로봇, 설비, 부품, 제품, 상품, 용품, 물품, PC,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벤츄리, 시스템, 킥보드, 컴퓨터, 프린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c) 또는 상기 b) 기 내지 네트워크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a) 기 내지 복합; d) 상기 a) 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b) 기 내지 네트워크; e) 상기 a) 기 내지 d) 네트워크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철근커플러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3D프린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발전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쌍발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피니셔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미장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형틀을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철근절곡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분해기와 전해기와 방전기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전지와 연료전지를 대상으로 하는 청구항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a) 기 내지 e)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네트워크, 드론, 모빌리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전기 내지 배터리; b) 상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통과한 물질, 상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통과한 상기 수(水) 내지 복합; c) 상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물질, 상기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 d) 상기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e) 상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f) 상기 중 하나에 시행되는 상기 정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장착, 연계, 병합, 시행, 진행, 분사, 코팅, 도장 등이 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질에 의한 소독, 장치에 의한 살균, 살균이 되는 드론, 소독이 되는 장비, 소독이 되는 비행, 살균이 되는 작업, 정화가 시행되는 공사, 벤츄리 통과 물질, 벤츄리 통과 물질에 의한 소독, 벤츄리 통과 물질에 의한 소독이 되는 장비, 벤츄리 통과 물질에 의한 소독이 되는 장비가 구비되는 모빌리티, 벤츄리 통과 물질에 의한 소독이 되는 장비가 구비되는 모빌리티에 의한 촬영, 상기 모빌리티에 의한 촬영과 송신, 상기 모빌리티에 의한 촬영과 측량과 송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은 a) 상기 기(器 or 機), 장비, 장치, 시설, 자재, 물품, 기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장비 내지 반도체, 자화 내지 복합; b)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면, 표면,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일측, 양측, 타측, 다측, 일단, 양단, 다단, 속,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동시, 실시간, 연결부, 이음부; 등에 거치 또는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기(器 or 機), 작업, 수단, 시설, 재료, 자재, 기초, 파일, 방법, 공법, 물품, 용품, 상품, 제품, 물질, 물체, 드론, 구조물, 모빌리티, 수(水)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기 내지 네트워크, 장비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네트워크, 전기 내지 배터리,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정화 내지 복합; b)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 c)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 d)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상기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드론, 모빌리티, 기 내지 네트워크, 장비 내지 반도체, 전기 내지 배터리, 기 내지 복합; f) 상기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전기 내지 배터리; g) 상기 중 하나를 거친 재료, 자재, 물질, 상기 수 내지 복합물; h) 상기 중 하나를 통과한 재료, 자재, 물질, 상기 수(水) 내지 복합, 상기 수 내지 복합물; i) 상기 중 하나에서 제조된 재료, 자재, 물질, 물품, 용품, 상품, 제품,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상기 장비 내지 네트워크,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전기 내지 배터리;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제조, 생산, 발생, 조성, 형성, 분사, 코팅, 도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전기 내지 배터리,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상(上), 하(下), 전, 후, 좌, 우,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외주, 입구, 중간, 출구, 상부, 하부,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동시, 과거, 현재, 미래, 지금, 실시간, 주변, 주위, 인근, 사이, 간격, 이격, 상부, 공간, 공중, 하늘, 상공, 이음부, 연결부, 유입구, 유출구; 등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네트워크, 드론, 모빌리티, 자화기 ∼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전기 내지 배터리, 일 내지 복합, 비행 ∼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의 기능, 성능, 자격, 능력 등을 가지거나, 또는 등의 또는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존치,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내지'와 '∼'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내지'와 '∼'는 어디에서 어디까지, 얼마에서 얼마까지, 일정의 범위, 2개 이상의 범위, 2개 이상의 나열 범위, 2개 이상의 개수 범위, 2개 이상의 용어 나열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기(器 or 機), 드론, UAM, 비행체,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모빌리티, 물질, 물체,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상(上) 내지 유출구; 등은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보조하거나, 또는 등을 협조하거나, 또는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의 기능, 성능, 자격, 능력 등을 가지거나, 또는 등의 또는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존치,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칩 및 서버가 이용되는 드론, 칩 및 서버가 이용되면서 자가발전하는 드론, 촬영하면서 영상을 송신하는 UAM,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되고 촬영하면서 영상을 송신하는 UAM, 자화하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고, 자화하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고에서 투입된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기, 자화하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고에서 투입된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기에서 혼합된 물질을 가압하는 가압기, 상기 가압기에서 가압된 물질을 나선이 구비된 호스를 통하여 타설하는 타설기, 상기 타설기에서 타설된 물질에 살균제가 함유된 물을 살수하여 양생하는 양생기, 자재를 이동하면서 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비행체, 공중을 정화하고 자재를 이동하면서 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비행체, 진동기가 구비되어 물질을 진동하는 비행기, 진동기가 구비되어 형틀 내제 타설된 콘크리트를 물질을 진동하는 비행기, 콘과 망이 거치된 중공체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체를 통하여 물질을 분사하는 모빌리티, 자화기가 장착된 콘과 망이 거치된 중공체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체를 통하여 물질을 분사하는 모빌리티, 현장과 사무실을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현장의 작업 영상을 사무실로 실시간 전송하는 모빌리티, 현장과 사무실을 방역하면서 현장과 사무실을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현장의 작업 영상을 사무실로 실시간 전송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A) a) 콘이 구비된 망, 상기 망이 거치된 봉, 상기 중 하나가 상부에 거치된 틀, 상기 중 하나가 하부에 거치된 칩, 상기 중 하나가 표면에 구비된 나선,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주변에 구비된 센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소자,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된 자석,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전극,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첨부된 전지,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감기는 코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돌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회로,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도체,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반도체,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측정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레이더,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스캐너,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3D스캐너,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자화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진동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가진하는 가진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파동을 가하는 파동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오존을 가하는 오존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진공을 가하는 진공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압기(壓氣)를 공급하는 가압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전극이 구비되는 전해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을 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살균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외선을 가하는 적외선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가하는 자외선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열을 가하는 열화상기,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기; b)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자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하는 진동,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가진,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파동 전달,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오존 방생,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음이온으로 처리,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진공을 가함,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가압함,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자화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추가되는 진동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의 가진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투입되는 파동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오존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장지에 의한 음이온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의 기기에 의한 회전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자화기에 의한 진공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에서 발생되는 가압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되는 전해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전달되는 방전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소독하는 소독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살균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투입되는 적외선물,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방사되는 자외선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열화상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소독하는 초음파물,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빌리티에서 발생되는 자화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투입되는 진동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통한 가진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파동시키는 파동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작업의 공간에 투입되는 오존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분사되는 오존 함유 음이온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분사되는 음이온 함유 회전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진공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오존 함유 가압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전기분해에 의한 전해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의 방전에 의한 방전제,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있는 공간에 주입되는 살균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현장에 조사되는 적외선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시설에 방사되는 자외선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에 구비된 자화기에 의한 열화상제,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구비된 장비에서 방사되는 초음파제; c)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상기 자화처리 내지 초음파처리; d)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복합, 복합기, 복합물, 복합제, 복합처리; 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는 상기 4G 내지 복합; f) 상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g) 상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되는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h)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i) 상기 기(器 or 機), 장비, 장치, 수단, 드론, 모빌리티, 콘 내지 복합처리, 콘 내지 방역,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4G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기(器)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등에 의한, 또는 등에 적용되거나, 또는 등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B) 상기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器 or 機), 장비, 장치, 재료, 자재, 기초, 파일, 시설, 수단, 물질, 물체,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구조물, 상기 기 내지 네트워크,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상기 장비 내지 반도체,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수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또는 등에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등 하거나 또는 등이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드론 또는 모빌리티 구비의 상기 기 내지 복합; b)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 구비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 c) 상기 비행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모빌리티, 상기 기 내지 복합; d)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모빌리티,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중에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어 상기 비행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어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장비,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은 a)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기 내지 복합처리; b)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c)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d)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e)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f)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상(上) 내지 유출구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g)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상기 상(上) 내지 유출구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이중 하나의 상기 상(上) 내지 유출구 중 하나에 적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h) 또는 기(器 or 機), 일, 작업, 공사, 처리, 수단, 장비, 물질,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처리 등에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a)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장비,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해당거나, b) 또는 상기 기(器 or 機), 일, 작업, 공사, 처리, 수단, 장비, 물질,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는 a)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장비,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이 해당거나, b) 또는 상기 기(器 or 機), 일, 작업, 공사, 처리, 수단, 장비, 물질,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처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a) 기(器)가 장착된 장비, 이의 장비가가 물질 분사, 이를 분사하면서 비행, 이의 비행과 동시에 자화, 이의 자화가 되는 장비; b) 또는 자화기에 상기 부착판이 구비, 상기 부착판에 살균기가 구비, 상기 살균기에 오존기가 장착, 상기 오존기로부터 오존 방사, 이의 방사가 되는 모빌리티; c) 또는 스테이터에 자석이 구비, 상기 자석에 방전기가 구비, 상기 방전기에서 증기가 분사, 상기 분사에 더하여 오존이 방사, 이의 방사가 되는 장비; d) 또는 로터에 자성체가 구비,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서 오존이 발생, 상기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에 파동체가 구비, 상기 로터의 케이스에서 음이온이 방사, 이의 방사가 되는 진동기; e) 또는 날개에 오존기가 부착,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자화기가 장착, 상기 오존기에 방전기가 구비, 상기 자화기에서 살균제가 방사, 이의 방사가 되는 모빌리티; f) 또는 코어에 파동기가 구비, 상기 코어 외주의 코일에 방전기가 장착, 상기 파동기에 자석이 부착, 상기 방전기에서 소독제가 방사, 이의 방사가 되는 드론; g) 또는 기(器 or 機)를 이용한 일, 이의 이의 수행되는 작업, 이 작업에 의한 공사, 이 공사가 수행되는 수단, 이의 수단에 속하는 장비, 이로부터 발생되는 물질, 이의 물질이 분사되는 물체, 이의 물체가 포함되는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에는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돌,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분말, 재료, 물질, 모래, 자갈, 골재, 토사, 토양, 석, 암석, 바위, 쇄석, 쇄사, 해사, 폐분, 애쉬,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디톡스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첨가제, 혼화제, 소화제, 액상물, 고상물, 기상물, 미생물, 나노물, 슬러리,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피톤치드;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된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수(水) 내지 피톤치드 중 둘 이상의 순으로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추가,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a) 본 발명에서는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이 비행, 이동, 주행 등을 하면서 또는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의 비행 중에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b) 그리고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는 또는 중에는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이 비행, 이동, 주행 등이 가능하다. c) 그리고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에는 또는 등에서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장비,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등의 이용, 구비, 연계 등이 가능하다. d)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장비, 시설, 기초, 건물, 구조물, 센서, 측정기, 촬영기, 카메라, CCTV 등은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에 이용, 구비,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물체, 물품, 물질, 장비, 자재,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둘 이상의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등은 상호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장착, 정착, 함유, 포함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물체, 물품, 물질, 장비, 자재,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상기 기 내지 복합 중 둘 이상의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 등을 대표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은 상호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거치, 장착, 정착, 함유, 포함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은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에 구비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체, 물품, 자재, 장비, 물질,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면서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a)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보드, UAM, 모빌리티, 기 내지 복합; b)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보드, UAM, 모빌리티, 기 내지 복합 등이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수행; c)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면서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수행; d)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면서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수행; 등도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물체, 물품, 자재, 장비, 물질,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이중 하나의 또는 하나와 상, 하, 좌, 우, 전, 중, 후, 속, 겉, 점, 지점, 일부, 동안, 동시,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내면, 내측, 중간, 중공, 공간, 외부, 외면, 외측, 외주, 입구, 출구, 이격, 유격, 근처, 인근, 부근, 면, 표면, 이음, 이음부, 유입구, 유출구, 절단부, 절취부, 이음부, 연결부; 등에는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상기 물체, 물품, 자재, 장비, 물질,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정착, 장착, 함유, 포함, 시행, 거행, 수행, 실시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체,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처리, 물체, 물품, 물질, 장비, 자재, 드론, UAM, 킥보드, 모빌리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은 형(形), 형(型), 식(式), 형식, 형상, 무공, 유공, 가변, 무변, 가변형, 무변형, 다공, 타공, 천공, 굴공, 1차, 2차, 3차, 4차, 다차, 1차원, 2차원, 3차원, 4차원, 다차원, 수직, 연직, 수평, 경사, 기울기, 고정, 이동, 행거, 고정식, 이동식, 행거식, 모바일, 이동수단, 휠, 바퀴, 로라, 자바라, 거치대, 지지대, 자바라거치대, 폭기, 펄스, 와류, 회전, 비틈, 토션, 무회전, 편심, 원심, 진공, 석션, 흡입, 송풍, 순풍, 역풍, 력(力), 힘, 압력, 수직력, 연직력, 수평력, 경사력, 편심력, 원심력, 라인, 호스라인, 파이프라인, 단독, 개별, 복합, 혼합, 병합, 단수, 다수, 여러개, 1개, 2개, 3개, 1단, 2단, 3단, 다단, 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다단계, 공정, 1공정, 2공정, 3공정, 다공정, 기억, 형상기억, 형상기억금속, 형상기억수단, 형상기억장치,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에코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의 형식인,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이 작용되는, 또는 등이 구비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또는 폐기물의 처리, 선별, 분리, 파쇄, 분쇄, 마쇄, 세척, 분급 등에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기 내지 복합, 장비 내지 반도체, 드론, 프린터, 플로터, 모빌리티, UAM, 장비 내지 네트워크,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사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 내지 복합은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사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적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의 기능을 가진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은 a)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할 수 있거나, b)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의 기능, 성능;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기능, 성능; 등을 가질 수가 있다. 이의 예로는 청정 기능을 가진 장치, 살균 성능을 가진 장비, 업무를 하는 드론, 공사를 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는 공사에 사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공사 중에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공사와 병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사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중에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복합 등과 병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청구항, 범위, 발명의 범위, 청구항의 범위 등에는 상기 기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에 관한 앱, 어플, 애플리케이션, app, application, 홈페이지, 사이트, 인터넷사이트,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사이트, 폰앱, 폰어플, 폰애플리케이션, 폰app, 폰application, PC 또는 컴퓨터 홈페이지, PC 또는 컴퓨터 사이트, PC 또는 컴퓨터 인터넷사이트, PC 또는 컴퓨터 SNS, PC 또는 컴퓨터 SNS사이트, 스마트폰앱, 스마트폰어플, 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 스마트폰app, 스마트폰application, 폰 또는 스마트폰에서 내려받기 가능한 상기 앱 내지 application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포함이 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장비 앱, 상품 앱, 거래 앱, 쇼핑 앱, 부동산 앱, 물질 어플, 물체 애플리케이션, 노즐 app, 디퓨저 application, 공사 홈페이지, 자재 홈페이지, 재료 홈페이지, 정화 사이트, 청정 인터넷사이트, 물품 인터넷사이트, 청소 SNS, 요리 SNS사이트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투입, 조사, 방사 등은 a)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함유, 포함, 혼합, 혼입, 배합, 매입, 투입, 유입, 주입, 注入, 삽입, 병행, 추가, 추인, 가미, 가산, 마련, 수반, 따름, 형성, 조성, 생성, 발생, 발사, 發射,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비침, 비춤, 발현, 구현,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끼임, 조합, 관련, 관계, 관통, 통과, 흐름, 지남, 접촉, 칠, 바름, 미장, 코팅, 도장, 도색, 숏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분사, 분수, 분무, 분포, 분출, 배출, 유출, 유입, 살수, 확산, 분산, 스프레이, 포설, 포장, 묶임, 용접, 볼팅, 접착, 접합, 점착, 압착, 증착, 겹침, 적층, 적재, 누적, 야적, 쌓음, 쌓임, 증착, 인가, 허가, 탑재, 탑승, 합승, 승용, 매담, 달림, 매달림, 새김, 새겨짐, 양각, 파임, 파여짐, 덮음, 카바, 에워쌈, 조립, 조각, 조형, 조임, 배양, 양식, 분해, 분리, 선별, 부패, 부숙, 훈증, 함침, 합침, 수침, 침지, 침적,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필터링, 페인팅, 크리닝, 라이닝, 리모델링, 거치대(12)구비, 거치대에 구비, 거치대(12)를 통하여 구비, 끈연결, 잭연결, 나사연결, 플랜지연결; b) 또는 줄, 선, 실, 띠, 끈, 대, 봉, 판, 고리, 앙카 등에 의한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c) 또는 c1)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c2)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외부, 입구, 출구, 이음부, 연결부, 절취부, 절단부 등에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d) 상기 d1) 기 내지 복합, 저장고 내지 복합기, 기 내지 네트워크, 칩 내지 반도체, 장비 내지 반도체, d2) 이중 하나 이상의 상, 하, 전, 후, 좌, 우,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외주, 입구, 출구, 주변, 주위, 인근, 동시, 실시간, 이음부(18), 연결부(18), 복합 등에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e)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비행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자화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계는 a) 연계, 연결, 결합,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접속, 접촉; b) 또는 튜브, 타설구, 중공체 등의 전, 후, 좌, 우, 상, 하, 내부, 외부,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등에 상기 연계 내지 접촉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로는 거치대(12)를 통하여 자석(10, 16)이 내부에 매입된 중공체(13), 거치대(12)에 거치되어 콘 구비 자석이 매입된 중공체(13), 자석 구비 콘이 거치대(12)에 거치되어 중공체(13)에 매입, 지지대(12)를 통하여 콘 구비 자석이 매입된 튜브, 공급로의 중간 연결부(18)를 통하여 상기 자석 매입 중공체가 구비된 공급로, 입구에 상기 자석 매입 중공체가 구비된 공급로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거치대, 지지대는 봉, 대, 판, 끈, 줄, 철사, 로프, 와이어, 거치대, 지지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통과, 접촉, 거친 등은 거침, 거친, 통과, 흐름, 관통, 접촉, 스침, 지남, 통행, 처리, 처리됨 등이 해당된다.
상기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a) 살균기 구비, 살균기를 구성하는 진동기, 소독기가 마련된 드론, 살균수를 형성하는 진동기, 살균액을 조성하는 드론, 살균기가 거치된 모빌리티, 살균기가 설치된 드론이 구비된 장치, 공중에 위치하는 드론, 살균기가 존치되는 진동기가 정착된 드론, 살균기가 장착된 자화기가 부착된 모빌리티, 살균액이 접착되는 장비, 살균물이 점착되는 자재, 살균기가 이용, 살균기가 사용되는 시스템이 적용되는 모빌리티, 4G 활용, 5G 통신 응용, LTE 통신 병용, WiFi를 통한 정보 함유, 정보기술(IT) 포함,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되는 혼합, 로봇공학에서 개발된 로봇이 이용되는 배합, 생명공학에서 배양된 미생물을 재료에 매입, 나노기술로 제조된 나모미터 크기의 나노제를 투입, 삽입, 환경기술에 연계되는 로봇공학으로 고안된 로봇물고기를 이용한 정화, 로봇기술에 연결되는 나노기술로 고안된 나노로봇을 이용하여 미소공간 순찰, 인공지능(AI)으로 장치와 장비를 상호 체결하여 공기 청정, 사물인터넷(IoT)이 병합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작업, 지리정보체계(GIS)를 사물인터넷(IoT)에 합체, 위성항법장치(GPS)를 드론에 끼움, 드론에 노즐 또는 분사기를 삽입, 도로의 자율주행차가 조합되는 도심항공모빌리티, 가상현실(VR)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빅데이터에 관계되는 시스템을 이용, 모바일에서 배출되는 오존을 하수관에 관통시켜 정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하여 정보를 컴퓨터에 통과시킴, 카메라에서 방사되는 오존이 공기로 흐름되어 공기 청정, 열화상카메라 주변의 오염공기가 청정기를 지남, GPR에 접촉되는 공기를 정화, 레이더에서 방출되는 도장제를 벽에 칠, 레코더에서 생성되는 살균술를 자재에 바름, 마이크를 살균수로 코팅, 스피커에 소독제를 도장, 라디오에 살균액을 도색, 라우터로부터 생성되는 물질을 숏팅, 모니터로 분사되는 장면을 모니터링, 분수, 스크린으로 살수 영상을 시청, 스캐너로 시설을 스캔하면서 물징을 포설, 3D스캐너로 제품을 스캔하면서 포장, 3차원화 영상을 송신하면서 피복을 라이닝, 4차원화 도면을 제도하면서 자화기가 진동기에 묶임, 3D프린터로 3D프린팅하면서 용접, 3D프린터로 볼트를 박는 볼팅, BIM으로 모델링된 모델을 자동차에 탑재, BIM으로 모델링된 모델을 3D프린터로 3D프린팅하여 드론에 탑승, 기(器)를 구성하는 자화기를 드론에 매담, 기(機)의 하나인 진동기가 모빌리티에 달림, 폰이 드론에 매달림, 기기에 의하여 시설에 양각을 새김, 기구에 의하여 문양이 시설에 새겨짐, 살균수를 방사하는 기계에 의하여 시설에 문양을 양각, 일정 수단에 의하여 시설에 요철이 파임, 일정의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면서 지면이 파여짐, 일정의 장비를 이용하여 웅덩이를 재료로 덮음, 일정 장치에서 제조되는 시트로 카바, 시설을 매트로 에워쌈, 설비를 조립하여 드론에 부착, 부품을 조임하여 장치 완성, 훈증 시스템으로 자재를 살균증기로 훈증, 컴퓨터로 자동운전되는 함침 작업, 자동 프로그램으로 가동되는 수조에 물체를 수침, 하드웨어가 구비된 컴퓨터에 의하여 가동되는 수조에 물질을 침지,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폭기기에 의하여 폭기, 정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한 오염 반응, 응집제 의한 응집, 자화기에서 공급되는 침전제 투입에 의한 침전, 진동기의 진동이 가해지는 여과, 오존 및 전해물이 투입되는 살균, 가진기에서 제공되는 연막이 분사되는 소독, 살균기에서 제공되는 소독제를 이용한 정화, 반도체가 구비되는 정화기에 의한 청정, 살균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정수기에 의한 정수, 회전솔이 이용되는 청소, 고압 분사 노즐에 의한 세척, 거치대 구비의 드론, 거치대에 구비된 날개가 장착된 모빌리티, 거치대를 통하여 노즐이 구비되는 청정기, 진동기가 타설호스에 끈으로 연결, 2개 이상의 튜브가 잭으로 연결, 2개 이상의 파이프가 나사로 연결, 플랜지연결이 되는 튜브 또는 중공체; b) 이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장비, 복합재료, 복합작업, 복합공사, 복합처리;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사용, 적용, 겸용, 구비, 거치, 발생, 방사, 조사 등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구비, 구성, 거치, 존치, 위치, 장착, 정착, 권선, 감김, 발생, 생성, 조성, 형성, 방사, 조사, 해당, 당해, 제공, 공급, 전달, 수반, 병행, 저장, 배합, 가압, 펌핑, 주입, 투입, 매입, 믹싱, 분사, 분무, 분수, 분담, 포설, 포장, 도포, 다짐, 침지, 훈증, 함침, 수침, 흐름, 통과, 배출, 유출, 취출 함유, 포함, 코팅, 도장, 양생, 됨, 되는, 함, 하는, 시행, 실행, 거행, 진행, 작용, 거친, 거침, 처리, 처분,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도 해당된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처분, 처치, 치료, 자화, 진동, 가진, 방역,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정, 청소, 숏팅, 블라스팅, 제팅, 숏블라스팅,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회전처리, 방전처리, 살균처리, 침지, 수침, 훈증, 주입, 투입, 분사, 조사, 방사, 코팅, 도장, 미장, 도색, 제거, 제어, 저감, 무해화, 상기 이용 내지 허가,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중 하나를 상기 처리 내지 무해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용의 예를 들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용'의 경우 자화 이용, 자화 되는, 진동 이용, 가진 적용, 오존 발생, 오존 처리, 음이온 조성, 음이온 처리, 회전되는, 방전되는, 살균되는, 돌기 이용, 돌기 포함, 진동기 구비, 가진기 거치, 자화기 장착, 오존기 적용, 음이온기 존치, 회전기 장착, 방전기 거치, 살균기 구비, 진동물 주입, 가진물 투입, 자화물 분사, 자화물이 분사되는, 자화물을 분사하는, 자기장 발생, 오존물 코팅, 음이온물 도장, 회전물 침지, 방전물 도포, 살균제 분사, 살균제가 분사되는, 살균제를 분사하는, 살균제 함유, 복합 처리, 복합기 구비, 복합물 코팅, 복합물 도장, 자화 및 진동 및 가진되는,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방전하는, 오존 및 음이온 방사, 회전 및 방전 및 살균되는, 진동과 회전과 방전과 살균하는, 돌기와 진동기 이용, 자화기와 가진기와 오존기 구비, 음이온기 및 회전기와 방전기 및 살균기 거치, 자화물 및 진동물 및 가진물에 수침, 자기장과 오존물과 음이온물 발생, 회전물 및 방전물 및 살균제가 분사, 회전물 및 방전물 및 살균제가 코팅, 회전물 및 방전물 및 살균제에 도장, 자화 및 진동 및 가진의 복합 처리, 자화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구비, 자화물 및 진동물 및 가진물의 복합물 분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적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거치,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장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발생,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주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분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도포,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거침,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침,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코팅,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도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작용,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구비, 거치, 장착 등은 a) 대상, 대상체; b)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면, 표면,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일측, 양측, 타측, 다측, 일단, 양단, 다단, 속,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연결부, 이음부; 등에 구비, 거치, 장착 등도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타설구의 선단에 진동기 또는 진동케이스 구비, 타설구의 선단에 진동튜브 거치, 타설구의 선단에 내부 중공의 진동튜브 거치, 타설구의 외주에 자화기 장착 등도 해당된다. 상기 튜브, 케이스 등은 봉, 대, 판, 관, 링, 조, 통, 함, 단관, 밴드, 튜브, 파이프, 케이스, 중공체, 중공관, 중공통, 봉케이스, 튜브케이스, 삼각케이스, 사각케이스, 각형케이스, 원형케이스, 원통케이스, 타원케이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은 복합, 복합기, 복합체, 복합구, 복합물, 복합제, 복합재, 복합재료, 복합자재, 복합장치, 복합장비, 복합시설, 복합수단, 복합작업, 복합처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a) 이용, 사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혼입, 주입, 투입, 매입, 혼합, 복합, 배합, 구성, 구비, b) 또는 함유물, 포함물, 투입물, 첨가물, 주입물, 매입물, 혼합물, 배합물, 복합물 등에서 이용, 사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첨가, 투입, 주입, 매입, 혼합, 배합, 복합 등의 정도는 a)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b) 또는 일정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c) 또는 일정, 임의, 0.001, 0.01, 1, 5, 10, 20, 25, 50, 75, 80, 90, 100, 1∼99, 0∼100, 0.001∼99.999, 10^(-10)∼10^(10), 10의 -10승 ∼ 10의 10승 등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0.01배 포함, 5% 함유, 10중량부 포함, 20체적부 주입, 25중량% 투입, 50체적% 혼입, 1∼99% 투입, 1∼99배 투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용, 구비, 혼합, 배합, 함유, 포함 등에 있어서 제시된 이용, 구비, 혼합, 배합, 함유, 포함 등이 100%, 100중량%, 100체적%, 100중량부, 100체적부 등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을 채우기 위하여 다른 물질, 기타 물질, 상기 a 이외의 b 내지 기타 등이 이용, 사용, 구비, 구성, 혼합, 배합, 함유, 포함, 혼입, 삽입, 투입, 추가, 첨가, 가미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a 함유 z, a 포함 z 등에 있어서 a가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이 되지 않는 경우 a 이외에 상기 b 내지 기타 등이 함유 내지 가미 등을 하여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을 만족하는 z가 되도록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수치, 규격, 크기, %, 중량부 등은 해당 사항, 조건, 환경, 물질, 물체 등에 대한 적정치, 최적치, 평균치, 최고치, 최저치, 임의치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는 %, 중량%, 당량%, 무게%, 체적%, 중량부, 체적부; 전체 또는 부분에 대한 상기 % 내지 체적부;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중량부, 체적부 등은 중량부, 체적부, %, 중량%, 당량%, 무게%, 체적%; 전체 또는 부분에 대한 상기 중량부 내지 체적%;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은 상기 % 내지 배수 등의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 내지 배수 등의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과 또는 등이 함유되는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 내지 배수 등의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과 또는 등이 함유되는 상기 % 내지 배수 등의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과 또는 등이 포함되는 상기 물질, 물체, 수 내지 복합, 기 내지 복합 등도 가능하다. 상기 의 예로는 0.001%의 물질, 90%의 물질, 1∼99중량부의 물질, 0.001%의 물질과 90%의 물질, 0.001%의 물질과 1∼99중량부의 물질, 0.001%의 물질과 90%의 물질과 1∼99중량부의 물질, 0.001%의 물질이 함유되는 90%의 물질, 0.001%의 물질이 포함되는 1∼99중량부의 물질, 0.001%의 물질과 90%의 물질과 1∼99중량부의 물질이 함유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중 하나"는 중 하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 또는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또는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또는 "중에서 선택된"은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에서 선택된, 중(中)의, 중(中)에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군은 군, 群, 그룹, groop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b, c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는 1) a, b, c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2) 또는 a, b, c 중 하나; 2) 또는 a, b, c 중의 하나;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a, b, c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은 1) a, b, c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2) 또는 a, b, c 중 하나 이상; 2) 또는 a, b, c 중의 하나 이상;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이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이의 예를 들면 'a, b, c, d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c, d 중 둘 이상' 등에 있어서 상기 a, b, c, d 각각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각각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이의 예를 들면 a, b, c, d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c, d 중 둘 이상 등은 a 90%와 b 10%, a 80중량%와 b 20중량%, a 90%와 b 10%, a 70체적%와 b 30체적%, a 70%와 b 10%와 c 20%, a 40중량%와 b 40중량%와 c 20중량%, a 60%와 b 20%와 c 10%와 d 10%, a 10중량부와 b 70중량부와 c 10중량부와 d 10중량부 등으로, 어떠한 형태의 구성비도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부터 ∼까지, 어디에서 어디까지, 얼마에서 얼마까지, 일정의 범위, 2개 이상의 범위, 2개 이상의 나열 범위, 2개 이상의 개수 범위, 2개 이상의 용어 나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 d, a 내지 d 등은 a ∼ d, a 내지 d, a부터 d까지, 즉 a, b, c,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 등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a, b, c, d 등은 1) a, b, c, d 등, 2) a, b, c, d 등등, 3) a, b, c, d 중 하나, 4) a, b, c, d 중 하나 이상, 5) a, b, c, d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α, α(임의수), α×10^(-9)m 등에서 α는 임의수, 자유수, 1∼9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컴마, 반점, comma, , 또는 세미콜론, 쌍반점, semicolon, ; 등은 용어, 단어, 단락, 어구, 문장, 내용, 물질, 물체, 장비, 2개 이상 나열된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의 구분, 구별, 쉼표, 따옴표, 묶음표, 마침표, 개별 구분, 각자 구분, 구분 나열, 나열 구분, 구분 나열 표시, 나열 구분 표시, 개별 구분 표시, 끊어 읽을 부분, 서로 다른 구분 표시, 서로 다른 개별 표시, 나열을 구분하는 표시, 2개 이상 나열을 각각 구분하는 표시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는 두개 이상의 ,를 그룹으로 구분하는 표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e, f; g, h, i; 의 경우 이는 a, b, c 중 하나 이상의 그룹; d, e, f 중 하나 이상의 그룹; g, h, i 중 하나 이상의 그룹;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컴마, 반점, comma, , 또는 세미콜론, 쌍반점, semicolon, ; 등으로 나열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에서 1개 이상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을 선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당초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을 가감, 축소, 확대, 확장 등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e, f; g, h, i;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물질에서 상기 a, 상기 a와 e, 상기 a와 e와 h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기 a, b, c; d, e, f; g, h, i;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물질을 가감, 축소, 확대, 확장 등을 하지 않는 것이 된다. 상기는 원출원의 내용을 보정할 때, 원출원을 분할출원 할때, 또는 의견제출통지서, 거절결정서 등에 대한 보정서, 의견서 등의 작성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은 등, 하나, 둘 이상, 중 하나 이상,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등은 a, b, c, d, a와 b, a와 c, a와 d, b와 c, b와 d, c와 d, a와 b와 c, a와 b와 d, b와 c와 d, a와 b와 c와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구비, 구성, 거치, 포함 등은 a) 구비, 구성, 마련,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밀착, 압착, 처리, 처치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함유, 포함, 혼합, 배합, 매입, 투입, 삽입,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내재, 내장, 외장, 조임, 밴딩, 묶음, 끼움, 조립, 조합, 연합, 관련, 관계, 형성, 조성, 완성; b) 또는 해당되는 전체, 부분, 일부, 일부분, 전체의 부분, 전체의 일부, 전체 중 부분, 전체 중 일부, 전체의 50%, 전체의 1∼99% 등이 상기 구비 내지 완성; 등이 해당된다.
이상에 기재 또는 설명된 내용,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용, 청구항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0 : 기능기, 복합기 31 : 자화기 32: 진동기
33 : 가진기 34 : 오존기 35 : 음이온기
36 : 복합기 40 : 기능제, 복합물, 복합제
41 : 자화물, 자기장 42 : 진동물, 진동제 43 : 가진물, 가진제
44 : 오존, 오존물 45 : 음이온, 음이온물 46 : 복합물
20 : 전원부 21 : 컨버터 22 : 인버터
23 : 스위칭부 24 : 검출부 25 : 제어부
26 : 모터 65 : 드론, 모빌리티 80 : 물질
530 : 본체부 531 : 몸체 532 : 지지대
533 : 추진부 534 : 날개 539 : 원격조정기
610 : 센서, 측정기, 카메라, CCTV

Claims (1)

  1. 일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으로서,
    상기 로봇에 칩이 구비되고,
    상기 칩에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에 반도체가 구비되고,
    상기 반도체가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이 모뎀에 구비되고,
    상기 칩, 핀, 회로, 반도체, 기판, 모뎀은 상호 이격 또는 접촉되고,
    상기 로봇의 상부에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로봇의 하부에 이동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에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에 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로봇의 외부에 오존기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에 음이온기가 거치되고,
    상기 음이온기에 살균기가 거치되고,
    상기 살균기에 소독기가 거치되고,
    상기 소독기에 방전기가 거치되고,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살균기, 소독기, 방전기는 상호 이격 또는 접촉되고,
    상기 로봇의 전면 또는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라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제1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제1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무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되고,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알림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봇의 후면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2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제2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어기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 스마트폰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버튼, 라이트, 제1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2카메라, 제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공간이 상기 로봇에 형성되고,
    상기 기구와 배터리의 사이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작업 시에 상기 센서가 작동되고,
    상기 작업 중에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에 의하여 작업 장면이 촬영되고,
    상기 버튼은 비상 시에 상기 로봇이나 작업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것이고,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가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블루투스, 비콘(beacon)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이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 또는 통신망에 서버가 연계되고,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가 연계되고,
    상기 단말기에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관제센터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스마트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에 단말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단말기는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로봇이나 작업자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작업자와 상기 관제센터에 근무하는 관리자 간에 통화 시스템이 구축되고,

    일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사이버, 아바타가 포함되는 수단으로서,, ,, ,,, ,, ,,,,,,,,,,,,,,,,,

    상기 로봇에 사물인터넷(loT, internet of things)이 이용되고,
    상기 사물인터넷은 제1사물에 통신기를 구비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2사물, 제3사물을 인터넷 기반으로 네트워크로 연결해 상기 제1사물, 제2사물, 제3사물이 상호 정보가 전달 또는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기에 의하여 상기 제1사물, 제2사물, 제3사물이 인터넷 기반으로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사물은 상기 로봇이고,
    상기 제2사물은 스마트폰이고,
    상기 제3사물은 모바일폰이고,
    상기 제2사물은 상기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 구비되고,
    상기 제3사물은 상기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구비되고,
    상기 제2사물과 제3사물에 앱(app)이 설치되고,
    상기 통신기에 송신기, 통신망, 수신기, 서버, 클라우드,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단말기, 핸드폰, 휴대폰, 제2사물, 제3사물, 상기 앱(app)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로봇에 a) 센싱수단, 측정수단, 계측수단, 관측수단, 측량수단, 촬영수단, 조사수단, 탐사수단, 진단수단, 송신수단, 수신수단, 표시수단, 게시수단, 경보수단, 처리수단이 순차 포함되거나, b) 또는 센서, 측정기, 계측기, 관측기, 측량기, 촬영기, 조사기, 탐사기, 진단키트, 송신기, 수신기, 표시기, 게시판, 경보기, 처리기가 순차 포함되고,
    상기 통신기에 의하여 상기 센싱수단, 측정수단, 계측수단, 관측수단, 측량수단, 촬영수단, 조사수단, 탐사수단, 진단수단, 송신수단, 수신수단, 표시수단, 게시수단, 경보수단, 처리수단, 제1사물, 제2사물, 제3사물이 인터넷 기반으로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에 상기 센싱, 측정, 계측, 관측, 측량, 촬영, 조사, 탐사, 진단, 송신, 수신, 표시, 게시, 경보, 처리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통신기 또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사물과 제3사물이나 앱(app)에 전달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제2사물과 제3사물이나 앱(app)에 실시간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정보가 상기 제2사물과 제3사물이나 앱(app)으로 실시간 시청되고,
    상기 로봇 또는 제1사물에 배터리가 거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센싱수단 내지 처리수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로봇 또는 제1사물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는 a) 상기 작업자와 관리자가 상호 통화하는데 사용되거나, b) 또는 상기 작업자와 관리자가 상기 통신기 또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또는 앱을 통하여 상호 통화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마이크, 상기 통신기, 상기 제3사물인 모바일폰의 앱(app)을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작업자의 말이 상기 관리자에게 전달되고,
    상기 제3사물인 모바일폰의 앱(app), 상기 통신기, 상기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관리자의 말이 상기 작업자에게 전달되고,
    상기 제3사물이나 상기 제3사물의 앱(app)에 전달된 상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로봇, 로봇의 주변, 작업자가 감시되고,
    상기 정보, 센싱 내지 처리, 통화, 말, 전달, 감시에 의하여 상기 로봇, 로봇의 주변, 작업자가 관리되고,
    상기 관리의 주체는 상기 관리자이고,
    상기 관리의 대상은 상기 로봇, 로봇의 주변, 작업자이고,

    일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사이버, 아바타가 포함되는 수단으로서,, ,, ,,, ,, ,,,,,,,,,,,,,,,,,

    상기 작업에 제1작업, 제2작업, 제3작업, 제4작업, 제5작업, 제6작업, 제7작업, 제8작업, 제9작업, 제10작업, 제11작업, 제12작업, 제13작업, 제14작업, 제15작업, 제16작업, 제17작업, 제18작업, 제19작업, 제20작업, 제21작업, 제22작업, 제23작업이 포함되고,
    상기 제1작업에 a) 일(work), 업무, 근무, 사무, 서무, 경영, 시행, 진행, 수행, 생활, 활동, 현실활동, 가상활동, 아바타활동, 행동, 행위, 주거, 거주, 시작, 실기, 실시, 연구, 개발, 거동(擧動), 전동(電動), 수동(手動), 자동(自動), 능동, 노동, 근무, 내근, 외근, 역무, 가사, 제조, 재료제조, 용품제조, 제품제조, 수소제조, 지열파일제조, 공장파일제조, 생산, 자재생산, 제품생산, 용품생산, 산소생산, 제작, 준비, 마련, 생성, 조성, 조형, 형성, 발생, 제철, 제강, 제련, 주조, 주물, 주형, 금형, 용융, 용해, 성형, 포밍, 리폼, 냉동, 냉장, 냉각, 해동, 절삭, 양각, 음각, 감광, 가공, 직조, 직공, 양잠, 인쇄, 판금, 용접이 포함되고,
    상기 제2작업에 작사, 작곡, 보컬, 노래, 녹화, 녹음, 녹취, 방음, 방영, 시청, 경청, 청취, 방청, 감청, 도청, 보청, 선전, 홍보, 광고, 게시, 전시, 전열, 전람, 관람, 비치, 배치, 행사, 파티, 춤, 탈춤, 공연, 음악공연, 예술공연, 가면극, 예능, 연극, 영화, 드라마, 댄스, 경연, 대회, 자랑, 쇼(show), 공중쇼, 드론쇼, TV쇼, 콘서트, 페스티벌, 테스트, 콘테스트, 도예, 도공, 교육, 배움, 가르침, 훈련, 단련, 연습, 연기, 연계, 연관, 연출, 단전, 호흡, 흡입, 들숨, 날숨, 실기, 실시, 합숙, 숙지, 인사, 답사, 치사, 교신, 서신, 놀이, 장난, 요술, 마술, 잠, 밤잠, 낮잠, 잠자기, 교류, 교번, 교부, 상담, 밀담, 회, 면회, 회담, 대화, 대결, 대체, 협약, 협정, 협력, 대면, 비대면, 콘텍트, 언텍트, 면식, 회식, 회유, 다과회, 교수, 교도, 교정, 교섭, 교차, 교통, 교훈, 과외, 주술, 논술, 웅변, 달변, 미술작업, 예술작업, 회의, 화상회의가 포함되고,
    상기 제3작업에 거동, 가동, 시동, 운전, 운행, 운항, 순회, 선회, 배회, 회유, 회전, 주행, 비행, 부유, 부양, 승강, 활강, 활공, 항공, 공급, 제공, 전달, 소유, 공유, 가짐, 가교, 운반, 자재운반, 운송, 이사, 이전, 이동, 계류, 저속, 고속, 가속, 가압, 부압, 감압, 감속, 감쇄, 변속, 압송, 이송, 쇼핑, 홈쇼핑, 전화, 통화, 통신, 교신, 수신, 발신, 착신, 채팅, 말하기, 예금, 적금, 인출, 인발, 지출, 저금, 지불, 지원, 영수, 수령, 투자, 투매, 유치, 유발, 주문, 인터넷주문, 장사, 매매, 교역, 판촉, 판매, 자판, 내판, 외판, 방문, 배송, 배달, 배급, 택배, 탁송, 통상, 교역, 무역, 수출, 수입, 하역, 탑승, 탑재, 적재, 승차, 상차, 하차, 주차, 정류, 정압, 정거, 정차, 누계, 누적, 적재, 적선, 선행, 접촉, 접속, 상차, 하차, 운송, 수송, 납품, 안내, 서비스, 관광, 관람, 안내, 서비스, 퀵서비스, 프랜차이즈, 배달서비스가 포함되고,
    상기 제4작업에 유입, 반입, 인입, 압입, 유출, 배출, 인출, 압출, 분출, 반출, 취출, 방류, 반출, 방출, 조사(照射), 빛조사, UV(ultra violet)조사, 방사(放射),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방사, 발사(發射), 저장, 저류, 진입, 진출, 와류(渦流), 이류(移流), 회수, 반환, 확산, 확장, 팽창, 압축, 압착, 압밀, 진공, 분산, 분배, 배분, 배합, 재료배합, 시멘트배합, 교반, 재료교반, 혼합, 반죽, 혼입, 구비, 구성, 구축, 축조, 거치, 설치, 존치, 장착, 정착, 부착, 접착, 연결, 연계, 단결, 결합, 단련, 단축, 연장, 정지, 변경, 변화, 변질, 변수, 질, 손질, 발질, 장난질, 잡이, 고기잡이, 조리, 요리, 튀김, 굽기, 볶기, 조림, 요식, 제과, 제빵, 음용, 식용, 취식, 대접, 접대, 이팅, 쿠킹, 베이킹, 커피제조가 포함되고,
    상기 제5작업에 미용(美容), 이용(理容), 이발, 염색, 면도, 화장, 정장, 손화장, 얼굴화장, 네일링, 네일아트, 소지, 손질, 손톱손질, 샤워, 목욕, 족욕, 반신욕, 온탕, 냉탕, 세면, 세수, 수세, 운동, 놀이, 수영, 잠수, 투구, 축구, 농구, 야구, 단련, 대련, 체육, 제조, 교육, 스포츠, 의식주, 게임, 경기, 육상, 마라톤, 달리기, 고속, 중속, 저속, 승마, 낚시, 낚기, 잡기, 안마, 봉안마, 진동안마, 의자안마, 침대안마, 신체안마, 발안마, 마사지, 발마사지, 얼굴마사지, 근육마사지, 바디마사지, 전동마사지, 초음파마사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6작업에 수리, 수선, 시술, 처치, 치료, 잔료, 구강치료, 치아치료, 의료, 치유, 수술, 제약, 조제, 약조제, 간호, 간병, 보호, 보좌, 보관, 보양, 요양, 양로, 구원, 구조, 구제, 방향, 방습, 휘발, 휘산, 발산, 확산, 제모, 탈모, 탈모방지, 탈모복원, 복원, 신체복원, 건강복원, 하천복원, 균열복원, 훼손복원, 문화재복원, 씽크홀복원, 접골, 뼈접골, 복구, 신체복구, 손상복구, 싱크홀복구, 분업, 분할, 분사, 지지, 지원, 지보, 지탱, 보조, 건강보조, 사격, 지원사격, 발포, 발사, 극복, 수복, 체험, 힐링, 신체힐링, 균열힐링, 구조물힐링이 포함되고,
    상기 제7작업에 매입, 매수, 투여, 흡입, 섞임, 혼재, 투입, 형틀에투입, 몰드에투입, 첨가, 추가, 충전,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잔디충진, 씽크홀충진, 백필(back fill), 옹벽백필, 메움, 요철메움, 채움, 배면채움, 절곡, 절삭, 삭도, 꺽기, 구부림, 철근절곡, 부착, 부연, 점착, 접착, 착지, 점증, 점축, 점확, 훈증, 훈연, 수침, 함침, 침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8작업에 재배, 영농, 농사, 농경, 농작, 경작, 양봉, 관수, 농업관수, 저수, 저류, 저장, 보관, 주수, 배수, 투수, 삼투, 펌핑, 양수, 계량, 계수, 식재, 식수, 식목, 나무식재, 조경식재, 나무식수, 드레인, 팩드레인, 모래드레인, 녹화, 사면녹화, 녹생, 배양, 미생물배양, 교배, 종자교배, 분양, 동물분양, 숙성, 부숙, 발효, 분해, 전해, 부패, 소화, 숙취, 결합, 연계, 연결, 결속, 병합, 합병, 철근결속, 도전, 정전, 방전, 도금, 전기도금, 증류, 증수, 유증, 증설, 증착, 열분해, 가수분해, 미생물분해, 전기응집, 전기분해, 전기폭기, 전기투석, 전기삼투, 전기방전, 전기영동, 발전, 수력발전, 소수력발전, 풍력발전, 이동발전, 휴대발전, 미니발전, 가스발전, 수소발전, 연료전지발전, 수소연료전지발전, 유류발전, 지열발전, 태양발전이 포함되고,
    상기 제9작업에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수직주입, 경사주입, 심층주입, 천층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중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시멘트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그라우팅, JSP(jumbo special pattern)그라우팅, 주사, 약액주사, 영양제주사, 균열주사, 보수주사, 인체에주사, 방수제주사, 수유, 주유, 기름주유가 포함되고,
    상기 제10작업에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분무, 분수, 음악분수, 호수분수, 살수, 공중살수, 바닥살수, 분산, 산기, 확산, 살포, 팽창, 확장, 발포, 스프레이, 포설, 지면포설, 지상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포장재포설,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선물포장, 아스콘포장, 물건포장, 다짐, 지면다짐, 지반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흙다짐, 모래다짐, 콘크리트다짐이 포함되고,
    상기 제11작업에 믹싱, 회전믹싱, 원심믹싱, 통속에서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심층믹싱, 심층시멘트믹싱, 지반교반믹싱, DCM(deep cement mixing), 타설,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회전, 축회전, 원심회전, 치기, 콘크리트치기, 거푸집에 레미콘치기, 뿜기, 붙이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몰탈숏크리팅, 녹생토공, 사면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녹화스프레이, 양생, 수양생, 증기양생, 공기양생, 콘크리트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보양, 레미콘보양, 콘크리트보양이 포함되고,
    상기 제12작업에 개발, 재개발, 매매, 매도, 매수, 경매, 인도, 임대, 중개, 매매중개, 부동산중개, 주택분양, 건물분양, 아파트분양, 오피스텔분양, 견본, 주택견본, 설계, 건설, 전문건설, 종합건설, 건축, 재건축, 축조, 공사, 건설공사, 지반공사, 토목공사, 천공, 타공, 타정, 박기, 항타, 파일항타, 기초항타, 착공, 드릴링, 시공, 신축, 증축, 개축, 축조, 토공, 토목, 굴착, 개착, 굴삭, 굴토, 절토, 성토, 쌓기, 적층, 터파기, 보링, 시추, 정리, 정지, 지정(地釘), 지반정리, 단지정리, 천공, 장약, 발파, 폭파, 타격, 충격, 미장, 조적, 석공, 목공, 철근공, 비계공, 창호공, 보링공, 삭도공, 준설, 매립, 해안매립, 폐기물매립, 상하수도공, 철근콘크리트공이 포함되고,
    상기 제13작업에 채취, 샘플링, 시료채취, 샘플채취, 시험, 재료시험, 자재시험, 실험, 조사(調査), 본조사, 사전조사, 탐사, 탑문, 방문, 탐지, 추적, 수사, 수색, 탐색, 검측, 검사, 검식, 감식, 검정, 검증, 검찰, 판독, 판결, 재판, 관찰, 센싱, 감지, 인지, 감응, 관측, 계측, 측량, 측정, 측지, 계량, 계산, 계수, 계시, 정량, 수량, 칭량, 작성, 쓰기, 읽기, 수정, 교정, 배정, 제출, 판독, 해독, 분석, 해석, 모델링, 수치해석, 모델링해석, 시뮬레이션이 포함되고,
    상기 제14작업에 가열, 냉열, 온열, 발열, 온방, 냉방, 난방, 히팅, 냉장, 냉동, 온냉, 가습, 제습, 항습, 건조, 건습, 제어, 제거, 살충, 해충, 멸균, 제균, 살균, 항균, 소독, 제독, 해독, 디톡, 디톡스, 방화, 소화, 불소화, 음식소화, 발화, 내화, 화재, 화염, 중지, 저지, 제지, 노화, 노후, 방지, 탈모방지, 해충유인, 제설, 융설, 결빙, 해빙, 제빙, 해충제거, 탈리, 탈착, 탈락, 탈수, 슬러지탈수, 음식물탈수가 포함되고,
    상기 제15작업에 처리, 처분, 수처리, 면처리, 열처리, 재처리, 병처리, 질병처리, 감염처리, 바이러스처리, 살처분, 지중처분, 매장처분, 자가처리, 자력처리, 외력처리, 정화처리, 수질처리, 상수처리, 하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오염처리, 공기처리, 분진처리, 해충처리, 구강처리, 치아처리, 해충처리, 토양처리, 오염토양처리, 씽크홀처리, 음식물처리, 폐기물매립, 폐기물처리, 건설폐기물처리, 폐기물중간처리, 폐기물최종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제16작업에 조립, 건물조립, 자재조립, 컴퓨터조립, 해체, 조립해체, 시설해체, 구조물해체, 거품을 분사하여 해체, 미스트를 분사하여 해체, 물을 분사하여 해체, 파쇄, 암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마쇄, 풍쇄, 수쇄, 밀링, 나노링, 나노제조, 선별, 분리, 분별, 건식선별, 풍력선별, 습식선별, 수조선별, 폐기물선별, 죠크러싱, 콘크러싱, 롤러크러싱, 양생, 증기양생, 오토크레이브양생, 탈형, 몰드에서탈형, 탈퇴, 탈피, 소성, 암석소성, 시멘트소성, 탄화, 숯탄화, 냉각,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이 포함되고,
    상기 제17작업에 정화,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지하수정화, 공기정화, 정수, 수질정수, 이온정수, 알카리정수, 알카리이온정수, 냉온, 냉온정수, 담수화, 해수담수화, 폭기, 에어폭기, 송풍폭기, 풍력폭기, 압기(壓氣)폭기, 반응, 화학반응, 수화반응, 포졸란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 흡착, 오염흡착, 흡수, 포집, 포획, 집진, 전기집진, 먼지집진, 청정, 공기청정, 분진청정, 먼지청정, 의류청정, 터널청정, 미세먼지청정, 공사현장청정, 송풍, 환풍, 터널환풍, 건물환풍, 선풍, 손풍, 냉풍, 온풍, 열풍이 포함되고,
    상기 제18작업에 청소, 물청소, 벽청소, 유리청소, 진공청소, 자동청소, 로봇청소, 브러시청소, 이사청소, 입주청소, 터널청소, 실내청소, 실외청소, 건물청소, 내벽청소, 외벽청소, 탱크청소, 방음벽청소, 세정, 관세정, 오염세정, 세척, 관세척, 구강세척, 치아세척, 그릇세척, 고압세척, 세수, 세안, 샤워, 연수(軟水), 세륜, 세차, 차세차, 세탁, 빨래세탁, 연마, 표면연마, 숏팅, 표면숏팅, 샌딩, 녹제거 샌딩, 블라스팅, 연마용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표면 숏블라스팅, 면도, 치솔질, 네일링, 손톱네일링, 칠, 색칠, 분칠, 염색, 도색, 도장, 페인팅, 크리닝, 실내크리닝, 실외크리닝, 세탁크리닝, 의류크리닝, 도배, 벽도배, 코팅, 면코팅, 촉매코팅, 광촉매코팅이 포함되고,
    상기 제19작업에 관리, 감독, 감리, 감별, 감식, 감찰, 식별, 구분, 건문, 검색, 유지, 경호, 경비, 수비, 경계, 경찰, 정찰, 봉양, 봉사, 경로,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강화, 미화, 보수, 균열보수, 방수보수, 누수보수, 줄눈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사면보강, 개량, 지반개량, 개선, 수선, 내진, 방진, 제진, 방재, 방제, 방근, 재해, 재난, 화재, 발화, 소화, 진화, 내화, 열화, 대책, 대비, 방책, 정책, 대안, 방법, 공법, 방역, 감염, 예방, 방균, 제균, 멸균, 항균, 멸균, 소독, 해독, 제독, 디톡, 디톡스, 디톡스피케이션, 공식, 장식, 내장(內裝), 외장(外裝), 냉장, 냉동, 방해, 방충, 방청, 녹방청, 방식(防蝕), 전기방식, 부식방식,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막이, 흙막이, 물막이, 태양막이, 바람막이, 한파막이, 라이닝, 면(面)라이닝, 터널라이닝, 인테리어, 엑스테리어, 리모델링이 포함되고,
    상기 제20작업에 공사, 시공, 공정, 작업, 타설, 자재 제조, 시설 공사, 물질타설, 타설재타설, 형틀타설, 철근타설, 철골타설, 현장타설, 지중타설, 수중타설, 사면타설, 포장타설, 보링공타설, 굴착부타설이 포함되고,
    상기 제21작업에 저장, 투입, 혼합, 가압, 굴착, 운송, 운반, 이동, 주행, 비행, 탑승, 승차, 하차, 배달, 배송, 택배, 탁송, 공급, 타설, 분사, 주입, 주사, 숏팅, 코팅, 도장, 포설, 포장, 믹싱,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제22작업에 건설, 건축, 조각, 공사, 시공, 개량, 보강, 보수, 보강, 포장, 개량, 보수, 보강, 수리, 인테리어, 리모델링이 포함되고,
    상기 제23작업에 일, 업무, 제조, 제작, 생산, 조리, 요리, 튀김, 굽기, 볶기, 조림, 정화, 청정, 화장, 안마, 힐링, 복원, 복구, 처리, 처치, 치료, 조성, 형성, 성형,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저장, 투입, 혼합, 가압, 굴착, 발파, 운송, 운반, 이동, 주행, 비행, 탑승, 승차, 하차, 배달, 배송, 택배, 탁송, 공급, 타설, 분사, 주입, 주사, 숏팅, 코팅, 도장, 포설, 포장, 믹싱, 진동, 다짐, 양생, 면처리, 개량, 보수, 보강, 수리, 해체,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이 포함되고,
    상기 공사는 시공, 건축시공, 건설, 건축, 축조, 신축, 증축, 개발, 개축, 축조, 재건축, 재개발, 조경, 식재, 나무식재, 조경식재, 녹화, 사면녹화, 토공, 성토, 절토, 굴착, 지반굴착, 암반굴착, 드릴굴착, 오거굴착,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굴착, 탑다운(top down)굴착, 개착, 터파기, 착정, 우물공착정, 발파, 암반발파, 천공, 지중천공, 시추, 보링, 지반보링, 암반보링, 앵카공보링, 지반조사용보링, 저장, 재료저장, 배합, 재료배합, 레미콘배합, 교반, 재료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혼합, 재료혼합, 콘크리트혼합, 가압, 펌프가압, 펌핑, 운반, 차량운반, 운송, 이송, 호스이송, 공급, 타설, 형틀타설, 몰드타설, 거푸집타설, 건물형틀타설, 구조물형틀타설, 라이닝타설, 터널라이닝타설, 지면타설, 공장타설, 제조공장타설, 건자재제조공장타설, 현장타설, 재료타설, 콘크리트타설, 도로현장타설, 옹벽현장타설, 터널현장타설, 교량현장타설, 치기, 몰탈치기, 시멘트치기, 레미콘치기, 콘크리트치기, 붓기, 레미콘붓기, 넣기, 콘크리트넣기, 진동, 형틀진동, 타설물진동, 형틀내타설물진동, 진동기진동, 포설, 포장포설, 지면포설, 사면포설, 도로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노면포장, 교면포장, 신설포장, 보수포장, 분사, 면분사, 사면분사, 밥면분사, 비탈면분사, 굴착부분사, 살수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뿜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살포, 지중살포, 수중살포, 분산, 수중분산, 분수, 공중분수, 분무, 공중분무, 살수, 지면살수, 분진제거살수, 관수, 농업관수, 식물관수, 비닐하우스관수, 유입, 수유입, 공기유입, 물질유입, 재료유입, 유출, 수유출, 공기유출, 물질유출, 재료유출, 통과, 물질통과, 주입, 몰탈주입, 몰드주입, 형틀주입, 심층주입, 지중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토양주입, 오염토양주입, 건물주입, 균열주입, 구조물주입, 보수용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락볼트인젝션, 인젝션공, 그라우팅, 그라우팅공, 앵카그라우팅, 네일링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주유, 유류주유, 주유소주유, 주사, 약물주사, 방수액주사, 균열부주사, 투입, 굴착부투입, 혼입, 발포, 팽창,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싱크홀충진, 굴착부충진, 보링공충진, 앵커공충진, 네일링공충진, 락볼트공충진, 충전, 단면충전, 균열충전, 콘크리트단면충전, 되메움, 믹싱, 지중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중교반믹싱, 시멘트믹싱, 다짐, 포장다짐, 도로다짐, 지중다짐, 지상다짐, 교반다짐, 조적, 벽돌조적,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지하방수, 균열방수, 교면방수, 지수, 차수, 방청, 방식, 전기방식,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처리, 양생처리, 면처리, 표면처리, 강재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씽크홀처리, 미장, 면미장, 벽미장, 몰탈미장, 발수, 포장발수, 콘크리트발수, 연마, 표면연마, 숏팅, 표면숏팅, 분사숏팅, 샌딩, 녹제거샌딩, 블라스팅, 연마용블라스팅, 숏블라스팅, 표면숏블라스팅, 녹제거블라스팅, 도장, 강재도장, 페인트도장, 도색, 코팅, 표면코팅, 라이닝, 굴착부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라이닝세그먼트공, 양생, 타설물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준설, 매립, 삭도, 유지, 시설유지, 수리, 시설수리, 건물수리,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요철보강, 단면보강, 균열보강, 강성보강, 강도보강, 콘크리트보강, 지반정리, 단지정리,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정화, 청정, 청소, 세정, 세척, 세청, 살균, 소독, 방역, 방재, 방제, 복원, 하천복원, 오염복원, 환경복원, 단면복원, 씽크홀복원,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콘크리트단면복구, 환경복구, 힐링, 균열힐링, 건물힐링, 작업, 토목작업, 환경작업, 조형작업, 조각작업, 불연작업, 난연작업, 수중작업, 비계작업, 창호작업, 벽지작업, 장판작업, 청소작업, 정화작업, 숏크리트작업, 녹생토작업, 시드스프레이작업,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도배, 면도배, 벽도배, 장판공, 바닥공, 지붕공, 창호공, 싱크대공, 창호, 판금, 석공, 석축, 철근공,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 조립공, 건축조립, 건물조립,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녹생토공, 숏크리트, 숏크리트공,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인테리어, 인테리어공, 실내인테리어, 실외인테리어, 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해체, 건물해체, 구조물해체,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철거, 건물철거, 선별, 해체물선별, 폐기물선별, 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폐기물분쇄, 신축, 재건축, 재개발, 연소, 물질연소, 연료연소, 소성, 물질소성, 광물소성, 크링커소성, 1000∼1500도소성,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700∼1000도소각, 열분해, 물질열분해, 플라스틱열분해, 300∼700도열분해, 소결, 가압가열하여소결, 고결, 바인더고결, 고화, 흙고화, 시멘트고화, 경화, 시멘트경화, 콘크리트경화, 토공사, 석공사, 미장공사, 방수공사, 조적공사, 습식공사, 도장공사, 비계공사, 실내공사, 실외공사, 외벽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시설공사, 기초공사, 파일공사, 매입기초공사, 항타기초공사, 회전매입기초공사, 현장타설파일공사, 흙막이공사, 흙막이벽공사, 슬러리월공사, 지중연속벽공사, 다이어프럼월공사, 지반공사, 지열공사, 지중공사, 지하공사, 지상공사, 수중공사, 도로공사, 포장공사, 사면공사, 법면공사, 비탈면공사, 지반개량공사, 구조물공사, 시설조성공사, 구조물조성공사, 타설공사, 진동타설공사, 가진타설공사, 자화타설공사, 철근공사, 철강공사, 철재공사, 철골공사, 철근커플러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바닥공사, 천장공사, 마감공사, 실내건축공사, 건물공사, 판금공사, 지붕판금공사, 금속구조물공사, 창호공사, 온실공사, 지붕판금공사, 건축물조립공사, 기계설비공사, 상수도공사, 하수도공사, 보링공사, 그라우팅공사, 철도궤도공사,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강구조물공사, 철강재설치공사, 삭도공사, 승강기공사, 삭도설치공사, 준설공사, 승강기설치공사, 구조물해체공사, 시설물유지관리공사, 면처리공사, 복구공사, 복원공사, 힐링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전문건설공사, 종합건설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CP(compaction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RCD기초공사, ED(earth drill)공사, ED기초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 상기 시공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이 수행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합, 복합공사; c) 상기 시공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시공 내지 복합공사;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수단, 사이버, 아바타,,,,,,,,,,,작업 방법, 작업 공법
    ,,,,,,,,,,,,,,,,,,,,,,,,,,,,,,,,,,,,,,,,,,,,,로봇, 수단, 사이버, 아바타,,,
KR1020230043838A 2021-09-07 2023-04-03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20230051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838A KR20230051446A (ko) 2021-09-07 2023-04-03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56A KR2024003126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이용 공사, 건설, 건축, 철근가공,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40024652A KR20240029013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 활용, 재활용, 자원화 방법
KR1020240024651A KR20240029012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9A KR20240031269A (ko) 2021-09-07 2024-02-20 폐기된 팩을 재활용하는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7A KR20240031267A (ko) 2021-09-07 2024-02-20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용품, 바디용품
KR1020240024665A KR20240031265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생수, 커피, 콜라, 음료, 인삼, 홍삼, 소주, 맥주, 막걸리, 사이다, 드링크
KR1020240024657A KR20240029014A (ko) 2021-09-07 2024-02-20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배달로봇, 식당로봇, 주문로봇, 주문배달로봇, 음식배달로봇
KR1020240024668A KR20240031268A (ko) 2021-09-07 2024-02-20 기저귀 재활용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58A KR20240029752A (ko) 2021-09-07 2024-02-20 요리로봇, 조리로봇, 쿠킹로봇, 튀김로봇, 제빵로봇, 주방로봇, 식당로봇
KR1020240024650A KR2024002901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3A KR2024003198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공사로봇, 3d프린터, 3d프린터로봇, 3d로봇프린터, 공사용3d프린터, 공사용3d로봇프린터
KR1020240024660A KR20240031263A (ko) 2021-09-07 2024-02-20 철근을 가공, 절곡, 배근, 조립, 결속,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3A KR20240029750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부산물 재활용 공사, 작업, 처리, 재료, 자재, 제품, 방법, 공법
KR1020240024666A KR20240031266A (ko) 2021-09-07 2024-02-20 화장품, 로션, 크림, 향수,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클렌저,페이셜팩
KR1020240024655A KR2024002975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건설, 건축용 로봇, 자율로봇, AI로봇, ICT로봇, IoT로봇, 로봇시스템
KR1020240024659A KR20240031262A (ko) 2021-09-07 2024-02-20 타설, 진동, 미장, 마감, 면처리, 양생,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62A KR20240029015A (ko) 2021-09-07 2024-02-20 공사용 로봇, 드론, 장비, 3d프린터
KR1020240024664A KR20240031264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밥, 김밥, 햇밥, 피자, 치킨, 음식, 푸드, 식품, 식료품, 떡볶기, 햄버거, 샌드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78A KR20230036637A (ko) 2021-09-07 2021-09-07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30043838A KR20230051446A (ko) 2021-09-07 2023-04-03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78A Division KR20230036637A (ko) 2021-09-07 2021-09-07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656A Division KR2024003126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이용 공사, 건설, 건축, 철근가공,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40024659A Division KR20240031262A (ko) 2021-09-07 2024-02-20 타설, 진동, 미장, 마감, 면처리, 양생,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3A Division KR20240029750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부산물 재활용 공사, 작업, 처리, 재료, 자재, 제품, 방법, 공법
KR1020240024666A Division KR20240031266A (ko) 2021-09-07 2024-02-20 화장품, 로션, 크림, 향수,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클렌저,페이셜팩
KR1020240024663A Division KR2024003198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공사로봇, 3d프린터, 3d프린터로봇, 3d로봇프린터, 공사용3d프린터, 공사용3d로봇프린터
KR1020240024660A Division KR20240031263A (ko) 2021-09-07 2024-02-20 철근을 가공, 절곡, 배근, 조립, 결속,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2A Division KR20240029013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 활용, 재활용, 자원화 방법
KR1020240024650A Division KR2024002901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8A Division KR20240031268A (ko) 2021-09-07 2024-02-20 기저귀 재활용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5A Division KR20240031265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생수, 커피, 콜라, 음료, 인삼, 홍삼, 소주, 맥주, 막걸리, 사이다, 드링크
KR1020240024657A Division KR20240029014A (ko) 2021-09-07 2024-02-20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배달로봇, 식당로봇, 주문로봇, 주문배달로봇, 음식배달로봇
KR1020240024651A Division KR20240029012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4A Division KR20240031264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밥, 김밥, 햇밥, 피자, 치킨, 음식, 푸드, 식품, 식료품, 떡볶기, 햄버거, 샌드위치
KR1020240024658A Division KR20240029752A (ko) 2021-09-07 2024-02-20 요리로봇, 조리로봇, 쿠킹로봇, 튀김로봇, 제빵로봇, 주방로봇, 식당로봇
KR1020240024667A Division KR20240031267A (ko) 2021-09-07 2024-02-20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용품, 바디용품
KR1020240024669A Division KR20240031269A (ko) 2021-09-07 2024-02-20 폐기된 팩을 재활용하는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2A Division KR20240029015A (ko) 2021-09-07 2024-02-20 공사용 로봇, 드론, 장비, 3d프린터
KR1020240024655A Division KR2024002975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건설, 건축용 로봇, 자율로봇, AI로봇, ICT로봇, IoT로봇, 로봇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446A true KR20230051446A (ko) 2023-04-18

Family

ID=85512062

Family Applications (3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78A KR20230036637A (ko) 2021-09-07 2021-09-07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30043610A KR20230051137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건설로봇, 공사로봇, 작업로봇, 배달로봇, 서비스로봇, 도장로봇, 코팅로봇, 분사로봇, 청소로봇, 숏크리트로봇
KR1020230043829A KR20230047995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작업로봇, 건설로봇, 공사로봇, 도장로봇, 코팅로봇, 분사로봇, 청소로봇, 배달로봇, 서비스로봇
KR1020230043838A KR20230051446A (ko) 2021-09-07 2023-04-03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30043623A KR20230048493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공사로봇, 작업로봇이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도장, 미장, 코팅, 방수, 분사, 살수, 청소, 숏팅, 작업, 숏크리트, 인테리어, 리모델링 방법
KR1020230043834A KR20230051445A (ko) 2021-09-07 2023-04-03 에코 라이닝, 세그먼트, 터널라이닝, 터널세그먼트, 라이닝세그먼트, 터널라이닝세그먼트
KR1020230043832A KR20230050294A (ko) 2021-09-07 2023-04-03 바, 수지바, frp바, gfrp바, 보강바, 중공바, 메쉬바, 내진바, 철근, 보강근, 락볼트, 소일네일, 폴리머바, 플라스틱바, 철근대체재
KR1020230043835A KR20230049603A (ko) 2021-09-07 2023-04-03 정화형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락볼트, 지보재, 방수재, 포장재, 구성물, 숏크리트, 그라우팅, 환기시스템, 살수시스템, 소화시스템
KR1020230043833A KR20230049602A (ko) 2021-09-07 2023-04-03 바, 철근, 수지바, 보강바, 내진바, 중공바, 메쉬바, frp바, gfrp바, 보강근, 락볼트, 소일네일, 폴리머바, 플라스틱바, 철근대체재
KR1020230043831A KR20230048289A (ko) 2021-09-07 2023-04-03 드론, 종이드론, 판지드론, 수지드론, 코팅드론, pvc드론, frp드론, 플라스틱드론
KR1020240013606A KR20240017052A (ko) 2021-09-07 2024-01-30 로봇, 일로봇, 작업로봇, 제조로봇, 요리로봇, 공사로봇, 방역로봇, 청소로봇, 배달로봇, 기능성로봇
KR1020240023877A KR20240026973A (ko) 2021-09-07 2024-02-19 로봇이 이용되는 공사, 작업, 조적, 도장, 철근공, 숏크리트공, 콘크리트공 방법
KR1020240024653A KR20240029750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부산물 재활용 공사, 작업, 처리, 재료, 자재, 제품, 방법, 공법
KR1020240024666A KR20240031266A (ko) 2021-09-07 2024-02-20 화장품, 로션, 크림, 향수,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클렌저,페이셜팩
KR1020240024655A KR2024002975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건설, 건축용 로봇, 자율로봇, AI로봇, ICT로봇, IoT로봇, 로봇시스템
KR1020240024650A KR2024002901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5A KR20240031265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생수, 커피, 콜라, 음료, 인삼, 홍삼, 소주, 맥주, 막걸리, 사이다, 드링크
KR1020240024658A KR20240029752A (ko) 2021-09-07 2024-02-20 요리로봇, 조리로봇, 쿠킹로봇, 튀김로봇, 제빵로봇, 주방로봇, 식당로봇
KR1020240024660A KR20240031263A (ko) 2021-09-07 2024-02-20 철근을 가공, 절곡, 배근, 조립, 결속,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2A KR20240029013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 활용, 재활용, 자원화 방법
KR1020240024657A KR20240029014A (ko) 2021-09-07 2024-02-20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배달로봇, 식당로봇, 주문로봇, 주문배달로봇, 음식배달로봇
KR1020240024668A KR20240031268A (ko) 2021-09-07 2024-02-20 기저귀 재활용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3A KR2024003198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공사로봇, 3d프린터, 3d프린터로봇, 3d로봇프린터, 공사용3d프린터, 공사용3d로봇프린터
KR1020240024669A KR20240031269A (ko) 2021-09-07 2024-02-20 폐기된 팩을 재활용하는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4A KR20240031264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밥, 김밥, 햇밥, 피자, 치킨, 음식, 푸드, 식품, 식료품, 떡볶기, 햄버거, 샌드위치
KR1020240024662A KR20240029015A (ko) 2021-09-07 2024-02-20 공사용 로봇, 드론, 장비, 3d프린터
KR1020240024651A KR20240029012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59A KR20240031262A (ko) 2021-09-07 2024-02-20 타설, 진동, 미장, 마감, 면처리, 양생,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6A KR2024003126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이용 공사, 건설, 건축, 철근가공,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40024667A KR20240031267A (ko) 2021-09-07 2024-02-20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용품, 바디용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78A KR20230036637A (ko) 2021-09-07 2021-09-07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30043610A KR20230051137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건설로봇, 공사로봇, 작업로봇, 배달로봇, 서비스로봇, 도장로봇, 코팅로봇, 분사로봇, 청소로봇, 숏크리트로봇
KR1020230043829A KR20230047995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작업로봇, 건설로봇, 공사로봇, 도장로봇, 코팅로봇, 분사로봇, 청소로봇, 배달로봇, 서비스로봇

Family Applications After (2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23A KR20230048493A (ko) 2021-09-07 2023-04-03 로봇, 공사로봇, 작업로봇이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도장, 미장, 코팅, 방수, 분사, 살수, 청소, 숏팅, 작업, 숏크리트, 인테리어, 리모델링 방법
KR1020230043834A KR20230051445A (ko) 2021-09-07 2023-04-03 에코 라이닝, 세그먼트, 터널라이닝, 터널세그먼트, 라이닝세그먼트, 터널라이닝세그먼트
KR1020230043832A KR20230050294A (ko) 2021-09-07 2023-04-03 바, 수지바, frp바, gfrp바, 보강바, 중공바, 메쉬바, 내진바, 철근, 보강근, 락볼트, 소일네일, 폴리머바, 플라스틱바, 철근대체재
KR1020230043835A KR20230049603A (ko) 2021-09-07 2023-04-03 정화형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락볼트, 지보재, 방수재, 포장재, 구성물, 숏크리트, 그라우팅, 환기시스템, 살수시스템, 소화시스템
KR1020230043833A KR20230049602A (ko) 2021-09-07 2023-04-03 바, 철근, 수지바, 보강바, 내진바, 중공바, 메쉬바, frp바, gfrp바, 보강근, 락볼트, 소일네일, 폴리머바, 플라스틱바, 철근대체재
KR1020230043831A KR20230048289A (ko) 2021-09-07 2023-04-03 드론, 종이드론, 판지드론, 수지드론, 코팅드론, pvc드론, frp드론, 플라스틱드론
KR1020240013606A KR20240017052A (ko) 2021-09-07 2024-01-30 로봇, 일로봇, 작업로봇, 제조로봇, 요리로봇, 공사로봇, 방역로봇, 청소로봇, 배달로봇, 기능성로봇
KR1020240023877A KR20240026973A (ko) 2021-09-07 2024-02-19 로봇이 이용되는 공사, 작업, 조적, 도장, 철근공, 숏크리트공, 콘크리트공 방법
KR1020240024653A KR20240029750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부산물 재활용 공사, 작업, 처리, 재료, 자재, 제품, 방법, 공법
KR1020240024666A KR20240031266A (ko) 2021-09-07 2024-02-20 화장품, 로션, 크림, 향수,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클렌저,페이셜팩
KR1020240024655A KR2024002975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건설, 건축용 로봇, 자율로봇, AI로봇, ICT로봇, IoT로봇, 로봇시스템
KR1020240024650A KR20240029011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65A KR20240031265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생수, 커피, 콜라, 음료, 인삼, 홍삼, 소주, 맥주, 막걸리, 사이다, 드링크
KR1020240024658A KR20240029752A (ko) 2021-09-07 2024-02-20 요리로봇, 조리로봇, 쿠킹로봇, 튀김로봇, 제빵로봇, 주방로봇, 식당로봇
KR1020240024660A KR20240031263A (ko) 2021-09-07 2024-02-20 철근을 가공, 절곡, 배근, 조립, 결속,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2A KR20240029013A (ko) 2021-09-07 2024-02-20 커피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 활용, 재활용, 자원화 방법
KR1020240024657A KR20240029014A (ko) 2021-09-07 2024-02-20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배달로봇, 식당로봇, 주문로봇, 주문배달로봇, 음식배달로봇
KR1020240024668A KR20240031268A (ko) 2021-09-07 2024-02-20 기저귀 재활용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3A KR2024003198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공사로봇, 3d프린터, 3d프린터로봇, 3d로봇프린터, 공사용3d프린터, 공사용3d로봇프린터
KR1020240024669A KR20240031269A (ko) 2021-09-07 2024-02-20 폐기된 팩을 재활용하는 재료, 자재, 벽돌, 블록, 파일, 건자재, 레미콘, 콘크리트, 합성목재 및 공사방법
KR1020240024664A KR20240031264A (ko) 2021-09-07 2024-02-20 비타민이 함유된 밥, 김밥, 햇밥, 피자, 치킨, 음식, 푸드, 식품, 식료품, 떡볶기, 햄버거, 샌드위치
KR1020240024662A KR20240029015A (ko) 2021-09-07 2024-02-20 공사용 로봇, 드론, 장비, 3d프린터
KR1020240024651A KR20240029012A (ko) 2021-09-07 2024-02-20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1020240024659A KR20240031262A (ko) 2021-09-07 2024-02-20 타설, 진동, 미장, 마감, 면처리, 양생, 공사하는 로봇, 로봇시스템, 로봇자동화장치, 로봇자동화시스템
KR1020240024656A KR20240031261A (ko) 2021-09-07 2024-02-20 로봇 이용 공사, 건설, 건축, 철근가공,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40024667A KR20240031267A (ko) 2021-09-07 2024-02-20 치약, 가글, 비누, 샴푸, 용품, 바디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0) KR20230036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586A1 (en) * 2022-06-24 2023-12-28 Ditas Dogan Yedek Parca Imalat Ve Teknik A.S. A torque rod with reduced weight and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CN116220662B (zh) * 2023-04-07 2024-04-09 成都西南交通大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郑州分公司 一种路桥施工桩孔复核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620588B (zh) * 2023-07-26 2023-09-29 济南恒达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支架结构的安防监控设备
CN117103737B (zh) * 2023-10-19 2023-12-22 泰州衡川新能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湿法锂电池隔膜膜面除油装置以及除油方法
CN117209026B (zh) * 2023-11-07 2024-02-23 宝鸡市海鑫钛镍有限公司 一种次氯酸钠投加装置
CN117359791B (zh) * 2023-12-08 2024-02-20 克拉玛依市禹荣有限责任公司 一种冬季施工混凝土智能温控电伴热装置
CN117582960B (zh) * 2024-01-18 2024-03-19 上格环境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有机污水处理吸附剂及其制备工艺和应用
CN117621445B (zh) * 2024-01-26 2024-04-26 泉州玉环模具有限公司 使用回收的3d打印用塑料的3d打印机
CN117726306B (zh) * 2024-02-07 2024-05-07 石家庄羚建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快速算量方法
CN118010410A (zh) * 2024-04-10 2024-05-10 四川蜀工公路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混凝土钻孔取芯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68A (ko) 2024-03-07
KR20240031262A (ko) 2024-03-07
KR20240031263A (ko) 2024-03-07
KR20240029750A (ko) 2024-03-06
KR20230051137A (ko) 2023-04-17
KR20230051445A (ko) 2023-04-18
KR20230036637A (ko) 2023-03-15
KR20240031261A (ko) 2024-03-07
KR20230048289A (ko) 2023-04-11
KR20240031981A (ko) 2024-03-08
KR20240017052A (ko) 2024-02-06
KR20240029015A (ko) 2024-03-05
KR20240029011A (ko) 2024-03-05
KR20240031264A (ko) 2024-03-07
KR20240029751A (ko) 2024-03-06
KR20240031266A (ko) 2024-03-07
KR20240031267A (ko) 2024-03-07
KR20240026973A (ko) 2024-02-29
KR20230050294A (ko) 2023-04-14
KR20230048493A (ko) 2023-04-11
KR20230049602A (ko) 2023-04-13
KR20230049603A (ko) 2023-04-13
KR20240029014A (ko) 2024-03-05
KR20230047995A (ko) 2023-04-10
KR20240031269A (ko) 2024-03-07
KR20240029752A (ko) 2024-03-06
KR20240029012A (ko) 2024-03-05
KR20240029013A (ko) 2024-03-05
KR20240031265A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51446A (ko) 공사, 작업,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방역, 장비, 시설, 자재, 물품, 드론, 로봇, uam, 3d프린터, 모빌리티
KR20230028341A (ko) AI, IoT, ICT, App,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작업, 제조, 공사,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3D프린터, 모빌리티, 메타버스
KR20230107167A (ko) 드론, 비행체, 모빌리티, 무인비행기 및 이가 이용되는촬영, 관측, 관제, 측량, 작업, 매핑, 공사, 건설, 정화, 청정, 방역, 배달, 탑승, 운송, 모니터링 방법, 장비, 시스템
KR20230129146A (ko)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20230129156A (ko) AI, IT, IoT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시스템
KR20230129137A (ko) 공사, 안전, 진단, 감리, 계측, 작업, 모니터링의 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KR20230128738A (ko) 안전, 작업, 공사, 제조 관리의 수단, 기술, 장비, 방법, 시스템
KR20240056998A (ko)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작업, 제조, 공사,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배터리, 파워뱅크, 3d프린터, 모빌리티, 메타버스
KR20240057547A (ko) IT, AI, ICT, IoT, ESG, ESS, 수단, 배터리, 딥러닝,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및 이의 이용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분양, 안전, 청정, 방역, 살균 방법
KR20240057544A (ko)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