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53A -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53A
KR20230048853A KR1020210131763A KR20210131763A KR20230048853A KR 20230048853 A KR20230048853 A KR 20230048853A KR 1020210131763 A KR1020210131763 A KR 1020210131763A KR 20210131763 A KR20210131763 A KR 20210131763A KR 20230048853 A KR20230048853 A KR 2023004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space
shut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김동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853A/ko
Priority to US17/956,142 priority patent/US11760192B2/en
Publication of KR2023004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60K15/061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with leve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072Arrangements for reduc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5Jet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66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comprising means for stopping the venting of fuel vapor, e.g. during refueling or engin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60K15/061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with level control
    • B60K2015/062Arrangement for filling the fuel reser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 B67D7/46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when liquid in container to be fille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B67D7/48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when liquid in container to be fille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by making use of air suction through an opening closed by the ris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에 주유 시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에 장착되며, 그 내측에 삽입된 주유건의 연료주입부의 외측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연료탱크에서 배출된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 상기 연료탱크에 장착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 연료펌프에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작동유체로 공급받음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트펌프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shut-off of fuel gun in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유 시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유할 때 사용하는 주유건은, 그 레버를 당기면 연료를 토출하고 연료탱크에 연료가 만충되면 연료 토출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주유건은 연료 토출 시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연료탱크의 만충을 감지하게 된다. 주유건은 연료탱크의 만충 전에는 벤츄리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통해 부압을 해소하고 연료탱크의 만충 시에는 상기 벤츄리포트가 막히면서 부압이 형성되어 만충을 감지하게 된다.
연료탱크의 만충 시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연료가 상기 벤츄리포트를 막게 되고 그에 따라 벤츄리포트를 통한 공기 유입이 중단되어 주유건 내부의 부압이 더이상 해소되지 못하면서 주유건의 셧오프가 발생하게 된다.
주유건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그 셧오프가 발생할 때까지 벤츄리포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상온 환경에서 연료탱크에 주유하는 경우, 주유건은 연료탱크의 레벨링파이프를 통해 필러파이프로 배출되는 연료증발가스도 벤츄리포트를 통해 흡입하게 되나, 필러파이프로 배출되는 연료증발가스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연료탱크의 만충 전까지 주유건이 셧오프되지 않는다.
그런데 고온 환경에서 연료탱크에 주유하는 경우, 연료탱크의 레벨링파이프를 통해 필러파이프로 나오는 과량의 연료증발가스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벤츄리포트의 내부에서 응축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그에 따라 주유건 내부의 부압이 해소되지 못하여 연료탱크의 만충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주유건의 조기 셧오프 현상은 고온 환경에서 주유 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이며, 또한 연료탱크의 온도가 과다하게 높을 경우 주유가 불가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주유 시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고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은: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에 장착되며, 그 내측에 삽입된 주유건의 연료주입부의 외측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연료탱크에서 배출된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 상기 연료탱크에 장착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 연료펌프에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작동유체로 공급받음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트펌프 연결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료펌프는 상기 연료탱크에 주유 시 구동되어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로 연료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는 상기 연료펌프에 구비된 릴리프밸브에 연료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료펌프는 주유 스위치의 작동 시 상기 릴리프밸브가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트펌프 연결호스의 후단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릴리프밸브가 개방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은: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필러파이프의 연료주입방향을 기준으로, 그 상측부에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한 외부공기 흡입홀과 연료증발가스의 배출을 위한 증발가스 벤팅홀이 구비되며, 그 하측부에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연료주입부의 벤츄리포트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 및 개구부와 연통된 상기 제1 공간을 기밀하게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그 하단에 연료유입홀이 구비된,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는 상기 연료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연료탱크가 만충되면 연료탱크로부터 필러파이프로 역류한 연료에 의해 상기 연료유입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건은 상기 연료주입부의 연료 토출 시 상기 벤츄리포트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츄리포트는 상기 연료주입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삽입될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파티션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증발가스 벤팅홀과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 및 개구부와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의 내주면에는 스프링지지판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지지판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 사이에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를 연료유입홀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의 하단에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를 지지하는 밸브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연료탱크의 만충 시 상기 연료유입홀을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과 증발가스 벤팅홀은 리테이너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단이 필러파이프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필러파이프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그 하단에 주유건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연료주입부의 끝단이 상기 주유건 걸림턱에 닿을 때 상기 연료주입부의 벤츄리포트가 상기 리테이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탱크와 필러파이프를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레벨링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레벨링파이프의 단부는 연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탱크의 만충 시 연료탱크의 연료 유면에 닿아서 막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주입부는 연료탱크에서 필러파이프로 역류하는 연료에 의해 상기 벤츄리포트가 막힐 때 연료 토출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연료탱크의 외부 환경에 상관 없이 연료탱크가 만충될 때까지 주유건의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하기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연료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1의 A-A에서 본 도면
도 3b는 도 1의 A'-A'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a의 B-B에서 본 도면
도 5는 연료탱크의 만충 전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연료탱크의 만충 시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일 예로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연료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일부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3a는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a의 B-B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연료탱크의 만충 전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연료탱크의 만충 시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연료시스템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0)와, 연료탱크(10) 내 연료를 엔진으로 송출하는 연료펌프(20)와, 연료탱크(10)에 충전되는 연료를 공급받는 필러파이프(30), 및 연료탱크(10)의 내압을 해소하는 레벨링파이프(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 내에는 리저버 컵(12)이 장착된다. 리저버 컵(12)은 연료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리저버 컵(12)은 리저버 컵(12)에 설치된 연료흡입용 제트펌프(22)를 통해 연료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충전한다.
연료흡입용 제트펌프(22)는 리저버 컵(12)의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연료흡입용 제트펌프(22)는 연료펌프(20)에서 압송되는 연료의 일부를 작동유체로 공급받음으로써 리저버 컵(12) 외부의 연료(즉, 연료탱크(10) 내 연료)를 흡입하여 리저버 컵(12) 내부에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연료흡입용 제트펌프(22)는 제트호스(24)를 통해 연료펌프(20)에서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트호스(24)는 연료호스(26)와 별도로 연료펌프(20)에 연결되어 연료펌프(20)에서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료호스(26)는 연료펌프(20)에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엔진으로 전달한다.
또한, 연료탱크(10)의 상측부에는 헤드 플레이트(14)가 장착되며, 헤드 플레이트(14)에는 연료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제어기(16)가 장착된다.
연료펌프(20)는 리저버 컵(12) 내에 장착되며, 리저버 컵(12) 내 연료를 엔진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연료펌프(20)는 연료펌프(20)에서 송출된 연료가 엔진에 분사되지 않는 경우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연료펌프(20)는 그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릴리프밸브(28)가 구비된다.
릴리프밸브(28)는 연료펌프(20)의 내부 압력이 정해진 최대 압력에 도달하면 연료펌프(20) 내 연료를 연료펌프(2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된다. 릴리프밸브(28)는 연료펌프(20)의 연료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연료펌프(20)의 내부 압력이 상기 최대 압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릴리프밸브(28)는 레귤레이터라고 칭하기도 한다.
레벨링파이프(40)는 연료탱크(10)와 필러파이프(30)에 유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 레벨링파이프(40)는 연료탱크(10)와 필러파이프(30)를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즉, 연료탱크(10)와 필러파이프(30)는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료 주유 시 연료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는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필러파이프(30)로 배출된다.
또한, 레벨링파이프(40)의 하측 단부는 연료탱크(10)의 상측부를 관통하여 연료탱크(10) 내부에 배치되며, 연료탱크(10) 내 연료가 정해진 만충 높이에 도달할 때 연료 유면에 닿아서 막히게 된다.
연료탱크(10)에 주유 시 레벨링파이프(40)가 막히게 되면,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연료탱크(10) 내 연료가 필러파이프(30)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필러파이프(30)로 역류된 연료는 주유건을 셧오프시켜 주유건의 연료 토출을 중단시킨다.
필러파이프(30)는, 그 상측부에 레벨링파이프(40)가 유체 유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측부가 연료탱크(10)에 유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료탱크(10)에 주유 시 주유건의 연료주입부(1)는 상기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에 삽입된다. 연료탱크(10)에 연료를 주입할 때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증발가스는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연료탱크(10)에 주유 시, 상기 주유건은 일반적으로 셧오프가 발생할 때까지 연료주입부(1)에 구비된 벤츄리포트(2)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는, 연료주입부(1)에서 연료가 토출될 때 상기 주유건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주유건은 연료 토출 시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연료탱크의 만충을 감지하게 된다. 주유건은 연료탱크의 만충 전에는 벤츄리포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부압을 해소하고 연료탱크의 만충 시에는 상기 벤츄리포트가 막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연료탱크의 만충을 감지하게 된다. 연료탱크의 만충 시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연료가 상기 벤츄리포트를 막게 되고, 그에 따라 벤츄리포트를 통한 주유건의 공기 흡입이 중단되어 주유건 내부의 부압이 더이상 해소되지 못하면서 주유건이 정상적으로 셧오프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유건은 연료주입부(1)에서 연료가 토출될 때 그 내부에 생성되는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벤츄리포트(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벤츄리포트(2)에는 연료주입부(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벤츄리포트 연결관(3)이 구비된다.
상기 벤츄리포트(2)는, 연료탱크(10)가 만충될 때까지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주유건의 내부에 생성되는 부압을 해소하여 주유건이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 셧오프되는 것을 방지한다. 벤츄리포트(2)는 연료탱크(10)가 만충될 때 필러파이프(30)로 역류한 연료에 의해 막히게 되고, 주유건은 내부에 형성된 부압이 상기 벤츄리포트(2)를 통해 해소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연료탱크(10)의 만충을 감지하고 연료 토출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연료증발가스가 연료탱크(10) 내에 과량 발생하는 상황(예를 들면, 고온 환경)에서 주유할 때,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필러파이프(30)로 유입되는 과량의 연료증발가스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벤츄리포트 연결관(3)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되면, 주유건은 벤츄리포트(2)를 통한 외부공기의 흡입이 차단된다. 이 경우, 주유건 내부의 부압이 더이상 해소되지 못하여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은,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파이프(30)에 장착되는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100)과 연료탱크(10)에 장착되는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를 구비한다.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은 상온 환경에서 주유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고온 환경에서 주유하는 경우에도 주유건 내부의 부압이 원활하게 해소되도록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100)은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 내측에 장착된다.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100)은 그 내부에 삽입된 연료주입부(1)의 외측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S1)과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 공간(S2)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100)은 상기 제1 공간(S1)에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100)은, 필러파이프(30)에 연료가 주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리테이너(50)와 파티션(60) 및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테이너(50)는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 내측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리테이너(50)는 그 상측부 끝단이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리테이너(50)는 필러파이프(30)에 삽입되는 연료주입부(1)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리테이너(50)는 그 상측부가 테이퍼진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하측부는 연료주입부(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너(50)는 그 하측부가 연료주입부(1)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연료주입부(1)가 리테이너(50)의 내측에 삽입될 때 연료주입부(1)를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때, 리테이너(50)의 내주면과 연료주입부(1)의 외주면 사이에는 연료주입부(1)의 원활한 출입을 위한 미세한 갭이 존재할 수 있다.
리테이너(50)는 그 상측부 끝단(즉, 상단)이 가장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50)의 상측부 끝단은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에 압입 가능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50)는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에 장착될 때, 그 상단이 필러파이프(30)의 상단(즉, 연료주입구)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그 하단이 필러파이프(30)에 연결된 레벨링파이프(40)의 상단보다 하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리테이너(50)의 하측부에는 연료주입부(1)의 끝단이 걸리게 되는 주유건 걸림턱(54)이 구비된다. 상기 주유건 걸림턱(54)은 리테이너(50)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연료주입부(1)는 그 끝단이 상기 주유건 걸림턱(54)에 걸릴 때까지 리테이너(5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50)는, 필러파이프(30)의 연료주입방향을 기준으로, 그 상측부에 외부공기 흡입홀(51)과 증발가스 벤팅홀(52)이 구비되고, 그 하측부에 개구부(53)가 구비된다.
외부공기 흡입홀(51)은,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리테이너(50)의 상측부에 구비된다.
필러파이프(30)의 연료주입구(31)를 통해 필러파이프(30) 및 리테이너(50)의 내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외부공기 흡입홀(51)을 통해 필러파이프(30)와 리테이너(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필러파이프(30)와 리테이너(50)의 사이의 공간은, 리테이너(50)에 삽입된 연료주입부(1)의 외측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증발가스 벤팅홀(52)은,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필러파이프(30)와 리테이너(5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하여 리테이너(50)의 상측부에 구비된다.
필러파이프(30)와 리테이너(5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벤팅홀(52)과 연료주입구(31)를 통해 필러파이프(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51)과 증발가스 벤팅홀(52)은, 외부공기와 연료증발가스의 섞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리테이너(5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리테이너(50)의 상측부에는 복수의 외부공기 흡입홀(51)과 복수의 증발가스 벤팅홀(5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외부공기 흡입홀(51)은 리테이너(5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증발가스 벤팅홀(52) 역시 리테이너(5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50)의 하측부에 구비된 개구부(53)는, 리테이너(50)의 내측에 삽입된 연료주입부(1)의 벤츄리포트(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주입부(1)는 리테이너(50)의 내측에 삽입될 때, 그 하측부가 리테이너(50)의 하측부로 둘러싸이게 된다. 이때, 연료주입부(1)의 하측부는 그 외주면이 리테이너(5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며, 연료주입부(1)의 하측부에 구비된 벤츄리포트(2)는 상기 개구부(53)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벤츄리포트(2)는 연료주입부(1)가 리테이너(50)에 삽입될 때 상기 개구부(53)를 통해 상기 제1 공간(S1)과 직접 연통된다.
상기 개구부(53)는 벤츄리포트(2)와 벤츄리포트(2)의 주변 영역을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53)는 벤츄리포트(2)를 리테이너(50)의 외측에 노출시킴으로써 리테이너(50)와 필러파이프(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벤츄리포트(2)를 통해 연료주입부(1)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개구부(53)는 리테이너(50)의 하측부 중 둘레방향의 일측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된다. 연료주입부(1)가 리테이너(50)에 삽입될 때, 벤츄리포트(2)는 상기 개구부(53)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연료주입부(1)가 그 끝단이 리테이너(50)의 주유건 걸림턱(54)에 닿을 때까지 리테이너(5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벤츄리포트(2)는 개구부(53)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공간(S1)과 연통된다.
개구부(53)는 외부공기 흡입홀(51)의 하방향에 배치되며, 외부공기 흡입홀(51)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외부공기 흡입홀(51)과 개구부(53)는, 리테이너(50)에 대한 연료주입부(1)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된다.
외부공기 흡입홀(51)을 통해 리테이너(50)와 필러파이프(30) 사이의 공간(즉, 상기 제1 공간)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개구부(53)를 통해 개방된 벤츄리포트(2)를 통해 연료주입부(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파티션(60)은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필러파이프(30)에 유입된 연료증발가스가 벤츄리포트(2)를 통해 연료주입부(1)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파티션(60)은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제1 공간(S1)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파티션(60)의 가장자리부는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S1)은 외부공기의 유입은 허용되고 연료증발가스의 유입은 차단된 공간이다. 제1 공간(S1)은 개구부(53) 및 외부공기 흡입홀(51)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밀폐된 공간이다. 다시 말해, 제1 공간(S1)은 외부공기 흡입홀(51)과 개구부(53)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공간이다.
파티션(60)은,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으로 이분한다. 제2 공간(S2)은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제1 공간(S1)을 제외한 공간이다. 제2 공간(S2)은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증발가스 벤팅홀(52) 및 레벨링파이프(40)와 연통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파티션(60)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의해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파티션(60)은 그 하단에 연료유입홀(61)이 구비된다. 연료유입홀(61)은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의해 개폐된다.
연료유입홀(61)은,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가 연료탱크(10)로부터 필러파이프(30)로 역류하는 연료에 밀려서 이동될 때, 개방된다.
연료유입홀(61)은,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고, 연료탱크(10)가 만충되면 연료탱크(10)로부터 역류한 연료에 의해 개방된다.
필러파이프(30)로 역류한 연료탱크(10)의 연료가 연료유입홀(61)을 통해 제1 공간(S1)에 유입되는 경우, 연료주입부(1)의 벤츄리포트(2)가 상기 연료에 의해 막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60)은 제1 측벽부(63)와 제2 측벽부(64) 및 외벽부(6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63)와 제2 측벽부(64)는 각각 리테이너(5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측벽부(63)와 제2 측벽부(64)는 리테이너(5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벽부(63)와 제2 측벽부(64)는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외벽부(65)는 제1 측벽부(63)의 끝단과 제2 측벽부(64)의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측벽부(63)의 끝단은 리테이너(5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1 측벽부(63)의 외측 끝단이며, 제2 측벽부(64)의 끝단 역시 리테이너(5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2 측벽부(64)의 외측 끝단이다. 또한, 외벽부(65)는 리테이너(50)가 필러파이프(30)에 장착될 때 필러파이프(3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티션(60)은, 리테이너(50)의 내측에 삽입된 연료주입부(1)의 외측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S1)과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 공간(S2)으로 분리하며, 상기 제1 공간(S1)에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탱크(10)가 만충될 때까지 연료유입홀(61)을 폐쇄하고, 연료탱크(10)가 만충되면 연료유입홀(61)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유입홀(61)의 개폐를 위하여, 파티션(6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제1 공간(S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파티션(60)의 내주면과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공간(S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스프링부재(72)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제1 공간(S1)에 배치되어 연료유입홀(61)을 기밀하게 폐쇄한다. 상기 스프링부재(72)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를 연료유입홀(61)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부재(72)는 스프링지지판(66)에 장착된 상태로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의 상방향에 배치된다. 즉, 스프링부재(72)는 스프링지지판(66)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결합된 상태로 스프링지지판(66)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부재(72)의 상단부는 스프링지지판(66)에 결합되고, 스프링부재(72)의 하단부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결합된다.
스프링지지판(66)은, 파티션(60)의 외벽부(65) 내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리테이너(5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지지판(66)은, 스프링지지판(66)이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제1 공간(S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가지는 판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중앙부가 개구된 판 부재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외부공기가 스프링지지판(66)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제1 공간(S1)에 정상적으로 흡입되며, 외부공기 흡입홀(51)과 개구부(53) 간에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파티션(60)의 하단에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를 지지하는 밸브 걸림턱(62)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 걸림턱(62)은 연료유입홀(61)의 외측에 배치된다. 밸브 걸림턱(62)은 스프링부재(72)에 의해 가압되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의 하단면을 지지한다. 그에 따라, 밸브 걸림턱(62)은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가 파티션(60) 및 제1 공간(S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는 스프링부재(72)에 의해 연료유입홀(61)을 닫은 상태로 지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탱크(10)가 만충되면 연료탱크(10)로부터 역류하는 연료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연료유입홀(61)을 개방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유입홀(61)을 개방할 때 상기 스프링부재(72)를 압축하면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가해지는 연료의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부재(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료유입홀(61)을 닫는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필러파이프(30)의 상측부는 제트펌프 연결호스(82)를 통해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와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펌프 연결호스(82)는 필러파이프(30)의 제1 공간(S1)과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는 연료탱크(10)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연료탱크(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는 연료탱크(10)의 상측부 하면에 장착된다. 이하,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80)를 줄여서 제트펌프(80)라고 칭하도록 한다.
상기 제트펌프(80)는 연료펌프(20)에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작동유체로 공급받음으로써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연료탱크(10)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제트펌프(80)는 연료펌프(20)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연료탱크(10)의 내부로 토출하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제트펌프(80)는 제트펌프 연결호스(82)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제트펌프(80)는 연료펌프(20)에 구비된 릴리프밸브(28)와 연료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트펌프(80)는 릴리프밸브(28)가 개방될 때 릴리프밸브(28)를 통해 연료펌프(20)에서 배출되는 연료를 공급받는다. 제트펌프(80)는 밸브호스(29)를 통해 릴리프밸브(28)에 연결된다.
제트펌프(80)는 연료펌프(20)에서 공급된 연료를 연료탱크(10)의 내부로 토출할 때 그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제트펌프(80)는 그 저면부에 체크밸브(84)가 설치된다. 제트펌프(80)의 저면부에는 제트펌프 연결호스(82)가 연결된다. 제트펌프(80)는 체크밸브(84)를 통해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트펌프 연결호스(82)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크밸브(84)는 제트펌프(80)와 제트펌프 연결호스(8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며, 제트펌프 연결호스(82)의 유체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트펌프 연결호스(82)의 후단에 배치된다. 체크밸브(84)는, 외부공기가 제트펌프(80)에 흡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연료가 제트펌프 연결호스(82)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트펌프 연결호스(82)는 연료탱크(10) 내부에 배치된 제트펌프(80)와 연료탱크(10) 외부에 배치된 파티션(60)의 내부 공간(즉, 상기 제1 공간)을 연통하기 위하여, 연료탱크(1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또한, 연료펌프(20)는 연료탱크(10)에 주유를 할 때 릴리프밸브(28)가 개방되도록 구동되며, 체크밸브(84)는 상기 연료펌프(20)가 구동될 때 개방된다. 릴리프밸브(28)는 연료펌프(20)의 구동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은, 연료탱크(10)에 주유 시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고, 연료탱크(10)가 만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에 주유 중인 경우, 파티션(60)의 연료유입홀(60)은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고, 제1 공간(S1)은 연료증발가스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때, 리테이너(50)에 삽입된 연료주입부(1)는 벤츄리포트(2)를 통해 제1 공간(S1)에 유입된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제트펌프(80)의 부압이 제트펌프 연결호스(82)를 통해 제1 공간(S1)에 작용하여 상기 제1 공간(S1)에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제1 공간(S1)에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벤츄리포트(2)에 외부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된다.
또한, 레벨링파이프(40)를 통해 필러파이프(30)의 제2 공간(S2)에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증발가스 벤팅홀(52)을 통해 필러파이프(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 공간(S1)은 파티션(60)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에 의해 제2 공간(S2)과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료증발가스는 연료주입부(1)로 흡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연료탱크(10)가 만충되기 전에 주유건이 조기 셧오프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주유건은 연료탱크(10)가 만충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주유 중 연료탱크(10)가 만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필러파이프(30)로 역류한 연료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연료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파티션(60)의 연료유입홀(60)을 개방한다. 이때, 개방된 연료유입홀(60)을 통해 제1 공간(S1)으로 연료가 유입된다.
제1 공간(S1)에 유입된 연료는 연료주입부(1)의 벤츄리포트(2)에 접촉하여 벤츄리포트(2)를 막게 되고, 주유건은 벤츄리포트(2)가 막힘으로 인하여 내부의 부압을 해소하지 못하고 정상적으로 셧오프된다.
이때, 상방향으로 이동된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제1 공간(S1)으로 유입된 연료가 외부공기 흡입홀(51)을 통해 필러파이프(3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는 제1 공간(S1)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판형 부재 또는 블록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일 뿐이며, 상기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 및 작동 순서가 도 7에 의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 스위치(도 2의 90 참조)가 작동되면(S100) 펌프 제어기(16)가 웨이크업된다(S110). 주유 스위치(90)는 차량 실내에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펌프 제어기(16)는 웨이크업되면 연료펌프(20)를 구동시킨다(S120). 펌프 제어기(16)는 주유 스위치(90)의 작동에 연동하여 웨이크업되는 경우 릴리프밸브(28)가 개방되도록 연료펌프(20)를 구동한다.
릴리프밸브(28)는 연료펌프(20)가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구동되면 개방된다(S130). 예를 들면, 릴리프밸브(28)는 연료펌프(20)의 내부 압력이 650kPa 이상일 때 개방된다.
이때, 펌프 제어기(16)는 700kPa의 압력으로 연료를 송출하도록 연료펌프(20)를 제어하거나, 또는 100%로 연료펌프(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릴리프밸브(28)가 개방되면 릴리프밸브(28)를 통해 연료펌프(20)에서 송출되는 연료가 제트펌프(80)로 공급된다. 제트펌프(80)는 연료펌프(2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연료탱크(10)로 토출하면서 제트펌프 연결호스(82)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다(S140).
리테이너(50)에 주유건의 연료주입부(1)가 삽입되고 연료주입부(1)에서 연료가 토출되면(S150), 벤츄리포트(2)를 통해 외부공기가 연료주입부(1)의 내부로 흡입된다(S160).
연료탱크(10)가 만충되고 필러파이프(30)로 연료탱크(10)의 연료가 역류하면(S170)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70)가 파티션(60)의 연료유입홀(60)을 개방하면서 벤츄리포트(2)가 연료에 의해 막히고 주유건이 정상적으로 셧오프된다(S180).
연료주입부(1)가 리테이너(50)에서 제거되고 연료 도어가 닫히면(S190), 펌프 제어기(16)가 셧오프되면서 연료펌프(20)의 구동이 중단된다(S200). 이때, 펌프 제어기(16)는 상기 연료 도어가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닫힌 상태로 유지되면 셧오프된다.
상기 연료 도어는 필러파이프(30)의 연료주입구(31)를 개폐하는 것으로, 주유 스위치(90)의 작동 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연료탱크 12 : 리저버 컵
14 : 헤드 플레이트 16 : 펌프 제어기
20 : 연료펌프 22 : 연료흡입용 제트펌프
28 : 릴리프밸브 30 : 필러파이프
31 : 연료주입구 40 : 레벨링파이프
50 : 리테이너 51 : 외부공기 흡입홀
52 : 증발가스 벤팅홀 53 : 개구부
54 : 주유건 걸림턱 60 : 파티션
61 : 연료유입홀 62 : 밸브 걸림턱
63 : 제1 측벽부 64 : 제2 측벽부
65 : 외벽부 66 : 스프링 지지판
70 :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 72 : 스프링부재
80 :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 82 : 제트펌프 연결호스
84 : 체크밸브 90 : 주유 스위치
100 :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
S1 : 제1 공간 S2 : 제2 공간
1 : 주유건의 연료주입부 2 : 벤츄리포트
3 : 벤츄리포트 연결관

Claims (16)

  1.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에 장착되며, 그 내측에 삽입된 주유건의 연료주입부의 외측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연료탱크에서 배출된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료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
    상기 연료탱크에 장착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 연료펌프에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작동유체로 공급받음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를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트펌프 연결호스;
    를 포함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는 상기 연료탱크에 주유 시 구동되어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로 연료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 흡입용 제트펌프는 상기 연료펌프에 구비된 릴리프밸브에 연료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료펌프는 주유 스위치의 작동 시 상기 릴리프밸브가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트펌프 연결호스의 후단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릴리프밸브가 개방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증발가스 차단유닛은: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필러파이프의 연료주입방향을 기준으로, 그 상측부에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한 외부공기 흡입홀과 연료증발가스의 배출을 위한 증발가스 벤팅홀이 구비되며, 그 하측부에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연료주입부의 벤츄리포트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 및 개구부와 연통된 상기 제1 공간을 기밀하게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그 하단에 연료유입홀이 구비된, 파티션;
    상기 파티션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연료탱크가 만충되기 전에는 상기 연료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연료탱크가 만충되면 연료탱크로부터 필러파이프로 역류한 연료에 의해 상기 연료유입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은 상기 연료주입부의 연료 토출 시 상기 벤츄리포트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츄리포트는 상기 연료주입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삽입될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파티션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필러파이프의 내주면과 리테이너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증발가스 벤팅홀과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 및 개구부와 외부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내주면에는 스프링지지판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지지판과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 사이에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를 연료유입홀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하단에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를 지지하는 밸브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연료탱크의 만충 시 상기 연료유입홀을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상기 조기 셧오프 방지밸브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 흡입홀과 증발가스 벤팅홀은 리테이너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단이 필러파이프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필러파이프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그 하단에 주유건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연료주입부의 끝단이 상기 주유건 걸림턱에 닿을 때 상기 연료주입부의 벤츄리포트가 상기 리테이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탱크와 필러파이프를 연료증발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레벨링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레벨링파이프의 단부는, 연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탱크의 만충 시 연료탱크의 연료 유면에 닿아서 막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1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부는 연료탱크에서 필러파이프로 역류하는 연료에 의해 상기 벤츄리포트가 막힐 때 연료 토출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KR1020210131763A 2021-10-05 2021-10-05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KR20230048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63A KR20230048853A (ko) 2021-10-05 2021-10-05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US17/956,142 US11760192B2 (en) 2021-10-05 2022-09-29 System for controlling shut-off of a fuel pump nozzle in filling a fuel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63A KR20230048853A (ko) 2021-10-05 2021-10-05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53A true KR20230048853A (ko) 2023-04-12

Family

ID=8577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763A KR20230048853A (ko) 2021-10-05 2021-10-05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60192B2 (ko)
KR (1) KR20230048853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022A (en) * 1992-09-25 1993-09-14 Borg-Warner Automotive, Inc. Fuel flow activated fuel vapor control apparatus
US7726363B2 (en) * 2006-01-20 2010-06-01 Eaton Corporation Filler tube assembly for a fuel vapor recirculation system
US7360565B2 (en) * 2006-06-20 2008-04-22 University Of Maine System Fuel overflow prevention device
DE102007050970B4 (de) * 2007-06-27 2010-10-07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den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s
US9090157B2 (en) * 2010-02-04 2015-07-28 Myers Industries, Inc. Spill avoidance system for storage tank
US8807180B2 (en) * 2011-06-02 2014-08-19 Asemblon, Inc. Dual fluid fueling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0192B2 (en) 2023-09-19
US20230104603A1 (en)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3938A (en) In-line fuel reservoir
US5868120A (en) Fuel vapor management system for motor vehicles
US5170764A (en) Fuel pump pick-up system
US7178512B1 (en) Fuel system for a marine vessel with a gaseous purge fuel container
US5427074A (en) Vented fuel module reservoir
JPH1061515A (ja) 燃料タンクレベル均衡装置
US20090071543A1 (en) Fuel Vent Valve And Improvement Thereof
EP3205527B1 (en) Vaporized fuel processing device
US10273917B2 (en) Fuel injection device
JPH0147623B2 (ko)
EP1045134B1 (en) Carburetor with vapor purge pump
KR20230048853A (ko)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시스템
US7309061B2 (en) Diaphragm-type carburetors
JP2010216433A (ja) 燃料供給装置
KR0123963Y1 (ko) 스톱밸브
KR20220040068A (ko)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장치
JP4347971B2 (ja) 圧力媒体搬送装置
KR20210041713A (ko) 자동차용 연료펌프의 밸브 시스템
KR102370965B1 (ko) 연료 주유 시스템의 연료 역류 방지 장치
JP3572639B2 (ja) 燃料供給装置
US2557724A (en) Air charger for hydropneumatic systems
KR100188540B1 (ko) 연료탱크 베이퍼 라인의 밸브장치
KR20230096437A (ko) 연료탱크의 주유건 셧오프 제어 장치
JPH06100323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01185245B1 (ko) 연료공급장치의 보조펌프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