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963Y1 - 스톱밸브 - Google Patents

스톱밸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963Y1
KR0123963Y1 KR2019910016190U KR910016190U KR0123963Y1 KR 0123963 Y1 KR0123963 Y1 KR 0123963Y1 KR 2019910016190 U KR2019910016190 U KR 2019910016190U KR 910016190 U KR910016190 U KR 910016190U KR 0123963 Y1 KR0123963 Y1 KR 0123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mmunication port
water
vacuum pump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071U (ko
Inventor
타카시 토미모토
마사히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이 신이치로오
모리타 펌프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신이치로오, 모리타 펌프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이 신이치로오
Publication of KR920008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963Y1/ko

Links

Landscapes

  • Float Valv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펌프를 최초 시동할 때에 물을 유인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진공펌프에 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는데 쓰이는 스톱밸브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유입구, 상부에 유출구를 설치하고, 그 유입구측의 1차실과 유출구측의 2차실을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밸브동체와, 상기한 1차실내에 연통구를 개폐되도록 승강자재하게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한 2차실내로 연통구를 개폐하도록 장입된 보올밸브와, 상기한 2차실내의 개폐밸브와 연결된 플로우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개폐밸브를, 이 개폐밸브체에서 연통구를 폐색할 때에, 연통구의 상단에 감지되는 보올벨브와 간섭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톱밸브.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스톱밸브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스톱밸브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밸브동체 12 : 상부밸브동체
13 : 하부밸브동체 14 : 유입구
15 : 지지부재 16 : 개구
17 : 유출구 18 : 연통구
19 : 밸브캡 20 : 안내통부
21 : 보올밸브 22 : 탄성링
23 : 개폐밸브 24 : 밸브축
25 : 폴로우트
본 고안은, 예컨대 소방펌프장치에 있어서, 소방용펌프를 시동할때에 물을 유인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진공펌프에 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는데 쓰이는 스톱밸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방용펌프로서는, 각종의 이유에 의하여 터어빈펌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터어빈펌프는 많은 장점을 보유하지만, 결점으로서는 시동할때, 케이싱 및 흡인관내를 만수시켜야 하는 물의 유인작업이 필요하고, 그때문에, 대부분은 물의 유인장치로서 진공펌프를 장비하고 있다. 이 진공펌프에도 여러종류가 있지만, 소방용으로서는 소형이고 성능이 좋은 것이 요구되므로, 편심날개형 로우터리펌프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진공펌프로서는, 윤활유에 의한 노면오염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일 순환형과 무급유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방펌프장치에 있어서, 진공펌프로서 물을 유인하는 경우, 유인완료 초기에 소방용펌프 등에서 물이 진공펌프내로 유입해 온다. 이와같이 진공펌프내로 물이 유입해오면, 오일순환형 진공펌프나 무급유형진공펌프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악영향이 생긴다.
즉, 오일순환형 진공펌프에 있어서는, 진공펌프속에서 기름과 물이 혼합하여 에멀젼(유화)상태로 된다는 문제가 있고, 무급유형진공 펌프에 있어서는, 날개바퀴가 자기윤활재료(自己潤滑材料), 예컨대 카아본 등으로 제작되어 취약하므로, 진공펌프속으로 물이 유입하면 날개바퀴가 물에 의한 충격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소방용펌프의 물유인이 끝난 후에 진공펌프로 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방용펌프흡입관과 진공펌프를 연통하는 흡기관의 도중에 스톱밸브가 일반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종래, 이 종류의 스톱밸브는 예컨대 제2도에 표시하듯이, 밸브동체(1)와 상부캡(2)과의 사이에 다이어프램(diaphagm)(3)을 설치하고, 다이어프램(3)을 상기한 밸브동체(1)내에 형성한 밸브구멍(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에 가동로드(6)를 개재하여 연결되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밸브동체(1)내의 공기가 진공펌프에 의하여 배기되어서 진공상태로 되므로 다이어프램(3)이 하방으로 흡인되고, 이것에 따라 개폐밸브(5)도 가동로드(6)를 개재하여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내려가서 밸브구멍(4)이 개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방용 펌프내도 공기가 진공펌프에 의하여 배기 되어서 진공 상태로 되므로 수원(水源)에서 물이 흡인된다.
이리하여 소방용펌프로의 물 유인이 끝나면, 소방용 펌프에서 진공펌프로 물이 유입되려고 하지만, 물의 압력으로 개폐밸브체(5)를 상승시켜 밸브구멍(4)을 폐지하므로 진공펌프로 물이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톱밸브는 그 구조상, 진공펌프를 정지하면 소방용펌프에 공기가 역류하여 낙수가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양수상태에 있어서는 진공펌프에 물이 유입하는 일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스톱밸브에 있어서는, 소방용 펌프에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첵크밸브와, 스톱밸브에서 누출된 물을 저류하는 플로우트밸브가 달린 탱크를 부가할 필요가 있고, 이때문에, 진공펌프로 물이 유압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의 형태가 대형이 되고, 더우기 배관 등이 복잡하고 양수시간이 지체됨과 아울러, 진공펌프의 정지타이밍에서는 플로우트 밸브가 달린 탱크가 즉시 가득차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스톱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유입구, 상부에 유출구를 설치하고, 그 유입구측의 1차실과 유출구측의 2차실을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밸브동체와, 상기한 1차실내에 연통구를 개폐하게 되도록 승강자재하게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한 2차실내로 연통구를 개폐 하도록 장입된 보올밸브와, 상기한 2차내의 개폐밸브와 연결된 플로우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개폐밸브를, 이 개폐밸브체에서 연통구를 폐색할 때에, 연통구의 상단에 가지되는 보올밸브아 간섭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밸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스톱밸브에 의하면, 물의 유인이 완료하면, 유입구에서 유입하는 물의 부력, 혹은 수압으로 플로우트가 밀어 올려져서, 개폐밸브가 연통구를 폐색한다.
그후, 진공펌프를 정지시키면, 그 순간, 유출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그 공기압으로 보올밸브를 연통구에 억눌러 폐색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밸브동체이고, 본실시예에서는 1차실측의 하부밸브동체(12)와 2차실측의 상부밸브동체(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부밸브동체(12)은 하부에 유입구(14)를 설치하고, 또한, 상부에 후술하는 개폐밸브(23)를 승강자재하게 지지시키는 지지부재(15)를 일체로 설치함과 아울러, 그 지지부재(15)에 적당수량의 개구(16)(16)...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상부밸브동체(13)는 측부에 유출구(17)를 설치하고, 또한, 하부에 상기한 유출구(17)와 하부밸브동체(12)의 유입구(14)를 연통하는 유통구(18)를 설치한다.
19는 상부밸브동체(13)의 상부에 장착된 밸브캡이고, 상부밸브동체(13)내에 장입시켜 걸쳐놓은 안내통부(20)내로 보울밸브(21)를 장입시키고, 이 보울밸브(21)를 상부밸브동체(13)의 연통구(18)상단주연에 장착된 탄성링(22)위에 끼워놓는다.
23은 하부밸브동체(12)의 지지부재(15)에 밸브축(24)을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지지된 개폐밸브이고, 밸브축(24)의 하단에 장착된 플로우트(25)에 의하여 승강하여 상부밸브동체(13)의 연통구(18)의 하단주역을 개폐한다.
이 개폐밸브(23)는 상면(23a)을 이 개폐밸브(23)가 상부밸브동체(13)의 연통구(18)를 폐색할 때에, 상기한 연통구(18)의 상단주연에 장착한 탄성링(22)상에 설치한 보올밸브(21)와 간섭하도록 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연통구(18)를 보올밸브(21)와 동시에 폐색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스톱밸브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보올밸브(21)가 밸브캡(19)의 안내통부(20)내에서 상방으로 향해서 흡인이동되어 상부밸브동체(13)의 연통구(18)가 개방되고, 소방용펌프 및 흡입관내의 공기가 유입구(14), 개구(16)(16)... 연통구(18) 및 유출구(17)를 지나서 진공 펌프에 흡입되어 소방용펌프 및 흡입관의 내부가 배기감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방용펌프안은 진공상태로 되므로 소방용 펌프에는 수원에서 물이 흡입되어, 소방용펌프에 물의 유인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소방용펌프에 물의 유인이 완료하면, 소방용펌프에서 하부밸브동체(12)내로 물이 유입해 오므로, 물의 부력, 혹은 수압으로 플로우터(25)가 밀어올려져서, 개폐밸브(23)도 밸브축(24)을 개재하여 똑같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연통구(18)를 패색하고, 진공펌프로 물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후, 진공펌프를 정지하면, 그순간, 유출구(17)에서 상부밸브동체(13)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에 의하여 보올밸브(21)를 연통공(18)의 상부주연에 장착한 탄성링(22)으로 강압하고, 이번에는 개폐밸브(23)로 교체하여 보올밸브(21)가 연통공(18)을 패색한다.
이것에 의하여, 진공펌프를 정지하여도, 소방용펌프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소방용펌프의 낙수(落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톱밸브에 의하면, 체크밸브 기능을 보유함과 아울러, 물의 부력, 혹은 수압으로서 플로우트(25)를 밀어올려서 개폐밸브(23)가 연통구(18)를 폐색하므로, 소방용펌프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완전히 저지함과 아울러, 진공펌프에 물의 유입을 완전히 방지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체크밸브와 플로우트밸브가 달린 탱크를 부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진공펌프로의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의 형태가 소형으로 되고, 더우기 복잡한 배관등을 할 필요가 없다.
단, 무급유형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진공펌프가 티끌이나 먼지 등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달린 탱크를 부가하지만, 이 필터달린 탱크는 종래의 플로우트밸브가 달린 탱크에 비하여 대단히 소형으로 형태가 소형화하는 것은 큰 지장은 없다.
또, 본 고안의 스톱밸브에 의하면, 연통구(18)가 보올밸브(21)와 개폐밸브(23)에 의하여 동시에 폐색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연통구(18)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지 않고, 개폐밸브(23)가 정상으로 작동한다.
즉, 가령 연통구(18)가 보올밸브(21)와 개폐밸브(23)에 의하여 동시에 패색되면, 연통구(18)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고, 하부밸브동체(12)내의 물이 없어져도, 진공작용에 의하여 개폐밸브(23)가 연통구(18)를 패색한 대로되고, 이후, 진공펌프를 작동하여도 공기를 흡입할 수 없다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밸브동체(11)는 하부밸브동체(12)와 상부밸브동체(13)의 분할구조로 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적구조라도 좋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개폐밸브(23)는 그 밸브축(24)을 하부밸브동체(12)의 지지부재(15)에 슬라이드 자재하게 관통시켜서 승강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개폐밸브(23)의 밸브축(24)을 다이어프램에 일체로 부착하여 그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승강자재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이와같이 개폐밸브(23)를 다이어프램을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지지시키면, 슬라이드부분이 없어지므로 고장이 적다.
더우기, 본실시예에서는, 보올밸브(21)를 연통구(18)의 상단주연에 장착한 탄성링(22)으로 억눌러서 연통구(18)를 폐색하도록 하고 있지만, 보올밸브(21)를 연통구(18)의 상단주연에 직접 억눌러서 연통구(18)를 폐색해도 좋다.

Claims (1)

  1. 하부에 유입구(14), 상부에 유출구(17)를 설치하고, 그 유입구측의 1차실과 유출구측의 2차실을 연통하는 연통구(1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밸브동체(11)와, 상기한 1차실내에 연통구(1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밸브동체(11)와, 상기한 1차실내에 연통구(18)를 개폐하도록 승강자재하게 설치된 개폐밸브(23)와, 상기한 2차 실내에 연통구(18)를 개폐하도록 장입되는 보올밸브(21)와, 상기한 2차실내의 개폐밸브와 연결된 플로우트(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개폐밸브를, 이 개폐밸브에서 상기한 연통구를 폐색할 때에, 이 연통구의 상단에서 감지되는 보올밸브와 간섭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밸브.
KR2019910016190U 1990-10-02 1991-10-01 스톱밸브 KR01239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04110 1990-10-02
JP10411090U JP2535848Y2 (ja) 1990-10-02 1990-10-02 止水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071U KR920008071U (ko) 1992-05-19
KR0123963Y1 true KR0123963Y1 (ko) 1998-08-17

Family

ID=1437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190U KR0123963Y1 (ko) 1990-10-02 1991-10-01 스톱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35848Y2 (ko)
KR (1) KR0123963Y1 (ko)
AU (1) AU650475B2 (ko)
MY (1) MY107798A (ko)
TW (1) TW205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681B2 (ja) * 2004-03-29 2010-09-29 三菱樹脂株式会社 給水栓
KR100904314B1 (ko) * 2007-11-08 2009-06-23 최영수 탱크로리용 자동폐쇄밸브
JP5589031B2 (ja) * 2012-07-12 2014-09-10 株式会社ニフコ 弁装置
CN104728503A (zh) * 2015-01-15 2015-06-24 浙江万享科技有限公司 一种蒸发式冷却设备自动补水装置
CN108561594A (zh) * 2017-12-25 2018-09-21 渤海造船厂集团有限公司 水泵补水系统气液分离阀
CN110397599B (zh) * 2019-07-19 2020-09-25 江苏大学 一种应用于离心泵的自吸启动装置
CN112503234B (zh) * 2019-09-16 2022-12-0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平衡阀及使用该平衡阀的储液容器
CN117028590B (zh) * 2023-10-09 2023-12-05 福建辰消科技有限公司 一种高耐候性的消防栓阀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0041C (nl) * 1979-07-24 1982-09-16 Zutphen Ind Bv Vulklep voor gastank.
SE445780B (sv) * 1984-11-28 1986-07-14 Bo Hedlund Anordning for dosering av flytande medier, i synnerhet smorjmedel
SE463218B (sv) * 1989-02-21 1990-10-22 Flygt Ab Saett och anordning foer aastadkommande av aatercirkulation i avloppsvattenpumpsta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071U (ko) 1992-05-19
AU8375491A (en) 1992-04-09
AU650475B2 (en) 1994-06-23
JP2535848Y2 (ja) 1997-05-14
JPH0462481U (ko) 1992-05-28
MY107798A (en) 1996-06-29
TW205088B (ko) 199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706B2 (en) Vacuum-assisted pump
KR0123963Y1 (ko) 스톱밸브
US6250889B1 (en) Pump with improved priming
US3381618A (en) Self-priming system for horizontal pumps
US6722855B2 (en) Oil pumping device
GB2114237A (en) Fuel treatment device
US5263827A (en) Polyphase fluid diaphragm pump
US3802671A (en) Means preventing the extraction of fuel from the accelerating pump
US4119117A (en) Valve means of a device for removing lubricating oil
US4251240A (en) Pump valve assembly
US3620197A (en) Crankcase ventilating means for submerged engine operation
US2421237A (en) Air charger for jet pumps
KR101251711B1 (ko) 오일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한 폐쇄식 크랭크 케이스 통기장치
US2757616A (en) Priming valve for a centrifugal pump
US2215815A (en) Air control device
US4743171A (en) Marine installation including fuel/oil mixing device
US2734460A (en) Primer for centrifugal pump
JP2004036449A (ja) 燃料タンク用統合バルブ
JPH0625658Y2 (ja) 燃料供給装置
US4478239A (en) Fuel tank lid
GB2390122A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SE520987C2 (sv) Oljeavluftare
JP3049218U (ja) 圧力調整機能付き液圧タンク
JP2835683B2 (ja) 排気弁
JPS5930233Y2 (ja) 自動アンロ−ダ式空気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