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393A -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 Google Patents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393A
KR20230048393A KR1020237008114A KR20237008114A KR20230048393A KR 20230048393 A KR20230048393 A KR 20230048393A KR 1020237008114 A KR1020237008114 A KR 1020237008114A KR 20237008114 A KR20237008114 A KR 20237008114A KR 20230048393 A KR20230048393 A KR 2023004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low
mol
copolyetherester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라순다람 딜리라지
찬드라칸트 옴카르 비아스
고칼 쿠마르
Original Assignee
에스터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터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스터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3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9J1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올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융점은 90℃ 내지 170℃이다.

Description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본 출원은 2020년 8월 10일에 출원된 인도 가출원 제202011034280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올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융점은 90℃ 내지 170℃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될 때 기재에 도포되고 냉각되면서 접착제 층을 경화시키는 물질이며, 산업적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접착제 배합물이 150℃ 미만의 온도에서 도포되는 경우에, 그것은 저분자량 성분을 사용하거나 높은 왁스 함량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배합물은 낮은 도포 점도를 달성하지만 접착제 특성의 손실을 초래한다.
탄성 부착 용도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20-35%의 중합체를 함유한다. 이러한 중합체 함량은 높은 점도를 초래하므로, 전형적인 도포 온도는 160℃ 이상이다. 에너지 필요량 및 접착제 번-쓰루(burn-through) (뜨거운 접착제가 중합체성 기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융시키는 현상)뿐만 아니라 핫 멜트 접착제의 도포와 관련된 업무상 위험을 저감하기 위해, 더 낮은 온도에서의 핫 멜트 용도에 적합한 접착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헨켈 코포레이션(Henkel Corporation)에 양도된 US8987372에는 바람직한 열역학적 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저온 도포형 핫 멜트 접착제가 제공된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는 접착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즉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wt% 초과의 스티렌 함량을 사용한다.
보스틱 인크.(Bostik Inc.)에 양도된 US8129464에는 고연화점 중간-블록 점착부여제 및 SIS 공중합체, 즉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엘라스토머성 블록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을 이용하는 저온 도포형 핫 멜트 접착제가 다시 언급되어 있다.
네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먼트 홀딩 코포레이션(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에 양도된 US7019060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 우수한 접착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비닐 아세테이트를 갖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가 사용된다.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가공 및 사용이 용이한 저온 도포형 핫 멜트 접착제가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지방족 디올을 기재로 하고 여기서 테레프탈산의 몰 비율이 적어도 80 내지 98 mol%인,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방족 디올 함량이 적어도 0 내지 65 mol%의 모노에틸렌 글리콜 및 25 내지 98 mol%의 디에틸렌 글리콜이고 임의로 추가적인 글리콜이 첨가된 것인,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개발하는 것이다. 디올의 함량은 산의 전체 양/비율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목적은 산의 전체 양/비율을 기준으로 100 mol%의 디올 양 및 25 내지 5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인,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90℃ 내지 170℃의 융점을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목적은 텍스타일 산업에서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칩/펠렛 형태의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개발하는 것이다.
용어의 정의
편의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에, 명세서,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정한 용어들이 여기에 정리되어 있다. 이들 정의는 개시내용의 나머지 부분을 고려하여 독해되어야 하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수 표현은 해당 문법적 대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초과 (즉, 적어도 하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맥락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어 "포함하다", 및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태는 언급된 요소 또는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들의 군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들의 군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포함하는" 및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비, 농도, 양, 및 다른 숫값 데이터는 본원에서 범위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형식은 단지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사용되며, 범위의 한계값으로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숫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개별 숫값 또는 부분-범위를 마치 각각의 숫값 및 부분-범위가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포함하는 것으로 융통성 있게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5 내지 40 몰%는 5 내지 40 몰%의 명시적으로 언급된 한계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된 범위 내의 부분-범위, 예컨대 10 몰% 내지 30 몰%, 7 몰% 내지 25 몰% 등, 및 분수적 양을 포함하는 개별 양, 예컨대, 예를 들어 15.5 몰%, 29.1 몰%, 및 12.9 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현 "적어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재료 또는 양의 사용을 시사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사용은 원하는 목적 또는 결과 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문헌, 행위, 물질, 장치, 물품 등에 대한 임의의 논의는 본 개시내용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사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행 기술의 기본 사항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본 출원의 우선일 이전에 존재했던 개시내용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적인 일반 지식이라고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원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특징에 대해 상당한 강조가 이루어졌지만,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게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 또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본질에 대한 이들 및 다른 수정은 본원의 개시내용으로부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전술된 설명 사항은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분명히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에 사용된 약어
Figure pct00001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지방족 디올을 기재로 하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가 개발되며, 여기서 테레프탈산의 몰 비율은 전체 산 양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내지 98 mol%이고, 지방족 디올 함량은 적어도 0 내지 65 mol%의 모노에틸렌 글리콜, 25 내지 98 mol%의 디에틸렌 글리콜, 및 임의로 디올 양의 100 mol%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내지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적인 글리콜이고, 25 내지 5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제조를 위한 다른 첨가제는 안정화제, 안료, 형광 증백제, 및 산화방지제의 부류로부터 선택된다.
첨가제인, 안정화제 또는 형광 증백제는 삼산화안티모니, 아세트산코발트, 인산, 열 전도성 개선제 (PET의 경우), 예컨대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헌츠만(Huntsman)으로부터 알트리스(Altris) 500으로서 입수 가능함)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자외선광 안정화제, 예컨대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2-히드록시벤조페논;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HALS), 예컨대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옥살아닐리드, 이산화세륨 등.
안료는 카본 블랙, 프탈로시아닌, 퀴나크리돈, 니켈 아조 화합물, 모노 아조 착색제, 안트라퀴논 및 페릴렌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이르가녹스(irganox) 1010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이르가녹스 1076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이르가포스(irgafos) 126 (비스-(2,4-디-t-부틸페놀) 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및 이르가포스 168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올은 두 개의 히드록실 기 (-OH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지방족 디올은 글리콜이라고도 불린다. 용어 디올 또는 지방족 디올은 본 발명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수중 용융 과립화기 또는 수중 스트랜드 과립화기를 통해 세단된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는 9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의 융점을 갖는 칩/펠렛 형태로 제조되며 텍스타일 산업에서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품질 파라미터
고유 점도
고유 점도 (I.V.)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척도이며, 우벨로데(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묽은 용액에 의해 측정된다. 모든 고유 점도는 0.5% 농도의 페놀과 s-테트라클로로에탄의 60:40 혼합물에서 측정된다. 용매 및 용액의 유동 시간은 약 25℃의 온도로 유지되는 I.V. 수조에서 확인된다. I.V.인 η는 빌메이어(Billmeyer) 공식을 사용함으로써 단일 중합체 농도에 대한 상대 점도 ηr의 측정값으로부터 수득되었다:
IV = [η] = 0.25[(RV-1) + 3 ln RV] / c
여기서 η은 고유 점도이고, RV는 상대 점도이며; c는 중합체성 용액의 농도 (단위 g/dL)이다. 상대 점도 (RV)는 용액의 유동 시간 (t)과 순수한 용매 혼합물의 유동 시간 (t0) 사이의 비로부터 수득된다.
RV = nrel = 용액의 유동 시간 (t) / 용매의 유동 시간 (t0)
I.V.는 중합체의 가공성 및 최종 특성이 원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A' 등급으로 공인된 뷰렛이 IV 측정에 사용되었다.
DSC 분석
시차 주사 열량계 (DSC)는 모든 물질에 대한 유리 전이 온도 (Tg), 결정화 발열 피크 온도 (Tch), 피크 흡열 온도 (Tm), 결정화열 (ΔH) 및 융해열과 같은 중합체의 열적 거동을 정확하고도 빠르게 결정할 수 있는 열 분석기이다. 퍼킨-엘머(Perkin-Elmer) 모델 제이드(Jade) DSC가 분당 10℃의 가열 및 냉각 속도에서 모든 중합체 샘플의 열적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었다. 산화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퍼지가 이용되었다.
DSC 및 DGC에 의한 결정화도: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및 밀도 구배 컬럼 (DGC)이 중합체 샘플의 결정화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DSC에 의해, 결정화도는 중합체의 비열과 함께 Tm1 (가열 1 사이클)의 융해열 (ΔH)에 의해 계산된다. DGC (밀도 구배 컬럼)에 의해, 결정화도는 로이드(Lloyds) 밀도계에서 부유하는 공지된 표준 공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용융 점도 및 용융 유동 지수 (MFI):
용융 점도 및 용융 유동 지수 둘 다는 티니우스 올젠(Tinius Olsen) 플라스토미터(plastometer) (MP 600)를 사용하여 시험된다. 과립은 110℃에서 2시간 동안, 배럴 온도 170℃, 하중 2.16 kg에서 건조된다.
충격 강도:
필름 샘플의 충격 강도는 다트 충격 시험기에 의해 시험된다.
수지는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된다. 필름은 콜린 프레스(Collin Press)를 사용하여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어서 8℃ 미만에서 8시간 동안 냉동고에 보관되고 71℃에서 2시간 동안 건조된다.
필름 샘플의 다트 충격은 필름 중심부에서 자유 낙하 방법에 의해 공지된 다트 중량에 의해 확인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과 함께,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대표하고,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다.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의에 포함되는 변경 및 다른 사용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실시예 1:
기계식 교반기, 충전된 환류 컬럼, 질소 주입구 및 열원이 장착된 2 M3 부피 반응기에, 디에틸렌 글리콜 27.1 kg, 테레프탈산 36.6 kg, 삼산화안티모니 21.04 gm (안티모니로서 220 ppm) 및 아세트산코발트 18.58 g (코발트로서 55 ppm)을 첨가하였다. 에스테르화를 240-260℃의 온도에서 최대 3.0 bar의 압력 하에 2-3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에스테르화가 90% 완료된 후에, 반응기를 감압하고 인산을 첨가하였다. 제조된 BHET를 중축합 반응기로 옮겼다. PBT 칩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용융을 위해 60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중축합 반응을 240-270℃의 온도에서 0.2 torr 미만의 압력 하에 수행하였다. 충분한 용융 점도가 달성된 후에, 중합을 중단하였다. 용융된 중합체를 냉수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세단하여 펠릿을 형성하였다. 무정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635 dl/g이었으며, 반응기로부터의 생성물의 생산량은 98.5% 초과였다 (수율).
300μ 필름을 제조하고 또한 용융시킴으로써, 고유 점도 (I.V.), 용융 점도,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고, DSC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2:
기계식 교반기, 충전된 환류 컬럼, 질소 주입구 및 열원이 장착된 2 M3 부피 반응기에, 에틸렌 글리콜 12.4 kg, 16 wt% DEG, 테레프탈산 37.5 kg, 이소프탈산 4.0 kg, 삼산화안티모니 21.04 gm (안티모니로서 220 ppm) 및 아세트산코발트 18.58 g (코발트로서 55 ppm)을 첨가하였다. 에스테르화를 240-260℃의 온도에서 최대 3.0 bar의 압력 하에 2-3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에스테르화가 90% 완료된 후에, 반응기를 감압하고 인산을 첨가하였다. 제조된 BHET를 중축합 반응기로 옮겼다. PBT 칩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용융을 위해 60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중축합 반응을 240-270℃의 온도에서 0.2 torr 미만의 압력 하에 수행하였다. 충분한 용융 점도가 달성된 후에, 중합을 중단하였다. 용융된 중합체를 냉수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세단하여 펠릿을 형성하였다. 무정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435 dl/g이었으며, 반응기로부터의 생성물의 생산량은 98.1% 초과였다 (수율).
300μ 필름을 제조하고 또한 용융시킴으로써, 고유 점도 (I.V.), 용융 점도,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고, DSC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3:
기계식 교반기, 충전된 환류 컬럼, 질소 주입구 및 열원이 장착된 0.2 M3 부피 반응기에, 에틸렌 글리콜 9.4 kg, 16 wt% DEG, 테레프탈산 30.6 kg, 이소프탈산 4.0 kg, 삼산화안티모니 21.04 gm (안티모니로서 220 ppm) 및 아세트산코발트 18.58 g (코발트로서 55 ppm)을 첨가하였다. 에스테르화를 240-260℃의 온도에서 최대 3.0 bar의 압력 하에 2-3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에스테르화가 90% 완료된 후에, 반응기를 감압하고 인산을 첨가하였다. BHET를 중축합 반응기로 옮겼다. PEG-1500 여과 용액을 첨가하고 PEG 1500을 10분 동안 혼합한 후에, PBT 칩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용융을 위해 60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중축합 반응을 240-270℃의 온도에서 0.2 torr 미만의 압력 하에 수행하였다. 충분한 용융 점도가 달성된 후에, 중합을 중단하였다. 용융된 중합체를 냉수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세단하여 펠릿을 형성하였다. 무정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562 dl/g이었으며, 반응기로부터의 생성물의 생산량은 98.4% 초과였다 (수율).
300μ 필름을 제조하고 또한 용융시킴으로써 고유 점도 (I.V.), 용융 점도,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고, DSC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4 내지 7. 중합체의 제조. 표 1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중합체/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하였다. 코-폴리에스테르의 용융 온도 (Tm), 결정화 온도 (Tch), 및 Tg를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8.
소비-후 리사이클링된 (PC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박편을 사용한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합성.
기계식 교반기, 충전된 환류 컬럼, 질소 주입구 및 열원이 장착된 0.2 M3 부피 반응기에, 소비-후 리사이클링된 박편 32.7 kg, MEG 5.3 kg (소비-후 리사이클링된 박편의 당분해의 경우), 디에틸렌 글리콜 12.8 kg, 아세트산코발트 6.76 g (코발트로서 20 ppm)을 첨가하였다. 당분해를 240-250℃의 온도에서 2-3 bar의 범위의 압력 하에 1-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기를 감압하고 인산을 10분 내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BHET를 중축합 반응기로 옮겼다. PEG 1500 여과 용액을 첨가하고 PEG 1500을 10분 동안 혼합한 후에, PBT를 첨가하였다. 중축합 반응을 240-270℃의 온도에서 0.2 torr 미만의 압력 하에 수행하였다. 충분한 용융 점도가 달성되었을 때, 중합을 중단하고, 중합체를 바닥에 있는 다이를 통해 반응기로부터 회수하였다. 스트랜드로서 다이로부터 나온, 용융된 중합체를 냉수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세단하여 펠릿을 형성하였다. 무정형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464 dl/g이었으며, 반응기로부터의 생성물의 생산량은 약 98%였다 (수율).
먼저 중합체 펠릿을 회전식 건조기에 적재하고 내용물을 질소 스트림 하에 7시간에 걸쳐 60 내지 90℃까지 가열하여 결정화된 중합체를 얻음으로써, 중합체의 분자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정화 후에, DM 수공 및 1.0 내지 1.5 bar N2 압력을 건조기에 가하고 결정화된 펠릿을 15-20시간 동안 115℃까지 가열하였다. 최종 IV.를 달성한 후에, 진공을 가하고 중합체를 건조시키고, 냉각시키고, 체질한 후에 포장하였다. 이는 고체 상태 해중합에 영향을 미치고 분자량이 현저하게 감소되게 한다. 중합체의 고유 점도 (I.V.)는 약 0.386 dl/g이었다.
<표 1> 무정형 샘플의 분석
Figure pct00002
<표 2> 고체 상태 중합 샘플의 분석
Figure pct00003

Claims (12)

  1. 90℃ 내지 170℃의 융점을 갖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지방족 디올을 기재로 하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로서, 여기서 테레프탈산의 몰 비율은 전체 산 양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내지 98 mol%이고, 디올 함량은 적어도 0 내지 65 mol%의 모노에틸렌 글리콜, 25 내지 98 mol%의 디에틸렌 글리콜, 및 임의로 디올 양의 100 mol%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내지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적인 글리콜이고, 25 내지 5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 것인,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2.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1 내지 10 mol%의 혼합물로 에스테르화된, 80:20 내지 98:2의 몰비의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5 내지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을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5 내지 98 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mol%의 디에틸렌 글리콜 조성을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 내지 65 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ol%의 모노에틸렌 글리콜 조성을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6. 제1항에 있어서, 90 내지 17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의 융점을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7. 제1항에 있어서, 6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8. 제1항에 있어서, ISO/DIN 1133에 따라 측정 시, 160℃에서 200 포아즈 이상 및 500 포아즈 이하, 및 280℃에서 2000 포아즈 이상의 용융 점도를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9. 제1항에 있어서, 160℃에서 ASTM D 1238에 따라 측정 시 400 gm/10분 미만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10. 제1항에 있어서, ASTM D 1709에 따라 측정 시 500 gm 이상의 충격 강도를 갖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11. 제1항에 있어서, 칩/펠릿 형태로 제조되고 텍스타일 산업에서 핫 멜트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12. 제1항에 있어서, 수중 용융 과립화기 또는 수중 스트랜드 과립화기를 통해 세단된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KR1020237008114A 2020-08-10 2021-08-06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KR20230048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011034280 2020-08-10
IN202011034280 2020-08-10
PCT/IN2021/050755 WO2022034608A1 (en) 2020-08-10 2021-08-06 Low melt copolyether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393A true KR20230048393A (ko) 2023-04-11

Family

ID=8024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114A KR20230048393A (ko) 2020-08-10 2021-08-06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03766A1 (ko)
EP (1) EP4192913A1 (ko)
KR (1) KR20230048393A (ko)
CN (1) CN116096778A (ko)
WO (1) WO20220346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0724A (ja) * 1984-05-14 1985-11-29 Kuraray Co Ltd 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並びに該フイルムからなるホツトメルト接着剤
DE4430048C2 (de) * 1994-08-24 1997-10-09 Inventa Ag Copolyesterschmelzklebemassen und deren Verwendung
US7795320B2 (en) * 2006-01-27 2010-09-1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etheresters deriv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WO2010051679A1 (en) * 2008-11-04 2010-05-14 Zhongfu (Guanghan) Chemical Industrial Co., Ltd Low melting point copolyest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3766A1 (en) 2023-09-28
CN116096778A (zh) 2023-05-09
EP4192913A1 (en) 2023-06-14
WO2022034608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75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KR101457239B1 (ko) 비할로겐화 용매 중에서 높은 용해도를 갖는 결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용도
TWI689528B (zh) 聚碳酸酯樹脂、成形品及光學薄膜
CN103865248A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和成型品
JP2018515666A (ja) 衝撃特性が改善された高粘度ポリマー
EP0847411A1 (en) Pet copolyesters containing succinic an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moieties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TW200944551A (en) Halogen-free flame retardants
MXPA01012459A (es) Copoliesteres amorfos de viscosidad de fundicion baja con temperaturas de transicion de vidrio mejoradas.
KR102257040B1 (ko) 설폰화된 코-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제조 방법
SG193608A1 (en) Fully aromatic polyester an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WI794233B (zh) 具有升高的白度指數的脂肪族-芳香族聚酯
EP1319678B1 (en) Wholly aromatic polyester an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20150002624A (ko) 중합체, 이의 합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BR112019014273A2 (pt) Poliéster, processo de preparação do poliéster, composição, e, artigo plástico.
EP4267651A1 (en) Improved polyester composition for extrusion blow molded containers
JPH0251524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30048393A (ko) 저융점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JP2019523156A (ja) 3d印刷物を製造するための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
JP530942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2008105000A2 (en) Controlled branched polyest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S58167643A (ja) 強化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ト、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法
JP2006219514A (ja) 柔軟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019525988A (ja) 光学物品の製造のための非晶質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
JP6705287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
JPS59152925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とビス(4−ベ−タヒドロキシエトキシフエニル)スルホンとの共重合エステ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