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101A - 접합체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체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101A
KR20230048101A KR1020237007610A KR20237007610A KR20230048101A KR 20230048101 A KR20230048101 A KR 20230048101A KR 1020237007610 A KR1020237007610 A KR 1020237007610A KR 20237007610 A KR20237007610 A KR 20237007610A KR 20230048101 A KR20230048101 A KR 2023004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pee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후미 고사카
요스케 시미즈
겐타 구마쿠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56Moi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9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steam or d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4Glass
    • C09J2400/143Glass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에 있어서, 점착제가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했을 경우여도, 점착제의 박리가 가능한 접합체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를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는,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방법은,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체의 분리 방법
본 발명은, 접합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8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13321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 (감압 접착제라고도 한다. 이하 동일.) 는,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부드러운 고체 (점탄성체) 의 상태를 나타내고,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피착체에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다. 이와 같은 성질을 살려, 점착제는,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지지체 부착 점착 시트의 형태로, 혹은 지지체를 갖지 않는 지지체리스 점착 시트의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상기 점착제는, 사용후, 필요한 경우에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된다. 점착 시트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 을 들 수 있다. 피착체로부터 점착제를 박리하는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2 ∼ 5 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2020-23656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2004-83177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2017-77947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2017-176989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2019-135180호
최근, 환경 부하 저감이나 자원 절약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된 부재를, 사용후에 제품으로부터 분리하여, 재이용 (리사이클, 리유스 등)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PC (데스크탑형, 노트형, 태블릿형 등), 텔레비전 등의 표시 기능을 갖는 제품에 내장된 표시 장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 복수 또한 이종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 부재마다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사이클이나 리유스 등에 의해 재이용하는 것의 이점이 크다.
부재 등의 피착체에 접착된 점착제는, 통상, 점착제 그 자체의 재박리성을 이용하여 피착체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부재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높은 접합 신뢰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높다. 그 때문에, 대체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 (재박리성) 이 저하되기 쉽다. 또, 표시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유리 등과 같은 경취성의 부재나 얇은 두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점착제의 박리시에 부재가 균열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과 재박리성을 양립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접합시에 있어서의 내수 신뢰성이 개선된 점착 시트 (수 (水) 박리성 점착 시트) 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재박리성이 우수한 점착제여도, 장기간에 걸쳐 사용된 경우, 사용 환경의 이력 등으로 인해, 접착력이 상승하여, 의도한 재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착제는, 피착체에 강고하게 접착하고 있고, 온수 침지나 초음파 진동 등을 이용해도, 박리에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박리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재이용의 장해가 되고 있다. 점착제를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부재를 접합하거나 하여 당해 점착제가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경우여도, 피착체로부터 점착제를 박리할 수 있어,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이며,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에 있어서, 점착제가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경우여도, 점착제의 박리가 가능한 접합체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를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는, 수 (水) 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점착제가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접합체여도, 점착제를 부재로부터 박리할 수 있어, 접합체의 분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수박리성 점착제가, 장기 접합 등으로 인해, 수성 액체를 이용한 수박리로는 점착제를 부재로부터 박리할 수 없는 경우 (즉, 수박리성이 실활된 경우) 에, 상기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점착제의 박리가 가능해진다. 또, 스팀 공급에 의한 박리 (스팀 박리) 는, 온수 침지나 초음파 진동과 비교해서, 단시간에 의한 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박리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특허문헌 2 ∼ 5 에는, 스팀 박리에 관한 기재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2 에는, 알루미늄판이나 철판, 아크릴판에 첩부되어 5 년 경과한 점착제 시트에 대해, 고온, 고압 수증기를 내뿜어,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 4 에는, 열팽창성 필러를 포함하는 가열 박리형 점착 라벨을, 고온 수증기를 내뿜어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에도, 피착체에 접착된 점착제의 박리시에, 박리 보조 부재와 함께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 문헌은, 그 적용 대상이, 표시 장치의 부재 (경취성이거나 얇은 두께이거나 하기 때문에, 박리시에 파손되기 쉬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를,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수박리성 점착제로 접합한 것이 아니고, 표시 장치용의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를, 당해 부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하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유리 부재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의 박리 방법, 즉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대한 스팀 박리) 에 의하면, 피착체가, 경취성의 유리 부재여도, 당해 유리 부재를 파손 (전형적으로는 균열) 시키지 않고, 부재의 분리가 가능하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부재의 일방은 유리 부재이며, 타방은 두께가 2 ㎜ 이하인 표시 부재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에 의하면, 접합되어 있는 부재가 경취성의 유리 부재와, 두께 2 ㎜ 이하의 얇은 두께의 표시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여도, 유리 부재 및 표시 부재를 파손 (전형적으로는 균열이나 찢어짐) 시키지 않고, 부재의 분리가 가능하다.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점착제 중의 상기 수친화제의 함유량은, 그 점착제에 포함되는 폴리머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3.00 중량부이다. 표시 장치의 용도에 허용되는 제한된 양의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의 박리에,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효과적이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두께가 100 ㎛ 이상인 점착제층이다. 두께가 큰 점착제는, 점착력이 높고, 시간 경과적 점착력이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박리가 곤란해지기 쉽다. 그러한 점착제층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는 10 % 이하이다. 저헤이즈치의 점착제층은, 피착체의 광학 특성을 저해하기 어려워, 표시 장치 용도에 바람직하다. 저헤이즈치의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성이 높은 재료의 사용에 더해, 첨가제의 사용량을 제한하거나 첨가제의 종류를 선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스팀의 공급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스팀의 분사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의 온도는, 그 스팀을 토출하는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1 ㎝ 의 거리에 있어서 70 ℃ 이상 10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의 스팀 분사를 실시함으로써, 피착체인 부재의 열변질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하면서, 당해 부재로부터 점착제를 단시간에 박리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방법은,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2 개의 부재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수박리 가능한지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박리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부재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지점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실시되는 박리이다. 그리고, 상기 수박리가 가능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본래, 수박리에 의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가능했지만, 수박리성이 손상된 수박리성 실활 점착제의 박리에 특히 바람직하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재이용의 장점이 큰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분리에 바람직하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합체의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교시와 출원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제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접합체의 분리 방법>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접합체로부터, 당해 부재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합체는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이다. 이하,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의 실시형태를 도 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이러한 양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접합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합체이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 표시 장치에 접합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합체 (100) 는, 제 1 부재 (120) 로서의 표시 부재와, 제 2 부재 (140) 로서의 유리 부재가, 점착제 (1) 에 의해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접합체 (100) 는, 분리 대상이 되는 적어도 2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층상체가 적층된 다층 구조체일 수 있다. 또, 상기 2 개의 부재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지점 이외의 일부에서 연속된 것이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부재 (120) 로서의 표시 부재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체 (100) 가 다층 구조체인 양태에서는, 제 1 부재 (120) 는 시트상 또는 판상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 (표시 부재) (120) 는, 두께가 2 ㎜ 이하이다. 또한, 제 1 부재 (120) 는 표시 부재가 아니어도 된다. 접합체 (100) 는, 제 1 부재 (120) 및 제 2 부재 (140) 가 함께 투명 부재 (예를 들어 적어도 일방이 유리 부재) 인 양태 등, 여러 가지의 형태일 수 있다.
제 2 부재 (140) 로서의 유리 부재는, 유리 재료를 포함하는 부재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판상의 부재 (전형적으로는 유리판) 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체 (100) 가 다층 구조체인 양태에서는, 제 2 부재 (140) 는, 시트상 또는 판상일 수 있다. 유리 부재는, 전형적으로는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재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점착제 (1) 와 접착하는 표면 (점착제측 표면) (140A) 이 유리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유리 부재는,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 (100) 에 있어서, 통상,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부재이다. 제 2 부재 (140) 는 유리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비유리제 (예를 들어 수지제) 의 광학 부재여도 되고, 비유리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부재 (예를 들어 투명 수지 부재) 여도 된다.
점착제 (1) 는,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제 (1) 는, 시트상 (점착 시트) 의 형태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양면 접착성의 기재리스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를 갖는다. 점착제 (1) 는, 층상 (즉 점착제층) 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점착제 (1) 는, 그 일방의 표면 (제 1 점착면) (1A) 이 제 1 부재 (120) 에 접착하고 있고, 타방의 표면 (제 2 점착면) (1B) 이 제 2 부재 (140) 에 접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는, 시트상, 층상이라고 해야 할 점착제 (1)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제 (1) 는, 100 ㎛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점착제 (1) 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제이며, 헤이즈치가 10 % 이하이다.
점착제 (1) 는, 상기와 같이 수친화제를 포함하고, 본래라면 수박리에 의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가능한 수박리성 점착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 이력 때문에, 수박리성이 손상된 수박리성 실활 점착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점착제 (1) 는,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에 강고하게 접착하고, 통상 (通常) 박리뿐만 아니라, 수박리에 의해서도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로부터 점착제 (1) 를 박리하는 것이 곤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온수 침지나 초음파 진동 등을 이용해도 박리가 곤란한 상태로까지, 제 1 부재 (120) 및 제 2 부재 (140) 와 강고하게 접착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사상은, 예를 들어, 점착제 (1) 를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부재를 접합하여, 점착력이 과도하게 상승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박리 및 수박리성이란,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이용한 박리 및 박리 (수박리) 의 용이성 (수박리성) 을 말하고, 수박리란, 예를 들어, 점착제 (점착제층,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의 점착면과 피착체 표면의 박리 전선 (양자의 접착 계면으로부터 박리 (분리) 가 시작되는 지점) 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점착제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말한다.
(스팀 박리)
상기와 같이, 통상 박리나 수박리로는 박리가 곤란해진 점착제 (1) 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팀 (200) 을 공급하여 박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접합체 (100) 의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를 접합하는 점착제 (1) 를 향하여 스팀 (200) 을 공급하여,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점착제 (1) 를 박리한다 (스팀 박리). 스팀 (200) 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스팀 (200) 의 분사이며, 시판되는 스팀 분사기 (250) 를 사용하여, 당해 스팀 분사기의 노즐 (스팀 토출 노즐) (260) 로부터, 스팀 (200) 을 점착제 (1) 를 향하여 내뿜는다. 구체적으로는, 부재 (제 1 부재 (120) 및/또는 제 2 부재 (140)) 로부터의 점착제 (1) 의 박리 전선 (양자의 접착 계면으로부터 박리 (분리) 가 시작되는 지점) 에 있어서, 상기 부재와 점착제 (1) 의 계면에, 스팀 (200) 을 내뿜으면서, 상기 박리 전선을 이동시켜, 박리를 진행시킨다. 이로써,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점착제 (1) 를 단시간 내에 박리할 수 있다. 스팀 분사기 (250) 의 구성은, 공지 내지 관용의 구성이면 되고, 특정한 구조 등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팀 박리는, 제 1 부재 (120) 와 제 2 부재 (140) 를 접합하는 점착제 (1) 를 향하여 스팀 (200) 을 직접 쏘아 실시할 수 있지만, 제 1 부재 (120) 또는 제 2 부재 (140) 와 점착제 (1) 의 접착면의 단부에 커터나 주걱으로 박리의 계기를 만들고, 그 부분에 스팀 (200) 을 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 스팀 박리에서는, 글로브로 보호된 손이나,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제 1 부재 (120) 및/또는 제 2 부재 (140) 와 점착제 (1) 의 적어도 일방을 파지하여, 박리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적당한 힘을 가하면서, 박리 전선에 스팀 (200) 을 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200) 은,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 (120) 와 점착제 (1) 의 계면이며 양자의 박리 전선이 되는 지점에 내뿜어도 되고, 혹은 제 2 부재 (140) 와 점착제 (1) 의 계면이며 양자의 박리 전선이 되는 지점에 내뿜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부재 (120) 가 표시 부재이며, 제 2 부재 (140) 가 유리 부재인 양태에서는, 제 2 부재 (140) 인 유리 부재와 점착제 (1) 의 계면이나 계면 부근에 스팀 (200) 을 내뿜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1) 와 유리 표면의 사이에 스팀 (200) 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스무드하게 점착제 (1) 를 박리할 수 있다.
스팀 (200) 의 온도는, 충분한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토출시에는 100 ℃ 부근 또는 100 ℃ 이상의 온도인 것이 적당하지만, 점착제 (1) 와 피착체의 박리 전선을 향하여 충분한 열과 수분 (수증기 등) 을 공급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80 ℃ 정도 이상이어도 된다. 또, 작업자의 안전 확보나, 피착체의 열변질 방지 등의 관점에서, 스팀 (200) 의 온도를 과도하게 고온으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200) 의 온도는, 스팀 (200) 을 토출하는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1 ㎝ 의 거리에 있어서 100 ℃ 미만 (예를 들어 70 ℃ 이상 1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90 ℃ 이하)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200) 의 토출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팀 박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압 (구체적으로는 1 기압) 이상이면 되고, 1.5 기압 이상 (예를 들어 2 기압 이상) 이 바람직하다. 또,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5 기압 이하 (예를 들어 4 기압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온도 범위 및 토출 압력 범위에 있어서, 스팀 (200) 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추가로 수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액화한 물방울 (전형적으로는 미립상의 물방울) 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200) 의 토출량은, 스팀 분사기 (250) 의 사양이나, 스팀 (200) 의 토출 압력, 점착제 (1) 의 박리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고, 특정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팀 박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점착제 (1) 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통상 박리나 수박리로는 박리가 곤란해진 접합체 (100) 여도, 점착제 (1) 를 제 1 부재 (120) 나 제 2 부재 (140) 로부터 박리할 수 있어, 접합체 (100) 의 분리 (해체) 가 가능하다.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는, 유리 등의 경취성의 부재나 얇은 두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방법에 의하면, 피착체를 파손시키지 않고 점착제를 부재로부터 박리 가능하고, 당해 박리를 단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다.
(수박리 가능성의 판정)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스팀 박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박리에 의해서는 박리가 곤란해진 점착제 (바꾸어 말하면, 수박리성 실활 점착제) 를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접합체 분리 방법은,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하기 전에,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로부터 점착제를 수박리 가능한지 판정하는 공정 (수박리 가능성의 판정 공정) 을 포함하고, 수박리가 가능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당해 점착제를 향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팀을 공급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점착제가 부재로부터 수박리 가능한지 여부는, 통상, 외관으로는 판별하기 어렵다. 특히, 표시 장치에 바람직한 광학용 점착제는 투명성이 높고, 외관으로부터 점착력의 변화를 검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수박리 가능성의 판정은, 전형적으로는, 실제로 수박리에 의한 점착제의 박리를 시도하는 공정일 수 있다. 수박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접합체 분리 방법은, 수박리 가능성의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장기 접합 등으로 인해 수박리성이 손상된 수박리성 실활 점착제에 대해, 부재로부터의 박리를 효율적 또한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점착제의 접착 상태)
또한, 상기 스팀 박리의 전에,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 (전형적으로는 점착 시트) 는, 통상 박리에 의해서는 당해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어, 점착제는,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접합체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를 고정하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했을 때의 통상 박리력이 10 N/20 ㎜ 이상이 되는 접착 강도로 상기 부재와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상 박리력은, 예를 들어 15 N/20 ㎜ 이상이며, 20 N/20 ㎜ 이상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25 N/20 ㎜ 이상 (전형적으로는 28 N/20 ㎜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접착 강도로 부재에 접착된 점착제는, 통상적인 박리 방법에 의해서는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피착체가 파손되기 쉬운 등 원활한 박리가 곤란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박리 불가로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에 있어서, 포스 게이지로는, 사토테크사 제조의 제품명「디지털 포스 게이지 FG-5100」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수박리력, 온수 침지 박리력, 스팀 박리력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기 스팀 박리의 전에,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 (전형적으로는 점착 시트) 는, 수박리로는 당해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점착제는,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접합체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를 고정하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점착제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박리 전선) 에 20μL 의 증류수를 공급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했을 때의 수박리력이 10 N/20 ㎜ 이상이 되는 접착 강도로 상기 부재와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박리력은, 예를 들어 15 N/20 ㎜ 이상이며, 20 N/20 ㎜ 이상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25 N/20 ㎜ 이상 (전형적으로는 28 N/20 ㎜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접착 강도로 부재에 접착된 점착제는, 수박리에 의해서는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피착체가 파손되기 쉬운 등 원활한 박리가 곤란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박리 불가로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팀 박리의 전에,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 (전형적으로는 점착 시트) 는, 온수 침지 수박리로는 당해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어려운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는, 당해 점착제를 포함하는 접합체 전체를 60 ℃ 의 온수에 10 분간 침지하고, 온수에 침지한 상태로, 접합체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를 고정하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했을 때의 온수 침지 박리력이 10 N/20 ㎜ 이상이 되는 접착 강도로 상기 부재와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온수 침지 박리력은, 예를 들어 12 N/20 ㎜ 이상이며, 나아가서는 15 N/20 ㎜ 이상 (전형적으로는 28 N/20 ㎜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접착 강도로 부재에 접착된 점착제는, 온수 침지 박리에 의해서는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피착체가 파손되기 쉬운 등 원활한 박리가 곤란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박리 불가로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또,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 (전형적으로는 점착 시트) 는, 예를 들어, 당해 점착제를 포함하는 접합체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를 고정하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스팀을 점착제의 박리 전선에 내뿜으면서 손 박리했을 때의 스팀 박리력이 10 N/20 ㎜ 미만이 되는 접착 강도로 상기 부재와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 강도로 부재에 접착된 점착제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에 의한 효과는 바람직하게 발휘된다. 상기 스팀 박리력의 측정에 있어서, 스팀의 분사는, 스팀 분사기 (아이리스오오야마사 제조, 제품명「STM-304 N」) 를 사용하여, 3 기압, 노즐 선단으로부터 거리 1 ㎝ 에 있어서의 온도 70 ∼ 80 ℃ 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수박리>
수박리는,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부재로부터의 점착제의 박리 전선에 있어서 상기 부재와 상기 점착제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박리 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박리하는 수박리 공정을 말한다.
수성 액체로는, 물 또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에, 필요에 따라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매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용매로는, 물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저급 알코올 (예를 들어 에틸알코올) 이나 저급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공지된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수성 액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환경 위생의 관점에서, 수성 액체로서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순도나 입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수돗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액체의 온도는, 통상, 상온의 범위 (10 ℃ ∼ 35 ℃) 이지만, 35 ℃ 이상 90 ℃ 미만 (예를 들어 40 ℃ 이상 60 ℃ 이하) 의 온수를 사용해도 된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박리는, 부재에 첩부된 점착제(층) 의 외연 부근에 수성 액체를 공급하고, 그 수성 액체를 상기 점착제의 외연으로부터 그 점착제와 상기 부재의 계면에 진입시킨 후, 새로운 물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고 (즉, 박리 개시전에 부재에 공급한 수성 액체만을 이용하여) 점착제의 박리를 진행시키는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박리 공정의 도중에, 박리 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점착제와 부재의 계면에 진입시키는 물이 도중에 고갈될 것 같으면, 그 수박리 공정의 개시 후에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물을 추가 공급해도 된다.
박리 개시전에 공급하는 수성 액체의 양은, 점착제(층) 의 첩부 범위 외로부터 그 점착제와 부재의 계면에 상기 수성 액체를 도입할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은, 예를 들어 5μL 이상이어도 되고, 10μL 이상이 적당하고, 20μL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의 상한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작업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은, 예를 들어 10 mL 이하여도 되고, 5 mL 이하여도 되고, 1 mL 이하여도 되고, 0.5 mL 이하여도 되고, 0.1 mL 이하여도 되고, 0.05 mL 이하여도 된다.
박리 개시시에 상기 점착제의 외연으로부터 그 점착제(층) 과 상기 부재의 계면에 수성 액체를 진입시키는 조작은, 예를 들어, 점착제의 외연에 있어서 상기 계면에 커터 나이프나 바늘 등의 지그의 선단을 끼워넣고, 점착제의 외연을 갈고리나 손톱 등으로 긁어 들어 올리는, 강점착성의 점착 테이프나 흡반 등을 접합체의 외연 부근의 배면에 부착시켜 그 점착제의 끝을 들어 올리는 등의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수박리 공정은, 상기 박리 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박리 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를 20 ㎜/분 이상의 인장 속도로 박리하는 것에 상당한다. 상기 박리 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예를 들어 50 ㎜/분 이상이어도 되고, 150 ㎜/분 이상이어도 되고, 300 ㎜/분 이상이어도 되고, 500 ㎜/분 이상이어도 된다. 박리 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박리 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예를 들어 1000 ㎜/분 이하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수박리는, 예를 들어, 그 방법에 사용하는 수성 액체 (예를 들어 물) 의 체적 10μL 당 점착제(층) 의 박리 면적이, 예를 들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 되는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접합체 구성 부재>
여기에 개시되는 접합체는,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이다. 상기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폴더블 표시 장치나 차재용의 표시 장치와 같이 고가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또 상기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가능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리사이클, 리유스 등의 요청이 강하여,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특히 가치가 있다.
상기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로는, 점착제 (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 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층상체가 적층된 다층 구조체일 수 있다. 그러한 접합체 (전형적으로는 다층 구조체) 는, 표시 부재나, 투명 부재 등의 광학 부재, 그 밖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종의 상이한 부재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접합체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접합체 분리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사용후의 제품에 포함되는 부재를 유효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부재는, 예를 들어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 고정, 접합, 성형, 장식, 보호, 지지 등의 목적으로 점착제에 첩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점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표시 부재는, 표시 장치의 표시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이며, 그것 이외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러 가지의 재료 (광학 재료나 발광 요소 등을 포함한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표시 부재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PDP, 터치 패널 등이나, 그들의 표시부 (표시 유닛) 등일 수 있다. 또한, 패널은 시트나 필름으로 바꿔 말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트상 또는 판상의 형상을 갖는다. 표시 부재는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변형성이나 유연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그러한 표시 부재는,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나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표시 부재로서 바람직하다.
표시 부재의 두께는, 특정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1 ∼ 5 ㎜ (예를 들어 0.5 ∼ 2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가 2 ㎜ 이하 (예를 들어 1 ㎜ 이하, 나아가서는 300 ㎛ 이하, 전형적으로는 100 ㎛ 이하) 인 표시 부재로부터의 점착제의 박리에 있어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하여, 두께가 얇고 강도가 낮은 표시 부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시 부재의 두께는, 대략 50 ㎛ 이하여도 되고, 30 ㎛ 이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용 접합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바람직한 예로서, 광학 부재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 부재란, 표시 장치 (전형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 에 있어서, 광학적 특성 (예를 들어, 편광성, 광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 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광학 부재의 예로는,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하드 코트 (HC) 필름, 충격 흡수 필름, 방오 필름, 포토크로믹 필름, 조광 필름, 투명 도전 필름 (ITO 필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나아가서는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 (이들을 총칭하여「기능성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판」및「필름」은, 각각 판상, 필름상, 시트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편광 필름」은「편광판」,「편광 시트」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광학 부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 (예를 들어 시트상이나 필름상, 판상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광학 부재」에는,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가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 (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 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표면을 구성하는 재질은, 예를 들어, 알칼리 유리판이나 무알칼리 유리 등의 유리 ; 스테인리스강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세라믹 재료 ; 아크릴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투명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수지 재료 ; 등일 수 있다. 부재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유리, 상기 세라믹 재료, 상기 금속 재료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점착제가 첩부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와 같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광학 부재일 수 있다.
접합체를 구성하는 부재는,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알키드계, 멜라민계, 우레탄계, 산에폭시 가교계, 혹은 이들의 복합계 (예를 들어 아크릴 멜라민계, 알키드 멜라민계) 등의 도료에 의한 도장면이나, 아연 도금 강판 등의 도금면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접합체를 구성하는 부재는, 유리 등의 취성 재료 (전형적으로는 경취 재료) 를 포함하는 유리 부재이다. 예를 들어,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유리 재료 등의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합체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접합체 분리 방법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유리와 같은 딱딱하고 깨지기 쉬운 재료는, 그곳에 첩부된 점착제를 벗길 때의 힘에 다 견딜 수 없어 파손되는 경우가 있지만,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유리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일으키지 않고, 점착제를 부재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유리 부재의 전형적인 예로는, 판형상을 갖는 유리판을 들 수 있다.
유리 부재의 사이즈는 특정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유리 부재 (예를 들어 유리판) 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5 ㎜ (예를 들어 0.5 ∼ 2 ㎜) 일 수 있다. 유리 부재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 ∼ 1 m (예를 들어 50 ㎜ 이상, 나아가서는 100 ㎜ 이상이며, 500 ㎜ 이하) 이다. 이와 같은 사이즈의 유리 부재로부터 점착제를 박리할 때에,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유리 부재 (예를 들어 유리판) 의 길이는, 유리 부재의 면방향에 있어서 최대의 길이를 갖는 부분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접합체를 구성하는 2 개의 부재 가운데, 일방은 유리 부재이며, 타방은 표시 부재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에 의하면, 점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부재가 경취성의 유리 부재와 표시 부재 (예를 들어 두께가 2 ㎜ 이하인 얇은 두께의 부재) 를 포함하는 경우여, 스팀 박리를 실시함으로써, 유리 부재 및 표시 부재를 파손 (전형적으로는 균열이나 찢어짐) 시키지 않고, 상기 2 개의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팀 박리의 스팀은, 박리성 향상의 관점에서, 유리 부재와 점착제의 박리 전선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재는, 그 표면이 친수화 처리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광학 부재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나, 친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친수 코팅 처리 등의 친수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처리가 실시된 부재 등일 수 있다. 그러한 친수화 처리면을 갖는 부재 등은, 친수성이 향상되어, 수접촉각이 소정치 이하로 제한된 것이 되므로,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의 박리에 바람직하다.
접합체를 구성하는 부재가 판형상 또는 시트 형상을 갖는 양태에 있어서, 그 최대 두께는 5 ㎜ 이하 (예를 들어 2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정도일 수 있다. 그러한 최대 두께를 갖는 부재는, 통상, 외력에 대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바,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부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당해 부재로부터 점착제를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다. 판형상 또는 시트 형상을 갖는 부재의 두께는, 통상, 예를 들어 0.1 ∼ 5 ㎜ (예를 들어 0.5 ∼ 2 ㎜) 일 수 있다.
점착제에 의해 부재가 접합된 접합체는, 점착제에 의한 접합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기간이 경과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체를 포함하는 제품이, 사용후, 리사이클 등을 목적으로 하여 회수될 때까지, 나아가서는 상기 제품이 제품 수명을 끝낼 때까지 (예를 들어 6 개월 이상, 나아가서는 1 년 이상, 혹은 3 년 이상, 5 년 이상일 수 있다.), 점착제에 의한 접합 상태가 계속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는, 사용 환경 등으로 인해, 접착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의도한 재박리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성 액체를 사용한 수박리가 가능한,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수박리성 점착제여도, 장기간 경과한 것은, 원하는 수박리성이 실활되어 버려, 재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된 점착제를 포함하는 접합체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당해 접합체의 분리가 바람직하게 실현된다.
상기 접합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부재의 접합시에는 점착제에 의한 높은 접착 신뢰성이 요구되는 한편, 구성 부재의 수리나 교환, 검사, 리사이클 등을 할 때에 스무드한 제거가 요구되는 전자 기기 (바람직하게는 휴대형 전자 기기) 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 폰, 태블릿형 PC, 노트북 컴퓨터, 각종 웨어러블 기기 (예를 들어, 손목시계와 같이 손목에 장착하는 리스트 웨어형, 클립이나 스트랩 등으로 몸의 일부에 장착하는 모듈러형, 안경형 (단안형이나 양안형. 헤드 마운트형도 포함한다.) 을 포함하는 아이웨어형, 셔츠나 양말, 모자 등에 예를 들어 악세사리의 형태로 장착하는 의복형, 이어폰과 같이 귀에 장착하는 이어웨어형 등),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음향 기기 (휴대 음악 플레이어, IC 레코더 등), 계산기 (전자식 탁상 계산기 등), 휴대 게임 기기, 전자 사전, 전자 수첩, 전자 서적, 차재용 정보 기기, 휴대 라디오, 휴대 TV, 휴대 프린터, 휴대 스캐너, 휴대 모뎀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장치는, 데스크탑형 PC 나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액정, 플라즈마, 유기 EL 등) 등의 전자 기기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휴대」란, 단순히 휴대하는 것이 가능한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개인 (표준적인 성인) 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운반 가능한 레벨의 휴대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점착제>
상기 접합체에 있어서, 부재를 접합하는 점착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점상,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인 패턴에 의해 상기 부재를 접합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층상의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점착제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리스 양면 점착 시트로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기재층 등의 중간층을 갖는 양면 접착성의 점착 시트 (양면 점착 시트) 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점착 시트는, 중간층의 각 면 (모두 비박리성) 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단층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의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점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간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당해 중간층은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그 경우, 점착 시트는, 당해 점착 시트의 표면을 구성하는 제 1, 제 2 점착제층과 중간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 층의 점착제층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체에 있어서,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점착제 (점착제층,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 동일.) 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이들의 혼합계 등),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착제일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점착제란, 아크릴계 중합물을 주성분 (베이스 폴리머) 으로 하는 점착제를 말한다. 고무계 점착제 그 밖의 점착제에 대해서도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점착제의「베이스 폴리머」란, 그 점착제에 포함되는 고무상 폴리머의 주성분을 말하고, 그 이외에는, 전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무상 폴리머란,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말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주성분」이란, 중량 기준으로, 함유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로 포함되는 성분을 말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점착제가 3 성분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당해 점착제 중의 주성분의 함유량은 34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아크릴계 중합물」이란, 아크릴계 모노머를 50 중량% 보다 많이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중합물을 말하고, 아크릴계 폴리머라고도 한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모노머를 말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아크릴계 점착제)
몇몇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의 구성 재료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일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이나 내후성, 설계의 자유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다. 높은 투명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광학 용도, 나아가서는 표시 장치용의 접합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 말단에 탄소 원자수 1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33 중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된 아크릴계 중합물을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탄소 원자수가 X 이상 Y 이하인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메트)아크릴산 CX-Y 알킬에스테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특성의 밸런스를 잡기 쉬운 점에서, 몇몇 양태에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 전체 중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35 중량% 이상이며, 50 중량% 이상이 적당하고, 55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성분 중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99.9 중량% 이하여도 되고, 99 중량% 이하여도 되고, 95 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 전체에서 차지하는 C1-20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점착제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85 중량% 이하여도 되고, 75 중량% 이하여도 되고, 65 중량% 이하여도 된다.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적어도 (메트)아크릴산 C4-20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산n-부틸 (BA)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 (2EHA) 의 일방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BA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필요에 따라,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 (공중합성 모노머)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성 모노머로는, 극성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수산기, 질소 원자 함유 고리 등) 를 갖는 모노머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비교적 높은 (예를 들어 10 ℃ 이상의)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계 중합물에 가교점을 도입하거나,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또는 인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 숙신이미드 골격을 갖는 모노머, 말레이미드류, (메트)아크릴산아미노알킬류,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올레핀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그 외,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등의 복소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이나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규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바람직한 예인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메트)아크릴로일-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비닐모르폴린,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N-비닐피라졸, N-비닐이소옥사졸, N-비닐티아졸, N-비닐이소티아졸, N-비닐피리다진 등 (예를 들어, N-비닐-2-카프로락탐 등의 락탐류) 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전체의 0.01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 효과를 보다 좋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을 모노머 성분 전체의 0.1 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0.5 중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잡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6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0 중량% 이하여도 되고, 40 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에 의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가교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에 의한 가교) 의 정도를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HEA) 이나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4HBA) 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15 중량% 이상이며, 20 중량% 이상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이다. 또, 점착제의 흡수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몇몇 양태에 있어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예를 들어 5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45 중량% 이하) 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40 중량% 이하로 해도 되고, 30 중량% 이하로 해도 되고, 20 중량% 이하로 해도 된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CHA) 나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전체의 1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의 상한은, 대략 4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25 중량% 이하 (예를 들어 15 중량% 이하) 여도 된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로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N-비닐 고리형 아미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N-비닐-2-피롤리돈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 (바람직하게는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 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전체의 1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10 중량%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예를 들어 4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30 중량% 이하로 해도 되고, 15 중량% 이하로 해도 된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어 10 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3 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 중량% 미만 (예를 들어 0.1 중량% 미만) 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다. 여기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적어도 의도적으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물은, 금속을 포함하는 피착체에 대해서는 금속 부식 방지성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은, 그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기초하여 Fox 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75 ℃ 이상 10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상기 Tg 는, 접착력 등의 관점에서, 0 ℃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 또는 -30 ℃ 이하여도 된다. 또 상기 Tg 는,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60 ℃ 이상이어도 되고, -50 ℃ 이상이어도 되고, -45 ℃ 이상 또는 -40 ℃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Fox 의 식이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합체의 Tg 와, 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각각을 단독 중합한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i 의 관계식이다.
1/Tg = Σ (Wi/Tgi)
또한, 상기 Fox 의 식에 있어서, Tg 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단위 : K), Wi 는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모노머 i 의 중량분율 (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 Tgi 는 모노머 i 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단위 : K) 를 나타낸다. Tg 의 산출에 사용하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로는, 공지 자료, 구체적으로는「Polymer Handbook」 (제3판, John Wiley & Sons, Inc.,1989) 에 기재된 수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문헌에 복수 종류의 값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값을 채용한다.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방법이나 중합 양태 등에 따라, 공지 또는 관용의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계 개시제, 치환 에탄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방법이나 중합 양태 등에 따른 통상적인 사용량으로 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합 대상의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 대략 0.001 ∼ 5 중량부 (전형적으로는 대략 0.01 ∼ 2 중량부, 예를 들어 대략 0.01 ∼ 1 중량부)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된 각종 연쇄 이동제 (분자량 조절제 혹은 중합도 조절제로도 파악될 수 있다.) 를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α-티오글리세롤 등의 메르캅탄류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황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연쇄 이동제 (비황계 연쇄 이동제) 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대략 0.01 ∼ 1 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각종 중합법을 적절히 채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물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요구 성능에 맞추어 적당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예를 들어 대략 10 × 104 이상이며, 응집력과 접착력을 균형있게 양립하는 관점에서, 30 × 104 초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 104 이상의 Mw 를 갖는다. 아크릴계 중합물의 Mw 의 상한은, 대략 500 × 104 이하 (예를 들어 대략 150 × 104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Mw 는 대략 75 × 104 이하여도 된다. 여기서 Mw 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을 말한다. GPC 장치로는, 예를 들어 기종명「HLC-8320GPC」 (칼럼 : TSKgelGMH-H (S), 토소사 제조) 를 사용하면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성의 모노머 성분을, 중합물, 미중합물 (즉, 중합성 관능기가 미반응인 형태), 혹은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점착 성분) 가 물에 분산된 형태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유기 용매 중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형태의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자외선이나 방사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어 점착제를 형성하도록 조제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가열 용융 상태로 도공되어, 실온 부근까지 식으면 점착제를 형성하는 핫멜트형 점착제 조성물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무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이다. 무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핫멜트형 점착제 조성물이 포함된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활성 에너지선」이란, 중합 반응, 가교 반응, 개시제의 분해 등의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진 에너지선을 가리킨다. 여기서 말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예에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과 같은 광이나, α 선, β 선, γ 선, 전자선, 중성자선, X 선과 같은 방사선 등이 포함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한 바람직한 예로서,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광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두꺼운 점착제층이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그 조성물의 모노머 성분 중 적어도 일부 (모노머의 종류의 일부여도 되고, 분량의 일부여도 된다.) 를 중합물의 형태로 포함한다. 상기 중합물을 형성할 때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각종 중합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션 중합, 괴상 중합 등의 열중합 (전형적으로는, 열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실시하는 광중합 (전형적으로는, 광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 β 선, γ 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실시하는 방사선 중합 ;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분 중합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중합물과 미반응의 모노머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시럽상 (점성이 있는 액상) 을 나타낸다. 이하, 이러한 성상의 부분 중합물을「모노머 시럽」또는 단순히「시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모노머 성분을 부분 중합시킬 때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각종 중합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효율이나 간편성의 관점에서, 광중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광중합에 의하면, 광의 조사량 (광량) 등의 중합 조건에 의해, 모노머 성분의 중합 전화율 (모노머 컨버전) 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분 중합물에 있어서의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 전화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합 전화율은, 예를 들어 대략 70 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상기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이나 도공성 등의 관점에서, 대략 50 중량% 이하가 적당하고, 대략 4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중합 전화율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대략 1 중량% 이상이며, 대략 5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친화제, 가교제, 다관능성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점착 부여 수지, 실란 커플링제 등) 이 배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미리 함유시켜도 되고, 상기 부분 중합물에 첨가해도 된다.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점착제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이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대표예로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한다. 모노머 성분의 에멀션 중합은, 통상,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에멀션 중합에 의하면,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이 물에 분산된 에멀션 형태의 중합 반응액이 얻어진다.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중합 반응액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에멀션 중합용의 유화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아니온성 유화제, 논이온성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유화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유화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화제 (반응성 유화제) 를 사용해도 된다. 반응성 유화제의 예로는, 상기 서술한 아니온성 유화제 또는 논이온성 유화제에, 프로페닐기나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구조의 라디칼 중합성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에멀션 중합에 있어서의 유화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2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내수 점착력 향상이나, 혹은 점착제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몇몇 양태에 있어서, 유화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에멀션 중합에 사용하는 유화제는, 후술하는 수친화제로도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관련된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의 용액 중합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수친화제) 를 함유한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 (중합 용매) 는, 종래 공지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의하면,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이 중합 용매에 용해된 형태의 중합 반응액이 얻어진다. 여기에 개시되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중합 반응액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수친화제)
상기 점착제는 수친화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에 수친화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통상,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이용하여 박리력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수박리성이 향상된다. 그 이유는, 특별히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수친화제는 친수성 영역을 가짐으로써 점착제의 표면에 편재하기 쉽고, 그에 따라 그 점착제 표면의 수친화성을 효율적으로 높이는 작용이 발휘되고, 그 점착제가 물과 접촉했을 때에 박리력을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수박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접합체에 있어서 부재를 접합하는 점착제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었다는 등의 사정에 의해, 당해 점착제가 본래 갖고 있던 수박리성이 발현되지 않아, 수박리에 의해서는 박리가 곤란한 수박리성 실활 점착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박리성이 실활된 수친화제 함유 점착제여도,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당해 점착제가 접합된 부재로부터 점착제를 박리할 수 있다. 상기 수친화제는, 전형적으로는, 유리의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 (나아가서는 점착제) 에 포함되어 있다. 수친화제로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 등의 점에서, 상온 (약 25 ℃) 에 있어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친화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친화제 (전형적으로는 계면 활성제) 의 HLB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0 이상이며, 대략 5.0 이상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예를 들어 15 이상) 이다. 상기 범위의 HLB 를 갖는 수친화제를 점착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에 포함시킴으로써, 수박리성이 손상되었을 경우여도, 스팀 박리에 의해 부재로부터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HLB 의 상한은 20 이하이며, 예를 들어 18 이하여도 되고, 16 이하 (예를 들어 15 이하) 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HLB 는, Griffin 에 의한 Hydrophile-Lipophile Balance 이며, 계면 활성제의 물이나 기름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친수성과 친유성의 비를 0 ∼ 20 의 사이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HLB 의 정의는, W. C. Griffin : J. Soc. Cosmetic Chemists, 1,311 (1949) 이나, 타카하시 코시타미, 남바 요시로, 코이케 모토오, 코바야시 마사오 공저,「계면 활성제 핸드북」, 제3판, 코가쿠 도서사 출판, 쇼와 47년 11월 25일, p179 ∼ 182 등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상기 HLB 를 갖는 수친화제는, 상기 참고 문헌을 필요에 따라 참작하거나 하여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선정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수친화제로는, 계면 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공지된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 활성제 중에는,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존재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역시 마찬가지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수친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로는, 공지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 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황산염, 옥타데실황산염 등의 알킬황산염 ; 지방산염 ; 노닐벤젠술폰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염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 도데실나프탈렌술폰산염 등의 나프탈렌술폰산염 ; 도데실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등의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옥타데실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페닐에테르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페닐에테르황산염 ; 라우릴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술포숙신산염 등의 술포숙신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염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그 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1 가 금속의 염), 암모늄염, 아민염 등일 수 있다. 이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친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 폴리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옥시에틸렌 단위와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들 단위의 배열은, 랜덤이어도 되고, 블록상이어도 된다.) ; 이들의 유도체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계면 활성제 중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골격 (폴리옥시에틸렌 세그먼트라고도 한다.) 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EG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의 분자량 (화학식량)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0 미만인 것이 적당하고, 점착제 조성물 조제성의 점에서, 대략 600 이하 (예를 들어 500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의 분자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자량이 대략 100 이상 (예를 들어 대략 200 이상, 나아가서는 대략 300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제에 있어서의 수친화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수친화제의 사용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수친화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 100 중량부당, 예를 들어 0.001 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0.01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상이다. 다른 몇몇 양태에 있어서, 수친화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몇몇 양태에 있어서, 수친화제의 사용량은, 상기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대략 3 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대략 2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미만이다. 수친화제의 사용량을 제한함으로써, 접착력을 유지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또, 표시 장치의 용도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상기 제한된 양의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표시 장치 용도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 및 접착력과 스팀 박리성을 바람직하게 양립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
점착제 조성물 (나아가서는 점착제) 에는,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응집력의 조정 등의 목적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점착제층 형성시나, 피착체에 대한 첩부 후에 광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반응시킴으로써,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다관능성 모노머」는, 가교제로 바꿔 말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광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에 있어서, 다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2 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가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예에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비닐기 및 알릴기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 반응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로서,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틸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그 분자량이나 관능기 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형적으로는, 아크릴계 중합물 또는 당해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 3.0 중량부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가교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주로 점착제(층) 내에서의 가교 또는 점착제와 그 인접면의 가교를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가교제 중에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그 가교제가 점착제 내에서 적절한 가교 기능을 발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우레아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하이드라진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 (2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력이나 응집력 등의 점착 특성을 균형있게 발휘하는 점착제를 실현하는 관점에서,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 또는 당해 중합물의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대략 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0.001 ∼ 5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001 ∼ 4 중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0.001 ∼ 3 중량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 (전형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양이 0.05 중량부 미만 (예를 들어 0.01 중량부 미만) 인 것을 말한다.
가교 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가교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가교 지연제 (예를 들어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 를 함유시켜도 된다.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의 사용량은, 특정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 등에 따라 적당량 사용된다.
(점착 부여 수지)
점착제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시켜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석유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화점이 80 ℃ 이상 (예를 들어 120 ℃ 이상 180 ℃ 이하) 인 점착 부여 수지 (바람직하게는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 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그 사용 효과를 바람직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과 응집성을 균형있게 양립하는 관점에서,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5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30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혹은, 점착제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1 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상기 점착제는 점착 부여 수지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에는, 응집력의 향상이나 접착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의 Tg 보다 Tg 가 높은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제작시에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는 양태에서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DCP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CHMA),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IBXMA),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IBXA),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DCPA),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ADMA), 1-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ADA) 의 각 단독 중합체 외에, DCPMA 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의 공중합체, DCPMA 와 IBXMA 의 공중합체, ADA 와 MMA 의 공중합체, CHMA 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IBMA) 의 공중합체, CHMA 와 IBXMA 의 공중합체, CHMA 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ACMO) 의 공중합체, CHMA 와 디에틸아크릴아미드 (DEAA) 의 공중합체, CHMA 와 AA 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Mw 는, 전형적으로는 약 1000 이상 약 3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00 이상 약 100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 이상 약 5000 미만일 수 있다. Mw 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응집성이나 인접하는 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바람직하게 발휘되기 쉽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Mw 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소사 제조의 HPLC8020 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 (20) × 2 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약 0.5 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점착제에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전형적으로는 아크릴계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01 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05 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되고, 0.1 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베이스 폴리머와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미만이며, 예를 들어 1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 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는 유리의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 (나아가서는 점착제) 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시킴으로써, 피착체 (예를 들어 유리 부재) 에 대한 점착제의 접착력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그 접착력 향상을 위해, 박리시에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러한 점착제 (부재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제) 여도, 수친화제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수박리성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스팀 박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부재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 ;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예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원하는 사용 효과가 얻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0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00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몇몇 양태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점착제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3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5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또,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실란 커플링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을 제한하거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그 밖의 성분)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는, 필요에 따라, 점도 조정제 (예를 들어 증점제), pH 조정제, 레벨링제, 가소제, 충전제,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안정제, 방부제, 노화 방지제 등의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인 각종 첨가제를 그 밖의 임의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 점착제는, 열팽창성 필러 등의, 가열에 의해 박리력을 저하시키는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그러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점착제는, 열팽창성 필러, 그 밖의 가열에 의한 박리력 저하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양태로, 스팀 박리에 의해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첨가제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점착제에서 차지하는 베이스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물) 이외의 성분의 양이 제한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에 있어서의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성분의 양은, 예를 들어 대략 30 중량% 이하이며, 대략 15 중량%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12 중량% 이하 (예를 들어 대략 10 중량% 이하) 이다. 이와 같은 조성의 점착제는, 소정의 광학 특성 (예를 들어 투명성) 을 만족시키기 쉬워, 광학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에 있어서의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성분의 양은, 대략 5 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3 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1.5 중량% 이하 (예를 들어 대략 1 중량% 이하) 여도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폴리머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 이외의 성분량이 제한된 조성은,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
점착제가 점착제층의 형태를 갖는 경우,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즉, 그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적당한 표면에 부여 (예를 들어 도포) 한 후, 경화 처리를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2 종 이상의 경화 처리 (건조, 가교, 중합 등) 를 실시하는 경우, 이들은, 동시에, 또는 다단계에 걸쳐서 실시할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 을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경화 처리로서, 최종적인 공중합 반응이 실시된다. 즉, 부분 중합물을 새로운 공중합 반응에 제공하여 완전 중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의 점착제 조성물이면, 광조사가 실시된다. 필요에 따라, 가교, 건조 등의 경화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로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이 유기 용제에 용해된 형태의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에는, 그 조성물을 건조시킨 후에 광경화를 실시하면 된다. 완전 중합물을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경화 처리로서, 필요에 따라 건조 (가열 건조), 가교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은, 미리 형성한 점착제층을 첩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혹은, 미리 형성한 제 1 점착제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 2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어 롤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 ㎛ ∼ 2000 ㎛ 정도일 수 있다. 단차 추종성 등 피착체와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몇몇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며, 70 ㎛ 이상이어도 되고, 100 ㎛ 이상이어도 되고, 150 ㎛ 이상이어도 된다. 두께가 큰 점착제는, 점착력이 높고, 시간 경과적 점착력이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박리가 곤란해지기 쉽다. 그러한 점착제층에 대해, 여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에 의한 풀 잔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몇몇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0 ㎛ 이하여도 되고, 500 ㎛ 이하여도 되고, 300 ㎛ 이하여도 되고, 나아가서는 200 ㎛ 이하여도 된다.
(헤이즈치)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용 점착제이다. 광학용 점착제는, 광학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점착제(층),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헤이즈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몇몇 양태에 있어서, 헤이즈치는 대략 10 %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5 % 이하 (예를 들어 대략 3 %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치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는, 높은 광투과성이 요구되는 광학 용도에 바람직하다. 상기 헤이즈치는, 1.0 % 미만이어도 되고, 0.7 % 미만이어도 되고, 0.5 % 이하 (예를 들어 0 ∼ 0.5 %) 여도 된다. 헤이즈치는, 예를 들어, 점착제의 조성이나 두께 등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헤이즈치」란, 측정 대상에 가시광을 조사했을 때의 전체 투과광에 대한 확산 투과광의 비율을 말한다. 담가라고도 한다. 헤이즈치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h [%] = Td/Tt × 100
상기 식에 있어서, Th 는 헤이즈치 [%] 이며, Td 는 산란 광투과율, Tt 는 전체 광투과율이다. 헤이즈치는,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의 점착면을 헤이즈치 0.1 % 의 알칼리 유리의 편면에 첩부하고,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와 알칼리 유리의 적층체로 한 후, 헤이즈미터 (예를 들어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 제품명「MR-100」)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가 첩부된 알칼리 유리를, 그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가 광원측이 되도록 배치한다. 알칼리 유리의 헤이즈치가 0.1 % 이기 때문에, 측정치로부터 0.1 % 를 뺀 값을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의 헤이즈치 [%] 로 한다.
(기재층)
몇몇 양태에 있어서, 접합체에 있어서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는, 기재층을 구비한다. 기재층은, 점착제층을 지지하는 지지체 (지지층) 이다. 기재층은, 점착 시트의 표면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점착제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재층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의 각종 수지 필름 ;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클로로프렌 폼 등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시트 ; 각종 섬유상 물질 (마, 면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일 수 있다.) 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 및 부직포 ; 화지, 상질지, 크라프트지, 크레이프지 등의 종이류 ; 알루미늄박, 동박, 스테인리스강 (SUS) 등의 금속박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복합한 구성의 층상체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복합 구조의 기재층의 예로서, 예를 들어, 금속박과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적층 기재 (다층 구조 기재), 유리 클로스 등의 무기 섬유로 강화된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재료로는, 독립적으로 형상 유지 가능한 (자립형의, 혹은 비의존성의) 수지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수지 필름」이란, 비다공질의 구조로서, 전형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보이드리스의) 수지 필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수지 필름은, 발포체 필름이나 부직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상기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 (예를 들어 3 층 구조) 여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은, 광학 용도에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바람직한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를 들 수 있다. 기재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필름, PPS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필름, 투명 폴리이미드 (CPI) 필름, 폴리프로필렌 (PP)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필름을 들 수 있다. 강도의 점에서 바람직한 예로서, PET 필름, PEN 필름, PPS 필름, PEEK 필름, CPI 필름을 들 수 있다. 입수 용이성, 치수 안정성, 광학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예로서 PET 필름, CPI 필름, TAC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에는,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염료, 안료 등), 충전재,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T 다이 캐스트 성형, 캘린더 롤 성형 등의,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수지 필름 성형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이와 같은 수지 필름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혹은, 상기 기재층은, 상기 수지 필름 외에, 보조적인 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보조적인 층의 예로는, 하도층, 박리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또, 기재층의 점착제층측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 (프라이머) 의 도포, 대전 방지 처리, 박리 처리 등의, 종래 공지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1000 ㎛ 이하여도 되고, 대략 500 ㎛ 이하여도 되고, 경량화나 박후화의 관점에서, 대략 100 ㎛ 이하가 적당하고, 70 ㎛ 이하여도 된다. 또, 취급성이나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기재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20 ㎛ 이상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30 ㎛ 이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부」및「%」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점착 시트의 제작>
(제작예 A)
n-부틸아크릴레이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57/12/23/8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100 부를,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이르가큐어 651」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1 부 및 상품명「이르가큐어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1 부와 함께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 (BH 점도계, No.5 로터, 10 rpm, 측정 온도 30 ℃) 가 약 15 Pa·s 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시럽을 조제하였다. 이 모노머 시럽 100 부에, 다관능성 모노머로서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0.1 부, 수친화제로서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HLB 16.7, 상품명「레오돌 TW-L120」, 카오사 제조) 0.3 부,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상품명「KBE403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0.4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수지사 제조, 제품명「MRF#38」) 에, 상기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2 (미츠비시수지사 제조, 제품명「MRE#38」) 를 씌워 공기를 차단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두께 200 ㎛ 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자외선의 조사는, 블랙 라이트 램프를 사용하여, 조도 4 ㎽/㎠ (피크 감도 파장 약 350 ㎚ 의 공업용 UV 체커 (탑콘사 제조, 상품명「UVR-T1」) 에 의해 측정) 로 180초 조사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시트 A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를 얻었다. 점착 시트 A 의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은 박리 필름 R1, R2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제작예 B)
수친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제작예 A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 B 를 얻었다.
<가속 시험 후의 박리력 측정>
[통상 박리력]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하기 방법으로 가속 시험 후의 통상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점착 시트로부터 점착제층 (지지체리스 양면 점착 시트) 의 일방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벗기고, 노출한 점착면에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도레이사 제조, 제품명「루미러 S10」) 을 첩합하여 배접하였다. 이것을 폭 20 ㎜, 길이 200 ㎜ 의 사이즈로 컷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으로부터 상기 점착제층의 타방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벗기고, 노출한 점착면을 피착체로서의 알칼리 유리판 (65 ㎜ × 165 ㎜ 사이즈) 에, 2 ㎏ 의 고무 롤러를 2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이것을 60 ℃ 에서 4 일간 가열 보존하였다 (아레니우스식에서 25 ℃ × 200 일에 상당하는 가속 시험). 그 후,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시험편의 단변측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 (사토테크사 제조, 제품명「디지털 포스 게이지 FG-5100」) 를 고정시키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하고, 가속 시험 후의 통상 박리력 [N/20 ㎜] 을 측정하였다. 단,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은, 하기 수박리력 측정으로 이행할 때까지, 즉 박리 계면에 증류수를 공급할 때까지로 하였다. 피착체로는,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모따기 연마품,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수박리력]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에 있어서, 시험편의 피착체로부터의 통상 박리력의 측정 중에,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시험편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박리 전선) 에 20μL 의 증류수를 공급하고, 그 증류수 공급 후의 박리력 (즉 수박리력) [N/20 ㎜]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박리력의 측정은,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과 상기 수박리력의 측정을 연속하여 실시해도 되고,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과 상기 수박리력의 측정을 상이한 시험편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속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의 시험편을 준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등에 있어서, 상이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하는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피착체, 가속 시험, 인장 시험기, 그 밖의 사항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과 동일하다.
[온수 침지 박리력]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 (PET 필름/점착 시트) 을 제작하고, 얻어진 시험편을 알칼리 유리판 (통상 박리력 측정의 경우와 동종) 에 압착하고, 가속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60 ℃ 의 온수에 10 분간 침지하고, 온수에 침지한 상태에서, 시험편의 단변측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 (사토테크사 제조, 제품명「디지털 포스 게이지 FG-5100」) 를 고정시켰다. 이 상태 (온수 침지 상태) 에서,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하고, 가속 시험 후의 온수 침지 박리력 [N/20 ㎜]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스팀 박리력]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상기 통상 박리력의 측정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 (PET 필름/점착 시트) 을 제작하고, 얻어진 시험편을 알칼리 유리판 (통상 박리력 측정의 경우와 동종) 에 압착하고, 가속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의 단변측의 단부에 포스 게이지 (사토테크사 제조, 제품명「디지털 포스 게이지 FG-5100」) 를 고정시키고, 포스 게이지를 손으로 유지하고, 박리 각도 90 ∼ 150 도, 박리 속도 10 ∼ 100 ㎜/분으로 손 박리하였다. 손 박리는, 스팀을 점착제층과 알칼리 유리판의 계면에 분사하면서 실시하고, 그 때의 박리력 (스팀 박리력) [N/20 ㎜] 을 측정하였다. 스팀 분사는, 스팀 분사기 (아이리스오오야마사 제조, 제품명「STM-304 N」) 를 사용하여, 3 기압, 분사 온도 100 ℃ (카탈로그값), 노즐 선단으로부터 거리 1 ㎝ 에 있어서의 온도 70 ∼ 80 ℃ 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가속 시험 후의 박리력 측정에 있어서, 피착체로는, 플로트법으로 제작한 알칼리 유리판으로서, 시험편을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피착체로서, 상기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의 알칼리 유리판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의 알칼리 유리판의 상당품이나, 그 이외의 알칼리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알칼리 유리판의 접촉각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즉, 측정 분위기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접촉각계 (쿄와계면과학사 제조, 상품명「DMo-501 형」, 컨트롤 박스「DMC-2」, 제어·해석 소프트「FAMAS (버전 5.0.30)」) 를 사용하여 액적법에 의해 측정을 실시한다. 증류수의 적하량은 2 μL 로 하고, 적하 5 초 후의 화상으로부터 Θ/2 법에 의해 접촉각을 산출한다 (N5 로 실시).
<가속 시험 후의 박리성 평가>
[통상 박리]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하기 방법으로 가속 시험 후의 박리성을 평가하였다. 점착 시트로부터 점착제층 (지지체리스 양면 점착 시트) 의 일방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벗기고, 노출한 점착면에 두께 11 ㎛ 의 알루미늄 호일 (동양 알루미늄 에코 프로덕츠사 제조, 제품명「산호일」) 을 첩합하고, 80 ㎜ × 200 ㎜ 의 사이즈로 컷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타방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벗기고, 노출한 점착면을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모따기 마모품,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의 전체면 (65 ㎜ × 165 ㎜ 사이즈) 에 첩합하였다. 이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물을, 2 ㎏ 의 고무 롤러를 2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알칼리 유리판에서 비어져 나온 알루미늄 호일 및 점착제를 컷하여 제거하고, 평가 대상이 되는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체를, 60 ℃ 에서 4 일간 가열 보존하였다 (아레니우스식에서 25 ℃ × 200 일에 상당하는 가속 시험). 그 후,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단부에 커터 또는 플라스틱제의 주걱으로 박리의 계기를 만들고, 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의 적층체를, 잘게 찢기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3 분 이내에 박리되는 속도로 손 박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수박리]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상기 통상 박리의 박리성 평가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 대상이 되는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가속 시험 (60 ℃ 4 일간 보존) 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23 ℃, 50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단부에 커터 또는 플라스틱제의 주걱으로 박리의 계기를 만들고, 상기 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상기 점착제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박리 전선) 에 20μL 의 증류수를 공급하고, 상기 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의 적층체를, 잘게 찢기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3 분 이내에 박리되는 속도로 손 박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온수 침지 박리]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상기 통상 박리의 박리성 평가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 대상이 되는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가속 시험 (60 ℃ 4 일간 보존) 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60 ℃ 의 온수에 10 분간 침지하였다. 온수에 침지한 상태에서, 단부에 커터 또는 플라스틱제의 주걱으로 박리의 계기를 만들고, 상기 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의 적층체를, 잘게 찢기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3 분 이내에 박리되는 속도로 손 박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스팀 박리]
점착 시트 A, B 에 대해, 상기 통상 박리의 박리성 평가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 대상이 되는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알칼리 유리판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가속 시험 (60 ℃ 4 일간 보존) 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단부에 커터 또는 플라스틱제의 주걱으로 박리의 계기를 만들고, 점착제와 알칼리 유리판의 계면에 스팀을 쏘면서, 상기 알칼리 유리판으로부터, 알루미늄 호일/점착제의 적층체를, 잘게 찢기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3 분 이내에 박리되는 속도로 손 박리하였다. 스팀은, 스팀 분사기 (아이리스오오야마사 제조, 제품명「STM-304N」) 를 사용하여, 3 기압, 분사 온도 100 ℃ (카탈로그값), 노즐 선단으로부터 거리 1 ㎝ 에 있어서의 온도 70 ∼ 80 ℃ 의 조건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 A, B 모두, 가속 시험 후의 통상 박리력, 수박리력은 28 ∼ 30 N/20 ㎜ 로 높고, 가속 시험 후의 박리성 평가에 있어서, 박리시에 알루미늄 호일이 찢어져 버려, 피착체를 파손시키는 일 없이 점착제를 원활하게 박리할 수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래라면 수박리성을 가져야 할 점착 시트 A 가 가속 시험의 결과, 수박리성을 잃어, 수박리성을 원래 갖지 않는 점착 시트 B 와 동일한 정도의 박리성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온수 침지 박리력에 관해서,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갖는 점착 시트 A 에서는, 수친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점착 시트 B 보다 온수 침지 박리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인정되었기는 하지만, 가속 시험 후의 온수 침지 박리성 평가에 있어서는, 통상 박리, 수박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리시에 알루미늄 호일이 찢어져, 점착제를 원활하게 박리할 수 없었다.
한편, 스팀 박리에 대해서는, 점착 시트 A, B 간에 현저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갖는 점착 시트 A 는, 수친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점착 시트 B 와 비교해서, 스팀 박리력이 약 반감하였다. 그리고, 가속 시험 후의 스팀 박리성 평가에 있어서, 점착 시트 B 는, 통상 박리, 수박리, 온수 침지 박리와 마찬가지로, 박리시에 알루미늄 호일이 찢어져, 원 활한 점착제 박리가 되지 않았지만, 점착 시트 A 는 스팀 박리에 의해 점착제를 박리할 수 있어, 적층체를 분리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접합체의 분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부재로부터 점착제를 박리할 수 있어, 상기 2 개의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으로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 점착제 (점착 시트)
1A : 일방의 표면 (제 1 점착면)
1B : 타방의 표면 (제 2 점착면)
100 : 접합체
120 : 제 1 부재
140 : 제 2 부재
140A : 제 2 부재의 표면 (점착제측 표면)
200 : 스팀
250 : 스팀 분사기
260 : 노즐 (토출 노즐)

Claims (9)

  1. 표시 장치용의 접합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합체는, 수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 2 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유리 부재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부재의 일방은 유리 부재이며, 타방은 두께가 2 ㎜ 이하의 표시 부재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상기 수친화제의 함유량은, 그 점착제에 포함되는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3.00 중량부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두께가 100 ㎛ 이상인 점착제층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는 10 % 이하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의 공급은 상기 스팀의 분사이며,
    상기 스팀의 온도는, 그 스팀을 토출하는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1 ㎝ 의 거리에 있어서 70 ℃ 이상 100 ℃미만인,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2 개의 부재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점착제를 수박리 가능한지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수박리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부재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지점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로 실시되는 박리이며,
    상기 수박리가 가능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점착제를 향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인, 방법.
KR1020237007610A 2020-08-05 2021-07-13 접합체의 분리 방법 KR20230048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3217 2020-08-05
JP2020133217 2020-08-05
PCT/JP2021/026290 WO2022030198A1 (ja) 2020-08-05 2021-07-13 接合体の分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101A true KR20230048101A (ko) 2023-04-10

Family

ID=8011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610A KR20230048101A (ko) 2020-08-05 2021-07-13 접합체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2990A1 (ko)
JP (1) JPWO2022030198A1 (ko)
KR (1) KR20230048101A (ko)
CN (1) CN116075566A (ko)
TW (1) TW202212512A (ko)
WO (1) WO20220301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77A (ko) 2003-03-21 2004-10-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탈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숨김 방법 및, 이미지 정보숨김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KR20170077947A (ko) 2015-12-28 2017-07-07 주식회사엠오그린 비닐하우스 환경 조절시스템
JP2017176989A (ja)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ラベル剥離方法およびラベル剥離装置
KR20190135180A (ko) 2018-05-28 2019-1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3656A (ko) 2018-08-07 2020-03-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생체 삽입형 의료 장치, 의료 시스템 및 의료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177A (ja) * 2002-08-26 2004-03-18 Nakagawa Chem:Kk 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JP2005247980A (ja) * 2004-03-03 2005-09-15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粘着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314439B2 (ja) * 2008-01-25 201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5641634B2 (ja) * 2008-03-13 2014-12-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からの光学フィルムの剥離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取り出し方法
JP5967688B2 (ja) * 2009-09-16 2016-08-10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剤組成物及び遮光性粘着テープ
JP2014008450A (ja) * 2012-06-29 2014-01-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機器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17077947A (ja) * 2015-10-20 2017-04-27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ラベル剥離方法およびラベル剥離装置
JP2019135180A (ja) * 2016-06-13 2019-08-15 Agc株式会社 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102500919B1 (ko) * 2018-02-05 2023-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77A (ko) 2003-03-21 2004-10-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탈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숨김 방법 및, 이미지 정보숨김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KR20170077947A (ko) 2015-12-28 2017-07-07 주식회사엠오그린 비닐하우스 환경 조절시스템
JP2017176989A (ja)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ラベル剥離方法およびラベル剥離装置
KR20190135180A (ko) 2018-05-28 2019-1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3656A (ko) 2018-08-07 2020-03-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생체 삽입형 의료 장치, 의료 시스템 및 의료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2990A1 (en) 2023-10-05
WO2022030198A1 (ja) 2022-02-10
CN116075566A (zh) 2023-05-05
TW202212512A (zh) 2022-04-01
JPWO2022030198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919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
CN108541269B (zh) 粘合片
JP6663628B2 (ja)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01255B2 (ja) 粘着シート
TWI721964B (zh) 雙面附黏著劑層之偏光膜、其製造方法及圖像顯示裝置
JP7175622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CN112513216B (zh) 光学用粘合剂组合物及其应用
JP2014047254A (ja) 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板の剥離方法
JP7063690B2 (ja) 粘着シート
KR20140118913A (ko)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TW202138512A (zh) 附剝離薄膜的黏著片
CN115335479A (zh) 粘合剂及其利用
WO2021172342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WO2022038926A1 (ja) 接合体の分離方法
US201901616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901616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230048101A (ko) 접합체의 분리 방법
WO2024024829A1 (ja) 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US2019010660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2024668A1 (ja) 付着粘着剤の除去方法、構造体および感圧接着シート
TW202411379A (zh) 黏著片材之剝離方法
WO2024024862A1 (ja) 接合体、接合体の解体方法および接合体に用いられる熱硬化性粘着剤
WO2022137924A1 (ja) 構造体、粘着シート、セットおよび方法
WO2022054788A1 (ja) 粘着シート
WO2020262340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