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161A -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161A
KR20230047161A KR1020237007604A KR20237007604A KR20230047161A KR 20230047161 A KR20230047161 A KR 20230047161A KR 1020237007604 A KR1020237007604 A KR 1020237007604A KR 20237007604 A KR20237007604 A KR 20237007604A KR 20230047161 A KR20230047161 A KR 20230047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auxiliary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optim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쿤 양
다제 장
하오 류
라케시 탐라카르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13Intelligent reflective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7Space-time diversity using beamforming per multi-path, e.g. to cope with different directions of arrival [DOA] at different multi-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공개한다. 본 출원의 빔 훈련 방법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3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 출원 제202010769022.X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능 표면 장치 보조에 기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일 것이다. 단말 장치는 직접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신호 및 지능 표면 장치를 거쳐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이 수신한 여러 신호의 중첩이 주파수 선택 페이딩을 초래한다. 5G 엔알(New Radio, NR)이 정의한 빔 주사 기능은 지능 표면의 빔 주사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빔 방향을 결정한 후, 다중 경로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단말은 여전히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다중 경로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단말은 여전히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태로,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로,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로,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제1 리포팅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양태로,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2 획득 모듈;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양태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태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태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양태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장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2 양태의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의 모듈도 1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의 모듈도 2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미래의 통신 시나리오에서, 핫스팟 서비스 커버리지가 증강되는 경우가 존재하는 바, 예를 들면 VR, AR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등이다. 이러한 유형의 서비스 시나리오에서, 단지 기지국의 빔 포밍 기술만 사용해서는 단말을 위하여 충분한 통신 속도를 제공하기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중에 새로운 보조 노드를 도입하여, 단말이 신호를 수신하는 강도를 증강시켜야 한다.
대형 지능 표면(Large Intelligent Surfaces, LIS)은 한 가지 새로운 인조 재료 장치이며; LIS는 동적 또는 반정적으로 자신의 전자기 특성을 조절하여, LIS에 입사되는 전자기파의 반사 또는 굴절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IS는 전자기 신호의 반사파/굴절 신호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여, 빔 주사 또는 빔 포밍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지능 평면(13) 기반의 빔 제어 원리는 하기와 같다. 위상 제어형 지능 표면을 예로 들면, 장치 유닛(m, n)의 이상적인 제어 위상,
Figure pct00001
이며;
여기에서,
Figure pct00002
은 각각 기지국(11), 단말(12), 장치 유닛(m, n)의 좌표 벡터이다. 만일 단말과 지능 표면의 상대적 위치가 원계 방사 조건을 만족시키면, 지능 표면으로부터 단말까지의 신호는 평행 신호와 근사한 바,
Figure pct00003
이다. 원계 방사 조건을 만족시킬 때, 기지국(11)과 지능 표면(13) 사이에는 또한 상응한 근사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1 bit 이산 위상 제어형 지능 표면에 있어서, 이산화 처리를 통하여 이상적인 보상 위상을 이산 위상에 맵핑시키는 바, 예를 들면,
Figure pct00004
이다.
5G NR 프로토콜에서는 아날로그 빔 주사의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 기본 과정은 기지국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대에 서로 다른 방향의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이 고정적인 수신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여, 가장 적합한 송신 빔을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리포팅한다.
5G가 정의한 빔 주사 기능은 지능 표면의 빔 주사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빔 방향을 결정한 후, 다중 경로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단말은 여전히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다.
기지국의 신호 위상에 변화가 발생할 때, 다중 경로 환경 중의 모든 다중 경로의 상위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일부 다중 경로를 제어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없다.
지능 표면 장치는 단말을 위하여 일부 다중 경로 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다중 경로 채널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다중 경로 채널의 위상을 개변시키는 것을 통하여, 단말이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낮추게 할 수 있다.
무선 채널의 다중 경로 위상과 진폭의 변화는 무작위이고 늦게 변화하는 것이며, 단말과 환경 물체의 이동/변화 속도 영향을 받는 것이다(통상적으로 채널 일치 시간으로 표시됨). 다시 말하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만일 한 구간의 RB 자원이 주파수 선택 페이징에 빠지면, 그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이 구간의 RB는 다중 경로 채널이 기타 상황으로 변화될 때까지 줄곧 주파수 선택 페이딩에 처하고 통신 품질이 떨어진다. 전통적인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스케줄링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을 피면한다. 지능 표면을 도입한 후, 다중 경로 채널 중 일부 다중 경로의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목표 RB의 주파수 선택 페이딩을 개변시킨다. 지능 표면의 다중 경로 위상 제어가 이산적인 바, 예를 들면 1 bit가 제어하는 0 또는 π 위상 제어이기 때문에, 위상이 늦게 변화하는 다중 경로 채널에서, 최적의 지능 표면의 다중 경로 위상을 한번 결정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유효하다(목표 RB가 주파수 선택 페이딩에 처하는 것을 방지함). 즉 최적의 지능 표면의 다중 경로 위상 조절이 특별하게 빈번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201 단계: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이 신호를 전달하는 공간 에너지 분포 특징을 표시하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은 신호를 전달하는 목표 방향 또는 에너지가 가장 강한 방향에서의 상대적 위상, 즉 목표 방향의 동일한 관찰점의 신호 이상의 네트워크가 방사하는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표시하는 바, 상기 서로 다른 빔 위상 사이의 차이는 2π/M의 정수배를 만족시키고, M은 빔위상의 수량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고, 상기 보조 장치가 전달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장치는 구체적으로 지능 표면 또는 주파수 일치 전달을 구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상기 참조 신호는 빔 훈련을 진행하기 위한 신호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신호는 보조 장치의 빔 방향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또는 해당 참조 신호는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참조 신호와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
최적의 빔 방향의 번호 또는 상응한 참조 신호의 슬롯 번호 또는 기타 유일하게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최적의 빔 위상의 번호 또는 상응한 참조 신호의 슬롯 번호 또는 기타 유일하게 빔 위상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02 단계: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한다.
여기에서, 상기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면 기지국으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빔을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다.
이에 기반하여,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여기에서, N과 M은 정정수이다. 제1 참조 신호의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 실제 최대 수량의 한 부분 집합이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 실제 최대 수량의 한 부분 집합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참조 신호는 광대역 신호인 바, 예를 들면,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은 풀 대역폭 또는 미리 설정된 대역폭 역치보다 커, 다중 경로 해상도가 충분하게 크고 또한 빔 훈련의 정확성이 최대한 다중 경로 주파수 선택 페이딩과 빔 위상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바,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참조 신호는 협대역 신호일 수 있고, 해당 제2 참조 신호의 주파수 자원 범위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예를 들면 반정적 스케줄링 전송이 구성한 주파수 자원) 범위와 같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범위를 포함한다.
해당 제1번째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1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2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제1번째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에서, 2 단계의 빔 훈련을 통하여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한다. 제1 단계: 네트워크 장치가 복수 회 신호(권장 광대역 신호)를 송신하고, 보조 장치가 서로 다른 전달 빔(즉 서로 다른 빔 방향을 요구하고, 빔 위상을 제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로 전달하며, 단말 장치가 측정을 진행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최적의 빔 방향을 결정하게 한다. 제2 단계: 네트워크 장치가 복수 회 신호(권장 협대역 신호, 데이터 전송의 주파수 자원에 대응되거나 포함함)를 송신하고, 보조 장치가 제1 단계의 최적의 빔 방향을 사용하고 또한 서로 다른 전달 빔 위상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로 전달하며, 단말 장치가 측정을 진행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2 단계의 빔 훈련은 주기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적으로 트리거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위상 훈련의 주기와 빔 방향의 훈련의 주기가 다를 수 있고, 상기 빔 위상 훈련의 주기가 빔 방향 훈련의 주기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수신한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강도가 제1 강도 역치보다 작은 경우, 제1 신청 정보를 리포팅하는 바, 상기 제1 신청 정보는 빔 위상 훈련을 종료할 것을 신청하는 정보이거나, 또는 빔 방향 훈련을 신청하기 위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강도가 모두 제2 강도 역치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의 강도가 제2 강도 역치보다 작은 경우, 제2 신청 정보를 리포팅하는 바, 상기 제2 신청 정보는 빔 방향 훈련을 신청하기 위한 정보이다.
해당 구현방식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송신 빔으로 복수 회 제1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지능 표면이 서로 다른 전달 모드를 사용하여 제1 참조 신호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며, 단말 장치가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지능 표면이 복수 회 전달하는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각 제1 참조 신호의 강도를 획득하며, 각 제1 참조 신호의 강도 및/또는 최적의 빔 방향의 번호를 상기 제1 측정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한다. 여기에서, 최적의 빔 방향은 신호 강도가 가장 큰 제1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빔 방향을 가리키며; 이어 네트워크 장치가 최적의 빔 방향을 지능 표면에 구성하고, 지능 표면이 해당 최적의 빔 방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가 복수 회 송신한 제2 참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각 제2 참조 신호의 강도를 획득하며, 각 제2 참조 신호의 강도 및/또는 최적의 전달 위상의 번호를 상기 제2 측정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한다. 여기에서, 최적의 전달 위상은 신호 강도가 제일 강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위상을 가리킨다.
제2번째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르다.
이에 기반하여,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3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4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구현방식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M*N 개 제3 참조 신호를 구성하여, 보조 장치의 M*N 개 전달 모드(각 전달 모드는 빔 방향과 빔 위상 포함)에 대응되게 하고, M*N 개 제3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로 통지한다.
K 개 서브 대역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제3 참조 신호에 포함된 M*N*K 개 서브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고, 각 측정 결과가 하나의 빔 방향, 빔 위상 및 하나의 서브 대역의 조합에 대응되게 하면,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빔 방향,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을 선택하여 상기 최적의 조합으로 한다.
해당 제2번째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에서, 1 단계의 빔 훈련을 사용하여 보자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 및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측정 정보와 상기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전, 또는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에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1 참조 신호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측정 정보와 상기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각 서브 대역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는 상기 보조 장치의 서로 다른 전달 모드에 대응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는,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는,
M 개 송신 시기의 서브 대역 CSI에 의하여,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CSI는 목표 지시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지시 메시지는 상기 CSI에 대응되는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CSI에 하나의 참조 신호 또는 슬롯 번호 또는 기타 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CSI에 대응되는 빔 위상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브 대역의 CSI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최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도록 확보한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시켜 본 출원의 빔 훈련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반정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에 대하여, 기지국은 단말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유효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은 고정적인 슬롯에 고정적인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송신한다. 시나 주파수 자원이 상대적으로 고정적이거나 또는 스케줄링이 상대적으로 유연하지 않고 빈번하지 않은 이러한 유형의 단말 서비스에 대하여, 하기 빔 훈련 과정을 사용한다.
1. 기지국이 단말로 지능 표면의 빔 방향 훈련의 주기를 통지하거나,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비주기적인 빔 방향 훈련 과정을 트리거시킨다.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후보 빔 수량을 결정하며; 선택적으로, 지능 표면이 리포팅하는 지원가능한 빔 수량을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실제 통신 상황에 의하여, 지능 표면의 구성가능한 빔으로부터 일부 빔을 선택하고 지능 표면으로 통지한다.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후보 빔 수량에 의하여 상응한 참조 신호(제1 참조 신호)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시간 주파수 자원, 참조 신호 시퀀스 생성 파라미터, 포트 등)를 구성하고, 참조 신호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후보 빔 수량 및/또는 상응한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참조 신호의 대역폭은 풀 대역폭 또는 어느 한 대역폭 역치보다 커, 다중 경로 해상도가 충분하게 크고 또한 빔 훈련의 정확성이 최대한 다중 경로 주파수 선택 페이딩과 빔 위상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보한다.
2. 단말이 기지국의 구성 정보에 따라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강도를 측정하며, 측정 결과를 피드백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방향의 번호를 피드백한다.
기지국이 단말의 리포팅 메시지에 의하여 지능 표면의 최적의 빔 방향을 결정하고, 지능 표면으로 구성한다.
3. 기지국이 단말과 지능 표면을 구성하여 빔 위상 훈련을 진행한다. 빔 위상 훈련은 주기적이거나, 또는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비주기적인 빔 위상 훈련 과정일 수 있다.
지능 표면의 후보 빔 위상 수량을 통지하거나, 또는 지능 표면의 능력(예를 들면 지능 표면 1 bit가 제어하는 0 또는 π의 위산 조절, 두 개의 위상 상태를 지능적으로 지원함)이 빔 위상 수량, 상응한 참조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위와 동일)를 결정한다.
빔 위상 훈련의 참조 신호(제2 참조 신호)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예를 들면 SPS 전송이 구성한 주파수 자원) 범위가 같거나, 또는 해당 주파수 자원 범위를 포함한다.
기지국이 동일한 송신 빔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지능 표면이 기지국이 지정한 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에 서로 다른 위상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전달한다.
4. 단말이 기지국의 정보에 따라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각 신호 강도를 측정하며, 측정 결과를 피드백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위상에 대응되는 빔 번호를 피드백한다.
5. 기지국이 단말이 리포팅하는 측정 결과에 따라 지능 표면으로 통지하여 빔 위상을 조절한다.
실시예 2: 동적 스케줄링의 단말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은 동일한 지능 표면 빔의 서로 다른 위상의 서브 CSI를 측정하여 최적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여야 한다. 지능 표면의 빔 훈련 과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1.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빔 방향 훈련을 진행한다.
단말이 참조 신호의 강도(RSRP)를 통하여 최적의 빔 방향을 선택하고, 기지국으로 리포팅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2.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빔 위상 훈련을 진행한다.
기지국이 풀 대역폭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1 회적 송신 또는 서브 대역에 따라 시간 분할로 송신), 측정하여야 하는 지능 표면 빔 위상 수량에 따라, 상응하게 참조 신호 수량을 구성한다. 구성 및 구현방식은 실시예 1과 같다.
3. 단말이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서브 대역 CSI를 측정하여 리포팅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지능 표면의 빔 위상 수량에 따라 각각 최적의 서브 CSI를 리포팅하는 바, 즉 각 빔 위상에 대하여 각각 해당 빔 위상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 CSI를 리포팅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주파수 호핑의 규칙(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의 페어링 방식, 즉 서브 대역 1과 서브 대역 2 사이에 주파수 호핑을 진행함)에 따라, 지능 표면 빔 위상 1의 서브 대역 1과 지능 표면 빔 위상 2의 서브 대역 2의 CSI를 측정하고, 최적의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리포팅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 1의 CSI와 서브 대역 2의 CSI에 대하여 가중을 진행한 후, 하나의 서브 대역 CSI를 획득하고 리포팅한다.
4. 기지국이 단말의 리포팅 결과에 의하여 PDSCH를 스케줄링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복수의 빔 위상의 리포팅 결과에 의하여 최적의 빔 위상을 선택하고, 지능 표면으로 구성하며; 기지국이 상응한 최적의 서브 대역에서 PDSCH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지능 표면 빔 위상의 스위칭 시간과 스위칭 순서를 구성하며; 기지국이 스위칭 시간과 스위칭 순서에 의하여 단말을 위하여 주파수 호핑의 PDSCH를 스케줄링한다. 여기에서, 주파수 호핑의 서브 대역은 단말 리포팅 정보가 결정한다.
예를 들면, 지능 표면의 빔 위상이 제1 시간에 위상 1로부터 위상 2로 스위칭되며, 위상 1일 때 최적의 서브 대역이 제1 서브 대역이고, 위상 2일 때 최적의 서브 대역이 제2 서브 대역이면, 제1 시간 전에 제1 서브 대역에서 PDSCH를 송신하고, 제1 시간 후 제2 서브 대역에서 PDSCH를 송신한다.
실시예 3:
지능 표면의 빔 방향 수량이 N이고, 각 빔 방향의 위상 수량이 M이라고 가정한다.
1. 기지국이 지능 표면의 빔 방향과 빔 수량을 결정한다.
2. 기지국이 모든 지능 표면의 빔 방향과 빔 위상을 위하여 구성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M*N 개 참조 신호를 구성하여 각각 지능 표면의 M*N 개 전달 모드에 대응되게 하고, 기지국이 참조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로 통지하며, 각 참조 신호가 어느 지능 표면 빔에 대응되는지 지시한다.
3. 단말이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서브 대역 CSI 측정과 리포팅을 진행한다.
측정 리포팅 방법은 실시예 2와 같다.
여기에서, M*N 개 참조 신호에 의하여, 최적의 서브 대역과 상응한 최적의 빔 방향 및 빔 위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M*N 개 참조 신호에 의하여, 주파수 호핑을 위한 복수의 최적의 서브 대역과 상응한 최적의 빔 방향 및 최적의 빔 위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하나의 빔 방향의 M 개 빔 위상 내에서 주파수 호핑을 위한 복수의 최적의 서브 대역과 상응한 빔 위상을 선택한다.
4. 기지국이 단말의 리포팅 결과에 따라 지능 표면을 구성하고 단말의 PDSCH를 스케줄링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301 단계: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참조 신호는 빔 훈련을 진행하기 위한 신호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 신호는 보조 장치의 빔 방향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또는 해당 참조 신호는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참조 신호와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한다.
302 단계: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
최적의 빔 방향의 번호;
최적의 빔 위상의 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03 단계: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측정 정보에 의하여 보조 장치가 빔을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획득하여, 제어 경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여, 제어 경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최적의 빔 방향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번째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상기 보조 장치로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M*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서브 대역 CSI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서브 대역 CSI의 측정 정보에 대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의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한 후,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최적의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바, 상기 최적의 서브 대역은 상기 최적의 조합 중의 서브 대역인 단계;
또는 주파수 호핑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의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4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4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조 장치로 제5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M 개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M 개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에 대하여 바이어싱 처리를 진행하는 것;
서로 다른 이산화 지표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를 계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지능 표면의 빔 생성 원리는 각 지능 표면 장치의 출사 신호의 위상차를 통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장치 사이의 위상차가 불변하지 않도록 확보하는 전제 하에서, 전반적으로 어레이의 상태를 개변시켜 빔 위상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 표면은 1 bit가 제어하는 장치이고, 0 또는 π의 위상 반전을 구현한다. 현재 빔의 어레이 정보는 A = (1000, 0100, 0001, 1010)이고, 어레이 정보를 전반적으로 하나의 오프셋 1을 추가하는 바,
Figure pct00005
이다. 이때 출사 빔 방향이 불변하지만 빔 위상이 π 반전된다.
빔 위상의 제어는 또한 장치 출사 신호 위상 이산화의 지시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공식 중
Figure pct00006
의 범위가 (0, π)와 (π, 2π)이면, 예상되는 출사 신호의 빔 위상은 응당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로 중첩되어야 하는 바, 즉 각각 (0, π)와 (π, 2π)의 중간값을 취한다.
Figure pct00009
;
또 예를 들면, 하기 공식 중
Figure pct00010
의 범위가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이면, 예상되는 출사 신호의 빔 위상은 응당 0과 π로 중첩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13
.
지능 장치는 서로 다른 이산화 지표에 의하여 서로 다른 빔 위상을 구현한다. 상기 두 가지 이산화 지표를 결합하면, 지능 표면의 출사 빔 수량이 지능 장치 상태 수량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여, 제어 경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빔 훈련 방법이 설명한 것은 다운링크의 관련 과정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또한 업링크의 빔 훈련 과정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인 바, 즉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일부 참조 신호를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고, 다른 일부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며;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 장치로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빔 훈련 방법의 실행 주체는 빔 훈련 장치이거나, 또는 해당 빔 훈련 장치 중의 빔 훈련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빔 훈련 장치가 빔 훈련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빔 훈련 장치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400)을 제공하는 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획득 모듈(401);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제1 리포팅 모듈(40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1 획득 모듈이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바,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1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1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2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1 획득 모듈이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3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4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각 서브 대역의 채널 상태 정보(CSI)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제2 리포팅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는 상기 보조 장치의 서로 다른 전달 모드에 대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2 리포팅 모듈은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며;
또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제2 리포팅 모듈은 M 개 송신 시기의 서브 대역 CSI에 의하여,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빔 훈련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는 단말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단말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은 상기 열거한 단말(11)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이동 단말은 서버, 네트워크 부속 저장 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 NAS),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 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빔 훈련 장치는 도 2의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500)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메모리(502)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5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해당 통신 장치(500)가 단말 장치일 때,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해당 통신 장치(500)가 네트워크 장치일 때,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단말 장치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단말 장치(600)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디스플레이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및 프로세서(610)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단말 장치(600)가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단말 구조가 단말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단말 장치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6041)와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606)은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장치(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또한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명령(예를 들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6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바, 예를 들면 기저대역 프로세서이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프로세서(610)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며;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상기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바,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1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2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3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4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각 서브 대역의 채널 상태 정보(CSI)를 측정하며;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며;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는 상기 보조 장치의 서로 다른 전달 모드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며;
또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M 개 송신 시기의 서브 대역 CSI에 의하여,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게 하고, 나아가 해당 최적의 빔 방향과 빔 위상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가 초래하는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700)을 제공하는 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701);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2 획득 모듈(702);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70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여, 제어 경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2 획득 모듈이 단말이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2 획득 모듈이 단말이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최적의 빔 방향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2 획득 모듈이 단말이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상기 보조 장치로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M*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서브 대역 CSI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서브 대역 CSI의 측정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의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제1 결정 모듈이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한 후,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최적의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바, 상기 최적의 서브 대역은 상기 최적의 조합 중의 서브 대역이며;
또는 주파수 호핑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의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에서, 상기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4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4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며;
또는 상기 보조 장치로 제5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M 개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M 개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는 제6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에 대하여 바이어싱 처리를 진행하는 것;
서로 다른 이산화 지표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를 계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빔 훈련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과 최적의 빔 위상을 결정하여, 제어 경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주파수 선택 페이딩의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일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측 장치(800)는, 안테나(801), 무선 주파수 장치(802), 기저대역 장치(803)를 포함한다. 안테나(801)는 무선 주파수 장치(802)와 연결된다. 업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02)는 안테나(801)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저대역 장치(803)로 송신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기저대역 장치(803)는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802)로 송신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802)는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 후 안테나(81)를 거쳐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대역 장치(803)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 중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은 기저대역 장치(803)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해당 기저대역 장치(803)는 프로세서(804)와 메모리(805)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장치(803)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기저대역 플레이트 상에는 복수개 칩이 구비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의 한 칩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804)이고 메모리(805)와 연결되어, 메모리(805) 중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 조작을 실행한다.
해당 기저대역 장치(803)는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6)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802)와 상호작용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범용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메모리(805) 상에 저장되고 또한 프로세서(804)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804)가 메모리(805) 중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7에 도시된 각 모듈이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빔 훈련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 중 상기 단말 장치 중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측 장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빔 훈련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예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실행된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언급된 기능에 의하여 기본상 동시적인 방식에 따라 또는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예시에서 기술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4)

  1.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 역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바, 상기 제2 주파수 범위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1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2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3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제4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대하여, 빔 훈련의 주기에 의하여 또는 빔 훈련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각 서브 대역의 채널 상태 정보(CS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는 상기 보조 장치의 서로 다른 전달 모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는,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대역의 제2 참조 신호 또는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CSI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는,
    M 개 송신 시기의 서브 대역 CSI에 의하여,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5.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적어도 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적어도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며, 상기 최적의 빔 방향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측정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최적의 빔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M*N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며, N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고, M은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로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M*N 개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이고, 상기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N 개 송신 시기와 일일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반정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동적 스케줄링의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1 측정 정보와 제2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가 제3 참조 신호인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제3 측정 정보 및/또는 제4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빔 위상 및 서브 대역의 최적의 조합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대역폭 내에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최적의 빔 방향에 대응되는 M 개 빔 위상에 대응되는 최적의 서브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서브 대역 CSI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상기 제2 참조 신호 또는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서로 다른 송신 시기 하의 서브 대역 CSI의 측정 정보에 대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는 각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 하의 최적의 서브 대역의 CSI;
    또는 상기 서브 대역 CSI 정보의 최적의 서브 대역 조합의 CSI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은 주파수 호핑 규칙에 따라 페어링한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거나, 또는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은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M 개 송신 시기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한 후,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최적의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바, 상기 최적의 서브 대역은 상기 최적의 조합 중의 서브 대역인 단계;
    또는 주파수 호핑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대역 조합의 M 개 주파수 호핑 서브 대역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대역과 상기 최적의 전달 모드의 최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전,
    상기 보조 장치로 제4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4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조 장치로 제5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구성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M 개 서브 대역에 대응되는 M 개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3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에 대하여 바이어싱 처리를 진행하는 것;
    서로 다른 이산화 지표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 전달 빔의 어레이 정보를 계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방법.
  32.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에 있어서,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리포팅하는 제1 리포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5.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빔 훈련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
    단말 장치가 리포팅하는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바, 상기 측정 정보는 단말 장치가 보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달 모드 하에서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빔 훈련을 위한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한 후 획득한 것이고,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장치의 전달 모드는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과 신호를 전달하는 빔 위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2 획득 모듈;
    상기 측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보조 장치의 최적의 전달 모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1 참조 신호와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제3 참조 신호이며;
    상기 제3 참조 신호는 상기 보조 장치의 빔 방황과 빔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이고, 상기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의 수량은 M*N 개이며;
    N은 네트워크가 구성한 상기 보조 장치가 신호를 전달하는 빔 방향의 수량이고, M은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각 전달 빔의 빔 위상의 수량이며, 각 제3 참조 신호의 송신 시기는 보조 장치의 하나의 빔 방향과 하나의 빔 위상에 대응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빔 훈련 신호에 대응되는 전달 빔 및/또는 빔 위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훈련 장치.
  38. 단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9.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5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0.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41. 칩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3.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4.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15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빔 훈련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237007604A 2020-08-03 2021-07-28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KR20230047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69022.XA CN114070370A (zh) 2020-08-03 2020-08-03 波束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202010769022.X 2020-08-03
PCT/CN2021/108993 WO2022028292A1 (zh) 2020-08-03 2021-07-28 波束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161A true KR20230047161A (ko) 2023-04-06

Family

ID=8011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604A KR20230047161A (ko) 2020-08-03 2021-07-28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79277A1 (ko)
EP (1) EP4191896A4 (ko)
JP (1) JP2023536485A (ko)
KR (1) KR20230047161A (ko)
CN (1) CN114070370A (ko)
WO (1) WO2022028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1912A (zh) * 2021-06-03 2022-12-06 索尼集团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078537A1 (en) * 2021-09-16 2023-03-1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WO2023160119A1 (zh) * 2022-02-23 2023-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7119473A (zh) * 2022-05-12 2023-11-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辅助设备的波束控制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WO2023216193A1 (en) * 2022-05-12 2023-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ver ris
WO2023225927A1 (en) * 2022-05-26 2023-11-30 Qualcomm Incorporated Reflective intelligent surface reference signals
CN117858111A (zh) * 2022-09-30 2024-04-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参数确定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17997398A (zh) * 2022-11-03 2024-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级联链路中的信号测量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7998390A (zh) * 2022-11-03 2024-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468B1 (ko) * 2017-10-17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협력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401475B (zh) * 2018-04-2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波束训练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09996265B (zh) * 2019-04-02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测量方法、装置、系统、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0278017B (zh) * 2019-06-27 2023-07-25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智能反射面的多天线无线能量传输系统与方法
CN111245492B (zh) * 2020-01-10 2022-01-21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接收功率排序的智能反射面选择方法
CN111245493B (zh) * 2020-01-10 2021-07-20 北京邮电大学 智能反射面辅助毫米波通信系统的高效波束训练方法
CN111917448B (zh) * 2020-08-13 2022-08-02 深圳大学 一种毫米波通信的波束训练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1896A1 (en) 2023-06-07
WO2022028292A1 (zh) 2022-02-10
JP2023536485A (ja) 2023-08-25
CN114070370A (zh) 2022-02-18
US20230179277A1 (en) 2023-06-08
EP4191896A4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7161A (ko) 빔 훈련 방법, 장치,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EP3577778B1 (en) Mechanism for beam reciprocity determination and uplink beam management
US93691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 forming
CN109275356A (zh) 用于具有波束成形技术的无线通信系统的波束管理方法
CN108282211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KR20180098592A (ko)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mimo)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희소 상관 매트릭스의 피드백
CN112312416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4826447A (zh) 确定天线面板状态的方法和装置
EP3494646A1 (en) Signaling rx/tx beamforming linkage for mimo systems
US1172220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SRP measurements for a wireless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per antenna arrangement
CN111869123B (zh) 用于高效波束管理的通信设备
WO2023143562A1 (zh) 来波方向估计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194040A (zh) 波束上报的方法与装置
CN105519009A (zh) 天线设备和用于控制天线阵列的天线波束的聚焦的方法
US2024008993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4093776A1 (zh) 级联链路中的信号测量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WO2024017190A1 (zh) 感知信号的路径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4390539B (zh) 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027536A1 (zh) 感知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40036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with radar based rf exposure estimation in mobile devices
WO2023198152A1 (zh) 感知测量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8042599A (zh) 传输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202451789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サーフェス機器のビーム制御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4067964A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panel switching for uplink beam management
CN117915452A (zh) 一种无线通信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