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531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531A
KR20230046531A KR1020210129629A KR20210129629A KR20230046531A KR 20230046531 A KR20230046531 A KR 20230046531A KR 1020210129629 A KR1020210129629 A KR 1020210129629A KR 20210129629 A KR20210129629 A KR 20210129629A KR 20230046531 A KR20230046531 A KR 2023004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distance
exter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화
최정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531A/ko
Priority to EP22876911.3A priority patent/EP4333467A1/en
Priority to PCT/KR2022/014681 priority patent/WO2023055139A1/ko
Priority to CN202280045217.7A priority patent/CN117597947A/zh
Publication of KR2023004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531A/ko
Priority to US18/208,150 priority patent/US202303282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광학 출력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프로젝터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스크린 화면 내에 제공되는 UI를 통해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하여야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에, 최근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광이 프로젝션 렌즈를 통하여 벽 또는 스크린으로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가 발달되어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 근처에 광학 출력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 장치와 사용자의 외부 장치 간의 연결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BLE 방식 및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터인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BLE 방식 및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전자 장치는 편리하고 직관적인 연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프로젝터 장치를 식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 AR 글래스,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TV,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카메라, 스마트 워치, 프로젝터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olid State Drive, SD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access)되며, 프로세서(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40) 내의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20)가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은 제3 기기(예로, 중계기, 허브, 엑세스 포인트,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등)를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 폰, AR 글래스,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카메라, 스마트 워치, 프로젝터 장치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부(130)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oF 센서는 적외선 파장을 통해 물체로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의 공간 정보, 거리 정보,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30)는 하나의 ToF 센서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의 전방(예로, 전자 장치가 프로젝터 장치인 경우,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으로부터 기 설정 반경(예로, 90도, 120도, 150도, 180도 등)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30)는 복수 개의 ToF 센서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100)의 360도 주변의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13)는 회전 가능한 하나의 ToF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ToF 센서는 360도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 주변의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113)는 ToF 센서 이외에도,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거리 센서 및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할 수 있는지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130)의 다양한 구성(예로, 이미지 센서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의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에 따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의 신호의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가까이에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전자 장치(100)와 멀리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기 설정 반경 내 감지되는 오브젝트를 외부 장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 및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함께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식별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가까운 제3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짧은 제3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와 무관하게 동일하나,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로부터 변화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계속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초기 거리로부터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 보다 감소(예로, 3초)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초기 거리로부터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 보다 증가(예로, 10초)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2 반경 이상 멀어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반경은 앞서 설명한, 제1 반경(예로, 1m 반경)과 동일한 반경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경보다 멀거나 가까울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에 따라 상이하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로부터 변화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다양한 연결 방식(예로,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외부 장치가 감지되었으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제1 정보가 투사된 후,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제3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정보는 대기 시간이 감소되며 감소된 대기 시간이 경과됨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4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정보는 대기 시간이 증가되며 증가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예로, 모바일을 흔들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를 제3 정보와 함께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3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2a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에는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200)의 신호의 세기와 ToF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100)가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투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더 이용하여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2b와 같이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여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200)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100)가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투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ToF 센서의 화각의 제한으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 내 기 설정 반경 내의 외부 장치를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복수 개로 구현되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360도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더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3a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a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200-1)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a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로,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제2 외부 장치(200-2)가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나, 제2 외부 장치(200-2)는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제2 외부 장치(200-2)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 또는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1)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1)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3b와 같이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여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200-1)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1)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1)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프로젝터 장치를 식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상이한 프로젝터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제3 반경)(예로, 2m)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장치(300)는 프로젝터 장치(3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장치(3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프로젝터 장치(300)와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프로젝터 장치(300) 각각에서 기 설정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외부 장치(200)와 상대적으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장치를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큰 장치를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가 식별되면,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장치와 외부 장치(200)가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상(50)의 일 영역에 제1 정보(55)가 표시되도록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55)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한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식별 정보(예로, Jenny의 휴대폰)와 해당 외부 장치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예로, Detect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55)가 제공된 후, 전자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도 6a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한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식별 정보(예로, Jenny의 휴대폰)와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 중이라는 정보(예로, Connecting) 및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게이지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UI에는 제1 색상(예로, 파랑)의 게이지가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어 제2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UI의 게이지가 채워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55)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55)가 제공된 후, 전자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가 제공되는 도중,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7a와 같이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4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정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시간이 증가되어 도 6a의 게이지보다 게이지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예로, 제4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색상은 제2 정보의 게이지의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예로, 빨강)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계속 멀어짐에 따라 제4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가 계속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4 정보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예로, 모바일을 흔들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기 설정 반경(예로, 제2 반경) 이상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도 7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도 7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장치(200)를 기 설정 횟수(예로, 2회) 흔드는 동작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2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30).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S830-N),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40). 도 8에서는 S830 동작 이후에 S840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S840 동작이 S830 동작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S840 동작과 S830 동작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S840-N), 전자 장치(10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5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된 것으로 식별되면(S840-Y),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감소시켜 제3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6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된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의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을 감소시켜,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제3 대기 시간(예로, 3초)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된 것으로 식별되면(S830-Y),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7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된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제2 대기 시간(예로, 10초)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계속하여 멀어지는 경우, 제2 대기 시간은 계속하여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기 설정 반경(예로, 제2 반경) 이상 멀어지거나,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9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92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복수의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식별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3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가까이에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전자 장치(100)와 멀리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4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차이가 기 설정 거리(예로, 10cm)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차이가 기 설정 거리(예로, 10cm)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940-Y),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S95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960). 즉,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S940-N),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S97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시 시간이 경과되면,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980). 즉,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01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BLE 방식 및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S1030).
일 예로,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일 예로,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040). 반면,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 반경 이상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150)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프로세서(140), 프로젝션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및 프로세서(14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젝션부(150)는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50)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영상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50)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50)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50)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150)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5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50)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50)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150)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50)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240)(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15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50)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40)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50)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40)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에 전달 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 없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11)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80)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80)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80)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 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80)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디스플레이는 방송 컨텐츠, 멀티 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본체(105), 프로젝션 렌즈(109), 커넥터(111) 또는 커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을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9)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9)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9)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9)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09)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09)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09)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09)의 출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11)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11)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11)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11)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11)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11)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11)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출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11)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11)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11)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11)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영상이나 현재 촬영 중인 영상을 프로젝션부(210)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통신 인터페이스
130: 센서부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BLE 방식 및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인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기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BLE 방식 및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129629A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46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29A KR20230046531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2876911.3A EP4333467A1 (en) 2021-09-30 2022-09-2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2/014681 WO2023055139A1 (ko) 2021-09-30 2022-09-2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2280045217.7A CN117597947A (zh) 2021-09-30 2022-09-29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8/208,150 US20230328209A1 (en) 2021-09-30 2023-06-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29A KR20230046531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31A true KR20230046531A (ko) 2023-04-06

Family

ID=8578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629A KR20230046531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8209A1 (ko)
EP (1) EP4333467A1 (ko)
KR (1) KR20230046531A (ko)
CN (1) CN117597947A (ko)
WO (1) WO20230551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5582B2 (ja) * 2008-07-24 2010-11-2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339835B1 (ko) * 2011-12-13 2013-12-11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KR101974820B1 (ko) * 2012-09-10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기
US11153811B2 (en) * 2020-01-28 2021-10-19 Dell Products, L.P. Variable scan interval using con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28209A1 (en) 2023-10-12
CN117597947A (zh) 2024-02-23
EP4333467A1 (en) 2024-03-06
WO2023055139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91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2604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37943A1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US20230037686A1 (en) Electronic device, contents searching system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EP433346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2694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40094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600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3004896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05948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804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2903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57217A (ko)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1071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00325A (ko)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3002612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00336A (ko) 영상을 크롭하여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5494A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053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271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5211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3001451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1290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453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760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