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717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717A
KR20230022717A KR1020210104828A KR20210104828A KR20230022717A KR 20230022717 A KR20230022717 A KR 20230022717A KR 1020210104828 A KR1020210104828 A KR 1020210104828A KR 20210104828 A KR20210104828 A KR 20210104828A KR 20230022717 A KR20230022717 A KR 2023002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hutter unit
electronic device
shu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김학재
문승현
박기홍
백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717A/ko
Priority to PCT/KR2022/009346 priority patent/WO2023018008A1/ko
Publication of KR2023002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with simulated flight- or engine-generated force being applied to aircraft occup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전자 장치는 메모리, 셔터부,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이미지에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고,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에 출력되는 광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가 출력을 결정한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경우, 프로젝션 렌즈의 기울기 또는 투사면의 굴곡 정보 등에 따라 이미지가 왜곡되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은 투사면에 왜곡이 줄어든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이미지를 역으로 왜곡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프로젝터는 사양에 맞춰 특정 방향(정면등)으로 투사하지 않을 경우, 키스톤 보정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시청 화면이 직사각형에 맞춰질 수 있다. 키스톤 보정 동작에서 프로젝터 내부의 패널(예를 들어,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에서 컨텐츠 송출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이미지 부분)과 사용되지 않는 부분(잔여 부분)으로 나뉘게 될 수 있다. 현 광학기기의 제약상 문제로 잔여 부분에 대하여 Black처리를 하여도 잔광이 투사되어 gray zone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gray zone은 시청을 위한 영역의 형태(ex 직사각형)의 형태와 각 변이 평행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해당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감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에 대응되는 광을 투사면에 출력하고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광이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셔터부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셔터부,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이미지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잔여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한편, 상기 셔터부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몸체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는 상기 셔터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상기 셔터부의 기준점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몸체를 상기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셔터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이미지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잔여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몸체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는 상기 셔터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상기 셔터부의 기준점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몸체를 상기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2a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6a의 전자 장치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7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프로젝션 렌즈 및 셔터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프로젝션 렌즈의 오프셋에 대응되도록 셔터부가 배치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잔여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이미지 영역이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이미지 보정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잔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셔터부에 따라 변경되는 잔여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셔터부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셔터부의 몸체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셔터부의 몸체를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가림 불가능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잔여 영역이 없도록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잔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잔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본체(105), 프로젝션 렌즈(110), 커넥터(130) 또는 커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을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108a, 도 3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10)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10)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10)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10)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10)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10)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10)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30)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30)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30)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30)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출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30)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30)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30)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30)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영상이나 현재 촬영 중인 영상을 프로젝션부(111)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1), 메모리(112), 셔터부(120) 및 프로세서(114)를 포함한다.
프로젝션부(111)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b에서 기술한다. 여기서, 프로젝션부로 기재되었지만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은 이미지가 출력되는 물리적 공간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스크린일 수 있다.
메모리(112)는 투사면에 출력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2)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b에서 기술한다.
셔터부(120)는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셔터부(120)는 셔터(121), 고정 부재(122), 레일(123), 몸체(124) 또는 모터(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24)는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가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14)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메모리(112)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이미지에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고,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동작”은 “잔여 부분에 출력되는 광을 셔터부(120)가 가리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는 사용자가 프로젝션부(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자 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메모리(112)에 복수의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4)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제1 이미지는 기 결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미지는 제조사의 로고가 포함된 테스트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미지는 메모리(112)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제1 이미지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이미지 크기, 전자 장치(100)의 경사 각도(또는 틸팅 각도), 투사면의 크기 또는 투사면의 굴곡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되기 전의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기재할 수 있고,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후의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기재한다.
여기서,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면, 키스톤 보정 과정에서 제1 이미지는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사다리꼴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2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잔여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사다리꼴 형태의 이미지 부분과 잔여 부분을 결합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의 이미지(910)는 제2 이미지일 수 있고, 이미지 부분(911)은 제1 이미지가 키스톤 보정으로 인해 사다리꼴 형태로 변형된 부분이며, 잔여 부분(912)은 직사각형 형태의 제2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제1 이미지의 형태가 사다리꼴로 기재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 제1 이미지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 컨텐츠가 포함된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은 이미지를 차지하는 특정 영역, 범위, 구역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미지는 이미지 부분 및 잔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를 프로젝션부(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부(12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제2 이미지 전부를 투사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미지 전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경우,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에도 광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화면을 시청함에 따라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에서 이미지 부분만 출력되도록 잔여 부분에 출력되는 광을 가리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잔여 부분이 출력되는 위치에 셔터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에 해당하므로 제2 이미지에서 포함하는 잔여 부분의 위치를 고려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이미지 부분을 투사면에 출력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잔여 부분을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은 이미지 부분 및 잔여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이미지 부분의 위치 및 잔여 부분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을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제2 이미지의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출력을 가리도록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 전 셔터부(120)는 프로젝션부(111)를 전혀 가리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출력 명령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14)는 프로젝션부(111)의 일부를 가리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의 전체 영역에서 제2 이미지의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을 가리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이미지의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이란, 프로젝션부(111)가 잔여 부분을 출력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정보 또는 회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고,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정보는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120)가 이동해야 하는 이동 지점 또는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정보는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최적점(optimal poin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정보는 셔터부(120)가 이동한 후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120)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 각도는 고정된 크기의 셔터(121)의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회전 각도는 크기가 변경되는 셔터(121)의 확장 각도 또는 축소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2)는 셔터부(120)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셔터부(120)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는 셔터부(120)가 물리적으로 이동 가능한 좌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셔터부(120)는 기 결정된 위치로만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해당 이동 가능한 좌표를 메모리(11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물리적으로 이동 가능한 셔터부(120)의 위치 및 잔여 부분의 위치를 비교하여 셔터부(120)가 이동해야 하는 최적점 및 회전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 정보는 회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각도는 양(+)의 각도와 음(-)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각도의 양(+) 또는 음(-)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도는 시계 방향으로 30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30도는 반시계방향으로 30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회전 정보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회전 방향 또는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각도는 0도부터 360도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의 셔터부(120)는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과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과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셔터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중심축이 일치해야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을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9에서 기재한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프로젝션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고, 오프셋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벗어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정확하게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에 출력된다면 오프셋은 0%일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가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에서 벗어날수록 오프셋의 값은 커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0에서 기재한다.
한편, 프로젝션부(111)의 셔터부(120)는 셔터(121), 고정 부재(122), 레일(123), 몸체(124) 또는 모터(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24)는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가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터(125)는 셔터부(120)의 구성의 이동 또는 회전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른 구동 에너지를 각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셔터부(120)는 고정된 크기의 셔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셔터부(120)는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셔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21)는 프로젝션부(111)를 통해 투사되는 화면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여기서, 셔터(121)는 가림막을 의미할 수 있다.
모터(125)는 셔터(121) 또는 몸체(124)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셔터부(120)는 셔터(121)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와 몸체(124)를 상하좌우 이동시키는 이동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셔터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투사 비율(Throw Ratio, TR), 프로젝션부(111)의 광학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출력되는 화면을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촬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이 셔터(121)에 의해 가려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촬상 이미지에서 잔여 부분이 출력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121)의 위치를 재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촬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 부분이 셔터(121)에 의해 가려지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부분이 셔터(121)에 의해 가려지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121)의 위치를 재변경할 수 있다.
셔터부(120)의 다양한 구현 형태는 도 12 내지 도 18에서 기재한다.
셔터부(120)의 이동 및 제어 동작과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5 내지 도 32에서 기재한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셔터부(120)의 기준점을 식별할 수 있고, 몸체(124)를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레일(123)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레일(123)을 따라 몸체(124)를 이동시켜 고정 부재(122)가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셔터(121), 고정 부재(122), 레일(123), 몸체(124) 및 모터(125)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 및 레일(123)을 이용한 이동 동작과 관련된 설명은 도 28에서 기재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몸체(124)는 고정 부재(122) 및 고정 부재(122)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고정 부재(122)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에서 기재한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 자체를 차단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많은 한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셔터부(120)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광을 차단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광이 차단되면, 출력된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키스톤 보정을 수행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실시 예들을 기재하였다. 하지만,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키스톤 보정이 수행되기 전에 셔터부(120)를 제어하고,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제어한 이후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출력 대상인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이미지가 출력될 영역과 잔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잔여 영역은 제1 이미지가 출력되지 않지만 프로젝션부(111)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영역에 출력되는 광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키스톤 보정으로 인하여 제1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셔터부(120)의 위치 이동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셔터부(120)의 제어 동작은 키스톤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고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을 분석하여 투사면이 평면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을 먼저 수행하고, 그 이후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제어하고 그 이후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을 분석하여 투사면이 평면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제어하고, 그 이후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이 평면이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동작은 투사면에 굴곡이 있거나, 투사면이 복잡한 형태이거나, 투사면 근처에 장애물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통해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투사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경우 화면 비율이나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작에서 화면이 깜박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셔터부(120)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용하여 광을 차단시키는 동작은 화면이 깜박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액정형 셔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형 셔터는 프로젝션부(111)를 전부 또는 일부 덮고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형 셔터는 액정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광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은 광을 통과시키고, 잔여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은 광을 차단시키도록 액정형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출력되는 이미지의 해상도, 액정형 셔터의 해상도(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액정형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의 해상도는 셔터의 조절 능력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부분과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는 잔여 부분을 구별하는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그 이후 액정형 서터의 위치에 맞는 투사 면적 및 액정형 서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잔여 부분이 투사되지 않도록 액정형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셔터(액정형 셔터를 포함)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동작은 픽셀 크기 매칭(pixel size matching)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해상도 및 셔터부(120)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잔여 부분이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투사 크기(이미지가 출력되는 크기) 및 셔터부(120)의 크기가 1:1 로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이 셔터부(120)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투사 크기(이미지가 출력되는 크기) 및 셔터부(120)의 크기가 1:1 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해상도가 UHD이고 셔터부(120)의 해상도가 FHD인 경우, 셔터부(120)의 조절 능력은 전자 장치(100)의 1/4 수준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오프되는 픽셀이 단위 면적당 4개 이상이면 셔터부(120)는 해당 위치의 1픽셀을 오프시킬 수 있다. 만약, 셔터부(120)에서 오프되는 픽셀이 단위 면적당 3개 이하이면, 셔터부(120)는 해당 위치에 별도로 픽셀을 오프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셔터부(120)의 해상도가 전자 장치(100)의 투사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위치와 출력되는 이미지 영상의 크기 간 거리 비율만 이용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도2a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1), 메모리(112), 센서부(113), 프로세서(114), 유저 인터페이스(115), 입출력 인터페이스(116), 오디오 출력부(117), 전원부(118), 통신 인터페이스(119) 및 셔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프로젝션부(111)는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11)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영상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1)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1)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111)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111)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11)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240)(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11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14)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4)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4)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14)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2))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2)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12)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2)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4)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4)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14)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12)라는 용어는 메모리(112), 프로세서(114)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3)는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또는 뎁스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기울기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댜앙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3)는 조도 센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에 전달 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 없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Display Port), 썬더볼트 (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영상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USB C-type을 통해 외부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전원 어뎁터를 통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DP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모니터 등)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LTE(Long Term Evoloution)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영상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고, 영상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고, 영상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7)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17)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전원부(118)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부(1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3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8)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8)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18)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 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18)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블루 스크린 형태의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형태만을 추출하여 비정형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120)는 셔터(121), 고정 부재(122), 레일(123), 몸체(124) 또는 모터(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121)는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122)는 셔터(12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일(123)은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이동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몸체(124)는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모터(125)는 셔터부(120)에서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몸체(124)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셔터(121)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a)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를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지지대(108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외주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5) 외주면에서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8a)의 개수, 형상 또는 배치 구조는 제약이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8a)는 본체(105) 내부에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별도의 액세서리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108a)는 제1 지지면(108a-1)과 제2 지지면(108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바깥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내부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본체(105) 하부로부터 본체(105) 상부로 전개되며 본체(105)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며, 제1 지지면(108a-1)은 평탄하거나 균일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전자 장치(100)가 본체(105)의 외측면이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 되는 경우, 즉 프로젝션 렌즈(110)가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105)를 지지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지지대(108a)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2개의 지지대(108a)의 간격 또는 힌지 개방된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103)와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의하여 지지가 될 때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맞닿는 면으로, 전자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의 파지 구조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전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헤드(103)를 고정하고 지지대(108a)를 잡고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손전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은 본체(105)에 마련되어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용 가능한 홈 구조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을 통하여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가 보관될 수 있으며, 본체(105) 외주면은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108a)가 본체(105) 내부에 보관되고 지지대(108a)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지대(108a)를 본체(105) 외부로 빼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 홈(104)은 지지대(108a)를 수용하도록 본체(105) 내부로 인입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면(108a-2)이 본체(105)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별도의 지지대 홈(104)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이용 또는 보관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삼각대(미도시) 또는 외부 면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를 고정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b)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b)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8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기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2/3~ 3/4 지점)에서 본체(105)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108)가 본체 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c)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와 베이스 플레이트(108-c)와 본체(105)를 연결하는 두 개의 지지부재(108c-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두 개의 지지부재(108c-2)의 높이는 동일하여, 두 개의 지지부재(108c-2)의 일 단면 각각이 본체(105)의 일 외주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부재는 본체(105)의 기 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1/3 ~ 2/4 지점)에서 본체(1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부재와 본체가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되면, 두 개의 힌지 부재(108c-3)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되어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는 두 개의 지지부재(108c-2)가 본체(105)와 연결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재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6a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d)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d-1)와 베이스 플레이트(108-c)와 본체(105)를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부재(108d-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부재(108d-2)의 단면은 본체(105)의 일 외주 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부재(108d-2)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면, 도 6b와 같이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4,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지지대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위치나 형태로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출력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7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S7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S71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광이 조사될 수 있는 출력 부분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부분을 제외한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S720).
도 8은 도7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출력할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8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810).
여기서, 제2 이미지는 타겟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부분 및 타겟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이미지에서 타겟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S81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S8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825).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과 잔여 부분이 모두 포함된 제2 이미지를 프로젝션 렌즈(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셔터부(120)가 잔여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투사면에는 이미지 부분만이 표시되고 잔여 부분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910)를 획득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91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911) 및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9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910)를 프로젝션 렌즈(110)를 통해 투사면(901)에 출력할 수 있다.
투사면에는 출력 가능 영역(920), 이미지 영역(921) 및 잔여 영역(922)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가능 영역(920)은 전자 장치(100)가 프로젝션 렌즈(110)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출력 가능 영역(920)은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910) 전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921)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911)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잔여 영역(922)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912)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전자 장치(10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911)을 투사면(901)의 이미지 영역(92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912)을 투사면(901)의 잔여 영역(92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010)를 획득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01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011) 및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10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010)를 프로젝션 렌즈(110)를 통해 투사면(1001)에 출력할 수 있다.
투사면에는 출력 가능 영역(1020), 이미지 영역(1021) 및 잔여 영역(1022)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가능 영역(1020)은 전자 장치(100)가 프로젝션 렌즈(110)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출력 가능 영역(1020)은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010) 전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1021)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011)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잔여 영역(1022)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1012)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전자 장치(10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011)을 투사면(1001)의 이미지 영역(102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1012)을 투사면(1001)의 잔여 영역(102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110)를 획득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11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111) 및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1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110)를 프로젝션 렌즈(110)를 통해 투사면(1101)에 출력할 수 있다.
투사면에는 출력 가능 영역(1120), 이미지 영역(1121) 및 잔여 영역(1122)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가능 영역(1120)은 전자 장치(100)가 프로젝션 렌즈(110)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출력 가능 영역(1120)은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1110) 전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1121)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111)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잔여 영역(1122)은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잔여 부분(1112)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전자 장치(100)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1111)을 투사면(1101)의 이미지 영역(112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1112)을 투사면(1101)의 잔여 영역(112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 예(1210)는 셔터부(120)가 이동하기 전 상황을 나타낸다.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는 셔터부(120)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1220)는 셔터부(120)가 이동한 후의 상황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셔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이동시켜 프로젝션 렌즈(11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및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은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각각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좌측 중앙 부분, 우측 중앙 부분, 상측 중앙 부분 또는 하측 중앙 부분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셔터(121-1)는 제1 고정 부재(122-1)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22-1)는 제1 셔터(12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의 셔터 및 고정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의 회전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의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및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 각각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 각각은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각각의 측면 부분(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 각각은 프로젝션 렌즈(110)의 모서리 영역(좌상측 부분, 우상측 부분, 좌하측 부분, 우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가 원형의 형태이면, 임의의 포인트가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포인트에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셔터(121-1)는 제1 고정 부재(122-1)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22-1)는 제1 셔터(121-1)의 측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의 셔터 및 고정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 122-7, 122-8) 각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의 회전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의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1, 121-1-2, 121-2-1, 121-2-2, 121-3-1, 121-3-2, 121-4-1, 121-4-2) 및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셔터(121-1-1, 121-1-2, 121-2-1, 121-2-2, 121-3-1, 121-3-2, 121-4-1, 121-4-2)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은 복수의 셔터(121-1-1, 121-1-2, 121-2-1, 121-2-2, 121-3-1, 121-3-2, 121-4-1, 121-4-2) 각각의 측면 부분(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은 프로젝션 렌즈(110)의 모서리 영역(좌상측 부분, 우상측 부분, 좌하측 부분, 우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가 원형의 형태이면, 임의의 포인트가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포인트에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셔터(121-1-1)는 제1 고정 부재(122-1)에 의해 셔터부(120)의 몸체(1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22-1)는 제1 셔터(121-1-1)의 측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의 셔터 및 고정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하나의 고정 부재에 두 개 이상의 셔터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부재(122-1)에 의하여 고정되는 셔터(121-1-1, 121-1-2)가 2개일 수 있다. 이외의 셔터 및 고정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121-1-1, 121-1-2, 121-2-1, 121-2-2, 121-3-1, 121-3-2, 121-4-1, 121-4-2) 각각은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각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셔터(121-1-1, 121-1-2, 121-2-1, 121-2-2, 121-3-1, 121-3-2, 121-4-1, 121-4-2)의 회전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의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및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는 부채꼴 모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의 부채꼴의 크기는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크기의 부채꼴 모양의 셔터(121-1, 121-2, 121-3, 121-4)가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의 부채꼴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부채꼴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은 도 28의 실시 예(2810)에서 기술한다.
이외의 설명은 도 13에서 기재하였는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셔터부(12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및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주위에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부재(122-1, 122-2, 122-3, 122-4, 122-5, 122-6)는 좌상측, 상측, 우상측, 우하측, 하측, 좌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의 설명은 도 16에서 기재하였는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 예(1810)는 프로젝션 렌즈(110)가 셔터부(1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진 상황을 나타낸다. 프로젝션 렌즈(11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 있다.
실시 예(1820)는 프로젝션 렌즈(110)가 셔터부(120)에 의해 일부만 가려진 상황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의 이동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가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일부만 가려질 수 있다.
도 19는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1910)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1910)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발생되면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은 프로젝션 렌즈의 오프셋에 대응되도록 셔터부가 배치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 예(201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0%인 상황의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의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할 수 있다.
실시 예(202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100%인 상황의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의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발생하므로,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셔터부(12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203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150%인 상황의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의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발생하므로,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셔터부(12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204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200%인 상황의 프로젝션 렌즈(110) 및 셔터부(120)의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이 발생하므로,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 및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셔터부(120)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오프셋(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의 크기가 클수록 셔터부(120)의 배치도 프로젝션 렌즈(110)의 중심축에서 더 많이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프로젝션 렌즈(11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오프셋이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오프셋에 대응되도록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1은 잔여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110)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2110)에서 잔여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잔여 부분의 일부를 식별하기 위해 이미지(2110)에서 특정 부분(212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미지(2130)는 특정 부분(2120)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PA(x1, y1) 및 PB(x2, y2)의 선분(2131) 및 선분(2132)사이의 각도가 θ1일 수 있다. 여기서, PA(x1, y1) 및 PB(x2, y2)의 선분(2131) 및 선분(2133) 사이의 각도가 θ2일 수 있다.
여기서, θ1= arctan(|y2-y1|/ |x2-x1|)일 수 있다.
또한, d1=yp일 수 있다.
또한, a1=tan(θ1)* |x1-xp|일 수 있다.
또한, PA(x1, y1)의 y축 좌표값 y1이 PB(x2, y2)의 y축 좌표값 y2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d1+a1을 고려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의 이동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d1+a1 이외에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패널 및 셔터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DMD 패널 자체의 높이 및 셔터에 투사되는 크기의 높이 비를 고려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_all_s=d_all*H/h일 수 있다.
여기서, D_all_s는 실제 셔터(121)의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d_all은 DMD 패널 내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h는 DMD 패널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H는 셔터(121)의 높이(또는 셔터(121) 위치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h 대신에 w가 이용될 수 있으며, w는 DMD 패널의 너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H대신에 W가 이용될 수 있으며, W는 셔터 위치에서의 화면 너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P0(x0, y0)이 셔터부(120)가 배치된 원점이다. PA(x1, y1) 및 PB(x2, y2)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110)에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분의 모서리이다. 또한, PP(xp, yp), PC(x3, y3) 및 PD(x4, y4)는 셔터부(120)의 이동 가능한 지점이다.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120)를 P0(x0, y0)에서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P0(x0, y0)에 대한 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110)에 기초하여 PA(x1, y1) 및 PB(x2, y2)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에 대한 추가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PA(x1, y1) 및 PB(x2, y2)가 아닌 다른 위치에 셔터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가 PA(x1, y1)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y축 방향으로 ‘y3-y0’(d1)만큼 이동시키고 x축 방향으로 x1-x0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PA(x1, y1) 이동시킨 후 셔터부(120)에 포함된 셔터를 θ1만큼(또는 θ1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가 PB(x2, y2)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y축 방향으로 ‘y2-y0’(d2)만큼 이동시키고 x축 방향으로 x2-x0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PB(x2, y2)로 이동시킨 후 셔터부(120)에 포함된 셔터를 θ2만큼(또는 θ2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가 PC(x3, y3)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y축 방향으로 ‘y3-y0’(d1+a1)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PC(x3, y3) 이동시킨 후 셔터부(120)에 포함된 셔터를 θ1만큼(또는 θ1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가 PD(x4, y4)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x축 방향으로 ‘x4-x0’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PD(x4, y4)로 이동시킨 후 셔터부(120)에 포함된 셔터를 θ2만큼(또는 θ2에 기초하여 계산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셔터부(120)가 PP(xp, yp)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y축 방향으로 ‘yp-y0’(d1)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PP(xp, yp)로 이동시킨 후 셔터부(120)에 포함된 셔터를 새로운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110)를 분석하여 셔터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 이외에 투사 비율(Throw Ratio)을 고려하여 셔터의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상 영역과 패널(예를 들어,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의 표시 영역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셔터의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계산 과정에서 획득된 다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셔터(121)의 회전 각도, 상하좌우 이동 거리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영역의 각 변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상태에서는 셔터의 동작범위를 추출하기 위해 각 극점간 연결에서 직교거리로 가장 먼 왜곡영역을 기준점으로 새로운 기준선을 형성, 해당 선과 점을 기준으로 셔터의 각 블레이드 회전영역과 이동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3에서 기재한다.
한편, 셔터의 구조에 있어, 각 블레이드(도 13의 직사각형 모양 또는 도16의 부채꼴 모양)가 개별 구동이 되는 것이 아닌 2개 이상의 셔터 블레이드가 연결 구동되는 경우, 보정 영역의 외곽점은 새로운 기준선 취득과 같은 원리로 보정 영역의 내측이 가려지지 않도록 적정 외곽점을 취득할 수 있다. 해당 환경에서는 셔터 블레이드의 개별 구동보다는 정밀하지 못하나, 연산 및 조절에 있어서는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키스톤 보정이 아닌, 프로젝션 영역 중 일부만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각 등의 연산 없이 셔터의 블레이드 상하좌우 이동 등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그 판단은 보정 영역의 각 극점의 x, y 좌표의 상호비교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x1=/x2, y1=y2 일 경우 가로변 평행 상태)
전자 장치(100)는 셔터(121)의 회전 각도 및 이동 거리를 획득함에 있어 우선 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회전각이 작은 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이동 거리가 짧은 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동작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2는 이미지 영역이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 예(2210) 및 실시 예(2220)는 투사면에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2210)에서, 이미지 영역(2211) 및 잔여 영역(2212)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2220)에서 잔여 영역(2222)의 위치를 실시 예(2210)와 동일하게 유지하되 이미지 영역(2221)의 위치만을 실시 예(2210)와 다르게 되도록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22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보다 실시 예(22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더 아래쪽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셔터의 이동에 제약이 있는 경우, 도 22의 실시 예(2220)와 같이 이미지 부분 자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3은 이미지 보정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잔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 예(2310)에서 이미지(2311)는 키스톤 보정이 완료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미지(2311)에서 모서리 중 한 부분(2312)을 특정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2320)는 부분(2312)을 확대한 것이다. 모서리에 해당하는 축(2301)과 임의의 축(2302)은 평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축(2301)에 존재하는 기준점(2321) 또는 기준점(2322)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2330)는 이미지(2311)의 보정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확장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미지(2311)는 실시 예(2320)보다 추가적으로 더 확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준점(2321), 기준점(2322) 이외의 추가 기준점이 식별될 필요성이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축(2301)에서 가장 먼 위치에 출력되는 지점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지점을 기준점(2331)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준점(2321), 기준점(2322) 또는 기준점(2331)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2340)는 이미지(2311)의 보정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축소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미지(2311)는 실시 예(2320)보다 더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준점(2321), 기준점(2322) 이외의 추가 기준점이 식별될 필요성이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축(2301)에 위치하는 기준점(2432)을 식별할 수 있고, 축(2302)에 위치하는 기준점(2431) 또는 기준점(2433)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준점(2431), 기준점(2432) 또는 기준점(2433)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실시 예(2340)의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기준점을 식별하지 않고 기존의 기준점(2321) 및 기준점(2322)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최적의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4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2410)에서 타겟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부분(2411) 및 타겟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잔여 부분(2412)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2412)을 가리기 위해 셔터부가 이동해야 하는 최적의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2411)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2411)의 외곽선에 기초하여 선분(2421) 및 선분(2422)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선분(2421) 및 선분(2422)이 교차하는 지점을 최적의 지점(2430)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최적의 지점(2430)으로 셔터부(120)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5는 셔터부(120)에 따라 변경되는 잔여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실시 예(2510), 실시 예(2520) 및 실시 예(253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500)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다양한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미지(2500)는 이미지 부분(2501) 및 잔여 부분(2502)을 포함한다.
실시 예(25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잔여 부분(2502)이 그대로 투사면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25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2502)의 일부만을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로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잔여 부분(2502) 중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가려진 부분은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25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2502)의 모든 부분을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로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잔여 부분(2502) 중 모든 부분이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6은 셔터부(120)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실시 예(2610) 및 실시 예(262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2600)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다양한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미지(2600)는 이미지 부분(2601) 및 잔여 부분(2602)을 포함한다.
실시 예(26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잔여 부분(2602)이 그대로 투사면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2601)에 기초하여 잔여 부분(2602)에서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가 이동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의 지점(2603-1, 2603-21, 2603-3, 2603-4)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26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최적의 지점(2603-1, 2603-21, 2603-3, 2603-4)에 기초하여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7은 셔터부(120)의 몸체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2705). 그리고, 출력할 제1 이미지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부분 및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7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는지 식별할 수 있다 (S2715).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는 경우 (S2715-Y),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이동하지 않고 셔터(121)만을 제어할 수 있다 (S2720).
여기서,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지 않는 경우 (S2715-N),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이동하여 셔터(1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은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실시 예(2810) 및 실시 예(2820)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에서 셔터부(120)의 위치를 나타낸다.
실시 예(2810)에서 셔터부(120)는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투사면에서 프로젝션 렌즈(110)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 부재(122)는 프로젝션 렌즈(110)의 좌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고정 부재(122)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셔터(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셔터(121)를 이동한다는 의미는 셔터(121)의 크기를 유지한채 고정 부재(12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할 있다. 다른 예로, 셔터(121)를 이동한다는 의미는 고정 부재(122)를 기준으로 셔터(121)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2810)에서 기재한 동작은 부채꼴 모양의 셔터(121)의 크기가 커지는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 예(2810)는 부채꼴 모양의 셔터(121)가 시계 방향으로 커지는 상황을 나타낸다.
실시 예(2820)는 셔터부(120)의 셔터(121)가 고정 부재(122)와 함께 이동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셔터부(120)의 몸체(124)는 셔터(121),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레일(123)을 이용하여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레일(123)은 셔터부(120)의 몸체(124)가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가 이동되어야 하는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을 향하도록 레일(123)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지점을 향하도록 레일(123)의 방향을 변경하고,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레일(123)의 끝 부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몸체(124)를 이동시킨 후 셔터(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9는 가림 불가능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2905). 그리고, 출력할 제1 이미지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부분 및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9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는지 식별할 수 있다 (S2915).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는 경우 (S2915-Y),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S2920).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0에서 기재한다.
여기서,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모두 가리지 않는 경우 (S2915-N), 전자 장치(100)는 셔터부(120)의 이동 영역이 잔여 부분을 가리지 못하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넓이)를 식별할 수 있다 (S292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지 식별할 수 있다 (S2930).
여기서,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S2930-Y),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에서 가장 가까운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1에서 기재한다.
여기서,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S2930-N),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부분에서 가장 떨어진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2에서 기재한다.
도 30은 잔여 영역이 없도록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3010) 및 실시 예(302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000)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실시 예(3010)에서,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000)는 이미지 부분(3001) 및 잔여 부분(3002)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30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3002)을 가리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잔여 부분(3002)이 모두 가려지므로, 잔여 부분(3002)은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잔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실시 예(3110) 및 실시 예(312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100)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실시 예(3110)에서,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100)는 이미지 부분(3101) 및 잔여 부분(3102)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3102)이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모두 가려질 수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잔여 부분(3102)이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모두 가려지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넓이)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3120)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3102) 중 이미지 부분(1301)에 근접한 부분을 우선적으로 가리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크지 않다면, 최외각 부분에 광이 조사되어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잔여 부분(3102) 중 이미지 부분(3101)과 인접한 부분을 가리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2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잔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을 참조하면, 실시 예(3210) 및 실시 예(322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200)에 기초하여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실시 예(3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이미지(3200)는 이미지 부분(3201) 및 잔여 부분(3202)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3202)이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모두 가려질 수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잔여 부분(3202)이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에 의해 모두 가려지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넓이)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3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잔여 부분(3202) 중 이미지 부분(1301)과 가장 떨어진 부분을 우선적으로 가리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가림 불가능 부분의 크기가 크다면, 최외곽 부분에 광이 조사되지 않는 방식이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잔여 부분(2302) 중 이미지 부분(3201)과 가장 떨어진 부분을 가리도록 복수의 셔터(121-1, 121-2, 121-3, 12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33을 참조하면,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111) 및 셔터부(1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S3305),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S3310), 제2 이미지에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S3315) 및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이미지 부분을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잔여 부분을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S3315)는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또는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셔터부(120)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프로젝션부(111)의 중심축과 셔터부(120)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잔여 부분이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셔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프로젝션부(111)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고, 오프셋에 기초하여 셔터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는 셔터(121), 고정 부재(122), 레일(123), 몸체(124) 또는 모터(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24)는 셔터(121) 및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가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셔터(121)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셔터부(120)의 기준점을 식별할 수 있고, 몸체(124)를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레일(123)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레일(123)을 따라 몸체(124)를 이동시켜 고정 부재가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몸체(124)는 고정 부재 및 고정 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고, 셔터부(120)를 제어하는 단계 (S3320)는 모터(125)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3과 같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2a 또는 도 2b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1: 프로젝션부
112: 메모리
114: 프로세서
120: 셔터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셔터부;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이미지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잔여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또는 상기 셔터부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키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오프셋을 획득하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몸체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셔터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상기 셔터부의 기준점을 식별하고,
    상기 몸체를 상기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투사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션부 및 셔터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키스톤 보정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 부분과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지 않는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이미지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부분 중 상기 잔여 부분을 상기 투사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또는 상기 셔터부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셔터부가 이동 가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잔여 부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이동 정보 및 회전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키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중심축과 상기 셔터부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잔여 부분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지 않도록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션부의 오프셋을 획득하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몸체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셔터 및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부분을 가리기 위한 상기 셔터부의 기준점을 식별하고,
    상기 몸체를 상기 기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0210104828A 2021-08-09 2021-08-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2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28A KR20230022717A (ko) 2021-08-09 2021-08-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09346 WO2023018008A1 (ko) 2021-08-09 2022-06-2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28A KR20230022717A (ko) 2021-08-09 2021-08-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717A true KR20230022717A (ko) 2023-02-16

Family

ID=8520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828A KR20230022717A (ko) 2021-08-09 2021-08-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2717A (ko)
WO (1) WO20230180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5937A1 (en) * 2005-10-13 2007-04-19 Boss Gregory J Internal light masking in projection systems
KR101048785B1 (ko) * 2008-09-25 2011-07-15 에이티엘(주) 디지털 노광 장치
KR101683788B1 (ko) * 2009-07-24 201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US8690358B2 (en) * 2011-06-27 2014-04-08 Microsoft Corporation Video projection device for mobile device having a first projection surface integral with a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KR20150020800A (ko) * 2013-08-19 2015-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008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7686A1 (en) Electronic device, contents searching system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US11835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2604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9148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2347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451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2271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699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903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4018574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25953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040094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3915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453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5211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3002694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32820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5948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1053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28088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926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0798A (ko)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KR2023001290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04896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15494A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