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5139A1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5139A1
WO2023055139A1 PCT/KR2022/014681 KR2022014681W WO2023055139A1 WO 2023055139 A1 WO2023055139 A1 WO 2023055139A1 KR 2022014681 W KR2022014681 W KR 2022014681W WO 2023055139 A1 WO2023055139 A1 WO 2023055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distance
exter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6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경화
최정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45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597947A/zh
Priority to EP22876911.3A priority patent/EP4333467A1/en
Publication of WO2023055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5139A1/ko
Priority to US18/208,150 priority patent/US202303282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has to perform a series of steps through a UI provided in a screen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identify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and if the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the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a waiting tim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connecting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waiting time elapses.
  • the identifying of the standby time may include identifying the first time as the standby tim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a first distance,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ying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s the dash time when i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a first distance
  • the first time is identified as the waiting time
  •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re identifi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increasing the first time to mak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and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ecreasing the first time to mak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not to perform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adius.
  • the connec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controlling a projector that projects an image to pro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 controlling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increased may include controlling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inform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when the distance is close.
  • the identifying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identify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and performing the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having the closest distance to the electronic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 a step of identifying an external device to be performed may be included.
  • the identifying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identify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and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 the step of identify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may be included.
  • identifying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identifying the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BLE) scheme.
  • BLE Bluetooth Low Energy
  • the obtaining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ncludes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thod and a Time of Flight (ToF) sensor. can do.
  • BLE Bluetooth Low Energy
  • ToF Time of Flight
  •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 the processor identifi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and if the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A waiting time for star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identifi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when the waiting time elapse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s controlled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 the waiting time is a first time
  •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is the first distance
  • the waiting time may be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 the waiting time is the first time
  •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 the first time may be increased,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closer than the first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first time may be decreased.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not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adius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or that projects a projected imag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time when an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 the processor controls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inform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increas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reases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 the processor may identify an external device that is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 the processor may identify an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connec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 the processor may identify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BLE) scheme.
  • BLE Bluetooth Low Energy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and the processor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a BLE method and a TOF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located on the ground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is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located on the ground is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dentifying a projector device to be connect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wait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seco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has elaps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7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seco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has elaps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7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n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110 , a communication interface 120 , a sensor unit 130 and a processor 14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smart phone, an AR glass,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TV, a desktop PC, a laptop PC, a net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camera, a smart watch, and a projector.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devic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certain components may be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 the memory 11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memor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disk drive (HDD), or a solid-state drive (SDD). .
  • the memory 110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140, and data can be read/written/modified/deleted/updated by the processor 140.
  • the term memory refers to the memory 110, a ROM (not shown) in the processor 140, a RAM (not shown), or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micro SD). card, memory stick).
  • the memory 110 may store programs and data for composing various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 the memory 11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 the instruction may b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is a compon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to an external device may include communication through a third device (eg, a repeater, a hub, an access point, a server, or a gateway).
  • Wireless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LTE, LTE-A (LTE Advanc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 (Wireless Broadband), or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ay include cellular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like.
  •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ireless fidelity (WiFi), Wi-Fi Direct,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adio frequency (RF), or body area network (BAN).
  •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universal serial bus (US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recommended standard 232 (RS-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 a network i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g,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the Internet, or a telephone network.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can identify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apable of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smart phone, AR glasses, tablet PC, mobile phone, video phone, e-book reader, camera, smart watch, projector device,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sensor unit 130 (or sensor) is a component for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sensor unit 130 may include a Time of Flight (ToF) sensor.
  • the ToF sensor may obtain spatial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by calculating a distance at which light projected onto an object through an infrared wavelength is reflected and returned.
  • ToF Time of Flight
  • the sensor unit 130 is composed of one ToF sensor and has a reference radius (eg, 90 degrees, 90 degrees, 120 degrees, 150 degrees, 180 degrees, etc.)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 a reference radius eg, 90 degrees, 90 degrees, 120 degrees, 150 degrees, 180 degrees, etc.
  • the sensor unit 1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oF sensors and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bout external devices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t 360 degrees.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one rotatable ToF sensor.
  • one ToF sensor rotates 360 degrees to provide distance information about external devices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obtained.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ToF sensor, at least one of an image sensor, a distance sensor, and a LIDAR sensor for capturing images, and a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chieved through various sensors. Distan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 the processo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110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Processor 140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It may be a processor dedicated to graphics, such as a visual processing unit (VPU), or a processor dedic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AP application processor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 VPU visual processing unit
  • NPU neural processing unit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40 by driving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Also, the processor 140 may load and proces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other components into a volatile memory, and store various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 the processo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110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by executing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10 .
  • the processor 140 locates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can identify whether or not
  • the processor 1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or 140 has various configurations (eg, image images) of the sensor unit 130 that can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can b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1m radius).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1 m radius) through a sensor, etc.).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n external device that is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As an exampl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the processor 140 may connect an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can be identified by An embodiment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 the processor 140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can do. That is, the signal strength of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rom an external device located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rom an external device located far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re is.
  •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oF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n object detec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through the ToF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as the external device. Also,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obtained through the ToF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
  • the processor 140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by using bot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and the ToF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may be obtained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is, when the identified standby time elapses,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may vary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i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the first distance throug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waiting time may be the first time. Furth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waiting time may be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Furth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a third distan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waiting time may be a third time shorter than the first time.
  •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may vary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waiting time for initiating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ini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bu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vary from the ini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external devices.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the waiting time as a preset time (eg, 5 seconds). Further, the processor 140 may continuousl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until the waiting time elapses, and identify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becomes closer from the initial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processor 140 may decrease the standby time from the preset time (eg, 3 seconds).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ncreases from the initial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tandby time from the preset time (eg, 10 seconds).
  • a preset time eg, 5 seconds
  • the processor 140 may continuousl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until the waiting time elapses, and identify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becomes closer from the initial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processor 140 may decrease the standby time from the preset time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not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dius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 the second radius may be the same as the previously described first radius (eg, 1 m radiu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arther or closer than the first radius.
  • the waiting time for initiating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i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hanged from the ini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and an external device.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the first distance throug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waiting time may be the first time.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to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efore the first time elapses,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the standby time to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connection methods (eg, WiFi direct, Bluetooth, etc.)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
  •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from the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identified until the waiting time elapses.
  • the processor 140 when an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controls the projector to project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You can control it.
  •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a UI notifying that an external device has been detected and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has elapsed.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projector to project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waiting time for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connection has elapsed.
  •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 UI notifying that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 the processor 140 notifies that the waiting time for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connection is reduced.
  •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a UI notifying that the waiting time is reduced and the reduced waiting time elapses.
  • the processor 140 notifies that the waiting time for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increases.
  • the fourth information may be a UI notifying that the wait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increased waiting time is elapsed.
  • the processor 140 provides motion information for not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eg, shaking the mobile may not perform the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jector so as to project the third information toge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FIGS. 6A, 6B, 7A, and 7B.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when an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
  • the processor 140 notifies that the waiting time for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connection is reduced. 2 You can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 the processor 140 notifies that the waiting time for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increases. 3 You can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 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as shown in FIG. 2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socket accommodating groove of an external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r wall to receive pow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2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and the external device 200 obtained through the ToF sensor. ),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obtained.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projects a projected image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wall, the ToF sensor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disposed to face in the projection direction, so the electronic device 100 further increases the ToF sensor.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obtained by using.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when the standby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waiting time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btai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2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located on the ground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positioned on the ground of a table or the floor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as shown in FIG. 2B.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100) distan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projects the projected image is located on the ground of a table or on the floor, etc., the ToF sensor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disposed facing the projection direction, so the angle of view of the ToF sensor is limi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not be able to detect an external device within a reference radius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ToF sensor.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plurality of ToF sensors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implemented or rotatably implemented to detect a range of 360 degrees, the electronic device 100 further uses the ToF sensor. Thu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obtain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when the standby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waiting time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btai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is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as shown in FIG. 3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are identified as being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as shown in FIG. 3A
  • the electronic device 100 An external device that is close to (100) may be ident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through the strength of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devices 100 may be obtain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200-1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to the external device 100. device can be identified.
  • an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dent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previou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ndicates that when there is no previous connection history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electronic device 100 selects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may be ident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et to an external area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 a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previously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dent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1. And, when the standby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tandby time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 1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btai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located on the ground is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positioned on the ground of a table or the floor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as shown in FIG. 3B.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are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figured to ) may be identified as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through the strength of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devices 100 may be obtain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200-1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1 and 200-2 to the external device 100. device can be identifi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1. And, when the standby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tandby time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 1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btai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dentifying a projector device to be connect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as shown in FIG. 4 .
  • a projector device 300 differen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nstall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ird radius) (eg, 2 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In detai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1 m radius)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Also, the projector device 300 may identify whether the projector device 3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In detail, the projector device 300 may identify whether the projector device 3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eg, a radius of 1 m)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 a reference radius eg, a first radius
  • a device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s a device having a high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a low power Bluetooth method amo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rojector device 300 to the external device 200. device to be identified.
  • a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is identified amo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rojector device 300, the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when the standby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elapsed.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identified as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performed.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wait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seco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has elaps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ject an image such that the first information 55 is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projected image 50.
  • the first information 55 includes an ic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Jenny's mobile phon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a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has been detected (eg, Detected) can include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projector to project seco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waiting time for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has elapsed, as shown in FIG. 6A. can do.
  •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an ic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Jenny's mobile phon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shown in FIG. 6A,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onnection is being performed with the external device (eg, Connecting)
  • a gauge UI notifying that the waiting time is elapsed may be included.
  • the gauge UI included in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filled with a gauge of a first color (eg, blue) as the waiting time elaps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has been established as shown in FIG. 6B. .
  • 7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seco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has elaps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7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first information 55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time as shown in FIG. 5 . And, after the first information 55 is provided, the electronic device 100 projects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has elapsed, as shown in FIG. 6A. can control.
  •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fourth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is increased.
  • the fourth information may have an increased waiting time so that the gauge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gauge of FIG. 6A.
  • the color of the gauge included in the fourth information may be a second color (eg, red)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gauge in the second information.
  • the gauge included in the fourth information may continue to decrease.
  • the fourth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operation information for not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g, connection may not be performed when the mobile is shak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not to connect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and ,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fif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has not been performed, as shown in FIG. 7B.
  • a reference radius eg, a second radius
  •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not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and as shown in FIG. 7B, the external device ( 200),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fif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has not been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motion of shaking the external device 200 a preset number of times (eg, twice)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not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and projects fifth information. You can control the projector.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S81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rough the ToF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82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ToF senso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image senso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IDAR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ncreases (S83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S840). ).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8 that operation S840 is performed after operation S830,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operation S840 may be performed before operation S830 or operation S840 and operation S830 may be performed togeth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first standby time elapses (S850). That is,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not reduce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chang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ets the time period (eg, 5 seconds) When the first waiting time corresponding to has elapsed,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may be perform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S840-Y), the electronic device 100 reduces the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third waiting time elapses, the external device 100 Connection with the device may be performed (S860).
  •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onnect with the external device.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duces the first wait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time (eg, 5 seconds), and when the third waiting time (eg, 3 seconds)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identified, the external device 100 A connection can be made with the device.
  • the preset time eg, 5 seconds
  • the third waiting time eg, 3 seconds
  •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has increased (S830-Y),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reases the waiting time for initiat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second waiting time elapses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870).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reases the first wait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time (eg, 5 seconds), and when the second waiting time (eg, 10 seconds)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identified, the external device 100 A connection can be made with the device.
  • the second waiting time may continue to increase.
  •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re separated by a reference radius (eg, the second radius) or more, or an event corresponding to motion information for not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not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S9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s are a plurality (S920).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s as being a pluralit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identified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S93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based on the magnitudes of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n a Bluetooth low power method. That is,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rom an external device located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low energy method from an external device located far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re 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external device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an be identified (S940). For example,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eg, 10 cm),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mong the external device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xternal device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not be identified. Then,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eg, 10 cm),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mong the device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xternal device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identified.
  • a preset distance eg, 10 cm
  •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an external device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can b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S950). Then, when the waiting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S960). That is, when a waiting tim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was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s with the external devic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ion can be made.
  •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 the electronic device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device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annot be identified (S940-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ords a history of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is existing external device can b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S970). Then, when the dash time elaps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dentified as a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S980). That is, when a waiting tim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external device was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s with the external device identified as a device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nection can be made.
  •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S10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located within a reference radius through a Bluetooth Low Energy (BLE) scheme.
  • BLE Bluetooth Low Energ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dentified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at least one of a BLE method and a TOF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waiting time for start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S1030).
  • the waiting time is the first ti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is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If the second distance is far, the waiting time may be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 the standby time is the first tim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rease the first tim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crease the first tim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104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not to connect with the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or that projects an image, and when an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radiu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projector to pro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iting time. . Also,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reases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becomes closer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projector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waiting time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reduced.
  • 1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as a projector device including a projector 150 that projects a projected im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110, a communication interface 120, a sensor unit 130, a processor 140, a projector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 a user interface 170. ) and a power supply unit 180.
  • a memory 11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a sensor unit 130, a processor 140, a projector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 a user interface 170.
  • a power supply unit 180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1 is just one embodiment, and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and new configurations may be added. Also, since the memory 11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the sensor unit 130, and the processor 14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projector 150 (or projector unit) is a component that projects an image to the outside.
  • the projector 150 uses various projection methods (eg, a cathode-ray tube (CRT) metho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ethod,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ethod, a laser method, etc. ) can be implemented.
  • CTR cathode-ray tub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the principle of the CRT method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a CRT monitor.
  • the CRT method enlarges the image with a lens in front of the cathode ray tube (CRT)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 CTR cathode ray tube
  • red, green, and blue cathode ray tubes can be separately implemented.
  • the LCD method i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by transmitt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through a liquid crystal.
  • the LCD method is divided into a single-panel type and a three-panel type.
  •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separated into red, green, and blue by a dichroic mirror (a mirror that reflects only light of a specific color and passes the rest) and transmits the liquid crystal. After that, the light can gather in one place again.
  • a dichroic mirror a mirror that reflects only light of a specific color and passes the rest
  • the DLP method i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ing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 a DLP projector may include a light source, a color wheel, a DMD chip, a projection lens, and the like.
  • Light output from a light source may exhibit a color while passing through a rotating color wheel.
  • the light that passed through the color wheel is input to the DMD chip.
  • the DMD chip includes numerous micromirrors and reflects light input to the DMD chip.
  • the projection lens may play a role of enlarging light reflected from the DMD chip to an image size.
  • the laser method includes a diode pumped solid state (DPSS) laser and a galvanometer.
  • DPSS diode pumped solid state
  • the galvanometer includes a mirror and a high power motor to move the mirror at high speed.
  • a galvanometer can rotate a mirror at up to 40 KHz/sec.
  • the galvanomete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canning direction. In general, since the projector scans in a plane, the galvanometer can also be arranged separately in the x and y axes.
  • the projector 15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 the projector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among a lamp, LED, and laser.
  • the projector 150 may output an image in a 4:3 aspect ratio, a 5:4 aspect ratio, or a 16:9 wide aspect ratio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user's settings, and depending on the aspect ratio, WVGA (854*480) ,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Images can be output at various resolutions, such as
  • the projector 15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adjusting an output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40 .
  • the projector 150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zoom, keystone, quick corner (4 corner) keystone, and lens shift.
  • the projector 150 may enlarge or reduce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projection distance). That is, a zoom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 the zoom function may include a hardware method of adjusting the screen size by moving a lens and a software method of adjusting the screen size by cropping an image.
  • methods for adjusting the focus include a manual focus method and a motorized method.
  • the manual focus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manually focusing
  • the motorized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motor built into the projector when a zoom function is performed.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a digital zoom function through software, and may provide an optical zoom function in which a zoom function is performed by moving a lens through a driving unit.
  • the projector 15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If the height is not right for the front projection, the screen may be distorted up or down.
  • the keystone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correcting a distorted screen. For example, if distortion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creen, it can be corrected using the horizontal keystone, and if distortion occur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corrected using the vertical keystone.
  • the quick corner (4 corner) keystone function corrects the screen when the center area of the screen is normal but the corner area is not balanced.
  • the lens shif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moves the screen as it is when the screen is out of the screen.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zoom/keystone/focus functions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projection environment without user input. Specifically, the projector 15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ed through a sensor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etc.) and a spac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urrently located. Zoom/Keystone/Focus functions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based 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ambient light, and the like.
  • a sensor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etc.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using a light source.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by outputting a light source using LEDs.
  • the projector 150 may include one LED,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 the projector 150 may output a light source using a surface-emitting L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 the surface-emitting LED may refer to an LE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optical sheet is disposed above the LED so that light sources are uniformly distributed and output. Specifically, when the light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LED, the light source may be evenly dispersed through the optical sheet, and the light source dispersed through the optical sheet may be incident to the display panel.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a user with a dimming functi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Specifically, when a user input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s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240 (eg, a touch display button or a dial), the projector 150 controls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You can control the LED to output intensity.
  • the user interface 240 eg, a touch display button or a dial
  • the projector 150 may provide a dimming function based on the content analyzed by the processor 140 without user input. Specifically, the projector 150 may control the LED to output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information on currently provided content (eg, content type, content brightness, etc.).
  • the projector 150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40 .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content. Specifically, if the content is identified as being output,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of the content for which output is determined. Also,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Here,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at least one primary color of a frame based on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Also,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the acquired primary color. For example, the color temperature controllable by the processor 140 may be classified into a warm type or a cold type.
  • a frame to be out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frame) includes a scene in which a fire has occurred.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or obtain) that the primary color is red based on col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rrent output frame. Also,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col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main color (red). Here, the col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red may be a warm type. Meanwhile, the processor 140 may u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obtain color information or a primary color of a frame.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the memory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communicabl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 lighting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light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 the ligh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rightness information and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set by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n IoT device included in the same home/work network) or a device that is not on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but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server).
  • IoT device included in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 the external lighting device may directly or indirectly transmit lighting information (e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red light is output with a brightness of 5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ligh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lighting device. For example, when ligh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lightin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for outputting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 lighting func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respiration, and electrocardiogram.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and control the output of a light source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 .
  • the external device may refer to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and if the user is identified as sleeping (or preparing for sleep),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You can control the output.
  • the audio output unit 160 is a componen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 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ixer, an audio signal processor, and a sound output module.
  • the audio output mixer may synthesize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to be output into at least one audio signal.
  • the audio output mixer may combine an analog audio signal and another analog audio signal (eg, an analog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t least one analog audio signal.
  • the sound output module may include a speaker or an output terminal.
  • the sound output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eakers, an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module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sound emitted by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diaphragm of the sound output module may be emitted through a sound conduit ( waveguide)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since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sound can be emitted in all directions, that is, in all directions of 360 degrees.
  • User interface 17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 the user interface 170 may include physical buttons.
  • the physical button may include a function key, a direction key (eg, a 4-direction key), or a dial button.
  • the physical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keys.
  • the physical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one ke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in which one key is pressed for a critical period of time or longer.
  •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based on user input.
  • 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a non-contact method.
  •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gardless of physical force may be required.
  • 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 gesture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gesture.
  • 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s gesture through a sensor (eg, an imag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 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a touch method.
  • 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 touch sensor.
  • the touch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non-contact method.
  • the touch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ody has approached within a critical distance.
  • the touch sensor may identify a user input even when the user does not contact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ensor may identify a user input in which a user contacts the touch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user input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 the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n electronic device-specific control device) or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phone or a wearable device).
  •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obtain a user input through a stored application and transmit the acquired user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voice recogni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s voice through a microphon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s voice from a microphone or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may acquire a user voice through a microphon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obtained user voic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user's voic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may be audio data or digital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audio data (eg, audio data converted into a frequency domai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vo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through a microphon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vert the received audio data into digital dat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vert the converted digital data into text data using a speech to text (STT) function.
  • the speech to text (STT) function may be performed directly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peech to text (STT)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n external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digital data to an external server.
  • the external server may convert digital data into text data and obtain control command data based on the converted text data.
  •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control command data (this time, text data may also be inclu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based on the obtained control command dat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using one assistant (or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eg, BixbyTM, etc.),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rough a plurality of assistants.
  •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assists based on a trigger word corresponding to the assist or a specific key present on the remote contro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screen interaction.
  • Screen interaction may refer to a func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a screen (or a projection surface) by an electronic device and acquiring a user input based on the predetermined event.
  • the predetermined event may refer to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object is identified at a specific location (eg, a location where a UI for receiving a user input is projected).
  • the predetermined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s body part (eg, a finger), a pointing stick, and a laser poi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projected UI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ject a guide image to display a UI on the screen.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identify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projected UI.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projected UI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identified at the location of the projected UI.
  • the projected UI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tem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spatial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is located at the location of the projected UI.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spatial analysis through a sensor (eg, an imag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etc.).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where the UI is projected) by performing spatial analysis. And, if it is identified that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where the UI is proj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UI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has been received.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power to various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through various methods.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using the connector 111 shown in FIG. 12 .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using a 220V DC power cor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power using a USB power cord or a wireless charging method.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using an internal battery or an ex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power through an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charge power of an internal battery using at least one of a 220V DC power cord, a USB power cord, and a USB C-Type power cord, and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harged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power through an ex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external battery.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directl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or may charge an internal battery through an external battery and receive power from the charged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receive power u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methods described abov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power consumption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eg, 43W) due to a socket type and other standard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vary power consump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using a battery.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vary power consumption based on a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us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various smart functions.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screen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 input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mobile terminal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including a touch display,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nd outputs screen data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device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s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 a screen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inpu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hare content or music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by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Miracast, Airplay, wireless DEX, and Remote PC.
  •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connection methods.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may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by searching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arch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or music currently being output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ile specific content or music is being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brought clos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eg, non-contact tap view), 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eg, non-contact tap view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or music currently being output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utputs a first scree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by a different portable terminal device.
  • a second screen may be output.
  •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provided by a firs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second screen may be a screen provided by a secon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may be different screens provided by on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including a remote control type UI for controlling the second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Conditions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utput the standby scree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the standby screen may be output under various conditions.
  •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 projector device that projects a projected image, bu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 the display may display various images.
  • the image is a concep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 the display may display various images such as broadcast content and multi-media content.
  • the display may display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icons.
  • UIs user interfaces
  • Such displays are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LED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etc.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LED light emitting diode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a driving circuit, a backlight unit, and the like tha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si TFT, a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TFT, or an organic TFT (OTFT) may also be included in the display.
  •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by being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head 103, a body 105, a projection lens 109, a connector 111, or a cover 107.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device of various typ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projector device that enlarges and projects an image onto a wall or a screen
  • the projector device may be an LCD projector or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rojector using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home or industrial display device, or a lighting device used in daily life, a sound device including a sound modu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phon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evice 100 having two or mor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devic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used as a display device, a lighting device, or a sound device by turning off a projector function and turning on a lighting function or a speaker function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a processor, and AI including a microphone or communication device.
  • a speaker a speaker.
  • the main body 105 is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may support or protect components (e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5 .
  • the body 105 may have a structure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2 .
  •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5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body 10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geometric shapes such as a column, a cone, and a spher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the size of the main body 105 may be a size that a user can hold or move with one hand, may be implemented in a very small size for easy portability, and may be implemented in a size that can be placed on a table or coupled to a lighting device.
  •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05 may be implemented with matte metal or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be stained with user's fingerprints or dust, or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5 may be made of a smooth gloss.
  • a friction area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body 105 so that a user can grip and move the main body 105 .
  •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105 may be provided with a bent gripping portion or support that a user can grip.
  • the projection lens 109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to proj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rra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5 .
  • the projection lens 109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an optical lens coated with low dispersion to reduce chromatic aberration.
  • the projection lens 109 may be a convex lens or a condensing lens, and the projection lens 109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djust the focus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ub-lenses.
  • the head 103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to support and protect the projection lens 109 .
  • the head 103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5 so as to be swivel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a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
  • the head 103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swiveled by a user or a processor to freely adjus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09 .
  • the head 103 is coupled to the body 105 and includes a neck extending from the body 105, so that the head 103 is tilted or tilted to adjus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09. can be adjust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project light or an image to a desired locat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ead 103 and adjusting the emiss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09 while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main body 105 are fixed. there is.
  • the head 103 may include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asp after rotating in a desired direction.
  •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 Audio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5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 the audio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and the speaker may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recording playback, and audio output.
  • a heat dissipation fan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5, and 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not shown) is driven, air or heat inside the main body 105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can emit.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ischarge heat generated by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outside and prev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overheating.
  • the connector 111 ma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receive electrical signals or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 the connector 111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connector 111 may include an input/output interface,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 power.
  • the connector 111 may include an HDMI connection terminal, a USB connection terminal, an SD card receiving groove, an audio connection terminal, or a power outlet, or Bluetooth, Wi-Fi, or wireless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wirelessly.
  • a charging connection module may be included.
  • the connector 111 may have a socket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lighting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a socket receiving groove of the external lighting device to receive power.
  • the size and standard of the socket-structured connector 11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a receiving structure of a coupleable external device.
  • the diameter of the junction of the connector 111 may be implemented as 26 mm, an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replaces a conventionally used light bulb and uses an external lighting device such as a stand. can be coupled to Meanwhile, when fastened to a socket located on an existing cei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jected from top to bottom,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rotated by coupling the socket, the screen cannot be rotated eith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ocket-coupled to the ceiling stan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otate even when the socket is coupled and power is supplied, and the head 103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5. It swivels and adjusts the emission angle to project the screen to a desired position or rotate the screen.
  • the connector 111 may include a coupling sensor, and the coupling sensor may sense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111 is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a coupling state, or a coupling target, and transmit the sensor to the processor,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Driv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 the cover 107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5, and can protect the connector 111 so that the connector 11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times.
  • the shape of the cover 107 may have a shape continuous with the body 105 as shown in FIG. 12, or may be implement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111.
  • the cover 107 can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used by being coupled to the cover 107 and coupled to or mounted on an external cradle.
  • a batte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107 .
  • a battery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may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case (not shown) to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easily carry it, or a stand supporting or fixing the main body 105. (not shown), and may include a bracket (not shown) coupled to a wall or parti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by being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evices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amera device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n image stored in a connected camera device or an image currently being captured using the projector 21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to receive power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 socket structur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nother interface (eg, USB, etc.).
  • th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a convenient and intuitive connection experience.
  • expressions such as “has,” “can have,” “includes,” or “can include”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 connection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 the phrase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itself.
  • non-transitory readable media may be loaded and used in various devices.
  •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 programs for performing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and provid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or ROM.
  •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online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광학 출력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프로젝터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스크린 화면 내에 제공되는 UI를 통해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하여야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에, 최근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광이 프로젝션 렌즈를 통하여 벽 또는 스크린으로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가 발달되어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 근처에 광학 출력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 장치와 사용자의 외부 장치 간의 연결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을 상기 대시 시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으로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를 제1 거리보다 멀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를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참조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Bluetooth Low Energy (BLE)방식 및 Time of Flight (ToF)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인페이스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참조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BLE 방식 및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프로젝터 장치를 식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 AR 글래스,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TV,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카메라, 스마트 워치, 프로젝터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olid State Drive, SD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access)되며, 프로세서(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40) 내의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20)가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은 제3 기기(예로, 중계기, 허브, 엑세스 포인트,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등)를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 폰, AR 글래스,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카메라, 스마트 워치, 프로젝터 장치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30, 또는 센서)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부(130)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oF 센서는 적외선 파장을 통해 물체로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의 공간 정보, 거리 정보,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30)는 하나의 ToF 센서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의 전방(예로, 전자 장치가 프로젝터 장치인 경우,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으로부터 참조 반경(예로, 90도, 120도, 150도, 180도 등)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30)는 복수 개의 ToF 센서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100)의 360도 주변의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센서부(113)는 회전 가능한 하나의 ToF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ToF 센서는 360도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 주변의 외부 장치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센서부(113)는 ToF 센서 이외에도,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거리 센서 및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할 수 있는지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130)의 다양한 구성(예로, 이미지 센서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의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에 따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의 신호의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가까이에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전자 장치(100)와 멀리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참조 반경 내 감지되는 오브젝트를 외부 장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 및 센서부(130)의 ToF 센서를 함께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식별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가까운 제3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짧은 제3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와 무관하게 동일하나,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로부터 변화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계속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초기 거리로부터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 보다 감소(예로, 3초)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초기 거리로부터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기 설정 시간 보다 증가(예로, 10초)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2 반경 이상 멀어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반경은 앞서 설명한, 제1 반경(예로, 1m 반경)과 동일한 반경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경보다 멀거나 가까울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에 따라 상이하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초기 거리로부터 변화되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시간을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120)의 다양한 연결 방식(예로,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외부 장치가 감지되었으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제1 정보가 투사된 후,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제3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정보는 대기 시간이 감소되며 감소된 대기 시간이 경과됨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4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정보는 대기 시간이 증가되며 증가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UI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예로, 모바일을 흔들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를 제3 정보와 함께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3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2a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에는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200)의 신호의 세기와 ToF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100)가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투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더 이용하여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2b와 같이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여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장치(200)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100)가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투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ToF 센서의 화각의 제한으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 내 참조 반경 내의 외부 장치를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 내 ToF 센서가 복수 개로 구현되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360도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더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3a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a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200-1)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a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로,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제2 외부 장치(200-2)가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나, 제2 외부 장치(200-2)는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제2 외부 장치(200-2)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 또는 전자 장치(100)와 이전에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1)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1)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면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하나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3b와 같이 테이블의 지면이나, 바닥 등에 위치하여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에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1, 200-2) 중 전자 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외부 장치(200-1)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1)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시간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되는 외부 장치(200-1)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프로젝터 장치를 식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상이한 프로젝터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제3 반경)(예로, 2m)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장치(300)는 프로젝터 장치(3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장치(3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프로젝터 장치(300)와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프로젝터 장치(300) 각각에서 참조 반경(예로, 제1 반경)(예로, 1m 반경) 내 외부 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외부 장치(200)와 상대적으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장치를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큰 장치를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프로젝터 장치(300) 중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가 식별되면,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장치와 외부 장치(200)가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상(50)의 일 영역에 제1 정보(55)가 표시되도록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55)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한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식별 정보(예로, Jenny의 휴대폰)와 해당 외부 장치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예로, Detect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55)가 제공된 후, 전자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도 6a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한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식별 정보(예로, Jenny의 휴대폰)와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 중이라는 정보(예로, Connecting) 및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게이지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UI에는 제1 색상(예로, 파랑)의 게이지가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어 제2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UI의 게이지가 채워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제1 정보(55)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55)가 제공된 후, 전자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경과되고 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가 제공되는 도중,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7a와 같이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증가됨을 알리는 제4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정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시간이 증가되어 도 6a의 게이지보다 게이지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예로, 제4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 색상은 제2 정보의 게이지의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예로, 빨강)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계속 멀어짐에 따라 제4 정보에 포함된 게이지가 계속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4 정보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예로, 모바일을 흔들면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거리가 참조 반경(예로, 제2 반경) 이상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도 7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도 7b와 같이 외부 장치(200)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장치(200)를 기 설정 횟수(예로, 2회) 흔드는 동작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5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2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30).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S830-N),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840). 도 8에서는 S830 동작 이후에 S840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S840 동작이 S830 동작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S840 동작과 S830 동작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S840-N), 전자 장치(100)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5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되는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된 것으로 식별되면(S840-Y),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감소시켜 제3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6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감소된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의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을 감소시켜,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제3 대기 시간(예로, 3초)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된 것으로 식별되면(S830-Y),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70).
즉,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거리가 증가된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제1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제2 대기 시간(예로, 10초)이 경과되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계속하여 멀어지는 경우, 제2 대기 시간은 계속하여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가 참조 반경(예로, 제2 반경) 이상 멀어지거나,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9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S92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복수의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식별된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3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가까이에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전자 장치(100)와 멀리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4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차이가 기 설정 거리(예로, 10cm)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장치 간의 거리 차이가 기 설정 거리(예로, 10cm)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940-Y),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S95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960). 즉,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S940-N),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S97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시 시간이 경과되면,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980). 즉,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로, 5초)에 대응되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행할 장치로 식별된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01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BLE 방식 및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S1030).
일 예로,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일 예로,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1 거리이면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040). 반면, 거리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참조 반경 이상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150)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프로세서(140), 프로젝터(150), 오디오 출력부(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센서부(130) 및 프로세서(14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젝터(150, 또는 프로젝터부)는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150)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터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영상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150)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50)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150)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150)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터(150)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5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150)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50)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150)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터(150)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240)(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터(15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50)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40)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150)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1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40)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60)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에 전달 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 없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원부(180, 또는 전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11)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80)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80)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80)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80)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 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80)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디스플레이는 방송 컨텐츠, 멀티 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본체(105), 프로젝션 렌즈(109), 커넥터(111) 또는 커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을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9)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9)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09)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09)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09)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09)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09)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09)의 출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11)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11)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11)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11)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11)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11)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11)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출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11)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11)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11)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11)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영상이나 현재 촬영 중인 영상을 프로젝터(210)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전자 장치는 편리하고 직관적인 연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을 상기 대시 시간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으로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를 제1 거리보다 멀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를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참조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증가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감소됨을 알리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한 이력이 존재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연결을 수행할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위치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Bluetooth Low Energy (BLE)방식 및 Time of Flight (ToF)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식별된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인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이면, 상기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시간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상기 참조 반경 이상 멀어지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투사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참조 반경 내 외부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대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14681 2021-09-30 2022-09-2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551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45217.7A CN117597947A (zh) 2021-09-30 2022-09-29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EP22876911.3A EP4333467A1 (en) 2021-09-30 2022-09-2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8/208,150 US20230328209A1 (en) 2021-09-30 2023-06-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29 2021-09-30
KR1020210129629A KR20230046531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208,150 Continuation US20230328209A1 (en) 2021-09-30 2023-06-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139A1 true WO2023055139A1 (ko) 2023-04-06

Family

ID=8578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681 WO2023055139A1 (ko) 2021-09-30 2022-09-2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8209A1 (ko)
EP (1) EP4333467A1 (ko)
KR (1) KR20230046531A (ko)
CN (1) CN117597947A (ko)
WO (1) WO20230551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2188A1 (en) * 2008-07-24 2010-01-28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339835B1 (ko) * 2011-12-13 2013-12-11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KR20180098051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KR101974820B1 (ko) * 2012-09-10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기
US20210235366A1 (en) * 2020-01-28 2021-07-29 Dell Products, L.P. Variable scan interval using contex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2188A1 (en) * 2008-07-24 2010-01-28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339835B1 (ko) * 2011-12-13 2013-12-11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KR101974820B1 (ko) * 2012-09-10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기
KR20180098051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US20210235366A1 (en) * 2020-01-28 2021-07-29 Dell Products, L.P. Variable scan interval using con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31A (ko) 2023-04-06
US20230328209A1 (en) 2023-10-12
CN117597947A (zh) 2024-02-23
EP4333467A1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5434A1 (ko) 외장형 통신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0628A1 (en)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function based on gesture of user
WO2023055139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91538A1 (ko) 음향 출력 장치
WO2023027285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265428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22422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19246A1 (ko)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271A1 (ko) 영상을 크롭하여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7024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49275A1 (ko)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234942A1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18186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3013862A1 (ko)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WO2024101616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32625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28693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27319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90648A1 (ko) 전자 장치
WO2022191404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49276A1 (ko)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96877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91421A1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3249274A1 (ko)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며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82460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6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76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76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30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45217.7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