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652A -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 Google Patents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652A
KR20230043652A KR1020220002853A KR20220002853A KR20230043652A KR 20230043652 A KR20230043652 A KR 20230043652A KR 1020220002853 A KR1020220002853 A KR 1020220002853A KR 20220002853 A KR20220002853 A KR 20220002853A KR 20230043652 A KR20230043652 A KR 2023004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oupled
wings
moto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택
Original Assignee
권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택 filed Critical 권승택
Publication of KR2023004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냄비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 홀에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냄비의 손잡이에 고정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의 상단과 상기 타단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일단부의 내부에 탑재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제1 회전 축에 고정되는 모터 커플링; 및 상기 모터 커플링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냄비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모터 커플링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상단부의 수평 단면이 상기 결합 홀의 수평 단면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 축, 및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무게는 1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AN AGITATOR COUPLED WITH A POT}
본 발명은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구, 예를 들어 냄비를 이용하여 죽, 카레, 수프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을 계속 저어주지 않으면 냄비의 바닥 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을 수 있다.
종래에는 조리사가 주걱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계속하여 저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냄비의 뚜껑 및 손잡이에 결합 내지 고정되어 냄비의 바닥 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음식물을 자동으로 저어주는 교반기를 개발하기도 하였지만, 교반기에서 음식물을 저어주는 날개부가 냄비의 바닥 면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아 여전히 음식물 중 일부가 냄비의 바닥 면에 눌러 붙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176호(2020.03.13,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냄비의 바닥 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는 문제를 개선한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냄비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 홀에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냄비의 손잡이에 고정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의 상단과 상기 타단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일단부의 내부에 탑재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제1 회전 축에 고정되는 모터 커플링; 및 상기 모터 커플링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냄비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모터 커플링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상단부의 수평 단면이 상기 결합 홀의 수평 단면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 축, 및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무게는 1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의 무게는 240g 이상 300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32rpm 이상 167rp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 토크는 3.3kgf·cm 이상 12kgf·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3개의 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상기 제2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엉킴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엉킴 방지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의 상단 높이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 영역, 및 상기 원통 영역의 상단 모서리에서 상기 제2 회전 축의 외주면까지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뿔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냄비의 바닥 면에 안착되는 수평 면, 상기 수평 면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면, 및 상기 수평 면의 타단과 상기 수직 면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 면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회전 축 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2개의 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상기 제2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엉킴 방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냄비의 바닥 면 상에 직립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엉킴 방지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수평 단면은 상기 제2 회전 축이 중심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1 측면의 전체 영역은 상기 2개의 날개 중 하나의 날개의 수직 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2 측면의 전체 영역은 상기 2개의 날개 중 나머지 하나의 날개의 수직 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의 폭은 상기 제2 회전 축의 직경 및 상기 수평 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엉킴 방지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폭은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폭은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의 제1 코너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4 측면 사이의 제2 코너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의 제3 코너부, 및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측면 사이의 제4 코너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타단부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및 상기 타단부의 내부 바닥 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내에 탑재되는 제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반기에서 음식물을 저어주는 날개부가 음식물, 예를 들어 죽, 카레, 수프 등에 가라앉아 냄비의 바닥 면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냄비의 바닥 면에 눌러 붙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모터 커플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날개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날개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모터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10)는 프레임(100), 모터(200), 모터 커플링(300) 및 날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500), 스프링(600), 제어 기판(700), 입력부(710) 및/또는 출력부(7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100)은 일단부(110), 타단부(120), 및 일단부(110)의 상단과 타단부(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n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0)의 일단부(110)는 냄비(20)의 뚜껑(21)에 형성된 관통 홀(21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일단부(110)는 냄비(20)의 뚜껑(21)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일단부(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1)는 관통 홀(21a)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타단부(120)는 냄비(20)의 손잡이(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타단부(120)는 냄비(20)의 손잡이(22) 상에 안착될 수 있고, 타단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부(121)는 손잡이(22)의 양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손잡이(22)는 한 쌍의 제2 돌출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00)는 프레임(100)의 일단부(110)의 내부에 탑재되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 커플링(300)은 모터(20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날개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 커플링(300)은 모터(200)의 제1 회전 축(2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커플링(300)의 상면에는 모터(200)의 제1 회전 축(2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홀(310)이 형성될 수 있고, 모터 커플링(300)은 모터 커플링(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모터(200)의 제1 회전 축(210)에 결합되는 고정 핀에 의해 모터(200)의 제1 회전 축(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커플링(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홀(320)에는 날개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모터 커플링(300)은 베어링(B)에 의해 지지되어 프레임(10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날개부(400)는 냄비(20)에 담긴 음식물에 가라앉아 음식물을 저어주는 구성요소로서, 제2 회전 축(410) 및 복수의 날개(420)를 포함할 수 있고, 엉킴 방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회전 축(4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회전 축(410)의 상단부(411)는 제2 결합 홀(32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2 회전 축(410)의 상단부(411)는 제2 결합 홀(32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40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냄비(20)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400)의 무게는 150g 이상일 수 있다. 날개부(400)는 무게가 150g 미만인 경우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물, 예를 들어 쌀죽 조리 시에도 냄비(20)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될 정도로 충분하게 가라앉을 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날개부(400)의 무게는 240g 이상 300g 이하일 수 있다. 날개부(400)는 무게가 240g 미만인 경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음식물, 예를 들어 고기나 해산물이 함유된 쌀죽 조리 시에 냄비(20)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될 정도로 충분하게 가라앉을 수 없고, 무게가 300g 초과인 경우 모터(200)의 용량 초과로 인해 모터(200)가 원하는 회전 속도, 예를 들어 32rpm 이상 167rpm 이하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모터(200)의 회전 속도가 32rpm 미만인 경우 느린 회전 속도로 인해 음식물이 눌러 붙을 수 있고, 167rpm 초과인 경우 모터(200)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한 충분한 회전 토크, 예를 들어 3.3 kgf·cm 이상 12kgf·cm 이하의 토크를 출력할 수 없다.
또한, 제2 회전 축(410)의 상단부(411)는 날개부(400)가 모터 커플링(3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결합 홀(320)의 수평 단면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부(411)의 수평 단면과 제2 결합 홀(320)의 수평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날개(420)는 제2 회전 축(410)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날개(420)는 제2 회전 축(410)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날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날개(420)의 단부는 냄비(20)의 하단 모서리에 상응하게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엉킴 방지부(430)는 제2 회전 축(4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3개의 날개(420)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제2 회전 축(410)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500)는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홀(1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50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충전될 수 있다.
스프링(600)은 프레임(100)의 타단부(120)의 내부 바닥 면 상에 배치되어 배터리(500)를 타단부(120)의 내부 바닥 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냄비(20)의 손잡이(22)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배터리(500)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제어 기판(700)은 모터(200) 및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500)의 전기를 모터(200)에 공급할 수 있고 모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 기판(700)은 프레임(100)의 연결부(13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기판(700)은 프레임(100) 내에서 냄비(20)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냄비(20)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한 오작동 또는 고장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배터리(500)의 단자(510)는 배터리(5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710)는 제어 기판(700)에 의한 제어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다양한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출력부(720)는 조리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조리 개시, 조리 진행 상황, 조리 완료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입력부(710) 및 출력부(720)는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100)의 상면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날개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엉킴 방지부(430)는 원통 영역(431) 및 원뿔대 영역(432)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 영역(431)은 제2 회전 축(410)의 하단에서 날개(420)의 상단 높이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뿔대 영역(432)은 원통 영역(431)의 상단 모서리에서 제2 회전 축(410)의 외주면까지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부(400)는 기존과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날개부(400)에 요구되는 무게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엉킴 방지 효과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도 3의 날개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날개(420)는 제2 회전 축(410)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날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420) 각각은 냄비(20)의 바닥 면에 안착되는 수평 면(421), 수평 면(421)의 폭 방향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면(422), 및 수평 면(421)의 폭 방향의 타단과 수직 면(422)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 면(4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면(423)은 수평 면(421)의 폭 방향의 타단에서 수직 면(422)의 상단까지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엉킴 방지부(430)는 제2 회전 축(4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2개의 날개(420)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제2 회전 축(410)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엉킴 방지부(430)는 제2 회전 축(410)의 하단에서 날개(42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고, 엉킴 방지부(430)의 수평 단면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회전 축(410)이 직사각형의 중심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엉킴 방지부(430)의 제1 측면(433)의 전체 영역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날개(420) 중 하나의 날개(420)의 수직 면(422)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엉킴 방지부(430)의 제2 측면(434)의 전체 영역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날개(420) 중 나머지 하나의 날개(420)의 수직 면(422)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엉킴 방지부(430)의 제3 측면(434) 및 제4 측면(435)의 폭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회전 축(410)의 직경 및 수평 면(4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부(400)는 기존과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날개부(400)에 요구되는 무게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엉킴 방지 효과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2 회전 축(410)의 하단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440a, 440b)가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부(440a, 440b)는 날개부(400)가 냄비(20)의 바닥 면 상에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날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교반기 20: 냄비
21: 뚜껑 21a: 관통 홀
22: 손잡이 100: 프레임
110: 일단부 111: 제1 돌출부
120: 타단부 121: 제2 돌출부
122: 수용 홀 130: 연결부
200: 모터 210: 제1 회전 축
300: 모터 커플링 310: 제1 결합 홀
320: 제2 결합 홀 400: 날개부
410: 제2 회전 축 411: 상단부
420: 날개 421: 수평 면
422: 수직 면 423: 경사 면
430: 엉킴 방지부 431: 원통 영역
432: 원뿔대 영역 433: 제1 측면
434: 제2 측면 435: 제3 측면
436: 제4 측면 440a, 440b: 지지부
500: 배터리 510: 단자
600: 스프링 700: 제어 기판
710: 입력부 720: 출력부

Claims (10)

  1. 냄비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 홀에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냄비의 손잡이에 고정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의 상단과 상기 타단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일단부의 내부에 탑재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제1 회전 축에 고정되는 모터 커플링; 및
    상기 모터 커플링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냄비의 바닥 면 상에 안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모터 커플링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상단부의 수평 단면이 상기 결합 홀의 수평 단면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 축, 및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무게는 1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무게는 240g 이상 300g 이하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32rpm 이상 167r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토크는 3.3kgf·cm 이상 12kgf·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3개의 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상기 제2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엉킴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엉킴 방지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의 상단 높이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 영역, 및 상기 원통 영역의 상단 모서리에서 상기 제2 회전 축의 외주면까지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뿔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냄비의 바닥 면에 안착되는 수평 면, 상기 수평 면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면, 및 상기 수평 면의 타단과 상기 수직 면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 면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회전 축 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2개의 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상기 제2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엉킴 방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냄비의 바닥 면 상에 직립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엉킴 방지부는 상기 제2 회전 축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수평 단면은 상기 제2 회전 축이 중심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1 측면의 전체 영역은 상기 2개의 날개 중 하나의 날개의 수직 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2 측면의 전체 영역은 상기 2개의 날개 중 나머지 하나의 날개의 수직 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엉킴 방지부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의 폭은 상기 제2 회전 축의 직경 및 상기 수평 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엉킴 방지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폭은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폭은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의 제1 코너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4 측면 사이의 제2 코너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의 제3 코너부, 및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측면 사이의 제4 코너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및
    상기 타단부의 내부 바닥 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내에 탑재되는 제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KR1020220002853A 2021-09-24 2022-01-07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KR20230043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162 2021-09-24
KR20210126162 2021-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52A true KR20230043652A (ko) 2023-03-31

Family

ID=8600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853A KR20230043652A (ko) 2021-09-24 2022-01-07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36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176B1 (ko) 2018-05-14 2020-03-13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176B1 (ko) 2018-05-14 2020-03-13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2868B2 (en) Heating cooker
US10610050B2 (en) Heating cooker
WO2015152965A1 (en) Blending jar with ridges
KR102375807B1 (ko)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JP2012135605A (ja) 炊飯器
JP2011522661A (ja) 回転式攪拌器及び回転式攪拌器を用いた使用のための台所用品
KR20230043652A (ko) 냄비에 결합되는 교반기
JP2020081357A (ja) 攪拌食器
CN208693025U (zh) 搅拌组件和烹饪器具
CN211432212U (zh) 一种旋转式炒菜机
CN210300727U (zh) 一种分区式烤盘
JP4114809B2 (ja) 五徳
JP2022102763A (ja) 撹拌羽根および撹拌装置
CN113339855A (zh) 烹饪组件以及微波烹饪器具
CN211269936U (zh) 一种旋转式炒菜机
JP5456101B2 (ja) 炊飯器
CN211242773U (zh) 一种炒菜机
CN212755367U (zh) 搅拌装置及料理机
CN209346771U (zh) 料理机
CN110215113A (zh) 一种食物蒸制搅拌装置和食物蒸制搅拌方法
CN211432386U (zh) 一种旋转式炒菜机
CN212755246U (zh) 烹饪器具
CN215016374U (zh) 烹饪器具
CN218484378U (zh) 一种烤盘高度可调节的空气炸锅
KR102110348B1 (ko) 회전식 조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