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857A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857A
KR20230042857A KR1020210125600A KR20210125600A KR20230042857A KR 20230042857 A KR20230042857 A KR 20230042857A KR 1020210125600 A KR1020210125600 A KR 1020210125600A KR 20210125600 A KR20210125600 A KR 20210125600A KR 20230042857 A KR20230042857 A KR 2023004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ision
making
accident
leakage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645B1 (ko
Inventor
양동민
김흥규
Original Assignee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6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 시 유출사고이력을 통해 유출 사고를 수습 및 복구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A DECISION SUPPORT SERVICE FOR HAZARDOUS CHEMICAL SPILL SITU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 시 유출사고이력을 통해 유출 사고를 수습 및 복구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 다양화로 발생 패턴이 불규칙해지면서 정부의 재난대응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재난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전달되어 효율적인 상황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체계적인 재난현장의 상황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체계가 필요하다. 상황관리 측면에서 보면 재난발생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의사결정권자에게 전달되어 신속한 상황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 정보전달 체계는 현장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여 가독성, 신속성, 편의성 등 측면에서 신속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지역적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발생현장과 중앙 및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황관리 담당자 및 현장조사자 간의 일원화되지 못한 정보전달 체계로 인해 재난현장에 적합한 상황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원화된 정보전달, 공유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정보전달체계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가시화된 정보전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외의 재난상황 관리 시스템을 검토한 결과, 실시간의 피해정보, 재난상황 분석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권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외의 재난상황 관리 시스템은 피해정보, 재난상황을 분석하는 데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상황판단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 시 유출사고이력을 통해 유출 사고를 수습 및 복구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기관별로 보유중인 화학물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기관별 관리대상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와, 점검한 결과를 기초로,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를 기초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화학물질 통합관리,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점검 및 재난정보 자료 파악,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한 사고예방 홍보/계도 활동 전개, 화학사고 대비 사고유형별 교육/훈련을 통한 대처능력 배양 활동 실태 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범정부적 화학사고 대응시스템 구축 및 확대, 재난방송 협조 체계 및 재난 경보시스템 구축, 방제물자 확보실태 확인, 지속적인 안전교육 및 모의훈련 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재난 관련 정보와의 유사성 분석을 통해 상기 특성 정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유사유출이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유출이력을 기초로 수치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출확산 및 피해를 예측하는 단계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결과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예측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범위에 따라 대응1단계, 대응2단계 및 대응3단계로 구분되며, 각 대응 단계에 따라, 신고접수 및 상황전파, 초동조치, 현장수습조정관 파견,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자체위기평가회의 개최, 현장 대응활동, 현장 긴급 구조활동, 인력/장비 동원, 피해지역 인근주민 긴급대피 조치, 비상홍보센터 가동,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2차 사고대비 대응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에 따라, 유출사고의 수습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유관 부처/기관 합동 피해복구 활동 전개, 인근지역에 대한 잔류여부 조사 및 주민복귀 결정, 이재민 구호대책 조기 시행, 사상자 치료/장례 협의, 복구활동 상황 보도 및 민간의 자발적 복구 참여 유도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유해화학물질 유출 상황을 재난관련기관에 공유하는 단계와, 상기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재난관련기관 각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와, 상위 기관에서 결정한 의사에 따라, 하위 기관이 수행해야 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하여,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 시 유출사고이력을 통해 유출 사고를 수습 및 복구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발생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대응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유해화학물질은 사람들에게 유해한 성분을 포함한 물질로, 사람들에게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될 경우, 유해화학물질이 공기 중에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폭발로 이어져 더 큰 피해를 입히게 될 수 있다.
유해화학물질의 유출되는 원인으로는 설비 운전조작에 미숙하거나, 운전조작을 실수하는 경우, 중요 핵심부품의 결함이 발생했거나 설비가 노후화된 경우, 인적/물적/기계적으로 결함이 발생한 경우, 지진/풍수해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결함이 발생한 경우, 유해화학물질을 운송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초기에 유출 사고를 수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재난관련기관에서 유출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의사를 결정하는 것 또한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이전에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들에 대해 학습하고, 유출사고 발생 시 이전에 발생한 유출사고들 중 유사유출이력을 기초로 유출사고의 수습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의사결정 모델은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건축물 정보, 환경 정보, 인근 정보 등에 따라 유해물질의 유출확산 정도 및 피해 정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른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고,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된 경우,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유출사고 지점의 건축물 정보, 환경 정보 인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출사고의 수습과 연관되는 기관들이 수행할 행동들을 각각 결정할 수 있으며, 유출사고의 크기에 따라 각 기관들이 수행할 행동들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을 지원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태플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제공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00). 재난 관련 정보는 이전에 발생했었던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와 관련된 정보로,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기초정보, 현황정보, 관측정보,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도, 유출사고를 수습하는 있어 재난관련기관에서 결정한 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정보는 건축물정보 및 공간정보를 포함하고, 건축물정보는 주용도, 층수, 건축면적, 연면적, 구조 등을 포함하고, 공간정보는 토지이용계획도, 용도지구도, 인구밀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현황정보는 유출사고에 대한 신고 접수, 사고대응 진행 정보를 포함하고, 유출사고에 대한 신고접수는 유출사고 발생 위치, 시간, 사고물질, 사고원인, 피해현황 등을 포함하고, 사고대응 진행 정보는 소방청 전국 119 상황실 현황정보, 재난 현장 영상 정보, 피해 상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측정보는 풍향, 풍속, 강우량 등의 날씨 정보, 교통정보, 소방출동경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도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피해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200). 의사결정 모델은 수집된 재난 관련 정보를 학습하여 피해 규모를 예측하고, 피해 규모에 따른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의사결정 모델은 신고 접수된 유출사고에 대해, 기초정보, 현황정보, 관측정보를 이용하여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할 피해 정도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컴퓨팅 장치(100)는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것으로써, 유출사고의 크기에 따라 적절할 것으로 예측되는 의사결정을 제시해줄 수 있고, 실제 의사결정은 재난관련기관 각각에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S300). 컴퓨팅 장치(100)는 기관별로 보유중인 화학물질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 기관별 관리대상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한 결과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여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점검한 결과, 설비가 노후화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유출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할 수 있다(S400).
컴퓨팅 장치(100)는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0). 예컨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한 경우, 유출사고를 신고한 신고자로부터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점, 시간, 사고물질 등을 유선상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입력되는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건출물정보, 공간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시점의 풍향, 풍속, 강우량을 포함하는 날씨 정보 및 교통정보에 대한 관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S600). 컴퓨팅 장치(100)는 특성 정보를 기초로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확산 정도 및 피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유해화학물질을 운송 중에 유출사고가 발생한 경우, 일반 도로에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됨에 따라 일반 사람들이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로 인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측된 유출사고의 확산 정도 및 피해 정도를 기초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재난 관련 정보를 기초로, 기관별 관리대상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점검한 결과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할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점검 결과를, 저장되어 있는 재난 관련 정보와 비교하여, 점검 결과와 유사한 재난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재난 관련 정보와 모니터링한 결과와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할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를 기초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유출사고 예방 차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고, 유출사고 대비 차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에 따라, 유출사고의 수습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현재 유해화학물질 유출 상황을 재난관련기관에 공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재난관련기관들이 유해화학물질 유출 현황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가 획득된 경우 신고 내용에 대해 재난관련기관들이 플랫폼을 통해 동시에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CCTV 등의 모니터링 가능한 정보들을 같이 제공함으로써, 여러 재난관련기관들이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를 수습하기 위한 투입을 준비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재난관련기관 각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유해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피해정도가 경미한 경우, 지자체 내의 유관기관에서 해결할 수 있으나, 유해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피해정도가 큰 경우, 중앙정부가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소관부서의 경우 직접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수습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중앙정부의 경우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수습 및 복구를 위한 총괄 등의 역할을 함에 따라 각 기관이 수행하는 행동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각 기관마다 각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상위 기관에서 결정한 의사에 따라, 하위 기관이 수행해야 할 의사결정을 재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기관인 중앙정부에서 결정한 의사에 따라 하위 기관인 소관부서의 의사는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상위 기관에서 결정한 의사에 따라 하위 기관에서 결정할 수 있는 의사를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발생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특성 정보 및 재난 관련 정보와의 유사성 분석을 통해 특성 정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유사유출이력을 도출할 수 있다(S610).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저장되어 있는 재난 관련 정보 중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된 지점의 특성 정보와 가장 유사한 재난 관련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군집 분석을 통해 특성 정보 및 재난 관련 정보와의 유사성을 분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는 유사유출이력을 기초로 수치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출확산 및 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S620).
컴퓨팅 장치(100)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다(S630). 컴퓨팅 장치(100)는 특성 정보에 대한, 의사결정모델의 결과에 따라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측한 결과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S640). 여기서,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확산 및 피해를 예측한 결과 및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확산 및 피해를 예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측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범위에 따라 대응1단계, 대응2단계 및 대응3단계로 구분할 수 있고, 각 대응 단계에 따라 각각 다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1단계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피해정도가 경미할 때 결정되고,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정도가 크고 그 영향이 광범위할 때 결정되고,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정도가 매우 크고 그 영향이 광범위할 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인명과 재산의 피해정도는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대응단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 수습 현황을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하고, 특성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재획득하여 유출확산 및 피해 규모를 재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대응1단계에 해당하던 유출사고가 화재로 번지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응2단계 또는 대응3단계로 확대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발생한 유출사고에 대해 모니터링하면서 대응단계를 전환해야할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새로운 의사결정을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는 각 대응 단계에 따라, 신고접수 및 상황전파, 초동조치, 현장수습조정관 파견,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자체위기평가회의 개최, 현장 대응활동, 현장 긴급 구조활동, 인력/장비 동원, 피해지역 인근주민 긴급대피 조치, 주민 불편사항 해소 방안 강구, 비상홍보센터 가동,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2차 사고대비 대응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대응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방 단계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 예방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또한, 대비 단계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출사고 대비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또한, 대응 단계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한 이후의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범위에 따라 대응1단계, 대응2단계, 대응3단계로 구분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유출사고 대응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또한, 복구 단계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진압된 이후의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출사고 복구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예방 단계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점검 및 재난정보 자료 파악,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한 사고예방 홍보/계도 활동 전개, 화학사고 대비 사고유형별 교육/훈련을 통한 대처능력 배양 활동 실태 확인을 의사결정으로써 제안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관별로 보유 중인 화학물질정보, 취급정보, 위해관리계획서 등을 최신화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화학사고 대응 유관기관별 보유중인 대응장비 및 방제물품현황, 방제물품 취급업체 파악 및 공유를 화학물질 통합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등 준수 여부 확인, 기관별 관리대상 화학물질 취급시설 정기 또는 수시점검 및 안전진단, 위해관리계획서, 공정안전보고서, 안전성향상계획서, 예방규정 이행실태 확인, 화학물질 취급시설, 장비 설치기준, 관리기준 적합 여부 확인을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고 발생 시, 정보공유가 필요한 주관 및 유관기관 담당자, 책임자 등 관련자 전원에 대한 유/무선 비상연락망 마련, 주관 및 유관기관 협력체계 유지를 위한 비상연락망 주기적 점검, 과거 유사사례 재난발생 정보자료 파악을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점검 및 재난정보 자료 파악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확인한 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대비 단계에서, 범정부적 화학사고 대응시스템 구축 및 확대, 재난방송 협조 체계 및 재난 경보시스템 구축, 방제물자 확보실태 확인, 지속적인 안전교육 및 모의훈련 추진을 의사결정으로써 제안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소관분야별 안전 취약요소 분석·평가 및 정보 공유, 사고 발생 시 소방, 군, 지자체 등 초동 대응기관 및 주관기관 등을 실시간 연결하는 대응시스템 가동을 범정부적 화학사고 대응시스템 구축 및 확대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24시간 비상상황실 운영 및 사고접수/전파, 국민안전처에 위기상황 대국민 메시지 전파 지원 요청을 재난방송 협조 체계 및 재난 경보시스템 구축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유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별 계획대비 자재, 응급복구용장비, 구호물자, 방역물자 등 확보실태 확인, 부족 시 부족량을 신속히 우선 확보토록 지시를 방제물자 확보실태 확인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교육프로그램 시행으로 화학사고 전문인력 양성, 사업장, 초동대응기관 등이 연계된 모의훈련 추진을 지속적인 안전교육 및 모의훈련 추진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확인한 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대응 단계에서, 신고접수 및 상황전파, 초동조치, 현장수습조정관 파견,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자체위기평가회의 개최, 현장 대응활동, 현장 긴급 구조활동, 인력/장비 동원, 피해지역 인근주민 긴급대피 조치, 주민 불편사항 해소 방안 강구, 비상홍보센터 가동,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2차 사고대비 대응활동을 의사결정으로써 제안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유관기관으로 신고/접수된 화학물질 유출사고는 비상연락망을 통해 즉시 환경부 내외부에 상황보고 및 전파, 종합상황실 가동 시 환경부내 유역(지방)환경청, 화학물질안전원 및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외부 유관기관 연락체계 강화로 실시간 현장 상황 확인 및 보고/전파를 신고접수 및 상황전파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관련시설 긴급 응급조치 및 자체 방제자원 활용, 방제 활동, 위험지역 설치 및 현장지휘소 설치, 준위험지역/경계지역 설치 및 출입 통제, 사고정보(사고원인, 사고물질, 누출량, 피해현황 등) 파악, 1차 환자 구조/구급/분류/후송을 초동조치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고현장에서 사고상황 파악 및 위기경보수준 건의, 유관기관 대책회의 참여, 사고대응 전문가 자문, 화학사고 수습상황 지속 모니터링, 화학사고 환경분야 언론 브리핑 지원을 현장수습조정관 파견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고 피해정도 및 확대 가능성 판단, 사고대응 및 수습의 대응방향과 기관별 임무 분장을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현장상황 정보 종합하여 위기수준 평가, 필요시 위기경보 발령, 변경 및 해제, 위기경보 발령사항 유관기관 통보를 자체위기평가회의 개최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지역긴급구조통제단 설치/운영, 오염 확산방지 및 방제활동, 사고물질 대응정보 제공, 사고물질의 피해확산 정보제공, 경계구역 재설정(위험지역, 준위험지역, 경계지역) 및 오염지역 진/출입 통제를 현장 대응활동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긴급구조기관 및 긴급구조지원기관간의 역할 분담, 응급진료소 설치 및 환자 구조/구급/분류/이송을 현장 긴급 구조활동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고현장 인근의 병,의원과 보건소 앰뷸런스, 소방구급차 및 민간구조단체 구급차량 긴급동원, 군 병력 및 복구장비 지원, 민간의 방제장비 및 방제물자 판매업체 지원을 인력/장비 동원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대피명령, 경계구역 설정, 공무원 배치 및 대피 유도, 사고현장 질서 유지/안전 확보 및 교통대책 시행, 지역주민 및 근로자 이재민 수용시설 이동/대피를 피해지역 인근주민 긴급대피 조치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화학사고 접수 시 수질담당자 통보, 수질담당자는 수계유무 등 확인 후 화학사고와 합동대응, 초기 소방수 유출방지 응급조치를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2차 사고대비 대응활동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대응1단계에서, 초동조치 및 상황 전파/보고를 위한 의사결정, 인명피해 최소화 및 신속한 주민 대피를 의사결정,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조치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대응2단계에서, 인명 구조/구급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한 의사결정, 신속한 응급 복구를 통한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의사결정, 피해자 및 이재민 지원 및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신속한 수습/복구를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사결정, 라이프라인(Life-line) 복구 최우선을 위한 의사결정, 장기 이재민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확인한 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난관련기관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지원한 의사결정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 시 유출사고이력을 통해 유출 사고를 수습 및 복구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컴퓨팅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재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신고 접수를 획득하는 단계;
    신고 내용에 따라, 유출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유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을 보유중인 기관을 점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기관별로 보유중인 화학물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관별 관리대상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점검한 결과를 기초로,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를 기초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화학물질 통합관리,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점검 및 재난정보 자료 파악,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한 사고예방 홍보/계도 활동 전개, 화학사고 대비 사고유형별 교육/훈련을 통한 대처능력 배양 활동 실태 확인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유출 위험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범정부적 화학사고 대응시스템 구축 및 확대, 재난방송 협조 체계 및 재난 경보시스템 구축, 방제물자 확보실태 확인, 지속적인 안전교육 및 모의훈련 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재난 관련 정보와의 유사성 분석을 통해 상기 특성 정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유사유출이력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유사유출이력을 기초로 수치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출확산 및 피해를 예측하는 단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형복합재난의 확산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결과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예측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범위에 따라 대응1단계, 대응2단계 및 대응3단계로 구분되며,
    각 대응 단계에 따라, 신고접수 및 상황전파, 초동조치, 현장수습조정관 파견,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자체위기평가회의 개최, 현장 대응활동, 현장 긴급 구조활동, 인력/장비 동원, 피해지역 인근주민 긴급대피 조치, 비상홍보센터 가동,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2차 사고대비 대응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정도 및 사고 원인에 따라, 유출사고의 수습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는,
    유관 부처/기관 합동 피해복구 활동 전개, 인근지역에 대한 잔류여부 조사 및 주민복귀 결정, 이재민 구호대책 조기 시행, 사상자 치료/장례 협의, 복구활동 상황 보도 및 민간의 자발적 복구 참여 유도 중 적어도 하나의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유해화학물질 유출 상황을 재난관련기관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의사결정 모델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재난관련기관 각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 및
    상위 기관에서 결정한 의사에 따라, 하위 기관이 수행해야 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10125600A 2021-09-23 2021-09-23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9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00A KR102593645B1 (ko) 2021-09-23 2021-09-23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00A KR102593645B1 (ko) 2021-09-23 2021-09-23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57A true KR20230042857A (ko) 2023-03-30
KR102593645B1 KR102593645B1 (ko) 2023-10-25

Family

ID=8598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600A KR102593645B1 (ko) 2021-09-23 2021-09-23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645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81B1 (ko) * 2005-12-16 2006-10-24 대한민국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KR101297087B1 (ko) * 2013-05-07 2013-08-16 김세환 무선 영상을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속보기
KR20150089604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제이비티 자연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장치
KR20160104788A (ko)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제이비티 화산재해 대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20160114366A (ko) * 2015-03-24 2016-10-0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201772B1 (ko)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32683A (ko) * 2019-09-17 2021-03-2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사고대응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33637A (ko) * 2019-09-19 2021-03-29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
KR20210047491A (ko)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7583B1 (ko) *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20210058081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네오나인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65387B1 (ko) * 2020-10-26 2021-06-15 대한민국 화학재난 피해범위 예측 및 원인 분석 시스템
KR102284747B1 (ko) * 2020-11-11 2021-08-03 주식회사 에이이 재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81B1 (ko) * 2005-12-16 2006-10-24 대한민국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KR101297087B1 (ko) * 2013-05-07 2013-08-16 김세환 무선 영상을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속보기
KR20150089604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제이비티 자연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장치
KR20160104788A (ko)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제이비티 화산재해 대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20160114366A (ko) * 2015-03-24 2016-10-0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20210032683A (ko) * 2019-09-17 2021-03-25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사고대응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33637A (ko) * 2019-09-19 2021-03-29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
KR20210047491A (ko)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8081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네오나인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47583B1 (ko) *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102201772B1 (ko)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65387B1 (ko) * 2020-10-26 2021-06-15 대한민국 화학재난 피해범위 예측 및 원인 분석 시스템
KR102284747B1 (ko) * 2020-11-11 2021-08-03 주식회사 에이이 재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기녹색환경지원센터, ‘안양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사고대응계획’, 2021.08.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645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yasari et al. Disaster preparedness: looking through the lens of hospitals in Japan
Olave-Rojas et al. Modeling a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using hybrid simulation and a machine learning approach
Bongiovanni et al. Implementation of best practices for emergency response and recovery at a large hospital: A fire emergency case study
Miniati et al. Methodology for rapid seismic risk assessment of health structures: Case study of the hospital system in Florence, Italy
JP3523967B2 (ja) 災害対策評価装置
Gunawan et al. Improving disaster response through disaster simulation
Jain et al. An integrating framework for modeling and simulation for incident management
KR20230042856A (ko)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TohidiFar et al. A hybrid BIM and BN-based model to improve the resiliency of hospitals' utility systems in disasters
Sharif et al. Simulation modeling of 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agencies involved in post-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Ji et al. A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for decontamination planning of emergency planning zone: Facility location and assignment plan
Ilo et al. Emergency response plans: panacea for emergency preparedness and control in university libraries in Nigeria
Guyo et al. An ontology to represent firefighters data requirements during building fire emergencies
Kato Use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for improving emergency response exercises
KR20220084751A (ko)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를 종합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2857A (ko)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Engelbach et al. Indicators to compare simulated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Hooshangi et al. Urban search and rescue (USAR) simulation in earthquake environments using queuing theory: estimat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rescue teams
KR20230170604A (ko) 사업주 맞춤형 중대재해 예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Halseth et al. Locat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small town and rural settings
Madanian et al. Adaptable socio-cyber physical systems for supporting disaster
Khirekar et al. Disaster preparedness in hospitals
Urriza CAPABILITIES OF THE BUREAU OF FIRE PROTECTION RESPONDING HUMAN-INDUCED AND NATURAL DISASTERS
Bea The national preparedness system: Issues in the 109th Congress
Vogelweid Developing emergency management plans for university laboratory animal programs and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