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83B1 -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583B1 KR102247583B1 KR1020200028147A KR20200028147A KR102247583B1 KR 102247583 B1 KR102247583 B1 KR 102247583B1 KR 1020200028147 A KR1020200028147 A KR 1020200028147A KR 20200028147 A KR20200028147 A KR 20200028147A KR 102247583 B1 KR102247583 B1 KR 102247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ex
- safety
- evaluation
- risk
- workpl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사업장 안전관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고도화하기 위한 안전관리 개선계획 수립의 기틀을 마련한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고유형, 안전관리 체계, 안전사고 저감활동 등의 전반적인 안전사고 발생 요인을 종합 평가하는 체계로서, 안전관리 유형별 및 사고유형별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평가하고, 개별 평가결과를 합산하여 사업장 전체 안전지수에 대해 종합 평가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가대상 사업장의 전반적인 안전관리 실태에 대하여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도출된 문제점 건수인 위험요인과 사업장 자체에 내재된 잠재위험을 평가지표 개별 안전지수의 산정을 위한 주요 인자로 하며, 시설 규모 등의 상이한 사업장 현황에 기인한 안전진단 도출 문제점 건수 및 잠재 위험요인의 차이에 대해 사업장 특성을 반영하여 보정함으로써 사업장간 상대평가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할 수 있고, 안전관리 유형별 및 안전사고 유형별 위험성에 따라 평가지표의 배점을 차등화함으로써 실질적 사업장 위험정도를 안전관리 수준에 객관적이면서 정량적 반영하고, 향후 사업장 안전관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안전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한 지침 수립의 기틀을 마련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유형, 안전관리 체계, 안전사고 저감활동 등 사업장 안전관리 요소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의 필요에 따라 사업장 안전진단으로 도출된 안전사고 위험요인과 사업장 내에 잠재된 안전사고 위험요인을 주요 인자로 위험지수를 선정하고, 시설 규모 등의 상이한 사업장 현황을 반영하여 상이한 사업장 시설 현황을 반영하고, 안전관리 요소별 위험성을 평가지표 배점으로 차등 반영함으로써, 안전관리 수준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이면서 정량적으로 할 수 있고, 안전관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서,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에 안전등급을 반영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강도 높은 안전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선도적 안전관리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낙동강권역의 수도사업장에 대해 외부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사업장 안전진단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업장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다수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출된 문제점만으로는 사업장 전반의 현재 안전관리가 얼마만큼 잘 이행되고 있는지 정량적 수준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즉,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 평가와 관련된 현재까지의 국내외 기술에서는 안전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척도가 부재되어 있으며, 현재 상용되는 수많은 안전진단 및 사업장 자체 안전관리는 점검실적을 위한 지적사항 도출 및 문제점 개선을 단순히 반복하는 소극적 대응에 머물고 있고, 안전관련 시설투자를 함에 있어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객관적 지표가 부재하여 명확한 지침 수립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사업장 안전관리가 현재의 안전관리 기술수준을 뛰어넘기 위해서, 사업장의 현재 안전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안전관리 수준의 지속적 향상을 위한 발판 마련을 통한 안전관리 체계의 고도화가 절실함을 통감하게 되었다.
한편, 사업장의 안전관리 정도를 나타내는 안전지수에 사업장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고, 이를 통해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하며 안전관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인은 물론이고, 사업장 자체 잠재하는 위험요인도 파악하여, 안전지수에 반영하여야 하고, 각 사업장 간의 현장여건 차이도 안전지수 평가에 반영하여야 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안전관리 평가방법에서는 객관적 평가 방식의 부재로 인해, 공신력 있는 사업장 안전지수를 도출하기 어려웠고, 사업장 별 형평성 있는 안전지수 평가결과 값을 보장하기도 어려웠다.
다시 말해서, 현재까지 상용되는 단순한 사업장 안전관리 문제점 건수 도출에 의한 사업장 안전관리 실태 수준을 평가하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고, 안전관리 요소에 대한 총괄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와, 업종 특수성에 따른 유형별 사고발생 빈도 및 위험정도를 고려한 위험성에 따른 가중치 반영과, 사업장별 시설규모 등을 종합 반영한 평가를 통해서, 객관적인 사업장 안전지수를 도출할 수 있지만, 기존의 기술수준으로는 이를 위한 객관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진단에서 파악된 위험요인, 사업장의 잠재적 위험요인 및 사업장 현황을 반영한 사고유형별 위험지수를 객관적 기준에 따라 파악하고, 사고유형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객관적, 정량적 및 일률적인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신뢰성 및 사업장 간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전사고 유형별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 각각 안전진단 할 사항을 포함하되, 안전진단 사항 중에 사업장 자체적으로 내재된 안전사고의 잠재 위험요인이 존재할 경우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에 대응되게 포함시킨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상이한 사업장간의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 및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연계하여 안전진단 결과로 도출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안전지수로 평가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의한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지표의 안전사고 위험성에 따라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0);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위험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보정계수 산정단계(S20);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건수에 따라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잠재 위험요인을 포함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따라 산정한 위험지수를 가산하고,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각각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위험지수 산정단계(S30); 평가지표별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기설정 위험지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평가지표별로 안전지수를 선정하는 안전지수 선정단계(S40); 평가지표별로 선정한 안전지수를 상기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하여 합산한 값인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단계(S50); 및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고,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록 관리하는 평가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전사고 유형별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 각각 안전진단 할 사항을 포함하되, 안전진단 사항 중에 사업장 자체적으로 내재된 안전사고의 잠재 위험요인이 존재할 경우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에 대응되게 포함시킨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상이한 사업장간의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 및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연계하여 안전진단 결과로 도출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안전지수로 평가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를 포함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는 평가지표의 안전사고 위험성에 따라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하는 설정부(31);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위험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보정계수 산정부(32);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건수에 따라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잠재 위험요인을 포함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따라 산정한 위험지수를 가산하고,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각각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위험지수 산정부(33); 평가지표별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기설정 위험지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평가지표별로 안전지수를 선정하는 안전지수 선정부(34); 평가지표별로 선정한 안전지수를 상기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하여 합산한 값인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35); 및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고,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록 관리하는 평가부(3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공하는 본 발명은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되는 직접 및 간접 요인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평가지표로 선정하여 평가지표별 평가결과를 통해 안전관리 유형별 취약요인을 세부적으로 분석 가능하고, 안전사고 유형별 실질적인 위험성에 따라 차등을 두어 배점으로 반영하여 사업장 안전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정량적 수치로 파악이 가능하고, 안전진단을 통해 도출하는 안전법규 미준수 및 현장 위험사항 노출에 대한 위험요인과 사업장 여건상 자체적으로 잠재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여, 총괄적인 위험요인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고, 사업장별 시설 및 운영현황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하며 안전지수를 산정함에 따라 사업장 간 평가결과에 대한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산정된 사업장 안전지수는 그간 정성적으로 평가된 안전관리 수준을 정량화하여 관리자 및 근로자 모두가 현재 사업장의 총괄적인 안전관리 수준을 파악을 수 있는 명확한 척도로 활용이 가능하고, 사업장 안전관리 방향 및 의사결정을 위한 합리적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응 및 노력을 유도하여 능동적인 사업장 안전관리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발판을 마련하며,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의 지속 성장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복수의 공정 중에 여과 공정을 처리하는 영역(여과지동)에 대해 안전진단 할 시에 사용할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의 일례.
도 4는 낙동강권역 정수 사업장에 대한 상대적 평가자료의 일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복수의 공정 중에 여과 공정을 처리하는 영역(여과지동)에 대해 안전진단 할 시에 사용할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의 일례.
도 4는 낙동강권역 정수 사업장에 대한 상대적 평가자료의 일례.
본 발명은 사업장에 대해 안전진단을 수행하여 현재의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 사업장 전반의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사고유형별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따라 안전진단하여 도출한 위험요인과 사업장 여건상 자체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잠재 위험요인을 정량적 수치로 지수화하여 위험지수로 산정하였고, 사업장 간의 형평성 및 평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업장 현황을 반영하여 위험지수를 보정하였으며, 보정한 위험지수에 따라 각 평가지표의 안전지수를 선정한 후, 평가지표별 위험성에 따라 배정한 배점으로 환산하여 얻는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산정값을 합산하여 사업장을 대표하는 안전지수를 얻고, 사업장 안전관리 대응수준을 결정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개별 사업장의 현재 안정관리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 척도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전관리가 취약한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고유형별로 선택 및 집중하여 관리하는 등의 효과적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의 지속성장을 위한 차기 달성 목표값을 설정할 시에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업장별 안전관리 수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사업장 간의 상대적 평가에 따라 안전시설 개선 및 안전관리 인력투입 배분 등 안전관리 대응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의 구성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은 각각의 사업장(1)에 대한 안전진단 사항을 포함한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와, 각각의 사업장(1)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입력부(20)에서 입력한 안전진단 결과 및 데이터베이스부(10)의 저장 자료에 따라 사업장별 안전지수를 평가하고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업장(1)은 동일한 처리 공정 및 공정 순서를 갖춘 동일 업종의 사업장으로 하며,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낙동강권역에서 운영하는 각 지사의 정수장으로 한다.
정수장에는 착수, 약품투입, 혼화, 응집, 침전, 여과, 소독, 배출, 회수, 농축, 탈수 등의 공정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원수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공간적으로 분리된 구획 영역에 설치되되, 상호 연동시켜서 원수를 순차적으로 연속 공정 처리할 수 있게 운용된다. 이러한 각 공정별로 운용되는 공정 처리 설비, 각종 장비, 전기 설비 등의 시설 중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시설이 있고, 안전난간, 맨홀, 개폐시설, 사다리, 개구부 등의 잠재적 위험요인도 있다. 또한, 관리동 또는 부속 시설에도 안전사고의 요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업장(1)에 대해 사전 조사하여 파악한 시설 현황에 따라, 안전진단 사항을 포함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하여 두어서,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의한 안전지수 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관리동 또는 부속 시설을 기타 공정 처리 시설로 취급하여서, 시설에 대한 안전진단을 공정별로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하여 두는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에는 안전사고의 직간접 요인에 따라 정한 복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안전진단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평가지표는 안전사고의 직접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으로 분류한 사고유형별 평가지표와, 안전사고의 간접적 요인을 평가지표로 한 간접요인별 평가지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서는 아래의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및 기타사고를 사고유형별 평가지표로 하고,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간접요인별 평가지표로 한다. 그리고, 평가지표별 평가내용은 사업장(1) 현장에서 안전진단한 결과에 따라 현장진단하여 평가할 내용과, 사업장(1) 내의 잠재 위험요인에 따라 평가할 내용으로 분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업장 현황에 따라 세부 평가항목으로 분류된다.
구분 | 평가지표 | 평가내용 |
인전사고 직접요인 (사고유형별) |
추락사고 | (현장진단) 난간 설치기준 미준수, 접근제한 등 (잠재위험) 옥상, 난간, 개구부(맨홀) |
협착사고 | (현장진단) 회전부, 물림부 방호조치 미흡 등 (잠재위험) 탈수기, 회전체, 와이어로프 시브 등 |
|
충돌/낙하사고 | (현장진단) 코레인 설비, 안전난감 발끝막이판 미비 등 (잠재위험) 크레인 설비, 낙하위험 작업장소 등 |
|
감전사고 | (현장진단) 충전부 노출, 접지미흡 등 (잠재위험) 변압기, 수배전반, 기동반, 현장조작반 등 |
|
질식사고 | (현장진단) 밀폐공간 유해가스 발생여부, 산소농도 등 (잠재위험) 밀폐공간, 맨홀 등 |
|
화학/폭발사고 | (현장진단) 폭발/유독물질 취급 등 (잠재위험) 화학물질, 저장탱크, 연료탱크 등 |
|
기타사고 | (현장진단) 전도, 근골, 화재 등 | |
안전사고 간접요인 |
산업안전 관리체계 | (현장진단) 교육 및 도급인력 관리, 작업관련 서류, 안전관계자 선임 등의 체계구성 미흡 등 |
안전보건표지 | (현장진단) 작업안전 수칙/안전보건 표시, MSDS, 출입제한, 밀폐공간 알림 등 | |
사고저감 노력도 | (현장진단) 재해관리(안전시설 개선, 무재해 달성 등), 사고예방(외부기관 합동 및 자체 안전훈련 등) |
안전사고의 직접적 요인은 안전사고를 직접 발생시키는 시설로서, 설비, 장비,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평가지표로 정하지 아니하고, 그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유형을 평가지표로 정하였다. 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가지표의 위험성에 따라 적절한 값의 배점을 할당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위험지수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공정에 대해서 일원화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사업장 간의 상대적 평가 기준도 명확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파악하여야 할 현재의 안전관리 수준도 보다 신빙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및 기타사고를 사고유형별 평가지표로 하였으나, 사업장(1)의 시설 현황에 따라 다르게 선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및 화학/폭발사고는 안전사고의 유형으로 긴요하게 다루어야 하므로, 이들 유형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형을 사고유형별 평가지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및 화학/폭발사고는 설치기준 미준수, 불안전한 상태, 결함, 방호조치 미흡 등의 안전 미준수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언제든 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는 잠재 위험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고, 그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에 따라 발생 빈도가 상이할 수 있는 사고에 해당한다. 이에, 사고유형에 따라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각각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별로 대응시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재위험에 대해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데 사용하게 하였고, 물론 평가지표별 및 공정별로 세분화하였다.
기타사고는 현장에서 안전진단한 결과에 따라 평가하는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안전진단 과정에서 전도 또는 근골 사고의 예방을 위한 시설의 필요성에 대해 현장 점검하고, 화재사고가 발생할 시에 동작하는 시설의 상태를 현장 점검하여, 점검 결과를 안전지수의 평가에 반영하기 위한 평가지표이다. 이에, 현장에서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평가하는 항목으로 하였다.
안전사고의 간접적 요인은 인적/관리적 요인 또는 안전 환기적 요인으로서, 사업장의 산업안전 관리체계, 사고저감 노력도 및 안전보건표지를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요인이므로 평가지표로 정하였다.
여기서, 안전보건표지는 추락위험 장소, 질식위험 장소, 출입제한 출입구 등에 설치한 표지, MSDS 표기, 화학물질이나 약품을 다루는 시설, 장비 등의 처리 상태를 보여주는 표지 등으로 다양하며, 시설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사고유형으로 분류하긴 곤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접적 요인에 따라 분류한 평가지표로 취급한다. 다만, 안전보건표지는 현장 시설에 관련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별로 세분화된다.
산업안전 관리체계는 안전보건 관계자/법정 안전관계자 선임, 안전보건교육, 안전관리, 안전평가, 안전진단, 도급업체 안전관리 적정성, 안전 보고서 작성, 보호구 지급/관리 등의 적정성 등을 평가항목으로 하는 평가지표이다.
사고저감 노력도는 무재해 달성 노력, 안전시설 개선 건수, 안전훈련 실시 건수, 안전진단 실시 건수, 산업안전강조주간 시행 건수 등을 확인하여 평가하는 항목이며, 위험지수로 산정하여 평가하기란 곤란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험지수 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위험지수 평가 없이 안전지수를 직접 산정되는 평가지표로 다룬다.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는 공정별로 평가하는 사고유형별 평가지표 및 안전보건표지의 평가지표와 유사하게 각각 세부 평가항목별로 점검 및 평가한다.
아래의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수장 공정 사이의 연관성 및 공정 시설의 배치를 고려하여서, 평가지표 중에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기타사고 및 안전보건표지에 대한 평가는 10개 공정을 평가항목으로 하고, 산업안전 관리체계는 법적의무사항 또는 사업장 자체 권장사항등을 고려하여 10개 관리항목을 평가항목으로 하고, 사고저감 노력도는 시설 개선, 안전진단 등의 안전사고 저감 대책을 고려하여 6개의 안전사고 저감활동을 세부 평가항목으로 한다.
평가 지표 |
세부 평가항목 |
평가 지표 |
세부 평가항목 | 평가 지표 |
세부 평가항목 |
|||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기타사고 -안전보건표지 |
공정 1 |
착수 공정 | 산업안전 관리체계 |
관리 항목 1 |
안전 관리자 |
사고저감 노력도 | 저감 활동 1 |
안전시설 개선 |
공정 2 |
약품투입 공정 |
관리 항목 2 |
관리 감독자 |
저감 활동 2 |
유관기관 합동 안전훈련 | |||
공정 3 |
혼화/응집/침전 공정 | 관리 항목 3 |
안전 교육 |
저감 활동 3 |
현장 자체 안전훈련 | |||
공정 4 |
여과 공정 | 관리 항목 4 |
노사협의체 운영 |
저감 활동 4 |
전문기관 안전진단 | |||
공정 5 |
소독 공정 (정수지 포함) |
관리 항목 5 |
도급업체 관리 |
저감 활동 5 |
산업안전강조주간 시행 | |||
공정 6 |
배출 공정 (배출수지,배슬러지지 포함) |
관리 항목 6 |
위험성 평가 |
저감 활동 6 |
무재해 달성노력 | |||
공정 7 |
회수 공정 (조정조 포함) |
관리 항목 7 |
공정안전 보고 |
|||||
공정 8 |
농축 공정 | 관리 항목 8 |
보호구 지급관리 |
|||||
공정 9 |
탈수 공정 | 관리 항목 9 |
설비 안전인증 |
|||||
공정 10 |
기타 공정 | 관리 항목 10 |
작업 관리 |
이상에서 설명한 평가지표 중에 사고유형별 평가지표 및 안전보건표지는 사업장(1) 내의 공정 시설에 대해 점검한 결과에 따라 현장 안전진단 할 수 있으므로, 공정별로 정리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점검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3은 복수의 공정 중에 여과 공정을 처리하는 영역(여과지동)에 대해 안전진단 할 시에 사용할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의 일례이다.
상기 도 3에 예시한 바와 안전진단 할 시에 사용할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에 따라 공정별로 작성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는 안전진단 할 시설의 명칭을 기록한 대상시설(101), 대상시설(101) 별로 실시할 내용을 기록한 점검항목 및 세부 점검내용(102), 대상시설(101) 점검기준을 기록한 안전기준/특이사항(104), 진단결과에 따라 판정한 적합여부의 기록 칸(104), 대상시설(101)의 수량을 기록한 대상수(105), 및 진단결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받아 도출된 문제점의 건수를 기입할 기록 칸(106)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대상시설(101)에 안전진단한 결과에 따라 문제점 도출 건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상시설(101)에 관련된 평가지표(100)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안전진단한 결과를 평가지표(100)별로 분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3에 예시한 공정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사고유형 및 안전보건표지의 평가지표별로 취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사고유형별 평가지표에 따라 잠재 위험요인으로 지정한 대상시설(101)의 수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업장 자체에 잠재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여 가산하는 데 사용되며, 도 3에 예시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서는, 안전난간을 잠재위험시설로 지정하고, 안전난간의 총 길이와, 안전난간에 설치된 개구부 및 발끝막이판의 개소 수를 잠재위험시설 수량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면을 첨부하진 않았지만, 산업안전 관리체계의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는 상기 표 2에 예시한 평가항목별 세부 점검내용, 점점내용에 관련된 기준/특이사항, 진단결과 기입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평가지표 중에 사고저감 노력도는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평가지표가 아니고, 안전사고 저감활동에 대한 노력도에 따라 평가하는 지표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표 2에 예시한 평가항목별 수행 횟수 또는 무재해 달성배수를 현장 안전진단에서 확인하여 기입하는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를 사용한다.
사업장 현황 정보는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에 관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포함한다.
준공 경과년도가 길면 길수록, 근로자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사업장 규모가 크면 클수록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여기서, 사업장 규모는 시설 규모와 사업장 내의 정수장 수로 세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수를 단계적 공정처리에 의해 정수하는 정수장을 하나의 사업장 내에 2개 이상 설치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업장 내에서 관리하는 정수장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안전사고의 빈도는 높아질 수 있다. 만약, 정수장이 아닌 다른 업종의 사업장이라면, 일련의 연속 공정처리를 수행하는 단위 시설의 수로 할 수 있고, 또는, 연속 공정 처리하는 생산라인의 수에 해당한다고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부(10)의 자료는 사업장(1) 별로 사전조사를 통해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조사에 의해서만 구축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예를 들어, 안전진단 할 시에 조사한 결과에 따라 입력부(20)에서 안전진단 결과와 함께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0)는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하여 둔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사업장(1)에서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입력한다. 이러한 상기 입력부(20)는 사업장(1)에서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접속하여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단말로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안전진단자의 휴대 단말로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안전진단자의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도록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연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할 안전진단 결과는 적어도 안전진단 결과에서 개선해야 할 것으로 지적받아 도출된 문제점을 포함한다. 이때의 도출된 문제점은 진단 범위에 해당하는 공정, 공정 내의 시설, 시설의 평가지표 및 도출 건수를 포함하고, 안전사고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즉, 도출된 문제점의 경중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안전진단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여 개선할 수 있는 현장조치 사항과,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후 작업하여야만 개선할 수 있는 계획조치 사항으로 구분하였다.
물론, 안전진단 결과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공정별로 수행한 결과와,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에 대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수행한 결과를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사고저감 노력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가 개선 필요성에 따라 도출된 문제점이 아니라, 사고 저감을 위해 수행한 행위 또는 무재해 달성배수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한편, 안전진단을 실시하는 중에 파악된 변경 사항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갱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잠재 위험요인 수량 및 사업장 현황 정보의 변경 사항을 입력하고, 시설의 변경 사항도 입력하여 갱신하여야 한다.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한 안전진단 결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자료에 따라 공정별 및 평가지표별로 세분화하여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위험지수에 따라 공정별 및 평가지표별로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사업장에 대한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하고, 안전지수를 평가하여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며, 이를 위해서 산정 평가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설정부(31), 사업장별 상대적 평가를 위한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보정계수 산정부(32), 공정별 및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는 위험지수 산정부(33), 위험지수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는 안전지수 선정부(34), 사업장 전체에 대한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35) 및 안전진단을 수행한 현재 시점의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평가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부(31)는 평가지표별 배점과 공정별 배점을 설정하는 배점 설정부(31a)와, 안전진단 결과와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할 시의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설정하는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31b)와, 사업장 사이의 상대적 평가를 위한 보정기준을 설정하는 보정기준 설정부(31c)와, 위험지수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평가기준 설정부(31d)를 포함한다.
아래의 표 3은 상기 배점 설정부(31a)에 의한 평가지표별 배점의 설정과정을 보여주는 표이다.
평가지표 | 기본 배점 |
평가지표별 배점 가감 | 최종 배점 |
위험성 평가 기준 |
|||||
위험 요소 (A) |
위험 빈도 (B) |
위험 강도 (C) |
위험성 (A+B+C) |
배점 가감 |
|||||
추락사고 | 10 | 4 | 4 | 3 | 11 | 높음 | +2 | 12 | 위험성 구성요소 평가 -낮음·적음:1 -보통:2 -높음·많음:3 -매우높음·많음:4 위험성 평가 -낮음:5미만 -보통:5~7 -높음:8이상 |
협착사고 | 10 | 3 | 3 | 3 | 9 | 높음 | +2 | 12 | |
충돌/낙하사고 | 10 | 2 | 3 | 3 | 8 | 높음 | +2 | 12 | |
감전사고 | 10 | 2 | 1 | 4 | 7 | 보통 | +0 | 10 | |
질식사고 | 10 | 1 | 1 | 4 | 6 | 보통 | +0 | 10 | |
화학/폭발사고 | 10 | 2 | 1 | 3 | 6 | 보통 | +0 | 10 | |
기타사고 | 10 | 2 | 1 | 2 | 5 | 보통 | +0 | 10 | |
산업안전 관리체계 | 10 | 2 | 1 | 1 | 4 | 낮음 | -2 | 8 | |
안전보건표지 | 10 | 2 | 1 | 1 | 4 | 낮음 | -2 | 8 | |
사고저감 노력도 | 10 | 1 | 1 | 1 | 3 | 낮음 | -2 | 8 | |
합계 | 100 | 0 | 100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우선 기본적으로 평가지표별로 동일하게 배점하고, 평가지표별 위험성 정도에 따라 배점을 가감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최종 배점을 선정한다.
위험성은 사고유형별 평가지표의 경우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나타내고, 간접요인별 평가지표의 경우에 간접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나타내며, 위험요소의 수량에 따라 정한 점수와, 위험빈도에 따라 정한 점수와, 위험강도에 따라 정한 점수의 합산 값으로 한다.
여기서, 위험요소의 수는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안전진단 수량의 상대적 평가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유형별 평가지표 및 안전보건표지 평가지표의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있는 점검 대상시설의 수량 또는 세부 점검항목의 수량에 따라 안전진단 수량을 계산하고, 산업안전 관리체계도 평가지표의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있는 점검내용의 항목 수량에 따라 안전진단 수량을 계산한 후, 평균에 대한 편차에 따라 상대적 평가 점수인 위험요소 수를 정할 수 있다.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의 점수는 안전사고의 통계 데이터를 참고하여 미리 정하여 둘 수 있으며, 위험요소 수량에 따른 점수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대적 평가 점수를 적용하여서 1~4의 점수를 부여하게 하였다.
다만, 사고저감 노력도는 안전지수에 가산점을 주기 위한 평가지표로 볼 수 있으므로, 위험요소,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의 점수를 가장 낮은 값으로 정하여, 배점을 산정하게 하였다.
그리고, 위험요소,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얻는 위험성 점수에 대해 낮음, 보통 및 높음으로 상대 평가한 결과에 따라 가감할 점수를 정하고, 기본 배점에서 가감하여 최종 배점을 선정하되, 최종 배점의 합계는 기본 배점의 합계와 동일하도록 선정하였다.
공정별 배점은 사고유형별 평가지표와 안전보건표지 평가지표를 포함한 공정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위험요소,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에 따른 점수를 개별 산정한 후 합산한 값에 대해 상대적 평가하여 선정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정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는 다양한 평가지표가 존재하므로,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는 평가지표별 위험요소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며 합산한 값으로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평가지표의 위험지수는 공정별로 위험지수를 산정한 후 합산한 값으로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가지표별로 공정별 배점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공정에 대해 평가지표별 위험성을 산정하여서, 각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 위험성을 얻고, 각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 배점을 정하는 것이다.
평가지표 중에 산업안전 관리체계는 상기 표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가항목별로 세분화하였으므로, 각 평가항목의 세부 점검 사항 개수에 따라 위험요소 개수를 얻고, 각각의 위험요소에 대한 기설정 위험빈도 및 위험강도에 따라 위험성을 산정하여, 평가항목별 배점을 정한다.
사고저감 노력도는 사업장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 대응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고, 위험요소로 분류하긴 곤란한 평가항목으로 세분화되므로, 평가항목별 중요도에 따라 미리 선정한 공정별 배점을 설정하여 둔다.
아래의 표 4는 상기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31b)에서 설정할 위험지수 환산계수 중에,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할 시에 적용할 위험지수 환산계수의 일례이다.
구분 | 위험요소 | 위험지수 환산계수 | 구분 | 위험요소 | 위험지수 환산계수 |
계획조치 | 안전시설 부적정 법적 위반사항 안전게시물 미흡 안전 권고사항 산업안전 관리체계 미흡 |
1 (1건당 1) |
현장조치 | 안전보건표지(간단) 미흡 밸브개폐 표시 미흡 크레인스위치 표기 미흡 설비 운영상태 미흡 간단 조치사항 |
1/5 (5건당 1)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계획조치에 의해 개선할 수 있는 지적 사항에 대해서 지적 1건당 1의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적용하고, 현장조치에 의해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는 지적 사항에 대해서 지적 5건당 1의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적용한다.
아래의 표 5는 상기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31b)에서 설정할 위험지수 환산계수 중에, 잠재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할 시에 적용할 위험지수 환산계수의 일례이다.
평가지표 | 잠재 위험요인 | 위험지수 환산계수 | 평가지표 | 잠재 위험요인 | 위험지수 환산계수 |
추락 | 안전난간,옥상 | 1/200 (200m 당 1) |
감전 | 변압기/수배전반 | 1/5 (5개/면 당 1) |
바닥추락(맨홀) | 1/20 (20개 당 1) |
현장조작반 | 1/20 (20면 당 1) |
||
협착 | 모터/와이어로프시브 | 1/20 (20개소 당 1) |
질식 | 밀폐공간 | 1 (1개소 당 1) |
탈수기 | 5 (1대 당 5) |
화학/폭발 | 화학물질 사용 | 1/2 (2물질 당 1) |
|
충돌/낙하 | 크레인/호이스트 |
1/2 (2대 당 1) |
화학물질 저장탱크 |
1/2 (2기 당 1) |
|
낙하위험 장소 | 1/5 (5개소 당 1) |
연료 저장탱크 | 1/5 (5기 당 1) |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평가지표별로 지정한 다양한 잠재 위험요인에 대해 각각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고려한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적용한다.
상기 표 4 및 표 5에 예시한 위험지수 환산계수는 안전사고의 통계 데이터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기설정하여 두고, 상기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31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사업장(1) 업종별로 수정/추가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아래의 표 6은 위험지수를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보정한 후 평가하여 사업장 사이의 형평성 있는 상대적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한 보정치이다.
구분 | 보정 기준 | 보정치 | 구분 | 보정 기준 | 보정치 |
준공 경과년도 |
15년 미만 | 1.10 | 사업장 규모 (시설 규모) |
150,000m3 미만 | 1.10 |
15년 이상 25년 미만 | 1.05 | 150,000m3 이성 200,000m3 미만 | 1.05 | ||
25년 이상 35년 미만 | 1.00 | 200,000m3 이상 250,000m3 미만 | 1.00 | ||
35년 이상 45년 미만 | 0.95 | 250,000m3 이상 300,000m3 미만 | 0.95 | ||
45년 이상 | 0.90 | 300,000m3 이상 | 0.90 | ||
근로자수 | 40명 미만 | 1.10 | 사업장 규모 (정수장 수) |
1개 정수장 | 1.00 |
40명 이상 60명 미만 | 1.05 | 2개 정수장 (정수장 간 규모차 30% 이상) |
0.80 | ||
60명 이상 80명 미만 | 1.00 | ||||
80명 이상 100면 미만 | 0.95 | 2개 정수장 (정수장 간 규모차 30% 미만) |
0.60 | ||
100명 이상 | 0.90 |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사업장 현황 정보는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포함하고, 사업장 규모에 대해서는 시설 규모와 정수장 수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시설 규모 및 정수장 수에 대해 각각 일정 구간으로 나누어 구간별로 보정치를 할당하였다.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시설 규모를 사업장 현황 정보로 하는 보정치는 사업장 간의 사업장 현황 정보 평균치가 속한 구간의 값을 1로 하고, 평균치가 속하지 아니한 구간의 값에 대해서는 사업장 현황 정보와 음의 비례계수로 비례하는 값으로 할당되어 있다. 즉,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시설 규모는 크면 클수록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사업장 간의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므로, 사업장 여건에 따른 차이를 줄여주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사업장 간의 상이한 현황에 의해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여건에 놓인 사업장에 대해 위험지수를 낮추어 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정수장 수에 따른 보정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하기 위해서, 1개 정수장만 운용하는 사업장에 대해 1의 보정치를 할당하고, 2개 정수장을 운용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전체 규모가 증가할수록 낮은 값의 보정치를 할당하였다. 즉, 사업장에서 주로 운용하는 정수장 이외에 추가 운용하는 정수장이 존재하는 경우에, 정수장 간 시설규모 차이가 30% 이상이면 0.8의 보정치를, 정수장 간 시설규모 차이가 30% 미만이면 0.6의 보정치를 할당하였다.
상기 보정기준 설정부(31c)는 상기 표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보정치를 사전에 설정하여 둔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정에 맞게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아래의 표 7은 위험지수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보여주는 표이다.
평가지표 | 평가지표 배점 |
공정명 | 공정 배점 |
공정별 안전지수 |
평가기준 |
추락사고 | 12 | 착수공정 | 10 | 2점 | 위험지수 8이상 |
4점 | 위험지수 6이상 8미만 | ||||
6점 | 위험지수 4이상 6미만 | ||||
8점 | 위험지수 2이상 4미만 | ||||
10점 | 위험지수 2미만 | ||||
약품투입 공정 | 10 | 2점 | 위험지수 8이상 | ||
4점 | 위험지수 6이상 8미만 | ||||
6점 | 위험지수 4이상 6미만 | ||||
8점 | 위험지수 2이상 4미만 | ||||
10점 | 위험지수 2미만 | ||||
. . . |
. . . |
. . . |
. . . |
||
협착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점 설정부(31a)에 의해 평가지표별로 배점이 설정되어 있고,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공정별로 배점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로 산정한 위험지수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이때의 평가기준이라 함은 안전진단 및 시설 자체 잠재위험 요소를 안전사고 유형별 공정단위로 환산한 위험지수에 따라 평가를 통해 안전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으로써, 위험지수 평가범위의 최댓값 및 최솟값에 일정한 차이를 두어 단계별로 점수에 차등을 두었다.
상기 평가기준 설정부(31d)는 상기 표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세분화한 공정별 평가기준을 기설정하여 둔 후, 사업장의 업종 특성 및 사용 실정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산업안전 관리체계의 평가항목별 평가기준도 기설정하여 둔 후 사업장의 업종 특성 및 사용 실정에 따라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사고저감 노력도의 평가항목별 평가기준은 위험지수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아니고, 지표 단독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므로, 지표의 개별 평가항목에 대하여 각각 기준을 두어 평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설정부(31)에서 평가지표별 배점, 사업장 공정별 배점, 위험요인별 위험지수 환산계수, 위험지수의 보정기준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면, 이후, 보정 계수 산정 과정, 위험지수 산정 과정, 위험지수 보정 과정, 안전지수 산정 과정 및 안전관리 수준 결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보정계수 산정부(32)는 상기 표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보정 기준에 따라 사업장 현황 정보에 포함된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시설 규모, 정수장 수)의 보정치를 선정한 후 곱셈하여 평가대상 사업장에 대한 보정계수를 얻는다.
아래의 표 8은 '구미권' 사업장에 대해 산정한 보정계수의 예이다.
사업장 | 사업장 현황 정보 | 항목별 보정계수 |
사업장 보정계수 (AxBxCxD) |
|
구미권 | 준공 경과년도 | 36년 | A=0.95 | 0.65 |
근로자수 | 84명 | B=0.95 | ||
사업장 규모(시설 규모) | 464,000m3 | C=0.90 | ||
사업장 규모(정수장 수) | 2개 정수장 | D=0.80 |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상기 표 6을 참조하여, 준공 경과년도에 따라 선정한 보정치(A)와, 근로자수에 따라 선정한 보정치(B)와, 사업장 규모의 시설 규모에 따라 선정한 보정치(C)와, 사업장 규모의 정수장 수에 따라 선정한 보정치(D)를 곱하여 사업장별로 적용할 보정계수(AxBxCxD)를 얻는다.
여기서 얻는 보정계수는 하기의 위험지수 산정부(33)에서 위험지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게 한다.
상기 위험지수 산정부(33)는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잠재 위험요인이 안전진단 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는 평가지표의 공정에 대해서는 사업장 자체에 잠재된 위험요인 수량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한 후 안전진단 결과에 의한 위험지수에 가산하여서,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 위험지수를 얻고, 이후, 상기 보정계수 산정부(32)에서 얻은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보정한 위험지수를 얻는다. 또한, 산업안전 관리체계에 대해서는 보정계수를 곱셈하지 아니한 위험지수, 즉,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도출된 문제점으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평가지표 중에 사고저감 노력도에 대한 위험지수는 산정하지 않는다.
아래의 표 9는 '구미권' 사업장에 대해서 추락사고 평가지표의 착수공정의 워험지수를 산정한 예를 보여준다.
평가 지표 |
공정 | 평가대상 | 위험요소 | 위험지수 산출 | 보정 계수 |
보정 후 위험지수 |
|||
위험항목 | 건수, 수량 |
환산 계수 |
평가대상 위험지수 |
위험 지수 |
|||||
추락 사고 |
착수 공정 |
위험요인 (안전진단) |
지적사항 (계획조치) |
2건 | 1/1 | 2x(1/1) +0x(1/5) =2 |
2 + 1.92 = 3.92 |
0.65 | 3.92 x 0.65 = 2.55 |
지적사항 (현장조치) |
0건 | 1/5 | |||||||
잠재위험 (시설수량) |
난간 | 374m | 1/200 | 374x(1/200) + 1x(1/20) =1.92 |
|||||
맨홀 | 1개소 | 1/20 |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사업장의 착수공정 시설에 대해서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 중에, 추락사고의 위험요소에 대한 도출 문제점을 경중에 따라 구분하여, 계획조치의 지적사항 건수와 현장조치의 지적사항 건수에 각각 표 4의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곱셈한 후 합산하여, 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한다.
또한, 착수공정에서 추락사고의 잠재 위험요인이 있으므로, 각각의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표 5의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곱셈한 후 합산하여, 잠재 위험요인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한다.
그런 다음, 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위험지수에 잠재 위험요인에 따른 위험지수를 합산하여, 추락사고 평가지표의 착수공정에 대한 위험지수를 얻고, 상기 표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산정한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최종적으로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보정된 위험계수를 얻는다.
물론, 잠재 위험요인이 포함되지 아니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위험지수만 보정하여 얻는다. 또한, 공정별로 세분화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공정별로 위험지수를 얻는다.
즉,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평가지표 중에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및 기타사고와, 안전보건표지에 대해서는 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위험지수를 얻고, 기타사고 및 안전보건표지에 대해서는 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위험지수만 포함된다.
평가지표 중에, 산업안전 관리체계는 사업장 현황 정보와는 무관하게 관리적 요인에 따른 평가지표이므로, 보정계수를 적용하지 아니한 위험지수, 즉,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표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세부 평가항목별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채택한다.
사고저감 노력도는 위험성을 나타내는 위험지수가 아니고, 가산점의 의미를 갖게 되므로, 위험지수를 산정하지 아니하고, 하기의 안전지수 선정부(34)에서 안전지수를 직접 산정한다.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는 사고유형별 평가지표, 산업안전 관리체계로 한 평가지표 및 안전보건 표지로 한 평가지표에 대해 표 2의 세부 평가항목별로 구분하여 얻는 위험지수를 각각 상기 표 7에 예시한 평가기준에 따라 개별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사고저감 노력도에 대해 세부 평가항목별로 기설정 노력도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상기 표 2의 평가항목별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는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평가항목별 안전지수를 평가항목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한 값을 합산하여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산정한다. 즉, 공정을 평가항목으로 한 각각의 평가지표 안전지수와, 관리 항목을 평가항목으로 한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지수와, 안전사고 저감활동을 평가항목으로 한 사고저감 노력도 안전지수를 산정한다.
또한,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는 가장 안전관리가 취약한 공정을 도출하기 위해서 공정별로 세분화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공정별 안전지수를 추가 산정한다. 즉,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서 공정별 안전지수를 얻는다. 이러한 공정별 안전지수는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의 안전지수가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공정별 안전지수의 산정을 위한 배점은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의 배점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지표의 배점을 합산 값을 총점으로 하여 수정 적용하는 것이 좋다.
아래의 표 10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기타사고 및 안전보건표지에 대해 각각 공정별로 얻은 안전지수는 평가지표별 및 공정별로 세분화된 값이므로, 아래의 표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가지표별 및 공정별로 세분화한 평가지표를 행렬로 배치한 후 행별로 합산한 값과 열별로 합산한 값을 얻을 시에 해당되는 배점 비율을 곱셈한 후 합산하여, 배점을 적용한 공정별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다.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11 및 표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 세부 평가항목별로 선정한 안전지수에 평가항목별 배점 비율을 곱셈하여 환산한 후 합산함으로써,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얻는다.
평가지표 | 공정별 안전지수 | 공정 배점 환산 소계 |
|||||||||
공정 1 |
공정 2 |
공정 3 |
공정 4 |
공정 5 |
공정 6 |
공정 7 |
공정 8 |
공정 9 |
공정 10 |
||
추락 | |||||||||||
협착 | |||||||||||
충돌/낙하 | |||||||||||
감전 | |||||||||||
질식 | |||||||||||
화학/폭발 | |||||||||||
기타 | |||||||||||
안전보건표지 | |||||||||||
평가지표 배점 환산 소계 |
평가지표 | 세부 평가항목별 안전지수 | 평가항목 배점 환산 소계 |
|||||||||
관리 1 |
관리 2 |
관리 3 |
관리 4 |
관리 5 |
관리 6 |
관리 7 |
관리 8 |
관리 9 |
관리 10 |
||
산업안전 관리체계 |
평가지표 | 세부 평가항목별 안전지수 | 평가항목 배점 환산 소계 |
|||||
저감노력 1 |
저감노력 2 |
저감노력 3 |
저감노력 4 |
저감노력 5 |
저감노력 6 |
||
사고저감 노력도 |
상기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35)는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화학/폭발사고, 기타사고,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저감 노력도로 분류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고, 합산하여 얻는 값을 사업장 전체를 대표하는 안전지수로 정한다. 즉,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산출하여 평가지표별로 배점 비율을 곱셈한 후 합산하여서,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얻는다.
상기 평가부(36)는 산정한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진단을 한 현재 시점의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한다.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 안전관리 수준 | 사업장 안전관리 대응 방안 |
60점 미만 | 불량 | 본부 주도 사업장 전반 정밀 안전진단, 대책 수립, 및 시정 조치 |
60점 이상 70점 미만 | 보통 | 본부 주도 사업장 안전 중점관리 및 안전지표 개선방안 마련 |
70점 이상 80점 미만 | 양호 | 안전시설 투자 확대 및 미흡사항 즉시조치 |
80점 이상 90점 미만 | 우수 | 안전패트롤 및 안전시설 미흡사항 조치이행 강화 |
90점 이상 100점 이하 | 매우 우수 | 시설 현상 유지, 안전의식 개선 활동 강화 |
상기 표 13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산정한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기준의 예시이다. 즉, 사업장에 대해 산정한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불량, 보통, 양호, 우수 및 매우 우수 중에 어느 하나를 현재의 안전관리 수준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을 위한 적절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의 향상을 위한 대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36)는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공정별 안전지수,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안전관리 수준을 사업장별로 얻어 기록 관리하고, 사업장 간의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하여,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각 사업장을 개선할 것인지를 안전관리 수준에 따라 판단하며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낙동강권역 정수 사업장에 대한 상대적 평가자료의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미권, 포항권, 고령권, 운문권, 울산권, 창원권, 거제권 및 밀양권의 정수 사업장에 대하여, 각각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와 데이터베이스화한 자료에 따라 산정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상호 비교 평가할 수 있으므로, 사업장 사이의 상대적 평가는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도 상대적 평가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안전지수가 낮은 사업장의 관리자 및 근로자에게 안전관리 수준의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사업장 전반의 안전관리 수준을 균형감 있게 향상시키고, 평가지표별로 취약한 안전관리 사항에 대하여 안전관리 대책을 세우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가부(36)는 안전진단 결과의 문제점 도출 건수에 따른 위험지수를 제외하고 얻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와의 상대적 평가자료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도출 문제점의 조치 전후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유형별 분류된 평가지표에 대해서 위험요인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하여 각 평가지표에 대한 개별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고, 산업안전관리체계의 안전지수는 미비한 사항에 대한 평가를 통해 평가지표의 개별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고, 사고저감 노력도의 안전지수는 저감활도의 정도에 따라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고, 산출된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한 안전지수를 통해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 개별 안전지수, 공정별 안전지수를 얻을 수 있고, 안전진단 도출 문제점 개선에 대한 의사결정시 개선전과 개선후의 사업장 안전지수를 미리 예측 및 비교할 수 있어, 개선효과를 즉시 파악하며 의사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며 설명한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의 순서도이므로, 중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 아니하고 요약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은 안전사고 유형으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 각각 안전진단 할 사항을 포함하되, 안전진단 사항 중에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이 존재할 경우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에 대응되게 포함시킨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사업장간 여건의 차이에 기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 및 데이터베이스부(10)와 입력부(20)에 연계하여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안전지수를 평가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에서, 안전지수 평가부(30)가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 및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자료에 따라 수행하는 설정단계(S10), 보정계수 산정단계(S20), 위험지수 산정단계(S30), 안전지수 선정단계(S40),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단계(S50) 및 평가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가지표는 안전사고 직접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으로 분류한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및 화학/폭발사고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안전사고 간접 요인으로서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더욱 포함하여서, 안전사고의 직간접 요인에 따라 분류한 평가지표를 사용한다.
상기 설정단계(S10)는 상기 설정부(31)에 의해서 수행되며, 평가지표의 안전사고 위험성에 따라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한다(S11).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안전진단 세부항목 개수 또는 시설 수량의 상대적 평가에 따른 점수, 위험빈도에 따른 점수,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의 합산 값을 위험성으로 하여,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하고, 위험빈도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는 안전진단을 수행할 세부항목별로 기설정하여 둔 값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다른 업종의 사업장 시설에도 실정에 부합에 부합하는 위험성에 따라 배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가지표의 평가항목별 배점도 설정한다(S12). 여기서, 평가항목은 처리 공정에 따라 구획된 영역을 갖는 사업장에 대해서, 처리 공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안전진단 결과의 도출 문제점의 경중에 따른 위험지수 환산계수와 사업장 자체에 잠재된 위험요인에 따른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설정하여서, 위험요인별 위험성을 균등하게 반영한 위험지수를 산정할 수 있게 하고, 사업장 간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보정기준을 설정하여 형평성에 맞는 보정계수를 선정할 수 있게 하고, 위험지수를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도 설정한다(S13).
여기서, 사업장별 보정기준은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사업장 현황 정보로 하여, 사업장 현환 정보와 음의 비례계수로 비례하는 값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정단계(S20)는 상기 보정계수 산정부(32)에 의해 수행되며,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위험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정계수 산정단계(S20)는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사업장 현황 정보로 하여, 각각 음의 비례계수로 비례하는 값을 선정한 후 곱셈하여 상기 보정계수로 선정한다. 이에 따라, 보정계수는 준공 경과년도가 길수록, 근로자수가 많을수록,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게 한다.
상기 위험지수 산정단계(S30)는 상기 위험지수 산정부(33)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의 도출 문제점 건수에 따라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S31), 사업장 자체의 잠재 위험요인을 포함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따라 산정한 위험지수를 가산하며(S32),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각각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보정한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얻는다(S33). 이에 따라,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도출된 문제점으로 파악된 위험요소와 사업장 자체적으로 내재된 잠재 위험요인을 반영한 위험지수를 얻고,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산정한 보정계수로 보정하여 사업장간 형평성이 반영된 위험지수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출 문제점의 경중에 따라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지적 건수에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장조치 지적 사항과 계획조치 지적 사항으로 분류한다.
또한, 사업장의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포함시킨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위험지수에 가산시킨다. 즉, 사업장의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포함시킨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안전진단 결과의 도출 문제점에 따라 산정한 위험지수와 사업장의 잠재 위험요인에 따라 산정한 위험지수의 합산 값으로 한다.
또한, 사업장의 공정을 평가항목으로 하는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위험지수를 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산정한다. 이에, 공정에 관련된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공정별 위험지수를 얻는다. 또한, 산업안전 관리체계에 대해서도 세부 평가항목별 위험지수를 얻게 한다.
또한, 산업안전 관리체계에 대한 평가지표는 위험요인을 위험지수 환산계수로 환산하여 산정한 위험지수 값을 그대로 사용하고, 해당 지표는 사업장별 공통적인 안전관리 요소이므로 사업장간 상이한 시설 및 운영현황에 대한 보정은 적용하지 않는다. 사고저감 노력도 평가지표 역시 사업장간 공통적 안전관리 요소이므로 사업장간 상이한 시설 및 운영현황에 대한 보정은 적용하지 않으며, 위험지수로 환산하지 않고 평가기준에 의해 해당 평가지표의 안전지수를 산정한다.
상기 안전지수 산정단계(S40)는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에 의해 수행되며,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따른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설정 위험지수 평가기준에 따라 산정한다(S4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험지수를 산정하지 아니하는 사고저감 노력도를 평가지표에 포함시키므로, 사고저감 노력도의 안전지수는 기설정하여둔 노력도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 공정을 세부 평가항목으로 한 평가지표를 사용하므로, 처리 공정을 평가항목으로 한 각각의 평가지표의 안전지수는 공정별로 선정한 위험지수에 대해 각각 상기 기설정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한 후 공정별 배점에 따라 환산하며 합산하여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평가지표별 배점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서 공정별 안전지수를 선정한다(S42). 즉, 각 공정에 대해서 공정에 관련된 모든 평가지표의 안전지수를 반영한 공정별 안전지수를 얻게 된다.
상기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단계(S50)는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상기 평가지표별 배점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한 값인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한다. 즉, 사업장의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종합 평가 결과를 얻는다.
상기 평가단계(S60)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고,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록 관리한다. 이에, 사업장에 대해서 현재의 안전관리 수준을 제시하여 향후 적절한 수준의 대응으로 안전관리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하게 하고, 이에 따라, 차기 사업장 안전지수 달성목표 설정을 통해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대응과 향후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의 지속성장을 견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순서에 따라 최종적으로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은 각각의 사업장(1)에 대해 수행한다(S1, S2).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를 사업장별로 기록관리하며, 사업장 간의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에 대한 사업장 간 상대적 평가자료에 근거하여 사업장별 안전관리 대응을 보다 다각적인 관점에서 균형있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진단 결과의 도출 문제점에 따른 위험지수를 제외하고 얻는 결과, 즉, 안전진단 도출 문제점의 개선시 예상되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와의 상대적 비교 평가자료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안전진단에 따라 개선하기 전후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안전관리 대응을 할 수 있다.
10 : 데이터베이스부
20 : 입력부
30 : 안전지수 평가부
31 : 설정부
31a : 배점 설정부 31b :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
31c : 보정기준 설정부 31d : 평가기준 설정부
32 : 보정계수 산정부
33 : 위험지수 산정부
34 : 안전지수 선정부
35 :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
36 : 평가부
20 : 입력부
30 : 안전지수 평가부
31 : 설정부
31a : 배점 설정부 31b : 위험지수 환산계수 설정부
31c : 보정기준 설정부 31d : 평가기준 설정부
32 : 보정계수 산정부
33 : 위험지수 산정부
34 : 안전지수 선정부
35 :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
36 : 평가부
Claims (14)
- 안전사고 유형별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 각각 안전진단 할 사항을 포함하되, 안전진단 사항 중에 사업장 자체적으로 내재된 안전사고의 잠재 위험요인이 존재할 경우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에 대응되게 포함시킨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상이한 사업장간의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 및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연계하여 안전진단 결과로 도출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안전지수로 평가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에 의한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표는 안전사고 직접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으로 분류한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및 화학/폭발사고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안전사고 간접 요인으로서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더욱 포함하고,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안전진단 세부항목 개수 또는 시설 수량의 상대적 평가에 따른 점수, 위험빈도에 따른 점수,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의 합산 값을 위험성으로 하여,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하고, 위험빈도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는 안전진단 할 세부항목별로 기설정하여 둔 값을 사용하며, 안전진단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여 개선할 수 있는 현장조치 사항과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후 작업하여야만 개선할 수 있는 계획조치 사항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위험지수 환산계수와 잠재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른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0);
위험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산정하되, 사업장의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사업장 현황 정보로 하여, 각각 음의 비례계수로 비례하는 값을 선정한 후 곱셈하여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보정계수 산정단계(S20);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건수에 현장조치 사항과 계획조치 사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포함시킨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위험지수에 가산시키고,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각각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보정하여서, 산업안전 관리체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보정계수를 이용한 보정 없이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사고저감 노력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위험지수를 산정하지 아니하는 위험지수 산정단계(S30);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평가지표별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기설정 위험지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평가지표별로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사고저감 노력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기설정하여둔 평가기준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는 안전지수 선정단계(S40);
평가지표별로 선정한 안전지수를 상기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하여 합산한 값인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단계(S50); 및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고,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록 관리하는 평가단계(S60);
를 포함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0)는
처리 공정에 따라 구획된 영역을 갖는 사업장에 대해, 공정별 배점을 추가 설정하고,
상기 위험지수 산정단계(S30)는
공정 처리 영역에 관련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위험지수를 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선정하고,
상기 안전지수 선정단계(S40)는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로 선정한 위험지수에 대해 각각 상기 기설정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공정별 배점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수 선정단계(S40)는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서 공정별 안전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평가단계(S60)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를 사업장별로 기록관리하며,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하고, 안전진단 결과의 문제점 건수에 따른 위험지수를 제외하고 얻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와의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방법. - 안전사고 유형별로 분류한 평가지표에 대해 각각 안전진단 할 사항을 포함하되, 안전진단 사항 중에 사업장 자체적으로 내재된 안전사고의 잠재 위험요인이 존재할 경우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평가지표에 대응되게 포함시킨 평가지표별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 정보와, 상이한 사업장간의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 현황 정보를 사업장별로 저장하여 둔 데이터베이스부(10),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 및 사업장에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20)와 연계하여 안전진단 결과로 도출된 위험요인에 따라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안전지수로 평가하는 안전지수 평가부(30)를 포함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표는
안전사고 직접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으로 분류한 추락사고, 협착사고, 충돌/낙하사고, 감전사고, 질식사고 및 화학/폭발사고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안전사고 간접 요인으로서 산업안전 관리체계, 안전보건표지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안전지수 평가부(30)는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표준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안전진단 세부항목 개수 또는 시설 수량의 상대적 평가에 따른 점수, 위험빈도에 따른 점수,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의 합산 값을 위험성으로 하여, 평가지표별 배점을 설정하고, 위험빈도 및 위험 강도에 따른 점수는 안전진단 할 세부항목별로 기설정하여 둔 값을 사용하며, 안전진단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여 개선할 수 있는 현장조치 사항과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후 작업하여야만 개선할 수 있는 계획조치 사항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위험지수 환산계수와 잠재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른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설정하는 설정부(31);
위험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사업장 현황 정보에 따라 산정하되, 사업장의 준공 경과년도, 근로자수 및 사업장 규모를 사업장 현황 정보로 하여, 각각 음의 비례계수로 비례하는 값을 선정한 후 곱셈하여 상기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보정계수 산정부(32);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상기 입력부(20)로 입력받는 안전진단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의 건수에 현장조치 사항과 계획조치 사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잠재 위험요인의 수량을 포함시킨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잠재 위험요인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여 둔 위험지수 환산계수를 잠재 위험요인 수량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위험지수에 가산시키고, 산업안전 관리체계 및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위험지수에 각각 보정계수를 곱셈하여 평가지표별 위험지수를 보정하고, 산업안전 관리체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보정계수를 이용한 보정 없이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사고저감 노력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위험지수를 산정하지 아니하는 위험지수 산정부(33);
사고저감 노력도를 제외한 평가지표에 대해서, 평가지표별로 산정한 위험지수를 기설정 위험지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평가지표별로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사고저감 노력도의 평가지표에 대해서, 기설정하여둔 평가기준에 따라 안전지수를 선정하는 안전지수 선정부(34);
평가지표별로 선정한 안전지수를 상기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하여 합산한 값인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산정부(35); 및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고,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및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기록 관리하는 평가부(36);
를 포함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31)는
처리 공정에 따라 구획된 영역을 갖는 사업장에 대해, 공정별 배점을 추가 설정하고,
상기 위험지수 산정부(33)는
공정 처리 영역에 관련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위험지수를 공정별로 세분화하여 선정하고,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는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해 공정별로 선정한 위험지수에 대해 각각 상기 기설정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안전지수를 선정하고, 공정별 배점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산정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수 선정부(34)는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평가지표별 안전지수를 평가지표별 배점 비율에 따라 환산한 후 합산하여서 공정별 안전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평가부(36)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를 사업장별로 기록관리하며,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하고, 안전진단 결과의 문제점 건수에 따른 위험지수를 제외하고 얻는 안전관리 수준, 사업장 대표 안전지수, 평가지표별 안전지수 및 공정별 안전지수와의 상대적 평가자료를 생성하는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147A KR102247583B1 (ko) | 2020-03-06 | 2020-03-06 |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147A KR102247583B1 (ko) | 2020-03-06 | 2020-03-06 |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583B1 true KR102247583B1 (ko) | 2021-05-04 |
Family
ID=759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147A KR102247583B1 (ko) | 2020-03-06 | 2020-03-06 |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583B1 (ko)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44361A (zh) * | 2021-05-31 | 2021-09-03 | 武汉科技大学 | 一种金属非金属露天矿山重大安全风险量化方法 |
CN113379247A (zh) * | 2021-06-10 | 2021-09-10 | 鑫安利中(北京)科技有限公司 | 企业安全隐患追踪模型的建模方法及系统 |
CN113627824A (zh) * | 2021-08-26 | 2021-11-09 | 武汉科技大学 | 基于多重数据归一处理的动态消防事故评估系统及其方法 |
CN113807638A (zh) * | 2021-05-31 | 2021-12-17 | 武汉科技大学 | 一种尾矿库重大安全风险量化方法 |
CN113902236A (zh) * | 2021-06-01 | 2022-01-07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自适应现场作业风险动态评估方法 |
CN114819878A (zh) * | 2022-03-29 | 2022-07-29 | 新奥新智科技有限公司 | 燃气工程的作业示险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介质 |
CN114841546A (zh) * | 2022-04-26 | 2022-08-02 | 天地(常州)自动化股份有限公司 | 采掘工作面煤与瓦斯突出智能风险管控方法 |
CN115086022A (zh) * | 2022-06-14 | 2022-09-20 |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 一种调整安全评估指标体系的方法及装置 |
KR102496668B1 (ko) | 2021-11-23 | 2023-02-06 | 차유미 | 스마트 안전 관리 및 안전 사고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KR102507442B1 (ko) * | 2021-12-16 | 2023-03-09 | 박영란 |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KR20230042857A (ko) * | 2021-09-23 | 2023-03-30 |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CN116631128A (zh) * | 2023-07-21 | 2023-08-22 | 资阳保安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加密功能的自动存取款机及存取款方法 |
CN117351680A (zh) * | 2023-12-05 | 2024-01-05 | 福建泉州泉顺通讯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gps定位对讲机的报警系统 |
CN117409975A (zh) * | 2023-12-15 | 2024-01-16 | 凯杰方大检测技术河北有限公司 | 放射防护评价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KR102637548B1 (ko) | 2022-12-16 | 2024-02-19 |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17852870A (zh) * | 2023-12-15 | 2024-04-09 | 华能济南黄台发电有限公司 | 一种环境风险评估管理系统 |
CN118297379A (zh) * | 2024-04-02 | 2024-07-05 |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一种基于数据分析的工业锅炉危险源评估系统及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0605B1 (ko) | 2014-05-02 | 2016-05-12 | 환단기술 주식회사 |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59916B1 (ko) * | 2016-05-20 | 2017-07-20 |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
KR101768953B1 (ko) * | 2016-04-15 | 2017-08-22 | 대한민국 | 안전 지수 산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지수 산출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
KR101805713B1 (ko) * | 2017-07-31 | 2017-12-06 | 한국가스안전공사 | 위험지도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시스템 |
KR101912744B1 (ko) | 2016-11-29 | 2018-10-30 | 한국전기안전공사 |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
2020
- 2020-03-06 KR KR1020200028147A patent/KR1022475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0605B1 (ko) | 2014-05-02 | 2016-05-12 | 환단기술 주식회사 |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68953B1 (ko) * | 2016-04-15 | 2017-08-22 | 대한민국 | 안전 지수 산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지수 산출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
KR101759916B1 (ko) * | 2016-05-20 | 2017-07-20 |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
KR101912744B1 (ko) | 2016-11-29 | 2018-10-30 | 한국전기안전공사 |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KR101805713B1 (ko) * | 2017-07-31 | 2017-12-06 | 한국가스안전공사 | 위험지도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시스템 |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07638A (zh) * | 2021-05-31 | 2021-12-17 | 武汉科技大学 | 一种尾矿库重大安全风险量化方法 |
CN113344361A (zh) * | 2021-05-31 | 2021-09-03 | 武汉科技大学 | 一种金属非金属露天矿山重大安全风险量化方法 |
CN113902236A (zh) * | 2021-06-01 | 2022-01-07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自适应现场作业风险动态评估方法 |
CN113379247A (zh) * | 2021-06-10 | 2021-09-10 | 鑫安利中(北京)科技有限公司 | 企业安全隐患追踪模型的建模方法及系统 |
CN113379247B (zh) * | 2021-06-10 | 2024-03-29 | 锐仕方达人才科技集团有限公司 | 企业安全隐患追踪模型的建模方法及系统 |
CN113627824A (zh) * | 2021-08-26 | 2021-11-09 | 武汉科技大学 | 基于多重数据归一处理的动态消防事故评估系统及其方法 |
KR20230042857A (ko) * | 2021-09-23 | 2023-03-30 |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593645B1 (ko) | 2021-09-23 | 2023-10-25 | 주식회사 아이티에스노아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496668B1 (ko) | 2021-11-23 | 2023-02-06 | 차유미 | 스마트 안전 관리 및 안전 사고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KR102507442B1 (ko) * | 2021-12-16 | 2023-03-09 | 박영란 |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CN114819878A (zh) * | 2022-03-29 | 2022-07-29 | 新奥新智科技有限公司 | 燃气工程的作业示险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介质 |
CN114841546A (zh) * | 2022-04-26 | 2022-08-02 | 天地(常州)自动化股份有限公司 | 采掘工作面煤与瓦斯突出智能风险管控方法 |
CN115086022A (zh) * | 2022-06-14 | 2022-09-20 |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 一种调整安全评估指标体系的方法及装置 |
CN115086022B (zh) * | 2022-06-14 | 2024-06-04 |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 一种调整安全评估指标体系的方法及装置 |
KR102637548B1 (ko) | 2022-12-16 | 2024-02-19 |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16631128A (zh) * | 2023-07-21 | 2023-08-22 | 资阳保安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加密功能的自动存取款机及存取款方法 |
CN116631128B (zh) * | 2023-07-21 | 2023-11-28 | 资阳保安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加密功能的自动存取款机及存取款方法 |
CN117351680A (zh) * | 2023-12-05 | 2024-01-05 | 福建泉州泉顺通讯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gps定位对讲机的报警系统 |
CN117351680B (zh) * | 2023-12-05 | 2024-02-09 | 福建泉州泉顺通讯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gps定位对讲机的报警系统 |
CN117409975A (zh) * | 2023-12-15 | 2024-01-16 | 凯杰方大检测技术河北有限公司 | 放射防护评价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CN117409975B (zh) * | 2023-12-15 | 2024-03-01 | 凯杰方大检测技术河北有限公司 | 放射防护评价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CN117852870A (zh) * | 2023-12-15 | 2024-04-09 | 华能济南黄台发电有限公司 | 一种环境风险评估管理系统 |
CN118297379A (zh) * | 2024-04-02 | 2024-07-05 |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一种基于数据分析的工业锅炉危险源评估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7583B1 (ko) |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
Van Der Molen et al. | Interventions to prevent injuries in construction workers | |
Jazayeri et al. |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of safety performance measurement: A review | |
Fung et al. | Towards a better reliability of risk assessment: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 quantitative risk evaluation model (Q2REM) for different trades of construction works in Hong Kong | |
Rafindadi et al. | Analysis of the causes and preventive measures of fatal fall-related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
Shohet et al. | Integrated communication, control, and command of construction safety and quality | |
Lestari et al. | Causes, solutions, and adoption barriers of falls from roofs in the Singapore construction industry | |
Van Steen | Safety performance measurement | |
Abas et al. | Safety personnel's perceptions on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construction projects safety performance | |
Saurin et al. |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incident-reporting systems of construction companies | |
Talat Birgonul et al. | An expert system for the quantification of fault rates in construction fall accidents | |
Mustapha et al. | Contractor health and safety compliance for small to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
Teo et al. | The moderated effect of safety investment on safety performance for building projects | |
Dharmapalan | Risk factor quantification of design elements for multistory commercial office buildings | |
Widiastuti et al. | Identification of safety risk in construction proje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
CN112907106A (zh) | 一种面向企业配电不停电作业服务能力评价的方法及系统 | |
Chockalingam et al. | AN EFFECTIVE TOTAL CONSTRUCTION SAFETYMANAGEMENT IN INDIA | |
Nevhage et al. | A conceptual model, methodology and tool to evaluate safety performance in an organization | |
Kachila |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Geothermal Well Drilling Occupation on the Safety and Health Status Of Workers in Kenya: A Case Study of Menengai Geothermal Prospect | |
Lyon et al. | Risk assessment fundamentals | |
DANIEL | ISO 45001: 2018 OCCUPATIONAL HEA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PRACTICE AND CHALLENG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CASE OF MESAY OLI CON-STRUCTION PLC | |
Mustapha | An integrated Health and Safety compliance model for the Ghanaian construction industry | |
Raja Prasad | Optimization of safety audit planning: a case study of process plant in India | |
Tupe | Analyz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2004–2014) | |
Nowfal et al. | Investigation of health and safety measures in construction sites in Lebanon and Northern Cypr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