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744B1 -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744B1
KR101912744B1 KR1020160160633A KR20160160633A KR101912744B1 KR 101912744 B1 KR101912744 B1 KR 101912744B1 KR 1020160160633 A KR1020160160633 A KR 1020160160633A KR 20160160633 A KR20160160633 A KR 20160160633A KR 101912744 B1 KR101912744 B1 KR 10191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index
safety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761A (ko
Inventor
김동우
임용배
이기연
문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6016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7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영향요소와 전기안전의식을 반영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별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Assessment Method and System of Safety Level of Electrical Facilities}
본 발명은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영향요소와 전기안전의식을 반영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 자료(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3.11.13.-15)는 IPLAN을 활용한 송전망 안전도평가 툴 개발이 제공된다. 이러한 송전망 안전도 평가 툴은 전력 계통 해석용 프로그램인 PSS/E 프로그램 상에서 설비 고장에 대한 반복인 과정을 모의함에 있어, IPLAN을 이용하여 반복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계산 결과 안전도 위배사항을 요약하여 레포트하여 전력계통 안전도 평가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방대한 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요약 제공함에 따라 계통 데이터베이스 수정 입력 위한 툴을 개발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안전도 평가 툴은 세부항목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과거의 설비 환경 및 사고 통계 등의 변화로 인한 최근 전기 안전 환경을 반영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평가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산술식이 간단하여 평가가 용이한 반면, 고객 전기설비 중 기술기준 부적합 사항이 1건 이상 발생 되면 부적합 고객으로 분류되고 전체설비가 적합한 경우만 적합 고객으로 분류되므로, 일부 부적합 발생시에 전체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도 평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밖에도 설비별 안전도 설정을 위한 가중치의 객관성이 결여되고, 고객별 적합률과 설비별 평균 안전도 산정에 대한 논리성이 부족하며, 전기설비의 위험상태에 대해 고객을 인식시키는데 한계에 있었다.
본 발명과 대비될 만한 특허는 검색이 쉽지 않았으며, 선행특허 1,2와 같이, 분전반, 배전반등 단위전력계통설비의 안전위험요인을 감지하여 대처하는 기술 정도가 검색되고 있다. 각종 전기설비 전체를 관리하는 차원에서 고객별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도 평가와 이를 통합한 전체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에 특화된 본 발명과 선행기술 1,2는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에서 상이하다.
선행특허1 : 한국등록특허 제1336317호 선행특허2 : 한국등록특허 제1301554호
선행자료 :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3.11.13.-15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한 평가 항목별 세부 항목을 설정하고 AHP 기반으로 각 세부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환경을 반영한 세부항목별 안전 정보 확보 및 전기 설비 안전도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 고객별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하는 단계; ii) 상기 평가항목별로 각 세부항목에 대한 1차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iii)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iv)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는 단계; v)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 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도출하는 단계; vi)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도출하는 단계; vii)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viii)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통해 전기설비 안전도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1차 가중치는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에 의하여 상기 세부항목 별 상대적 중요성을 묻는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기설비와 연결되어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별 전기설비 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하는 평가설정부; 상기 평가항목의 각 세부항목별 1차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가중치 적용부;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는 제1연산부;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제공하는 제2연산부;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제공하는 제3연산부;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제공하는 제4연산부; 및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전기설비 안전도를 도출하는 제5연산부; 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전기설비상태 평가의 세부항목으로 저압설비 및 고압설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전기안전의식 평가의 세부항목으로 전기설비 개수노력도, 보호시설 관리상태 및 안전교육 실시건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환경영향요소의 세부항목으로 사용기간, 부하율, 지역 및 업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함에 있어서 설비별 부적합수량의 비를 반영한 지수을 차감하여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 산출부는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에 의하여 상기 세부항목 별 상대적 중요성을 묻는 설문의 응답결과를 토대로 세부항목별 1차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4연산부는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대하여 각각 0.7, 0.3의 2차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안적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한 각 평가 항목별 안전도 점수, 전기 설비의 평가 항목의 세부 항목별 안전도 점수 및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점수를 각각 도출함에 따라, 고객별 세부항목별 안전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전도 평가의 실질성을 높여 신뢰도를 근본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설비의 위험요소에 대한 최적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방안 수립이 가능하며, 직관적 전기재해 예방조치 방안을 확보하고, 고객 전기설비의 자발적 개수 유도를 통한 잠재적 위험요소 제거 및 전기재해 저감을 통한 대국민 신뢰도 향상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고객의 부적합 전기설비 개수 안내 및 전기설비의 객관적인 계량 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고, 국가전지안전지도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 평가 방법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중치 산출방법에 사용되는 AHP기법의 설문 실시예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 산출과정의 일실시예이다.
도 7은 현장적용결과의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4M 기법(Machine,Media,Man,Management) 및 Risk Factor를 활용하여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관리상태 및 사용자의 안전의식 등) 및 환경영향요소(사용환경에 대한 영향)를 반영한 종합적 평가로 신뢰성 향상 및 호별(고객별) 안전도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에 대한 전체흐름도로서, 세부항목 및 독립평가지수 설정단계(s10), 가중치 산출단계(s20), 세부항목별 평가지수 산출단계(s30), 환경영향요소지수 산출단계(s40), 전기설비상태지수 산출단계(s50), 전기안전의식지수 산출단계(s60), 고객별 전기안전도 산출단계(s70) 및 전기설비 안전도 산출단계(s80)를 포함한다.
세부항목 및 독립평가지수 설정단계(s10)는 고객별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한다.
상기 평가항목 중 전기설비상태의 세부항목은 저압설비 및 고압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안전의식의 세부항목은 전기설비 개수노력도, 보호시설 관리상태 및 안전교육 실시건수(횟수)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영향요소의 세부항목은 사용기간, 부하율, 지역 및 업종을 포함한다.
상기 세부항목 별 독립평가지수는 다른 세부항목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각 세부항목 별로 실제 안전도를 평가하여 점수화하는 것으로서, 전기설비상태의 경우에는 전기설비 부적합수량의 비를 반영한 지수를 차감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세부항목인 전기설비(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1
)의 독립평가지수는 다음 <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산출값이 전기설비(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2
)의 독립평가지수가 된다.
<식 1>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3
※ 상기 설비별 가중치는 최근 3년간 안전관리대행 고객의 설비사고 통계를 활용하여, 사고 건수 대비 설비수량에 대한 점유율로 정할 수 있음
가중치 산출단계(s20)는 상기 평가항목별로 각 세부항목에 대한 1차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에 의하여 상기 세부항목 별 상대적 중요성을 묻는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다.
AHP 기법을 적용하여 항목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거쳐서 산출된다.
(단계 1) 평가 항목 항목의 내용과 수량을 정한다.
(단계 2) 평가 항목간 중요도를 기준으로 쌍대 비교를 한다. 이때, 쌍대 비교를 위한 설문표를 작성하여야 하며, 질문을 몇 점 척도로 할 것인지 결정한다. 만약, 평가 항목 항목수가 n개 이면 설문의 수는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4
개 이다.
(단계 3) 쌍대 비교 결과 도출된 수치를 가지고 n by n 행렬을 만든다.
(단계 4) 행렬의 각 요소를 열의 합으로 나눈다. (n by n 행렬)
(단계 5) 각 행의 평균을 구한다.(n by 1 행렬)
(단계 6) 일관성 지수(CI : Consistency Index)를 계산한다. 여기서, CI=(λ-n)/(n-1) 이며, λ는 다음의 순서로 도출된다.
(단계 6-1) (단계 3)에서 도출된 행렬과 (단계 5)에서 도출된 행렬을 곱한다. (n by 1행렬)
(단계 6-2) (단계 6-1)에서 도출된 행렬의 각각의 요소를 (단계 5)에서 구한 행렬의 각각의 요소로 나눈다.
(단계 6-3) (단계 6-2)에서 구한 행렬의 평균값을 구한다.
(단계 7) CI ≤ 0.1 이면 (단계 5)에서 산출된 지수를 가중치로 선택하고, CI>0.1 이면 산출된 지수를 가중치에서 배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AHP 기법을 활용한 가중치 정량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만약 평가 항목 항목이 A1, A2, A3, A4의 4가지이고, 중요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을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가지 항목에 대한 설문표를 작성할 수 있다.
만약, A1이 A2보다 약간 중요하지 않고, A1이 A3보다 매우 중요하지 않으며, A1이 A4보다 매우 중요하지 않으며, A2가 A3보다 매우 중요하지 않으며, A2가 A4보다 중요하지 않으며, A3가 A4보다 중요하다면, 설문표에 해당 내용에 해당 위치에 O으로 체크 할 수 있으며, 도 2의 설문표를 바탕으로 식 2와 같은 행렬이 도출된다.
<식 2>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5
<식 2>에서 행렬의 요소를 열의 합으로 나눈 후, 각 행의 평균을 계산하면 <식 3>과 같은 4 by 1 행렬이 구해진다.
<식 3>
Figure 112016117128203-pat00006
<식 3>에서 구한 가중치를 채택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I를 계산해야 하며, n=4이므로, 우선 λ를 계산하여야 한다. λ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도출된다.
<식 2> 행렬과 <식 3> 행렬을 곱한 후 구한 행렬(4 by 1 행렬)의 각 요소를 <식 3>의 각 요소로 나눈다. 그 후에 얻은 4 by 1행렬의 평균값을 구한다.
여기서 구한 λ= 4.16이며, CI =(4.16-4)/3 = 0.053 ≤ 0.1 이므로 <식 3>의 행렬을 가중치로 채택한다.
세부항목별 평가지수 산출단계(s30)는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단계 s20에서 산출된 각각의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한다.
환경영향요소지수 산출단계(s40)는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산출한다.
전기설비상태지수 산출단계(s50)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 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산출한다.
전기안전의식지수 산출단계(s60)는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산출한다.
고객별 전기안전도 산출단계(s70)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한다. 상기 2차 가중치는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대하여 각각 0.7, 0.3을 적용할 수 있다.
전기설비 안전도 산출단계(s80)는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전기설비 안전도를 도출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산출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설비상태의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는 A1,A2라고 하고, 전기안전의식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는 B1, B2, B3이며, 환경영향요소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는 E1,E2,E3,E4라고 전제한다.
도 3은 환경영향요소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E1~E4)에 해당 1차 가중치(e1~e4)를 각각 곱한뒤 이들을 합산(E1e1+E2e2+E3e3+E4e4)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산출하는 것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보면, 전기설비상태 독립평가지수(A1,A2)에 각각의 1차 가중치(a1,a2)를 곱하고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한 뒤 합산((A1a1+A2a2)E)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산출한다.
도 5를 보면, 전기안전의식 독립평가지수(B1~B3)를 설정하고 각각에 1차 가중치(b1~b3)를 곱한 뒤 합산(B1b1+B2b2+B3b3)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산출한다.
도 6은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하는 실시예로서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전기설비상태지수(A)와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 0.7(α), 0.3(β)을 각각 곱하고 합산(Aα+Bβ)하여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도출된 여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의 평균값을 산출하면 전기설비 안전도가 도출되는바, 도 7은 13개 지역의 전기설비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각각의 안전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균값을 도출한 현장적용결과 예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기설비와 연결되어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이 제공되는바, 여러 사이트의 전기설비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평가설정부(10), 가중치 산출부(20), 가중치 적용부(30), 제1연산부(40), 제2연산부(50), 제3연산부(60), 제4연산부(70) 및 제5연산부(80)를 포함하며, 각 구성별 기능은 상술한 s10~s80의 평가 방법에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기능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평가설정부(10)는 고객별 전기설비 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하며, 상술한 s1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가중치 산출부(20)는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며, 상술한 s2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가중치 적용부(30)는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며, 상술한 s3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제1연산부(40)는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며, 상술한 s4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제2연산부(50)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제공하며, 상술한 s5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제3연산부(60)는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제공하며, 상술한 s60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제4연산부(70)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를 제공하며, 상술한 s70 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제5연산부(80)는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를 도출하며, 상술한 s80 단계의 평가 방법을 수행한다.
10 : 평가설정부 20: 가중치 산출부
30 : 가중치 적용부 40 : 제1연산부
50 : 제2연산부 60 : 제3연산부
70 : 제4연산부 70 : 제5연산부

Claims (14)

  1. 전기설비와 연결되어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의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에 있어서,
    i) 고객별 전기설비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하는 단계;
    ii) 상기 평가항목별로 각 세부항목에 대한 1차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iii)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iv)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는 단계;
    v)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 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도출하는 단계;
    vi)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도출하는 단계;
    vii)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viii)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통해 전기설비 안전도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는
    환경영향요소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고 전기설비상태 독립평가지수에 각각 1차 가중치를 곱한 후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한 후 합산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에 전기설비 개수노력도, 보호시설 관리상태 및 안전교육 실시건수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안전의식 평가의 세부항목의 평가지수로 도출된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반영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상태 평가의 세부항목은 저압설비 및 고압설비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요소의 세부항목은 사용기간, 부하율, 지역 및 업종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독립평가지수는 설비별 부적합수량의 비를 반영한 지수을 차감하여 결정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ii)단계의 2차 가중치는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대하여 각각 0.7, 0.3인,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8. 전기설비와 연결되어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별 전기설비 상태, 전기안전의식 및 환경영향요소를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하는 평가설정부;
    상기 평가항목의 각 세부항목별 1차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부;
    상기 세부항목별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가중치 적용부;
    상기 환경영향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는 제1연산부;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한뒤, 상기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하여 전기설비상태지수(A)를 제공하는 제2연산부;
    상기 전기안전의식에 대한 세부항목별 평가지수를 합산하여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제공하는 제3연산부;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2차 가중치를 적용한 뒤, 양 지수(A,B)을 합산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제공하는 제4연산부; 및
    상기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 지수들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전기설비 안전도를 도출하는 제5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는
    환경영향요소 세부항목의 독립평가지수에 상기 1차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도출하고 전기설비상태 독립평가지수에 각각 1차 가중치를 곱한 후 환경영향요소지수(E)를 곱한 후 합산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전기설비상태지수(A)에 전기설비 개수노력도, 보호시설 관리상태 및 안전교육 실시건수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안전의식 평가의 세부항목의 평가지수로 도출된 전기안전의식지수(B)를 반영하여 고객별 전기설비 안전도를 산출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전기설비상태 평가의 세부항목으로 저압설비 및 고압설비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환경영향요소의 세부항목으로 사용기간, 부하율, 지역 및 업종을 포함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설정부는 상기 전기설비상태에 대한 독립평가지수를 설정함에 있어서 설비별 부적합수량의 비를 반영한 지수을 차감하여 결정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연산부는 전기설비상태지수(A)과 전기안전의식지수(B)에 대하여 각각 0.7, 0.3의 2차 가중치를 설정하는,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KR1020160160633A 2016-11-29 2016-11-29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91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33A KR101912744B1 (ko) 2016-11-29 2016-11-29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33A KR101912744B1 (ko) 2016-11-29 2016-11-29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761A KR20180060761A (ko) 2018-06-07
KR101912744B1 true KR101912744B1 (ko) 2018-10-30

Family

ID=6262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633A KR101912744B1 (ko) 2016-11-29 2016-11-29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7108A (zh) * 2018-12-12 2019-02-22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通辽供电公司 一种自然灾害下的独立微电网可靠性评价方法
KR102247583B1 (ko)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7423B (zh) * 2021-08-19 2023-08-15 武汉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电气自动化设备的测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317B1 (ko) 2012-11-06 2013-12-05 한국 전기안전공사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KR101301554B1 (ko) 2013-03-20 2013-09-04 디아이케이(주) 통합 cmd센서를 이용한 고장 및 열화진단 기능의 고압반,저압반,분전반,모터제어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7108A (zh) * 2018-12-12 2019-02-22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通辽供电公司 一种自然灾害下的独立微电网可靠性评价方法
KR102247583B1 (ko)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761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ítez et al. Achieving matrix consistency in AHP through linearization
Schoenberg Multidimensional residual analysis of point process models for earthquake occurrences
KR101912744B1 (ko)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JPWO2008139856A1 (ja) リスクモデル修正システム、リスクモデル修正方法およびリスクモデル修正用プログラム
Seker et al. A combined DEMATEL and grey system theory approach for analyzing occupational risks: A case study in Turkish shipbuilding industry
Wang et al. An AHP-weighted aggregated data quality indicator (AWADQI) approach for estimating embodied energy of building materials
CN104462445A (zh) 网页访问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Arava et al. Analyzing the static security functions of a power system dynamic security assessment toolbox
Shah et al. Time between events control charts for gamma distribution
Barzegkar-Ntovom et al. Methodology for evaluating equivalent models for the dynamic analysis of power systems
Bradley Seismic performance criteria based on response history analysis: Alternative metric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NZ
Chen et al. Data-driven distribution network topology identification considering correlated generation power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
Abas et al. Knowledge-based energy damage model for evaluating Industrialised Building Systems (IB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risk
Auer et al. VERICOMP: a system to compare and assess verified IVP solvers
CN105095312A (zh) 网页前端性能的评估方法和系统
Coleby et al. A visual interpretation rating scale for validation of numerical models
Zhang et al. A model for residual life prediction based on brownian motion in framework of similarity
Meißner et al. An Adaptive Algorithm for Pairwise Comparison‐based Preference Measurement
Agreira et al. The performance indices to contingencies screening
Song et al. An empirical study of comparison of code metric aggregation methods–on embedded software
Fachrurrazi The end user requirement for project management software accuracy
Elsharida et al. Application of ELECTRE II method on assessing of construction companies in engineering projects
Marini et al. Power quality state estimatio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observability enhancement
Barzegkar-Ntovom et al. Application of a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range of distribution network equivalent models
Máchová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odel for the evaluation of the E-government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