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548B1 -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548B1
KR102637548B1 KR1020220177157A KR20220177157A KR102637548B1 KR 102637548 B1 KR102637548 B1 KR 102637548B1 KR 1020220177157 A KR1020220177157 A KR 1020220177157A KR 20220177157 A KR20220177157 A KR 20220177157A KR 102637548 B1 KR102637548 B1 KR 10263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aster
risk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Priority to KR102022017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 G01N27/0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a current being generated within the material by ind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들어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챔버 및 챔버 내외부의 구성들,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data) 및 기존 발생한 재해의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재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산업 현장의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부, 작업자의 확인 여부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산업 현장의 각 설비에 연결되어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에 투입되는 작업자를 확인하고, 산업현장에 투입되는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실제 발생되는 다양한 재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자동으로 평가하여 재해 발생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산을 절감하고 재해 예방을 위한 인프라를 널리 보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IN INDUSTRIAL SITES}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 환경에의 영향과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 현장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하여 사업자 또는 경영책임자의 사회적 의무와 책임이 확대되고,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노하우의 축적으로 산업 재해의 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라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이론에 따라 전문가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며, 환경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도 평가는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6184호)은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안전 관련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안전 기준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작업일보의 작성을 소홀히 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는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583호)는 사업장의 사고 유형별 직접 및 간접 요인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지수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 또한, 안전지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안전 관련 전문가의 위험 요건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미리 예측되지 못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는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6184호(2021.09.2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583호(2021.04.27.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해 예방을 위해 산업 현장에 출입하는 작업자 및 작업수단을 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객관성과 정확성이 향상된 재해 예방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동적인 산업 현장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도 평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들어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챔버, 외부에서 챔버로 출입하기 위한 제 1 출입구, 챔버에서 산업 현장으로 출입하기 위한 제 2 출입구, 챔버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챔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챔버의 내부에 작업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챔버 내부의 작업자를 소독하기 위해 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 분사장치에서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이 진행된 이후 남은 잔여 소독제를 회수하기 위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장치,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data) 및 기존 발생한 재해의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재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산업 현장의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부, 작업자의 확인 여부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산업 현장의 각 설비에 연결되어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재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를 갱신하며,
프로세서는, 갱신된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업 현장의 위험도 정보를 산출하고,
프로세서는, 산출된 위험도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화면부에 산출된 위험도 정보 및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서는, 각 제어부에 연결되어, 입력부를 통해 작업자의 체크 리스트에 대한 확인 여부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가 설비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확인 여부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가 차단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챔버의 내부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 및 챔버의 외부에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제 1 코일이 더 구비되고,
제 1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챔버의 내부에 기준 자기장이 형성되며,
메모리에 기준 자기장의 세기를 저장하고, 무게 센서에 의해 챔버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는 것이 확인되고, 작업자가 금속물체를 챔버 내부로 반입하는 경우, 챔버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 센서가 측정한 현재 자기장을 비교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제 2 출입구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산업 현장으로의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챔버의 바닥에 제 2 코일이 권취되고 도전성 재질의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롤러부는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배열되고,
무게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흡입장치에서 금속 불순물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자기장 센서가 감지하면, 제 2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롤러부에 자력이 부여되고, 챔버 내부에 금속 불순물이 자력에 의해 롤러부에 부착되어 챔버 내부의 금속 불순물이 산업 현장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롤러부가 챔버 방향으로 노출된 면의 반대면에 불순물 포집기가 구비되고,
복수의 롤러부를 각각 회전 운동시키는 동력부가 더 구비되며,
자기장 센서에서 더 이상 자기장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동력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롤러부는 180도 각도를 회전 운동하고, 제 2 코일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복수의 롤러부에 부여된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불순물이 중력에 의해 불순물 포집기로 낙하되어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롤러부는 챔버 방향으로 노출된 면에 각각 다단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 2 코일과 연결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발열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열을 전달받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변형부를 포함하며, 제 2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발열부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열을 전달받은 변형부가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가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코일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발열부에도 전류가 차단되어 열의 발생이 중단되고, 변형부가 열을 잃어 소정의 복귀 온도에 도달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가 펼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에 연결되어 동력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변형부가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여 다단 형상의 지지부가 접히게 되는 경우, 스위치가 온 되어 제어부에 동력부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롤러부가 180도 각도 회전운동 하여 지지부의 면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롤러부가 금속 불순물을 수집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현장으로 투입되는 작업자를 확인하고, 금속이 투입되면 안 되는 산업 현장에 금속 및 금속 불순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해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실제 발생되는 재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산업 현장의 위험도가 자동으로 평가됨으로써, 전문 기관 또는 전문가에 의해 종래의 이론적 정보에 기반한 위험도 평가에서 누락되거나 예측되지 않는 재해 발생 위험도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재해 발생 위험 예측 및 관리의 인력 부족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사회 전반적인 산업 재해 발생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업 재해 예방을 위해 요구되는 예산이 감소됨으로써 재해 예방을 위한 인프라가 널리 보급될 수 있어, 사회 전반적으로 건전한 산업 발전이 도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 및 챔버를 권취하는 제 1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롤러부가 동력부에 의해 180도 각도 회전운동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단 형상의 지지부가 접히고 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의 위험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면부(30)에 표시되는 위험도 정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신부, 수신부 및 기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의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는 챔버(100), 제 1 출입구(110), 제 2 출입구(120),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무게 센서, 분사장치(130), 흡입장치(140) 및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를 참고하면 메모리(10), 프로세서(20), 화면부(30), 입력부(40),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산업 현장이란 다양한 산업의 현장을 모두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속 물질이 반입되어서는 안 되는 산업 현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챔버(100)는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들어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구성이다. 챔버(100)는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외부에서 챔버(100)로 출입할 수 있는 제 1 출입구(110) 및 챔버(100)에서 산업 현장으로 출입할 수 있는 제 2 출입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0)는 작업자가 산업 현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고, 또한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작업자를 통제하며,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며, 특히 금속이 제한되는 산업 현장에 금속을 반입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챔버(100)는 외부와 산업 현장의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챔버(100)가 구비되면, 작업자가 출입하며 재해의 원인이 되는 물건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작업자를 통제할 수 있으며, 특히 금속 반입이 금지된 산업 현장에 금속이 반입되지 않도록 통제할 수 있다.
제 1 출입구(110)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챔버(100)로 출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 1 출입구(110)를 통해 작업자가 챔버(100)로 진입할 수 있으며, 챔버(100)에서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투입되기 전 확인 단계를 거치고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출입구(120)는 챔버(100)에서 산업 현장으로 출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챔버(100)에서 투입 전 확인 단계를 거친 작업자가 해당 출입구를 통해 산업 현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게 될 금속이 감지된 경우에는 제 2 출입구(120)를 폐쇄하여 작업자가 산업 현장으로 출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출입구(110) 및 제 2 출입구(120)가 구비되면, 작업자는 챔버(100)에 출입하여 챔버(100)를 거쳐 산업 현장으로 진입할 수 있고, 진입하기 전에 확인 단계를 거치며 산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해의 원인을 미리 제거 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챔버(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챔버(100) 내부의 온도는 외부 또는 산업 현장과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에 감지되는 온도가 유지하는 온도와 소정의 온도 이상 차이가 나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게 될 메모리(10)에 측정되는 온도를 기록하여 챔버(100)의 온도에 따른 재해 발생 여부에 대하여 추적하고 재해 발생 확률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온도센서가 구비되면, 챔버(10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온도가 감지되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고, 챔버(100)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리할 수 있으며, 온도를 기록하여 챔버(100)의 온도와 재해 발생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추적하고 재해 발생 확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기록을 이용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챔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내부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고, 챔버(100) 내부의 압력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메모리(10)에 압력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여 챔버(100)의 압력에 따른 재해 발생 여부에 대하여 추적하고 재해 발생 확률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압력센서가 구비되면, 챔버(100) 내부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압력이 감지되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고, 챔버(1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할 수 있으며, 압력을 기록하여 챔버(100)의 압력과 재해 발생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추적하고 재해 발생 확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기록을 이용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챔버(100)의 내부에 작업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무게 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무게를 측정하고,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무게 센서를 통해 작업자가 출입하는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챔버(100)의 내부의 작업자 무게를 측정하기 작업자가 발을 딛는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가 내부에서 움직이는 방향을 알기 위해 격자모양으로 복수개의 무게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무게 센서들이 센싱 하는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확인하여 외부에서 챔버(100)에 들어와서 산업 현장으로 들어가는지, 산업 현장에서 챔버(100)로 들어와서 외부로 나가는지, 산업 현장에서 잠시 들어왔다가 다시 산업 현장으로 나가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산업 현장으로 출입하는 인원을 확인할 수 있고,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의 무게를 통해 챔버(100) 내부에 들어와 있는 인원을 유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 센서를 구비하면,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얼마나 투입되어 있는지 인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 투입된 인원에 따른 재해 현황과 확률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챔버(100) 내부에 들어와 있는 인원을 유추하여 후술하게 될 자기장 변화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분사장치(130)는 챔버(100) 내부의 작업자를 소독하기 위해 소독제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분사장치(130)에서는 작업자를 소독하기위해 소독제를 분사하며, 이를 분사하기 위해 에어건, 분무기, 스프링 쿨러 등의 방식으로 에어로졸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장치는 효율적으로 소독하기 위해 천장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문 형상으로 구비되어 문을 통과하는 작업자에게 분사하는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장치(140)는 분사장치(130)에서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이 진행된 이후 남은 잔여 소독제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100)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또한, 흡입장치(140)를 통해 챔버(100) 내부의 소독제뿐만 아니라 챔버(100) 내부의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들도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140)는 분사장치(130)가 동작하고 나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사 후 바로 동작하기보다는 챔버(100) 내부의 작업자가 빠져나간 이후에 동작 하도록 무게 센서를 통해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장치(130)와 흡입장치(140)가 구비되면, 산업 현장 내부에 투입되지 말아야할 유해균들 및 불순물을 미리 제거하여 재해를 방지할 수 있고, 잔여 소독제를 제거하여 챔버(100) 내부 공기를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10)는,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data) 및 기존 발생한 재해의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재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은 산업 현장 내의 장비의 정보, 작업자 정보, 환경 정보를 기존 재해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하에서 기재된, '관리 프로그램'이란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이론에 따른 전문가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재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산업 현장의 환경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객관적이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재해 데이터란 기존 발생된 실제 재해에 대하여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재해 원인으로는 독성 물질과 같은 물질 정보, 공정상 고온, 고압 공정과 같은 공정 정보, 고출력 장비와 같은 장비 정보, 작업자의 숙련도와 같은 인적 정보, 현장의 지리적 위치와 같은 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해 데이터는 재해 관련 기관에 의해 수집된 재해 사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해 사고 관련 정보란 재해 사고 1건 당 1개의 데이터 세트(set)로 기록되는 정보이며, 작업장소, 작업내용 및 기인물을 변수로 가질 수 있다. 재해 관련 기관은 산업안전보건공단, 소방 방재청, 환경부, 가스안전공사 및 전기안전공사를 포함하는 기관일 수 있다.
피해 정보로는 작업자의 부상 또는 사망과 같은 인명 피해 정보 및 설비의 파손과 같은 재산 피해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메모리(10)에 저장된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20)는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산업 현장의 위험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도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며, 산업 장비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도 정보'란 산업 현장의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포함하여 수치화된 위험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화면부(30)는 위험도 정보가 시각적 정보로 표시됨으로써, 작업자 및 관리자가 위험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부(30)는 산업 현장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모니터(monitor)일 수 있다. 또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에 포함된 LCD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display)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화면부(3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입력부(40)는 작업자의 확인 여부를 입력 받는 구성이다. 입력부(40)는 화면부(3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복수의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부(4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 또는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입력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40)의 형태 및 입력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는 산업 현장의 각 설비에 연결되어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입력부(40)를 통해 체크 리스트에 대한 확인 여부가 입력되지 않으면 설비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확인 여부가 입력되는 경우, 설비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후술하게 될 챔버(100) 내부의 상태에 따라 제 1 출입구(110) 또는 제 2 출입구(120)를 차단 또는 해제 하도록 제어 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동력부(220)를 제하여 롤러부(2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기장 센서는 챔버(100)의 내부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자기장 센서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챔버(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챔버(100)의 구역별 또는 전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게 될 흡입장치(140)를 통과하는 금속 불순물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흡입장치(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장 센서를 구비하면 챔버(100) 내부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감시할 수 있고, 특히 후술하게 될 금속의 유입으로 인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 1 코일(150)은 챔버(100)의 외부에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구성으로, 제 1 코일(15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챔버(100) 내부에 기준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고, 메모리(10)에 기준 자기장의 세기를 저장한다.
기준 자기장이 형성된 챔버(100) 내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무게 센서에 의해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는 것이 확인되고, 작업자가 금속물체를 챔버(100) 내부로 반입하는 경우, 챔버(100)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되고, 프로세서(20)는 메모리(10)에 저장된 기준 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 센서가 측정한 현재 자기장을 비교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2 출입구(12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산업 현장으로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고, 또는 소리, 빛,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경고를 보내거나 화면부(30)에 해당 내용을 전달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업 현장에 또는 작업현장의 상황을 살피는 사람에게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자기장의 소정의 크기의 변화에서 소정의 크기는 내부로 반입되어서는 안 되는 금속물체의 크기에 따라 기준을 정할 수 있고, 또는 작은 금속물체라도 들어와서 조금의 변화가 있다면 그에 따라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제 2 출입구(120)가 폐쇄된 경우, 작업자는 화면부(30) 및 입력부(40)를 통해 상황을 인지하고 문제 되지 않는다면, 입력부(40)를 통해 상황을 해제여 제 2 출입구(12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금속물체를 반입하지 않아도 사람이 챔버(100) 내부에 들어오면 기준 자기장이 변화할 수 있는데, 해당 사람에 의한 기준 자기장의 소정의 변화를 자기장 센서가 기억하여 해당 변화는 금속 물체에 의한 것이 아님을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작업자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상시 금속물체의 반입시 제 2 출입구(120)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금속물체를 운반하게 되는 것은 작업자 이므로 무게 센서에 의해 작업자가 잇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일이 구비되면, 챔버(100)에 기준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챔버(100) 내부에 금속물체가 반입되는 것을 확인하여 해당 금속물체가 산업 현장으로 반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챔버(100)의 바닥에 제 2 코일(210)이 권취되고 도전성 재질의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롤러부(200) 및 복수의 롤러부(200)가 배열되어 형성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200)는 챔버(100) 바닥에 구비되는 제 2 코일(210)이 권취되어 있는 도전성 재질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의 구성이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옆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바닥부를 형성한다. 이때 롤러부(200)의 길이 방향이 가로 또는 세로 일 수 있으며 가로로 배치되어 롤러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무빙워크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2 코일(210)은 원기둥 형상의 롤러부(200)의 외면에 감겨 있는 구성이며,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며, 제 2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하여 롤러부(200)에 자력이 부여되도록 한다.
바닥부는 상술한 제 2 코일(210)이 권취되어 있는 롤러부(200)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작업자가 바닥을 밟고 서있거나 걸을 때 롤러부(200)의 형상 때문에 불편하지 않도록 바닥부를 덮는 지지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바닥부의 지지부(240)는 전체를 덮는 형상이거나, 롤러부(200) 각각의 상면에 평면의 지지부(240)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240)가 롤러부(200)의 옆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밟는 부분을 평평하게 구비하거나, 롤러부(200) 자체가 작업자가 밟게 되는 면이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롤러부(200) 전체를 덮는 방식의 지지부(240)는 롤러부(200)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롤러부(200)를 덮고 있도록 하다가, 롤러부(200)가 동작하게 되면 롤러부(200)가 노출되도록 개폐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구비된 바닥부는 무게 센서에 의해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흡입장치(140)에서 금속 불순물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자기장 센서가 감지하면, 제 2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롤러부(200)에 자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챔버(100) 내부에 금속 불순물이 자력에 의해 롤러부(200)에 부착되어 챔버(100) 내부의 금속 불순물이 산업 현장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흡입장치(140)에서 금속 불순물에 의해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흡입장치(140)를 감시하는 자기장 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어 확인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하게 흡입장치(140)를 감시하기 위해서 관 형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통과시키는 흡입장치(140)의 부분에 제 3 코일을 외부에 감고, 제 3 코일에 전기를 흘려서 흡입장치(140)의 기준 자기장을 형성하여 금속 불순물이 통과되면 기준 자기장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코일(210)이 권취되어 있는 롤러부(200) 및 복수의 롤러부(200)가 나열되어 형성하는 바닥부가 구비되면, 챔버(100) 내부에 금속 불순물이 발생했을 때, 롤러부(200)에 자력이 부여되어 금속 불순물을 끌어 당기기 때문에, 롤러부(200)에 금속 불순물을 부착하여 산업 현장으로 반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에 용이하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롤러부(200)가 챔버(100) 방향으로 노출된 면의 반대면, 즉 챔버(100)의 바닥면 아래에는 불순물 포집기(230)와 롤러부(200)를 회전 운동 시키는 동력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불순물 포집기(230)는 복수의 롤러부(200)가 금속 불순물을 부착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롤러부(200)에 부착된 금속 불순물을 그대로 방치하면, 또 다시 챔버(100)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동력부(220)는 롤러부(200)를 각각 회전 운동시키는 구성이며, 복수개의 동력부(220)가 각각의 롤러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전체 롤러부(200)를 하나의 동력부(220)가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동력부(220)만 있는 경우에도, 캠 장치, 기어 장치 등을 활용하여 각각의 롤러부(200)를 별도로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불순물 포집기(230)는 챔버(100)의 바닥면인 바닥부의 아래에 형성되고, 금속 불순물을 부착하는 면의 반대에 구비된다. 자기장 센서에서 더 이상 자기장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금속 불순물이 모두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동력부(220)를 제어하여, 동력부(220)가 바닥부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부(200)가 180도 각도를 회전운동 하도록 하고, 제 2 코일(21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롤러부(200)에 부여된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불순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여 불순물 포집기(230)에 포집 되도록 한다.
이때, 불순물 포집기(230)에 금속 불순물이 잘 포집 되도록 불순물 포집기(230)의 바닥면이 자석으로 구비되거나, 전자석 또는 자석으로 구비되어 포집을 하는 시기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롤러부(200)는 금속 불순물을 부착하는 면과, 바닥을 형성하는 면으로 구분되어 회전하며 동작할 수도 있다. 즉, 금속 불순물이 감지되어 금속 불순물을 제거할 때는 금속 불순물 부착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자력이 부여되게 하고, 금속 불순물이 모두 제거된 뒤에는 회전하여 바닥 면이 위로 향하게 하며, 동시에 금속 불순물을 부착하는 면은 아래로 향하여 코일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더 이상 자력이 부여되지 않아서 금속 불순물을 당기는 인력을 잃고, 아래에 위치한 불순물 포집기(230)에 금속 불순물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 포집기(230)는 포집된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외부로 반출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불순물 포집기(230) 자체를 교체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 발열부(250) 및 변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0)는 롤러부(200)는 챔버(100) 방향으로 노출된 면에 다단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며, 복수의 롤러부(200) 각각에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가 롤러부(200) 위를 통행하는 경우, 곡면의 롤러부(200)의 일면 대신 다단 형상의 평면으로 구비되는 지지부(240) 위를 통행하게 하여 불편감을 해소하도록 하고, 롤러부(200) 사이의 틈에 끼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240)가 구비되면, 작업자가 통행 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롤러부(200) 사이의 틈에 끼이는 등의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
발열부(250)는 제 2 코일(210)과 연결되어 제 2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발열부(250)는 발생시킨 열을 후술하게 될 변형부(260)에 전달하여 지지부(240)의 다단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변형부(260)는 발열부(250)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받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구성이다. 변형부(260)에 열이 전달되어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고, 이후 변형부(260)가 열을 잃고 온도가 소정의 복귀 온도로 하강되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다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소정의 변형 온도는 지지부(240) 및 롤러부(20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부(260)가 변형되는 소정의 형상은 다단 형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240)가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수축되고 팽창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형부(260)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축 패창 되며 다단 형상을 접히고 펼쳐지도록 할 수 있고, 일단이 다단 형상의 끝에 고정되고, 일단은 지지부(240)에 고정되어 다단이 펼쳐지고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지지부(240), 발열부(250) 및 변형부(260)를 포함하여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고 펼쳐지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240)는, 제 2 코일(210)과 연결되는 발열부(250)를 포함하고, 발열부(25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열을 전달받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변형부(260)를 포함하며, 제 2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열을 전달받은 변형부(260)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코일(21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차단되어 열의 발생이 중단되고, 변형부(260)가 열을 잃어 점차 온도가 하강하여 소정의 복귀 온도에 도달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펼쳐지게 된다. 한편, 지지부(240)는 한쪽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양쪽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는 상황은 챔버(100) 내부에서 금속 불순물을 발견하여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롤러부(200)의 면이 챔버(100) 쪽으로 더 많이 드러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지지부(240)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동력부(220)를 구동 시키는 스위치(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270)는 지지부(24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제어부에 연결되어 동력부(220)를 구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스위치(270)는 변형부(260)가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여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는 경우, 스위치(270)가 온 되어 제어부에 동력부(220)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롤러부(200)가 180도 각도 회전운동 하여 지지부(240)의 면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롤러부(200)의 면이 챔버(100) 방향으로 더 많이 드러나게 하여 롤러부(200)가 금속 불순물을 수집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때, 스위치(270)는 푸시 버튼, 딥, 리드, 로커 슬라이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의 끝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막대 형상의 누름장치(280)가 다단이 접힘에 따라 지지부(240) 내부의 버튼에 가까워져서 버튼을 누르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부(240), 발열부(250), 변형부(260) 및 스위치(270)가 구비되면, 금속 불순물이 발견되어 제 2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부(250)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열을 전달받은 변형부(260)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며,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힘에 따라 누름장치(280)가 스위치(270)를 눌러 온 시키고, 스위치(270)가 켜지면 제어부에 동력부(220)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보내 롤러부(200)가 180도 회전하여 지지부(240)는 아래로, 롤러부(200)의 면은 챔버(100) 측인 위로 향하게 하고, 흡입장치(140)에 구비된 자기장 센서에서 더 이상 자기장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가 동력부(220)를 제어하여 180도 회전하여 지지부(240)가 다시 위로 오게 되고, 금속 불순물이 부착된 롤러부(200)의 불순물 포집기(230) 측인 아래면으로 향하게 되고, 제 2 코일(21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금속 불순물이 불순물 포집기(230) 측으로 배출되어 포집되며,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차단되어 열의 발생이 중단되고, 변형부(260)가 열을 잃어 점차 온도가 하강하여 소정의 복귀 온도에 도달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240), 발열부(250), 변형부(260) 및 스위치(270)를 포함하여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가 접히고 펼쳐지면, 작업자가 롤러부(200) 위를 통행하기 편리하며, 롤러부(200)가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지지부(240)의 반대면이 상면으로 올라오게 하기 위하여 롤러부(200)가 180도 회전운동 할 때, 지지부(240) 간의 간섭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단 형상의 지지부(240)를 구비하면, 복수의 롤러부(200) 사이의 간격을 더 넓게 할 수 있어서 롤러부(200)를 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아낄 수 있으며, 금속 불순물 포집시 자성을 띈 롤러부(200) 끼리의 간섭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챔버(100), 메모리(10)(memory, 10), 프로세서(20)(processor, 20), 화면부(30) 및 입력부(40)를 포함한다.
메모리(10)는,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data) 및 기존 발생한 재해의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재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은 산업 현장 내의 장비의 정보, 작업자 정보, 환경 정보를 기존 재해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하에서 기재된, '관리 프로그램'이란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이론에 따른 전문가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재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산업 현장의 환경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위험도를 객관적이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재해 데이터란 기존 발생된 실제 재해에 대하여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재해 원인으로는 독성 물질과 같은 물질 정보, 공정상 고온, 고압 공정과 같은 공정 정보, 고출력 장비와 같은 장비 정보, 작업자의 숙련도와 같은 인적 정보, 현장의 지리적 위치와 같은 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해 데이터는 재해 관련 기관에 의해 수집된 재해 사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해 사고 관련 정보란 재해 사고 1건 당 1개의 데이터 세트(set)로 기록되는 정보이며, 작업장소, 작업내용 및 기인물을 변수로 가질 수 있다. 재해 관련 기관은 산업안전보건공단, 소방 방재청, 환경부, 가스안전공사 및 전기안전공사를 포함하는 기관일 수 있다.
피해 정보로는 작업자의 부상 또는 사망과 같은 인명 피해 정보 및 설비의 파손과 같은 재산 피해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메모리(10)에 저장된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20)는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산업 현장의 위험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도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며, 산업 장비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도 정보'란 산업 현장의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포함하여 수치화된 위험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화면부(30)는 위험도 정보가 시각적 정보로 표시됨으로써, 작업자 및 관리자가 위험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부(30)는 산업 현장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모니터(monitor)일 수 있다. 또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에 포함된 LCD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display)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화면부(3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입력부(40)는 작업자의 확인 여부를 입력 받는 구성이다. 입력부(40)는 화면부(3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복수의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부(4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 또는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입력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40)의 형태 및 입력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의 위험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은, 현장 정보 입력 단계(S1); 위험도 산출 단계(S2); 체크 리스트 형성 단계(S3); 위험도 정보 제공 단계(S4);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도 정보를 제공한다.
현장 정보 입력 단계(S1)는, 산업 현장의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산업 현장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현장 정보란, 상술한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독성 물질과 같은 물질 정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공정 정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설비와 같은 장비 정보, 작업자의 숙련도와 같은 인적 정보, 현장의 지리적 위치와 같은 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챔버(100)로부터 전달받는 챔버(100) 내부의 환경적인 정보 및 챔버(100)에서 확인가능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위험도 산출 단계(S2)는, 입력된 현장 정보로부터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란 기존 발생된 재해의 재해 데이터로부터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에 따라 각 재해 원인이 재해에 기여하는 정도를 함수화 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각 현장 정보가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의 함수에 대입되고, 그 결과값이 합산됨으로써 산업 현장의 위험도가 결정된다. 또한, 결정된 위험도에 기여한 각 현장 정보를 예상 재해 원인으로 결정하고, 각 현장 정보가 재해에 기여하는 정도를 개별 위험도로서 수치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재해 발생했을 시에 예측되는 인명 또는 재산 피해 정도를 산출하여 예상 피해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재해 데이터는 작업장소, 작업내용 및 기인물을 변수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도 산출 단계(S2)에서 장소에 대한 위험도가 매핑(mapping)될 수 있고, 작업의 내용, 재해 원인 장비 및 화학물 등의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도가 분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해 데이터는 산업안전보건공단, 소방 방재청, 환경부, 가스안전공사 및 전기안전공사를 포함하는 재해 관련 기관에 의해 수집된 재해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는 기계 학습을 통해 갱신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각 재해 원인이 재해를 발생시키는 기여하는 정도를 예측하는 함수는 고정되지 않고, 재해 데이터에 기반한 기계 학습을 통해 지속적으로 갱신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에 알려진 이론에 따른 재해 원인 외에 새로운 재해 원인이 분석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형성 단계(S3)는, 상기 위험도 산출 단계(S2)에서 결정된 예상 재해 원인에 대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체크 리스트는 각 예상 재해 원인의 숫자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예상 재해 원인에 대한 정보 및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이 필요한 사항은 각 예상 재해 원인에 대해 전문 기관 및 전문가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 기관 및 전문가에 의해 미리 분석되지 않은 예상 재해 원인도 자동으로 분석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경고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체크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 기관이 신규한 재해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위험도 정보 제공 단계(S4)는, 상기 위험도 산출 단계(S2)에서 산출된 위험도,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시각화 하여 위험도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위험도 정보를 상기 체크 리스트와 함께 화면부(3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화면부(30)에 표시된 위험도 정보 및 체크 리스트를 작업자가 확인함으로써, 작업자는 재해 발생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될 수 있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리스트를 확인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의 재해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면부(30)에 표시되는 위험도 정보의 일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게, 화면부(30)는 위험도에 따라 각 산업 현장을 red zone(사고다발장소), yellow zone(사고발생가능장소), green zone(안전지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위험 현장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작업공정을 red work(사고다발작업), yellow work(사고발생가능작업), green work(안전작업)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위험 공정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은 산업 현장의 위험도와 작업자의 체크 리스트 확인 여부에 따라 산업 현장의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산출된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화면부(30)에 출력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거나, 설비에 인가된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관리 프로그램은 화면부(30)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에 대해 작업자가 확인 여부를 입력부(40)를 통해 입력하지 않는 경우 설비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에 대해 확인 여부를 입력부(4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만 산업 설비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산업 현장의 각 설비에는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프로세서(20)는 산출된 위험도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20)는 화면부(30)에 산출된 위험도 정보 및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체크 리스트는 작업자에게 재해 원인에 대한 인지 여부를 묻는 퀴즈(quiz)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체크 리스트를 단순한 반복 절차로서 무의식적으로 넘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 불감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프로세서(20)는 각 제어부에 연결되어, 입력부(40)를 통해 작업자의 상기 체크 리스트에 대한 확인 여부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가 설비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확인 여부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가 차단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 불감증을 방지하며 재해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신규한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산업 현장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란 특정 센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각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위험 물질을 감지하는 센서, 지진을 감지하는 센서, 설비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같은 각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는 센서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된 재해의 원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재해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모리(10)에 생성된 재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0)에 저장되는 재해 데이터의 숫자가 증가하고, 기계 학습을 통해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산업 현장을 분석함으로써 실시간 위험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관리 프로그램은 센서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예상 재해 원인에 대한 정보를 갱신 받고, 상술한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험도 정보를 갱신한다.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화면부(30)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경고하거나, 산업 설비의 운용을 강제로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비 운용 초기에 안전한 것으로 평가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통신 모듈 및 재해 데이터 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20) 및 메모리(10)에 연결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통신 모듈은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암호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재해 데이터 서버는 소방 방재청, 환경부, 가스안전공사, 전기안전공사 및 안전보건 공단을 포함하는 국가 기관 또는 재해 예방 컨설팅 업체에서 운용하는 전산 서버일 수 있다. 재해 데이터 서버는 각 산업 현장의 통신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각 산업 현장의 통신 모듈은 재해 데이터 서버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클라우드(cloud)를 형성함으로써, 각 산업 현장 간 재해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의 재해 예측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재해 발생시의 상황 분석을 위한 구성으로서 신호 발신부, 수신부 및 기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발신부(51), 수신부(52) 및 기록부(53)를 나타낸 것이다.
신호 발신부(51)는 작업자의 손 위치를 시간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후술할 수신부(52)에서 인식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신호 발신부(51)는 산업 현장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손에 장착되고, 소정의 시간 간격별로 미리 설정된 형태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일 예시로, 신호 발신부(51)는 소정의 시간 간격별로 미리 설정된 파장과 세기의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신호 발신부는 주파수가 소정의 폭 범위 내에서 각자의 고유한 패턴으로 변동되는 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부(52)에서는 각각의 신호 발신부(51)를 분별할 수 있게 된다.
수신부(52)는 신호 발신부(51)에서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 발신부(5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수신부(52)는 산업 현장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신호 발신부(51)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52)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각각의 수신부(52)는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신호 발신부(51)의 현재 방위(α, β)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방위 값은 평면에서의 단일 방위 값만으로 설명하였지만, 입체에서의 복수의 방위 값을 측정할 수 있음은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기록부(53)는 수신부(52)에서 측정된 방위 값을 통해 신호 발신부(51)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시간별 위치를 기록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기록부(53)는 복수의 수신부(52)와 연결되고, 각 수신부(52)로부터 방위 값을 전달받아 신호 발신부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수신부(5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신호 발신부(51)는 소정의 시간 간격별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기록부(53)는 수신부(52)를 통해 각각의 시점에서의 신호 발신부(51)의 신호 발생 위치를 산출하며, 시간별 신호 발생 위치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에 따른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산업 현장의 위치(A1, A2, A3) 및 각 설비의 위치와 신호 발신부(51)의 시점별 위치 기록을 대조함으로써 신호 발신부(51)를 장착한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작업 기록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프로세서(20)는 신규한 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부(53)로부터 상기 작업 기록 데이터를 전달받아 메모리(10)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재해 데이터의 분석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의 갱신을 통해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단, 신호 발신부(51)가 발생하는 신호의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이, 재해가 발생할 위험도에 비해 너무 짧게 설정되는 경우, 불필요한 운용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재해가 발생할 위험도에 비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이 너무 길게 설정되는 경우, 유효한 재해 데이터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기록부(53)는 신호 발신부(51)가 재해 발생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발신부(51)가 발생하는 신호의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을, 재해 발생 위험도에 반비례하여 짧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용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유효한 재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기대값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실제 발생되는 재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산업 현장의 위험도가 자동으로 평가됨으로써, 전문 기관 또는 전문가에 의해 종래의 이론적 정보에 기반한 위험도 평가에서 누락되거나 예측되지 않는 재해 발생 위험도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재해 발생 위험 예측 및 관리의 인력 부족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사회 전반적인 산업 재해 발생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업 재해 예방을 위해 요구되는 예산이 감소됨으로써 재해 예방을 위한 인프라가 널리 보급될 수 있어, 사회 전반적으로 건전한 산업 발전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챔버 110: 제 1 출입구
120: 제 2 출입구 130: 분사장치
140: 흡입장치 150: 제 1 코일
200: 롤러부 210: 제 2 코일
220: 동력부 230: 불순물 포집기
240: 지지부 250: 발열부
260: 변형부 270: 스위치
280: 누름장치
10: 메모리 20: 프로세서
30: 화면부 40: 입력부

Claims (6)

  1.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 들어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챔버(100);
    외부에서 상기 챔버(100)로 출입하기 위한 제 1 출입구(110);
    상기 챔버(100)에서 산업 현장으로 출입하기 위한 제 2 출입구(120);
    상기 챔버(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챔버(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작업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상기 챔버(100) 내부의 작업자를 소독하기 위해 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130);
    상기 분사장치(130)에서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이 진행된 이후 남은 잔여 소독제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100)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장치(140);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data) 및 기존 발생한 재해의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재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
    상기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0);
    산업 현장의 예상 재해 원인 및 예상 피해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부(30);
    작업자의 확인 여부를 입력 받는 입력부(40); 및
    산업 현장의 각 설비에 연결되어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20)는, 상기 재해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재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해 원인 및 피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프로세서(20)는, 갱신된 상기 위험도 산출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업 현장의 상기 위험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프로세서(20)는, 산출된 상기 위험도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재해 원인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화면부(30)에 산출된 상기 위험도 정보 및 상기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20)는, 각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작업자의 상기 체크 리스트에 대한 확인 여부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비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확인 여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단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100)의 내부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 및
    상기 챔버(100)의 외부에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제 1 코일(1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코일(15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기준 자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10)에 상기 기준 자기장의 세기를 저장하고,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는 것이 확인되고, 상기 작업자가 금속물체를 상기 챔버(100) 내부로 반입하는 경우, 상기 챔버(100)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되고, 상기 프로세서(20)는 상기 메모리(10)에 저장된 상기 기준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자기장 센서가 측정한 현재 자기장을 비교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2 출입구(12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산업 현장으로의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챔버(100)의 바닥에 제 2 코일(210)이 권취되고 도전성 재질의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롤러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200)는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배열되고,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해 상기 챔버(100) 내부에 작업자가 위치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상기 흡입장치(140)에서 금속 불순물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자기장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제 2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에 자력이 부여되고, 상기 챔버(100) 내부에 상기 금속 불순물이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롤러부(200)에 부착되어 챔버(100) 내부의 금속 불순물이 산업 현장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부(200)가 챔버(100) 방향으로 노출된 면의 반대면에 불순물 포집기(230)가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롤러부(200)를 각각 회전 운동시키는 동력부(2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자기장 센서에서 더 이상 자기장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부(2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롤러부(200)는 180도 각도를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 2 코일(21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복수의 상기 롤러부(200)에 부여된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불순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불순물 포집기(230)로 낙하되어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의 상기 롤러부(200)는 챔버(100) 방향으로 노출된 면에 각각 다단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40)는,
    제 2 코일(210)과 연결되는 발열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25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열을 전달받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변형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열을 전달받은 상기 변형부(260)가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단 형상의 상기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코일(21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발열부(250)에도 전류가 차단되어 열의 발생이 중단되고, 상기 변형부(260)가 열을 잃어 소정의 복귀 온도에 도달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 다단 형상의 상기 지지부(240)가 펼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0)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동력부(220)를 구동하는 스위치(270)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260)가 소정의 변형 온도에 도달하여 다단 형상의 상기 지지부(240)가 접히게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270)가 온 되어 제어부에 동력부(220)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상기 롤러부(200)가 180도 각도 회전운동 하여 지지부(240)의 면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상기 롤러부(200)가 금속 불순물을 수집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20177157A 2022-12-16 2022-12-16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3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157A KR102637548B1 (ko) 2022-12-16 2022-12-16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157A KR102637548B1 (ko) 2022-12-16 2022-12-16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548B1 true KR102637548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157A KR102637548B1 (ko) 2022-12-16 2022-12-16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5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668B1 (ko) * 2018-05-08 2019-08-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기장 변화 검출장치, 이를 구비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실 출입문 자동개폐시스템 및 자동개폐방법
KR102247583B1 (ko)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102306184B1 (ko) 2017-10-11 2021-09-28 양경옥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39691B1 (ko) * 2020-09-10 2021-12-16 김원국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306184B1 (ko) 2017-10-11 2021-09-28 양경옥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06668B1 (ko) * 2018-05-08 2019-08-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기장 변화 검출장치, 이를 구비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실 출입문 자동개폐시스템 및 자동개폐방법
KR102247583B1 (ko) 2020-03-06 2021-05-04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장 안전지수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102339691B1 (ko) * 2020-09-10 2021-12-16 김원국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727580B1 (ko)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CN107885170B (zh) 安全生产管控装置、系统及安全生产管控的方法
JP5893376B2 (ja) 健康管理及びプラント保全のために有毒ガスへの暴露のコンプライアンス及び警告を提供し有毒ガスへの暴露を警告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10480B1 (ko)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2803B1 (ko) Uwb 기반 실시간 측위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CA2734152C (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4850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sis, reporting and display of environmental data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106485871A (zh) 通过应用统计推断模型来提供误报警的早期预测和预报的系统和方法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KR101721546B1 (ko)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27078A (ko) 다중-모드 검출
CN102393706A (zh) 基于物联网的消防远程监管安评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726138B1 (ko)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US94462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suppression
US200900901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sis, Reporting and Display of Environmental Data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518940A (ja) 放射性同位元素及び放射線作業従事者の統合安全管理システム
Botti et al. A framework for preventing and managing risks in confined spaces through IOT technologies
EP2720210A1 (en) Workspace-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urveillance of safety-critical workspaces
KR102637548B1 (ko)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