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491A -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7491A KR20210047491A KR1020190131153A KR20190131153A KR20210047491A KR 20210047491 A KR20210047491 A KR 20210047491A KR 1020190131153 A KR1020190131153 A KR 1020190131153A KR 20190131153 A KR20190131153 A KR 20190131153A KR 20210047491 A KR20210047491 A KR 202100474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information
- risk
- situation
- lo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및 골든 타임을 기준으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생성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관리에 사용되는 화재감지기는 유선으로 연결된 센서 장치를 통해 화재를 탐지하고 직/간접적으로 관리자 또는 소방관제센터로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한다. 화재를 탐지한 경우 스프링쿨러와 같은 진화 장비를 가동하여 응급 진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소방시설이 설치된 건물의 내외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들 화재감지기간에 상호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또한, 목격자가 화재를 목격하고 신고하는 관리방식 또는 단순 화재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경보 발생이 이루어지는 관리 방식은 장애 발생시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로 인한 상당한 화재 진행이 이루어진 후에야 소방서의 화재진압 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가 커지는 경우 막대한 손실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재의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 방재 센터가 화재 크기 정도에 따라 출동 인원 및 장비를 적절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화재 진압을 위해 출동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및 골든 타임을 기준으로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관리 서버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생성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정보생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험도정보생성부는,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정보 생성모듈;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며,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화재기록 추출모듈; 및 화재환경기록정보와 화재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화재위치기록정보와 화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위치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화재상황기록정보와 화재상황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 판단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험도 판단모듈은, 화재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환경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화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위치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화재상황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환경정보는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를 포함하고, 화재위치정보는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를 포함하며, 화재상황정보는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화재환경기록정보,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화재상황기록정보에 대한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파싱(Parsing)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 일평균 화재위치정보 및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의 오차범위가 1이하인 10년 동안의 화재환경기록정보,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여, 총 화재발생건수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화재상황 및 화재상황의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화재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촬영부; 화재현장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를 획득하는 GPS부;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화재발생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골든 타임이 5분을 기준으로 1초씩 감소하도록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골든타임설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기준으로 화재상황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화재위험도정보가 반영된 화재기록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관리 서버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화재위험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가 골든 타임을 기준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골든 타임의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화재발생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며,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화재환경기록정보와 화재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화재위치기록정보와 화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위치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화재상황기록정보와 화재상황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화재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환경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화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위치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화재상황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환경정보는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를 포함하고, 화재위치정보는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를 포함하며, 화재상황정보는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에 대응되는 화재환경기록정보,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평균값을 파싱(Parsing)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 일평균 화재위치정보 및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의 오차범위가 1이하인 10년 동안의 화재환경기록정보,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총 화재발생건수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가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기가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5분으로 설정된 골든 타임이 1초씩 감소함떼 따라 변화하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의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화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생성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화재피해정보를 예상하여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화재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발생영역의 주변상황 즉, 교통, 날씨, 화재대상 등을 고려하여 출동인원, 출동경로 및 대피경로등을 예상하여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져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화재정보를 전달하여 화재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화재발생영역 및 주변에 위치하는 인적 및 물적 대상에게 경고 및 대피경로를 안내하여 화재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 관리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 관리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관리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단말통신부(11), 영상촬영부(12), GPS확인부(13), 화재신호생성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발생신호는 후술될 화재영상정보 및 단말기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통신부(11)는 화재발생신호를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통신부(11)는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관리 서버(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신호는 화재상황위험도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신호는 화재발생영역 및 주변에 위치하는 인적 및 물적 대상에게 안내하는 경고 및 대피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촬영부(12)는 사용자 단말기(1)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상황 및 화재상황의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 화재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재영상정보는 동영상 뿐만 아니라 이미지일 수도 있다.
GPS확인부(13)는 사용자 단말기(10)가 현재 위치하는 단말기위치정보인 화재현장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위치정보는 화재발생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위치에 대응되는 화재현장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기위치정보가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한 화재발생위치가 포함된 정보로 한정하여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화재신호생성부(14)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는 화재발생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생성하여 자동으로 관리 서버(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서버 또는 관리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데이터통신부(21), 데이터베이스부(22), 모니터링부(23), 위험도정보생성부(24) 및 관리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21)는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고,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통신부(21)는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통신부(21)는 화재기록정보 및 화재발생신호를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화재위험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관리자 단말기(3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는 관리 서버(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는 관리 서버(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 서버(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3)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관리 서버(2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10)와 관리자 단말기(3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그리고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위험도정보생성부(24)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도정보생성부(24)는 화재정보 생성모듈(240), 화재기록 추출모듈(242) 및 위험도 판단모듈(244)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정보 생성모듈(240)은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환경정보는 화재발생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일의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발생시기정보에는 화재발생년월일을 포함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각정보에는 화재발생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날씨정보에는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기상청 및 소방청에서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화재발생날씨정보에는 기온, 습도, 풍향 및 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위치정보는 화재발생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일의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위치정보에는 위치정보시스템 및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되는 화재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재주변교통정보에는 소방서와 화재발생위치 사이의 교통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출동경로에는 소방서와 화재발생위치 사이의 출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화재상황정보는 화재발생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일의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피해정보는 인적 및 물적피해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재대상정보에는 건물, 산, 농지 등의 화재발생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대피경로정보에는 화재발생영역 및 주변에 위치하는 인적 및 물적 대상에게 안내하는 경고 및 대피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재기록 추출모듈(242)은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10년 동안의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기록정보는 화재발생시 생성된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가 기록되어 누적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화재기록 추출모듈(242)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10년 동안의 화재환경기록정보 중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와 오차범위가 1이하인 화재환경기록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화재기록 추출모듈(242)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10년 동안의 화재위치기록정보 중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위치정보와 오차범위가 1이하인 화재위치기록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기록 추출모듈(242)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10년 동안의 화재상황기록정보 중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 오차범위가 1이하인 화재상황기록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위험도 판단모듈(244)은 화재환경기록정보와 화재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화재위치기록정보와 화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위치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화재상황기록정보와 화재상황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모듈(244)은 10년동안 발생한 총 화재발생건수로 추출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나누어 산출된 평균값을 파싱(Parsing)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환경위험도정보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기상정보에 따른 화재피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재위치위험도정보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위치와 소방서 사이의 거리에 따른 화재피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상황위험도정보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에 따른 화재피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피해정보에는 예상 물적 피해, 예상 인적피해(사망), 예상 인적피해(부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관리제어부(25)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여 화재발생영역 및 주변에 위치하는 인적 및 물적 대상에게 경고 및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25)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여 화재기록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2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리 서버(20)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신호송수신부(31), 메모리부(32), 골든타임설정부(33), 디스플레이부(34) 및 단말기제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송수신부(31)는 관리 서버(20)로부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위험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송수신부(31)는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송수신부(3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실시간 수신받고, 화재위험도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부(32)는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리 서버(2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2)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위험도정보와,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정보와 화재기록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부(32)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화재발생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32)는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골든타임설정부(33)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골든 타임을 설정하여 1초씩 감소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골든 타임을 5분으로 설정되어 1초씩 감소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34)는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4)는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는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화재상황의 위험성을 즉각 인지하여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화재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4)는 화재위험도정보가 포함된 기호, 문자 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화재위험도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을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재위험도정보는 화면을 통해서 팝업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화재의 위험성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화재상황에 대하여 더욱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4)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관리 서버(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35)는 관리 서버(20)로부터 화재위험도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골든 타임의 경고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35)는 관리 서버(20)로부터 화재위험도정보를 수신받아, 화재위험도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기제어부(35)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30)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30)는 화재의 위험도를 판단 및 예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재위험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영상촬영부(1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재상황 및 주변을 촬영하여 실시간 화재영상정보를 획득하고, GSP확인부(13)를 통해 화재현장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10)가 현재 위치하는 단말기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는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10).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요소(플레이어, 캔버스, 캡처버튼, 조작성공)에 의해 화재발생신호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즉각 수신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관리 서버(20)는 화재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130).
이때, 화재기록정보는 소방청으로부터 수신받을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화재기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0)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보다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재기록정보 및 화재발생신호가 동시에 수신될수도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요소(기온, 습도, 풍향, 풍속, 화재영상정보/화재현장위치정보, 인소방서위치, 에러 메시지, 총 화재발생건수, 총 물적피해, 총 인적피해(사망), 총 인적피해(부상))에 의해 화재위험도정보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관리 서버(20)의 위험도정보생성부(24)는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0).
더욱 구체적으로, 화재정보 생성모듈(240)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기상청 및 소방청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가 포함된 화재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재정보 생성모듈(240)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위치정보시스템 및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가 포함된 화재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정보 생성모듈(240)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소방청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가 포함된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위험도정보생성부(24)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10년 동안의 화재환경기록정보,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210).
즉, 화재기록 추출모듈(242)은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10년 동안의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고,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 일평균 화재위치정보 및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 추출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와의 오차범위가 1 이하인 경우(S220), 위험도 판단모듈(244)은 추출된 총 화재기록정보를 총 화재발생건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S230).
다음, 위험도 판단모듈(244)은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40). 즉, 산출된 평균값을 파싱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 서버(20)로부터 생성된 화재위험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0). 즉, 관리자 단말기(30)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관리 서버(2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받아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기(30)는 화재위험도정보에 대한 골든 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S160). 예를 들어, 골든 타임을 5분으로 설정하여 1초씩 감소하도록 골든 타임을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요소(골든 타이머, 예상 물적 피해, 예상 인적피해(사망), 예상 인적피해(부상))에 의해 골든 타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기(30)는 골든 타임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S170).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에 따른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실시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화재상황에 따른 화재피해정보는 팝업창을 통해 화면을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재피해정보에는 예상 물적피해, 예상 인적피해(사망), 예상 인적피해(부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30)는 화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80). 즉, 사용자 단말기(30)는 화재상황에 따라 화재발생영역 및 주변에 위치하는 인적 및 물적 대상에게 안내하는 경고 및 대피경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 서버(20)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에 대응하여 화재기록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9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무인 비행체
20 : 관리 서버
30 : 관리자 단말기
20 : 관리 서버
3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19)
-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및
골든 타임을 기준으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생성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화재상황위험도정보가 포함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정보생성부;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정보생성부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정보 생성모듈;
상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화재기록 추출모듈; 및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와 상기 화재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와 상기 화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위치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와 상기 화재상황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 판단모듈; 을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판단모듈은,
상기 화재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화재상황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환경정보는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위치정보는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상황정보는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에 대한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값을 파싱(Parsing)하여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 일평균 화재위치정보 및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의 오차범위가 1이하인 10년 동안의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여, 총 화재발생건수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재상황 및 상기 화재상황의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화재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화재현장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화재영상정보 및 상기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골든 타임이 5분을 기준으로 1초씩 감소하도록 상기 골든 타임을 설정하는 골든타임설정부;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골든 타임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화재상황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재위험도정보가 반영된 상기 화재기록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영상정보 및 화재현장위치정보가 포함된 화재발생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관리 서버는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실시간 판단하여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화재위험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가 골든 타임을 기준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골든 타임의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재환경정보, 화재위치정보 및 화재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기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재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화재환경기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화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위치기록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화재상황정보에 대응하는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와 상기 화재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화재환경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와 상기 화재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위치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와 상기 화재상황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위험도를 판단하여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상황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범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환경정보는 화재발생시기정보, 화재발생시각정보 및 화재발생날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위치정보는 화재발생위치정보, 화재주변교통정보 및 화재출동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상황정보는 화재피해정보, 화재대상정보 및 화재대피경로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화재발생일을 기준으로 상기 화재환경정보, 상기 화재위치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평균값을 파싱(Parsing)하여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화재발생일의 일평균 화재환경정보, 일평균 화재위치정보 및 일평균 화재상황정보와의 오차범위가 1이하인 10년 동안의 상기 화재환경기록정보, 상기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기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총 화재발생건수로 총 화재환경기록정보, 총 화재위치기록정보 및 총 화재상황기록정보를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화재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5분으로 설정된 상기 골든 타임이 1초씩 감소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재환경위험도정보, 상기 화재위치위험도정보 및 상기 화재상황위험도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 -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2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153A KR102260019B1 (ko) | 2019-10-22 | 2019-10-22 |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153A KR102260019B1 (ko) | 2019-10-22 | 2019-10-22 |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7491A true KR20210047491A (ko) | 2021-04-30 |
KR102260019B1 KR102260019B1 (ko) | 2021-06-02 |
Family
ID=7574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1153A KR102260019B1 (ko) | 2019-10-22 | 2019-10-22 |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001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4418B1 (ko) * | 2021-12-07 | 2022-05-04 | (주)위니텍 | 화재유형별 진압소요시간 예측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20230042857A (ko) * | 2021-09-23 | 2023-03-30 |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CN117218786A (zh) * | 2023-10-06 | 2023-12-12 | 广州巨浪船舶技术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火灾智能监测预警系统及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6511B1 (ko) * | 2021-09-23 | 2024-07-19 | 주식회사 아이티에스노아 |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237B1 (ko) * | 2011-10-24 | 2013-08-16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재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KR101529462B1 (ko) * | 2014-12-17 | 2015-06-18 | (주)리감 |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KR101728521B1 (ko) | 2016-10-31 | 2017-04-19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731171B1 (ko) * | 2015-08-05 | 2017-04-27 | 강현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
CN108765836A (zh) * | 2018-05-22 | 2018-11-06 | 深圳源广安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森林火灾预警系统 |
-
2019
- 2019-10-22 KR KR1020190131153A patent/KR1022600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237B1 (ko) * | 2011-10-24 | 2013-08-16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재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KR101529462B1 (ko) * | 2014-12-17 | 2015-06-18 | (주)리감 |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KR101731171B1 (ko) * | 2015-08-05 | 2017-04-27 | 강현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
KR101728521B1 (ko) | 2016-10-31 | 2017-04-19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
CN108765836A (zh) * | 2018-05-22 | 2018-11-06 | 深圳源广安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森林火灾预警系统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2857A (ko) * | 2021-09-23 | 2023-03-30 |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394418B1 (ko) * | 2021-12-07 | 2022-05-04 | (주)위니텍 | 화재유형별 진압소요시간 예측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N117218786A (zh) * | 2023-10-06 | 2023-12-12 | 广州巨浪船舶技术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火灾智能监测预警系统及方法 |
CN117218786B (zh) * | 2023-10-06 | 2024-05-24 | 广州巨浪船舶技术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火灾智能监测预警系统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0019B1 (ko) | 202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0019B1 (ko) |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2076090B1 (en) | Emergency system and method | |
CN108710976B (zh) | 动态逃生路线生成方法、服务器、及系统 | |
CN108140298B (zh) | 紧急警报系统和方法 | |
KR102208152B1 (ko)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
KR101074279B1 (ko) | 와이맥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비행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 |
US11253736B2 (en) | Dispatching UAVs for wildfire surveillance | |
KR100929473B1 (ko) |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그비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 | |
US11272500B2 (en) |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 |
KR20090031493A (ko) |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 |
US9942741B2 (en) | Incident monitoring and response system | |
KR101569324B1 (ko) |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9831742A (zh) |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 |
CN108960521A (zh) | 一种应用于火灾安全的人员疏散指示系统 | |
KR102273193B1 (ko)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재위험도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629549B1 (ko) |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 |
KR102530210B1 (ko) | 하이브리드 소방용 시설물 관리시스템 | |
KR20200115933A (ko)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악 지역의 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309166B1 (ko) | Disposable IoT 단말을 활용한 산불 확산 예측 및 재발화 감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CN111063152A (zh) | 基于物联网的消防监控方法、装置及系统 | |
KR20160029055A (ko) |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 |
Rajendran et al. | ICT enabled early warning dissemination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 |
KR102039246B1 (ko) | 통합 관제 시스템 | |
Vattapparamban | People counting and occupancy monitoring using wifi probe request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 |
CN112911211B (zh) | 移动方向实时分析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