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324B1 -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324B1
KR101569324B1 KR1020150071900A KR20150071900A KR101569324B1 KR 101569324 B1 KR101569324 B1 KR 101569324B1 KR 1020150071900 A KR1020150071900 A KR 1020150071900A KR 20150071900 A KR20150071900 A KR 20150071900A KR 101569324 B1 KR101569324 B1 KR 10156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s
information
risk group
disast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원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텍
Priority to KR102015007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Abstract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OF SMART MONITORING FOR LIFE SAVING}
아래의 실시예들은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써, 일정 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다. 이러한 아파트에는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으므로, 재난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아파트에는 화재감지기와 같은 재난 경보 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아파트에 구비된 재난 경보 설비만으로 아파트 주민들 모두를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현재 아파트에 구비된 화재 경보 설비 만으로는 화재의 근원지가 어디인지,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향이 어디인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대피로를 모색하다가 시간을 지체하여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따라, 최근에는, 재난을 빠른시간 내에 감시하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발생지 및 주민들의 위치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하게 추정하고, 재난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주민들을 서로 다른 위험군으로 분류함으로써, 주민들의 상황에 따른 적합한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트래킹 모듈은, 상기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와 통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기가 획득한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RF 수신기 또는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트래킹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민의 이미지 및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주민의 이미지를 대비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주민들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위치 또는 상기 주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기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상기 재난 발생지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복수개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도달한 센싱값을 센싱한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재난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재난 발생지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복수개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와 대응하는 상기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발생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상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상기 주민들의 위치 또는 상기 주민들의 위치와 상기 대피 경로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상기 제1 위험군 및 상기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주민들 중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상기 주민들 중 상기 대피 경로로부터 소정의 제2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험군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부 위험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위험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부 위험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경로 상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상기 대피 경로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요소는, 소정의 임계 산소량 이하의 산소, 소정의 임계 연기 농도 이상의 연기, 소정의 임계 가스 농도 이상의 가스, 소정의 임계 온도 이상의 온도 또는 소정의 임계 진동량 이상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 발생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청각적 방식 또는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 또는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RF 수신기, 카메라 또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발생지 또는 상기 재난 근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공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공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시설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가스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이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공간을 잠글 수 있는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은 아파트의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로부터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카메라;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서버로부터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서버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상기 수신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상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상기 주민들의 위치 또는 상기 주민들의 위치와 상기 대피 경로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상기 제1 위험군 및 상기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재난 발생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상기 서버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과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상기 제1 위험군 및 상기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아파트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주민들 및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상기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발생지 및 주민들의 위치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하게 추정하고, 재난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주민들을 서로 다른 위험군으로 분류함으로써, 주민들의 상황에 따른 적합한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민들의 위치 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발생지 및 재난 근원지의 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군의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트래킹 모듈(110), 위험 감지 모듈(120) 및 정보 제공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도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100)는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고, 서버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단말 또는 서버에 포함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00)는 화재 속보기의 형태일 수도 있고, 화재 속보기에 포함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래킹 모듈(110)은 RF 수신기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파트는 한 채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사는 공동 주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파트 주민들은 RF 전송기를 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전송기는 RF 태그의 형태일 수 있고, RF 태그는 예를 들어, 휴대폰, 신분증, 가방 등 주민들의 소지품에 부착될 수 있다.
RF 수신기는 RF 전송기로부터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RF 수신기는 RF 전송기로부터 수신한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를 트래킹 모듈(110)에 전송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110)은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를 RF 전송기와 대응하는 주민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 내에서, RF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수신기는 아파트 출입문, 공용장소, 주차장 또는 각 주택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래킹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기가 획득한 RF의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1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카메라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아파트 출입문, 공용장소, 주차장 또는 각 주택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트래킹 모듈(11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래킹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의 이미지 및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주민의 이미지를 대비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모듈(110)은 주민들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민들의 식별 정보는 주민들의 얼굴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110)는 미리 저장된 주민들의 얼굴 특징점에 대한 정보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주민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모듈(110)이 영상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모듈(110)은 주민들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의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특징점을 식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모듈(110)은 영상을 기초로 주민들을 식별한 후 변화되는 얼굴값을 학습하여 주민들의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위치 또는 주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모듈(110)이 아파트 단지 내 공원에서 설치된 카메라에서 설치된 영상으로부터 주민 A를 식별한 경우, 트래킹 모듈(110)은 주민 A의 현재 위치를 아파트 단지 내 공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모듈(110)이 영상으로부터 1101호 및 주민 B를 식별한 경우, 트래킹 모듈(110)은 주민 B의 위치를 1101호 근처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감지 모듈(120)은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는 특정 대상의 물리적인 양이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 내에서,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수신기는 아파트 출입문, 공용장소, 주차장 또는 각 주택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RF 수신기 또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카메라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수신기, 센서 및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아파트 단지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위험 감지 모듈(120)은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재난 발생지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센서에서 화재 감지를 위한 미리 정해진 임계값이 100℃ 일 때,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이 105℃인 경우, 위험 감지 모듈은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화재 발생지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복수개일 수 있고, 위험 감지 모듈(120)은 복수의 센서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도달한 센싱값을 센싱한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재난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호 내지 205호 각각의 거실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203호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인 100℃에 도달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204호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 및 202호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가 100℃에 도달한다면, 위험 감지 모듈(120)은 가장 먼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도달한 센싱값을 센싱한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203호를 화재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감지 모듈(12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위험 감지 모듈(120)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재난 발생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될 때, 불꽃의 휘도는 다른 물건과의 휘도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위험 감지 모듈(120)은 불꽃의 휘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저장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미리 저장된 불꽃의 휘도를 기준으로 임계범위 내인 경우 위험 감지 모듈(120)은 영상이 촬영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감지 모듈(120)은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복수의 영상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와 대응하는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발생한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를 재난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301호 내지 305호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위험 감지 모듈(120)은 각 주택에 설치된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5개의 영상을 분석하여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5개의 영상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와 대응하는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발생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301호에서 촬영된 영상이 추출될 경우, 위험 감지 모듈(120)은 301호 중 영상이 촬영된 장소를 화재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30)은 주민들을 적어도 하나의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각 위험군에 속한 주민들에게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주민들의 위치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부 위험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부 위험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130)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주민들의 위치 또는 주민들의 위치와 대피 경로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는 아파트의 비상구의 위치, 아파트 내의 각 주택의 구조 등 아파트 전체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주민들 중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 임계 거리가 재난 발생지가 포함된 아파트 건물으로 설정되는 경우, 정보 제공 모듈(130)은 재난 발생지가 포함된 아파트 건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다른 동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화재는 주변으로 확장되는 특성이 있고, 이에 따라, 화재가 대피 경로 상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도 대피 경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대피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130)은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들 중 대피 경로로부터 소정의 제2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 임계 거리는 화재 발생지로부터 15층까지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1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정보 제공 모듈(130)은 16층까지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1층의 출입문으로 대피할 수 없을 경우, 정보 제공 모듈(130)은 복도를 통해 옥상까지 올라가는 경로를 대피 경로로 검출할 수 있다. 소정의 제2 임계 거리가 대피 경로로부터 동일한 층 전체로 설정된 경우, 대피 경로가 1층에서 옥상까지로 검출됨에 따라, 정보 제공 모듈(130)은 17층 이상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재난 발생지 및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130)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로부터 탈출구의 위치를 추출하고, 트래킹 모듈(110)에서 추정된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의 최적의 이동 경로를 대피 경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를 설정하고,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경로 중 경로 상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이동 경로를 대피 경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의, 위험 경로를 우회하는 복수의 이동 경로 중 주민의 위치로부터 탈출구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이동 경로를 대피 경로로 검출할 있다. 여기서, 위험 요소는 소정의 임계 산소량 이하의 산소, 소정의 임계 연기 농도 이상의 연기, 소정의 임계 가스 농도 이상의 가스, 소정의 임계 온도 이상의 온도 또는 소정의 임계 진동량 이상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청각적 방식 또는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130)은 각 주택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각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에게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각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의 휴대폰에 재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RF 수신기, 카메라 또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모듈(130)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130)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이 대피 경로를 인식하도록,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어하여 벽, 천장 또는 바닥에 화살표 모양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재난 근원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공서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130)은 소방 방제청에 재난 발생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주민이 위치하는 장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구조활동을 벌일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민을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130)은 재난 근원지에 대한 정보를 경찰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찰서는 재난 원인 및 재난을 발생시킨 사람을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 발생지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주택의 가스 밸브가 열리게 되면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주택에 쉽게 불이 옮겨 붙을 수 있다. 또한, 대피 경로 상에 비상문이 있는 경우, 비상문이 잠기게 되면, 대피 경로가 막히게 된다. 이를 위해, 정보 제공 모듈(130)은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시설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아파트 내에 존재하는 사물에는 해당 사물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모듈(130)은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통하여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해당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130)은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가스 밸브를 잠그게 하고, 대피 경로 상에 비상문이 있는 경우, 비상문을 열리게 하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이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 경우, 소정의 공간을 잠글 수 있는 출입문을 열리게 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정보 획득부(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출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10)는 카메라(211), 센서 모듈(212) 및 RF 수신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모듈(212)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211), 센서 모듈(212) 및 RF 수신기(213)는 일체형 일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된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정보 획득부(210)가 카메라(211), 센서 모듈(212) 및 RF 수신기(213)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정보 획득부(210)는 카메라(211), 센서 모듈(212) 및 RF 수신기(213)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2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케이블 등의 물리적인 매개체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모든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공기 중에 전파를 전송하여 통신을 하는 모든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21)는 음성 통신을 위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22)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30)은 스피커(231) 및 레이저 조사 장치(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정보 획득부(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및 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40)는 도 1의 트래킹 모듈(110), 위험 감지 모듈(120) 및 정보 제공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RF 수신기(213) 또는 카메라(211)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센서 모듈(212) 또는 카메라(211)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주민들의 위치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에는 도 1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단말(310)은 아파트 단지 내 또는 각 주택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단말(310)은 각 주택의 거실, 주방 또는 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단말(310)은 도 1 및 도 2의 모니터링 장치의 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310)은 화재 속보기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310)은 아파트의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로부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310)은 트래킹 모듈, 위험 감지 모듈 및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래킹 모듈, 위험 감지 모듈 및 정보 제공 모듈은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래킹 모듈은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위험 감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 또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은 주민들의 위치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은 아파트의 구조 정보, 수신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주민들의 위치 또는 주민들의 위치와 대피 경로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모듈은 서버(320)로부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310)은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로부터,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310)은 모니터링 단말(310)이 설치된 지역 외에 다른 지역의 재난 발생지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로부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정보 제공 모듈은 수신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위험 감지 모듈에서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로부터,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310)은 재난이 발생한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모니터링 단말(310)이 설치된 지역 외에 다른 지역의 재난 발생지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함으로써,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보다 정확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난이 발생하면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과의 통신이 단절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모듈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서버(320)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330)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310)은 통신이 단절된 경우에도,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민들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모니터링 단말(31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재난 근원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공서(3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주민이 위치하는 장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구조활동을 벌일 수 있고, 경찰서는 재난 원인 및 재난을 발생시킨 사람을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청각적 방식 또는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310)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정보 제공 모듈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410)는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과 통신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서버(410)는 도 1 및 도 2의 모니터링 장치의 일 형태일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10)는 수신 모듈, 트래킹 모듈, 위험 감지 모듈 및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아파트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주민들 및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은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로부터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에 의해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래킹 모듈은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위험 감지 모듈은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또는 재난 근원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410)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에게 트래킹 모듈이 추정한 주민들의 위치, 위험 감지 모듈이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이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410) 및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이 수집 내지 추정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은 주민들의 위치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은 아파트의 구조 정보, 수신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주민들의 위치 또는 주민들의 위치와 대피 경로와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에게 주기적으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은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을 제어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 또는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위험 감지 모듈에서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모니터링 단말들(420 내지 4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제공 모듈은 재난이 발생한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재난 발생 상황에 대해 모니터링 하고,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보다 정확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로부터 주기적으로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신호를 기초로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은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와 다르게 동작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 재난 근원지,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공서(4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주민이 위치하는 장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구조활동을 벌일 수 있고, 경찰서는 재난 원인 및 재난을 발생시킨 사람을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정보 제공 모듈은 해당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모듈은 해당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410)는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을 정상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링 장치들(420 내지 440)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민들의 위치 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에서와 같이, 아파트 출입문에는 RF 수신기(511)가 설치될 수 있다. 아파트 주민들은 RF 전송기를 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전송기는 RF 태그의 형태로 주민들의 휴대폰, 신분증, 가방 등 주민들의 소지품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RF 전송기는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민들의 몸 안에 부착될 수 있다. RF 수신기(511)는 RF 전송기로부터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RF 수신기(511)는 RF 전송기로부터 수신한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RF 수신기(5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민이 아파트 내에 있는지 또는 밖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b)에서와 같이, 주차장의 게이트에는 RF 수신기(521)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F 전송기는 아파트 주민들의 차량에 부착될 수도 있고, 아파트 주민들의 소지품에 부착될 수도 있다. RF 전송기는 현재 위치 정보를 RF 수신기(521)에 전송할 수 있고, RF 수신기(521)는 RF 전송기로부터 수신한 RF 전송기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아파트 주민들의 차량이 주차장 밖에 있는지, 주차장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RF 수신기(521)는 주차장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들의 차량이 주차장 내 어느 구역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c)에서와 같이, 각 주택에는 카메라(531)가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531)는 주택에 주거하는 주민들 및 사물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카메라(531)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의 이미지 및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주민의 이미지를 대비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는 미리 저장된 주민들의 얼굴 특징점에 대한 정보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주민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영상으로부터 주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카메라(531)가 설치된 주택에 주민들이 재실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발생지 및 재난 근원지의 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화재가 제1 주택(611)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주택(611)에는 센서 또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센서는 제1 주택(611)내에서의 온도, 습도, 가스, 연기 또는 진동 중 하나를 센싱할 수 있고, 카메라는 제1 주택(611) 내부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주택(611)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제1 주택(611)에서 센싱된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주택(61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제1 주택(611)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곳을 촬영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제1 주택(61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제1 주택(61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b)와 같이, 화재는 제1 주택(611)에서 제2 주택(612) 및 제3 주택(613)에 화재가 옮겨 붙을 수 있다. 제1 주택(611)과 마찬가지로 제2 주택(612) 및 제3 주택(613)에도 센서 또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는 제2 주택(612) 및 제3 주택(613)에 장착된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주택(612) 및 제3 주택(613)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각 주택들(611 내지 613)에 장착된 센서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도달한 센싱값을 센싱한 센서가 설치된 장소인 제1 주택(611)을 화재 근원지로 추정하거나, 각 주택들(611 내지 613)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와 대응하는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발생한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인 제1 주택(611)을 화재 근원지로 추정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군의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파트들(711 내지 715) 중 제1 아파트(711)의 1층에 위치하는 제1 주택(721)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아파트(711) 또는 제1 주택(721)에 장착된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주택(721)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아파트들(711 내지 715)에 장착된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 화재 발생지에 대한 정보 또는 주민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들 중 화재 발생지인 제1 주택(711)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제1 임계 거리와 제2 임계 거리 사이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제2 임계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들을 비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위험군 내지 제3 위험군에 속한 주민들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위험군에 속한 주민들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속한 주민들에게 화재에 대한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 위험군에 속한 주민들에게는 제1 주택(711)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아파트(811)의 주택들(812)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아파트(811)내에 장착된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택들(812)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하고, 아파트(811)내에 장착된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 화재 발생지에 대한 정보 또는 주민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민들을 제1 위험군 및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주택들(812)로부터 제1 임계 거리에 포함된 제1 주택(821)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주택(831)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재난 발생지 및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택들(821)이 1층 및 2층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제1 주택(821)으로부터 아파트의 출입문까지 다수의 위험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주택(821)으로부터 옥상까지의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는 주변으로 확장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화재가 대피 경로 상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제1 주택(821)으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주택(831)에 위치하는 주민도 대피 경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대피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는 대피 경로가 경유하는 층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 주택(831)에 재실하는 주민도 제1 위험군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에서, 주택 내의 침실(921)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주택 내에 설치된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침실(921)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추정하고, 주택 내에 설치된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민(911)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911)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 후, 주민(911)을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미리 저장된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화재 발생지인 침실(921)의 위치 및 주민(911)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를 설정하고,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는 출입문(922) 및 이웃 주택의 발코니와 연결되어 있는 비상 탈출구(923)을 탈출구로 선택하고,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22)까지의 경로 및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비상 탈출구(923)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경로 중 경로 상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선택할 수 있다. (a)의 예와 같이, 두 개의 경로 중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22)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고,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22)까지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91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22)까지의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설정하고, 주민(911)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주택 내의 침실(931)에서 발생한 화재가 출입문(942)로 옮겨 붙을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출입문(942) 및 이웃 주택의 발코니와 연결되어 있는 비상 탈출구(943)을 탈출구로 선택하고, 주민(93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42)까지의 경로 및 주민(931)의 위치로부터 비상 탈출구(943)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경로 중 주민(93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42)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지만, 출입문(922)에 연기, 가스등의 위험 요소가 존재하므로,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931)의 위치로부터 출입문(942)까지의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설정하지 않고, 주민(931)의 위치로부터 비상 탈출구(943)까지의 경로를 대피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와 같이, 카메라(1010)는 아파트 내(예를 들어, 아파트의 복도, 아파트의 각 주택)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10)는 레이저 조사 장치(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레이저 조사 장치(1020)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의 예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는 레이저 조사 장치(1020)를 제어하여, 레이저 조사 장치(1020)가 복도의 바닥에 화살표 모양의 레이저를 조사하게 하여 아파트 주민에게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레이저 조사 장치(1020)가 화살표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 또는 문자 모양의 레이저를 조사하게 하여 주민에게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1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의 휴대폰 번호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위험군에 속한 주민의 휴대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제1 위험군에 속한 주민의 휴대폰(1030)으로 제1 위험군에 속한 주민의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있다(1110).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할 수 있다(1120).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주민들의 위치 및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1130).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1140).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에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1)

  1. RF 수신기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상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 중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 중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로부터 소정의 제2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재분류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트래킹 모듈은,
    상기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와 통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기가 획득한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수신기 또는 상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에 부착된,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트래킹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민의 이미지 및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주민의 이미지를 대비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주민들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위치 또는 상기 주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상기 재난 발생지로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개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도달한 센싱값을 센싱한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재난 근원지로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주변 이미지의 휘도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복수개이고,
    상기 위험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시간상으로 가장 먼저 미리 설정된 불꽃의 휘도와 대응하는 상기 주변 이미지의 휘도가 발생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재난 근원지를 추정하는,
    모니터링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험군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부 위험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위험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부 위험군으로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탈출구까지의 복수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경로 상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상기 대피 경로로 선택하는,
    모니터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요소는,
    소정의 임계 산소량 이하의 산소, 소정의 임계 연기 농도 이상의 연기, 소정의 임계 가스 농도 이상의 가스, 소정의 임계 온도 이상의 온도 또는 소정의 임계 진동량 이상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 발생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청각적 방식 또는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 또는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RF 수신기, 카메라 또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19. 제6항 또는 제8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발생지 또는 상기 재난 근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관공서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공서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시설물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3 임계 거리 내에 포함된 가스 밸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가스 밸브가 잠기게 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이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공간을 잠글 수 있는 출입문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
  23. 아파트의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로부터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카메라;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상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 중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 중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로부터 소정의 제2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재분류하는,
    모니터링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서버로부터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서버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모니터링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재난 발생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상기 서버 또는 다른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단말.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과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및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단말에서 추정된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상기 제1 위험군 및 상기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는,
    모니터링 단말.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
  29.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아파트 주민들이 소지하는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주민들 및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트래킹 모듈;
    상기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지를 추정하는 위험 감지 모듈;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재난 발생지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을, 재난에 따른 대피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1 위험군 또는 재난에 대하여 주의를 요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에게 상기 재난에 따른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 상기 재난 발생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민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주민들 중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재난 발생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하는 주민을 제2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아파트의 구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발생지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의 위치 및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2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들 중 상기 제1 위험군에 포함된 주민의 대피 경로로부터 소정의 제2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민을 상기 제1 위험군으로 재분류하는,
    모니터링 서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된 경우,
    상기 위험 감지 모듈에서 상기 재난 발생지가 추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빠른 주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RF 전송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알리는,
    모니터링 서버.
KR1020150071900A 2015-05-22 2015-05-22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6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00A KR101569324B1 (ko) 2015-05-22 2015-05-22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00A KR101569324B1 (ko) 2015-05-22 2015-05-22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324B1 true KR101569324B1 (ko) 2015-11-16

Family

ID=5478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00A KR101569324B1 (ko) 2015-05-22 2015-05-22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3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22B1 (ko) * 2016-02-04 2017-01-24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489B1 (ko) * 2017-02-23 2018-08-10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Did를 이용한 재해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7820A (ko) * 2017-10-30 2019-05-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1031B1 (ko) * 2021-02-05 2021-06-04 (주)골드이엔지 탈출로를 알려줄 수 있는 실내 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20230022587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오성전자 엣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대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02B1 (ko) 2011-03-31 2012-08-20 이호기술단(주)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5128051B2 (ja) 2005-04-20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災害対策報知システム、サーバ、災害対策報知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8051B2 (ja) 2005-04-20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災害対策報知システム、サーバ、災害対策報知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75202B1 (ko) 2011-03-31 2012-08-20 이호기술단(주)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35671A1 (ko) *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9322B1 (ko) * 2016-02-04 2017-01-24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방법
KR101887489B1 (ko) * 2017-02-23 2018-08-10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Did를 이용한 재해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7820A (ko) * 2017-10-30 2019-05-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2404B1 (ko) * 2017-10-30 2019-05-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1031B1 (ko) * 2021-02-05 2021-06-04 (주)골드이엔지 탈출로를 알려줄 수 있는 실내 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20230022587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오성전자 엣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대응 시스템
KR102543498B1 (ko) * 2021-08-09 2023-06-14 주식회사 오성전자 엣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대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324B1 (ko) 인명 구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EP3125205B1 (en) Individual evacuation plan generation and notification via smart/wearable devices by positioning and predicting emergencies inside a building
EP3118826B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EP3032508B1 (en) Integrated camera awareness and wireless sensor system
US20190096232A1 (en) Augmented reality of a building
JP6786395B2 (ja) 人物認証及び追跡システム
JP2011523106A (ja) 対象及び事象を分類する映像センサ及び警報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11610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wdsourcing detected events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580843B2 (en)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US20230070772A1 (en) Active threat tracking and response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US20170084148A1 (en) System and method of motion detection and secondary measurements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3695A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창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20210047490A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재위험도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1679A (ko) 하이브리드 소방용 시설물 관리시스템
KR102396420B1 (ko) 재난 대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882806B (zh) 一种室内消防威胁识别方法及系统
US202203497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afety of an environment
KR20240030314A (ko) 재실자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866124B1 (ko) 비화재보 확인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