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171B1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171B1
KR101731171B1 KR1020150110736A KR20150110736A KR101731171B1 KR 101731171 B1 KR101731171 B1 KR 101731171B1 KR 1020150110736 A KR1020150110736 A KR 1020150110736A KR 20150110736 A KR20150110736 A KR 20150110736A KR 101731171 B1 KR101731171 B1 KR 10173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level
risk
portable terminal
fire al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182A (ko
Inventor
강현
Original Assignee
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 filed Critical 강현
Priority to KR102015011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캠핑장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위험 레벨에 따라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위험 수준 결정부와;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경보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휴대 단말기 연동부는 연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여 휴대 단말기가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FIRE ALARM INTEROPERATING WITH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화재 경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장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위험 레벨에 따라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과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으로 경계적·시간적 여유의 증가에 비례하여 가족여행이나 관광 등 국민의 여가 활동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삶의 질 향상과 개개인의 자기만족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복잡·다양한 스트레스나 따분한 일상에서 벗어나 여행지에서 심적 위인과 활력을 되찾기 위한 현대인의 생활 방식 변화로 생각된다.
현대인이 추구하는 다양한 여가 활동 중에서 캠핑 활동은 다른 레저·관광에 비해 저렴한 비용과 가족여행 등을 통한 가족 구성원 간 친밀감 증가, 짧은 일정으로도 가능한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캠핑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수요 충족을 위한 캠핑 산업과 캠핑장 관련 시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국 캠핑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사설 캠핑장의 경우 자신이 소유한 산지·계곡·하천 등의 땅에 임의로 캠핑장 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 방지나 피해 보상에 대한 의식 수준이 매우 낮아 캠핑장 이용객들은 재난이나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안전의식 부재로 인해 일산화탄소 중독 또는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텐트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는 적은 양이더라도 연소되고 남은 숯이나 번개탄을 놓으면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는 몸속에 들어가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헤모글로빈에 달라붙어 산소의 운반을 방해해 저산소증에 빠뜨리기 때문이다.
또한, 텐트는 대부분 연소가 잘되는 소재로 되어 있어 불이 순식간에 번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텐트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캠핑을 위한 일산화탄소 경보 또는 화재 경보를 위한 장비는 단순히 연기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단순히 경보음을 울리는 등과 같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충분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장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위험 레벨에 따라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핑장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위험 레벨에 따라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는,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위험 수준 결정부와;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경보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휴대 단말기 연동부는 연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여 휴대 단말기가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일산화탄소 검출 모듈, 연기 검출 모듈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를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1 레벨, 2 레벨 및 3 레벨로 구분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1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경보 출력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2 레벨 및 제 3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휴대 단말기 연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 2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그룹의 전화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리고, 제 3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2 그룹의 전호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림 정보 생성부는,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은, 화재 경보 장치가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를 포함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고,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과 비교하여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동작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 이하인 경우, 스피커 또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부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경보 출력부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을 초과한 경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휴대 단말기 연동부가 동작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위험 수준 결정부와;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스피커 또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부 제어부를 포함하되, 렌턴 기능, 모기퇴치 기능, 보조 배터리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더 구비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은, 화재 경보 장치에 의해 수집된 외부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위험 수준 인덱스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캠핑장, 텐트 등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화재, 일산화탄소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위험 상황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발생한 위험 상황에 따른 위험 수준을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잘못된 알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휴대 및 텐트 등에 비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가 수행하는 화재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가 수행하는 화재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험 수준 인덱스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 위험 수준 결정부(120), 알림 정보 생성부(130), 제어부(140), 경보 출력부(150)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110)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10)는 일산화탄소 검출 모듈, 연기 검출 모듈,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GPS 센서를 포함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타이머를 구비하여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부(110)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온도,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 또는 위치 정보는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만 수집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험 수준 결정부(120)는 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수신한 외부 상황 정보에 기반 및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수준 정책은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온도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 등을 기준으로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의 지속 시간은 특정 일산화탄소 수치, 특정 연기 수치 및 특정 온도 등의 도달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알림 정보 생성부(130)는 위험 수준 결정부(120)에 의해 생성된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알림 메시지는 외부로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위험 알림 메시지에 기반하여 위험을 알릴 대상 및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 생성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 위해 수집된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출력부(150)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알림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위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경보 출력부(150)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보 출력부(150)는 화재 경보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기능부로써, 스피커(155) 및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 수준이 다소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휴대 단말기(200)와 별도로 연동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경보등(예를 들어, LED 등)을 점등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200)(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는 화재 경보 장치(100)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200)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휴대 단말기(200)가 위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라 위험을 알리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애플케이션을 통하여 화재 경보 장치(100)를 인식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경보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위험 알림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경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인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위험 알림 메시지는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이 발생한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휴대 단말기(200)로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가 수행하는 화재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 경보 장치(100)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 등을 포함하는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0).
화재 경보 장치(100)는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고,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위험 수준 인덱스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연기 수치 및 온도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위험 수준 인덱스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온도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 등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 인덱스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1 레벨, 2 레벨 및 3 레벨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이 높을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 알림 정보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보 출력부(150)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경보 출력부(150) 및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 이하인 경우, 스피커 및 조명부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부(150)가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 인덱스가 1 레벨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하지 않고, 화재 경보 장치(100)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내거나 경보등을 발광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하여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을 초과한 경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휴대 단말기 연동부(160)가 동작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200)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 인덱스가 2 레벨 또는 3 레벨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200)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상황을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재 경보 장치(100)는 위험을 알리는 경보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위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잘못된 경보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하여 경보를 중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가 수행하는 화재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화재 경보 장치(100)로부터 위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위험 알림 메시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경보 장치(100)는 블루투스 방식에 따라 위험 알림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알림 메시지는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 위험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위험 지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험 수준 인덱스를 추출하여 이를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과 비교할 수 있다(S320).
휴대 단말기(200)는 위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그룹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이 비교적 낮을 경우에 가족 등과 같은 한정된 제1 그룹에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위험 수준이 비교적 높을 경우에는 가족, 친구 및 관공서(예를 들어, 소방방재청, 관할 소방서 및 관할 경찰서 등) 등과 같이 보다 넓은 제2 그룹에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340).
여기서,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메시지의 형태는 SMS(Short Message Service)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시지의 형태가 아닌 긴급 통화를 통하여 위험 상황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제1 그룹 및 제2 그룹 등과 같은 연락처의 설정은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수준이 높아질수록 위험 상황을 알리는 형태 및 범위를 넓히는 방향으로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화재 경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는 화재 경보 장치가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여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나,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이 화재 경보 장치에 의해 수집된 외부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경보 장치에 의해 수집된 외부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여기서, 외부 상황 정보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구분할 수 있다.
위험 수준 인덱스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먼저, 위험 수준 인덱스를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과 비교할 수 있다(S430).
따라서,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 이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그룹의 전화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S440).
또한, 위험 수준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을 초과한 경우, 미리 설정된 제2 그룹의 전화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S450).
여기서, 위험 상황을 알리는 방법은 SMS 메시지, 긴급 통화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알림 방식에 있어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험 수준 인덱스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산화탄소는 몸속에 들어가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헤모글로빈에 달라붙어 산소의 운반을 방해해 저산소증에 빠뜨리기 때문에 심하면, 뇌, 심장, 콩팥 등에 손상을 줘서 나중에 회복되더라도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산화탄소는 50ppm인 경우가 허용 농도이고, 200ppm인 경우 2~3 시간 이내에 가벼운 머리 통증을 유발시키고, 400ppm인 경우 2시간 이내에 앞머리 통증을, 3시간 이내에 뒷머리 통증을 유발시키고, 800ppm인 경우 45분 내에 구토, 머리 통증 유발 및 2시간 이내에 실신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는 1,600ppm인 경우 20분 이내에 구토, 머리 통증 유발 및 2시간 이후에 사망에 이를 수 있고, 3,200ppm인 경우 10분 내에 구토, 머리 통증 유발 및 30분 이후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6,400ppm인 경우 2분 이내에 구토, 머리 통증을 유발 및 10~15분 이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즉, 화재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텐트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는 일산화탄소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수치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일산화탄소 수치와 그에 대한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5a는 1 레벨, 2 레벨 및 3 레벨과 같이 3개의 레벨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더욱 세분화된 레벨로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텐트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온도가 민감하게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 수치와 온도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 수치와 온도가 높을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수치가 6,400ppm을 초과한 경우에는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최상의 위험 수준 레벨을 가지도록 설정하거나, 온도가 100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일산화탄소 수치를 고려하지 않고 최상의 위험 수준 레벨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산화탄소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와 그에 대한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수치와 그에 대한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되, 온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연기 수치, 영상 정보에 대한 분석 등과 같은 더 정보를 반영하여 위험 수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의 일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의 다른 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의 측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휴대하기 편하고, 텐트 등과 같은 옥외 환경에 비치하기 좋은 구조를 가진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일면에 LED 조명부(153)에 구비할 수 있고, 손전등 또는 렌턴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부(153)는 발광 영역만 투명으로 처리하고 평소에는 화재 경보 장치(100)의 일면 전체가 거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타면에 스피커(15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부(170)는 화재 경보 장치(100)를 휴대하기 좋도록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부(170)는 화재 경보 장치(100)를 텐트 등에 걸거나 바닥에 세울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부(170)는 특정 방향(11)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부(151, 153)와 스피커(155)가 경보 출력부(150)를 구성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조명부(151, 153) 및 스피커(155)가 동작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슬림한(slim) 형태의 측면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라디오 기능, 스마트폰을 위한 보조 배터리 기능, LED 렌턴 기능, 고주파를 이용한 모기 퇴치 기능, 지진 감지를 위한 진동 센서 기능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캠핑장 등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 및 분리된 실시예의 경우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벋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캠핑장, 텐트 등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화재, 일산화탄소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위험 상황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발생한 위험 상황에 따른 위험 수준을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잘못된 알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및 방법은 휴대 및 텐트 등에 비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재 경보 장치 110: 정보 수집부
120: 위험 수준 결정부 130: 알림 정보 생성부
140: 제어부 150: 경보 출력부
150: 경보 출력부 151, 153: 조명부
155: 스피커 160: 휴대 단말기 연동부
200: 휴대 단말기

Claims (19)

  1.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일산화탄소 검출 모듈, 연기 검출 모듈, 온도 센서 모듈, 카메라 센서 모듈, 타이머 모듈 및 GPS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위험 수준 결정부;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 외부 상황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스피커 또는 발광 영역이 투명으로 처리되어 평소에는 일면 전체가 거울 기능을 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부;
    연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연동부; 및
    상기 경보 출력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 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텐트에 걸거나 바닥에 세울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역할의 스트랩부를 더 구비하고,
    지진 감지를 위한 진동 센서 기능, 라디오 기능, 상기 조명부를 통한 렌턴 기능, 고주파를 이용한 모기 퇴치 기능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위한 보조 배터리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및 온도를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1 레벨, 2 레벨 및 3 레벨로 구분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를 포함하는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경보 출력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레벨 및 제 3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를 포함하는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연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 2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그룹의 전화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리고,
    상기 제 3 레벨의 위험 수준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2 그룹의 전호번호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일산화탄소 검출 모듈, 연기 검출 모듈, 온도 센서 모듈, 카메라 센서 모듈, 타이머 모듈 및 GPS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외부 상황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 수준 정책에 기반하여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수준 인덱스를 생성하는 위험 수준 결정부;
    상기 위험 수준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
    상기 위험 알림 메시지에 따른 위험을 알리기 위해 스피커 또는 발광 영역만 투명으로 처리되어 평소에는 일면 전체가 거울 기능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부; 및
    상기 경보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텐트에 걸거나 바닥에 세울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역할의 스트랩부를 더 구비하고,
    지진 감지를 위한 진동 센서 기능, 라디오 기능, 상기 조명부를 통한 렌턴 기능, 고주파를 이용한 모기 퇴치 기능 및 보조 배터리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 결정부는,
    일산화탄소 수치, 연기 수치, 이벤트의 지속 시간 및 온도 중 적어도 두 개를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10736A 2015-08-05 2015-08-0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KR10173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36A KR101731171B1 (ko) 2015-08-05 2015-08-0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36A KR101731171B1 (ko) 2015-08-05 2015-08-0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82A KR20170017182A (ko) 2017-02-15
KR101731171B1 true KR101731171B1 (ko) 2017-04-27

Family

ID=5811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736A KR101731171B1 (ko) 2015-08-05 2015-08-0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47B1 (ko) * 2018-08-09 2019-05-16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능적 공간 안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210047491A (ko)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757B1 (ko) * 2018-01-23 2019-04-10 이기배 화재시 발생장소 및 소방기구의 위치 및 영상을 공유하는 시스템
KR102027256B1 (ko) * 2018-03-29 2019-10-01 황보연종 모바일 기반의 화재감시 및 화재경보신호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2585066B1 (ko) * 2018-05-15 2023-10-10 (주)엠아이웨어 단독형 화재 경보기와 가시광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융합형 화재 경보 시스템
CN108648396A (zh) * 2018-06-13 2018-10-12 浙江极智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烟感装置及系统
KR102111212B1 (ko) * 2018-10-22 2020-05-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102069559B1 (ko) * 2019-02-11 2020-03-02 주식회사 엠소닉 복합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 장치
KR102231292B1 (ko) * 2019-03-29 2021-03-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작동 저감 자동화재속보설비 시스템
KR102266698B1 (ko) * 2019-10-29 2021-06-2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Co 농도 기반의 보일러 경보 장치
CN114446023A (zh) * 2022-01-25 2022-05-06 小融科技有限公司 一种在智慧消防警情推送场景下的配置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4B1 (ko) *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4B1 (ko) *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47B1 (ko) * 2018-08-09 2019-05-16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능적 공간 안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시스템
US10872511B2 (en) 2018-08-09 2020-12-22 FS, Inc.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210047491A (ko) * 2019-10-22 2021-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0019B1 (ko) * 2019-10-22 2021-06-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 대한 화재기록정보를 분석하여 화재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82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171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CN107407932B (zh) 状况响应指示组件和方法
US9892625B2 (en)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8976244B2 (en) Personal mobile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US8674842B2 (en) Responsive units
KR101440362B1 (ko) 스마트 와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469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reat assessment, safety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KR102156902B1 (ko)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전자 장치
JP5094370B2 (ja) 救助要請システム
CN102982654B (zh) 一种便携式智能化老人看护仪
CN102378995A (zh) 紧急呼叫装置
KR101482000B1 (ko)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CN111564021A (zh) 可穿戴提示设备、提示方法以及智能手表
US20160035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outdoor safety
CN102006352A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报警控制器、报警方法及报警系统
GB2518424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JP4664624B2 (ja) 状況監視プログラム及び状況監視システム
JP2017076201A (ja)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CN109068308A (zh) 一种基于手环的自动报警方法及系统
CN107025758A (zh) 一种儿童安全监护系统及使用方法
US9756454B1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ci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CN109087479B (zh) 成人安全手环的多模式报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