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553A - 주행 차량 - Google Patents

주행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553A
KR20230042553A KR1020220100402A KR20220100402A KR20230042553A KR 20230042553 A KR20230042553 A KR 20230042553A KR 1020220100402 A KR1020220100402 A KR 1020220100402A KR 20220100402 A KR20220100402 A KR 20220100402A KR 20230042553 A KR20230042553 A KR 20230042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engine
pipe
radia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타쿠야 오카다
타츠유키 토리주
야스히로 하야시
타카유키 후지시로
타이스케 이와미
마사타카 아사다
히로시게 코마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과제) 엔진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행 차량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엔진 베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 차량{TRAVELING VEHICLE}
본 발명은 기체의 전방부에 엔진을 구비한 주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력원인 엔진과, 엔진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를 구비한 전식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엔진을 기체 전방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머플러를 조종석의 하방에 설치한 전식기가 개시되어 있고, 엔진의 배기 가스는 엔진으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관을 통해서 머플러에 도입된다.
일본특허공개 2004-357515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식기와 같이, 엔진과 머플러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에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시비 장치나 모종 식부부 등의 다른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간섭해서 진동이 커지게 되고, 머플러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전식기에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등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시비 장치 등의 다른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간섭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행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엔진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7)과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동일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엔진(7)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다른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간섭해버려,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7)으로부터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배관(21a)과, 상기 제 1 배관(21a)의 기체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관(21b)이 연결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배관(21b)은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관(21b)은 상기 제 1 배관(21a)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7)으로부터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 연장되는 배관이, 제 1 배관(21a)과 그 기체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 2 배관(21b)이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기체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때에, 제 1 배관(21a)과 제 2 배관(21b)이 분할할 수 있고, 따라서, 배관 전체를 엔진(7)이나 기체 프레임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부착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자가 기체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손을 뻗어서 배관을 분할 또는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제 1 배관(21a)과 제 2 배관(21b)으로 분할했을 때에,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접속하는 제 2 배관(21b)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 2 배관(21b)이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기체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7)을 덮는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이고, 또한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보다도 기체 폭방향 내측의 위치에,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열을 차단하는 차열판(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7)을 덮는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이고, 또한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기체 폭방향 내측의 위치에 차열판(28)이 설치되어 있는 점로부터,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열이 보닛(47)의 내부에 침입하고, 엔진(7) 근방의 온도가 상승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게다가,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엔진(7)의 좌우 일방에 배치되어 있고, (기체의 폭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엔진(7)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기체의 다른 진동원의 영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닛(47)에 덮여진 엔진 룸(54) 내에, 에어 클리너(73)와, 상기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과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부분에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부분에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기체의 세차 시에 보닛의 우방으로부터 세차수가 쏟아진 경우에, 세차수가 에어 클리너(73)의 흡입 호스(80) 내에 침입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7)의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71)와 팬(7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라디에이터(71)와 상기 팬(72)의 일부가 측면에서 볼 때에 중복하지 않고, 상기 흡입구(81)는 상기 팬(72)의 일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라디에이터(71)와 팬(72)의 일부가 측면에서 볼 때에 중복하지 않기 때문에, 라디에이터(71)의 일부를 통해서 팬(72)의 일부의 근방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가 팬(72)의 일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룸(54)에 도입된 외기의 일부를, 라디에이터(71)의 핀부에서 데워지지 않고,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나 팬(72)의 일부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팬(72)의 상부가 상기 라디에이터(7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라디에이터(7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팬(72)에 의해, 개구부(75)를 통해서 엔진 룸(54) 내에 도입된 외기의 일부를,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7)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행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식기의 모식적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의 제어계, 검출계, 입력계 및 구동계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3(a)는 보닛 근방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3(b)는 보닛 근방의 부분 확대 좌측면도이고, 도 3(c)는 기체로부터 분리된 머플러 등을 나타내는 대략 평면도이고, 도 3(d)는 기체로부터 분리된 머플러 등을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의 보닛 근방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의 머플러의 측방에 설치된 차열판의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6은 엔진 룸 내의 각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우측 전방의 상방으로부터 본 라디에이터 근방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라디에이터와 냉각 팬과 보닛의 우측의 개구부와 에어 클리너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의 흡입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전식기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진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 근방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식기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b)에 나타낸 2개의 팬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을 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식기(1)의 모식적 좌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식기(1)의 진행 방향이 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식기(1)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좌」라고 말하고, 그 반대측을 「우」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식기(1)는 주행 차량(2)과, 주행 차량(2)의 후방부에 부착된 모종 식부부(69)와,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장치(26)와, 제어부(87)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전식기(1)를 단지 「기체」라고도 말한다.
주행 차량(2)은 주행 차륜으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륜(8) 및 좌우 한쌍의 후륜(9)을 구비한 메인프레임(3)과, 메인프레임(3)의 상방에 배치된 플로어 스텝(60)과, 플로어 스텝(60)의 상방에 설치된 조종석(48)과, 조종부(49)와,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보닛(47)과, 보닛(47)에 덮여진 엔진(7)과, 엔진(7)의 동력을 좌우 한쌍의 전륜(8), 후륜(9) 및 모종 식부부(69) 등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30) 등의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프레임(3)은 기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이고, 좌우 한쌍의 전륜(8) 및 후륜(9)에 더해, 기체 전방부에 있어서 기체 폭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2)과, 프레임(32)보다 후방에 있어서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3)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프레임(37, 38)을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2) 및 프레임(33)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프레임(37, 38)에 부착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60)은, 기체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고, 작업자는 플로어 스텝(60) 상에서 기립하거나 걷거나 하면서 여러가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조종부(49)는 주행 차량(2)의 전후진과 차속을 변경하는 전후진 레버(35)와, 좌우 한쌍의 전륜(8)을 조타하는 스티어링휠(56)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엔진(7)으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은,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4)(도 10 참조) 및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HST)(25)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30)에 전동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는 트러니언 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전후진 레버(35)가 조작되면, 트러니언 축의 개도가 HST 서보모터(12)(도 2 참조)의 구동에 의해 조정되어서, 미션 케이스(30)에의 출력이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30)에 전달된 동력은, 그 내부에서 변속되어서, 좌우 한쌍의 전륜(8) 및 좌우 한쌍의 후륜(9)에의 주행용의 동력과, 모종 식부부(69)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구동용의 동력)으로 나눠서 전동된다.
주행용의 동력은, 전륜 파이널 케이스(13) 및 전륜 차축(31)을 통해서, 좌우 한쌍의 전륜(8)에 전달되는 것 외, 좌우 한쌍의 후륜 전동축(14), 좌우 한쌍의 후륜 기어 케이스(51) 및 차축(82)을 통해서 좌우 한쌍의 후륜(9)에 전달된다.
한편, 구동용의 동력은 주행 차량(2)의 후방부에 설치된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까지 전달되고, 식부 클러치가 작동되었을 때에, 또한 모종 식부부(69)로 전달된다.
모종 식부부(6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링크 장치(5)를 통해서 주행 차량(2)에 부착되어 있고, 승강 링크 장치(5)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부(69)는 흙이 있는 매트 형상의 모종(이하, 「모종 매트」라고 한다.)를 기대어 세워 놓는 대(65)와, 대(65)의 후방 또한 하방에 설치된 식부 장치(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1)의 제어계, 검출계, 입력계 및 구동계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식기(1)의 제어계는 전식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87)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갖는 처리부(85)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갖는 기억부(86)를 구비하고, 기억부(93)에는 전식기(1)를 제어하는 여러가지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식기(1)의 검출계는, 스티어링휠(56)의 키각(중립 위치로부터의 각도)을 검출하는 인코더(도시하지 않는다)를 갖는 스티어링 센서(58)와, 스티어링휠(56)에의 입력 토크(그 때의 조타량)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45)와, 엔진(7)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44)와, 후륜(9)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후륜 회전 센서(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식기(1)의 입력계는, 전식기(1) 전후진 및 차속을 변경하는 전후진 레버(35)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전후진 레버 센서(3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식기(1)의 구동계는 보닛(47)의 하방에 설치된 엔진(7)(도 3 및 도 4 참조)의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모터(10)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 내의 트러니언 축의 개도를 조정하고, 전식기(1)의 전후진 및 차속을 변경하는 HST 서보 모터(12)와, 파워스티어링(11)과, 식부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식부 클러치 모터(27)와, 라디에이터(71)를 냉각하는 냉각 팬(72)을 구동하는 팬 구동 모터(29)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식기(1)의 보닛(47)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는 보닛(47) 근방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3(b)는 보닛(47) 근방의 부분 확대 좌측면도이고, 도 3(c)는 기체로부터 분리된 머플러(43) 등을 나타내는 대략 평면도이고, 도 3(d)는 기체로부터 분리된 머플러(43) 등을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다.
도 3(c)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은,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과 동일한 크기이고, 또한 좌우 방향의 위치가 동일하게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 3(d)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은,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과 동일한 크기이고, 또한 전후 방향의 위치가 동일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3(c)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은,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만을 그대로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이고, 도 3(d)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43) 등은,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머플러 등만을 그대로 상방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1)의 보닛(47) 근방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도 4의 취출 내에는, 기체로부터 분리된 머플러 등만의 정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a) 및 도 3(b), 및 도 4에 있어서는, 보닛(47)이나 플로어 스텝(60) 등을 들여다 보고, 그 속의 엔진 룸(54) 내에 배치된 엔진(7)이나 머플러(43) 등이 시인될 수 있도록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b)에 있어서는, 머플러(43)의 위치를 시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머플러(43)의 윤곽(대략 직사각형의 윤곽)이 파선에 의해 강조되어 있다.
엔진(7)은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 우측 전방 엔진 베이스 및 우측 후방 엔진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엔진 룸(54) 내에 있어서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도 3(a) 및 도 4 참조).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 및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는 각각,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는, 방진용의 인슐레이터(18) 및 브래킷(20)을 통하여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2)에 부착되어 있고,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는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에 부착된 것과는 다른 방진용의 인슐레이터(18) 및 브래킷(20)을 통하여,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3)에 부착되어 있다. 즉, 2개의 프레임(32, 33)은 각각, 엔진(7)을 지지하는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 또는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를 지지하고 있고, 바꾸어 말하면, 엔진(7)은 메인프레임(3)의 일부인 2개의 프레임(32, 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전방 엔진 베이스 및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에 대해서도 각각, 인슐레이터(18) 및 브래킷(20)을 통해서 2개의 프레임(32, 33)에 부착되어 있다. 도 3(c)에는,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 및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8)가 부착되는 원형상의 부분(19)이 파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머플러(43)는 엔진(7)의 배기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도 3(a)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의 좌방이고, 또한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머플러(43)는 도 3(c), 도 3(d)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머플러 스테이(39)와, 후측 머플러 스테이(4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엔진(7)을 지지하는 2개의 프레임(32, 3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머플러 스테이(39)는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에, 후측 머플러 스테이(40)는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에, 각각,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전측 머플러 스테이(39) 및 후측 머플러 스테이(40)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의 일례이다.
머플러(43)는 엔진(7)의 좌방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7)과 머플러(43) 사이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전식기(1)의 다른 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파가 엔진(7)의 진동파에 가해진(간섭된) 상태에서 머플러(43)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나 머플러(43), 엔진(7)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관(21) 등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머플러(43)의 외형 형상은 전후 대칭이며, 머플러(43)의 전후 방향 중앙부는, 엔진(7)의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과, 전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즉, 머플러(43)의 외형 형상은,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b) 참조)을 대칭면으로 해서(연직의 가상 평면 Sv를 중심으로) 전후 대칭이다. 또한, 바꿔 말하면, 머플러(43)의 외형 형상은,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b) 참조)을 대칭면으로 해서 면대칭이다. 또한, 연직된 가상 평면 Sv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이다.
여기에, 엔진(7)은 플라이휠(23)의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41)을 중심으로 전후로 요동하기 때문에, 머플러(43)를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b)참조)을 대칭면으로 해서 전후 대칭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7)의 진동 시에,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 및 머플러(43) 등에 가해지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켜 이들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저한의 강도의 머플러 스테이로 머플러(43)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가 서로 전후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고,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b) 참조)을 대칭면으로 해서(환언하면, 연직된 가상 평면 Sv를 중심으로) 전후 대칭으로 구성 및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40) 및 머플러(43) 등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다 한층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라이휠(23)의 회전축은 기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는 각각, 「コ」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의 처짐을 억제하고, 엔진(7)과 머플러(43)를 동일하게 진동시킬 수 있어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39, 40)나 머플러(43) 등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엔진(7)으로부터 머플러(43)로 연장되는 배관(21)은, 도 4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54) 내를 엔진(7) 전방 상부(앞면)보다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에,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에서 좌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머플러(43)의 앞면에 접속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부호(70)는 엔진(7) 전방 상부에 설치된 이그조스트 매니폴드(exhaust manifold)에 연결하는 배관(21)의 부분이다.
배관(21)은,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 위치하는 플랜지(24)에 의해, 우측부 배관(21a)과 좌측부 배관(21b)이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고, 좌측부 배관(21b)은, 우측부 배관(21a)의 기체 폭방향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우측부 배관(21a)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관」이고, 좌측부 배관(21b)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관」이다. 플랜지(24)에는, 플랫 버튼(15)(두부가 평평한 볼트류 부재, 도 3(c) 및 도 4 참조)가 용접되어 있고, 그 나사부가 엔진(7)측(플랜지(24)의 우측)으로부터 머플러(43)측(플랜지(24)의 좌측)으로 통과하여 플랜지(24)의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고, 돌출된 나사 부분에 대하여, 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우측부 배관(21a)과 좌측부 배관(21b)이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24)는 도 3(a)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3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너트가 플랫 버튼의 나사 부분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배관(21)이 머플러(43)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분할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를 기체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때에, 배관(21) 전체를 엔진(7)이나 각 프레임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부착, 분리할 필요가 없어 부착, 분리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머플러(43), 배관(21b) 및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를 기체 및 그 배관(21a)에 부착할(조립할) 때에는, 좌측 전후의 엔진 베이스(16, 17) 사이에,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를 끼워 넣은 후에, 플랜지(24)의 플랫 버튼의 나사 부분에, 좌측으로부터 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한 손으로 용이하게 머플러(43)를 유지 가능해진다. 그 후, 각 부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전후 및 좌측으로부터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1인으로 머플러(43)를 기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24)를 보닛(47) 및 프레임(3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좌측)에 배치함과 아울러,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를 우측 하강으로 비스듬히 구성하고, 좌측 전후의 엔진 베이스(16, 17)의 연결 위치를 낮게 함으로써, 플랜지(24)나 좌측 전후의 엔진 베이스(16, 17)와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의 연결 부분에, 작업자가 기체 외측이나 기체의 하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손을 넣기 쉬워, 머플러(43)의 부착 및 분리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배관(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고, 우측부 배관(21a)은 엔진(7)의 배기 부분인 이그조스트 매니폴드에의 접속 부분(70)과,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의 연결 부분의 합계 2개소에서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그조스트 매니폴드 및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에 의해 우측부 배관(21a)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머플러(43),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 및 좌측부 배관(21b)을 기체에 부착할 때에, 우측부 배관(21a)을 휘게 하면서 부착해버리는 경우가 없고, 배관(21) 전체나 엔진(7)의 연결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식기(1)의 머플러(43)의 측방에 설치된 차열판의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배관(21)은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머플러(43)의 바로 우측, 즉, 엔진(7)과 머플러(43)의 사이에는, 머플러(43)의 열을 차단하는 차열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엔진 룸(54)과 머플러(43)가 배치된 공간이 차열판(2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머플러(43) 및 차열판(28)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의 열이 엔진 룸(54) 내에 침입하는 것을 차열판(28)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엔진(7) 및 엔진 룸(54)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7)의 우방에 설치된 라디에이터(71) 등에 의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7)의 좌측 하방에는 벨트나 텐션 암 등, 열을 주고 싶지 않은 부품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이들의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할 구조를 갖는 배관(21)의 우측부 배관(21a)에는 전면적으로 글라스 울이 감겨 있고, 일부가 엔진 룸(54) 내를 통과한 우측부 배관(21a)으로부터, 엔진 룸(54) 및 그 근방에의 열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21)과 머플러(43)의 연결부는, 차열판(28)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열판(28)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7)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엔진 룸(54)과 머플러(43) 근방의 공간을, 용이하게 간극없이 구획할 수 있다.
한편, 머플러(43)의 배기구(4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의 전후 방향 중앙부 또한 좌측 하부에 배치되고, 좌측 경사 하방(기체 폭방향 외측 또한 경사 하방)을 향해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머플러(43)로부터의 배기가 엔진(7) 근방으로 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46)(배기구(42)를 형성하는 배관)이 짧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중량이나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43)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46)은 머플러(43)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머플러(43) 및 그 배기관(46)은 엔진(7)의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지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b) 참조)을 중심으로 전후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7)의 진동에 의한 머플러(43)의 진동에 영향을 주기 어렵고, 엔진(7)과 머플러(43)를 동일하게 진동시킬 수 있어 전후의 머플러 스테이 (39, 40)나 머플러(43) 등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엔진 룸(54) 내의 각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a)는 엔진 룸(54) 내의 각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6(a)의 X-X선에 따른 엔진 룸(54) 내 상부의 각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54) 내에서 좌측 근처에 배치된 엔진(7)의 우방에는, 라디에이터(71)와 라디에이터(71)의 좌측에 위치하는 냉각 팬(72)이 설치되어 있고, 엔진(7)의 후측 상방에는 에어 클리너(73)가, 엔진(7)의 좌후 상방에는 리저브 탱크(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뒤에 상술하는 에어 클리너(73)의 흡입 호스는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47)의 좌우의 측면에는 메쉬 그릴로 이루어지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고, 보닛(47)의 전면에는, 슬릿(76)(도 3(b) 및 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팬(72)이 구동되었을 때에는 외기가 좌측의 개구부(75)로부터 엔진 룸(54) 내에 공급되고, 좌측의 개구부(75) 또는 전측의 개구부(77)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에, 에어 클리너(73), 리저브 탱크(74), 라디에이터 호스(78) 등의 엔진 보조 기계가, 엔진 룸(54) 내의 후측 상부에 있어서 벽을 형성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73), 리저브 탱크(74), 라디에이터 호스(78) 등을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냉각 팬(72)에 의해 엔진 룸(54) 내에 도입된 외기가, 에어 클리너(73), 리저브 탱크(74), 라디에이터 호스(78) 등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가 없고, 엔진 룸(54) 내를 스무스하게 좌방으로 통과할 수 있어 라디에이터(71) 및 엔진(7)의 근방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게다가, 엔진 룸(54) 내의 데워진 공기는 엔진 룸(54) 내의 후측 상부에 벽을 형성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에어 클리너(73), 리저브 탱크(74), 라디에이터 호스(78) 등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컬럼(79)(도 1 참조)에 설치된 조작계의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간극으로부터 후방, 즉, 작업자(운전자)의 근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열기를 불쾌하게 느끼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와 같이, 에어 클리너(73), 리저브 탱크(74), 라디에이터 호스(78) 등의 엔진 보조 기계를 이용하여 벽을 제작함으로써, 철판 등을 별도 사용해서 벽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의 전방의 보닛(47) 부분에 개구부(7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7)의 전방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관(21)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좌측의 개구부(75) 및 전측의 개구부(77)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배관(21)에서 기인하는 엔진 룸(54) 내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닛(47)은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닛(47)의 좌우의 개구부(75)는 메쉬 그릴에 의해 구성되고, 앞면의 개구부(77)는 슬릿(76)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좌우의 개구부(75)를 슬릿 등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앞면의 개구부(77)를 메쉬 그릴 등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한편, 도 7은 우측 전방의 상방에서 본 라디에이터(71) 근방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라디에이터(71)와 냉각 팬(72)과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와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a)는 라디에이터(71)와 냉각 팬(72)과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와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좌측면도이고, 도 8(b)는 라디에이터(71)의 상부와 냉각 팬(72)과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와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라디에이터(71)의 근방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보닛(47) 자체는 생략되어 있고,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b)에 있어서는, 외기의 흐름이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있다.
도 8(a)에 있어서는, 냉각 팬(72)의 팬 슈라우드(83)의 도면 깊이측(우측)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71)의 윤곽이 일점 쇄선에 의해, 우측의 개구부(75)의 윤곽이 파선에 의해 각각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b)에 있어서는, 팬 슈라우드(83) 및 엔진(7)은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도 7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팬(72)의 팬 슈라우드(83)는 전후 방향으로 크게 연장되고, 특히, 팬 슈라우드(83)의 전방부는 보닛(47)의 앞면내측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라디에이터(71)가 존재하는 공간과 엔진(7)이 존재하는 공간이 팬 슈라우드(83)에 의해 어느 정도 구획되어 있다. 또한, 팬 슈라우드(83)의 상부는 라디에이터(71)의 상면(84)보다 약간 상방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73)로부터 연장되는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는 팬 슈라우드 (83)에 형성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보닛(47)의 우면에 형성된 개구부(75)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팬 슈라우드(83)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 및 흡입 호스(80)를 통해서 에어 클리너(73) 내에 공급(도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는 냉각 팬(72)의 상부의 바로 (약간)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흡입구(81)는 냉각 팬(72)의 상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1)의 범위와, 우측의 개구부(75)의 범위는 거의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냉각 팬(72)의 상부와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는 각각, 도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71)의 상면(84)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냉각 팬(7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라디에이터(71)의 핀부(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는 것 외, 도 7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는 (핀부를 통과하지 않고)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통과한다.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통과한 외기의 일부는, 핀부를 통과한 외기와 아울러, 냉각 팬(72)에 흡인되고, 엔진(7)의 근방으로 보내지지만,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통과한 외기 중 다른 일부는, 냉각 팬(72)의 상부의 후방에 배치된 흡입구(81)로부터 흡입 호스(80)를 통해서 에어 클리너(73) 내로 보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냉각 팬(72)의 상부가 라디에이터(71)의 상면(84)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로부터 라디에이터(71)의 상방으로 계속해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어 냉각 팬(72)의 상부의 바로 후방에 배치된 흡입구(81)로 외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라디에이터(71)의 핀부를 통과하지 않고,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통과한 외기가, 흡입구(81)로부터 흡입 호스(80)를 통해서 에어 클리너(73) 내로 보내지기 때문에, 핀부에 의해 데워지지 않는 외기를 엔진(7)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7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냉각 팬(72)에 의해, 보닛(47)의 우측의 개구부(75)로부터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7) 근방의 데워진 공기가 우방, 즉, 라디에이터(71)의 근방으로 흘러버리는(역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1)의 전후로 연장되는 팬 슈라우드(83)를, 보닛(47)의 상부 내면까지 상방으로 크게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엔진 룸(54) 내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1)가 존재하는 공간과 엔진(7)이 존재하는 공간을 간극없이 구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라디에이터(71)나 보닛(47), 직진 안테나 스테이 등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 물품을 별도 설치하여, 거기에 간극이 발생한 경우라도, 엔진의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닛(47)의 우면에 형성된 개구부(75)의 상단부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71)와 거의 같은 정도의 높이 위치에 구성되어 있고, 보닛(47)의 측면 부분이며,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라디에이터(7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냉각 팬(72)의 상부 및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의 좌방에 위치하는 측면 부분(냉각 팬(72)의 상부의 좌방에 위치하는 보닛(47)의 부분과, 흡입구(81)의 좌방에 위치하는 보닛(47)의 부분)은 개방되어 있지 않다. 즉, 보닛(47)의 우측의 측면의 부분이며, 라디에이터(7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냉각 팬(72)의 상부 및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체의 세차 시에 보닛(47)의 우방으로부터 세차수가 쏟아진 경우에, 세차수가 에어 클리너(73)의 흡입 호스(80) 내에 침입하고, 또는 냉각 팬(72)에 세차수가 가해지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에 의하면, 물의 침입을 억제하면서도, 외기를 엔진(7)의 근방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9(a)는 전식기(1)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대략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어진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의 근방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전식기(1)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다.
한편, 도 11은 도 9(b)에 나타낸 2개의 팬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1 (a)는 메인 팬의 대략 좌측면도이고, 도 11(b)는 서브 팬의 대략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11(c)는 2개의 팬이 날개의 위상을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하게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고, 도 11(d)는 2개의 팬이 날개의 위상을 측면으로 볼 때 서로 달리해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대략 좌측면도이고, 도 11(e)는 2개의 팬의 근방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1(e)에 있어서는 후에 상술하는 허브(55)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엔진(7)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도 10에 나타내는 전동 벨트(6)를 포함하는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4)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의 입력축(50)으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7)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우선, 플라이휠(23)(도 3(b) 참조)에 부착된 전동 풀리(34)(도 9(a) 및 도 10 참조)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전동 풀리(34)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의 좌방에 배치된 풀리(53)를 권취하도록 장가(張架)된 폐루프 형상의 전동 벨트(6)가 회전된다.
풀리(53)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의 입력축(50)(도 9(b) 및 도 11(e)참조)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벨트(6)가 회전되면, 풀리(53)를 통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의 입력축(50)(도 11(c) 참조)에 동력이 전달된다.
입력축(50)에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메인 팬(61) 및 서브 팬(62)이 부착되어 있고, 엔진(7)의 동력에 의해 입력축(50)이 회전됨에 따라서, 2개의 팬(61, 62)이 회전됨으로써, 우방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쪽으로) 바람이 보내지기 때문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가 냉각된다. 서브 팬(62)은 메인 팬(61)이 공기를 도입하는 것을 어시스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인 팬(61)은 6매의 날개(66)를 갖고, 서브 팬(62)은 6매의 날개(68)를 갖고 있고, 2개의 팬(61, 62) 사이로 날개(66, 68)의 형상을 달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팬(61)은 그 날개(66)에 두께감(좌우 방향으로 두께감)을 갖고 있고, 메인 팬(61)과 풀리(53) 사이에 배치된 서브 팬(62)의 날개(68)는 그 회전축인 입력축(50)이 연장되는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메인 팬(61)의 날개(66)보다 두께가 얇다. 또한, 메인 팬(61)의 날개(66)는 서브 팬(62)의 날개(68)보다 지름이 크다(도 11(c) 참조).
여기에, 메인 팬(61)과 풀리(5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충분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서브 팬(62)은 외경이 작고, 또한 얇은 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팬(61)과 풀리(5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서브 팬(62)에 의해 메워져버릴 일이 없다. 따라서,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의 좁은 공간에서도, 메인 팬(61)이 서브 팬(62)의 송풍에 의한 어시스트에 의해, 충분히 공기를 도입하고, 공기를 우방으로 효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2개의 팬(61, 62)은 풀리(53)를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 부품인 허브(55)의 플랜지부의 표면와 이면에 각각 조립된다. 2개의 팬(61, 62)은 풀리(53)와 독립적으로 입력축(50)에 조립될 수 있고, 풀리(53)를 입력축(50)으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도, 2개의 팬(61, 62)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측에 남기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2개의 팬(61, 62)을 입력축(5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작업자는 허브(55)를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로부터 분리함으로써, 2개의 팬(61, 62)을 동시에 입력축(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로 송풍하는 팬(61, 62)이 2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2개의 팬(61, 62)은 각각, 90° 비켜 놓아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서로 위상(날개의 위치)이 동일하게 되도록 입력축(50)에 부착된 상태(도 11(c) 참조)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위상(날개의 위치)이 다르도록 입력축(50)에 부착된 상태(도 11(d) 참조)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의 주변의 부품을 변경하는 경우에, 2개의 팬(61, 62)의 위상을 변경함으로써, 송풍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으로부터 머플러(43)로 연장되는 배관(21)이 엔진(7)을 지지하는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에 연결되고,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인 전측 머플러 스테이(39) 및 후측 머플러 스테이(40)가 좌측 전방 엔진 베이스(16) 또는 좌측 후방 엔진 베이스(17)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7)과 머플러(43)를 동일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머플러(43)가 엔진(7)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기체의 폭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엔진(7)과 머플러(43)의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기체의 다른 진동원의 영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7)에서 발생하는 진동파에, 다른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파가 간섭해버려, 머플러(43)나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가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을 발생하는 머플러(43)를 작업자(운전자)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의 외형이, 엔진(7)의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를 대칭면으로 해서 전후 대칭이기 때문에, 엔진(7)의 진동 시에, 머플러(43)를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에 가해지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종래보다 강도가 낮은 지지 부재로 머플러(43)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를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가 엔진(7)의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를 대칭면으로 해서 서로 전후 대칭으로 구성·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7)의 진동 시에,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 40) 및 머플러(43)에 가해지는 부하를 한층 균등하게 분산시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c)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으로부터 머플러(43)로 연장되는 배관(21)이, 제 1 배관인 우측부 배관(21a)과 그 기체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 2 배관인 좌측부 배관(21b)이 플랜지(24)에 의해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를 기체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때에, 우측부 배관(21a)과 좌측부 배관(21b)으로 분할할 수 있고, 따라서, 배관(21) 전체를, 엔진(7)이나 기체의 프레임의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부착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24)가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기체 외측으로부터 우측부 배관(21a) 및 좌측부 배관(21b)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용이하게 손을 뻗어서 배관(21)을 분할 또는 연결할 수 있고, 또한, 플랜지(24)의 부분에서 우측부 배관(21a)과 좌측부 배관(21b)으로 분할했을 때에, 머플러(43)에 접속하는 좌측부 배관(21b)의 길이가 기체 폭방향으로 짧기 때문에, 좌측부 배관(21b)이 머플러(43)에 부착된 상태에서, 머플러(43)를 기체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을 덮는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이고, 또한, 머플러(43)의 기체 폭방향 내측(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의 위치에 차열판(28)이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머플러(43)의 열이 보닛(47)의 내부에 침입하여 엔진(7) 근방의 온도가 상승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6(a)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47)의 우측면에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7)의 우방 또한 라디에이터(71)의 좌방에 배치된 냉각 팬(72)에 의해, 우방으로부터 좌방으로 외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 팬(72)의 우방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71)에 우측으로부터 외기를 공급하고,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플러(43)가 엔진(7)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43)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그 우방에 위치하는 엔진(7) 근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47)의 우측면에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냉각 팬(72)의 상부가 라디에이터(7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71)의 상방을 통해서 냉각 팬(72)의 상부의 근방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가 냉각 팬(72)의 상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닛(47)의 우측면에 형성된 개구부(75)를 통해서 엔진 룸(54) 내에 도입된 외기의 일부를, 라디에이터(71)의 핀부에서 데우지 않고, 상온의 상태에서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나 냉각 팬(72)의 상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닛(47)의 우측면의 부분이고, 라디에이터(7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냉각 팬(72)의 상부 및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의 세차 시에 보닛(47)의 우방으로부터 세차수가 쏟아진 경우에, 세차수가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 내에 침입하거나, 또는 냉각 팬(72)에 세차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의 입력축(50)에 (허브(55)를 사용해서) 부착된 2개의 팬(61, 62) 중 입력축(50)에 부착된 풀리(53)에 가까운 쪽의 팬인 서브 팬(62)의 날개(68)가 타방의 팬인 메인 팬(61)의 날개보다 입력축(5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지름이 작기 때문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에 가까운 쪽의 팬인 메인 팬(61)에 의한 공기의 도입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고, 반대로 서브 팬(62)이 공기의 도입을 어시스트할 수 있고, 따라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5)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어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머플러(43)는 엔진(7)의 좌방이고, 또한, 플로어 스텝(60)의 하측이고, 또한,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지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를 대칭면으로 해서 전후 대칭이 되도록 구성·배치되어 있지만, 엔진의 우측이고, 또한, 플로어 스텝의 하측이고, 또한, 플라이휠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연직의 가상 평면을 대칭면으로 해서 전후 대칭이 되도록 구성·배치해도 된다. 또한, 머플러(43)가 배치된 위치에, 머플러(43) 대신에,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등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해도 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스테이(39, 40)를 사용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머플러의 경우와 동일하게 지지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배관(21)(좌측부 배관(21b))을, 머플러와 동일하게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앞면에 접속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른 전식기(1)의 머플러(43)를, 전부 그대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 스위칭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머플러(43)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때문에 언급할 필요도 없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외형을, 플라이휠(23)의 회전 중심(41)을 포함하는 연직의 가상 평면 Sv(도 3(c) 참조)에 대하여 전후 대칭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플러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 등의 엔진의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배기계 부품 및 그 지지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머플러(43)는 엔진(7)의 배기음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엔진의 배기음을 저감하는 소음 기능과 배기가스 정화 기능의 양방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열판(28)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7)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39,40)의 적어도 일방에 부착해도 된다. 차열판을 전후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차열판에 한쌍의 머플러 스테이의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을 갖게 하고, 머플러의 진동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머플러를 기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동시에 차열판도 기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배기가 도입되는 머플러(4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엔진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7)으로부터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배관(21a)과, 상기 제 1 배관(21a)의 기체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배관(21b)이 연결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배관(21b)은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관(21b)은 상기 제 1 배관(21a)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7)을 덮는 보닛(47)보다 기체 폭방향 외측이고, 또한 플로어 스텝(60)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보다 기체 폭방향 내측의 위치에, 상기 머플러(43) 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열을 차단하는 차열판(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닛(47)에 덮여진 엔진 룸(54) 내에, 에어 클리너(73)와 상기 에어 클리너(73)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호스(80)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 호스(80)의 흡입구(81)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부분에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7)의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71)와 팬(7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라디에이터(71)와 상기 팬(72)의 일부가 측면에서 볼 때에 중복되지 않고,
    상기 흡입구(81)는 상기 팬(72)의 일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72)의 상부가 상기 라디에이터(7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량.
KR1020220100402A 2021-09-21 2022-08-11 주행 차량 KR20230042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3248 2021-09-21
JP2021153248A JP7406185B2 (ja) 2021-09-21 2021-09-21 田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553A true KR20230042553A (ko) 2023-03-28

Family

ID=8577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402A KR20230042553A (ko) 2021-09-21 2022-08-11 주행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06185B2 (ko)
KR (1) KR202300425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15A (ja) 2003-06-02 2004-12-24 Kubota Corp 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6816B2 (ja) * 2014-05-26 2017-11-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2985166B1 (en) * 2014-08-14 2017-08-02 CNH Industrial Italia S.p.A.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JP6558984B2 (ja) * 2015-07-06 2019-08-14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15A (ja) 2003-06-02 2004-12-24 Kubota Corp 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45063A (ja) 2023-04-03
JP7406185B2 (ja)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550A (en) Engine cooling system for skid steer loaders
JP5508609B1 (ja) モータグレーダ
JP6449021B2 (ja) 作業車
JP2001199251A (ja) 作業車の原動部冷却構造
JP3862674B2 (ja) 乗用型移植機
KR101968359B1 (ko) 농업용 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 조립체
JP2017226321A (ja) 作業車
KR20230042553A (ko) 주행 차량
JP4024515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エンジン関係構造
JP6032569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7327085B2 (ja) 作業車両
JP2020051424A (ja) 作業車
JP7366257B2 (ja) 転圧機械
KR102409457B1 (ko) 캐빈형 농작업차
JP7294070B2 (ja) 乗用芝刈機
JP7581785B2 (ja) 乗用芝刈機
JP3599479B2 (ja) 乗用型移植機
JP5513363B2 (ja) 作業機
JP2571757Y2 (ja) バックホーにおけるラジエータ用シロッコファンの駆動構造
CN115836611A (zh) 行驶车辆
JP7375667B2 (ja) 作業車両
EP4000369B1 (en) Riding lawn mower
JP2504663Y2 (ja) 移動農機のマフラ取付構造
JP4074402B2 (ja) バーチカルエンジン搭載作業車の冷却機構
EP4001605A1 (en) Riding lawn m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