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490A - 유체 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체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490A
KR20230042490A KR1020237006102A KR20237006102A KR20230042490A KR 20230042490 A KR20230042490 A KR 20230042490A KR 1020237006102 A KR1020237006102 A KR 1020237006102A KR 20237006102 A KR20237006102 A KR 20237006102A KR 20230042490 A KR20230042490 A KR 2023004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t
fluid separator
strik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키블러
페터 비싸크
슈펜 슈말츠리트
알렉산더 마타이스
토비아스 슈타르크
페터 바움가르틀
Original Assignee
셀센트릭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센트릭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셀센트릭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04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28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843Humidity; Water content of fuel cell exhau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적재된 가스 스트림을 위한 유체 분리기(17)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유체 분리기는 내부 용적부(21)를 포함하고, 내부 용적부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 및 분리된 유체를 위한 수집 영역(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집 영역(24) 내에 양호한 열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열전도 부재(30)가 배치되고, 이러한 열전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의 방향에서 내부 용적부(21) 내의 가스 스트림 안으로 돌출하고, 이때 타격 부재(23)는 열전도 부재(30)보다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분리기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서 더 상세하게 정의된 기술분야에 따르는, 유체가 적재된 가스 스트림을 위한 유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체 분리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체 분리기 또는 물 분리기는 기본적으로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기는 통상적으로 타격 부재를 포함하며, 유체가 적재된 가스 스트림은 이러한 타격 부재에서 유동 방향을 급격하게 변경함으로써, 유체가 분리되고 예컨대 중력으로 인하여 타격판에서 아래쪽으로 유동한다. 이에 해당하는 예시는 DE 31 09 240 A1에 설명되어 있다.
현재 유체 분리기는 주로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고,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는 연료 전지의 배기 가스로부터 물을 분리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통상적으로 연료 전지의 물 생성물인 이러한 물은 순도로 인하여 매우 잘 얼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략적인 녹는점 온도에서 부품 및/또는 유동 경로가 얼음에 의해 제기능을 못할 수 있음에 따라 이미 특히 연료 전지의 시동 문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DE 10 2007 023 417 A1에서 기술하는 물 분리기에서는, 전기적 가열 부재와 연결된 열전도 부재들을 통하여 필요시 물 분리기를 가열 및 해동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러한 해동 공정으로 필요시 해당 조립체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긴 하나, 구성적인 비용이 들고, 통상적으로 전기적 에너지 수요가 부가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이러한 시스템의 전체 에너지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고, 적어도 가동 중에는 얼음 형성의 위험을 감소시켜 효율적 운용을 보장하는 개선된 유체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제 1 항 및 본원에서 특히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유체 분리기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형성예들 및 발전예들은 제 1 항의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 10 항에서는 이러한 유체 분리기의 매우 바람직한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는 선행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를 구비한 내부 용적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격 부재에 대해 부가적으로, 용적부 내에는 분리된 유체를 위한 수집 영역이 배치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수집 영역은 규정에 따른 사용시 중력 방향에서 타격 부재의 아래에 위치하거나 타격 부재의 하부 영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분리된 유체가 수집 영역 내에 도달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 영역 내에 양호한 열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열전도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타격 부재의 방향에서 이러한 열전도 부재는 용적부 내의 가스 스트림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타격 부재 자체는 열전도 부재보다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유체 분리기에서와 마찬가지로, 타격 부재에서 유체가 분리된다. 유체는 예컨대 중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수집 영역 안으로 떨어지거나 흐른다. 수집 영역 내에는 유체와 접촉하여 열전도 부재가 위치하고, 열전도 부재는 수집 영역으로부터 가스 스트림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로 인하여 타격 부재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기능은 이때 유체 액적이 적재된 스트림이 타격 부재에 도달할 시 유체가 분리되고 아래쪽으로 적하된다는 것이다. 타격 부재의 열전도성이 오히려 불량함에 따라, 분리된 유체는 비교적 온기를 유지한다. 이후, 액적이 가급적 제거된 가스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전도 부재를 따라 유동하고 가스 스트림에 함유된 열을 열전도부재에 방출하며, 이러한 열전도 부재는 이러한 열을 수집 영역 및 이 위치에 수집된 유체 내에 도입시킨다. 즉, 열은 분리된 액적뿐만 아니라 열전도 부재로부터도 수집 영역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수집 영역은 외부의 가열이나 전기적 가열 부재와의 연결 없이, 가열 매질이 관류하는 열교환기 또는 보완적으로 물론 가능하고 고려할 수 있는 유사체 없이, 수동적으로 이미 매우 양호하게 가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체가 고형화되는 것, 예컨대 유체가 물인 경우, 얼음이 형성되는 것은 가급적 방지되거나 선행 기술의 구조물에 비해 적어도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의 매우 유리한 발전예에 따르면, 열전도 부재가 타격 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제공되는데, 이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가스 스트림의 대부분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가스 스트림이 열전도 부재와 접촉하고, 열이 열전도부재로 방출될 수 있다.
타격 부재에 이르기까지 돌출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이러한 구성 및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진 열전도성 부재 및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진 타격 부재를 포함하는 해당 형성방식은 수집 영역 안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하여 매우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연관하여, 가급적 전체 가스 용적 스트림이 열전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 열전도 부재가 물질 및 열전도성면에서 타격부재와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열전도부재의 총 길이가 타격 부재를 함께 포함할 때보다 현저히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짧은 구간을 거쳐 수집 영역 안으로 양호한 열 전달이 보장된다. 타격부재가 마찬가지로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구성된다면, 사전에 흡수되고 및/또는 액적에서 유출된 열은 도중에 이미 다시 가스 스트림으로 방출될 것이다. 따라서,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진 열전도 부재 및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진 타격 부재로 이루어진 전술한 구성에 비해, 수집 영역으로의 열 입력이 현저히 불량해질 것인데, 이러한 열 입력은 이러한 구성의 본질적인 목적이다. 특히, 해당 부재들이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에 따라 형성된다면, 수집 영역으로의 열 입력이 매우 유리해질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발전예에 따르면, 금속, 바람직하게는 양호한 열전도성의 금속 합금, 예컨대 알루미윰 합금으로 열전도부재가 제조되는 것이 제공된다. 타격 부재는 이에 상응하여 열전도 부재의 금속보다 현저히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이점이 이상적으로 활용된다.
열전도 부재가 타격 부재와 연결되는,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다른 변형예에서는, 열전도 부재가 2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 제공된다. 예컨대, 수집 영역의 구역에 배치되는 박판 및 이러한 열전도 박판과 타격 부재 사이의 연결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 부재는 예컨대 플러그- 또는 클리핑 연결을 통하여 타격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다른 형성예에서는, 열전도 부재 또는 전술한 실시 변형예에 따라 적어도 연결 부재가 하나 이상의 판재를 포함하고, 이러한 판재의 면적이 용적부의 관류 횡단부보다 작은 것이 더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전도 부재들로서 일체형 판재들을 갖추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판재들은 비교적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판재들은 전체 횡단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이 가스 유동을 위해 사용된다. 가스는 이러한 판재들을 따라 유동할 수 밖에 없고, 이에 상응하여 방향 전환되어, 유체 분리기로부터 흘러나온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열전도 부재의 판재들 안으로 이상적인 열 입력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판재들을 빙 둘러 유동하며 가스 스트림의 방향 전환이 수행됨에 따라 경우에 따라 여전히 남아있는 가스 내의 잔여 유체가 분리된다.
열전도 부재 또는 전술한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다시 열전도 부재의 연결 부재는 천공된 판재, 로드들, 격자 또는 유사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들은 한편으로 가스의 스트림 내에 배치될 수 있어, 가스의 열이 흡수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가스는 적절하게 투과되게 함으로써, 이러한 부재들이 전체 횡단부를 거의 "채울" 수 있음에 따라, 구성적으로도 간단하고 장착과 관련하여서도 간단해지며, 다른 한편으로 홀들, 격자 구조 또는 로드들 간의 간격에 의해 가스가 신뢰할만하게 통과할 수 있는데, 이러한 로드들은 서로 교차하고 교차점들에서 접촉하는 로드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다른 형성예에서는, 내부 용적을 빙 두른 유체 분리기의 하우징 및 타격 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조 및 조립면에서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예컨대, 타격 부재뿐만 아니라 하우징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출성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출성형 부품 내에 열전도부재가 예컨대 박판의 형상으로 끼워지거나 이러한 하우징 내에 고정 체결되어, 전술한 기능성을 충족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집 영역을 타격 부재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다른 형성예에서는, 정확히 하나의 타격 부재가 내부 용적부 내에 제공되는 것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단일의 타격 부재만을 포함하는 이러한 구조는, 적합한 구성에서, 예컨대 연료 전지 시스템의 애노드 회로 내에서 물을 분리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용도를 위해 충분하며 따라서 매우 간단하고 간결하며 제조면에서 비용 효과적인 구조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매우 유리한 다른 변형예에서는, 보완적으로, 수집 영역이 배출 밸브를 통하여 주변 또는 다른 부품과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밸브는, 특히 이러한 배출 밸브가 수집 영역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시, 경우에 따라서 유체 분리기 및 수집 영역에 통합되거나 적어도 열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시, 이를 통해 높은 열 용량을 가지며 비교적 크고 무거운 부품이 수집 영역에 배치된다는 또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마찬가지로 -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 열전도부재를 통한 가열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영역 내에서의 열을 특정한 정도까지 비축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또한, 유체는, 예컨대, 측정되거나, 모의실험으로부터 계산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산출된 충진 수위에 따라, 목적한 바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는 적절하게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구현 및 제조될 수 있다. 유체 분리기는 특히 이러한 유체 분리기가 통합된 설비의 운용 시 부가적인 가열 없이 외부의 역조건에서도 운용을 보장할 수 있는데, 유체가 수집되는 영역 안으로 열이 전도됨에 따라 이러한 유체의 응결이 가급적 배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예컨대 물, 특히 대략적인 녹는점에서의 온도에서 이미 동결에 매우 취약한 초순수에서도 적용된다.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 및 수집 영역의 가열에 의해, 그러한 동결은 신뢰할만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는 특히 물 분리기로서, 그리고 본원에서 특히 연료 전지의 물 생성물로서 순수가 생성되어 동결에 취약한 연료 전지의 배기 가스 스트림에서 물 분리기로서 적합하다. 연료 전지가 예컨대 차량의 연료 전지 시스템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차량에서 연료 전지가 전력을 조달한다면, 도중에 차량이 녹는점 아래의 온도에서 다다르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는 이와 같은 용도를 위해 매우 적합하나, 그 용도가 이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 및 그 용도에 관한 다른 유리한 형성예들은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를 물 분리기로서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갖춘 예시적 차량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리기의 가능한 구성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의 도면에서는 전력을 조달하고, 특히 차량을 위한 전기적 구동 출력을 조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2)을 포함할 수 있는 차량(1)이 매우 상당히 개략적으로 암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료 전지(3)는 연료 전지 시스템(2)의 코어를 형성하고, 연료 전지는 통상적으로 개별 전지들의 적층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이하에서 연료 전지 적층물 또는 연료 전지 스택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구조물은 예컨대 전해질로서 양성자 전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즉 소위 PEM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3)은 캐소드측(6)에서 공기 이송 설비(4), 예컨대 유동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이러한 공기는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급기 라인(5) 및 가스/가스-가습기(10)를 통하여 연료 전지 스택(3)의 캐소드측(6) 안으로 유동한다. 산소가 제거된 공기는 연료 전지 스택(3)의 캐소드측(6)으로부터 다시 가스/가스 가습기(10)를 통하여 배기 라인(7)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습기는 가습기(10)를 통하여 급기 라인(5)의 유입 공기에 배출된다. 배출 공기는 배기 터빈(8)에 도달하고, 배기 터빈에서 이러한 배출 공기가 완화되어 열에너지 및 압력 에너지가 회수된다. 전기 기계(11)는 한편으로 이러한 배기 터빈(8)과 상호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유동 압축기(4)와 상호 작용한다. 전기 터보차져(20) 또는 모터 지원 터보 차져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구조물은 연료 전지 시스템(2)의 효율적인 공기 공급을 위해 역할하며,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해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연료 전지 스택(3)의 애노드측(12)은 압력 가스 저장부(13)로부터 압력 조정- 및 도징 밸브(14)를 통하여 수소를 공급받는다. 미사용 수소는 재순환 라인(16)을 통하여 연료 전지 스택(3)의 애노드측(12)으로부터 다시 재순환 이송 설비로서의 가스 제트 펌프(15)에 도달하고, 신선 수소와 혼합되어 애노드측(12)에 다시 공급되는데, 신선 수소는 가스 제트 펌프(15)를 위한 추진 제트로서 역할한다. 이러한 가스 제트 펌프(15)에 대해 대안적 또는 보완적으로, 본원에서 재순환 송풍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재순환 라인(16) 내에 또는 애노드 루프로 지칭되는 미사용 수소의 재순환을 위한 구조물 내에는 이제 유체 분리기(17)가 위치하고, 유체 분리기는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배출 밸브(18)를 통하여 주변과 연결된다. 매우 양호하게는, 예컨대 배기 터빈(8)의 전방 또는 특히 후방에서 예컨대 배기 라인(7)에 연결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므로, 이 부분에서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이제, 이하에서는 특히 유체 분리기 또는 물 분리기(17)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의 도면에서는 이러한 분리기의 구조의 횡단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 분리기(17), 예컨대 플라스틱 소재의 사출성형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19로 표시된 하우징. 내부 용적부(21)를 포위하는 하우징(19)과 직접 접촉하여 배기 밸브(18)가 위치해 있다. 유체 분리기(17)의 기능성을 위해, 이제, 재순환 라인(16)과 스트림 상부에서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22) 다음으로 타격 부재(23)가 후속하는 것이 중요한데, 타격 부재는 재순환 라인(16)으로부터 유체가 적재된 가스 스트림을 위한 전체 횡단면을 차단한다. 이러한 타격 부재(23)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재순환 라인(16)으로부터 유입 개구부(22)를 통하여 내부 용적부(21) 안으로 유입되며 액적이 적재된 스트림은 이러한 타격 부재(23)에 부딪히고, 급격하게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스트림에 포함된 물은 타격 부재(23)에 모여서,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분리기(17)의 규정에 따른 사용시 중력(g)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떨어지며, 하우징(19)의 일부분을 따라 내부 용적부(21)의 가스 관류 부분 아래에서 이러한 용적부 내에 배치된 수집 영역(24) 안으로 떨어지며, 수집 영역은 배기 밸브(18)와 연결되어 있다. 유체가 완전히 또는 가급적 제거된 가스는 참조번호 25로 표시된 화살표를 따라 유체 분리기(17)의 내부 용적부(21) 및 배출 개구부(26)를 통하여 스트림 상부에서 다시 재순환 라인(16)으로 흘러 나간다.
수집 영역(24) 내에 그리고 화살표(25)를 따르는 가스 유동 방향에서 이러한 수집 영역보다 돌출하여,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열전도 부재(30)가 위치해 있다. 열전도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집 영역(24) 내에 배치되고 이 위치에 수집된 유체 안으로 돌출한 제1 박판(31)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유체는 본원에서 유체 레벨에 의해 암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박판(3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매우 양호한 열전도적으로 이러한 박판과 연결되고 예컨대 용접되는 연결 부재(32)는 타격 부재(23)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타격 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클리핑, 리벳팅, 나사 체결, 접착 등으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32)는 기본적으로 천공 박판, 특정 개수의 로드, 격자 또는 유사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내부 용적부(21)의 유동 횡단면을 가급적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판재로 구성된 구조물도 고려할 수 있다. 복수의 타격 부재(23)가 있을 시, 이에 상응하여 복수의 연결 부재(32) 또는 이러한 타격 부재들을 모두 함께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 부재(32)를 고려할 수 있다.
연결 부재(32) 및 부분적으로 열전도 부재(30)의 판재(31)는 화살표(25)를 따라 유동하는 가스 스트림의 열을 흡수한다. 타격 부재(23)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불량한 열전도성을 가짐에 따라 열이 액적 내에 잔류하는 것과 연관하여, 열 전도 부재(30)의 비교적 짧은 경로에서 열이 수집 영역(24) 안으로 도입되고, 더욱이 이미 유체 자체 내에 포함된 열에 대해 부가적으로 도입된다. 이는 유체 분리기 또는 물 분리기(17)의 운용 시 수집 영역(24) 내에서 유체의 매우 양호한 가열을 야기함에 따라, 얼음 형성 위험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유체가 적재된 가스 스트림을 위한 유체 분리기(17)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 및 분리된 유체를 위한 수집 영역(24)을 포함하는 내부 용적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영역(24) 내에는 양호한 열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열전도 부재(30)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의 방향에서 상기 내부 용적부(21) 내의 상기 가스 스트림(25) 안으로 돌출하고, 상기 타격 부재(23)는 상기 열전도 부재(30)보다 불량한 열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30)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30)는 박판 부재(3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를 위한 연결 부재(3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30)는 하나 이상의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는 상기 내부 용적부(21)의 관류 가능한 횡단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된 판재, 복수의 로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적부(21) 주위의 하우징(19)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 부재(23)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확히 하나의 타격 부재(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영역(24)은 배출 밸브(18)를 포함하거나 상기 배출 밸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 밸브를 통하여 상기 수집 영역(24)은 주변 또는 추가 부품과 스위칭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리기(17).
  10. 연료 전지 시스템(2)의 배기 가스 스트림에서 물 분리기로서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분리기(17)의 용도.
KR1020237006102A 2020-07-27 2021-07-26 유체 분리기 KR20230042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004533.2 2020-07-27
DE102020004533.2A DE102020004533A1 (de) 2020-07-27 2020-07-27 Flüssigkeitsabscheider
PCT/EP2021/070779 WO2022023231A1 (de) 2020-07-27 2021-07-26 Flüssigkeitsabschei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490A true KR20230042490A (ko) 2023-03-28

Family

ID=7741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102A KR20230042490A (ko) 2020-07-27 2021-07-26 유체 분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56369A1 (ko)
EP (1) EP4188578B1 (ko)
JP (1) JP2023535375A (ko)
KR (1) KR20230042490A (ko)
CN (1) CN116133733A (ko)
DE (1) DE102020004533A1 (ko)
WO (1) WO20220232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9240A1 (de) 1980-06-04 1982-03-18 Hans 8045 Zürich Landolt Abscheider
DE102007023417A1 (de) 2007-05-18 2008-11-20 Daimler Ag Heizvorrichtung für Kondensatableiter
DE102012023682A1 (de) * 2012-12-04 2014-06-05 Daimler Ag Flüssigkeitsabscheid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KR101562119B1 (ko) * 2014-02-26 2015-10-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분 제거 장치
EP2905158B8 (de) * 2015-04-24 2018-08-22 Weidplas GmbH Kraftfahrzeug mit einem als wärmetauscher ausgebildeten wasserkasten
KR102063748B1 (ko) * 2018-03-21 2020-01-13 주식회사 케이에프에너지 텐터 설비용 폐열 회수 및 분진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8578B1 (de) 2024-04-24
EP4188578A1 (de) 2023-06-07
JP2023535375A (ja) 2023-08-17
DE102020004533A1 (de) 2022-01-27
US20230256369A1 (en) 2023-08-17
WO2022023231A1 (de) 2022-02-03
CN116133733A (zh)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440B2 (ja) 水直噴型燃料電池システム
US10991958B2 (en) Gas and water discharge unit for fuel cell system
US9882230B2 (en) Fuel cell stack
US8241806B2 (en) Fuel cell system
JP200001205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60147773A1 (en) Heat and humidity exchanger
US11018354B2 (en) Fuel cell system
CA2913951A1 (en) Integrated gas management device for a fuel cell system
US7267900B2 (en) Fuel cell system
KR102609395B1 (ko) 연료전지용 가습냉각 장치
JP6861141B2 (ja) 気液分離器
KR20230042490A (ko) 유체 분리기
CN212991156U (zh) 电池热交换装置及电池热管理系统
US9831509B2 (en) Separating device for a fuel cell system, fuel cell system with the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parating device
JP2002522891A (ja) 空冷式燃料電池の廃熱を利用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003072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0129482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192996A (ja) 燃料電池装置
KR102595244B1 (ko) 연료전지용 가습냉각 장치
US20220376281A1 (en)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fuel cell system having same
JPH01146268A (ja) 積層形燃料電池
JP547431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CN117042864A (zh) 用于从气流中分离和收集水的装置,燃料电池系统以及用于运行燃料电池系统的方法
JP4553004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536699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