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190A - 드릴 - Google Patents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190A
KR20230041190A KR1020210124500A KR20210124500A KR20230041190A KR 20230041190 A KR20230041190 A KR 20230041190A KR 1020210124500 A KR1020210124500 A KR 1020210124500A KR 20210124500 A KR20210124500 A KR 20210124500A KR 20230041190 A KR20230041190 A KR 2023004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ning
drill
main
inclined surfac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883B1 (ko
Inventor
임효준
손홍승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8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23B2251/082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 중심부의 강성과 중심부 칩 배출을 향상시키는 씨닝 형상을 적용하고, 센터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릴 중심부 선단각을 뾰족하게 하여 고속의 이송속도에서도 씨닝부의 내파손성과 센터링을 우수하게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드릴은 치즐날, 직선부와 곡선부를 갖는 씨닝날 및 메인 절삭날이 구비된 절삭날, 상기 메인 절삭날과 접하는 플루트, 직선 여유면과 곡선 여유면을 포함하는 여유면 및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갖는 메인 씨닝부와 경사면을 갖는 제1 보조 씨닝부 및 제2 보조 씨닝부가 구비된 씨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릴{DRILL}
본 발명은 개선된 인선형상을 갖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덱서블 드릴의 선단부 절삭날은 회전축과 하나의 각을 가지는 선단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선단각의 크기에 따라 홀 가공 시 추진력, 센터링, 버의 크기 등이 결정된다.
즉, 종래의 드릴은 드릴 중심부의 절삭부하를 줄이고, 센터링을 향상시키며, 칩 처리를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씨닝 형상을 갖추고 있다.
드릴 가공에서 고속의 이송속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드릴의 센터링과 드릴 중심부의 강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릴은 중심부에서의 선단각이 둔각이고, 씨닝부의 내접각이 작아서 고속 및 고이송 조건에서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절삭조건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4754호(발명의 명칭: 인덱서블 드릴, 2019. 02. 1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983호(발명의 명칭: 드릴, 2020. 08. 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드릴 중심부의 강성과 중심부 칩 배출을 향상시키는 씨닝 형상을 적용하고, 센터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릴 중심부 선단각을 뾰족하게 하여 고속의 이송속도에서도 씨닝부의 내파손성과 센터링을 우수하게 하는 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은 치즐날, 직선부와 곡선부를 갖는 씨닝날 및 메인 절삭날이 구비된 절삭날, 상기 메인 절삭날과 접하는 플루트, 직선 여유면과 곡선 여유면을 포함하는 여유면 및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갖는 메인 씨닝부와 경사면을 갖는 제1 보조 씨닝부 및 제2 보조 씨닝부가 구비된 씨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씨닝날 직선부는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직선 여유면과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이 만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씨닝날 곡선부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된 상기 곡선 여유면과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1 경사면이 만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씨닝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 보다 양의 값을 갖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씨닝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1 경사면 후방에 형성되어 포인트부의 칩 배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에 따르면, 드릴 중심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씨닝 형상과 센터링을 향상시키기 위한 뾰족한 드릴 중심부 선단각을 적용하여 고속의 이송속도의 조건에서도 우수한 드릴의 성능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드릴의 씨닝날 강도를 향상시키고, 칩 형상을 더욱 작게 만들어 칩 배출성을 향상시키며, 절삭부하 및 떨림을 감소시킴으로써 드릴의 절삭조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씨닝날 회전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씨닝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씨닝날 회전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씨닝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릴(1)은 절삭날(10), 플루트(20), 여유면(30) 및 씨닝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1)은 중심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씨닝 형상을 적용하고, 드릴(1)의 센터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릴(1) 중심부의 선단각을 뾰족하게 성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릴(1)의 절삭날(10)은 치즐날(11), 직선부(12a)와 곡선부(12b)를 갖는 씨닝날(12) 및 메인 절삭날(13)을 구비하고, 상기 플루트(20)는 메인 절삭날(13)과 접하며, 상기 여유면(30)은 직선 여유면(31)과 곡선 여유면(32)을 포함하고, 상기 씨닝부(40)는 제1 경사면(41a)과 제2 경사면(41b)을 갖는 메인 씨닝부(41)와 경사면을 갖는 제1 보조 씨닝부(42) 및 제2 보조 씨닝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릴(1)은 중심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씨닝 형상과 센터링을 향상시키는 뾰족한 드릴 중심부 선단각을 적용함으로써 고속의 이송속도의 조건에서도 드릴의 우수한 성능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씨닝날 곡선부(12b)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된 여유면(30)과 오목한 메인 씨닝부(41)의 제1 경사면(41a)이 만나 형성함으로써 포인트 강성 및 센터링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닝날(12)의 회전단면에서 상기 씨닝날 직선부(12a)의 내각(A°)이 상기 씨닝날 곡선부(12b)의 내각(B°) 보다 5°범위 이내로 작을 수 있다. 상기 씨닝날 직선부(12a)는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직선 여유면(31)과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2 경사면(41b)이 만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2 경사면(41b)은 -5°~ 5°의 각도 범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씨닝날 직선부(12a)는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 여유면(31)과 -5°~ 5°의 각도 범위를 갖는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제2 경사면(41b)이 만나 형성함으로써 씨닝날(12)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드릴(1)에서 배출되는 칩형상을 더욱 작게 만들어 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씨닝날 곡선부(12b)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된 상기 곡선 여유면(32)과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축(c)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1 경사면(41a)이 만나 형성될 수 있다(b >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 씨닝부(42)는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2 경사면(41b)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2 경사면(41b) 보다 양의 값을 갖는 각도(E°> D°)로 형성되는 바, 상기 제1 보조 씨닝부(42)는 메인 씨닝부(41)의 제2 경사면(41b)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제2 경사면(41b) 보다 양의 값으로 큰 보조 씨닝부 경사면(44)을 포함함으로써 절삭부하를 감소하고,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조 씨닝부(43)는 상기 메인 씨닝부(41)의 상기 제1 경사면(41a) 후방에 형성되어 포인트부의 칩 배출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드릴(1) 구조는 드릴 중심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씨닝 형상과 센터링을 향상시키기 위한 뾰족한 드릴 중심부 선단각을 적용하여 고속의 이송속도의 조건에서도 우수한 드릴(1)의 성능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1)의 씨닝날(12) 강도를 향상시키고, 칩 형상을 더욱 작게 만들어 칩 배출성을 향상시키며, 절삭부하 및 떨림을 감소시킴으로써 드릴(1)의 절삭조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드릴
10: 절삭날
11: 치즐날
12: 씨닝날
12a: 직선부
12b: 곡선부
13: 절삭날
20: 플루트
30: 여유면
31: 직선 여유면
32: 곡선 여유면
40: 씨닝부
41: 메인 씨닝부
41a: 제1 경사면
41b: 제2 경사면
42: 제1 보조 씨닝부
43: 제2 보조 씨닝부
44: 보조 씨닝부 경사면

Claims (5)

  1. 치즐날, 직선부와 곡선부를 갖는 씨닝날 및 메인 절삭날이 구비된 절삭날;
    상기 메인 절삭날과 접하는 플루트;
    직선 여유면과 곡선 여유면을 포함하는 여유면; 및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갖는 메인 씨닝부와 경사면을 갖는 제1 보조 씨닝부 및 제2 보조 씨닝부가 구비된 씨닝부; 를 포함하는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닝날 직선부는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직선 여유면과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이 만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닝날 곡선부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된 상기 곡선 여유면과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1 경사면이 만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씨닝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2 경사면 보다 양의 값을 갖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씨닝부는 상기 메인 씨닝부의 상기 제1 경사면 후방에 형성되어 포인트부의 칩 배출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KR1020210124500A 2021-09-17 2021-09-17 드릴 KR10254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0A KR102544883B1 (ko) 2021-09-17 2021-09-17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0A KR102544883B1 (ko) 2021-09-17 2021-09-17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190A true KR20230041190A (ko) 2023-03-24
KR102544883B1 KR102544883B1 (ko) 2023-06-21

Family

ID=8587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00A KR102544883B1 (ko) 2021-09-17 2021-09-17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8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659A (ko) * 2008-05-09 2009-11-12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드릴 본체
KR101964754B1 (ko) 2017-08-09 2019-04-03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KR20200096983A (ko) 2017-12-26 2020-08-14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드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659A (ko) * 2008-05-09 2009-11-12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드릴 본체
KR101964754B1 (ko) 2017-08-09 2019-04-03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KR20200096983A (ko) 2017-12-26 2020-08-14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883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219B1 (en) Drill
WO2010050391A1 (ja) ボールエンドミル
US5829927A (en) Drill and throwaway tip
CN1556734A (zh) 钻头的切削尖端
CN1120325A (zh) 屑片切削工具
EP2193004B1 (en) Cutting head of a reamer
US20110067927A1 (en) Drill Head for Deep-Hole Drilling
KR102544883B1 (ko) 드릴
JP3988659B2 (ja) ドリル
JP5549080B2 (ja) ドリル
EP3957421A1 (en) Drill
JP2006231430A (ja) センタリング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加工方法
WO2022162774A1 (ja) ドリル
JP455438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11992887B2 (en) Drill
US11858053B2 (en) Cutting tool
JP2005246492A (ja) ラジアスエンドミル
JP2003039218A (ja) 深穴用ドリル
JP2002079408A (ja) 段付きドリル
JP4449355B2 (ja) ドリル
JP2005022012A (ja) ドリル
CN117957081A (zh) 钻头
CN116061263A (zh) 一种软材料用钻头
JP2005279899A (ja) エンドミル
CN113490566A (zh) 可转位刀片式钻头、切削刀片及钻头主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