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400A -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400A
KR20230040400A KR1020210122984A KR20210122984A KR20230040400A KR 20230040400 A KR20230040400 A KR 20230040400A KR 1020210122984 A KR1020210122984 A KR 1020210122984A KR 20210122984 A KR20210122984 A KR 20210122984A KR 20230040400 A KR20230040400 A KR 2023004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terminal
user
serv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169B1 (ko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혁 filed Critical 정혁
Priority to KR102021012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400A/ko
Priority to KR1020240034358A priority patent/KR2024003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목적지로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 상기 요청된 목적지로 이동을 위한 차량 내의 운전자의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각각 설치된 목적지 안심 이동 서비스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roviding safe travel service}
본 발명은 여행객에게 안심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내, 해외로 여행을 가는 사람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행객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여행지의 정보와 주의사항 등도 많이 공유되고 있지만, 이러한 정보들이 여행객의 안전을 항상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해외로 여행을 가는 경우 여행객이라는 이유로 불합리한 대우를 받거나 차별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해외 여행지에서도 각종 정보들을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본인의 여행 일정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직까지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7032호, (2020.04.0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행객에게 안심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난수코드와 운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시동 단어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수코드의 유효성 검증과 검색을 통해서 목적지를 검색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로 제공하여 목적지로 설정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차량의 경로를 수신하여 경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목적지를 향하여 제대로 운행하고 있는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목적지로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 상기 요청된 목적지로 이동을 위한 차량 내의 운전자의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각각 설치된 목적지 안심 이동 서비스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인 시동 문자 및 상기 목적지에 대응되는 난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시동 문자 및 상기 난수코드를 출력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시동 문자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난수코드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난수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난수코드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목적지에 대한 상기 차량의 경로를 수신하여 상기 경로의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적합도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합도는 절대 수치 및 상대 수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여행중인 국가 또는 도시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의 안전도, 상기 내비게이션의 경로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범죄율과 현재 시간의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의 위험성을 의미하는 상기 절대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목적지로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 사고 발생 여부, 공사 진행 여부 및 러시아워(rush hour)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의 선택에 대한 타당성을 의미하는 상기 상대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적합도의 수치가 기 설정된 위험 단계별로 상승함에 따라 기 설정된 경고를 제공하며, 상기 차량이 이전 경로를 되돌아 가거나, 목적지와 관련 없는 곳으로 향하는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여 상기 위험 단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녹음 내용 분석 기능을 턴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녹음 내용 내에 기 설정된 위험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위험 단어에 따라 상기 위험 단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운전자 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운전자 ID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상기 운전자 단말의 위치의 일치성을 검증하고, 상기 운전자 ID가 유효하고, 상기 위치의 일치성이 검증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1일 단위 내 복수의 방문지 정보와 각 방문지의 예상 체류 시간을 입력 받고, 현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 각 방문지에 체류한 후 해당 시점에서 해당 방문지에서 다른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여행 경로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방문지 각각에 대하여 방문지 내 방문객 수에 따른 여행 취향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산출된 소요시간 및 상기 입력된 여행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며 상기 사용자의 여행 취향을 반영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여행 경로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목적지에 대응되는 난수코드와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인 시동 문자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시동 문자 및 상기 난수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시동 문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난수코드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난수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난수코드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지에 대한 난수코드와 운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시동 단어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수코드의 유효성 검증과 검색을 통해서 목적지를 검색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로 제공하여 목적지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임의로 목적지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차량의 경로를 수신하여 경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목적지를 향하여 제대로 운행하고 있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사용자의 여행 스케쥴에 따른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호텔을 검색해주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복수의 목적지에 대한 방문 순서를 스케줄링 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여행객을 의미하며, 여행지는 국내, 해외 어디든 해당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여행객용 애플리케이션과 운전자용 애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로그인 하는 회원정보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된 것은 제1 애플리케이션이고, 운전자의 단말(300)에 설치된 것은 제2 애플리케이션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운전자 단말(300)과 통신한다.
하지만, 서버(100)가 통신하는 것이 사용자 단말(200), 운전자 단말(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각종 외부 서버(100)로부터 교통정보, 기상정보 등과 같이 여행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가 보호자 단말을 설정해 놓았을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태에 처한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여행 일정, 목적지, 방문 예정지 등을 입력 받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각종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30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애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300)에 설치된 다른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턴온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목적지를 설정하고 운전자 단말(300)의 실시간 위치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통신수단과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예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은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마찬가지로 운전자 단말(300)이 수행하는 것은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입출력부(140)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하여 시동 문자, 난수코드,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120)는 다수의 외부 서버(100)와 통신하여 국가별, 지역별 범죄율, 범죄 기록, 교통 정보, 기상 정보, 호텔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 또는 운전자 단말(300) 자체에서 실행이 필요한 경우 해당 알고리즘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 운전자 단말(300) 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베이스(130) 내 명령어,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서버(100) 내 구성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입출력부는 관리자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입력 받거나, 각종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알림/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위험 단계가 매우 위험한 단계가 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부를 통해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진위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단말(200) 내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S105)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 받는다. (S110)
도 5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도 5와 같은 여행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여행 일정을 입력하고, 각각의 여행 일정에서의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여행 일정 중에 하루 중에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이동이 필요한 경우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용자 단말(200) 또는 운전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이 확인되면, 인터페이스 내 스피커 아이콘을 도착을 지시하는 아이콘(예: 깃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신고하기 기능, 녹음 시작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목적지에 대응되는 난수코드와 운전자 단말(300)에 설치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인 시동 문자를 생성한다. (S120)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동 문자와 난수코드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S120에서 생성된 시동 문자 및 난수코드를 출력한다. (S130)
일 실시예로, 도 5의 인터페이스 내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목적지를
운전자 단말(300)이 S13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된 시동 문자를 인식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S14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동 문자는 운전자 단말(30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Yes Trip"과 같은 특정 단어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시동 문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국가, 지역 등의 특색이 반영되도록 시동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여행 중 또는 여행이 끝난 후에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기부 또는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부 또는 투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진행할 수도 있고, 다른 루트를 통해서 진행할 수도 있다.
S120에서 서버(100)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부(투자) 금액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시동 단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부(투자) 금액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서로 다른 시동 단어가 설정될 수 있다.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시동 단어를 듣고 사용자가 해당 국가/지역에 얼마만큼 기부(투자)를 했는지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운전자 단말(300)은 시동 단어가 인식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난수코드를 인식할 준비를 한다.
일 실시예로, S130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의 음량 크기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설정하고 시동 문자 및 난수코드를 출력한 후, 사용자 단말(200)의 음량 크기를 원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난수코드를 인식할 준비를 하기 위해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시동 문자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난수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시동 문자와 난수코드를 복수 회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시동 문자와 난수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알고리즘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 내에 알고리즘을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시동 문자와 난수코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300)에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시동 문자를 출력한 이후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 단말(300)에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난수코드 대신에 목적지를 현지어로 출력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300)이 인식된 난수코드를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00)로 전송한다. (S150)
서버(100)가 S140에서 수신된 난수코드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한다. (S160)
서버(100)가 S150에서 검색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S170)
일 실시예로, 운전자 단말(300)은 서버(100)로 난수코드와 운전자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운전자 단말(300)로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며, 운전자는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 또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운전자 단말(300)로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 또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임의로 목적지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지 설정에 대한 셋팅은 다양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사용자의 여행 스케쥴에 따른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호텔을 검색해주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여행 일정과 서로 다른 복수의 예상 방문지가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호텔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호텔을 검색하고 추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은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상 방문지들의 방문 순서, 예상 방문지들의 위치 정보, 사용자가 원하는 호텔의 등급, 사용자가 원하는 호텔의 객실 크기, 요금 등이 조건에 해당될 수 있다.
서버(100)는 이러한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호텔을 검색하여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1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직접 호텔을 선택하고 예약 페이지로 이동하여 호텔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호텔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 기 설정된 혜택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호텔 예약/검색 사이트에서 호텔을 예약하며, 이 과정에서 호텔을 선택하는 기준 중 하나가 사용자의 이동의 편리함이다.
호텔 예약/검색 사이트에서는 사용자의 여행 일정에 따른 이동 동선을 모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여행 일정, 여행 동선에 따른 최적화된 호텔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여행 일정, 예상 방문지, 이동 동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호텔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목적지에 대한 차량의 경로를 수신하여 경로의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도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운전자 단말(300)의 내비게이션 내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200) 또는 운전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목적지에 대한 차량의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적합도는 절대 수치 및 상대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여행중인 국가 또는 도시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의 안전도, 내비게이션의 경로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범죄율과 현재 시간의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의 위험성을 의미하는 절대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국가별, 도시별 범죄 발생률에 기초하여 안전도 수치를 산출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100)에서 안전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공기관의 서버(100)로부터 국가별, 도시별 범죄 위치, 그리고 위치/지역별 유동인구 정보를 로딩함으로써 절대 수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되는 수치는 현재의 특정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절대적인 수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목적지로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 사고 발생 여부, 공사 진행 여부 및 러시아워(rush hour)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경로의 선택에 대한 타당성을 의미하는 상대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목적지로 특정 경로를 선택하여 이동중일 때, 해당 경로를 선택한 것이 다른 경로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경우, 공사가 진행중인 경우, 러시아워 중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경로를 선택한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아무런 조건에도 해당하지 않고 오히려 현재 이동 중인 경로가 다른 경로보다 안좋은 선택에 해당하는 경우, 경로 선택의 적합도가 떨어지게 된다.
프로세서(110)는 적합도의 수치가 기 설정된 단계별로 상승함에 따라 기 설정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단계는 적합도 수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차량이 이전 경로를 되돌아 가거나, 또는 목적지와 관련 없는 위치로 향하는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여 위험 단계를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1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현재 경로가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2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현재 경로가 위험하는 알림을 제공하고, 3단계에서 현재 경로가 매우 위험하다는 알림을 제공하고, 4단계에서 보호자 단말, 서버(100)의 관리자 및 신고 센터(여행객 신고 센터, 경찰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신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S150에서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운전자 ID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운전자 ID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운전자 단말(300)의 위치의 일치성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운전자 ID가 유효하고, 위치의 일치성이 검증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200)로 안전 신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해당 운송 수단의 운전자에 대한 안전 상태를 확인한 후에 탑승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S170에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 단말(3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200)의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녹음 내용 분석 기능을 턴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녹음 내용 분석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녹음 내용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녹음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녹음 내용 내에 기 설정된 위험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위험 단어에 따라 위험 단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운전자가 다른 사람과 통화하거나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위험한 인물임을 의미하거나 사용자를 위협하는 단어가 포함된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여 위험 단계를 상승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위험 단어가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녹음된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자가 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서버(100)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분석한 결과, 이동 경로의 적합도가 매우 낮게 산출되었고, 녹음 내용에서 위험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매우 위험한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복수의 목적지에 대한 방문 순서를 스케줄링 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에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1일 단위 내 복수의 방문지 정보와 각 방문지의 예상 체류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 각 방문지에 체류한 후 해당 시점에서 해당 방문지에서 다른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산출된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여행 경로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늘 A, B, C의 방문지를 순차적으로 방문하여 하루 일정을 보내려고 계획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A, B, C를 순차적으로 방문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지만, 출근 시간, 사고 발생, 공사 진행 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서 실제 소요시간은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회사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아침 시간대에 현재 위치에서 A로 이동하는 것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각 방문지에 대한 예상 체류 시간과 각 방문지 간의 거리와 시간대별 교통 혼잡도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경로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사용자에게 이동 경로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는 여행 경로를 추천해줄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방문지 각각에 대하여 방문지 내 방문객 수에 따른 여행 취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산출된 소요시간 및 입력된 여행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며 사용자의 여행 취향을 반영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여행 경로를 제안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는 이동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여행지 내 유동인구까지 고려하여 경로를 추천받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는 A 방문지는 사람이 많은 시간에 방문해도 되지만, C 방문지는 사람이 적을 때 방문을 원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정보까지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통역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현지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번역 대상 언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번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은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랙박스 기능은 여행지에서 사고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추적 기능을 의미한다.
블랙박스 기능은 GPS 정보 추적 저장, 음성 녹음 및 위험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인식 기능,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고, 사용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기능, 사용자 단말(200)에 위험신호를 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 서버(100)로 전송된 위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기능은 여행 전에 추가로 가입할 수 있으며, 각종 여행자 보험상품과 연계되어 서비스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기능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 모든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고, 위험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만 서버(100)로 전송되어 상세한 분석이 요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블랙박스 기능이 실행되면 가속센서와 중력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애플리케이션은 블랙박스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200) 내 가속센서와 중력센서를 턴온(Turn On)하고, 가속센서와 중력센서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감시한다.
이때, 제1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되어 사용자 단말(200) 내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이상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이상상태는 충격, 낙하, 낙상 등 다양한 이상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금일 스케쥴이 시작된 것이 인식되면 GPS 추적 기능을 턴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설정된 스케쥴이 시작되면 음성 녹음/인식 기능을 턴온하며, 위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위험신호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 즉 제1 애플리케이션이 위험을 인식하여 위험신호를 추출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단어가 추출되었을 때에 해당될 수도 있지만,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스케쥴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GPS 정보에서 판단하여 위험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배터리의 잔량 체크, 진동, 충격 등을 인식하여 보호 모드 단계별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보호모드의 단계별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사용자의 위험 단계가 최상위 단계에 해당되는 경우, 서버(100)는 비상연락망에 저장된 지인에게 연락, 신고하고, 여행지 현지의 대사관, 경찰서 등에 자동으로 신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NPC를 등장시키고, NPC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각종 맞춤형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NPC는 사용자에게 각종 맞춤형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매개 수단으로, AI 비서와 같은 개념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아바타의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 준비 단계부터 여행 시작 단계, 여행 중, 여행 마무리 단계까지 각각의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정보들을 제공하게 된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여행 단계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질문에 응답할 수 있는 챗봇 기능을 제공하며, 블랙박스 기능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이상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안위를 묻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이상상태는 사운드, 가속센서, 중력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험상태, 기 설정된 여행 경로를 벗어나는 상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 전 준비 단계에서 항공권 예약, 호텔 예약, 공항 이용, 도착지 공항 입국 심사 과정, 방문 국가의 관광지 정보, 주의사항 안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 시작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GPS 신호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여행지 스케줄의 단계별로 자동으로 안내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에서 출발한 것이 감지되면, 공항 버스를 탑승해야 하는 위치, 혹은 공항까지 이동할 수 있는 다른 교통 수단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가 공항에 도착한 것이 감지되면,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행기 편에 맞는 체크인 카운터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으며, 출국 심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 스케줄에 설정된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이전에 방문한 다른 사용자들의 방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가 내일 A라는 지역을 방문할 예정인 경우, 이전에 A 지역을 방문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A 지역 내에서 주로 방문한 장소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NPC를 이용하여 챗봇 기능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경우 NPC를 통해서 대화와 질문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의 여행 일정과 예상 방문지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맞춤형 상품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때 맞춤형 정보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플랫폼과 연계되어 있는 각종 제휴 상품, 서비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가 B 지역을 방문할 예정이고, B 지역에서 C 식당이 유명한 경우, NPC를 이용하여 C 식당과 C 식당의 메뉴가 유명하고 인기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블랙박스 기능의 이상상태 감지 알림을 NPC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의 여행 끝 단계(여행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자가 여행 일정 동안 찍은 사진과 이동 경로의 맵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사진을 생성하고, 이를 NPC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100)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110, 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입출력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운전자 단말

Claims (10)

  1. 목적지로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
    상기 요청된 목적지로 이동을 위한 차량 내의 운전자의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각각 설치된 목적지 안심 이동 서비스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인 시동 문자 및 상기 목적지에 대응되는 난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시동 문자 및 상기 난수코드를 출력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시동 문자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난수코드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난수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난수코드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목적지에 대한 상기 차량의 경로를 수신하여 상기 경로의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적합도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도는 절대 수치 및 상대 수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여행중인 국가 또는 도시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의 안전도, 상기 경로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범죄율과 현재 시간의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의 위험성을 의미하는 상기 절대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목적지로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 사고 발생 여부, 공사 진행 여부 및 러시아워(rush hour)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의 선택에 대한 타당성을 의미하는 상기 상대 수치를 산출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적합도의 수치가 기 설정된 위험 단계별로 상승함에 따라 기 설정된 경고를 제공하며,
    상기 차량이 이전 경로를 되돌아 가거나, 목적지와 관련 없는 곳으로 향하는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여 상기 위험 단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녹음 내용 분석 기능을 턴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녹음 내용 내에 기 설정된 위험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위험 단어에 따라 상기 위험 단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운전자 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운전자 ID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상기 운전자 단말의 위치의 일치성을 검증하고,
    상기 운전자 ID가 유효하고, 상기 위치의 일치성이 검증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전 신호를 제공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1일 단위 내 복수의 방문지 정보와 각 방문지의 예상 체류 시간을 입력 받고,
    현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 각 방문지에 체류한 후 해당 시점에서 해당 방문지에서 다른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요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여행 경로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방문지 각각에 대하여 방문지 내 방문객 수에 따른 여행 취향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산출된 소요시간 및 상기 입력된 여행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며 상기 사용자의 여행 취향을 반영하는 스케쥴을 생성하여 여행 경로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이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목적지에 대응되는 난수코드와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인 시동 문자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시동 문자 및 상기 난수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시동 문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난수코드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난수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난수코드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9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22984A 2021-09-15 2021-09-15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64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84A KR102648169B1 (ko) 2021-09-15 2021-09-15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0240034358A KR20240036546A (ko) 2021-09-15 2024-03-12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84A KR102648169B1 (ko) 2021-09-15 2021-09-15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358A Division KR20240036546A (ko) 2021-09-15 2024-03-12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00A true KR20230040400A (ko) 2023-03-23
KR102648169B1 KR102648169B1 (ko) 2024-03-15

Family

ID=85799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84A KR102648169B1 (ko) 2021-09-15 2021-09-15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0240034358A KR20240036546A (ko) 2021-09-15 2024-03-12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358A KR20240036546A (ko) 2021-09-15 2024-03-12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81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02A (ko) * 2009-09-07 2011-03-15 김동수 선불제 택시의 운영 방법
KR20140113808A (ko) * 2013-03-14 2014-09-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1095A (ko) * 2013-12-17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기반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9265A (ko) * 2015-07-16 2017-01-25 황민섭 유아 및 어린이용 블랙박스 장치,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7032A (ko) 2018-09-28 2020-04-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여행 안전 지수 산출 방법
KR20200107763A (ko) * 2019-03-06 2020-09-16 (주)무브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02A (ko) * 2009-09-07 2011-03-15 김동수 선불제 택시의 운영 방법
KR20140113808A (ko) * 2013-03-14 2014-09-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1095A (ko) * 2013-12-17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기반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9265A (ko) * 2015-07-16 2017-01-25 황민섭 유아 및 어린이용 블랙박스 장치,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7032A (ko) 2018-09-28 2020-04-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여행 안전 지수 산출 방법
KR20200107763A (ko) * 2019-03-06 2020-09-16 (주)무브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546A (ko) 2024-03-20
KR102648169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9282B1 (en) Driver behavior based parking availability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10830598B2 (en) Navigating to a moving target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CN106776900B (zh) 出行方法和装置
US100321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ed acquisition
US20080033644A1 (en) Navigation Routing System Having Environmentally Triggered Routing
CN108665234B (zh) 用户行为激励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2145592A (ja) 旅行計画方法、システム及び論理プログラム
CN112163063B (zh) 生成高精度地图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3222305A (ja) 緊急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826041B1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JPWO2004077872A1 (ja) 実行支援システム及び実行支援方法
CN115240404A (zh) 振动编码方法、振动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23107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ual recommendations
KR102648169B1 (ko) 안심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344990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JP62828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691203A (zh) 一种城市道路泊位诱导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186783B1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3657632A (zh) 异常驾驶行为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985409B (zh) 视力障碍者的导航方法及相关装置
KR102481531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77450B1 (ko) 서버기반의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201779A1 (ja) 経路情報提供装置、経路情報提供システム、経路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6486235B2 (ja) 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ガイド情報提供方法
CN111246442B (zh) 一种为移动设备设置蓝牙标识的提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