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48A -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 Google Patents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48A
KR20230040248A KR1020220022446A KR20220022446A KR20230040248A KR 20230040248 A KR20230040248 A KR 20230040248A KR 1020220022446 A KR1020220022446 A KR 1020220022446A KR 20220022446 A KR20220022446 A KR 20220022446A KR 20230040248 A KR20230040248 A KR 2023004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plate
awning
arched
valleys
pea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숙
Original Assignee
차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숙 filed Critical 차경숙
Priority to KR102022002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248A/ko
Publication of KR202300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formed in bays, e.g. sawtooth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21D13/045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the corrugations being parallel to the fee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산과 골이 형성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설치 구조의 용도는 축사, 양식장, 야외 공연장, 야외 스포츠 시설, 교통시설 임시 대기실, 상가건물, 간이 건물, 창고 등 모든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과 골이 형성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설치 구조는 함석판에 하부에 함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보강재가 구비될 필요가 없고, 함석판의 좌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인 우수로프레임과 상기 우수로프레임을 지지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역할을 하는 주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평면 함석판은 합금강판에 아연을 도금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Arched sunshade using a color galvanized iron sheet with frame-formed}
본 발명은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과 골이 구비된 평면 칼라 함석판을 플레이트 굴곡 벤딩 장치에 의해 아치형상으로 굴곡시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제작하고,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조합에 의해 차양 지붕이 완성된다.
아치형 칼라 함석판은 그 자체만으로도 강도가 높아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조합으로 제작된 아치형 차양 지붕은, 아치형 차양 지붕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아치형 차양 지붕 중간부분 하측을 직접 지지하는 보강재 또는 지지대의 설치 필요 없이,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하는 주프레임과 견고한 우수로통로, 우수로 통로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누수를 방지하는 우수로 통로의 특수한 구조 등으로 이루워진 것으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형성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평면 함석판은 강도 및 연성이 높은 합금강판 표면에 아연을 도금한 함석판을 이용하고 있어,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강도 및 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종래발명인 특허문헌 1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제 지붕 재료(10)로 지붕을 덮은 PC수지제 차양 지붕이 개시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PC수지제 지붕재료(10)는 내후성(耐候性), 내충격성, 투명성이 뛰어나고, 채광 가능한 지붕재로서 창고, 체육관, 역사 등의 대형 건축물은 물론이고, 버스정류장, 차고 및 자전거 보관소 등의 소형 건축물에 이를 때까지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PC수지제 지붕재료(10)는 햇빛에 의한 광화학 반응과 비바람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쉽게 부식되고 변색되어 그 수명이 7 ~ 8년에 불과하여 그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PC수지제 지붕재료(10)는 그 강도가 약하여 도면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붕에 PC수지제 지붕재료(10)를 설치하려면, PC수지제 지붕재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가 필요하게 되어, PC수지제 지붕재료(10)를 지붕에 부설하려면, 지붕에 별도로 미리 지지대(2)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공사 기간이 장기화되고, 설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1 외에 종래발명 특허문헌 2에도 아치형 차양 또는 지붕 구조는 지붕 재료를 건물의 지붕에 설치하기 위해서 지붕재료(5)를 지지하는 지지대(3)가 필요한 것이 도 2로부터도 자명하고, 이에 따라 공사 기간의 장기화가 요구되고 및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발명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는 채광량을 조절하여 차양 구조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햇빛에 의한 실내 채광을 조절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발명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는 지붕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에도 함석판을 이용한 차양 지붕 구조가 일부 있기는 하였으나, 종래 함석판은 강철판에 아연을 도금한 함석판으로 그 강도가 약하여 설치된 차양 지붕이 자체 하중에 의해 굴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칼라 함석판의 재료로 사용되는 함석판은 연성(延性)·전성(展性)이 부족하여 칼라 함석판의 냉간 소성 가공시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차양 지붕에 사용된 PC 수지 판넬은 산화작용과 광화학 작용에 의해 쉽게 부식되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44224(1997.6.3. 공개) 특허문헌 2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3168378(2011.6.9. 발행)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함석판에 산과 골 및 상기 산과 골에 산평면부와 골평면부을 형성하여 함석판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산과 골, 산평면부와 골평면부에 의해 산과 골이 형성된 평면 칼라 함석판을 아치형으로 다시 굴곡시켜 제작되어, 함석판 자체 강도가 높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수직 플레이트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 폭의 2.0 ~ 3.5배로 되어 높은 하중이 지지가능하고,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인 강도 높은 집수통로프레임 상부에,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설치 ·연결하여 부설함으로써, 종래 차양구조에서 반드시 필요했던 차양판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보강재가 필요없게 되고, 내구성 높은 차양구조가 제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 또는 보강재가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시공 기간의 단축과 경비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PC 수지 재료에 의한 차양구조는 금속에 비해 투명하여 햇빛의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과 합성 수지 재료 지붕을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아치형 차양 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차양 지붕 구조 아래의 채광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수통로프레임과 배수파이프를 설치하여 차양의 지붕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집수통로 프레임은 빗물 처리 기능과 함께 집수통로 프레임의 컴팩트하고 견고한 구조로 차양 구조 지붕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차양 구조 지붕의 단부를 감싸서 차양 구조의 외관 디자인성을 탁월하게 하고자는 과제도 가지고 있다.
한편, 본발명은 집수통로 프레임은 수직 플레이트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 폭의 2.0 ~ 3.5배가 되도록 하여 집수통로 프레임의 집수량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수통로 프레임의 강도를 높여서 차양 지붕과 빗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리고, 종래의 함석판을 이용한 차양은 그 강도가 약하여 설치된 차양 지붕이 자체 하중에 의해 굴곡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 함석판은 연성이 부족하여 칼라 함석판을 냉간 소성 가공시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 칼라 함석판의 재료로 사용되던 강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금속 원소가 효율적으로 배합하여 제작된 합금강판에 아연을 도금한 합금강판 함석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합금강판 함석판은 매우 우수한 강도 및 연성·전성(展性)을 가지게 되어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석판의 두께가 0.8mm ~ 1.5mm 이하의 비교적 얇은 함석판에 의해서도 강도가 높고, 연성·전성이 우수한 산과 골이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차양 지붕에 사용된 PC 수지 판넬은 산화작용과 광화학 작용에 의해 쉽게 부식되었으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화학 성분을 효율적으로 배합하여 제작된 합성 수지 판넬을 사용함으로써 합성 수지 판넬의 부식을 방지하고, 합성 수지 판넬의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내식성 등을 증가시켜 합성 수지 판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은, 다수개의 산과 골이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HO)으로 연속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도록 하는 수로(511)가 형성된 집수통로프레임(51)과,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수직 플레이트(512)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514)의 폭의 2.0 ~ 3.5배이고,
상기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여 단위 차양 구조를 이루며, 상기 단위 차양 구조를 반복·실시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되고,
상기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차양 지붕의 중간 부위 하부에는 차양 지붕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 표면과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상면 사이에는 각각 크로샤(5122)가 삽입 설치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은,
언코일어(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고,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제조되며,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이 되고,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구성된 차양 지붕은 지붕 외곽만 집수통로프레임(51)의 경사편(5121)과 아치형 차양 측면 주프레임(100,100')및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의 하면 플레이트(514)에는 배수공(515)이 형성되고 배수공에는 배수파이프(5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하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은, 다수개의 산과 골이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HO)으로 연속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규격 및 형상이 동일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도록 하는 수로(511)가 형성된 집수통로프레임(51)과,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수직 플레이트(512)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514)의 폭의 2.0 ~ 3.5배이고,
상기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 표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경사편(5121) 상부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여 단위 차양 구조를 이루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 사이에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를 삽입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되고,
상기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차양 지붕 중간 부위 하부에는 차양 지붕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이 제1 건축물의 제1 벽면 및 제 2 건축물의 제2 벽면에 가로로 각각 결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연속하여 2 ~ 5회 실시된 후,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1회 실시 되는 설치 방식이 일정 회수 반복 실시되어, 차양 지붕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 제조방법은,
언코일어(Un-coiler, 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는 1단계;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제조되는 2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을 제작하는 3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구조는, 함석판에 산(4111)과 골(4112), 상기 산과 골에는 각각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을 형성하여 칼라 함석판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산과 골,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에 의해 산과 골이 형성된 평면 칼라 함석판을 아치형으로 다시 굴곡시켜 제작되어, 그 자체 강도 및 내구성이 높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세로 단면이 수직높이가 높은 직사각형이어서 수직하중을 견고하게 지지 가능한 집수통로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강도 높은 집수통로프레임 상부에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부설함으로써, 종래 차양구조에서 반드시 필요했던 차양판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보강재가 필요없게 되고, 내구성 높은 차양구조가 제작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또는 보강재가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시공 기간의 단축과 경비 절감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은 그 재료가 금속이어서, 종래 PC 수지 재료에 의한 차양구조에 비하여 햇빛의 차단이 종래에 비하여 우수 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합성 수지 재료 지붕을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아치형 차양 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차양 지붕 구조 아래의 채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수통로프레임과 배수파이프를 설치하여 차양의 지붕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통로 프레임은 빗물 처리 기능과 함께 집수통로 프레임의 컴팩트한 구조로 차양 구조 지붕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차양 구조 지붕의 단부를 감싸서 차양 구조의 외관 디자인성을 탁월하게 하는 기능도 있다.
한편, 집수통로 프레임은 수직 플레이트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 폭의 2.0 ~ 3.5배가 되도록 하여 집수량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수통로 프레임의 강도를 높여서 차양 지붕과 빗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칼라 함석판의 재료로 사용되던 강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금속 원소가 효율적으로 배합된 합금강판에 아연을 도금한 합금강판 함석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합금강판 함석판은 매우 우수한 강도 및 연성, 전성을 가지게 되어 칼라 함석판의 냉간 소성 가공이 쉬울 뿐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여 견고한 차양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석판의 두께가 0.8mm ~ 1.5mm 이하의 비교적 얇은 함석판에 의해서도 강도가 높고, 연성·전성이 우수한 산과 골이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아치형 차양 구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과 골들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은 평면 칼라 함석판(31)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화시키는 가공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4b는 평면 칼라 함석판을 굴곡시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시키는 벤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c, 4d, 4e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산을 나타낸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폭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굴곡 곡률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 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집수통로프레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b는 차양정면 주프레임·차양후면 주프레임과 집수통로프레임의 결합관계와, 집수통로프레임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폭방향 차양 단면도이다.
도 6c는 크로샤(5122)가 삽입 설치된 것을 도시한 아치형 지붕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2개의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의 단부(412)에 각각 형성된 산과 골이 서로 감합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이 집수통로프레임과 주프레임에 의해 지지 결합되는 과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의 사시도이다.
칼라강판(pre-Coated Metal)이란 냉연강판, 아연도강판, 알루미늄강판 등에 페인트를 도장하거나 인쇄를 통해서 색깔 또는 무늬를 입힌 강판으로 미려하고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가능하여 건물이나 가전제품의 외양을 세련되게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은 열연강판(초기철판) 표면에 불순물을 염산이나 황산으로 제거하고, 롤과 롤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력을 가해 원하는 두께로 조절한 후, 열처리를 통해 알루미늄, 아연 등을 도금하고 도료를 코팅해서 부드럽게 천연질감을 준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함석판은 강철판에 아연을 도금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강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금속원소가 효율적으로 배합되어 제작된 합금 강판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금속원소가 효율적으로 배합되어 제작된 합금강판의 표면에 아연을 도금한 함석판을 아치 차양의 기초재료로 사용한다.
종래 강철판에 아연을 도금한 함석판을 이용하면, 강도가 좋지 않아, 차양 지붕이 굴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함석판은 연성 및 전성이 좋지 않아 냉간 소성 가공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직사각형 평면 함석판(21)은 합금강판에 아연을 도금한 것이고, 상기 합금강판은 니오브(Nb) 0.1 ~ 0.3중량%, 바나듐(V) 0.2 ~ 0.5중량%, 탄소(C) 1.1 ~ 1.25중량%, 망간(Mn) 28 ~ 35중량%, 알루미늄(Al) 2 ~ 3.5중량%, 크롬(Cr) 0.01 ~ 0.09중량%, 티타늄(Ti) 0.25 ~ 0.3중량%, 인(P) 0.4 ~ 0.5중량%, 니켈(Ni) 0.01 ~ 0.04중량%, 잔부 철(Fe) 및 기타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강도 및 연성·전성(展性)이 우수한 합금강판이다.
상기 본 발명의 합금강판은 이 출원 발명자가 장기간의 연구와 시행착오를 반복하여 발명의 것으로 본 발명의 중요한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도 3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제조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언코일어(Un-coiler, 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고,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 제조되며,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이 된다.
그리고, 도 4a, 도 5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된다.
한편, 상기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은 함석판 자체에 산(4111)과 골(4112)이 형성되고, 상기 산(4111)에는 산평면부(4114)가 형성되고, 상기 골(4112)에는 골평면부(4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산(4111)과 골(4112) 및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이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서, 산(4111)과 골(4112) 및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은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하나의 골조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은 산과 골이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HO)으로 연속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이다.
도면 4a, 4b에 개시된 상기 벤딩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하(下)롤러(62, 62) 및 하(下)롤러(62, 62)의 축과 평행하게 한쌍의 하롤러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상롤러(61)로 구성되어, 상롤러(61)와 하롤러(62, 62)의 회전으로 이들 사이에 투입된 산과 골이 형성된 평면 칼라 함석판을 원하는 곡률로 벤딩 성형하는 장치이다.
상기 상롤러와 하롤러의 표면에는 평면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산(4111)과 골(4112) 및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에 대응되어 감합되는 치형 구조를 하고 있다.
상롤러를 누르는 힘이 커질수록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한 쌍의 하(下)롤러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 사이로 더 굴곡하게 되므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곡률은 더 커지게 된다.
도 4c은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산, 골과 산에 각각 형성된 산평면부와 골평면부를 나타낸 칼라 함석판의 폭 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c 및 도 5a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골 사이의 골폭(SW)은 9.5 ~ 12.5㎝이며 골의 깊이는 1.5 ~ 4.5㎝이고, 상기 1개의 평면 칼라 함석판 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은 93 ~ 120㎝로 할 수 있다.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산의 형상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골 사이의 골폭(SW)과 너무 크면 함석판의 강도가 약해지고, 골깊이가 너무 깊으면 포밍 및 벤딩하는 가공 과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1개의 평면 칼라 함석판 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은 폭(LW)은 93 ~ 120㎝로 하여야 작업자가 쉽게 양손으로 잡고 이동시켜 작업하기가 쉬울 뿐 아니라, 함석판에 산과 골을 형성시키는 포밍가공과 함석판의 벤딩 가공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이 120㎝ 보다 길게 되면 벤딩 가공기의 용량도 거대해지고, 칼라 함석판의 폭이 너무 넓게 되어 벤딩 작업의 효율이 저하된다.
한편, 평면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두께는 0.8㎜ 이상 1.5㎜ 이하가 적정하다.
상기 함석판의 두께가 0.8㎜ 보다 적으면 벤딩기에서 벤딩 가공은 용이하나, 함석판의 강도가 약하여 차양 구조 지붕의 강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상기 함석판의 두께가 1.5㎜를 초과하면 벤딩 가공이 곤란해지고, 재료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된다.
특히, 평면 칼라 함석판(31)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산(4111)과 골(4112)에는 각각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함석판의 강도가 함석판에 산(4111)과 골(4112)만 형성했을 때보다 함석판 강도가 훨씬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장기간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함석판에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을 구비함으로써 함석판의 강도 증대와 함께 함석판의 수명도 증대되는 것을 발명하였다.
그리고, 도 6a, 도 6b에는 집수통로프레임(51)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으로 이루어진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재질이 스테인레스강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효율적으로 집수되도록 하는 수로(511)이 형성된 것이다.
도 6a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로프레임(51)은 수직 플레이트(512)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514)의 폭의 2.0 ~ 3.5배가 되어 아치형 칼라 함석판 및 빗물의 하중에 의해 집수통로프레임(51)이 변형되지 않고 내구성 높게 지지 가능하고, 다량의 빗물이 집수 가능하다.
1개의 집수통로프레임(51)에 구비된 2개의 수직 플레이트(512)중에 지붕쪽에 형성된 수직 플레이트는 지붕안쪽으로 일정 각도 경사된 경사편(51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 표면과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상면 사이에는 각각 크로샤(5122)가 삽입 설치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샤(5122)는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적용되는 크로샤 설치 구조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아치 차양 구조의 특수성으로 크로샤(5122)가 불필요 할 경우, 크로샤(5122)를 생략하고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을 직접 경사편(5121) 상부에 안착 시킬 수도 있다.
도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샤(5122)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경사판(5121)의 사이(틈)에 설치되어, 상기 틈(공간)을 막아 빗물이 지붕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크로샤(5122)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산과 골의 모양에 따라 크로샤(5122)의 형상도 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크로샤(5122)의 길이는 1미터 내외로 제작되고, 크로샤(5122)의 폭은 10 ~ 20 mm로 제작되고, 재질은 탄력성과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차양의 길이 방향으로 차양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치된다.
도면 6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판(5121)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여 단위 차양 구조를 이루며, 상기 단위 차양 구조를 반복·실시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단위의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는 구조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단위 차양 구조”라고 정의한다.
도 6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양 지붕의 중간 부위 하부에는 차양 지붕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의 자체 강도에 높으므로, 보강재가 필요 없는 것이다.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은 도면 5a, 도면 5c, 도면 6b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위 차양 구조의 설치를 반복·실시하여,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이 집수통로프레임 길이 방향에 따라 다수개 부설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및 후술되는 제2실시예(도 9) 모두 차양 구조의 지붕을 이루는 요소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사이에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을 설치하여 태양광에 의해 아치형 차양 구조 아래를 조명하게 할 수 있다.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투명의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은 그 규격과 형상이 동일하고, 그 재료만 다르다.
따라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동일하게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단위의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폭쪽 양(兩) 단부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양(兩) 단부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는 구조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단위 차양 구조”라고 정의한다.
한편,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은 투명하여 빛을 잘 투과한다.
차양 구조의 아치형 지붕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개수와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의 조합 설치 개수 비율은 1 : 1 ~ 5 : 1로 하는 것이 좋으나, 여러 가지 상황을 감안하여 당업자가 차양 구조 아치형 지붕의 강도와 차양 지붕 아래의 조명 등을 고려하여 상기 조합 비율은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연속하여 2 ~ 5회 실시된 후,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1회 실시 되는 설치 방식이 일정 회수 반복 실시되어, 차양 지붕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이 설치 가능하며, 이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예는 차양 구조의 아치형 지붕을 모두 단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만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동일 규격의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의 조합 개수는 조명의 필요 여부 및 차양 지붕 강도의 요구 등에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의 조합 설치 개수 비율은 그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사이에 설치되는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에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마찬가지로 산(4111)과 골(4112) 및 상기 산과 골에 각각 산평면부(4114)와 골평면부(4113)을 형성하여,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그 규격 및 형상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은 평면 합성 수지 판넬도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차양구조 지붕에 상기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과 동일하게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조합 설치될 수 있다.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의 조합 또는 평면 합성 수지 판넬 조합에 의해 차양 구조 아래 빛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되고, 차양 구조의 지붕의 강도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에 의한 차양 지붕 구조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차양 구조의 설치를 반복·실시할 때, 양쪽에 배치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과 연결부위에 빗물 등의 누수가 없도록 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의 단부(412)에 형성된 산(4111)과 이에 결합되는 타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의 단부(412)에 형성된 골(4112)이 서로 감합되어 결합되고, 감합부에 리벳 등으로 체결하여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단위 차양 구조의 설치를 반복·실시하여 차양 지붕을 이루고, 차양 지붕의 맨 좌우측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 단부(412)에는 세로 단면상이 ㄷ자 모양의 긴 고무캡을 끼워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측면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동시에 함석판 끝의 날카로움도 없게 한다.
도 6b,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로프레임(51)은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 상부 외면 길이 방향에 따라 각각 결합·설치되거나, 집수통로프레임(51)은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 상부 단부 표면에 상기 주프레임(200, 300) 길이 방향에 따라 각각 결합·설치된다.
단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양 지붕은 집수통로프레임(51)과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 차양 측면 주프레임(100)등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차양 지붕이 지상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단위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아치형 차양 지붕 아래 중간 부위 하부에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자체 강도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필요없게 되어 별도의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조는 제1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6b,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차양 구조 지붕은 지붕 외곽만 집수통로프레임(51)의 경사편(5121)과, 아치형 차양 측면 주프레임(100) 및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에 의해 지붕 외곽만 지지되고, 차양 구조 지붕 중간(中間) 부위 하부에는 상기 지붕 중간(中間) 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별도의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차양 지붕 구조의 설치가 간단하고, 재료비가 절약된다. 이는 제1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2실시예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로프레임(51)의 하면 플레이트(514)에는 배수공(515)이 형성되고 배수공에는 배수파이프(513)가 설치되어 있어, 차양 구조 지붕으로부터 집수된 물이 수로(511)를 지나 배수공(515)를 통과하여 하수구 등으로 배출된다.
한편, 차양 구조의 지붕을 구성하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하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건물과 건물 사이에 설치되는 차양으로,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을 함께 이용한 아치형 차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집수통로프레임(51)은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 상부 외면 길이 방향에 따라 각각 결합·설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집수통로프레임(51)이 제1 건축물의 제1 벽면 및 제 2 건축물의 제2 벽면에 가로로 각각 결합·설치된다.
또한, 제2실시예는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 사이에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를 삽입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된다.
상기 차이점 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그 구성이 사실상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에 대한 기타 구성들은 제1실시예 구성을 참조하면 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도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양(兩) 단부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과,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표면 사이에는 크로샤(5122)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조성 성분은
자외선 흡수제 3~10 중량%, 불소 5~9 중량%, 폴리에틸렌 35~50 중량%, 프로필렌 5~9 중량%, 고무 20~38 중량%, 난연제 5~9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성분에 의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은 뛰어난 강도, 내식성, 내연성, 내후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 제조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함석판에 의해서도 강도가 높은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언코일어(Un-coiler, 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는 1단계;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제조되는 2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을 제작하는 3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 제조방법이다.
21: 언코일어(Un-coiler), 22: 띠형 코일 합금강판, 23: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 24: 롤포밍 장치, 25: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 26: 커팅기,
31: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 41: 아치(arch)형 칼라 함석판, 49: 아치형 투명 PC 수지 판넬, 51:집수통로프레임,
100: 측면 주프레임, 200: 차양 정면 주프레임, 300: 차양 후면 주프레임,
411: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폭쪽 양단부, 412: 아치형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의 단부,
511: 수로, 512: 수직 플레이트, 513: 배수파이프, 514: 하면 플레이트, 515: 배수공,
4111: 산, 4112: 골, 4113: 골평면부, 4114: 산평면부, 4115: 아치형 칼라 함석판 또는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의 양(兩) 단부 쪽 일정 부위,
5121: 경사편, 5122: 크로샤, 5123: 체결수단
HO: 함석판 수평길이 방향, LW: 아치형 칼라 함석판 폭, O: 굴곡 중심점, R: 반경, SW: 아치형 칼라 함석판에 형성된 골과 골 사이의 골폭,

Claims (10)

  1. 다수개의 산과 골이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HO)으로 연속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도록 하는 수로(511)가 형성된 집수통로프레임(51)과,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수직 플레이트(512)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514)의 폭의 2.0 ~ 3.5배이고,
    상기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여 단위 차양 구조를 이루며, 상기 단위 차양 구조를 반복·실시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되고,
    상기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차양 지붕의 중간 부위 하부에는 차양 지붕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2. 제1항에 있어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 표면과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상부 경사편(5121) 상면 사이에는 각각 크로샤(5122)가 삽입 설치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은,
    언코일어(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고,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제조되며,
    상기 산과 골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이 되고,
    상기 산과 골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조합으로 구성된 차양 지붕은 지붕 외곽만 집수통로프레임(51)의 경사편(5121)과 아치형 차양 측면 주프레임(100,100')및 차양 정면 주프레임(200)과 차양 후면 주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의 하면 플레이트(514)에는 배수공(515)이 형성되고 배수공에는 배수파이프(5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하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7. 다수개의 산과 골이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함석판의 수평길이방향(HO)으로 연속 형성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상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규격 및 형상이 동일한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세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차양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도록 하는 수로(511)가 형성된 집수통로프레임(51)과,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은 수직 플레이트(512) 높이가 하면 플레이트(514)의 폭의 2.0 ~ 3.5배이고,
    상기 수로(511)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폭(LW)쪽 양(兩) 단부(411)가 상기 수로(511) 내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의 양(兩) 단부(411)쪽 일정 부위(4115) 하부 표면은 양 수로의 수직 플레이트(512) 한쪽 경사편(5121) 상부 표면에 각각 안치·결합하여 단위 차양 구조를 이루며,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 사이에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를 삽입하여 차양 지붕이 완성되고,
    상기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차양 지붕 중간 부위 하부에는 차양 지붕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로프레임(51)이 제1 건축물의 제1 벽면 및 제 2 건축물의 제2 벽면에 가로로 각각 결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
  9. 제8항에 있어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연속하여 2 ~ 5회 실시된 후,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에 의한 단위 차양 구조가 1회 실시 되는 설치 방식이 일정 회수 반복 실시되어, 차양 지붕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41)과 아치형 투명 합성 수지 판넬(49)이 조합된 아치형 차양.
  10. 언코일어(Un-coiler, 21)에 감긴 띠형 코일 합금강판(22)에 아연을 도금 시킨 후 도료를 코팅하여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을 제작하는 1단계;
    상기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은 롤포밍장치(24)에 의해 띠형 평면 칼라 함석판(23)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으로 변경·제조되는 2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띠형 칼라 함석판(25)은 컷팅기(2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을 제작하는 3단계;
    상기 산과 골들이 성형된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31)은 굴곡 중심점(O)에서 칼라 함석판의 하부 표면(4113)까지의 거리가 일정 반경(R)이 되도록 직사각형 평면 칼라 함석판의 수평길이 방향(HO)을 기준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재가공되는 벤딩 가공에 의해 아치형 칼라 함석판(41)으로 변경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골이 성형된 아치형 칼라 함석판 제조방법.
KR1020220022446A 2021-09-15 2022-02-21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KR20230040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46A KR20230040248A (ko) 2021-09-15 2022-02-21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53A KR102368034B1 (ko) 2021-09-15 2021-09-15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KR1020220022446A KR20230040248A (ko) 2021-09-15 2022-02-21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53A Division KR102368034B1 (ko) 2021-09-15 2021-09-15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48A true KR20230040248A (ko) 2023-03-22

Family

ID=804745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53A KR102368034B1 (ko) 2021-09-15 2021-09-15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KR1020220022446A KR20230040248A (ko) 2021-09-15 2022-02-21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53A KR102368034B1 (ko) 2021-09-15 2021-09-15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8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6416B (zh) * 2023-07-24 2024-03-15 重庆交通大学 一种基于人眼适应曲线的遮阳棚透光率渐变过渡及长度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224A (ja) 1995-11-29 1997-06-03 Tsutsunaka Plast Ind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屋根
JP3168378U (ja) 2011-03-29 2011-06-09 美山木材株式会社 建造物のアーチ状骨組み構造、建造物の屋根及び建造物のアーチ状骨組み用三角形素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155A (ja) * 1994-09-27 1996-04-09 Sekisui Chem Co Ltd 軒先構造
JP3499774B2 (ja) * 1999-08-10 2004-02-23 株式会社アイコー 折板屋根の複層採光屋根部材
KR200411478Y1 (ko) * 2005-12-23 2006-03-15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보강 결합채널을 갖는 아치패널
US20120323354A1 (en) * 2011-06-14 2012-12-20 M.I.C.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Panels from Sheet Material Using Adaptive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224A (ja) 1995-11-29 1997-06-03 Tsutsunaka Plast Ind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屋根
JP3168378U (ja) 2011-03-29 2011-06-09 美山木材株式会社 建造物のアーチ状骨組み構造、建造物の屋根及び建造物のアーチ状骨組み用三角形素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034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480B2 (en) Roof subframe system
EP2196594B1 (de) Bauelement zur verkleidung von gebäuden
EP1197610A2 (en) Longitudinal facing, facing retainers, and facing structure having facing and facing retainers
KR20230040248A (ko) 산과 골이 성형된 칼라 함석판을 이용한 아치형 차양
EP0724048B1 (de) Rollbarer Dichtungsstreifen für eine First- und/oder Gratabdeckung
AU2008100703A4 (en) Swimming Pool Overflow Grating
KR200438308Y1 (ko) 기와형 금속지붕 패널
EP1201843B1 (de) Dachelement
CN218116975U (zh) 一种缩短连接间距提高抗风揭性能的金属屋面固定系统
DE102005049222A1 (de) Vorrichtung zur Dacheindeckung mit Solarabsorber
CN206971509U (zh) 一种冷弯薄壁c形梁压型钢板混凝土装配式组合楼盖
CN202187490U (zh) 一种天窗通风器
KR200444552Y1 (ko) 슬라이딩 개폐형 아케이드의 설치 구조
CN211447562U (zh) 一种户外用耐紫外线照射老化的pvc扣板
EP2748387B1 (de) Lichtdurchlässiges dach- oder wandelement aus blech
CN210067268U (zh) 通风屋脊
JP2021017709A (ja) 既存屋根の改修用屋根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AU2010100260A4 (en) Swimming Pool Overflow Grating
CN219343811U (zh) 应用于光伏棚的一体化c型主梁水槽
CN221118966U (zh) 一种直立锁边防水保温弧形钢结构屋面结构
CN214531533U (zh) 一种新型金属小青瓦安装结构
CN220368638U (zh) 装配式光伏支架的檀条屋脊处连接结构
CN218990679U (zh) 一种耐腐蚀的金属仿古瓦
CN208309839U (zh) 一种轻质箱体板房的瓦与屋顶边框防漏水组装结构
CZ286871B6 (en) Cover s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