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71A -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71A
KR20230039471A KR1020210134948A KR20210134948A KR20230039471A KR 20230039471 A KR20230039471 A KR 20230039471A KR 1020210134948 A KR1020210134948 A KR 1020210134948A KR 20210134948 A KR20210134948 A KR 20210134948A KR 20230039471 A KR20230039471 A KR 2023003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vehicle
user
bluetooth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69B1 (ko
Inventor
정현철
송창녕
Original Assignee
(주)노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르마 filed Critical (주)노르마
Publication of KR2023003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차량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1 장치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2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상기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제2 장치의 식별정보를 1차 추출하는 단계; 및 제1 장치가, 상기 1차 추출된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Vehicle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user authentication method by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 권한이 있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 예로서,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도어에 접근하면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 삽입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에는 시동키 홈에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 하에서는 사용자가 실물 키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차량을 운전할 수 있으므로 권한 있는 사용자에게만 차량 운전을 허용하는 보안성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또한 한편으로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차량을 공유하는 경우에도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고 각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차량용 사용자 인증 방법이 요구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12895호 (2016년 9월 28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6397호 (2017년 8월 24일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차량을 공유하면서도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각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사용자 인증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차량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1 장치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2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상기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제2 장치의 식별정보를 1차 추출하는 단계; 및 제1 장치가, 상기 1차 추출된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며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임을 인증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반드시 (일반적으로 1순위로 설정하는)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 이어폰,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블루투스 장치나 차량에 고정 설치한 (바람직하게는, ON/OFF가 되는) 블루투스 장치들 증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을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인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인증이 가능한 기술적 이점이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8 및 도9는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기기 명부에 등록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인증기기 수 및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예시적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블록', '~보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기기', '컴퓨터', '컴퓨팅 장치', '서버 장치', 또는 '서버'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DD), 및 모니터를 구비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모바일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공지 또는 주지관용 기술이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하 간단히 '인증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차량(210)에 설치되는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을 포함한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차량(210)을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이하 '운전자' 또는 '사용자'라고 함)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1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의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다른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기기(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스피커 등 블루투스 방식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블루투스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모바일 기기(100)나 블루투스 기기(300)가 차량(210)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해당 기기(100, 300)와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시스템은 서버 장치(도시 생략)과 통신할 수 있고, 서버 장치가 사용자 인증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블루투스 기기(30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함) 및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120)(이하 '모바일 기기용 블루투스 모듈'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바일 기기(100)는 애플리케이션(110)의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통신부(유선 및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음), 저장장치(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또는 SSD), 운영체제, 및 기타 응용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애플리케이션(110)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사용자 인증 과정 및 인증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식별정보 저장 및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110)이 실행되어 동작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110)은 이러한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단독으로 또는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나 서버 장치(도시 생략)와 통신하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모바일 기기(100)는 모바일 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200, 3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블루투스 장치(200, 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200, 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고, 인증 결과를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블루투스 장치'는 모바일 기기(10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블루투스 기기(300) 등과 같이 블루투스로 통신한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상기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상기 복수개의 기저장된 식별정보 중 사용자 인증에 실제로 사용할 기기의 숫자인 인증기기 숫자(“인증기기 수”)를 추가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 중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기기 수 이상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상기 등록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상기 복수개의 등록기기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를 등록기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 동작은, 모바일 기기(100)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패킷을 수신한 시각(제1 시각)과 블루투스 기기(3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패킷을 수신한 시각(제2 시각)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각과 제2 시각의 차이는 10초, 20초, 30초 등일 수 있고 이러한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특정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시각과 제2 시각의 시간 차이를 소정의 시간 이내로 한정한 이유는, 모바일 기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블루투스 기기(300)가 물리적으로 같은 장소(예컨대 차량 내부)에 있을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블루투스 기기(300)를 손목에 차고 차량(210) 내에 앉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동작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차량을 벗어나면 사용자 인증 동작이 개시되지 않거나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100, 3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블루투스 장치(100, 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100, 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상기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상기 복수개의 기저장된 식별정보 중 사용자 인증에 실제로 사용할 기기의 숫자인 인증기기 숫자("인증기기 수")를 추가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 중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기기 수 이상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상기 등록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상기 복수개의 등록기기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를 등록기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도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 동작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패킷을 수신한 시각(제1 시각)과 블루투스 기기(3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패킷을 수신한 시각(제2 시각)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각과 제2 시각의 차이는 10초, 20초, 30초 등일 수 있고 이러한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특정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차량의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해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기기로서 등록하는 절차가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로부터 기기등록 명령을 수신하면(S110), 모바일 기기(100)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과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로부터 각각 브로드캐스팅 되는 블루투스 신호(이하 '비콘' 또는 '비콘 신호'라고도 함)를 수신하고(S120),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에서 각 블루투스 장치(200, 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S130), 추출된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단계(S110)에서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로부터 기기등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모바일 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하여 기기등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비콘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한다고 가정한다(S121, S122).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워치나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의 블루투스 장치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차량에 미리 설치해 놓은 임의의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에서 브로드캐스팅 되는 비콘 신호는 각 블루투스 장치(200, 300)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면 모바일 기기(100)가 이 신호를 수신한다(S120). 모바일 기기(100)는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각 블루투스 장치(200, 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30). 모바일 기기(100)는 추출한 식별정보를 예컨대 기기 내의 저장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S140).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용자 인증 방법이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수신하면(S210), 모바일 기기(100)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과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로부터 각각 브로드캐스팅 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220),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에서 각 블루투스 장치(200, 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230). 그 후 추출한 식별정보를 (예컨대 도2의 방법에 따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S240), 비교 결과 두 식별정보가 동일하다면 권한있는 사용자라고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신호를 생성한다(S250). 모바일 기기(100)는 인증신호를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 전송하여 차량에게 사용자 인증을 확인시킬 수 있다(S260).
구체적으로, 단계(S210)에서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모바일 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하여 인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비콘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한다(S221, S222). 이 때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차량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임의의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브로드캐스팅 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220) 이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모바일 기기(100)는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S240), 두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하고 인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50). 그 후 모바일 기기(100)는 생성된 인증신호를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 전송하여 차량에 사용자 인증이 성공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S260).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록기기 등록(도2) 및 사용자 인증(도3)을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2의 단계를 실행하여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만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도3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차량(210)에 탑승하면, 모바일 기기(100)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의 식별정보가 모바일 기기(10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동일할 것이므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것이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도2의 단계를 실행하여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과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300)(예컨대 스마트 워치)를 등록기기로서 등록한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와 블루투스 기기(300)(즉,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고 차량(210)에 탑승한 후 도3의 단계를 실행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것이고, 만일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지 않고 차량에 탑승했다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예컨대 도2의 단계를 실행하여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과 두 개의 블루투스 기기(300)(예컨대 스마트 워치 및 차량에 미리 설치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등록기기로서 등록한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고 차량(210)에 탑승한 후 블루투스 스피커를 켜고 도3의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권한 없는 자가 권한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여 차량에 탑승했다 하더라도 블루투스 스피커를 켜지 않았다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 및 다양한 종류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등록기기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으므로 차량 보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2와 비교할 때 도4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등록기기를 등록하는 절차를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에서 실행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우선 단계(S310)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사용자로부터 기기등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및 스마트 워치 등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에 기기등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예컨대 차량의 네비게이션 화면이나 계기판 화면 등 임의의 디스플레이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기기(100)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있으며(S321, S322),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320),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각 블루투스 장치(100,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33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추출한 식별정보를 예컨대 모듈 내의 저장장치에 저장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S340).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5을 참조하면,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용자 인증 방법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우선 단계(S410)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입력화면을 통해 인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이 때,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더라도 입력화면이 실행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비콘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한다(S421, S422). 이 때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워치나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 임의의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브로드캐스팅 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420) 이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43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S440), 두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다(S450).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록기기 등록(도4) 및 사용자 인증(도5)을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4의 단계를 실행하여 모바일 기기(100)만 등록기기로서 등록한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소지하고 차량(210)에 탑승하여 도5의 단계를 실행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도4의 단계를 실행하여 모바일 기기(100)와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300)(예컨대 스마트 워치)를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고 차량(210)에 탑승한 후 도5의 단계를 실행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도4의 단계를 실행하여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 및 차량에 기설치된 블루투스 스피커를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고 차량(210)에 탑승한 후 블루투스 스피커를 켜고 도5의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510)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사용자로부터 기기등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와 스마트 워치 등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에 기기등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있으며(S521, S522),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520),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각 블루투스 장치(100,3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53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추출한 식별정보를 예컨대 모듈 내의 저장장치에 저장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등록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S540). 이 때 단계(S540)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등록기기들 중 사용자 인증에 실제로 사용할 기기의 숫자("인증기기 수")를 설정하거나 및/또는 등록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610)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후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입력화면을 통해 인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비콘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한다(S621, S622). 이 때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워치나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 임의의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모바일 기기(100) 및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300)가 브로드캐스팅 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S620) 이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63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한다(S640). 이 때 도6의 단계(S540)에서 인증기기 수 및/또는 우선순위를 설정한 경우, 설정된 인증기기 수 및/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식별정보의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식별정보 비교 결과 동일한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있다(S650).
이제, 복수개의 등록기기에 대해 인증기기 수를 설정하거나 및/또는 등록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예컨대 도6의 S540)하는 예시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예컨대 도7의 S640) 예시적 방법에 대해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등록기기 명부에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등록기기 명부'는 예를 들어 도2의 식별정보 저장(S140), 도4의 식별정보 저장(S340), 또는 도6의 설정(S540) 등의 단계의 수행에 의해 모바일 기기(100) 또는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저장부(예컨대 메모리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도8(a)를 참조하면, 등록기기 명부(10)에 4개의 블루투스 장치, 즉 A기기, B기기, C기기, 및 D기기를 등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등록기기 명부(10)에 저장되는 정보는 예컨대 각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예컨대 맥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맥 어드레스가 아닌 다른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 각 기기의 명칭이나 등록일 등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등록기기 명부에 등록된 기기에 대해 사용자가 실제로 인증에 사용할 기기의 개수('인증기기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이나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터치스크린 등 입력화면을 통해 인증기기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8(a)에 등록기기 명부(10)에는 4개의 블루투스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인증기기 수를 '2'로 설정하면, 사용자 인증시 2개 이상의 기기만 식별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3대의 블루투스 장치(예컨대 휴대폰, 블루투스 이어폰, 및 스마트 워치)를 등록기기로서 등록기기 명부(10)에 등록하고 인증기기 수를 '2'로 설정한 경우, 등록된 3개의 기기 중 임의의 2개의 기기만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증이 가능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등록기기 명부에 등록된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이나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터치스크린 등 입력화면을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8(a)의 실시예에서 4개의 블루투스 기기가 등록기기 명부(10)에 등록된 경우 사용자가 A기기, B기기, C기기, 및 D기기의 순서대로 우선선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기기 수와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 또는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설정된 인증기기 수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에 관한 신뢰도(이하 '인증 신뢰도'라고도 함)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가 인증을 더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8(a) 내지 도8(c)의 실시예에서 등록기기 명부(10)에 4개의 기기가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가 인증기기 수를 '2'로 설정하고 우선순위를 A기기, B기기, C기기, 및 D기기의 순서로 설정하였다고 전제한다. 도8(a)는 사용자가 A기기와 B기기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8(a)에 A기기와 B기기 옆에 'O'를 표시했고 C기기와 D기기에는 'X'로 표시하였다. 이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A기기와 B기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A기기와 B기기를 식별하였고, 식별된 두 기기가 1순위 및 2순위 우선순위의 기기이므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예컨대 인증 신뢰도를 '높음'으로 판단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인증을 요청하지 않고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8(b)는 사용자가 B기기와 C기기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한 경우를 나타낸다(즉 도8(b)에 B기기와 C기기가 'O'로 표시되었고 A기기와 D기기가 'X'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식별된 두 기기가 2순위 및 3순위 기기이고 1순위 기기를 탐지하지 못하였으므로 인증 신뢰도를 '중간'으로 판단하고 추가의 인증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의 인증 절차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기설정했던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거나 기등록했던 지문 입력을 요청하는 등의 공지의 인증 절차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8(c)는 사용자가 C기기와 D기기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한 경우를 나타낸다(즉 도8(c)에 C기기와 D기기가 'O'로 표시되었고 A기기와 B기기가 'X'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식별된 두 기기가 3순위 및 4순위 기기이고 1순위와 2순위 기기를 탐지하지 못하였으므로 인증 신뢰도를 '낮음'으로 판단하고 예컨대 추가의 인증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의 인증 절차는 상기 인증 신뢰도 '중간'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추가 인증을 요청하거나 난이도가 더 높은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신뢰도를 '높음', '중간', 및 '낮음'으로 판단하는 기준으로 예컨대 다음의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i)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1순위 기기를 인식하면 인증 신뢰도를 '높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a)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A기기를 인식하면, 나머지 기기(B기기, C기기, 및 D기기) 중 어느 하나만 더 인식할 경우 인증 신뢰도를 '높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ii)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1순위 기기를 인식하지 못했지만, 인증기기 수의 숫자 이내의 우선순위를 갖는 등록기기를 적어도 하나 인식한 경우, 인증 신뢰도를 '중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b)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1순위 기기(A기기)를 인식하지 못했지만, 인증기기 수("2")의 숫자(즉, "2") 이내의 우선순위(즉, 1순위 또는 2순위)의 등록기기 중 2순위 등록기기(B기기)를 인식했으므로, 이 경우 인증 신뢰도를 '중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iii)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인증기기 수 이상의 등록기기를 인식하였지만, 인증기기 수의 숫자와 이내의 우선순위를 갖는 등록기기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인증 신뢰도를 '낮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c)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인증기기 수("2") 이상의 등록기기(즉, C기기 및 D기기)를 인식하였다. 그러나 인증기기 수의 숫자("2") 이내의 우선순위(즉, 1순위 또는 2순위)의 등록기기가 아닌 3순위 이하의 우선순위의 등록기기만 인식하였으므로, 이 경우 인증 신뢰도를 '낮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인증 신뢰도의 레벨을 나누는 방법이나 기준은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인증 신뢰도의 산출 및 그에 따른 추가 인증 단계는 예컨대 도7의 사용자 인증 단계(S650)에서 실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9는 등록기기 명부에 블루투스 장치를 등록하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9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등록기기 명부(10)에 등록된 기기를 하나 이상의 등록기기 세트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총 8대의 블루투스 장치(A기기 내지 H기기)를 등록기기 명부(10)에 등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예컨대 제1 사용자는 A기기, B기기, 및 C기기를 제1 등록기기 세트(S1)로 설정하고 제2 사용자는 D기기, E기기, 및 C기기를 제2 등록기기 세트(S2)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C기기와 같이 하나의 기기가 둘 이상의 등록기기 세트(S1, S2)에 중복되어 등록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한 대의 차량을 공유하는 경우 각 사용자가 자신만의 등록기기 세트를 각자 설정하고 각자 자신이 설정한 등록기기 세트 내의 등록기기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 사람이 차량을 공유하는 경우에도 각 운전자의 인증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편리하고 간편한 인증이 가능하다.
도9의 실시예에 인증기기 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인증기기 수를 2로 설정한 경우, 제1 사용자가 A기기, B기기, 및 C기기 중 임의의 2개의 기기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하면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9의 실시예에 인증 신뢰도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인증기기 수를 2로 설정하고 A기기, B기기, 및 C기기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한 경우, 예컨대 제1 사용자가 B기기와 C기기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하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인증 신뢰도를 '중간'으로 판단하고 추가의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차량 블루투스 모듈(200)은 각 등록기기 세트의 1순위 기기를 둘 이상 감지한 경우, (i) 감지된 임의의 1순위 기기가 속한 등록기기 세트에 대해 상술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ii) 복수의 1순위 기기를 감지하면 복수의 사용자 모두에 대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9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A기기, B기기, 및 C기기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제2 사용자가 D기기, E기기, 및 C기기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한 경우, 만일 제1 사용자가 1순위 기기(A기기)를 소지하고 제2 사용자도 1순위 기기(D기기)를 소지한 채 차량에 같이 탑승하면, 상기 (i)의 방법에 의하면, 제1 등록기기 세트(S1) 또는 제2 등록기기 세트(S2) 중 어느 하나의 세트에 대해 이 세트에 설정된 인증기기 수에 기초하여 해당 세트의 나머지 순위의 등록기기의 인식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등록기기 세트(S1)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여, 제1 사용자가 2개 이상의 등록기기를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우에 대해 상기 (ii)의 방법 의하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예컨대 각자 인증기기 수를 '2'로 미리 설정했다 하더라도) 제1 사용자의 1순위 기기와 제2 사용자의 1순위 기기를 동시에 인식했으므로 제1 및 제2 사용자를 모두 권한 있는 사용자로 인증할 수 있다. 즉 각자 1순위 기기를 소지한 복수의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각 사용자의 등록기기 세트 내의 2순위 기기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상술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의 동작의 예시적 흐름도를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복수의 등록기기 세트가 설정되고 각 등록기기 세트에 대해 인증기기 수 및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며, 예컨대 도7의 단계(S640)에 서 실행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차량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 신호에서 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단계(S641)에서, 추출한 식별정보를 도9에 도시한 것과 같은 등록기기 명부(10)의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만일 추출한 식별정보에 1순위 등록기기가 1개 존재하면(S643_Y), 해당 1순위 등록기기가 속한 등록기기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645). 예컨대 해당 등록기기 세트에 대해 설정된 인증기기 수에 기초하여 2순위 이하의 등록기기에 대해서도 추출된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650).
만일 비교 결과 추출한 식별정보에 1순위 등록기기가 2개 이상 존재하면(S647),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i)의 방법에 따라 제1 등록기기 세트 또는 제2 등록기기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세트에 대해 이 세트에 설정된 인증기기 수에 기초하여 해당 세트의 나머지 순위의 등록기기의 인식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S649 및 S645). 또는 대안적으로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ii)의 방법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1순위 기기와 제2 사용자의 1순위 기기를 동시에 인식했으므로 제1 및 제2 사용자를 모두 권한 있는 사용자로 인증할 수도 있다(S650).
그리고 도10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컨대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어느 등록기기 세트의 1순위 등록기기도 인식하지 못했다면, 추출된 식별정보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등록기기가 속한 등록기기 세트에 대해 이 등록기기 세트에 설정된 인증기기 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반드시 (일반적으로 1순위로 설정하는)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 이어폰, 스피커,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블루투스 장치나 차량에 고정 설치한 (바람직하게는, ON/OFF가 되는) 블루투스 장치들 증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을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인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인증이 가능한 기술적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모바일 기기 110: 애플리케이션
120: 블루투스 모듈 200: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
210: 차량 300: 블루투스 기기

Claims (9)

  1. 차량의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차량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1 장치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2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1차 수신하는 단계(S120, S320);
    제1 장치가, 상기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제2 장치의 식별정보를 1차 추출하는 단계(S130, S330); 및
    제1 장치가, 상기 1차 추출된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40, S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저장 이후에, 제1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2차 수신하는 단계(S220, S420);
    제1 장치가, 상기 2차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각각의 제2 장치의 식별정보를 2차 추출하는 단계(S230, S430);
    상기 2차 추출된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두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제2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단계(S240-S250, S440-S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이 아닌 경우, 제1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S250)의 인증 결과를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1차 추출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제2 장치 중 사용자 인증에 사용할 기기의 숫자인 인증기기 수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추출된 제2 장치의 식별정보 중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기기 수 이상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제2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7.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을 구비하며 운전 권한 있는 운전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200)은,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정보를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와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임을 인증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기저장된 식별정보 중 사용자 인증에 사용할 기기의 숫자인 인증기기 수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 중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기기 수 이상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식별정보의 블루투스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 권한 있는 사용자라고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0210134948A 2021-09-13 2021-10-12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56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2031 2021-09-13
KR1020210122031 2021-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71A true KR20230039471A (ko) 2023-03-21
KR102564369B1 KR102564369B1 (ko) 2023-08-07

Family

ID=8580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948A KR102564369B1 (ko) 2021-09-13 2021-10-12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596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무선모듈을 내장한 이동단말을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2895A (ko) 2015-03-20 2016-09-28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보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62642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 우현디지털 운전자 인증 시스템
KR20170096397A (ko)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030524A (ja) * 2016-08-26 2018-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者判別システム
KR101835991B1 (ko) * 2016-09-21 2018-04-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카에서 생체 인식을 이용한 차량 접근 제어를 위한 IoT 보안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596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무선모듈을 내장한 이동단말을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2895A (ko) 2015-03-20 2016-09-28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보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62642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 우현디지털 운전자 인증 시스템
KR20170096397A (ko)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030524A (ja) * 2016-08-26 2018-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者判別システム
KR101835991B1 (ko) * 2016-09-21 2018-04-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카에서 생체 인식을 이용한 차량 접근 제어를 위한 IoT 보안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69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2154B2 (en) Voice sign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to electronic device
US7539863B2 (en) Remote services for portable computing environment
US20110247013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Applications on an External Device and Vehicle Systems
AU2011330044B2 (en) Method for providing active security authentication, and terminal and system for supporting same
AU2013245980B2 (en)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90381971A1 (en) Internet of vehicles system performing connection authentication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connection method
US1124403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device
US11704396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US20160337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070021432A (ko) 다중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원격 제어 방법
CA2571811A1 (en) User authentication for contact-less systems
AU2005222507B2 (en) Portable computing environment
KR20190029403A (ko) 차량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394534B2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key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10958234A (zh) 一种应用登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007262A1 (zh) 一种密码设置方法、智能电视、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564369B1 (ko)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US20050055566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228762B2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装置
US11479209B2 (en) Inpu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4419611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通信局装置
WO2015117792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securely entering user credentials
JP2022178229A (ja) 車両制御装置、車両、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24006A1 (zh) 一种用于智能设备的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启动装置
JP2000075954A (ja) 電子機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