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01A -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01A
KR20230039401A KR1020210122680A KR20210122680A KR20230039401A KR 20230039401 A KR20230039401 A KR 20230039401A KR 1020210122680 A KR1020210122680 A KR 1020210122680A KR 20210122680 A KR20210122680 A KR 20210122680A KR 20230039401 A KR20230039401 A KR 20230039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oking
taste
service provid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807B1 (ko
Inventor
양기훈
Original Assignee
양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훈 filed Critical 양기훈
Priority to KR102021012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8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요리할 요식 메뉴 및 수량을 선택받아 레시피를 출력할 때,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가맹점 단말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기 배송된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차감하여 잔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 잔여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OOD FRANCHISE MANAGEMENT SERVICE ACHIEVING STANDARDIZATION OF TASTE}
본 발명은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조리단계별 식자재 투입시각을 설정하고 알람으로 알려줌으로써 정형화된 레시피를 구현하여 맛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프랜차이즈 산업은 식품 원부자재를 중앙 공급식에 의해 신속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하고 셀프서비스 시스템 도입으로 운영의 간소화, 메뉴의 통일 등을 특징으로 한 식품서비스 산업을 뜻한다. 최근 음식 프랜차이즈는 패밀리 레스토랑처럼 편하게 가서 즐길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으며 정통요식을 표방하면서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표준화된 메뉴로 고객을 사로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식 프랜차이즈로 창업을 할 때는 꼭 신경써야 할 부분이 있는데, 중식은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조리를 하고, 전문 주방장의 손길을 많이 필요로 하는 요리가 많아 전문 주방장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는 것이고, 전문기술이 필요한 요식 특성상, 정형화된 레시피가 있어도 매장별 일정한 맛을 구현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프랜차이즈는 패키지화된 재료로 조리 매뉴얼에 따라 혼합해 음식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레시피를 구성하고, 메뉴를 개발해 전문 주방장이 없어도 매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레시피에 따라 자동으로 요리하거나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식자재를 제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09639호(2017년02월24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82259호(2020년02월27일 공고)에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간을 조절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정해진 식재료를 투입하도록 공급하며, 급수의 양을 기준에 따라 조절하여 물의 양, 불의 세기 및 식재료가 자동조절되므로 음식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과, 식자재 배송을 할 때 가맹점 식별정보, 식자재 명칭 및 식자재 수량정보가 저장되는 주문라벨을 부착하여 배송시키고, 배송완료시 식자재 인식코드의 스캔을 통하여 각 가맹점에 배송된 식자재 정보가 자동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배송완료된 식자재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조리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식재료를 타이밍에 맞게 투입하는 투입장치가 요구되므로 규모의 경제나 범위의 경제를 이룬 자동화된 식품생산공장이 아니라면 비용 및 설치공간의 문제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도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실시간으로 어떠한 식자재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없어 가맹점에서 발주를 하기 전까지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을 통한 재고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요식 프랜차이즈를 운영할 때 가맹점에서 표준화된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식자재 발주 및 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식(料食, Restaurant)의 단위메뉴를 요리하는데 필요한 각 식자재의 중량, 부피 및 무게와, 불의 세기, 식자재의 투입 시각 및 조리 시간을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가맹점 단말에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레시피에 따라 각 식자재의 중량, 부피 및 무게와, 불의 세기, 식자재의 투입 시각 및 조리 시간을 알람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요식 메뉴의 표준화된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가맹점 단말에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횟수를 로그로 누적하여, 납품된 식자재 중 소진된 식자재의 양과 잔여 식자재의 양을 파악하며, SCM에 따라 식자재를 자동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리할 요식 메뉴 및 수량을 선택받아 레시피를 출력할 때,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가맹점 단말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기 배송된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차감하여 잔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 잔여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요식의 단위메뉴를 요리하는데 필요한 각 식자재의 중량, 부피 및 무게와, 불의 세기, 식자재의 투입 시각 및 조리 시간을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가맹점 단말에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레시피에 따라 각 식자재의 중량, 부피 및 무게와, 불의 세기, 식자재의 투입 시각 및 조리 시간을 알람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요식 메뉴의 표준화된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가맹점 단말에서 요식의 단위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횟수를 로그로 누적하여, 납품된 식자재 중 소진된 식자재의 양과 잔여 식자재의 양을 파악하며, SCM에 따라 식자재를 자동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밀키트를 선택, 주문 및 결제하고, 밀키트를 배송 또는 배달받은 후 QR 코드를 스캔하여 레시피 동영상을 출력하고,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 및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식자재를 공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레시피 시작 버튼 또는 조리 시작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레시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재생된 레시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식자재 종류, 중량 및 부피에 대응하는 식자재를 재고에서 차감하고 잔여 식자재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발주량을 예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레시피에 포함된 알람 및 안내멘트의 타이밍에 각 식자재가 투입되고 있는지를 CCTV 또는 가맹점 단말(400)의 카메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밀키트를 주문하고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레시피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고 조리단계별 각 타이밍에 맞게 식자재를 투입하고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레시피 콘텐츠를 출력하고 알람 및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 가스관의 크기 및 불의 세기를 측정하여 입력함으로써 데이터화하는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직원 단말(500)은, 미각센서(Taste Sensor)를 이용하여 각 가맹점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요식 메뉴의 맛을 측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재고관리부(320), 예측부(330), 밀키트관리부(340), 상황맞춤부(350), 인공지능부(360), 타이밍체크부(370), 시청각안내부(380), 회귀평가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로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조리할 요식 메뉴 및 수량을 선택받아 레시피를 출력할 때,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레시피는 조리시간 동안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으로 제공되고, 조리단계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알람을 통하여 식자재 투입시기, 불 조절 시기, 조리완료 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요리를 하는 동안에는 동영상을 볼 수 없으므로 요리시간동안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동영상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레시피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식자재가 완료된 후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스타트 버튼을 선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재고관리부(32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기 배송된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차감하여 잔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재고관리부(320)는, POS 매출정보, 날씨정보 및 요일정보를 수집하여 기 구축된 소비 예측 알고리즘으로 소비될 식자재의 종류 및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짬뽕전문집에서 짬뽕과 탕수육을 판매한다고 가정하고, 날씨 외에 상권 변화 등 다른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해 일 판매량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메뉴와 상관관계 분석 및 예측모형의 독립변수로 기상자료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판매량과 상관성이 낮을 것으로 추측되는 요소는 제외하고, 개발된 예측모형을 실제 운영할 때 사용자가 확보하기 어려운 요소는 제외하고, 기상 요소 간 중복성이 있는 요소는 대표적인 요소만 선택하여 예측을 한다고 가정한다.
기상요소 평균기온, 강수 지속시간, 일강수량, 평균 풍속, 평균 상대습도, 평균 해면기압, 일사량, 일 최심적설량, 평균 전운량, 안개 지속시간 등일 수 있다. 짬뽕의 일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여름철에 많고 겨울철에 적은 계절 변동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런 경향은 주간변동과 월평균 변동 분포에서도 볼 수 있는 경우, 짬뽕 판매량이 온도 변동과 상관관계가 클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일 변동이 커 온도 외에도 다른 기상 요소 또는 기타 변수의 영향도 받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경우 기상요소 외에 다른 기타 변수도 고려할 수 있다.
짬뽕의 일 판매량 예측 모형을 주중과 주말로 군집 분류할 수 있다. 짬뽕의 판매량과 다른 품목의 판매량 총 매출액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후 상관계수 값이 큰 변수를 중심으로 다증회귀모형을 개발할 수 있고, 월요일 내지 토요일의 전체 기간을 하나로 개발한 모형의 결정계수와, 주중과 주말로 나눈 모형의 결정계수를 파악한 후, 더 우수한 쪽을 모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주중과 주말 예측모형의 독립변수 중 기상요소는 기온, 일사량, 구름량일 수 있고, 요일 변수가 포함될 수 있다. 주말 모형은 이전 주말의 판매량이 독립변수에 포함되었으나 주중 모형에는 하루 전 판매량 변수의 결정계수 증가가 작고 예측모형을 운영할 때 대응시간이 짧아 활용 가능성이 낮아 제외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품목에 대한 예측모형도 개발할 수 있으며 각 품목별로 다른 결정계수와 독립 변수를 보일 수 있다.
또는, 시계열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ARIMA 시계열 연구모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난 5 년간 A 가맹점에서 발생한 품목별 식음료 매출액인 POS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일, 금주, 또는 이번 달의 식음료 매출액을 추정(Forecasting)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계열 분석기법들 중 하나인 ARIMA-Intervention(개입모형)을 이용하여 식음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 시계열 영향변수들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변화폭을 추정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생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식음료 월별 또는 일별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다.
ARIMA-개입모형을 위한 시계열 분석에는 과거 시기별 각 가맹점의 판매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 사건을 개입변수로 적용하여 그 영향을 전체 수요에 반영할 수 있다. ARIMA-개입모형은 시점별로 다양한 관측치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이벤트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 수요의 구조적 측정이 가능한 다변량 시계열 예측모형으로 평가받는다. 이런 이유로 시계열 분석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수요의 구조적 측정 및 영향력 측정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RIMA-개입모형은 각 개입사건(이벤트) 별 영향력 계수를 제시함으로써 시계열 모형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한 모형으로 평가받으며 그 예측력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 예측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통계적 기법들 중 하나로 회귀분석이 있다. 하지만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각 식당의 미래 수요를 설명하거나 예측함에 있어 소득변수(실질소득 또는 명목소득 또는 가처분소득 또는 GDP 등), 환율(KRW/USD 또는 KRW/YEN 또는 KRW/CNY 등) 아니면 국제유가 등의 독립변수들로 시장 수요 변동을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COVID-19) 등으로 인해 각 식당의 수요가 악영향을 받을 경우 또는 백신접종을 했음에도 변이바이러스로 인하여 거리두기 단계가 높아지는 경우 등 자연재해 또는 인위적 국가적 정책사항은 인과적 함수식으로 설정하기도 힘들고 또한 자료로 설명하기가 힘들어 회귀분석이 만족할 만한 예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ARIMA 시계열 연구모형은, 시차단위별로 구분되어 있는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관계를 모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서 미래에 발생가능 한 수요 또는 자료를 예측하는 함수식으로는 크게 시계열모형(고전적 모형)과 확률적 시계열 모형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전적 방법인 시계열 분석방법으로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및 분해법 등이 있다. 현대적 모형이라 할 수 있는 확률적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데이터(원자료)에 확률적(Stochastic) 방법론를 도입하여 모형화한 연구로서 ARIMA 분석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ARIMA 분석모형은 A.R.(Auto Regression-자동회귀)와 M.A.(Moving Average -이동평균)가 결합하여 구성된 분석모형을 의미한다.
자동회귀 모형은 시차단위별 데이터 x(t)에 대해 매 순간마다 데이터 간 상관관계가 있다고 가정하는 연구모형이다. 다만 데이터 간 상관관계 속에는 백색잡음(White Noise)이 존재하게 된다. 백색잡음 속에는 시간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시점의 관측 데이터는 그들의 과거에 관측된 데이터값들의 함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자기회귀 분석모형은 Yule-Walker 방정식을 통해서 추정되었다.
이동평균 분석모형은 현 시점의 관측값은 백색잡음들의 선형적 결합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한다. 자기회귀와 이동평균모형을 결합하여 자동회귀-이동평균(Auto Regressive-Moving Average) 분석 모형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형들을 이용해서 가장 안정적인 예측법으로 확률적 시계열 분석모형이 정립되었다. 이러한 방법론을 정립한 것은 Box-Jenkins의 ARIMA 시계열 분석모형이다. ARIMA 시계열 분석은 다양한 학계 및 산업계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미래수요를 예측하는 분야에서는 대표적인 시계열분석법이다.
시계열 분석을 위해 3 단계 연구모형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연구자가 잠정적인 모형을 식별(Identification)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기식별된 시계열 분석모형의 계수들를 추정하고 검증(Estimation and Testing) 한다. 모수 추정 및 검증 단계에서 모형 및 계수들의 적합도에 대한 통계 프로그램의 반복 연산 및 검증을 거치게 된다. 왜냐하면 반복적 연산과 검증을 통해서 연구자의 개입을 미연에 방지하고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모형의 적합성을 진단(Diagnostic Checking)하며 만족스러운 모형이 선택될 때까지 진단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이러한 3단계 모형을 바탕으로 설정할 수 있다.
<ARIMA 시계열-개입모형>
식당 수요 관련 시계열 데이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연재해(지진, 쓰나미, 태풍, 코로나(COVID-19), 전쟁 발발, 한한령 등 정치적 또는 경제적인 외부적 이벤트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외부 이벤트를 ARIMA 연구모형에서는 개입변수(Intervention Variable)이라고 부른다. 개입변수는 시계열 데이터의 정상적 흐름 및 확률적 구조에 급격한 변화를 주기 때문에 연구모형을 설계하는 데 난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외부적 충격요인을 연구모형에 변수로 포함시킬 수 있는 ARIMA 개입 모형을 활용하면 보다 미래 수요에 대한 예측력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ARIMA 개입(Intervention) 모델은 외부적 충격을 변수로 포함하므로 ARIMA 확장 모형이라 한다.
원 자료(Raw Data)인 시계열 데이터 Yt가 있고, 외부적 개입이 M 번 발생했다고 한다면 ARIMA 개입모형은 이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때 C=상수항, αi=Xi,t의 계수, Nt=오차항이며 오차항은 ARIMA(p,d,q)(P,D,Q)12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D는 계절적 차분횟수, d는 비계절적 차분횟수, φp(B)는 비계절적 AR모형, Φp(Bs)는 계절적 AR모형, θq(B)는 비계절적 MA모형, ΘQ(Bs)는 계절적 MA모형, εt는 오차항(White Noise) 또는 이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9
수학식 4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이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일반적으로 개입변수는 종속변수에 일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인 ㅍ펄스(Pulse) 개입과 이와 다르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벤트인 스텝(Step) 개입 2 가지로 구분 가능하다. 만약 펄스 개입이 t=i 시점 동안 발생했다고 가정한다면 펄스 변수 Xi,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11
이때 Xi,t는 이분법적 변수이며, i 시점에서만 Xi,t가 개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i시점 이전 Xi,t =0, i 시점에서는 Xi,t =1, i 시점 이후에 다시 Xi,t =0 으로 된다. 만약 스텝 개입이 t=i 시점 동안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스탭 변수 Xi,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12
스탭 변수 함수 Xi,t는 어떤 i 시점에서 발생한 외부 이벤트 개입이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역시 이분법적 변수이며, i 시점 및 그 이후 에 Xi,t가 개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i시점 이전 Xi,t =0, i시점에서는 Xi,t=1, i 시점 이후는 다시 Xi,t =0 이 된다.
ARIMA-개입모형의 분석절차는 상술한 모형의 식별, 추정 및 검증 그리고 모형의 진단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형을 이용해서 미래를 예측한다. 식별(Identification) 단계에서 데이터의 순차도표, 자기상관함수(ACF), 편자기상관함수(PACF) 등을 통하여 데이터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의 차분이나, 로그 변환 여부를 판단 후 차분(d), AR(p), MA(q) 차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여러 개의 잠정적 연구모형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추정 및 검증 그리고 최종적으로 모형진단을 통해 가장 적절한 시계열 분석모형을 선택할 수 있다. 모형의 추정 단계에서 식별된 모형의 모수 및 계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식별된 모형에 대한 p 개의 자기회귀(AR)모수 φ1, φ2,...,φp와 q 개의 이동평균(MA)모수 θ1, θ2,...,θq의 값을 결정하고 모수의 t값을 통해 유의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인 모형 진단에서는 적합도가 통과된 모형의 ACF의 자기상관계수 값과 PACF의 자기상관계수 값이 충분히 0에 수렴하는지 검증한다. ACF와 PACF 모두 5% 유의 수준이 존재하는 경우, 시차의 자기상관중에 1 개 정도는 이 기준치를 초과할 수도 있다. 3 단계 분석 절차가 완료된 후 예측을 실시할 수 있다.
<자료 수집>
예를 들어, 시계열 데이터를 사당동에 위치한 짬뽕전문점 A 가맹점의 2018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월별 POS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식사 메뉴 외에도 음료 등이 존재할 수 있으나 식자재는 청과 위주로 가정하면 음료는 제외할 수도 있다. ARIMA 분석에 앞서 먼저 식사 월별 매출액 데이터가 정상성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미래의 매출액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계절성(Seasonality)과 같은 비정상성을 발견하여 제거하고 안정적이면서 고정적인 추세를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원자료(Raw Data)가 A 가맹점의 식사 월별 매출액의 시계열 순차도표가 존재하고, 주기적으로 하계 극성수기인 7월과 8월 그리고 동계 극성수기인 12월과 1월에 반복되는 매출액 급감하는 현상도 존재한다면, 이런 추세를 확인한 후 계절차분과 비계절 차분을 1 회씩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원자료인 시계열 데이터가 더 이상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정상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차분을 수행한 후 ARIMA p, d, q 차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자기상관함수 및 편자기상관함수를 분석을 할 수 있다. MA(이동평균) 차수 q는 자기상관(Auto Correlation) 함수를 통해서 판별할 수 있으며 MA(이동 평균) 차수 q는 자기상관(Auto Correlation) 함수를 통해 서 판별할 수 있으며 AR(자동회귀) 차수 p는 편자기상관(Partial Auto Correlation) 함수를 통해서 판별가능하다.
자기상관함수 및 편자기상관함수의 그래프의 단기시차를 살펴본 후, 스파이크가 신뢰구간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고, 자기상관함수와 편자기상관함수 그래프의 신뢰구간 밖으로 돌출되고 있지 않다면, MA(0) 및 AR(0)이라고 차수를 결정하여 최종모형으로 비계절차분과 계절차분이 각각 1로 차수가 결정된 ARIMA(0,1,0)(0,1,0) 모형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개입변수를 ARIMA 모형에 포함할 수 있는데, 개입변수는 코로나(COVID-19)의 단계별 거리두기로 인하여 테이블 수가 줄어들고 증가하는 현상, 또 9시 이후에는 포장만 가능하다거나 하는 정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정된 ARIMA 개입모형의 예측치는 실측치와 예측오차 검토과정을 통해서 그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PE 적합도 계수를 활용할 수 있는데, MAPE는 절대평균백분율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의미한다. MAPE 적합도 계수는 구간별로 적합도를 해석할 수 있다. 실측치와 예측치 간 예측오차를 비교한 MAPE 값이 5% 이내라면 나타나 우수한 예측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상관함수 및 편자기상관 함수의 잔차들이 95% 신뢰구간 내에 모두 있다면 백색잡음(White nosie)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재고관리부(320)는, 잔여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POS 데이터 및 레시피 플레이 데이터에 따른 패턴을 딥러닝으로 학습한 후 예측한 식자재의 종류 및 수량과, 학습된 구매패턴에 기반하여 자동 발주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자동 발주된 식자재 금액을 수정하거나 변경하여 결제할 수 있다. POS 데이터만을 이용하는 경우 발주할 물품을 추정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레시피 플레이 횟수 & POS 데이터->식자재의 종류 및 수량 추정-> 구매 데이터로 학습-> 추정치와 학습결과를 비교하여 재학습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밀키트관리부(340)는, 밀키트별로 QR 코드를 부여하고, 밀키트 내 포함된 요식 메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레시피를 QR 코드를 스캔한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밀키트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상황맞춤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 및 가스관의 크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가스의 종류 및 가스관의 크기에 대응하는 불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 저장된 불의 세기와 비교하며, 측정된 불의 세기가 기 저장된 불의 세기와 차이가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에서 측정된 불의 세기에 대응하도록 조리 타이밍을 조절하여 각 가맹점별로 레시피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의 종류가 LNG, 가스관 지름이 Xcm이라면, 가스공급량은 화력조절레버에 따라 서로 달라진다. 이때 화력조절레버를 최대(Max)로 한 후 가스공급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와 가스는 온도에 따라 실제 사용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공기와 가스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단위 부피당 공기와 가스의 입자가 줄어들게 되므로 실제 가스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공기와 가스의 부피가 작아지게 되어 단위 부피당 공기와 가스의 입자가 늘어나게 되므로 실제 가스 사용량이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요리를 진행하는 주방의 온도를 측정한 후 가스 사용량에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화력도 표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초기에는 사람인 직원이 일일이 측정하고 데이터화하겠지만, 사람의 라벨링, 즉 전처리가 끝난 데이터는 인공지능을 학습할 데이터셋으로 전처리가 필요없으므로 이 데이터를 수집한 후 각 재료를 투하할 타이밍과 불 세기 및 조리시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인공지능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에서 가스의 종류, 가스관의 크기 및 불의 세기에 대응하여 조절한 조리 타이밍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테스트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가스의 종류, 가스관의 크기 및 불의 세기가 입력되거나 측정되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조절된 조리 타이밍 데이터로 레시피를 자동조절시킬 수 있다.
타이밍체크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CCTV가 연동된 경우, 주방을 촬영하는 CCTV로부터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레시피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수신하여 스트리밍받고, 알람이 출력되는 기 설정된 시각에 식자재를 조리용기에 투입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식자재는 1 인분용으로 소분되어 있거나 식자재를 담는 통의 부피를 일정하게 통일함으로써 식자재를 담는 통 내 식자재가 어느 높이까지 차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정량의 식자재가 투입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시청각안내부(380)는,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간에 음성멘트, 아이콘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회귀평가부(390)는, 예측된 발주량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발주된 실제 발주량 간 차이를 수집하여 Under Estimation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RMSLE(Root Mean Squared Logarithmic Error)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즉, RMSLE는 Over Estimation보다 Under Estimation에 더 큰 패널티를 부여하는데, 예측값이 실제값보다 클 때보다 예측값이 실제값 보다 작을 때 더 큰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값 = 600, 실제값 = 1,000일 때 RMSE = 400, RMSLE = 0.510인데, 예측값 = 1,400, 실제값 = 1,000일 때 RMSE = 400, RMSLE = 0.33이다.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는 두 경우 모두 400이고, Over Estimation이든 Under Estimation이든 RMSE값은 동일하지만 RMSLE는 Under Estimation일 때, 즉 예측값이 실제값보다 작을 때 더 높은 패널티가 주어진다. 양파라는 식자재를 주문할 때 3 망을 예측했는데 실제로 2 망만 필요했다면 1 망은 여유분으로 두면 되지만, 3 망이 필요한데 예측값이 작아 2 망이 온다면 필요한 자재가 부족해져 중국집에서 손님들이 먹을 양파가 없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MSE보다는 RMSLE를 쓰는 것이 식자재 공급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때, RMSLE의 수학식은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전자혀(Electronic Tongue) 또는 미각센서(Taste Sensor)를 이용하여 각 가맹점의 요식 메뉴 맛을 측정한 결과를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전자혀는 시료의 맛을 나타내는 성분과 센서 간의 감응도를 측정하여 시료의 맛을 패턴화시키는 기기이다. 전자혀는 센서어레이와 패턴인식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센서로부터 받은 복잡한 신호를 수치로 변환하여 제품의 특징을 나타나게 된다. 센서어레이는 맛을 대표하는 5개의 센서와 2개의 보정 표준센서, 1개의 표준전극(Reference Electrode)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미각과 마찬가지로 센서 SRS는 신맛, STS는 짠맛, UMS는 감칠맛, BRS는 쓴맛, SWS는 단맛을 주로 감지하며, GPS와 SPS 센서는 맛 센서의 값을 보정하는 표준센서이다.
예를 들어, Alpha MOS사의 전자혀 시스템(Astree, Alpha MOS, Toulouse, Franc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처리를 거친 요식 메뉴를 담아 오토샘플러(Autosampler)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통계 처리에는 Alpha MOS사에서 제공된 소프트웨어 Alpha MOS를 이용할 수 있고, 맛 스크리닝(Taste Screening)을 진행할 수 있다. 맛 스크리닝은, 전국 각지의 각 가맹점으로부터 얻은 모든 데이터의 평균값(m)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각 요식 메뉴별 센서 값의 평균값(X)를 토대로 X'=|(X-m)|/∂을 산출함으로써 0-15의 범위를 갖는 상대적인 맛 스코어(X')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7종 센서와 해당 물질의 센서 감응도 값(Raw Data)을 UNISTAT(Unistat Ltd., London, UK)를 이용하여 CDA(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통계 처리하고 판별정확도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각 가맹점 간 맛 패턴 차이를 분석할 수 있고, 가맹점 간 맛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7종 센서와 해당 물질의 센서 감응도 값(Raw Data)을 분석한 뒤 Alpha 소프트를 이용하여 맛 스크리닝하여 맛 스코어를 갖는 레이더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본사의 레시피대로 만든 요식 메뉴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할 수 있도록 리포팅을 해줄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전자혀 장치 및 프로그램이나 통계 소프트웨어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 및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적어도 하나의 요식 메뉴에 들어가는 각 식재료의 종류, 중량, 부피, 무게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불의 세기, 식재료 투입 시각, 조리시간 및 조리단계를 이용하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b)와 같이 각 가맹점에서 짬뽕 1 그릇에 대한 음식주문이 POS를 통하여 입력되는 경우, 가맹점 단말(400)은, 재료준비를 모두 마치면 스타트 버튼을 누르라는 지시를 전송하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의 식자재 재고를 짬뽕 1 그릇을 만들 때 필요한 식자재의 종류 및 양을 감소시킨다.
이때, 각 식자재의 투입시기, 불 세기 조절 타이밍 등이 (c)와 같이 레시피 콘텐츠 안에 포함되는데, 이러한 레시피 콘텐츠에 의해 실제 조리를 한 영상을 캡쳐한 사진이 도 4a 내지 도 4m이다. 사진에는 동영상을 캡쳐한 것이기 때문에 소리는 나오지 않았지만, 각 조리단계 및 타이밍마다 삐- 소리가 나오게 설계되었으며 우측 상단에 적색, 녹색 등 다양한 라이트를 점멸시키면서 지시를 주고 있다. 다만, 실제로 설치를 해보니 주방이 좁아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비가 별도로 들기 때문에 가맹점주에게 부담이 될 수 있고, 하드웨어를 본 발명의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할 때 무선통신모듈이 더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그대로 애플리케이션화했다.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로 구현도 가능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3b의 (a)를 참조하면, 밀키트의 경우에는 일반인이 반조리식품과 같은 HMR을 사서 조리를 하는 것인데, 일반 가정집의 화력은 도시가스공사에서 각 레벨별로 측정한 정량데이터가 존재하므로 이는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식자재는 모두 소분되어 있고 각 식자재별로 번호를 부여하여 "1 번 봉지 안의 식자재를 넣으세요"와 같이 시점만 알려주면 조리는 간단하게 완성될 수 있다. 이 레시피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해야 하고, 레시피 콘텐츠 대로 정확한 타이밍에 각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가이드를 줄 수 있다. 요리를 하면 눈으로 화면을 볼 시간이 없기 때문에 음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리장면을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b) 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레시피를 플레이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어느 종류의 몇 인분 짜리의 메뉴를 몇 번 틀었는지를 세면 어느 종류의 식자재를 얼마나 썼는지가 바로 계산되므로, 식재료 발주량을 예측할 수 있고 이는 SCM으로 자동발주처리될 수 있다. 다만, 초기부터 자동발주하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 단말(400)에서 실제 발주한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여 (c)와 같은 오류분석과정을 거친 후 자동발주를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초기부터 자동발주를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명쉐프가 운영하는 프렌차이즈가 있고, 유명쉐프가 직접 소스를 개발해서 가맹점에 적정한 양의 소스를 사용해서 조리를 하도록 교육을 하고 조리방법에 대해서도 교육을 하지만 가맹점에서 유명쉐프와 똑같은 맛이 나지는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프랜차이즈의 기본은 어딜가나 동일한 맛이 나야한다는 것인데, 유명쉐프가 해당 제품을 만들면서 재료를 투입하고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볶고 끓이고 어느 시점에 소스를 넣는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전달이 안되었기 때문이고, 전달이 되었다 하더라도 가맹점에서 동일하게 운영하기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볶음기를 통해 조리하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 분석, 데이터화하여 가맹점으로 단계적 재료투입에 대한 시기를 알람을 통해 전달을 해서 조리함으로써 99프로 이상의 동일한 맛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m을 참조하면, 자동볶음기의 팬을 중간불로 가열하고, 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소분된 기름을 투하하고, 소분된 돼지고기를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고, 간장을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며, 채소를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린다. 소분된 기름을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고, 소분된 물을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린다. 소분된 고춧가루를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고, 소분된 물을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린다. 소분된 양념을 투하하고 불세기를 최대로 올리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고, 소분된 물을 투하하고 조미료를 투하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리며 조리가 완료된다.
가맹점 단말(400)은, 조리메뉴를 선택하고, 한 메뉴를 만들기 위한 소분된 재료를 준비해두고 설정된 온도가 되면 스타트 버튼을 누른다. 동영상이 표시되며 소분된 재료를 넣는 타이밍을 알람과 화면으로 알려주고, 조리가 완료되면 완료 알람을 알려준다. 조리완료시 본사에 해당 가맹점 제품 조리횟수를 카운트한다. 밀키트를 판매하는 경우에도, 밀키트 구매자가 QR 코드를 찍고 해당 제품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을 하고, 조리제품을 확인하고 동영상과 함께 타이머 알람을 통해 조리를 진행하고 완료한다. QR 코드를 통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속한 경우, 밀키트 제품확인 및 준비 동영상으로 준비가 되면 스타트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가 출력된다.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조리과정이 동영상으로 표시되며 재료를 넣는 타이밍을 알람과 화면으로 안내한다. 조리가 완료되면 완료 알람을 알려주고, 판매업체의 타 제품을 홍보하는 화면을 보여주고 추가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기 배송된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차감하여 잔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고(S5200), 잔여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예측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조리할 요식(Restaurant) 메뉴 및 수량을 선택받아 레시피를 출력할 때,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선택된 요식 메뉴 및 수량이 선택된 경우 기 배송된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서 선택된 상기 요식 메뉴 및 수량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차감하여 잔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 상기 잔여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밀키트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며 안내하고, 불의 세기 및 조리 시간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밀키트별로 QR 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밀키트 내 포함된 요식 메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레시피를 상기 QR 코드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밀키트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는 조리시간 동안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으로 제공되고, 조리단계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알람을 통하여 식자재 투입시기, 불 조절 시기, 조리완료 시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 및 가스관의 크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가스의 종류 및 가스관의 크기에 대응하는 불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 저장된 불의 세기와 비교하며, 측정된 불의 세기가 기 저장된 불의 세기와 차이가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측정된 불의 세기에 대응하도록 조리 타이밍을 조절하여 각 가맹점별로 레시피를 조절하는 상황맞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가스의 종류, 가스관의 크기 및 불의 세기에 대응하여 조절한 조리 타이밍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테스트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가스의 종류, 가스관의 크기 및 불의 세기가 입력되거나 측정되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조절된 조리 타이밍 데이터로 상기 레시피를 자동조절시키는 인공지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식자재가 완료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스타트 버튼을 선택하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 CCTV가 연동된 경우, 주방을 촬영하는 CCTV로부터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레시피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수신하여 스트리밍받고, 상기 알람이 출력되는 기 설정된 시각에 식자재를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타이밍체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할 식자재의 종류, 부피 및 무게를 조리단계별 기 설정된 시간에 음성멘트, 아이콘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안내하는 시청각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예측된 상기 발주량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발주된 실제 발주량 간 차이를 수집하여 Under Estimation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RMSLE(Root Mean Squared Logarithmic Error)로 오류를 수정하는 회귀평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요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22680A 2021-09-14 2021-09-14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80A KR102613807B1 (ko) 2021-09-14 2021-09-14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80A KR102613807B1 (ko) 2021-09-14 2021-09-14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01A true KR20230039401A (ko) 2023-03-21
KR102613807B1 KR102613807B1 (ko) 2023-12-13

Family

ID=8580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680A KR102613807B1 (ko) 2021-09-14 2021-09-14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8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611A (ja) * 2001-06-04 2003-03-07 Kirin City:Kk 外食店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978722B1 (ko) * 2017-11-27 2019-08-28 강삼태 조리기구 제어 시스템
KR20200075552A (ko) * 2018-12-18 2020-06-26 (주)신화셀렉스 사용자 단말기와 조리기기를 연동한 간편식품 조리 방법
KR20210025416A (ko) * 2019-08-27 2021-03-09 홍준표 식자재 자동 발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자재 자동 발주 방법
JP2021056687A (ja) * 2019-09-30 2021-04-08 クックパッド株式会社 調理支援装置、調理支援システム、調理支援方法及び調理支援プログラム
JP2021099614A (ja) * 2019-12-20 2021-07-01 東京瓦斯株式会社 調理業務を支援する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
JP2021131719A (ja) * 2020-02-19 2021-09-09 株式会社ブライトキット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611A (ja) * 2001-06-04 2003-03-07 Kirin City:Kk 外食店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978722B1 (ko) * 2017-11-27 2019-08-28 강삼태 조리기구 제어 시스템
KR20200075552A (ko) * 2018-12-18 2020-06-26 (주)신화셀렉스 사용자 단말기와 조리기기를 연동한 간편식품 조리 방법
KR20210025416A (ko) * 2019-08-27 2021-03-09 홍준표 식자재 자동 발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자재 자동 발주 방법
JP2021056687A (ja) * 2019-09-30 2021-04-08 クックパッド株式会社 調理支援装置、調理支援システム、調理支援方法及び調理支援プログラム
JP2021099614A (ja) * 2019-12-20 2021-07-01 東京瓦斯株式会社 調理業務を支援する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
JP2021131719A (ja) * 2020-02-19 2021-09-09 株式会社ブライトキット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807B1 (ko)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137B2 (en) Processing time-series measurement entries of a measurement database
JP6855532B2 (ja) デジタル情報収集および解析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8175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er specific based food preparation prediction
CN106871567B (zh) 基于智能冰箱的食物推荐处理方法、装置及智能冰箱
WO2005015362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optimizing media programming in public spaces
KR102162978B1 (ko)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CA2416221A1 (en) Target rater
CN103810284A (zh) 一种厨房管理方法和装置
US20200302377A1 (en) Reducing food waste by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CN111402994B (zh) 基于饮食数据的用户健康信息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1003538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조리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9166A (ko)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외식업체를 방문 및 주문한 고객들의 음식선호도 여론조사 방법과 시스템
US11468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ensus hub in resource constrained regions
CN112905650A (zh) 基于大数据统计及健康报告分析的智能推荐算法研究
KR102594089B1 (ko) B2b 시장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식자재 자동 발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852299A (zh) 顾客饮食习惯确定方法及装置
JP2024507184A (ja) 献立提供装置及び方法
CN110675021A (zh) 一种厨余垃圾处理方法和装置
US20190164065A1 (en) Systems and Methods Venue Visitation Forecasting
KR102613807B1 (ko) 맛의 표준화를 이루는 음식 프랜차이즈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75012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food items
CN113360790A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29112B1 (ko) 블록체인 간편결제 플랫폼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비대면 원스탑 주문예약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Mamiya et al. A novel application of point-of-sales grocery transaction data to enhance community nutrition monitoring
US20230178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odservice with iot-based dietary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