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04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047A
KR20230038047A KR1020210121300A KR20210121300A KR20230038047A KR 20230038047 A KR20230038047 A KR 20230038047A KR 1020210121300 A KR1020210121300 A KR 1020210121300A KR 20210121300 A KR20210121300 A KR 20210121300A KR 20230038047 A KR20230038047 A KR 2023003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lange
hook
plat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김중호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047A/ko
Priority to EP22867514.6A priority patent/EP4328531A1/en
Priority to CN202280040356.0A priority patent/CN117425802A/zh
Priority to PCT/KR2022/008978 priority patent/WO2023038245A1/ko
Priority to US17/860,344 priority patent/US20230080310A1/en
Publication of KR2023003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판은 내상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복수의 판들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판은 내상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제1전면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전면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상이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저장실은 식품 출납을 위해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저장실은 개방된 전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고의 본체는 내상과 외상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상은 저장실을 형성하고, 외상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는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단열재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된 내상을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을 형성하는 판에 내상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들의 복수의 전면 플랜지들이 서로 결합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전면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후크 걸림부에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서 돌출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후크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후크 바디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크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크 후방 지지부는 상기 후크 바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후크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후크 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바디는 상기 외상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핫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 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결합부는 우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전면 플랜지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노출면;과,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노출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외상 지지면; 및 상기 외상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핫 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안착 홈;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노출면;과,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노출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2외상 지지면; 및 상기 핫 파이프가 안착되는 제2안착 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출면은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노출면의 제1면과, 상기 제1노출면의 제1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노출면의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은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과,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출면의 제2면의 하단과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의 하단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판은 제1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테두리를 마주보는 제2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제2테두리가 결합될 때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상기 제2전면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제1전면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제2전면 플랜지의 일부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후크 결합부에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후크 결합부의 일부는 상기 후크 걸림부의 일부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유동 방지 돌기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의 내상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내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판들에는 내상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판들이 결합 시에 복수의 판들의 전면 플랜지들도 함께 결합되므로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판들의 전면 플랜지들의 변형 및 전면 플랜지들 사이의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내상과, 제2내상과, 외상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제1결합부와 우판의 제2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H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제1결합부와 우판의 제2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I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후크 결합부와 후크 걸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상부 유동 방지 돌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하부 유동 방지 돌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우, 좌, 상, 하, 전, 후의 방향은 도 2, 도 7, 도 9에 표기된 좌표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즉, 좌표축의 + X 축 방향은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X 축 방향은 좌측 방향을 의미하고, + Y 축 방향은 상측 방향을 의미하고, - Y 축 방향은 하측 방향을 의미하고, + Z 축 방향은 전방을 의미하고, - Z 축 방향은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내상과, 제2내상과, 외상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29, 39)과, 저장실(29, 39)을 개폐하는 도어(2, 3, 4, 5)와, 저장실(29, 39)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9, 39)을 형성하는 내상(20, 30)과, 내상(20, 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1)과, 저장실(29, 39)을 단열하도록 내상(20, 30)과 외상(11)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2, 도 1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9, 39)에 공급할 수 있다.
내상(20, 30)은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은 각각 별개로 제조되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내상(20)의 내부에는 제1저장실(29)이 형성되고, 제2내상(30)의 내부에는 제2저장실(3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저장실(29)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제2저장실(39)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저장실(39)은 수직 격벽(15)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수직 격벽(15)은 제2내상(30)과 별개로 제조되어 제2내상(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저장실(29, 39)의 분할 및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내상(20)은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내상(30)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의 위치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저장실(29, 39)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13)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 용기(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저장실(29)은 한 쌍의 도어(2, 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 3)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저장실(39)은 도어(4, 5)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도어(4, 5)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 3, 4, 5)의 배면에는 식품을 보관하는 도어 선반(6)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2, 3, 4, 5)의 배면 테두리에는 저장실(29, 39)을 밀폐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되는 가스켓(7)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내상(20)과 제2내상(3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하의 제1내상(20)에 대한 설명은 제2내상(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내상(20)은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상(20)은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은 별개의 체결 부재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은 각각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 각각은 4개의 테두리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판들(21, 22, 23, 24, 25)은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1)은 저장실(29)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판(22)은 저장실(29)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좌판(23)은 저장실(29)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우판(24)은 저장실(29)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판(25)은 저장실(29)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의 형태는 굴곡이 없이 편평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은 굴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은 각각 저장실(29)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 중에 서로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제1내상(20)은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그 보다 적은 개수의 파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판(21)과 우판(2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하판(22)과 좌판(2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상판(21)과 좌판(2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하판(22)과 우판(2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내상(20)이 상판(21), 하판(22), 좌판(23), 우판(24) 및 후판(2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더 적은 개수의 파트로 구성된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좌판(23) 및 우판(24)에는 저장 용기(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27)이 형성될 수 있다. 후판(25)에는 증발기를 고정할 수 있는 증발기 고정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21)은 좌측 테두리(21a), 우측 테두리(21b), 전측 테두리(21c), 후측 테두리(21d)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22)은 좌측 테두리(22a), 우측 테두리(22b), 전측 테두리(22c), 후측 테두리(22d)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23)은 상측 테두리(23a), 하측 테두리(23b), 전측 테두리(23c), 후측 테두리(23d)를 포함할 수 있다.
우판(24)은 상측 테두리(24a), 하측 테두리(24b), 전측 테두리(24c), 후측 테두리(24d)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25)은 상측 테두리(25a), 하측 테두리(25b), 좌측 테두리(25c), 우측 테두리(25d)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21)의 좌측 테두리(21a)와, 좌판(23)의 상측 테두리(23a)가 결합될 수 있다.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와,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가 결합될 수 있다.
상판(21)의 후측 테두리(21d)와, 후판(25)의 상측 테두리(25a)가 결합될 수 있다.
하판(22)의 좌측 테두리(22a)와, 좌판(23)의 하측 테두리(23b)가 결합될 수 있다.
하판(22)의 우측 테두리(22b)와, 우판(24)의 하측 테두리(24b)가 결합될 수 있다.
하판(22)의 후측 테두리(22d)와, 후판(25)의 하측 테두리(25b)가 결합될 수 있다.
좌판(23)의 후측 테두리(23d)와, 후판(25)의 좌측 테두리(25c)가 결합될 수 있다.
우판(24)의 후측 테두리(24d)와, 후판(25)의 우측 테두리(25d)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내상(20)은 5개의 판들(21, 22, 23, 24, 25)의 테두리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8개의 결합 개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들 간의 결합을 위해 테두리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테두리들 중에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부(50)가 형성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에는 제2결합부(70)가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판(21)의 전측 테두리(21c)와, 좌판(23)의 전측 테두리(23c)와, 우판(24)의 전측 테두리(24c)에는 제1내상(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랜지(F1, F2, F3)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22)의 전측 테두리(22c)에는 제2내상(30)의 상판(31)의 전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중간 연결판(M)이 형성될 수 있다.
좌판(23)의 하측 테두리(23b)에서 연장 패널(41)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패널(41)은 제2내상(30)의 좌판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 패널(41)은 제1내상(20)와 외상(11) 사이의 단열 두께와, 제2내상(30)와 외상(11) 사이의 단열 두께의 차이에 따른 내상(20, 30) 및 외상(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제1결합부와 우판의 제2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H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제1결합부와 우판의 제2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와,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상판(21)과 우판(24)이 결합된 때 상판(21)과 우판(24)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상판(21)과 우판(24)이 결합된 때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와,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는 서로 마주보며 평행할 수 있다.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와,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의 결합을 위해,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에는 제1결합부(50)가 형성되고,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에는 제2결합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판(21)은 상판 몸체(21e)와, 우측 테두리(21b)에 형성된 제1결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우판(24)은 우판 몸체(24e)와, 상측 테두리(24a)에 형성된 제2결합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반대로 상판(21)의 우측 테두리(21b)에 제2결합부(70)가 형성되고, 우판(24)의 상측 테두리(24a)에 제1결합부(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50)는 제1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의 실시예일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제2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의 실시예일 수 있다. 제1결합부(50)와, 제2결합부(70)의 구조는 다른 판들의 테두리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결합부(50)는 삽입 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상판 몸체(21e)에서 동일 평면 또는 평행한 평면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테두리(2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삽입 돌기(51)가 삽입되는 수용 홈(72)을 형성하는 수용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홈(72)은 삽입 돌기(51)에 대응되도록 테두리(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71)는 제1벽(73)과, 제2벽(74)과, 제3벽(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벽(73)과, 제2벽(74)과, 제3벽(75)은 수용 홈(7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벽(73)과 제2벽(74)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벽(75)은 제1벽(73)과 제2벽(74)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벽(73)은 우판 몸체(24e)에서 단열재(12) 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벽(73)은 우판 몸체(24e)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된 때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제1방향(A)으로 수용 홈(72)에 삽입되고, 걸림부(77)는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된 때 삽입 돌기(51)가 제1방향(A)의 반대인 제2방향(B)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된 때, 걸림부(77)는 삽입 돌기(51)가 테두리(24a)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걸림부(77)가 형성된 탄성 브라켓(76)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76)은 제3벽(75)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벽(74)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으며, 제2벽(74)의 절개부에 탄성 브라켓(76)이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76)의 양 측에는 탄성 브라켓(76)이 원활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슬릿(78)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78)은 테두리(24a)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탄성 브라켓(76)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76)은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 돌기(59)에 가압되어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되면 탄성 브라켓(76)은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걸림부(77)에 걸리도록 마련된 결합 돌기(59)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7)는 결합 돌기(59)가 걸리도록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걸림부(77)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결합 돌기에 대응되는 후크 형태 또는 기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결합부(70)는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된 때 삽입 돌기(51)에 삽입되도록 수용부(71)에서 돌출되는 내부 리브(8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리브(80)는 제3벽(75)의 내측면(75a)에서 수용 홈(7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리브(80)는 제1벽(73)의 내측면(73a)과 제2벽(74)의 내측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내부 리브(80)는 삽입 돌기(51)의 삽입 방향인 제1방향(A)의 반대인 제2방향(B)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돌기(51)가 수용 홈(7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부 리브(80)도 삽입 돌기(51)에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71)에 내부 리브(80)가 마련됨으로써, 내상(20)이 저장실(29)의 저온으로 인해 열수축할 시에 내상(20)의 변형이 방지되고 제1결합부(50)와 제2결합부(70) 사이의 틈(G)이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우판(24)이 저온으로 열수축할 시에 우판(24)은 제3방향(C)으로 열수축할 수 있다. 제3방향(C)은 제1방향(A) 및 제2방향(B)에 수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리브(80)는 제3방향(C)의 반대인 제4방향(D)으로 삽입 돌기(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리브(80)는 제3방향(C)으로 삽입 돌기(51)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우판(24)의 수축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 돌기(51)와, 제1벽(73)의 내측면(73a) 사이의 공간(G)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내부 리브(80)가 삽입되도록 리브 홈(57)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 홈(57)은 삽입 돌기(51)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51)는 내부 리브(80)와 제1벽(7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부분(52)과, 내부 리브(80)와 제2벽(74)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부분(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리브(80)는 내상(20)의 열 변형을 방지하고 결합부들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결합부들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리브(80)는 테두리(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 홈(57)은 테두리(2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제1벽(73)을 지지하도록 수용부(71)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리브(8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브(82)는 우판(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리브(82)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리브(82)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외부 리브들(82)은 테두리(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리브(82)가 마련됨으로써, 내상(20)의 열 변형 및 결합부들이 벌어지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I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후크 결합부와 후크 걸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상부 유동 방지 돌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면 플랜지와 우판의 전면 플랜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하부 유동 방지 돌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상판(21)의 전면 플랜지(F1)와, 우판(24)의 전면 플랜지(F2)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다른 판의 전면 플랜지들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판(21)의 전면 플랜지(F1)를 제1전면 플랜지(F1)라고 하고, 우판(24)의 전면 플랜지(F2)를 제2전면 플랜지(F2)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사출 성형을 통해 상판(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내상(2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상판(21)의 몸체(21e)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면 플랜지(F1)는 본체(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노출면(121)과, 외상(11)을 지지하도록 제1노출면(121)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외상 지지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출면(121)과 제1외상 지지면(12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노출면(12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노출면의 제1면(121a)과, 제1노출면의 제1면(121a)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노출면의 제2면(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상 지지면(123)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123a)과,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123a)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출면의 제2면의 하단(121c)과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의 하단(123c)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각형의 코너부를 중심으로 제1전면 플랜지(F1)의 2개의 면(123a, 123b)이 외상(1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면 플랜지(F1)의 전후 방향 유동이 제한되고,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 사이의 전후 방향 단차 및 벌어짐이 개선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제1노출면(121)과 제1외상 지지면(123)을 연결하고 외상(11)의 내측 단부(11a, 도 16)를 지지하는 제1단부 지지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외상(11)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핫 파이프(160, 도 16)가 안착되는 제1안착 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 홈(124)에는 외상(11) 및 핫 파이프(160)를 지지하는 안착 리브(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의 배면에는 제1전면 플랜지(F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에 외상(11)이 결합되면 제1노출면(121)은 전방으로 노출되고, 제1외상 지지면(123)과 제1안착 홈(124)은 외상(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사출 성형을 통해 우판(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내상(20)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우판(24)의 몸체(24e)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본체(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노출면(151)과, 외상(11)을 지지하도록 제2노출면(151)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2외상 지지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노출면(151)과 제2외상 지지면(15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제2노출면(151)과 제2외상 지지면(153)을 연결하고 외상(11)의 내측 단부(11a)를 지지하는 제2단부 지지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외상(11)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핫 파이프(160)가 안착되는 제2안착 홈(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에 외상(11)이 결합되면 제2노출면(151)은 전방으로 노출되고, 제2외상 지지면(153)과 제2안착 홈(154)은 외상(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전면 플랜지(F1)가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제2전면 플랜지(F2)가 좌측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는 제1결합부(50)와 제2결합부(70)가 결합될 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판(21)과 우판(24)이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상판(21)의 제1결합부(50)와 우판(24)의 제2결합부(70)의 결합과, 상판(21)의 제1전면 플랜지(F1)와 우판(24)의 제2전면 플랜지(F2)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상(20)을 형성하는 상판(21) 및 우판(24) 등 복수의 판들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는 서로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전면 플랜지(F1)에는 후크 결합부(100)가 마련되고, 제2전면 플랜지(F2)에는 후크 걸림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후크 걸림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제1전면 플랜지(F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3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제2전면 플랜지(F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는 제1전면 플랜지(F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는 제1전면 플랜지(F1)에서 돌출되는 후크 바디(101)와, 후크 바디(101)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 돌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바디(101)는 결합 도중에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후크 바디(101)의 전면에는 제1안착 홈(124)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30)는 걸림 바디(131)와, 후크 돌기(102)에 걸리도록 걸림 바디(131)에서 돌출된 걸림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돌기(102)는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돌기(102)는 후크면(104)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132)는 후크 결합부(100)와 후크 걸림부(130)의 결합 도중에 슬라이드면(103)이 미끄러지면서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132)는 후크면(104)이 결리도록 마련된 걸림면(1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바디(101)는 슬라이드면(103)이 가이드면(133)에 의해 안내되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Z 축 방향)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후크 돌기(102)가 일정 거리만큼 진행하여 슬라이드면(103)과 가이드면(133)이 이격될 때 후크 바디(102)가 원상으로 복원되면서 후크면(104)이 걸림면(134)에 걸리게 될 수 있다. 후크면(104)이 걸림면(134)에 걸림으로써, 후크 결합부(100)가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 X 축 방향, 좌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가 후크 걸림부(130)에 결합된 때 후크 바디(101)의 전면이 걸림 바디(13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결합부(100)가 전방으로(+ Z 축 방향)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30)는 후크 바디(101)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후크 바디(10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바디(101)와 후방 지지부(135)는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가 후크 걸림부(130)에 결합된 때 후크 바디(101)의 후면이 후방 지지부(135)에 지지되고, 따라서, 후크 결합부(100)가 후방으로(- Z 축 방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35)는 후크 바디(101)의 - Z 축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개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크 결합부(100)가 후크 걸림부(130)에 결합하는 도중에 후크 바디(101)가 탄성 변형할 때 후크 바디(101)는 개구(136)를 통과하거나 개구(136)에 수용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30)는 후크 돌기(102)의 상면(105)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39a)와, 후크 돌기(102)의 하면(106)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3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39a)와 하부 지지부(139b)는 각각 걸림 바디(13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가 후크 걸림부(130)에 결합된 때 상부 지지부(139a)와 하부 지지부(139b)에 의해 후크 결합부(10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 Y 방향, - 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00)는 우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면(107, 108)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30)는 경사면(107, 108)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지지면(137, 138)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지지면(137)은 걸림 바디(131)의 상측에 형성되고, 경사 지지면(138)은 후방 지지부(135)의 상단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07, 108)은 각각 경사 지지면(137, 13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경사면(107, 108)과 경사 지지면(137, 138)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사면(107, 108)과 경사 지지면(137, 138)이 서로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후크 결합부(100)가 우측 방향(+ X 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측 방향(- 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크 결합부(100)와 후크 걸림부(130)는 X축, Y축, Z축의 3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제1결합부(50)의 삽입 돌기(51)에 대응되는 삽입 돌기(51a, 도 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제2결합부(70) 수용 홈(72)에 대응되는 수용 홈(72a, 도 1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51a)는 수용 홈(72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전면 플랜지(F2)는 제1전면 플랜지(F1)를 전후 방향(+ Z 축, - Z 축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제1전면 플랜지(F)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방지 돌기(140)는 후크 걸림부(13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유동 방지 돌기(140)는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전후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일부는 유동 방지 돌기(140)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유동 방지 돌기(140)는 제2벽(74)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유동 방지 돌기(141)와, 제2벽(74)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유동 방지 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유동 방지 돌기(142)는 상부 유동 방지 돌기(141) 보다 더 제1전면 플랜지(F1)에 가깝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유동 방지 돌기(141, 142)가 삽입되는 유동 방지 홈(111a, 112a)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유동 방지 홈(111a, 112a)은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는 유동 방지 홈(111a, 112a)를 형성하도록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유동 방지 벽(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전면에는 제1노출면(121)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 플랜지(F1)의 하부(91)의 전면에는 제1외상 지지면(123)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전면 플랜지(F2)의 유동 방지 돌기(141, 142)가 제1전면 플랜지(F1)의 유동 방지 홈(111a, 112a)에 삽입됨으로써, 제1전면 플랜지(F1)의 전후 방향 유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 및 조립 오차와, 단열재 발포시 발포압 등에 의한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 사이의 벌어짐 및 전후 방향 단차가 발생하는 현상이 개선되고, 제1전면 플랜지(F1)와 제2전면 플랜지(F2)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내상의 구조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의류 관리기, 신발 관리기, 조리 기기, 식기 세척기, 공기 조화기 등 다양한 가전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가전 기기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가전 기기 본체와, 내부 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가전 기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전 기기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 본체는 내상과,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가전 기기 본체의 내상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내상이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2, 3, 4, 5 : 도어
10 : 본체 11 : 외상
12 : 단열재 20 : 제1내상
21 : 상판 22 : 하판
23 : 좌판 24 : 우판
25 : 후판 29 : 제1저장실
30 : 제2내상 39 : 제2저장실
F1, F2, F3 : 전면 플랜지 100 : 후크 결합부
101 : 후크 바디 102 : 후크 돌기
111a, 112a : 유동 방지 홈 130 : 후크 걸림부
131 : 걸림 바디 132 : 걸림 돌기
135 : 후방 지지부 136 : 개구
140, 141, 142 : 유동 방지 돌기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전면 플랜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후크 걸림부에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서 돌출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걸림 바디와, 상기 후크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후크 걸림부에 결합된 때 상기 후크 바디는 상기 걸림 바디의 후면에 지지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후크 바디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크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후방 지지부는 상기 후크 바디의 탄성 변형을 안내하도록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후크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후크 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는 우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지지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전면 플랜지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노출면;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노출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외상 지지면; 및
    상기 외상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핫 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안착 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노출면;
    상기 외상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노출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2외상 지지면; 및
    상기 핫 파이프가 안착되는 제2안착 홈; 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면은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노출면의 제1면과, 상기 제1노출면의 제1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노출면의 제2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은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과,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1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면의 제2면의 하단과 상기 제1외상 지지면의 제2면의 하단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한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은 제1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테두리를 마주보는 제2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제2테두리가 결합될 때 상기 제1전면 플랜지와 상기 제2전면 플랜지가 결합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판은 상기 내상의 전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전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제1전면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제2전면 플랜지의 일부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후크 결합부에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후크 결합부의 일부는 상기 후크 걸림부의 일부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된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전면 플랜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전면 플랜지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플랜지는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결합된 때 상기 유동 방지 돌기에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21300A 2021-09-10 2021-09-10 냉장고 KR20230038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00A KR20230038047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EP22867514.6A EP4328531A1 (en) 2021-09-10 2022-06-23 Refrigerator
CN202280040356.0A CN117425802A (zh) 2021-09-10 2022-06-23 冰箱
PCT/KR2022/008978 WO2023038245A1 (ko) 2021-09-10 2022-06-23 냉장고
US17/860,344 US20230080310A1 (en) 2021-09-10 2022-07-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00A KR20230038047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47A true KR20230038047A (ko) 2023-03-17

Family

ID=8550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300A KR20230038047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8047A (ko)
WO (1) WO20230382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25B1 (ko) * 1993-12-28 1996-04-18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표면이 미려한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20110035416A (ko) * 2009-09-30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275530B2 (ja) * 2014-04-08 2018-02-07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KR20180080054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211372914U (zh) * 2019-10-25 2020-08-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储物箱及具有其的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245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609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909147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9816747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28014B1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70065775A (ko) 냉장고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AU2013309684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328531A1 (en) Refrigerator
KR20230038047A (ko) 냉장고
JP2016118313A (ja) 冷蔵庫
JP4093973B2 (ja) 冷蔵庫
KR20230115796A (ko) 냉장고
JP7280740B2 (ja) 冷蔵庫
US20230077776A1 (en) Refrigerator
KR20180066497A (ko) 냉장고
KR20230038073A (ko) 냉장고
JP6955587B2 (ja) 冷蔵庫
JP6674522B2 (ja) 冷蔵庫
JP2001165559A (ja) 冷蔵庫
KR20220068119A (ko) 냉장고
JP2014081106A (ja) 冷蔵庫
JP2021188833A (ja) 冷蔵庫
KR20240024690A (ko) 냉장고
JP5885934B2 (ja) 冷蔵庫
KR20230109010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