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87A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87A
KR20230037287A KR1020210120440A KR20210120440A KR20230037287A KR 20230037287 A KR20230037287 A KR 20230037287A KR 1020210120440 A KR1020210120440 A KR 1020210120440A KR 20210120440 A KR20210120440 A KR 20210120440A KR 20230037287 A KR20230037287 A KR 2023003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ps
extract
gbe
intestina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신
김경
장세은
Original Assignee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287A/ko
Publication of KR2023003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내 밀착 접합 단백질의 손실을 방지하고 다양한 염증 매개체의 예방을 통해 우수한 항염증 및 장 투과성 보호 효과를 갖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Gryllus bimaculat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intestine)은 영양소를 흡수, 처리 및 체내로 운반하는 중요한 기관으로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크론병(Crohn's disease)은 장 기능 장애로 인한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IBD)이다(Barrett, K.E. et al., Annu Rev Physiol, 62: p. 535-72. 2000). 현재까지 IBD는 면역 체계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면역 체계는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유기체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지만 IBD에서는 면역 체계가 위장 염증(gastrointestinal inflammation)을 유발하는 다양한 환경 요인에 대해 비정상적인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IBD는 건강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장 상피세포의 밀착 접합(tight junction)과 관련된 분자 발현의 하향조절이 유발되는데 밀착 접합(TJ) 단백질의 생리학적 기능은 3가지 중요한 단백질인 Zoula ocludence-1(ZO-1), occludin 및 claudn-1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밀착 접합 장벽의 손상은 장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장내 미생물총(intestinal microflora)을 변경하여 염증의 진행에 기여한다(Konig, J., et al., Clin Transl Gastroenterol, 2016. 7(10): p. e196. 2016). 또한 AMPK(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kinase)는 상피 증식과 분화에서 장 장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AMPK의 비활성화 상태는 당뇨병, 종양, 노화 및 염증성 질환과 같은 많은 병리학적 과정에 기여한다. 전 세계적으로 염증성 장질환(IBD)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병인 및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와 같은 화학요법제의 장기 투여는 심각한 잠재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대체 요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항염 효과가 있는 저독성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two-point cricket)는 가축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신소재일 뿐만 아니라, 항고혈압, 해열, 항염, 항비만, 항당뇨병, 항노화 등 다양한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Song, M.-H.H.,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33(2): 59-62. 2016).
그러나 쌍별귀뚜라미의 약리 활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장 기능 장애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개척 분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내 밀착 접합 단백질의 손실을 방지하고 다양한 염증 매개체의 예방을 통해 우수한 항염증 및 장 투과성 보호 효과를 갖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유발 매개체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함에 따른 항염증 및 장 투과성 보호 효과로 IBD를 비롯한 다양한 염증 관련 장 기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 활용가능하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요법제가 아닌 저독성 천연물을 이용한 대체 요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아질산염(nitrite) 및 ROS 억제를 통한 본 발명의 AE-GBE의 세포독성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MTT 분석을 통해 AE-GBE의 용량 반응에 대한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값은 음성 대조군(CON)의 백분율로 표시되고 결과는 평균±SD로 표시된다(n=3-5). ** p < 0.01 및 *** p < 0.001 대 음성 대조군.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대 LPS만 처리.
도 1b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아질산염 및 ROS 억제를 통한 본 발명의 AE-GBE의 세포독성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ATP 분석을 통해 LPS-유도 세포 생존율에 대한 AE-GBE의 용량-특이적 세포보호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c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아질산염 및 ROS 억제를 통한 본 발명의 AE-GBE의 세포독성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상기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ROS 생산에 대한 AE-GBE의 용량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d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아질산염 및 ROS 억제를 통한 본 발명의 AE-GBE의 세포독성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세포에서 LPS-유도 산화질소(NO)에 대한 AE-GBE의 용량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LPS-유도 Caco-2 세포에서 염증 매개체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Caco-2 세포에서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iNOS, COX-2 및 4HNE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겔 사진이다.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대 CON 그룹; # p < 0.05, ## p < 0.01 및 ### p < 0.001 대 LPS 단독 그룹.
도 2b는 LPS-유도 Caco-2 세포에서 염증 매개체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iNOS, COX-2 및 4HNE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2c는 LPS-유도 Caco-2 세포에서 염증 매개체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qRT-PCR로 TNFα, IL-1β, IL-6, 및 IFNγ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경상피 전기 저항(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으로 측정한 Caco-2 세포 단층의 투과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EER 값은 LPS 또는 AE-GBE 처리 후 2, 4, 6 및 8시간에 평가되었다. 데이터는 평균±SD를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LPS 단독군과 비교, n=3-5.
도 4a는 LPS 유도 Caco-2 세포에서 AMKP 활성화 및 TJ 관련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Caco-2 세포에서 AMPKα, p-AMPK 및 밀착 접합 단백질(ZO-1, occludin 및 claudin-1) 발현을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한 겔 사진이다.
도 4b는 LPS 유도 Caco-2 세포에서 AMKP 활성화 및 TJ 관련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AMPKα, p-AMPK의 발현 수준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4c는 LPS 유도 Caco-2 세포에서 AMKP 활성화 및 TJ 관련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AE-GBE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밀착 접합 단백질(ZO-1, occludin 및 claudin-1)의 발현 수준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two-point cricket)"는 잡식성으로 곡물 채소 동물성 먹이, 농업부산물 먹이 등 무엇이나 잘 먹으며 생육 기간이 90일 정도로 짧고 알의 월동이 필요치 않아 연중 실내 대량 사육이 가능하다. 높은 단백질 함량과 풍부한 불포화 지방산, 아미노산, 미네랄등 훌륭한 영양성분을 고루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일반 식품원료로 인정받으면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가축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신소재일 뿐만 아니라, 항고혈압, 해열, 항염, 항비만, 항당뇨병, 항노화 등 다양한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원인 불명의 설사, 혈변이 계속되는 질환을 총칭하는 말로 젊은 성인에게서 많이 관찰된다. 장관 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흔히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아직까지 명확한 발병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장투과성(intestinal permeability)"은 어떠한 자극이나 손상이 가해지면서 세포 사이의 틈으로 고분자 물질이 왕복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장 점막 투과성이 증가하면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 등이 장 점막 내로 유입되어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장 상피세포의 밀착 접합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밀착 접합 단백질은 ZO-1(Zoula ocludence-1), occludin 또는 claudn-1일 수 있으며 증가된 장투과성(intestinal permeability)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 장염, 옥사졸론 유도성 대장염 또는 장결핵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건조된 쌍별귀뚜라미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에 에탄올 및 물을 1:9 내지 9:1의 비율로 첨가 후 50 내지 7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후 농축 및 동결건조시킨 후 탈 이온수에 용해시켜 수득하는 추출물 수득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는데,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사, 비강 내 흡입, 근육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피흡수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환자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신장, 체표면적, 연령, 투여되는 특정 화합물, 성별, 투여 시간 및 경로, 일반적인 건강, 및 동시에 투여되는 다른 약물들을 포함하는 많은 요소들에 따라 다르다.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0.1 mg/kg(체중) 내지 1 g/kg(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체중),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g/kg(체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것들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최신판]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장 상피 장벽은 미생물과 독소가 혈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주로 정점 다중-단백질 복합체인 밀착 접합 단백질(tight junction proteins)에 의해 유지된다(Harhaj, N.S. et al., Int J Biochem Cell Biol, 36(7): 1206-37. 2004). 염증성 장질환의 정확한 병인은 불분명하나 위장관 점막의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내 병원균의 침입은 장 상피세포에서 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arnett, L.J., et al., J Biol Chem, 275(18): 13427-30. 2000). 이러한 요인은 장에서 물과 전해질의 항상성을 변화시켜 결국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NO는 생체 내에서 방어기능, 신호전달, 혈관확장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상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질산과산화수소(ONOO_)를 생성하면 조직 염증 및 손상, 유전적 돌연변이 및 신경 손상을 유발한다(Cho, Y.-J., et al.,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4(2): 114-119. 2011). 산화 스트레스는 자유 라디칼 생성 및 소거 항산화 방어 시스템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지질, 단백질 및 DNA 수준에서 세포 구성 요소를 손상시킨다(McCord, J.M. et al., Ann Intern Med, 89(1): 122-7. 1978). 세포 신호 전달 경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반응성 대사산물인 자유 라디칼 및 활성산소종(ROS)은 세포 대사 동안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BD와 관련된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Caco-2 상피 세포 단층이 LPS로 손상된 시험관 내 모델을 사용했다. 지질다당류(LPS)는 과투과성(hyperpermeability)을 유발하고 장 장벽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AE-GBE가 NO 함량과 세포 내 ROS를 감소시켜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iNOS 및 COX2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발현이 AE-GBE에 의해 유의하게 약화된다는 것이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은 산화질소(NO)를 생성하고 따라서 말론디알데히드(MDA) 및 4-히드록시인노날(4HNE)을 포함한 다른 반응성 종의 과도한 지질 과산화를 유도하는 반응성 질소 종(RNS)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염증 반응과 관련된 4HNE가 cPLA2/ARA 경로를 통해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un, G.Y., et al., Int J Mol Sci, 20(4). 2019). 또한, 4HNE-단백질 부가물은 TNFα 처리된 caco-2 세포에서 증가하고, 에피카테킨과 아포시닌 처리에 의해 예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LPS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의 매개 변수로 4-hydroxynonenal(4HNE)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했다. 예상대로 4HNE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증가하고 AE-GBE에 의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또한 LPS가 Caco-2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상향조절하고 상승된 사이토카인이 AE-GBE의 동시 처리에 의해 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밀착 접합(TJ) 단백질 발현은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TNF-α를 처리한 Caco-2 세포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 T.Y.,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6(3): p. G367-76. 2004). 세포 내 에너지 센서로 알려진 AMP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가 실제로 영양소 흡수를 증가시키고 장 염증을 감소시키며 장 장벽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장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AMPK의 중요성은 상피 밀착 접합(epithelial tight junctions)을 강화하는데 강조되고 있다. 특히, AMPK 인산화는 MDCK 세포에서 밀착 접합 조립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최근에는 AMPK가 Cdx2 발현을 촉진하여 장 장벽 기능과 상피 분화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Caco-2 세포 단층의 전기 저항을 평가하기 위한 TEER 측정은 상피 밀착 접합 단백질의 무결성을 결정하는 지표이며 TEER 값이 높을수록 무결성(integrity)이 더 좋다. 앞서 AE-GBE의 항염-효과에 대한 결과는 TEER을 통한 장벽(barrier) 무결성 수준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후, 발명자들은 AE-GBE에 의한 AMPK 인산화의 증가가 LPS 유도 분해로부터 TJ를 상당히 방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과는 TJ가 AMPK의 다운스트림 표적이며 활성화에 의해 강화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쌍별귀뚜라미(G. bimaculatus)는 고품질의 불포화지방산, 필수아미노산,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식품으로서의 영양가가 우수하고(Si-Hyun Kim, et al., Cosmetol. 18(2). 2020) 면역력 향상, 알코올 분해 촉진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연구에서는 면역증강제를 투여한 만성 관절염 쥐 모델에서 항염 효과가 있는 귀뚜라미에서 분리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을 발견했으며, 간 조직에서 혈당 수치를 낮추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Ahn, M.Y., et al., Arch. Pharm. Res. 39(7): 926-36, 2016). 귀뚜라미의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AE-GBE는 ROS, NO, 사이토카인과 같은 LPS 유발 염증 인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AE-GBE가 장 상피 세포에서 염증 반응의 감소와 AMPK의 활성화를 통해 TJ 단백질을 강화함으로써 상피 장벽 기능 장애를 상당히 개선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상기 결과는 잠재적으로 염증 관련 장 기능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AE-GBE의 약리학적 기능의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요약하면, 장내 밀착 접합(TJ)은 세포주위 장벽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증가된 TJ 투과성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잉 생산은 염증성 장질환(IBD)에서 중요한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인간 유래 장 상피 Caco-2 세포를 사용하여 LPS 자극에 대한 수성 에탄올 쌍별귀뚜라미 추출물(aqueous ethanolic Gryllus bimaculatus extract, AE-GBE)의 잠재적인 항염증 및 장 투과성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관내 IBD의 모델로 많이 사용되는 인간 상피세포(Caco-2)에 대한 LPS 자극에 따른 염증유도인자의 억제를 통해 항염증제로 작용하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장 기능 장애 개선을 평가하였고 특히 장투과성(intestinal perme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밀착 접합(tight junction) 단백질의 조절기전을 밝히기 위해 AMPK의 활성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AE-GBE는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NO 및 ROS와 같은 염증 매개체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즉 TNFα, IL-6, IL-1 및 IFNγ를 하향 조절했다. AE-GBE는 경상피 전기 저항의 변화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이 과투과성을 유의하게 억제했고 AMPK 활성화와 염증성 마커(iNOS, COX-2, 4HNE) 억제를 통해 TJ 관련 단백질의 회복에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AE-GBE는 밀착 접합 단백질의 증가와 다양한 염증 매개체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여 Caco-2 세포 단층에서 AMPK 활성화를 통해 염증 유발 인자를 방어하고 장 상피 장벽 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LPS 유도 장벽 무결성의 손상으로부터 상피 세포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IBD를 비롯한 염증 관련 질병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 활용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AE-GBE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성 에탄올 쌍별귀뚜라미 추출물(AE-GBE)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쌍별귀뚜라미는 예천벅스랜드(경상북도 예천군)에서 구입한 후 블렌더에서 파쇄하였고 20 mL/g의 비율로 60℃에서 3시간 동안 에탄올/물(70:30, v/v)로 추출했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No. 2, 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Tokyo, Japan)를 통해 2회 여과하고, 진공 회전 증발기(T< 40℃)에서 농축하였으며,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 하였다. 수율은 분말시료 대비 8.2%였으며, 실험을 위해 상기 AE-GBE를 탈이온수에 녹였다.
실시예 2: 세포 배양 및 생존율 분석
본 발명의 Caco-2 세포는 25 mM HEPES(Welgene, 대구, 한국), 10% FBS(Gibco, Paisley, UK)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welgene)를 포함하는 MEM 배지에서 5% CO2, 37℃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후, 본 발명의 AE-GBE에 대한 세포 독성 분석을 위해 상기 세포에 50, 100, 250, 500 및 1000 g/mL의 다양한 농도의 AE-GBE를 처리했고 0.5 mg/mL 농도의 MTT(Duchefa Biochemie BV, Haarlem, Netherlands)를 각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며 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불용성 포르마잔 결정을 2-프로판올에 용해시키고 540 nm에서 측정하였다(TECAN Group Ltd, Shanghai, China). 또한 세포 생존력을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ATP 수준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Perkin-Elmer ATPLite 시스템(PerkinElmer Life Sciences, Boston, MA, USA)으로 측정했다(Chen, C.Y., et al., Toxins(Basel), 8(11). 2016). 상기 시스템은 ATP와 루시페라아제 및 D-루시페린이 첨가된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생성을 기반으로 한다. 부착된 포유동물 세포 용해액은 아데닌 뉴클레오티드(adenine nucleotides)를 방출하고 내인성 ATP 분해 효소를 비활성화한다.
실시예 3: 세포 내 ROS 결정
본 발명에서 수행한 세포 내 ROS 결정은 보고된 방법으로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DCFH-DA; Invitrogen)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여 LPS(1 μg mL-1)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48시간 동안 세포 내 활성 산소 종(ROS)을 측정했다(Kim, K., et al., Nutrients, 11(7), 1-14, 2019). 먼저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무혈청 배지에 희석된 DCFH-DA(10 μM)를 세포에 첨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PBS)로 3회 세척하였고 세포를 PBS에서 인큐베이션하였으며,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ex. 488 nm/em. 535)(TECAN)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형광 강도의 증가와 병행하여 총 세포 내 ROS의 수준을 대조군 세포의 백분율로 계산했다.
실시예 4: 아질산염 분석
본 발명자들은 아질산염 분석을 위해 6웰-플레이트에서 성장한 융합 세포를 48시간 동안 LPS(1 μg mL-1)의 존재 하에 AE-GBE로 처리 또는 무처리하였다. 세포 상층액의 아질산염 측정은 1% 설파닐아미드/0.1%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2.5% H3PO4로 구성된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수행했다. 아질산나트륨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였고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TECAN)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5: TEER 측정
경상피/경내피 전기 저항(TEER)은 내피 및 상피 단층의 세포 배양 모델에서 밀착 접합 무결성을 측정하기 위한 잘 알려진 정량 기술이다. Caco-2 세포는 1.0 x 105 세포 밀도로 Transwell 삽입판(Corning Costar Corp., Cambridge, MA, USA)에 파종되었고 상기 세포를 AE-GBE와 함께 LPS(1μg mL-1)의 유무에 관계없이 0, 2, 4, 6 및 8시간 동안 공동 배양했다. TEER 값은 젓가락 전극(chopstick electrodes)이 있는 저항계(EVOM2, World Precision Instruments, Sarasota, FL,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Kim, K., et al., Biochem . Biophys . Res . Commun . , 532(1): 145-150. 2020). 분석하기 전에 상기 전극을 멸균하고 탈이온수에서 평형화했고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큐베이터 외부에서 5분 이내에 측정하였다. 상기 데이터는 저항값을 유효막 면적(effective membrane area)으로 나누어 계산한 단위 면적 저항(unit area resistance)으로 제시하였고 셀이 없는 삽입물은 공백으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6: qRT-PCR에 의한 사이토카인 측정
본 발명자들은 Trizol 시약(Invitrogen, Grand Island, NY, USA)을 사용하여 세포에서 총 RNA를 추출하였고 PrimescriptTM 1'st strand cDNA 합성 키트(Takara Bio Inc., Shiga, Japan)를 사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SYBR Premix Ex Taq Ⅱ ROX plus(Takara Bio Inc., Shiga, Japan)를 사용하여 Applied biosystem Inc.(Forster City, CA)의 ABI 실시간-PCR 시스템에서 수행되었고 증폭은 총 40사이클 동안 90℃에서 10분, 95℃에서 15초, 60℃에서 1분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PCR 증폭에 사용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을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Cyclophilin은 참조 유전자(reference gene)로 사용되었고 모든 결과는 cyclophilin mRNA의 풍부도(abundance)로 정규화되었으며 mRNA의 상대적인 양은 2ΔΔCt 방법으로 계산되었다.
프라이머의 염기서열
유전자 염기서열(5'--> 3') 서열번호
TNF-α F TGCTCCTCACCCACACCAT 1
TNF-α R GGAGGTTGACCTTGGTCTGGTA 2
IL-6 F GCTGCAGGCACAGAACCA 3
IL-6 R TAAAG TGCGCAGAATGAGATG 4
IL-1β F ACGATGCACCTGTACGATCACT 5
IL-1β R CACCAAGCTTTTTTGCTGTGAGT 6
FNr F ACTCATCCAAGTGATGGCTGAA 7
FNr R TCCTTTTTCGCTTCCCTGTTT 8
Cyclophilin F TGCCATCGCCAAGGAGTAG 9
Cyclophilin R TGCACAGACGGTCACTCAAA 10
실시예 7: 면역블롯팅 분석
본 발명자들은 수집된 세포를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Sigma) 및 페닐 메탄 설포닐 플루오라이드(Sigma, PMSF)의 존재하에 포유동물 단백질 추출 완충액(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물을 4℃에서 20분 동안 12,000 rpm조건으로 원심분리했고 단백질 함량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단백질 분석 염료 시약 농축액(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상기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으로 분획화하였고 전기영동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 블로팅 멤브레인(Amersharm, GE Healthcare Life science, Germany)으로 이송하였다. 상기 분석에서 항-occludin(1:1000; Invitrogen, USA), 항-claudin-1(1:1000; Invitrogen), 항-ZO-1(1:1000; Invitrogen), iNOS(1: 500; Santa Cruz, USA), COX2(1:1000; 세포 신호), 4HNE(1:1000; Abcam, UK), AMPK(1:1000; 세포 신호), phospho-AMPK(1:1000; 세포 신호) 및 항-β-액틴(1:2500; Abcam, Cambridge, UK) 항체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밴드는 ELC 키트(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강화된 화학발광 방법에 의해 시각화되었고 밴드는 Quantity 1 버전 4.6.7 소프트웨어(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nited States)에 의해 정량화되었다.
실시예 8: 통계 분석
본 발명의 결과는 평균 및 표준 편차(SD)로 표시되었고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20.0 소프트웨어(Windows용 IBM SPSS 버전 20.0.0, IBM Co., Armonk, NY,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룹 간 차이의 유의성은 LSD 비교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설정되었다.
실험예 1: 세포독성 분석
LPS가 당뇨병, 심장 손상, 간 손상 및 신장 기능 장애와 같은 많은 질병과 관련된 ROS 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Gonzalez-Teran, B., et al., J. Clin. Invest, 123(1): 164-78., 2013).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AE-GBE를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cytotoxicity)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Caco-2 세포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p < 0.001)을 나타냈다(도 1a). 무독성 범위 내에서 본 발명자들은 세포 내 ATP 수준 분석을 통해 AE-GBE가 LPS-유도 세포독성에 대해 Caco-2 세포를 보호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ATP 수준이 46% 감소하였다(도 1b). AE-GBE의 50, 100 및 250 g/mL의 용량에서 LPS 그룹과 비교하여 LPS를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 ATP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상기 결과는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AE-GBE는 Caco-2 세포에서 LPS 유도 세포독성을 약화시킴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ROS 및 NO 수준 분석
장의 높은 산화질소(NO) 농도는 독성 메커니즘의 활성화로 인해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Caco-2 세포에서 LPS에 의해 증가된 ROS 및 NO에 대한 AE-GBE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PS 단독 처리는 Caco-2 세포에서 세포내 ROS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01). LPS에 의해 유도된 ROS는 AE-GBE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LPS군과 비교하여 100 ㎍/mL(p<0.05)의 투여량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c). 또한 반응배지로부터 LPS-처리된 Caco-2 세포의 NO를 측정한 결과 LPS 단독 그룹은 Caco-2 세포에서 NO 생산을 약 1.5배(p<0.01)까지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상기 세포에 AE-GBE로 동시 처리한 경우 50 ㎍/mL(p<0.05) 및 100 ㎍/mL(p<0.01)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d).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 실험 조건에서 AE-GBE의 농도를 100 ㎍/mL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3: 웨스턴 블랏 분석
전염증성 인자는 iNOS 유도에 의해 가장 많이 확인될 수 있으며, COX-2도 전염증성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에 의해 빠르게 상향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AE-GBE 처리에 의한 항염증 효과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iNOS 및 COX-2의 활성을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iNOS 및 COX-2의 발현은 대조군(CON)에 비해 LPS 단독처리군에서 각각 2.4배(p<0.01), 1.6배(p<0.0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AE-GBE는 LPS 단독처리군과 비교하여 100 μg/mL 농도에서 COX-2(p<0.05) 및 iNOS(p <0.05)의 발현을 유의하게 하향조절하였다. ROS/RNS와 같은 반응성 종(RS)에 의한 산화적 손상은 세포막에서 지질 과산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 처리에 의해 생성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AE-GBE의 능력은 지질 과산화물 값 마커로 사용된 4HNE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 결과, LPS는 4HNE의 발현을 2.2배 증가시켰고(p < 0.01), LPS-매개 지질 과산화는 AE-GBE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2a 및 2b).
실험예 4: 염증성 사이토카인
비정상적인 사이토카인 발현, 특히 장의 염증과 관련하여 수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TNF-α, IL-1β, IL-6, 및 IFNγ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BD에서 비정상적인 증가로 관찰되었다(Strober, W. et al., Gastroenterol. 140(6): 1756-1767, 2011). 본 발명자들은 AE-GBE가 장 상피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qRT-PCR 분석을 통해 염증인자의 발현 및 분비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LPS를 처리한 Caco-2 세포에서 TNF-α, IL-1β, IL-6, 및 IFNγ의 mRNA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E-GBE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c).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AE-GBE가 LPS에 의해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켜 염증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5: TEER 값 분석
LPS(Lipopolysaccharide)는 지질과 다당류로 구성된 큰 당지질로 장 장벽 투과성 유도제로 널리 사용되었다(Wassenaar, T.M et al., Eur. J. Microbiol. Immunol. (Bp) 8(3): 63-69, 2018). 본 발명자들은 Caco-2 세포 단층 장벽 기능에 대한 AE-GBE의 잠재적인 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TEER 값을 평가했다. 그 결과, LPS 처리 8시간 후 Caco-2 단층의 TEER 값은 대조군보다 약 20% 낮았다. Caco-2 단층을 AE-GBE 존재하에서 LPS로 처리한 경우, LPS 단독처리군에 비해 6시간 후 TEER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AE-GBE 단독 처리시 Caco-2 단층의 TEER의 변화는 없었다. 상기 결과는 AE-GBE가 LPS에 손상된 상피 장벽의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8시간 후, LPS 단독처리군의 TEER은 대조군에 비해 약 20% 낮았지만, AE-GBE 실험군(LPS+AE-GBE) 및 공동 처리된 LPS 실험군(LPS+AE-GBE)의 TEER은 LPS 단독군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도 3).
실험예 6: AMPK 및 밀착 접합 단백질
AMPK 활성화는 상피 정점 접합(epithelial apical junction)을 강화하고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상피 장벽 기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신호 경로이다(Kahn, B.B., et al., Cell Metab, 1(1): p. 15-25. 2005).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장 상피 발달 및 장벽 기능의 조절자로 알려진 AMPK의 활성이 LPS로 유도된 Caco-2 세포에서 밀착 접합(TJ)과의 관련성 여부를 추가로 조사했다. 그 결과, LPS의 처리는 AMPK의 활성화를 약 27% 유의하게 억제함에 따라(p<0.05), AE-GBE 처리에 의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p<0.05)(도 4a 및 4b). 또한 LPS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Caco-2 세포에서 ZO-1(p<0.001), occludin(p<0.001), claudin-1(p<0.001)의 발현을 각각 30%, 41% 및 38%로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AE-GBE는 LPS에 의해 감소된 TJ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하게 보존하였고, 이들 단백질 자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4c). 따라서 상기 결과는 AE-GBE가 장 질환의 치료 표적인 AMPK의 인산화를 활성화하여 장 상피 장벽(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내 밀착 접합(intestinal tight junction)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EULJI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Gryllus bimaculat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130> PD21-6115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F <400> 1 tgctcctcac ccacaccat 19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R <400> 2 ggaggttgac cttggtctgg ta 22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F <400> 3 gctgcaggca cagaacca 18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R <400> 4 taaagtgcgc agaatgagat g 21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F <400> 5 acgatgcacc tgtacgatca ct 22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R <400> 6 caccaagctt ttttgctgtg agt 23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FN-gamma F <400> 7 actcatccaa gtgatggctg aa 22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FN-gamma R <400> 8 tcctttttcg cttccctgtt t 21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ophilin F <400> 9 tgccatcgcc aaggagtag 19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ophilin R <400> 10 tgcacagacg gtcactcaaa 20

Claims (7)

  1.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장 상피세포의 밀착 접합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접합 단백질은 ZO-1(Zoula ocludence-1), occludin 또는 claudn-1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증가된 장투과성(intestinal permeability)을 감소시키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 장염, 옥사졸론 유도성 대장염 또는 장결핵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쌍별귀뚜라미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에 에탄올 및 물을 1:9 내지 9:1의 비율로 첨가 후 50 내지 7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후 농축 및 동결건조시킨 후 탈 이온수에 용해시켜 수득하는 추출물 수득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
  7.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10120440A 2021-09-09 2021-09-09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37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40A KR20230037287A (ko) 2021-09-09 2021-09-09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40A KR20230037287A (ko) 2021-09-09 2021-09-09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87A true KR20230037287A (ko) 2023-03-16

Family

ID=8598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440A KR20230037287A (ko) 2021-09-09 2021-09-09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2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745B1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090106957A (ko) 간 보호 또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인삼다당체 조성물
JP4033936B2 (ja)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KR101957632B1 (ko) 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20150130352A (ko) 지방간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KR101621863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728B1 (ko)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7287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202002987A (zh) 人參皂苷m1用於治療口腔癌之用途
US201902474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containing bile acid
KR20210058760A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97612B1 (ko) 항노화 활성이 우수한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US2015007915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urine derivatives or salt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264014B1 (ko) 아미노쿠마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928785A1 (en) Medicine and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vid-19,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662544B1 (ko) 참문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1031165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lipid encapsulated virus infections
KR101343367B1 (ko)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추출물 또는 시탈론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925612A1 (en) Herbal composition for reducing uric acid and its use in reducing uric acid, body fat, and blood glucose thereof
KR101456953B1 (ko) 이카리시드 ii의 남성 또는 여성 성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제조에서의 용도
KR20120113186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42189B1 (ko) 양제근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WO2020233713A1 (zh) 杂环化合物及其盐的应用
KR20240056425A (ko)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