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964A -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964A
KR20230036964A KR1020220097211A KR20220097211A KR20230036964A KR 20230036964 A KR20230036964 A KR 20230036964A KR 1020220097211 A KR1020220097211 A KR 1020220097211A KR 20220097211 A KR20220097211 A KR 20220097211A KR 20230036964 A KR20230036964 A KR 2023003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housing
pressure sensor
proportional val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오 시가키
료타 가츠마타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3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1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513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the positions being continuously variable, e.g. as realised by proportiona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플런저와, 하우징과, 엔드 캡과, 압력 센서와, 기판을 구비한다. 플런저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제어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킨다. 하우징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된다. 하우징에는,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된다.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는 연통 구멍을 갖는다. 압력 센서는,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한다. 기판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가 실장된다.

Description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유압 회로를 제어하는 유체 시스템으로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 비례 밸브를 갖는 유체 시스템이 증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 비례 밸브는, 예를 들어 전자 코일(이하, 솔레노이드 코일이라고 함)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구동되는 로드와, 로드에 압박되어 이동하는 스풀과, 스풀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자 비례 밸브는, 예를 들어 제어 밸브(즉, 메인 컨트롤 밸브, 방향 전환 밸브)의 파일럿 밸브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비례 밸브는,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파일럿 포트, 구동 대상이 되는 제어 밸브로의 작동유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제어 포트, 복귀유를 저류하는 탱크에 접속된 드레인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비례 밸브는, 파일럿 포트, 제어 포트, 드레인 포트에 대하여 차단, 접속을 행하는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 비례 밸브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어 포트로부터 제어 밸브에 작동유의 제어압을 전달함으로써, 제어 밸브의 메인 스풀을 제어하여, 메인 스풀의 스풀 위치를 전환한다. 전환된 메인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건설 기계의 유압 기기에 제어압이 전달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전자 비례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압의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기 위해, 제어압을 모니터링하는 밸브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밸브 구조에 있어서는, 전자 비례 밸브와 제어 대상의 제어 밸브 사이의 접속 블록에, 전자 비례 밸브로부터 출력된 제어압을 취출하기 위한 게이지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게이지 포트에, 조인트를 통해 압력 센서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자 비례 밸브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압을 압력 센서로 검출하여 제어압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9202호 공보
여기서, 전자 비례 밸브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압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접속 블록의 게이지 포트에 조인트를 통해 압력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조인트나 압력 센서가 접속 블록의 외측에 마련되고, 그것이 밸브 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방해가 되고 있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 비례 밸브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전자 비례 밸브에 압력 센서를 구비한 경우, 전자 비례 밸브가 대형화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문에,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 비교적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제어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는 연통 구멍을 갖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엔드 캡을 고정하고,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하였다. 즉,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매립함으로써, 특히 전자 비례 밸브의 전체 길이(즉,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 및 기판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전자 비례 밸브의 고기능화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함으로써, 현상의 비례 밸브 제어 시스템을 용이하게 IOT(Internet of Things)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상 검출, 고장 예지 등으로의 전개가 가능해진다.
또한,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함으로써, 압력 센서와 기판을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의 고기능화를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기판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의 신호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어, 제어부에 의해 전자 비례 밸브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방향의 상기 단부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수납되는 엔드 캡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배선이 인출되는 관통 구멍을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엔드 캡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엔드 캡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엔드 캡 중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엔드 캡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기판을 압박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제어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된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판과, 상기 엔드 캡 중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방향의 상기 단부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수납되는 엔드 캡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엔드 캡 본체를 통과시키는 연통 구멍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배선이 인출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엔드 캡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엔드 캡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기판을 압박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엔드 캡을 고정하고,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하였다. 즉,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매립함으로써, 특히 전자 비례 밸브의 전체 길이(즉,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 및 기판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전자 비례 밸브의 고기능화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함으로써, 현상의 비례 밸브 제어 시스템을 용이하게 IOT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상 검출, 고장 예지 등으로의 전개가 가능해진다.
또한,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함으로써, 압력 센서와 기판을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고기능화를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엔드 캡 본체를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오프셋)시켰다. 이 때문에, 베이스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엔드 캡 본체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수납하였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 및 기판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한 상태에서는, 구동용 배선을 베이스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덧붙여, 압력 센서를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에 대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기판을 압력 센서에 대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차례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를 캡 공간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고, 캡 공간에 유입된 작동 유체의 제어압을 압력 센서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를 기판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압력 센서로 검출한 제어압을 고정밀도로 증폭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을 누름 부재로 엔드 캡의 내부에 누르도록(보유 지지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기판 및 압력 센서를 엔드 캡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어 액추에이터 작동용 유체에 의해 상기 차체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로의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제어 밸브에 작동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 밸브의 구동 조정을 행하는 전자 비례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상기 제어 밸브에 공급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는 연통 구멍을 갖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엔드 캡을 고정하고,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하였다. 즉,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매립함으로써, 특히 전자 비례 밸브의 전체 길이(즉,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 및 기판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또한 전자 비례 밸브의 고기능화가 확보된 건설 기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엔드 캡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기판을 통합하여 수납함으로써, 압력 센서와 기판을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의 고기능화가 한층 양호하게 확보된 건설 기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비례 밸브를 구비한 유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비례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자 비례 밸브를 IV-IV선으로 파단한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건설 기계>
도 1은, 건설 기계(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 밸브(3) 및 전자 비례 밸브(5)를 구비한 유압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기계(100)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이다. 건설 기계(100)는 선회체(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1)와, 선회체(101)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체(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2)와,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사용하여 선회체(101)나 주행체(102)를 구동하는 유압 시스템(1)을 구비한다.
선회체(101)는 주행체(102)의 상부에서 선회한다. 선회체(101)는 조작자가 탑승 가능한 캡(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3)과, 선회체(101)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붐(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4)과, 붐(104)의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암(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5)과, 암(105)의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버킷(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6)과, 조작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08)를 구비한다. 이들 선회체(101), 붐(104), 암(105) 및 버킷(106)이 유압 시스템(1)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시스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시스템(1)은 선회체(101), 붐(104), 암(105) 및 버킷(106)을 작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2)와, 복수의 액추에이터(2)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 밸브(청구항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의 일례)(3)와, 조작자에 의한 조작부(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3)에 작동유(청구항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의 일례)의 압력(이하, 파일럿압이라고 함)을 작용시키는 전자 비례 밸브(5)와, 전자 비례 밸브(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컨트롤러)(80)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
제어 밸브(3)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액추에이터(2)에 대응시켜서 복수개 마련되고, 각각의 밸브 본체에 메인 스풀을 구비하는 메인 컨트롤 밸브이다. 제어 밸브(3)는, 전자 비례 밸브(5)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럿압에 의해 메인 스풀의 위치가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제어 밸브(3)는,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작동유와는 다른 계통에서 공급되는 액추에이터(2)(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로의 작동유(청구항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 작동용 유체의 일례)의 유량을 조정한다.
<제어부>
제어부(80)는, 조작부(1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전자 비례 밸브(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비례 밸브(5)에 제어 신호(제어 펄스)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전자 비례 밸브(5)의 후술하는 스풀(72)의 위치가 전환된다.
<전자 비례 밸브>
도 3은, 전자 비례 밸브(5)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자 비례 밸브(5)를 IV-IV선으로 파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4는, 전자 비례 밸브(5)의 스풀(72)(후술함)이 작동유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로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자 비례 밸브(5)는 제어 밸브(3)에 내장되어 있다. 전자 비례 밸브(5)는 제어부(8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 밸브(3)의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풀을 이동시켜서 액추에이터(2)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정한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비례 밸브(5)는 구동 장치(10)와, 구동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 유닛(12)을 구비한다. 구동 장치(10)와 밸브 유닛(12)은, 중심축(14)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하, 중심축(14)을 따르는 방향을 단순히 「축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중심축(14)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축방향에서 밸브 유닛(12)의 측을 「전방」, 구동 장치(10)의 측을 「후방」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구동 장치>
구동 장치(10)는 밸브 유닛(12)의 스풀(72)(후술함)을 구동 전류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구동하여, 스풀(7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구동 장치(10)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수납된 솔레노이드 코일(22), 가이드 부재(23),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와, 하우징(21)의 후방의 개구부(이하, 후단부(21a)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청구항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단부의 일례)(21a)를 밀봉하도록 고정된 엔드 캡(26)과, 엔드 캡(26)에 수납된 센서 유닛(27)과, 엔드 캡(26)에 설치된 누름 부재(28)를 구비한다.
<하우징>
하우징(21)은, 중심축(14)의 방향(즉,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은 내부 공간이 하우징(21)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전방의 개구(즉, 전단부)는 플랜지(32)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
이러한 하우징(21)의 내주면을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22)이 수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22)은 구리선을 하우징(2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통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코일(22)은 제어부(8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여자된다.
<가이드 부재>
솔레노이드 코일(22)의 직경 방향 내측에, 가이드 부재(23)가 수납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3)는 솔레노이드 코일(22)의 내주면을 따르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3)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하우징(21)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3)는 전단부가 개구되고, 플랜지(32)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3)는 후단부(23a)에 가이드 덮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덮개부(34)에는, 가이드 구멍(35)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플런저, 구동 로드>
가이드 부재(23)의 직경 방향 내측에,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가 수납되어 있다. 플런저(24)는 구동 로드(25)에 대하여 동축 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구동 로드(25)는 플런저(24)로부터 축방향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는 가이드 부재(23)의 가이드 벽(23b)으로 획정되는 원통 형상의 공간에, 중심축(14)에 대하여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는 축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는 일체의 원피스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플런저(24)의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플런저(24)는 적어도 일부가 솔레노이드 코일(22)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플런저(24)는 축방향에서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24)는 중심축(14)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37)을 갖는다.
가이드 부재(23)의 내부 공간은, 플런저(24)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23)의 내부 공간은, 축방향에서 플런저(24)보다도 후방측에 있는 제1 가이드실(41)과, 축방향에서 플런저(24)보다도 전방측에 있는 제2 가이드실(42)로 구획된다.
제1 가이드실(41)과 제2 가이드실(42)은, 플런저(24)의 관통 구멍(3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통해 있다. 제1 가이드실(41) 및 제2 가이드실(42)에는, 후술하는 스풀 관통 구멍(77)을 통해 작동유가 유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는 솔레노이드 코일(22)이 여자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4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22)이 여자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밸브 유닛(12)의 압축 스프링(73)(후술함)의 스프링력에 의해 스풀(72)(후술함), 구동 로드(25) 및 플런저(24)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플런저(24)의 후단부가 가이드 덮개부(34)에 접촉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 4에서는, 제1 가이드실(41)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편의상, 플런저(24)의 후단부와 가이드 덮개부(34)의 경계에 제1 가이드실의 부호 41을 붙인다.
<엔드 캡>
엔드 캡(26)은 하우징(21)의 후단부(21a)에 고정된 베이스(45)와, 베이스(45)로부터 하우징(21)의 반대측(즉, 후방)을 향해서 돌출된 엔드 캡 본체(46)를 갖는다. 베이스(45)는 하우징(21)에 대하여 동축 상에 배치되고, 외주가 하우징(21)의 후단부(21a)를 따라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45)는 하우징(21)의 후단부(21a)가 직경 방향 내측에 코킹됨으로써, 후단부(21a)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1)의 후단부(21a)는 베이스(45)에 의해 개구가 밀봉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전단부는, 플랜지(32) 및 밸브 유닛(12) 등에 의해 개구가 밀봉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즉, 수압실)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21)은 수압실에 파일럿압이 전달되었을 때, 수압실을 파일럿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여 수압실로 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가이드 부재(23)의 내부 공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여 수압실로 해도 된다.
베이스(45)는, 이 베이스(45)의 대부분에 형성된 오목부(51)와, 오목부(51)에 형성된 연통 구멍(52)과, 베이스(45)의 오목부(51)와는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배선 관통 구멍(청구항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일례)(53)을 갖는다.
오목부(51)는 베이스(45) 중 하우징(21)의 내부에 대향하는 내면이며, 또한 엔드 캡 본체(46)의 측(즉,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1)에, 가이드 부재(23)의 후단부(23a) 및 가이드 덮개부(34)가 감입된다. 그리고, 오목부(51)에 의해, 후단부(23a) 및 가이드 덮개부(34)가 중심축(14)에 대하여 동축 상에 보유 지지된다.
오목부(51)의 저부(즉, 베이스(45)의 중앙부)에, 베이스(45)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52)은 가이드 부재(23)의 가이드 구멍(35), 제1 가이드실(41) 및 관통 구멍(37)을 통해 제2 가이드실(42)에 통해 있다. 제2 가이드실(42)은 후술하는 스풀(72)의 스풀 관통 구멍(77)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포트 P3에 통해 있다. 제어 포트 P3은, 제어 밸브(3)(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45)로부터 돌출된 엔드 캡 본체(46)는, 전단부(46a) 및 후단부(46b)가 개구되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캡 본체(46)는 하우징(21)의 중심축(14)에 대하여 편심량 L이 되도록 편심(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엔드 캡 본체(46)는 베이스(45)에 대하여 편심량 L만큼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드 캡 본체(46)의 위치를 편심량 L만큼 어긋나게 함으로써, 베이스(45)에 한 쌍의 배선 관통 구멍(53)을 형성하는 영역이 확보된다.
배선 관통 구멍(53)은 솔레노이드 코일(22)로부터 구동용 배선(55)을 인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배선 관통 구멍(53)으로부터 구동용 배선(55)이 하우징(2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배선 관통 구멍(53)과 구동용 배선(55)의 간극이 시일재(56)로 밀봉되어 있다.
<센서 유닛>
센서 유닛(27)은,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센서 유닛(27)은 압력 센서(61)와, 압력 센서(61)가 실장되는 기판(62)을 구비하고 있다.
압력 센서(61)는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 베이스(45)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45)와 압력 센서(61) 사이에서 캡 공간(47)이 형성되어 있다.
캡 공간(47)은 엔드 캡(2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캡 공간(47)은 연통 구멍(52)에 통해 있다. 이 때문에, 캡 공간(47)에는, 연통 구멍(52)을 통해 작동유가 유입된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61)는 연통 구멍(52)으로부터 캡 공간(47)으로 유입되는 파일럿압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61)는, 검출한 압력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기판(62)에 출력한다. 압력 센서(61)는 적어도 그 일부가 캡 공간(47)에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압력 센서(61)는 그 전방면(61a)의 일부가 캡 공간(47)에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전방면(61a)의 전부가 캡 공간(47)에 노출되어도 된다.
압력 센서(61)의 전방면(61a)은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 실리콘 다이어프램, 또는 이들 이외의 다이어프램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압력 센서(61)는 다이어프램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저항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형 게이지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압력 센서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62)은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이며, 또한 압력 센서(61)의 후방에 수납되어 있다. 기판(62)은 압력 센서(61)로 검출한 압력 결과를 증폭하고, 이 결과를 신호로서 제어부(80)에 출력한다.
여기서,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는, 하우징(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45)와 압력 센서(61) 사이에서 캡 공간(4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는, 하우징(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캡 공간(47),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가 된다.
<누름 부재>
누름 부재(28)는 엔드 캡 본체(46)의 후단부(청구항에 있어서의 하우징(21)의 반대측의 단부의 일례)(46b)에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28)는 엔드 캡 본체(46)의 내주면에 수납되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캡 본체(46)에 대한 누름 부재(28)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엔드 캡 본체(46)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함과 함께 누름 부재(28)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엔드 캡 본체(46)의 누름 부재(28)를 체결 고정한다. 이 밖에, 엔드 캡 본체(46)의 내주면에, 누름 부재(28)의 외주면을 압입해도 된다.
누름 부재(28)의 전방부(기판(62)측)에는, 내주면에 단차부(28a)를 통해 내경이 커지는 확경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경부(28b)에, 기판(62)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누름 부재(28)의 단차부(28a)에 의해, 기판(62)의 외주부가 엔드 캡(26)의 내부(전방측)를 향해서 압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누름 부재(28)에 의해, 엔드 캡(26)의 내부에 기판(62)이 보유 지지된다.
이 기판(62)과 압력 센서(61)는,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결과, 기판(62) 및 압력 센서(61)는 누름 부재(28)에 의해 엔드 캡(26)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된다.
<밸브 유닛>
밸브 유닛(12)은 제어 밸브(3)(도 2 참조)에 파일럿압을 전달함으로써, 제어 밸브(3)의 메인 스풀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밸브 유닛(12)은 메인 스풀의 스풀 위치를 전환한다. 밸브 유닛(12)은 밸브 본체(71)와, 밸브 본체(71)에 수납된 스풀(72) 및 압축 스프링(73)을 구비한다.
밸브 본체(71)는 플랜지(32)로부터 축방향의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75)을 갖는다. 밸브 본체(71)는 파일럿 포트 P1이 압력원(예를 들어, 유압 펌프) P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71)는 드레인 포트 P2가 탱크 T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71)는 제어 포트 P3이 제어 밸브(3)(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스풀(72)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을 갖고 있다. 스풀(72)은 관통 구멍(75)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풀(72)의 후단부는, 구동 로드(25)의 선단에 접하고 있다. 스풀(72)은 중심축(14)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풀 관통 구멍(관통 구멍)(77)을 갖는다.
관통 구멍(75)의 내부이며, 또한 스풀(72)의 전단부측에, 압축 스프링(73)이 마련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73)은 스프링력으로 스풀(72)의 후단부를 구동 로드(25)에 압박한다.
<유압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유압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80)로부터 전자 비례 밸브(5)의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제어 신호(제어 펄스)를 출력함으로써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스풀(72)의 위치가 전환된다. 스풀(72)의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제어 밸브(3)에 작용되는 파일럿압이 변화하고, 이에 의해 제어 밸브(3)의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풀의 위치가 전환된다.
즉, 솔레노이드 코일(22)이 여자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밸브 유닛(12)은 압축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스풀(72)이 배출 위치로 유지된다. 이때, 제어 포트 P3으로부터 스풀(72)의 스풀 관통 구멍(77) 등을 통해 탱크 포트부 T2에 이르는 유로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어 포트 P3에 접속된 제어 밸브(3)(도 2 참조)로부터 드레인 포트 P2에 접속된 탱크 T에 작동유가 회수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22)에 큰 여자 전류가 공급되면, 밸브 유닛(12)은 압축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플런저(24) 및 구동 로드(25)가 축방향 전방을 향해서 화살표 A와 같이 이동한다. 구동 로드(25)로부터 받는 추력에 의해, 스풀(72)이 화살표 B와 같이 이동하여 공급 위치에 도달한다. 스풀(72)이 공급 위치에 위치하면, 제어 포트 P3으로부터 스풀(72)의 스풀 관통 구멍(77) 등을 통해 파일럿 포트 P1에 이르는 유로가 개방된다. 따라서, 파일럿 포트 P1에 접속된 압력원 P로부터 제어 포트 P3에 접속된 제어 밸브(3)(도 2 참조)에 작동유가 화살표 C와 같이 공급된다. 즉, 제어 밸브(3)에 파일럿압이 작용된다.
여기서, 제어 포트 P3은, 스풀 관통 구멍(77), 제2 가이드실(42), 관통 구멍(37), 제1 가이드실(41), 가이드 구멍(35) 및 연통 구멍(52) 등을 통해 캡 공간(4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72)이 공급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캡 공간(47)은 제어 포트 P3으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럿압으로 유지된다. 캡 공간(47)의 압력은, 압력 센서(61)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파일럿압이 압력 센서(61)로부터 기판(62)에 전달되어 증폭된다. 증폭된 파일럿압은, 신호로서 기판(62)으로부터 제어부(80)에 출력된다. 제어부(80)는 기판(6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압력원 P로부터 전자 비례 밸브(5)를 통해 제어 밸브(3)에 파일럿압이 작용됨으로써, 제어 밸브(3)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풀의 위치가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제어 밸브(3)는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작동유와는 다른 계통에서 공급되는 액추에이터(2)(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로의 작동유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 작동유는, 압력원 P와는 다른 압력원이어도 되고, 동일한 압력원 P로부터 분배하여 일부를 다른 계통으로 공급하고, 액추에이터(2)의 구동용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80)는 센서 유닛(27)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포트 P3에 전달되는 파일럿압을 바꾼다. 솔레노이드 코일(22)은 제어 포트 P3에 전달되는 파일럿압을 여자 전류에 의해 변화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전자 비례 밸브(5)에 의하면, 전자 비례 밸브(5)와 제어 밸브(3) 사이에 게이지 포트나 외장의 압력 센서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전자 비례 밸브(5)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비례 밸브(5)는 하우징(21)에 엔드 캡(26)을 고정하고,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수납하였다. 이와 같이,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매립함으로써, 특히 전자 비례 밸브(5)의 전체 길이(즉,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 센서(61)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5)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5)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5)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전자 비례 밸브(5)의 고기능화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전자 비례 밸브(5)를 소형화함으로써, 현상의 비례 밸브 제어 시스템을 용이하게 IOT(Internet of Things)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상 검출, 고장 예지 등으로의 전개가 가능해진다.
또한,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수납함으로써, 압력 센서(61)와 기판(62)을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61)와 기판(62)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5)의 고기능화를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기판(62)은 압력 센서(61)에 의해 검출된 결과(파일럿압의 값)를 증폭하고, 이 결과를, 제어부(80)에 신호로서 출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판(62)으로부터의 신호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어, 제어부(80)에 의해 전자 비례 밸브(5)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5)의 배선 관통 구멍(53)으로부터 구동용 배선(55)을 인출하였다. 또한, 베이스(45)로부터 돌출된 엔드 캡 본체(46)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수납하였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한 상태에서는, 구동용 배선(55)을 베이스(45)의 구동용 배선(55)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덧붙여, 엔드 캡 본체(46)를 하우징(21)의 중심축(14)에 대하여 편심량 L만큼 편심시켰다. 이 때문에, 베이스(45)에 구동용 배선(55)을 형성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한 상태에서는, 구동용 배선(55)을 베이스(45)의 구동용 배선(55)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는, 하우징(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45)와 압력 센서(61) 사이에서 작동유가 유입되는 캡 공간(4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드 캡 본체(46)의 내부에는, 하우징(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캡 공간(47),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가 된다. 이 때문에, 캡 공간(47)에 압력 센서(61)를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 공간(47)에 유입된 작동유의 제어압을, 압력 센서(61)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기판(62)에 압력 센서(61)를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압력 센서(61)와 기판(62)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압력 센서(61)로 검출한 제어압을 고정밀도로 증폭할 수 있다.
덧붙여, 기판(62)을 누름 부재(28)로 엔드 캡(26)의 내부에 누르도록 하였다. 또한, 기판(62)은 압력 센서(61)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판(62) 및 압력 센서(61)는 엔드 캡(26)의 내부에 누름 부재(28)에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5)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100)에 의하면, 하우징(21)에 엔드 캡(26)을 고정하고,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수납하였다. 이와 같이,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매립함으로써, 특히 전자 비례 밸브(5)의 전체 길이(즉,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콤팩트하게 작게 통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61)를 구비한 전자 비례 밸브(5)를 소형화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5)를 설치하는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5)의 설치 레이아웃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또한 전자 비례 밸브(5)의 고기능화가 확보된 건설 기계(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엔드 캡(26)의 내부에 압력 센서(61) 및 기판(62)을 통합하여 수납함으로써, 압력 센서(61)와 기판(62)을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압력 센서(61)와 기판(62)을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전자 비례 밸브(5)의 고기능화가 한층 양호하게 확보된 건설 기계(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밸브(3)에 전자 비례 밸브(5)를 내장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어 밸브에 내장되는 전자 비례 밸브에, 상기의 전자 비례 밸브(5)의 주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비례 밸브(5)는 여자 전류의 증가에 의해 제어압을 증가시키는 정동작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비례 밸브(5)를, 여자 전류의 증가에 의해 제어압을 감소시키는 역동작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유를 사용한 유압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유압 시스템(1)에 사용되는 전자 비례 밸브(5)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체에 사용되는 전자 비례 밸브에, 상기의 전자 비례 밸브(5)의 주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유체는, 액체, 기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부재(28)는 엔드 캡 본체(46)의 내주면에 수납되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누름 부재(28)의 단차부(28a)에 의해, 기판(62)의 외주부가 엔드 캡(26)의 내부(전방측)를 향해서 압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 부재(28)는 엔드 캡 본체(46)의 후단부(46b)에 설치되고, 이 후단부(46b)측으로부터 기판(62)을 엔드 캡(26)의 내부(전방측)를 향해서 압박하는 구조이면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변형예를 조합해도 상관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 형태 중, 복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당해 복수의 물체를 일체화해도 되고, 반대로 하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복수의 물체로 나눌 수 있다. 일체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 유압 시스템
2: 액추에이터
3: 제어 밸브(제어 대상)
5: 전자 비례 밸브
14: 중심축
21: 하우징
21a: 하우징의 후단부(하우징 중 축방향의 단부)
22: 솔레노이드 코일
24: 플런저
26: 엔드 캡
27: 센서 유닛
28: 누름 부재
45: 베이스
46: 엔드 캡 본체
46b: 엔드 캡 본체의 후단부(하우징의 반대측의 단부)
47: 캡 공간
52: 연통 구멍
53: 배선 관통 구멍(관통 구멍)
55: 구동용 배선
61: 압력 센서
62: 기판
80: 제어부
100: 건설 기계
101: 선회체(차체)
102: 주행체(차체)
103: 캡(차체)
104: 붐(차체)
105: 암(차체)
106: 버킷(차체)

Claims (9)

  1.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제어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는 연통 구멍을 갖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
    을 구비하는,
    전자 비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자 비례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방향의 상기 단부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수납되는 엔드 캡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배선이 인출되는 관통 구멍
    을 갖는,
    전자 비례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엔드 캡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비례 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비례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비례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중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엔드 캡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기판을 압박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비례 밸브.
  8.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제어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된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판과,
    상기 엔드 캡 중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누름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방향의 상기 단부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수납되는 엔드 캡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엔드 캡 본체를 통과시키는 연통 구멍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배선이 인출되는 관통 구멍
    을 갖고,
    상기 엔드 캡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기판이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캡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엔드 캡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기판을 압박하는,
    전자 비례 밸브.
  9.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어 액추에이터 작동용 유체에 의해 상기 차체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로의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제어 밸브에 작동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 밸브의 구동 조정을 행하는 전자 비례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동작되고, 상기 제어 밸브에 공급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플런저가 수납되고, 상기 작동 유체가 유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는 연통 구멍을 갖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엔드 캡에 수납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증폭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판
    을 구비하는,
    건설 기계.
KR1020220097211A 2021-09-08 2022-08-04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 KR20230036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6202 2021-09-08
JP2021146202A JP2023039169A (ja) 2021-09-08 2021-09-08 電磁比例弁及び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64A true KR20230036964A (ko) 2023-03-15

Family

ID=853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11A KR20230036964A (ko) 2021-09-08 2022-08-04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39169A (ko)
KR (1) KR20230036964A (ko)
CN (1) CN1157733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202A (ja) 2000-04-04 2001-10-1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バルブ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202A (ja) 2000-04-04 2001-10-1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バル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73398A (zh) 2023-03-10
JP2023039169A (ja)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540B2 (ja) 圧力センサを内蔵する電磁圧力制御弁装置
JP5004048B2 (ja) シリンダ装置
US6499577B2 (en) Valve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for a clutch or a bra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CN111594506B (zh) 电磁比例阀
JP2005069481A (ja) 電気式流体圧サーボ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36964A (ko) 전자 비례 밸브 및 건설 기계
JPWO2009005149A1 (ja) ソレノイドバルブ
US6675830B2 (en) Valve unit capable of monitoring output pressure
CN107288838B (zh) 流体静力的轴向柱塞机
JP7329316B2 (ja) 弁構造体及び建設機械
JP2005320912A (ja)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
CN113550941A (zh) 比例电磁阀和流体压系统
JP7033463B2 (ja) スプール弁装置
EP1729040A1 (en) Gear actuation control device
CN111692147B (zh) 电磁比例阀、换向阀和施工机械
CN113669324A (zh) 电磁比例阀、流体系统以及施工机械
KR102668147B1 (ko) 전자 비례 밸브
CN219606196U (zh) 用于手动阀的控制系统
JP2020046027A (ja) 電磁弁及び作業機械
CN113557339B (zh) 用于土方机器的电液装置
JP2021181824A (ja) 電磁比例弁、流体システム及び建設機械
WO2023007890A1 (ja) 流体圧シリンダ
JP2009185909A (ja) 方向制御弁
KR20230111144A (ko) 전자 기기, 전자 비례 밸브, 건설 기계
CN111322428A (zh) 电磁阀、换向阀和施工机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