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897A - 모듈형 조명 펜스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명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897A
KR20230036897A KR1020210119960A KR20210119960A KR20230036897A KR 20230036897 A KR20230036897 A KR 20230036897A KR 1020210119960 A KR1020210119960 A KR 1020210119960A KR 20210119960 A KR20210119960 A KR 20210119960A KR 20230036897 A KR20230036897 A KR 2023003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vertical bar
lighting unit
trench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975B1 (ko
Inventor
안민영
Original Assignee
(주)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크 filed Critical (주)데크
Priority to KR102021011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9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펜스가 제공된다. 상기 펜스는 고정물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세로대와 제2 세로대가 마련될 때, 상기 제1 세로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세로대에 타단이 연결되는 가로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명 펜스{MODULAR LIGHTING FENCE}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을 갖는 가로대가 구비된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는 잔디를 보호하는 등 통행자들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난간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다수의 지지대 중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위치하여 통행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바로 구성된다.
난간대는 단순히 통행자들의 출입을 통제하는 역할을 할 뿐,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야간에 공원이나 산책로에서 조깅 등 운동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통행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대에 조명을 설치하는 방안 등 통행자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5876호에는 별도의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소스로 발광하는 난간대가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5876호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발광하는 가로대가 포함된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펜스는 고정물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세로대와 제2 세로대가 마련될 때, 상기 제1 세로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세로대에 타단이 연결되는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상기 제1 세로대와 상기 제2 세로대에 연결된 다른 가로대, 상기 제1 세로대 및 상기 제2 세로대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로대와 세로대를 연결하는 가로대에 조명과 관련된 발전부, 조명부, 제어부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로대는 세로대와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대는 기존의 세로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결과 세로대와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발광 기능을 제공하는 펜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대는 또한 동일한 세로대에 높이를 달리해서 설치되는 다른 가로대와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발전하고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의 가로대 단위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로대는 비, 눈 등으로부터 조명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발광 과정에서 가열되는 조명부를 냉각시키는 통기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가로대에 따르면, 조명부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내부 발열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펜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가로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가로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단차부와 장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로대의 통기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펜스(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가로대(1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가로대(1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단차부(114)와 장착부(194)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로대(110)의 통기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펜스(100)는 가로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110)는 서로 다른 세로대(80)와 세로대(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로대(110)는 각 세로대(8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물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세로대(81)와 제2 세로대(8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세로대(81)와 제2 세로대(82)는 동일한 고정물이 지지되거나 서로 다른 고정물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물은 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정물은 지면에 고정된 벽, 건물, 전봇대 등의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로대(110)의 일단은 제1 세로대(81)에 연결되고, 가로대(110)의 타단은 제2 세로대(82)에 연결될 수 있다. 세로대(80)는 보통 지면에 설치되고,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세로대(80)와 세로대(80)를 연결하는 가로대(110)는 지면에 평행한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세로대(80)와 세로대(80) 사이에는 복수의 가로대(110)가 세로대(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로대(110)는 제1 세로대(81)와 제2 세로대(82)에 연결된 다른 가로대(110)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110)는 제1 세로대(81) 및 제2 세로대(82)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로 발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로대(110)는 펜스(100)를 형성하는 다른 부재들과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발전하고 발광할 수 있다.
자체 발전 및 자체 발광을 위해 가로대(110)에는 발전부, 조명부(130), 제어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발전부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부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솔라 패널(16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발전부에는 솔라 패널(160) 등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170)가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초기 설정값, 외부 신호, 가로대(110) 주변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조명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초기 설정값에 해당하는 온(on) 시각이 도래하면, 조명부(130)를 온(on)시킬 수 있다. 조명부(130)의 온(on)은 조명부(130)가 전기 에너지를 소모해 발광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초기 설정값에 해당하는 오프(off) 시각이 도래하면, 조명부(13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조명부(130)의 오프(off)는 조명부(130)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단절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리모컨,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와 통신하고,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외부 신호에 따라 조명부(130)를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다.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제어부(150)에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에는 조도 등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에서 감지된 환경 정보에 따라 조명부(130)를 온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다.
가로대(110)의 단면은 사각형, 오각형, 타원형 등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 눈,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명부(130)는 지면에 대면되는 가로대(110)의 제1 면(11)에 형성될 수 있다.
발전부에 마련된 솔라 패널(160)은 가로대(110)의 제2 면(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면(12)은 단면상으로 제1 면(11)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면(12)은 제1 면(11)에 반대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면(11)은 지면을 향하게 되고, 제2 면(12)은 하늘을 향하게 될 것이다.
제2 면(12)에 설치된 솔라 패널(160)은 태양광에 노출되고,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솔라 패널(16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전류 또는 전압이 불규칙하므로, 직접 조명부(130)에 제공되기는 어렵다. 솔라 패널(16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발전부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 등을 통해 조명부(130)에서 요구하는 정격 전압과 전류를 만족하도록 변환될 수 있다. 정격 전압과 전류로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배터리(17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또는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할 수 있다.
다른 가로대(110), 제1 세로대(81), 제2 세로대(82)와 상관없이 동작하는 독립 구동을 달성하기 위해, 배터리(170) 역시 가로대(11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솔라 패널(16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170)는 세로대(80)에 대면되는 가로대(110)의 단부면에 형성된 삽입 홈(109) 또는 제1 터널(1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터널(111)은 단면 상으로 가로대(110)의 가운데에 형성되고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대(110)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타측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터널(111)을 이용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170)가 가로대(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명부(130)는 소위 가로대(110)의 깊숙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지면에 대면되는 가로대(110)의 제1 면(11)에는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 형상의 제1 트렌치(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30)는 제1 트렌치(10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로대(110)의 밑면에 형성된 골 내부에 조명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01) 내에 설치된 조명부(130)는 제1 트렌치(101)의 입구를 통해 빛을 내보낼 수 있다. 또한, 가로대(110)의 밑면 등에 가해진 외부 충격으로부터 조명부(130)가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30)가 가로대(110)의 외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면, 제1 트렌치(101) 내부에 설치된 조명부(130)는 발열 문제에 취약할 수 있다.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로대(110)의 내부에 바람이 소통되는 통기 관 또는 통풍 관을 형성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130)는 단면상으로 제1 트렌치(101)의 바닥(11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트렌치(101) 내에 설치되는 조명부(130)는 제1 트렌치(101)의 깊이 방향 상으로 제1 트렌치(101)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01) 내에서 제1 트렌치(101)의 바닥(118)으로부터 상기 조명부(130)까지의 공간이, 제1 트렌치(101)와 함께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1 터널(1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터널(111)은 일부가 조명부(130)의 배면에 접하는 통기 관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 또는 바람이 흐르게 형성된 제1 터널(111)은 가로대(110)의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로대(110)의 말단까지 연장된 제1 터널(111)은 세로대(80)에 대면되는 가로대(110)의 단부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가로대(110)의 단부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부분이 제1 터널(111)의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단면상으로 제1 트렌치(101)의 양측벽의 가운데에는 제1 트렌치(101)의 깊이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함몰된 보조 홈(11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홈(113)으로 인하여 제1 트렌치(101)는 단면상으로 제1 면(11) 측이 개구된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홈(113)은 조명부(130)의 단부가 끼워지는 설치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제1 터널(111)과 함께 통기 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면(11)과 구분되는 가로대(110)의 제2 면(12) 측에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터널(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대(110)에는 제1 트렌치(101)의 바닥(118)으로부터 제2 터널(112)까지 연장되는 통기 구멍(115)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 구멍(115)은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30)에서 발생된 열 또는 열풍은 제1 터널(111)을 거쳐 제1 터널(111)의 일면에 형성된 통기 구멍(115)을 통해 제2 터널(112)로 전달되고 제2 터널(112)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로대(110)를 관통하는 통기 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조명부(130)의 냉각이 쉽게 이루어질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통기 관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가로대(110)의 내구성은 악화될 수 있다. 특히, 가로대(110)가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통기 관의 개수 증가는 가로대(110)의 내구도를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가로대(110)를 관통하는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는 대신 가로대(110)를 덮는 하우징(190)을 이용하여 제2 트렌치(102)를 형성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100)에는 지면에 대면되는 가로대(110)의 제1 면(11)에 형성되는 조명부(130), 가로대(110)의 제2 면(12)에 장착되는 하우징(190)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90)의 일면이 제2 면(12)에 대면될 때,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는 하우징(190)의 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면(12)에 대면되는 하우징(190)의 일면에는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 형상의 제2 트렌치(102)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90)이 제2 면(12)에 장착되면, 제2 면(12)과 제2 트렌치(102)는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터널(11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면(12)은 제2 터널(112)의 일측 벽을 형성하고, 제2 트렌치(102)는 제2 터널(112)의 나머지 벽을 형성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가로대(110)에는 조명부(130)의 배면과 제2 터널(112)을 소통시키는 통기 구멍(1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대(110)와 별도로 제작된 하우징(190)을 이용하면, 가로대(110)의 가공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가로대(11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면(12)을 별도의 하우징(190)으로 덮어서 제2 터널(112)이 형성될 경우, 제1 면(11)과 제2 터널(112) 사이의 틈을 통해 비, 눈 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제2 터널(112)로 유입된 이물질은 통기 구멍(115)을 통해 조명부(130)에 도달하면 합선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이물질이 제2 터널(112)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펜스(100)는 실링 기능과 함께 가로대(110)와 하우징(190) 간의 정렬, 지지, 결합 기능을 함께 갖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면(12)의 가장자리에는 제2 면(12)으로부터 함몰된 단차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4)는 가로대(110)의 두께 방향 상으로 일측 모서리 및 타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4)에 대면되는 하우징(190)의 일면에는 단차부(114)를 향해 돌출되고 단차부(114)에 장착되는 장착부(194)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94)는 단차부(114)에 장착되면, 도 4의 (a)와 같이 장착부(194)의 측면이 가로대(110)의 측면에 단차없이 연속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장착부(194)의 측면이 가로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력 방향 상으로 단차부(114)의 위에 위치한 장착부(194)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단차부(114)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하우징(190)에는 장착부(194)로부터 연속되게 제2 면(12)을 따라 연장되는 밀착부(19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4), 장착부(194), 밀착부(196)는 가로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밀착부(196)는 장착부(194)가 상기 단차부(114)에 장착되면, 제2 면(12)에 밀착될 수 있다.
단면 상으로, 하우징(190)과 가로대(110) 사이의 틈은 단차부(114)의 바닥면에 대면되는 장착부(194)의 말단 모서리 a에서 한 번 꺾이고, 장착부(194)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다가 밀착부(196)의 연장 개시 지점 b에서 다시 한 번 꺾이며, 밀착부(196)의 말단 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90)과 가로대(110) 사이의 틈으로 일부 액체(빗물 등)가 유입되더라도, 액체의 전파는 직각으로 꺾이는 지점 a, b에서 현저하게 저항받으며, 말단 c까지의 긴 경로로 인해 재차 저항받을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9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의 액체는 현실적으로 하우징(190)과 가로대(110) 사이의 틈을 통과해서 가로대(110)의 제2 면(12)에 형성된 통기 구멍(115)을 거쳐 조명부(130)까지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조명부(130)는 외부 액체 등에 기인한 합선, 오동작 등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90)은 제1 세로대(81) 및 제2 세로대(82)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대(110)의 윗면에 해당하는 제2 면(12)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90)의 일면이 제2 면(12)에 대면될 때, 솔라 패널(160)은 하우징(190)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솔라 패널(160)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90)의 타면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솔라 패널(160)은 빗물, 눈 등의 이물질이 쉽게 쌓이지 못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게 되며, 태양으로부터 보다 많은 빛을 받아들 수 있다.
가로대(110)와 세로대(80)의 사이에는 브라켓(70)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70)의 일측에는 제1 세로대(81) 또는 제2 세로대(82)가 연결되고 브라켓(70)의 타측에는 가로대(110)가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70)의 내부에는 가로대(110)의 폭 방향 또는 세로대(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터널(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터널(71)은 가로대(110)의 제1 터널(111), 제2 터널(1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70)의 일면에는 제3 터널(71)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7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널(111) 또는 제2 터널(112)을 통해 흐르는 뜨거운 공기는 제3 터널(71)을 경유해서 배출구(7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79)는 세로대(80)에 대면되는 브라켓(70)의 일면 또는 지면에 대면되는 브라켓(7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30)의 열에 기인한 열풍은 제1 터널(111), 통기 구멍(115), 제2 터널(112), 제3 터널(71), 배출구(79)를 순서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해당 통풍 과정에서 조명부(130)는 냉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제1 면 12...제2 면
70...브라켓 71...제3 터널
79...배출구 80...세로대
81...제1 세로대 82...제2 세로대
100...펜스 101...제1 트렌치
102...제2 트렌치 109...삽입 홈
110...가로대 111...제1 터널
112...제2 터널 113...보조 홈
114...단차부 115...통기 구멍
118...제1 트렌치의 바닥 130...조명부
150...제어부 160...솔라 패널
170...배터리 190...하우징
194...장착부 196...밀착부

Claims (10)

  1. 고정물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세로대와 제2 세로대가 마련될 때, 상기 제1 세로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세로대에 타단이 연결되는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상기 제1 세로대와 상기 제2 세로대에 연결된 다른 가로대, 상기 제1 세로대 및 상기 제2 세로대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로 발광하는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에 형성된 발전부, 조명부,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광하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 설정값, 외부 신호, 상기 가로대 주변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대면되는 상기 가로대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조명부, 상기 가로대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솔라 패널, 상기 솔라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세로대에 대면되는 상기 가로대의 단부면에 형성된 삽입 홈 또는 제1 터널에 설치되는 배터리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대면되는 상기 가로대의 제1 면에는 상기 가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 형상의 제1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렌치 내에 설치되는 조명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명부는 단면상으로 상기 제1 트렌치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제1 트렌치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조명부까지의 공간이, 상기 제1 트렌치와 함께 상기 가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1 터널을 형성하는 펜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은 상기 가로대의 말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로대의 말단까지 연장된 상기 제1 터널은 세로대에 대면되는 상기 가로대의 단부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펜스.
  6. 제4항에 있어서,
    단면상으로 상기 제1 트렌치의 측벽의 가운데에는 상기 제1 트렌치의 깊이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함몰된 보조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홈은 상기 조명부의 설치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제1 터널과 함께 통기 관으로 사용되는 펜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제2 면 측에 상기 가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에는 상기 제1 트렌치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2 터널까지 연장되는 통기 구멍이 형성된 펜스.
  8.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대면되는 상기 가로대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조명부, 상기 가로대의 제2 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제2 면에 대면될 때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에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가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 형상의 제2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면에 장착되면,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트렌치는 상기 가로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터널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에는 상기 조명부의 배면과 상기 제2 터널을 소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형성된 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함몰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단차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단차부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단차부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부의 측면이 상기 가로대의 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장착부의 측면이 상기 가로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속되게 상기 제2 면을 따라 연장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단차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2 면에 밀착되고,
    단면 상으로, 하우징과 상기 가로대 사이의 틈은 상기 단차부의 바닥면에 대면되는 상기 장착부의 말단 모서리에서 한 번 꺾이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다가 상기 밀착부의 연장 개시 지점에서 다시 한 번 꺾이며, 상기 밀착부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펜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대 및 상기 제2 세로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대의 윗면에 해당하는 제2 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제2 면에 대면될 때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솔라 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솔라 패널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면은 상기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된 펜스.
KR1020210119960A 2021-09-08 2021-09-08 모듈형 조명 펜스 KR10261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60A KR102611975B1 (ko) 2021-09-08 2021-09-08 모듈형 조명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60A KR102611975B1 (ko) 2021-09-08 2021-09-08 모듈형 조명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897A true KR20230036897A (ko) 2023-03-15
KR102611975B1 KR102611975B1 (ko) 2023-12-08

Family

ID=8551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60A KR102611975B1 (ko) 2021-09-08 2021-09-08 모듈형 조명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9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416A (ja) * 2003-12-02 2005-06-23 San Rail:Kk 手摺りにおける照明装置
KR101145876B1 (ko) 2011-06-30 2012-05-16 송원호 태양광을 이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대
KR20150111489A (ko) * 2014-03-25 2015-10-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방호책
JP2018066150A (ja) * 2016-10-18 2018-04-26 トーキン工業株式会社 手すり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416A (ja) * 2003-12-02 2005-06-23 San Rail:Kk 手摺りにおける照明装置
KR101145876B1 (ko) 2011-06-30 2012-05-16 송원호 태양광을 이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대
KR20150111489A (ko) * 2014-03-25 2015-10-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방호책
JP2018066150A (ja) * 2016-10-18 2018-04-26 トーキン工業株式会社 手すり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975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200439258Y1 (ko) 안전휀스용 발광포스트
KR101101921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및 가드지주
JP5195724B2 (ja) 自然光追従型led照明装置。
US20110304273A1 (en) Security lighting system
KR20230036897A (ko) 모듈형 조명 펜스
KR101971820B1 (ko)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1084533B1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설비 수용 시스템
KR102038010B1 (ko) 야외용 냉각장치
KR10116409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레일식 빌딩 창문 미화 시스템
KR200429302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바
KR102234648B1 (ko) 환기형 bipv 창호 시스템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US6448739B1 (en) Sanitary installation
KR101034699B1 (ko) 데크용 쏠라 엘이디 바
KR10130685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JP2004302974A (ja) 避難誘導灯システム
KR200410350Y1 (ko) 볼라드
KR200458221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데크 조명장치
KR102582870B1 (ko) 데크로드 보행자 조명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20100324U (zh) 一种光伏建筑及光伏幕墙系统
KR20070025460A (ko) 일체형 태양발광 표시장치
US20210364138A1 (en) Driveway edge illumination system
KR102329989B1 (ko) 보행자 안전 신호장치
KR101100344B1 (ko) 목조건축물용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